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208B1 -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 Google Patents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208B1
KR100980208B1 KR1020080063696A KR20080063696A KR100980208B1 KR 100980208 B1 KR100980208 B1 KR 100980208B1 KR 1020080063696 A KR1020080063696 A KR 1020080063696A KR 20080063696 A KR20080063696 A KR 20080063696A KR 100980208 B1 KR100980208 B1 KR 100980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sail
land
mast
yac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742A (ko
Inventor
이상국
Original Assignee
이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국 filed Critical 이상국
Priority to KR1020080063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20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5/00Other sledges; Ice boats or sailing sledges
    • B62B15/001Other sledges; Ice boats or sailing sledges propelled by sails
    • B62B15/004Other sledges; Ice boats or sailing sledges propelled by sails hav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7/00Accessories or details of sledges
    • B62B17/005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7/00Accessories or details of sledges
    • B62B17/08Bra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9/00Runners for carrying wheeled vehicles to facilitate travel on ice or snow
    • B62B19/04Runners for carrying wheeled vehicles to facilitate travel on ice or snow replac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9Wind propelled vessels comprising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ther than wind propulsion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uch as sails, running rigging, or the like, and other than sailboards or the like or related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요트(Yacht)와 카트(Kart)와 윈드서핑(Windsurfing)의 결합 장치로 오직 바람의 힘으로만 물, 모래, 땅, 얼음, 눈 중 어디에서나 움직여서 이동할 수 있는 무동력 장치이므로 친환경적이고, 간편하게 분해조립이 가능함과 승용차로도 운반이 가능하므로 이동과 보관이 간편하며, 조종자의 몸을 고정하는 안전벨트와 주행 중에 발의 부상을 막아주는 발판이 장착되어 있어 갑작스런 돌풍에 의해 전복 되어도 쉽게 탈출할 수 있고, 요트를 배우는 초보자가 혼자서 랜드 요트(landyacht) 장치에 탑승하여 세일링(Sailing)을 연습하기 때문에 쉽고 안전하게 항해기술을 숙달될 때까지 익혀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두 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도 혼자서 팔로만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하며, 돛을 항공 역학을 이용하여 양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 있음은 물론 조종 줄을 사용하여 속도 조절을 하고, 앞바퀴를 조종할 수 있는 핸들장치를 사용하여 손으로도 방향전환을 쉽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두 종류의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빠른 정지와 위기탈출도 가능하고, 여러 대의 랜드 요트 장치를 동시에 연결대를 이용하여 연결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바퀴를 스케이트나 스키(Ski), 튜브(보트)로 교체가 가능하며, 핸들장치가 바퀴로 바로 연결되지 않고 일정한 각도로 꺾여서 바퀴와 연결되므로 자연적으로 중심을 잡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랜드 요트(landyacht), 요트(Yacht), 카트(Kart), 스케이트, 튜브(보트), 연결대, 핸들장치, 안전벨트, 발판, 초보자, 장애자, 친환경, 안전성, 편리성, 윈드서핑(Windsurfing).

Description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Landyacht using a wind}
본 발명은 요트(Yacht)와 카트(Kart)와 윈드서핑(Windsurfing)의 결합 장치로 오직 바람의 힘으로만 물, 모래, 땅 및 얼음 눈 중 어디에서나 움직여서 이동할 수 있는 무동력 장치이므로 친환경적이고, 간편하게 분해조립이 가능함과 승용차로도 운반이 가능하므로 이동과 보관이 간편하며, 조종자의 몸을 고정하는 안전벨트와 주행 중에 발의 부상을 막아주는 발판이 장착되어 있어 갑작스런 돌풍에 의해 전복 되어도 쉽게 탈출할 수 있고, 요트를 배우는 초보자가 혼자서 랜드 요트(landyacht) 장치에 탑승하여 세일링(Sailing)을 연습하기 때문에 쉽고 안전하게 항해기술을 숙달될 때까지 익혀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두 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도 혼자서 팔로만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하며, 돛을 항공 역학을 이용하여 양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 있음은 물론 조종 줄을 사용하여 속도 조절을 하고, 앞바퀴를 조종할 수 있는 핸들장치를 사용하여 손으로도 방향전환을 쉽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두 종류의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빠른 정지와 위기탈출도 가능하고, 여러 대의 랜드 요트 장치를 동시에 연결대를 이용하여 연결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바퀴를 스케이트나 튜브(보트), 스키(Ski)로 교체가 가 능하며, 핸들장치가 바퀴로 바로 연결되지 않고 일정한 각도로 꺾여서 바퀴와 연결되므로 자연적으로 중심을 잡아줄 수 있는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의 카트 장치는 오직 발로만 이용하여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방향전환이 느려 자주 전복이 되고, 위급 상황의 경우에 쉽게 대처를 할 수가 없었다. 돛 또한 단순 바람받이용이기 때문에 속도나 방향전환이 쉽지가 않고 장치가 너무 커서 다루기가 어려웠다. 또한 다양한 부가 장치를 설치할 수가 없고, 운반 및 보관 등에 있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종래의 요트(Yacht)와 윈드서핑(Windsurfing)은 물이라고 하는 한정된 곳에서만 사용이 가능 하고, 일정시간 동안 전문 강사에게 안전교육과 조종방법을 이수하고 나서야 비로소 사용이 가능하고, 접할 기회도 적을 뿐만 아니라 배우기 어렵고 가격 또한 너무 비싸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어려웠으며, 바람받이용 돛의 크기와 무게로 버팀목도 크고 무겁고 어려워 전문가와 동승하여 연습을 해야만 했다.
또한 요트(Yacht)와 윈드서핑(Windsurfing)은 전문교육을 받은 사람만 이용할 수 있고, 동력만을 이용한 엔진카트(Kart)는 일정한 트랙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쉽게 접해볼 수 없어 짜릿한 스릴을 즐기고 싶어하는 많은 사람들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요트(Yacht)와 카트(Kart)와 윈드서핑(Windsurfing)의 결합 장치로 오직 바람의 힘으로만 물, 모래, 땅, 얼음, 눈 중 어디에서나 움직여서 이동할 수 있는 무동력 장치이므로 친환경적이고, 간편하게 분해조립이 가능함과 승용차로도 운반이 가능하므로 이동과 보관이 간편하며, 조종자의 몸을 고정하는 안전벨트와 주행 중에 발의 부상을 막아주는 발판이 장착되어 있어 갑작스런 돌풍에 의해 전복 되어도 쉽게 탈출할 수 있고, 요트를 배우는 초보자가 혼자서 랜드 요트(landyacht) 장치에 탑승하여 세일링(Sailing)을 연습하기 때문에 쉽고 안전하게 항해기술을 숙달될 때까지 익혀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두 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도 혼자서 팔로만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하며, 여러 대의 랜드 요트 장치를 동시에 연결대를 이용하여 연결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바퀴를 스케이트나 스키, 튜브(보트)로 교체가 가능한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요트(Yacht)와 카트(Kart)와 윈드서핑(Windsurfing)의 결합 장치로 오직 바람의 힘으로만 물, 모래, 땅, 얼음, 눈 중 어디에서나 움직여서 이동할 수 있는 무동력 장치이므로 친환경적인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분해조립이 가능함과 승용차로도 운반이 가능하므로 이동과 보관이 간편한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종자의 몸을 고정하는 안전벨트와 주행 중에 발의 부상을 막아주는 발판이 장착되어 있어 갑작스런 돌풍에 의해 전복 되어도 쉽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트를 배우는 초보자가 혼자서 랜드 요트(landyacht) 장치에 탑승하여 세일링(Sailing)을 연습하기 때문에 쉽고 안전하게 항해기술을 숙달될 때까지 익혀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두 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도 혼자서 팔로만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한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돛을 항공 역학을 이용하여 양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 있음은 물론 조종 줄을 사용하여 속도 조절을 하고, 앞바퀴를 조종할 수 있는 핸들장치를 사용하여 손으로도 방향전환을 쉽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두 종류의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빠른 정지와 위기탈출도 가능한 바람을 이용한 랜 드 요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대의 랜드 요트 장치를 동시에 연결대를 이용하여 연결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바퀴를 스케이트나 튜브(보트), 스키(Ski)로 교체가 가능한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핸들장치가 바퀴로 바로 연결되지 않고 일정한 각도로 꺾여서 바퀴와 연결되므로 자연적으로 중심을 잡아줄 수 있는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는 돛대가 돛대 포켓과 연결되어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돛의 암과 연결되어 있는 돛의 암 포켓과 상기 돛의 암 포켓과 연결되어 돛 고정 줄이 연결되어 있는 돛 고정 고리에 결합되고, 상기 돛대 포켓의 중간부분과 하단부분에 복수개의 활대 포켓이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개의 활대 포켓과 돛대에 바람을 받을 수 있는 돛을 돛대 받침대에 삽입후 돛 고정 장치에 고정하고, 활대 고정 끈으로 활대를 고정하고 돛이 펄럭거리지 않게 활대로 지지하게 되어 있는 돛의 부분과; 상기 돛 고정 고리에 연결되어 있는 돛 고정 줄과 돛 조정 줄이 복수개의 도르래에 감아져 연결되어 바람저항의 양을 조종할 수 있고, 상기 돛 조종 줄을 당기어 바람방향에 대해 돛이 직각 쪽으로 오면서 바람의 미는 힘을 받으며 형성된 곡률에 의해 전진하며 속도를 조절하는 조종 줄 부분과; 사람이 몸을 지탱하여 탈수 있는 의자 부분과, 상기 돛대 암과 결합되는 돛대 받침대와 각도를 형성하여 연결되는 옆 지지대와 상기 돛대 받침대와 수평방향을 결합되어 있는 중심차대와 연결된 바퀴 축에 의해 고정되는 복수개의 바퀴와, 방향 전환과 운행을 할 수 있게 조정하는 손 조종대(핸들)와, 발조종대(발핸들)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와, 운행 중에 정지하고자 할 때 정지되게 하는 바퀴 브레이크 및 핸드 브레이크로 구성되는 카트부분;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트부분에 조정자가 운행 중에 발이 미끄러져 발이 땅바닥에 닿을 경우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음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발을 보호할 수 있는 발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돛대 받침대와 돛대 받침 옆 지지대는 바람의 압력이 커지면 힘이 걸리는 돛대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퀴 축을 분리하여 바퀴를 스케이트, 부력을 갖는 튜브(보트), 스키(Ski)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트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대에 다른 카트를 연결하여 다수의 사람이 탈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트부분에 갑작스런 돌풍에 의해 전복되어도 쉽게 탈출할 수 있고 부상을 막아 줄 수 있게 안전벨트장치와 돛대 옆 지지대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가 바퀴로 바로 연결되지 않고 일정한 각도로 꺾여서 바퀴와 연결되므로 자연적으로 중심을 잡아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돛의 재질은 섬유류 또는 섬유류를 포함한 비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돛대와 활대는 바람의 압력에 따라 잘 휘어줘야 하므로 항공용 듀랄미늄, 탄소복합소재, 광섬유 글라스, 탈력이 있는 플라스틱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트에 2인승 장치와, 상기 2인승 장치에 안전발판과 안전벨트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돛대에는 분해시 쉽게 접을 수 있게 힌지(Hinge)로 구성 되어 있는 돛대의 받침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요트(Yacht)와 카트(Kart)와 윈드서핑(Windsurfing)의 결합 장치로 오직 바람의 힘으로만 물, 모래, 땅, 얼음, 눈 중 어디에서나 움직여서 이동할 수 있는 무동력 장치이므로 친환경적이다.
둘째, 본 발명은 간편하게 분해조립이 가능함과 승용차로도 운반이 가능하므로 이동과 보관이 간편하다.
셋째, 본 발명은 조종자의 몸을 고정하는 안전벨트와 주행 중에 발의 부상을 막아주는 발판이 장착되어 있어 갑작스런 돌풍에 의해 전복 되어도 쉽게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요트를 배우는 초보자가 혼자서 랜드 요트(landyacht) 장치에 탑승하여 세일링(Sailing)을 연습하기 때문에 쉽고 안전하게 항해기술을 숙달될 때까지 익혀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두 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도 혼자서 팔로만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하다.
다섯째, 본 발명은 돛을 항공 역학을 이용하여 양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 있음은 물론 조종 줄을 사용하여 속도 조절을 하고, 앞바퀴를 조종할 수 있는 핸들장치를 사용하여 손으로도 방향전환을 쉽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두 종류의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빠른 정지와 위기탈출도 가능하다.
여섯째, 본 발명은 여러 대의 랜드 요트 장치를 동시에 연결대를 이용하여 연결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바퀴를 스케이트나 튜브(보트), 스키(Ski)로 교체가 가능하다.
일곱째, 본 발명은 핸들장치가 바퀴로 바로 연결되지 않고 일정한 각도로 꺾여서 바퀴와 연결되므로 자연적으로 중심을 잡아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 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드 요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드 요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드 요트가 스케이트용과 스키용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드 요트가 튜브(보트)용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드 요트에 적용되는 돛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드 요트가 2인용으로 개조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드 요트를 구성하는 돛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80)는 돛대(2)가 돛대 포켓(3)과 연결되어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돛의 암(9)과 연결되어 있는 돛의 암 포켓(8)과 상기 돛의 암 포켓(8)과 연결되어 돛 고정 줄(13)이 연결되어 있는 돛 고정 고리(12)에 결합되고, 상기 돛의 중간부분과 하단부분에 복수개 의 활대 포켓(4)이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개의 활대 포켓(4)과 돛대(2)에 바람을 받을 수 있는 돛(43)을 돛대 받침대(19)에 삽입후 돛 고정 장치(12)에 고정하고, 활대 고정 끈(7)으로 활대(5)를 고정하고 돛이 펄럭거리지 않게 활대(5)로 지지하게 되어 있는 돛의 부분(43-1)과; 상기 돛 고정 고리(12)에 연결되어 있는 돛 고정 줄(13)과 돛 조정 줄(14)이 복수개의 도르래(44)에 감아져 연결되어 풍압의 양을 조종할 수 있고, 상기 돛 조종 줄(14)을 당기어 바람방향에 대해 돛이 직각 쪽으로 오면서 바람의 미는 힘을 받으며 형성된 곡률에 의해 전진하며 속도를 조절하는 조종 줄 부분과; 사람이 몸을 지탱하여 탈수 있는 의자(35) 부분과, 상기 돛대 암(9)과 결합되는 돛대 받침대 고정장치(19)와 각도를 형성하여 연결되는 옆 지지대(17)와 상기 돛대 받침대 고정장치(19)와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중심차대(16)와 연결된 바퀴 축(33)에 의해 고정되는 복수개의 바퀴(35-1)와, 방향 전환과 운행을 할 수 있게 조정하는 방향조종대(손 핸들)(29)와, 발조종대(발핸들)(45)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와, 운행 중에 정지하고자 할 때 정지되게 하는 바퀴 브레이크(40) 및 핸드 브레이크(42)로 구성되는 카트부분(50); 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인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를 구성하는 기술적 수단들의 구성과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돛의 부분(43-1)은 돛대(2)가 돛대 포켓(3)과 연결되어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돛의 암(9)과 연결되어 있는 돛의 암 포켓(8)과 상기 돛의 암 포켓(8)과 연결되어 돛 고정 줄(13)이 연결되어 있는 돛 고정 고리(12)에 결합되고, 상기 돛대 포켓(3)의 중간부분과 하단부분에 복수개의 활대 포켓(4)이 가로방향으로 연결 되며, 상기 복수개의 활대 포켓(4)과 돛대(2)에 바람을 받을 수 있는 돛(43)을 삽입한 후 활대 고리(6)를 통해 활대 고정 끈(7)으로 고정하고 돛이 펄럭거리지 않게 활대(5)로 지지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돛(sail)(43)은 돛대(2)와 함께 유연성이 있어야 하는데, 이는 돌풍이나, 갑자기 높은 풍압을 받을 경우 전복될 수 있으므로 유연하게 위와 옆으로 바람의 압력을 빼 줘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돛(sail)(43)의 섬유류 또는 섬유류를 포함한 비닐이며, 질긴 것이면 모두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돛대(2)와 활대(5)는 바람의 압력에 따라 잘 휘어줘야 하므로 항공용 듀랄미늄, 탄소복합소재, 광섬유 글라스, 탈력이 있는 플라스틱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결합된 것이다. 또한 돛(sail)(43)에는 활대(5)가 있는데, 이는 양력의 손실 방지와 바람에 대한 받는 양을 일정하게 하기 위함이며, 돛(sail)(43)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으면 조종자가 속도에 대해 예측할 수가 없고 위급한 사항에 대처하기가 어렵다. 돛(sail)(43)의 크기는 여러 종류로 만들며, 바람의 세기와 탑승 무게에 따라 돛(sail)(43)의 면적을 달리하여 사용한다.
상기 조종 줄 부분은 상기 돛 고정 고리(12)에 연결되어 있는 돛 고정 줄(13)과 돛 조정 줄(14)이 복수개의 도르래(44)에 감아져 연결되어 바람저항의 양을 조종할 수 있고, 상기 돛 조종 줄(14)을 당기어 바람방향에 대해 돛이 직각 쪽으로 오면서 바람의 미는 힘을 받으며 형성된 곡률에 의해 전진하며 속도를 조절한다.
상기 카트부분(50)은 사람이 몸을 지탱하여 탈수 있는 의자(35)부분과, 상기 돛대 암(9)과 결합되는 돛대 받침대 고정장치(19)와 각도를 형성하여 연결되는 옆 지지대(17)와 상기 돛대 받침대 고정장치(19)와 수평방향을 결합되어 있는 중심차대(16))와 연결된 바퀴 축(33)에 의해 고정되는 복수개의 바퀴(35-1)와, 방향 전환과 운행을 할 수 있게 조정하는 조향장치에는 방향조종대(손 핸들)(29)와, 운행 중에 정지할 수 있게 조정하는 발조종대(발핸들)(45)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각각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운행 중에 정지하고자 할 때 정지되게 하는 바퀴 브레이크(40) 및 핸드 브레이크(4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카트부분(50)에 조종자가 운행 중에 발이 미끄러져 발이 땅바닥에 닿을 경우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음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발을 보호할 수 있는 발판(38)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카트부분(50)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대(41)에 다른 카트를 연결하여 다수의 사람이 탈 수 있게 하며, 상기 카트부분(50)에 갑작스런 돌풍에 의해 전복되어도 쉽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고 부상을 막아 줄 수 있게 안전벨트장치(37)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돛대 받침대 고정장치(19)와 돛대 받침 옆 지지대(17)는 바람의 압력이 커지면 많은 힘이 걸리는 돛대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핸들장치(29, 45)가 바퀴로 바로 연결되지 않고 일정한 각도로 꺾여서 바퀴와 연결되므로 자연적으로 중심을 잡아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퀴 축(33)을 분리하여 바퀴를 스케이트(60)와 스키(Ski)(60-1) 및 부력을 갖는 튜브(보트)(70)로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카트(Kart)는 운반과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퀴 안전핀(34)을 뽑아내어 분리형과 접이식으로 장치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카트(Kart)는 다양한 부가 장치를 달기 위해 바퀴 축(33) 부분을 분리형으로 하였으며, 상기 바퀴 축(33)을 바퀴 안전핀(34)을 뽑아내어 분리하여 스케이트(도 3에 도시), 스키(Ski), 부력을 갖는 튜브(도 4에 도시)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해안가 등에서 위급하게 부상자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 바퀴 축(33)에 별도의 엔진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카트(Kart)를 바람에 대해 비스듬히 직각으로 놓고 헬멧을 쓰고 카트(Kart)에 앉아 안전벨트장치(37)를 착용하고 손핸들(29)을 잡고 돛 조종줄(14)을 잡는다. 돛(sail)(43)은 바람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세울수록 강한 바람이 미는 힘의 영향으로 전진하게 되는 원리이므로 상기 돛 조종줄(14)을 당기면 바람방향에 대해 돛(sail)(43)이 직각 쪽으로 오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을 이루어 캠버가 형성된다. 따라서 직각으로 다가 오는 돛(sail)(43)은 풍압을 받으며 형성된 곡률에 의해 전진하는 속도가 결정되게 된다.
조종자는 카트(Kart)에 앉은 다음 방향조종대(손 핸들)(29)를 잡고 돛(43)을 조정하는 돛 조종줄(14)을 당겨 바람에 대해 직각을 유지하면 바람의 압력(도면 5)으로 인해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방향을 전환할 때에는 손(방향) 조종대(핸들)(29)를 가고자 하는 방향 으로 돌리면 되는데 본원발명은 앞바퀴의 축(24)이 일정 각도로 만들어져서 방향의 전환이 쉽고 빠른 회전도 가능하며 회복 능력 또한 향상된 것이다. 그러므로 위급한 상황에서 쉽고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공기 역학적으로 설계된 것으로서, 바람을 받으면 곡률(도 5, 캠버)이 형성되고 양력이 발생되어 효율성이 증가된 것이다.
한편,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는 두 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자들도 손으로만 카트(Kart)를 즐길 수 있으며, 2인승은 물론 동시에 여러 대를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단체로도 즐길 수 있는 것이고, 2대 이상의 연결 방법은 카트(Kart)의 앞바퀴를 빼고 다른 카트(Kart)의 뒤쪽 연결대(41)에 꽂으면 되고 맨 앞 카트(Kart)가 조종을 하게 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드 요트가 스케이트용과 스키용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바퀴(35-1)를 분리하고 스케이트(60)와 스키(Ski)(60-1)로 장착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빙판과 눈(설원)에서도 즐길 수 있으며, 조종 방법은 손, 발을 사용하는 랜드 요트의 방법과 같다. 또한 직진성을 높이기 위해 스케이트와 스키(Ski)에 지지대(63)를 설치했고, 각도 조절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드 요트가 튜브(보트)용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바퀴(35-1)를 분리하고 튜브(Hull)(70)를 연결한 것으로서, 뒤쪽 바퀴는 바퀴를 빼고 바로 튜브(Hull)에 장착하면 되고, 앞쪽은 앞 바퀴를 빼고 튜브 연결대(72)를 고정한 다음 튜브(Hull)에 장착하면 된다. 조종성 향상을 위해 가로지르는 조종줄(75)을 뒤 방향타에 걸기만 하면 된다. 조종 방법은 손, 발을 사용하는 랜드 요트의 방법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접하고, 다양한 장소에서 자연의 바람을 즐길 수 있으며, 다양한 부가장치를 장착할 수가 있어 더욱더 다양한 방법으로 쉽고 안전하게 자연과 더불어 즐길 수 있고, 요트에 대한 기본 조종술을 부담 없이 배우고 익힐 수 있으며, 일반 카트(Kart)에 대한 조종술이나 지식 또한 배우고 익힐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은 요트(Yacht)나 카트(Kart)를 접하고 있는 사람도, 요트(Yacht)나 카트(Kart)를 모르는 사람도 안전하고 쉽게 랜드 요트를 타면서 짜릿한 스릴과 쾌감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고,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여 이동과 보관이 편리하기 때문에 어느 장소에서나 가족, 친구, 연인 등이 언제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드 요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드 요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드 요트가 스케이트와 스키(Ski)용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드 요트가 튜브(보트)용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드 요트에 적용되는 돛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드 요트가 2인용으로 개조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랜드 요트를 구성하는 돛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돛대 끝 보호대(cap) 2 : 돛대
3 : 돛대 포켓 4 : 활대 포켓
5 : 활대 6 : 활대 고리
7 : 활대 고정 끈 8 : 돛의 암 포켓
9 : 돛의 암 10 : 돛대 보호벨트
11 : 임시보관주머니 12 : 돛 고정 고리
13 : 돛 고정 줄 14 : 돛 조종 줄
15 : 돛 조종줄 지지대 16 : 중심 차대
17 : 옆 지지대 18 : 발 받침
19 : 돛대받침대 고정장치 20 : 조종자 종아리 보호대
21 : 돛 고정 힌지 22 : 조종대 보호장치
23 : 돛대 옆지지대 고정장치 24 : 차축과 바퀴연결
25 : 앞바퀴 연결보호대 26 : 앞바퀴 연결장치
27 : 차대(카트) 연결 보호대 28 : 차대(카트) 연결장치
29 : 방향 조종대(손 핸들) 30 : 등받이
31 : 등받이 고정장치 32 : 등받이 지지용 볼트
33 : 바퀴축 34 : 바퀴 안전핀
35 : 의자 35-1 : 바퀴
36 : 안전벨트 끈 37 : 안전벨트장치
38 : 발판 39 : 브레이크 손잡이
40 : 바퀴 브레이크 41 : 연결대
42 : 핸드 브레이크 43 : 돛(sail)
44 : 도르래 45 : 발조종대(발핸들)
46 : 브레이크 선 50 : 카트
60 : 스케이트 60-1 : 스키
60-2 : 스키 축 고정구멍 60-3 : 스키 축 고정 장치
61 : 스케이트날 지지 및 보강재
62 : 손 지지용 손잡이 63 : 스케이트 지지대
64 : 스케이트 축 연결장치 65 : 축
66 : 안전벨트 67 : 스케이트 축 지지대
68 : 스케이트 지지대 잠금장치 69 : 아이볼트 및 고정 핀
70 : 튜브(hull) 72 : 튜브연결대
75 : 뒤 방향타 조종 줄 80 : 랜드 요트

Claims (11)

  1.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에 있어서,
    돛대가 돛대 포켓과 연결되어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돛의 암과 연결되어 있는 돛의 암 포켓과 상기 돛의 암 포켓과 연결되어 돛 고정 줄이 연결되어 있는 돛 고정 고리에 결합되고, 상기 돛대 포켓의 중간부분과 하단부분에 복수개의 활대 포켓이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개의 활대 포켓과 돛대에 바람을 받을 수 있는 돛을 고정한 후 돛에 있는 활대 포켓에 활대를 삽입한 다음 활대 고정 끈으로 고정하고 돛이 펄럭거리지 않게 활대로 지지하게 되어 있는 돛의 부분과;
    상기 돛 고정 고리에 연결되어 있는 돛 고정 줄과 돛 조정 줄이 복수개의 도르래에 감아져 연결되어 바람저항의 양을 조종할 수 있고, 상기 돛 조종 줄을 당기어 바람방향에 대해 돛이 직각 쪽으로 오면서 바람의 미는 힘을 받으며 형성된 곡률에 의해 전진하며 속도를 조절하는 조종 줄 부분과;
    사람이 몸을 지탱하여 탈수 있는 의자 부분과, 상기 돛대 암과 결합되는 돛대 받침대와 각도를 형성하여 연결되는 옆 지지대와 상기 돛대 받침대와 수평방향을 결합되어 있는 중심차대와 연결된 바퀴 축에 의해 고정되는 복수개의 바퀴와, 방향 전환과 운행을 할 수 있게 조정하는 손 조종대(핸들)와, 발조종대(발핸들)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와, 운행 중에 정지하고자 할 때 정지되게 하는 바퀴 브레이크 및 핸드 브레이크로 구성되는 카트부분;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부분에 조정자가 운행 중에 발이 미끄러져 발이 땅바닥에 닿을 경우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음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발을 보호할 수 있는 발판(발 받침대)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돛대 받침대와 돛대 받침 옆 지지대는 바람의 압력이 커지면 힘이 걸리는 돛대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축을 분리하여 바퀴를 스케이트, 스키, 부력을 갖는 튜브(보트)중에서 어느 하나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대에 다른 카트를 연결하여 다수의 사람이 탈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부분에 갑작스런 돌풍에 의해 전복되어도 쉽게 탈출할 수 있고 부상을 막아 줄 수 있게 안전벨트장치와 돛대 옆 지지대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가 바퀴로 바로 연결되지 않고 일정한 각도로 꺾여서 바퀴와 연결되므로 자연적으로 중심을 잡아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돛의 재질은 섬유류 또는 섬유류를 포함한 비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돛대와 활대는 바람의 압력에 따라 잘 휘어줘야 하므로 항공용 듀랄미늄, 탄소복합소재, 광섬유 글라스, 탈력이 있는 플라스틱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에 2인승 장치와, 상기 2인승 장치에 안전발판과 안전벨트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돛대에는 분해시 쉽게 접을 수 있게 힌지(Hinge)로 구성되어 있는 돛대의 받침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KR1020080063696A 2008-07-02 2008-07-02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KR100980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696A KR100980208B1 (ko) 2008-07-02 2008-07-02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696A KR100980208B1 (ko) 2008-07-02 2008-07-02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742A KR20100003742A (ko) 2010-01-12
KR100980208B1 true KR100980208B1 (ko) 2010-09-03

Family

ID=4181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696A KR100980208B1 (ko) 2008-07-02 2008-07-02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2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513U (ko) 2015-10-21 2017-05-02 김석칠 조립이 용이한 육상용 세일요트
KR200485913Y1 (ko) 2016-11-28 2018-03-09 김석칠 조립형 육상 요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597B1 (ko) * 2011-04-20 2013-06-03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학습교구용 조립식 풍력자동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157Y1 (en) * 1983-12-20 1985-12-24 Ko Byong Uk A land yacht
US5911427A (en) 1997-06-25 1999-06-15 Lenz, Jr.; Arthur W. Sail and pedal powered vehicle with removable lateral support whee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157Y1 (en) * 1983-12-20 1985-12-24 Ko Byong Uk A land yacht
US5911427A (en) 1997-06-25 1999-06-15 Lenz, Jr.; Arthur W. Sail and pedal powered vehicle with removable lateral support whee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513U (ko) 2015-10-21 2017-05-02 김석칠 조립이 용이한 육상용 세일요트
KR200484028Y1 (ko) * 2015-10-21 2017-07-31 김석칠 조립이 용이한 육상용 세일요트
KR200485913Y1 (ko) 2016-11-28 2018-03-09 김석칠 조립형 육상 요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742A (ko) 2010-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6182A (en) Kiteski
US20180362123A1 (en) Device and system for propelling a passenger
US7690958B2 (en) Personal propulsion device with hands free control
US5845593A (en) Man and wind powered aquatic vehicle
US4332395A (en) Self-propelled landsailer
KR100980208B1 (ko)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CN213347728U (zh) 一种滑板
US7926437B2 (en) Water sports equipment
US6935963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ropelling and carrying a user within a confined interior
KR101862286B1 (ko) 동력 패러글라이더
KR20140144938A (ko) 인력 수중익선
US2950923A (en) Sled
US3042944A (en) Water sport riding device
US9114695B2 (en) Personal propulsion device with hands free control
KR101877800B1 (ko) 동력 패러글라이더용 평형 유지 장치
US20230131147A1 (en) Training device and training seat for kite surfing and method thereof
US1752630A (en) Swimming catamaran
US7114457B1 (en) Wakeboard jump enhancement system
KR20090115633A (ko) 수륙양용자전거
US5924732A (en) In-line skate sail
US20150266573A1 (en) System for Airboarding Behind an Aircraft
US20200277037A1 (en) Aquatic towable device
KR200484028Y1 (ko) 조립이 용이한 육상용 세일요트
US8007337B1 (en) Universal flying hawk
KR200485913Y1 (ko) 조립형 육상 요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