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739B1 - 미용 클립 롯드 - Google Patents

미용 클립 롯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739B1
KR100980739B1 KR1020090031264A KR20090031264A KR100980739B1 KR 100980739 B1 KR100980739 B1 KR 100980739B1 KR 1020090031264 A KR1020090031264 A KR 1020090031264A KR 20090031264 A KR20090031264 A KR 20090031264A KR 100980739 B1 KR100980739 B1 KR 100980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ortion
hair
rod
woun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294A (ko
Inventor
함기형
Original Assignee
함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2042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8073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함기형 filed Critical 함기형
Priority to KR102009003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7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122Means for fastening the hair on the curler bod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 A45D2/10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in the form of spools or bobbi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45D6/14Simple clamps for hair curlers
    • A45D6/145Simple clamps for hair curlers articulated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을 감아 고정하는 롯드 용도 이외에 가열용 롯드에 감겨진 모발을 고정하면서 모발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고, 열기에 의한 두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미용 클립 롯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 클립 롯드는 단면이 반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벌려지거나 닫혀지는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를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 내부에 모발이 감겨진 다른 롯드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원통형의 몸체를 포함한다.
모발, 롯드, 밴드부

Description

미용 클립 롯드{cosmetic clip lo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클립 롯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가 펼쳐진 상태의 미용 클립 롯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표시된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표시된 B-B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다양한 형태의 몸체를 갖는 클립 미용 롯드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수분 방출구들이 형성된 클립 미용 롯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몸체의 내주면에 돌기들이 형성된 클립 미용 롯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미용 클립 롯드가 가열용 롯드에 감겨진 모발을 감싸는 밴드용으로 사용되는 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미용 클립 롯드의 공간 활용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경첩을 갖는 미용 클립 롯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미용 클립 롯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손잡이를 갖는 밍요 클립 롯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몸체
210 : 제1밴드부
220 : 제2밴드부
230 : 연결부
300 : 탄성부재
본 발명은 미용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발을 감아 고정하는데 용도 이외에 가열용 롯드에 감겨진 모발을 고정하면서 모발의 수분 증발을 방지할 수 있는 미용 클립 롯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롯드는 퍼머를 할 때 머리카락의 웨이브를 주기 위해 사용되는 필수적인 퍼머용 기구로서 지금까지도 여러 가지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롯드의 구조는 원통형을 이루는 몸체와, 이 몸체의 양측단부에 각각 원주방향으로 고무줄을 지탱할 수 있는 다수개의 돌기들이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보편적인 롯드는 몸체의 외주면에 모발을 감은 상태에서 모발이 풀리지 않도록 별도의 고무줄을 사용하여 롯드 몸체에 감겨진 모발을 외인딩하는 숙달 된 작업이 요구된다. 또한, 모발에 열을 가하는 과정에서 모발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부직포로 모발을 감싸야 하는데, 부직포로 모발을 감싸는 작업 역시 노련한 미용사만이 가능하고, 부직포가 모발의 수분 증발을 충분히 차단하지 못하고 수분을 흡수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몸체에 열선을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여 모발에 직접 열을 가하는 가열용 롯드가 개발되었으나, 이 가열용 롯드는 몸체에서 발생되는 뜨거운 열기가 두피 쪽으로 제공됨으로써 퍼머를 하는 고객의 두피가 뜨거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부직포가 롯드 몸체에 감겨진 모발을 감싸기는 있지만, 부직포가 퍼머를 하는 고객의 두피쪽으로 가해지는 열기를 차단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고객은 퍼머를 하는 장시간 동안 뜨거운 열기에 의해 두피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열용 롯드의 몸체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외부로 쉽게 방출됨으로써 열효율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퍼머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모발을 감는 고유 기능 이외에 롯드에 감겨진 모발을 고정할 수 있는 밴딩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미용 클립 롯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롯드에 감겨진 모발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미용 클립 롯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발이 감겨진 가열용 롯드의 열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퍼머의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용 클립 롯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용 롯드의 열기가 두피로 제공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미용 클립 롯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롯드에 감겨진 모발을 고정하더라도 모발에 눌림 자국이 형성되지 않는 미용 클립 롯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른 롯드에 감겨진 모발에서 증발되는 수분 손실을 커버링할 수 있는 미용 클립 롯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 클립 롯드는 단면이 반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벌려지거나 닫혀지는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를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 내부에 모발이 감겨진 다른 롯드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원통형의 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가 탄력적으로 벌려지거나 닫혀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는 닫혀졌을때 상기 제1밴드부의 일단과 상기 제2밴드부의 일단 사이로 상기 다른 롯드에 감겨진 모발이 빠져나올 수 있는 슬롯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롯은 상기 제1밴드부의 일단 및 상기 제2밴드부의 일단에 상기 제1밴드부 및 상기 제2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밴드부의 일단 및 상기 제2밴드부의 일단에는 상기 슬롯을 통해 빠져나가는 모발의 꺽임을 최소화하고 눌림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모발이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라운드진 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펼쳐지도록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는 상기 다른 롯드에 감겨진 모발에서 빠져나오는 수분이 머물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되는 돌기들을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클립 롯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가 펼쳐진 상태의 미용 클립 롯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표시된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이고, 도 5는 도 2에 표시된 B-B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클립 롯드(20)는 얇은 두께를 갖는 원통 파이프 형상의 몸체(200)와, 탄성부재(300)를 포함한다.
몸체(200)는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230)를 포함한다.
제1밴드부(210)는 타단에 고정단(211)을 갖고 일단에 제1자유단(212)을 갖으며, 그 단면은 반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밴드부(220)는 제1밴드부(210)와 대칭되게 배치되며, 타단에 고정단(221)을 갖고 일단에는 제2자유단(222)을 갖으며, 그 단면은 반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의 양측면에는 고무밴드(미도시됨)를 걸 수 있는 홈(202)들이 형성된다. 제1밴드부(210)의 고정단(211)과 제2밴드부(220)의 고정단(221)은 연결부(23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연결부(230)는 플렉시블한 연결편으로 이루어지며, 연결부(230)는 몸체(200)의 가장자리 양단에 각각 위치된다. 도 3에서와 같이, 몸체(200)는 모발이 감겨진 다른 롯드(1)를 감쌀 수 있도록 연결부(230)을 중심으로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가 펼쳐진다. 몸체(200)는 탄성부재(300)와 연결부(230) 등이 위치하는 가장자리부분(Z1)과, 그 사이에 위치되는 모발을 감을 수 있는 중앙부분(Z2)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특히 중앙부분(Z2)은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부분(Z2)의 외주면에는 모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미끄럼방지홈(204)들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200)는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가 접혀졌을 때 제1밴드부(210)의 제1자유단(212)과 제2밴드부(220)의 제2자유단(222) 사이로 모발이 빠져나올 수 있는 슬롯(206)을 갖는다. 이 슬롯(206)은 제1밴드부(210)의 제1자유단(212)과 상기 제2밴드부(220)의 제2자유단(222)에 제1밴드부(210) 및 상기 제2밴드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214,224)에 의해 제공된다. 특히, 슬롯(206)에는 모발에 눌림 자국이 발생되지 않도록 모발이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슬롯(206)과 가까운 내주면과 외주면에 내측으로 라운드진 면(226), 외측으로 라운드진 면(216)이 형성된다. 즉,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가 모발이 감겨진 다른 롯드(1)를 감싸게 되는 경우, 모발은 슬롯(206)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면서 제2자유단(222)의 내주면과 제1자유단(212)의 외주면에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2자유단(222)의 내주면과 제1자유단(212)의 외주면을 깎아서(두께가 얇아짐) 모발의 꺾임을 최소화함으로써 모발에 눌림 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였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몸체(200)를 이루는 제1밴드부(210)에는 수분 방출을 위한 수분 방출구(209)들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탄성부재(300)는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에 설치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300)는 몸체의 양단(가장자리부분)에 설치되어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가 연결부(230)를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300)은 양단에 절곡부(310)를 갖으며,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에 형성된 결합홀(218,228)에 끼워진다.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300)가 돌출되지 않도록 수납홈(217,227)이 형성된다. 한편, 제1밴드부(210)의 제1자유단(212)에는 끼움돌기(219)가 형성되고, 제2밴드부(220)의 제2자유단(222)에는 끼 움돌기(219)가 끼워지는 끼움홈(229)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돌기(219)는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가 접혀졌을 때 끼움홈(229)에 끼워지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다양한 형태의 몸체를 갖는 클립 미용 롯드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에서와 같이, 클립 미용 롯드(20a)는 길이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커지는 꼬깔 형태의 몸체(20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꼬깔 형태의 몸체(200a)에는 양단에 서로 다른 크기의 탄성부재(300a)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클립 미용 롯드(10b)는 가장자리부분(Z1)이 중앙부분(Z2)보다 높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몸체(20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몸체(200b)는 중앙부분(Z2)에 감겨진 모발이 가장자리부분(Z2)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미용 클립 롯드는 다음과 같은 밴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미용 클립 롯드가 가열용 롯드에 감겨진 모발을 감싸는 밴드용으로 사용되는 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몸체(200)는 사용자가 제1자유단(212)과 제2자유단(222)에 외측 방향으로 물리력을 가하면(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가 연결부(300)를 축으로 벌어지게 된다.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를 벌린 상태에서 그 내부에 모발이 감겨진 다른 롯드(1)를 위치시킨 후,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에 접힘 방향으로 조그만 힘을 가하면 탄성부 재(300)의 탄성력에 의해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가 원위치되면서 다른 롯드(1)에 감겨진 모발을 고정하면서 모발의 수분증발을 방지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0에서와 같이, 통상의 가열용 롯드(1)를 가지고 모발을 아랫부분부터 감아 올린 후 상태에서 고무밴드를 사용하지 않고 미용 클립 롯드(20)를 사용하여 모발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미용 클립 롯드(20)의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가 모발이 감겨진 가열용 롯드(1)를 덮어 씌우기 때문에 가열용 롯드(1) 전면에 걸쳐 모발을 고정해줄 뿐만 아니라, 고무밴드를 사용하여 모발을 고정하는 부분 고정 방식에 비해 매우 작업이 편리하다. 특히, 미용 클립 롯드(20)가 가열용 롯(1)드에 감겨진 모발을 외측에서 완벽하게 커버링하기 때문에 모발에서 증발되는 수분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특히, 미용 클립 롯드(20)는 가열용 롯드(1)로부터 발생되는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단열)하기 때문에 열 손실을 최소화하여 모발로 충분한 열을 제공(빠른 시간에 퍼머 효능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용 롯드(1)의 열기로 인한 두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도 9에서와 같이, 몸체(200)는 모발에서 빠져나오는 수분이 머물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는 돌기(또는 홈)(205)들이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돌기(205)들은 몸체(200)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돌기(205)들 사이사이에는 모발에 도포되는 퍼머 약품 등도 잔류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미용 클립 롯드(20)는 고유 기능인 롯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제1자유단(212)과 제2자유단(222)이 서로 맞닿도록 제1 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외주면에 모발을 감을 수 있는 롯드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모발은 고무밴드에 의해 고정될 수 도 있으나, 모발이 감겨진 미용 클립 롯드(20)보다 큰 사이즈의 미용 클립 롯드를 밴드용으로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은 미용 클립 롯드의 공간 활용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가열용 롯드(1)에 감겨진 모발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헤어용 집게(2)가 사용된다. 이 집게(2)는 롯드(1)를 감싸는 고정부(3) 뒷쪽으로 손잡이(4)가 돌출되어 있다. 물론, 손잡이(4)는 집게(2)를 집을 때에 편리하다. 하지만, 집게(2)는 손잡이(4)가 차지하는 공간 때문에 서로 밀착해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이웃하는 집게(2)들끼리 손잡이(4)가 걸리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불편하다. 또한, 집게(2)는 가열용 롯드(1) 전체를 감싸지 못하기 때문에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그 옆에 나란히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용 클립 롯드(20)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보다 촘촘한 간격으로 서로 밀착해서 모발이 감겨진 가열용 롯드(1)들을 덮어 씌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용 클립 롯드(20)는 똑같은 공간에서 집게(2)보다 1개 이상 더 많이 가열용 롯드를 덮어씌울 수 있는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경첩을 갖는 미용 클립 롯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용 클립 롯드(20c)는 도 1에 도시된 미용 클립 롯드(20)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 몸체(200c)와 탄성부재(300)를 갖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기에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200c)의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를 연결하는 연결부(230c)가 경첩으로 이루어진다는데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 즉, 연결부(230c)는 제1밴드부(210)에 힌지핀(232)을 갖는 힌지돌기부분(234)을 구비하고, 제2밴드부(220)에 힌지돌기부분(234)이 끼워지는 힌지홈부분(236)을 구비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미용 클립 롯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용 클립 롯드(20d)는 도 1에 도시된 미용 클립 롯드(20)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 몸체(200d)와 탄성부재(300d)를 갖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기에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230d)가 몸체(200d)의 일단에 형성된다는데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의 미용 클립 롯드(20d)는 몸체(200d)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부(230d)를 중심으로 제1밴드부(210d)와 제2밴드부(220d)가 벌어지고 접혀진다는데 그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 도 14b에는 제1밴드부(210d)와 제2밴드부(220d)가 길이방향으로 몸체(200d)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부(230d)를 중심으로 벌어지고 접혀지는 것을 보여준다.
도 15는 손잡이를 갖는 미용 클립 롯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e)는 일단에 제1밴드부(210e)와 제2밴드부(220e)가 경접방식으로 연결되는 연결부(230e)와, 이 연결부(230e)로부터 연장되 어 형성되는 손잡이(240)를 갖는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손잡이(240)를 갖는 미용 클립 롯드에는 코일형상의 탄성부재가 연결부(230e)에 설치된다. 도 15에 도시된 미용 클립 롯드(20e)는 사용자가 손잡이(240)를 잡고 누르면 연결부(230e)를 중심으로 제1밴드부(210e)와 제2밴드부(220e)가 펼쳐지며, 손잡이(24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연결부(230e)에 설치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접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240)가 제공되기 때문에 제1밴드부(210e)와 제2밴드부(220e)를 용이하게 벌릴 수 있으며, 손잡이(240)가 몸체(200e)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240)로 인한 공간 부족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롯드의 고유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가열용 롯드를 덮는 밴드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를 벌리 상태에서 모발이 감겨진 가열용 롯드를 덮어씌우기 때문에 가열용 롯드 전면에 걸쳐 모발을 안정적으로 고정해줄 뿐만 아니라, 고무밴드를 사용하여 모발을 고정하는 부분 고정 방식에 비해 매우 작업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용 롯드에 감겨진 모발을 외측에서 완벽하게 커버링하 기 때문에 모발에서 증발되는 수분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원통형이기 때문에 보다 촘촘한 간격으로 서로 밀착해서 모발이 감겨진 가열용 롯드들을 덮어 씌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똑같은 공간에서 집게보다 더 많이 가열용 롯드를 덮어씌울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발이 빠져나가는 슬롯 부분에 경사면을 두어 모발의 꺽임을 최소화하여 모발에 눌림 자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용 롯드로부터 발생되는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단열)하기 때문에 열 손실을 최소화하여 모발로 충분한 열을 제공(빠른 시간에 퍼머 효능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용 롯드의 열기로 인한 두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다른 롯드에 감겨진 모발에서 증발되는 수분 손실을 커버링하기 위한 미용 클립 롯드에 있어서:
    단면이 반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벌려지거나 닫혀지는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를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 내부에 모발이 감겨진 다른 롯드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원통형의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는
    닫혀졌을때 상기 제1밴드부의 일단과 상기 제2밴드부의 일단 사이로 모발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슬롯이 형성되되;
    상기 슬롯은 상기 제1밴드부의 일단에 상기 제1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클립 롯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가 탄력적으로 벌려지거나 닫혀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클립 롯드.
  3. 삭제
  4. 삭제
  5. 다른 롯드에 감겨진 모발에서 증발되는 수분 손실을 커버링하기 위한 미용 클립 롯드에 있어서:
    단면이 반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벌려지거나 닫혀지는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를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 내부에 모발이 감겨진 다른 롯드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원통형의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는
    닫혀졌을때 상기 제1밴드부의 일단과 상기 제2밴드부의 일단 사이로 모발이 빠져나올 수 있는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은 상기 제1밴드부의 일단 및 상기 제2밴드부의 일단에 상기 제1밴드부 및 상기 제2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클립 롯드.
  6. 다른 롯드에 감겨진 모발에서 증발되는 수분 손실을 커버링하기 위한 미용 클립 롯드에 있어서:
    단면이 반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벌려지거나 닫혀지는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를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 내부에 모발이 감겨진 다른 롯드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원통형의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는
    닫혀졌을때 상기 제1밴드부의 일단과 상기 제2밴드부의 일단 사이로 모발이 빠져나올 수 있는 슬롯이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밴드부의 일단 및 상기 제2밴드부의 일단에는
    상기 슬롯을 통해 빠져나가는 모발의 꺽임을 최소화하고 눌림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모발이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라운드진 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클립 롯드.
  7. 다른 롯드에 감겨진 모발에서 증발되는 수분 손실을 커버링하기 위한 미용 클립 롯드에 있어서:
    단면이 반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벌려지거나 닫혀지는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를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 내부에 모발이 감겨진 다른 롯드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원통형의 몸체; 및
    상기 제1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펼쳐지도록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클립 롯드.
  8. 다른 롯드에 감겨진 모발에서 증발되는 수분 손실을 커버링하기 위한 미용 클립 롯드에 있어서:
    단면이 반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벌려지거나 닫혀지는 제1밴드부와 제2밴드부를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 내부에 모발이 감겨진 다른 롯드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원통형의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는
    상기 다른 롯드에 감겨진 모발에서 빠져나오는 수분이 머물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되는 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클립 롯드.
KR1020090031264A 2009-04-10 2009-04-10 미용 클립 롯드 KR100980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264A KR100980739B1 (ko) 2009-04-10 2009-04-10 미용 클립 롯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264A KR100980739B1 (ko) 2009-04-10 2009-04-10 미용 클립 롯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260A Division KR100916252B1 (ko) 2007-04-26 2008-01-29 미용 클립 롯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294A KR20090083294A (ko) 2009-08-03
KR100980739B1 true KR100980739B1 (ko) 2010-09-08

Family

ID=41204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264A KR100980739B1 (ko) 2009-04-10 2009-04-10 미용 클립 롯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231A (ko) 2022-03-14 2023-09-21 정용교 디지털 펌용 롯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874B1 (ko) * 2012-09-27 2013-04-29 미 옥 한 퍼머 로드
KR102509843B1 (ko) * 2022-08-23 2023-03-14 방서진 헤어의 셋팅 퍼머용 열차단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676U (ko) * 1996-10-29 1998-07-25 구이모 퍼머용 롯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676U (ko) * 1996-10-29 1998-07-25 구이모 퍼머용 롯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231A (ko) 2022-03-14 2023-09-21 정용교 디지털 펌용 롯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294A (ko) 200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3372B2 (en) Heat retaining hair curling system and method of styling
US5626156A (en) Hair styling system
US20120186601A1 (en) Device for assisting with hair styling
KR100980739B1 (ko) 미용 클립 롯드
KR100916252B1 (ko) 미용 클립 롯드
EP3386342A1 (en) Apparatus for curling hair
US8025066B2 (en) Absorbent fabric covered hair clip
US5664588A (en) Curling iron having skin protecting shield
KR100852455B1 (ko) 탄력적 미용 롯드
KR101397279B1 (ko) 퍼머용 롯드 클립
JP2010524627A (ja) 美容クリップロッド
KR101935764B1 (ko) 퍼머 안전 클립
WO2010098545A2 (ko) 파마기
KR200488610Y1 (ko) 헤어로드
KR101456417B1 (ko) 파마 로드
KR100458275B1 (ko) 축열집게 퍼머넌트장치
KR200260222Y1 (ko) 축열집게 퍼머넌트장치
US20080251095A1 (en) Hair curler for Z-shaped texture
US2256819A (en) Hair curler
KR102145869B1 (ko) 웨이브용 헤어클립
US6026826A (en) Device for permanently curling hair
US20230200510A1 (en) Hairstyling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US6622734B1 (en) Hair styling device
US4624270A (en) Hair curler
KR200202764Y1 (ko) 파마용 로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123

Effective date: 20141128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1229

Effective date: 201508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