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488B1 - 멀티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488B1
KR100990488B1 KR1020100027535A KR20100027535A KR100990488B1 KR 100990488 B1 KR100990488 B1 KR 100990488B1 KR 1020100027535 A KR1020100027535 A KR 1020100027535A KR 20100027535 A KR20100027535 A KR 20100027535A KR 100990488 B1 KR100990488 B1 KR 10099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outside
ventilation system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8354A (ko
Inventor
황석훈
Original Assignee
황석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석훈 filed Critical 황석훈
Priority to KR102010002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4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2Induction nozzles without swir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 내부의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멀티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급기수단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수단과, 주방에서 조리시 발생하는 공기 및 열기를 배출하는 레인지 후드로 구성된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의 끝단 부분이 배기수단의 배출배관에 삽입 연통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에는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를 통해서 유입되는 냄새와 열기를 배출하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입공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팬모터와 뎀퍼 사이에 장착되는 이중관 형태의 사이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인지 후드의 작동시 팬모터만을 이용해서 조리시 발생하는 열기와 냄새를 상기 케이스를 통해 배출하고 더불어 천장 부근의 공기와 조리시 케이스를 벗어난 냄새와 열기를 유입공 및 사이폰관을 통해서 유입하여 외부로 함께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환기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멀티환기시스템{Multi-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주택 내부의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멀티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인지 후드의 내부에 장착되는 팬모터만을 이용해서 조리시 발생하는 열기와 냄새를 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더불어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와 조리시 케이스를 벗어난 냄새와 열기를 별도의 동력 없이 유입공과 배기구를 통해서 유입하여 외부로 함께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멀티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된 공간의 공기는 생명체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생명체의 호흡에 지장을 주게 된다.
즉, 사무실이나 차량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되는 경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해 주어야 하는데 이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건물의 벽면이나 차량의 측면에 설치된 창문을 개방하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사용자가 실내의 공기가 환기되었다고 인식되면 창문을 폐쇄하는 방식으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켰다.
그러나 기존의 환기방법은 창문의 개방이나 별도의 장치를 통한 실내 공기의 배출시 냉/난방 공기가 같이 배출 됨으로써 창문의 폐쇄 후 냉/난방기를 다시 가동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천장이나 실내 모서리 부분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을 만드는 주방의 경우에는 레인지 후드가 음식의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와 열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일부의 냄새와 열기는 케이스를 벗어나 천장이나, 거실, 방안으로 전달되어 상기와 같이 창문이나 별도의 장치를 통해서 실내의 공기를 환기 시켜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존의 환기방법은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경우에는 창문이나 별도의 장비를 장착해야하고 더불어, 주방의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와 열기는 레인지 후드나 별도의 장비를 통해서 이중으로 배출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시된 도 1은 기존의 환기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환기시스템은 주방환기설비 및 실내환기설비로 구성되는데, 먼저, 주방공간(120)내의 환기를 위해서는 주방공간(120)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배기팬(430)이 설치되는 배기연결덕트(420)를 개재하여 주방후드(110)가 주배기덕트(410)로 연결되고, 주방공간(120)내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급기팬(530)이 설치되는 급기연결덕트(520)를 개재하여 주방공간 연결덕트(570) 및 주방천장그릴(580)이 주급기덕트(510)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기류차단을 위해 제1날개(440a)가 주방후드(110)와 배기연결덕트(420)사이에 설치되고, 제2날개(540a)가 주방공간 연결덕트(570)내에 설치된다.
또한, 실내공간(150)의 환기를 위해서는 실내공간(150)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배기연결덕트(420)를 개재하여 실내배기덕트(450) 및 실내천장그릴(460)이 주배기덕트(410)로 연결되고, 실내공간(150)내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급기연결덕트(520)를 개재하여 실내급기덕트(550) 및 실내천장그릴(560)이 주급기덕트(510)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기류차단을 위해 제3날개(440b)가 실내배기덕트(450)에 설치되고, 제4날개(540b)가 실내급기덕트(550)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환기시스템의 실내환기설비는 기존의 주방환기설비를 이용함에 있어 극히 제한적인데 즉, 주방환기설비를 위한 외부의 주배기덕트와 주급기덕트를 공동으로 이용하는 정도이어서 별도의 덕트 설비를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지며, 나아가 기존의 주방환기설비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더욱 이를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내환기설비를 설치한다는 것은 더욱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환기시스템은 전체적인 구성이나 유로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실내의 환기에 있어서도 부품이 가지고 있는 기준보다 낮은 환기효율을 얻게 되고 규정 이상의 환기효율을 내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설비를 더 장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환기시스템은 주방의 요리시 레인지 후드를 벗어난 냄새와 열기 및 실내의 전반에 걸쳐 확장되어 있는 오염된 공기를 동시에 배출할 수 없어 실내 환기시 장시간 걸릴 뿐만 아니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를 설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인지 후드의 내부에 장착되는 팬모터만을 이용해서 조리시 발생하는 열기와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고 더불어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와 조리시 케이스를 벗어난 냄새와 열기를 별도의 동력 없이 유입공과 배기구를 통해서 유입하여 외부로 함께 배출 함으로써 환기효율의 향상 및 그에 따른 설치비용 등의 경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멀티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 일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해 장착되는 급기수단;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외부와 연통되는 공동주택의 에어덕트나 일반주택의 외부에 전달하는 배출배관으로 구성되는 배기수단; 주방에서 조리시 발생하는 공기 및 열기를 팬모터를 통해서 흡입하는 케이스와, 상기 팬모터에서 공급되는 오염공기를 전달하고 도중에는 역류방지용의 뎀퍼가 구비되는 연결배관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장착되는 상부케이스로 형성되는 레인지 후드로 구성되는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의 끝단 부분이 배기수단의 배출배관에 삽입 연통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에는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를 통해서 유입되는 냄새와 열기를 배출하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입공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팬모터와 뎀퍼 사이에 장착되는 이중관 형태의 사이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인지 후드의 작동시 팬모터만을 이용해서 조리시 발생하는 열기와 냄새를 상기 케이스를 통해 배출하고 더불어 천장 부근의 공기와 조리시 케이스를 벗어난 냄새와 열기를 유입공 및 사이폰관을 통해서 유입하여 외부로 함께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환기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실내 일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해 장착되는 급기수단;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외부와 연통되는 공동주택의 에어덕트나 일반주택의 외부에 전달하는 배출배관으로 구성되는 배기수단; 주방에서 조리시 발생하는 공기 및 열기를 팬모터를 통해서 흡입하는 케이스와, 상기 팬모터에서 공급되는 오염공기를 전달하고 도중에는 역류방지용의 뎀퍼가 구비되는 연결배관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장착되는 상부케이스로 형성되는 레인지 후드로 구성되는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팬모터는 양흡입팬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흡입팬의 일측에는 배기수단의 배출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양흡입팬의 타측에는 상기 연결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에는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를 통해서 유입되는 냄새와 열기를 배출하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입공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양흡입팬의 타측에 연결되는 연결배관의 후단에 장착되는 이중관 형태의 사이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인지 후드의 작동시 양흡입팬만을 이용해서 조리시 발생하는 열기와 냄새를 상기 케이스 및 배출배관을 통해 배출하고 더불어 상기 유입공을 통해 상부케이스에 유입된 냄새와 열기를 상기 사이폰관을 통해서 외부로 함께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환기시스템을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환기시스템에 의하면, 레인지 후드의 내부에 장착되는 팬모터만을 이용해서 조리시 발생하는 열기와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고 더불어 천장 부근의 공기 또한 유입공과 배기구를 통해서 유입하여 외부로 함께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기효율의 향상 및 그에 따른 설치비용 등의 경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기존에는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구 및 동력원을 설치해야만 했으나, 본원 발명은 팬모터의 동력만을 이용해서 조리시 발생하는 열기 및 냄새와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를 동시 배출함으로써 경비감소 및 기준보다 높은 환기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레인지 후드의 연결배관을 배기수단의 배출배관에 삽입 연통시킴으로써 배출통로와 연통을 위한 벽면의 개구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시간과 경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환기시스템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환기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 후드와 배기수단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케이스의 다양한 구현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폰관을 나타낸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환기시스템에 적용되는 레인지 후드의 다양한 형태를 일례로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환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지 후드와 배기수단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를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케이스의 다양한 구현 일례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폰관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환기시스템에 적용되는 레인지 후드의 다양한 형태의 개략구성도를 일례로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환기시스템(10)은 주방에서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와 열기를 배출하는 레인지 후드(20)와, 천장 부근에 장착되는 배기구(32)를 통해서 실내의 공기를 유입하고 외부로 전달하는 배기수단(30)과,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급기수단(40)으로 크게 대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실내의 일측에 장착되는 급기수단(40)은 벽면의 일측에 장착되고 외부의 공기를 그대로 유입하는 벽걸이형이나 유입되는 공기를 실내에 적합한 온도로 조절 후 공급하는 열교환기(미도시) 및 오염되지 않은 외부공기의 유입을 위한 각종 필터(미도시) 등을 택일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레인지 후드(20)는 주방에서 발생하는 냄새나 열기 및 오염공기를 팬모터(22)를 통해서 흡입하는 케이스(21)와, 상기 팬모터(22)의 상부에 장착되고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뎀퍼(24)가 구비된 연결배관(23)과, 상기 케이스(21)의 상부에 설치되고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공(25a)이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상부케이스(25)와, 상기 팬모터(22)와 뎀퍼(24)에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팬모터(22)에서 전달되는 냄새나 열기를 전달하면서 상부케이스(25)의 유입공(25a)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이중관 형태의 사이폰관(2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인지 후드(2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침니형이나 도 3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박스 형태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인지 후드(20)의 침니형 혹은 박스형은 환기시스템에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주방에서 발생하는 냄새나 열기 및 오염공기를 팬모터(22)를 통해서 흡입하는 케이스(2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에 필터(21b)가 구비되는 후드 하단부(21a)와 상기 후드 하단부(21a)의 상부 중앙이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후드 상단부(21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레인지 후드(20)를 구성하는 케이스(21)의 후드 하단부(21a)와 후드 상단부(21c)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각각의 통로(21d, 21e)가 형성되고, 상기 각 통로(21d, 21e)의 상부나 하부에는 슬라이딩 작동하는 개폐도어(72)와, 상기 개폐도어(72)를 수동 또는 전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작동바(74)를 포함하는 개폐장치(7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팬모터(22)의 작동시 상기 케이스(21)의 후드 하단부(21a)에 형성된 하부의 통로(21e)는 폐쇄하고 상기 후드 상단부(21c)에 형성된 상부의 통로(21d)는 개방하여 상세히 후설 할 유입공(25a)을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의 량을 증가시키고 더불어 배기수단(30)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압력 또한 증가시켜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량과 흡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 상단부(21c)의 내부에 장착되는 팬모터(22)는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해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면서 전달하는 역할까지 수행하게 되는데 즉, 모터가 구동을 하게 되면 팬모터(22)는 케이스(21)의 하부와 상부케이스(25)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공(25a)을 통해서 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연결배관(34)에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팬모터(22)에서 공급되는 오염공기를 전달하는 연결배관(23)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끝단(23a) 부분이 후설 할 배기수단(30)의 배출배관(34) 내부에 삽입 장착된다.
즉, 상기 연결배관(23)은 벽면의 개구없이 에어덕트(60)와 연통되는 배출배관(34)에 절곡되어 삽입 장착된 상태로 공기와 열기를 전달하면서 상기 팬모터(22)의 작동을 통한 공기의 전달시 배기구(32)를 통해서 유입된 천장 부근의 공기가 상기 연결배관(2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포함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배관(23)의 끝단(23a) 부분의 길이는 공기의 흐름과 효율을 위하여 연결배관(23)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배관(23)과 배기수단(30)으로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역류방지용의 뎀퍼(24)가 장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팬모터(22)와 연결배관(23)의 사이에 뎀퍼(24)가 장착되고, 상기 에어덕트(60)와 연통 결합되는 연결배관(23)이나 배출배관(34)의 끝단 부분에 마감뎀퍼(24a)를 장착하여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1)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케이스(25)는 내부에 수용되는 연결배관(23), 뎀퍼(24), 사이폰관(26)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부에는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를 내부에 유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공(25a)이 전면이나 전체 둘레에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케이스(25)는 내부의 부품을 보호하면서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를 상기 팬모터(22)의 작동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공(25a)을 통해서 유입하여 상기 사이폰관(26)을 거쳐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25)의 내면으로는 상기 팬모터(22)의 작동이나 공기의 이동시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음방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25)에 형성되는 유입공(25a)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의 (a)는 유입공(25a)이 관통 형성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도 4의 (b)는 유입공(25a)에 해당되는 상부케이스(25)의 면적을 상부로 절곡하여 공기가 상부에 형성되는 돌출부(25b)를 따라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을 나타내며, 도 4의 (c)는 상기 상부케이스(25)에 형성되는 유입공(25a)의 전면이나 후면으로 상기 유입공(25a)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공기조절수단(80)이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도4의 (d)는 상기 유입공(25a)에 회전 작동하는 셔터형 회전바(25c)가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절수단(80)은 상부케이스(25)의 유입공(25a)이 형성되는 상하 또는 좌우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82)과, 상기 가이드 레일(82)을 따라 이동하면서 유입공(25a)의 면적을 조절하는 판 형상의 가이드(84)로 구성된다.
상기 팬모터(22)와 뎀퍼(23) 사이에 장착되는 사이폰관(2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형상으로 공기의 진행 방향을 향할수록 유로의 지름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케이스(26a)와, 상기 케이스(26a)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감싸도록 형성되면서 외면이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26b)과, 상기 케이스(26a)와 하우징(26b)을 연결해주면서 공기를 진행방향으로 안내해주는 다수의 베인(26c)을 포함하는 이중관의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사이폰관(26)은 중앙에 형성되는 내경의 케이스(26a)가 상기 팬모터(22)에서 공급되는 오염공기를 전달하고, 외곽에 형성되는 외경의 하우징(26b)이 상기 상부케이스(25)의 유입공(25a)을 통해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6a)의 형상이 진행 방향을 향할수록 유로의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한 것은 넓은 공간을 지나는 유체나 기체가 좁은 공간을 지나게 되면서 빠른 유속이 생기고, 이때 외부의 유체나 기체도 그의 유속에 빨려 들어가서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케이스(25)를 통해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팬모터(22)의 작동시 이동하는 오염공기의 유속에 정확히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26a)와 하우징(26b)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베인(26c)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베인(26c)은 공기의 배출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프로펠러의 날개와 같은 형상의 베인(26c)이 공기의 진행방향으로 소정구간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수단(30)은 실내의 천장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배기구(32)와 상기 배기구(32)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에어덕트(60)에 전달하는 배출배관(3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구(32)는 실내의 천장에 일부가 노출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구(32)의 노출되는 일면에는 천장 부근의 공기와 냄새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멍(미도시)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32)는 유입되는 공기의 정화를 위해 내부에 필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입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별도의 모터가 더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배관(34)은 수평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장착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배기구(32)에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5)의 유입공(25a)이 형성되는 상하 또는 좌우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82)과, 상기 가이드 레일(82)을 따라 이동하면서 유입공(25a)의 면적을 조절하는 판 형상의 가이드(84)로 구성되는 공기조절수단(80)이 더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배관(34)은 수평이나 경사지게 상기 에어덕트(60)에 연통되어 장착되고, 일측에는 상기 연결배관(23)의 삽입 장착을 위한 연결공(34a)이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중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환기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들을 나타내며, 도 7 및 도 8의 멀티환기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침니형으로 구성되는 레인지 후드(20)가 박스형으로 구성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이때, 침니형으로 구성되는 레인지 후드(20)와 박스형으로 구성되는 레인지 후드(20)는 구성이 동일 및 유사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레인지 후드(20)는 박스형 중에서도 팬모터가 양흡입팬(22a)인 경우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 상단부(21c)의 내부에 장착되는 팬모터는 양흡입팬(22a)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흡입팬(22a)의 일측에는 배기수단(30)의 배출배관(34)이 연결되고, 상기 양흡입팬(22a)의 타측에는 상기 연결배관(23)이 연결된다.
즉, 상기 배기수단(30)의 배출배관(34)의 끝단은 양흡입팬(22a)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배관(23)은 상기 양흡입팬(22a)의 타측인 상부에 결합되어 에어덕트(60)나 주택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양흡입팬(22a)의 구성을 갖는 멀티환기시스템은, 레인지 후드(20)의 작동시 양흡입팬(22a)만을 이용하여 조리시 발생하는 열기와 냄새를 케이스(21)를 통해 흡입하고, 더불어 배출배관(34)에 연결된 배기구(32)를 통해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를 함께 흡입하여 연결배관(23)과 사이폰관(26)을 통해서 에어덕트(60)나 주택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유입공(25a)에 의해 상부케이스(25)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 또한 상기 사이폰관(26)을 통해 에어덕트(60)나 주택 외부로 함께 배출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례로 구성되는 박스형의 멀티환기시스템(10)의 설치 일례를 들어가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의 천장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배기구(32)와 상기 배기구(32)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단독주택의 외부나 공동주택의 에어덕트(60)에 전달하는 배출배관(34)으로 구성되는 배기수단(30)을 천장 부근에 장착한다.
그리고,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형성되며 내부에는 필터(21b)가 구비되는 후드 하단부(21a)와 상기 후드 하단부(21a)의 중앙부분이나 일측면에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후드 상단부(21c)로 구성되는 케이스(21)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21)의 상부에는 천장 부근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공(25a)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25)를 장착한 후, 오염공기를 모터의 동력을 이용해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팬모터(22)를 상기 후드 상단부(21c)의 내부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22)의 상부로 역류방지용의 뎀퍼(24)와 연결배관(23)을 절곡 형성한 후 상기 배기수단(30)의 배출배관(34)에 삽입 장착한다.
이때, 상기 팬모터(22)와 뎀퍼(24) 사이에는 상부케이스(25)의 유입공(25a)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사이폰관(26)과 배출배관(34)의 끝단 부분에 마감뎀퍼(24a)를 더 장착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환기시스템(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레인지 후드(20)를 작동하게 되면 조리시 발생하는 열기 및 공기는 팬모터(22)를 통해서 케이스(21)와 연결배관(23)을 거쳐 배출배관(34)에 전달되어 최종 에어덕트(60)에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는 상부케이스(25)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공(25a)과 사이폰관(26)을 거쳐 배출배관(34)에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 팬모터(22)의 작동에 따라 케이스(21)를 거친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와 열기는 거의 전부가 연결배관(23)을 따라 배출배관(34)에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되며, 더불어 유입공(25a)을 통해서 유입된 천장 부근의 정체된 공기는 사이폰관(26)의 케이스(26a)와 하우징(26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서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속에 공기가 빨려들어 기준보다 더 많은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좀더 보충 설명하면, 상기 팬모터(22)를 통해서 케이스(21)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면서 더불어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 또한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부품을 통한 규정된 효율보다 높은 환기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배관(34)의 공기는 상기 연결배관(23)을 통해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환기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10 : 멀티환기시스템 20 : 레인지 후드
21 : 케이스 22 : 팬모터
23 : 연결배관 24 : 뎀퍼
25 : 상부케이스 26 : 사이폰관
30 : 배기수단 32 : 배기구
34 : 배출배관 40 : 급기수단

Claims (6)

  1. 실내 일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해 장착되는 급기수단(4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외부와 연통되는 공동주택의 에어덕트(60)나 일반주택의 외부에 전달하는 배출배관(34)으로 구성되는 배기수단(30);
    주방에서 조리시 발생하는 공기 및 열기를 팬모터(22)를 통해서 흡입하는 케이스(21)와, 상기 팬모터(22)에서 공급되는 오염공기를 전달하고 도중에는 역류방지용의 뎀퍼(24)가 구비되는 연결배관(23)과, 상기 케이스(21)의 상부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장착되는 상부케이스(25)로 형성되는 레인지 후드(20)로 구성되는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23)의 끝단(23a) 부분이 배기수단(30)의 배출배관(34)에 삽입 연통되고, 상기 상부케이스(25)의 상부에는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공(25a)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1)를 통해서 유입되는 냄새와 열기를 배출하면서 상기 상부케이스(25)의 유입공(25a)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팬모터(22)와 뎀퍼(24) 사이에 장착되는 이중관 형태의 사이폰관(26);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인지 후드(20)의 작동시 팬모터(22)만을 이용해서 조리시 발생하는 열기와 냄새를 상기 케이스(21)를 통해 배출하고 더불어 천장 부근의 공기와 조리시 케이스(21)를 벗어난 냄새와 열기를 유입공(25a) 및 사이폰관(26)을 통해서 유입하여 외부로 함께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환기시스템.
  2. 실내 일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해 장착되는 급기수단(4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외부와 연통되는 공동주택의 에어덕트(60)나 일반주택의 외부에 전달하는 배출배관(34)으로 구성되는 배기수단(30);
    주방에서 조리시 발생하는 공기 및 열기를 팬모터(22)를 통해서 흡입하는 케이스(21)와, 상기 팬모터(22)에서 공급되는 오염공기를 전달하고 도중에는 역류방지용의 뎀퍼(24)가 구비되는 연결배관(23)과, 상기 케이스(21)의 상부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장착되는 상부케이스(25)로 형성되는 레인지 후드(20)로 구성되는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팬모터(22)는 양흡입팬(22a)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흡입팬(22a)의 일측에는 배기수단(30)의 배출배관(34)이 연결되며, 상기 양흡입팬(22a)의 타측에는 상기 연결배관(23)이 연결되고, 상기 상부케이스(25)의 상부에는 천장 부근에 정체되어 있는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공(25a)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1)를 통해서 유입되는 냄새와 열기를 배출하면서 상기 상부케이스(25)의 유입공(25a)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양흡입팬(22a)의 타측에 연결되는 연결배관(23)의 후단에 장착되는 이중관 형태의 사이폰관(26);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인지 후드(20)의 작동시 양흡입팬(22a)만을 이용해서 조리시 발생하는 열기와 냄새를 상기 케이스(21) 및 배출배관(34)을 통해 배출하고 더불어 상기 유입공(25a)을 통해 상부케이스(25)에 유입된 냄새와 열기를 상기 사이폰관(26)을 통해서 외부로 함께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환기시스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폰관(26)은,
    중공형 형상으로 공기의 진행방향을 향할수록 유로의 지름이 좁아지는 케이스(26a)와,
    상기 케이스(26a)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우징(26b)과,
    상기 케이스(26a)와 하우징(26b)을 연결해주면서 공기를 진행방향으로 안내해 주는 다수의 베인(26c)으로 구성되는 이중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환기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의 에어덕트(60)나 일반주택의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배관(34)과 연결배관(23)의 끝단(23a) 부근에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마감뎀퍼(24a)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환기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34)에 연결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실내의 천장에 일부가 노출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구(32)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기구(32)의 천장에 노출되는 일면에는 천장 부근의 공기와 냄새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유입된 공기의 정화를 위한 필터와 흡입 효율 증대를 위한 모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환기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 후드(20)를 구성하는 케이스(21)의 후드 하단부(21a)와 후드 상단부(21c)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각각의 통로(21d, 21e)가 형성되고, 상기 각 통로(21d, 21e)의 상부나 하부에는 슬라이딩 작동하는 개폐도어(72)와, 상기 개폐도어(72)를 수동 또는 전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작동바(74)를 포함하는 개폐장치(7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환기시스템.
KR1020100027535A 2010-03-26 2010-03-26 멀티환기시스템 KR100990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535A KR100990488B1 (ko) 2010-03-26 2010-03-26 멀티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535A KR100990488B1 (ko) 2010-03-26 2010-03-26 멀티환기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818A Division KR100985440B1 (ko) 2007-11-02 2008-03-24 멀티환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354A KR20100038354A (ko) 2010-04-14
KR100990488B1 true KR100990488B1 (ko) 2010-10-29

Family

ID=4221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535A KR100990488B1 (ko) 2010-03-26 2010-03-26 멀티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3378B (zh) * 2015-11-20 2018-07-27 德胜(苏州)洋楼有限公司 抽油烟机安装座
CN109425000A (zh) * 2017-08-23 2019-03-05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油烟机及其双风机系统、负压引流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637Y1 (ko) * 2005-04-21 2005-06-29 (주)대양기연 역류방지담파
KR200429243Y1 (ko) * 2006-07-05 2006-10-19 황석훈 주방용 후드 구조
KR200436780Y1 (ko) * 2006-12-07 2007-10-02 김송이 후드겸용 통합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637Y1 (ko) * 2005-04-21 2005-06-29 (주)대양기연 역류방지담파
KR200429243Y1 (ko) * 2006-07-05 2006-10-19 황석훈 주방용 후드 구조
KR200436780Y1 (ko) * 2006-12-07 2007-10-02 김송이 후드겸용 통합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354A (ko) 201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585066U (zh) 一种厨房空气调节系统
CN110360616B (zh) 厨房空气调节系统
CN1316204C (zh) 通风系统
WO2018133316A1 (zh) 新风空调
KR100730716B1 (ko) 환기유니트가 일체로 구비되는 공기조화 시스템
CN205402825U (zh) 油烟机
KR20050023790A (ko) 룸 에어컨의 공기 배출 구조
KR100990488B1 (ko) 멀티환기시스템
WO2009057923A2 (en) Multiple ventilation system
WO2019184506A1 (zh)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JP5741880B2 (ja) 窓戸用の換気装置
KR20080019357A (ko) 공기조화기
CN204187744U (zh) 窗式室外机及空调器
KR100985440B1 (ko) 멀티환기시스템
KR101843856B1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KR20050118784A (ko) 창문형 환기시스템
US6711913B1 (en) Air conditioner with self-producing oxygen capability
KR20110040454A (ko) 주방 배기시스템
KR101167864B1 (ko) 실내공기 순환용 급배기 장치
JPH04292735A (ja) レンジフード
CN205536160U (zh) 一种换气式空调器
KR100713303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CN107490038A (zh) 抽油烟机的一种换气方法
CN113883557B (zh) 一种集成烹饪器具
CN220038562U (zh) 一种制冷式吸油烟机的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