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877B1 - Method For Configurating User-defined Menu And Apparatus For Having Function For Configuration Of User-defined Menu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figurating User-defined Menu And Apparatus For Having Function For Configuration Of User-defined Menu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877B1
KR100981877B1 KR1020080091504A KR20080091504A KR100981877B1 KR 100981877 B1 KR100981877 B1 KR 100981877B1 KR 1020080091504 A KR1020080091504 A KR 1020080091504A KR 20080091504 A KR20080091504 A KR 20080091504A KR 100981877 B1 KR100981877 B1 KR 100981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graphic object
menu
displayed
defined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5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2560A (en
Inventor
전재욱
박종현
조윤찬
조영준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91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877B1/en
Publication of KR20100032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5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8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메뉴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가 개시된다. 먼저,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획득하고,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가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통해 설정된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습관이나 기호에 최적화되도록 메뉴를 구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Disclosed are a user-defined menu configuration method and a user-configured menu configuration function for easily configuring a menu optimized for a user. First, obtaining a coordinate value of a touched position, and if a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a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is activated, and displaying menu information set through the activated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do. Therefore, the menu can be configured to be optimized for the user's habits or preferences, thereby improving usability.

터치스크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편집 Touch screen, custom, menu, create, edit

Description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Method For Configurating User-defined Menu And Apparatus For Having Function For Configuration Of User-defined Menu}Method for Configurating User-defined Menu And Apparatus For Having Function For Configuration Of User-defined Menu}

본 발명은 메뉴 구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방식의 입력 장치를 구비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u configu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defined menu configuration method and a device having a user-defined menu configuration function that can be applied to a data processing device having a touch type input device.

최근들어 별도의 키패드를 구비하지 않고 입력과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장치에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다양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Recently, touch screens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input and display in one device without having a separate keypad have been applied to various data processing devices.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그래픽 개체를 손가락 또는 펜으로 접촉하는 것만으로 대화적이고 직감적으로 이벤트를 실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입력 작업이 간결해지고 입력화면에서 의미하는 바를 보다 쉽게 인지하여 입력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touch screen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put operation is simplified and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meaning of the input screen because the touch screen can execute the event interactively and intuitively just by touching the graphic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with a finger or a pen. .

또한,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터치 패드가 일체형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키패드 설치공간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 어 더 큰 가시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채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ouch screen is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display device and the touch pad, the touch screen does not have to have a keypad installation space as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nd thus the display device having a larger visible screen may be adopted in the portable terminal. have.

터치스크린은 구동 방식에 따라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광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 압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저항막 방식이 있고, 이 중 투과율이 높고 반응속도가 빠르며 내성이 우수하여 작동환경에 영향을 적게 받는 저항막 방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 touch screen has capacitive type, infrared light sensing type, surface ultrasonic type, piezoelectric type, integrative tension measuring type, and resistive type depending on the driving method. Among them, the touch screen has high transmittance, fast reaction speed, and good resistance. In general, a resistive method or a capacitive method that is less affected by the resistance is generally used.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별도의 키패드를 구비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키패드를 구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터치 위주의 조작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 및 기능 등의 이벤트를 실행해야 한다.In general,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does not have a separate keypad or often has a minimum keypad. Therefore, events such as various programs and functions must be executed through touch-oriented operation.

그러나,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에 포함된 메뉴는 장치 제조사에 의해 고정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에게 최적화된 메뉴를 사용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사용상의 불편함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a menu included in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is generally fixed and sold by a device manufacturer,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use a menu optimized for him, which causes inconvenience in us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가 메뉴 트리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터치 조작을 통해 메뉴 트리의 경로를 단계적으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특정 프로그램이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지연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menu frequently used by a user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enu tree, the delay time for executing a specific program or function is increased because the path of the menu tree must be moved step by step through a touch oper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메뉴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defined menu configuration method for easily configuring a menu optimized for a user.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메뉴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having a user-defined menu configuration function for easily configuring a menu optimized for a user.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은,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통해 설정된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는, 소정의 그래픽 개체가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될 실행 이벤트가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그래픽 개체를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개체의 모양, 크기, 색상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개체가 표시될 위치가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는, 터치된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보다 길고,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은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된 경우, 상기 표시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메뉴를 편집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편집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 기 사용자 정의 메뉴 편집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실행 이벤트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된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통해 설정된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화된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통해 설정된 소정 메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개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이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좌표값으로 구성된 도형의 무게중심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상기 터치된 좌표값으로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figuring a user-defined menu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include obtaining coordinate values of a touched position, and when a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And activating a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and displaying menu information set through the activated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When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activating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may include selecting a graphic object and setting an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graphic object. . Selecting the predetermined graphic object may include editing at least one of a shape, a size, a color, and a transparency of the selected graphic object. When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activating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may further include setting a position at which the selected graphic object is to be displayed. When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activating a user-defined menu generation mode includes acquiring a touched time, wherein the touched time is longer than a preset reference time and the touched posi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xecuting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when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The method for configuring a user defined menu may further include activating a user defined menu editing mode for editing a menu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graphic object when the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The activation of the user-defined menu editing mode may include changing an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graphic object. In the displaying of the menu information set through the activated user-defined menu generation mode, the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menu set through the activated user-defined menu generation mode may be displayed. In the obtaining of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touched position, when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touched position are plural, the coordina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gure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coordinate values may be acquired as the touched coordinate values.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는,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좌표값을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통해 설정된 메뉴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제공된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의 표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가 활성화되면, 그래픽 개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선택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될 실행 이벤트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개체의 모양, 크기, 색상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의 표시 영 역에서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개체가 표시될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터치된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보다 길고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된 경우, 사용자 정의 메뉴 편집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편집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된 위치에 표시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실행 이벤트를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는, 상기 활성화된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통해 생성된 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device having a user-defined menu configu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for obtain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touched position and providing the obtained coordinate value and And a controller for activating a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when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and displaying menu information set through the activated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on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o display a graphic object at the touched position based on the coordinate value provided from the touch screen. When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is activated,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graphic object and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n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graphic object. The controller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editing at least one of a shape, a size, a color, and a transparency of the selected graphic object when the user-defined menu generation mode is activated. When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is activated, the controller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location where the selected graphic object is to b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may activate the user-defined menu generation mode whe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and the touched time is longer than a preset reference time and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The controller may activate a user-defined menu editing mode when a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The controller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changing an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when the user-defined menu editing mode is activated. The device having the user-defined menu configuration func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which stores menu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activated user-defined menu generation mode.

상기와 같은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 및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의 소정 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 터치되고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가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그래픽 개체의 종류 및 모양을 선택하거나 편집할 수 있고 상기 그래픽 개체가 조작된 경우 이에 상응하여 실행될 실행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또는, 터치스크린의 소정 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 터치되고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이미 표시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메뉴를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메뉴 편집 모드가 활성화된다.According to the device having the user-defined menu configuration method and the user-defined menu configura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is touched for more than a preset reference time and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a user-defined menu is generated. The mode is activat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or edit the type and shape of the graphic object and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the execution event to be executed accordingly when the graphic object is manipulated. Alternatively, whe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is touched for a preset reference time and a graphic object is already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a user-defined menu editing mode for activating a menu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graphic object is activated.

따라서, 소정 메뉴를 의미하는 그래픽 개체의 위치 및/또는 모양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구성할 수 있고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실행 이벤트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습관이나 기호에 최적화되도록 메뉴를 구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Therefore, the position and / or shape of the graphic object representing the predetermined menu can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d the user can directly select an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so that the menu can be optimized to the user's habit or preference. It can be configured and this improves the usability.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상응하여 수행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과정을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터치 조작에 대응되는 좌표값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figuring a user defined menu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process of configuring a user defined menu corresponding to a user's touch operation in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cquiring a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a touch manipula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터치 조작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101), 터치 조작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획득한다(단계 103).1 and 2, when power is first applied to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the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determines whether a touch manipulation has occurred (step 101),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 touch manipulation has occurred, touch The coordinate value of the acquired position is obtained (step 103).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제공되는 좌표값의 유무에 기초하여 터치 조작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Here, the device having the touch screen may determine whether a touch manipulation occur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ordinate values provided from the touch screen.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터치스크린이 손가락 등과 같이 넓은 면적을 가지는 물체로 터치되어 터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값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좌표값들 중에서 소정의 좌표값을 추출하여 터치된 영역을 대표하는 좌표값으로 획득한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2, whe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by an object having a large area, such as a finger, and has a plurality of coordina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area, among the plurality of coordinate values. The predetermined coordinate value is extracted to obtain a coordinate value representing the touched area.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터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값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좌표값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구성된 도형(210)의 무게 중심(211)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추출하여 터치된 영역의 좌표값으로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has a plurality of coordinate values corresponding to a touched area, a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211 of the figure 210 configured as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ordinate values is provided. It can be extracted and obtained a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touched area.

또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터치스크린이 터치된 시간을 획득하고(단계 105), 터치된 시간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단계 107), 터치된 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보다 더 긴 것으로 판단되면,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단계 109).In addition, the device with the touch screen acquires the time whe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step 105), and compares the touched time with a preset reference time (step 107) so that the touched time is grea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time. If it is determined to be lon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step 109).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화면 구성 정보와 단계 103에서 획득한 좌표값에 기초하여 그래픽 개체의 표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의 화면 구성 정보에 포함된 그래픽 개체의 표시 좌표값에 단계 103에서 획득한 좌표값이 포함된 경우에는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device having the touch screen may determine whether to display the graphic object based on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coordinate values obtained in step 103. That is, when the coordinate value acquired in step 103 is included in the display coordinate value of the graphic object included in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scree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또한, 상기 그래픽 개체는 소정의 실행 이벤트를 상징적으로 표시하는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및 플래시 컨텐츠 등과 같은 모든 그래픽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Also, the graphic object is a concept including all graphic information such as an icon, an image, text, a video, and a flash content that symbolically displays a predetermined execution event.

단계 109에서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활성화 시킨다(단계 111).If it is determined in step 109 that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the device with the touch screen activates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step 111).

단계 111에서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가 활성화되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를 사용자가 직접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함으로써 새로운 메뉴가 생성되도록 한다(단계 120).When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is activated in step 111, the device with the touch screen causes a new menu to be generated by displaying a user interface on the touch screen that allows the user to directly configure a menu that performs a predetermined function (step 120). ).

이후,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메뉴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단계 131). 여기서, 저장부에 저장된 메뉴 정보는 예를 들어, 생성된 메뉴를 의미하는 그래픽 개체와 그래픽 개체에 연결된 실행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evice having the touch screen stores menu information newly generated by the user in the storage unit (step 131). The menu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 graphic object representing a generated menu and execution event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graphic object.

단계 109에서 터치스크린의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사용자 정의 메뉴 편집 모드를 활성화시키고(단계 133),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메뉴를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메뉴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135).If it is determined in step 109 that the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the device with the touch screen activates the user-defined menu editing mode (step 133), and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y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at can edit the user to allow the user to edit the preset menu (step 135).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 정의 메뉴 편집 모드를 통해 그래픽 개체의 모양, 크기, 표시 위치, 색상, 투명도 등을 편집할 수 있고,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실행 이벤트를 편집할 수 있다.Here, the user may edit the shape, size, display position, color, transparency, etc. of the graphic object through the user-defined menu editing mode, and edit an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이후,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단계 131으로 진행하여 편집된 메뉴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Thereafter, the device with the touch screen proceeds to step 131 and stores the edited menu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단계 107에서 터치된 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보다 짧은 것으로 판단되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는가를 판단하고(단계 137),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실행한다(단계 139).If it is determined in step 107 that the touched time is shor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time, the device with the touch screen determines whether the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step 137), and the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ormation is determined, the even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graphic object is executed (step 139).

또는, 단계 137에서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비정상적인 터치 조작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Alternatively, 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137 that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the device with the touch screen determines that an abnormal touch operation is caused by a user's mistak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에서 메뉴 생성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nu generating process in detail in the method of configuring a user-defined menu shown in FIG. 1.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터치스크린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소정의 메뉴를 의미하는 그래픽 개체가 선택된다(단계 121). 여기서, 상기 그래픽 개체는 파일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될 수 있고,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에 미리 저장된 다양한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래픽 개체는 사용자가 촬영하거나 다운로드한 이미지, 동영상 또는 플래시 컨텐츠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텍스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first, a graphic object displayed on a display area of a touch screen and representing a predetermined menu is selected (step 121). The graphic object may be selected through a user interface for file selection, and may be any one of various icons previously stored in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lternatively, the graphic object may be selected from an image, a video, or flash content photographed or downloaded by the user, or may be composed of text directly input by the user.

이후, 선택된 그래픽 개체에 대한 편집이 수행될 수 있다(단계 123).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는 그래픽 개체의 편집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 또는 메뉴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제공된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그래픽 개체의 모양, 크기, 색깔, 투명도 등을 편집할 수 있다.Thereafter, editing may be performed on the selected graphic object (step 123). Here, the device with a touch screen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such as a separate program or menu for editing the graphic object, and the user may select the shape, size, color, transparency, etc. of the graphic object selected through the provided program or the user interface. You can edit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그래픽 개체 편집 단계(단계 123)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graphic object editing step (step 123) may not be performed.

다음으로, 단계 121에서 선택된 그래픽 개체가 표시될 터치스크린의 위치가 설정된다(단계 125). 여기서, 사용자는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래픽 개체가 표시될 위치의 좌표값을 입력할 수도 있고, 선택된 그래픽 개체를 터치스크린의 소정 위치에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하여 그래픽 개체의 표시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Next, the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on which the graphic object selected in step 121 is to be displayed is set (step 125). Here, the user may input a coordinate value of the position where the graphic object is to be displayed through the provided user interface, or set the display position of the graphic object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selected graphic objec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It may be.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래픽 개체의 표시 위치 설정 단계(단계 125)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 125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121에서 선택된 그래픽 개체는 도 1의 단계 103에서 획득한 좌표값에 대응되는 터치스크린의 표시영역(즉, 터치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The display position setting step (step 125) of the graphic object may be omit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f step 125 is not performed, the graphic object selected in step 121 may b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ie, the touched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value obtained in step 103 of FIG. 1.

이후, 그래픽 개체에 대응될 실행 이벤트가 설정된다(단계 127). 여기서, 상기 실행 이벤트는 상기 그래픽 개체가 조작되는 경우 실행되는 이벤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메뉴 항목 또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에 구비된 특정 기능이 될 수 있다.Thereafter, an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is set (step 127). Here, the execution event refers to an event that is executed when the graphic object is manipulated. The execution event may be a software program installed on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 menu item, or a specific function provided on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에는 상기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실행 이벤트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등의 기능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evice having the touch scree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may be a function such as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과정에서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에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로 휴대용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in a process of configuring a user defined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a portable terminal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의 소정 위치를 미리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 터치하면(310),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는가를 판단하고,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 Referring to FIG. 4, first, when a user tou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310,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and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If it is determined, the user interface 320 for performing the user-defined menu generation mode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메뉴 항목(320) 중 메뉴 생성 항목을 선택하면(330), 휴대용 단말기는 메뉴를 의미하는 그래픽 개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40 및 350)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Subsequently, when the user selects a menu generation item among the menu items 320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330),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the user interfaces 340 and 350 on the touch screen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 graphic object representing a menu. Display.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는 선택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실행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60)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하여 사용자자 소정의 실행 이벤트를 선택하면 선택된 소정의 실행 이벤트를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시킨 후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에서 설정된 모든 메뉴 정보들을 저장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execution event by displaying a user interface 360 on the touch screen, the portable terminal may set an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graphic object, and the corresponding portable event corresponds to the selected graphic object. Save all menu information set in user defined menu creation mode.

여기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실행 이벤트는 각각의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장치에 구비된 기능이 대응될 수도 있고,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포함된 하위 메뉴가 대응될 수도 있다.Here, the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may correspond to a function included in each different application program or device, or a sub-menu included in one application program.

예를 들어,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실행 이벤트는 이미지 촬영, 음성 통화, 영상 통화, 폰북, 동영상 재생 등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기능이 대응될 수도 있고, 이미지 촬영에 포함된 하위 메뉴들(예를 들면, 촬영 전화, 촬영모드, 타이머 촬영)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may correspond to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or functions such as image shooting, voice call, video call, phone book, video playback, and the like. , Shooting phone, shooting mode, timer shootin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과정에서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5에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로 태블릿 PC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5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in the process of configuring a user defined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a tablet PC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도 5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에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의 소정 위치를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 터치하면(410), 태블릿 PC는 터치된 위치에 소정의 메뉴를 의미하는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5, when a user tou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for more than a preset reference time in a state where an execution screen of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10), the tablet PC means a predetermined menu at the touched position. Determines whether a graphic object is displayed.

이후,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활성화시켜(420), 사용자가 선택한 그래픽 개체를 터치된 위치(또는 원하는 위치)에 표시되도록 한 후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30). 그리고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생성한 메뉴를 표시한다(440).If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is activated (420) so that the user-selected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or desired position), and then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is set. It provides a user interface to enable (430). In operation 440, the user-created menu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도 5에서는 프리젠테이션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영역의 소정 위치에 페이지 업(PgUp) 및 페이지 다운(PgDn) 버튼(즉, 그래픽 개체)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표시되도록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페이지 업 및 페이지 다운 버튼에 각각 페이지 업 및 페이지 다운 기능을 대응시킨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In FIG. 5, a page up (PgUp) and a page down (PgDn) button (that is, a graphic object) are gener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display area where a presentation screen is displayed. A case where the page up and page down functions are respectively associated with the page down button is shown as an exampl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은 메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메뉴를 구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user-defined menu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user to easily configure a menu, thereby configuring a menu optimized for the user, and thus, the apparatus. Or the usability of the application is improved.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는 디스플레이부(510), 입력 감지부(520), 제어부(540), 저장부(5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a device having a user-defined menu configu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510, an input detector 520, a controller 540, and a storage unit 550. .

디스플레이부(510)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전계발광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와 같은 표시 장치가 될 수 있고, 제어부(540)의 제어에 기초하여 메뉴를 의미하는 아이콘 등과 같은 그래픽 정보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510 may be, for example,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is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40. To display graphic information such as an icon indicating a menu.

또한, 디스플레이부(510)는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 또는 사용자 정의 메뉴 편집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제어부(540)의 제어에 기초하여 메뉴를 생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or the user-defined menu editing mode is activated, the display unit 510 displays a user interface for creating or editing a menu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40.

입력 감지부(520)는 예를 들어, 터치 패드 또는 터치 패널 등과 같은 장치가 될 수 있고, 사용자에 터치 조작에 상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전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획득하여 제어부(540)에 제공한다.The input sensing unit 520 may be, for example, a device such as a touch pad or a touch panel,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a touch operation to a user, converts the generated electric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n touches the touch. The coordinate value of the acquired position is obtain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ler 540.

구체적으로, 입력 감지부(520)는 좌표값 획득 모듈(521)을 포함할 수 있고, 좌표값 획득 모듈(521)은 터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좌표값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좌표값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구성된 도형의 무게 중심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추출하여 터치된 영역의 좌표값으로 획득한 후, 획득한 좌표값을 제어부(540)에 제공할 수 있다.In detail, the input detecting unit 520 may include a coordinate value obtaining module 521, and the coordinate value obtaining module 5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ordina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area. After extracting a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gure composed of the corresponding area and obtaining the coordinate value of the touched area, the acquired coordinate value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540.

입력 감지부(5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10)의 표시 영역 상부에 설치되어 터치스크린(530)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510)와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The input sensing unit 520 may be install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510 to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530 or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unit 510.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에서는 입력 감지부(520)가 디스플레이부(510)의 상부에 설치된 터치스크린(530)을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vice having the user-defined menu configu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in which the input sensing unit 520 includes a touch screen 530 installed on the display unit 51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스크린(530)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광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530 may be any one of various methods such as a resistive film type, a capacitive type, an infrared light sensing type, and a surface ultrasonic type.

제어부(540)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터치스크린(530)으로부터 제공되는 좌표값에 기초하여 터치된 시간을 획득하고, 터치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보다 더 긴 것으로 판단되면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The controller 540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processor. The controller 540 obtains a touched time based on a coordinate value provided from the touch screen 53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ed time is longer than a preset reference time, the touch is performed. Determines whether a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t the specified position.

여기서, 제어부(540)는 동일한 좌표값이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터치된 시간을 획득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530)에 표시된 그래픽 개체의 표시 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포함하는 화면 구성 정보와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비교하 여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540 may obtain a touched time by measuring a time when the same coordinate value is continuously input, and includes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including coordinates of a display position of a graphic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3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by compar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touched position.

제어부(540)는 터치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보다 길고,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활성화 한다.If the touched time is longer than the preset reference time and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the controller 540 activates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어부(540)를 구성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메뉴 편집 모듈(54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Here, the user-defined menu generation m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program and may be performed by the menu editing module 543 which may be executed by a processor constituting the controller 540.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가 활성화되면 메뉴 편집 모듈(543)은 메뉴를 사용자가 직접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530)을 통해 표시하고,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메뉴 생성 정보들을 저장부(550)에 저장한다.When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is activated, the menu editing module 543 displays a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 menu directly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530, and menu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user through the provided user interface. Store them in the storage unit 550.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의 수행을 위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개체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그래픽 개체의 모양, 크기, 표시 위치, 색상, 투명도 등의 편집 및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실행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ser interface provided for the execution of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may select a graphic object, and edit an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and edit the shape, size, display position, color, and transparency of the selected graphic object. It can include a set of functions.

또는, 제어부(540)는 터치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보다 길고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정의 메뉴 편집 모드를 활성화시킨다. Alternative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ed time is longer than the preset reference time and the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the controller 540 activates the user-defined menu editing mode.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정의 편집 모드는 메뉴 편집 모듈(543)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메뉴 편집 모듈은 사용자 정의 편집 모드가 활성화되면 터치스크린(530) 에 표시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메뉴를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편집한 메뉴 정보를 저장부(550)에 저장한다.In this case, the user-defined editing mode may be performed by the menu editing module 543, and the menu editing module may edit a menu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30 when the user-defined editing mode is activated. The user interface is provided, and the menu information edited by the user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550.

상기 사용자 정의 편집 모드의 수행을 위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개체의 모양, 크기, 표시 위치, 색상, 투명도 등의 편집 및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실행 이벤트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provided for executing the user-defined edit mode may include a function of editing the shape, size, display position, color, transparency, etc. of the graphic object, and editing an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또는, 제어부(540)는 터치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보다 짧고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터치된 위치에 표시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실행하고, 터치된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짧고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비정상적인 터치 조작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아무런 이벤트를 실행하지 않는다.Alternatively, when the touched time is shor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time and the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the controller 540 executes an event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and the touched time is the reference time. If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shorter and touched position,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 touch operation is caused by a user's mistake and does not execute any event.

여기서, 상기 표시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이벤트의 실행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는 메뉴 실행 모듈(54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execution of the even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graphic object may be performed by the menu execution module 541 which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program.

저장부(550)는 비휘발성 특징을 가지는 다양한 매체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 또는 사용자 정의 메뉴 편집 모드를 통해 설정된 메뉴 구성 정보가 저장된다.The storage unit 550 may be configured of various media having nonvolatile characteristics, and menu configuration information set through a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or a user-defined menu editing mode is stor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는 터치된 시간이 기준시간 보다 긴 경우, 터치된 위치에 아이콘 등과 같은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새로운 메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활성화하고,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시된 그래픽 개체 및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실 행 이벤트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편집 모드를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메뉴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6, when a device having a user-defined menu configu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uched time longer than a reference time, a graphic object such as an icon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location. Activates a custom menu creation mode that allows you to create new menus, and allows you to edit the displayed graphic object and the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if the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By activating the menu editing mode, the user can easily configure the desired menu in the desired position.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태블릿 PC, 전자칠판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를 구비한 다양한 정보 처리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The device having a user-defined menu configuration function shown in FIG. 6 is applied to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including a touch screen or a touch pad, such as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mputer monitor, a tablet PC, an electronic blackboard, and the like. can do.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ould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defined menu configu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터치 조작에 대응되는 좌표값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describing a process of obtaining a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a touch manipulation.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에서 메뉴 생성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nu generating process in detail in the method of configuring a user-defined menu shown in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과정에서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in a process of configuring a user defined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과정에서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5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in a process of configuring a user defined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having a user-defined menu configu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10 : 디스플레이부 520 : 입력 감지부510: display unit 520: input detection unit

530 : 터치스크린 540 : 제어부530: touch screen 540: control unit

550 : 저장부 550: storage unit

Claims (18)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Obtaining a coordinate value of a touched position;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 Activating a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when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상기 활성화된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통해 소정의 그래픽 개체가 선택되는 단계;Selecting a graphic object through the activated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될 실행 이벤트가 설정되는 단계; 및Setting an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graphic object; And 상기 활성화된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통해 설정된 소정 메뉴에 대응되는 상기 그래픽 개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And displaying the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menu set through the activated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그래픽 개체를 선택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lecting of the predetermined graphic object comprises: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개체의 모양, 크기, 색상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And editing at least one of a shape, a size, a color, and a transparency of the selected graphic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is activated.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개체가 표시될 위치가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And sett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selected graphic object is to be display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is activated. 터치된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보다 길고,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And obtaining a touched time, and executing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when the touched time is longer than a preset reference time and a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How to configure a custom menu,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ustom menu configuration method is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된 경우, 상기 표시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메뉴를 편집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편집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And when the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activating a user-defined menu editing mode for editing a menu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graphic objec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편집 모드가 활성화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user-defined menu editing mode is activated. 상기 표시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실행 이벤트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And changing an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graphic objec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btaining of the coordinate value of the touched position comprises: 상기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이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좌표값으로 구성된 도형의 무게중심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상기 터치된 좌표값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방법.And when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touched position are plural, obtaining a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gure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coordinate values as the touched coordinate value.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좌표값을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및A touch screen which acquires coordinate values of the touched position and provides the obtained coordinate values; And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통해 선택된 소정의 그래픽 개체와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실행 이벤트를 매칭시켜 상기 활성화된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통해 설정된 소정 메뉴에 대응되는 상기 그래픽 개체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If the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in the touched position, activate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match the predetermined graphic object selected through the activated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with an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graphic objec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the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menu set through an activated user defined menu creation mode through the touch scree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제공된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의 표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And determining whether to display a graphic object at the touched position based on the coordinate values provided from the touch screen.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개체의 모양, 크기, 색상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And a user interface for editing at least one of a shape, a size, a color, and a transparency of the selected graphic object when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is activa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의 표시 영역에서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개체가 표시될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And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position where the selected graphic object i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when the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is activa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터치스크린이 터치된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터치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보다 길고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A user-defined menu, wherein the user-defined menu generation mode is activated when the touch screen obtains a touched time and the touched time is longer than a preset reference time and a graphic object is not displayed at the touched position. Device with configuration function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터치된 위치에 그래픽 개체가 표시된 경우, 사용자 정의 메뉴 편집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And displaying a graphic object at the touched position, activating a user-defined menu editing mod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편집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된 위치에 표시된 그래픽 개체에 대응되는 실행 이벤트를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And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changing an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displayed at the touched location when the user-defined menu editing mode is activa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는,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apparatus having a user-defined menu configuration function is provided. 상기 활성화된 사용자 정의 메뉴 생성 모드를 통해 생성된 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메뉴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menu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activated user-defined menu creation mode.
KR1020080091504A 2008-09-18 2008-09-18 Method For Configurating User-defined Menu And Apparatus For Having Function For Configuration Of User-defined Menu KR1009818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504A KR100981877B1 (en) 2008-09-18 2008-09-18 Method For Configurating User-defined Menu And Apparatus For Having Function For Configuration Of User-defined Menu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504A KR100981877B1 (en) 2008-09-18 2008-09-18 Method For Configurating User-defined Menu And Apparatus For Having Function For Configuration Of User-defined Men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560A KR20100032560A (en) 2010-03-26
KR100981877B1 true KR100981877B1 (en) 2010-09-10

Family

ID=4218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504A KR100981877B1 (en) 2008-09-18 2008-09-18 Method For Configurating User-defined Menu And Apparatus For Having Function For Configuration Of User-defined Menu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87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591A1 (en) * 2021-11-10 2023-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djusting size of exposure area of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529B1 (en) 2010-08-20 2016-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figurating screen, user device, and storage medium thereof
KR101129103B1 (en) * 2010-09-15 2012-03-23 양다몬 Input apparatus using center of gravity of figure
KR101948645B1 (en) * 2011-07-11 2019-0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s using graphic object
KR102113509B1 (en) * 2013-02-28 2020-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a virtual keypad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575628B2 (en) 2013-03-29 2017-02-21 Deere & Company Icon featured touch screen display system including status shortcuts for a work vehicle and method of managing the same
CN103345348A (en) * 2013-06-13 2013-10-09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menu
KR102230569B1 (en) * 2013-09-23 2021-03-23 팬텍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using touch point of mobile device
CN104936040A (en) * 2015-05-19 2015-09-23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Page display method and page display device
CN110618773B (en) * 2019-08-29 2021-05-28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Menu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477A (en) * 2005-07-08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rranging contents menu variably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70010415A (en) * 2005-07-18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uch screen based user interface,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KR20080061713A (en) * 2006-12-28 200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list by touch on touch screen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477A (en) * 2005-07-08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rranging contents menu variably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70010415A (en) * 2005-07-18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uch screen based user interface,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KR20080061713A (en) * 2006-12-28 200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list by touch on touch screen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591A1 (en) * 2021-11-10 2023-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djusting size of exposure area of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560A (en) 201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877B1 (en) Method For Configurating User-defined Menu And Apparatus For Having Function For Configuration Of User-defined Menu
US97667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KR101224588B1 (en) Method for providing UI to detect a multi-point stroke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of
TWI381305B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operating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EP2433210B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pages used for a home screen
US10282081B2 (en) Input and out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JP4577428B2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55296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per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145569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per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6073863B2 (en) I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20130167093A1 (en) Display apparatus for releasing locked state and method thereof
US20110283212A1 (en) User Interface
JPWO20111358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93043A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user interface for touch and swipe navigation
US20140310653A1 (en) Displaying history information for application
CN106464749B (en) Interactive method of user interface
KR20110085189A (en) Operation method of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ouch panel
WO2015035571A1 (en) Apparatus for enabling displaced effective input and associated methods
US10768717B2 (en) Method for operating handheld device, handhel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50012396A (en) Method for processing input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6183912A1 (en) Menu layout arran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140019895A1 (en) Electronic device
JP2010211323A (en) Input system, portable terminal, input/output device, input system control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system
KR20170103379A (en) Method for providing responsive user interface
JP2011221822A (en) Information processor, oper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