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747B1 - 아이씨 카드 또는 아이씨 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방법 - Google Patents

아이씨 카드 또는 아이씨 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747B1
KR100991747B1 KR1020040023376A KR20040023376A KR100991747B1 KR 100991747 B1 KR100991747 B1 KR 100991747B1 KR 1020040023376 A KR1020040023376 A KR 1020040023376A KR 20040023376 A KR20040023376 A KR 20040023376A KR 100991747 B1 KR100991747 B1 KR 10099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hip
data
wireless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366A (ko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40023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747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03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selecting, conveying and possibly reading and/or writing operations
    • G06K17/0009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selecting, conveying and possibly reading and/or writing operations with sequential access selection of a record carrier from the card-file, e.g. relative movement between selecting device and card-fi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탑재 또는 저장된 제1 IC칩 또는 IC카드와,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할 제2 IC칩 또는 IC카드와,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는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와,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는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는 단계;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독출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기 위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도록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IC칩 또는 IC카드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 이전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 이다. 이로 인해, IC칩 또는 IC카드 사용자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카드발급기관에서 발급한 다양한 종류의 복수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소지하기 편리한 소수의 IC칩 또는 IC카드로 이전 및 사용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카드 사용자의 IC칩 또는 IC카드로 이전함으로써 효율성과 편리성이 증대되어 IC칩 또는 IC카드의 활용도가 증가되며, 또한 다른 카드발급기관이 발급한 IC칩 또는 IC카드에 구비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이전되는 IC칩 또는 IC카드를 발급한 카드발급기관은 다른 카드발급기관의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자사의 IC칩 또는 IC카드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수익이 증대된다.
애플리케이션, 이전, 카드단말장치

Description

아이씨 카드 또는 아이씨 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방법{Method for Transferring Application(or Data) Between IC Cards(or IC Chips)}
도1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이용하여 IC칩 또는 IC카드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 시스템의 기능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
도2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이용하여 IC칩 또는 IC카드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 시스템에 대한 일 실시 예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통해 IC칩 또는 IC카드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통해 IC칩 또는 IC카드 간 카드 애플 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 105 : 독출부
110 : 제1 저장매체 115 : 제1 추출부
120 : 제1 저장부 125 : 제1 전송부
130 : IC 인터페이스 135 : 제1 IC카드 또는 IC칩
140 :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 145 : 탑재부
150 : 제2 추출부 155 : 판단부
160 : 제2 저장매체 165 : 제2 수신부
170 : 제2 저장부 175 : 제2 IC카드 또는 IC칩
본 발명은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탑재 또는 저장된 제1 IC(Integrated Circuit)칩 또는 IC카드와,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할 제2 IC칩 또는 IC카드와,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 및/또는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와, 및/또는 상기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소정의 유·무선 네트워크 이루어진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로 이전하여 탑재 또는 저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C카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산소자와 메모리 소자들을 내장하여 각종 디지털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 및 연산 처리할 수 있는 소정의 IC칩이 구비된 신용카드 형태의 카드로서, 상기 IC칩은 소정의 연산소자로부터 중앙처리장치 및/또는 코프로세서를 구비하며, 소정의 메모리 소자로서 소정의 시스템 정보 및/또는 COS(Chip Operating System)이 탑재 또는 저장되는 ROM(Read Only Memory),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가 탑재 또는 저장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그리고 상기 메모리 소자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 애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를 상기 연산소자를 통해 연산처리하기 위한 소정의 실행 메모리에 해당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IC카드는 카드단말장치가 상기 IC칩 내부에 직접 접근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기존 MS(Magnetic Stripe)카드보다 고수준의 보안성과 신뢰성을 보장한다.
최근 IC 카드는 IC칩 제조사에 관계없이 프로그램 수행이 가능하며 플랫폼에 독립적이고, 카드가 발급된 후에도 프로그램의 설치와 삭제가 가능한 개방형 플 랫폼(Open Platform)을 지향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IC 카드의 개방형 플랫폼에는 자바카드(Javacard), MULTOS, SCFW(Smart Card For Windows), 그리고 SmartTEC OS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방형 플랫폼이 탑재된 IC 카드라고 할지라도, 상기 IC카드에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것은 해당 IC카드에 대한 카드발급기관 또는 상기 카드발급기관으로부터 소정의 IC칩 접근권한을 득한 카드제휴기관만이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객은 IC카드의 다양한 확장성에도 불구하고 기존 MS카드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카드발급기관이 발급한 복수개의 카드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통해 제2 IC칩 또는 IC카드로 이동(Move)하여 탑재 또는 저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통해 제2 IC칩 또는 IC카드로 복사(Copy)하여 탑재 또는 저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1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통해 제2 IC칩 또는 IC카드로 밸런싱(Balancing)하여 탑재 또는 저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탑재 또는 저장된 제1 IC칩 또는 IC카드와,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할 제2 IC칩 또는 IC카드와,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는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와,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는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는 단계;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독출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기 위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도록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는 단계가 수행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는 단계가 수행된 후에,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독출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 전송하기 전까지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 구비된 제1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 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수신하는 단계가 수행된 후에,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기 전까지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 구비된 제2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기 위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 제2 IC칩 또는 IC카드가 삽입 및 연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또는 생체정보 등을 통해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대한 기밀성(Confidentiality), 인증(Authentication), 무결성(Integrity), 그리고 부인방지(Nonrepudiation) 등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기 위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기 위해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대한 카드발급기관으로부터 소정의 인증 및/또는 권한획득이 필요한 경 우,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소정의 카드인증정보(예컨대, IC칩 또는 IC카드에 구비된 카드식별정보, 카드소유자의 고객정보, 및/또는 공인인증서 등)를 독출하고, 상기 카드인증정보와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 식별정보(예컨대, 카드단말장치 일련번호, 가맹점 코드, 및/또는 SAM(Secure Application Module) 정보 등)를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대한 카드발급기관으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발급기관에서 상기 카드인증정보 및/또는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 식별정보를 인증하여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할 권한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기 위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부터 독출되어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할 수 있는 호환성이 제공되는지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IC칩 또는 IC카드에 자바카드(Javacard) 기반의 플랫폼(예컨대, JVM(Java Virtual Machine)이 구비된 카드 플랫폼)이 탑재되어 있고,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멀토스(MULTOS) 기반의 플랫폼(예컨대, MEL(Multos Executable Language)로 설계된 MVM(MEL Virtual Machine)이 구비된 카드 플랫폼)이 탑재된 경 우,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독출된 카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로 탑재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와 제2 IC칩 및/또는 IC카드 사이의 카드 플랫폼 호환성 판별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예컨대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로 탑재할 소정의 카드 데이터가 선불가드에 저장된 저장 가치인 경우, 만약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상기 저장 가치를 이전 받을 선불카드 결제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카드 데이터는 제1 IC칩 또는 IC카드에서 제2 IC칩 또는 IC카드로 이전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와 제2 IC칩 및/또는 IC카드 사이의 카드 애플리케이션 호환성 판별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와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 사이의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단계;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제2 IC칩 또는 IC카드로 이전할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결정하는 단계;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통신세션을 통해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기 위한 가능성 판별정보를 생성 및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판별정보가 상기 카드 애플리케 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도록 판별된 경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는 단계;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독출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통신세션을 통해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IC칩 또는 IC카드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 이전 시스템은,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탑재 또는 저장된 제1 IC칩 또는 IC카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할 제2 IC칩 또는 IC카드;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는 독출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독출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제1 전송부를 구비한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 및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기 위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추출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탑재부를 구비한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는,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독출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 전송하기 전까지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독출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저장하는 제1 저장매체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1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1 저장부와, 상기 제1 저장매체에 저장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1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는 제1 추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는,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기 전까지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저장하는 제2 저장매체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2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매체에 저장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경우, 상 기 제2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는 제2 추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제1 IC칩 또는 IC카드에 구비된 선불카드 결제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저장가치(=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저장가치를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구비된 선불카드 결제수단으로 이전하는 예시를 통해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선불카드 결제수단에 구비된 저장가치를 이전하는 예시는 본 발명의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저장가치를 이전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도시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위해 요구되는 구성 요소만을 도시하며, 대부분의 유선 카드단말장치(예컨대, 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KIOSK, IC리더기가 구비된 클라이언트단말 등) 및/또는 무선 카드단말장치(예컨대, IC칩이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무선통신장치)에 구비되는 구성 요소(예컨대, 키 입력부, 화면 출력부 등)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으므로 생략할 것이다.
도면1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이용하여 IC칩 또는 IC카드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 시스템의 기능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
본 도면1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는 소정의 IC카드를 삽입 및 연동할 수 있는 유선 카드단말장치, 및/또는 소정의 IC칩이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무선 카드단말장치를 포함하며, 기존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의 구성 요소에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구성 요소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도면1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는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로 탑재 또는 저장하는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는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탑재 또는 저장된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독출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임시 저장하는 제1 저장매체(110)와,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는 독출부(105)와, 상기 독출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1 저장매체(110)에 저장하는 제1 저장부(120)와, 상기 제1 저장매체(110)에 저장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1 저장매체(110)로부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는 제1 추출부(11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독출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로 전송하는 제1 전송부(1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의 제1 저장매체(110)는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독출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저장하기 위해 예약된 저장영역 및/또는 저장장치로서, 상기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 구비된 메모리부 상의 저장영역, 및/또는 상기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저장장치(예컨대, 읽기/쓰기 메모리가 구비된 SAM(Secure Application Module) 상의 저장영역)에 해당한다.
상기 독출부(105)는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 탑재 또는 저장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중에서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로 이전(예컨대, 제1 IC칩 또는 IC카드에서 제2 IC칩 또는 IC카드 이동, 복사, 및/또는 밸런싱)할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결정(예컨대, 카드단말장치에 구비된 키 입력부와 연동하여 선택)하고,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에 구비된 IC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로 로드(Load)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 발급된 선불카드에 충전된 저장가치라면, 상기 독출부(105)는 키 입력부를 통해 제1 IC칩 또는 IC카드에서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로 이전시킬 저장가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저장가치만큼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서 밸런싱하여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로 상기 저장가치를 이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예컨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 저장된 할인쿠폰이라면, 상기 독출부(105)는 키 입력부를 통해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서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로 이전시킬 할인쿠폰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할인쿠폰을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서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로 복사(예컨대,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 할인쿠폰을 그대로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할인쿠폰의 권리를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로 로드)하여 이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예컨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 저장된 상품권, 마일리지 포인트, 또는 티켓과 같이 전자적 유가증권이라면, 상기 독출부(105)는 키 입력부를 통해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서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로 이전시킬 전자적 유가증권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할인쿠폰을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서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로 이동(예컨대,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 저장된 전자적 유가증권을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로 로드하고,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서 삭제)하여 이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 저장부(120)는 상기 독출부(105)가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독출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일정기간(예컨대, 상기 독출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로 전송할 때까지) 동안 상기 제1 저장매체(110)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독출부(105)가 독출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 발급된 선불카드에 충전된 저장가치라면,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가치를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에 구비된 메모리부 상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SAM에 구비된 메모리부 상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 충전된 저장가치를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로 일단 이전시킨다.
상기 제1 추출부(115)는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독출되어 상기 제1 저장매체(110)에 저장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 발급된 선불카드에 충전되어 있다가 상기 제1 저장매체(110)로 이전된 저장가치라면, 상기 제1 추출부(115)는 상기 제1 저장매체(110)로부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밸런싱되어 상기 제1 저장매체(110)로 이전되어 있는 저장가치를, 상기 제1 저장매체(110)로부터 추출하여 제1 전송부(125)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저장부(120)가 상기 제1 저장매체(110)에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독출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저장하는 동안,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와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독출부(105)가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독출하기 전에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와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 사이에 소정의 통신세션이 연결되어 있다면(예컨대,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독출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일정기간 동안 저장할 필요가 없다면), 상기 제1 저장부(120)가 상기 제1 저장매체(110)에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독출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일정기간 저장하고, 상기 제1 추출부(115)가 상기 제1 저장매체(110)로부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는 과정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에 구비되는 제1 전송부(125)는 상기 독출부(105)가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독출, 및/또는 상기 제1 저장매체(110)로부터 추출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에 소정의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가 구비되어 있고,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에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인스턴트 메신저가 구비되어 있다면, 상기 제1 전송부(125)는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을 통해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독출한 카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로 전송한다.
또한, 예컨대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에 메일 송신기능이 구비되어 잇고,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에 메일 수신기능이 구비되어 있다면, 상기 제1 전송부(125)는 상기 메일을 통해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독출한 카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로 전송한다.
또한, 도면1을 참조하면,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는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165)와,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저장하는 제2 저장매체(160)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저장매체(160)에 저장하는 제2 저장부(170)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에 탑재 또는 저장하기 위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부(155)와, 상기 제2 저장매체(160)에 저장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제2 저장매체(160)로부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는 제2 추출부(150)와, 상기 추출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탑재부(1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에 구비되는 제2 수신부(165)는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수신부(165)는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만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에 구비된 제1 전송부(125)와 소정의 보안 프로토콜(예컨대, 공개키 기반 구조(Public Key Infrastructure; PKI))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의 제2 저장매체(160)는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가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독출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로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저장하기 위해 예약된 저장영역 및/또는 저장장치로서, 상기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 구비된 메모리부 상의 저장영역, 및/또는 상기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저장장치(예컨대, 읽기/쓰기 메모리가 구비된 SAM(Secure Application Module) 상의 저장영역)에 해당한다.
상기 제2 저장부(170)는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가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독출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로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일정기간(예컨대, 상기 독출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에 탑재할 때까지) 동안 상기 제2 저장매체(160)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로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 발급된 선불카드에 충전된 저장가치에 해당하고, 상기 저장가치가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로 수신되었다면, 상기 제2 저장부(170)는 상기 수신된 저장가치를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에 구비된 메모리부 상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SAM에 구비된 메모리부 상에 저장함으로써, 원래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 충전된 저장가치를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를 거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로 이차 이전시킨다.
상기 제2 추출부(150)는 상기 제2 저장매체(160)에 저장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에 탑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저 장매체(160)에 저장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 발급된 선불카드에 충전되어 있다가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의 제1 저장매체(110)를 거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저장매체(160)로 이전된 저장가치라면, 상기 제2 추출부(150)는 상기 제2 저장매체(160)로부터 상기 저장가치를 추출하여 판단부(155)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저장부(170)가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가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독출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로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저장매체(160)에 저장하는 동안,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는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에 대한 유효성을 판별하는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로 수신되기 전에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었다면(예컨대, 상기 제2 수신부(165)로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일정기간 동안 저장할 필요가 없다면), 상기 제1 저장부(120)가 상기 제1 저장매체(110)에 상기 제2 수신부(165)로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일정기간 저장하고, 상기 제2 추출부(150)가 상기 제2 저장매체(160)로부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는 과정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판단부(155)는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에서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로부터 독출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수신부(165)로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및/또는 제2 추출부(150)가 제2 저장매체(160)로부터 추출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로 탑재 또는 저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판단부(155)는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거나,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기 위한 권한을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와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 사이의 호환성을 판단하기 위한 논리적 판독기능이 구비된다.
예컨대, 판단부(155)는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를 통해 PIN을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에 대한 기밀성, 인증, 무결성, 그리고 부인방지 등을 보장하는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 유효성을 판단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를 발급한 카드발급기관으로부터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기 위한 소정의 접근 키(Key)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2 수신부(165)로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로 탑재 또는 저장하기 위한 IC칩 또는 IC카드 간 플랫폼의 호환성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에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기 위한 여유 공간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탑재부(145)는 상기 제2 수신부(165)로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및/또는 제2 추출부(150)가 제2 저장매체(160)로부터 추출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에 구비된 IC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APDU를 이용하여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로 기록(예컨대, 카드 애플리케이션을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에 탑재하거나, 또는 카드 데이터를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로부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의 제2 수신부(165)로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로 탑재 또는 저장하여 이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 발급된 선불카드에 충전되어 있다가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의 제1 저장매체(110)를 거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저장매체(160)로 이전된 저장가치라면, 상기 탑재부(145)는 상기 저장가치를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로 밸런싱하여 충전시키는 것이다.
도면2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이용하여 IC칩 또는 IC카드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 시스템에 대한 일 실시 예시도이다.
본 도면2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통해 제1 IC칩 또는 IC카드(135)에 탑재 또는 저장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여 제2 IC칩 또는 IC카드(175)로 이전시키는 일 실시방법은, 소정의 IC칩이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두개의 무선단말을 무선 카드단말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도면2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이용하여 IC칩 또는 IC카드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하는 본 발명의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방법일 뿐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본 도면2의 제1 무선단말(200)이 IC 카드 결제단말장치로 대체되거나, 및/또는 본 도면2의 제2 무선단말(205)이 IC 인터페이스(130)가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로 대체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에 해당하는 제1 무선단말(200)이 소정의 유선 카드단말 장치로 대체되거나, 및/또는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에 해당하는 제2 무선단말(205)이 소정의 유선 카드단말장치로 대체되는 경우, 상기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는 각각의 카드단말장치가 접속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및/또는 상기 접속된 유·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2를 참조하면,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 해당하는 제1 무선단말(200)에는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탑재 또는 저장되어 있는 제1 IC칩이 탑재 또는 이탈착되며, 또한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 해당하는 제2 무선단말(205)에는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탑재 또는 저장될 수 있는 제2 IC칩이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무선단말(200)은 제1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무선단말(205)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무선단말(205)은 상기 제1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1 무선단말(200)과 제2 무선단말(20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망(예컨대, 제1 무선단말이 가입한 제1 이동통신망과 제2 무선단말이 가입한 제2 이동통신망)으로 이 루어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망은 상기 제1 무선단말(200) 및/또는 제2 무선단말(205)과 무선 구간을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유선 구간을 통해 연결되는 제어국과, 상기 제어국과 연결하는 교환국, 및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제1 무선단말(200) 및/또는 제2 무선단말(205)의 위치를 등록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VLR(Visitor Location Register)과, 및 서로 다른 이동통신망을 연동하기 위한 망연동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무선단말(200)은 상기 이동통신망이 제공하는 소정의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을 통해 제1 IC칩으로부터 독출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무선단말(205)로 전송한다.
예컨대, 제1 무선단말(200)이 상기 제1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한 후, SMS(Short Message Service), EMS(Enhanced Message Service), 및/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징을 통해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무선단말(205)로 전송(예컨대, SMS를 통해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전송하는 경우, 이동통신망 상에 SMC(Short Message Center)가 구비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생략함)한다.
또한, 예컨대 상기 제1 무선단말(200)과 제2 무선단말(205)은 상기 제1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기 전에 무선 인스턴트 메시징을 포함하는 소정의 통신세션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무선단말(200)이 제1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는 경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통신세션을 통해 제1 무선 단말(200)에서 제2 무선단말(205)로 전송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통해 IC칩 또는 IC카드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3은, 상기 도면2와 같이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 및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가 IC칩이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무선단말이고, 상기 제1 무선단말(200)에서 제1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고, 소정의 무선 메시징(예컨대, SMS, EMS, MMS 등)을 통해 상기 독출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무선단말(205)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무선 단말에서 상기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제1 유· 무선 카드단말장치(100)가 클라이언트 단말로 대체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가 클라이언트 단말로 대체되는 경우에 대하여 본 도면3을 기반으로 IC칩 또는 IC카드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의 이전 과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같이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 및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가 IC 인터페이스(130)가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이라면, 제1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제1 IC카드(135)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고, 전자우편을 통해 상기 독출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IC카드(175)에 탑재 또는 저장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도면3은 제1 무선단말(200)에서 제1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여 제2 무선단말(205)로 전송 및 상기 제2 무선단말(205)에서 제2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예컨대, 제2 IC칩에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 무선단말(205)에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1 무선단말(200)로 전송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무선 단말에서 제1 IC칩으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환원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도면4와 같이 상기 제1 무선단말(200)에서 제2 무선단말(205)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2 무선단말(205)에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을 상기 제2 IC칩에 탑재할 수 있는지 여부를 선행적으로 판단한 후, 제1 무선단말(200)에서 제2 무선단말(205)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면3을 참조하면, 제1 무선단말(200)에서 제1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여 제2 무선단말(205)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 무선단말(200)은 해당 무선단말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제1 IC칩에 대한 유효성을 판별한다(300). 예컨대, 제1 무선단말(200)에서 PIN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제1 무선단말(2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제1 IC칩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한다.
만약 상기 제1 IC칩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면(305), 상기 제1 무선단말(200)은 상기 제1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목록을 상기 제1 무선단말(200)로 독출 및 로드하여 화면에 출력하고, 소정의 키 입력부를 통해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중에서 제2 IC칩으로 이전할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결정한다(310).
예컨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제1 IC칩에 발급된 선불카드에 충전되어 있는 저장가치라면, 상기 선불카드에서 제2 IC칩으로 이전할 저장가치를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제1 IC칩으로부터 제2 IC칩으로 이전시킬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결정되면,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제1 IC칩으로부터 상기 결정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한다(315).
예컨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제1 IC칩에 발급된 선불카드에 충전되어 있는 저장가치라면, 상기 무선단말은 EMV(Europay, Master, VISA) 규격에 따라 상기 제1 IC칩으로부터 상기 결정된 저장가치를 밸런싱하여 상기 무선단말로 독출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무선단말(200)에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독출되면, 상기 제1 무선단말(200)은 SMS, EMS, 또는 MMS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메시징을 통해 상기 독출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무선단말(205)로 전송한다(320).
예컨대, 제1 IC칩으로부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독출된 상태에서, 소정의 키 입력부를 통해 제2 무선단말(205)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전송’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제1 무선단말(200)에서 상기 독출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무선 메시징 프로토콜에 포함시켜 상기 제2 무선단말(205)로 전송한다.
상기 제1 무선단말(200)을 통해 제1 IC칩으로부터 독출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소정의 무선 메시징을 통해 상기 제2 무선단말(205)로 수신되면, 상기 제2 무선단말(205)은 상기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무선단말(205)에 구비된 제2 저장매체(160)(예컨대, 제2 무선단말(205)의 메모리부)에 임시 저장한다(325).
상기와 같이 제1 무선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제2 저장매체(160)에 임시 저장되면, 상기 제2 무선단말(205)은 해당 무선단말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제2 IC칩에 대한 유효성을 판별한다(330). 예컨대, 제2 무선단말(205)에서 PIN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제2 무선단말(205)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제2 IC칩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한다.
만약 상기 제2 무선단말(205)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제2 IC칩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다면(335), 상기 제2 무선단말(205)은 상기 제1 무선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무선단말(205)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제2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지 판별한다(340).
만약 상기 제1 무선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제2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345), 상기 제2 무선단말(205)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1 IC칩으로 환 원시킬지 여부를 판별한다(350).
예컨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제1 IC칩에 구비된 할인쿠폰으로서, 상기 제1 IC칩에서 복사(=원본이 제1 IC칩에 존재)된 경우라면,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구태여 제1 IC칩으로 환원시킬 필요는 없다. 그러나,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제1 IC칩에 구비된 상품권 또는 선불카드에 저장된 저장가치로서, 상기 제1 IC칩에서 복사 이동 또는 밸런싱된 경우라면,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다시 상기 제1 IC칩으로 환원될 필요가 있다.
만약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1 IC칩으로 환원시킬 필요가 없다면(355), 상기 제2 무선단말(205)은 상기 제2 저장매체(160)에 저장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삭제하고(36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제1 무선단말(200) 및 제2 무선단말(205)을 통해 제1 IC칩에서 제2 IC칩으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이전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1 IC칩으로 환원시켜야 한다면(365), 상기 제2 무선단말(205)은 상기 제2 저장매체(160)에 저장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여 상기 제1 무선단말(200)로 전송함으로써(370), 상 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1 IC칩으로 환원시키도록 요청한다.
제2 무선단말(205)로부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수신한 제1 무선단말(200)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1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함으로써, 제2 IC칩으로 이전하려고 했던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1 IC칩으로 환원시킨다(375).
반면 상기 제1 무선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제2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면(380), 상기 제2 무선단말(205)은 상기 제2 저장매체(160)에 저장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추출하고(385), 상기 추출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무선단말(205)에 구비된 IC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상기 제2 IC칩으로 탑재 또는 저장함으로써, 상기 제1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되어 있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IC칩으로 이전시킨다(390).
예컨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제1 IC칩에 발급된 선불카드에 충전되어 있는 저장가치라면, 제1 IC칩으로부터 독출된 저장가치만큼을 상기 제2 IC칩에 충전시킨다.
도면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통해 IC칩 또는 IC카드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4는, 상기 도면2와 같이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 및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가 IC칩이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무선단말이고, 제1 무선단말(200)에서 제1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기 전에 상기 제1 무선단말(200)과 제2 무선단말(205) 사이에 소정의 통신세션(예컨대, 무선 인스턴트 메시징)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여 제2 무선단말(205)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무선 단말에서 상기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가 클라이언트 단말로 대체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가 클라이언트 단말로 대체되는 경우에 대하여 본 도면4를 기반으로 IC칩 또는 IC카드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의 이전 과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같이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00) 및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140)가 IC 인터페이스(130)가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이라면, 제1 클라이언트 단말과 제1 클라이언트 단말 사이에 P2P(Peer-To-Peer) 통신세션을 연결한 후,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제1 IC카드(135)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여 상기 P2P 통신세션을 통해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IC카드(175)에 탑재 또는 저장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도면4는 상기 제1 무선단말(200)에서 제2 무선단말(205)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1 무선단말(200)과 제2 무선단말(205) 사이에 연결된 통신세션을 통해 상기 제2 무선단말(205)에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에 탑재할 수 있는지 여부를 선행적으로 판단한 후, 제1 무선단말(200)에서 제2 무선단말(205)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제1 무선단말(200)에서 제1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여 제2 무선단말(205)로 전송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무선단말(205)에서 제2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예컨대, 도면3과 같이 제2 IC칩에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 무선단말(205)에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1 무선단말(200)로 전송 및 상기 제1 무선 단말에서 제1 IC칩으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환원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면4를 참조하면, 제1 무선단말(200)과 제2 무선단말(205)은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실시간 통신할 수 있는 소정의 통신세션(예컨대, 무선 인스턴트 메 시징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세션을 통해 상기 제1 무선단말(200)과 제2 무선단말(205) 사이에 IC칩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을 결정한다.(400)
예컨대, 제1 무선단말(200)과 제2 무선단말(205)에서 무선 인스턴트 메신저를 구동 및 상호 무선 인스턴트 메시징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1 무선단말 및/또는 제2 무선단말(205)에서 상기 무선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IC칩에 구비된 선불카드의 저장가치를 이전하는 메뉴(예컨대,‘교통비 빌려주기’메뉴)를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무선단말(200)과 제2 무선단말(205) 사이에 IC칩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이 결정되면(401), 제1 무선단말(200)은 상기 제1 IC칩에 대한 유효성을 판별(예컨대, 제1 IC칩에 대하여 PIN 입력을 통해 IC칩에 대한 유효성 판별)하고(405), 상기 제1 IC칩에 대한 유효성이 판별되는 경우(410), 상기 제1 무선단말(200)은 상기 제1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된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목록을 상기 제1 무선단말(200)로 독출 및 로드하여 화면에 출력하고, 소정의 키 입력부를 통해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중에서 제2 IC칩으로 이전할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결정한다(415).
상기 제1 무선단말(200)에서 상기와 같은 소정의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제2 무선단말(205) 역시 상기 제2 IC칩에 대한 유효성을 판별(예컨대, 제2 IC칩에 대하 여 PIN 입력을 통해 IC칩에 대한 유효성 판별)하고(425), 상기 제2 IC칩에 대한 유효성이 판별되는 경우(430), 상기 제1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제2 IC칩으로 이전할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정보(예컨대, 제2 무선단말(205)에 구비된 판단부(155)가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데 요구되는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대기한다(435).
상기 제2 무선단말(205)에서 상기와 같은 소정의 과정이 수행되어 상기 제1 무선단말(200)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대기하는 동안, 상기 제1 무선단말(200)은 제1 IC칩으로부터 상기 제2 IC칩으로 이전할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정보를 상기 제2 무선단말(205)로 전송한 후(420), 상기 제2 무선단말(205)로부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에 탑재할 수 있는지, 또는 탑재할 수 없는지를 판별하기 위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탑재 가능성 판별 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대기한다(440).
상기 제1 무선단말(200)에서 제2 무선단말(205)로 상기 제1 IC칩으로부터 상기 제2 IC칩으로 이전할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정보가 수신되면(445), 상기 제2 무선단말(205)은 상기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 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할 수 있는지 판별하고(450),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의 탑재 가능성 판별 정보를 상기 제1 무선단말(200)로 전송한다(455),
상기 제2 무선단말(205)로부터 제1 무선단말(200)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의 탑재 가능성 판별 정보가 수신되면(460), 상기 제1 무선단말(200)은 상기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의 탑재 가능성 판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IC칩으로부터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여 상기 제2 무선단말(205)을 통해 상기 제2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지 판별한다(465).
만약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무선단말(205)을 통해 상기 제2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면(470), 상기 제1 무선단말(200)은 상기 제1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여 제2 무선단말(205)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제1 무선단말(200)과 제2 무선단말(205)을 통해 IC칩 또는 IC카드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 무선단말(205)을 통해 상기 제2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면(475), 상기 제1 무선단말(200)은 제1 IC칩으로부터 제2 IC칩으로 이전시키도록 결정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고(480), 상기 독출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1 무선단말(200)과 제2 무선단말(205) 사이에 연결된 통신세션을 통해 제2 무선단말(205)로 전송한다(485).
상기와 같이 제1 무선단말(200)로부터 제2 무선단말(205)로 제1 IC칩으로부터 독출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이 수신되면(490), 제2 무선단말(205)은 상기 수신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무선단말(205)에 구비된 IC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상기 제2 IC칩으로 탑재 또는 저장함으로써(495), 상기 제1 IC칩에 탑재 또는 저장되어 있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 IC칩으로 이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IC칩 또는 IC카드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을 제공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통해 특정 카드 사용자를 위해 적어도 두개 이상의 카드발급기관이 발급한 다수의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된 같은 종류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이동, 복사, 및/또는 밸런싱시킬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카드 사용자가 소유하며 서로 다른 카드발급기관이 발급한 IC칩 또는 IC카드에 구비된 선불카드에 충전된 저장가치를 같은 공간에 위치하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두개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통해 특정 IC칩 또는 IC카드로 밸런싱하여 이전시킴으로써, 상기 저장가치를 하나의 IC칩 또는 IC카드로 모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IC칩 또는 IC카드 간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을 제공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통해 특정 카드발급기관이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카드 사용자에게 발급한 다수의 IC칩 또는 IC카드에 탑재 또는 저장된 같은 종류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이동, 복사, 및/또는 밸런싱시킬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카드 사용자가 소유하는 특정 IC칩 또는 IC카드에 저장된 할인쿠폰을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두개의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통해 다른 카드 사용자가 소유하는 특정 IC칩 또는 IC카드로 이동 또는 복사하여 이전시킴으로써, 상기 할인쿠폰을 적어도 두명 이상의 카드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다.

Claims (21)

  1.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는 제1의 IC(Integrated Circuit)칩 또는 IC카드와,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는 제2의 IC칩 또는 IC카드와, 상기 제1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는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와,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는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IC카드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방법에 있어서,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제1의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독출하는 단계;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독출된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 상기 제1의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를 이전받을 제2의 IC칩 또는 IC카드 삽입시,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제2의 IC칩 또는 IC카드로부터 독출된 카드인증정보와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대한 카드발급기관으로 전송하여 상기 카드인증정보 및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 식별정보의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카드발급기관으로부터 상기 제2 IC칩 또는 IC카드에 소정의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할 권한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제2의 IC칩 또는 IC카드로 이전시키기 위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유효성이 인증되는 경우, 제 2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의 IC칩 또는 IC카드에 저장되었던 상기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상기 제2의 IC칩 또는 IC카드로 이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IC카드 또는 IC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인증정보는,
    상기 IC칩 또는 IC카드에 구비된 카드식별정보, 및/또는 카드소유자의 고객정보, 및/또는 공인인증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IC카드 또는 IC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 식별정보는,
    카드단말장치 일련번호, 및/또는 가맹점 코드, 및/또는 SAM(Secure Application Module)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IC카드 또는 IC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제 2유무선 카드단말장치에서 상기 제2의 IC칩 또는 IC카드에 상기 제1 유무선 카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카드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을 탑재 또는 저장하기 위한 호환성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IC카드 또는 IC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040023376A 2004-04-06 2004-04-06 아이씨 카드 또는 아이씨 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방법 KR10099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76A KR100991747B1 (ko) 2004-04-06 2004-04-06 아이씨 카드 또는 아이씨 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76A KR100991747B1 (ko) 2004-04-06 2004-04-06 아이씨 카드 또는 아이씨 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684A Division KR100991748B1 (ko) 2008-09-09 2008-09-09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366A KR20050098366A (ko) 2005-10-12
KR100991747B1 true KR100991747B1 (ko) 2010-11-04

Family

ID=37277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376A KR100991747B1 (ko) 2004-04-06 2004-04-06 아이씨 카드 또는 아이씨 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7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970B1 (ko) * 2008-08-18 2012-01-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스마트 카드 기반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366A (ko)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998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viding a contactless interface for a smart card reader
US9866989B2 (en) Payment application download to mobile phone and phone personalization
RU2223546C2 (ru) Способ загрузки данных на карты с микросхемой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US20100029202A1 (en) Performing contactless applications in battery off mode
US20080235132A1 (en) Transactional Device With Anticipated Pretreatment
CN102656599A (zh) 移动支付应用程序体系结构
EP1079347A2 (en) Process and device for electronic processing of cashless payments by means of security modules
KR100991747B1 (ko) 아이씨 카드 또는 아이씨 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방법
KR100991748B1 (ko) 단말장치
KR101025621B1 (ko) 무선단말기내 선불카드기능 충전 방법
KR101599635B1 (ko) 단말기, 카드 리더 및 그를 이용한 ic카드 결제 정보 처리 방법
KR20010025504A (ko) 카드아이시가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결제및 충전 시스템
KR20050098194A (ko) 아이씨 카드 또는 아이씨 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101013161B1 (ko) 아이씨 카드간 또는 아이씨 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방법
KR20080095816A (ko)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중계 시스템
KR101070301B1 (ko) 단말장치
KR101013163B1 (ko) 아이씨 칩간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이전 시스템
KR20080114651A (ko) 선불카드기능 충전 시스템
KR100965148B1 (ko) 애플리케이션의 선택적 탑재 방법
KR100629784B1 (ko) 스마트 카드 자동 갱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75451A (ko) 유심을 이용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결제 처리 방법
KR100971137B1 (ko) 스마트 카드 연계 처리형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기반 네트워크 카드 운영 시스템
KR101068098B1 (ko) 휴대폰
KR100988883B1 (ko)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운용 시스템
KR20090007649A (ko)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