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866B1 -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866B1
KR100979866B1 KR1020090027290A KR20090027290A KR100979866B1 KR 100979866 B1 KR100979866 B1 KR 100979866B1 KR 1020090027290 A KR1020090027290 A KR 1020090027290A KR 20090027290 A KR20090027290 A KR 20090027290A KR 100979866 B1 KR100979866 B1 KR 100979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broadcast
internet
broadcast
broadcast inform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구
최정섭
Original Assignee
웹싱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웹싱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웹싱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7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인터넷 방송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그래픽 개체를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제공받은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기초하여 인터넷 방송의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고, 인터넷 방송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인터넷 방송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터넷 방송 정보의 변경 사항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인터넷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별도의 일정 관리를 수행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인터넷 방송, 메시지, 아이콘, 팝업

Description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Broadcasting}
본 발명은 인터넷 방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방송은 통신과 방송이 결합된 기술로서 기존의 지상파 방송 및 위성 방송과는 달리 대화형 또는 양방향성 서비스가 가능하고, 개인화 서비스 및 채널의 다양화가 가능하며, 보안이나 과금 기능의 강화를 통해 전자상거래 등의 다른 인터넷 산업과의 연계가 용이하여 관련 인터넷 사업의 수익을 촉진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인터넷 방송 기술은 비단 공중파 방송뿐만 아니라 인터넷 기반 전자상거래, 제품 판매촉진 및 기업홍보 등의 동영상 광고, 각종 행사의 실시간 생중계 서비스, 영상과 문자를 병행하는 원격 교육방송 등의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인터넷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전송 방식에 따라 크게 주문형(on-demand) 인터넷 방송 서비스와, 인터넷 생중계 서비스(live broadcasting)로 구분할 수 있다.
주문형 인터넷 방송 서비스는 사용자의 주문에 따라 해당 컨텐츠가 제공되는 서비스로서 개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컨텐츠의 종류, 타입 및 전송 속도 등이 달라질 수 있고, 사용자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반복재생 등의 컨텐츠 조작이 가능하다.
인터넷 생중계 서비스는 푸시 서비스(push service) 모델에 해당하며, 녹화 방송이 아닌 특정 이벤트의 실황중계에 해당하는 서비스이다. 인터넷 생중계 서비스는 동시에 복수의 가입자에게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할 때 사용되며 복수의 가입자에 대한 뉴스 및 홍보 매체 전송 서비스도 이에 해당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터넷 방송 시스템은 복수의 방송 장치 및 서버들을 포함한다. 서버의 경우 실제 배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웹 서버(Web Server)와 스트리밍 전송을 담당하는 스트림 서버(Stream Server)로 구성된다. 또한, 컨텐츠를 생성하고 가공하는 인코더(Encoder)와 생성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장치(Stroage) 등이 포함된다.
주문형 인터넷 방송 서비스의 경우 저장장치에 저장된 컨텐츠가 스트림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사용자가 컨텐츠 공급자(CP: Contents Provider)의 웹 서버에 접속하여 소정 컨텐츠를 요청하면, 웹 서버는 요청된 컨텐츠에 상응하는 스트림 서버를 선택하고 선택된 스트림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주문형 인터넷 방송 서비스 및 인터넷 생중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컨텐츠 제공자의 웹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 목록을 확인한 후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야 한다.
따라서, 컨텐츠 공급자에 의해 제공 가능한 컨텐츠 목록이 갱신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컨텐츠 공급자의 웹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이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인터넷 생중계 서비스를 이용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방송 시간을 직접 확인하여 이를 기억한 후 해당 컨텐츠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방송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은,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와, 제공받은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그래픽 개체를 표시하는 단계와, 제공받은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기초하여 인터넷 방송의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방송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터넷 방송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제공받은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로부터 인터넷 방송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는 인터넷 방송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인터넷 방송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방송 알림 메시지를 팝업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받은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그래픽 개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 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상기 인터넷 방송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표시영역의 소정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공받은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그래픽 개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상기 표시영역의 작업 표시줄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방송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은, 상기 제공받은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인터넷 방송 시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뺀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방송 메시지는 주소 및 세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인터넷 방송 수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접속 시간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미리 설정된 접속 시간이 도래한 경우 인터넷 방송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를 다운로드 하여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은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와, 제공받은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기초하여 인터넷 방송 정보 및 인터넷 방송 시청 예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제공받은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그래픽 개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인터넷 방송 시청이 예약된 경우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방송 시간에 기초하여 인터넷 방송 시간이 도래하면 인터넷 방송 시청을 위한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제공받은 인터넷 방송 정보 메 시지로부터 인터넷 방송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는 인터넷 방송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받은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그래픽 개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상기 인터넷 방송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표시영역의 소정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공받은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그래픽 개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상기 표시영역의 작업 표시줄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 방송 서버로부터 푸시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로부터 인터넷 방송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한 인터넷 방송 정보를 팝업 메시지를 통해 표시하고,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인터넷 방송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모니터의 표시 영역 중 소정 영역에 표시한다. 또한, 인터넷 방송 정보로부터 획득한 인터넷 방송 시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에 인터넷 방송 정보를 표시하는 메시지를 팝업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터넷 방송 정보의 변경 사항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인터넷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별도의 일정 관리를 수행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인터넷 방송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201).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TCP/IP 또는 UDP/IP 기반 네트워크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컴퓨터, PDA 등과 같은 정보처리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는 인터넷 방송 서버로부터 HTTP Push를 통해 제공될 수 있고, 방송 시간, 방송 주제, 방송 채널, 방송 주체 등과 같은 방송 관련 정보 및 멀티캐스트 주소, 세션 아이디, 미디어 타입 등과 같은 방송 수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를 해석하여 인터넷 방송 정보를 추출한 후 이에 기초하여 방송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단계 203), 생성된 방송 알림 메시지를 팝업을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205). 여기서, 화면에 표시되는 방송 알림 메시지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일시, 방송 제목 및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 방송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그래픽 개체(도 3 (b)의 301)를 표시 영역의 소정 위치에 표시한다(단계 207). 여기서, 상기 그래픽 개체는 예를 들어 인터넷 방송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의미하는 아이콘이 될 수 있고 상기 방송 알림 메시지와 연결되어, 상기 아이콘에 포인터가 위치하거나 선택되는 경우 상기 방송 알림 메시지가 팝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의 소정 위치는 마이크로 소프트 윈도우즈를 운영체제로 사용하는 컴퓨터의 경우 작업 표시줄의 시스템 트레이 영역이 될 수 있고, 상기 그래픽 개체는 인터넷 방송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모니터에 항상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 방송 메시지가 수신되면 팝업 메시지를 통해 방송 알림 메시지를 표시한 후 인터넷 방송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시스템 트레이에 등록시킴으로써 상기 아이콘이 항상 모니터의 소정 영역에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된 아이콘을 통해 인터넷 방송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마우스 등과 같은 포인터 장치를 상기 아이콘에 위치시키거나 클릭함으로써 인터넷 방송 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인터넷 방송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시간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고(단계 209), 방송 알림 메시지의 표시시간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방송 정보 및 방송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팝업 메시지를 표시한다(단계 211). 여기서, 상기 표시시간은 수신된 인터넷 방송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방송 시간 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을 뺀 시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시간이 오후 9시이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1분인 경우에는 방송일의 오후 8시 59분에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송 알림 메시지가 팝업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는 방송 시청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여(단계 213), 방송 시청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방송 수신을 위해 인터넷 방송 서버와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단계 215).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인터넷 방송 메시지에 포함된 멀티캐스트 주소, 세션 아이 디 등과 같은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세션 연결을 설정할 수 있고, 인터넷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호화한 후 재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단계 401), 수신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기초하여 방송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단계 403).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는 방송 시간, 방송 주제, 방송 채널, 방송 주체 등과 같은 방송 관련 정보 및 멀티캐스트 주소, 세션 아이디, 미디어 타입 등과 같은 방송 수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는 생성된 방송 알림 메시지 및 인터넷 방송 시청 여부를 예약하기 위한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405).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 방송 예약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고(단계 407), 인터넷 방송 예약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인터넷 방송 시청 예약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409). 여기서, 저장되는 예약 정보는 인터넷 방송 시간 및 인터넷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멀티캐스트 주소, 세션 아이디 등의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방송 알림 메시지와 연결된 그래픽 개체를 표시 영역의 소정 위치에 표시한다(단계 207). 여기서, 상기 방송 알림 메시지와 연결된 그 래픽 개체는 예를 들어 아이콘이 될 수 있고 상기 방송 알림 메시지와 연결되어 항상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아이콘에 포인터가 위치하거나 선택되는 경우 상기 방송 알림 메시지가 팝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의 소정 위치는 마이크로 소프트 윈도우즈를 운영체제로 사용하는 컴퓨터의 경우 작업 표시줄의 시스템 트레이 영역이 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인터넷 방송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 방송 시간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고, 인터넷 방송 시간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인터넷 방송 메시지에 포함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방송의 수신을 위한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폴링(polling) 시간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고(단계 501), 폴링 시간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인터넷 방송 서버에 접속한 후(단계 503), 인터넷 방송 정보를 다운로드한다(단계 505).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 방송 서버에 저장된 인터넷 방송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인터넷 방송 정보와 비교하여 새로운 인터넷 방송 정보만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는 다운로드한 인터넷 방송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단계 507), 생성된 방송 알림 메시지를 팝업을 통해 화면에 표 시한다(단계 509). 여기서, 화면에 표시되는 방송 알림 메시지는 방송 일시, 방송 제목 및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 방송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그래픽 개체를 표시 영역의 소정 위치에 표시한다(단계 511). 여기서, 상기 그래픽 개체는 예를 들어 인터넷 방송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의미하는 아이콘이 될 수 있고 상기 방송 알림 메시지와 연결되어, 상기 아이콘에 포인터가 위치하거나 선택되는 경우 상기 방송 알림 메시지가 팝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의 소정 위치는 마이크로 소프트 윈도우즈를 운영체제로 사용하는 컴퓨터의 경우 작업 표시줄의 시스템 트레이 영역이 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인터넷 방송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방송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시간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고(단계 513), 방송 알림 메시지의 표시시간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인터넷 방송 정보 및 방송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팝업 메시지를 표시한다(단계 515). 여기서, 상기 표시시간은 수신된 인터넷 방송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방송 시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뺀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는 방송 시청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여(단계 517), 방송 시청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방송 수신을 위해 인터넷 방송 서버와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단계 519).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다운로드한 인터넷 방송 정보에 포함된 멀티캐스트 주소, 세션 아이디 등과 같은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세션 연결을 설정할 수 있고, 인터넷 방송 서버와 세션 연결이 설정된 후 인터넷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호화한 후 재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인터넷 방송 서버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인터넷 방송 서버는 예를 들어, 인터넷 방송 정보만을 제공하는 웹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웹 서버와 스트림 파일 서버가 혼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인터넷 방송 서버는 방송될 컨텐츠에 대한 인터넷 방송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601). 여기서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고, 인터넷 방송 서버의 관리자 또는 인터넷 방송 서버에 설정된 특정 모임이나 그룹의 관리자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이후, 인터넷 방송 서버는 획득한 인터넷 방송 정보를 제공할 사용자들의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603). 여기서, 상기 사용자들의 정보는 인터넷 방송 서버의 관리자 또는 인터넷 방송 서버에 설정된 특정 모임이나 그룹의 관리자에 의해 정해질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의 IP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인터넷 방송 서버는 획득한 인터넷 방송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를 생성한다(단계 605).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는 방송 시간, 방송 주제, 방송 채널, 방송 주체 등과 같은 방송 관련 정보 및 멀티캐스트 주소, 세션 아이디, 미디어 타입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방송 수신을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가 생성되면 인터넷 방송 서버는 생성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푸시한다(단계 607). 여기서, 인터넷 방송 서버는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한 번만 푸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푸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 방송 서버는 상기 생성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를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HTTP Push, WAP Push 또는 SIP Push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푸시할 수 있다.
이후, 인터넷 방송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인터넷 방송 시간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여(단계 609), 상기 컨텐츠의 인터넷 방송 시간이 되면 해당 컨텐츠를 방송한다(단계 611).
또한, 도 6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인터넷 방송 서버는 상기 컨텐츠의 인터넷 방송이 종료되면 이에 대응되는 인터넷 방송 정보를 삭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인터넷 방송 서버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Claims (12)

  1. 푸시(Push)를 통해 제공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로부터 인터넷 방송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인터넷 방송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방송 알림 메시지를 팝업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그래픽 개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기초하여 인터넷 방송의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방송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터넷 방송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그래픽 개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상기 인터넷 방송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표시영역의 소정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그래픽 개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상기 표시영역의 작업 표시줄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방송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은,
    상기 제공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인터넷 방송 시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뺀 시간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방송 메시지는
    주소 및 세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인터넷 방송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
  8. 삭제
  9. 푸시(Push)를 통해 제공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로부터 인터넷 방송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인터넷 방송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방송 알림 메시지를 팝업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기초하여 인터넷 방송 정보 및 인터넷 방송 시청 예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그래픽 개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인터넷 방송 시청이 예약된 경우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방송 시간에 기초하여 인터넷 방송 시간이 도래하면 인터넷 방송 시청을 위한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그래픽 개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 메시지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상기 인터넷 방송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표시영역의 소정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
  12. 삭제
KR1020090027290A 2009-03-31 2009-03-31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 KR100979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290A KR100979866B1 (ko) 2009-03-31 2009-03-31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290A KR100979866B1 (ko) 2009-03-31 2009-03-31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9866B1 true KR100979866B1 (ko) 2010-09-02

Family

ID=4300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290A KR100979866B1 (ko) 2009-03-31 2009-03-31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8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759A (ko) * 2003-12-12 2005-06-17 주식회사 휴맥스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방법
KR20060008389A (ko) * 2004-07-22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안내장치 및방법
KR20060105186A (ko) * 2005-04-01 2006-10-11 티유미디어 주식회사 방송프로그램 시작알림 장치 및 방법
KR20070099930A (ko) * 2006-04-06 2007-10-1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작 자동 알림장치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759A (ko) * 2003-12-12 2005-06-17 주식회사 휴맥스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방법
KR20060008389A (ko) * 2004-07-22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안내장치 및방법
KR20060105186A (ko) * 2005-04-01 2006-10-11 티유미디어 주식회사 방송프로그램 시작알림 장치 및 방법
KR20070099930A (ko) * 2006-04-06 2007-10-1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작 자동 알림장치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13700A1 (en) System for Inserting and Responding to Brand-Related Data in Communicated Messages
KR101764286B1 (ko) 소셜 네트워킹 업데이트 내의 미디어 객체의 부분에 대한 링크의 실시간 제공
KR101296295B1 (ko) 커스터마이즈된 채널 정보를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510333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eveloping widgets
US201002630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egnaging interactive web content
WO2008147733A1 (en) Drag-and-drop abstraction
CN102651731A (zh) 一种视频播放方法及其装置
US201901912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Breakpoints and Reference Links into a Media File
US9015179B2 (en) Media content tags
US20100122283A1 (en) Targeted advertising via mobile enhanced reality
US201101669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scheduling on display media
CN104488274A (zh) 加速广告决策解决
US20140123164A1 (en) Managing display of content in a content feed
CN107690080B (zh) 媒体信息的播放方法和装置
KR100924646B1 (ko) Iptv를 이용한 개인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509124A (zh) 用于摄取相同意义的多个信号的方法
JP5722633B2 (ja) 機能のレベルに合ったコンテンツ管理
KR10074428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광고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N104239354A (zh) 影音内容的评价分享与播放方法以及影音分享系统
KR100979866B1 (ko) 인터넷 방송 제공 방법
US20140129633A1 (en) Interaction system and investigation method
WO2012131708A2 (en) Video messaging and mailing service
AU2010100616A4 (en) Remote Content Download
WO2009057149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scheduling on display media
FR2929480A1 (fr) Procede de determination de donnees complementaires relatives a au moins un contenu, procede pour transmettre ces donnees complementaires, dispositif de traitement et serveur d'applications asso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