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806B1 -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806B1
KR100991806B1 KR1020080128022A KR20080128022A KR100991806B1 KR 100991806 B1 KR100991806 B1 KR 100991806B1 KR 1020080128022 A KR1020080128022 A KR 1020080128022A KR 20080128022 A KR20080128022 A KR 20080128022A KR 100991806 B1 KR100991806 B1 KR 100991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cheduling
information
diversity
am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9359A (ko
Inventor
곽도영
장용업
우상규
이용훈
김철순
김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12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80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에서 밴드 AMC(Adaptive Modulation Coding) 모드로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여, 만족하면 밴드 AMC 모드 정보 및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며, 기지국에서 단말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확인하여,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이면 다이버시티 모드로 스케줄링하고, 밴드 AMC 모드 정보 및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이면 각 모드에서의 전송 데이터량을 산출한 후 큰 값을 가지는 모드로 스케줄링하기 위한 기지국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이면 다이버시티 모드로 스케줄링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밴드 AMC 모드 정보 및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이면 각 모드에서의 전송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전송 데이터량 산출단계; 및 상기 산출한 두 데이터량을 비교하여 큰 값을 가지는 모드로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휴대 인터넷, 밴드 AMC 모드, 다이버시티 모드, 최대 전송 데이터량, 스케줄링

Description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METHOD FOR SCHEDULING ADAPTATION MODE IN PORTABLE INTERNET SYSTEM}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에서 밴드 AMC(Adaptive Modulation Coding) 모드로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여, 만족하면 밴드 AMC 모드 정보 및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며, 기지국에서 단말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확인하여,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이면 다이버시티 모드로 스케줄링하고, 밴드 AMC 모드 정보 및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이면 각 모드에서의 전송 데이터량을 산출한 후 큰 값을 가지는 모드로 스케줄링하기 위한 기지국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인터넷(WiBro) 시스템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이동통신 기반 무선 인터넷의 중간에 위치하여, 무선랜보다 전송속도는 느리지만 이동 성을 보장해 주고, 이동통신 기반 무선 인터넷처럼 고속의 이동성은 보장해 주지 못하지만 고속의 전송속도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무선 데이터 시스템이다.
즉, 휴대형 무선단말기를 이용해 정지 및 보행 또는 시속 60㎞로 이동하는 상태에서도 고속 전송속도로 인터넷에 접속, 다양한 정보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IEEE 802.16d/e 표준을 기반으로 기지국에 연결된 모든 사용자가 채널을 공유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사용자별 서비스의 특징에 따라 서로 다른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채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채널을 상향 채널과 하향 채널로 나누고, 매 상향 및 하향 프레임마다 각 사용자별로 채널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기지국이 상향 및 하향 접속정보를 정의한 TLV(Type, Length, Value)를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UCD(Uplink Channel Descriptor) 메시지에 포함시켜 주기적으로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또한,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프레임은 다운 링크(Downlink) 서브 프레임과 업 링크(Uplink)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이때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은 프리엠블, 맵, 및 DL(DownLink) 버스트로 구성되고,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은 밴드 AMC(Adaptive Modulation Coding) 부채널과 일반 부채널로 구성된다.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단말로 채널측정정보채널(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이하 “CQICH”)을 할당하고, 단말은 자신의 채널 상태를 CQICH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CQICH는 채널측정정보의 보고를 위해 단말로 할당된 채널을 의미하며, 단말이 액티브 셋(Active Set)에 포함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순방향 파일럿 채널의 수신 품질을 측정 및 비교한 후, 그 결과를 피드백하기 위해 사용하는 역방향 채널이다.
즉, 단말은 자신의 채널품질정보(CQI)를 측정하여 CQICH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는데, 이때 채널정보는 6비트이므로 총 64개의 부호어를 사용한다. 이 중에서 32개의 부호어는 채널의 신호대간섭잡음비(Carrier to Interference Noise Ratio, 이하 CINR 이라 함)를 기지국에 보고하기 위해 사용되고, 기타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25개의 부호어를 제외하고, 나머지 7개의 부호어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
한편, 종래의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단말은 'Band AMC Allocation Timer' 프레임 동안에 각 밴드의 CINR에 대한 표준편차 중 최대값이 'Band AMC Allocation Threshold'보다 낮은 경우(즉, 단말이 낮은 속도로 움직이는 경우), 또는 전체 밴드의 평균 CINR이 'Band AMC Entry Average CINR'보다 큰 경우(즉, 평균 CINR이 높은 경우), 'band AMC' 모드로 트리거(trigger)하기 위해 전체 24개의 밴드 중에서 CINR이 가장 높은 5개 밴드의 CINR을 기지국으로 보고(reporting)한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단말의 수가 적을 경우, 각 단말로부터 24개의 밴드 모두에 대한 CINR 정보를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CINR 정보를 피드백받지 못한 밴드를 이용할 수 없어, 결국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에서 밴드 AMC(Adaptive Modulation Coding) 모드로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여, 만족하면 밴드 AMC 모드 정보 및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며, 기지국에서 단말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확인하여,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이면 다이버시티 모드로 스케줄링하고, 밴드 AMC 모드 정보 및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이면 각 모드에서의 전송 데이터량을 산출한 후 큰 값을 가지는 모드로 스케줄링하기 위한, 기지국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기지국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이면 다이버시티 모드로 스케줄링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밴드 AMC 모드 정보 및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이면 각 모드에서의 전송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전송 데이터량 산출단계; 및 상기 산출한 두 데이터량을 비교하여 큰 값을 가지는 모드로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옥내용 기지국과 옥외용 기지국을 포함하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의 용량 증대를 위한 변형된 CQI 피드백 방안 및 적응 모드(Band AMC 모드 / diversity 모드) 선택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Band AMC' 모드 또는 다이버시티 모드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전송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피드백 방안을 개선하고, 또한 제안하는 피드백 방안에 따른 적응 모드 스케줄링을 통하여 전체 밴드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용량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Band AMC CQI' 피드백 방안에서 사용자 수가 적을 경우 전체 밴드의 CINR 정보 부재로 인한 용량 저하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변형된 피드백 방안(best 4 AMC CQI + diversity CQI)을 제안하고, 기지국에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모드를 선택하는 스케줄링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의 수가 적은 가정용 기지국 및 단말 환경에서 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피드백 데이터량과 동일하므로 현재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하여 복잡도 증가 및 추가적인 자원의 낭비 없이 용량을 크게 늘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단말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확인하여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이면 다이버시티 모드로 스케줄링하고, 밴드 AMC 모드 정보 및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이면 각 모드에서의 전송 데이터량을 산출한 후 큰 값을 가지는 모드로 스케줄링함으로써, 복잡도 증가 및 추가적인 자원의 낭비 없이 용량을 크게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 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일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은 'Band AMC(Adaptive Modulation Coding) Allocation Timer' 프레임 동안에 각 밴드의 CINR에 대한 표준편차 중 최대값이 'Band AMC Allocation Threshold'보다 낮은 경우, 또는 전체 밴드의 평균 CINR이 'Band AMC Entry Average CINR'보다 큰 경우, AMC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므로 'Band AMC'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기지국(10)에서 필요한 정보를 피드백한다.
즉, 단말(20)은 기지국(10)이 'Band AMC' 모드로 스케줄링하는데 필요한 전체 24개의 밴드 중에서 CINR이 가장 큰 4개 밴드의 CINR(best 4 AMC CQI)과, 기지국(10)이 다이버시티(diversity) 모드로 스케줄링하는데 필요한 전체 밴드의 평균 CINR(diversity CQI)을 피드백한다.
반대로, 단말(20)의 채널 상황이 'Band AMC Allocation Timer' 프레임 동안에 각 밴드의 CINR에 대한 표준편차 중 최대값이 'Band AMC Allocation Threshold'보다 큰 경우, 또는 전체 밴드의 평균 CINR이 'Band AMC Entry Average CINR'보다 낮은 경우, AMC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다이버시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기지국(10)에서 필요한 정보를 피드백한다.
즉, 단말(20)은 기지국(10)이 다이버시티 모드로 스케줄링하는데 필요한 전체 밴드의 평균 CINR(diversity CQI)을 피드백한다.
결국, 단말(20)이 'Band AMC'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종래에는 전체 24개의 밴드 중에서 CINR이 가장 큰 5개 밴드의 CINR을 피드백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Band AMC' 모드로 스케줄링하는데 필요한 전체 24개의 밴드 중에서 CINR이 가장 큰 4개 밴드에 대한 CINR 값과, 다이버시티 모드로 스케줄링하는데 필요한 전체 밴드의 평균 CINR 값을 피드백한다.
이때, 종래의 'Band AMC' 모드의 피드백 데이터량과 본 발명의 'Band AMC' 모드의 피드백 데이터량이 동일하다.
또한, 단말(20)이 다이버시티 모드로 동작할 경우, 종래의 다이버시티 모드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피드백 데이터량 또한 동일하다.
한편, 기지국(10)은 단말(20)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확인하여, 'diversity CQI'이면 다이버시티 모드로 스케줄링한다.
반면, 피드백 정보가 "best 4 AMC CQI + diversity CQI"이면, 'diversity CQI'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에러율(target error rate)을 만족하면서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CDIV)을 산출한다.
그리고 'Best 4 AMC CQI'를 이용하여 'Band AMC'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 우 에러율(target error rate)을 만족하면서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CAMC)을 산출한다.
이후, 상기 산출한 두 데이터량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CDIV > CAMC이면 다이버시티 모드로 스케줄링하고, CDIV < CAMC이면 'Band AMC' 모드로 스케줄링한다.
이때, 기지국(10)은 스케줄링 정책에 따라 CDIV 와 CAMC를 다양한 방식으로 산출할 수 있는데, 일예로 기지국(10)이 CQI에 따른 용량이 가장 높은 단말을 서비스하는 맥스 스케줄러를 사용할 경우, 하기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해 CDIV 와 CAMC를 구한다.
Figure 112008086477419-pat00001
Figure 112008086477419-pat00002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 N은 전체 밴드의 수, K는 단말의 수를 의미한다.
또한, CDIV,n,k는 n번째 밴드에서 피드백된 k번째 단말의 CQI에 따라 다이버시티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에러율(target error rate)을 만족하면서 최대로 보낼 수 있는 데이터량을 의미하고, Ωn은 n번째 밴드에서 'Band AMC' 피드백 모드로 동작한 단말의 집합을 의미한다.
또한, CAMC,n,k는 n번째 밴드에서 피드백된 k번째 단말의 CQI에 따라 'Band AMC'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에러율(target error rate)을 만족하면서 최대로 보낼 수 있는 데이터량을 의미한다.
결국, 상기 [수학식 1]에서 다이버시티 모드 스케줄링의 경우, 단말(20)이 모든 밴드의 평균 CINR을 피드백하므로 단말의 수(K)에 상관없이 모든 밴드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수학식 2]에서 'Band AMC' 모드 스케줄링의 경우, 단말(20)이 모든 밴드의 AMC CQI 정보를 피드백하지 않고, 각 단말은 4개의 밴드에 한해서 CQI 피드백하므로, n번째 밴드는 Ωn에 속해 있는 단말 중 하나를 서비스한다.
이때, Ωn에 속해 있는 단말이 없는 경우, 즉 n번째 밴드의 CQI를 피드백한 단말이 없는 경우, CQI가 피드백되지 않은 밴드를 활용하지 못하므로 n번째 밴드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날 확률은 단말의 수(K)가 적을 경우 높아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적응 모드 스케줄링 기법을 이용할 경우, "best 4 AMC CQI + diversity CQI" 피드백를 이용하여 CDIV와 CAMC의 합용량 기반의 모드 선택 및 스케줄링을 하기 때문에, 'Band AMC' 방안 대비 단말의 수(K)가 적은 경우 높은 데이터량의 이득을 보인다.
다시 말해서, 단말의 수(K)가 적은 환경에서 'Band AMC'로 트리거된 단말(20)의 경우, 실제 'Band AMC' 모드 스케줄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보다 다이버시티 모드 스케줄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이 더 많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다이버시티 모드로 스케줄링하고, 단말의 수가 많은 환경에서는 'Band AMC' 모드로 스케줄링한다.
다른 예로, 기지국(10)이 CQI를 피드백하는 모든 단말(20)에게 동일한 양의 자원(시간)을 할당하는 라운드 로빈 스케줄러를 사용할 경우, CDIV 와 CAMC은 하기의 [수학식 3] 및 [수학식 4]를 통해 구한다.
Figure 112008086477419-pat00003
Figure 112008086477419-pat00004
여기서, |Ωn|는 집합 Ωn의 원소 개수로서, n번째 밴드에 'AMC CQI'를 피드백하는 단말의 수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밴드 AMC(Adaptive Modulation Coding) 모드로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201).
여기서, 밴드 AMC 모드로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Band AMC Allocation Timer' 프레임 동안에 각 밴드의 CINR에 대한 표준편차 중 최대값이 'Band AMC Allocation Threshold'보다 낮은 경우, 또는 전체 밴드의 평균 CINR이 'Band AMC Entry Average CINR'보다 큰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확인 결과(201), 만족하면 밴드 AMC 모드 정보 및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를 기지국(10)으로 피드백한다(202). 이때, 종래의 'Band AMC' 모드의 피드백 데이터량과 본 발명의 'Band AMC' 모드의 피드백 데이터량이 동일하다.
상기 확인 결과(201), 만족하지 않으면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를 기지국(10)으로 피드백한다(203).
여기서, 밴드 AMC 모드 정보는 밴드 AMC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기지국(10)으로 피드백하는 정보로서, 전체 24개의 밴드 중에서 신호대간섭잡음비가 가장 큰 4개 밴드의 신호대간섭잡음비를 의미하고,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는 다이버시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기지국(10)으로 피드백하는 정보로서, 전체 24개 밴드의 평균 신 호대잡음비를 의미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20)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확인한다(301).
상기 확인 결과(301),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이면 다이버시티 모드로 스케줄링한다(302).
상기 확인 결과(301), 밴드 AMC 모드 정보 및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이면 각 모드에서의 전송 데이터량을 산출한다(303).
즉,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에러율(target error rate)을 만족하면서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CDIV)을 산출한다.
또한, 밴드 AMC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밴드 AMC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에러율(target error rate)을 만족하면서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CAMC)을 산출한다.
이후, 상기 산출한 두 데이터량을 비교하여 큰 값을 가지는 모드로 스케줄링한다(304).
즉, CDIV > CAMC이면 다이버시티 모드로 스케줄링하고, CDIV < CAMC이면 'Band AMC' 모드로 스케줄링한다. 이때, 같은 값이 나올 확률은 대단히 희박하지만 만약 그렇다면 사용자가 기 설정한 모드로 스케줄링하거나 임의로 모드를 선택하여 스케줄링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의 성능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일예시도로서, 와이브로 규격(IEEE 802.16e) 하에서 기지국이 맥스 스케줄러를 사용한 경우의 성능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먼저, 2개의 송신 안테나 및 2개의 수신 안테나를 가지는 기지국 및 단말을 가정하였고, 이때 기지국은 시공간 블록 부호를 사용한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평균 신호대잡음비는 동일하고, 채널은 'ITU-R indoor B' 채널을 사용하며, 전체 밴드의 개수(N)는 24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하에 본 발명에 따른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Proposed scheme)과 종래의 다이버시티 모드 스케줄링 방법(Conventional diversity) 및 'Band AMC' 모드 스케줄링 방법(Conventional AMC)을 비교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 및 제안한 방법 모두가 단말의 개수(K)가 증가함에 따라 다중사용자이득(Multiuser diversity)으로 인하여 용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종래의 'Band AMC' 모드는 24개의 밴드 중 5개의 밴드에 대한 CQI를 피드백하므로 19개의 밴드는 사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Band AMC 모드로 트리거되더라도 실제 용량을 최대화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다이버시티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한편, 셀 안에 하나의 단말만 있고, 단말의 평균 신호대잡음비가 15dB와 10dB일 경우, 종래의 'Band AMC' 모드 대비 본 발명은 약 330% 정도 용량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때, 단말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의 'Band AMC' 성능과 비슷한 성능을 보인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의 성능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다른 예시도로서, 와이브로 규격(IEEE 802.16e) 하에서 기지국이 라운드 로빈 스케줄러를 사용한 경우의 성능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이버시티 모드 스케줄링 방법은 단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용량이 증가하지 않는다. 이는 다이버시티 모드로 동작하는 모든 단말에게 동일한 비율의 자원을 할당하므로 다중사용자이득을 얻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종래의 'Band AMC' 모드 및 본 발명은 사용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다중사용자이득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전체 24개의 밴드 중에서 CINR이 가장 높은 5개 밴드의 CINR 또는 전체 24개의 밴드 중에서 CINR이 가장 높은 4개 밴드의 CINR를 피드백하기 때문이다.
라운드 로빈 스케줄러의 경우에도 맥스 스케줄러의 경우와 동일하게 단말의 수가 적을 경우, 종래의 'Band AMC' 모드 대비 약 330% 용량 향상을 얻고, 단말의 수가 많을 경우 종래의 다이버시티 모드 대비 20% 정도 용량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시스템의 성능에 따라 'Band AMC' 모드 또는 다이버시티 모드를 적응적으로 스케줄링함으로써, 큰 성능 이득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시스템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의 성능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의 성능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다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지국 20 : 단말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기지국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이면 다이버시티 모드로 스케줄링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밴드 AMC 모드 정보 및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이면 각 모드에서의 전송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전송 데이터량 산출단계; 및
    상기 산출한 두 데이터량을 비교하여 큰 값을 가지는 모드로 스케줄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데이터량 산출단계는,
    상기 다이버시티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에러율(target error rate)을 만족하면서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밴드 AMC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밴드 AMC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에러율(target error rate)을 만족하면서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
KR1020080128022A 2008-12-16 2008-12-16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 KR100991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022A KR100991806B1 (ko) 2008-12-16 2008-12-16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022A KR100991806B1 (ko) 2008-12-16 2008-12-16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359A KR20100069359A (ko) 2010-06-24
KR100991806B1 true KR100991806B1 (ko) 2010-11-04

Family

ID=4236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022A KR100991806B1 (ko) 2008-12-16 2008-12-16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8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359A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la et al. Dynamic packet scheduling performance in UTRA long term evolution downlink
US8649280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987651B1 (ko) 통신 시스템, 제 1 및 제 2 스테이션, 통신 시스템 작동방법
CN102687444B (zh) 用于选择小区的调制和编码方案的方法
US20090305715A1 (en) Channel quality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750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US200700996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loa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313908A1 (en) System and method to reduce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related signaling in machine-to-machine (m2m) communications
US201302811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aware wireless communications
US9143959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optimizing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US8666439B2 (en) Scheduler,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cheduler, and scheduling method
KR100975700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98600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frequency-division-duplex and time-division-duplex carrier aggregation
US20120140661A1 (en) Communication Quality Estim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Quality Estim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Quality Estimation Program
US95721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adaptive link in communication system
US8923156B1 (en) Quality of service aware channel quality indicator
KR101145489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 링크 패킷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장치
Rosa et al. Performance of fast amc in e-utran uplink
KR100991806B1 (ko)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적응 모드 스케줄링 방법
Imran et al. A novel energy saving MIMO mechanism in LTE systems
US9871620B2 (en) Parameter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23080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지시자를 피드백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US10856233B2 (en) Coverage extension for wireless devices
Wang et al. Uplink overhead analysis and outage protection for multi-carrier LTE-Advanced systems
Trifan et al. Mirroring LTE scheduler performance with an adaptive simulation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