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141B1 -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 Google Patents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141B1
KR100985141B1 KR1020077025032A KR20077025032A KR100985141B1 KR 100985141 B1 KR100985141 B1 KR 100985141B1 KR 1020077025032 A KR1020077025032 A KR 1020077025032A KR 20077025032 A KR20077025032 A KR 20077025032A KR 100985141 B1 KR100985141 B1 KR 100985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ste
paste composition
resin
wiring board
printed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0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16674A (en
Inventor
츠토무 우치미
마사유키 나가시마
히로유키 시로가네
마사유키 모리
나오미 우스키
Original Assignee
더 인크테크 가부시끼가이샤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03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4841159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03872A external-priority patent/JP4841157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04034A external-priority patent/JP4841160B2/en
Application filed by 더 인크테크 가부시끼가이샤,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더 인크테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6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6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14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05K1/092Dispersed materials, e.g. conductive pastes or inks
    • H05K1/095Dispersed materials, e.g. conductive pastes or inks for polymer thick films, i.e. having a permanent organic polymeric bind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rts Pri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도전성 분말, 용제 및 4가 이상의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프린트 배선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1회의 도포 작업으로 충분한 두께의 도포막을 형성시킬 수 있어, 종래보다 적은 도포 횟수로도 충분한 높이의 범프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which consists of a phenol resin, a melamine resin, an electroconductive powder, a solvent, and a tetravalent or more alcohol, and the printed wiring board using this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by the said invention can form the coating film of sufficient thickness by one application | coating operation | movement, and can form bumps of sufficient height even with less application | coating frequency | count than before.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프린트 배선판,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알코올, 도전성 분말Conductive paste composition, printed wiring board, phenol resin, melamine resin, alcohol, conductive powder

Description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프린트 배선판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본 발명은 신규의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프린트 배선판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층간 접속에 이용되는 전극 범프의 형성에 특히 적합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프린트 배선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a printed wiring board.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particularly suitable for forming electrode bumps used for interlayer connection of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and a printed wiring board using the same.

종래부터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일렉트로닉스 분야에 있어서, IC회로용, 도전성 접착제, 전자파 실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적어도 한쪽 면의 소정 위치에 도전성 페이스트로 만든 원추형 도전 범프가 설치된 제1 기판과 적어도 한쪽 면에 배선 패턴이 설치된 제2 기판을 상기 도전 범프가 설치된 면 및 상기 배선 패턴이 설치된 면을 내측으로 하여 대향시키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절연체층을 배치하여 적층체를 구성하고, 그 적층체를 적층 프레스함으로써 절연체층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범프를 관통시켜 도전 배선부를 형성하는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평6- 350258호).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s have been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for IC circuits, conductive adhesives, and electromagnetic shields, in the field of electronics.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 first substrate provided with a conical conductive bump made of conductive past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t least one surface and a second substrate provided with a wiring pattern on at least one surface are provided with a surface provided with the conductive bump and a surface provided with the wiring pattern. Opposite to the inside, an insulator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form a laminate, and the laminate is laminated and pressed to penetrate the bump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insulator layer to form a conductive wiring por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inted wiring board mentioned is proposed (Japanese Unexamined-Japanese-Patent No. 6-350258).

또 프리프레그 관통성이 양호하면서, 관통시 및 프레스시에 균열을 발생하지 않고, 또한 관통 후의 범프와 배선 패턴의 접착력이 큰 범프를 작성할 수 있으며, 관통형의 도전 배선부를 갖는 프린트 배선판 제조에 있어서, 수율이 높고 접속신뢰성이 양호한 도전성 페이스트의 제공으로서,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도전 분말 및 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그 에폭시 수지의 연화점이 80℃ 이상, 130℃ 이하인 프린트 배선판 층간 접속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2002-270033호).In the manufacture of a printed wiring board having a good prepreg penetration property, no cracking during penetration and pressing, and a bump with a large adhesive force between the bump after the penetration and the wiring pattern can be produced, A conductive paste comprising a melamine resin, a phenol resin, an epoxy resin, a conductive powder, and a solvent, the conductive paste comprising a high yield and good connection reliability, wherein the softening point of the epoxy resin is 80 ° C. or higher and 130 ° C. or lower. A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for interlayer connection has been propose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270033).

또 높은 경도, 균열, 배선 패턴과의 접속 불량이 없는 범프를 형성할 수 있는 프린트 배선판 층간 접속용 접착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및 에폭시 수지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는 수지와 도전 분말 및 180℃ 이상의 비점인 2가 알코올 및(또는) 3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 층간 접속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2003-77337호).Further, at least one of a melamine resin, a phenol resin, and an epoxy resin is selected in order to provide an adhesive paste composition for interlayer connection of a printed wiring board which can form bumps without high hardness, cracks, and poor connection with wiring patterns. And conductive powders and bivalent alcohols having a boiling point of 180 ° C. or higher and / or trihydric alcohols are proposed to use a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for interlayer connection of a printed wiring board (JP-A-2003-77337). .

또 일본특허공보 제3588400호에 의해, 스크린 인쇄 후에 장치, 지그 및 용기를 물로 세정할 수 있는 열경화성의 도전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예로서, 수용성의 열경화성 수지, 도전성 입자, 2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Further,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3588400 provides an example of a thermosetting conductive resin composition which can wash an apparatus, a jig and a container with water after screen printing, and includes a water-soluble thermosetting resin, conductive particles, and a dihydric alcohol. Characteristic conductive resin compositions are known.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286924호에 의해, 일본특허 제3588400호와 마찬가지로, 인쇄 후의 스크린판 등을 물로 세정할 수 있는 도전성 수지 조성물로서, 수용 성의 열가소성 수지, 평균 입경 0.05∼50㎛의 도전성 입자, 2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As in JP-A-9-286924, similarly to JP-A-3588400, as a conductive resin composition which can wash screen plates and the like after printing with water, water-soluble thermoplastic resins, conductiv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5 to 50 µm. And dihydric alcohols are known.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11388호에 의해, 인쇄에 이용한 판을 물로 세정할 수 있는 수용성 수지, 글리콜류를 포함하는 적층 콘덴서용 전극 페이스트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1-11388 discloses an electrode paste composition for multilayer capacitors comprising a water-soluble resin and glycols capable of washing a plate used for printing with water.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331648호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265826호에 의해, 저온에서 소성할 수 있는 금속 페이스트로서, 주기율표 3족∼15족 금속의 유기금속 화합물과 알코올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글리콜류를 포함하는 금속 페이스트가 알려져 있다.According to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331648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265826, as a metal paste which can be baked at low temperature, organometallic compounds and alcohol compounds of Group 3 to 15 metals of the periodic table, preferably glycols Metal pastes containing are known.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 평6-35025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전극 범프를 형성시킬 때,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270033호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7733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1회의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도포 작업으로는 절연층을 관통할 수 있을 만큼의 범프 높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도포 작업을 여러번 실시하여 덧인쇄를 할 필요가 있었다. 특히 절연층의 관통시 및 프레스시에 범프의 꺾임, 크랙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 범프 형상을 지나치게 뾰족하게 하지 않는 페이스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범프 높이를 얻지 못하여 덧인쇄의 횟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In the case of forming the electrode bumps by the method described in JP-A-6-350258, in the case of using the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s disclosed in JP-A-2002-270033 and JP-A-2003-77337 Since the bump height enough to penetrate the insulating layer cannot be obtained by one coating operation of the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several times and overprint it. In particular, in order to avoid bump bending and cracking during the penetr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and at the time of pressing, since the paste which does not sharpen the bump shape is used, the bump height cannot be obtained and the number of overprints tends to increase.

일본특허공보 제3588400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286924호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11388호에 기재된 기술은 수용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고, 또 일본공개 특허공보 2003-331648호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265826호에 기재된 기술은 소성 타입의 금속 페이스트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과 같은 비수용성의 비소성 타입의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이면서 1회의 도포 작업으로 충분한 도포 두께를 얻을 수 있는 페이스트 조성물은 본 발명자들이 알고 있는 한 종래에는 얻지 못했던 것이다.The technique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3588400,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286924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11388 use water-soluble resins,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331648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 The technique described in -265826 uses a firing type metal paste, and the present inventors know that a paste composition capable of obtaining a sufficient coating thickness in one coating operation while being a non-aqueous non-plastic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like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has not been obtained in the past.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평6-350258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6-350258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270033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270033

<특허 문헌 3>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77337호<Patent Document 3>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77337

<특허 문헌 4> 일본특허공보 제3588400호<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3588400

<특허 문헌 5>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286924호<Patent Document 5>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286924

<특허 문헌 6>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11388호<Patent Document 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1388

<특허 문헌 7>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331648호<Patent Document 7>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331648

<특허 문헌 8>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265826호<Patent Document 8>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65826

본 발명은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특정 성분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forming a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with a specific component.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도전성 분말, 용제 및 4가 이상의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herefore,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consists of a phenol resin, a melamine resin, an electroconductive powder, a solvent, and a tetravalent or more alcohol.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4가 이상의 알코올이 트레이톨, 크실리톨, 소르비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포함한다.Such a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s a preferred embodimen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travalent, xylitol and sorbitol.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트레이톨이 D-트레이톨, L-트레이톨 및 메조(meso)-에리트리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포함한다.Such a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thritol, L-thritol and meso-erythritol.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4가 이상의 알코올을 용액 상태로 함유하는 것을 포함한다.Such a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aforementioned tetrahydric or higher alcohol in a solution stat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바람직한 양태로서 안료, 바람직하게는 체질 안료를 더 함유하는 것을 포함한다.Such a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contains a pigment, preferably a extender pigment, as a preferred embodiment.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린트 배선판은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것이다.And the printed wiring board which concerns on such this invention uses the said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Conductive Paste Composition>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도전성 분말, 용제 및 4가 이상의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에서 “로 이루어지는”이란, 상기의 필수 성분(즉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도전성 분말, 용제 및 4가 이상의 알코올) 이외의 다른 성분이 공존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배제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상기 필수 성분만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상기 필수 성분과 이들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모두를 포함한다. 또 상기의 “도전성”이란, 체적저항값이 적어도 1×10-3㎝ㆍΩ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consists of a phenol resin, a melamine resin, electroconductive powder, a solvent, and tetrahydric or more alcohol. Here, "consisting of" does not exclude conductive paste compositions in which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e essential components (that is, phenol resin, melamine resin, conductive powder, solvent and tetravalent or higher alcohol) coexist. That is,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contains both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which consists only of the said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which consists of the said essential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ese essential components. In addition, said "conductivity" means that a volume resistance value is at least 1x10 <-3> cm * or less.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점도가 200∼600Paㆍs, 특히 300∼550Paㆍs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점도는 말콤사제 스파이럴 점도계로 10rpm/min, 25℃로 측정했을 때의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200-600 Pa.s, especially 300-550 Pa.s. In addition, this viscosity is a thing measured at 10 rpm / min and 25 degreeC with the Malcolm spiral viscometer.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틱소트로피 지수가 0.65∼1.0, 특히 0.70∼0.9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틱소트로피 지수는 말콤사제 스파이럴 점도계로 10rpm/min, 5rpm/min, 25℃로 측정한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에서, 틱소트로피 지수 계산식 log(5rpm시의 점도값/10rpm시의 점도값)/log〔10(rpm)/5(rpm)〕으로 산출했을 때의 것이다. 틱소트로피 지수는 정치하면 외관 점도가 상승하고, 강하게 혼합하면 외관 점도가 저하하여 도공하기 쉬워지는 성질을 나타내는 한 지표이다.The thixotropic index of the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0.65 to 1.0, particularly 0.70 to 0.95. In addition, this thixotropy index is a thixotropic index calculation log (viscosity value at the viscosity value / 10 rpm at 5 rpm) / log from the viscosity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measured by Malcomm spiral viscosity meter at 10 rpm / min, 5 rpm / min, and 25 degreeC. When calculated in [10 (rpm) / 5 (rpm)]. The thixotropy index is an index indicating the property of increasing the apparent viscosity when left standing, and decreasing the apparent viscosity when it is strongly mixed, thereby making it easier to coat.

(1) 페놀 수지(1) phenolic resi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페놀 수지로서는 노볼락형 및 레졸형 모두를 이용할 수 있고, 특히 페놀, 크레졸, 크실레놀, 폴리파라비닐페놀, p-알킬페놀, 클로로페놀, 비스페놀A, 페놀술폰산, 레조르신 등의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것에 포르말린, 푸르푸랄 등의 알데히드류를 부가, 축합한 수지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폴리파라비닐페놀이 바람직하다.As the phenol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novolak type and resol type can be used, and in particular, phenol, cresol, xylenol, polyparavinylphenol, p-alkylphenol, chlorophenol, bisphenol A, phenolsulfonic acid and resorcin The resin which added and condensed aldehydes, such as formalin and furfural, to what has phenolic hydroxyl groups, such as these, is mentioned. Among these, polyparavinyl phenol is especially preferable.

(2) 멜라민 수지(2) melamine resi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멜라민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올멜라민, 알킬화멜라민을 들 수 있다.As a melamine resin used by this invention, methylol melamine and alkylated melamine are mentioned, for example.

(3) 도전성 분말(3) conductive powder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도전성 분말로서는 각종 도전성 미분말, 예를 들면 은 분말, 금 분말, 구리 분말, 니켈 분말, 백금 분말, 파라듐 분말, 땜납 분말, 상기 금속의 합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도전성 분말은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또 금속 이외의 도전성 분말, 예를 들면 카본분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전성 분말은 표면 처리된 것이어도 좋다.As the conductive powd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onductive fine powders, for example, silver powder, gold powder, copper powder, nickel powder, platinum powder, palladium powder, solder powder, metal powder such as alloy powder of the above metal, etc. can be used. have. These electroconductive powders can also be used together 2 or more types. Moreover, electroconductive powder other than metal, for example, carbon powder, can also be used. The conductive powder may be surface treated.

도전성 분말의 형태 및 크기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 임의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수지형, 비늘형, 구형, 플레이크형의 형태인 것, 특히 바람직하게는 비늘형과 구형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평균 입경은 0.5∼10㎛, 특히 1.0∼5.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and size of the conductive powder is arbitrary unless it contradic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resinous, scaled, spherical or flake shaped for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 mixture of scaled and spherical forms can be used. It is preferable that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0.5-10 micrometers, especially 1.0-5.0 micrometers.

(4) 용제(4) solvent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및 도전성 분말과 함께 페이스트 조성물을 형성 가능한 각종 유기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용제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부틸카비톨아세테이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에틸카비톨, 부틸카비톨,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테르피네올, 텍산올, 부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이소포론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 용제를 들 수 있다.As a solvent used by this invention, the various organic solvent which can form a paste composition with the said phenol resin, melamine resin, and electroconductive powder can be used, for example. As a preferable specific example of such an organic solvent, for example, butyl carbitol acetat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ethyl cellosolve, butyl cellosolve, ethyl carbitol, butyl carbitol, isopropanol, butanol, terpineol, texanol And butyl cellosolve acetate, isophorone alone, or a mixed solvent thereof.

(5) 4가 이상의 알코올(5) tetrahydric or higher alcoho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4가 이상의 알코올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트레이톨 등의 4가 알코올, 크실리톨 등의 5가 알코올, 소르비톨 등의 6가 알코올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4가 이상의 알코올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As a tetrahydric or more alcohol used by this invention, Preferably, tetrahydric alcohols, such as a pentitol, pentahydric alcohols, such as xylitol, and hexavalent alcohols, such as sorbitol, can be used. These tetrahydric or more alcohol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respectively.

트레이톨Tracel

본 발명에서는 D-트레이톨, L-트레이톨 및 메조-에리트리톨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트레이톨은 트레오스에서 유도되는 당알코올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트레오스를 나트륨아말감으로 환원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D-thritol, L-thritol and meso-erythritol alone or mixture thereof can be used. Traceol is equivalent to sugar alcohol derived from threose, and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reducing threose with sodium amalgam.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 임의의 방법으로 얻어진 임의의 트레이톨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y tracer obtained by any method can be used as long as it does not contradic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크실리톨Xylitol

크실리톨은 D-크실로스에 대응하는 당알코올인데, 이러한 크실로스는 예를 들면 D-크실로스를 나트륨아말감 또는 니켈을 촉매로 하여 가압 수소로 환원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알코올로부터의 결정에는 준안정의 사방정 및 안정상의 단사정의 2종류가 있다.Xylitol is a sugar alcohol corresponding to D-xylose. Such xylose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reducing D-xylose to pressurized hydrogen using sodium amalgam or nickel as a catalyst. There are two types of crystals from alcohols: metastable tetragonal and stable monoclinic.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 임의의 방법으로 얻은 임의의 크실리톨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y xylitol obtained by any method can be used as long as it does not contradic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소르비톨Sorbitol

소르비톨은 글루코스의 당알코올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르비톨은 공 업적으로는 예를 들면 D-글루코스를 나트륨아말감, 백금 또는 니켈 등을 촉매로 하여 가압 수소로 환원하여 얻을 수 있으며, 또 D-글루코스를 전해 환원하여 제조할 수 있다.Sorbitol is equivalent to the sugar alcohol of glucose. Such sorbitol can be industrially obtained by, for example, reducing D-glucose to pressurized hydrogen using sodium amalgam, platinum or nickel as a catalyst, and electrolytically reducing D-glucose.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 임의의 방법으로 얻어진 임의의 소르비톨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y sorbitol obtained by any method can be used as long as it does not contradic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6) 상기 이외의 성분(임의 성분)(6) Components (any component) other than the above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각종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요에 따라 포함 가능한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안료나 틱소트로피 부여제, 소포제, 분산제, 녹 방지제, 환원제 및 상기 페놀 수지 및(또는) 멜라민 수지와 혼합 가능한 다른 수지 성분(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by this invention can contain various components as needed. Specific examples of components that can be included according to such needs include pigments, thixotropy-imparting agents, defoamers, dispersants, rust inhibitors, reducing agents, and other resin components (e.g. epoxy) that can be mixed with the phenol resins and / or melamine resins. Resin, acrylic resin), and the like.

안료Pigment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각종 유기 또는 무기 안료를 함유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안료에 의해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도막 보강, 기능 부가, 작업성 개량, 착색 및 증량 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The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organic or inorganic pigments, if necessary, so that the coating layer reinforcement, functional addition, workability improvement, coloring and increase of the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can be achieved by such a pigment. do.

본 발명에서는 특히 체질 안료, 예를 들면 마이크로실리카, 탄산칼슘, 황산바륨, 탄산마그네슘, 알루미나 등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n extender pigment such as microsilica, calcium carbonate, barium sulfate, magnesium carbonate, alumina, or the like or a mixture thereof can be used.

(7) 배합 비율(7) compounding ratio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에서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은 하기와 같다(또한 하기에 있어서 수지 성분의 합계란, 페놀 수지 및 멜라민 수지의 합 계량을 의미한다. 다만 페놀 수지 혹은 멜라민 수지 이외의 수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들 각 수지 성분의 합계량을 의미한다).The compounding ratio of each component in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by this invention is as follow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the sum total of a resin component means sum total measurement of a phenol resin and a melamine resin. However, resin other than a phenol resin or a melamine resin is used. When present, it means the total amount of each of these resin components).

용제의 양은 수지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10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80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30∼65질량부이다.The amount of the solvent is preferably 10 to 10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20 to 80 parts by mass, still more preferably 30 to 65 parts by mass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of the resin components.

도전성 분말의 양은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300∼110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900질량부이다.The quantity of electroconductive powder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300-1100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resin components, More preferably, it is 500-900 mass parts.

안료의 양은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3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25질량부이다.The amount of the pigment is preferably 1 to 30 parts by mass, and more preferably 5 to 25 parts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resin component.

수지 성분에서의 페놀 수지와 멜라민 수지의 비율은 질량 비율로 나타내어, (페놀 수지)/(멜라민 수지)가 바람직하게는 10/90∼90/1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70/30, 더 바람직하게는 60/40∼40/60이 되는 범위이다.The ratio of the phenol resin and the melamine resin in the resin component is represented by the mass ratio, and (phenol resin) / (melamine resin) is preferably 10/90 to 90/10, more preferably 30/70 to 70/30, More preferably, it is the range used as 60 / 40-40 / 60.

4가 이상의 알코올의 배합량은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5∼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5질량부이다.The compounding quantity of a tetravalent or more alcohol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0.05-10 mass parts, More preferably, it is 0.25-5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resin components.

(8)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이용(8) Use of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양호한 도전성을 갖는 것으로,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법, 메탈 마스크 인쇄법 등 공지의 인쇄법으로 기판상에 인쇄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것이다.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by this invention has favorable electroconductivity, and can print on a board | substrate by well-known printing methods, such as the screen printing method and the metal mask printing method, for example. Accordingly, the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fields as in the prior art.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1회의 인쇄작업당 도막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충분한 두께의 도전성층을 효율적으로 형성 가능한 것이다.And since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thick in one printing operation, an electrically conductive layer of sufficient thickness can be formed efficiently.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종래보다 적은 도포 횟수, 예를 들면 단 1회의 도포 횟수로도 충분한 높이의 범프를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bumps with a sufficient height even with fewer application times, for example, only one application time, so that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프린트 배선판><Printed wiring board>

본 발명에 의한 프린트 배선판은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inted wiring board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used the said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린트 배선판은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범프에 의해 층간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 프린트 배선판을 포함한다.The printed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includes a printed wiring board in which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layers is made by bumps formed from the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실시예Example

<실시예 A1∼A5 및 비교예 A1><Examples A1 to A5 and Comparative Example A1>

하기의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은 분말, 체질 안료, 용제 및 트레이톨을 표 1에 기재된 질량 비율로 혼합하고, 3본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점도 및 틱소트로피 지수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The following phenol resin, melamine resin, silver powder, extender pigments, solvents, and pentitol were mixed in the mass ratios shown in Table 1, and thoroughly kneaded with three rolls to prepare an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cosity and thixotropy index of this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re as Table 1 showing.

이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스크린(공판) 인쇄를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φ220㎛의 구멍을 뚫은 알루미늄제 메탈 마스크판을 사용하고, 경도 80°의 우레탄 수지제 스퀴지를 사용하여, 분위기 조건을 온도 20℃, 습도 50%로 환경을 제어하면서 인쇄를 실시하여 범프를 형성시켰다. Screen (stencil) printing was performed using this electroconductive paste. Specifically, using a metal mask plate made of aluminum with a hole of φ 220 μm, using a urethane resin squeegee having a hardness of 80 °, printing is performed while controlling the environment at an ambient temperature of 20 ° C. and a humidity of 50%, and bumps. Was formed.

형성된 범프의 높이 및 형상을 평가했다. 결과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The height and shape of the formed bumps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as described in Table 1.

또한 표 1 중 실시예 A4의 「에리트리톨」은 「D-트레이톨과 L-트레이톨과 메조-에리트리톨의 혼합물」을 의미하고, 실시예 A5의 「DL-트레이톨」은 「D-트레이톨과 L-트레이톨의 혼합물」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able 1, "erythritol" of Example A4 means "mixture of D-thritol, L-thritol, and meso-erythritol", and "DL-thritol" of Example A5 means "D-tray". Mixture of tall and L-thritol ”.

비교예
A1
Comparative example
A1
실시예
A1
Example
A1
실시예
A2
Example
A2
실시예
A3
Example
A3
실시예
A4
Example
A4
실시예
A5
Example
A5
조성Furtherance 페놀 수지Phenolic resin 5050 5050 5050 5050 5050 5050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5050 5050 5050 5050 5050 5050 은 분말Silver powder 700700 700700 700700 700700 700700 700700 체질 안료Sieving pigment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부틸카비톨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4545 4545 4545 4545 4545 4545 D-트레이톨D-Treitol -- 2.32.3 -- -- -- -- L-트레이톨L-Treitol -- -- 2.32.3 -- -- -- 메조-에리트리톨Meso-erythritol -- -- -- 2.32.3 -- -- 에리트리톨*1 Erythritol * 1 -- -- -- -- 2.32.3 -- DL-트레이톨*2 DL-Treitol * 2 -- -- -- -- -- 2.32.3 물성Properties 점도(Paㆍs/25℃)Viscosity (Pas / 25 ° C) 250250 399399 407407 317317 262262 507507 틱소트로피 지수Thixotropy index 0.500.50 0.770.77 0.800.80 0.730.73 0.730.73 0.790.79 범프 높이(㎛)Bump Height (μm) 5858 107107 9999 8989 9595 105105 범프 형상Bump shape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1:D-트레이톨과 L-트레이톨과 메조-에리트리톨의 혼합물* 1: Mixture of D-thritol, L-thritol and meso-erythritol

*2:D-트레이톨과 L-트레이톨의 혼합물* 2: Mixture of D-thritol and L-thritol

<평가><Evaluation>

상기 표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트레이톨을 함유하는 실시예에서는 범프 높이 89㎛∼107㎛(범프 지름:220㎛)의 범프를 형성할 수 있어, 해당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 1(범프 높이:58㎛, 범프 지름:220㎛)에 비해 범프 높이가 53∼84%로 극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범프 형상도 원추형의 형상으로 양호했다.As apparent from Table 1 above, in Examples containing pentitol, bumps having a bump height of 89 µm to 107 µm (bum diameter: 220 µm) can be formed, and Comparative Example 1 (bump height without using the compound) : 58 micrometers, bump diameter: 220 micrometers) It turns out that bump height increases dramatically with 53-84%. The bump shape was also good in the shape of a cone.

<실시예 B1 및 비교예 B1><Example B1 and Comparative Example B1>

하기의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은 분말, 체질 안료, 용제 및 크실리톨을 표 2에 기재된 질량 비율로 혼합하고, 3본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점도 및 틱소트로피 지수는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The following phenol resin, melamine resin, silver powder, extender pigment, solvent, and xylitol were mixed in the mass ratios shown in Table 2, and thoroughly kneaded with three rolls to prepare an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cosity and thixotropy index of this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re as Table 2 showing.

이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스크린(공판) 인쇄를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φ220㎛의 구멍을 뚫은 알루미늄제 메탈 마스크판을 사용하고, 경도 80°의 우레탄 수지제 스퀴지를 사용하여, 분위기 조건을 온도 20℃, 습도 50%로 환경을 제어하면서 인쇄를 실시하여 범프를 형성시켰다.Screen (stencil) printing was performed using this electroconductive paste. Specifically, using a metal mask plate made of aluminum with a hole of φ 220 μm, using a urethane resin squeegee having a hardness of 80 °, printing is performed while controlling the environment at an ambient temperature of 20 ° C. and a humidity of 50%, and bumps. Was formed.

형성된 범프의 높이 및 형상을 평가했다. 결과는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The height and shape of the formed bumps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as described in Table 2.

비교예 B1Comparative Example B1 실시예 B1Example B1 조성Furtherance 페놀 수지Phenolic resin 5050 5050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5050 5050 은 분말Silver powder 700700 700700 체질 안료Sieving pigment 1010 1010 부틸카비톨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4545 4545 크실리톨Xylitol -- 2.32.3 물성Properties 점도(Paㆍs/25℃)Viscosity (Pas / 25 ° C) 250250 287287 틱소트로피 지수Thixotropy index 0.500.50 0.700.70 범프 높이(㎛)Bump Height (μm) 5858 7171 범프 형상Bump shape 양호Good 양호Good

<평가><Evaluation>

상기 표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크실리톨을 함유하는 실시예 B1에서는 범프 높이 71㎛(범프 지름:220㎛)의 범프를 형성할 수 있어, 비교예 B1(범프 높이:58㎛, 범프 지름:220㎛)에 비해 범프 높이가 22%로 극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범프 형상도 원추형의 형상으로 양호했다.As apparent from Table 2, in Example B1 containing xylitol, bumps having a bump height of 71 μm (bum diameter: 220 μm) can be formed, and Comparative Example B1 (bum height: 58 μm, bump diameter: It can be seen that the bump height is dramatically increased to 22% as compared with 220 µm). The bump shape was also good in the shape of a cone.

<실시예 C1 및 비교예 C1><Example C1 and Comparative Example C1>

하기의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은 분말, 체질 안료, 용제 및 소르비톨을 표 3에 기재된 질량 비율로 혼합하고, 3본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점도 및 틱소트로피 지수는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다.The following phenol resin, melamine resin, silver powder, extender pigment, solvent, and sorbitol were mixed in the mass ratios shown in Table 3, and thoroughly kneaded with three rolls to prepare an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cosity and thixotropy index of this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re as Table 3 showing.

이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스크린(공판) 인쇄를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φ220㎛의 구멍을 뚫은 알루미늄제 메탈 마스크판을 사용하고, 경도 80°의 우레탄 수지제 스퀴지를 사용하여, 분위기 조건을 온도 20℃, 습도 50%로 환경을 제어하면서 인쇄를 실시하여 범프를 형성시켰다.Screen (stencil) printing was performed using this electroconductive paste. Specifically, using a metal mask plate made of aluminum with a hole of φ 220 μm, using a urethane resin squeegee having a hardness of 80 °, printing is performed while controlling the environment at an ambient temperature of 20 ° C. and a humidity of 50%, and bumps. Was formed.

형성된 범프의 높이 및 형상을 평가했다. 결과는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다.The height and shape of the formed bumps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as described in Table 3.

비교예 C1Comparative Example C1 실시예 C1Example C1 조성Furtherance 페놀 수지Phenolic resin 5050 5050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5050 5050 은 분말Silver powder 700700 700700 체질 안료Sieving pigment 1010 1010 부틸카비톨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4545 4545 소르비톨Sorbitol -- 2.32.3 물성Properties 점도(Paㆍs/25℃)Viscosity (Pas / 25 ° C) 250250 264264 틱소트로피 지수Thixotropy index 0.500.50 0.600.60 범프 높이(㎛)Bump Height (μm) 5858 6969 범프 형상Bump shape 양호Good 양호Good

<평가><Evaluation>

상기 표 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소르비톨을 함유하는 실시예 C1에서는 범프 높이 69㎛(범프 지름:220㎛)의 범프를 형성할 수 있어, 비교예 C1(범프 높이:58㎛, 범프 지름:220㎛)에 비해 범프 높이가 19%로 극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범프 형상도 원추형의 형상으로 양호했다.As apparent from Table 3, in Example C1 containing sorbitol, bumps having a bump height of 69 µm (bum diameter: 220 µm) can be formed, and Comparative Example C1 (bum height: 58 µm, bump diameter: 220 µm) It can be seen that the bump height is dramatically increased to 19% as compared to). The bump shape was also good in the shape of a cone.

본 발명의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에 의하면, 1회의 도포 작업으로 충분한 두께의 도포막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m the coating film of sufficient thickness by one coating operation.

따라서 종래보다 적은 도포 횟수로도 충분한 높이의 범프를 형성시킬 수 있다.Therefore, bumps of sufficient height can be formed even with fewer application times than before.

그러므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덧인쇄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비소성 타입이므로 소성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Therefore, the number of overprints of the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can be reduc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Moreover, since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non-baking type,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baking operation.

Claims (7)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도전성 분말, 용제 및 4가 이상의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Phenolic resin, melamine resin, conductive powder, solvent and tetravalent or more alcohol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Conductive paste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4가 이상의 알코올이 트레이톨, 크실리톨, 소르비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The tetrahydric or higher alcohol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ntitol, xylitol and sorbitol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Conductive paste composi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트레이톨이 D-트레이톨, L-트레이톨 및 메조-에리트리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The tracer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thritol, L-thritol and meso-erythritol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Conductive paste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4가 이상의 알코올을 용액 상태로 함유하는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tetrahydric alcohol in a solution state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Conductive paste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안료를 더 함유하는 Containing more pigment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Conductive paste composit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안료가 체질 안료인The pigment is a extender pigment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Conductive paste composition. 제1항에 기재된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프린트 배선판.The printed wiring board us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of Claim 1.
KR1020077025032A 2005-03-31 2006-03-30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KR10098514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03996 2005-03-31
JPJP-P-2005-00104034 2005-03-31
JP2005103996A JP4841159B2 (en) 2005-03-31 2005-03-31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JPJP-P-2005-00103872 2005-03-31
JP2005103872A JP4841157B2 (en) 2005-03-31 2005-03-31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JP2005104034A JP4841160B2 (en) 2005-03-31 2005-03-31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674A KR20070116674A (en) 2007-12-10
KR100985141B1 true KR100985141B1 (en) 2010-10-05

Family

ID=3707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032A KR100985141B1 (en) 2005-03-31 2006-03-30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85141B1 (en)
TW (1) TW200703372A (en)
WO (1) WO2006106850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954A (en) 2000-03-22 2001-09-28 Konica Corp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for heat developable sensitive material
JP2003077337A (en) 2001-09-04 2003-03-14 Mitsui Chemicals Inc Conductive paste component and printed wiring board
JP2005166502A (en) 2003-11-11 2005-06-23 Toppan Forms Co Ltd Conductive paste, electrical conduction functional member, and printed circuit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6627B2 (en) * 2000-03-15 2005-12-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Photosensitive conductor paste, electronic component,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954A (en) 2000-03-22 2001-09-28 Konica Corp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for heat developable sensitive material
JP2003077337A (en) 2001-09-04 2003-03-14 Mitsui Chemicals Inc Conductive paste component and printed wiring board
JP2005166502A (en) 2003-11-11 2005-06-23 Toppan Forms Co Ltd Conductive paste, electrical conduction functional member, and printed circuit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03372A (en) 2007-01-16
TWI375965B (en) 2012-11-01
KR20070116674A (en) 2007-12-10
WO2006106850A1 (en)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6687B2 (en) Electro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TWI417903B (en) Conductive paste
JP4365053B2 (en)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JP2008047487A (en)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JP2009205899A (en)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wiring board
KR100985141B1 (en)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KR100995607B1 (en)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KR101098869B1 (en) Electro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bump electrode prepared by using same
JP2009205908A (en)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wiring board
JP2000322933A (en) Conductive paste and its manufacture
JP4841159B2 (en)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JP4841157B2 (en)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JP4841160B2 (en)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JP4589785B2 (en)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JPH107884A (en) Electroconductive paste and production of electric circuit-forming board
KR101177084B1 (en) Conductive ink composite for forming build-up bump for multilayered PCB
JP2000261115A (en) Conductive copper paste composition
KR100955291B1 (en) Though hole paste composition for pcb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2010199303A (en) Electrode forming composition, and printed wiring board
JP2009113465A (en) Thin film composite material, material for wiring board using it, wiring board, and electronic component
JP2012164696A (en) Conductive paste for bump 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