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319B1 - 배드민턴 발광기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발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319B1
KR100990319B1 KR1020080079699A KR20080079699A KR100990319B1 KR 100990319 B1 KR100990319 B1 KR 100990319B1 KR 1020080079699 A KR1020080079699 A KR 1020080079699A KR 20080079699 A KR20080079699 A KR 20080079699A KR 100990319 B1 KR100990319 B1 KR 10099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dminton
cover
shaped
light emitter
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1883A (ko
Inventor
최성민
Original Assignee
최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민 filed Critical 최성민
Priority to KR1020080079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319B1/ko
Publication of KR20080081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3Frames characterised by throat sections, i.e. sections or element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35Frames with easily dismountable parts, e.g. heads, shafts or gri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6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enabling use in the dark, other than powered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드민턴 발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드민턴 라켓의 T형목부 전후면에 T형목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드민턴 발광기를 착탈식으로 설치하며, 배드민턴 발광기의 전면커버에는 엘이디와 수은전지와, 스위치가 설치되어서 야간에도 배드민턴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라켓프레임(2)에 다수줄로 배드민턴줄(3)를 바둑판모양으로 설치하고 라켓프레임(2)의 하방에는 하측에 손잡이를 설치한 봉형태의 자루부(5)가 T형목부(4)에 의해 연결된 배드민턴 라켓(1)의 T형목부(4) 전후방에 배드민턴 발광기(6)를 착탈식으로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배드민턴 발광기(6)는 전면커버(7)와 후면커버(8)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전후면커버(7,8)는 T형목부(4)의 전후면에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전후면커버(7,8)의 내향부에 T형홈부(14,14a)가 형성되고, T형홈부(14,14a)의 상부에 배드민턴줄(3)이 삽입되는 반원홈 형태의 상부줄홈(15,15a)이 형성되며 전후면커버(7,8)의 T형홈부(14,14a)의 양측에 전후면커버(7,8)를 착탈식으로 조립시키기 위한 조립날개부(18,18a)가 형성되고 조립날개부(18,18a)에는 서로 끼움식으로 조립될 끼움구멍(16)과 끼움돌기(17)가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커버(7)의 외향부에는 배드민턴줄(3)측으로 불빛을 비추어주는 엘이디(11)가 설치되고, 엘이디(11) 하측의 전면커버(7)에는 수은전지(12)와 스위치(13)가 설치되며, 수은전지(12)는 전지커버(9)에 의해 가려지게 설치되고, 전지커버(9)는 나사(10)로서 전면커버(7)에 착탈식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드민턴 라켓, 배드민턴 발광기, 엘이디, 수은전지, 스위치

Description

배드민턴 발광기{Luminous device for badminton}
본 발명은 배드민턴 발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드민턴 라켓의 T형목부 전후면에 T형목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드민턴 발광기를 착탈식으로 설치하며, 배드민턴 발광기의 전면커버에는 엘이디와 수은전지와, 스위치가 설치되어서 야간에도 배드민턴을 즐길 수 있도록 하되, 본 발명의 배드민턴 발광기를 발광기가 설치되지 아니한 일반적인 공지된 배드민턴 라켓(이하, 전구 비장착라켓이라 칭함)에 쉽게 장착하여 전구 비장착라켓으로도 간편하게 불빛을 발광시키면서 배드민턴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도 배드민턴 라켓에서 불빛이 발광되는 것이 특허 및 실용신안으로 출원된 것이 다수가 존재하고 있는데, 이들은 배드민턴 라켓의 라켓프레임에 엘이디(전구)를 설치하고 주로 손잡이 내측에 건전지를 삽입시켜서 엘이디를 발광시키도록 하였으며, 엘이디에서 발광되는 불빛이 라켓프레임과 배드민턴줄를 밝혀주어 야간에도 배드민턴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특허 및 실용신안으로 출원은 되었지만 제품화되지 않았는데, 그 것들이 제품화되지 아니한 이유는 엘이디(전구)가 주로 라켓프레임에 설치 되고 건전지는 손잡이의 내측에 설치하며, 엘이디와 건전지를 전선으로 연결을 하는데 그 전선이 라켓프레임과 자루부, 그리고 손잡이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결해야 하므로 그 설치작업이 어려운 문제와, 배드민턴 라켓으로 셔틀콕을 타격할 때 엘이디가 설치된 부분으로 셔틀콕을 타격할 염려가 있고, 엘이디가 설치된 부분으로 셔틀콕을 타격하게 되면 엘이디가 파손되어 제품의 신뢰도에 손상을 주므로 종래의 선출원건 들이 제품화되지 못한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드민턴 라켓의 T형목부 전후면에 T형목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드민턴 발광기를 착탈식으로 설치하며, 배드민턴 발광기의 일측면에는 엘이디와 수은전지와, 스위치가 설치되어서 셔틀콕을 타격시 엘이디가 후면으로 가도록 하여 셔틀콕을 타격함으로서, 엘이디가 손상되지 않으면서 야간에도 배드민턴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본 발명의 배드민턴 발광기를 전구 비장착라켓에 쉽게 장착하여 전구 비장착라켓으로도 간편하게 불빛을 발광시키면서 배드민턴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켓프레임에 다수줄로 배드민턴줄를 바둑판모양으로 설치하고 라켓프레임의 하방에는 하측에 손잡이를 설치한 봉형태의 자루부가 T형목부에 의해 연결된 배드민턴 라켓의 T형목부 전후방에 배드민턴 발광기를 착탈식으로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배드민턴 발광기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전후면커버는 T형목부의 전후면에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전후면커버의 내향부에 T형홈부가 형성되고, T형홈부의 상부에 배드민턴줄이 삽입되는 반원홈 형태의 상부줄홈이 형성되며 전후면커버의 T형홈부의 양측에 전후면커버를 착탈식으로 조립시키기 위한 조립날개부가 형성되고 조립날개부에는 서로 끼움식으로 조립될 끼움구멍과 끼움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커버의 외향부에는 배드민턴줄측으로 불빛을 비추어주는 엘이디가 설치되고, 엘이디 하측의 전면커버에는 수은전지와 스위치가 설치되며, 수은전지는 전지커버에 의해 가려지게 설치되고, 전지커버는 나사로서 전면커버에 착탈식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드민턴 발광기는, 배드민턴 라켓의 T형목부 전후면에 T형목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드민턴 발광기를 착탈식으로 설치하며, 배드민턴 발광기의 일측면에는 엘이디와 수은전지와, 스위치가 설치되어서 셔틀콕을 타격시 엘이디가 후면으로 가도록 하여 셔틀콕을 타격함으로서, 엘이디가 손상되지 않으면서 야간에도 배드민턴을 즐길 수 있는 장점과, 본 발명의 배드민턴 발광기를 전구 비장착라켓에 쉽게 장착하여 전구 비장착라켓으로도 간편하게 불빛을 발광시키면서 배드민턴을 즐길 수 있음으로서, 적은 비용으로 전구 비장착라켓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발광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배드민턴 발광기(6)는 배드민턴 라켓(1)의 T형목부(4) 전후방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며 전면커버(7)와 후면커버(8)로 분리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드민턴 라켓(1)은 공지된 것으로 계란형으로 형성되는 라켓프레임(2)에 다수줄로 배드민턴줄(3)를 바둑판모양으로 설치하고 라켓프레임(2)의 하방에는 하측에 손잡이를 설치한 봉형태의 자루부(5)가 T형목부(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후면커버(7,8)는 T형목부(4)의 전후면에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전후면커버(7,8)의 내향부에 T형홈부(14,14a)가 형성되고, T형홈부(14,14a)의 상부에 배드민턴줄(3)이 삽입되는 반원홈 형태의 상부줄홈(15,15a)이 형성되며 전후면커버(7,8)의 T형홈부(14,14a)의 양측에 전후면커버(7,8)를 착탈식으로 조립시키기 위한 조립날개부(18,18a)가 형성되고 조립날개부(18,18a)에는 서로 끼움식으로 조립될 끼움구멍(16)과 끼움돌기(17)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커버(7)의 외향부에는 배드민턴줄(3)측으로 불빛을 비추어주는 엘이디(11)가 설치되고, 엘이디(11) 하측의 전면커버(7)에는 수은전지(12)와 스위치(13)가 설치되며, 이때, 수은전지(12)는 전지커버(9)에 의해 가려지게 설치되고, 전지커버(9)는 나사(10)로서 전면커버(7)에 착탈식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엘이디(11)는 전면커버(7)에 상향 형성되는 엘이디 설치구멍에 끼움식으로 설치되며, 엘이디(11)와 수은전지(12)의 단자부, 스위치(13)는 서로 통 전되게 연결되는 것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과 동일한 것을 적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배드민턴 발광기(6)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드민턴 라켓(1)의 T형목부(4) 전후면에 서로 마주 보면서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되도록 되어서 T형목부(4)의 전후면에 전후면커버(7,8)를 마주 대하게 결합시킨다.
이 전후면커버(7,8)의 조립 결합은 각각의 T형홈부(14,14a)가 T형목부(4)의 전후면에 끼워 맞춤식으로 삽입되면서 상측의 상부줄홈(15,15a)으로는 배드민턴줄(3)이 통과할 수 있게 하면서 각각의 조립날개부(18,18a)에 형성된 양측 끼움돌기(17)를 그에 대응하는 끼움구멍(16)에 끼움으로서 전후면커버(7,8)를 T형목부(4)의 전후면에 결합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17)의 선단부는 끼움구멍(16) 보다 크게 형성되어서 끼움구멍(16)에 엊기끼움식으로 끼워지며, 일단 삽입이 이루어지면 끼움구멍(16) 보다 끼움돌기(17)의 선단부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끼움구멍(16)에서 끼움돌기(17)가 빠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전후면커버(7,8)를 T형목부(4)의 전부면에서 서로 결합시킴에 따라 배드민턴 발광기(6)의 설치가 완료된 것이며, 전후면커버(7,8)의 T형홈부(14,14a)의 수평부와 수직부의 단면형상이 모두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전후면커버(7,8)가 합쳐지면서 T형목부(4)의 전체면을 감쌈에 따라 배드민턴 라켓(1)으로 셔틀콕을 타격하여 반복적인 충격이 가해짐에도 불구하고 전후면커버(7,8)가 T형목부(4)의 전후 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준다.
이와 같이 배드민턴 발광기(6)가 배드민턴 라켓(1)에 설치된 상태에서 엘이디(11)를 발광시키고자 할 때는 스위치(13)를 온(on)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수은전지(12)의 전원이 엘이디(11)에 인가되어 엘이디(11)는 발광되게 되고, 그 엘이디(11)의 불빛이 라켓프레임(2) 내측의 배드민턴줄(3)를 환하게 비추어 주어 야간에 배드민턴을 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배드민턴라켓(1)으로 셔틀콕을 타격할 때는 배드민턴 발광기(1)의 전면커버(7)가 후방을 향하고 후면커버(8)가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셔틀콕을 타격해야 한다.
그 이유는 불빛을 발광하며 비춰주는 엘이디(11)와 수은전지(12)와, 스위치(13)가 전방커버(7)에 설치되어서, 셔틀콕을 타격할 때 전면커버(7) 측으로 셔틀콕을 타격하면 엘이디를 비롯한 수은전지 설치부, 스위치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면커버가 후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배드민턴 라켓으로 셔틀콕을 타격하면 엘이디를 비롯한 수은전지 설치부, 스위치가 손상되이 않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배드민턴 라켓의 T형목부에 후면커버를 끼운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드민턴 라켓 2 : 라켓프레임 3 : 배드민턴줄
4 : T형목부 5 : 자루부 6 : 배드민턴 발광기
7 : 전면커버 8 : 후면커버 9 : 전지커버
10 : 나사 11 : 엘이디 12 : 수은전지
13 : 스위치 14,14a : T형홈부 15,15a : 상부줄홈
16 : 끼움구멍 17 : 끼움돌기 18,18a :조립날개부

Claims (1)

  1. 라켓프레임(2)에 다수줄로 배드민턴줄(3)를 바둑판모양으로 설치하고 라켓프레임(2)의 하방에는 하측에 손잡이를 설치한 봉형태의 자루부(5)가 T형목부(4)에 의해 연결된 배드민턴 라켓(1)의 T형목부(4) 전후방에 배드민턴 발광기(6)를 착탈식으로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배드민턴 발광기(6)는 전면커버(7)와 후면커버(8)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전후면커버(7,8)는 T형목부(4)의 전후면에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전후면커버(7,8)의 내향부에 T형홈부(14,14a)가 형성되고, T형홈부(14,14a)의 상부에 배드민턴줄(3)이 삽입되는 반원홈 형태의 상부줄홈(15,15a)이 형성되며 전후면커버(7,8)의 T형홈부(14,14a)의 양측에 전후면커버(7,8)를 착탈식으로 조립시키기 위한 조립날개부(18,18a)가 형성되고 조립날개부(18,18a)에는 서로 끼움식으로 조립될 끼움구멍(16)과 끼움돌기(17)가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커버(7)의 외향부에는 배드민턴줄(3)측으로 불빛을 비추어주는 엘이디(11)가 설치되고, 엘이디(11) 하측의 전면커버(7)에는 수은전지(12)와 스위치(13)가 설치되며, 수은전지(12)는 전지커버(9)에 의해 가려지게 설치되고, 전지커버(9)는 나사(10)로서 전면커버(7)에 착탈식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발광기.
KR1020080079699A 2008-08-11 2008-08-11 배드민턴 발광기 KR100990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699A KR100990319B1 (ko) 2008-08-11 2008-08-11 배드민턴 발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699A KR100990319B1 (ko) 2008-08-11 2008-08-11 배드민턴 발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883A KR20080081883A (ko) 2008-09-10
KR100990319B1 true KR100990319B1 (ko) 2010-10-26

Family

ID=40021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699A KR100990319B1 (ko) 2008-08-11 2008-08-11 배드민턴 발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3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029A (en) 1977-06-17 1979-01-22 Nishiyama Seisakushiyo Kk Racket for badminton and its preparation
KR850003091Y1 (ko) * 1984-04-06 1985-12-23 문종삼 배드민턴 라켓의 프래임 연결편
KR200256516Y1 (ko) 2001-09-03 2001-12-13 임제이미 배드민턴 라켓의 발광장치
KR200363887Y1 (ko) 2004-07-16 2004-10-08 주식회사 손오공 발광 배드민턴 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029A (en) 1977-06-17 1979-01-22 Nishiyama Seisakushiyo Kk Racket for badminton and its preparation
KR850003091Y1 (ko) * 1984-04-06 1985-12-23 문종삼 배드민턴 라켓의 프래임 연결편
KR200256516Y1 (ko) 2001-09-03 2001-12-13 임제이미 배드민턴 라켓의 발광장치
KR200363887Y1 (ko) 2004-07-16 2004-10-08 주식회사 손오공 발광 배드민턴 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883A (ko)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36915A1 (en) Led flickering shoes
US8650777B2 (en) Illuminant shoe
US20080139347A1 (en) Multifunction badminton unit
US20150174459A1 (en) Beach ball including light-emitting device and light-emitting device accommodating groove
US8827848B1 (en) Illuminated badminton play set
KR100990319B1 (ko) 배드민턴 발광기
KR200407591Y1 (ko) 발광 볼링핀
CN202835129U (zh) Led灯串单元及显示屏
KR100953793B1 (ko) 셔틀콕용 엘이디 모듈의 장착구조
KR200301888Y1 (ko) 광섬유 발광수단을 구비한 라켓
CN216418306U (zh) 羽毛球拍玩具
CN218923733U (zh) 一种发光羽毛球
KR200320902Y1 (ko) 발광 화살
CN211328062U (zh) 一种发光羽毛球
KR20100000338U (ko) 셔틀콕
KR200395713Y1 (ko) 발광체를 이용한 배드민턴 운동기구 세트
KR200362981Y1 (ko) 발광 장치를 구비한 라켓
KR200256516Y1 (ko) 배드민턴 라켓의 발광장치
KR200403085Y1 (ko) 발광 셔틀콕
KR100659563B1 (ko) 발광 골프티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7301U (ko) 발광 탬버린
KR200377949Y1 (ko) 발광형 배드민턴 셔틀콕
KR200333646Y1 (ko) 발광장치를 갖춘 배드민턴 셔틀콕
KR200376544Y1 (ko) 배드민턴용 발광 셔틀콕
CN203090393U (zh) 一种发光羽毛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