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141B1 - 시클로옥시게나제-2 저해제 - Google Patents

시클로옥시게나제-2 저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141B1
KR100989141B1 KR1020080014364A KR20080014364A KR100989141B1 KR 100989141 B1 KR100989141 B1 KR 100989141B1 KR 1020080014364 A KR1020080014364 A KR 1020080014364A KR 20080014364 A KR20080014364 A KR 20080014364A KR 100989141 B1 KR100989141 B1 KR 100989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ne
pyrrole
phenyl
thiomethoxyphenyl
nm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759A (ko
Inventor
이재열
주동준
이경태
문종택
전지영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08/00267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140251A2/en
Publication of KR20080100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4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44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wo doubly-bound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5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7/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7/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7/60Two oxygen atoms, e.g. succinic anhyd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를 함유하는 시클로옥시게나제-2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1806716-pat00001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및 X는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시클로옥시게나제-2, 저해제, 항염증

Description

시클로옥시게나제-2 저해제{Cyclooxygenase-2 inhibitors}
본 발명은 1H-피롤 또는 푸란-2,5-디온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시클로옥시게나제-2(COX-2)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 보다 구체적으로 염증, 알레르기성 질환, 염증성 피부병, 면역성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관절염, 통증 또는 발열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는 염증유발에 관여하는 호르몬으로 시클로옥시게나제-1(COX-1)과 시클로옥시게나제-2(COX-2)가 있다. 시클로옥시게나제-1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H₁신타아제로도 불리우며 대부분의 조직에서 발현된다. 시클로옥시게나제-1에 의해 만들어진 프로스타글란딘 H1은 아라키돈산 대사산물의 합성 및 공급에 관여하여 위세포 보호, 신장기능, 혈소판 응축과 같은 생리과정을 조절한다. 한편 시클로옥시게나제-2는 프로스타글란딘 H2 신타아제로도 불리우며 프로스타글란딘 H2를 형성시켜 염증 및 통증을 유도한다. 그리고 시클로옥시게나제-2는 시클로옥시게나제-1과는 달리 자극을 받는 경우에만 발현된다.
아스피린이나 이부부루펜 등의 비스테로드이성 소염진통제(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ion drugs)는 시클로옥시게나제의 작용을 저해하여 프로스타글란딘의 생합성을 억제하고 이를 통하여 약물 효과를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시클로옥시게나제-2의 작용을 억제하여 염증유발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시클로옥시게나제-1도 또한 억제하게 되어, 신경독성, 위궤양 등의 부작용 등을 함께 일으킨다. 그러므로 궁극적으로는 시클로옥시게나제-2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소염진통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상품화된 시클로옥시게나제-2의 억제제는 화이자(Pfizer)사의 Celecoxib(Celebrex), Valdecoxib(Bextra), 및 머크(Merck)사의 Rofecoxib(Vioxx) 등이 있다. Celecoxib(Celebrex) (a)은 관절염 및 극도의 고통 완화에도 사용된다. Rofecoxib(Vioxx) (b)도 고통과 염증 완화에 사용된다. Valdecoxib(Bextra) (c)는 류머티즘과 관절염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Figure 112008011806716-pat00002
그러나, 2004년 머크사의 Rofecoxib(Vioxx)가 심혈관계 기관의 부작용으로 시장에서 퇴출됐으며, 화이자사의 Celecoxib(Celebrex)와 Valdecoxib(Bextra)도 심장마비와 뇌졸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어 처방에 제한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이 약물들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약물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보다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구조의 시클로옥시게나제-2의 선택적 억제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검토한 결과,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우수한 시클로옥시게나제-2 저해 활성을 가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시클로옥시게나제-2 저해 효과가 우수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활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시클로옥시게나제-2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시클로옥시게나제-2 저해 효과가 우수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1806716-pat00003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기, C1-C5의 저급 알콕시기, R5C(=O)O, R5S, R5S(=O), R5S(=O)2, NH2S(=O)2, R5C(=O)NH, 또는 (R5C(=O))2N이거나,
R2 및 R3는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R4는 수소, R5S, R5S(=O) 또는 R5S(=O)2이고,
R5는 C1-C5의 저급 알킬기이며,
X는 O 또는 NH이다.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기, R5C(=O)O, R5S, R5S(=O)2, 또는 NH2S(=O)2인 것이 바람직하며, R5는 메틸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C1-C5의 저급 알콕시기는 탄소수 1 내지 5개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콕시기를 의미하며, 메톡시, 에톡시, 프로판옥시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헤테로사이클은 산소, 황 및 질소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가진 4 내지 7각형 고리를 의미하며, 디옥솔레인, 디옥산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C1-C5의 저급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5개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 중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그룹에서 선택된다.
3-(3-메톡시페닐)-4-페닐-1H-피롤-2,5-디온;
3-벤조[1,3]디옥솔-5-일-4-페닐푸란-2,5-디온;
3-벤조[1,3]디옥솔-5-일-4-페닐-1H-피롤-2,5-디온;
3-(3,4-디히드록시페닐)-4-페닐-1H-피롤-2,5-디온;
3-(3,4,5-트리히드록시페닐)-4-페닐-1H-피롤-2,5-디온;
3-(4-티오메톡시페닐)-4-페닐푸란-2,5-디온;
3-(4-티오메톡시페닐)-4-페닐-1H-피롤-2,5-디온;
3-(4-메탄설포닐페닐)-4-페닐-1H-피롤-2,5-디온;
3-(4-아미노설포닐페닐)-4-페닐-1H-피롤-2,5-디온;
3-(4-아세톡시페닐)-4-(4-메탄설포닐페닐)푸란-2,5-디온;
3-(4-히드록시페닐)-4-(4-티오메톡시페닐)-1H-피롤-2,5-디온; 및
3-(4-아세트아미노페닐)-4-(4- 티오메톡시페닐)푸란-2,5-디온.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 2 및 3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하기 반응식에 기재된 방법은 본 발명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된 방법을 예시한 것일 뿐 단위조작의 순서, 반응시약, 반응조건 등은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08011806716-pat00004
상기 반응식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란-2,5-디온 유도체(3)는 출발물질로 페닐글리옥살 산(1)과 페닐아세틱 산(2)을 무수초산하에서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이때 무수 초산은 반응물과 동시에 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온도는 상온에서 130℃까지 가능하며, 가장 바람직한 온도는 약 100℃이다. 반응 시간은 2시간에서 10시간이 바람직하며, 약 3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다. 촉매로는 산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티타늄클로리드(TiCl4), BF3(OEt)2, 티오닐 클 로리드(SOCl2)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1H-피롤-2,5-디온 유도체(4)는 푸란-2,5-디온 유도체들부터 얻을 수 있다. 푸란-2,5-디온 유도체(3)를 메탄올,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및 헥사메틸디실라잔(HMDS)으로 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온도는 상온이 적당하며, 반응시간은 10 내지 36시간이 바람직하고 12시간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암모니아 가스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때의 용매는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등의 저급 알콜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R1, R2 및/또는 R3가 히드록시기인 본 발명의 1H-피롤-2,5-디온 유도체(5)는 R1, R2 및/또는 R3가 알콕시기이거나,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디옥솔레인 또는 디옥산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1H-피롤-2,5-디온 유도체(4)로부터 탈알킬화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탈알킬화제로는 삼브롬화붕소(BBr3), 아이오도트리메틸실란(TMSI), 알루미늄클로라이드 (AlCl3)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식 2]
Figure 112008011806716-pat00005
상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H-피롤-2,5-디온 유도체(4)는 페닐아세틱 산(2)을 아실 클로리드로 변환시킨 후 암모니아 수로 처리하여 페닐아세트아마이드(6)를 합성하고, 에스터 화합물(7)과 축합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응식 1 및 2에서 사용되는 페닐글리옥살 산(1) 및 에스터 화합물(7)은 하기 반응식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112008011806716-pat00006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시클로옥시게나제-2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 구체적으로는 염증, 알레르기성 질환, 염증성 피부병, 면역성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관절염, 통증, 또는 발열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적으로 (복용 또는 흡입) 또는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정맥주사, 피하주사, 경피흡수, 직장투여 등) 투여될 수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정제, 캡슐제, 과립제, 파인 서브틸래 (fine subtilae), 분제, 설하 정제, 좌약, 연고, 주사제, 유탁액제, 현탁액제, 약물처리된 시럽제 등 여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여러 형태의 약제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disintegrator), 윤활제, 방부제, 항산화제, 등장제 (isotonic agent), 완충제, 피막제, 감미제, 용해제, 기제 (base), 분산제, 안정제, 착색제 등 상기 형태의 약제에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carrier)를 사용하는 공지기술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함량은 약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중량%의 농도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되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종류, 질환의 정도 및 의사의 판단 등에 따라 넓은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화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체중 1kg당 하루에 활성성분 0.01 내지 50 mg이 투여될 수 있고, 비경구투여의 경우에는 체중 1kg당 하루에 활성성분 0.01 내지 10 mg이 투여될 수 있다. 상술한 일일 투여량은 한번에 또는 나누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질환의 정도 및 의사의 판단에 따라 임의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우수한 시클로옥시게나제-2 저해 활성을 나타내며 세포독성이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증, 알레르기성 질환, 염증성 피부병, 면역성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관절염, 통증, 또는 발열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실시예 1: 3- 벤조[1,3]디옥솔 -5-일-4- 페닐푸란 -2,5- 디온(MCR-3004)의 제조
벤조포믹 산(1.67 g)와 3,4-(메틸렌이옥시)페닐아세틱 산(2 g)을 무수초산(20 ml)에 녹여 3시간 동안 가열환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상온에서 식힌 후 과량의 물로 데캔테이션(decantation)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 수용액으 로 중화시키고 초산에틸로 3회 추출한 후,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탄올과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노란색 고체 생성물(2.93 g, 90 %)을 얻었다.
1H NMR(400 MHz, DMSO-d6) δ 7.50-7.44(5H, m, Ph), 7.06-7.00(2H, m, PhOCH2O), 6.89(1H, m, PhOCH2O), 6.10(2H, s, PhOCH 2 O)
13C NMR(100 MHz, DMSO-d6) δ 165.6, 149.9, 147.9, 138.4, 137.2, 130.9, 129.8, 129.3, 128.2, 125.3, 121.4, 109.5, 109.3, 102.3.
실시예 2: 3- 벤조[1,3]디옥솔 -5-일-4- 페닐 -1 H -피롤-2,5- 디온(MCR-3005)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화합물(0.68 g, 2.311 mmol)를 DMF(5 ml)에 녹이고 HMDS(4.88 ml, 23.11 mmol)을 가한 후, 메탄올(0.47 ml, 11.555 mmol)을 가하고 상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 혼합물을 초산에틸로 3회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n-헥산:EtOAc = 3:1)로 정제한 후, 에탄올과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노란색 고체 생성물(0.61 g, 89 %)을 얻었다.
1H NMR(400 MHz, DMSO-d6)δ11.19(1H, s, -NH), 7.42-7.36(5H, m, Ph), 6.94(2H, s, PhOCH2O), 6.85(1H, s, PhOCH2O), 6.05(2H, s, PhOCH 2 O)
13C NMR(100 MHz, DMSO-d6) δ 171.5, 148.3, 147.1, 135.3, 129.5, 128.4, 124.4, 122.1, 109.3, 108.4, 101.4.
실시예 3: 3-(3,4- 디히드록시페닐 )-4- 페닐 -1 H -피롤-2,5- 디온(MCR-3006)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화합물(0.06 g, 0.190 mmol)을 CH2Cl2에 녹이고 BBr3(1.14 ml, 1.142 mmol)를 질소 대기하 -78 ℃에서 천천히 적가한 후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천천히 중화시키고 초산에틸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n-헥산:EtOAc = 3:1)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 생성물(0.01 g, 16 %)을 얻었다.
1H NMR(400 MHz, DMSO-d6) δ 7.42-7.36(5H, m, Ph), 6.88(1H, d, J = 2.0 Hz, Ph(OH)2), 6.73(1H, dd, J = 2.0 Hz, J = 8.4 Hz, Ph(OH)2), 6.68(1H, d, J = 8.4 Hz, Ph(OH)2)
13C NMR(100 MHz, DMSO-d6) δ 172.0, 171.8, 147.3, 145.0, 136.5, 133.8, 129.5, 116.9, 115.5.
실시예 4: 2- 페닐아세트아마이드의 제조
페닐아세틱 산(4.25 g, 31.216 mmol)에 티오닐 클로리드(10 ml)를 상온에서 적가하고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MF를 한 방울 적가하고 1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감압 하에서 반응 용매를 제거하고 CH2Cl2로 희석한 후 NH4OH(100 ml)를 천천히 가하였다.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이 종결되면 CH2Cl2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H2Cl2로 재결정하여 흰색의 고체 생성물(3.8 g, 90 %)을 얻었다.
1H NMR(400 MHz, DMSO-d6) δ 7.47(1H, s, -CONH 2 ), 7.30-7.20(5H, m, Ph), 6.87(1H, s, -CONH 2 )
13C NMR(100 MHz, DMSO-d6) δ 172.2, 136.5, 129.0, 128.1, 126.2, 42.2.
실시예 5: 에틸 (4- 티오메톡시 ) 옥소아세테이트의 제조
-5 ℃에서 무수 CH2Cl2에 무수 AlCl3(2.73 g, 21.97 mmol)와 에틸 클로로옥소아세테이트(3.5 ml, 31.33 mmol)를 적가하였다. 그런 다음, 티오아니졸(2.58 ml, 21.97 mmol)을 천천히 적가하고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 혼합물을 CH2Cl2로 3회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용 매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n-헥산:EtOAc = 3:1)로 정제하여 연한 노란색 오일 생성물(3.58 g, 73 %)을 얻었다.
1H NMR(400 MHz, DMSO-d6) δ 7.91(2H, d, J = 7.8 Hz, Ph), 7.45(2H, d, J = 7.8 Hz, Ph), 4.45(2H, q, J = 7.2 Hz, OCH 2 CH3), 2.60(3H, s, PhSCH 3 ), 1.37(3H, t, J = 7.2 Hz, OCH2CH 3 )
13C NMR(100 MHz, DMSO-d6) δ 187.3, 164.2, 136.0, 132.2, 130.2, 130.0, 62.8, 14.3.
실시예 6: 3-(4- 티오메톡시페닐 )-4- 페닐 -1 H -피롤-2,5- 디온(MCR-3011)의 제조
0 ℃에서 실시예 5에서 수득한 에틸 (4-티오메톡시페닐)옥소아세테이트(0.5 g, 2.229 mmol)와 실시예 4에서 수득한 2-페닐아세트아마이드(0.25 g, 1.850 mmol)를 무수 THF에 녹이고 NaH(0.2 g, 8.333 mmol)를 가한 후 2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0℃에서 진한 HCl(3 ml)를 천천히 가한 후 물을 넣어 희석시켰다. 초산에틸로 3회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무수 MgSO4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노란색 고체 생성물(0.37 g, 68 %)을 얻었다.
1H NMR(400 MHz, DMSO-d6) δ 11.2(1H, s, -NH), 7.42-7.37(5H, m, Ph), 7.35(2H, d, J = 8.3 Hz, PhSCH3), 7.24(2H, d, J = 8.3 Hz, PhSCH3), 2.47(3H, s, PhSCH 3 )
13C NMR(100 MHz, DMSO-d6) δ 172.1, 141.3, 136.5, 136.3, 130.5, 129.9, 129.4, 128.9, 125.6, 125.2, 14.5.
실시예 7: 3-(4- 메탄설포닐페닐 )-4- 페닐 -1 H -피롤-2,5- 디온(MCR-3014)의 제조
실시예 6에서 수득한 화합물(0.1 g, 0.339 mmol)을 CH2Cl2에 녹인 후 0 ℃로 냉각시켰다. m-CPBA(meta-Chloroperbenzoic acid)(0.15 g, 0.677 mmol)를 적가한 후 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0 % Na2S2O3을 넣어서 반응을 종결시킨 후 초산에틸과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증류수와 소금물로 세척한 다음,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n-헥산:EtOAc = 1:1)로 정제하여 연한 노란색 고체 생성물(0.09 g ,81%)을 얻었다.
1H NMR(400 MHz, DMSO-d6) δ 11.40(1H, s, -NH), 7.95(2H, d, J=8.40 Hz, PhSOCH3), 7.61(2H, d, J=8.40 Hz, PhSOCH3), 7.44-7.37(5H, m, Ph), 3.25(3H, s, -SCH 3 )
13C NMR(100 MHz, DMSO-d6) δ 171.7, 171.6, 141.7, 138.9, 134.5, 131.1, 130.4, 130.2, 129.0, 128.7, 127.4, 43.7.
실시예 8: 3-(4- 아미노설포닐페닐 )-4- 페닐 -1 H -피롤-2,5- 디온(MCR-3015)의 제조
에틸 (4-아미노설포닐페닐)옥소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수율: 68%).
1H NMR(400 MHz, DMSO-d6) δ 11.3(1H, s, -NH), 7.82(2H, d, J = 8.2 Hz, PhSO2NH2), 7.53(2H, d, J = 8.2 Hz, PhSO2NH2), 7.44(1H, s, PhSO2NH 2 ), 7.44-7.36(5H, m, Ph)
13C NMR(100 MHz, DMSO-d6) δ 171.3, 172.0, 144.5, 137.9, 135.4, 132.2, 130.2, 129.8, 129.7, 129.6, 128.5, 128.3, 128.0, 125.9, 125.6, 62.0.
실시예 9: (4- 티오메톡시 ) 옥소아세틱 산의 제조
실시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4 g, 17.835 mmol)에 2N NaOH (8.9 ml)를 상온에서 천천히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진한 HCl을 가하여 pH를 2로 맞추고 CH2Cl2로 3 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반응 혼합물을 CH2Cl2와 헥산으로 재결정하여 연한 노란색 고체 생성물(3.04 g, 87 %)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δ 8.23(2H, d, J = 8.6 Hz, Ph), 7.30(2H, d, J = 8.6 Hz, Ph), 2.54(3H, s, -SCH 3 )
13C NMR(100 MHz, CDCl3) δ 183.6, 162.1, 150.2, 131.5, 128.0, 124.9, 14.5.
실시예 10: 3-(4- 티오메톡시페닐 )-4- 페닐푸란 -2,5- 디온(MCR-3010)의 제조
실시예 9에서 수득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수율: 69%).
1H NMR (400 MHz, DMSO-d6) δ 7.50-7.45(5H, m, Ph), 7.34(2H, d, J = 8.5 Hz, Ph-SCH3), 7.31(2H, d, J = 8.5 Hz, Ph-SCH3), 2.50(3H, s, -SCH 3 )
13C NMR (100 MHz, CDCl3) δ 165.1, 142.5, 137.7, 137.0, 130.4, 129.7, 129.2, 128.7, 127.7, 125.1, 123.3, 13.8.
실시예 11: 3-(3,4,5- 트리메톡시페닐 )-4- 페닐푸란 -2,5- 디온(MCR-3007)의 제조
3,4,5-트리메톡시페닐아세틱 산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수율: 69 %).
¹H-NMR (400 MHz, DMSO-d6) δ 7.50 (s, 5H, aromatic-C6 H 5 ), 6.79 (s, 2H, C6 H 2 ), 3.72(s, 3H, -OCH3), 3.58(s, 3H, -OCH3)
¹³C-NMR (100 MHz, DMSO-d6) δ 164.9, 152.6, 139.5, 137.8, 137.6, 130.4, 129.3, 128.7, 127.7, 122.4, 107.1, 60.1, 55.6.
실시예 12: 3-(3- 메톡시페닐 )-4- 페닐 -1 H -피롤-2,5- 디온 ( MCR -3002)의 제조
3-(3-메톡시페닐)-4-페닐푸란-2,5-디온(1.022 g, 3.646 mmol)을 메탄올에 녹인 다음, 1,1,1,3,3,3-헥사메틸디실라잔(5.885 g, 36.46 mmol)와 DMF(5 ml)를 넣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중화시키고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고체를 얻었다. 석유에테르와 디에틸에테르로 고체를 세척하고 여과하여 노란색 고체 생성물(0.468 g, 46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DMSO-d 6) δ 10.38 (s, 1H, -NH), 7.46~7.24 (m, 5H, aromatic-C6 H 5), 7.04~6.89 (m, 4H, aromatic-C6 H 4 -OCH3), 3.67 (s, 3H, -OCH 3 )
13C NMR (100 MHz, CDCl3) δ 171.5, 159.2, 136.9, 136.5, 129.8, 129.5, 128.6, 128.3, 122.1, 115.7, 114.7, 55.0.
실시예 13: 3,4- 디페닐 -1 H -피롤-2,5- 디온 ( MCR -3001)의 제조
3,4-디페닐푸란-2,5-디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수율: 37%).
1H NMR (400 MHz, CDCl3 +DMSO-d 6): δ 10.88 (s, 1H, -NH), 7.50~7.33 (m, 10H, aromatic-C6 H 5)
13C NMR (100 MHz, CDCl3 + DMSO-d 6): δ 170.9, 135.9, 129.0, 128.8, 128.0, 127.7.
실시예 14: 3-(3,4,5- 트리메톡시페닐 )-4- 페닐 -1 H -피롤-2,5- 디온(MCR-3008)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3-(3,4,5-트리메톡시페닐)-4-페닐푸란-2,5-디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수율: 97%).
¹H-NMR (400 MHz, DMSO-d6) δ 11.27 (br, 1H, -NH), 7.42 (s, 5H, aromatic-C6 H 5 ),  6.72 (q, 2H, aromatic-C6 H 2 ), 3.69-3.67 (q, 3H, -OCH 3 ), 3.56 (s, 6H, -OCH 3 ).
¹³C-NMR (100 MHz, DMSO-d6) δ 172.1, 171.9, 152.9, 139.1, 136.7, 136.5, 130.1, 129.8, 129.4, 128.8, 124.3, 107.7, 60.6, 56.1.
실시예 15: 3-(3- 히드록시페닐 )-4- 페닐 -1 H -피롤-2,5- 디온 ( MCR -3003)의 제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3-(3-메톡시페닐)-4-페닐-1H-피롤-2,5-디온(0.2 g, 0.716 mmol)을 CH2Cl2 (24 ml) 에 녹인 후 -78℃에서 BBr3 (0.179 g, 0.716 mmol)를 천천히 가하였다. 상온으로 방치 후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종결된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중화시키고 초산에틸로 추출한 다음, 유기층을 포화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노란색 고체 생성물(100 mg, 50%)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8 (s, 1H, -NH),  7.46~7.43 (m, 5H, aromatic-C6 H 5), 6.92~6.81 (m, 4H, aromatic -C6 H 4OH)
13C NMR (100 MHz, CDCl3) δ 171.1, 171.6, 129.8, 129.3 128.9 128.2 120.5 116.5 60.1.
실시예 16: 3-(3,4,5- 트리히드록시페닐 )-4- 페닐 -1 H -피롤-2,5- 디온(MCR-3009)의 제조
실시예 14에서 수득한 3-(3,4,5-트리메톡시페닐)-4-페닐-1H-피롤-2,5-디온을 이용하여,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수율: 88%).
¹H-NMR (400 MHz, DMSO-d6): δ 7.39 (m, 5H, aromatic-C6 H 5 ), 6.42 (s, 2H, aromatic-C6 H 2 ).
실시예 17: 3-(4- 아세톡시페닐 )-4-(4- 메탄설포닐페닐 )푸란-2,5- 디온(MCR-3018)의 제조
실시예 9에서 수득한 (4-티오메톡시페닐)옥소아세틱 산과 (4-아세톡시페닐)아세틱 산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간체인 3-(4-아세톡시페닐)-4-(4-티오메톡시페닐)푸란-2,5-디온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수율: 26%).
¹H-NMR (400 MHz, DMSO-d6): δ8.04(2H, d, J = 8.8 Hz, aromatic-C6 H 2), 7.69(2H, d, J = 8.8 Hz, aromatic-C6 H 2), 7.50(2H, d, J = 8.6 Hz, aromatic-C6 H 2), 7.27(2H, d, J = 8.6 Hz, aromatic-C6 H 2), 3.28(3H, s, PhSO2CH 3), 2.28(3H, s, PhOCOCH 3).
실시예 18: 3-(4- 히드록시페닐 )-4-(4- 티오메톡시페닐 )-1 H -피롤-2,5- 디온(MCR-3019)의 제조
실시예 9에서 수득한 (4-티오메톡시페닐)옥소아세틱 산과 (4-아세톡시페닐)아세틱 산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간체인 3-(4-아세톡시페닐)-4-(4-티오메톡시페닐)푸란-2,5-디온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수율: 30%).
¹H-NMR (400 MHz, DMSO-d6): δ 11.08(1H, s, OH), 7.33(2H, d, J = 6.8Hz, aromatic-C6 H 2), 7.32-7.24(4H, m, aromatic-C6 H 4), 6.68-6.74(2H, m, aromatic-C6 H 2), 2.48(3H,s, CH 3S).
실시예 19: 3-(4- 아세트아미노페닐 )-4-(4- 티오메톡시페닐 )푸란-2,5- 디온(MCR-3026)의 제조
실시예 9에서 수득한 (4-티오메톡시페닐)옥소아세틱 산과 (4-아세트아미노페닐)아세틱 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수율: 59%).
¹H-NMR (400 MHz, DMSO-d6): δ 10.21(1H, s, NH), 7.65(2H, d, J = 8.8 Hz, aromatic-C6 H 2), 7.42(4H, t, J = 8.0 Hz, aromatic-C6 H 4), 7.33(2H, d, J = 8.8 Hz, aromatic-C6 H 2), 2.50(3H, s, SCH 3), 2.07(3H, s, PhNHCOCH 3).
상기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합물 중 대표적인 물질의 화학적 구조 및 분광학 데이터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표 1]
Figure 112008011806716-pat00007
Figure 112008011806716-pat00008
생리활성검색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생리활성은 RAW264.7 대식세포주에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였을 때 생성되는 PEG2(Prostaglandin E2)의 양을 50% 억제하는 농도(IC50)를 측정하였고, IC50값이 10 μM 이하의 값을 보이는 화합물들에 대하여 다시 PEG2의 생성에 관여하는 COX-2 효소의 활성을 50% 억제하는 농도(IC50)를 측정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세포독성은 MTT 분석법을 사용하여 세포 생존(viability) 값(IC50)을 측정하였다.
시험예 1: 대식세포주의 LPS -유도 PGE 2 생성 억제 검색
Raw264.7(마우스 대식세포주)는 한국 세포주 은행(KCLB)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10% FBS(Foetal Bovine Serum), 페니실린(100 유니트/mL), 스트렙토마이신 설페이트(100㎍/mL)가 포함된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37℃, 5% 이산화탄소의 습기있는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RAW264.7을 DMEM배지를 이용하여 5×105 세포/mL로 24 웰에 1 mL씩 시딩하고, 하룻밤 동안 방치한 후 배지를 갈아준 다음 약물을 적당 농도로 처리했다.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LPS를 1㎍/mL로 처리하고 24시간(혹은 적당한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상등액을 취하여 5배 희석했다. NSB(Non Specific Binding) 웰에 150μL의 분석 버퍼를 넣고, 100μL의 분석 버퍼를 영점 표준(B0) 웰에 넣었다. 나머지 웰에 100μL의 표준 샘플을 넣고 50μL의 PGE2 컨쥬게이트를 넣었다(NSB 제외). 50μL의 PGE2 항체 용액을 넣고 2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각 웰을 흡인(suction)하고 세척 버퍼로 5회 세척했다. 200μL의 pNPP(para-Nitrophenyl phosphate) 기질을 전체 웰에 넣고 1 시간 동안 상온 보관(bench 내에서)한 후 50μL의 정지액을 넣고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흡광도 값과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PGE2 생성량을 정량하고 LPS만 단독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50%를 저해하는 농도(IC50)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제시되는 값은 3회 평균값이다.
시험예 2: COX -2 활성 억제 검색
백그라운드 튜브에 970μL의 반응 완충액과 10μL의 헴(heme)을 넣고, 3분간 끊여 불활성화시킨 COX-2 단백질 10μL를 넣었다. COX-2 100% 초기 활성 튜브에 970μL의 반응 완충액과 10μL의 헴을 넣고 COX-2 단백질 10μL를 넣었다. COX-2 저해 튜브에는 950μL의 반응 완충액과 10μL의 헴을 넣고 COX-2 단백질 10μL와 표준 샘플 20μL를 넣었다. 모든 시험관을 37℃에서 10분간 방치시켰다. 아라치돈산 10μL를 넣고 보텍싱(vortexing) 후 37℃에서 2분간 방치시켰다. 1M HCl을 50μL 넣고 포화 염화주석 용액을 100μL 넣은 후 보텍싱하여 상온에서 5분간 방치하였다. NSB(Non Specific Binding) 웰에 100μL의 EIA(Enzyme ImmunoAssay) 버퍼를 넣고, 50μL의 EIA 버퍼를 영점 표준(B0) 웰에 넣었다. 나머지 웰에 백그라운드 샘플과 4000:1로 희석한 COX-2 100% 초기활성 샘플과 COX-2 저해 샘플을 50μL씩 넣었다. 전체 활성(TA)와 Blk(Bik-like killer)를 제외하고 PG(Prostaglandin) 스크리닝 트레이서(Screening Tracer)를 50μL씩 넣었다. PG 스크리닝 항혈청을 50μL씩 넣고(TA, NSB, Blk 제외) 18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각 웰을 흡 인하고 세척 버퍼로 5회 세척했다. 엘만 시약(Ellman's Reagent)를 200μL씩 넣고 TA 웰에만 트레이서 5μL를 넣었다. 차광하여 60~90분간 진탕한 후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흡광도 값과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COX-2 활성 억제를 측정하고 COX-2 100% 초기 활성 샘플 군과 비교하여 50%를 저해하는 농도(IC50)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제시되는 값은 3회 평균값이다.
시험예 3: 대식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측정
Raw264.7(마우스 대식세포주)를 10% FBS, 페니실린(100 유니트/㎖), 스트렙토마이신 설페이트(100㎍/mL)가 포함된 DMEM 배지에서 37℃, 5% 이산화탄소의 습기있는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들은 원심분리 및 스크래퍼로 수집하여, 10% FBS를 포함하는 RPMI(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1640 배지 100μL를 포함하는 96 웰 플레이트에 1×105 /웰을 넣었다. 3베타,4베타-에폭시-8a-이소부티릴옥시구아이아-1(10),11,(13)-디엔-12.6a-올라이드는 메틸설폭사이드(DMSO) 용매에 용해시켰으며, 모든 시험에서 DMSO의 농도는 0.1%를 초과하지 않았다. 하룻밤 경과 후, 시료 및 LPS (1 ㎍/mL)를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들을 한차례 세척한 후, 5 ㎎/mL의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를 함유하는 FBS 없는 배지 50 μL를 첨가하였으며, 37℃에서 4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내에서 형성된 포마잔 블루(formazan blue)를 100 μL의 DMSO에 녹인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 포 독성효과를 IC50 값으로 구하였다. IC50은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았을 때에 비하여 세포의 숫자가 50% 감소효과를 나타내는 농도를 의미한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제시되는 값은 3회 평균값이다.
[표 2]
Figure 112008011806716-pat00009

Claims (7)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염증, 알레르기성 질환, 염증성 피부병, 면역성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관절염, 통증 또는 발열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0040441491-pat00010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기, C1-C5의 저급 알콕시기, R5C(=O)O, R5S, R5S(=O), R5S(=O)2, NH2S(=O)2, R5C(=O)NH, 또는 (R5C(=O))2N이거나,
    R2 및 R3는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디옥솔레인 또는 디옥산을 형성하고,
    R4는 수소, R5S, R5S(=O) 또는 R5S(=O)2이며,
    R5는 C1-C5의 저급 알킬기이고,
    X는 O 또는 NH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수소이고, R2 및 R3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디옥솔레인 또는 디옥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R1, R2 및 R3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기, R5C(=O)O, R5S, R5S(=O)2, 또는 NH2S(=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R5가 메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3-메톡시페닐)-4-페닐-1H-피롤-2,5-디온;
    3-벤조[1,3]디옥솔-5-일-4-페닐푸란-2,5-디온;
    3-벤조[1,3]디옥솔-5-일-4-페닐-1H-피롤-2,5-디온;
    3-(3,4-디히드록시페닐)-4-페닐-1H-피롤-2,5-디온;
    3-(3,4,5-트리히드록시페닐)-4-페닐-1H-피롤-2,5-디온;
    3-(4-티오메톡시페닐)-4-페닐푸란-2,5-디온;
    3-(4-티오메톡시페닐)-4-페닐-1H-피롤-2,5-디온;
    3-(4-메탄설포닐페닐)-4-페닐-1H-피롤-2,5-디온;
    3-(4-아미노설포닐페닐)-4-페닐-1H-피롤-2,5-디온;
    3-(4-아세톡시페닐)-4-(4-메탄설포닐페닐)푸란-2,5-디온;
    3-(4-히드록시페닐)-4-(4-티오메톡시페닐)-1H-피롤-2,5-디온; 및
    3-(4-아세트아미노페닐)-4-(4- 티오메톡시페닐)푸란-2,5-디온.
  6. 삭제
  7. 삭제
KR1020080014364A 2007-05-14 2008-02-18 시클로옥시게나제-2 저해제 KR100989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2677 WO2008140251A2 (en) 2007-05-14 2008-05-14 Cyclooxygenase-2 inhibit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6489 2007-05-14
KR1020070046489 2007-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759A KR20080100759A (ko) 2008-11-19
KR100989141B1 true KR100989141B1 (ko) 2010-10-20

Family

ID=4028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364A KR100989141B1 (ko) 2007-05-14 2008-02-18 시클로옥시게나제-2 저해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5732A (zh) * 2019-04-09 2022-01-07 纽罗比特科学有限公司 用于预防或治疗脊髓损伤或椎管狭窄的药物组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9539A2 (de) * 2001-11-09 2003-05-15 Merck Patent Gmbh Verwendung von endothelin-rezeptor-antagonisten zur behandlung von tumorerkrankung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9539A2 (de) * 2001-11-09 2003-05-15 Merck Patent Gmbh Verwendung von endothelin-rezeptor-antagonisten zur behandlung von tumorerkrankungen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06, Vol. 49, No. 4, pp. 1271-1281 *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06, Vol. 49, No. 4, pp. 1271-1281*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1990, Vol. 55, No. 10, pp. 3351-3362 *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1990, Vol. 55, No. 10, pp. 3351-3362*
Synlett., 2002, Vol. 6, pp. 947-951 *
Synlett., 2002, Vol. 6, pp. 947-95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759A (ko) 200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5824B1 (da) Styrylpyrazoler,-isoxazoler og analoge forbindelser farmaceutiske præparater med aktivitet mod 5-lipoxygenase eller cyclooxygenase eller............
US20050080024A1 (en) Nitric oxide donating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orders
AU2007253929B2 (en)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Lin et al. Antitumor agents 247. New 4-ethoxycarbonylethyl curcumin analogs as potential antiandrogenic agents
JP2004501147A (ja) 1,3−ビス−(置換フェニル)−2−プロペン−1−オン類およびvcam−1媒介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それらの使用
JP2015522547A (ja) カテコールo−メチ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活性阻害化合物
WO2008003978A2 (en) Dioxo-alkanes and dioxo-alkenes
EP1786773A1 (en) Isoindolin-1-one derivatives
JP6165744B2 (ja) Rasアンタゴニストによる悪性および非悪性疾患の治療
EP0351194A2 (en) Thiazole derivatives having a 5-lipoxygenase-inhibiting activity
Salian et al. Tailor made biheterocyclic pyrazoline-thiazolidinones as effective inhibitors of Escherichia coli FabH: Design, synthesis and structural studies
AU2002226225A1 (en) Novel 1,2-diphenylethene derivatives for treatment of immune diseases
EP1368306A1 (en) Novel 1,2-diphenylethene derivatives for treatment of immune diseases
EP0624575A1 (fr) Indoles substitués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US4935414A (en) New indolylpropanol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nd preparations containing the compounds
Scholz et al. Diaryl-dithiolanes and-isothiazoles: COX-1/COX-2 and 5-LOX-inhibitory, OH scavenging and anti-adhesive activities
WO2008140251A2 (en) Cyclooxygenase-2 inhibitors
KR100989141B1 (ko) 시클로옥시게나제-2 저해제
AU2007208125B2 (en)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Ruan et al. Discovery of pterostilbene analogs as novel NLRP3 inflammasome inhibitors for potential treatment of DSS-induced colitis in mice
US6143780A (en) N-arylmethylthioanilide compounds useful for the inhibition of the replication of HIV
CN110903224A (zh) 一种芳基磺酰胺类化合物、其制备方法、药物组合物及用途
US5089654A (en) Chalcone derivatives
CA2787860C (en) Substituted 2-imidazolidones and analogs and their use against cancer
KR101680455B1 (ko) N-페닐-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하이드라자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