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000B1 - Flooring flooring material for vertical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Flooring flooring material for vertical constr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8000B1 KR100978000B1 KR1020070041324A KR20070041324A KR100978000B1 KR 100978000 B1 KR100978000 B1 KR 100978000B1 KR 1020070041324 A KR1020070041324 A KR 1020070041324A KR 20070041324 A KR20070041324 A KR 20070041324A KR 100978000 B1 KR100978000 B1 KR 1009780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orboard
- protrusion
- construction
- horizontal
- floo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3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094 fiberbo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DSHMPZPIAZGSV-UHFFFAOYSA-N mel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NC(N)=N1 JDSHMPZPIAZG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1 hot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2 lacqu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5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rotat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around an axis which i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possibly combined with a sliding mov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 continuous tongue or groov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7—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connected by tongues and grooves, the centerline of the connection being inclined to the top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루판재는 인접 마루판재의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수직 시공이 가능하도록 체결수단 수평 길이와 대비하여 매우 짧은 돌출부 수평길이를 가지며, 수평 팽창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마루판재 두께와 대비하여 매우 높은 걸림턱 높이를 가지는 구성이며, 이로 인하여 종래 수평 및/또는 회전 이동 시공 과정에서 지적되었던 시공 비효율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복원성을 가지는 발포성 핫멜트점착제가 적용된 마루판재 시공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직 시공이 가능한 마루판재는 마루 하면에 접착과 동시에 결착이 가능하므로 매우 효율적으로 시공을 완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Floorboard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short projection horizontal length compared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astening means to enable vertical construction in the longitudinal and / or width direction of the adjacent floorboards, floorboard thickness to prevent the departure by horizontal expansion In contrast to the configuration having a very high locking jaw height, this can solve the problem of construction inefficiency pointed out in the conventional horizontal and / or rotational movement construction process.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the construction of the floorboard material to which the foamable hot melt adhesive with resilience is applied, the floorboard material capable of vertica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very efficiently since it can be simultaneously bonded to the floor surface. will be.
수직 시공, 마루판재 Vertical construction, floorboard
Description
도 1은 종래 마루판재 길이 (또는 폭) 방향 측부 단면 확대도,1 is a side cross-sectional enlarged view of a conventional floorboard length (or width) direction;
도 2 및 도 3은 종래 마루판재 길이 (또는 폭) 방향 체결 예시도들,2 and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fastening of floorboard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시공 가능한 마루판재 길이 (또는 폭) 방향 측부 단면 확대도,Figure 4 is an enlarged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or plate length (or width) direction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시공 가능한 마루판재 길이 (또는 폭)방향 체결 예시도이며,Figure 5 and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vertical (length) or widthwise fastening of floorboa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루판재 체결 완성도를 보이는 도면이다.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floorboard fastening complete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100' 200, 200' : 마루판재, 120 : 로킹수단, 130: 체결수단,100, 100 '200, 200': floorboard, 120: locking means, 130: fastening means,
121, 221: 돌출부, 122, 222 : 홈부, 133, 250 : 돌기부, 251 : 리세스121, 221: protrusion, 122, 222: groove, 133, 250: protrusion, 251: recess
134, 234 : 걸림턱, E : 돌출부 수평길이, L : 체결수단 수평길이134, 234: locking jaw, E: horizontal length of protrusion, L: horizontal length of fastening means
본 발명은 바닥마감용 마루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접 마루판재와의 수직 방향에 의한 유연한 결착시공이 가능하여 시공 작업성이 개선된 온돌마루 시공용 개량 마루판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ing flooring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oved flooring material for ondol floor construction, which enables flexible binding constru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an adjacent flooring material, thereby improving construction workability.
철(凸)형상의 돌출부(tongue) 및 요(凹)형상의 홈(groove)를 사전에 측방(에지, edge)에 형성시켜 조립 시공할 수 있는 마루판재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루판재는 접착제에 의해 하부 마루바닥에 부착되거나 하부 마루바닥을 체결수단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부착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설치될 수 있었다. 이들 마루판재는 래커 등의 표면층 또는 라미네이트(laminate)로 구성하는 경우가 일반적인 경우이다. 본 발명자에 의해 개시된 한국특허등록 제394968호(온돌용을 포함하는 바닥마감용 마루판재)에 의하면, 단위원판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바닥마감용 마루판재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일측단에 측삽입부와 다른 일측단에 측수용부가 형성되고; 폭방향의 일끝단에 끝단삽입부와 다른 일끝단에 끝단수용부가 형성되며; 이면에 합성고무계 핫멜트 점착제가 도포되며, 이 점착체 위에 이형지를 부착하여 형성되어; 시공시 상기 측삽입부를 선 시공된 인접 마루판재에 형성된 상기 측수용부에 결합함과 동시에 일끝단에 구비된 상기 끝단돌출부가 선 시공된 인접 마감판재에 구비된 상기 끝단요홈부에 결합되며, 또한 이면에 부착된 핫멜트 점착제가 동시에 바닥면과 접착되는 온돌용을 포함하는 바닥마감용 마루판재가 개시된다. BACKGROUND ART Floorboard materials which can be formed by assembling iron protrusions and grooves in a side (edge) in advance are commonly used. Such a floorboard material can be install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hile easy to install while solving the problem of being attached to the bottom floor by an adhesive or fixed by fixing the bottom floor with a fastening means or the like. These floorboard materials are generally composed of surface layers such as lacquers or laminates. Accord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394968 (floor finishing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ondol)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ors, in the floor finishing flooring material manufactured by using a unit disc, the side insertion portion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ide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ther side; An end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ther end; Synthetic rubber-based hot melt adhesive is applied to the back side, and is formed by attaching a release paper on the adhesive; When the construction is coupled to the side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adjacent floorboard material pre-installed at the same time, the end projection provided at one end is coupled to the end recess groove provided in the adjacent finishing plate material pre-constructed Disclosed is a floor finishing floorboard comprising an ondol for which a hot melt adhesive adhered to a back surface is simultaneously bonded to a bottom surface.
또한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1-101827호(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보드형상 마루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바닥재)에 의하면, 주로 정4각형, 4각형 또는 장능형상을 가진 마루판으로 이루어진 바닥재 (flooring material)로서, 마루판재는 에지, 수평방향 하부면 및 수평방향 상부장식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루판은 2개의 인접에지에 하부연결립(lip)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잔여에지는 상부연결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하부연결립은 가장 인접한 에지에 평행으로 배치된 주로 수직방향 하부립면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립면은 상부연결립에 배치된 주로 수직방향 상부립면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따라, 2개의 연결인접마루판은 수평방향으로 함께 로킹된다. 또한, 연결립은 주로 수평방향 로킹면으로 구성되므로 2개의 연결인접마루판간의 수직방향운동을 제한하는 리세스(recess)와 스냅연결되도록 된 1개 또는 여러 개의 힐(heels)로 구성되는 바닥재를 개시하고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101827 (floor material consisting of board-like flooring components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it is mainly a flooring material consisting of floorboards having a regular quadrilateral, a quadrilateral, or a versatile shape, The floorboard material is composed of an edge, a horizontal bottom surface and a horizontal top decoration surface, the floorboard is composed of a lower connecting lip (lip) on two adjacent ed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remaining edges are composed of an upper connecting lip Doing. On the other hand, the lower connecting lip consists of a mainly vertical lower lip face disposed parallel to the nearest edge, and the lower lip face is configured to interact with the mainly vertical upper lip face disposed on the upper connecting lip and thus two connecting adjacencies. The floorboards are locked toge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lip mainly consists of a horizontal locking surface, it discloses a flooring composed of one or several heels that are snap-connected with a recess that restricts the vertical movement between two connecting adjacent floor plates. Doing.
상기 인용문헌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인접 마루판재와의 결착은 수평방향 체결수단 및 수직방향 로킹수단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수단들에 의한 결착을 시공하기 위하여는 회전 및/또는 수평시공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종래 마루판재의 통상적인 구성을 설명하면서, 이러한 종래 문제점, 특히 시공성 향상을 위하여 본 발명이 개시하고자 하는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A common feature of the above cited references is that binding with adjacent floorboards consists of horizontal fastening means and vertical locking means, and it is found that rotation and / or horizontal construction is inevitable in order to establish the binding by these means. Can be.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ability, while explaining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floorboard material.
도 1은 일반적인 마루판재 단면을 확대한 것이며, 특히 마루판재 두 대향 측부의 구성을 확대한 것이다. 마루판재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일 수 있으나, 통상은 길이가 1m 이며, 폭은 10cm 정도의 직사각형으로 두께는 0.5cm 내지 1.5cm 인 직사각형 형상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방향을 정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길이방향이라 함은 길이를 따라 연장된 방향으로 정의되며, 폭방향이라 함은 길이 보다 짧은 폭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마루판재는 바탕판이 되는 합판, 원목, 고밀도섬유판(High density Fiber board) 또는 삭편판(Particle board)위에 무늬목, HPM 또는 LPM을 부착시킨 원판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열적물성을 고려하여 온돌용으로 적합하도록 복원성이 개선된 발포성 합성고무계 또는 발포성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점착제를 마루판재의 이면에 부착시키고 그 위에 접착성능을 유지를 위한 이형지가 부착되어 판매되기도 한다. 도 1은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의 두 대향 측부(에지)의 구성을 확대한 것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상의 마루판재(100)는 체결수단 (130)을 구비하는 로킹수단 (120)이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의 측부를 따라 연장되어 구성된다. 로킹수단은 돌출부 (121) 및 이와 상보되는 형상의 홈부(122)로 구현되며, 이들은 인접한 선 시공된 마루판재 (100')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시공되어 (도 2 참조) 결착되거나, 마루바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시공되어 (도 3 참조), 돌출부 (121)는 인접 마루판재 홈부(122)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로킹되며, 이에 따라 체결수단(130)은 서로를 꽉 조이는 체결요소들, 즉 돌기부 및 걸림턱 (133, 134)에 의해 스냅식으로 결착되어 수평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체결된다. 이때, 경사방향 시공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전 이동에 의해 두 마루판재들이 서로 삽입하는 것이며, 이러한 회전 이동이 원활하도록 돌출부 (121) 일단은 만곡부로 형성되기도 한다. 돌출부(121)가 홈부(122) 상측벽(123) 및 하측벽(124)에 안착되어 상측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충분히 지지하기 위하여 돌출부(121) 수평 길이는 체결 수단 수평 길이 정도로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돌출부가 가져야 하는 일정한 수평 길이로 인하여 실제로 인접 마루판재와의 시공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즉,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마루판재를 인접 마루판재와 결착 시공하려고 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경사(회전)시공 및/또는 수평 시공만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길이방향 측부를 인접 마루판재와 체결한 후, 폭방향 측부를 타 인접 마루판재와 체결하는 경우 길이방향 측부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폭방향 측부는 수평 시공만이 가능하며, 이때 수평적으로 체결된다는 것은 돌출부 및 홈부를 개략적으로 위치 조정한 후 반대편에서 일정한 도구를 이용하여 반대편 측부를 타격함으로써 성립되는 것이므로, 시공에 상당한 불편함이 따르게 되며, 이로 인한 시공 효율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돌 마루판재는 바닥 하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는 소재이나, 특히 팽창에 의해 마루판재들간의 수평 이탈이 발생하여 마루판재들간의 유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유격 발생은 종래 마루판재 체결수단이 연약한데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1 is an enlarged cross section of a general floorboard, and in particular, an enlarged configuration of two opposite sides of the floorboard. The floorboard material may be rectangular or square or any other shape, but usually has a length of 1 m, a width of about 10 cm, and a rectangular shape of 0.5 cm to 1.5 cm in thickness. Theref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direction, the length direction is defined as the direction extending along the length, and the width direction may be understood as the direction extending along the width shorter than the length. The floorboard material is manufactured using the original board with the veneer, HPM or LPM attached on the plywood, solid wood, high density fiber board or particle board, and is suitable for ondol in consideration of thermal properties. A foamed synthetic rubber-based or foamed polypropylene-based hot melt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improved resilience may b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loorboard material, and a release paper for maintaining adhesive performance may be attached thereto. 1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of two opposite sides (edg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 or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1, a
따라서, 본 발명자는 기본 바닥판재 및 인접 바닥판재의 결합 시공시 원활한 체결이 가능하며, 체결된 마루판재들간 수평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측부 구조 변형을 시도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can smoothly fasten when combining the base flooring material and the adjacent flooring material, and as a result of attempting various side structural modifications to prevent horizontal deviation between the fastened floorboard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시공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 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탕판이 되는 합판, 원목, 고밀도섬유판(High density Fiber board) 또는 삭편판(Particle board)위에 무늬목, HPM 또는 LPM을 부착시킨 원판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선택적으로는 열적물성을 고려하여 온돌용으로 적합하도록 복원성이 개선된 발포성 합성고무계 또는 발포성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점착제를 마루판재의 이면에 부착시키고 그 위에 접착성능을 유지를 위한 이형지가 부착되되,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 측부의 체결수단 수평 길이가 돌출부 및 홈부 수평 길이의 10 배 이상으로 구성되고, 마루판재와 마루판재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 측부 체결에 있어서 수직 시공이 가능하며, 체결수단 요소의 수직 걸림턱 높이를 마루판재 두께의 약 1/2로 디자인하여, 수평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고, 시공성과 부분적 보수 및 재시공의 용이성을 부여하는 바닥마감용 마루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veneer on the plywood, wood, high density fiber board (High density Fiber board) or cut plate (Particle board), A foamed synthetic rubber-based or foamed polypropylene-based hot melt adhesive prepared by using an HPM or LPM-attached disk, and optionally with improved thermal stability, suitable for ondol,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loorboard and Release paper is attached to maintain the adhesive performance, the horizontal means of the fastening mea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 or the width direction side is composed of 10 times or more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portion, and the floorboard and floorboard longitudinal direction and / or width direction Vertical construction is possible in the side fastening, and the height of the vertical locking jaw of the fastening means element is about 1/2 of the thickness of the floorboard material. It is designed to provide a floorboard for floor finishing that prevents the sepa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mparts workability, partial repair and ease of rework.
본 발명은 합판, 원목, 고밀도섬유판 또는 삭편판을 바탕판으로 하며, 이 바탕판의 상하부에 무늬목, 고압멜라민적층판(HPM) 또는 저압멜라민적층판(LPM)을 냉 또는 열프레싱 가공을 통해 일체구조로 제조되는 원판을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제단하여 형성하는 단위원판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바닥마감용 마루판재에 있어서,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 일측부에 돌출부와 타측부에 홈부를 가지며, 마루판재와 마루판재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 측부 체결에 있어서 수직 시공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 측부의 체결수단 수평 길이가 돌출부 (또는 홈부) 수평 길이 의 10 배 이상으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10-15배 이상으로 설정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plywood, solid wood, high-density fiberboard or cut plate,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ase plate, the veneer, high pressure melamine laminated board (HPM) or low pressure melamine laminated board (LPM) through cold or hot pressing processing as an integral structure In a floor finishing floorboard material manufactured by using a unit disk formed by cutting a disk to be produc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the floor board member having a projection and the other side groov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 or width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means of the fastening means of the longitudinal and / or the widthwise side are 10 times or more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rotrusion (or the groove) so that vertical construction is possible in the longitudinal and / or widthwise side fastening of the floorboard material. Is set to 10-15 times or more.
또한 본 발명은 체결된 마루판재들 팽창에 의한 수평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수단 요소의 수직 걸림턱 높이를 마루판재 두께의 약 1/2, 바람직하게는 1/2-1/3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th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locking jaw of the fastening means element is designed to be about 1/2 of the thickness of the floorboard, preferably 1 / 2-1 / 3, to prevent horizontal deviation due to expansion of the floorboards that are fastened. It features.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마루판재 이면에 발포성 합성고무계 핫멜트 점착제가 도포되며, 이 점착체 위에 이형지를 부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합성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포성 핫멜트 점착제는 인체에 무해한 무용제형 점착제로, 이 점착제의 역할은 다소 거친 표면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바닥과 판상의 마루판재를 접착시켜 고정하며, 목재로 이루어진 마루판재가 주거환경의 가열조건 및 수분함유량의 변화에 따라 수축, 팽창과 같이 목재에 발생할 수 있는 어떠한 변형에 있어서도 적응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며, 더불어 발포성 합성고무계 핫멜트 점착제 층이 보행시 바닥의 충격전달음을 흡수 또는 차단하는 향상된 흡음성 및 차음성을 부여하게 된다. 특히, 점착제가 부착된 마루판재를 시공하는 경우 점착제가 마루 하부에 접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인접 마루판재와 체결할 때의 문제점들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 시공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amed synthetic rubber-based hot melt adhesive is optionally appli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loorboard material, and is formed by attaching a release paper on the adhesive. The foamed hot melt adhesive, which is composed mainly of synthetic rubber, is a solvent-free adhesive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its role is to adhere and fix a concrete floor having a rather rough surface and a plate floor board, and a floor board made of wood is a residential environment. It can adapt to any deformation that may occur in wood such as shrinkage and expansion according to the heating conditions and moisture content change.In addition, the foamed synthetic rubber-based hot melt adhesive layer absorbs the impact transfer of the floor when walking or Imparting improved sound absorption and sound insulation. In particular, when constructing a floorboard material with an adhesive, problems when the adhesive is adhered to the floor and fastened with adjacent floorboar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solved by the vertica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길이방향'이라 함은 직사각형 마루판재를 언급함에 있어서, 장축방향으로 정의되며, '폭방향'이라 함은 단축방향을 정의하는 것이나, 정사각형 마루판재에 적용되는 경우,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은 상호 직각을 이루는 양 측부중 선택되는 어느 한 측부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이라 함은 마루판매에 놓이는 마루 하부면과 수평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수직방향'이라 함은 수평방향과 수직되도록, 즉 마루 하부면과 수직되도록 설정된 방향을 말한다. 그러나, 수평 또는 수직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정도의 수평 또는 수직이며 반드시 완전한 평행 또는 완전한 직각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length direction" refers to a rectangular floorboard material, and is defined as a long axis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defines a short axis direction, but when applied to a square floorboard material, a "length direction" Alternatively, the "width direction" may be understood as one side direction selected from both sid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horizontal to the floor bottom placed on the floor sale, the "vertical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set to b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floor bottom surface. However, horizontal or vertical is horizontal or vertical to the extent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perfect parallel or perfect right angles.
상기와 같은 구조의 마루판재를 시공함에 있어서, 선 시공된 일 마루판재 홈부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마루판재를 회전 또는 수직 시공하여 선 시공 마루판재와 체결 고정시키고, 특히 이면에 부착된 핫멜트 점착제가 바닥면과 접착되도록 하여 마루판재간에 밀착시공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는 선 시공된 타 마루판재 폭방향 홈부와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맞추어 상부에서 약간의 압력을 주면 폭방향 돌출부 홈부와 클릭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시공 상의 장점은 폭방향 돌출부 및 홈부간 체결이 수평 시공으로만 가능하였던 종래 마루판재와 대비하여, 특히 점착제가 바닥에 고정 부착된 채로 폭방향 체결 시공이 불편하였던 종래 마루판재와 대비하여 상당한 시공상 편이성을 제공하는 것이다.In the construction of the floorboard member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floorboard member having a protrus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ne-board member floorboard groove portion is rotated or vertically installed to fasten and fix the floorboard member, in particular on the back surface. The attached hot melt adhesive is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to facilitate adhesion between floorboards, and at the same time, the protrusion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re vertically aligned with the other floorboard widthwise grooves pre-constructed so as to be vertically positioned. When pressure is applied, the width can be fixed with the protrusion part groove. The advantages of vertical construction are significant compared to conventional floorboards, where fastening between the widthwise protrusions and grooves was possible only by horizontal construction, especially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floorboards where the widthwise fastening was inconvenient with adhesives fixed to the floor. It is to provide convenience in constru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마루판재 측부 구성은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 어느 하나의 방향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폭방향 측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 및 측방향 모두의 측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측부 구조가 폭방향에만 적용되는 경우에 길이방향 측부 구성은 통상의 체결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The floorboard sid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either the longitudinal or the widthwise direction, preferably constitute the widthwise side, and most preferably constitute the side in both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Can be. In the case where the si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nly in the width direction, the longitudinal side structure can be applied with a conventional fastening structur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루판재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 측부를 확대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5 및 6은 도 4에 따른 마루판재 시공 모드를 예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5 또는 6에 도시된 시공방법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마루판재가 체결된 상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orboard longitudinal and / or the widthwise sid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illustrate the floorboard construction mode according to Figure 4, Figure 7 is in Figure 5 or 6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construction metho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floorboard shown in Figure 4 is fastened.
마루판재(200)는 돌기(230) 및 리세스(251)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 및 돌출부(221) 및 홈부(222)로 이루어진 로킹수단이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의 측부를 따라 연장되어 구성된다. 로킹수단은 마루판재의 수직 이탈을 방지하는 요소이며, 체결수단은 수평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돌출부(221)는 홈부(222)와 서로 상보적인 형태이며, 돌출부 수평길이 즉 돌출부 상측면 (225) 수평 길이 (E)는 돌출부 경사면 (241) 수평 길이 (S)의 약 절반으로 설계되며, 돌출부 경사면 (241)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약 50°로 구성되어, 마루판재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수용하여 인접 마루판재 모따기(240) 및 돌출부 상측면 (225)으로 유효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돌출부(221) 및 홈부(222)는 사이 공간 (230)이 형성되도록 설계되며, 즉 돌출부 전방면(226) 및 홈부 전방면(227)이 꽉 체결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체결 마루판재들 사이에 먼지잔류물들이 개재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 상측면 (225)은 홈부 상측벽(223)에 안착되며, 돌출부 경사면 (241)은 홈부 모따기(240)에 결착되어 돌출부의 상향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 돌출부 수평길이(E)는 수직 시공에 의한 클릭이 가능하도록 매우 짧은 길이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수직 이탈 방지 및 수직 클릭 결착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돌출부 수평 길이를 소정의 범위로 설계함에 특징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체결수단 수평 길이 (L)가 돌출부 수평 길이(E)의 10 배 이상으로 구성되고 (L > E*10, L, E는 정수일 필요는 없음), 바람직하게는 10-15배 이상으로 설정되되, 이러한 수치는 수직 클릭 결착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범위이면 족한 것이고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자는 E가 0.5 mm 이며, S가 1.05 mm 이며, L은 7.99 mm 인 마루판재를 제작하였다. The
본 발명에 의한 마루판재는 수직 시공 (도 5 참조)만이 아니라 회전 이동에 의한 시공 (도 6 참조) 역시 가능하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회전 이동에 의한 시공이라 함은 선 시공된 마루판재 홈부 하경사면 (236)에 돌출부 전방면 (226) 하단부를 접선하여 이를 중심으로 돌출부(221)를 하방 회전시켜 홈부에 결착하는 방식이며, 이를 위하여 마루판재 돌출부 전방면 (226) 하단은 만곡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만곡부 형상으로 인하여 회전 이동시에 접촉되는 홈부 하경사면(236)과의 충돌을 완화하면서도 유용한 회전 이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 측부 구조는 무엇보다도 수직 시공의 장점을 구 현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Floorboard materi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not only vertical construction (see FIG. 5) but also construction by rotational movement (see FIG. 6) is also possible. The construction by the rotational movement is a method of tangentially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본 발명에 의한 측부 구조는 상기 돌출부 및 홈부 구비와 함께 돌기(250) 및 이와 상보적인 형상의 리세스(251)로 구성되는 체결수단에 의해 결착되어 수평 방향으로의 상호 이탈이 방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하경사면 (235) 및 상경사면(230) 사이에 형성된 돌기부(250)는 홈부 하경사면 (236) 및 상경사면 (231) 사이에 형성된 리세스(251)에 안착되며, 홈부 상경사면 (231)에 의해 이루어진 높은 걸림턱 (234)의 수직 길이 (H)로 인하여 돌기부 (250)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탈이 불가능하도록 설계된다. 걸림턱 수직 길이 (H)는 바람직하게는 판재두께 (D)에 절반 정도로 설계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궁극적으로 인접 마루판재와의 수평 시공이 가능하지 않으면서도 수직 또는 회전 이동 시공이 가능한 정도의 수직 길이 (H)가 요청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자는 홈부 상경사면 (231) 각도 설정을 위하여 다수의 시행착오를 한 결과, 바람직하게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50°로 설계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자는 홈부 상경사면 (231) 각도 및 걸림턱 (234) 수직 길이를 상기와 같이 제작하여 시험한 결과 체결된 마루판재들 간 수평 이동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마루판재들 간 결착 시공에 있어서 유연한 수직 시공이 가능하였다. 체결수단에서의 돌기부(250)는 바람직하게는 만곡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특히 회전 이동에 의한 시공 (도 6 참조)에 있어서 홈부 상경사면 (231)과의 충돌을 유연하게 하여 걸림턱 (234) 파손을 방지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걸림턱은 일측은 홈부 상경사면 (231), 상면 (260), 타측은 수직 후방면 (261)에 의해 형성되되, 상면 (260) 및 후방면 (251) 간은 만곡 형상일 필요는 없다. 이는 종래 수평 시공 방식의 마루판재 구조와 대비할 때, 본 발명은 마루판재들 간 수평 시공을 배제하는 것이며, 오로지 수직 시공 또는 회전 이동 시공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The si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ound by the fastening means composed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마루판재의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 시공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결착시공이 가능하다. 일 마루판재 돌기부 (250)를 선 시공된 인접 마루판재 리세스 (251)를 향하여 수직 접근시키면, 돌출부 (221) 전방면 상단은 홈부 모따기 (240) 부분과 접촉하되, 모따기 경사를 따라 돌출부는 홈부 (222) 전방면 (227)로 클릭되어 결착될 수 있다. 이때, 돌기부 만곡형상은 홈부 상경사면 (231)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어 삽입이 더욱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순간적으로 걸림턱 (234)을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밀쳐낼 때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줄일 수 있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수직 결착시공은 결국 돌출부 수평길이 (E)가 체결수단 수평길이 (L)와 대비하여 매우 짧은 구조로부터 가능한 것이며, 통상 돌출부 수평길이가 체결수단 수평길이와 유사하거나 더 긴 구조로부터는 불가능한 시공이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마루판재의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 시공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이동 결착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돌출부 전방면 하단을 선 시공된 인접 마루판재 홈부 하경사면 (236)과 맞대고, 이 접선을 축으로 원운동시켜 시공함으로써, 상기 돌출부 (221)는 선 시공되어 인접하게 되는 마감판재 홈부 (222)에 삽입되며, 동시에 돌기부 (250) 만곡부는 홈부 상경사면의 급격한 경사 (약 50°)를 따라 유연하게 리세스 (251)로 안착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 (234)은 탄성적으로 약간 후방으로 휘어지나, 돌기부 안착에 따라 상보적인 형상으로 회복될 수 있다. Longitudinal and / or widthwise construction of the floor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can be vertical binding construction. When the
본 발명에 의한 마루판재가 체결된 개략적인 단면도는 도 7에 도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부 (221) 전방면(226)은 홈부(222) 전방면 (227)과 완전하게 일치될 필요는 없으며 사이 공간 (26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부 후방면 (261) 역시 인접되는 마루판재 대응부와 결착될 필요는 없으며, 이는 수평 팽창에 따른 유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이면에 핫멜트 점착제(50) 부착된 마루판재의 경우에는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돌출부(221)가 선 시공된 인접 마루판재에 구비된 홈부 (222)에 결착됨과 동시에, 바닥 하부와 접착되어 시공이 완성된다.A schematic cross sectional view in which a floor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is shown in FIG. 7.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and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are the present invention.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마루판재는 인접 마루판재의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수직 시공이 가능하도록 체결수단 수평 길이와 대비하여 매우 짧은 돌출부 수평길이를 가지며, 수평 팽창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마루판재 두께와 대비하여 매우 높은 걸림턱 높이를 가지는 구성이며, 이로 인하여 종래 수평 및/또는 회전 이동 시공 과정에서 지적되었던 시공 비효율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복원성을 가지는 발포성 핫멜트점착제가 적용된 마루판재 시공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직 시공이 가능한 마루판재는 마루 하면에 접착과 동시에 결착이 가능하므로 매우 효율적으로 시공을 완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Floorboard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short projection horizontal length compared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astening means to enable vertical construction in the longitudinal and / or width direction of the adjacent floorboards, floorboard thickness to prevent the departure by horizontal expansion In contrast to the configuration having a very high locking jaw height, this can solve the problem of construction inefficiency pointed out in the conventional horizontal and / or rotational movement construction process.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the construction of the floorboard material to which the foamable hot melt adhesive with resilience is applied, the floorboard material capable of vertica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very efficiently since it can be simultaneously bonded to the floor surface. will be.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1324A KR100978000B1 (en) | 2007-04-27 | 2007-04-27 | Flooring flooring material for vertical construction |
PCT/KR2007/004936 WO2008133377A1 (en) | 2007-04-27 | 2007-10-10 | Floor board with reinforced surfa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1324A KR100978000B1 (en) | 2007-04-27 | 2007-04-27 | Flooring flooring material for vertical constru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6188A KR20080096188A (en) | 2008-10-30 |
KR100978000B1 true KR100978000B1 (en) | 2010-08-25 |
Family
ID=40155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1324A KR100978000B1 (en) | 2007-04-27 | 2007-04-27 | Flooring flooring material for vertical constru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800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0063976B4 (en) * | 2010-12-22 | 2013-01-17 |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 paneling |
FR3105280B1 (en) * | 2019-12-23 | 2021-11-26 | Gerflor | Panel for the realization of a free-standing floor covering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396593A2 (en) * | 1999-04-30 | 2004-03-10 | Välinge Innovation AB | Locking system for floorboards and method for making them |
-
2007
- 2007-04-27 KR KR1020070041324A patent/KR10097800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396593A2 (en) * | 1999-04-30 | 2004-03-10 | Välinge Innovation AB | Locking system for floorboards and method for making th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6188A (en) | 2008-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0496B1 (en) | Flooring Flooring for Vertical Construction | |
US10995501B2 (en) |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 |
US20240110387A1 (en) |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 |
KR102067469B1 (en) |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 |
JP6005154B2 (en) |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 |
JP3663163B2 (en) | Connector with multi-panel floor unit seal | |
RU2549629C2 (en) | Mechanical locking system of panels for floor | |
US8234830B2 (en) |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 |
US20190017278A1 (en) |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 |
US20070022695A1 (en) | Hardwood flooring board | |
CZ291953B6 (en) | Floor system | |
KR100674210B1 (en) | Improved floorboards for floor finishing | |
KR100978000B1 (en) | Flooring flooring material for vertical construction | |
KR100947849B1 (en) | Floor panels with tongue-and-tongue joint structure | |
KR200374948Y1 (en) | A board for floor | |
JP6301414B2 (en) |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 |
WO2005103411A1 (en) | Improved hardwood flooring board | |
JP2017101463A (en) | Floor material and joining structure of floor material using the same | |
EA044206B1 (en) | FLOOR PANEL AND FLOOR | |
KR20110090606A (en) | Floorboard with toothed coupl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811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3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8120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1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525 Appeal identifier: 2008101012879 Request date: 20081203 |
|
AMND | Amendment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2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70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PE0801 | Dismissal of amendment |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90204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229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707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PB0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03 Effective date: 20100525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052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81203 Decision date: 20100525 Appeal identifier: 2008101012879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611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6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8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