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843B1 -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Device - Google Patents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1843B1 KR100991843B1 KR1020100010439A KR20100010439A KR100991843B1 KR 100991843 B1 KR100991843 B1 KR 100991843B1 KR 1020100010439 A KR1020100010439 A KR 1020100010439A KR 20100010439 A KR20100010439 A KR 20100010439A KR 100991843 B1 KR100991843 B1 KR 1009918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ressed air
- pipe
- air pipe
- primary
- air compresso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5338 heat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25B27/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using waste heat, e.g. from internal-combustion eng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6—Heat pumps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low potential hea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sorpt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43—Operating continuous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1—Bypass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공기압축기, 상기 제1 공기압축기에 연결되어 있고 고온의 1차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1차 압축공기 배관, 상기 제1 압축공기 배관과 연결되어 있는 제2 공기압축기, 상기 제2 공기압축기에 연결되어 있고 고온의 2차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2차 압축공기 배관,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냉난방장치의 재생기,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 또는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1차 압축공기 또는 상기 2차 압축공기의 흐르는 유로를 전환시키는 복수의 밸브,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면 공기압축기에서 발생되어 폐기되는 열에너지를 활용하여, 난방, 냉방, 온수를 생산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which is connected to a first air compressor and the first air compressor, and is connected to a first compressed air pipe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primary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mpressed air pipe. A second air compressor, connected to the second air compressor and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from which the high temperature secondary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A plurality of valves installed in a regenerator of the air-conditioning unit,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or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to switch the flow path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or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and the plurality of valves It includes a controller. In this way, by utilizing the heat energy generated and disposed in the air compresso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by producing heating, cooling, hot wa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일반적으로, 제조 현장에서는 기기에 필요한 공압(空壓)을 발생시키는 공기압축기(空氣壓縮機)가 사용된다. 공기압축기는 공기를 대기압 이상으로 압축하여 압축공기를 만든다. 그리고 공기압축기는 압축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스크류식, 그리고 터보식 등과 같이 분류되며, 이때 사용되는 동력으로는 전기 모터, 엔진, 그리고 터빈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주로 전기 모터가 사용된다. In general, an air compressor for generating air pressure required for an apparatus is used at a manufacturing site. An air compressor compresses air above atmospheric pressure to produce compressed air. In addition, air compressors are classified into reciprocating type, screw type, and turbo type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method. There are various kinds of power used in this case, such as an electric motor, an engine, and a turbine, but mainly an electric motor is used.
이와 같이, 상온 상태인 대기압의 공기를 흡입하여 단열 압축하는 과정에서, 압축공기는 일반적으로 150℃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된다. 따라서, 공기압축기의 후단에는 필수적으로 고온의 압축공기를 다시 냉각시키기 위하여 냉각기를 설치하여 가동하게 된다. As such, in the process of adiabatic compression by suctioning atmospheric pressure air at room temperature, the compressed air is generally raised to 150 ° C or higher. Therefore, the rear end of the air compressor is essentially operated by installing a cooler to cool the compressed air again.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하여서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필요로 한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 냉각수는 냉각수 순환펌프에 의하여 강제로 순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압축공기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공기압축기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에서도 열이 발생되며, 이러한 열은 상기 모터와 함께 회전하는 냉각 팬에 의하여 기계실로 강제 순환되므로, 기계실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냉방기를 구동시켜야 한다.Looking at this in detail, in order to cool the air at elevated temperature requires a coolant supplied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cooling water used is forcibly circulated by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pump, thereby cooling the compressed air having an elevated temperature. In addition, heat is also generated in a motor installed in the air compressor, and this heat is forced to the machine room by a cooling fan rotating together with the motor, so a separate air conditioner must be driven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machine room at an appropriate level. .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공기압축기에서 단열 압축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열 에너지 및 공기압축기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를 전부 폐기하므로, 에너지가 불필요하게 소비될 뿐만 아니라, 더욱이 고가의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eat energy generated in the process of adiabatic compression in the air compressor and the heat energy generated in the motor mounted on the air compressor are discarded, energy is not consumed unnecessarily.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expensive energy was wast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압축기에서 발생되어 폐기되는 열에너지를 활용하여, 난방, 냉방, 온수를 생산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that can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by producing heating, cooling, hot water by utilizing the heat energy generated and disposed in the air compress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는, 제1 공기압축기, 상기 제1 공기압축기에 연결되어 있고 고온의 1차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1차 압축공기 배관, 상기 제1 압축공기 배관과 연결되어 있는 제2 공기압축기, 상기 제2 공기압축기에 연결되어 있고 고온의 2차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2차 압축공기 배관,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냉난방장치의 재생기,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 또는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1차 압축공기 또는 상기 2차 압축공기의 흐르는 유로를 전환시키는 복수의 밸브,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recovering waste heat of an ai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air compressor and a first compressed air pipe connected to the first air compressor and discharging high temperature primary compressed air, and the first compressed air pipe. A second air compressor connected to the second air compressor, and a second compressed air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compressor and discharging high temperature secondary compressed air, and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A plurality of valves installed in a regenerator of the cooling / heating apparatus,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or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for switching the flow path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or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and the plurality of valves. It includes a controller to control.
상기 재생기는,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1차 압축공기와 열 교환되는 제1 재생기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2차 압축공기와 열 교환되는 제2 재생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에는 상기 1차 압축공기가 상기 제1 재생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2 공기압축기로 바이패스 시키는 제1 바이패스 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에는 상기 2차 압축공기가 상기 제2 재생기를 통과하지 않도록 바이패스 시키는 제2 바이패스 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The regenerator may include a first regenerator installed in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heat exchanged with the primary compressed air, and a second regenerator installed in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and heat exchanged with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The first compressed air pipe may be connected to a first bypass line for bypassing the first compressed air to the second air compresso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rst regenerator, and to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A second bypass line may be connected to bypass secondary compressed air not to pass through the second regenerator.
상기 제1 바이패스 라인 및 상기 제2 바이패스 라인 각각에는 상기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복수의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bypass line and the second bypass lin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alves controlled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ler.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1차 압축공기와 상기 2차 압축공기 중 적어도 하나와 열 교환되는 온수 열 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hot water heat exchanger installed in a bypass lin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to exchange heat with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Can be.
상기 온수 열 교환기는 상기 1차 압축공기의 이동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재생기의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The hot water heat exchanger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disposed behind the regenerator ba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상기 온수 열 교환기는,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에 연결되는 제3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는 제1 열 교환기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에 연결되는 제4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는 제2 열 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t water heat exchanger may include a first heat exchanger installed in a third bypass line connected to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a second heat exchanger installed in a fourth bypass line connected to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It may include.
상기 제1 열 교환기에는 물 공급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열 교환기에는 온수 배출관이 연결되며, 상기 제1 열 교환기와 상기 제2 열 교환기는 연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A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r, a hot water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pipe.
상기 온수 배출관에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를 신호화하여 컨트롤러로 인가하는 온수 온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The hot water discharge pipe may be installed with a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and signaling the detected temperature to the controller.
상기 제3 바이패스 라인 및 상기 제4 바이패스 라인 각각에는 상기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복수의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Each of the third bypass line and the fourth bypass lin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alves controlled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ler.
상기 공기 압축기 폐열 회수장치는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과 2차 압축공기 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1차 압축공기 또는 상기 2차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oler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and cooling the primary compressed air or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상기 냉각기는,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에 연결되는 제5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는 제1 냉각기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에 연결되는 제6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는 제2 냉각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5 바이패스 라인 및 상기 제6 바이패스 라인 각각에는 상기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복수의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The cooler may include a first cooler installed in a fifth bypass line connected to the first compressed air pipe and a second cooler installed in a sixth bypass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compressed air pipe. Each of the fifth bypass line and the sixth bypass lin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alves controlled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ler.
상기 1차 압축공기의 이동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냉각기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에는 상기 1차 압축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를 신호화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인가하는 제1 온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2차 압축공기의 이동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냉각기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에는 상기 2차 압축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를 신호화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인가하는 제2 온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cooler ba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signals the detected temperature, and applie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A first temperature sensor may be installed,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cooler ba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and detects the detected temperature. A second temperature sensor may be installed to signal and apply to the controller.
상기 공기 압축기 폐열 회수장치는,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1차 압축공기 또는 상기 2차 압축공기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축열조 및 상기 축열조와 상기 재생기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재생기는 상기 순환배관을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축열조에 저장된 열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and includes a heat storage tank and the heat storage tank configured to receive heat from the primary compressed air or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At least one circulation pipe connecting the regenerator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regenerator may be supplied with heat stored in the heat storage tank by a fluid flowing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상기 축열조는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과 연결되어 있으며,The heat storage tank is connected to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에는 상기 1차 압축공기가 상기 축열조로 유입되지 않도록 바이패스 시키는 제7 바이패스 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에는 상기 2차 압축공기가 상기 축열조로 유입되지 않도록 바이패스 시키는 제8 바이패스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A seventh bypass line is formed in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to bypass the primary compressed air into the heat storage tank,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does not flow into the heat storage tank. An eighth bypass line may be formed to bypass the eighth bypass line.
상기 제7 바이패스 라인 및 상기 제8 바이패스 라인 각각에는 상기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복수의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Each of the seventh bypass line and the eighth bypass lin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alves controlled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ler.
상기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는 상기 축열조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축열조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means connected to the heat storage tank and supplying heat to the heat storage tan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압축기 폐열 회수장치는 공기압축기에서 압축공기를 생산하여 고압구동장치에서 사용하고, 공기 압축기의 공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난방, 냉방, 온수를 생산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produces compressed air from an air compressor and uses it in a high-pressure driving apparatus, and uses heating, cooling, and hot water by using waste hea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mpressing air of the air compressor. Production can improve energy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압축기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냉난방에 사용하는 것과 온수를 만드는 것 중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폐열 회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use the waste heat generated from the air compressor for cooling and heating and to make hot water can improve the waste heat recovery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폐열 회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의 다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을 이용한 흡수식 냉난방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을 이용한 흡수식 냉난방장치의 난방 모드를 나타낸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of the ai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an absorption type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waste heat in the ai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eating mode of the absorption type air-conditioning and heating device using the waste heat of the ai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en, the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는 2대의 공기압축기(100,200)를 병렬로 구성한 것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하나 이상의 공기압축기를 사용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1 and 2, the air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the two air compressors (100,200) in parallel, which is only one embodiment, one If using the above air compressor can be applied in any case.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는, 공기를 1차 압축하는 제1 공기압축기(100)와, 제1 공기압축기(100)에서 1차 압축된 공기를 2차 압축하는 제2 공기압축기(200)와, 고온의 1차 압축공기 및 고온의 2차 압축공기와 열 교환되는 흡수식 냉난방장치의 재생기(130,140) 및 제1 공기압축기(100)에서 발생된 고온의 1차 압축공기 및 제2 공기압축기(200)에서 발생된 고온의 2차 압축공기와 열 교환되어 온수를 만드는 온수 열 교환기(110,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는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0)를 구비한다.The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includes a
제1 공기압축기(100)는 외부공기 흡입배관(180)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1차로 압축하는 장치로, 제2 공기압축기(20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공기 압축 압력이 작은 저압 공기압축기이다. 이러한 제1 공기압축기(100)는 1차 압축공기 배관(102)과 연결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1 공기압축기(100)에서 발생된 고온의 1차 압축공기는 1차 압축공기 배관(102)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1차 압축공기 배관(102)은 제1 공기압축기(100)와 제2 공기압축기(200)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이므로, 1차 압축된 공기는 1차 압축공기 배관(102)을 통해 제2 공기압축기(200)로 공급된다.The
제2 공기압축기(200)는 1차로 압축된 1차 압축공기를 2차로 압축하는 장치로, 제1공기압축기(10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공기 압축 압력이 큰 고압 공기압축기이다. 이러한 제2공기 압축기(200)는 2차 압축공기 배관(202)과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제2 공기압축기(200)에서 발생된 고온의 2차 압축공기는 2차 압축공기 배관(202)으로 배출되어 압축공기를 필요로 하는 구동장치로 공급된다.The
재생기는 1차 압축공기 배관(102)에 설치되어 고온의 1차 압축공기와 열 교환되는 제1 재생기(130) 및 2차 압축공기 배관(202)에 설치되어 고온의 2차 압축공기와 열 교환되는 제2 재생기(140)를 포함한다.The regenerator is installed in the primary
제1 재생기(130)는 1차 압축공기 배관(102)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1차 압축공기 배관(102) 중 제1 재생기(130)로 인입되는 인입측 배관(104)과 제1 재생기(130)를 통과하고 인출되는 인출측 배관(106) 사이는, 1차 압축공기가 제1 재생기(130)를 통과하지 않도록 바이패스 시키는 제1 바이패스 라인(142)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인입측 배관(104)과 인출측 배관(106)에는 유로를 전환시켜 제1 재생기(130)가 선택적으로 열 교환되도록 하는 제1 밸브군이 설치된다. 제1 밸브군은 인입측 배관(104)에 설치되는 제1 밸브(132), 인출측 배관(106)에 설치되는 제2 밸브(134) 및 제1 바이패스 라인(142)에 설치되는 제3 밸브(136)를 포함한다.The
제2 재생기(140)는 2차 압축공기 배관(202)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2차 압축공기 배관(202) 중 제2 재생기(140)로 인입되는 인입측 배관(204)과 제2 재생기(140)를 통과하고 인출되는 인출측 배관(206) 사이는, 2차 압축공기가 제2 재생기(140)를 통과하지 않도록 바이패스 시키는 제2 바이패스 라인(242)이 연결된다. 그리고 인입측 배관(204)과 인출측 배관(206)에는 유로를 전환시켜 제2 재생기(140)가 선택적으로 열 교환되도록 하는 제2 밸브군이 설치된다. 제2 밸브군은 인입측 배관(204)에 설치되는 제1 밸브(232), 인출측 배관(206)에 설치되는 제2 밸브(234) 및 제2 바이패스 라인(242)에 설치되는 제3 밸브(236)를 포함한다.The
위와 같이 구성되는 재생기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gener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냉난방장치가 온(ON) 되면, 냉난방장치에 설치되는 냉난방장치 온/오프 센서(186)가 그 신호를 컨트롤러(300)로 인가한다. 그러면, 컨트롤러(300)는 제1 밸브(132,232)와 제2 밸브(134,234)를 개방하고, 제3 밸브(136,236)를 닫아준다. 그러면, 고온의 1차 압축공기가 제1 재생기(130)를 통과하면서 제1 재생기(130)내에서 고농도 흡수제용액과 열 교환하고 인출측 배관(106)을 통해 제2 공기압축기(20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흐름 하에서, 계속해서 제2 공기압축기(200) 내에서 압축된 고온의 2차 압축공기가 제2 재생기(140)를 통과하면서 제2 재생기(140) 내에서 고농도 흡수제용액과 열 교환한다.When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n, the air conditioner on / off
이와 같이, 재생기는 1차 압축공기와 1차 열 교환하고, 2차 압축공기와 2차 열 교환함으로, 효율이 향상되어 냉난방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폐열을 이용함으로써 에너지가 절약된다.Thus, the regenerator is the first heat exchange with the primary compressed air, the second heat exchange with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ooling and heating system, and the energy is saved by using waste heat. .
반대로, 냉난방장치가 오프(OFF) 되면, 컨트롤러(300)는 제3 밸브(136,236)를 개방하고, 제1 밸브(132,232)와 제2 밸브(134,234)를 닫아준다. 그러면, 1차 압축공기는 제1 재생기(130)를 경유하지 않고 제1 바이패스 라인(142)을 통해 인출측 배관(106)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2차 압축공기 또한 제2 재생기(140)를 경유하지 않고 제2 바이패스 라인(242)을 통해 인출측 배관(206)으로 배출된다. 한편, 컨트롤러(300)는, 압축공기가 제1 재생기(130) 및 제2 재생기(140) 중 어느 하나 하고만 열 교환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1 재생기(130) 및 제2 재생기(140)는 도 3과 같이 하나의 재생기로 구비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ff, the
이와 같이, 제1 재생기(130) 및 제2 재생기(140)는 제1 공기압축기(100)와 제2 공기압축기(200)에서 압축된 고온 압축공기와 첫 번째로 열 교환하는 장치이다.As such, the
압축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온수 열 교환기는 재생기(130,140)의 후방에 배치되고, 재생기(130,14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압축공기와 열 교환한다. 이러한 온수 열 교환기(110,120)는 1차 압축공기 배관(102)에 설치되는 제1 열 교환기(110)와, 2차 압축공기 배관(202)에 설치되는 제2 열 교환기(120)를 포함한다.Based on the flow of compressed air, the hot water heat exchanger is disposed behind the
제1 열 교환기(110)는 1차 압축공기 배관(102)에 형성되어 있는 제3 바이패스 라인(108)에 설치된다. 제1 열 교환기(110)에는 물 유동관(172,178,174)이 연결되어 있다. 물 유동관(172,178,174)은 제3 바이패스 라인(108)을 유동하는 1차 압축공기로부터 열을 전달받는다.The
제2 열 교환기(120)는 2차 압축공기 배관(202)에 형성되어 있는 제4 바이패스 라인(208)에 설치된다. 제2 열 교환기(120)에는 물 유동관(172,178,174)이 연결되어 있다. 물 유동관(172,178,174)은 제4 바이패스 라인(208)을 유동하는 2차 압축공기로부터 열을 전달받는다.The
제1 열 교환기(110)에는 차가운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관(172)이 연결되고, 제2 열 교환기(120)에는 고온의 압축공기와 열 교환되어 가열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온수 배출관(174)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열 교환기(110)와 제2 열 교환기(120)는 연결관(178)으로 연결되어 제1 열 교환기(110)를 통과하면서 1차 열 교환된 물을 제2 열 교환기(120)로 유입시켜 2차 열 교환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물 유동관(172,178,174)은 제1 열 교환기(110)와 제2 열 교환기(120) 각각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물 공급관(172) 및 온수 배출관(174)은 제1 열 교환기(110)와 제2 열 교환기(120) 각각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The
온수 배출관(174)에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러(300)로 인가하는 온수 온도센서(182)가 설치된다. 그러나 온수 온도센서(182)는 생략될 수 있다. The hot
한편, 1차 압축공기 배관(102) 및 제3 바이패스 라인(108)에는 유로를 전환시켜 제1 열 교환기(110)가 선택적으로 열 교환되도록 하는 제3 밸브군(122,124,126)이 설치된다. 그리고 2차 압축공기 배관(202) 및 제4 바이패스 라인(208)에는 유로를 전환시켜 제2 열 교환기(120)가 선택적으로 열 교환되도록 하는 제4 밸브군(222,224,226)이 설치된다.Meanwhile,
제3 밸브군은 제3 바이패스 라인(108)의 입구 측에 설치되는 제1 밸브(122), 제3 바이패스 라인(108)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제2 밸브(124) 및 제3 바이패스 라인(108)의 입구 및 출구를 연결하는 1차 압축공기 배관(102)에 설치되는 제3 밸브(126)를 포함한다.The third valve group includes a
제4 밸브군은 제4 바이패스 라인(208)의 입구 측에 설치되는 제1 밸브(222), 제4 바이패스 라인(208)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제2 밸브(224) 및 제4 바이패스 라인(208)의 입구 및 출구를 연결하는 2차 압축공기 배관(202)에 설치되는 제3 밸브(226)를 포함한다. The fourth valve group includes a
위와 같은 밸브들은 컨트롤러(300)에서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밸브로써, 솔레노이드 타입, 스탭 모터 타입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above valves are valves operated according to an electric signal applied from the
위와 같이 구성되는 온수 열 교환기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heat exchang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온수 공급장치에 설치되는 온수 온/오프 센서(184)에서 온수 공급장치의 온/오프 여부와 온수 온도센서(182)로부터 온수 온도 신호가 컨트롤러(300)로 인가된다. 이에 따라, 온수 공급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온수 배출관(174)으로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컨트롤러(300)는 제1 밸브(122,222) 및 제2 밸브(124,224)를 열고 제3 밸브(126,226)를 닫아준다.In the hot water on / off
그러면, 고온의 1차 압축공기는 제3 바이패스 라인(108)을 통해 제1 열 교환기(110)로 공급되어 제1 열 교환기(110)를 통과하는 물과 열 교환되어 물을 1차 가열하고, 고온의 2차 압축공기는 제4 바이패스 라인(208)을 통해 제2 열 교환기(120)로 공급되어 제2 열 교환기(120)를 통과하는 물과 열 교환된다. 이에 따라, 물은 제1 열 교환기(110)에서 1차 가열되고, 제2 열 교환기(120)에서 2차 가열됨으로써, 온수의 온도를 높일 수 있고, 온수를 생성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high temperature primary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반대로, 온수 공급장치가 오프(OFF) 되거나 온수 배출관(174)으로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컨트롤러(300)는 제3 밸브(126,226)를 열고, 제1 밸브(122,222) 및 제2 밸브(124,224)를 닫아준다. 그러면, 고온의 1차 압축공기는 제3 바이패스 라인(108)을 통과하지 않고 바로 1차 압축공기 배관(102)을 통과하고, 고온의 2차 압축공기는 제4 바이패스 라인(208)을 통과하지 않고 바로 2차 압축공기 배관(202)을 통과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hot water supply is turned off or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ischarged to the hot
여기서, 컨트롤러(300)는, 압축공기가 제1 열 교환기(110)와 제2 열 교환기(120) 중 어느 하나 하고만 열 교환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열 교환기(110)와 제2 열 교환기(120)는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온수 열 교환기로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한편, 온수 열 교환기의 동작은, 온수 온도센서(182)와 상관없이 온수 온/오프 센서(184)에 의해서만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heat exchanger may be determined only by the hot water on / off
구동장치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장치이다. 이때, 구동장치로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압축공기는 구동장치로 공급되기 전에 냉각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냉각기가 구비된다.The driving device is a device that uses high pressure compressed air as a power source. At this time,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mpressed air supplied to the driving apparatus must be cooled before being supplied to the driving apparatus, and for this purpose, a cooler is provided.
냉각기(150,160)는 재생기(130, 140)와 온수 열 교환기(110, 120)가 작동되지 않거나 재생기(130, 140)와 온수 열 교환기(110, 120)를 통과하면서 열 교환된 압축공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을 경우 작동되어 최종적으로 구동장치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냉각기(150,160)는 제1 열 교환기(110)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1차 압축공기 배관(102)에 설치되어 1차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는 제1냉각기(150) 및 제2 열 교환기(120)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2차 압축공기 배관(202)에 설치되어 2차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는 제2 냉각기(160)를 포함한다.The
이때, 압축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제1 냉각기(150)의 전방에는 제1 온도센서(500)가 구비되어 제1 냉각기(150)로 유입되기 직전의 압축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컨트롤러(300)로 온도신호를 전달하여 제1 냉각기(150)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측정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제1 냉각기(150)를 통과하지 않게 한다. At this time, based on the flow of compressed air, the
또한, 제2 냉각기(160)의 전방에는 제2 온도센서(510)가 구비되어 제2 냉각기(160)로 유입되기 직전의 압축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컨트롤러(300)로 온도신호를 전달하여 제2 냉각기(160)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측정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제2 냉각기(160)를 통과하지 않게 한다. In addition, the
제1 열 교환기(110)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1차 압축공기 배관(102)에는 제5 바이패스 라인(117)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5 바이패스 라인(117) 상에 제1 냉각기(150)가 설치된다. 이때, 1차 압축공기 배관(102) 및 제5바이패스 라인(117)에는 제1 냉각기(150)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유로를 전환시키는 제5 밸브군이 설치된다.A
제5 밸브군은 제5 바이패스 라인(1117)의 입구 측에 설치되는 제1 밸브(112), 제5 바이패스 라인(117)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제2 밸브(114) 및 제5 바이패스 라인(106)의 입구와 출구를 연결하는 1차 압축공기 배관(102)에 설치되는 제3 밸브(116)를 포함한다.The fifth valve group includes a
또한, 제2 열 교환기(120)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2차 압축공기 배관(202)에는 제6 바이패스 라인(217)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6 바이패스 라인(217) 상에 제2 냉각기(160)가 설치된다. 이때, 2차 압축공기 배관(202) 및 제6 바이패스 라인(217)에는 제2 냉각기(160)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유로를 전환시키는 제6 밸브군이 설치된다.In addition, a
제6 밸브군은 제6 바이패스 라인(217)의 입구 측에 설치되는 제1 밸브(212), 제6 바이패스 라인(217)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제2 밸브(214) 및 제6 바이패스 라인(217)의 입구와 출구를 연결하는 2차 압축공기 배관(202)에 설치되는 제3 밸브(216)를 포함한다. The sixth valve group includes the
위의 밸브들은 전원이 공급되면 배관을 개폐하는 밸브로, 솔레노이드 타입, 스텝모터 타입 등 다양한 타입의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 valves are valves that open and close the pipe when power is supplied, and various types of valves, such as a solenoid type and a step motor type, may be appli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냉각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제1 온도센서(5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1차 압축공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컨트롤러(300)는 제1 밸브(112) 및 제2 밸브(114)를 닫고, 제3 밸브(116)를 개방한다. 그러면, 1차 압축공기는 제1 냉각기(150)를 거치지 않고 1차 압축공기 배관(102)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1차 압축공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컨트롤러(300)는 제3 밸브(116)를 닫고, 제1 밸브(112) 및 제2 밸브(114)를 개방한다. 그러면, 1차 압축공기는 제1 냉각기(1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다.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oler configured, firs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temperature by judging a signal applied from the
마찬가지로, 제2 온도센서(51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2차 압축공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컨트롤러(300)는 제1 밸브(212) 및 제2 밸브(214)를 닫고, 제3 밸브(216)를 개방한다. 그러면, 2차 압축공기는 제2 냉각기(160)를 거치지 않고 2차 압축공기 배관(202)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2차 압축공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컨트롤러(300)는 제3 밸브(216)를 닫고, 제1 밸브(212) 및 제2 밸브(214)를 개방한다. 그러면, 2차 압축공기는 제2 냉각기(16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2차 압축공기 배관(202)을 타고 구동장치로 공급된다. 이때, 구동장치로 공급되는 2차 압축공기의 온도를 보다 확실하게 제어하기 위해, 제2 냉각기(160) 후방의 2차 압축공기 배관(202)에는 최종적으로 구동장치로 공급되는 2차 압축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압축공기 온도센서(170)가 설치되고, 이러한 압축공기 온도센서(170) 또한 컨트롤러(300)와 온도신호를 교신하며 2차 압축공기의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압축공기 온도센서(170)는 장치 구성을 간소화시키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170) 자리에 온도뿐만 아니라 압축공기의 압력, 온도, 유량 등을 감지하여 컨트롤러(300)에 전달하는 센서와 경보기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압축공기가 흐르는 배관에 파손이 생겨 압축공기의 유량이 적어지거나, 압축공기가 설정된 온도나 압력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300)에 전달하고, 컨트롤러(300)는 진행 공정을 멈추고 경보기를 통해 알람을 울려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Similarly, if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temperature by determining the signal applied from the
한편, 컨트롤러(300)는 압축공기의 온도에 따라 제1 냉각기(150)와 제2 냉각기(160) 중 어느 하나로만 압축공기가 통과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와 동일하고, 다만, 재생기(190)가 하나로 구성되는 구조를 갖는다.3, the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에 대해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의 구성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와 비교하여, 제1 재생기(130) 및 제2 재생기(140) 전방의 1차 압축공기 배관(102) 및 2차 압축공기 배관(202)에 축열조(600)가 연결되어 있다.4, the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s 1 to 3, the
축열조(600)는 물 또는 수은 등의 열매체가 저장된 저장탱크로 형성될 수 있고, 공기압축기(100, 200)로부터 배출된 고온의 압축공기로부터 열을 공급받는다. 예를 들어, 축열조(600)는 공기압축기(100, 200)로부터 배출되는 대략 150℃ 이상의 압축공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대략 95℃ 전후의 온도에 해당하는 열을 저장하고, 이러한 열을 순환배관(107)을 통하여 재생기(130, 140)로 공급한다. 순환배관(107)의 내부에는 물 등의 유체가 유동하며, 축열조(600)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재생기(130, 140)로 공급한다. 열매체 순환배관(107)을 흐르는 유체는 축열조(600)에 저장되어 있는 열매체로부터 열을 전달받는다. 하지만, 축열조(600)와 연결되는 쪽의 열매체 순환배관(107)이 개방되어 순환배관(107)에 축열조(600)의 열매체가 직접 흐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한편, 축열조(600)와 연결되어 있는 1차 압축공기 배관(102) 중 1차 압축공기가 축열조(600)로 유입되는 유입배관(102a)과 1차 압축공기가 축열조(600)로부터 배출되는 배출배관(102b) 사이는, 1차 압축공기가 축열조(600)를 통과하지 않도록 바이패스 시키는 제7 바이패스 라인(650)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유입배관(102a) 및 배출배관(102b)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각각 외관 상 축열조(600)와 맞닿아 있는 1차 압축공기 배관(102)의 한 부분이 된다. 한편, 유입배관(102a)과 배출배관(102b)에는 유로를 전환시키는 제7 밸브군이 설치된다. 제7 밸브군은 유입배관(102a)에 설치되는 제1 밸브(611), 배출배관(102b)에 설치되는 제2 밸브(612) 및 제7 바이패스 라인(650)에 설치되는 제3 밸브(613)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let pipe (102a) and the primary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또한, 축열조(600)와 연결되어 있는 2차 압축공기 배관(202) 중 2차 압축공기가 축열조(600)로 유입되는 유입배관(202a)과 2차 압축공기가 축열조(600)로부터 배출되는 배출배관(202b) 사이는, 2차 압축공기가 축열조(600)를 통과하지 않도록 바이패스 시키는 제8 바이패스 라인(660)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유입배관(202a)과 배출배관(202b)에는 유로를 전환시키는 제8 밸브군이 설치된다. 제8 밸브군은 유입배관(202a)에 설치되는 제1 밸브(614), 배출배관(202b)에 설치되는 제2 밸브(615) 및 제8 바이패스 라인(660)에 설치되는 제3 밸브(616)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위와 같이 구성되는 축열조(600)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냉난방장치가 온(ON) 되면, 냉난방장치에 설치되는 냉난방장치 온/오프 센서(186)가 그 신호를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로 인가한다. 그러면, 컨트롤러는 제1 밸브(611, 614)와 제2 밸브(612, 615)를 개방하고, 제3 밸브(613, 616)를 닫아준다. 그러면, 고온의 1차 압축공기가 축열조(600)를 통과하여 축열조(600)에 열을 공급한다. 그리고 축열조(600)는 순환배관(107)을 흐르는 유체에 열을 공급하고, 열을 공급받은 유체는 제1 재생기(130)를 통과하며 제1 재생기(130)의 고농도 흡수제용액과 열 교환한다. 축열조(600)를 통과하여 배출된 1차 압축공기는 제1 열 교환기(110), 제1 냉각기(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도 거치지 않고 직접 제2 공기압축기(200)로 유입될 수 있다.When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n, the air conditioner on / off
또한, 제2 공기압축기(200)로부터 배출되는 2차 압축공기는 2차 압축공기 배관(202)을 따라 축열조(600)를 통과하여 축열조(600)에 열을 공급한다. 그리고 축열조(600)는 순환배관(107)을 흐르는 유체에 열을 공급하고, 열을 공급받은 유체는 제2 재생기(140)를 통과하며 제2 재생기(140)의 고농도 흡수제용액과 열 교환한다. 축열조(60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2차 압축공기는 제2 열 교환기(120), 제2 냉각기(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도 거치지 않고 바로 구동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반대로, 냉난방장치가 오프(OFF) 되면, 컨트롤러는 제3 밸브(613, 616)를 개방하고, 제1 밸브(611, 614)와 제2 밸브(612, 615)를 닫아준다. 그러면, 1차 압축공기는 축열조(600)로 공급되지 않고 제7 바이패스 라인(650)을 통해 배출배관(102b) 측의 1차 압축공기 배관(102)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2차 압축공기 또한 축열조(600)로 공급되지 않고 제8 바이패스 라인(660)을 통해 배출배관(202b) 측의 2차 압축공기 배관(202)으로 배출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ff, the controller opens the
축열조(600)에는 압축공기의 열을 보조하는 보조열원으로 가열수단(6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수단(630)은 현장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스팀히터 혹은 가스버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수단(630) 또한 컨트롤러(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가열수단(630)과 같은 보조 열원이 있음으로 인하여, 축열조(600)의 열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Due to the presence of an auxiliary heat source such as the heating means 630, the heat quantity of the
한편, 제1 재생기(130) 및 제2 재생기(140)는 도 3과 같이 하나의 재생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의 다른 구성도로, 축열조가 제1 재생기(130) 및 제2 재생기(140) 각각에 대응되도록 따로 설치되는 것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도 4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즉, 축열조는 제1 축열조(610) 및 제2 축열조(620)로 구분된다. 그리고 제1 축열조(610) 및 제2 축열조(620) 각각에는 보조열원인 가열수단(630)이 설치된다. 또한, 제1 축열조(610) 및 제2 축열조(620) 각각에는 1차 압축공기 및 2차 압축공기를 바이패스 시키는 제7 바이패스 라인(650) 및 제8 바이패스 라인(660)이 설치되고, 이들 주변의 유입배관(102a, 202a) 및 배출배관(102b, 202b)에는 유로를 전화시키는 제7 밸브군(611, 612, 613) 및 제8 밸브군(614, 615, 616)이 각각 설치된다.5 i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heat storage tank is installed separately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본 실시예에도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4 may also be applied to this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난방장치에 대해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bsorption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기를 구비한 흡수식 냉난방장치의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n absorption type heating and cooling device having a re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을 이용한 흡수식 냉난방장치(40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제1 재생기(130) 및 제2 재생기(140)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1차 압축공기 배관(102) 및 2차 압축공기 배관(202)을 통과하는 고온의 압축공기로부터 공급된 열은 제1 재생기(130) 및 제2 재생기(140) 내측에 저장되어 있는 고농도 흡수제용액(C)을 가열 비등시켜 냉매만을 증발 분리하므로, 공급된 열 에너지는 고농도 흡수제용액(C)으로부터 냉매 증기와 저농도 흡수제용액(A)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냉매 증기와 저농도 흡수제용액(A)은 재생기(130,140)에 연결되어 있는 응축기(410), 증발기(420) 및 흡수기(430)의 작동에 사용됨으로써, 공기압축기 폐열을 이용한 흡수식 냉난방장치(400)에 의한 흡수식 냉동 사이클이 완성된다. 즉, 이러한 흡수식 냉난방장치(400)는 공기압축기(100,200)에서 발생되어 폐기되는 열에너지를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압축공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난방 가동, 냉방 가동, 온수 및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한편, 재생기(130, 140)에 공급되는 열은 도 4 및 도 5의 순환배관(107)에 의해 공급될 수도 있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absorption type air-conditioning and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을 이용한 흡수식 냉난방장치(400)에 의한 냉방 모드의 작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6, it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mode by the absorption type heating and
재생기(130,140)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1차 압축공기 배관(102) 및 2차 압축공기 배관(202)을 통과하는 고온의 압축공기로부터 흡수된 열에너지는 고농도 흡수제용액(C)을 가열 비등시켜 냉매를 증발 분리하고, 고농도 흡수제용액(C)으로부터 냉매 증기와 저농도 흡수제용액(A)을 생성한다. 이어서, 냉매 증기는 응축기(410)에 공급되고, 응축기(410)는 상기 냉매 증기를 냉각하여 냉매액(B)을 생성한다. 이때, 냉매액(B)은 증발기(420)로 공급되고, 공급된 냉매액(B)은 증발기(420)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냉매 배관(440) 상에 살포되며, 냉매액(B)은 증발되어 냉매 증기로 변환된다. 그리고 재생기(130,140)에서 생성된 저농도 흡수제용액(A)은 흡수기(430)에 공급되고, 흡수기(430)는 공급받은 저농도 흡수제용액(A)에 증발기(42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냉매 증기를 흡수시켜 저온의 고농도 흡수제용액(C)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고농도 흡수제용액(C)은 재생기(130,140)에 공급되어 반복 순환됨으로써, 공기압축기 폐열을 이용한 흡수식 냉난방장치(400)에 의한 흡수식 냉동 사이클이 완성된다.The heat energy absorbed from the high-pressure compressed air passing through the primary
특히, 실내기(450)에 연결되어 있는 송풍 팬(도시하지 않음)의 작동에 의하여 공기압축기 폐열을 이용한 흡수식 냉난방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로, 냉기가 공급됨으로써, 실내에서의 냉방이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by the operation of a blower fan (not shown) connected to the
다음으로, 흡수식 냉난방장치(400)에 의한 난방 모드의 작동과정을 살펴본다.Next,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ode by the absorption type air conditioning unit (400).
흡수식 냉방장치(400)의 난방 모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기(130,140)는 1차 압축공기 배관(102) 내측을 통과하는 고온의 압축공기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고농도 흡수제용액(C)을 가열 비등시켜 냉매를 증발 분리하고, 고농도 흡수제용액(C)으로부터 냉매 증기와 저농도 흡수제용액(A)을 생성한다. 이때, 냉매 증기는 배관(442)을 통하여 증발기(420)에 공급되고, 증발기(420)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냉매 배관(440) 내측을 통과하는 냉매와 열 교환한다. 따라서, 냉매 배관(440)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실내기(450) 내측을 흐르는 냉매는 난방 열원이 되므로, 실내기(450)에 연결되어 있는 송풍 팬(미도시)의 작동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축기 폐열을 이용한 흡수식 냉난방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로, 따뜻한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난방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7, the heating mode of the absorp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00: 제1 공기압축기 102: 1차 압축공기 배관
110: 제1 열 교환기 120: 제2 열 교환기
130: 제1 재생기 140: 제2 재생기
150: 제1 냉각기 160: 제2 냉각기
200: 제2 공기압축기 202: 2차 압축공기 배관
500: 제1 온도센서 510: 제2 온도센서
600: 축열조 630: 가열수단
142: 제1 바이패스 라인 242: 제2 바이패스 라인
108: 제3 바이패스 라인 208: 제4 바이패스 라인
117: 제5 바이패스 라인 217: 제6 바이패스 라인100: first air compressor 102: primary compressed air piping
110: first heat exchanger 120: second heat exchanger
130: first player 140: second player
150: first cooler 160: second cooler
200: second air compressor 202: secondary compressed air piping
500: first temperature sensor 510: second temperature sensor
600: heat storage tank 630: heating means
142: first bypass line 242: second bypass line
108: third bypass line 208: fourth bypass line
117: fifth bypass line 217: sixth bypass line
Claims (16)
상기 제1 공기압축기에 연결되어 있고 고온의 1차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1차 압축공기 배관,
상기 제1 압축공기 배관과 연결되어 있는 제2 공기압축기,
상기 제2 공기압축기에 연결되어 있고 고온의 2차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2차 압축공기 배관, 그리고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재생기
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에는 상기 1차 압축공기가 상기 재생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2 공기압축기로 바이패스시키는 제1 바이패스 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에는 상기 2차 압축공기가 상기 재생기를 통과하지 않도록 바이패스시키는 제2 바이패스 라인이 연결되어 있는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First air compressor,
A primary compressed air pipe connected to the first air compressor and discharging high temperature primary compressed air,
A second air compressor connected to the first compressed air pipe;
A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compressor and discharging high temperature secondary compressed air, and
A regenerator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Including;
The first compressed air pipe is connected to a first bypass line for bypassing the primary compressed air to the second air compresso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regenerator,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A second bypass line connected to bypass the regenerator,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device.
상기 재생기는,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1차 압축공기와 열 교환되는 제1 재생기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2차 압축공기와 열 교환되는 제2 재생기를 포함하는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In claim 1,
The regenerator includes a first regenerator installed in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heat exchanged with the primary compressed air, and a second regenerator installed in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and heat exchanged with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device.
상기 제1 바이패스 라인 및 상기 제2 바이패스 라인 각각에는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In claim 2,
And each of the first bypass line and the second bypass line is provided with a valve controlled according to a signal from a controller.
상기 제1 공기압축기에 연결되어 있고 고온의 1차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1차 압축공기 배관,
상기 제1 압축공기 배관과 연결되어 있는 제2 공기압축기,
상기 제2 공기압축기에 연결되어 있고 고온의 2차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2차 압축공기 배관, 그리고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 각각에 연결된 제3 및 제4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1차 압축공기와 상기 2차 압축공기와 열 교환되는 온수 열 교환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수 열 교환기는 상기 제3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된 제1 열 교환기와 상기 제4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된 제2 열 교환기를 가지는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First air compressor,
A primary compressed air pipe connected to the first air compressor and discharging high temperature primary compressed air,
A second air compressor connected to the first compressed air pipe;
A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compressor and discharging high temperature secondary compressed air, and
Hot water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third and fourth bypass lines connected to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respectively, and heat exchanged with the primary compressed air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More,
The hot water heat exchanger has a first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third bypass line and a second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fourth bypass line.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device.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재생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열 교환기는 상기 1차 압축공기의 이동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재생기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In claim 4,
And a regenerator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is installed in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disposed behind the regenerator ba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상기 제1 열 교환기에는 물 공급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열 교환기에는 온수 배출관이 연결되며, 상기 제1 열 교환기와 상기 제2 열 교환기는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있는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In claim 4,
A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r, a hot water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are connected to a connection pipe.
상기 온수 배출관에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를 신호화하여 컨트롤러로 인가하는 온수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In claim 7,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is an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device that is installed in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and signaling the detected temperature to the controller.
상기 제3 바이패스 라인 및 상기 제4 바이패스 라인 각각에는 상기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밸브가 설치되는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Each of the third bypass line and the fourth bypass line is provided with a valve controlled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상기 제1 공기압축기에 연결되어 있고 고온의 1차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1차 압축공기 배관,
상기 제1 압축공기 배관과 연결되어 있는 제2 공기압축기,
상기 제2 공기압축기에 연결되어 있고 고온의 2차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2차 압축공기 배관,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냉난방장치의 재생기,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 각각에 연결된 제5 바이패스 라인 및 제6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1차 압축공기와 상기 2차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는 제1 및 제2 냉각기, 그리고
상기 제5 바이패스 라인 및 상기 제6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어 있고,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복수의 밸브
를 포함하는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First air compressor,
A primary compressed air pipe connected to the first air compressor and discharging high temperature primary compressed air,
A second air compressor connected to the first compressed air pipe;
A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compressor and discharging high temperature secondary compressed air;
A regenerator for a cooling and heating devic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First and second coolers installed in a fifth bypass line and a sixth bypass lin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to cool the primary compressed air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 And
A plurality of valves provided in the fifth bypass line and the sixth bypass line and controlled according to a signal of a controller;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comprising a.
상기 1차 압축공기의 이동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냉각기 전방에 배치된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에는 상기 1차 압축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를 신호화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인가하는 제1 온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2차 압축공기의 이동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냉각기 전방에 배치된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에는 상기 2차 압축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를 신호화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인가하는 제2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 In claim 11,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cooler ba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signals the detected temperature, and applie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1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The second compressed air pipe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cooler ba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and signals the detected temperature to apply to the controller. 2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device.
상기 제1 공기압축기에 연결되어 있고 고온의 1차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1차 압축공기 배관,
상기 제1 압축공기 배관과 연결되어 있는 제2 공기압축기,
상기 제2 공기압축기에 연결되어 있고 고온의 2차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2차 압축공기 배관,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1차 압축공기 또는 상기 2차 압축공기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축열조, 그리고
상기 축열조와 연결되어 있는 재생기,
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기는 상기 축열조에 저장된 열을 공급받는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First air compressor,
A primary compressed air pipe connected to the first air compressor and discharging high temperature primary compressed air,
A second air compressor connected to the first compressed air pipe;
A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compressor and discharging high temperature secondary compressed air;
A heat storage tank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and receiving heat from the primary compressed air or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and
A regenerator connected to the heat storage tank,
Including;
The regenerator receives the heat stored in the heat storage tank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device.
상기 축열조는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 및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1차 압축공기 배관에는 상기 1차 압축공기가 상기 축열조로 유입되지 않도록 바이패스시키는 제7 바이패스 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2차 압축공기 배관에는 상기 2차 압축공기가 상기 축열조로 유입되지 않도록 바이패스시키는 제8 바이패스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In claim 13,
The heat storage tank is connected to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A seventh bypass line is formed in the primary compressed air pipe to bypass the primary compressed air into the heat storage tank, and the secondary compressed air pipe is not introduced into the heat storage tank. The eighth bypass line is formed to bypass the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device.
상기 축열조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축열조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In claim 13,
And a heating means connected to the heat storage tank and supplying heat to the heat storage tank.
상기 재생기와 연결되어 있는 응축기, 증발기 및 흡수기
를 포함하는 냉난방 장치.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as defined in claim 1, 11 or 13,
Condenser, evaporator and absorber connected to the regenerator
Heating and cooling device comprising 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09046 | 2009-02-04 | ||
KR1020090009046 | 2009-02-04 | ||
KR1020090124154 | 2009-12-14 | ||
KR1020090124154A KR20100089741A (en) | 2009-02-04 | 2009-12-14 | Apparatus for feusing waste heat of air compress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9797A KR20100089797A (en) | 2010-08-12 |
KR100991843B1 true KR100991843B1 (en) | 2010-11-04 |
Family
ID=427555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4154A KR20100089741A (en) | 2009-02-04 | 2009-12-14 | Apparatus for feusing waste heat of air compressor |
KR1020100010439A KR100991843B1 (en) | 2009-02-04 | 2010-02-04 |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Devic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4154A KR20100089741A (en) | 2009-02-04 | 2009-12-14 | Apparatus for feusing waste heat of air compress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100089741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0108Y1 (en) | 2015-06-24 | 2016-04-12 | 윤재호 | Heating using a compressor waste heat |
CN110926053A (en) * | 2019-11-29 | 2020-03-27 | 四川大学 | A lithium bromide absorption refrigeration cycle system based on AGMD |
KR102276103B1 (en) | 2021-03-08 | 2021-07-12 | 한국에어로(주) | An air-compressor system that is having a filter cleaning and heating func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62015A (en) * | 2011-10-18 | 2013-04-24 | 林晖凡 | Air compressor air leaving warm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81193A (en) * | 1998-03-27 | 1999-10-15 | Sanyo Electric Co Ltd | Air conditioner |
-
2009
- 2009-12-14 KR KR1020090124154A patent/KR20100089741A/en unknown
-
2010
- 2010-02-04 KR KR1020100010439A patent/KR10099184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81193A (en) * | 1998-03-27 | 1999-10-15 | Sanyo Electric Co Ltd | Air conditione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0108Y1 (en) | 2015-06-24 | 2016-04-12 | 윤재호 | Heating using a compressor waste heat |
CN110926053A (en) * | 2019-11-29 | 2020-03-27 | 四川大学 | A lithium bromide absorption refrigeration cycle system based on AGMD |
CN110926053B (en) * | 2019-11-29 | 2021-07-23 | 四川大学 | A lithium bromide absorption refrigeration cycle system based on AGMD |
KR102276103B1 (en) | 2021-03-08 | 2021-07-12 | 한국에어로(주) | An air-compressor system that is having a filter cleaning and heating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9741A (en) | 2010-08-12 |
KR20100089797A (en) | 2010-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113852B (en) | Co-generation unit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KR101155496B1 (en) | Heat pump type speed heating apparatus | |
KR102136881B1 (en) |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 |
KR100903765B1 (en) | Central cooling and heating supply system using solar heat and shrinkage heat pump | |
CN104896785A (en) | Enhanced vapor injection multi-onlin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6338112A (en) | Air conditioner heat recovery system | |
CN107965853B (en) | Outdoor unit of three-pipe multi-split air conditio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 |
JP2011094814A (en) | Refrigerating cycle device and refrigerant compressing method | |
CN108691813A (en) | A kind of self-loopa waste heat recovery system of air compressor | |
KR100991843B1 (en) | Air Compressor Waste Heat Recovery Device | |
KR101321549B1 (en) | Heat pump | |
CN214250050U (en) | Heat recovery air conditioning system | |
CN117199628A (en) | Heat pump type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 |
CN206291546U (en) | The water-cooling device of temperature control is carried out using magnetic valve bypass waterway | |
CN205939465U (en) | Multi -split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1214209B1 (en) | Heating system using condensation heat | |
CN203869367U (en) | Floor heating system, water heater and air conditioner three-in-one unit | |
WO2022183306A1 (en) | Easy-to-press multi-purpose cooling/heating machine | |
KR101157548B1 (en) | Heating and cooling apparatus using waste heat | |
CN201463403U (en) | Thermostatic industrial chiller | |
KR100849613B1 (en) | High efficiency heat pump type air conditioner with hot water supply and floor heating | |
CN1945147B (en) | Heat pump cold and warm, hot water machine unit of air source | |
CN216384419U (en) | Four-pipe air-cooled cold and hot water unit | |
CN108105953B (en) | A kind of air-conditioner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
CN113623790A (en) | Air conditioner waste heat recovery and high-temperature heat pump steam mak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2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