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005B1 - Plug inner frame - Google Patents

Plug inner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005B1
KR100981005B1 KR1020080057345A KR20080057345A KR100981005B1 KR 100981005 B1 KR100981005 B1 KR 100981005B1 KR 1020080057345 A KR1020080057345 A KR 1020080057345A KR 20080057345 A KR20080057345 A KR 20080057345A KR 100981005 B1 KR100981005 B1 KR 100981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sheet
wire receiving
inner frame
cap
conduct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3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89766A (en
Inventor
수툰리
Original Assignee
젬 터미널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젬 터미널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젬 터미널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8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7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0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30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Abstract

플러그 내부 프레임(4)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40, 43)을 갖는 프레임 본체(4)를 포함한다. 제1 측면(40)은 퓨즈를 수용하고 제2 측면(43) 상에 상승부(422)를 형성하는 리세스부(421)를 포함한다. 하부 영역(423A)이 제2 측면(43) 상에 형성되고 상승부(422)의 일 측면에 위치된다. 제1 및 제2 전도성 플레이트(424, 425)가 리세스부(421)에 장착되고 제2 측면(43)을 통해 제1 측면(40)으로부터 연장된다. 제1 및 제2 블레이드(45, 44)가 프레임 본체(41)에 장착된다. 제2 블레이드(44)는 제2 전도성 플레이트(4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격된 제1 및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51, 441)가 하부 영역(423A)에 형성되고 제1 블레이드(45) 및 제1 전도성 플레이트(424)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41)는 제1 와이어 수용 시트(451) 및 제2 블레이드(44) 중간에 있다. 각각의 와이어 수용 시트(451, 441)는 프레임 본체(41)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개구(452, 442)를 포함한다. The plug inner frame 4 comprises a frame body 4 having opposing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40, 43. The first side 40 includes a recess 421 for receiving a fuse and forming a raised portion 422 on the second side 43. A lower region 423A is formed on the second side 43 and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raised portion 422.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lates 424, 425 are mounted to the recess 421 and extend from the first side 40 through the second side 43. The first and second blades 45 and 44 are mounted to the frame body 41. The second blade 4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plate 425. Spaced first and second wire receiving sheets 451, 441 are formed in lower region 423A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first blade 45 and first conductive plate 424, respectively.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441 is between the first wire receiving sheet 451 and the second blade 44. Each wire receiving sheet 451, 441 includes openings 452, 442 facing away from the frame body 41.

플러그 내부 프레임, 프레임 본체, 제1 전도성 플레이트, 제2 전도성 플레이트, 제1 블레이드, 제2 블레이드 Plug inner frame, frame body, first conductive plate, second conductive plate, first blade, second blade

Description

플러그 내부 프레임{PLUG INNER FRAME}PLUG INNER FRAME {PLUG INNER FRAME}

본 발명은 플러그 내부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퓨즈가 내부에 수용될 있는 플러그 내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g inner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ug inner frame in which a fuse can be received.

전기 기구 또는 장비는 일상에서 사용되거나 또는 산업에서는 전기 연결용 소켓과 커플링하기 위해 플러그를 사용한다. 통상의 플러그는 두 개의 블레이드와 선택사양의 접지 프롱 또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퓨즈가 안전을 고려하여 플러그에 장착될 수 있다. 퓨즈는 과도한 전류 부하가 있을 때, 용융되어 안전용 개방 회로를 형성한다. 블레이드는 내부 프레임에 고정된 다음에, 주형에 위치되어, 하우징이 사출 성형에 의해 내부 프레임 주위에 위치될 수 있다.Electrical appliances or equipment are used on a daily basis or in industry, plugs are used to couple with electrical sockets. Typical plugs include two blades and an optional ground prong or blade. Fuses may be fitted to the plug for safety reasons. The fuse melts when there is an excessive current load to form a safety open circuit. The blade is fixed to the inner frame and then placed in the mold so that the housing can be positioned around the inner frame by injection molding.

도1A는 종래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1B는 와이어가 플러그 내부 프레임(1)에 부착된 상태의, 도1A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2는 도1A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의 하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3은 도1A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다.1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lug inner frame 1. FIG. 1B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of FIG. 1A with the wire attached to the plug inner frame 1. Figure 2 shows a bottom plan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of Figure 1A. 3 shows a top plan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of FIG. 1A;

플러그 내부 프레임(1)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10, 13)을 갖는 프레임 본체(11)를 포함한다. 제1 측면(10)은 퓨즈를 수용하고 제2 측면(13) 상에 상승 부(122)를 형성하기 위한 리세스부(121)를 퓨즈 수용 시트(12)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하부 영역(123A, 123B)은 제2 측면(13) 상에 형성되고 상승부(122)의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된다. 제1 및 제2 전도성 플레이트(124, 125)는 리세스부(421)에 장착되고 제2 측면(13)을 통해 제1 측면(10)으로부터 연장된다. 제1 및 제2 블레이드(15, 14)는 플러그 내부 프레임(1)의 제1 측면(10)으로부터 멀리 연장되고, 리세스부(121)의 일 측면에 위치된다. 접지 프롱(16)은 플러그 내부 프레임(1)의 제1 측면(10)으로부터 멀리 연장되고 리세스부(121)에 의해 제1 및 제2 블레이드(15, 14)로부터 이격된다. 제1 와이어 수용 시트(151)는 제1 하부 영역(123A)에 형성되고 제1 블레이드(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와이어 수용 시트(141)는 상승부(125)에 형성되고 제1 전도성 플레이트(1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전도성 플레이트(125)는 제2 블레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와이어 수용 시트(141)는, 퓨즈가 리세스부(121)에 수용되고 제1 및 제2 전도성 플레이트(124, 125)와 전기적 연결을 이룰 때, 제2 블레이드(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와이어 수용 시트(161)는 제2 하부 영역(123B)에 형성되고 접지 프롱(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와이어 수용 시트(151, 141, 161)는 절연 플라스틱 외피(17)를 갖는 와이어(171)의 일 단부를 수용한다. 그러나, 제2 와이어 수용 시트(141)의 두께와, 상승부(122)의 두께는 더 많은 재료를 필요로 하는 벌키 구조를 초래한다. 최종 플러그 제품은 무겁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The plug inner frame 1 comprises a frame body 11 having opposing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10, 13. The first side surface 10 includes a fuse accommodating sheet 12 and a recess portion 121 for accommodating the fuse and forming the raised portion 122 on the second side surface 13. Lower regions 123A, 123B are formed on the second side 13 and are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riser 122.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lates 124, 125 are mounted to the recess 421 and extend from the first side 10 through the second side 13. The first and second blades 15, 14 extend away from the first side 10 of the plug inner frame 1 and are located on one side of the recess 121. The ground prongs 16 extend away from the first side 10 of the plug inner frame 1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blades 15, 14 by the recesses 121. The first wire receiving sheet 151 is formed in the first lower region 123A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lade 15.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141 is formed in the rising portion 125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plate 124. The second conductive plate 12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lade. Accordingly,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14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lade 14 when the fuse is received in the recess 121 and makes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lates 124 and 125. Is connected. The third wire receiving sheet 161 is formed in the second lower region 123B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prong 16. Each wire receiving sheet 151, 141, 161 receives one end of a wire 171 with an insulating plastic sheath 17. However, the thickness of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141 and the thickness of the raised portion 122 result in a bulky structure requiring more material. The final plug product is heavy and aesthetically bad.

도4는 종래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2)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플러그 내부 프레임(2)은 상승부(222)를 갖는 프레임 본체(21)를 포함한다. 제1 와이어 수용 시 트(121)가 상승부(222)의 일 측면에 하부 영역 상에 형성되고 프레임 본체(21)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개구(252)를 포함한다. 제2 와이어 수용 시트(241)가 상승부(222) 상에 형성되고 케이블의 일 단부를 클램핑하기 위한 U자형 개구(243)를 갖는다. 그러나, 제2 와이어 시트(241)의 개구(243)와, 제1 와이어 수용 시트(251)의 개구(252)는 상이한 배향을 갖고, 따라서, 두 개의 분리된 와이어 커플링 공정을 필요로 한다.4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lug inner frame 2. The plug inner frame 2 comprises a frame body 21 with a raised portion 222. The first wire receiving sheet 121 includes an opening 252 which is formed on the lower region on one side of the rising part 222 and faces away from the frame body 21. A second wire receiving sheet 241 is formed on the raised portion 222 and has a U-shaped opening 243 for clamping one end of the cable. However, the openings 243 of the second wire sheet 241 and the openings 252 of the first wire receiving sheet 251 have different orientations, thus requiring two separate wire coupling processes.

도5는 캡(36)을 갖는 다른 종래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3)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종래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의 일 예는 GB2370163에 개시되어 있다. 플러그 내부 프레임(3)은 일 측면 상에 상승부(30)와, 타 측면 상에 리세스부를 갖는 프레임 본체(37)를 포함한다. 전도성 플레이트가 리세스부에 수용되고 하부 영역(33)의 와이어 수용 시트(32)에 연결되는 평탄한 연장부(31)를 갖는다. 두 개의 와이어 수용 시트(34, 35)가 와이어 수용 시트(32)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된다. 와이어 수용 시트(35)는 접지 프롱(라벨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캡(36)이 프레임 본체(37)에 연결되고 와이어 수용 시트(34, 32, 35)에 커플링되는 와이어를 격리시키기 위한 격벽(361)을 포함한다. 그러나, U자형 단면을 갖는 와이어 수용 시트(34, 32, 35)는 제 위치에 와이어를 클램핑하도록 공구에 의해 롤링 가공되어야만 하고, 이는 와이어 수용 시트(34, 32, 35)가 나란히 위치되고 그들 사이에 작은 간극을 갖는 작은 공간에서 수행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동시에 와이어 수용 시트(34, 32, 35)를 롤링하는 공구는 파손되기 쉽다. 또한, 격리 기능은 캡(36)이 제공되지 않으면 상실된다. 5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plug inner frame 3 with a cap 36. An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plug inner frame is disclosed in GB2370163. The plug inner frame 3 comprises a frame body 37 having a raised portion 30 on one side and a recessed portion on the other side. The conductive plate has a flat extension 31 which is received in the recess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wire receiving sheet 32 of the lower region 33. Two wire receiving sheets 34 and 35 are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wire receiving sheet 32. The wire receiving sheet 3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prong (unlabeled). The cap 36 includes a partition 361 for isolating wires that are connected to the frame body 37 and coupled to the wire receiving sheets 34, 32, 35. However, the wire receiving sheets 34, 32, 35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must be rolled by a tool to clamp the wires in place, which is where the wire receiving sheets 34, 32, 35 are positioned side by side and between them. Difficult to carry out in small spaces with small gaps in the In addition, the tool which rolls the wire accommodation sheet 34, 32, 35 at the same time is easy to be broken. In addition, the isolation function is lost if the cap 36 is not provided.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퓨즈가 내부에 수용될 있는 플러그 내부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ug inner frame in which a fuse can be accommodated, which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양호한 교시에 따른 내부 프레임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을 포함한다. 제1 측면은 퓨즈를 수용하고 제2 측면 상에 상승부를 형성하기 위한 리세스부를 갖는 퓨즈 수용 시트를 포함한다. 제1 하부 영역이 제2 측면 상에 형성되고 상승부의 일 측면에 위치된다. 제1 및 제2 전도성 플레이트가 리세스부에 장착되고, 제2 측면을 통해 제1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제1 및 제2 블레이드는 프레임 본체에 장착되고, 제1 측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제2 블레이드는 제2 전도성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와이어 수용 시트가 제1 하부 영역에 형성되고 제1 블레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와이어 수용 시트가 제1 하부 영역에 형성되고 제1 와이어 수용 시트로부터 이격된다. 제2 와이어 수용 시트는 제1 전도성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퓨즈가 리세스부에 수용되어 제1 및 제2 전도성 플레이트와 전기적 연결을 이룰 때 제2 와이어 수용 시트는 제2 블레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와이어 수용 시트는 제1 와이어 수용 시트와 제2 블레이드 중간에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 수용 시트의 각각은 프레임 본체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An inner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pposing first and second aspects. The first side includes a fuse accommodating sheet having a recess for receiving the fuse and forming a raised portion on the second side. A first lower region is formed on the second side and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lift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lates are mounted in the recesses and extend from the first side through the second side. The first and second blades are mounted to the frame body and extend away from the first side. The second bla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plate. A first wire receiving sheet is formed in the first lower reg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lade. A second wire receiving sheet is formed in the first lower reg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ire receiving sheet.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plate.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lade when the fuse is received in the recess to make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lates.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is intermediate between the first wire receiving sheet and the second blad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receiving sheets includes an opening facing away from the frame body.

가장 양호한 형태에서, 프레임 본체는 제2 측면의 일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한다. 제1 하부 영역은 돌기에 인접하는 두 개의 이격된 리브를 포함한다. 제1 전도성 플레이트는 상승부로부터 제2 와이어 수용 시트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연장부는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에 수용 및 위치설정되고 돌기의 그루브에 고정되는 말단부를 갖는다. 또한, 상승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 전도성 플레이트는 상승부(422) 상에 장착되고 돌출부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 섹션을 포함하여, 제1 전도성 플레이트를 제 위치에 위치설정시킨다. 제2 측면은 상승부에 의해 제1 하부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하부 영역을 포함한다. 접지 프롱이 제1 측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제3 와이어 수용 시트가 제2 하부 영역 상에 형성되고 접지 프롱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the most preferred form, the frame body includes a protrusion extending from one edge of the second side. The first subregion includes two spaced ribs adjacent to the protrusion. The first conductive plate includes an extension that extends from the raised portion toward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The extension has a distal end that is received and positioned in the path formed by the rib and secured to the groove of the protrusion. In addition, the raised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and the first conductive plate includes a section mounted on the raised portion 422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extends to position the first conductive plate in position. The second side includes a second lower reg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wer region by the raised portion. The ground prong extends away from the first side. A third wire receiving sheet is formed on the second lower reg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prong.

가장 양호한 형태에서, 상승부는 커플링 그루브를 포함한다. 캡이 제2 측면에 커플링되고 커플링 그루브와 커플링되는 결합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캡은 사이에 제1, 제2 및 제3 격실을 형성하는, 이격된 제1, 제2, 제3 및 제4 구획 플레이트를 갖는 일 단부를 포함한다. 제1 구획 플레이트는 그 외부측에 제1 호형 에지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구획 플레이트는 사이의 제1 상호연결 벽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제1 상호연결 벽은 제2 호형 에지를 갖는다. 제3 및 제4 구획 플레이트는 사이의 제2 상호연결 벽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제2 상호연결 벽은 제3 호형 에지를 갖는다. 제4 격벽은 그 외부측에 제4 호형 에지를 포함한다. 제3 구획 플레이트는 L자형 단면을 갖고 제2 와이어 수용 시트를 수용하는 코너를 형성한다. 캡은 제1, 제2, 제3 및 제4 구획 플레이트의 말단부와 맞닿는 미부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ost preferred form, the riser comprises a coupling groove. The cap includes a coupling plate coupled to the second side and coupled with the coupling groove. The cap includes one end having spaced apart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artition plates defining first, second, and third compartments therebetween. The first partition plate includes a first arced edge on its outer side.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plates are interconnected by a first interconnection wall therebetween. The first interconnect wall has a second arced edge. The third and fourth partition plates are interconnected by a second interconnect wall between them. The second interconnect wall has a third arced edge. The fourth partition includes a fourth arced edge on its outer side. The third partition plate has an L-shaped cross section and forms a corner for receiving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The cap may further comprise a tail piece abutting the distal end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artition plates.

가장 양호한 형태에서, 프레임 본체는 그로부터 연장되는 캐리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이격된 제1, 제2, 제3 및 제4 격벽은 캐리어 플레이트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제1 간격이 제1 와이어 수용 시트에 커플링되는 제1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해 제1 및 제2 격벽 사이에 형성된다. 제2 간격이 제2 와이어 수용 시트에 커플링되는 제2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해 제2 및 제3 격벽 사이에 형성된다. 제3 간격이 제3 와이어 수용 시트에 커플링되는 제3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해 제3 및 제4 격벽 사이에 형성된다. 제2 및 제3 격벽은 사이에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한다. 그루브가 돌기에 형성된다. 제1 전도성 플레이트는 그루브에 고정되는 말단부를 갖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In the most preferred form, the frame body further comprises a carrier plate extending therefrom. The spaced apart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artitions extend vertically from the carrier plate. A first ga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s to receive the first cable coupled to the first wire receiving sheet. A second gap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partitions to receive a second cable coupled to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A third gap is form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partitions to receive a third cable coupled to the third wire receiving sheet. The second and third partition walls include protrusions formed therebetween. Grooves are formed on the projections. The first conductive plate includes an extension having a distal end fixed to the groove.

본 발명은 도면과 연관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drawings.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잘 설명될 수도 있다.Example embodiments may be bes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모든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기본 교시에 대한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도시되어 있고, 양호한 실시예를 형성하도록 부품의 개수, 위치, 관계 및 크기에 대한 도면의 연장은 본 발명의 이하 교시 내용을 읽고 이해된 후에 설명되거나 또는 본 기술 분야의 기술 내에 있을 것이다. 또한, 특정 힘, 무게, 강도 및 유사한 요구 조건에 부합하도록 정확한 크기 및 크기 비율이,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이하 교시 내용을 읽고 이해된 후에 설명되거나 또는 본 기술 분야의 기술 내에 있을 것이다.All drawings are shown for ease of description only of the basic teachings of the invention, and extensions of the drawings to the number, location, relationship, and size of parts to form a preferred embodiment are to be read and understood the following teachings of the invention. It will then be described or will be within the skill of the art. In addition, the precise size and size ratios will likewise be described after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following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within the skill in the art to meet specific forces, weights, strengths and similar requirements.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퓨즈가 내 부에 수용될 있는 플러그 내부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ug inner frame in which a fuse can be accommodated, which can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양호한 교시에 따른 플러그 내부 프레임(4)이 도6 내지 도1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양호한 형태에 따르면, 플러그 내부 프레임(4)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40, 43)을 갖는 프레임 본체(41)를 포함한다. 제1 측면(40)은 퓨즈를 수용하고 상승부(422)를 형성하기 위한 리세스부(421)를 갖는 수용 퓨즈 수용 시트(42)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하부 영역(423A, 423B)이 제2 측면(43)에 형성되고 상승부(422)의 대향 측면에 위치된다. 상승부(422)는 그 일 단부에 돌출부(427)를 포함한다. 또한, 상승부(422)는 커플링 그루브(426)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41)는 제2 측면(43)의 일 에지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그루브(413)를 갖는 돌기(412)를 더 포함한다. 제1 하부 영역(423A)은 돌출부(47)와, 인접한 두 개의 이격된 리브(431)를 포함한다. 경로가 리브(431) 사이에 형성된다.The plug inner frame 4 according to the preferred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6 to 11. According to the preferred form shown, the plug inner frame 4 comprises a frame body 41 having opposing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40, 43. The first side 40 includes a receiving fuse receiving sheet 42 having a recess 421 for receiving a fuse and forming a raised portion 422,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lower regions 423A and 423B. ) Is formed on the second side 43 and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aised portion 422. The raised portion 422 includes a protrusion 427 at one end thereof. The raised portion 422 also includes a coupling groove 426. The frame body 41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412 having a groove 413 formed therein and extending from one edge of the second side 43. The first lower region 423A includes a protrusion 47 and two adjacent spaced ribs 431. A path is formed between the ribs 431.

도시된 양호한 형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전도성 플레이트(424, 425)가 프레임 본체(41)에 장착된다. 제1 전도성 플레이트(424)는 리세스부(421) 내에 있고 제2 측면(43)을 통해 제1 측면(40)으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아암(424D)(도7)을 포함한다. 제1 전도성 플레이트(424)는 아암(424D) 사이에 상호연결되고 상승부(422) 상에 위치되는 상호연결부(424A)를 더 포함한다. 상호연결부(424A)는 제1 전도성 플레이트(424)를 제 위치에 위치설정시키도록 돌출부(427)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다. 제1 전도성 플레이트(424)는 상호연결부(424A)로부터 연장되고 리브(431) 사이의 경로에 수용 및 위치설정되는 연장부(424B)를 더 포함한다. 연장부(424B)는 그루브(413)에 고정되는 말단부(424C)를 갖는다(도7). 따라서, 제1 전도성 플레이트(424)는 후속의 와이어 커플링 과정 및 후속의 사출 성형 과정 동안 압력 또는 진동으로 인해 그 위치에서 멀리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2 전도성 플레이트(425)는 리세스부(421)에 있고 제2 측면(43)을 통해 제1 측면(40)으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아암(425C)(도7)을 포함한다. 제2 전도성 플레이트(425)는 아암(425C) 사이에 상호연결되고 상승부(422) 상에 위치되고 상호연결부(424A)로부터 이격되는 상호연결부(425A)를 더 포함한다. 제2 전도성 플레이트(425)는 상호연결부(425A)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425B)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ferred form show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lates 424, 425 are mounted to the frame body 41. The first conductive plate 424 includes two arms 424D (FIG. 7) in the recess 421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 40 through the second side 43. The first conductive plate 424 further includes an interconnect 424A that is interconnected between the arms 424D and located on the raised portion 422. Interconnect 424A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protrusion 427 extends to position first conductive plate 424 in place. The first conductive plate 424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424B that extends from the interconnect 424A and is received and positioned in the path between the ribs 431. Extension 424B has a distal end 424C secured to groove 413 (FIG. 7). Thus, the first conductive plate 424 is prevented from moving away from its position due to pressure or vibration during the subsequent wire coupling process and the subsequent injection molding process. The second conductive plate 425 includes two arms 425C (FIG. 7) in the recess 421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 40 through the second side 43. The second conductive plate 425 further includes an interconnect 425A that is interconnected between the arms 425C and positioned on the riser 422 and spaced apart from the interconnect 424A. The second conductive plate 425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425B extending from the interconnect 425A.

이격된 제1 및 제2 블레이드(45, 44)는 제1 측면(40)으로부터 멀리 연장되고 리세스부(421)의 일 측면에 위치된다. 제2 블레이드(44)는 제2 전도성 플레이트(425)의 연장부(425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지 프롱(46)이 제1 측면(40)으로부터 멀리 연장되고 리세스부(421)에 의해 제1 및 제2 블레이드(45, 44)로부터 이격된다. 제1 와이어 수용 시트(451)가 제1 하부 영역(423A)에 형성되고 제1 블레이드(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41)가 제1 하부 영역(423A)에 형성되고 연장부(424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41)는, 퓨즈가 리세스부(421)에 수용되고 제1 및 제2 전도성 플레이트(424, 4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제2 블레이드(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41)는 제1 와이어 수용 시트(451)와 제2 블레이드(44) 중간에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51, 441)의 각각은 프레임 본체(41)로부터 머 리 대면하는 개구(452, 442)를 갖는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리셉터클은 프레임 본체(41)를 향해 연장된다. 제3 와이어 수용 시트(161)가 제2 하부 영역(123B)에 형성되고 접지 프롱(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와이어 수용 시트(151, 141, 161)는 절연 플라스틱 외피(17)를 갖는 와이어(471A, 471B, 471C)(도12)의 일 단부를 수용한다.The spaced apart first and second blades 45, 44 extend away from the first side 40 and are located on one side of the recess 421. The second blade 4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nsion 425B of the second conductive plate 425. The ground prom 46 extends away from the first side 4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blades 45, 44 by the recess 421. The first wire receiving sheet 451 is formed in the first lower region 423A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lade 45. A second wire receiving sheet 441 is formed in the first lower region 423A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nsion 424B.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44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lade 44 when the fuse is received in the recess 42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lates 424 and 425. .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441 is between the first wire receiving sheet 451 and the second blade 44.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receiving sheets 451 and 441 includes a receptacle having openings 452 and 442 facing away from the frame body 41. The receptacle extends toward the frame body 41. The third wire receiving sheet 161 is formed in the second lower region 123B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prong 16. Each wire receiving sheet 151, 141, 161 receives one end of wires 471A, 471B, 471C (FIG. 12) with an insulating plastic sheath 17.

도시된 양호한 형태에 따르면, 캡(48)이 프레임 본체(41)의 제2 측면(43)에 커플링된다. 캡(48)은 상승부(422)의 커플링 그루브(426)와 커플링하기 위한 결합 플레이트(481)(도9)를 포함한다. 이는 용융 플라스틱 재료가 제1 측면(40)에 있는 리세스부(421)로의 전도성 플레이트(424)의 주연부와 상승부(422) 사이의 갭(411)(도12 참조)을 따라 플러그 유동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플라스틱 재료는 퓨즈의 삽입을 방해하는 리세스부(421) 내의 구조체를 형성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ferred form shown, the cap 48 is coupled to the second side 43 of the frame body 41. The cap 48 includes a coupling plate 481 (FIG. 9) f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groove 426 of the raised portion 422. This causes the housing of the plug flow along the gap 411 (see FIG. 12)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conductive plate 424 and the riser 422 to the recess 421 in which the molten plastic material is at the first side 40. To prevent it from forming. Thus, the plastic material does not form a structure in the recess 421 that prevents the insertion of the fuse.

캡(48)은 그 일 단부 상에, 와이어(471A, 471B, 471C)를 수용하고 격리시키기 위해 사이에 제1, 제2 및 제3 격실(483E, 483F, 483G)을 형성하는, 이격된 제1, 제2, 제3 및 제4 구획 플레이트(483A, 483B, 483C, 484D)를 더 포함한다. 제1 구획 플레이트(483A)는 그 외부측에 호형 에지(483H)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구획 플레이트(483A, 483B)는 사이의 제1 상호연결벽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제1 상호연결벽은 호형 에지(483J)를 갖는다. 제3 및 제4 구획 플레이트(483C, 483D)는 사이의 제2 상호연결벽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제2 상호연결벽은 호형 에지(484L)를 갖는다. 제4 구획 플레이트(483D)는 그 외부측에 호형 에지(483I)를 포함한다. 제3 구획 플레이트(483C)는 L자형 단면을 갖고 사출 성형시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41)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41)를 수용하는 코너를 형성한다. 따라서, 사출 성형시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41)의 낙하로 인한 단락 또는 접촉 불량이 회피된다. 호형 에지(483H, 483I, 483J, 483L)는 와이어(471A, 471B, 471C)의 쉬운 장착을 허용하고 안내한다. 이는 와이어(471A, 471B, 471C)가 핀치(pinched)되는 것을 회피하고 쉬운 조립을 허용한다.The cap 48 is spaced first, on one end thereof forming first, second and third compartments 483E, 483F, and 483G therebetween to receive and isolate the wires 471A, 471B, and 471C. And further includ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artition plates 483A, 483B, 483C, 484D. The first partition plate 483A includes an arced edge 483H on its outer side.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plates 483A, 483B are interconnected by a first interconnect wall therebetween. The first interconnect wall has an arced edge 483J. The third and fourth partition plates 483C and 483D are interconnected by a second interconnection wall therebetween. The second interconnect wall has an arced edge 484L. The fourth partition plate 483D includes an arced edge 483I on its outer side. The third partition plate 483C has an L-shaped cross section and forms a corner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sheet 441 to prevent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sheet 441 from falling during injection molding. Therefore, a short circuit or a poor contact due to the fall of the second wire accommodating sheet 441 during injection molding is avoided. Arced edges 483H, 483I, 483J, 483L allow and guide easy mounting of wires 471A, 471B, 471C. This avoids pinching the wires 471A, 471B, 471C and allows for easy assembly.

도12, 도14, 도15A, 도15B 및 도16은 본 발명의 양호한 교시에 따른 플러그 내부 프레임(4)의 변형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유사한 도면 부호는 유사한 요소를 가리킨다. 이 실시예에서, 프레임 본체(41)는 돌기(412)를 갖지 않는다. 그러나, 프레임 본체(41)는 제1 하부 영역(423A)의 일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캐리어 플레이트(49)를 포함한다. 이격된 제1, 제2, 제3 및 제4 격벽(490, 491, 492, 493)은 캐리어 플레이트(49)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제1 간극이, 제1 와이어 수용 시트(451)에 커플링되는 와이어(471A)를 수용 및 안내하기 위해 제1 및 제2 격벽(490, 491) 사이에 형성된다. 제2 간극이,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41)에 커플링되는 와이어(471B)를 수용 및 안내하기 위해 제2 및 제3 격벽(491, 492) 사이에 형성된다. 제3 간극이, 제3 와이어 수용 시트(461)에 커플링되는 와이어(471C)를 수용 및 안내하기 위해 제3 및 제4 격벽(491, 492)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471A, 471B, 471C) 사이의 접촉으로 인한 단락이 방지된다. 또한, 제2 및 제3 격벽(491, 492)은 사이에 형성되는 돌기(494)를 갖는다. 그루브(495)는 돌기(494)에 형성되고 연장부(424B)의 말단부(424C)를 확실하게 수용한다. 따라서, 후속의 사출 성형시 압력 또는 진동으로 인한, 제1 전도성 플레이트(424)의 원치않는 변위가 방지된다. 리브 사이의 경로가 또한 후속의 사출 성형시 제1 전도성 플레이트(424)의 원치않는 변위를 방지하도록 제1 전도성 플레이트(424)를 위치설정한다는 것에 주목하기로 한다. 12, 14, 15A, 15B and 16 show a variant of the plug inner frame 4 according to the preferred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like elements. In this embodiment, the frame body 41 does not have the protrusion 412. However, the frame body 41 includes a carrier plate 49 extending from one edge of the first lower region 423A. The spaced apart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artitions 490, 491, 492, 493 extend vertically from the carrier plate 49. A first ga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s 490 and 491 to receive and guide the wire 471A coupled to the first wire receiving sheet 451. A second gap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partitions 491 and 492 to receive and guide the wire 471B coupled to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441. A third gap is form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partitions 491 and 492 to receive and guide the wire 471C coupled to the third wire receiving sheet 461. Thus, a short circuit due to contact between the wires 471A, 471B, and 471C is prevented. In addition, the second and third partitions 491 and 492 have protrusions 494 formed therebetween. Groove 495 is formed in protrusion 494 and reliably receives distal end 424C of extension 424B. Thus, unwanted displacement of the first conductive plate 424 due to pressure or vibration in subsequent injection molding is prevented. Note that the path between the ribs also positions the first conductive plate 424 to prevent unwanted displacement of the first conductive plate 424 during subsequent injection molding.

도시된 양호한 형태에 따르면, 캡(48)은 또한 그 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미부편(482)(도14)을 포함하도록 변형된다. 미부편(482)은 와이어(471A, 471B, 471C)의 결합해제를 방지하도록 제1, 제2, 제3 및 제4 격벽(490, 491, 492, 493)의 말단부와 맞닿는다. 제1, 제2, 제3 및 제4 구획 플레이트(483A, 483B, 483C, 483D)가 캡(48)의 본체의 일 부분을 가로질러 미부편(482)으로부터 연장된다는 것에 주목하기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ferred form shown, the cap 48 is also modified to include a tail piece 482 (FIG. 14) that extends out of its body. The tail piece 482 abuts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artitions 490, 491, 492, 493 to prevent disengagement of the wires 471A, 471B, 471C. Note that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artition plates 483A, 483B, 483C, 483D extend from the tailpiece 482 across a portion of the body of the cap 48.

격벽(490, 491, 492, 493)이 사용될 때, 제조 비용을 저감하기 위해서, 캡(48) 없이 와이어(471A, 471B, 471C)의 격리가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1 및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51, 441)의 양 개구(452, 442)가 동일한 방향으로 프레임 본체(41)로부터 멀리 대면하고, 원활하고 품질이 안정된 와이어 커플링 처리를 허용하면서, 와이어 커플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공구의 파손의 위험없이 용이한 와이어 커플링 처리를 허용하도록 서로 이격되고, 제1 및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51, 441)이 프레임 본체(41)에 의해 잘 지지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when partitions 490, 491, 492, 493 are used, isolation of wires 471A, 471B, 471C can be achieved without cap 48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Both openings 452 and 442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accommodating sheets 451 and 441 face away from the frame body 41 in the same direction and allow for a smooth and stable wire coupling process, while allowing wire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wire receiving sheets 451 and 441 are well supported by the frame body 41 to allow easy wire coupling processing without the risk of breaking the tool in order to carry out the ring processing.

본 발명의 양호한 교시에 따른 플러그 내부 프레임(4)은 주형에 위치될 수 있고, 최종 플러그 제품(6)(도13)이 사출 성형 후에 얻어질 수 있다.The plug inner frame 4 according to the preferred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laced in a mold and the final plug product 6 (Fig. 13) can be obtained after injection molding.

따라서, 본 발명이 그 기술 사상 또는 전체적인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기 때문에,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전체적으로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하고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주는 상기 설명에 의해서 보다는 후속의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져야 하고, 청구범위의 균등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수정이 내부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Thu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s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is intended to include within it all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도1A는 종래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의 사시도.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lug inner frame.

도1B는 와이어가 플러그 내부 프레임에 부착된 상태의, 도1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의 사시도.1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of FIG. 1 with the wire attached to the plug inner frame;

도2는 도1A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의 하부 평면도.Figure 2 is a bottom plan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of Figure 1A;

도3은 도1A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의 상부 평면도.3 is a top plan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of FIG. 1A;

도4는 다른 종래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plug inner frame;

도5는 캡을 갖는 다른 종래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plug inner frame having a cap;

도6은 본 발명의 양호한 교시에 따른 일 실시예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ferred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도6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의 하부 평면도.Figure 7 is a bottom plan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of Figure 6;

도8은 도6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의 상부 평면도.Figure 8 is a top plan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of Figure 6;

도9는 도6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과, 플러그 내부 프레임에 장착되는 캡의 분해 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of FIG. 6 and a cap mounted to the plug inner frame;

도10은 도9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과 캡의 사시도.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and cap of Figure 9;

도11은 도6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의 단면도.Figure 11 is a sectional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of Figure 6;

도12는 와이어가 플러그 내부 프레임에 부착된 상태의, 본 발명의 양호한 교시에 따른 일 실시예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의 사시도.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ferred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wire attached to the plug inner frame.

도13은 본 발명의 양호한 교시에 따른 플러그 내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플러그의 최종 제품을 도시하는 도면.Figure 13 illustrates a final product of a plug formed by a plug inner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는 도12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과, 플러그 내부 프레임에 장착되는 캡의 분해 사시도.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of FIG. 12 and a cap mounted to the plug inner frame;

도15A는 도14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과, 캡의 사시도.Figure 1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and cap of Figure 14;

도15B는 도15A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과 캡의 단면도.Fig. 15B is a sectional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and the cap of Fig. 15A.

도16은 도14의 플러그 내부 프레임의 단면도.Figure 16 is a sectional view of the plug inner frame of Figure 1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 : 제1 측면 41 : 프레임 본체 40: first side 41: frame body

42 : 퓨즈 수용 시트 43 : 제2 측면42: fuse accommodating sheet 43: second side

44 : 제2 블레이드 45 : 제1 블레이드 44: second blade 45: first blade

421 : 리세스부 422 : 상승부421 recessed portion 422 rising portion

423A : 제1 하부 영역 424 : 제1 전도성 플레이트423A: First lower region 424: First conductive plate

425 : 제2 전도성 플레이트 441 :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25: second conductive plate 441: second wire receiving sheet

442, 452 : 개구 451 : 제1 와이어 수용 시트442 and 452 opening 451: first wire receiving sheet

Claims (13)

플러그 내부 프레임이며,The inner frame of the plug,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40, 43)을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41)로서, 제1 측면(40)은 퓨즈를 수용하고 제2 측면(43) 상에 상승부(422)를 형성하기 위한 리세스부(421)를 갖는 퓨즈 수용 시트(42)를 포함하고, 제1 하부 영역(423A)이 제2 측면(43) 상에 형성되고 상승부(422)의 일 측면에 위치되는, 프레임 본체(41)와,Frame body 41 comprising opposing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40, 43, the first side 40 receiving fuses and forming a raised portion 422 on second side 43. A frame, comprising a fuse receiving sheet 42 having a recess 421 for the first lower region 423A, which is formed on the second side 43 and located on one side of the raised portion 422. The main body 41, 리세스부(421)에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41)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측면(43)을 통해 상기 제1 측면(40)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 전도성 플레이트(424, 425)와,First and second conductive plates 424 and 425 mounted to the recess 421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 40 through the second side 43 through the frame body 41. Wow, 프레임 본체(41)에 장착되고, 제1 측면(40)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45, 44)로서, 제2 블레이드(44)는 제2 전도성 플레이트(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와이어 수용 시트(451)가 제1 하부 영역(423A)에 형성되고 제1 블레이드(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41)가 제1 하부 영역(423A)에 형성되고 제1 와이어 수용 시트(451)로부터 이격되고,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41)는 제1 전도성 플레이트(4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퓨즈가 리세스부(421)에 수용되어 제1 및 제2 전도성 플레이트(424, 425)와 전기적 연결을 이룰 때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41)는 제2 블레이드(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41)는 제1 와이어 수용 시트(451)와 제2 블레이드(44) 중간에 있고, 제1 및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51, 441)의 각각은 프레임 본체(41)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개구(452, 442)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45, 44)를 포함하며,First and second blades 45, 44 mounted to the frame body 41 and extending away from the first side 40, the second blades 44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second conductive plate 45. A first wire receiving sheet 451 is formed in the first lower region 423A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lade 45, and a second wire receiving sheet 441 is in the first lower region 423A. Forme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ire receiving sheet 451,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44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plate 424, and a fuse is received in the recess 421 so that the first and the first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44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lade 44 when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second conductive plates 424 and 425 is made, and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441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 receiving sheet ( 451 between the second blade 44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receiving sheets 451, 441 is a frame body 41. First and second blades 45, 44, including openings 452, 442 facing away from 상기 프레임 본체(41)는 상기 제2 측면(43)의 일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돌기(412)를 포함하고, 그루브(413)가 상기 돌기(412)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도성 플레이트(424)는 상기 상승부(422)로부터 상기 돌기(412)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424B)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424B)는 상기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41)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고 상기 그루브(413)에 고정되는 말단부(424C)를 갖는, 플러그 내부 프레임.The frame body 41 includes a protrusion 412 extending from one edge of the second side surface 43, a groove 413 is formed in the protrusion 412, and the first conductive plate 424. An extension portion 424B extends from the rising portion 422 toward the protrusion 412, and the extension portion 424B makes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441 and the groove ( A plug inner frame having a distal end 424C fixed to 413.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승부(422)는 돌출부(427)를 포함하고, 제1 전도성 플레이트(424)는 상승부(422) 상에 장착되는 섹션(424A)을 포함하고 돌출부(427)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가져서, 제1 전도성 플레이트(424)를 제 위치에 위치설정시키는, 플러그 내부 프레임.2. The raised portion 422 includes a protrusion 427, the first conductive plate 424 includes a section 424A mounted on the raised portion 422, and the protrusion 427 penetrates. And a through hole extending therein to position the first conductive plate 424 in place.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도성 플레이트(424)는 상승부(422)로부터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41)로 연장되는 연장부(424B)를 포함하고, 제1 하부 영역(423A)은 경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이격된 리브(431)를 더 포함하고, 연장부(424B)는 경로에 수용되고 위치설정되는, 플러그 내부 프레임.2. The first conductive plate 424 includes an extension 424B extending from the raised portion 422 to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441, wherein the first lower region 423A defines a path. And further comprising two spaced ribs 431, the extension 424B being received and positioned in the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승부(422)는 커플링 그루브(426)를 포함하고, 플러그 내부 프레임(4)은 제2 측면(43)에 커플링되는 캡(48)과의 조합체를 더 포함하고, 캡(48)은 커플링 그루브(426)와 커플링되는 결합 플레이트(481)를 포함하는 플러그 내부 프레임.2. The raised portion 422 comprises a coupling groove 426, and the plug inner frame 4 further comprises a combination with a cap 48 coupled to the second side 43. The inner frame of the plug comprises a coupling plate (481) coupled with the coupling groove (426). 제5항에 있어서, 캡(48)은 제1, 제2 및 제3 격실(483E, 483F, 483G)을 형성하는, 이격된 제1, 제2, 제3 및 제4 구획 플레이트(483A, 483B, 483C, 483D)를 갖는 일 단부를 포함하고, 제1 구획 플레이트(483A)는 그 외부측에 제1 호형 에지(483I)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구획 플레이트(483A, 483B)는 사이의 제1 상호연결 벽에 의해 상호연결되고, 제1 상호연결 벽은 제2 호형 에지(483J)를 갖고, 제3 및 제4 구획 플레이트(483C, 483D)는 사이의 제2 상호연결 벽에 의해 상호연결되고, 제2 상호연결 벽은 제3 호형 에지(484L)를 갖고, 제4 격벽(483D)은 그 외부측에 제4 호형 에지(483I)를 포함하는, 플러그 내부 프레임.6. The spaced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artition plates 483A, 483B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ap 48 forms first, second and third compartments 483E, 483F, 483G. , 483C, 483D, the first partition plate 483A includes a first arced edge 483I on its outer 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plates 483A, 483B are interposed therebetween. Interconnected by a first interconnection wall of the first interconnection wall, the first interconnection wall having a second arced edge 483J, and the third and fourth partition plates 483C and 483D being connected by a second interconnection wall therebetween. Interconnected, the second interconnecting wall having a third arced edge (484L), and the fourth septum (483D) comprising a fourth arced edge (483I) on its outer side. 제1항에 있어서, 제2 측면(43)은 상승부(422)에 의해 제1 하부 영역(423A)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하부 영역(423B)을 더 포함하고, 접지 프롱(46)이 제1 측면(40)으로부터 멀리 연장되고, 제3 와이어 수용 시트(461)가 제2 하부 영역(423B) 상에 형성되고 접지 프롱(4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프레임 본체(41)는 그로부터 연장되는 캐리어 플레이트(49)를 더 포함하고, 이격된 제1, 제2, 제3 및 제4 격벽(490, 491, 492, 493)은 캐리어 플레이트(49)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제1 간격이 제1 와이어 수용 시트(451)에 커플링되는 제1 케이블(471A)을 수용하기 위해 제1 및 제2 격벽(490, 491) 사이에 형성되고, 제2 간격이 제2 와이어 수용 시 트(441)에 커플링되는 제2 케이블(471B)을 수용하기 위해 제2 및 제3 격벽(491, 492) 사이에 형성되고, 제3 간격이 제3 와이어 수용 시트(461)에 커플링되는 제3 케이블(471C)을 수용하기 위해 제3 및 제4 격벽(492, 493) 사이에 형성되는, 플러그 내부 프레임.2. The second side surface 43 further comprises a second lower region 423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wer region 423A by the raised portion 422, wherein the ground prong 46 is formed of the first side. Extending away from the side 40, a third wire receiving sheet 461 is formed on the second lower region 423B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prong 46, and the frame body 41 extends therefrom. Further comprising a plate 49, wherein the spaced apart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artitions 490, 491, 492, 493 extend vertically from the carrier plate 49, the first gap being first A second ga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s 490 and 491 to receive the first cable 471A coupled to the wire receiving sheet 451, and a second gap is formed in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441. A third form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partition walls 491 and 492 to receive the second cable 471B coupled, and a third gap coupled to the third wire receiving sheet 461. A plug inner frame form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partitions (492, 493) to receive the cable (471C). 제7항에 있어서, 제2 측면(43)에 커플링되는 캡(48)과의 조합체를 더 포함하고, 캡(48)은 그 본체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고 제1, 제2, 제3 및 제4 격벽(490, 491, 492, 493)의 말단부와 맞닿는 미부편(482)을 포함하는, 플러그 내부 프레임. 8. The apparatus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combination with a cap 48 coupled to the second side 43, wherein the cap 48 extends outwardly from the body and comprises first, second, third and third components. A plug inner frame comprising a tail piece 482 that abuts the distal ends of four partitions 490, 491, 492, and 493. 제8항에 있어서, 캡(48)은 캡(48)의 본체의 일부분을 가로질러 미부편(482)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는 이격된 제1 및 제2 구획 플레이트(483A, 483B)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내부 프레임. 9. The cap 48 further comprises spaced apart first and second partition plates 483A, 483B extending inward from the tailpiece 482 across a portion of the body of the cap 48. , Plug inside the frame. 제9항에 있어서, 캡(49)은 제1 및 제2 구획 플레이트(483A, 483B)로부터 이격되고 캡(48)의 본체의 일부분을 가로질러 미부편(482)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는 제3 구획 플레이트(483C)를 포함하는, 플러그 내부 프레임.The third compartment of claim 9, wherein the cap 49 is spac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 plates 483A, 483B and extends inwardly from the tailpiece 482 across a portion of the body of the cap 48. A plug inner frame comprising a plate 483C. 제10항에 있어서, 제3 구획 플레이트(483C)는 실질적으로 L자형 단면을 갖고 제2 와이어 수용 시트(441)를 수용하는 코너를 형성하는, 플러그 내부 프레임.11. The plug inner frame of claim 10, wherein the third partition plate (483C) has a substantially L-shaped cross section and forms a corner for receiving the second wire receiving sheet (441). 제7항에 있어서, 제2 및 제3 격벽(491, 492)은 사이에 형성되는 돌기(494)를 갖고, 그루브(495)가 돌기(494)에 형성되고, 제1 전도성 플레이트(424)는 그루브(495)에 고정되는 말단부(424C)를 갖는 연장부(424B)를 포함하는, 플러그 내부 프레임.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and third partitions (491, 492) has a projection (494) formed between the groove 495 is formed in the projection (494), the first conductive plate (424) And an extension (424B) having a distal end (424C) secured to the groove (495). 삭제delete
KR1020080057345A 2008-02-19 2008-06-18 Plug inner frame KR10098100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7105827 2008-02-19
TW97105827 2008-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766A KR20090089766A (en) 2009-08-24
KR100981005B1 true KR100981005B1 (en) 2010-09-07

Family

ID=4082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345A KR100981005B1 (en) 2008-02-19 2008-06-18 Plug inner fram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093843B1 (en)
JP (1) JP4611405B2 (en)
KR (1) KR100981005B1 (en)
MY (1) MY149584A (en)
SG (1) SG155106A1 (en)
TW (1) TW200937776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138227A (en) * 2010-04-28 2011-11-01 Gem Terminal Ind Co Ltd Plug internal frame capable of binding riveting wire bundle in short distance and receiving safety fuse
CN102237594B (en) * 2010-04-28 2013-01-02 建通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Internal frame of plug
JP6340029B2 (en) * 2016-04-06 2018-06-06 太平洋精工株式会社 FUSE UNIT AND FUSE UNIT MANUFACTURING METHOD
JP6373893B2 (en) * 2016-04-06 2018-08-15 太平洋精工株式会社 FUSE UNIT AND FUSE UNIT MANUFACTURING METHOD
BR202019016911Y1 (en) * 2019-08-14 2024-03-12 Gridspertise Latam S.A ELECTRICAL CONNECTION BLO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5050A (en) * 1993-09-17 1995-05-23 Hitachi Densen Kako Kk Electric power supply plu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095Y2 (en) * 1974-10-15 1983-05-04 ユウゲンガイシヤ モジセイサクシヨ Adapter Pragny Okel Pin Jack
US4107636A (en) * 1977-05-20 1978-08-15 Jerome Industries Corporation Plug-in adaptor
GB2120023A (en) * 1982-05-07 1983-11-23 Bicc Plc A fused electric connector
ZA873042B (en) * 1987-04-28 1987-10-21
JPH0374069A (en) * 1989-08-11 1991-03-28 Hanai Densen Kk Fuse-attached electric plug
DE4222651C2 (en) * 1992-07-10 1994-11-17 Taller Gmbh Jumper for an electrical contact plug
JPH0729629A (en) * 1993-07-15 1995-01-31 Hitachi Densen Kako Kk Power plug
DE19704437C2 (en) * 1997-02-06 1999-06-10 Neutrik Ag Electrical connector for electrical lines
DE10051348C2 (en) * 2000-07-25 2002-06-13 Taller Gmbh Plug bridge with insertion aid arrangement
DE10062738B4 (en) * 2000-12-15 2010-09-09 Taller Gmbh Hinged lid plugs
CN200994016Y (en) * 2006-11-08 2007-12-19 郑启文 Bayonet type sock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5050A (en) * 1993-09-17 1995-05-23 Hitachi Densen Kako Kk Electric power supply pl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00027A (en) 2009-09-03
EP2093843B1 (en) 2014-02-26
EP2093843A3 (en) 2011-01-26
KR20090089766A (en) 2009-08-24
TW200937776A (en) 2009-09-01
SG155106A1 (en) 2009-09-30
EP2093843A2 (en) 2009-08-26
MY149584A (en) 2013-09-13
TWI370591B (en) 2012-08-11
JP4611405B2 (en) 201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901B1 (en) High speed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stacking structure
KR101680191B1 (en) Connector
EP0899819B1 (en) Solderless mountabl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752076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blade terminals
US7467966B2 (en) Terminal box for electrical connections
KR100981005B1 (en) Plug inner frame
CN111490410A (en) Connector assembly
JP636850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20360033A1 (en) Couplers for single pair connectors
WO2010030631A1 (en) Connector guide
JP20135153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nectors to cables
US11018442B2 (en) Connector having press contact portions separated by partition walls
US6019631A (en) Stack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0963009A1 (en)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r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and a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US5921807A (en) Crimping connector
US9627799B2 (en) Cable connector
KR100993805B1 (en) Joint terminal device
JP4145747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1190913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20135644A1 (en) Terminal strip
EP3605745A1 (en) Connector
CN109586121B (en) Plug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EP1936748B1 (en) A connector and a method of forming it
KR200308173Y1 (en) Housing for flexible wire connector
JP4495416B2 (en) Modular j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