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769B1 -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 - Google Patents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769B1
KR100985769B1 KR1020080100088A KR20080100088A KR100985769B1 KR 100985769 B1 KR100985769 B1 KR 100985769B1 KR 1020080100088 A KR1020080100088 A KR 1020080100088A KR 20080100088 A KR20080100088 A KR 20080100088A KR 100985769 B1 KR100985769 B1 KR 100985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groove portion
maxillary
implant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086A (ko
Inventor
박병활
Original Assignee
박병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활 filed Critical 박병활
Priority to KR1020080100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769B1/ko
Publication of KR20100041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핸드피스의 구동부에 결합되는 회전축부재와, 상기 회전축부재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드릴부재와, 상기 회전축부재 및 드릴부재의 치합부위에 구비되는 몸통부재로 이루어져, 상악골 천공시에는 상기 드릴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재와 드릴부재가 상호 치합되어 회전되고, 상악골 천공이 마무리되어 상기 드릴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치합면에 구비되는 자성체의 척력에 의해 상기 드릴부재가 상기 회전축부재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악동 내막이 드릴부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1차적으로 일반용 임플란트 드릴로 상악골을 천공한 후 천공된 상악골 가장자리 측에 몸통부재가 걸려진 상태에서 드릴부재만 회전시켜 나머지 상악골을 천공함으로써 상악골의 천공이 마무리되는 순간 드릴부재가 과도하게 상악동 내막 측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은 일단에 제 1 요홈부가 형성되는 회전축부재와, 일단에는 상기 제 1 요홈부가 삽입 고정되며,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통부재와, 일단에는 드릴날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공간부 내에서 이동되되 상기 제 1 요홈부와 치합 가능한 제 2 요홈부가 형성되어 치합여부에 따라 상기 회전축부재 및 몸통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드릴부재와, 상기 제 1 요홈부 및 제 2 요홈부의 치합면 상에 동일한 극성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요홈부 및 제 2 요홈부 사이에서 척력을 발생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하 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플란트, 상악골, 상악동내막, 회전축, 몸통, 드릴, 자성체

Description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IMPLANT DRILL FOR SINUS LIFT TECHNIQUE}
본 발명은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구동부에 결합되는 회전축부재와, 상기 회전축부재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드릴부재와, 상기 회전축부재 및 드릴부재의 치합부위에 구비되는 몸통부재로 이루어져, 상악골 천공시에는 상기 드릴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재와 드릴부재가 상호 치합되어 회전되고, 상악골 천공이 마무리되어 상기 드릴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치합면에 구비되는 자성체의 척력에 의해 상기 드릴부재가 상기 회전축부재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악동 내막이 드릴부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1차적으로 일반용 임플란트 드릴로 상악골을 천공한 후 천공된 상악골 가장자리 측에 몸통부재가 걸려진 상태에서 드릴부재만 회전시켜 나머지 상악골을 천공함으로써 상악골의 천공이 마무리되는 순간 드릴부재가 과도하게 상악동 내막 측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에 관한 것이다.
상악동 거상술의 사전적 의미는 상악동을 위로 밀어올린다는 뜻으로,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켜 공간을 확보한 후에 이 공간 내에 골을 이식하고, 이식된 골 내에 임플란트를 매식하게 된다.
전술한 상악동 거상술에는 잔존골의 두께에 따라서 수직접근법 또는 측방접근법이 선택되어 시술되는데, 수직접근법의 경우 잔곤골이 상하기준으로 4mm 이상일때 상악골을 천공한 후 진행되며, 측방접근법의 경우 잔존골이 상하기준으로 4mm 이하일때 치은판막을 광대뼈 쪽으로 들어올린 다음 상악동 측면골을 여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상악동 거상술시 상악골은 천공하면서 상악골에 붙어있는 상악동에는 손상을 주지 않아야 하는데, 회전하는 드릴을 상악골 천공이 마무리됨과 동시에 멈추기가 어려워 상악동 내막이 손상되지 않고 거상시키기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최근에는 회전하는 드릴의 내측에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천공이 마무리됨과 동시에 돌출부가 돌출되면서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키는 임플란트 드릴이 소개되고 있으나, 술자가 멈추기 전까지는 드릴이 계속하여 회전하게 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상악골 천공이 마무리됨과 동시에 드릴의 회전이 멈추지 않는다면 상악동 내막에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용 핸드피스의 구동부에 결합되는 회전축부재와, 상기 회전축부재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드릴부재와, 상기 회전축부재 및 드릴부재의 치합부위에 구비되는 몸통부재로 이루어져, 상악골 천공시에는 상기 드릴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재와 드릴부재가 상호 치합되어 회전되고, 상악골 천공이 마무리되어 상기 드릴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치합면에 구비되는 자성체의 척력에 의해 상기 드릴부재가 상기 회전축부재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악동 내막이 드릴부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차적으로 일반용 임플란트 드릴로 상악골을 천공한 후 천공된 상악골 가장자리 측에 몸통부재가 걸려진 상태에서 드릴부재만 회전시켜 나머지 상악골을 천공함으로써 상악골의 천공이 마무리되는 순간 드릴부재가 과도하게 상악동 내막 측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일단에 제 1 요홈부가 형성되는 회전축부재와, 일단에는 상기 제 1 요홈부가 삽입 고정되며,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통부재와, 일단에는 드릴날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공간부 내에서 이동되되 상기 제 1 요홈부와 치합 가능한 제 2 요홈부가 형성되어 치합여부에 따라 상기 회전축부재 및 몸통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드릴부재와, 상기 제 1 요홈부 및 제 2 요홈부의 치합면 상에 동일한 극성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요홈부 및 제 2 요홈부 사이에서 척력을 발생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몸통부재 상에는 상기 제 1 요홈부 및 제 2 요홈부의 치합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며, 외주연 상에는 천공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몸통부재는 상기 드릴부재에 비해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재의 타단 내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요홈부 상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지는 단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드릴부재는 상기 몸통부재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공간부 내에서 이동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에 의하면 첫째, 상악골 천공시에는 상기 드릴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재와 드릴부재가 상호 치합되어 회전되고, 상악골 천공이 마무리되어 상기 드릴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치합면에 구비되는 자성체의 척력에 의해 상기 드릴부재가 상기 회전축부재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악골의 천공이 마무리된 후에는 드릴부재가 회전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상악동 내막이 드릴부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1차적으로 일반용 임플란트 드릴로 상악골을 천공한 후 천공된 상악골 가장자리 측에 몸통부재가 걸려진 상태에서 드릴부재만 회전시켜 나머지 상악골을 천공함으로써 상악골의 천공이 마무리되는 순간 드릴부재가 과도하게 상악동 내막 측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a 및 3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의 작동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1)은 일단에 제 1 요홈부(102)가 형성되는 회전축부재(100)와, 일단에는 제 1 요홈부(102)가 삽입 고정되며, 내부에는 공간부(204)가 형성되는 몸통부재(200)와, 일단에는 드릴날(30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공간부(204) 내에서 이동되되 제 1 요홈부(102)와 치합 가능한 제 2 요홈부(304)가 형성되어 치합여부에 따라 회전축부재(100) 및 몸통부재(200)와 함께 회전되는 드릴부재(300)와, 제 1 요홈부(102) 및 제 2 요홈부(304)의 치합면 상에 동일한 극성으로 구비되어 제 1 요홈부(102) 및 제 2 요홈부(304) 사이에서 척력을 발생시키는 자성체(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축부재(100)는 치과용 핸드피스(1000)의 구동부에 결합되어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에는 제 1 요홈부(10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치과용 핸드피스(1000)에 결합되는 결합부(104)가 형성된다.
전술한 제 1 요홈부(102)는 추후에 설명될 제 2 요홈부(304)와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제 2 요홈부(304)가 형성되는 드릴부재(3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요홈부(102)는 추후에 설명될 몸통부재(200)와 결합하기 위한 수나사산(102d)이 하단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단에 체결홈(102b)과 체결돌기(102c)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역시 추후에 설명될 자성체(400)가 삽입될 삽입공(102a)이 형성된다.
전술한 회전축부재(100)는 치과용 핸드피스(1000)의 구동부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추후에 설명될 드릴부재(30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회전축부재(100)는 몸통부재(200)와 상호 고정 연결되는데, 이 몸통부재(200)는 추후에 설명될 드릴부재(300)가 회전축부재(100)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몸통부재(200)는 내부에 공간부(204)가 형성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의 내주연 상에는 전술한 회전축부재(100)의 수나사산(102d)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암나사산(202)이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몸통부재(200) 상에는 관통구(206)가 형성되어 제 1 요홈부(102) 및 제 2 요홈부(304)의 치합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외주연 상에는 눈금(208)이 표시되어 상악골(600)이 천공된 깊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몸통부재(200)는 추후에 설명될 드릴부재(300)에 비해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으로 하며, 몸통부재(200)의 타단에는 내측으로 걸림턱(210)이 돌출 형성되어 드릴부재(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몸통부재(200)의 공간부(204) 내에는 드릴부재(30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드릴부재(300)는 전술한 회전축부재(100)와의 치합여부에 따라 치과용 핸드피스(1000)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상악골(600)을 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드릴부재(300)는 일단에는 드릴날(30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전술한 공간부(204) 내에서 이동되되 제 1 요홈부(102)와 치합 가능한 제 2 요홈부(304)가 형성되어 치합여부에 따라 회전축부재(100) 및 몸통부재(20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드릴날(302)은 중심부가 돌출된 날카로운 형상이 아니라 평평한 면에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된 다이아몬드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요홈부(304)는 전술한 제 1 요홈부(102)와 마찬가지로 하단에 제 1 요홈부(102)의 체결홈(102b)와 치합되는 체결돌기(304c), 그리고 제 1 요홈부(102)의 체결돌기(102c)와 치합되는 체결홈(304b)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역시 추후에 설명될 자성체(400)가 삽입될 삽입공(304a)이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체결홈(102b,304b)와 체결돌기(102c,304c)의 형상은 상호 치합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 1 요홈부(102)와 제 2 요홈부(304)가 치합될 시에는 회전축부재(100)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드릴부재(300)가 회전하게 되고, 치합되지 않을 시에는 추후에 설명될 자성체(400)의 척력에 의해 상호 분리되어 전술한 드릴부재(300) 중 드릴날(302)이 형성된 측이 몸통부재(2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제 2 요홈부(304) 상에는 단턱(306)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제 1 요홈부(102)와 제 2 요홈부(304)가 분리될 시에도 드릴부재(300)는 단턱(306)이 몸통부재(200)의 걸림턱(210) 상에 걸리게 되어 이탈하지 않고 공간부(204) 내에서만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드릴부재(300)는 전술한 회전축부재(100)와 마찬가지로 회전축부재(100)의 제 1 요홈부(102)에 견고하게 치합되어 회전축부재(100)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받고 상악골(600)을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호 치합되는 제 1 요홈부(102) 및 제 2 요홈부(304)의 치합면 상에는 동일한 극성으로 형성되는 자성체(400)가 구비되는데, 이 자상체는 제 1 요홈부(102) 및 제 2 요홈부(304) 상에 상호 척력을 발생시켜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악골(600) 천공을 위해서 회전축부재(100)를 하부로부터 밀어올리면 드릴날(302)이 상악골(600)에 밀착되어 압력이 전달되면서 드릴부재(300)가 몸통부재(200)의 내측으로 밀려들어옴에 따라 제 1 요홈부(102)와 제 2 요홈부(304)가 상호 치합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치과용 핸드피스(1000)의 구동부를 구동시키면 구동부 - 회전축부재(100) - 드릴부재(300)로 순차적으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드릴날(302)이 상악골(600)을 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악골(600)의 천공이 마무리되는 순간에는 상악골(600)과 드릴부재(300)의 접촉에 의해 드릴부재(300)에 전달되던 압력이 제거되면서 자성체(400)의 척력에 의해 제 1 요홈부(102) 및 제 2 요홈부(304)가 상호 분리됨으로 인해 드릴부재(300)가 회전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어 드릴부재(300)가 상악동 내막(700)을 약간 밀어올릴 수는 있지만 상악동 내막(700)이 드릴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은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제 1 요홈부(102) 및 제 2 요홈부(304)에 각각 삽입되는 자성체(400)는 영구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1)을 이용한 전체적인 시술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1)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먼저, 임플란트(900)를 시술할 환자의 상악골(600) 두께를 확인한 다음, 일반용 임플란트 드릴(500)을 이용해 상악골(600)이 천공되지 않는 깊이만큼 천공을 한다.
이때 일반용 임플란트 드릴(500)에 의해 천공되는 직경은 몸통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인 것으로 한다.
그런 다음, 회전축부재(100)의 결합부(104)를 치과용 핸드피스(1000) 내에 끼워 결합시킨 후 드릴날(302)이 천공되어 있는 상악골(600) 내로 삽입되도록 끼워넣는다.
이때, 드릴날(302)이 상악골(600) 측에 맞닿게 되고, 그 압력으로 인해 드릴부재(300)가 몸통부재(200)의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제 1 요홈부(102)와 제 2 요홈부(304)가 상호 치합된다.
이 상태에서 치과용 핸드피스(1000)의 구동부를 작동시켜 회전축부재(100)를 회전시키고, 회전축부재(100)의 회전력은 드릴부재(300)로 전달되어 상악골(600)의 천공이 시작된다.
상악골(600)의 천공이 마무리되는 순간, 드릴날(302)을 통해 전달되던 압력이 제거되면서 제 1 요홈부(102)와 제 2 요홈부(304)는 자성체(400)의 척력에 의해 상호 분리되고, 이로 인해 회전축부재(100)가 회전되고 있다 하더라도 그 회전력은 드릴부재(300)에 전달되지 않게 되어 상악동 내막(7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드릴부재(300)가 척력에 의해 몸통부재(200) 상에서 밀려올라가면서 상악동 내막(700)을 거상시켜 골이식재(800)가 채워질 공간부(204)를 형성한다.
또한, 몸통부재(200)가 드릴부재(300)에 비해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일반용 임플란트 드릴(500)로 상악골(600)을 천공한 후 천공된 상악골(600) 가장자리 측에 몸통부재(200)가 걸려진 상태에서 드릴부재(300)만 회전시켜 나머지 상악골(600)을 천공함으로써 상악골(600)의 천공이 마무리되는 순간 드릴부재(300) 가 과도하게 상악골(600) 내막 측으로 밀려들어가 상악동 내막(700)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악동 내막(700)이 거상되면, 그 공간부(204) 내에 골이식재(800)를 이식한 후 임플란트(900)를 식립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 100 : 회전축부재
102 : 제 1 요홈부 102a,304a : 삽입공
102b,304b : 체결홈 102c,304c : 체결돌기
102d : 수나사산 104 : 결합부
200 : 몸통부재 202 : 암나사산
204 : 공간부 206 : 관통구
208 : 눈금 210 : 걸림턱
300 : 드릴부재 302 : 드릴날
304 : 제 2 요홈부 306 : 단턱
400 : 자성체 500 : 일반용 임플란트 드릴
600 : 상악골 700 : 상악동 내막
800 : 골이식재 900 : 임플란트
1000 : 치과용 핸드피스

Claims (3)

  1. 일단에 제 1 요홈부가 형성되는 회전축부재;
    일단에는 상기 제 1 요홈부가 삽입 고정되며,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통부재;
    일단에는 드릴날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공간부 내에서 이동되되 상기 제 1 요홈부와 치합 가능한 제 2 요홈부가 형성되어 치합여부에 따라 상기 회전축부재 및 몸통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드릴부재; 및
    상기 제 1 요홈부 및 제 2 요홈부의 치합면 상에 동일한 극성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요홈부 및 제 2 요홈부 사이에서 척력을 발생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재 상에는 상기 제 1 요홈부 및 제 2 요홈부의 치합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며, 외주연 상에는 천공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재는 상기 드릴부재에 비해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재의 타단 내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요홈부 상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지는 단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드릴부재는 상기 몸통부재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공간부 내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
KR1020080100088A 2008-10-13 2008-10-13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 KR100985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088A KR100985769B1 (ko) 2008-10-13 2008-10-13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088A KR100985769B1 (ko) 2008-10-13 2008-10-13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086A KR20100041086A (ko) 2010-04-22
KR100985769B1 true KR100985769B1 (ko) 2010-10-06

Family

ID=4221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088A KR100985769B1 (ko) 2008-10-13 2008-10-13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920B1 (ko) 2011-10-19 2013-02-13 김성윤 상악동 내막 거상용 물 주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306B1 (ko) * 2010-04-27 2012-03-16 (주) 케이제이 메디텍 상악동 거상술용 드릴 유닛
KR101285002B1 (ko) * 2013-01-04 2013-07-10 김노국 상악동 임플란트 드릴
KR101408909B1 (ko) * 2013-01-11 2014-06-18 박병활 보조드릴이 구비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913A (ja) 1997-07-25 1998-04-21 Mitsubishi Materials Corp 金属管内外面加工装置
KR20040022976A (ko) * 2002-09-10 2004-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0422976Y1 (ko) 2006-05-22 2006-08-01 한일월드(주)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KR100674219B1 (ko) 2006-02-24 2007-01-25 이찬주 치과 임플란트용 천공 가이드 장치
KR100759261B1 (ko) 2007-01-15 2007-09-17 주식회사 메가젠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913A (ja) 1997-07-25 1998-04-21 Mitsubishi Materials Corp 金属管内外面加工装置
KR20040022976A (ko) * 2002-09-10 2004-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674219B1 (ko) 2006-02-24 2007-01-25 이찬주 치과 임플란트용 천공 가이드 장치
KR200422976Y1 (ko) 2006-05-22 2006-08-01 한일월드(주)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KR100759261B1 (ko) 2007-01-15 2007-09-17 주식회사 메가젠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920B1 (ko) 2011-10-19 2013-02-13 김성윤 상악동 내막 거상용 물 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086A (ko)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5857C (en) An implant drill
KR100660374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KR100985769B1 (ko)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
EP2233109B1 (en) Housing container for implant fixture
EP2689743B1 (en) Drill for implant surgery
US20060121415A1 (en) Set of motor-driven instruments to aid the fixing of dental implants
EP2572671A1 (en) Stopper ring for a bone drill
US20100042222A1 (en) Maxillary Sinus Bone Graft Method Using the Sinus Lift Drill (SLD) and Hydraulic Effect
KR100660375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KR10145701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구 천공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
JP2018522685A (ja) ドリルガ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08887A (ko) 어버트먼트 스크류 제거 드릴 및 어버트먼트 스크류 제거 장치
KR101166901B1 (ko) 임플란트용 주입기
JP2012065985A (ja) ストッパ収納ケース
KR102198293B1 (ko) 치과용 드릴을 위한 스토퍼
EP2689744A2 (en) Safety subantral membrane lift capable of directly adjusting a subantral membrane to safely lift the subantral membrane in a desired direction by a desired distan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same
KR101408909B1 (ko) 보조드릴이 구비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
KR20190072157A (ko) 임플란트시술용 드릴가이드
KR100950592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KR102276544B1 (ko)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어셈블리
EP4042969A1 (en) Implant device in natural tooth shape having detachable dental root
KR200475899Y1 (ko) 스토퍼를 갖는 치과용 드릴
JP2011152239A (ja) インプラント手術用歯肉パンチドリル
KR102261478B1 (ko) 임플란트의 픽스쳐에 체결된 어버트먼트 취출키트
KR100988306B1 (ko) 픽스쳐 식립시술용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