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712B1 - call process method for packet data service, and base station subsyste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call process method for packet data service, and base station subsystem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712B1
KR100978712B1 KR1020040002961A KR20040002961A KR100978712B1 KR 100978712 B1 KR100978712 B1 KR 100978712B1 KR 1020040002961 A KR1020040002961 A KR 1020040002961A KR 20040002961 A KR20040002961 A KR 20040002961A KR 100978712 B1 KR100978712 B1 KR 100978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ss
paging
base station
pdsn
packe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75473A (en
Inventor
이한설
Original Assignee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2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712B1/en
Publication of KR20050075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4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7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도먼트 상태(dormant state)인 이동단말에 대해 페이징(paging)을 실패했을 때 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기지국 서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이 이동단말로 송신될 패킷을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기지국 서브시스템이 이동단말의 재활성화를 위해 주기적으로 페이징(paging)하는 단계와, 기지국 서브시스템에서 페이징의 실패 회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페이징이 소정 회수만큼 실패하는 경우에, 기지국 서브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와의 호 자원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차를 통해 호 자원의 낭비를 절약해주기 위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cessing a call when a paging fails for a mobile terminal which is a dormant state in a communication system, particularly in a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packet data service, and a base station subsystem therefor. Receiving a packet to be transmitted to a mobile station from a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the base station subsystem periodically paging for reactivation of the mobile station; Calculating a number of failures of paging in the base station subsystem, and if the paging fail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releasing call resources with the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in the base station subsystem. It is an invention to save waste of resources.

패킷 데이터 서비스, 도먼트 상태(dormant state), 페이징(paging), 호 해제(call release)      Packet data service, dormant state, paging, call release

Description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기지국 서브시스템 {call process method for packet data service, and base station subsystem for the same}      Call processing method for packet data service and base station subsystem for it {call process method for packet data service, and base station subsystem for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서의 호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processing procedure in a packet data ser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서의 호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processing procedure in a packet data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도먼트 상태(dormant state)인 이동단말에 대해 페이징(paging)을 실패했을 때 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기지국 서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cessing a call when paging fails for a mobile terminal that is a dormant state in a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packet data service and a base station subsystem therefor. It is about.

이동단말과 기지국 서브시스템(Base station Sub-system ; 이하, BSS 라 약칭함)간에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설정이 완료된 후에 이동단말과 BSS간에 일정시간동안 패킷의 송수신이 없으면, BSS는 무선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해당 이동단말을 도먼트 상태(dormant state)로 만들고 무선자원을 회수한다. After the setting for packet data service betwe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subsystem (hereinafter abbreviated as BSS) is completed, if there is no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packets for a predetermined time betwe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BSS, the BSS is effective For use, the mobile terminal is put into a dormant state and radio resources are recovered.                         

한편 도먼트 상태인 이동단말로부터 특정 패킷 전송의 요구가 있거나, 이동단말로 송신할 패킷이 네트워크측(데이터 소스)으로부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acket data serving node ; 이하, PDSN 이라 약칭함)를 통해 수신되면 BSS는 재활성화 절차를 통해 이동단말을 다시 활성 상태(Active state)로 만든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a specific packet from a mobile station which is in a dormant state, or a packe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station is received from a network side (data source) through a packet data serving n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DSN). When the BSS reactivates the mobile station, the BSS makes the mobile station active again.

이러한 재활성화 절차에서 페이징(Paging)이 수행되며, 그 페이징을 통해 BSS가 이동단말에게 전달할 패킷이 있음을 알린다.Paging is performed in this reactivation procedure, and the paging informs the mobile station that there is a packet to be delivered to the mobile sta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서의 호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processing procedure in a packet data ser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이동단말과 기지국 서브시스템(Base station Sub-system ; 이하, BSS 라 약칭함)간에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설정이 완료되면, 이동단말은 활성 상태가 된다(S1).Referring to FIG. 1, when setting for packet data service is completed between a mobile station and a base station sub-system (hereinafter abbreviated as BSS), the mobile station is activated (S1).

그러나 상기한 서비스 설정 이후에 이동단말과 BSS간에 일정시간동안 패킷의 송수신이 없으면, BSS는 이동단말을 도먼트 상태(dormant state)로 만들고 BSS와 이동단말간의 무선자원을 회수한다.However, if there is no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BSS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ervice setting, the BSS puts the mobile terminal into a dormant state and recovers radio resources between the BSS and the mobile terminal.

즉,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설정이 완료된 후에 이동단말로부터 BSS로의 패킷 송신이 일정시간동안 없는 경우나, 이동단말로 송신될 패킷이 일정시간동안 PDSN으로부터 BSS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BSS는 해당 이동단말을 활성 상태에서 도먼트 상태로 전환시키고 그 이동단말에게 할당했던 무선자원을 회수한다(S2,S3).That is, when there is no packet transmission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BSS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etting for the packet data service is completed, or when a packe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is not received from the PDSN to the BS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BSS is moved. The terminal is switched from the active state to the doping state and the radio resources allocated to the mobile station are recovered (S2 and S3).

한편 이동단말은 비정상적인 도먼트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먼트 상태였던 이동단말은 BSS에 알리지 않고 전원 오프(Power off)되거나 서비스 불 가능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갑자기 사용자가 이동단말의 배터리를 제거시키거나, 통화 불가능한 지하로 들어가는 경우이다. 이 때 BSS는 이동단말을 계속 도먼트 상태로 인식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rminal may be in an abnormal doping state. In other words, the mobile terminal that was in the dormant state may be powered off or out of service without notifying the BSS. For example, a user suddenly removes a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or enters a basement where communication is impossible. At this time, the BSS continues to recognize the mobile terminal as a doping state.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BSS는 도먼트 상태의 이동단말에게 송신할 패킷이 PDSN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수신되면(S4), BSS는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재활성화를 시도한다.Despite this situation, when the BSS continuously receives a packe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station in the dormant state from the PDSN (S4), the BSS attempts to reactivate the mobile station.

이러한 재활성화를 위해 BSS는 해당 이동단말에게 페이징(Paging)을 수행한다(S5). 여기서 BSS에서 이동단말로의 페이징은 PDSN으로부터 패킷이 수신될 때마다 수행한다.For this reactivation, the BSS performs paging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S5). Paging from the BSS to the mobile station is performed whenever a packet is received from the PDSN.

그런데 BSS는 페이징에 대한 이동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없어도 PDSN으로부터 패킷이 계속 수신되면, 그 패킷 수신에 따라 페이징을 계속 수행한다.However, even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mobile terminal to paging, if the packet is continuously received from the PDSN, the BSS continues paging according to the packet reception.

이러한 재활성화를 위한 페이징은 이동단말이 얼라이브(Alive)될 때까지 계속된다(S6). 즉, 이동단말이 전원 온(Power on)되거나 서비스 가능한 상태가 될 때까지 계속된다. 물론 PDSN으로부터 패킷이 계속 수신됨에 따라 지속된다. 물론 이동단말이 얼라이브(Alive)되면, BSS는 이동단말에게 다시 무선자원을 할당한다(S7). Paging for this reactivation continues until the mobile terminal is alive (S6). That is, it continues until the mobile terminal is powered on or serviceable. Of course, it continues as packets continue to be received from the PDSN. Of course, if the mobile terminal is Alive, the BSS allocates radio resources to the mobile terminal again (S7).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BSS의 페이징에 대해 이동단말이 응답할 수 없는 상황에 있는 경우에도, BSS는 계속해서 PDSN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또한 이동단말로의 페이징을 수행한다. As described above, even in the situation where the mobile station cannot respond to paging of the BSS, the BSS continuously receives the packet from the PDSN and performs paging to the mobile station.

그에 따라 PDSN과 BSS 간에는 패킷 송수신을 위해 할당되었던 자원을 그대로 점유한 상태가 되며, 반면에 이동단말은 도먼트 상태 또는 전원 오프(Power off)되거나 서비스 불가능 상태가 계속 유지되므로, BSS와 이동단말 간에는 무선자원이 회수된 상태가 지속된다. As a result, the PDSN and the BSS occupy the resources allocated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packets, while the mobile station remains in the dormant state, power off, or out of service state. The radio resources are recovered.

결국 PDSN과 BSS 간의 상태와 BSS와 이동단말 간의 상태가 불일치될 뿐만 아니라 도먼트 상태의 이동단말이 다시 활성 상태가 될 때까지 PDSN과 BSS 간의 호 자원이 계속 유지되었으므로, PDSN과 BSS 간 호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As a result, the status of the PDSN and BSS is not only inconsistent between the status of the PDSN and the BSS, but also the call resources between the PDSN and the BSS are maintained until the mobile station in the dormant state becomes active again. There was a problem of wasting.

물론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태 불일치된 경우에 PDSN과 BSS 간 호 자원을 해제하기 위한 비활성화 타이머(Inactivity timer)가 PDSN에 존재하지만 이는 PDSN으로 유입되는 패킷의 유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므로 PDSN으로 유입되는 패킷이 그 비활성화 타이머의 동작 주기보다 짧은 주기인 경우에는 별 실효성이 없다.Of course, in the prior art, an inactivity timer for releasing call resources between the PDSN and the BSS exists in the PDSN in the case of a state mismatch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is i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cket flowing into the PDSN. If the packet is shorter than the period of operation of the deactivation timer, it is ineffectiv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도먼트 상태의 이동단말에 대한 페이징을 실패했을 때, PDSN와 BSS 간에 할당되어 있던 호 자원을 해제하는데 적당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when the paging of the mobile station in the dormant state fails, call processing for packet data service suitable for releasing the call resources allocated between the PDSN and the BSS. To provide a meth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은 도먼트 상태의 이동단말에 대한 재활성화를 실시하는 동안에, 주기적인 페이징의 실패 회수를 산출하는 카운터(Counter)와, 상기 페이징의 실패 회수가 미리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와의 호 자원을 해제하는 제 어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운터와 상기 제어기가 구비된 패킷 제어기(packet control function)를 포함하거나, 상기 카운터와 상기 제어기가 구비된 기지국 제어기(BTS controller)를 포함한다.The base station subsystem (B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unter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failures of periodic paging during reactivation of the mobile station in the dormant state, and the paging; And a controller for releasing a call resource with the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when the number of times of failure exceeds a preset number of times. More preferably, the apparatus includes a packet control function having the counter and the controller, or a BTS controller having the counter and the controll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방법의 특징은,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이 이동단말로 송신될 패킷을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서브시스템이 상기 이동단말의 재활성화를 위해 주기적으로 페이징(paging)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서브시스템에서 상기 페이징의 실패 회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징이 소정 회수만큼 실패하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 서브시스템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와의 호 자원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이다.A feature of a call processing method for a packet data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by a base station subsystem (BSS), a packet to be transmitted to a mobile terminal from a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Periodically paging by the base station subsystem for reactiv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alculating a number of failures of the paging in the base station subsystem, and when the paging fail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Releasing a call resource with the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at the base station subsystem.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단말은 도먼트 상태(dormant state)이다. 또는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기지국 서브시스템에 알리지 않고 전원 오프(Power off)된 상태이거나 서비스 불가능 상태이다.Preferably, the mobile terminal is in a dormant state. Or the mobile station is powered off or out of service without notifying the base station sub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call processing method for a packet data service and a base station subsystem (BSS) theref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BSS는 도먼트 상태의 이동단말에게 송신할 패킷이 PDSN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수신되면, BSS는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재활성화를 시도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SS continuously receives a packe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station in the dormant state from the PDSN, the BSS attempts to reactivate the mobile station.                     

이러한 재활성화를 위해 BSS는 해당 이동단말에게 페이징(Paging)을 수행한다. 여기서 BSS에서 이동단말로의 페이징 주기는 PDSN으로부터의 패킷 수신 주기에 따른다.For this reactivation, the BSS performs paging on the mobile station. The paging period from the BSS to the mobile terminal depends on the packet reception period from the PDSN.

한편, BSS는 도먼트 상태의 이동단말에 대한 재활성화를 실시하는 동안에, 즉 주기적으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동안에, 페이징에 대해 이동단말의 응답이 없는 경우를 페이징 실패로 간주한다.On the other hand, the BSS considers a case in which there is no response of the mobile terminal to paging during reactiv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dormant state, that is, periodically during paging, as a paging failure.

BSS는 상기와 같이 페이징 실패가 소정 회수만큼 지속되면, 자신과 PDSN 간에 할당되어 있던 호 자원을 회수한다. 이를 위해 BSS는 이동단말로의 페이징 실패 회수를 산출하는 카운터(Counter)를 구비하며, 또한 그 카운터에 의해 산출된 페이징의 실패 회수가 미리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BSS와 PDSN 간에 할당된 호 자원을 해제하는 제어기(Controller)를 구비한다.As described above, if the paging failure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BSS recovers the call resources allocated between the BSS and the PDSN. To this end, the BSS includes a counter that calculates the number of paging failures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all resource allocated between the BSS and the PDSN when the number of failures of paging calculated by the counter exceeds a preset number. It has a controller to release the (Controller).

BSS는 중계기(BTS : Base transceiver station)와 기지국 제어기(BSC : BTS Controller)와 패킷 제어기(PCF : Packet control function)를 포함한다.The BSS includes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a BTS controller (BSC) and a packet control function (PCF).

따라서, 상기한 카운터와 제어기는 상기한 BSS의 구성 요소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거나, 그 BSS의 구성 요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다.Therefore, the counter and the controller are provided in any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BSS, or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BSS.

하나의 예를 들면, 상기한 카운터와 제어기는 기지국 제어기(BSC)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단말로의 페이징 실패가 소정 회수만큼 지속되면, 기지국 제어기(BSC)는 자신과 PDSN간에 할당된 유선 자원(PDSN으로부터 주기적인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 할당된 자원)을 해제시킨다.For example, the counter and the controller are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BSC), if the paging failure to the mobile terminal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base station controller (BSC) is a wired resource (BRC) allocated between itself and the PDSN ( Release resources allocated to receive periodic packets from the PDS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서의 호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 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processing procedure in a packet data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이동단말과 BSS 간에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설정이 완료되면, 이동단말은 활성 상태가 된다.Referring to FIG. 2, when setting for packet data service is completed betwe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BSS, the mobile station is activated.

그러나 상기한 서비스 설정 이후에 이동단말과 BSS 간에 일정시간동안 패킷의 송수신이 없으면, BSS는 이동단말을 도먼트 상태(dormant state)로 만들고 BSS와 이동단말간의 무선자원을 회수한다(S10).However, if there is no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BSS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ervice setting, the BSS puts the mobile terminal into a dormant state and recovers radio resources between the BSS and the mobile terminal (S10).

즉,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설정이 완료된 후에 이동단말로부터 BSS로의 패킷 송신이 일정시간동안 없는 경우나, 이동단말로 송신될 패킷이 일정시간동안 PDSN으로부터 BSS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BSS는 해당 이동단말을 활성 상태에서 도먼트 상태로 전환시키고 그 이동단말에게 할당했던 무선자원을 회수한다.That is, when there is no packet transmission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BSS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etting for the packet data service is completed, or when a packe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is not received from the PDSN to the BS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BSS is moved. The terminal is switched from the active state to the doping state and the radio resources allocated to the mobile station are recovered.

한편 이동단말은 비정상적인 도먼트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먼트 상태였던 이동단말은 BSS에 알리지 않고 전원 오프(Power off)되거나 서비스 불가능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갑자기 사용자가 이동단말의 배터리를 제거시키거나, 통화 불가능한 지하로 들어가는 경우이다. 이 때 BSS는 이동단말을 계속 도먼트 상태로 인식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rminal may be in an abnormal doping state. In other words, the mobile terminal, which was in the dormant state, may be powered off or out of service without notifying the BSS. For example, when a user suddenly removes a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or enters a basement where communication is impossible. At this time, the BSS continues to recognize the mobile terminal as a doping state.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동단말이 도먼트 상태라고 인식하고 있는 BSS는 그 이동단말에게 송신할 패킷이 PDSN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수신되면(S20), BSS는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재활성화를 시도한다.Nevertheless, if the BSS recognizes that the mobile station is in a dormant state, when a packe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station is continuously received from the PDSN (S20), the BSS attempts to reactivate the mobile station.

이러한 재활성화를 위해 BSS는 해당 이동단말에게 페이징(Paging)을 수행한다(S30). 여기서 BSS에서 이동단말로의 페이징 주기는 PDSN으로부터의 패킷 수신 주기에 따른다.For this reactivation, the BSS performs paging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S30). The paging period from the BSS to the mobile terminal depends on the packet reception period from the PDSN.

BSS는 페이징에 대한 이동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없는 경우를 페이징 실패로 간주하고, 페이징 실패 이후에 주기적으로 페이징을 계속한다.The BSS considers a case in which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mobile terminal to paging as a paging failure, and continues paging periodically after the paging failure.

그러나 본 발명에서 페이징 회수는 BSS에 구비된 카운터와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즉 BSS의 카운터는 페이징의 실패 회수를 산출하고, 제어기는 그 페이징의 실패 회수가 소정 회수(N)를 초과하면(S50), BSS와 PDSN 간에 할당되어 있던 유선자원을 회수한다(S70).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paging is controlled by the counter and the controller provided in the BSS. That is, the counter of the BSS calculates the number of failures of paging, and when the number of failures of the paging exceeds the predetermined number N (S50), the controller recovers the wired resources allocated between the BSS and the PDSN (S70).

한편, 본 발명에서 재활성화를 위한 페이징은 이동단말이 전원 온(Power on)되거나 서비스 가능한 상태가 될 때까지 계속되지 않고, BSS와 PDSN 간에 할당되어 있던 유선자원을 회수될 때까지만 수행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paging for reactivation is not continued until the mobile station is powered on or in a serviceable state, and is only performed until the wired resources allocated between the BSS and the PDSN are recovered.

즉 본 발명에서는 BSS의 페이징에 대해 소정 회수만큼 이동단말의 응답이 없는 경우에, BSS는 PDSN과의 유선자원을 해제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no response of the mobile station to the paging of the BSS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BSS releases the wired resource with the PDSN.

결국 PDSN과 BSS 간에는 패킷 송수신을 위해 할당되었던 자원을 해제한 상태가 되며, 또한 BSS와 이동단말 간에도 무선자원이 회수된 상태가 지속된다. As a result, resources allocated for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released between the PDSN and the BSS, and radio resources are recovered between the BSS and the mobile st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PDSN과 BSS 간의 상태와 BSS와 이동단말 간의 상태를 일치시켜준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tches the state between the PDSN and the BSS and the state between the BSS and the mobile terminal.

반면에 재활성화를 위한 페이징을 통해 이동단말이 얼라이브(Alive)되면, BSS는 이동단말에게 다시 무선자원을 할당한다(S60).On the other hand, if the mobile terminal is alive through paging for reactivation, the BSS allocates radio resources to the mobile terminal again (S60).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행해진 구체적인 실시 양태 또는 실시 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체적 실시 예에 한정해서 협의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된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Specific embodiments or embodiments mad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for clarity of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by consultation,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aims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BSS에 알리지 않고 이동단말 전원 오프(Power off)되거나 서비스 불가능 상태가 되는 비정상적인 도먼트 상태일 때, PDSN과 BSS 간의 호 자원을 적절히 해제해주기 때문에 PDSN과 BSS 간 호 자원의 낭비를 없앨 수 있다. 즉 유/무선 자원을 보다더 원활히 활용토록 해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DSN and the BSS between the PDSS and the BSS because the call resources between the PDSN and the BSS is properly released when the mobile station is powered off or in an unserviceable state without notifying the BSS. Eliminate the waste of resources. That is, it makes the use of wired and wireless resources more smoothly.

또한 PDSN과 BSS 간의 상태와 BSS와 이동단말 간의 상태를 일치시켜주기 때문에 시스템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준다.It also keeps the system more stable because it matches the state between PDSN and BSS and the state between BSS and mobile terminal.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6)

도먼트 상태의 이동단말에 대한 재활성화를 실시하는 동안에, 주기적인 페이징의 실패 회수를 산출하는 카운터와;A count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failures of periodic paging while reactivating the mobile station in the dormant state; 상기 페이징의 실패 회수가 미리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와의 호 자원을 해제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서브시스템.And a controller for releasing a call resource with a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when the number of failures of paging exceeds a preset number of tim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와 상기 제어기가 구비된 기지국 제어기(base transceiver station controller : BTS controll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2. The base station subsystem of claim 1, comprising a base transceiver station controller (BTS controller) equipped with the counter and the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와 상기 제어기가 구비된 패킷 제어기(packet control func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2. The base station subsystem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 packet control function equipped with said counter and said controller.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이 이동단말로 송신될 패킷을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Receiving, by the base station subsystem (BSS), a packet to be transmitted to a mobile terminal from a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상기 기지국 서브시스템이 상기 이동단말의 재활성화를 위해 주기적으로 페이징(paging)하는 단계와;Periodically paging by the base station subsystem for reactivation of the mobile station; 상기 기지국 서브시스템에서 상기 페이징의 실패 회수를 산출하는 단계와;Calculating the number of failures of the paging in the base station subsystem; 상기 페이징이 소정 회수만큼 실패하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 서브시스템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와의 호 자원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방법.If the paging fail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releasing a call resource with the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in the base station sub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도먼트 상태(dormant st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dormant sta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기지국 서브시스템에 알리지 않고 전원 오프(Power off)된 상태이거나 서비스 불가능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bile station is powered off or out of service without notifying the base station subsystem.
KR1020040002961A 2004-01-15 2004-01-15 call process method for packet data service, and base station subsystem for the same KR1009787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961A KR100978712B1 (en) 2004-01-15 2004-01-15 call process method for packet data service, and base station subsyste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961A KR100978712B1 (en) 2004-01-15 2004-01-15 call process method for packet data service, and base station subsystem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473A KR20050075473A (en) 2005-07-21
KR100978712B1 true KR100978712B1 (en) 2010-08-30

Family

ID=3726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961A KR100978712B1 (en) 2004-01-15 2004-01-15 call process method for packet data service, and base station subsystem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71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978B1 (en) 1998-06-18 2000-09-01 이계철 Group paging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KR20020058615A (en) * 2000-12-30 200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source Management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978B1 (en) 1998-06-18 2000-09-01 이계철 Group paging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KR20020058615A (en) * 2000-12-30 200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source Management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473A (en) 200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5035B2 (en) Methods for paging optimization
JP52657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reception of call / broadcast paging message by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built-in power supply
JP4800397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improving discontinuous reception function
EP17861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by controlling listening period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ower-saving modes
JP49026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discontinuous reception fun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1832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ply-controlled discontinuous reception
TWI397337B (en) Method of connection re-establishment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CA2727732C (e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for enabling wireless presence-based services
CN109983822B (en) DRX timer runn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4960427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improving discontinuous reception function
CN107295612B (en) Power saving mode control method and device
EP2050291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im discontinuous reception/transmission
BRPI0709251B1 (en) METHOD FOR DATA TRANSFER WITH A MOBILE STATION WHILE IN DISCONTINUOUS RECEPTION STATUS AND METHOD IN A CURRENT SERVER CELL OF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SERVING A WIRELESS DEVICE
KR20130105454A (en) Application processor wake-up suppression
EP2957135B1 (en) Method and network node for se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idle mode
US20160242228A1 (en) RRC Status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Device
CN109429308B (en)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terminal device, network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0978712B1 (en) call process method for packet data service, and base station subsystem for the same
CN113348692A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detecting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CN114424625B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undesired access restriction mitigation
CA2504690C (en) Method of optimizing data communication devices' auto-on function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