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306B1 -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 - Google Patents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306B1
KR100976306B1 KR1020080138827A KR20080138827A KR100976306B1 KR 100976306 B1 KR100976306 B1 KR 100976306B1 KR 1020080138827 A KR1020080138827 A KR 1020080138827A KR 20080138827 A KR20080138827 A KR 20080138827A KR 100976306 B1 KR100976306 B1 KR 10097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way module
master device
redundancy
upper master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0181A (ko
Inventor
이수강
권대현
박동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30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0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3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 G06F13/368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with decentralised access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6Programming the PL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 G06F13/4208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being a system bus, e.g. VME bus, Futurebus, Multibus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에 사용될 수 있는 게이트웨이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하나를 사용하여 하위 디바이스 군 관리만을 수행하거나 한쌍을 사용하여 군 관리 및 이중화를 모두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위 마스터 장치가 사용하는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의 종류에 제한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중화를 구성할 수 있다. 피엘시(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베이스 커넥터에 장착되는 모듈로서 구성하면, 피엘시와 관련된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프로피 버스, 게이트웨이, 모듈, 군 관리, 이중화, 마스터, 슬레이브

Description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 Gateway Module for Duplexed Profibus System }
본 발명은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로피 버스 규격에 따라 연결되는 상위 마스터 장치와 하위 디바이스 군의 사이에 위치하여 프로피 버스 시스템을 이중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위 디바이 군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현재 필드 버스(Field Bus)는 자동화 시스템과 분산 필드 디바이스 사이의 정보 교환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필드 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프로피 버스(Profibus)는 유럽지역에서 개방형 필드 버스 시스템으로서 선두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프로피 버스 DP(Decentralised Periphery)는 마스터와 슬레이브(주변장치) 사이에서의 주기적 데이터 교환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로서 'DPV0'이라고 불린다.
또한, 프로피버스 DPV1은 DP 프로토콜의 확장으로서 주기적인 데이터 교환뿐 아니라 비주기적인 제어 데이터의 교환도 가능하게 한 프로토콜이다.
한편, 프로피 버스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더욱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이중화와 하위 디바이스 군의 관리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이중화를 구현하는 일 예를 들자면, 이중화 모듈(12)의 각 슬레이브(12-1,12-2)에 상위 마스터 장치(11-1,11-2)가 각각 연결되고, 이중화 모듈(12)의 마스터(12-3)에 하위 디바이스 군(13)이 연결된다.
이때, 각 상위 마스터 장치(11-1,11-2)가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 DPV1을 사용한다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어느 상위 마스터 장치(예: 11-1)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중화 모듈(12)로 다른 슬레이브(12-2)와 연결하라는 명령을 보내 다른 상위 마스터 장치(예: 11-2)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이중화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상위 마스터 장치(11-1,11-2)가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 DPV0을 사용한다면 이중화 모듈(12)로 이러한 명령을 내릴 수 없어 이중화를 구현할 수 없다. 이것은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 DPV1의 경우에는 비주기적으로 사용자가 특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지만, DPV0의 경우에는 그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이중화 모듈의 예로는 지멘스(Siemens)사의 제품을 들 수 있는데, 이중화를 위한 Y 링크를 구성하기 위하여 두 개의 IM153-2 모듈과 Y 커플러 모듈 한 개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이중화를 필요로 하지 않고 군 관리만을 원하는 경우에도 3개의 모듈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낭비도 발생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이중화를 구현하는 또 다른 예를 들자면, 이중화 모듈(15)은 마스터 기능은 없고 단지 각각 상위 마스터 장치(11-1,11-2)와 연결되는 슬레이브(15-1,15-2)만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각 상위 마스터 장치(11-1,11-2) 중 어느 하나를 하위 디바이스 군(13)으로 연결해주는 리피터(Repeater)의 기능만을 수행한다. 이때, 이중화 모듈(15)은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이 DPV0인지 DPV1인지에 관계없이 자체 내부 로직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쪽을 상위 마스터 장치로 간주한다.
그러므로 각 상위 마스터 장치(11-1,11-2)가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 DPV1을 사용하더라도 직접 상위 마스터 장치를 지정할 수는 없다. 또한, 이중화 모듈(15)이 마스터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하위 디바이스 군(13)에 대한 군 관리를 할 수 없고, 자신을 포함하여 최대 125국까지만 확장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이중화 모듈의 예로는 ABB사의 제품인 RLM01이나, COMSOFT사의 PRS(Profibus Redundancy Switch)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HMS사의 X-GATEWAY 제품과 같이 군 관리만을 위한 모듈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자면, 군 관리 모듈(17)의 슬레이브(17-1)에는 상위 마스터 장치(11-1)가 연결되고, 마스터(17-2)에는 하위 디바이스 군(13)이 연결된다.
이러한 예에서 해당 모듈(17)은 마스터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군 관리는 가능하지만 이중화 시스템은 구현할 수 없다.
즉, 종래의 프로피 버스 관련 이중화 기술은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라 이중화를 구현할 수 없게 되거나, 이중화와 군 관리 기능 중 어느 하나만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불편함과, 낭비적인 요소가 필요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하위 디바이스 군 관리를 하면서도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의 종류와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이중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은, 국번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국번설정부; 상위 마스터 장치가 연결되는 슬레이브 커넥터; 하위 디바이스 군이 연결되는 마스터 커넥터; 타 게이트웨이 모듈과 통신하여 각 게이트웨이 모듈에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출하는 선출부; 상기 선출부의 선출 결과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커넥터에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와 마스터 기능부 사이를 인터페이스시켜 주는 슬레이브 기능부; 및 상기 선출부의 선출 결과에 따라 상기 마스터 커넥터에 연결된 하위 디바이스 군을 관리하고, 상기 슬레이브 기능부를 통해 상위 마스터 장치와 하위 디바이스 군 관리정보를 주고 받는 마스터 기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은 이중화를 위해 한쌍이 피엘시(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베이스 커넥터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각 게이트웨이 모듈의 선출부는 피엘시의 베이스에 구비된 커넥터간 연결 선로를 통해 서로 통신하여 그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각 게이트웨이 모듈의 선출부는 각 게이트웨이 모듈에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가 비주기적인 제어 메시지 전송을 할 수 없는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DPV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를 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게이트웨이 모듈의 선출부는 각 게이트웨이 모듈에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가 비주기적인 제어 메시지 전송을 할 수 있는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DPV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신이 마스터라고 명령을 내리는 상위 마스터 장치를 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레이브 커넥터에 상위 마스터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 및 상위 마스터 장치가 사용하는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의 종류는 상기 슬레이브 기능부가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출부는 타 게이트웨이 모듈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에는 자신이 속한 게이트웨이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상위 마스터 장치를 선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 모듈은 군 관리만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 모듈은 자체 로직에 의해 상위 마스터 장치를 선출하므로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에 관계없이 이중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중화를 원하는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 모듈 한쌍을 사용하여 손쉽게 이중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하위 디바이스 군 관리만을 원하는 사용자는 게이트웨이 모듈 하나만을 사용하면 되므로 상황에 따라 실용적으로 프로피 버스 시스템에 응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42: 이하, 게이트웨이 모듈이라 한다)은 상위 마스터 장치(41-1)와 하위 디바이스 군(13)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위 디바이스 군(13)의 관리를 함과 아울러 상위 마스터 장치(41-1)가 각 하위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마스터-슬레이브(Master-Slave) 구조를 이루는 프로피 버스 시스템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모듈(42)은 상위 마스터 장치(41-1)에 대해서는 슬레이브의 지위를 갖고, 하위 디바이스 군(13)에 대해서는 마스터의 지위를 갖는다.
즉, 상위 마스터 장치(41-1)에게는 하나의 슬레이브(게이트웨이 모듈)만 연결된 것처럼 보이고, 하위 디바이스 군(13)에게는 마스터로서 게이트웨이 모듈(42)만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이 게이트웨이 모듈(42)은 상위 마스터 장치(41-1)와 하위 디바이스 군(13)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해서는 게이트웨이 모듈(42)이 한쌍 필요하며, 군 관리만을 위해서는 하나의 게이트웨이 모듈(42)만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자면, 게이트웨이 모듈(42)은 국번설정부(51), 슬레이브 커넥터(52), 마스터 커넥터(53), 선출부(54), 슬레이브 기능부(55), 마스터 기능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국번설정부(51)는 자신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정보인 국번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예로서 국번설정부(51)는 로터리 스위치(Rotary Switch)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위 마스터 장치(41-1)는 국번설정부(51)에 의해 설정된 국번으로 해당 게이트웨이 모듈(42)을 식별한다.
슬레이브 커넥터(52)는 상위 마스터 장치(41-1)와 연결되는 커넥터이고, 마스터 커넥터(53)는 하위 디바이스 군(13)과 연결되는 커넥터이다.
선출부(54)는 타 게이트웨이 모듈의 선출부와 통신하여 각 게이트웨이 모듈에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 중 하나를 선출한다.
즉,게이트웨이 모듈 한쌍이 사용되면 이중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데, 각 게이트웨이 모듈 중 어느 게이트웨이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상위 마스터 장치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자신이 속한 게이트웨이 모듈의 상위 마스터 장치가 선출되면, 선출부(54)는 자체 로직에 따라 마스터 기능부(56)와 슬레이브 기능부(55)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시켜 준다. 그러나, 자신이 속한 게이트웨이 모듈의 상위 마스터 장치가 선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마스터 기능부(56)와 슬레이브 기능부(55)를 서로 연결시키지 않는다.
선출부(54)가 상위 마스터 장치를 선출하는 방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 하나의 예로서 각 게이트웨이 모듈에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가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 DPV0을 사용하고 있다면, 각 게이트웨이 모듈에 먼저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를 선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로서 각 게이트웨이 모듈에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가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 DPV1을 사용하고 있다면, 각 게이트웨이 모듈에 자신이 마스터라는 명령을 전송하는 상위 마스터 장치를 선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슬레이브 기능부(55)는 기본적으로 슬레이브 커넥터(52)에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41-1)와 마스터 기능부(56)를 인터페이스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위 마스터 장치(41-1)로부터 하위 디바이스 군(13)으로 향하는 정보를 마스터 기능부(56)로 전달하고, 마스터 기능부(56)로부터 상위 마스터 장치(41-1)로 향하는 정보를 상위 마스터 장치(41-1)로 전달해준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선출부(54)의 역할과 관련하여, 슬레이브 커넥터(52)에 상위 마스터 장치(41-1)가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 상위 마스터 장치(41-1)가 연결되어 있다면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로서 DPV0과 DPV1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지 등이 확인되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은 선출부(54)가 담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슬레이브 기능부(55)가 담당하여 그 정보를 선출부(54)로 전달해 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마스터 기능부(56)는 기본적으로 마스터 커넥터(53)에 연결되어 있는 하위 디바이스 군(13)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하위 디바이스 군(13)의 정보를 수집하여 슬레이브 기능부(55)로 전달함으로써 상위 마스터 장치(41-1)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거나, 슬레이브 기능부(55)를 통해 상위 마스터 장치(41-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하위 디바이스 군(13)으로 전달한다.
즉, 마스터 기능부(56)는 하위 디바이스 군(13)에 관한 정보를 관장하는 주체로서, 슬레이브 기능부(55)와는 분리되어 있다가 선출부(54)에 의해 슬레이브 기능부(55)와 연결된다.
한편, 상위 마스터 장치(41-1)는 게이트웨이 모듈(42)을 국번설정부(51)에서 설정된 국번을 갖는 하나의 슬레이브로 관리하며, 하위 디바이스 군(13)은 최종적으로 상위 마스터 장치(41-1)에 의해 관리된다.
그러므로, 게이트웨이 모듈(42)은 먼저 하위 디바이스 군(13)에 포함되어 있는 각 하위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위 마스터 장치(41-1)로 알려주어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예로서 하위 디바이스 군(13)에 속한 디바이스 S1과 S2는 각각 출력 8 비트(1 바이트)의 데이터 양을 갖고, 디바이스 S3는 입력 32 비트(4 바이트)의 데이터 양을 갖는다고 가정한다면, 게이트웨이 모듈(42)의 마스터 기능부(56)는 하위 디바이스 군(13)이 출력 16 비트(2 바이트)와 입력 32 비트(4 바이트)의 데이터 양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여 슬레이브 기능부(55)로 전달한다.
그러면 이 정보는 슬레이브 기능부(55)를 통해 상위 마스터 장치(41-1)로 전달된다. 만일 게이트웨이 모듈(42)의 국번이 1번으로 설정되었다면, 상위 마스터 장치(41-1)는 출력 16 비트와 입력 32 비트의 데이터 양을 갖는 하나의 슬레이브가 존재하고, 그 국번은 1이라고 인식하게 된다.
게이트웨이 모듈(42)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하나의 예는 피엘시(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베이스 커넥터에 장착되는 모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모듈이 하나만 사용되면 하위 디바이스 군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이중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피엘시의 베이스 커넥터에 게이트웨이 모듈 한쌍을 장착해야 한다. 이때, 각 게이트웨이 모듈의 선출부는 베이스에 구비된 커넥터간 연결 선로를 통해 서로 통신하여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게이트웨이 모듈 한쌍을 이용하여 이중화를 구현한 예를 나타내었다.
게이트웨이 모듈 A와 B(42-1,42-2)의 구성요소인 국번설정부(61-1,62-1), 슬레이브 커넥터(61-2,62-2), 마스터 커넥터(61-3,62-3), 선출부(61-4,62-4), 슬레이브 기능부(61-5,62-5), 마스터 기능부(61-6,62-6)는 위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게이트웨이 모듈 A(42-1)의 슬레이브 커넥터(61-2)에는 상위 마스터 장치 A(41-1)가 연결되고, 게이트웨이 모듈 B(42-2)의 슬레이브 커넥터(62-2)에는 상위 마스터 장치 B(41-2)가 연결된다.
그리고, 게이트웨이 모듈 A(42-1)의 마스터 커넥터(61-3)와 게이트웨이 모듈 B(42-2)의 마스터 커넥터(62-3)에는 하위 디바이스 군(13)이 공통 연결된다.
게이트웨이 모듈 A와 B(42-1,42-2)의 구성요소인 각 선출부(61-4,62-4)는 일정 선출 과정에 따라 어느 게이트웨이 모듈에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를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선출된 상위 마스터 모듈과 연결된 게이트웨이 모듈만이 상위 마스터 장치와 하위 디바이스 군 사이에서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위 마스터 장치 A(41-1)가 선출되었다면 게이트웨이 모듈 A(42-1)만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위 마스터 장치 B(41-2)가 선출되었다면 게이트웨이 모듈 B(42-2)만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선출부가 상위 마스터 장치를 선출하는 과정의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그러나 도 7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선출 과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게이트웨이 모듈이 동작을 시작하면 먼저 타 게이트웨이 모듈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71).
타 게이트웨이 모듈이 존재하지 않으면 자신이 속한 게이트웨이 모듈에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를 선출하고 선출 과정을 종료한다(S72,S72-1).
타 게이트웨이 모듈이 존재한다면, 각 게이트웨이 모듈에 상위 마스터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73).
단계 S73의 확인 결과 어느 하나의 게이트웨이 모듈에만 상위 마스터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면 해당 상위 마스터 장치를 선출한다(S74,S74-1).
만일 각 게이트웨이 모듈에 모두 상위 마스터 장치가 연결되어 있다면(S74), 각 게이트웨이 모듈에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가 사용하는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 정보를 확인한다(S75).
단계 S75에서의 확인 결과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이 DPV0이라면, 각 게이트웨이 모듈의 선출부는 서로 통신하여 각 상위 마스터 장치가 연결된 시간을 비교하고 먼저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를 선출한다(S76).
그러나 단계 S75에서의 확인 결과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이 DPV1이라면, 각 게이트웨이 모듈의 선출부는 서로 통신하여 자신이 마스터라는 명령을 보낸 상위 마스터 장치를 선출한다(S77).
즉,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 DPV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위 마스터 장치가 비주기적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각 게이트웨이 모듈의 선출부는 파라메터로 마스터 권한을 넘겨받아 어느 한쪽을 상위 마스터 장치로 선출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 모듈은 한쌍으로 사용되어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구현할 수 있지만 하나 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게이트웨이 모듈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할 수는 없지만 그 자체로 마스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하위 디바이스 군을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는 종래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 방법에 관한 개요,
도 3은 종래 프로피 버스 시스템에서의 군 관리 방법에 관한 개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 모듈의 사용 상태에 관한 개요,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 모듈을 구성하는 일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 모듈 한쌍을 이용하여 이중화를 구현하는 실시예,
도 7은 상위 마스터 장치를 선출하는 과정의 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11-2,41-1,41-2: 상위 마스터 장치 12,15: 이중화 모듈
13: 하위 디바이스 군 17: 군 관리 모듈
42,42-1,42-2: 게이트웨이 모듈 51: 국번설정부
52: 슬레이브 커넥터 53: 마스터 커넥터
54: 선출부 55: 슬레이브 기능부
56: 마스터 기능부

Claims (6)

  1. 국번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국번설정부;
    상위 마스터 장치가 연결되는 슬레이브 커넥터;
    하위 디바이스 군이 연결되는 마스터 커넥터;
    타 게이트웨이 모듈과 통신하여 각 게이트웨이 모듈에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출하는 선출부;
    상기 선출부의 선출 결과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커넥터에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와 마스터 기능부 사이를 인터페이스시켜 주는 슬레이브 기능부; 및
    상기 선출부의 선출 결과에 따라 상기 마스터 커넥터에 연결된 하위 디바이스 군을 관리하고, 상기 슬레이브 기능부를 통해 상위 마스터 장치와 하위 디바이스 군 관리정보를 주고 받는 마스터 기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은 피엘시(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베이스 커넥터에 한쌍이 각각 장착되고,
    각 게이트웨이 모듈의 선출부는 피엘시의 베이스에 구비된 커넥터간 연결 선로를 통해 서로 통신하여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게이트웨이 모듈의 선출부는 각 게이트웨이 모듈에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가 비주기적인 제어 메시지 전송을 할 수 없는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를 선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게이트웨이 모듈의 선출부는 각 게이트웨이 모듈에 연결된 상위 마스터 장치가 비주기적인 제어 메시지 전송을 할 수 있는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신이 마스터라고 명령을 내리는 상위 마스터 장치를 선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커넥터에 상위 마스터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 및 상위 마스터 장치가 사용하는 프로피 버스 프로토콜의 종류는 상기 슬레이브 기능부가 확인하여 상기 선출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출부는 타 게이트웨이 모듈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에는 자신이 속한 게이트웨이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상위 마스터 장치를 선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
KR1020080138827A 2008-12-31 2008-12-31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 KR100976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827A KR100976306B1 (ko) 2008-12-31 2008-12-31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827A KR100976306B1 (ko) 2008-12-31 2008-12-31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181A KR20100080181A (ko) 2010-07-08
KR100976306B1 true KR100976306B1 (ko) 2010-08-16

Family

ID=4264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827A KR100976306B1 (ko) 2008-12-31 2008-12-31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520B1 (ko) * 2018-12-19 2020-07-06 (주)나오디지탈 계측 정보 중계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302A (ko) * 1999-10-07 2001-05-07 차동해 산업용 필더버스의 고신뢰성 이중화 광통신 장치
KR100689323B1 (ko) 2005-09-22 2007-03-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필드버스 네트워크 다중화 시스템
KR20070111060A (ko) * 2006-05-16 2007-11-21 전자부품연구원 무중재 amba 버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과 이를이용한 amba 버스 인터페이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302A (ko) * 1999-10-07 2001-05-07 차동해 산업용 필더버스의 고신뢰성 이중화 광통신 장치
KR100689323B1 (ko) 2005-09-22 2007-03-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필드버스 네트워크 다중화 시스템
KR20070111060A (ko) * 2006-05-16 2007-11-21 전자부품연구원 무중재 amba 버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과 이를이용한 amba 버스 인터페이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181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33604B (zh) 一种基于modbus通讯协议的485总线智能扩展方法及装置
CN103828305B (zh) 用于参数化自动化系统或控制系统的现场设备的系统和方法
CN101427522B (zh) 接口单元和具有主从结构的通信系统
US201300073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redundant network interface modules in a distributed i/o system
CN107450487B (zh) 经由远程终端单元实现通信的方法和装置
CN104378291A (zh) 用于在工业通信网络中进行冗余的信息传输的方法和通信设备
CN103248526A (zh) 实现带外监控管理的通信设备、方法及主从切换方法
CN102055794A (zh) 飞行器通信系统及飞行器
CA2594066A1 (en) Redundancy coupler for industrial communications networks
CN102365844A (zh) 通信适配器装置
CN101082896A (zh) 一种主从模块间的控制方法和装置
CN112260916B (zh) 通信电路、通信网络及通信异常处理方法
KR100976306B1 (ko) 프로피 버스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한 게이트웨이 모듈
CN101631059B (zh) 一种实现现场总线拓扑结构实时重构的通信单元
CN203563079U (zh) 用于可冗余操作的工业通信网络的通信设备
CN103885910B (zh) 多设备在主模式下进行iic通信的方法
CN110456705B (zh) 可动态扩展接口的网络控制装置、楼宇自控系统
CN107608469A (zh) 一种lvds高速通信背板
CN101127642B (zh) 通讯系统设备串口管理装置及方法
US20130067130A1 (en) Bus control apparatus and bus control method
CN114039898A (zh) 通信系统
KR100932148B1 (ko) 피엘씨 네트워크의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 통신 방법
JP3380957B2 (ja) 二重化通信制御装置
CN100593315C (zh) 在通信网络中寻址冗余通信单元的系统和方法
CN109861895B (zh) 一体化通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