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395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395B1
KR100990395B1 KR1020080111740A KR20080111740A KR100990395B1 KR 100990395 B1 KR100990395 B1 KR 100990395B1 KR 1020080111740 A KR1020080111740 A KR 1020080111740A KR 20080111740 A KR20080111740 A KR 20080111740A KR 100990395 B1 KR100990395 B1 KR 100990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ata
transmission
antenna
us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2867A (ko
Inventor
최지연
송유승
김윤주
박현구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11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395B1/ko
Priority to US12/615,813 priority patent/US20100118816A1/en
Publication of KR20100052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송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송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송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연집에러는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QoS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로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송신 프레임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프레임 정보를 출력하는 프레임 생성부와, 상기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단위로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스케줄링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출력하는 스케줄링부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프레임을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도록 매칭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정합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80111740
다중 주파수 밴드, 다중 안테나,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QoS(Quality of Service)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송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송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은 원거리에 위치한 단말들간 음성 통화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으로, 크게 유선 시스템과 무선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과 시스템간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이동성에 제약을 받게 된다. 반면에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의 특성으로 인하여 데이터 전송이 불안정할 수 있고, 유선 통신 시스템에 비하여 저속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최근 기존의 주요 서비스였던 음성뿐만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서비스에서도 다양한 어 플리케이션을 만족시킬 수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전송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는 대용량인 멀티미디어 패킷도 존재한다. 따라서 대용량 멀티미디어 패킷을 전송할 수 있기 위해 보다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각 서비스들은 다양한 특성들을 가지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이하 "QoS"라 함)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패킷과 다양한 종류의 QoS를 갖는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넓은 전송 대역폭과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QoS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전송 및 QoS 향상을 위해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고, 다이버시티를 통한 이득을 취하기 위한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법 중 대표적인 예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 이하 "MIMO"라 함)기술이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밴드의 대역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여러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중 주파수 밴드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MIMO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MIMO는 여러 개의 안테나를 조합하여 데이터 송/수신의 대역을 넓히는 무선 통신 기술이다. MIMO는 여러 안테나로 동시에 서로 다른 데이터를 송신하여, 수신 시에 합성함으로써 광대역화와 통신의 고속화가 가능하다. 이론상 안테나가 2개면 2배, 3개면 3배로 대역폭이 늘어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선 랜(Wireless LAN)의 경우에 이용 가능한 주파수가 한정되어 있어, 한명의 사용자당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넓혀서 속도나 도달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엑세스 포인트를 늘려서 한정된 공간에서 여러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를 적용하면 주파수 대역의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여러 안테나에서 여러 경로를 통해 전파가 닿기 때문에, 장애물이 많이 있는 환경에서의 송/수신이 안정되어 통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중 주파수 밴드 기술은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대역폭을 증가시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그만큼 많은 양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중 주파수 밴드 기술은 단일 밴드 전송기술에 비하여 여러 주파수 밴드에서 분산시켜 전송함으로써, 무선 환경이 나빠졌을 경우에 나타나는 연속된 전송에러 즉, 연집에러를 줄일 수 있다.
다중 주파수 밴드와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 시스템은 다수의 전송경로를 이용하여 동시에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다수의 전송 경로를 사용함으로써, 경로에 의한 수신 에러는 서로 다른 비율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를 제어하기 위해 다중 주파수 밴드와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 시스템에서는 물리 계층이 다중 송신 주파수 밴드 또는 다중 송신 안테나에 대하여 동일한 송신 방식을 이용하는 방식과, MAC 계층과는 별도로 시스템 전송률을 높이기 위하여 각각의 안테나에 대하여 서로 다른 변조방식과 코딩방식을 적용 하고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상기한 다중 주파수 밴드와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다수의 주파수 밴드와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기지국 장치(120)는 다수의 안테나를 가지며, 단말장치들(131, …, 132)과 다수의 안테나 또는/및 다수의 밴드를 통해 각 단말장치로 제공할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120)는 단말 장치들(131, …, 132)로부터 다수의 안테나 또는/및 다수의 밴드를 통해 전송되어 온 데이터를 수신한다. 기지국 장치(120)는 데이터 통신 장치 또는 데이터 통신망(1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유선의 데이터 통신 장치 또는 데이터 통신망(110)과 연결된 것을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단말장치들(131, …, 132)은 각각이 데이터 통신 장치 또는 데이터 통신망(141, …, 142)과 연결될 수도 있고, 하나의 데이터 통신망과 연결될 수도 있다. 단말장치들(131, …, 132)과 데이터 통신장치 또는 데이터 통신망들(141, …, 142)과의 연결은 유선 또는/및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유선으로 연결된 것을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의 동작 과정을 살펴본다. 데이터 통신장치 또는 데이터 통신망(110)으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한 기지국 장치(120)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다수의 주파수 밴드 또는/및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31, …, 132)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무선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단말 장치(131, …, 132)에서 다수개의 주파수 밴드와 다수개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어 단말장치(131, …, 132)에 연결된 데이터 통신장치 또는 데이터 통신망(141, …, 142)으로 전달된다.
또한 단말장치(131, …, 132)에 연결된 데이터 통신장치 또는 데이터 통신망(141, …, 142)은 단말 장치(131, …, 132)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단말 장치(131, …, 132)는 수신된 데이터를 다수개의 주파수 밴드와 다수개의 안테나를 통하여 기지국 장치(120)로 무선으로 송신한다. 기지국 장치(120)는 다수개의 주파수 밴드와 다수개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기지국 장치(120)에 연결된 데이터 통신장치 또는 데이터 통신망(110)으로 전달한다.
도 2a 및 도 2b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대한 계층별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상기 도 1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중 기지국 장치(120)와 단말장치(131, …, 132)에서의 계층을 기준으로 하여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여 송신측 데이터의 전송 과정을 계층별 역할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서비스 데이터 정합장치(211)는 데이터 통신장치 또는 데이터 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MAC 계층 송신 처리장치(212)로 전달한다. MAC 계층 송신 처리장치(212)는 서비스 데이터 정합장치(21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프레임 생성부(212a)는 해당 망의 전송방식에 적절한 프레임을 구성하여 물리계층 송신 처리장치(213)로 전달한다. 물리 계층 송신 처리장치(213)는 MAC 계층 송신 처리장치는(212)에서 구성된 프레임들을 수신한다. 변조부(213a)는 전달받은 데이 터를 망에 적합한 변조방식을 선택하여 변조를 수행하고, 코딩부(213b)는 전송하고자 하는 망의 무선 환경 및 전송속도에 적합하게 데이터를 코딩한다. 전송부(213c)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주파수를 결정하고 송신 안테나(214)로 전달한다. 송신 안테나(214)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일반적인 물리계층에서 수행되는 기능 중 본 발명에서 불필요한 기능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b를 참조하여 수신측 데이터의 전송 과정을 계층별 역할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물리계층 수신 처리장치(222)는 수신 안테나(221)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물리계층 수신 처리장치(222)의 수신부(222c)는 수신 안테나(221)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디코딩부(222b)는 물리계층 송신 처리장치(213)의 코딩부(213b)에서 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또한 물리계층 수신 처리장치(222)의 복조부(223a)는 물리계층 송신 처리부(213)의 변조부(213a)에서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고 MAC 계층 수신 처리장치(223)로 전달한다. MAC 계층 수신 처리장치(223)는 물리 계층 수신 처리장치(22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오류점검부(223a)는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 여부를 점검하고, 패킷 스케쥴러(223b)는 데이터를 정렬한 후 서비스 데이터 정합장치(224)로 전달한다. 또한 수신측 서비스 데이터 정합장치(223)는 MAC 계층 수신 처리장치(22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일반 사용자인지 데이터 통신장치나 데이터 통신망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데이터의 목적지가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경우, 상위계층 응용장치(226)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데이터의 목적지가 다른 망으로 전송을 하는 중계기 또는 기지국일 경우에는, 송신부(225)를 통하여 전송하고자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나 데이터 통신망에게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방식은 MAC 계층이 데이터 패킷을 여러 개의 주파수 밴드나 여러 개의 안테나에 적절한 스케쥴링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스케쥴링 방식을 적용하여 처리한다. 그러므로 채널 상태가 악화되어 일부 주파수 밴드나 일부 안테나를 통한 전송 경로의 에러율이 급격히 증가할 경우, 패킷 손실율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MAC계층에서 데이터 패킷을 독립된 주파수와 대역폭에 맞는 스케쥴링을 이용하여 연집에러를 피하고, 전송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송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집에러는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QoS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 신 장치로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송신 프레임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프레임 정보를 출력하는 프레임 생성부와, 상기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단위로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스케줄링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출력하는 스케줄링부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프레임을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도록 매칭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정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송신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단위로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스케줄링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프레임을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도록 매칭하여 상기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중 주파수 또는 다중 밴드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데이터 전송 속도의 증가와 연집에러의 감소 및 요구되는 QoS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 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기능적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이용하여 다중 주파수 밴드와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MAC 계층 송신 처리장치와 물리 계층 송신 처리장치를 기능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다중 주파수 밴드와 다중 안테나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매체라 칭하기도 한다. MAC 계층 송신 처리장치에는 타이밍 신호 발생부(310), MAC 프레임 생성부(320), 송신 스케쥴링부(330), 제 1 송신 메모리(340), 송신 데이터 정합부(350), 제 2 송신 메모리(360), 물리 계층 제어신호 발생부(370)로 구성된다. 또한 물리계층 송신 처리장치(380)는 MAC 계층 송신 처리장치(21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송신 안테나(214)로 전달한다. 물리 계층 송신 처리 장치(380)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도 3에서는 내부에 블록들을 도시하지 않았다.
도 3의 기능별 블록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타이밍 신호 발생부(310)는 MAC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타이밍 신호들을 만들어 각각의 기능별 블록에게 제공한다. MAC 프레임 생성부(320)는 서비스 데이터 정합장치(2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레임의 특성에 맞는 MAC 프레임을 구성하여 제 1 송신 메모리(340)에 저장한다. 그리고 MAC 프레임 생성부(320)는 MAC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MAC 프레임 제어 정보를 송신 스케쥴링 부(330)에 전달한다. MAC 프레임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프레임의 길이, 순차 번호, 프레이 지정된 제 1송신메모리 주소 등이 있다.
송신 스케쥴링부(330)에는 각각의 주파수 밴드와 각각의 안테나 대하여 독립적인 스케쥴러가 존재한다. 송신 스케쥴링부(330)는 MAC 프레임 생성부(320)로부터 받은 MAC 프레임 제어 정보를 각각의 독립적인 스케쥴러들에게 제공한다. 송신 스케쥴링부(330)의 각각의 스케쥴러는 해당 주파수 밴드나 해당 안테나를 통하여 미리 정의된 시간동안 송신할 수 있는 만큼의 송신 MAC 프레임 목록을 작성하고, 작성된 송신 MAC 프레임 목록들을 송신 데이터 정합부(350)에 보낸다.
송신 데이터 정합부(350)는 송신 스케쥴링부(330)로부터 각각의 주파수 밴드 또는 각각의 안테나에 대한 송신 MAC 프레임 제어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송신 메모리 주소를 이용하여 MAC 프레임을 읽어 제 2 송신 메모리(360)에 전달한다. 제 2 송신 메모리(360)는 일반적으로 FIFO(First Input First Output)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작의 설명에 필요한 경우 FIFO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송신 메모리(360)는 송신 데이터 정합부(350)로부터 전달받은 MAC 프레임을 각각의 주파수 밴드 또는 각각의 안테나별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각각의 FIFO에 저장한다. 그리고 물리계층 송신 처리장치(380)는 송신 타이밍에 맞추어 송신 FIFO부로부터 MAC 프레임을 호출하고 변조 및 코딩과정을 거쳐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으로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기능적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전술한 도 3과 대비하여 살펴보면, 무선 환경 품질 측정 장치(410)를 더 포함한다. 무선 환경 품질 측정 장치(410)는 일반적으로 수신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는 송신기에서 전송되어 온 신호의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이를 다시 송신기로 궤환한다. 따라서 도 4에서는 수신기로부터 무선 환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구성이 된다. 이 외에도 실제로 송신기와 수신기간 무선 환경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장비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무선 환경 품질 측정을 위한 장비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도 3과 차이를 가지는 부분에 대하여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QoS를 제공하기 위하여 추가된 무선환경 품질 측정 장치(410)는 주파수 밴드 또는 안테나 각각의 채널 품질 정보를 수집하여, 송신 스케쥴링부(420)에 전송한다. 채널 품질 정보를 수신한 송신 스케쥴링부(420)가 이를 참고하여 각각의 주파수 밴드 또는 각각의 안테나로 송신할 MAC 프레임의 우선순위 및 데이터양을 결정한다.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무선 환경 품질 측정 장치(410)는 물리계층 수신 처리장치 또는 MAC 계층 수신 처리장치에 존재한다.
무선 환경 품질 측정 장치(410)로부터 QoS를 위한 정보를 받은 송신 스케쥴링부(420)는 MAC 프레임 생성부(440)의 MAC 프레임 제어신호를 기준으로 망이나 사용자가 요구하는 QoS 정도에 따라 스케쥴링을 차등적으로 적용한다. 비디오나 음성 데이터와 같은 높은 수준의 QoS를 요구하는 MAC 프레임은 채널 품질이 좋은 주파수 밴드 또는/및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되며, 결정된 주파수 또는/및 안테나를 담당하는 스케쥴러에게 할당된다. 그리고 FTP 데이터와 같은 낮은 수준의 QoS를 요구하는 MAC 프레임은 채널 품질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밴드나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되며, 주파수 또는/및 안테나를 담당하는 스케쥴러에게 할당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다중 주파수 밴드와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여 고속 전송 및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 환경 품질 측정 장치(410)에서 무선 채널의 품질을 측정하여 그 정보를 송신측에 궤환함으로써 망이나 사용자 요구에 맞는 QoS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다수의 주파수 밴드와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
도 2a 및 도 2b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대한 계층별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기능적 내부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기능적 내부 블록 구성도.

Claims (9)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하고자 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프레임 생성부;
    상기 프레임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다중 주파수 밴드 및 다중 안테나에 대해 스케쥴링하고, 상기 스케쥴링에 상응한 송신 프레임 목록을 작성하는 스케쥴링부; 및
    상기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프레임 목록에서 소정 프레임을 읽는 데이터 정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쥴링부는, 상기 다중 주파수 밴드 및 다중 안테나에서 각 주파수 밴드 및 각 안테나 별로 복수의 스케쥴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케쥴러들은, 상기 각 주파수 밴드 및 각 안테나를 통해,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한 프레임을 상기 송신 프레임 목록에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제어 정보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순차 번호, 및 상기 프레임의 메모리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정합부는, 상기 메모리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프레임 목록에서 상기 각 주파수 밴드 및 각 안테나 별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한 프레임을 읽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주파수 밴드 및 각 안테나 별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한 프레임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한 프레임을 호출하여 상기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상기 각 주파수 밴드 및 각 안테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주파수 밴드 및 각 안테나 별로 채널 품질 정보를 수집하는 품질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케쥴링부는,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각 주파수 밴드 및 각 안테나 별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한 프레임의 우선수위 및 데이터 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하고자 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다중 주파수 밴드 및 다중 안테나에 대해 스케쥴링하는 단계;
    상기 스케쥴링에 상응한 송신 프레임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프레임 목록에서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한 프레임을 읽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한 프레임을 호출하여 상기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상기 다중 주파수 밴드 및 다중 안테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프레임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 주파수 밴드 및 다중 안테나에서 각 주파수 밴드 및 각 안테나 별로, 상기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한 프레임을 상기 송신 프레임 목록에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제어 정보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순차 번호, 및 상기 프레임의 메모리 주소를 포함하며,
    상기 읽는 단계, 상기 메모리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프레임 목록에서 상기 각 주파수 밴드 및 각 안테나 별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한 프레임을 읽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 주파수 밴드 및 다중 안테나에서 각 주파수 밴드 및 각 안테나 별로 수집된 채널 품질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각 주파수 밴드 및 각 안테나 별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한 프레임의 우선수위 및 데이터 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KR1020080111740A 2008-11-11 2008-11-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0990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740A KR100990395B1 (ko) 2008-11-11 2008-11-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US12/615,813 US20100118816A1 (en) 2008-11-11 2009-11-10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740A KR100990395B1 (ko) 2008-11-11 2008-11-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867A KR20100052867A (ko) 2010-05-20
KR100990395B1 true KR100990395B1 (ko) 2010-10-29

Family

ID=4216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740A KR100990395B1 (ko) 2008-11-11 2008-11-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18816A1 (ko)
KR (1) KR100990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4051B1 (en) 2010-03-03 2017-05-03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to indicate space requirements for communicating capabilities of a device
EP2367386B1 (en) 2010-03-12 2020-08-12 BlackBerry Limited Timing advance enhancements for cellular communications
EP4033824A1 (en) 2010-03-12 2022-07-27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on st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n a random access channel
EP2367393B8 (en) * 2010-03-12 2015-12-30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on St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an Enhanced Random Access Channel
EP2367394B1 (en) 2010-03-12 2015-11-25 BlackBerry Limited Base st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transmissions on an enhanced random access channel
KR20150002316A (ko) * 2013-06-28 2015-01-07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용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2720A1 (en) * 2005-07-06 2007-02-22 Zhengang Pan MIMO communication system and user schedul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668B1 (ko) * 2005-11-04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JP4898786B2 (ja) * 2006-03-24 2012-03-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基地局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2720A1 (en) * 2005-07-06 2007-02-22 Zhengang Pan MIMO communication system and user schedul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18816A1 (en) 2010-05-13
KR20100052867A (ko)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196B1 (ko) Mmr 확장된 802.16e 시스템을 위한 중앙집중식 스케줄러 중계국
US10645709B2 (en) Packet data transmission in a MIMO system
CN101965707B (zh) 通信系统中的软缓冲存储器配置
EP1334571B1 (en) A transmission scheduler for a multiple antenna wireless cellular network
US85939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packet data on a subset of carrier frequenci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56985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US8660058B2 (en) Relay node,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9143223B2 (en) Relay station,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5506861B2 (ja) チャネル品質情報を転送す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チャネル品質指示情報を取得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99039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0872415B1 (ko) 중계기를 사용하는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전송장치 및 방법
WO2002039763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US20110305190A1 (en) Relay node, relay method, base st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system
US200201594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the transmission of wireless data
CN102821361A (zh) 通信设备、通信方法和通信系统
US20220271800A1 (en)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EP3533271A1 (en) Configuration of transmission order of uplink data
US11956089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2821428A (zh) 通信设备、通信方法和通信系统
US820841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radio network, a radio network and a receiver
US9124394B2 (en) Physical channel bundling in data transmission
JP2008507168A (ja) データ無線伝送システム内での受信局選定方法
CN116131867A (zh) 蓝牙音频发送设备、接收设备、相关方法及系统
KR100939440B1 (ko)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 확장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5294A (ko)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