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756B1 -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 Google Patents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756B1
KR100987756B1 KR1020080045218A KR20080045218A KR100987756B1 KR 100987756 B1 KR100987756 B1 KR 100987756B1 KR 1020080045218 A KR1020080045218 A KR 1020080045218A KR 20080045218 A KR20080045218 A KR 20080045218A KR 100987756 B1 KR100987756 B1 KR 100987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korean
tracking system
support
solar tr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281A (ko
Inventor
이용운
Original Assignee
백스씨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스씨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스씨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5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756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은, 발전량이 최대가 되는 고도각인 약 15 내지 30°가 되도록 남북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을 소정 풍속 이상에서 기준위치에 견고히 유지하기 위한 안전유닛과, 나란히 배열된 적어도 1 이상의 지지유닛을 1개의 구동부로 약 300° 범위 내에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유닛과, 상기 지지유닛 상에 배치된 태양광 발전모듈에 대해 주기적으로 살수하기 위한 살수유닛과, 상기 안전유닛, 상기 회동유닛, 및 상기 살수유닛을 간섭 없이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바람이 많고 경사면이 많은 한국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여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의 견고성을 유지하면서 발전량이 최대가 되는 고도에서 1개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태양을 추적할 수 있고, 전체 무게를 감소시켜서 무거운 자중에 의한 뒤틀림 및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태양광 모듈 표면의 먼지 등의 오염을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등에 의해서 발전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Figure R1020080045218
ㅁ자형강, ㄷ자형강, 베어링결합, 스토퍼부재, 자중, 스프링복원력

Description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KOREAN PHOTO-VOLTAIC TRACKING SYSTEM}
본 발명은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람이 많이 불고 경사면이 많은 한국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여 발전량이 최대가 되는 고도 각을 확보할 수 있고, 강풍 또는 돌풍 시에도 견고하게 지지되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추적시스템은 태양의 고도나 방위를 측정하거나 프로그램 또는 태양광 센서에 따라 태양광 발전장치나 태양광 집열장치의 태양광 발전모듈이 태양을 추적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태양전지(셀)"은 태양의 빛 또는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단위 유닛을 의미하며, "태양광 발전모듈"은 이러한 셀을 패키지화한 것이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 는 이러한 모듈을 여러 개씩 이어 용도에 맞게 구성한 것을 의미한다.
특히, "태양광 발전모듈"은 태양광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얻는 태양광 발전패널이나 태양광으로부터 열에너지를 얻는 태양광 발전패널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태양광 추적시스템은 이러한 태양광 발전모듈의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태양광 발전모듈의 수평면이 태양과 직각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동서로 태양광 위치만을 추적하는 단축추적식과 동서남북으로 태양을 추적하는 양축추적식으로 구분된다.
특히, 양축추적식은 발전량 증대 측면에는 유리하지만, 양축추적을 위해서 2개의 구동장치가 태양광 발전모듈 한 프레임마다 필요하며, 따라서 한 프레임에 탑재될 수 있는 태양광 발전모듈의 면적 및 수량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또한, 그 구동이 복잡하여 제어가 힘들며, 초기투자비용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산야 등 경사면이 많은 국내 지형에서는 종래 태양광 추적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 경사지에 절토 또는 성토를 통해 계단식 또는 평지로 부지 정리를 한 후 관련 설비를 설치하므로, 공사비가 많이 소요되고, 자연환경을 훼손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여러 문제 외에도 무거운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 및 프레임의 자중, 강풍 등에 의해서 프레임 또는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가 뒤틀리거나 처져서 설비가 파손된다면 그 경제적 손해는 매우 크다.
최근에 이러한 프레임 등의 뒤틀림 또는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많은 지지부재를 사용하는 방안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들을 지지 부재에 의해서 프레임 자중을 더욱 커지게 할 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구동장치 등을 필요로 하고, 이에 따라서 태양광모듈 탑재의 한계성, 설치비 및 유지보수 비용 증가와 같은 문 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태양광 추적시스템은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위치 고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특히 돌풍이 불거나 하면,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 등이 날아가거나 뒤집혀버릴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와이어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프레임을 고정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은 순간적인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어렵고, 무인운전을 기본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일기예보 청취 후 현장에 와서 뒤늦게 제어하는 것은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한편 시스템안정성 확보 측면에서도 큰 문제가 있다.
또한, 황사 및 먼지 등 이물질이 태양전지 표면에 쌓이게 되면 태양광 발전모듈의 발전효율이 떨어지고, 넓은 태양전지모듈 어레이를 수동으로 청소하려면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요약컨데, 건설 및 운영비용 과다, 발전시스템 불안정성, 발전효율 저하 등을 개선할 수 있는 한국 실정에 맞는 태양광 추적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 및 운용비용이 적고, 안정성과 발전효율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바람이 많이 불고 경사지가 많은 한국지형에 적합한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 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면적의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를 견고히 지탱할 수 있으면서도, 그 설치가 용이하고, 기존의 추적시스템에 비하여 적은 수의 경량 지지프레임으로 대면적의 태양광 발전모듈을 설치할 수 있고, 처짐이나 뒤틀림을 적게 하는 지지유닛을 갖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돌풍과 같은 순간적인 기후변화에 대해서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안전유닛을 갖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개의 구동부로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를 종래에 비해 큰 각도 범위 내에서 태양의 위치에 따라 동서로 회동시킬 수 있는 회동유닛을 갖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은, 발전량이 최대가 되는 고도각인 약 15 내지 30°가 되도록 남북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을 소정 풍속 이상에서 기준위치에 견고히 유지하기 위한 안전유닛과, 나란히 배열된 적어도 1 이상의 지지유닛을 1개의 구동부로 약 300° 범위 내에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유닛과, 상기 지지유닛 상에 배치된 태양광 발전모듈에 대해 주기적으로 살수하기 위한 살수유닛과, 상기 안전유닛, 상기 회동유닛, 및 상기 살수유닛을 간섭 없이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은, 지형의 경사면을 자연 그대로 최대한 존치함으로써 공사비 절감과 자연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은, 평지에서도 발전량이 최대가 되는 고도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서 큰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으며, 보다 대면적의 태양광 발전모듈을 장착할 수 있어서 단축 추적시스템일지라도 양축 추적시스템에 준하는 발전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은, 안전유닛,회동유닛, 및 살수유닛을 최소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구동시키며, 이들 유닛이 서로 간섭없이 구동할 수 있도록 지역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값을 이용하여 구동 제어되기 때문에 특정센서의 작동오류로 인한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의 오작동의 방지와 구동제어가 용이하며 전체적으로 시스템을 슬림화 또는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은 돌풍이 부는경우, 회동유닛의 정지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2차적으로 안전유닛이 자동으로 작동되어 시스템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건설부지 여건에 따라 규격화된 지지유닛을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건설 및 운영상 경제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은 내구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어느 지형에나 설치가 용이하며, 시공성이 좋고, 지지유닛의 연결 이 용이하여 적은 수의 지지유닛으로 대면적의 태양광 발전 모듈을 지지할 수 있으며 호환성이 좋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100)은,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를 포함한다. 이들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모듈(10)이 각각 평지 또는 경사지에 대해 남북으로 대략 15 내지 30°의 고도각이 유지되도록 높이에 차등을 갖는 지지유닛(110)에 의해서 지지 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는 지지유 닛(110)에 의해서 지지될 뿐만 아니라, 안전유닛(120)이 연결되어, 일출시간, 일몰시간, 야간 등과 같이 프로그램된 시기 뿐만아니라 돌풍 등과 같이 급작스러운 시기에 안전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의 각각의 지지유닛(110)이 하나의 구동부에 의하여 동시에 구동될 수 있도록 하나의 회동유닛(130)이 외팔보식으로 다른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와 링크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에는 상기 지지유닛(110)에 의해 지지 되는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0)에 대해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살수유닛(140)이 연결되어 있다.
이들 안전유닛(120), 회동유닛(130), 및 살수유닛(140)을 프로그램에 의하여 또는 돌풍이나 설비유지보수 등에 관한 외부 정보에 응답하여 제어하는 제어유닛(150)(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후술함)이 연결되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의 제어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100)의 제어유닛(150)은 예를 들어, 표 1에 나타낸 방위별 경사면 일사 량, 표 2에 나타낸 남향 면에서 월별 경사면 태양광 에너지, 표 3에 나타낸 계절별 경사면 태양광 에너지 등과 같이 지역, 고도, 방위, 일출시간 등에 대한 태양광 에너지에 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내부 메모리(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메모리(151)에는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의 현재 위치, 방위, 경사각도, 계절, 일출시간, 일몰시간 등을 고려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0)이 최적의 발전효율을 갖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50)은 상기 내부 메모리(151)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안전유닛(120), 상기 회동유닛(130), 및 상기 살수유닛(140)의 기본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프로세서(150a)와, 후술하는 광센서(152), 풍량센서(153), 설비유지보수를 위한 입력부(200) 등 외부에서 수신한 정보에 응답하여 이들을 안전모드로 구동하기 위한 제 2 프로세서(150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152), 풍량센서(153) 등은 설치부지규모에 따라 그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값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유닛(150)의 상기 제 2 프로세서(150b)는 이러한 대표값에 의해서 안전유닛(120), 회동유닛(130), 및 살수유닛(140)이 간단하면서도 서로 간섭없이 제어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광센서(152) 및 풍향센서(153)를 설치부지규모에 따라 그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곳에 적어도 3개 이상 설치하여 측정값을 수신하고, 이들 평균값의 오차범위를 크게 벗어나는 측정값을 제외한 평균값을 이용하여 시스템(100)을 안정적이며 단순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에 각각의 센서를 부착하여 각각 제어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 사이의 간섭 또는 오동작을 크게 줄여 시스템(100)의 안정성과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치부지규모에 따라 그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값을 이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유닛(150)은 유무선 통신부(154)에 의하여 인터넷 등으로 연결되어 중앙제어 컴퓨터(200) 등에 의해서 일괄적으로 대면적에 대해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100)의 제어방법은, 먼저 상기 제어유닛(150)의 제 1 프로세서(150a)가 현재의 위치, 계절 등을 고려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의 위치에 관한 프로그램을 선택한다(S10).
상기 제 1 프로세서(150a)는 상기 내부 메모리(151)에 저장된 프로그램 값이 안전모드인지여부를 판단한다(S20).
상기 내부 메모리(151)에 저장된 프로그램 값이 안전모드값인 경우, 예컨대,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의 경사각도가 약 0°내지 5°가 아니면(S21),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가 태양에 대해서 대략 수직한 집광면을 갖도록 상기 회동유닛(130)을 프로그램에 따라 구동시킨 후(S30), 상기 회동유닛(130)이 소정시간 동안 정지하도록 한다(S40). 이 때 상기 회동유닛(130)을 프로그램에 따라 구동시키기 전에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 전체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 안전유닛(120)과 회동유닛(130)이 간섭 하지 않도록 지연시간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로세서(150a)는 상기 회동유닛(130)이 소정시간 정지한 후, 프로그램값에 따른 진행 단계(S20)로 복귀한다(S40).
상기 내부 메모리(151)에 저장된 프로그램값이 안전모드값인 경우(S22), 예를 들어, 돌풍이 불거나 야간과 같이 수광량이 적어서 발전을 하는 것이 비효율적인 경우에는 상기 회동유닛(130)을 구동시켜,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가 안전모드 위치가 되게 하고(S50), 이어서 상기 안전유닛(120)을 구동시켜서 상기 지지유닛(130)외에 상기 안전유닛(120)에 의해서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가 안전모드에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S60).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가 안전모드에 프로그램된 시간 동안 유지되면(S70), 상기 제 1 프로세서(150a)는 상기 안전유닛(120)을 해제하고(S80), 상기 내부 메모리(151)에 저장된 프로그램값이 안전모드값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로 복귀한다.
이 때 상기 회동유닛(130)을 프로그램에 따라 구동시키기 전에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 전체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 안전유닛(120)과 회동유닛(130)이 간섭하지 않도록 지연시간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유닛(150)은 제 1 프로세서(150a)에 의해서, 예컨대, 프로그램에 따라 약 3 분 간격으로 소정 각도를 회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최적의 성능을 나타내도록 조정되기 때문에 센서방식 추적시스템에 비하여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돌풍과 같은 긴급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유닛(150)은 제 2 프로세서(150b)에 의해서 외부 감지부, 예를 들어 설치부지규모에 따라 그 지역을 대표하도록 대표적인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3개 이상의 광센서(152) 및 풍속센서(153) 등으로부터 외부정보를 수신한다(S110).
상기 제 2 프로세서(150b)는 수신된 외부정보로부터 평균값을 계산하여 오차범위를 훨씬 넘는 값을 제외하는 등의 보정을 하여 대표값을 추출하고(S120), 상기 대표값이 기준값, 예를 들면, 광량이 150W/m2 미만이 지속되거나, 풍속이 30m/s 이상인 경우(S131)에는 제 1 프로세서(150a)의 구동을 종료하게 한다(S140).
이어서, 상기 회동유닛(130)을 구동시켜,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를 안전모드로 이동시키며(S150),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가 보다 견고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안전유닛(120)을 자동적으로 구동시킨다(S160).
이어서, 상기 단계 S110으로 복귀하여(S170), 외부 정보를 수신하고, 대표값을 추출하여 해당 대표값이 기준값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S132), 상기 안전유닛(120)의 구동을 해제하고(S180), 상기 제 1 프로세서(150a)가 프로그램에 따라 구동하도록 구동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S190).
이때 상기 회동유닛(130)을 안전모드로 이동하기 전과, 상기 안전유닛(120)을 해제하고 상기 제 1 프로세서(150a)를 구동시키기 전에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 전체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 안전유닛(120)과 회동유 닛(130)이 간섭하지 않도록 지연시간을 갖도록 할 수 있다(S150', S18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프로세서(150a) 및 제 2 프로세서(150b)가 독자적으로 구동하면서도, 서로 피드백 제어하여, 제 2 프로세서(150b)에 의해서 안전유닛(120)과 회동유닛(140)의 구동이 제어될 때는 제 1 프로세서(150a)의 구동을 종료시키도록 하여, 상기 제 1 프로세서(150a)에 따른 제어와 상기 제 2 프로세서(150b)에 따른 제어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추적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의 지지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의 회동유닛 및 안전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A부, B부 및 C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이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표 1, 표 2, 및 표 3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100)은 일사량이 큰 남향을 향해 배치되는 것이 발전효율이 좋으며, 남향을 향할 경우에도 태양광 발전모듈(10)이 약 1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30°의 고도각을 갖도록 하는 것이 계절에 상관없이 전 기간에 걸쳐서 최고의 일사량을 받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34634686-pat00001
Figure 112008034634686-pat00002
Figure 112008034634686-pat00003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는 자연 그대로의 지형을 최대한 이용하여, 각각 평지 또는 경사지에서 남북으로 대략 15 내지 30°의 고도각이 유지되도록 길이 차등을 갖는 지지유닛(11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100)의 지지유닛(110)은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가 남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보부재(111)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보부재(111)가 남북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주 지지부재(112)와, 상기 지지보부재(111)와 상기 주 지지부재(112)를 결합시키는 ㄱ자형 결합부재(113)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가 태양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동서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주 지지부재(112)는 베어링 결합부재(114)를 매개로
Figure 112010032612256-pat00004
자형 보조 지지부재(115)에 단단히 용접 결합된다. 상기 보조 지지부재(115)는 I자형 또는 ㅁ자형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지주부재(116)가 플랜지를 이용하여 용접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결합부재(114)는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보조 지지부재(115)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 지지부재(115)에 상기 지주부재(116)가 상기 베어링 결합부재(114)와 오프셋되게 결합됨으로써 그 하중에 의해서 상기 지지보부재(111)상의 태양광 발전모듈의 힘을 분산 지탱하여, 지주부재(116) 사이의 거리를 줄여 줄 수 있기 때문에 적은 갯수의 지주부재(116)를 이용하여 대면적의 태양광 발전모듈(10)을 지탱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결합부재(114)는 회동축(114a)과, 상기 회동축(114a)을 둘러싸고 상기 지지보부재(111) 및 상기 보조 지지부재(115)에 대해 결합하는 힌지부(114b, 114c, 114d)와, 상기 힌지부(114b, 114c, 114d)내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114a)이 작은 힘에도 회동가능하게 하는 원통형 추력 베어링(114aa)을 포함하여, 하나의 구동부(131)의 적은 구동력에 의해서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가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 결합부재(114)의 후방에는 고정핀(114e)이 상기
Figure 112008034634686-pat00005
자형 보조 지지부재(115) 상으로부터 돌출결합되어 있어서, 회동축(114a)이 과도하게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0)이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Figure 112008034634686-pat00006
자형 보조 지지부재(115)에 대하여 적어도 2 이상의 지주부재(116, 116′)가 평지 또는 경사지에 대해서 남북으로 15 내지 30°의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서로 이격되어 끼어맞춤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지주부재(116, 116′) 사이에 적어도 1 이상의 지주부재(116")가 상기
Figure 112008034634686-pat00007
자형 보조 지지부재(115)에 대해 간단히 끼어맞춤에 의해서 현장에서 배치되어 지형이나 지반 특성을 고려하여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지주부재(116, 116’, 116”)는 서로 길이가 다르며, 예컨대, 상기 주 지지부재(112)가 남북으로 고도각 15 내지 30°를 갖도록 제 1, 제 2, 제 3 지주부재(116, 116’, 116”) 사이에 관계식 H(n+1)= H + (n+1)Ltan 15 내지 30° [H(n+1)은 (n+1)번째 지주부재의 높이, H는 제 1 높이가 작은 제 1 지주부재의 길이, L(n+1)은 제 1 지주부재와 (n+1)번째 지주부재 사이의 거리]을 만족하는 규격 내지 표준화되어 시공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상기 지주부재(116, 116’, 116”)의 하부는 상기 지주부재(116, 116’, 116”)를 결합부재(113')를 이용하여 체결부재(113a')에 의해서 콘크리트 블록이나 고강도의 산업폐기물 등으로 된 중량의 고정부재(119) 또는 산악지대의 암반 등에 그대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주부재(116, 116’, 116”)는 경사지를 절토 또는 성토하여 계단식으로 만들 필요 없이 그대로 결합부재(113′)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어서 공사비가 적게 소요되고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보부재(111) 및 상기 주 지지부재(112)는 알류미늄 또는 강철형강재로 된 ㅁ자형강부재 또는 다양한 규격을 가질 수 있는 ㄷ자형 부재로 구성되어 하중 또는 내구성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보부재(111) 및 상기 주 지지부재(112)가 다양한 규격을 가질 수 있는 ㄷ자형 부재로 구성되면, 케이블이나 배관을 정리하는 용도로도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케이블이나 배관 정리를 위하여 상기 지주부재(116, 116’, 116”)와 상기 보조지지부재(115)의 길이방향을 따라 ㄷ자형 수납부재(117: 117a, 117b)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보부재(111)에 대하여 안전유닛(120)이 작동하는 경우에, 회전 토크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거의 180°인 궁형 보조지지부재(118)가 용접에 의해서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궁형 보조지지부재(118)는 그 내주부를 따라서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1 이상의 돌출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9)에는 입구가 넓게 형성된 관통구(119a)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119a)의 직경은 후술하는 스토퍼(122)가 결합할 정도로 상기 스토퍼(122)의 직경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100)의 안전유닛(1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안전유닛(120)은, 상기 지지보부재(111)의 저부에 결합되고, 내주부를 따라서 적어도 1 이상의 돌출부(119)가 형성된 궁형 보조지지부재(118)와, 상기 돌출부(119)에 형성된 관통구(119a)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지주부재(116, 116’, 116”)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결합된 스토퍼부재(121)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부재(121)는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지주부재(116, 116’, 116”)에 각각 배치된 복수개의 스토퍼 케이스(121)내 스토퍼(122)가 하나의 구동부(126)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스(121) 내부에서 상기 스토퍼(122)가 탄성부재(123)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123)는 소정위치에서 상기 스토퍼(122)가 자중에 의하여 상기 궁형 보조지지부재(118)에 형성된 관통구(119a) 내에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탄성계수와 길이를 갖는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23)의 타단부에는 와이어(124)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124)는 가이드 롤러(127)에 의해서 안내되고, 장력제어부(125)(도 6c)에 의해서 제어되며 상기 지주부재(116)의 상단부 내지는 상기
Figure 112008034634686-pat00008
자형 보조부재(115)의 단부에 배치된 구동부(126)에 연결되어 단독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구동부(126)에 연결된 와이어(124)는 가이드 롤러(127)에 의해서 대향하는 다른 지주부재(116′, 116″) 또는 다른 어레이의 적어도 1 이상의 지주부재(116, 116’, 116”)에 결합된 스토퍼(122)에 연결되어, 하나의 구동부(126)에 의해서 복수개의 지주부재 또는 복수개의 어레이에 각각 결합된 스토퍼(122', 122")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6)는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전동식 액츄에이터(126a)와, 상기 전동식 액츄에이터 로드(126b)에 의해서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궁형 보조지지부재(118)의 넓은 입구를 갖는 관통구(119a)에 상기 안전유닛(120)의 스토퍼(122)가 자중과 상기 탄성부재(123)의 복원력에 의해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유닛(110)이 회동유닛(130)에 의해서 더 이상 회동하지 않고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부(126)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스토퍼(122, 122')가 상기 궁형 보조지지부재(118)에 잠금될 수 있어서 시스템이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50)의 제 2 프로세서(150b)는 풍속센서(153)로부터 풍속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풍속 측정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 1 프로세서(150a)에 의한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액츄에이터(126a)가 로드(126b)를 신장시켜서 상기 와이어(124)를 느슨하게 할 때, 상기 와이어(124)에 연결된 탄성부재(123)의 복원력 및 스토퍼(122)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돌출부(119)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상기 회동유닛(130)의 회동운동을 잠금할 수 있다.
또한 도 6a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프로세서(150b)는 상기 풍속센서(153)로부터 수신한 풍속값이 기준값 미만이 일정시간 동안 지속되면, 상기 액츄에이터(126a)의 로드(126b)가 후퇴하면서 상기 와이어(124)를 당길 때 장력에 의해서 상기 스토퍼(122)가 상기 돌출부(119)로부터 탈출되고, 상기 탄성부 재(123)는 수축되어 다음 구동을 준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의 회동유닛(130)은 도 6b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부재(116, 116′, 116″)중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부(131)와, 상기 구동부(131)에 연결된 제 1 로드(132)와, 상기 제 1 로드(132)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일단부(133a)가 결합되고 타단부(133b)에 제 3 로드(134)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 2 로드(133) 및 상기 제 2 로드(133)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보부재(111) 저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보부재(111) 및 상기 지지보부재(111)를 보강하는 궁형 보조지지부재(118)를 전체적으로 회동구동하도록 하는 제 3 로드(134)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 2, 제 3 로드(132, 133, 134)는 상기 구동부(131)에 의해서 외팔보식으로 링크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1)는 상기 지주부재(116, 116’, 116”)중 하나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일단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구동부(131)의 회동결합부(131a)는 소정 각도씩 이동하고 이동 위치에서 다시 이동할 수 있도록 전동식 액츄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로드(132)는 상기 구동부(131), 예컨대 전동식 액츄에이터에 대해서 주름관(131b)의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주름관(133)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측 끝단에는 상기 제 1 로드(132)가 움직일 수 있도록 관통되게 형성되며 외측은 자바라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름관(131b)의 길이는 상기 제 1 로드(132)의 이완, 수축에도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상기 전동식 액츄에이터(131)가 작 동될 때 흙 및 외부 이물질이 상기 제 1 로드(132)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로드(132)는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를 동서로 연결하는 가이드부재(135), 예컨대 바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35)를 매개로 상기 제 2’로드(133’)와, 상기 제 2’로드(133’)와 연결되는 상기 제 3’로드(133’)에 의해서 상기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모듈(101, 102, 103)의 각각의 지지보부재(111, 111’, 111”)가 한번에 회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35)는 상기 복수개의 지주부재(116, 116’, 116”)의 소정 높이에 고정된 가이드튜브(136)에 끼워져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부재(135)를 매개로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를 하나의 회동유닛(13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서 시스템(100)을 전체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으며,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의 뒤틀림이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시 한번 부연 설명하면, 상기 회동유닛(130)은 일반적인 경우에는 제 1 프로세서(150a)에 의하여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구동부(131)가 상기 제 1, 제 2, 제 3 로드를 회동시켜 상기 지지보부재(111)를 동에서 서로 약 300° 범위 내에서 회동이동 및 정지를 반복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100)은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가 먼지 등에 오염된 경우, 또는 온도가 높을 때 발전효율이 떨어지는 점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살수해주는 살수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살수유닛(140)은 상기 제어유닛(150)의 제 1 프로세서(150a)에 의해서제어되며, 상기 제 1 프로세서(150a)에 의해서 상기 지지유닛(110)이 약 30°가 되게 상기 회동유닛(130)에 의해서 회동하면, 주기적으로 살수하도록 프로그램밍될 수 있다.
상기 살수유닛(140)은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0)의 측면에 부착된 노즐(141)과, 상기 노즐(141)에 연결된 가요성 배관(142a)을 단부에 갖는 배관(142)과, 상기 배관(142)과 연결되고 물을 저수하는 저수조(143)와 상기 저수조(143)에 연결되어 프로그램된 시점을 제어하는 제어밸브(144) 및 이러한 프로그램된 시점에서 물을 펌핑하는 펌프(145)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밸브(144) 및 펌프(145)는 상기 제 1 프로세서(150a)로부터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가 살수신호, 예컨대, 물 흘러내림과 세척이 용이한 각도라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지지보부재(111)상에 배치된 노즐(141)을 통해서 살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노즐(141)은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에 대해서 왼쪽에 배치되어 동서로 회동중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에 대해서 그림자를 만들지 않을 수 있어서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배관(142)은 상기 지지보부재(111)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요성 배관(142a)에 의해서 상기 노즐(141)이 어디에 있든지 가변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101, 102, 103)에 대해서 무게를 많이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배 치될 수 있다.
상기 배관(142)은 수직방향에 대해서는 상기 지주부재(116, 116’, 116”)에 대해서 결합된 가벼운 ㄷ자형 수납부재(117)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ㄷ자형 수납부재(117)는 이러한 배관 외에 케이블 등을 정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의 제어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의 지지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를 포함한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의 회동유닛 및 안전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A부, B부 및 C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이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Claims (21)

  1. 삭제
  2. 발전량이 최대가 되는 고도각인 15 내지 30°가 되도록 남북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지지유닛(110);
    상기 지지유닛을 소정 풍속 이상에서 기준위치에 견고히 유지하기 위한 안전유닛(120);
    나란히 배열된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지지유닛을 1개의 구동부로 300° 범위 내에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유닛(130);
    상기 지지유닛(110) 상에 배치된 태양광 발전모듈(10)에 대해 주기적으로 살수하기 위한 살수유닛(140); 및
    상기 안전유닛(120), 상기 회동유닛(130), 및 상기 살수유닛(140)을 간섭 없이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15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110)은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10)의 양측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남북으로 배치된 적어도 2 이상의 지지보부재(111);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지지보부재를 남북으로 연결하는 주 지지부재(112);
    상기 주 지지부재 하부에 베어링 결합부재(114)를 매개로 용접결합되고 단면이
    Figure 112010032612256-pat00009
    자형인 보조 지지부재(115);
    상기 보조 지지부재(115)의 저부에 끼어맞춤 결합되며, 소정거리를 두고 이격배치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지주부재(116); 및
    상기 지주부재(116)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지주부재(116)의 하단부 주위에 배치되는 결합부재(113')를 포함하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지주부재(116)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지주부재와 제 2 지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지주부재보다 제 2 지주부재가 길이가 긴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주부재와 상기 제 2 지주부재 사이에 적어도 1 이상의 제 3 지주부재가 상기 보조 지지부재(115)에 끼어맞춤 결합되고, 상기 제 1, 제 2, 제 3 지주부재의 높이는 다음 관계식:
    H(n+1)= H + (n+1)Ltan 15 내지 30° [H(n+1)은 (n+1)번째 지주부재의 높이, H는 제 1 높이가 작은 제 1 지주부재의 길이, L(n+1)은 제 1 지주부재와 (n+1)번째 지주부재 사이의 거리]을 만족하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부재(111) 및 상기 주 지지부재(112)는 ㅁ자형강 부재이며, 상기 베어링 결합부재(114)는 회동축(114a)과, 상기 회동축(114a)을 둘러싸고 상기 지지보부재(111) 및 상기 보조 지지부재(115)에 대해 결합하는 힌지부(114b, 114c, 114d)와, 상기 힌지부(114b, 114c, 114d)내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114a)이 작은 힘에도 회동가능하게 일축에서 삽입 결합되는 원통형 추력 베어링(114aa)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결합부재(114)의 후방에는 고정핀(114e)이 상기
    Figure 112010032612256-pat00010
    자형 보조 지지부재(115) 상으로 돌출결합되어 있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결합부재(114)는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보조 지지부재(115)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 지지부재(115)에 상기 지주부재(116)가 상기 베어링 결합부재(114)와 오프셋되게 결합됨으로써 그 하중에 의해서 상기 지지보부재(111)상의 태양광 발전모듈(10)의 힘을 분산 지탱하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유닛(120)은 상기 지지보부재(111)의 저부에 결합되고, 내주부를 따라서 적어도 1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궁형 보조지지부재(118); 및
    상기 궁형 보조지지부재(118)의 돌출부에 입구가 넓게 형성된 관통구에 잠금되며, 상기 지주부재(116) 중 적어도 2 이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 스토퍼 부재(121)를 포함하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지주부재(116)에 각각 배치된 복수개의 스토퍼부재(121)가 하나의 구동부(126)로 구동하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121)는 스토퍼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23)와, 상기 탄성부재(123) 하부에 결합되는 스토퍼(122)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126)는 상기 탄성부재(123) 상부에 연결되는 와이어(124)의 장력을 제어하도록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전동식 액츄에이터인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유닛(120)은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이 안전모드로 이동된 후 소정 시간 지연 후 구동되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130)은 상기 지주부재(116)중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부(131);
    상기 구동부(131)에 연결된 제 1 로드(132);
    상기 제 1 로드(132)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에 제 3 로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 2 로드(133); 및,
    상기 제 2 로드(133)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보부재(111) 저부에 결합되는 제 3 로드(134)를 포함하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1)는 전동식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1 로드(132) 주위에 주름관(131b)을 포함하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132)와 상기 제 2 로드(133)의 연결부에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지주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긴 가이드부재(135)가 결합되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35)는 바아이며, 상기 지주부재(116) 중 상기 구동부(131)가 결합되지 않은 지주부재(116) 상에 배치된 상기 제 3 로드(134)에 연결되는 상기 제 2 로드(133)가 상기 가이드부재(13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116) 상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35)를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튜브(136)가 배치되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유닛(140)은 상기 지지유닛(110)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저수조(143);
    상기 저수조(143)를 프로그램된 시간에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144);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매개로 상기 저수조로부터 물을 주기적으로 펌핑하는 펌프(145);
    상기 지지보부재 일측에 배치되는 노즐(141); 및
    상기 지지보부재 왼쪽에 배치되는 노즐(141)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44) 사이를 연결하는 가요성배관(142a)을 포함하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150)은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 어레이가 소정 각도일 때 상기 살수유닛(140)이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에 대해 주기적으로 살수하게 프로그램된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116)와 상기 주 지지부재(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ㄷ자형 수납부재(117)가 배치되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1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150)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구동하는 제 1 프로세서(150a)와, 외부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외부정보에 따라 구동하는 제 2 프로세서(150b)를 포함하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세서(150b)가 상기 회동유닛(130) 및 안전유닛(120)을 구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 1 프로세서(150a)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소정시간 대기후 구동시키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세서(150b)는 설치부지규모에 따라 그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곳에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된 감지부로부터 측정값을 수신하고, 이들 평균값의 오차범위를 크게 벗어나는 측정값을 제외한 평균값을 이용하는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KR1020080045218A 2008-05-15 2008-05-15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KR100987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218A KR100987756B1 (ko) 2008-05-15 2008-05-15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218A KR100987756B1 (ko) 2008-05-15 2008-05-15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281A KR20090119281A (ko) 2009-11-19
KR100987756B1 true KR100987756B1 (ko) 2010-10-13

Family

ID=41602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218A KR100987756B1 (ko) 2008-05-15 2008-05-15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2201A1 (de) * 2019-05-09 2020-11-12 Robert Zimmermann Solarmodulhalte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armodulhaltevor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1942A (en) * 1977-12-27 1979-07-24 Monk Robert J Solar energy collector
US4345582A (en) 1979-11-19 1982-08-24 Aharon Naaman B System for the utilization of solar energy
KR20070044333A (ko) * 2005-10-24 2007-04-27 홍정호 태양열집열기 또는 태양광집광기의 태양위치추적방법과 그장치
KR100779036B1 (ko) 2006-09-22 2007-11-23 정균 추적식 태양광 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1942A (en) * 1977-12-27 1979-07-24 Monk Robert J Solar energy collector
US4345582A (en) 1979-11-19 1982-08-24 Aharon Naaman B System for the utilization of solar energy
KR20070044333A (ko) * 2005-10-24 2007-04-27 홍정호 태양열집열기 또는 태양광집광기의 태양위치추적방법과 그장치
KR100779036B1 (ko) 2006-09-22 2007-11-23 정균 추적식 태양광 발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281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7924B2 (en) System for supporting energy conversion modules
US7252083B2 (en) Structure for supporting energy conversion modules and solar energy collection system
US8100122B2 (en) Solar roof tracker
CN101755342B (zh) 滚动跟踪式太阳能组件
CA2794602C (en) High efficiency counterbalanced dual axis solar tracking array frame system
US8429861B2 (en) Solar array support methods and systems
US8322332B2 (en) Self-erecting gimbal mounted solar radiation collectors
US8338771B2 (en) Apparatus for tracking and condensing sunlight of sliding type
US20130118099A1 (en) High efficiency conterbalanced dual axis solar tracking array frame system
EP2264378A2 (en) Apparatus for tracking and concentrating sunlight of sliding type
JP2015017489A (ja) 農場兼太陽光発電システム
EP2297791A1 (en) Solar array support methods and systems
US20140216531A1 (en) Solar Panel Assembly
KR101833429B1 (ko) 케이블을 이용한 태양광 설비 시스템
US9093587B2 (en) Two-axis solar tracker design for low cost deployment and profile for reduced loading moments
US20100263710A1 (en) Single-axis solar tracker
US8541725B2 (en) Sunlight-tracking apparatus of a wall installation type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hinge bar pivotally connected in a hinge fixing bar
KR100987756B1 (ko) 한국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EP2492608A1 (en) Apparatus for tracking and condensing sunlight of wall installation type
US20220149774A1 (en) Rocking solar panel sun tracking mounting system
KR20100115652A (ko) 태양광 모듈 조립체
KR101847293B1 (ko) 태양광 집광패널 경사 각도 조절 장치
KR10131598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WO2011043757A1 (en) Two axis ground based solar tracking system for large-scale solar collectors
KR20100116358A (ko) 비닐하우스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