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881B1 - 신발끈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신발끈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881B1
KR100978881B1 KR1020090081466A KR20090081466A KR100978881B1 KR 100978881 B1 KR100978881 B1 KR 100978881B1 KR 1020090081466 A KR1020090081466 A KR 1020090081466A KR 20090081466 A KR20090081466 A KR 20090081466A KR 100978881 B1 KR100978881 B1 KR 10097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hoelace
hook
driven gear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경
Original Assignee
윤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경 filed Critical 윤상경
Priority to KR1020090081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주에 종동기어부를 가지며, 신발끈이 권선되는 권선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종동기어부에 선택적으로 기어 연결되는 구동기어부를 가지며, 구동기어부가 종동기어부에 연결되는 구속위치와 종동기어부와 분리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덮개유닛; 및 권선부재가 신발끈을 회수하여 조이는 방향으로만 회전 덮개유닛에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덮개부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래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개시된다.
신발끈, 조임, 래치

Description

신발끈 조임장치{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본 발명은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끈의 매듭을 묶거나 풀지 않고도 신발끈을 간편하게 조이거나 풀리도록 하고, 고정시킬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종류의 신발 중에서 착용자의 발에 맞도록 신발을 조여주기 위한 수단으로 신발끈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신발끈은 신발의 발등 및 발복 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서로 꿰어 결속하게 되고, 남은 실발끈은 그 양단을 서로 묶어 매듭을 형성함으로써 결속을 마무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신발끈은, 신발에 신발끈을 결속하여 신발끈을 조일때 매듭을 묶어야 하고, 신발끈을 풀 때에는 매듭을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신발을 벗거나 신을 때, 신발끈의 느슨함을 조절하기 위해서 매번 신발끈을 묶고 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신발끈은 대부분 합성수지사 등으로 제조되므로, 서로 미끄러지는 성질을 갖게 되어 신발끈을 묶은 상태에서 격렬한 운동을 하거나, 장시간 신발을 착용하고 다니면, 신발끈이 풀어지거나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풀리거나 느슨해진 신발끈은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흘러내린 신발끈이 바닥과 접촉되어 끈이 더러워지게 되며, 풀려진 신발끈을 밟게 되면 자칫하여 넘어질 우려도 있으므로 활동중 신발끈이 풀린 상태에서는 신발끈을 바로 조여 매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산악용 등산화 등에 적용되는 신발끈의 경우에는, 풀린 상태로 다니게 되면 풀려진 끈을 자신이 밟거나 나무 가지나 바위틈에 끼이게 되어 넘어지게 되면, 큰 부상이나 인명피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신발을 벗어 놓았다가 신속하게 착용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사람(예를 들어 소방관이나 군부대원)이 비상 상황 발생시에 신속하게 신발을 착용하여야 하는데, 그 신발을 끈으로 묶고 이를 다시 정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비상 상황에 대해 신속하게 처리 및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신발끈의 매듭을 묶거나 풀지 않고도 신발끈을 용이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발끈 조임장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주에 종동기어부를 가지며, 신발끈이 권선되는 권선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종동기어부에 선택적으로 기어 연결되는 구동기어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기어부가 상기 종동기어부에 연결되는 구속위치와 상기 종동기어부와 분리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덮개유닛; 및 상기 권선부재가 신발끈을 회수하여 조이는 방향으로만 상기 회전 덮개유닛에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덮개부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래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플레이트형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권선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권선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후크; 및 상기 회전 덮개유닛의 회전 중심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부 바닥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 덮개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구속위치 및 해제위치 각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제2후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덮개유닛은, 상기 제2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후크 결합되며, 상기 구속위치 및 해제위치 각각에서 상기 제2후크에 의해 지지되도록 외주에 상하 2단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로킹홈을 가지며, 중심에는 나사결합공이 형성된 축부재와; 상기 권선부재를 덮도록 상기 축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권선부재와 마주하는 내측에 상기 구동기어부가 상기 종동기어부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축부재를 함께 회전되도록 체결시키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권선부재와 이격되게 잡아당겨 이동시키면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재를 권선부재와 가까워지도록 밀게 되면 상기 구속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래치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외곽에 위치하며, 일정 간격으로 절개되어 외측 반경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휘어지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 탄성래치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부에 설치되며, 내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 탄성래치와 연결되는 래치홈을 가지는 가동 래치;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동래치는 상기 회전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탄성래치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가동래치의 래치홈은 상기 고정 탄성래치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고정 탄성래치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신발끈 조임장치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기어 연결 및 분리되는 종동기어부 및 구동기어부를 마련하여 신발끈을 강제로 조이고, 조인 상태에서 구속시키거나 자연적으로 풀려지도록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신발끈을 편리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된다.
특히, 종동기어부를 권선부재의 내주에 형성하고, 그 내주에 구동기어부가 배치되어 기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기어 연결을 위해 최소한의 사이즈가 요구되어 전체적인 장치의 사이즈를 줄이고 경량화가 가능하여, 신발에 불편함이 없이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발끈을 감는 권선부재를 구속하기 위해 종동기어부와 구동기어부의 기어 연결 및 분리동작이 용이하므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긴급한 출동이나 자주 신발을 신고 벗어야 하는 직업을 가지는 사람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는, 베이스부재(100)와, 베이스부재(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선부재(200)와, 권선부재(200)를 덮도록 베이스부재(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덮개유닛(300) 및 래치유닛(400)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플레이트형의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에 돌 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권선부재(200)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120)와, 제1후크(130) 및 제2후크(140)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부(120)는 베이스부(110) 상에 대략 원형의 공간을 형성하여 권선부재(200)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권선부재(200)에 대응되는 높이로 원형 띠 형태로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후크(130)는 수용부(12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원주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제1후크(130)에 권선부재(200)의 하부 플랜지부(240)가 탄력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권선부재(200)가 수용부(120)에서 수용된 상태로 이탈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후크(140)는 상기 회전 덮개유닛(300)의 회전중심에 설치되며, 수용부(120)의 권선부재(200)의 중심과는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 제2후크(140)는 후술할 회전 덮개유닛(300)의 축부재(3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그 축부재(310)를 축방향으로 즉, 구속위치 및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제2후크(140)는 베이스부(110)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구속위치는 상기 회전 덮개유닛(300)의 구동기어부(330)가 상기 종동기어부(220)에 기어 연결되게 상기 회전 덮개유닛(300)이 이동된 위치이고, 상기 해제위치는 구동기어부(330)와 종동기어부(220)의 기어 연결이 분리되도록 회전 덮개유닛(300)이 이동되 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구속위치에서는 회전 덮개유닛(300)의 회전에 따라서 권선부재(200)가 함께 연동되어 회전되거나 회전이 구속 되고, 해제위치에서는 회전 덮개부재(300)의 구속 및 회전과는 별개로 권선부재(200)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권선부재(200)는 수용부(1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에 신발끈(10)이 권선되며 중공을 가지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내주 즉, 중공 내주면에 형성되는 종동기어부(220) 및 몸체(210)의 외주에 상하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플랜지부(230,240)를 가진다. 상기 몸체(210)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중심의 중공 내주에 상기 종동기어부(2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210)의 외주에 두 가닥의 신발끈(10)이 권선되며, 권선된 신발끈(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플랜지부(230,240)가 몸체(210)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플랜지부(240)는 상기 제1후크(130)에 걸려서 지지 된다.
상기 회전 덮개유닛(300)은 축부재(310)와, 회전부재(320)와, 구동기어부(330)와, 체결나사(340)를 구비한다.
상기 축부재(310)는 회전 중심에 설치되며, 상기 제2후크(140)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구속위치 및 해제위치 각각에서 제2후크(14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하 2단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로킹홈(311,312)를 가진다. 상기 제2로킹홈(312)의 내측 하단이 상기 제2후크(140)의 형상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형상이므로, 상기 제2후크(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 역할을 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후크(140)가 제1로킹홈(311)에 결합된 상태가 구속위치이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후크(140)가 제2로킹홈(312)에 결 합된 위치가 해제위치에 해당된다. 상기 축부재(310)의 중심에는 나사 결합공(313)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320)는 권선부재(200)를 덮도록 상기 축부재(310)에 결합되며, 권선부재(200)에 마주하는 내측에 구동기어부(33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재(320)는 원반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는 체결나사(340)가 결합되는 결합공(321)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부재(320)의 외측 둘레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릴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322)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기어부(330)는 회전부재(320)의 권선부재(200)와 마주하는 내측의 중앙에 설치되며, 회전부재(3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구동기어부(330)는 상기 종동기어부(220)보다 작은 수의 기어이를 가지며, 권선부재(200)의 내측에 위치하여 종동기어부(220)와 기어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체결나사(340)는 회전부재(320)의 결합공(321)과 상기 축부재(310)의 나사 결합공(313)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회전부재(320)와 축부재(310)가 동축적으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성의 회전 덮개부재(300)는 축부재(310)가 제2후크(140)에 결합된 상태로 도 8과 같은 구속위치와 도 9와 같은 해제위치 각각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며, 구속위치 및 해제위치 각각에서 회전 가능하나, 구속위치에서만 종동기어부(220)와 기어 연결되어 권선부재(200)에 신발끈(10)이 감기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며, 반대방향(신발끈이 풀리는 방향)으로는 래치유닛(400)에 의해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회전 덮개부재(300)는 도 9와 같은 해제위치에서는 종동기어 부(220)와 구동기어부(330)의 기어 연결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권선부재(200)는 외력에 의해 쉽게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으므로, 강하게 권선되어 있던 신발끈(10)이 느슨하게 풀려질 수 있다.
상기 래치유닛(400)은 베이스부재(110)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 탄성래치(410)와, 상기 회전부재(320)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탄성래치(410)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고정 탄성래치(410)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가동 래치(420)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탄성래치(410)는 회전부재(32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원호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용부(120)보다는 큰 반경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고정 탄성부재(410)는 하단의 일부분은 베이스부재(110)에 일체로 고정되며, 하단의 다른 일부분은 베이스부재(110)에서 분리되어 탄성을 가지며, 반경 방향 외측으로 휘어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가동 래치(420)에 걸리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가동래치(420)는 회전부재(320)의 외주부에 설치되며, 내주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래치홈(421)을 가진다. 상기 래치홈(421)은 고정 탄성래치(410)의 탄성단부(411)가 상보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회전부재(320)의 A 방향으로의 회전은 억제시키고, B 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게 된다. 상기 탄성단부(411)가 외측 방향 즉, 가동래치(420)의 내주측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가동래치(420)의 래치홈(421)에 항상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 탄성래치(410)가 가동래치(420)의 내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오 랜시간 사용시 고정탄성래치(410)가 외측으로 너무 벌어지거나, 과도하게 탄성변형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일정한 탄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회전 덮개유닛(300)의 A 방향으로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잡아주어 신발끈(1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제품을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가동래치(420)는 회전부재(320)에 별도로 결합될 수도 있고, 회전부재(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수용부(120)와 상기 고정 탄성래치(410)의 하부 각각에는 신발끈(10)이 통과하는 통과공들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권선부재(200)에서 신발끈이 외부로 풀려나오거나, 권선부재(200)에 감기도록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는, 신발끈(10)을 조이고자 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덮개부재(300)를 화살표 방향을 눌러서 구속위치로 위치시킨다. 그러면 구동기어부(330)와 종동기어부(220)가 기어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부재(320)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기어부(330)와 종동기어부(220)의 연동에 의해서 권선부재(200)가 회전되면서 신발끈(10)을 회수하면서 감게 된다. 이와 같이 권선부재(200)에서 신발끈(10)을 회수하도록 함으로써 신발에 연결된 신발끈(10)을 조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하는 만큼 신발끈(10)이 조여진 후에는 회전부재(320)의 회전을 멈추고 그대로 놔두게 되면, 구동기어부(330)에 의해 종동기어부(220)가 구속된 상태에서, 회전부재(320)는 래치유닛(400)에 의해 A 방향 즉, 권선부재(200)에서 신발끈(10) 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신발끈(10)이 조여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신발끈(10)을 느슨하게 하거나 풀기 위해서는, 도 8의 상태에서 회전부재(320)를 손으로 잡고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회전 덮개유닛(3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0)에서 이격되어 해제위치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는 구동기어부(330)와 종동기어부(220)의 기어 연결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권선부재(200)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며, 따라서 팽팽하게 조여져 있던 신발끈(10)의 팽팽한 상태가 자연스럽게 느슨하게 되면서 권선부재(200)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신발끈(10)을 회전 덮개유닛(300)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쉽게 풀 수 있게 되고, 쉽게 조일 수 있게 됨으로써, 신발을 신속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경우에는, 종동기어부(220)를 권선부재(200)의 내주에 형성시키고, 구동기어부(330)를 권선부재(200)의 내주 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기어 연결시킴으로써, 기어 연결을 위해 필요한 사이즈를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장치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신발끈 조임장치는, 일반인이 착용하는 신발은 물론, 등산화, 군화 등에 적용시 신발끈을 조이고 푸는 동작이 간단하므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110)에 형성된 후크부재(130,140)는 베이스부재(110) 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별도의 제품으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부(330)와 종동기어부(220)는 그 기어비가 1 : 1 이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1 : 1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기어부(330)와 종동기어부(220)의 기어비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신발끈을 조이는 힘을 조절하거나, 조이는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동기어부(330)와 종동기어부(220)의 기어비는 다양한 실시예에 가능하며, 어느 한 기어비가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도 10, 도 11, 도 12,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부(330')와 종동기어부(220')의 기어비를 1:1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동기어부(330')와 종동기어부(220')는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수용부(120)의 내벽에 후크(130')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단에 형성되어 권선부재의 상부 테두리를 결합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신발끈 조임장치의 경우에도, 앞서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 조임장치와 그 사용방법이 동일하며, 다만 회전 덮개유닛(30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에 따라서 신발끈이 조여지는 속도가 다른 점에 차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신발끈 조임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상태에서 일부분을 절개하여 보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베이스부재의 저면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발끈 조임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Ⅰ-Ⅰ선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로서 회전 덮개유닛의 구속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7의 Ⅱ-Ⅱ선 단면도로서 회전 덮개유닛의 해제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신발끈 100..베이스부재
110..베이스부 120..수용부
130..제1후크 140..제2후크
200..권선부재 220,220'..종동기어부
300..회전 덮개유닛 310..축부재
320..회전부재 330,330'..구동기어부
400..래치유닛 410..고정 탄성래치
420..가동래치

Claims (6)

  1.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주에 종동기어부를 가지며, 신발끈이 권선되는 권선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종동기어부에 선택적으로 기어 연결되는 구동기어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기어부가 상기 종동기어부에 연결되는 구속위치와 상기 종동기어부와 분리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덮개유닛; 및
    상기 권선부재가 신발끈을 회수하여 조이는 방향으로만 상기 회전 덮개유닛에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덮개부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래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플레이트형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권선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권선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후크; 및
    상기 회전 덮개유닛의 회전 중심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부 바닥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 덮개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구속위치 및 해제위치 각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제2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덮개유닛은,
    상기 제2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후크 결합되며, 상기 구속위치 및 해제위치 각각에서 상기 제2후크에 의해 지지되도록 외주에 상하 2단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로킹홈을 가지며, 중심에는 나사결합공이 형성된 축부재와;
    상기 권선부재를 덮도록 상기 축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권선부재와 마주하는 내측에 상기 구동기어부가 상기 종동기어부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축부재를 함께 회전되도록 체결시키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권선부재와 이격되게 잡아당겨 이동시키면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재를 권선부재와 가까워지도록 밀게 되면 상기 구속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외곽에 위치하며, 일정 간격으로 절개되어 외측 반경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휘어지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 탄성래치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부에 설치되며, 내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 탄성래치와 연결되는 래치홈을 가지는 가동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래치는 상기 회전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탄성래치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가동래치의 래치홈은 상기 고정 탄성래치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고정 탄성래치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KR1020090081466A 2009-08-31 2009-08-31 신발끈 조임장치 KR10097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466A KR100978881B1 (ko) 2009-08-31 2009-08-31 신발끈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466A KR100978881B1 (ko) 2009-08-31 2009-08-31 신발끈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881B1 true KR100978881B1 (ko) 2010-08-30

Family

ID=4276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466A KR100978881B1 (ko) 2009-08-31 2009-08-31 신발끈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8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623Y1 (ko) 2010-06-23 2013-01-10 친-추 첸 신발끈 묶음장치
WO2015163594A1 (ko) * 2014-04-24 2015-10-29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KR101954028B1 (ko) * 2018-08-29 2019-03-04 이승길 관절 보조 장치
KR20210037194A (ko) * 2019-09-27 2021-04-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도확보체를 구비한 헤드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CN114502031A (zh) * 2019-10-10 2022-05-13 彪马欧洲股份公司 带张紧元件的旋转闭合器
IT202000029228A1 (it) * 2020-12-01 2022-06-01 10 Ottobre S R L Dispositivo di chiusura a roto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2286B1 (en) 1998-04-01 2003-01-07 Markus Dubberke Device for immobilizing the ends shoe laces
KR200400568Y1 (ko) 2005-06-27 2005-11-08 주식회사 신경화학 신발끈 조임장치
US7076843B2 (en) * 2003-10-21 2006-07-18 Toshiki Sakabayashi Shoestring tying apparatus
US7367522B2 (en) * 2005-10-14 2008-05-06 Chin Chu Chen String fasten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2286B1 (en) 1998-04-01 2003-01-07 Markus Dubberke Device for immobilizing the ends shoe laces
US7076843B2 (en) * 2003-10-21 2006-07-18 Toshiki Sakabayashi Shoestring tying apparatus
KR200400568Y1 (ko) 2005-06-27 2005-11-08 주식회사 신경화학 신발끈 조임장치
US7367522B2 (en) * 2005-10-14 2008-05-06 Chin Chu Chen String fastening devic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623Y1 (ko) 2010-06-23 2013-01-10 친-추 첸 신발끈 묶음장치
WO2015163594A1 (ko) * 2014-04-24 2015-10-29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CN106231946A (zh) * 2014-04-24 2016-12-14 新景株式会社 线材夹紧装置
US10039345B2 (en) 2014-04-24 2018-08-07 Shin Kyung Inc. Wire tightening apparatus
KR101954028B1 (ko) * 2018-08-29 2019-03-04 이승길 관절 보조 장치
KR20210037194A (ko) * 2019-09-27 2021-04-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도확보체를 구비한 헤드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KR102293567B1 (ko) * 2019-09-27 2021-08-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도확보체를 구비한 헤드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
CN114502031A (zh) * 2019-10-10 2022-05-13 彪马欧洲股份公司 带张紧元件的旋转闭合器
CN114502031B (zh) * 2019-10-10 2024-01-30 彪马欧洲股份公司 带张紧元件的旋转闭合器
IT202000029228A1 (it) * 2020-12-01 2022-06-01 10 Ottobre S R L Dispositivo di chiusura a rotore
WO2022118353A1 (en) * 2020-12-01 2022-06-09 10 Ottobre S.R.L. Closing device with ro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881B1 (ko) 신발끈 조임장치
KR102128867B1 (ko)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US11903451B2 (en) Reel based closure system
DK202000005Y4 (da) Integrerede lukkeindretningskomponenter og fremgangsmåder
KR101249420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053551B1 (ko) 신발끈 조임장치
JP2020097491A (ja) 紐破損張力補償装置及び方法
JP5388383B2 (ja) 非対称構造の滑車を用いた靴紐掛け具
CN105982392B (zh) 绳索调整扣具
CN109068808A (zh) 用于鞋类的机动化张紧系统的传动装置
JP2017513679A (ja) ワイヤー締付装置
KR20130040141A (ko)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KR20100111031A (ko) 신발끈 조임장치
CN201360619Y (zh) 鞋带锁紧器
CN208403438U (zh) 系带装置及其控制组件
KR20150087519A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도록 하는 신발의 개조방법
KR101572647B1 (ko) 잠금커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
JP7140811B2 (ja) ダイヤルタイプのワイヤー締付装置
KR100841233B1 (ko) 스노우 보드용 바인딩
KR101563525B1 (ko) 신발끈 조임 구조체
KR20170055454A (ko)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KR200356806Y1 (ko) 인라인스케이트의 끈조절구
KR200328262Y1 (ko) 회전링을 갖는 신발끈 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