KR100991903B1 - 초광대역 임펄스 무선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 - Google Patents

초광대역 임펄스 무선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903B1
KR100991903B1 KR1020080050442A KR20080050442A KR100991903B1 KR 100991903 B1 KR100991903 B1 KR 100991903B1 KR 1020080050442 A KR1020080050442 A KR 1020080050442A KR 20080050442 A KR20080050442 A KR 20080050442A KR 100991903 B1 KR100991903 B1 KR 100991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ll
delay
ultra
discrimi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309A (ko
Inventor
곽경섭
장유화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50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90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4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phase shifting device being digitally control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3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special filtering or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in the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10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for assuring initial synchronisation or for broadening the capture range
    • H03L7/104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for assuring initial synchronisation or for broadening the capture range using an additional signal from outside the loop for setting or controlling a parameter in the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6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impulse radio
    • H04B1/71637Receiver aspects

Abstract

초광대역 임펄스 무선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가 개시된다.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럭 발생기, 상기 클럭 발생기로부터 발생한 클럭을 기초로 로컬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기, 상기 로컬 펄스의 4개의 복제신호와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를 곱하고, 상기 곱해진 신호를 적분하고 역변환한 후, 역변환된 신호를 각각 더하여 판별기 특성(discriminator characteristic)을 산출하는 판별기 특성 산출부, 상기 판별기 특성을 입력받아 제어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전압 신호를 전압제어 지연라인으로 전달하는 루프 필터 및 상기 제어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지연시간을 제어하는 전압제어 지연라인을 포함한다.
초광대역, 지연고정루프, 추적지터, 평균 고정해제시간, 4분기 DLL

Description

초광대역 임펄스 무선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DELAY LOCKED LOOP IN A ULTRA-WIDE BAND IMPLUSE RADIO SYSTEM}
본 발명은 초광대역 임펄스 무선(UWB-IR : Ultra-Wideband impulse radio) 시간도약/확산 스펙트럼(TH/SS : time hopping/spread spectrum) 시스템에 향상된 지연고정루프(DLL : delay-locked loop)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추가적인 상관기 분기를 사용하고, 최적 매개변수들을 제시하여 작은 추적지터 혹은 긴 평균 고정해제시간(MTLL : mean time to lose lock)을 달성하는 지연고정루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광대역(UWB)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들은 학술기관들의 관심과 이를 개발하는 상업적 시도로부터 상당한 관심을 끌고 있다.
FCC 보고서에 따르면 UWB의 대역폭은 비교적 크며 수백 Mbit에 달하는 높은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큰 대역폭과 결합된 짧은 펄스파는 또한 UWB 단말기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펄스 파형의 극히 짧은 지속시간으로 인하여 타이밍 오차, 즉 정확한 시간으로부터 DLL에 의해 확보된 시간으로의 타이밍 이동은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지연고정루프의 설계는 UWB 시스템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따라서, 작은 추적지터 또는 긴 평균 고정해제시간(MTLL : mean time to lose lock)을 달성할 수 있는 지연고정루프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UWB-IR TH/SS 시스템에서 4개의 분기를 갖는 DLL을 구현하고, 최적화된 매개변수를 설정함으로써, 최소 추적지터 또는 최장 MTLL을 가지는 초광대역 임펄스 무선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2개의 분기를 갖는 DLL을 구비한 UWB-IR TH/SS 시스템에 있어서, 최적화된 매개변수를 설정함으로써, 최소 추적지터 또는 최장 MTLL을 가지는 초광대역 임펄스 무선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광대역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는,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럭 발생기, 상기 클럭 발생기로부터 발생한 클럭을 기초로 로컬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기, 상기 로컬 펄스의 4개의 복제신호와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를 곱하고, 상기 곱해진 신호를 적분하고 역변환한 후, 역변환된 신호를 각각 더하여 판별기 특성(discriminator characteristic)을 산출하는 판별기 특성 산출부, 상기 판별기 특성을 입력받아 제어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전압 신호를 전압제어 지연라인으로 전달하는 루프 필터 및 상기 제어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지연시간을 제어하는 전압제어 지연라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신호 대 잡음비(Eb/N0)가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상기 편이 매개변수 α1 및 α2는 0.64TP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대 잡음비(Eb/N0)가 기설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편이 매개변수 α1 및 α2는 각각 1.1TP 및 0.4TP 또는 0.4TP 및 1.1TP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광대역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는,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럭 발생기, 상기 클럭 발생기로부터 발생한 클럭을 기초로 로컬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기, 상기 로컬 펄스의 2개의 복제신호와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를 곱하고, 상기 곱해진 신호를 적분하고 역변환한 후, 역변환된 신호를 각각 더하여 판별기 특성(discriminator characteristic)을 산출하는 판별기 특성 산출부, 상기 판별기 특성을 입력받아 제어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전압 신호를 전압제어 지연라인으로 전달하는 루프 필터 및 상기 제어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지연시간을 제어하는 전압제어 지연라인을 포함하고, 신호 대 잡음비(Eb/N0)가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편이 매개변수 α를 0.64TP로 설정하고 신호 대 잡음비(Eb/N0)가 기설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편이 매개변수 α는 0.53TP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UWB-IR TH/SS 시스템에서 4개의 분기를 갖는 DLL을 구현하고, 최적화된 매개변수를 설정함으로써, 최소 추적지터 또는 최장 MTLL을 가지는 초광대역 임펄스 무선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분기를 갖는 DLL을 구비한 UWB-IR TH/SS 시스템에 있어서, 최적화된 매개변수를 설정함으로써, 최소 추적지터 또는 최장 MTLL을 가지는 초광대역 임펄스 무선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UWB 시스템에서 2분기 DLL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2분기 DLL(100)은 클럭 발생기(110), 펄스 발생기(120), 신호 수신부(130), 판별기 특성 산출부(140), 루프 필터(150), 전압제어 지연라인(160)을 포함한다.
DLL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펄스 발생기(120)가 클럭 발생기(110)로부터의 클럭을 기반으로 로컬 펄스를 만들어낸다. 수신된 신호는 αTP-early 및 αTP-late 복제신호에 의해 곱해지며 적분기의 출력이 역전되고 추가되어 판별기 특성을 산출한다. 이때,판별기 특성이 산출되는 과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분기로 나누어져 진행된다. 여기서, α는 분기들의 시간편이 값을 조정할 수 있는 변수이다. 판별기 특성은 루프 필터(150)와 전압제어 지연라인(voltage controlled delay line, VCDL) (160)으로 전송되는데, 여기서는 새로운 클럭시간이 평가된다. 평가된 클럭시간
Figure 112008038695643-pat00001
와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의 실제 지연시간 τ s 사이의 차이가 지연오차 τ e 이다.
이때, 설계가 잘된 DLL은 지연오차 τ e 의 절대값을 가능한 한 작게 만들어야 한다.
PN 시퀀스에서 동일한 수의 '0'과 '1'을 고려하여 상관 출력은 다음 [수학식 1]으로 주어진다.
[수학식 1]
Figure 112008038695643-pat00002
여기서 R(t)는 wrec(t)의 자동상관 함수이다. 정규화된 R(t)는 다음 [수학식 2]로 표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08038695643-pat00003
판별기 특성은 y e (τ e )와 y l (τ e ) 의 합이며 다음 [수학식 3]으로 주어진다.
[수학식 3]
Figure 112008038695643-pat00004
.
높은 Eb/N0에 대해서 추적오차 τ e 는 τe=0에서 안정된 평형점을 중심으로 변동된다. 판별기 특성은 이 지속시간에 선형함수로 작동한다.
즉,
Figure 112008038695643-pat00005
이고, 여기서
Figure 112008038695643-pat00006
는 판별기 특성의 변화도(gradient)이다. 루프를 폐쇄한 다음 추적지터 편차는 아래 [수학식 4]로 나타난다.
[수학식 4]
Figure 112008038695643-pat00007
이것은 τ e =0에서 추적지터 편차가 판별기 특성 변화도 DD(τ e )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MTLL은 DLL의 평가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DLL은 높은 수준의 간섭이나 잡음 존재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견고성을 계량하는 측정은 낮은 Eb/N0의 관점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선형 분석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고 DLL의 전체 고정범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DLL은 추적오차가 DLL의 능력을 초과할 때 고정상태를 상실할 것이다. MTLL의 명백한 표현식은 판별기 특성의 고정거리, 즉 τ e =0의 왼쪽과 오른쪽에 위치한 2개의 가장 가까운 0 통과점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MTLL 성능을 비교하는 것이 타당하다. 고정거리가 길수록 DLL에 의해 달성할 수 있는 MTLL이 길어진다.
따라서, 가장 긴 고정거리를 가지면 최장 MTLL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UWB 시스템에서 4분기 DLL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UWB-IR (TH/SS) 시스템을 위한 2개의 분기를 가진 DLL을 기반으로 2개의 추가 분기가 DLL에 추가된다. 4분기 DLL은 클럭 발생기(210), 펄스 발생기(220), 신호 수신부(230), 판별기 특성 산출부(240), 루프 필터(250), 전압제어 지연라인(260)을 포함한다.
이때, 지연 매개변수 ±α 1 및 ±α 2와 가중치 매개변수 k 1k 2를 갖는 4개의 분기는 수신된 신호 r(t)와 상관된다. 이 4분기 DLL의 기본 원칙은 2분기 DLL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판별기 특성 DD(τ e )는 아래 [수학식 5]에 의해 간단히 도출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10041498090-pat00008

이때, Ns 는 데이터 심볼당 프레임 개수이고, δ는 변조계수이다.
DLL의 추적지터 편차와 MTLL은 τe =0에서의 변화도와 판별기 특성곡선의 고정 범위를 기준으로 분석된다. 계산상의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가중치 매개변수 k 1k 2는 1로 설정한다. τe =0에서 추적지터 편차와 판별기 특성 변화도의 제곱은 반비례하며, MTLL은 고정범위 증가에 따라 증가하고, 상이한 DLL 방식의 추적지터 편차와 MTLL은 τe =0에서의 변화도와 판별기 특성의 고정범위에 의해 비교할 수 있다.
삭제
τ e =0에서의 변화도의 명백한 폐쇄형식 표현식과 판별기 특성의 고정범위는 쉽게 도출할 수 없기 때문에, 수치적 계산방법을 사용하여 두 가지 장점의 형상 성능을 평가한다. 편이 매개변수 α의 범위는 0 ~ 1.5TP으로 제한된다.
도 3은 2분기 DDL을 가지는 UWB 시스템에서 DDL 편이 매개변수 값에 따른 변화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편이 매개변수 α를 갖는 2분기 DLL의 τ e =0에서의 변화도를 평가하면 α가 대략 0.64TP일 때 최고 변화도 값을 얻을 수 있고 해당 변화도는 대략 6.7*109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최고 변화도 값을 가지는 α=0.64TP에서 최소 추적지터 편차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이한 편이 매개변수 α를 갖는 2분기 DLL의 고정 범위를 평가할 수 있고, 이는 아래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2분기 DDL을 가지는 UWB 시스템에서 DDL 편이 매개변수 값에 따른 고정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α가 대략 0.53TP일 때 가장 긴 고정범위를 얻을 수 있고 해당 고정범위는 대략 2.00TP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긴 고정범위를 가지는 α=0.53TP에서 최장 MTLL을 얻을 수 있다.
즉, 2분기 DLL에서, 최소 추적지터 편차는 α= 0.64TP를 설정하여 얻을 수 있으며 최장 MTLL은 α= 0.53TP을 설정하여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4분기 DLL에서의 변화도 대비 (α1 ,α2)의 등고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이한 편이 매개변수 세트(α1 ,α2)를 갖는 4분기 DLL의 τ e =0에서의 변화도를 평가한다. 2개의 변수 α1 와 α2가 있기 때문에 2차원 등고선 그림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최고의 변화도 값은 (α1 ,α2) = (0.64, 0.64)* TP에서 얻을 수 있으며 최고 변화도는 대략 13.4*109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4분기 DLL에서의 고정범위 대비 (α1 ,α2)의 등고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이한 편이 매개변수 세트(α1 ,α2)를 갖는 4분기 DLL의 τ e =0에서의 고정범위를 평가한다. 여기서, 최장 고정범위는 (α1 ,α2) = (1.1, 0.4)*TP에서 얻을 수 있으며 최장 고정범위는 대략 2.45TP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α=0.64TP에서 2분기 DLL의 판별기 특성과 (α1 ,α2) = (0.64, 0.64)*TP 에서의 4분기 DLL의 판별기 특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α=0.64TP를 갖는 2분기 방식 판별기 특성(710)을 (α1 ,α2) = (0.64, 0.64)*TP를 갖는 4분기 방식 판별기 특성(720)과 비교한다. 이때, 0.64TP를 갖는 2분기 방식 판별기의 변화도(711)보다 (α1 ,α2) = (0.64, 0.64)*TP를 갖는 4분기 방식 판별기 특성의 변화도(721)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α=0.53TP에서 2분기 DLL의 판별기 특성과 (α1 ,α2) = (1.1, 0.4)*TP 에서의 4분기 DLL의 판별기 특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α=0.53TP를 갖는 2분기 방식 판별기 특성(810)을 (α1 ,α2) = (1.1, 0.4)*TP를 갖는 4분기 방식 판별기 특성(820)과 비교한다. 이때, 0.53TP를 갖는 2분기 방식 판별기의 고정범위(811)보다 (α1 ,α2) = (1.1, 0.4)*TP를 갖는 4분기 방식 판별기 특성의 고정범위(821)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4분기 DLL에서, 최소 추적지터 편차는 (α1 ,α2) = (0.64, 0.64)*TP를 설정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2분기 DLL과 대비할 때, 2분기 DLL의 τ e =0에서의 최대 변화도(6.7*109)보다 4분기 DLL의 τ e =0에서 높은 변화도(13.4*109)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안된 4분기 DLL에서, 최장 MTLL은 (α1 ,α2) = (1.1,0.4)*TP을 설정하여 얻을 수 있다. 이는, 2분기 방식의 최장 고정거리(2.00TP)에 비하여, 긴 고정거리(2.45TP)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이한 응용환경에 따라서 4분기 DLL은 편이 매개변수 α1와 α2를 조정함으로써 2분기 DLL보다 작은 추적지터 편차와 높은 MTLL을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2분기 DLL 및 4분기 DLL의 하나 이상의 편이 매개변수 값에 대하여 신호 대 잡음비에 따른 DLL의 추적지터 편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추적지터는 지연오차가 작을 때, 즉 Eb/N0가 높을 때 DLL을 평가하는 중요한 장점 형상이다. 잘 설계된 DLL에서 추적지터는 가능한 한 작아야 한다. 높은 Eb/N0에 대해서 추적오차 τ e τ e =0에서 안정된 평형점을 중심으로 변동해야 한다. 이 지속시간에서 판별기 특성은 선형 함수로서 작동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적지터 편차는 Eb/N0이 높을 때 DLL의 지터 방지기능을 반영하기 때문에, 이러한 장점 형상은 높은 Eb/N0 (20~40dB)에 대해 평가한다.
1 ,α2) = (0.64, 0.64)*TP의 4분기 방식 추적지터 편차(940)는 평가한 4가지 방식 중에서 가장 낮다. α= 0.53TP (910)및 0.64TP(920)를 갖는 2가지의 기존 2분기 DLL에서는 α= 0.64TP을 갖는 DLL이 다른 것을 능가한다. 그러나, (α1 ,α2) = (1.1, 0.4)*TP의 4분기 방식 추적지터 편차(930)가 가장 높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평가된 4가지 방식 중에서 이 방식의 변화도가 가장 낮기 때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2분기 DLL 및 4분기 DLL의 하나 이상의 편이 매개변수 값에 대하여 신호 대 잡음비에 따른 DLL의 평균 고정해제시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낮은 Eb/N0에 대해서 DLL은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충분히 견고해야 하므로 이것은 DLL 평가에 있어서 결정적인 기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판별기 특성의 고정거리를 기준으로 MTLL 성능을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고정범위가 길수록 달성할 수 있는 MTLL도 길어진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판별기 특성의 고정범위는 -5 ~ 5 dB의 낮은 Eb/N0에서 평가한다.
1 ,α2) = (1.1, 0.4)*TP를 갖는 4분기 방식(1030)이 평가된 4가지 방식 중에서 가장 긴 고정범위를 갖는다. 즉, 실험 결과 (α1 ,α2) = (1.1, 0.4)*TP를 갖는 4분기 방식(1030)이 4가지 방식 중에서 최장의 MTLL을 갖는 것을 입증한다.
또한, α=0.53TP인 2분기 DLL이 모든 2분기 DLL 중에서 최장 고정범위를 갖기 때문에, 2분기 방식의 최장 MTLL은 α=0.53TP를 설정하여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α1 ,α2) = (1.1, 0.4)*TP를 갖는 제안된 4분기 DLL은 모든 2분기 DLL보다 긴 MTLL을 갖는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DLL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낮은 추적지터 편차와 긴 MTLL을 고려할 수 있고, 적절한 매개변수를 갖는 2개의 추가적인 분기를 추가함으로써 4분기 DLL에 의해 2분기 DLL에 비하여 양호한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특히, 높은 Eb/N0에 대해서 낮은 추적지터 편차는 DLL의 주요한 설계 대상이며, (α1 ,α2) = (0.64, 0.64)*TP를 설정함으로써 가장 낮은 추적지터 편차를 얻을 수 있고, 낮은 Eb/N0에 대해서는 긴 MTLL이 DLL의 주요한 설계 대상이며, (α1 ,α2) = (1.1, 0.4)*TP를 설정함으로써 최장 MTLL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2분기 DLL에에 있어서도, α = 0.64TP로 설정하여 최소 추적지터 편차를 확보할 수 있고, α = 0.53TP로 설정함으로써, 최장 MTLL을 획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UWB 시스템에서 2분기 DLL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UWB 시스템에서 4분기 DLL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2분기 DDL을 가지는 UWB 시스템에서 DDL 편이 매개변수 값에 따른 변화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2분기 DDL을 가지는 UWB 시스템에서 DDL 편이 매개변수 값에 따른 고정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4분기 DLL에서의 변화도 대비 (α1 ,α2)의 등고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4분기 DLL에서의 고정범위 대비 (α1 ,α2)의 등고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α= 0.64TP에서 2분기 DLL의 판별기 특성과 (α1 ,α2) = (0.64, 0.64)*TP 에서의 4분기 DLL의 판별기 특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α= 0.53TP에서 2분기 DLL의 판별기 특성과 (α1 ,α2) = (1.1, 0.4)*TP 에서의 4분기 DLL의 판별기 특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2분기 DLL 및 4분기 DLL의 하나 이상의 편이 매개변수 값에 대하여 신호 대 잡음비에 따른 DLL의 추적지터 편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2분기 DLL 및 4분기 DLL의 하나 이상의 편이 매개변수 값에 대하여 신호 대 잡음비에 따른 DLL의 평균 고정해제시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2분기 DLL 110, 410 : 클럭 발생기
120, 420 : 펄스 발생기 130, 430 : 신호 수신부
140, 440 : 판별기 특성 산출부 150, 450 : 루프 필터
160, 460 : 전압제어 지연라인 400 : 4분기 DLL

Claims (5)

  1.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럭 발생기;
    상기 클럭 발생기로부터 발생한 클럭을 기초로 로컬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기;
    상기 로컬 펄스의 4개의 복제신호와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를 곱하고, 상기 곱해진 신호를 적분하고 역변환한 후, 역변환된 신호를 각각 더하여 판별기 특성(discriminator characteristic)을 산출하는 판별기 특성 산출부;
    상기 판별기 특성을 입력받아 제어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전압 신호를 전압제어 지연라인으로 전달하는 루프 필터; 및
    상기 제어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지연시간을 제어하는 전압제어 지연라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기 특성은 아래 수학식 5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
    [수학식 5]
    Figure 112008038695643-pat00009
    단,
    τ e 는 지연오차,
    k 1k 2 는 가중치 매개변수,
    N s 는 데이터 심볼당 프레임 개수,
    δ는 변조계수,
    α1및 α2는 편이 매개변수,
    TP는 기준 지속시간
    을 각각 의미함.
  3. 제2항에 있어서,
    신호 대 잡음비(Eb/N0)가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편이 매개변수 α1와 α2는 0.64TP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
  4. 제2항에 있어서,
    신호 대 잡음비(Eb/N0)가 기설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편이 매개변수 α1와 α2는 각각 1.1TP 및 0.4TP 또는 0.4TP 및 1.1TP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
  5.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럭 발생기;
    상기 클럭 발생기로부터 발생한 클럭을 기초로 로컬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기;
    상기 로컬 펄스의 2개의 복제신호와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를 곱하고, 상기 곱해진 신호를 적분하고 역변환한 후, 역변환된 신호를 각각 더하여 판별기 특성(discriminator characteristic)을 산출하는 판별기 특성 산출부;
    상기 판별기 특성을 입력받아 제어전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전압 신호를 전압제어 지연라인으로 전달하는 루프 필터; 및
    상기 제어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지연시간을 제어하는 전압제어 지연라인
    을 포함하고,
    신호 대 잡음비(Eb/N0)가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2개의 분기로 나누어져 진행되는 판별기 특성 산출 과정에서 상기 분기들의 시간편이 값을 조정할 수 있는 변수인 편이 매개변수 α를 0.64TP로 설정하고
    신호 대 잡음비(Eb/N0)가 기설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편이 매개변수 α는 0.53TP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
KR1020080050442A 2008-05-29 2008-05-29 초광대역 임펄스 무선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 KR100991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442A KR100991903B1 (ko) 2008-05-29 2008-05-29 초광대역 임펄스 무선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442A KR100991903B1 (ko) 2008-05-29 2008-05-29 초광대역 임펄스 무선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309A KR20090124309A (ko) 2009-12-03
KR100991903B1 true KR100991903B1 (ko) 2010-11-04

Family

ID=4168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442A KR100991903B1 (ko) 2008-05-29 2008-05-29 초광대역 임펄스 무선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9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0723B (zh) * 2021-02-22 2023-01-10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时间的动态投入除氧器加热系统的控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592B1 (ko) 2006-10-16 2008-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초광대역 펄스 생성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592B1 (ko) 2006-10-16 2008-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초광대역 펄스 생성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309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3057B1 (en) Vector mod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wideband impulse radio communications
US20060088081A1 (en) Transmit-rake apparatus in communication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US200301949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n ultra wideband impulse radio system
Naqvi et al. Experimental validation of time reversal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system for high data rates
US20040202230A1 (en) Multi-pulse multi-delay (MPMD) multiple access modulation for UWB
KR100991903B1 (ko) 초광대역 임펄스 무선 시스템의 지연고정루프
KR100818173B1 (ko) 고속 디지털 샘플러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임펄스 비동기무선 통신 시스템
Xu et al. TOA estimator for UWB backscattering RFID system with clutter suppression capability
CA2456915A1 (en) Mode controller for signal acquisition and tracking in an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system
Alhakim et al. Internal model control for a self-tuning delay-locked loop in UWB communication systems
Alhakim et al. Design of tracking loop with dirty templates for UWB communication systems
Zhang et al. Improved Delay‐Locked Loop in a UWB Impulse Radio Time‐Hopping Spread‐Spectrum System
CN101753172B (zh) 直接系列扩频的码跟踪方法及装置
Alhakim et al. Timing synchronisation for IR-UWB communication systems
JP2012217163A (ja) 送信機から少なくとも1つのウルトラワイドバンド(uwb)受信機に送信された信号の合成方法、および同方法の実施装置
Wu et al. Low-complexity code tracking loop with multipath diversity for GNSS over multipath fading channels
Landolsi et al.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Waveform-Dependent UWB Timing Synchronization by Delay-Locked Loops
Alhakim et al. Design of tracking loop for UWB systems
Nekoogar et al. Integration window position estimation in TR receivers
US20100150219A1 (en) Sampling device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Zhang et al. An Improved Delay-Locked Loop (DLL) in Timing Hopping (TH) UWB System
Kuroda et al. Performance validation of carrier super-positioning satellite system with multi-component code
Krysik et al. The impact and minimization of multipath propagation effects in the reference channel of a GSM based passive radar
Morhart et al. High precision distance measure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using cooperative sensors
Tan et al. Performance of ultra-wideband time-hopping spread spectrum impulse radio systems with antenna ar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