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142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 설정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 설정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142B1
KR100986142B1 KR1020070127995A KR20070127995A KR100986142B1 KR 100986142 B1 KR100986142 B1 KR 100986142B1 KR 1020070127995 A KR1020070127995 A KR 1020070127995A KR 20070127995 A KR20070127995 A KR 20070127995A KR 100986142 B1 KR100986142 B1 KR 100986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value
small base
measured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370A (ko
Inventor
황인석
이인택
석원균
한기영
문준
이병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146,403 priority Critical patent/US8811891B2/en
Publication of KR20090004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 설정 방법은, 단말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 및 열잡음을 측정하는 과정과, 단말에서 측정된 상기 소형 기지국과 외부 기지국에 대한 신호세기를 단말들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상기 소형 기지국의 신호세기들을 평균하여 제1평균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값들을 이용해 상기 단말들에 대한 평균 잡음에 해당하는 제2평균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의 차이를 전력상승(power rise)값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력상승 값과 설정 목표값을 비교해서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소형 기지국, 송신전력, 스캐닝, OATR 모드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 설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TRANSMISSION POWER OF COMPACT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소형 기지국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Celluer) 방식의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기지국들 각각은 자신의 셀(Cell)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과 무선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무선채널의 상태는 단말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만약, 상기 단말이 물리적으로 밀폐된 지역, 예를 들어, 사무실이나 집과 같은 전파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기지국과 단말 간의 채널상황이 매우 열악해지므로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사무실이나 집과 같은 소규모 실내 음영지역에 기지국의 역할을 대행하는 소형 기지국(Compact Base Station)을 설치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즉, 소형 기지국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첫째, 건물 외벽이나 장애물 등에 의한 감쇠에 의해 사업자가 설치한 외부 기지국(macro base station)으로부터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경우이다. 둘째, 저렴한 요금을 위해서 사용자가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직접 기지국을 설치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소형 기지국은 사업자에 의해 설치되는 대출력의 기지국과 달리 해당 설치 위치에서의 전파환경에 맞게 자신의 송신 전력을 적응적으로 조절해야 한다. 이때, 소형 기지국의 송신 전력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시스템에 미치는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실내 사용자에게 어느 정도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외부 기지국과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기존 유비셀(Ubicell)이라 명명된 가정용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소형 기지국은, 외부 사용자(foreign user)가 검출될 때까지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전력 레인징(Power Ranging)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실내에 설치되는 소형 기지국에 실내 사용자의 장치 식별자(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또는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등)가 등록되며, 상기 소형 기지국은 등록되지 않는 사용자의 초기 접속 혹은 핸드오버가 검출될 때까지 송신전력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출력레벨을 조절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소형 기지국이 등록 사용자를 모두 알고 있어야 한다. 소형 기지국이 가정용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등록 사용자가 적어 구현상 부담이 적지만, 대규모 업무 빌딩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등록 사용자 수가 너무 많아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 사용자(foreign user)가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경우에 이를 예외 상황으로 인지하고 송신전력을 변경하지 않는 처리를 수행해야 한다. 즉, 외부 사용자의 접속(또는 핸드오버)이 실내 진입으로 인한 것인지 실내 기지국의 과도한 출력으로 인한 것인지를 구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사용자의 접속(또는 핸드오버) 감지에 의해 소형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은 내부 사용자의 등록이 반드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외부 사용자의 접속이 실내 진입으로 인한 것인지 정확히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구현상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소형 기지국에서 송신전력을 효율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소형 기지국에서 단말이 보고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이용해서 송신 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소형 기지국에서 단말 모드를 통해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와 단말로부터 보고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비교해서 송신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소형 기지국에서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이용해서 목표 세기를 설정하고, 단말로부터 보고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가 목표 세기에 도달되도록 송신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소형 기지국에서 쉐도윙을 추정 및 보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소형 기지국이, 단말들에서 측정된 소형 기지국의 신호세기 평균값과 동일 단말들에서 측정된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 평균값의 차이를 전력상승값으로 정의하고, 상기 전력상승 값이 목표 값에 도달되도록 송신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단말에서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이용해서 목표 세기를 설정하고, 상기 단말에서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가 상기 목표 세기에 도달되도록 상기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자가구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 설정 방법에 있어서, 단말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일반모드로 전환한 후, 단말에서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이용해서 목표 세기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가 상기 목표 세기에 도달되도록 상기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단말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 및 열잡음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단말에서 측정된 상기 소형 기지국과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단말들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단말들로부터 보고된 상기 소형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평균하여 제1평균값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값들을 이용해서 상기 단말들에 대한 평균 잡음에 해당하는 제2평균값을 결정하며,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의 차이를 전력상승(power rise)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전력상승 값과 목표 값을 비교해서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자가구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동작 방법 있어서, 단말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 및 열잡음을 측정하는 과정과, 단말에서 측정된 상기 소형 기지국과 외부 기지국에 대한 신호세기를 단말들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상기 소형 기지국의 신호세기들을 평균하여 제1평균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값들을 이용해 상기 단말들에 대한 평균 잡음에 해당하는 제2평균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의 차이를 전력상승(power rise)값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력상승 값과 설정 목표값을 비교해서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기지국은 외부 기지국의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송신전력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로부터 보고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이용해서 송신전력을 조정하기 때문에, 구현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외부 기지국은 어떠한 변경도 필요 없으며, 단말 또한 규격에 따라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소형 기지국 으로 보고하면 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수정 없이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소형 기지국에서 송신 전력을 적응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예를 들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즉, 이하 설명은 다중반송파를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을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소형 기지국을 사용하는 다른 무선통신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형 기지국은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는 소출력의 기지국으로, 마이크로(micro) 기지국, 자가 구성형(self configurable) 기지국, 소형(compact) 기지국, 실내(indoor) 기지국, 홈(home) 기지국, 펨토(pemto) 기지국, 유비셀(Ubicell) 기지국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기지국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은 대형 기지국(100), 소형 기지국(110), 망관리기(120)를 포함한다. 상기 대형 기지국(100)은 실외(outdoor)에 설치되는 대출력의 일반 기지국을 나타낸다. 상기 소형 기지국(110)은 실내(indoor)에 설치되는 소출력의 마이크로 기지국이다. 또한, 상기 소형 기지국(110)은 플러그 인(plug in) 시 스스로 동작 파라미터(운용 파라미터)를 최적화하는 자가 구성형(self configurable) 기지국이다. 상기 최적화를 위해 상기 소형 기지국(110)은 단말 모드로 동작하여 주변 상황(전파상태 등)을 측정하는데,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단말로 동작하는 모드를 오타(OTAR : Over The Air Receiver)모드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망관리기(120)는 기지국들의 IP(Internet Protocol) 설정 및 이미지 다운로드 등의 시스템 설정, 운용중인 기지국들의 상태를 감시 및 관리 등의 망 최적화를 위한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망관리기(120)는 시스템에 따라 WSM(WiBro System Manager) 또는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되는 알고리즘은 소형 기지국의 자가 구 성 기능 중 송신전력 최적화에 관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주기적 혹은 특정 이벤트에 의해 소형 기지국은 201단계에서 단말모드(오타모드)로 동작하여 인접 기지국을 스캐닝한다. 상기 단말모드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소형 기지국은 203단계에서 수신되는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고, 205단계에서 열잡음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소형 기지국은 207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인접 기지국들의 신호세기들과 상기 열잡음 중 가장 큰 값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값에 설정 값(power rise) 값을 더해 '목표 RSSI'를 설정한다. 즉, 현재 위치에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접 기지국의 RSSI 값을 이용해서 목표 RSSI를 설정한다. 이때, 열잡음이 인접 기지국의 RSSI 값보다 클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열잡음을 이용해서 목표 RSSI를 설정한다. 즉, 상기 목표 RSSI는 하기 수식을 통해 산출된다.
목표 RSSI(dBm)=Max(열잡음(dBm), Max.RSSIOTAR(dBm))+Power Rise(dB)
여기서, Max.RSSIOTAR는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인접 기지국들의 신호세기들중 가장 큰 값을 나타내고, Power Rise는 소형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를 보장하기 위한 값으로 모의 실험을 통해 최적화되는 값이다.
상기 목표 RSSI를 설정한후, 상기 소형 기지국은 209단계에서 일반 기지국 모드로 전환해서 커버리지 영역에 속한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일반 기지국 모드로 전환한후, 상기 소형 기지국은 211단계에서 자신의 커버리지 영역에 있는 단말들로 스캐닝을 요청하는 스캔지시 메시지(예 : MOB_SCN-RSP)를 전송한다. 상기 스캔지시 메시지는 스캔을 원하는 인접 기지국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인접 기지국이 상기 소형 기지국과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소형 기지국은 상기 스캔지시 메시지를 통해 주파수간 스캔(Inter-FA scan)을 위한 별도의 스캔 구간을 할당해줘야 한다.
그리고, 상기 소형 기지국은 213단계에서 상기 단말들로부터 스캐닝 결과를 포함하는 스캔보고 메시지(예 : MOB_SCN-REQ)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스캔보고 메시지는 스캐닝을 통해 인지된 인접 기지국들 각각에 대한 식별자 및 스캐닝 결과(RSSI)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소형 기지국은 215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보고된 인접 기지국들의 신호세기들 중 최대 값을 선택하고, 상기 최대 값을 '최대 RSSI'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소형 기지국은 217단계에서 상기 최대 RSSI와 상기 목표 RSSI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최대 RSSI와 상기 목표 RSSI가 동일하면, 송신전력 조정이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만일, 상기 최대 RSSI와 상기 목표 RSSI가 상이하면, 상기 소형 기지국은 2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최대 RSSI가 상기 목표 RSSI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최대 RSSI가 상기 목표 RSSI보다 크면, 상기 소형 기지국은 221단계로 진행하여 송신전력을 설정 값만큼 감소시킨후 상기 211단계로 되돌아간다. 즉, 현재의 송신전력이 셀 커버리지를 과도하게 넓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송신전력을 감소시킨다.
반면, 상기 목표 RSSI가 상기 최대 RSSI가 크면, 상기 소형 기지국은 223단 계로 진행하여 송신전력을 설정 값만큼 증가시킨후 상기 211단계로 되돌아간다. 즉, 현재의 송신 전력이 정해진 셀 커버리지를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송신전력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송신전력을 증가 혹은 감소할 때, 잦은 송신 전력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마진(margin)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진 값을 1.0dB라 하면, 목표 RSSI와 최대 RSSI 사이의 차이가 1.0dB 이상인 경우에만 송신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도 2의 알고리즘은 간단하지만, 소형 기지국의 설치 위치에서의 쉐도윙(shadowing) 및 단말 위치에 따른 쉐도윙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성능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쉐도윙에 따른 성능 열화를 보상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안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소형 기지국은 오타(OTAR)모드를 수행하여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 및 열잡음을 측정한다. 또한, 정상모드 수행중, 상기 소형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보고되는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지속적으로 관측하여 전력 상승(power rise) 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전력 상승값과 설정된 목표값(Target Power rise)을 비교해서 상기 소형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변경한다. 이때, 단말들이 측정한 해당 소형 기지국의 RSSI 값의 dB 평균값과 동일 단말들에서 측정된 외부 기지국의 RSSI값의 dB 평균값을 구하고 그 차이를 전력 상승 값으로 결정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7088822638-pat00001
그런데, 상기 전력 상승 값은 건물의 절대적인 크기와 무관하게 실내 기지국(소형 기지국)의 커버리지가 건물 경계에 도달하기 전까지 일정한 값을 갖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원형이 아닌 직사각형과 같은 건물 모양, 감쇄 모델의 변수에 따른 전력 상승 값의 변화보다 큰 건물 투과 손실이 존재한다고 가정할 경우, 목표 전력상승(Target Power rise) 값을 고정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정을 토대로, 본 발명은 단말 보고를 통해 결정된 전력 상승 값이 목표 전력상승 값에 도달할 때까지 기지국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킨다.
한편, 수학식 1의 우변의 외부 기지국(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신호들과 열잡음(N)의 합에 대한 평균값은 단말이 보고하는 값을 이용할 수 있지만, 실제 구현시에는 오타 모드에서 기지국이 측정한 값으로 근사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근사화가 가능한 이유는, 소형 기지국의 설치 위치가 바로 실내의 중앙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오타모드에서 측정된 값을 이용할 경우, 해당 위치에서의 쉐도윙 값을 추정하여 보상해줘야 한다. 보상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내면 하기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8047436376-pat00033
여기서,
Figure 112007088822638-pat00003
는 단말의 잡음 지수(noise figure)를 나타내고,
Figure 112007088822638-pat00004
는 기지국의 잡음 지수를 나타내며,
Figure 112007088822638-pat00005
는 잡음 스펙트럼 밀도(noise spectral density)를 나타내고,
Figure 112007088822638-pat00006
는 대역폭(bandwidth)을 나타내며,
Figure 112007088822638-pat00007
는 매크로 기지국(외부 기지국)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Figure 112007088822638-pat00008
는 j번째 매크로 기지국에서의 쉐도윙을 나타내며,
Figure 112007088822638-pat00009
는 j번째 매크로 기지국에서 소형 기지국까지의 경로 손실(path loss)을 나타내고,
Figure 112007088822638-pat00010
는 j번째 매크로 기지국의 송신 전력(transmit power)을 나타내며,
Figure 112007088822638-pat00011
는 단말에서의 쉐도윙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2에서 첫 번째 수식은 소형 기지국 위치에서의 잡음과 간섭의 합을 나타낸다. 두 번째 수식과 같이 오타 동작을 통해서 잡음 전력을 추정하고, 소형 기지국의 쉐도윙을 보상해 줄 수 있다. 이때, 쉐도잉 보상은 세 번째 수식과 같다. 즉, 소형 기지국이 실내 중앙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오타 모드를 통해 측정 된 값에서 단말로부터 보고된 외부 기지국의 최대 RSSI 값을 dB 단위로 차를 구해서 쉐도윙을 추정하고 이 추정 값을 이용해서 쉐도윙을 보상한다. 한편, 마지막 수식과 같이 단말들에서 측정된 RSSI 값들을 dB 평균하면 단말 위치별 쉐도윙 영향 또한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의 참조와 함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주기적 혹은 특정 이벤트에 의해 소형 기지국은 301단계에서 단말모드(오타모드)로 동작하여 외부 기지국을 스캐닝한다. 상기 단말모드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소형 기지국은 수신되는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고, 열잡음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소형 기지국은 303단계에서 신호세기가 가장 큰 외부 기지국을 결정한다. 이때, 신호세기가 가장 큰 외부 기지국의 인덱스(혹은 식별자)를 j0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외부 기지국을 결정한 후, 상기 소형 기지국은 305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기지국 모드로 전환해서 커버리지 영역에 속한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일반 기지국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소형 기지국은 307단계에서 자신의 커버리지 영역에 있는 단말들로 스캐닝을 요청하는 스캔지시 메시지(예 : MOB_SCN-RSP)를 전송한다. 상기 스캔지시 메시지는 스캔을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소형 기지국이 단말들로 자신(SC-RAS)과 j0번째 외부 기지국의 스캐닝을 요청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만일, 상기 외부 기지국이 상기 소형 기지국과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소형 기지국은 주파수간 스캔(Inter-FA scan)을 위한 별도의 스캔 구간을 상기 스캔지시 메시지를 통해 할당해줘야 한다.
그리고, 상기 소형 기지국은 309단계에서 상기 단말들로부터 스캐닝 결과를 포함하는 스캔보고 메시지(예 : MOB_SCN-REP)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스캔보고 메시지는 상기 소형 기지국과 상기 j0번째 외부 기지국의 스캐닝 결과(RSSI)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소형 기지국은 311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보고된 상기 소형 기지국의 신호세기(RSSI) 값의 dB 평균값(
Figure 112007088822638-pat00012
)을 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보고된 상기 j0번째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 값의 dB 평균값(
Figure 112007088822638-pat00013
)을 구한다. 이와 같이, 단말들에서 측정된 RSSI 값들을 dB단위로 평균함으로써 단말 위치별 쉐도윙 영향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소형 기지국은 313단계에서 오타 모드를 통해 측정된 j0번째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와 상기
Figure 112007088822638-pat00014
를 이용해서 자신의 위치에서의 쉐 도윙(
Figure 112007088822638-pat00015
)을 추정한다.
Figure 112007088822638-pat00016
이후, 상기 소형 기지국은 315단계에서 오타모드를 통해 측정된 j번째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
Figure 112008047436376-pat00017
)에서 상기 쉐도윙 추정값(
Figure 112008047436376-pat00018
)을 빼서 쉐도윙을 보상하고, 모든 외부 기지국들에 대한 상기 쉐도윙 보상 값들을 모두 가산하여 간섭신호의 합(
Figure 112008047436376-pat00019
)을 구한다.
Figure 112007088822638-pat00020
그리고 상기 소형 기지국은 317단계에서 상기 오타모드를 통해 측정된 열잡음(N)과 상기 간섭신호의 합(
Figure 112007088822638-pat00021
)을 가산하여 간섭신호와 열잡음의 합(
Figure 112007088822638-pat00022
)을 구한다.
Figure 112007088822638-pat00023
이후, 상기 소형 기지국은 319단계로 진행하여 단말들에서 측정된 상기 소형 기지국의 신호세기 값의 dB평균값(
Figure 112007088822638-pat00024
)에서 상기 간섭신호의 열잡음의 합(
Figure 112007088822638-pat00025
)을 감산하여 전력상승(Power Rise) 값을 계산한다.
Figure 112007088822638-pat00026
그리고, 상기 소형 기지국은 321단계에서 상기 계산된 전력상승 값과 목표값(Target Power Rise)을 비교한다. 만일, 상기 계산된 전력상승 값이 상기 목표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소형 기지국은 323단계에서 송신전력을 설정 값만큼 증가시 킨후 상기 307단계로 되돌아간다. 즉, 현재의 송신 전력이 정해진 셀 커버리지를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송신전력을 증가시킨다. 만일, 상기 계산된 전력상승 값이 상기 목표값보다 클 경우, 상기 소형 기지국은 325단계에서 송신전력을 설정 값만큼 감소시킨후 상기 307단계로 되돌아간다. 즉, 현재의 송신전력이 셀 커버리지를 과도하게 넓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송신전력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송신전력을 증가 혹은 감소할 때, 잦은 송신 전력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마진(margin)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진 값을 1.0dB라 하면, 측정된 전력상승 값과 목표 값 사이의 차이가 1.0dB 이상인 경우에만 송신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TDD(Time Division Duplexing)-OFDMA 시스템을 가정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OFDMA 시스템, TDD와 FDD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 등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모든 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기지국은, 상위계층과 연결되는 MAC(Media Access Control)계층부(400), 송신 모뎀(402), RF송신부(404), 듀플렉서(406), RF수신부(408), 수신모뎀(410) 및 자가 구성 제어부(4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MAC계층부(400)는 상위계층(예 : IP계층부)으로부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데이터를 상기 송신 모뎀(402)과의 접속방식에 준하여 가공하여 상기 송신모뎀(404)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수신 모뎀(410)으로부터 수신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수신 데이터를 상위계층과의 접속방식에 준하여 가공하여 상기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MAC계층부(400)는 자가 구성(self configuration)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자가 구성 제어부(416)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자가 구성 기능 중 송신 전력 설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송신 전력 설정을 위해서, 본 발명은 단말로부터 보고되는 인접 기지국(소형 기지국 및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 값이 필요한데, 상기 MAC계층부(400)는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예 : 스캔보고 메시지)로부터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 값을 추출하여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세기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NR(Signal to Noise Ratio),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등이 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은 RSSI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송신 모뎀(402)은 상기 MAC계층부(400)로부터의 패킷(데이터 버스트)을 물리계층 인코딩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모뎀(402)은 채널 인코더(channel encoder), 인터리버(interleaver), 변조기(modulator) 및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연산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RF송신부(404)는 주파수 변환기, 필터, 증폭기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송신모뎀(402)으로부터의 기저대역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RF(Radio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RF송신부(404)는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로부터의 제어신호(송신전력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 전력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듀플렉서(406)는 듀플렉싱 방식에 의해 안테나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상기 RF수신부(408)로 전달하고, 상기 RF송신부(404)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상기 안테나로 전달한다.
상기 RF수신부(408)는 증폭기, 주파수 변환기, 필터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듀플렉서(406)로부터의 RF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수신모뎀(410)은 상기 RF수신부(408)로부터의 데이터를 물리계층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모뎀(410)은 FFT(Fast Fourier Transform)연산기, 복조기(demodulato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채널 디코더(channel decod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모뎀(410)은 수신 신호의 세기(RSSI)를 측정할 수 있는 수신세기 측정부(412)와 열잡음(Thermal noise)을 측정할수 있는 잡음측정부(412)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세기 측정부(412)는 단말모드(오타 모드)로 동작 시 수신되는 인접 기지국(외부 기지국 포함)의 신호세기(RSSI)를 측정하여 자가 구성 제어부(416)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잡음 측정부(414)는 단말모드로 동작 시 열잡음(thermal noise)을 측정하여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로 제공한다.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는 상기 소형 기지국의 동작에 필요한 운용 파라미터를 최적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운용 파라미터는, FA(Frequency Allocation), 세그먼트 ID, 셀 ID(IDentifier), 송신전력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송신전력 설정에 관한 것으로,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는 인접 기지국을 스캔하기 위해서 상기 소형 기지국을 단말모드(오타모드)로 동작시킨다. 상기 단말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신호세기 측정부(412)는 인접 기지국들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로 제공하고, 상기 잡음측정부(414)는 열잡음을 측정하여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는 상기 인접 기지국들의 신호세기들과 상기 열잡음 중 최대 값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최대값에 설정 값(power rise 값)을 더해 '목표 RSSI'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값은 소형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를 보장하기 위한 값으로 모의 실험을 통해 최적화되는 값이다.
상기 목표 RSSI를 설정한 후,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는 상기 소형 기지국을 일반 기지국 모드로 전환시킨다. 상기 일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소형 기지국은 단말로 스캐닝을 요청하는 스캔지시 메시지(예 : MOB_SCN-RSP)를 전송하고, 스캐닝 결과를 포함하는 스캔보고 메시지(예: MOB_SCN-REP)를 수신한다. 즉, 상기 MAC계층부(400)는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스캔보고 메시지를 분석해서 단말에서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추출하고, 상기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로 제공한다.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보고된 인접 기지국들의 신호세기들 중 최대 값을 선택하고, 상기 최대 값을 '최대 RSSI'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는 상기 목표 RSSI와 상기 최대 RSSI를 비교해서 송신전력의 증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송신전력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송신모뎀(402) 혹은 상기 RF송신부(404)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최대 RSSI이 상기 목표 RSSI보다 크면 셀 커버리지가 과도하게 증가된 상태이므로 송신전력을 줄이고, 반대로 상기 목표 RSSI가 크면 소형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송신전력을 높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는 외부 기지국을 스캔하기 위해서 상기 소형 기지국을 단말모드(오타모드)로 동작시킨다. 상기 단말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신호세기 측정부(412)는 외부 기지국들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로 제공하고, 상기 잡음측정부(414)는 열잡음을 측정하여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는 상기 외부 기지국들의 신호세기들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외부 기지국(j0번째 외부 기지국)을 선택한다.
이후,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는 상기 소형 기지국을 일반 기지국 모드로 전환시킨다. 상기 일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소형 기지국은 단말로 스캐닝을 요청하는 스캔지시 메시지(예 : MOB_SCN-RSP)를 전송하고, 스캐닝 결과를 포 함하는 스캔보고 메시지(예: MOB_SCN-REP)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는 상기 소형 기지국과 상기 j0번째 외부 기지국에 대한 단말들의 스캐닝 결과(RSSI)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는 단말들로부터 보고된 상기 소형 기지국의 신호세기 값의 dB 평균값(제1 평균값)과 단말들로부터 보고된 상기 j0번째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 값의 dB 평균값(제2평균값)을 구한다. 그리고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는 상기 제2평균값을 이용해서 상기 소형 기지국의 위치에서의 쉐도윙을 추정하고, 오타모드를 통해 측정된 외부 기지국들의 신호세기와 상기 쉐도윙 추정값을 이용해서 간섭신호의 합(I)을 구한다. 이후,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는 상기 오타모드를 통해 측정된 열잡음(N)과 상기 간섭신호의 합(I)을 더해서 NI를 구하고, 상기 제1평균값에서 상기 NI를 감산하여 전력상승 값을 구한다.
이와 같이, 전력상승 값을 구한후,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416)는 상기 전력상승 값과 목표 값(Target Power Rise)을 비교해서 송신전력의 증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송신전력에 따른 제어신호를 송신모뎀(402) 혹은 상기 RF송신부(404)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력상승 값이 목표값보다 크면 셀 커버리지가 과도하게 증가된 상태이므로 송신전력을 줄이고, 반대로 상기 목표값이 크면 소형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송신전력을 높인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35)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단말에서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이용해서 목표 세기를 설정하고, 상기 단말에서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가 상기 목표 세기에 도달되도록 상기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자가구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구성 제어부는,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들 중 최대값에 설정 값(set value)을 더해 상기 목표 세기를 설정하고,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들 중 최대값을 최대 세기로 설정하며, 상기 최대 세기와 상기 목표 세기를 비교해서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구성 제어부는,
    상기 최대 세기가 상기 목표 세기보다 크면 상기 송신전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목표 세기가 상기 최대 세기보다 크면 상기 송신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구성 제어부는,
    상기 최대 세기와 상기 목표 세기의 차이가 설정 마진(margin) 이상일 경우, 상기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NR(Signal to Noise Ratio)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6. 제1항에 있어서,
    인접 기지국 스캐닝 지시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열잡음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구성 제어부는,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들과 상기 측정된 열잡음 중 최대값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최대값에 설정 값을 더해 상기 목표 세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모드는 설정 주기로 혹은 이벤트 트리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10.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 설정 방법에 있어서,
    단말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일반모드로 전환한 후, 단말에서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이용해서 목표 세기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가 상기 목표 세기에 도달되도록 상기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과정은,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들 중 최대값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최대값에 설정 값(set value)을 더해 상기 목표 세기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들 중 최대값을 최대 세기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목표 세기와 상기 최대 세기를 비교해서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조정 과정은,
    상기 최대 세기가 상기 목표 세기보다 클 경우, 상기 송신전력을 감소시키는 과정과,
    상기 목표 세기가 상기 최대 세기보다 클 경우, 상기 송신전력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조정 과정은,
    상기 최대 세기와 상기 목표 세기의 차이가 설정 마진(margin) 이상일 경우, 상기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NR(Signal to Noise Ratio)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열잡음을 측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과정은,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세기들과 상기 측정된 열잡음 중 최대값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최대값에 설정값(set value)을 더해 상기 목표 세기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인접 기지국 스캐닝 지시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 및 열잡음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단말에서 측정된 상기 소형 기지국과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단말들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단말들로부터 보고된 상기 소형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평균하여 제1평균값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값들을 이용해서 상기 단말들에 대한 평균 잡음에 해당하는 제2평균값을 결정하며,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의 차이를 전력상승(power rise)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전력상승 값과 목표 값을 비교해서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자가구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구성 제어부는,
    상기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상기 소형 기지국의 신호세기들을 dB 평균하여 상기 제1평균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구성 제어부는,
    상기 소형 기지국 위치에서의 쉐도윙을 추정하고,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각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에 대해 상기 추정된 쉐도윙을 보상하며, 상기 쉐도윙 보상된 신호세기들 및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열잡음을 더해 상기 제2평균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는,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단위는 dB)들 각각에서 상기 측정된 쉐도윙 값(단위는 dB)을 감산하여 쉐도윙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구성 제어부는,
    상기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들 중 상기 소형 기지국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외부 기지국에 대한 신호세기들을 평균하여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상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에서 상기 평균값을 감산하여 상기 쉐도윙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는,
    상기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들 중 상기 소형 기지국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들을 dB 평균하여 상기 평균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구성 제어부는,
    상기 전력 상승값이 상기 목표값보다 크면 상기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목표값보다 작으면 상기 송신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NR(Signal to Noise Ratio)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기지국.
  27.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동작 방법 있어서,
    단말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 및 열잡음을 측정하는 과정과,
    단말에서 측정된 상기 소형 기지국과 외부 기지국에 대한 신호세기를 단말들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상기 소형 기지국의 신호세기들을 평균하여 제1평균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값들을 이용해 상기 단말들에 대한 평균 잡음에 해당하는 제2평균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의 차이를 전력상승(power rise)값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력상승 값과 설정 목표값을 비교해서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균값 결정 과정은,
    상기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들 중 상기 소형 기지국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외부 기지국에 대한 신호세기들을 dB 평균하여 상기 제1 평균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균값 결정 과정은,
    상기 소형 기지국 위치에서의 쉐도윙을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각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에 대해 상기 추정된 쉐도윙을 보상하는 과정과,
    상기 쉐도윙 보상된 신호세기들 및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열잡음을 더해 상기 제2평균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쉐도윙 추정 과정은,
    상기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들 중 상기 소형 기지국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외부 기지국에 대한 신호세기들을 평균하여 평균값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상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에서 상기 평균값을 감산하여 상기 쉐도윙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은 dB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쉐도윙 보상 과정은,
    상기 단말모드를 통해 측정된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단위는 dB)들 각각에서 상기 측정된 쉐도윙 값(단위는 dB)을 감산하여 쉐도윙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과정은,
    상기 전력 상승값이 상기 목표값보다 크면 상기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을 감소시키는 과정과,
    상기 전력 상승값이 상기 목표값보다 작으면 상기 송신전력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지국의 신호세기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NR(Signal to Noise Ratio)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삭제
KR1020070127995A 2007-06-29 2007-12-1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 설정 장치 및방법 KR100986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46,403 US8811891B2 (en) 2007-06-29 2008-06-25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transmit power of a compact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222 2007-06-29
KR20070065222 2007-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370A KR20090004370A (ko) 2009-01-12
KR100986142B1 true KR100986142B1 (ko) 2010-10-07

Family

ID=4048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995A KR100986142B1 (ko) 2007-06-29 2007-12-1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 설정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28B1 (ko) * 2009-12-23 2012-04-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지국의 최대 전송전력 세기 결정 장치 및 방법
US20140128090A1 (en) * 2011-06-26 2014-05-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mobile femtocell network
KR20130067757A (ko) * 2011-12-14 2013-06-25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기지국의 시스템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US9655060B2 (en) * 2013-10-07 2017-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82136B1 (ko) * 2015-04-15 2016-12-13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송 전력 제어 장치, 이에 대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1938A (ko) * 2005-02-16 200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라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트래픽 로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8720A (ko) * 2005-03-07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성 제한 방법
KR100651407B1 (ko) 2005-06-14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방법
KR20070032335A (ko) * 2004-06-18 2007-03-21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직교 멀티플렉싱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335A (ko) * 2004-06-18 2007-03-21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직교 멀티플렉싱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KR20060091938A (ko) * 2005-02-16 200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라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트래픽 로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8720A (ko) * 2005-03-07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성 제한 방법
KR100651407B1 (ko) 2005-06-14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370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18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transmit power of a compact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534035C2 (ru) Способ задания мощности передачи в ни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US90080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femtocell deployments
Saad et al. A survey on power control techniques in femtocell networks.
JP5427139B2 (ja) 基地局及びセルラ無線通信システム
CN102474742B (zh) 毫微微蜂窝访问点中的干扰抑制
US91794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ransmit power capp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0869922B1 (ko)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장치 및방법
CN102027774B (zh) 用于在无线通信网络中使用虚拟噪声系数的方法和装置
EP2668804B1 (en) A method and a network node for determining an offset for selection of a cell of a first radio network node
WO2011021387A1 (ja) 干渉制御方法およびフェムト基地局
KR101624907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실내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8396505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side device, small cell base station,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JP589617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管理サーバ及び無線通信方法
JP5770832B2 (ja) フェムトセルの大規模展開に対するマクロネットワークのkpi影響の管理
KR100986142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송신전력 설정 장치 및방법
KR10161675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할당 선택 방법 및 장치
KR2009010566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옥내 기지국의 상향링크 간섭을최소화하는 전력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79346B1 (ko) 옥내 기지국, 이동 단말 및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71101A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초소형 기지국 시스템
JP2013201631A (ja) 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装置、無線基地局装置、管理装置および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WO2010063328A1 (en) Controlling transmit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