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544B1 - Note for the English speaking and composition training - Google Patents

Note for the English speaking and composition trai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544B1
KR100985544B1 KR1020080043505A KR20080043505A KR100985544B1 KR 100985544 B1 KR100985544 B1 KR 100985544B1 KR 1020080043505 A KR1020080043505 A KR 1020080043505A KR 20080043505 A KR20080043505 A KR 20080043505A KR 100985544 B1 KR100985544 B1 KR 100985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written
writing
words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5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17455A (en
Inventor
이은순
Original Assignee
이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순 filed Critical 이은순
Priority to KR1020080043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544B1/en
Publication of KR20090117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4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5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서문, 의문문 등의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동일한 패턴을 노트의 사용을 통해 학습자가 쉽게 이해하도록 함과 동시에 스스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영어를 즐기고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말하기와 쓰기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특성의 영어 단어들이 기재되어 있는 4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평서문, 의문문 등의 어순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면과, 상기 학습면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평서문과 의문문을 영작하는 영작연습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43505

영작, 노트, 훈련, 평서문, 의문문, 말하기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nglish speaking and English writing training notes, more specifically, the same pattern constituting the English sentences such as plain text, interrogative questions, etc. through the use of notes to learners can easily understand at the same time by allowing the application of their own It is about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raining notes that not only allows anyone to enjoy and speak English, but also to speak and write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four zones in which English words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are described so that a learning surface for learning word order, such as written text and question, and the written text and question based on the content learned in the learning surfa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English writing practice to write.

Figure R1020080043505

Writing, Notes, Training, Writing, Questioning, Speaking

Description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 {Note for the English speaking and composition training}Note for the English speaking and composition training

본 발명은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서문, 의문문 등의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동일한 패턴을 노트의 사용을 통해 학습자가 쉽게 이해하도록 함과 동시에 스스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영어를 즐기고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말하기와 쓰기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nglish speaking and English writing training notes, more specifically, the same pattern constituting the English sentences such as plain text, interrogative questions, etc. through the use of notes to learners can easily understand at the same time by allowing the application of their own It is about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raining notes that not only allows anyone to enjoy and speak English, but also to speak and write at the same time.

글로벌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영어는 이제 외국어의 개념을 넘어 제 2의 언어로 인식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요즈음 영어를 배우기 위해 투자되는 시간과 돈의 규모는 설명할 수 없을 정도이다.For us living in the global era, English is now recognized as a second language beyond the concept of foreign languages. Therefore, the amount of time and money invested in learning English these days is beyond description.

일반적으로 종래의 영어 학습방법은 단어 또는 문장을 반복학습을 통해 암기식으로 학습하게 되는데, 일례로 영어로 쓰인 문장을 무조건 많이 듣고 읽고 따라 말하고 따라 쓰고 해서 암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학습방법은 선생 님의 질문에 답만을 하거나 무조건 따라해야 하므로 학습자들을 소극적인 위치로 만들게 된다.In general, the conventional English learning method is to memorize a word or sentence through repetitive learning, for example, has been proceeded to memorize by listening to a lot of sentences written in English unconditionally by reading, following, and writing. This method of learning makes the learners passive because they have to answer or unconditionally answer the teacher's questions.

그 결과로, 우리나라와 같은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환경에서 교육받아 암기한 문장이라 할 지라도 학습방법에 흥미를 느끼기 어려우므로 곧 잃어버리게 되고, 실제로 거리나 다른 장소에서 외국인을 만날 경우 한 마디도 못하고 도망가는 경우가 허다하다.As a result, even if the memorized sentence is educated in 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nvironment like ours, it is difficult to get interested in the learning method, and it is soon lost. In fact, if you meet foreigners in the streets or other places, Often run away without even being.

이러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있는 요즈음, 영어학습을 시작하는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고, 또한 이러한 영어학습을 시작하는 학습자들을 위한 학습법과 교재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지만, 그 비용이 많이 들어 모든 학습자들이 다 사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학습법과 교재들은 대부분 영어 듣기(리스닝) 위주로 영어학습을 시작하게 되고, 듣기- 읽기 - 말하기 - 쓰기의 순서로 학습을 하게 되는데, 알지도 못하는 내용을 듣고 무조건 따라한다는 것은 자칫 학습자가 지루함을 느낄 수 있고 영어를 이해하고 응용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Recognizing these problems, the age at which English learners are starting to grow is becoming increasingly low, and a variety of 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are being developed for learners who are beginning to learn English.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In addition, most of the learning methods and textbooks begin English learning mainly on English listening (listening), and learn in the order of listening-reading-speaking-writing. You can feel the problem and have a lot of time and effort to understand and apply English.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들어 보다 적은 비용으로 영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어 학습용 노트가 개발되고 있는데 아직까지는 그 개발이 미미한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English learning notes have been developed that allow students to learn English at a lower cost in recent years, but the development is still insignifican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어 학습의 마무리 단계로 인식되는 말하기와 쓰기를 시작 단계로 사용하는 발상의 전환을 통하여 학습자가 보다 적은 비용과 시간의 투자로 영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earn less investment and time investor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idea of using the speaking and writing as a starting stage recognized as the finishing stage of English learning It is to provide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raining notes to improve English 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영어 학습을 처음 시작하는 아이들이나 기초 영어 학습자들에게 영어 문장의 규칙적인 패턴을 눈으로 보고 직접 영어로 말하며 글을 구성하여 문장으로 쓰기를 지도할 수 있는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glish speaking and English training notes that can teach children to start learning English or basic English learners to see the regular pattern of the English sentence with their own eyes and direct the writing by writing a sentence There is another purpose in providing it.

또한, 본 발명은 학습자들이 영작을 진행하면서 평서문과 의문문의 차이, 현재, 과거, 미래 등의 시제와 그에 따른 동사의 변화, 다양한 의문문의 형태와 그 의미 등을 문장으로 쓰며 실제로 터득하여 응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자신의 의도를 영어로 말할 수 있는 기본 회화 실력까지 갖출 수 있도록 하는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earners to write and wri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cript and the question, the present tense, the tense of the verb, the various verbal forms and their meanings, etc. Another aim is to provide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raining notes that will help students to have basic conversation skills to speak their intentions in English.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특성의 영어 단어들이 기재되어 있는 4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평서문, 의문문 등의 어순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면과, 상기 학습면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평서 문과 의문문을 영작하는 영작연습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ivided into four zones in which English words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are described, the learning surface to learn the word order, such as written texts, interrogative questions, and the like Based on the content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English writing practice that writes the texts and questions.

이때, 상기 학습면의 4개의 구역은 의문사가 적혀있는 실력질문구역과, 조동사와 Be 동사가 적혀있는 단순질문구역과, 인칭대명사를 포함한 주어가 될 수 있는 명사가 적혀있는 주어구역과, 다양한 동사가 적혀있는 동사구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our sections of the learning surface are the ability question area in which the interrogator is written, the simple question area in which the verb and Be verb are written, the subject area in which the nouns including subject personal pronouns are written, and the various verbs.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verb section written.

또한, 상기 영작연습면은 주어구역과, 동사구역에 적혀있는 단어들을 이용하여 평서문을 영작하는 A구역과, 단순질문구역과, 주어구역 및 동사구역에 적혀있는 단어들을 이용하여 기본의문문을 영작하는 B구역과, 실력질문구역과, 단순질문구역과, 주어구역 및 동사구역에 적혀있는 단어들을 이용하여 실력의문문을 영작하는 C구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nglish writing practice is to write a basic interrogation using the words written in the subject area, the words written in the verb area and the A section, the simple question area, and the words in the subject area and the verb area.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zone B, ability question area, simple question area, subject area and verb area using area C to write the question of ability.

그리고, 상기 학습면의 4개의 구역에는 각각 1부터 4까지의 번호가 적혀있고, 상기 영작연습면에는 상기 1부터 4까지의 번호가 선택적으로 기재되어 학습자가 상기 번호에 해당하는 구역에 적혀 있는 단어들을 순서대로 조합하여 영작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umbers of 1 to 4 are written in each of the four sections of the learning surface, and the numbers of the numbers 1 to 4 are selectively described on the writing practice surface, so that the learner has a word written in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They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can be combined in order to write English.

한편, 상기 학습면에 기재된 영어 단어들의 우측에는 그 발음이 한국어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nunciation of the English words described on the learning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nunciation is written in Korean.

또한, 상기 학습면에는 학습자가 암기해야 할 단어 또는 상기 4개의 구역에 적힌 단어들과 조합하여 영작할 단어들을 적는 오늘의 단어란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arning surface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word to write the words to be written by the learner or words written in combination with the words written in the four areas.

또한, 상기 영작연습면에는 영어 문법에 대한 설명을 정리할 수 있는 문법란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nglish writing pract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grammar column to organize the description of the English grammar.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에 의하면, 기초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시작을 영작을 통하여 공부하도록 함으로써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동시에 개발하고, 스스로 응용하여 다양한 표현의 문장을 만들며 사용하여 쉽게 영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raining no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veloping the speaking and writing skills at the same time by studying the beginning of English learning of basic learners through the English writing, by using a variety of expressions by using their own applications to easily understand English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들이 영어 작문을 통해 평서문과 의문문의 차이, 현재, 과거, 미래 등의 시제와 그에 따른 동사의 변화 등 여러 문법적인 부분을 쉽게 익힐 수 있게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영어 학습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arners can easily learn English grammatical parts such as the difference between written and interrogative questions, present, past, and future tense and verb changes according to the English composition, thereby reducing the time for learning English at low cost. It further has an effect which can be shortened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어 단어의 우측에 발음과 뜻이 한국어로 표기되어 기초학습자들이 영어를 쉽게 따라 말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nunciation and meaning is written in Korean on the right side of the English word has an additional effect that the basic learners can easily follow the English.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어 문장의 틀을 제공하고 학습자가 그 안에 사용하고자 하는 단어를 알맞은 자리에 넣어 원하는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영어로 말하고 글로 쓰는 기초를 제공하고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스스로 영작하고 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frame of English sentences and learners put the words to use in the appropriate place to write the desired sentence anyone can easily provide a foundation for speaking and writing in English through repetitive learning It has the additional effect of allowing you to write and speak your own thoughts and opin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raining no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학습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영작연습면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영작연습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the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raining no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learning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the use of the English writing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4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nglish practice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본 발명은 평서문, 의문문 등의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동일한 패턴을 노트의 사용을 통해 학습자가 쉽게 이해하도록 함과 동시에 스스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영어를 즐기고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학습면(10)과, 영작연습면(2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learners to easily understand the same pattern constituting the English sentences such as plain texts, questions, etc. through the use of notes, and at the same time to be able to apply by themselves, English speaking and English training for everyone to enjoy and speak English freely. It relates to the note 100, and the structure is largely comprised by the learning surface 10 and the writing practice surface 20.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학습면(10)과 영작연습면(20)은 노트(100)를 펼쳤을 때 각각 왼쪽과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양면이 하나의 구성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earning surface 10 and the writing practice surface 2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when the notebook 100 is unfolded so that both sides form one configuration.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학습면(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트(100)의 왼쪽에 위치하게 되고 그 상면은 4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상기 4개의 구역에는 각각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즉 의문사, 조동사, 주어(명사, 대명사), 동사와 같이 평서문 또는 의문문을 구성하는 구성성분이 될 수 있는 영어 단어들이 기재되어 있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 the learning surface 10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note 100 and the upper surface is divided into four zones, each of which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English words that may be constituents that constitute constituent sentences or interrogative sentences, such as questionnaires, verbs, subjects (nouns, pronouns) and verbs, are described.

즉, 상기 4개의 구역은 각각 What, What time, Who, When, Where, Why, How long, How often 등의 의문사 또는 의문사구가 적혀있는 실력질문구역(11)과, do, does, did, will, can 등의 조동사와 am, are, is 등의 Be동사가 적혀있는 단순질문구역(12)과, I, You, He, She, We, They 등의 인칭대명사와 그 밖의 주어가 될 수 있는 명사가 적혀 있는 주어구역(13) 및 go, come, see, have, want, like, eat, study 등의 동사가 적혀 있는 동사구역(14)으로 구성되어 학습자가 각 구역에 적혀있는 단어들을 순서대로 조합하여 평서문 또는 의문문을 직접 구성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문장의 규칙적인 패턴을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each of the four zones is a question and answer questionnaire (11) in which a question or question phrase is written, such as What, What time, Who, When, Where, Why, How long, How often, and do, does, did, will simple question area (12) with verbs such as, can, and Be verbs such as am, are, is, personal pronouns such as I, You, He, She, We, They, and other nouns It consists of the main section (13) with the words and the verb section (14) with the verbs such as go, come, see, have, want, like, eat, study, etc.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written statement or question and to learn the regular pattern of the sentence.

한편, 상기와 같이 학습면(10)의 4개의 구역에 적혀있는 단어들의 우측에는 그 발음과 뜻이 한국어로 적혀 있어 영어 학습을 처음 시작하는 기초 학습자들이 단어의 뜻과 발음을 익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노트(100)를 사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영어 학습을 처음 시작하는 기초 학습자들이 영어를 보다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스스로 영어로 말하기와 쓰기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onunciation and the meaning is written in Korean on the right side of the words written in the four areas of the learning surface 10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basic learners who start learning English for the first time learn the meaning and pronunciation of words. At the same tim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easily learn using the note (100). In other words, the basic learners who start learning English for the first time to learn English more familiar to learn to speak and write in English at the same time.

다음, 상기 영작연습면(20)은 노트(100)를 펼쳤을 때 오른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학습자가 상기 학습면(10)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로 평서문과 의문문을 영작하는 연습을 하기 위한 것이다.Next, the English writing practice surface 20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when the note 100 is opened, and the learner is actually practicing writing the plain text and questions based on the contents learned in the learning surface 10. .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영작연습면(2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A구역(21)과 B구역(22) 및 C구역(23)으로 구분되는데, 먼저 상기 A구역(21)은 상기 학습면(10)의 주어구역(13)과 동사구역(14)에 적혀있는 단어들을 이용하여 주어+동사로 구성되는 평서문을 영작하는 연습을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B구역(22) 은 상기 학습면(10)의 단순질문구역(12)과 주어구역(13) 및 동사구역(14)에 적혀있는 단어들을 이용하여 조동사+주어+동사로 구성되는 의문문을 영작하는 연습을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C구역(23)은 상기 학습면(10)의 실력질문구역(11)과 단순질문구역(12)과 주어구역(13) 및 동사구역(14)에 적혀있는 단어들을 이용하여 의문사+조동사+주어+동사로 구성되는 의문문을 영작하는 연습을 하기 위한 것이다.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 the English practice surface 20 is further divided into Zone A 21, Zone B 22, and Zone C 23, and first, Zone A 21. In order to practice writing a plain text composed of subject + verb using the words written in the subject area 13 and the verb area 14 of the learning surface 10, the B area 22 is the learning. C is used to practice the question consisting of the verb, verb, verb, verb, verb, verb, verb, verb, verb, verb, verb, verb, verb, verb, verb, verb, verb, verb The section 23 uses the words written in the ability question section 11, the simple question section 12, the subject section 13, and the verb section 14 of the learning surface 10, and the interrogator + verb + verb + This is to practice writing questions that consist of verbs.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조동사+주어+동사로 구성되는 의문문은 Yes나 No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대답할 수 있으므로 기본의문문이라 하고, 의문사+조동사+주어+동사로 구성되는 의문문은 실력의문문이라 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question consisting of the verbs + verbs + verbs can be simply answered by using Yes or No. Therefore, the question is composed of question verbs + verbs + verbs + verbs. would.

한편, 상기 학습면(10)의 4개의 구역에는 각각 1부터 4까지의 번호(16)가 적혀있는데, 이는 학습자가 평서문과 의문문과 같은 문장의 어순을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What, What time, Who, When, Where, Why, How long, How often 등의 의문사 또는 의문사구가 적혀있는 실력질문구역(11)에는 '1'이 적혀있고, do, does, did, will, can 등의 조동사와 am, are, is 등의 Be동사가 적혀있는 단순질문구역(12)에는 '2'가 적혀 있으며, I, You, He, She, We, They 등의 인칭대명사와 그 밖의 주어가 될 수 있는 명사가 적혀 있는 주어구역(13)에는 '3'이 적혀있고, go, come, see, have, want, like, eat, study 등의 동사가 적혀 있는 동사구역(14)에는 '4'가 적혀있어 학습자가 반복학습을 통해 평서문, 의문문과 같은 영어 문장의 패턴을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단어들이 문장 내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여야 하는 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our areas of the learning surface 10 is numbered from 1 to 4, respectively, 16 is written, so that the learner can learn the word order of the sentence such as the written statement and the question. That is, '1' is written in the ability question area (11) where the question or question phrases such as What, What time, Who, When, Where, Why, How long, How often, etc. are written, do, does, did, will '2' is written in the simple question area (12) where verbs such as, can, and Be verbs such as am, are, and are written, and personal pronouns such as I, You, He, She, We, They, and others. '3' is written in the subject area (13) where nouns can be given, and in the verb area (14) where verbs such as go, come, see, have, want, like, eat, study are written, 4 'is written so that learners can learn patterns of English sentences such as written texts and questions through repetitive learning, as well as understand where each word should be located within the text.

또한, 상기 영작연습면(20)에는 상기 학습면(10)에 적혀 있는 '1'부터 '4'까 지의 번호(16)가 선택적으로 기재되어 학습자가 상기 번호(16)에 해당하는 구역에 적혀 있는 단어들을 순서대로 조합하여 영작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nglish writing surface 20, the number (16) of '1' to '4' written on the learning surface 10 is optionally described so that the learner is written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16) It is composed to practice English writing by combining the words in order.

즉, 상기 영작연습면(20)을 구성하는 세 개의 구역 중, A구역(21)에는 '3'과 '4'가 기재되어 학습자가 주어구역(13)과 동사구역(14)에 적힌 단어들을 이용하여 주어+동사로 구성되는 평서문을 영작하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B구역(22)에는 '2', '3', '4'가 기재되어 학습자가 단순질문구역(12)과 주어구역(13) 및 동사구역(14)에 적힌 단어들을 이용하여 조동사+주어+동사로 이루어지는 기본 의문문을 영작하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며, C구역(23)에는 '1', '2', '3', '4'가 기재되어 학습자가 실력질문구역(11)과 단순질문구역(12), 주어구역(13) 및 동사구역(14)에 적힌 단어들을 이용하여 의문사+조동사+주어+동사로 이루어지는 실력 의문문을 영작하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mong the three zones constituting the English writing practice surface 20, '3' and '4' are written in zone A 21 so that the learner writes words written in the subject zone 13 and the verb zone 14. By doing so, students can practice writing the essays composed of subject + verb, and in section B (22), '2', '3', and '4' are written so that the learner can answer the simple question area (12) and the subject area Students can practice writing basic questions consisting of verbs, verbs, and verbs using words written in (13) and verb sections (14), and in area C (23), '1', '2', '3' ',' 4 'is written so that the learner consists of questions, verbs, verbs, and verbs using words written in the ability question section (11), simple question section (12), subject section (13), and verb section (14). It is to be able to practice writing questionable skills.

한편, 상기 학습면(10)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늘의 단어란(15)이 더 포함될 수도 있는데, 상기 오늘의 단어란(15)은 상기 4개의 구역에 적혀있지 않은 학습자가 암기해야 할 단어들이나,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인 목적어나 수식어구에 사용되는 명사나 형용사와 같은 상기 4개의 구역에 적힌 단어들과 조합하여 영작할 단어들을 적어 학습자가 암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 the learning surface 10 may further include the word column of the day 15, and the word column of the day 15 should be memorized by a learner not listed in the four areas. It is intended to allow learners to memorize by writing words to be written in combination with words written in the above four sections, such as words to be spoken, other elements constituting English sentences, nouns and adjectives used in modifiers.

이때, 상기 오늘의 단어란(15)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과 '5'가 기재되어 있는데, 상기 '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주어를 나타내고, '5'는 목적어를 나타낸다. 즉, 오늘의 단어란(15)에 적히는 단어 중 명사들을 이용하여 영어 문장에서 주어 또는 목적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명사의 의미와 명 사는 주어 또는 목적어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영작연습면(20)의 세 구역(21,22,23)의 번호(16)가 적힌 부분의 제일 뒤쪽에 번호(16) '5'를 추가하여 학습자가 상기 오늘의 단어란(15)에 적혀 있는 단어들 중 명사를 이용하여 목적어가 포함된 문장 구성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3' and '5' are described in the word column of the day 15, wherein '3' represents a subject as described above, and '5' represents an object. . In other words, by using the nouns of the words written in today's word (15) to enable them to be used as subjects or objects in the English sentence so that learners can learn that the meanings of nouns and nouns can be used as subjects or objects. It is for. Therefore, the learner adds the number 16 '5' to the back of the portion where the number 16 of the three sections 21, 22, and 23 of the writing practice surface 20 is written. You can use the nouns of the words listed in) to practice constructing sentences that contain the object.

또한, 상기 영작연습면(2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법란(24)이 더 포함될 수도 있는데, 상기 문법란(24)은 학습자가 영어 문법에 대한 설명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학습면(10)에서 입으로 말하면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영작연습을 하면서 문법과 관련된 내용을 학습자들이 스스로 정리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들의 영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문법을 스스로 정리하기 어려운 기초학습자들을 위하여 상기 문법란(24)에 미리 문법을 정리하여 프린트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grammar field 24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writing practice surface 20, and the grammar field 24 allows the learner to organize the description of the English grammar. That is, the learner can improve the English skills of the learners by allowing the learners to organize the contents related to grammar while practicing English writing based on the contents learned by speaking on the learning surface 10. At this time, for the basic learners who are difficult to organize the grammar by themselves, the grammar column 24 may be configured to be printed in a grammar in advance.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100)를 이용한 바람직한 학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learning method using the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raining notes 1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트를 펼쳤을 때 왼쪽면에 해당되는 학습면(10)과, 오른쪽면에 해당되는 영작연습면(20)으로 구성되어 학습자는 학습면(10)을 통해 평서문, 의문문과 같은 영어 문장의 구성 및 패턴을 학습하게 되고, 상기 영작연습면(20)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로 영작 연습을 함으로써 영어 문장 구성의 패턴을 이해 하게 되고 이를 응용하여 다양한 표현의 문장들을 만들어 봄으로써 보다 쉽게 영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irst, the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raining note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learning surface (10)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and the writing surface (20)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when the notes are unfolded The learner learns the composition and pattern of English sentences such as plain text and question questions through the learning surface (10), and based on the contents learned in the English writing practice surface (20), by actually practicing English writing By understanding the pattern of the composition and applying it to make sentences of various expressions, it becomes easier to understand and use English.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100)의 학습면(10)은 다양한 의문사, 조동사, 명사 또는 대명사, 동사들이 적혀있는 4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있고 각각의 구역에는 1부터 4까지의 번호(16)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영어 단어를 학습할 수 있는 오늘의 단어(15)란에는 기재된 단어 중 명사들은 주어와 목적어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3과 5라는 번호(16)가 기재되어 있다.In more detail, first, as shown in FIG. 2, the learning surface 10 of the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raining note 100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in which various interrogative verbs, verbs, nouns or pronouns, and verbs are written. Areas are numbered 16 through 1. And today's word (15), which can learn English words, the numbers 16 and 3, which means that nouns of words described can be used as subject and object.

또한,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100)의 영작연습면(2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서문을 작성하기 위한 A구역(21)과, 기본 의문문을 작성하기 위한 B구역(22) 및 실력 의문문을 작성하기 위한 C구역(23)으로 나뉘어져 있고 각각의 구역에는 1부터 5까지의 번호(16)가 선택적으로 기재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nglish writing practice surface 20 of the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raining note 100, as shown in Figure 3, the area A 21 for writing a written statement, the area B 22 for creating a basic question and It is divided into District C (23) for writing questionable questions, and each section is optionally numbered 1 through 5.

먼저, 영작연습면(20)의 A구역(21)에 평서문을 영작하기 위해서는 학습면(10)의 주어구역(13)과 동사구역(14)에서 각각 하나씩의 단어를 선택하여 문장을 작성하게 된다. 이때, 학습자가 평서문의 패턴을 아직 잘 이해하지 못했을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A구역(21)에는 '3', '4', '5'라는 번호(16)를 적어놓아 학습자가 '3'에 해당하는 주어구역(13)과, '4'에 해당하는 동사구역(14)에서 단어를 순서대로 선택하여 문장을 영작하거나, 주어와 동사만으로 구성된 문장이 완전하지 않을 경우(동사가 타동사일 경우), '5' 즉, 오늘의 단어란(15)에 적혀있는 명사를 추가로 선택하여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irst of all, in order to write a plain text in the area A (21) of the writing practice surface (20), a sentence is selected by selecting one word from each of the subject area (13) and the verb area (14) of the learning surface (10). . In this case, in case the learner does not yet understand the pattern of the written statement, the number 16, '3', '4', and '5' is written in the area A 21 so that the learner corresponds to '3'. If a sentence is composed by selecting words in order from the subject area (13) and the verb area (14) corresponding to '4', or if the sentence composed only of the subject and verb is not complete (a verb is a transitive verb), '5', that is, it is configured to additionally select a noun written in the word column (15) to write a sentence.

만약, 학습자가 주어구역(13)에서 'I'를 선택하고, 동사구역(14)에서 'like'를 선택하면 'I like.'라는 문장을 만들 수가 있다. 물론 이 문장은 완벽한 문장은 아니지만 주어+동사 라는 평서문의 기본골격을 갖출 수가 있게 되는 것이고, 학습자는 학습면(10)에 한국어로 적혀 있는 발음과 단어의 뜻을 참고하여 '아이 라익ㅋ'라고 발음하면서 'I like.'가 '나는 좋아한다'라는 뜻임을 알게 되어 영작한 문장이 불완전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러한 경우 학습자는 스스로 생각하거나 또는 누군가의 도움을 얻어 'like'라는 동사는 완전한 문장 구성을 위해 '나는 무엇을 좋아한다.'와 같이 '무엇을'에 해당하는 목적어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인지를 통해 학습자는 다시 상기 오늘의 단어(15)란에 적혀 있는 단어들 중 명사를 이용하여 'I like ham.', 'I like English.'와 같이 'I like' 뒤에 그 대상을 나타내는 다양한 목적어를 추가함으로써 완전한 문장을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ham', 'English' 이외의 새로 학습하게 되는 단어들은 학습면(10)에 위치한 오늘의 단어란(15)에 적어 놓음으로써 반복학습을 통하여 다양한 단어들을 암기할 수도 있다. 또한, 학습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오늘의 단어란(15)에 사용자가 학습할 단어를 미리 적어 놓고, 그 단어를 이용하여 완전한 문장을 구성할 수도 있다.If the learner selects 'I' in the subject region 13 and selects 'like' in the verb region 14, the learner may make a sentence of 'I like.' Of course, this sentence is not a perfect sentence, but will be able to equip the basic skeleton of the plain text of the subject + verb, the learner pronounced 'I Raik bla' referring to the pronunciation and the meaning of the word written in Korean on the learning surface (10) As she learns that 'I like.' Means 'I like', she realizes that the English sentence is incomplete. In this case, the learner thinks about himself or, with the help of someone, recognizes that the verb 'like' requires an object that corresponds to 'what', such as 'what I like', to form a complete sentence. . Through this cognition, the learner uses a noun among the words written in the word (15) of the present day to express the object after 'I like' such as 'I like ham.' And 'I like English.' By adding the object, you can form a complete sentence. At this time, the newly learned words other than 'ham', 'English' may be memorized various words through repetitive learning by writing in today's word column (15) located on the learning surface (10). In addition, before starting learning, the word to be learned by the user may be written in advance in the word column of the day 15, and a complete sentence may be formed using the word.

다음, 영작연습면(20)의 B구역(22)에 기본 의문문을 영작하기 위해서는 B구역(22)에 적혀있는 '2','3','4','5'를 참고하여 단순질문구역(12)과 주어구역(13), 동사구역(14) 및 오늘의 단어란(15)에서 각각 하나의 단어씩을 선택하여 문장을 작성하게 된다. 즉, 학습자가 단순질문구역(12)에서 'Do', 주어구역(13)에서 'you', 동사구역(14)에서 'like'를 선택했다면, 이를 순서대로 하여 'Do you like?'라는 기본 의문문을 작성할 수 있게 된다. 학습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학습면(10)에 한국어로 적혀 있는 발음과 단어의 뜻을 참고하여 'Do you like?'의 발음과 뜻을 알게 되고, A구역(21)에서의 영작을 통해 'like'라는 동사는 목적어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학습했으므로 오늘의 단어란(15)에 적힌 단어 또는 새로운 단어를 이용하여 'Do you like English? (두 유 라익ㅋ 잉글리쉬?)'와 같은 완성된 기본 의문문을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Next, in order to write the basic question in area B (22) of the English writing practice area (20), refer to the '2', '3', '4', '5' written in the area B (22) (12), subject area (13), verb area (14) and today's word column (15) to select one word each to write a sentence. That is, if the learner selects 'Do' in the simple question section (12), 'you' in the subject section (13), and 'like' in the verb section (14), the basic order of 'Do you like?' You can write questions. As described above, the learner learns the pronunciation and meaning of 'Do you like?' By referring to the pronunciation and the meaning of the words written in Korean on the learning surface (10). 'You learned that the verb needs an object, so you can use the word or today's word in today's word box (15) to' Do you like English? You will be able to form a complete basic question such as 'two English?'

또한,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Did you like English?'와 같은 과거형 문장도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영어의 시제를 익힐 수 있게 되며, 'Will you like English?', 'Can you like English?'와 같이 어색한 문장을 만들어 봄으로써 스스로 생각하게 되어 동사의 선택에 따라 가능한 문장과 어색한 문장이 나올 수도 있음을 배울 수 있다.In addition, students can learn past tense sentences such as 'Did you like English?' According to the learner's choice, so that they can learn English tense and awkward like 'Will you like English?' And 'Can you like English?' By making sentences, you can think for yourself and learn that depending on the verb's choice, possible and awkward sentences may come up.

만약, 학습자가 동사구역(14)에서 'study'라는 동사를 선택했다면, 'Do you study English? / Does he study English? / Will you study English? / Did you study English? / Can you study English?'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기본 의문문을 영작해봄으로써 영어의 인칭과 시제에 대한 개념을 이해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이해를 통해 평서문 문장을 영작할 때에도 동사의 과거형과 미래형 사용을 쉽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f the learner selected the verb 'study' in the verb zone (14), the question 'Do you study English? / Does he study English? / Will you study English? / Did you study English? / Can you study English? 'Through the various forms of basic questions such as English, you can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first person and tense of English, and through this understanding, it is easy and natural to use verbs past and future when writing written sentences. It will be accepted and used.

또한, 'Do you study English? (두 유 스터디 잉글리쉬?)'와 같이 학습자가 영작과 동시에 영어 발음을 우측에 적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영어 말하기와 쓰기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Also, 'Do you study English? It is also possible for the learner to learn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at the same time by writing the English pronunciation on the right side as well as writing English.

마지막으로, 영작연습면(20)의 C구역(23)에 실력 의문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C구역(23)에 적힌 '1','2','3','4','5'를 참고하여 실력질문구역(11), 단순질문구역(12), 주어구역(13), 동사구역(14) 및 오늘의 단어란(15)에서 각각 하나의 단어씩을 선택하여 순서대로 문장을 작성하게 된다.Lastly, in order to make a question in the area C of the English writing practice area 20, refer to '1', '2', '3', '4', '5' written in the area C. By selecting one word from the ability question area (11), simple question area (12), subject area (13), verb area (14) and today's word column (15) to write a sentence in order.

그 중 학습자가 동사구역(14)에서 'study'를 선택하였다면 실력질문구역(11)에 적혀있는 의문사들을 변화시켜 다음과 같이 다양한 실력 의문문의 영작이 가능하다.If the learner selects 'study' in the verb section (14),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questions written in the skill question section (11) and write various question questions as follows.

'What do you study? / What time do you study English? / Who study? / Who do you study? / When do you study English? / Where do you study? / Why do you study English? / How long do you study? / How often do you study? / How many times do you study?''What do you study? / What time do you study English? Who study? Who do you study? When do you study English? Where do you study? Why do you study English? How long do you study? How often do you study? / How many times do you study? '

위와 같이, 실력질문구역(11)에 적혀 있는 의문사의 변화만으로도 총 10개의 실력 의문문을 작성할 수 있게 되는데, 단순질문구역(12), 주어구역(13), 동사구역(14) 및 오늘의 단어란(15)에 적힌 단어들을 변화시키면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수백 내지 수천 가지 형태의 다양한 실력 의문문을 영작할 수 있게 되고, 그러한 과정에서 주어의 인칭에 대한 개념과 동사의 시제에 대한 개념 및 동사의 종류(자동사 및 타동사)에 따른 올바른 문장의 사용 등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어 문장 구성의 패턴을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 total of 10 skills questions can be written by changing the questions written in the skills question area (11). The simple questions area (12), subject area (13), verb area (14) and today's words By changing the words written in (15), it is possible to write hundreds or thousands of different kinds of questions in accordance with the learner's choice, and in the process, the concept of subject's first person, the concept of verb tenses, and the types of verbs. You will not only learn the use of correct sentences according to (injective and transitive verbs), but also understand the patterns of English sentence composition.

또한, 조동사 및 Be 동사를 단순질문구역(12)에 적어 동사구역(14)에 기록된 일반동사와 구분하여 기록함으로써 조동사 및 Be 동사와 일반동사와의 차이점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Be 동사와 일반동사가 같이 사용되는 경우 일반동사의 진행형 및 수동형으로의 형태변화와 그에 따른 의미변화 등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writing the verbs and Be verbs in the simple question area (12) to distinguish them from the general verbs recorded in the verb area (14), the verbs and Be verbs can be learned not only from the verbs but also the verbs. When verbs and common verbs are used together, students can naturally learn the change in form and meaning of general verbs.

또한, 학습면(10)에 기재된 각각의 단어에 붙은 한국말 표기는 학습자가 영작을 하면서 그 단어를 반복적으로 입으로 말할 수 있게 하므로 말하기와 쓰기 연습을 동시에 할 수 있어, 반복학습을 통해 그 단어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문장 구성이 머리 속에 정리됨과 동시에 입으로 나오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Korean notation attached to each word described on the learning surface (10) allows the learner to speak the word repeatedly by mouth while writing, and thus can practice speaking and writing at the same time. Not only can you learn naturally, but i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you can have various forms of sentences organized in your head and at the same time.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은 반복적인 영작 훈련을 통해 영어단어들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학습자가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스스로 영작할 수 있게 되어 영어 일기, 영어 글짓기 등을 자유롭게 작성하고 영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lace English words in the correct position through repetitive writing exercises as described above, so that learners can write their own thoughts and opinions on their own, and freely write English diaries, writing English, etc.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speak freely.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를 이용하여 인터넷과 같은 온라인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learned through online such as the Internet using the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raining no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서문, 의문문 등의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동일한 패턴을 노트의 사용을 통해 학습자가 쉽게 이해하도록 함과 동시에 스스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영어를 즐기고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말하기와 쓰기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nglish speaking and English writing training notes, more specifically, the same pattern constituting the English sentences such as plain text, interrogative questions, etc. through the use of notes to learners can easily understand at the same time by allowing the application of their own It is about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raining notes that not only allows anyone to enjoy and speak English, but also to speak and write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작 훈련 노트를 나타낸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writing training no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학습면을 나타낸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learning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영작연습면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use of English practice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영작연습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ining practice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학습면 11 : 실력질문구역10: learning page 11: ability question area

12 : 단순질문구역 13 : 주어구역12: simple question area 13: subject area

14 : 동사구역 15 : 오늘의 단어란14: Verb Zone 15: Today's Word

16 : 번호 20 : 영작연습면16: No. 20: English practice page

21 : A구역 22 : B구역21: Zone A 22: Zone B

23 : C구역 24 : 문법란23: Zone C 24: Grammar

100 : (영작 훈련) 노트100: (English training) notes

Claims (7)

노트의 왼쪽면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특성의 영어 단어들이 기재되어 있는 4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평서문, 의문문 등의 어순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면과,It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notebook, and divided into four sections containing English words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so that you can learn word order such as written texts and questions. 노트의 오른쪽면에 위치하고, 상기 학습면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평서문과 의문문을 영작하는 영작연습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되,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notebook, based on what you have learned in the learning side, including the English writing practice that writes the essays and questions, 상기 학습면의 4개의 구역은 의문사가 적혀있는 실력질문구역과, 조동사와 Be 동사가 적혀있는 단순질문구역과, 인칭대명사를 포함한 주어가 될 수 있는 명사가 적혀있는 주어구역과, 다양한 동사가 적혀있는 동사구역으로 구성되고,The four sections of the learning area are the ability question areas with questionable questions, the simple question areas with modal verbs and Be verbs, the subject area with nouns that can be subjects, including personal pronouns, and various verbs. Consisting of verbal zones, 상기 영작연습면은 주어구역과, 동사구역에 적혀있는 단어들을 이용하여 평서문을 영작하는 A구역과, 단순질문구역과, 주어구역 및 동사구역에 적혀있는 단어들을 이용하여 기본의문문을 영작하는 B구역과, 실력질문구역과, 단순질문구역과, 주어구역 및 동사구역에 적혀있는 단어들을 이용하여 실력의문문을 영작하는 C구역으로 구성되며,The English writing practice area is a section A for writing a written comment using the words in the subject area and a verb section, a simple question section, and a B section for writing a basic question using the words written in the subject and verb sections. It consists of the section C, which writes the question of skills using the words written in the questionnaire, the skill question area, the simple question area, the subject area, and the verb area. 상기 학습면의 4개의 구역에는 각각 1부터 4까지의 번호가 적혀있고, 상기 영작연습면에는 상기 1부터 4까지의 번호가 선택적으로 기재되어 학습자가 상기 번호에 해당하는 구역에 적혀 있는 단어들을 순서대로 조합하여 영작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Numbers 1 to 4 are written in each of the four sections of the learning surface, and numbers 1 to 4 are selectively written on the writing practice page, so that the learners order the words written in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raining not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can be written in Englis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학습면에 기재된 영어 단어들의 우측에는 그 발음이 한국어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English speaking and English training not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nunciation is written in Korean on the right side of the English words described on the learning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학습면에는 학습자가 암기해야 할 단어 또는 상기 4개의 구역에 적힌 단어들과 조합하여 영작할 단어들을 적는 오늘의 단어란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The learning surface, the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raining notes,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d to write the words to be written in combination with the words to be memorized by the learner or the words written in the four area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작연습면에는 영어 문법에 대한 설명을 정리할 수 있는 문법란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The English writing practice English speaking and English training not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rammar column to organize the description of the English grammar.
KR1020080043505A 2008-05-09 2008-05-09 Note for the English speaking and composition training KR1009855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505A KR100985544B1 (en) 2008-05-09 2008-05-09 Note for the English speaking and composition trai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505A KR100985544B1 (en) 2008-05-09 2008-05-09 Note for the English speaking and composition trai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455A KR20090117455A (en) 2009-11-12
KR100985544B1 true KR100985544B1 (en) 2010-10-06

Family

ID=4160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505A KR100985544B1 (en) 2008-05-09 2008-05-09 Note for the English speaking and composition trai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54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87B1 (en) * 2011-12-12 2012-04-09 김세길 A study book for english and a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KR101432942B1 (en) * 2013-07-11 2014-08-21 박정원 Note for English stud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902A (en) * 2001-11-26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Auto equalizing controller using ID-Tag and method thereof
KR200342902Y1 (en) * 2003-05-12 2004-02-19 마코토 다이쿠 Chart-type educational sheet materials for learning english
KR100482246B1 (en) * 2000-08-18 2005-04-13 김영수 English study boo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246B1 (en) * 2000-08-18 2005-04-13 김영수 English study book
KR20030042902A (en) * 2001-11-26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Auto equalizing controller using ID-Tag and method thereof
KR200342902Y1 (en) * 2003-05-12 2004-02-19 마코토 다이쿠 Chart-type educational sheet materials for learning engli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455A (en)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orman et al. Foundational Skills to Support Reading for Understanding in Kindergarten through 3rd Grade. Educator's Practice Guide. NCEE 2016-4008.
Azizifar et al. An analytical evaluation of Iranian high school ELT textbooks from 1970 to the present
Sierra Foreign language teaching methods: Some issues and new moves
Ediger Teaching English Successfully
Alosh et al. Ahlan Wa Sahlan:: Functional Modern Standard Arabic for Beginners
Carreker et al. Multisensory teaching of basic language skills activity book
Aziz The Development of English Grammar Book Through Direct Method: Research and Development Study at Mambaus Sholihin English Course
Azizifar An analytical evaluation of Iranian high school ELT textbooks from 1970 to 2010
KR100985544B1 (en) Note for the English speaking and composition training
Sardabi et al. New perspective in prospect: An assessment of strengths and weaknesses of Iranian second year junior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Zygmantas Adult newcomers’ difficulties in learning Lithuanian: An ethnographic case study
Ligembe Factors affecting the acquisition of reading skills in Kiswahili in primary schools: The case of Musoma municipal and Misungwi district councils
Denti et al. Effective practice for adolescents with reading and literacy challenges
Roviralta Quirós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wo English textbooks: an analysis of teaching evolution through time
Torres Calle Creative activities linked to lexical approach to improve reading skill for english language learning of students in the" Natalia Jarrin" high school 2020-2021
Acharya Strategies adopted by basic level English teacher in teaching vocabulary: A case study
Wahyudi New insights of ESP from Indonesian Islamic University: lessons from textbook evaluation and ethnography as method
Pereira Metamorphic Journey of a Single Story: Becoming a Globally Competent Teacher
Vanisree New Trend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 Learning
El Omari The impact of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adhering to the national standard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A focus on modern standard Arabic at the university level
Nghinanhongo A contrastive linguistic analysis of the essays of Oshindonga speaking grade 9 learners of Jan Möhr Secondary School
Danka The effectiveness of a Computer-Assisted Pronunciation Training Approach for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linking by English L2 learners
Mena Cajas et al. Listening strategies and their importance within the english language learning process with students of first course at the ALC English Academy, Milagro, 2019
Austad Grammar in English teaching: an evaluation of different English textbokks and English teachers' attitudes
Kunyot Developing the English oral competency of tourism industry students by means of a genre-based ESP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