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570B1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 Google Patents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5570B1 KR100975570B1 KR1020090110657A KR20090110657A KR100975570B1 KR 100975570 B1 KR100975570 B1 KR 100975570B1 KR 1020090110657 A KR1020090110657 A KR 1020090110657A KR 20090110657 A KR20090110657 A KR 20090110657A KR 100975570 B1 KR100975570 B1 KR 1009755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display device
- case
- coupled
- fix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abstract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2 die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1—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that can fix the display device to a wall using a wire.
디스플레이장치는 텔레비젼,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은 화면출력장치의 일종으로, 현재 각 가정 및 사무실 등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과 같이 두께가 얇고도 부피가 적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본체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수요 또한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The display device is a kind of screen output device such as a television, a computer monitor, etc., and is widely used in homes and offices. Recently, a thin and small volume flat panel display body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has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and its demand is also increasing.
이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두께가 얇아 벽면에 걸어두고 사용할 경우 주거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편리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를 벽에 걸어두기 위해 다양한 지지장치가 개발되고 있다.Suc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has a thin thickness, and thus, it is convenient to use a living space more effectively when it is used on a wall, and various supporting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hang the display device on a wall.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일 예로 액자를 벽멱에 거는 방식과 유사하게 와이어를 이용하여 벽면에 디스플레이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지지장치가 고려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 support device for fixing the display device to a wall using a wire may be considered, similar to a method of hanging a picture frame on a wall.
디스플레이장치는 상대적으로 하중이 크기 때문에 와이어 역시 무거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와이어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금속 등 강한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와이어가 유연하지 아니한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Since the display device has a relatively large load, the wire must also have a strength capable of supporting heavy loads. In this case, the wire is thick and has to be formed of a strong material such as metal, thereby exhibiting inflexible wires. .
이러한 와이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의 와이어걸이부가 거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의 수평을 조절하거나 하는 등으로 디스플레이장치를 움직이면 이와 연결된 와이어가 운동하여 와이어걸이부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display device is hooked to the wire hanger on the wall using such a wi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ire connected thereto moves and moves away from the wire hanger by adjusting the level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와이어가 와이어걸이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wir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wire hang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된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를 상기 벽면에 걸기 위해 상기 벽면에 장착된 와이어걸이부와, 상기 와이어걸이부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부가 상기 와이어걸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 display devic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isplay device support device for fixing the display device on the wall surface, the wire portion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and to hang the wire portion on the wall surface It may include a wire hanger mounted on the wall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provided to the wire hanger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wire hanger.
상기 와이어걸이부는 상기 와이어부가 걸리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hook portion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portion to which the wire portion is caught.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detachment preventing part may be mount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part.
상기 이탈방지부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lease preventing part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와이어걸이부는 제1반경을 가지는 헤드부와, 상기 벽면과 접하며 제2반경을 가지는 벽면지지부와, 상기 제1,2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부의 일측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The wire hook portion includes a head portion having a first radius, a wall support portion contacting the wall surface and having a second radius, and a receiving portion accommodating one side of the wire portion with a radius smaller than the first and second radiuses.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벽면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수용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한다.The detachment preventing part includes a body part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y one of the head part and the wall support part, and at least one protrusion part protruding from the body part toward the receiving part.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와이어부를 감싸는 걸림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have a hooking jaw surrounding the wire.
상기 돌기부는 루버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provided with a louver material.
상기 와이어부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중도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걸이부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The wire part includes a wire and a fastening part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wire and coupled to the wire hanger part.
상기 체결부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고리부와, 상기 와이어걸이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대직경부를 포함한다.The fastening part includes a ring part into which the wire is inserted, and a first large diameter part coupled to the wire hook part and supported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상기 와이어걸이부는 상기 제1대직경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The wire hook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first large diameter portion is inserted, and 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on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제1대직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대직경부가 상기 삽입부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테이퍼부가 마련된다.At least one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first large diamet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taper portion so that the first large diameter portion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제1대직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영구자석이 마련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first large diameter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permanent magnet.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된 와이어부와, 상기 벽면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부의 중도를 지지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와이어걸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중도를 커버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other side is a display device support device for fixing the display device on the wall, the wire portion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and is mounted on the wall surface and the display device It may include a wire hook portion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midway of the wire portion coupled to,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for covering the midway of the wire portion.
상기 와이어걸이부는 상기 수용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헤드부와, 상기 수용부의 후방에 마련되는 벽면지지부를 포함한다.The wire hanger part includes a head part provided in front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a wall surface support part provided at a rear of the accommodating part.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벽면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수용부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The release preventing part may be bent to the receiving part in at least one of the head part and the wall support part.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벽면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수용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achment preventing part may include a body part mounted to at least one of the head part and the wall support part, and at least one protrusion part protruding from the body part toward the receiving part.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와이어부를 감싸는 걸림턱부가 형성된다.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surrounding the wire portion.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바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지지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다.And a display device supporting device for fix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en on the other side to a wall surface, the wire portion being supported on the wall surface; and a fixing unit coupling the wire portion to the display device. The wire part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fixing unit is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upled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wire parts.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디스크플레이장치의 크기에 따라서 선택된다.One of the plurality of wire parts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c play device.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부 각각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Each of the plurality of wire parts has a different length.
상기 와이어부와 상기 고정유닛은 나사 결합 체결 구조에 의해서 결합/분리된다.The wire unit and the fixing unit are coupled / separated by a screw coupling fastening structure.
상기 와이어부는 수나사 형상을 가지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암나사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삽입공을 포함한다.The wire portion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having a male screw shape, and the fixing unit includes a wire insertion hole having a female screw shape.
상기 와이어부는 그 단부에 마련되는 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볼부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고정유닛으로부터 분리된다.The wire part includes a ball part provided at an end thereof, and the fixing unit includes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ball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Whe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is coupled to the fixed unit, and whe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is separated from the fixed unit.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는 후크 체결 구조에 의해서 결합/분리된다.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is coupled / separated by a hook fastening structure.
상기 제1케이스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되, 그 내주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볼안착부;와, 그 상면에서 상기 볼안착부 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와이어삽입공;을 포함한다.The first case is formed in a ring shape, the ball seating portion is formed recess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wire insertion hole formed by cutting to the ball seating side in the upper surface.
상기 와이어삽입공은 상기 볼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The wire insertion hole is form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ball portion.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1케이스에 삽입되되, 상기 제1케이스의 상부를 지지하는 커버;와, 상기 제1케이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단턱;을 포함한다.The second case is inserted into the first case, the cover for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and the stepp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ase.
상기 와이어부는 그 단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가 출입하는 이탈방지 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이탈방지 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 홈의 탈출경로를 차단하는 이탈방지 핀;을 더 포함한다.The wire part includes at least on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provided at an end thereof, and the fixing unit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into which the at least one separation prevention part comes in and out, and the fixing unit includes the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It is detachably installed, the separation prevention pin for blocking the escape path of the at least one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further includes.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와이어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복수의 와이어부 중 어느 하나와 분리된 후 상기 복수의 와이어부 중 다른 하나와 결합한다.And a display apparatus for fixing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viewed from another aspect, to a wall surface, compris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wire parts supported on the wall surface and mounted on the display apparatus; And a fixing unit coupled to any one of the wire units, wherein the fixing unit is separat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wire units and then coupled with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wire units.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지지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벽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부를 결속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케이스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벽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벽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한다.And a display apparatus for fixing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viewed from another aspect, to a wall surface, comprising: a wire portion supported on the wall surface and a fix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apparatus and the wall surface. And the fixing unit includes a case for binding the wire part,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case to the display device, and a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wall surface together with the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wall surface. It includes; Height adjustment member for adjusting the.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한다.The height adjus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ase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case.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나사 결합한다.The height adjusting member is screwed to the case.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되고, 상기 일체화된 하나의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한다.The fastening member and the height adjusting member are integrated into one unit, and the integrated one unit is coupled to the case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case.
상기 일체화된 하나의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나사 결합한다.The unitary one unit is screwed into the case.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지지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벽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And a display apparatus for fixing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viewed from another aspect, to a wall surface, comprising: a wire portion supported on the wall surface and a fix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apparatus and the wall surface. and,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와이어부를 결속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와 결합한다.The fixing unit includes a case for binding the wire part and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case to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ase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case.
이상에서 설명한 어느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와이어걸이부에 장착되어 와이어부를 커버하는 이탈방지부를 마련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가 움직여 와이어부와 이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경우에도 와이어부가 와이어걸이 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spect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that is attached to the wire hanger part to cover the wire part, so that the wire part is separated from the wire hanger part even when the display device moves and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wire part.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 설명한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제품에 따라 와이어부의 길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Th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described above can easily change the length of the wire portion according to the product.
또한 벽면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이전설치 또는 변경설치 등을 쉽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to the wall surface it is easy to move or change the installation of the display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음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이격부재와 회전암부의 조립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assembly view of the fixing unit side of th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assembly view of the spacer and the rotary arm of th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양단이 결합된 와이어부(20)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에 와이어부(20)를 결합시키며 디스플레이장치(10) 배면을 벽면에 대해 이격시키는 고정유닛(30)과, 디스플레이장치(10) 배면에서 고정유닛(30) 하부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 배면(11)을 벽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이격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와이어부(20)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후술할 와이어걸이부(6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데, 다수의 금속사를 꼬아 형성하고 외부에 피복을 입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와이어부(20)의 양단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의 양측에 결합된다.Both ends of the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에는 배면(11)에서 수직하게 함몰 형성된 복수의 홀(12,13)이 마련되는데, 복수의 홀(12,13)은 와이어부(2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배면(11) 상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상부홀(12)과, 이격부재(4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배면(11) 하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하부홀(13)을 포함한다.The
상부홀(12)은 대략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11) 상측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와이어부(20)의 길이는 한 쌍의 상부홀(12)사이의 거리(E)보다 길고, 한 쌍의 상부홀(12)사이의 중심과 접하는 수직선(F)이 디스플레이장치(10)의 상단과 만나는 지점에서 한 쌍의 상부홀(12) 각각을 연결하는 거리(G,H)의 합보다 짧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를 벽면에 거는 경우 와이어부(20)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또한, 와이어부(20)의 길이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가 변화하면 한 쌍의 상부홀(12) 각각을 연결하는 거리(G, H)의 합이 달라지기 때문에 와이어부(20)의 길이도 달라질 필요가 있다. 이에 작업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와이어부(20) 중 적절한 길이를 가지는 어느 하나의 와이어부(20)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를 설 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이때 와이어부(20)의 길이는 후술할 볼부(21)의 매듭부분을 제외한 것으로, 와이어부(20)의 길이는 상기 길이에 이탈방지부의 매듭부분의 길이가 추가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상부홀(12)에는 와이어부(20)의 단부와 결속된 고정유닛(30)이 스크류 결합된다.The fixing
고정유닛(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31)와, 제1케이스(31)와 결합하며 내부에 와이어부(20)의 단부가 감기는 공간을 구획하는 제2케이스(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ixing
제1케이스(31)의 외주면에는 고정유닛(30)내부에 와이어부(20)의 단부를 안내하는 와이어삽입공(33)이 형성되고, 제1케이스(31)의 배면 테두리에는 벽면과의 충돌시 손상 및 소음을 방지하는 제1완충부재(34)가 마련된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와이어부(20)는 와이어삽입공(33)에 대응하여 와이어부(20)의 단부에는 와이어부(20)가 고정유닛(30)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삽입공(33)보다 반경이 더 크게 형성된 볼부(21)가 마련된다.The
볼부(21)는 금속재의 와이어부(20)의 단부에 이중사출 등을 통해 와이어부(20)의 두께보다 직경이 큰 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ll portion 21 may be formed in a ball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따라서, 와이어부(20)를 한 쌍의 고정유닛(30)의 제1케이스(31)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공(33)에 삽입한 후 와이어부(20)의 양단에 이중사출 등을 통해 볼부(21)를 형성함으로써 와이어부(20)가 고정유닛(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제2케이스(32)는 중심부에 결합스크류(35)가 삽입될 수 있는 스크류홀(36)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1케이스(31)와 결합되어 와이어부(20)의 단부가 감기는 원통부(37)가 형성된다.The
제2케이스는 결합스크류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유닛은 상부홀에 직접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cas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coupling screw, wherein the fixing unit may be directly screwed into the upper hole.
와이어부(20)의 단부는 제1케이스(31)와 제2케이스(32)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서 감긴 상태로 고정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부(20)의 단부는 원통부(37)를 감고 볼부(21)측이 매듭이 지어지도록 한다. The end of the
이와 같이 볼부(21)측이 매듭이 지어지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를 벽면에 거는 경우 와이어부(20)에 큰 하중이 걸려 와이어부(20)를 당기는 힘이 커지더라도 매듭지어진 볼부(21)가 와이어부(2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ball portion 21 is knotted so that when the
하부홀(13)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가 벽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디스플레이장치(10)와 벽면사이를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이격부재(40)가 결합된다.The
이격부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체결이 가능하도록 중심측에 스크류삽입홀(41)이 형성되고 벽면과 접촉하는 이격부재(40)의 배면측은 디스플레이장치(10)가 벽면에 접촉하는 경우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제2완충부재(42)가 장착된다.As shown in FIG. 3, the
이격부재(40)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벽면이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디스플 레이장치(10)의 하측을 벽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두께로 형성된다.The
이격부재(40)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고정유닛(30)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와 벽면과의 평행을 유지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제1,2완충부재(34,42)는 각각 벽면에 지지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일 예로 루버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기타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and
이격부재(4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를 틸팅시키는 회전암부(5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회전암부(50)는 상,하 또는 좌,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Rotating
이격부재(40)는 회전암부(5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는 지지부(43)를 포함한다.
고정유닛(30) 및 이격부재(40)가 고정되는 상, 하부홀(13)은 임의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수직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나,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월 마운트 규격에 맞도록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형성된 VESA홀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에 별도의 홀가공없이 VESA홀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와이어부(20)가 연결된 고정유닛(30) 및 이격부재(40)를 디스플레이장치(10)에 고정할 수 있다. While the fixing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hanger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of th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hanger and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of th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main portion of the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도 4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부(20)가 결합된 디스플레이장치(10)를 벽면에 걸기 위한 와이어걸이부(60)와, 와이어걸이부(60)로부터 와이어부(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7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to 6, the support device for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와이어부(20)를 벽면에 고정하는 와이어걸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includes a
와이어걸이부(60)는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61)와, 헤드부(61)의 후측에 형성되어 와이어부(20)의 일측이 안착되는 수용부(62)와, 수용부(62)의 후측에 형성되어 벽면과 접하는 벽면지지부(6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와이어걸이부(60)의 중심에는 와이어걸이부(60)를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스크류홀(64)이 형성되어, 스크류(65)가 스크류홀(64)에 삽입되어 벽면에 장착됨으로써 와이어걸이부(60)가 벽면에 고정된다.In the center of the
또한, 헤드부(61)의 배면은 와이어부(20)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헤드부(61)의 전면에는 스크류(6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부(66)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수용부(62)는 헤드부(61)와, 벽면지지부(63)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어 수용부(72)에 걸리는 와이어부(60)가 와이어걸이부(7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receiving
이탈방지부(70)는 루버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수용부(62)의 둘레를 감싸도록 와이어걸이부(60)에 장착된다.The
이탈방지부(70)는 벽면지지부(43)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몸체부(71)와, 몸체부(7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수용부(62) 상부를 커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몸체부(7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지지부(43)의 외주면에 결합하나, 변형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72')가 벽면을 향하도록 하여 이탈방지부(70')가 테이퍼형의 헤드부(61)에 장착될 수도 있다. The
돌기부(72)는 루버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단부에는 와이어부(20)를 감싸는 걸림턱부(73)가 형성된다.The protruding
따라서, 와이어걸이부(60)에 이탈방지부(70)를 장착하고 와이어걸이부(60)를 벽면에 결합시킨 후 헤드부(61)를 캡부(66)가 커버하여 와이어걸이부(60)의 장착을 완료한다.Therefore, after the
이 후, 디스플레이장치(10)와 결합된 와이어부(20)를 와이어걸이부(60)에 걸면 와이어부(20)는 헤드부(61)의 배면의 테이퍼 형상을 따라 하향 이동하여 수용부(62)측으로 이동한다. 와이어부(20)는 수용부(62)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중에 의해 이탈방지부(70)의 돌기부(72)와 헤드부(61)의 배면사이의 이격된 틈사이로 와이어부(20)의 일측이 삽입되어 동작이 완료된다.Thereafter, when the
이 후 디스플레이장치(10)의 수평을 맞추는 등의 동작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움직이면 이와 연결된 와이어부(20)가 움직이게 되는데, 이와 같이 와이 어부(20)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와이어걸이부(60)에 장착된 이탈방지부(70)에 의해 와이어부(20)가 와이어걸이부(6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다음은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이탈방지부의 구성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게 구성된다.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different, and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제1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description will be mainly focused on different configurations from the first embodiment.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결합된 상태의 요부단면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hanger part and the release preventing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wire hanger part and the release preventing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a combined state.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포함되는 이탈방지부(8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61)의 전면을 폐쇄하는 동시에 와이어부(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이탈방지부(8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전면은 헤드부(61)의 내부를 폐쇄하는 캡부(81)가 형성되고, 캡부(81)의 테두리측에는 와이어부(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82)가 돌출 형성된다. The
캡부(81)와 이탈방지부(82)사이에는 헤드부(61)의 테두리와 결합하는 체결부(83)가 형성되고, 헤드부(61)의 테두리가 체결부(83)에 삽입됨으로써 이탈방지부(80)가 헤드부(61)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Between the
이탈방지부(82)의 양 측에는 와이어부(20)에 대응하여 와이어수용홈(84)이 형성된다. 이탈방지부(80)는 와이어부(20)가 와이어걸이부(60)에 걸려진 상태에서 와이어수용홈(84)을 와이어부(20)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헤드부(61)에 장착시켜 결합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departure prevent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exhibit the same effect as the first embodiment.
다음은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1,2실시예와 비교하여 와이어부와, 와이어걸이부 및 이탈방지부의 구성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Compar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nly the wire part, the wire hanger part,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have different configurations, and other configurations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도 12는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거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and FIG. 13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hanging a display device on a wall using th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to be.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도에 체결부(92)가 마련된 와이어부(90)와, 디스플레이장치(10)와 결합된 와이어부(90)를 벽면에 걸기 위한 와이어걸이부(100)와, 와이어걸이부(100)로부터 와이어부(9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1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2, th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와이어부(90)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후술할 와이어걸이부(10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질 등으로 형성된 와이어와, 와이어(91)의 중도에 마련되어 와이어(91)를 와이어걸이부(100)에 결 합시키기 위한 체결부(92)를 포함한다.The
체결부(92)는 와이어(91)가 삽입되는 고리부(93)와, 와이어걸이부(100)와 결합하는 몸체부(97)를 포함한다.The
고리부(93)는 와이어(91)의 직경보다 고정 크기 크게 형성되어 체결부(92)가 와이어를 따라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몸체부(97 : 94,95,96)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한 쌍의 제1,2대직경부(94,95)와, 한 쌍의 제1,2대직경부(94,95)사이에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소직경부(9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body portions 97: 94, 95 and 96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ve a pair of first and second
몸체부(97)와 고리부(93)는 강성이 좋은 금속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The
체결부(92)에 대응하여 와이어걸이부(100)는 삽입부(101)가 형성되고, 삽입부(101)는 하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이탈방지부(110)가 마련된다.Corresponding to the
삽입부(101)에는 와이어걸이부(100)를 벽면에 장착하는 스크류(65)가 관통하는 스크류홀(103)이 형성된다.The
삽입부(101)의 테두리측이나 체결부(92)의 제1대직경부(9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체결부(92)가 삽입부(101)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테이퍼부(102)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 삽입부(101)에 테이퍼부(102)를 마련하고 있다.At least one of the edge portion of the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92)의 제1대직경부(94)를 삽입부(101)에 삽입하고, 하향으로 운동시키면 제1,2대직경부(94,95)사이의 소직경 부(96)가 이탈방지부(110)에 맞물리게 되어 체결부(92)의 제1대직경부(94)가 이탈방지부(110)의 배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체결부(92)가 와이어걸이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3, when the first
따라서, 체결부(92)와 연결된 와이어(91)가 와이어걸이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게 된다.Therefore, the
체결부(92)와 와이어걸이부(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영구자석(104)이 마련되며, 다른 하나는 금속재로 마련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영구자석(104)은 체결부(92)의 제1대직경부(94)의 전면에 마련되거나, 와이어걸이부(100)의 삽입부(101)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 와이어걸이부(100)의 삽입부(101)에 영구자석(104)을 마련한다.
이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시 설치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아니하여 체결부(92)를 와이어걸이부(100)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못하는 경우에도 영구자석(104)의 자력에 의해 체결부(92)가 와이어걸이부(100)의 삽입부(101)에 인접하는 경우 체결부(92)가 삽입부(101)에 삽입된다.This is because, even when the display device is not secured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the
이 후 디스플레이장치(10)의 수평을 맞추는 등의 동작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를 움직이면 이와 연결된 와이어(20)가 움직이게 되는데, 이와 같이 와이어(20)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길이방향을 길게 형성된 이탈방지부(110)에 의해 제1대직경부(94)가 걸림상태를 유지하여 이탈이 방지되고, 체결부(92)가 삽입부(101)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영구자석(104)의 자력에 의해 체결부(92)가 삽입부(101)에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와이어(91)가 와이어걸이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체결부(92)와 와이어걸이부(100)의 형상은 본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 예로 체결부는 제2대직경부가 생략되어도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와이어걸이부의 삽입공은 도12에 개시된 것이 비해 소정정도 크게 마련되어 체결부가 보다 용이하게 와이어걸이의 삽입공을 안내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The shape of the
다음은 제1실시예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와이어걸이부를 일 벽면에 장착시키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mounting the wire hook portion of th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first embodiment on one wall.
도 10은 제1실시예의 와이어걸이부를 벽면에 장착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f mounting the wire hook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n a wall surface.
먼저 도 10(a)에서와 같이 드릴 등을 이용하여 벽면에 홀을 형성하고, 도 10(b)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앵커(67)를 홀에 삽입하고, 도 10(c)와 같이 이탈방지부(70)가 결합된 와이어걸이부(60)를 벽면의 홀에 위치시킨 후 스크류(65)를 결합시키면, 스크류(65)의 결합시 앵커(67)가 벽면의 홀의 내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된다. 이후, 와이어걸이부(60)에 캡부(66)를 장착하여 벽면에 대한 와이어걸이부(60)의 고정을 완료한다.First, as shown in FIG. 10 (a), holes are formed in the wall using a drill or the like, and as shown in FIG. 10 (b), an
이 때 앵커는 일 예로 플러그앵커(plug anchor)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anchor may be, for example, a plug anchor.
이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된 와이어부(20)를 와이어걸이부(60)에 걸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를 완료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5, the
다음은 제1실시예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벽면에 고정시키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an operation of fixing to another wall surface by using th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1은 제1실시예의 와이어걸이부를 벽면에 장착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f attaching the wire hook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o a wall surface.
다른 형태의 벽면은 일 예로 일반적인 제1벽면(A)의 전방에 소정간격 이격된 제2벽면(B)이 마련된 이중 벽면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nother form of the wall surface may be formed as a double wall structure having, for example, a second wall surface B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ront of the general first wall surface (A).
먼저 도 11(a)에서와 같이 드릴 등을 이용하여 제2벽면(B)에 홀을 형성하고, 도 11(b)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앵커(68)를 홀에 삽입하고, 도11(c)와 같이 이탈방지부(70)가 결합된 와이어걸이부(60)를 제2벽면(B)의 홀에 대응하는 위치로 위치시킨 후 스크류(65)를 결합시키면, 스크류(65)의 결합시 앵커(68)가 제2벽면(B)의 홀의 내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된다. 이후, 와이어걸이부(60))에 캡부(66)를 장착하여 벽면에 대한 와이어걸이부(60)의 고정을 완료한다.First, as shown in FIG. 11 (a), a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wall surface B by using a drill or the like, and as shown in FIG. And, as shown in Figure 11 (c) by placing the
이 때 이중 벽면구조에서는 앵커의 일 예로 앵커를 삽입하면 앵커 끝단이 펼쳐지는 토글앵커(toggle anchor)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double wall structure may be a toggle anchor in which the end of the anchor is extended when the anchor is inserted as an example of the anchor.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제 2, 3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와이어걸이부를 벽면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may of course fix the wire hanger to the wall in the same manner as shown in FIGS. 10 and 11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mbodiment.
다음은 도 2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fixing unit of th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도 14는 도 2의 일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다.FIG. 14 is an assembly view of the fixing unit side of the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FIG. 2.
도 2의 일 변형예는 제1 내지 제 3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유닛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2 is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unit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other configuration may be made the same as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도 2의 일 변형예에 따른 고정유닛(12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며 와이어부(110)가 고정되는 제1케이스(121)와, 제1케이스(121)와 결합하여 제1케이스(121)의 전면을 폐쇄하는 제2케이스(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fixing
제1케이스(121)의 외주면에는 와이어부(110)의 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와이어삽입공(123)이 형성되고, 제1케이스(121)의 배면 테두리에는 벽면과의 충돌시 손상 및 소음을 방지하는 제1완충부재(124)가 마련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와이어삽입공(123)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와이어부(110)의 단부에는 와이어삽입공(123)에 대응하여 와이어부(110)가 고정유닛(12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이탈방지부(111)가 마련된다.The female thread part is formed in the
이탈방지부(111)는 와이어삽입공(123)에 대응하여 수나사 형태로 마련되며, 금속재의 와이어부(110)의 단부에 다이캐스팅 등을 통해 와이어부(110)의 두께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따라서, 와이어부(110)를 한 쌍의 고정유닛(120)의 제1케이스(121)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공(123)에 스크류 결합하여 와이어부(110)가 고정유닛(1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Accordingly, the
제2케이스(122)는 중심부에 결합스크류(85)가 삽입될 수 있는 스크류홀(125)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이탈방지부(111)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홀(126)이 형성된다.The
와이어부(110)는 고정유닛(120)에 견고하게 스크류 결합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10)를 벽면에 거는 경우 와이어부(110)에 큰 하중이 걸려 와이어부(110)를 당기는 힘이 커지더라도 이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다음은 도 2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fixing unit of th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도 15는 도 2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다.FIG. 15 is an assembly view of the fixing unit side of the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FIG. 2.
도 2의 다른 변형예는 제1 내지 제 3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유닛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2 is different in configuration of the fixing unit compared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but the other configuration may be the same as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도 2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고정유닛(14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며 와이어부(130)가 고정되는 제1케이스(141)와, 제1케이스(141)와 결합하여 제1케이스(141)의 전면을 폐쇄하는 제2케이스(142)와, 와이어부(130)와 결합되어 제1,2케이스(141,142)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삽입되는 고정부재(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fixing
제1케이스(141)의 외주면에는 와이어부(130)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어삽입 공(144)이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1케이스(141)의 배면 테두리에는 벽면과의 충돌시 손상 및 소음을 방지하는 제1완충부재(145)가 마련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와이어삽입공(144)은 와이어부(130)가 삽입되도록 제1케이스(141)의 배면으로부터 절개된다.The
와이어부(130)는 고정부재(143)에 의해 단부가 고정되는데, 고정부재(143)는 금속재질의 환형상으로 마련되어 외주면에는 와이어부(130)의 단부가 삽입되는 와이어홀(146)이 형성된다. The end of the
와이어부(130)를 와이어홀(146)에 삽입하여 고정부재(143)의 외주측에서 내주측으로 관통시킨 후, 와이어부(130)의 단부에 이탈방지부(131)를 형성하여 와이어부(130)가 고정부재(14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이탈방지부(131)는 금속재의 와이어(130)의 단부에 다이케스팅 등을 통해 와이어홀(14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제2케이스(142)는 중심부에 결합스크류(85)가 삽입될 수 있는 스크류홀(147)이 형성된다.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와이어부(130)가 결합된 고정부재(143)를 제1케이스(141)내에 안착시키고, 제1케이스(141)의 와이어삽입공(144)에 와이어부(130)의 중도를 수용시킨 후, 제2케이스(142)를 제1케이스(141)에 결합하고 결합스크류(85)를 이용하여 고정유닛(140)을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결합시킨다. In such a configuration, the fixing
와이어부(130)에는 이탈방지부(131)가 견고하게 형성됨으로써 큰 하중이 걸리는 경우에도 와이어부(130)가 고정부재(14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 으며, 고정부재(143)는 제1,2케이스(141,142)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수용된 채로 결합스크류(85)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 배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큰 하중에도 불구하고 고정부재(143)가 제1,2케이스(141,142)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도 16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unit side of the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FIG. 2, and FIG. 17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the fixing unit corresponding to FIG. 16.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는 제1 내지 제 3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유닛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2 is another variation of the fixed unit compared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other configuration can be made the same as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고정유닛(160)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61)와, 이와 결합하는 제2케이스(1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제1케이스(161)와 제2케이스(162)는 후크 구조에 의해서 결합/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162)가 제1케이스(161)에 삽입될 때 제2케이스(162)의 제2단턱(161a)이 제1케이스(161)의 제1단턱(161a)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케이스(162)의 커버(162b)는 제1케이스(161)의 전면을 폐쇄할 수 있다.The
제1케이스(161)는 와이어부(150)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어삽입공(16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삽입공(163)은 제1케이스(161)의 테두리의 어느 한 지 점에서 소정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스(161)는 볼부(151)를 수용하기 위한 볼안착부(16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볼안착부(164)는 와이어삽입공(163)과 대응하는 제1케이스(161)의 내면의 어느 한 지점에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와이어부(150)는 그 단부에 볼부(15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볼부(151)는 다이캐스팅 등을 통하여 와이어삽입공(163)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부(150)는 와이어삽입공(163)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부(150)가 와이어삽입공(163)에 삽입되고 와이어부(150)의 볼부(151)가 제1케이스(161)의 볼안착부(164)에 지지됨으로서 와이어부(150)는 제1케이스(16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케이스(162)가 제1케이스(161)에 후크 결합하는 경우 제2케이스(162)의 커버(162b)는 제1케이스(161)의 와이어삽입공(163)을 폐쇄하기 때문에 와이어부(150)는 제1케이스(161) 및 제2케이스(16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제2케이스(162)는 그 중심부에 스크류홀(166)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합스크류(165)가 스크류홀(166)을 관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결합됨에 따라 고정유닛(160)도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또한 제2케이스(162)는 완충부재(167)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167)는 벽면에 지지되어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와이어부(150)의 중도를 와이어삽입공(163)에 삽입하고 와이어부(150)의 볼부(151)를 제1케이스(161)의 볼안착부(164)에 안착시킨 후, 제2 케이스(162)를 제1케이스(161)에 결합시켜 와이어삽입공(163)을 폐쇄한 후, 결합스크류(165)를 이용하여 고정유닛(160)을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In such a configuration, after inserting the midway of the
와이어부(150)는 견고하게 형성되는 볼부(151)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와 같이 큰 하중이 결리는 경우에도 와이어부(150)가 제1케이스(16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도 18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unit side of the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FIG. 2, and FIG. 19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the fixing unit corresponding to FIG. 18.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는 제1 내지 제 3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유닛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2 is another variation of the fixed unit compared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other configuration can be made the same as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고정유닛(18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81)와, 이와 결합하는 제2케이스(1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케이스(181)와 제2케이스(182)는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the fixing
제2케이스(182)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중심부에는 스크류홀(186)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합스크류(185)가 스크류홀(186)을 관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결합됨에 따라 고정유닛(180)도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와이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171, 1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171, 172)는 와이어부(17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이탈방지부(171)와, 제1이탈방지부(171)와 이격되어 와이어부(170)의 중도에 형성되는 제2이탈방지부(1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이탈방지부(171)와 제2이탈방지부(172)는 금속재의 와이어부(170)에 다이캐스팅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The
고정유닛(180)은 제1케이스(181)의 바깥측 외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홈(183)와, 이탈방지홈(183)를 관통하고 제1케이스(181)의 상측 외면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핀삽입홈(184)와, 이 핀삽입홈(184)에 결합하는 이탈방지핀(18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이탈방지부(171)와 제2이탈방지부(172)가 이탈방지홈(183)에 삽입되고 이탈방지핀(185)이 핀삽입홈(184)에 삽입되는 경우, 이탈방지핀(185)은 제1이탈방지부(171)와 제2이탈방지부(1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이탈방지부(171)는 이탈방지핀(185)에 의해서 탈출 경로가 차단됨으로서 와이어부(170)는 고정유닛(18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fixing
이와 같은 구성으로, 와이어부(170)의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171, 172)를 이탈방지홈(183)에 삽입하고 이탈방지핀(185)을 핀삽입홈(184)에 삽입한 후, 결합스크류(187)를 이용하여 고정유닛(180)을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In such a configuration, after the at least one
와이어부(170)는 견고하게 형성되는 이탈방지부(171, 172)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와 같이 큰 하중이 결리는 경우에도 와이어부(170)가 제1케이스(18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도 2의 실시예와 도 14 내지 19의 실시예는 와이어부를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실시예들을 개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실시예 외에 다른 구성을 이용하여 와이어부를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2 and 14 to 19 disclose embodiments for firmly fixing the wire part to the back of the display apparatus, and the wire part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apparatus by using a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above embodiment. Of course, it is possible to fix firmly.
특히 도 14 내지 도 19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와이어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4 내지 도 19는 고정유닛에 이미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부를 고정유닛으로부터 분리한 후 새로운 와이어부를 고정유닛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embodiment of Figure 14 to 19 can be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ire portion of th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That is, FIGS. 14 to 19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 a wire part which is already coupled to the fixing unit from the fixing unit, and then couple the new wire part to the fixing unit.
도 20은 본 발명의 따른 와이어부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20 is a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wire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부(17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와이어부(170)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제1와이어부(170a)와 제2와이어부(170b), 제3와이어부(170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가 변화하면 한 쌍의 상부홀(12) 각각을 연결하는 거리(G, H)의 합이 달라지기 때문에 와이어부(20)의 길이도 달라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와이어부(175) 중 적절한 길이를 가지는 어느 하나(예를 들면, 제1와이어(170a))를 선택한 후, 고정유닛(180)을 이용하여 제1와이어(170a)를 디스플레이장치(10)에 결합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20, a plurality of
또한 고정유닛(180)은 복수 개의 와이어부(170) 중 다른 하나(예를 들면, 제 2와이어(170b))와 결합할 수 있다. 고정유닛(180)과 결합하고 있는 제1와이어(170a)를 고정유닛(180)으로부터 분리한 후 제2와이어(170b)를 고정유닛(180)과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이처럼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와이어(17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고정유닛(180)과 결합시킬 수 있고, 이를 복수 개의 와이어(170) 중 다른 하나로 교체하여 고정유닛(180)과 결합시킬 수 있다.As such, one of the plurality of
이를 위해 복수 개의 와이어부(170) 각각은 고정유닛(180)과 결합/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each of the plurality of
도 14와 같이, 복수 개의 와이어부(110) 각각은 고정유닛(120)과 나사 체결 구조에 의해서 결합/분리될 수 있다. 와이어부(110)의 이탈방지부(111)는 수나사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유닛(120)의 와이어삽입공(123)은 암나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국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와이어부(1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고정유닛(120)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와이어부(110)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장치(10)에 고정할 수 있고, 이를 복수 개의 와이어부(110) 중 다른 하나로 교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each of the plurality of
또한 도 15와 같이, 복수 개의 와이어부(130) 각각은 고정유닛(140)과 결합/분리될 수 있다. 제1케이스(141)와 제2케이스(142)가 결합되는 경우 고정부재(143)는 제1케이스(141)와 제2케이스(142)에 의해서 구속됨으로서 와이어부(130)는 고정유닛(140)에 결합될 수 있고, 제1케이스(141)와 제2케이스(142)가 분리되는 경우 고정부재(143)는 제1케이스(141)와 제2케이스(142)로부터 해제됨으로서 와이어 부(130)는 고정유닛(14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결국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와이어부(1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고정유닛(140)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와이어부(130)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장치(10)에 고정할 수 있고, 이를 복수 개의 와이어부(130) 중 다른 하나로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each of the plurality of
또한 도 16과 같이, 복수 개의 와이어부(150) 각각은 고정유닛(160)과 결합/분리될 수 있다. 제1케이스(161)와 제2케이스(162)는 후크 결합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억지 끼움 방식에 의해서 제1케이스(161)와 제2케이스(162)는 결합/분리될 수 있다. 제1케이스(161)와 제2케이스(162)가 결합되는 경우 와이어부(150)의 볼부(151)는 제1케이스(161)의 볼안착부(164)에서 구속됨으로써 와이어부(150)는 고정유닛(16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제1케이스(161)와 제2케이스(162)가 분리되는 경우 와이어부(150)의 볼부(151)는 제1케이스(161)의 볼안착부(164)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와이어부(150)는 고정유닛(16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결국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와이어부(1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고정유닛(160)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와이어부(150)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장치(10)에 고정할 수 있고, 이를 복수 개의 와이어부(150) 중 다른 하나로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6, each of the plurality of
또한 도 18과 같이, 복수 개의 와이어부(170) 각각은 고정유닛(180)과 핀 체결 구조에 의해서 결합/분리될 수 있다. 와이어부(170)의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171)가 고정유닛(180)의 이탈방지홈(183)에 삽입되고 이탈방지핀(185)이 핀삽입홈(184)에 삽입되는 경우 복수 개의 와이어부(170) 각각은 고정유닛(180)과 결합을 유지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이탈방지핀(185)이 핀삽입홈(184)에서 빠지는 경우 와이어부(170)의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부(171, 172)는 고정유닛(180)의 이탈방지홈(18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결국 작업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와이어부(17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고정유닛(180)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와이어부(170)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장치(10)에 고정할 수 있고, 이를 복수 개의 와이어부(170) 중 다른 하나로 교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8, each of the plurality of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를 설치할 때 디스플레이장치(10)의 크기에 따라 와이어부(17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With this structure, the length of the
도 21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2와 도 23은 도 21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높이조절부재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3은 높이조절부재가 사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ing unit of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FIG. 2, and FIGS. 22 and 23 are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view of the fixing unit corresponding to FIG. 21. 22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is not used, Figure 23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is used.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는 제1 내지 제 3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유닛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2 is another variation of the fixed unit compared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other configuration can be made the same as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고정유닛(200)은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1)와 체결부재(202), 높이조절부재(2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1 to 23, the fixing
케이스(201)는 제1케이스(201a)와 제2케이스(201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201a)와 제2케이스(201b)는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케이스(201)는 와이어부(190)를 결속할 수 있다. 케이스(201)와 와이어부(190)는 도 2 또는 도 14, 도 15, 16, 도 18의 결합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결합됨으로서, 와이어부(190)가 케이스(20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케이스(201)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벽면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201)는 그 중심부에 스크류홀 등의 체결홀(204)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 체결홀(204)에 결합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02)가 삽입되어 케이스(201)를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한편, 고정유닛(200)은 벽면에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1)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설치되고 벽면에 지지됨으로서, 케이스(201)의 높이(또는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을 벽면에 대해 이격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22, the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1)와 디스플레이장치(10)의 사이에는 높이조절부재(203)가 개재(介在)될 수 있다. 케이스(201)와 높이조절부재(203)는 하나의 유닛처럼 일체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된 케이스(201)와 높이조절부재(203)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설치되고 벽면에 지지됨으로서,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된 케이스(201)와 높이조절부재(203)의 높 이(또는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을 벽면에 대해 이격시킬 수 있다. 다만, 높이조절부재(203)가 개재됨에 따른 높이조절부재(203)에 의한 길이 변화에 해당하는 만큼 체결부재(202)도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3, the
결국 작업자는 선택적으로 높이조절부재(203)를 사용하여 벽면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는 잭(jack) 등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잭(jack)의 설치를 위해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이 벽면으로부터 적정 간격 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As a result, the operator may selectively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도 24는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5와 도 26은 도 24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unit of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2, and FIGS. 25 and 26 are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view of the fixing unit corresponding to FIG. 24.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는 제1 내지 제 3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유닛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2 is another variation of the fixed unit compared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other configuration can be made the same as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고정유닛(220)은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21)와 체결부재(222), 높이조절부재(2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케이스(221)는 제1케이스(221a)와 제2케이스(222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221a)와 제2케이스(221b)는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 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케이스(221)는 와이어부(210)를 결속할 수 있다. 케이스(221)와 와이어부(210)는 도 2 또는 도 14, 도 15, 16, 도 18의 결합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결합됨으로서, 와이어부(210)가 케이스(2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한편, 케이스(221)와 높이조절부재(223)는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23)는 그 중심부에 스크류홀 등의 체결홀(224)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 체결홀(224)에 결합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22)가 삽입되어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된 케이스(221)와 높이조절부재(223)를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높이조절부재(223)는 케이스(221)에 결합하되, 케이스(22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23)와 케이스(221)는 나사 체결 구조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23)는 케이스(221)의 중심부에 삽입되는데, 높이조절부재(223)와 케이스(221)가 서로 접촉하는 지점에 나사 체결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조절부재(223)에 외면에는 나사돌기(225)가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221)의 내면에는 나사돌기(225)와 대응하는 걸림돌기(2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높이조절부재(223)가 케이스(221)에 대해 상대 회전함에 따라 높이조절부재(223)는 케이스(221) 내측으로 들어가거나 케이스(221) 외측으로 나올 수 있다.The
결국 작업자는 높이조절부재(223)를 동작시켜 벽면에 대한 디스플레이장 치(10)의 배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을 벽면으로부터 멀리 이격시키기 위해서 높이조절부재(223)를 케이스(221)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 높이조절부재(223)가 케이스(221) 외측으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조절한 후 체결부재(222)를 이용하여 고정유닛(220)을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벽면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의 이격 거리를 좀더 가깝게 유지하기 위해서 높이조절부재(223)를 케이스(221)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 높이조절부재(223)가 케이스(221)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조절한 후 체결부재(222)를 이용하여 고정유닛(220)을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operator can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잭(jack)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이 벽면으로부터 적정 간격 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when a jack or the like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도 27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8와 도 29는 도 27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ing unit of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FIG. 2, and FIGS. 28 and 29 are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view of the fixing unit corresponding to FIG. 27.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는 제1 내지 제 3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유닛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2 is another variation of the fixed unit compared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other configuration can be made the same as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고정유닛(240)은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41)와 체결부재(2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케이스(241)는 제1케이스(241a)와 제2케이스(241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241a)와 제2케이스(241b)는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케이스(241)는 와이어부(230)를 결속할 수 있다. 케이스(241)와 와이어부(230)는 도 2 또는 도 14, 도 15, 16, 도 18의 결합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결합됨으로서, 와이어부(230)가 케이스(2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케이스(241)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벽면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241)는 그 중심부에 스크류홀 등의 체결홀(24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 체결홀(243)에 결합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42)가 삽입되어 케이스(241)를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체결부재(242)는 케이스(241)의 중심부에 삽입되되, 케이스(24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체결부재(242)와 케이스(241)는 나사 체결 구조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다. 체결부재(242)의 외주면에 제1나사산(242a)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홀(242)의 내주면에 제1나사산(242a)과 대응하는 제2나사산(24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부재(242)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스(241)를 체결부재(242)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에 따라 케이스(241)는 체결부재(242)를 따라서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결국 작업자는 케이스(241)를 체결부재(242)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으로서 벽 면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1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을 벽면으로부터 멀리 이격시키기 위해서 체결부재(242)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스(241)를 체결부재(242)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 케이스(241)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벽면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의 이격 거리를 좀더 가깝게 유지하기 위해서 체결부재(242)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스(241)를 체결부재(242)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 케이스(141)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더욱 가깝게 이동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operator may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에 잭(jack)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10)의 배면이 벽면으로부터 적정 간격 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when a jack or the like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도 1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다.2 is an assembly view of the fixing unit side of the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이격부재와 회전암부의 조립도이다.3 is an assembly view of the spacer and the rotary arm of th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hanger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of th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결합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hanger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of th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결합된 상태의 요부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the wire hook part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a coupled state;
도 7은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hook part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hook part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걸이부와 이탈방지부의 결합된 상태의 요부단면도이다.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wire hook portion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in a coupled st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0은 제1실시예의 와이어걸이부를 벽면에 장착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f mounting the wire hook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n a wall surface.
도 11은 제1실시예의 와이어걸이부를 벽면에 장착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f attaching the wire hook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o a wall surface.
도 12는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13은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거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FIG. 13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hanging the display apparatus on a wall using the support apparatus for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4는 도 2의 일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다.FIG. 14 is an assembly view of the fixing unit side of the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FIG. 2.
도 15는 도 2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조립도이다.FIG. 15 is an assembly view of the fixing unit side of the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FIG. 2.
도 16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분해사시도이다.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unit side of th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FIG. 2.
도 17은 도 16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태낸 도면이다.17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of the fixing unit corresponding to FIG.
도 18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측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unit side of the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FIG. 2.
도 19는 도 18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9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fixing unit corresponding to FIG.
도 20은 본 발명의 따른 와이어부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20 is a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wire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도 21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ing unit of a support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FIG. 2.
도 22와 도 23은 도 21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22 and 23 are views showing the coupling of the fixing unit corresponding to FIG.
도 24는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ing unit of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FIG. 2.
도 25와 도 26은 도 24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25 and 26 are views showing a coupling of the fixing unit corresponding to FIG.
도 27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 2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ing unit of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FIG. 2.
도 28와 도 29는 도 27에 해당하는 고정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28 and 29 are views showing a coupling of the fixing unit corresponding to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 디스플레이장치 11 : 배면10: display device 11: the back
12 : 상부홀 13 : 하부홀12: upper hole 13: lower hole
20 : 와이어부 30 : 고정유닛20: wire portion 30: fixed unit
40 : 이격부재 50 : 회전암부40: spaced member 50: rotary arm portion
60 : 와이어걸이부 61 : 헤드부60: wire hook portion 61: head portion
62 : 수용부 70 : 이탈방지부62: accommodating part 70: departure prevention part
71 : 몸체부 72 : 돌기부71: body portion 72: protrusion
73 : 걸림턱부.73: locking jaw.
Claims (37)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AT09177292T ATE554334T1 (en) | 2008-11-30 | 2009-11-27 | AUXILIARY DEVICE FOR DISPLAY DEVICE |
EP09177292A EP2161490B1 (en) | 2008-11-30 | 2009-11-27 | Supporting device to display apparatus |
CN200911000213.XA CN101915348B (en) | 2008-11-30 | 2009-11-30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
US12/627,384 US8695936B2 (en) | 2008-11-30 | 2009-11-30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
CN201210056648.1A CN102537626B (en) | 2008-11-30 | 2009-11-30 | For the supporting device of display unit |
CN201210056608.7A CN102588720B (en) | 2008-11-30 | 2009-11-30 | For the supporting device of display unit |
US13/214,350 US9282833B2 (en) | 2008-11-30 | 2011-08-22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
US13/214,330 US20110297806A1 (en) | 2008-11-30 | 2011-08-22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
US13/362,424 US20120126076A1 (en) | 2008-11-30 | 2012-01-31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0213 | 2008-11-30 | ||
KR20080120213 | 2008-11-30 | ||
KR20090015774 | 2009-02-25 | ||
KR1020090015774 | 2009-02-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1776A KR20100061776A (en) | 2010-06-09 |
KR100975570B1 true KR100975570B1 (en) | 2010-08-13 |
Family
ID=42362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0657A KR100975570B1 (en) | 2008-11-30 | 2009-11-17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5570B1 (en) |
CN (3) | CN102537626B (en) |
AT (1) | ATE554334T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8037B1 (en) * | 2011-03-08 | 2013-01-03 | 주식회사 제이아이케이솔루션 |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
KR101460233B1 (en) * | 2013-07-11 | 2014-11-1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for Controlling Magnetic Levitation Display Unit |
CN105342229B (en) * | 2015-12-13 | 2017-01-18 | 苏州市启扬商贸有限公司 | Mirror with adjustable installation position |
GB201614739D0 (en) * | 2016-08-31 | 2016-10-12 | Tomtom Int Bv | A moun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KR20220042730A (en) * | 2020-09-28 | 2022-04-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ll mount for display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same |
CN114370563B (en) * | 2020-10-15 | 2024-08-09 |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 Screen fixing devic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74021A (en) | 1996-12-06 | 1998-06-26 | Fujitsu General Ltd | Device for mounting wall-mount television receiver |
JP2002006771A (en) * | 2000-06-20 | 2002-01-11 | Fujitsu General Ltd | Attachment device for display device |
KR20030027925A (en) * | 2003-03-14 | 2003-04-07 | 주식회사 보이스피아 | Rescue request apparatus using voice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
KR200327925Y1 (en) * | 2003-06-30 | 2003-09-26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Apparatus for fixing a flat display apparatus on the wall |
KR20090117085A (en) * | 2008-05-08 | 2009-11-12 | 삼성전기주식회사 | Wall mounting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6255A (en) * | 1889-07-02 | Picture-hanger | ||
US769695A (en) * | 1903-10-15 | 1904-09-13 | Rose Mfg Company | Picture-hanging device. |
US883201A (en) * | 1906-03-22 | 1908-03-31 | Harry T Johnson | Terminal connector. |
US1675282A (en) * | 1926-11-10 | 1928-06-26 | Stransky Products Corp | Anchoring device for framed pictures and the like |
GB384616A (en) * | 1932-08-10 | 1932-12-08 | Carl Christian Frederik Herman | Improved device for maintaining suspended articles in position on walls |
US3384987A (en) * | 1966-07-07 | 1968-05-28 | Robert A. Prechtl | Picture frame righting and spacing means |
US4309017A (en) * | 1979-09-04 | 1982-01-05 | Slemmons John W | Reversable two-position frame hanger |
CN2203489Y (en) * | 1994-08-16 | 1995-07-12 | 韩云志 | Cord extension device for pull-cord switch |
CN2244880Y (en) * | 1995-08-09 | 1997-01-15 | 陈汉奎 | Concealed wall hook with cover |
CN2255775Y (en) * | 1995-09-08 | 1997-06-11 | 陈汉奎 | Wall hook for hanging frame with ropes |
US5803425A (en) * | 1997-02-24 | 1998-09-08 | Mccoy, Ii; Charles A. | Wall hanging devices and methods |
US5947438A (en) * | 1998-02-12 | 1999-09-07 | Lemire; Robert | Picture frame hanger having vertical and horizontal adjustability |
KR100461178B1 (en) * | 2002-03-26 | 2004-1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Monitor |
CN1652257A (en) * | 2005-02-23 | 2005-08-10 | 乐金电子(沈阳)有限公司 | Wall hanger for wall TV set |
US20070183866A1 (en) * | 2006-02-09 | 2007-08-09 | Hangman Products, Inc. | Self locating wall fastener |
KR100779374B1 (en) * | 2006-07-25 | 2007-11-23 | 신정훈 | Up and down reel |
-
2009
- 2009-11-17 KR KR1020090110657A patent/KR100975570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9-11-27 AT AT09177292T patent/ATE554334T1/en active
- 2009-11-30 CN CN201210056648.1A patent/CN102537626B/en active Active
- 2009-11-30 CN CN201210056608.7A patent/CN102588720B/en active Active
- 2009-11-30 CN CN200911000213.XA patent/CN101915348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74021A (en) | 1996-12-06 | 1998-06-26 | Fujitsu General Ltd | Device for mounting wall-mount television receiver |
JP2002006771A (en) * | 2000-06-20 | 2002-01-11 | Fujitsu General Ltd | Attachment device for display device |
KR20030027925A (en) * | 2003-03-14 | 2003-04-07 | 주식회사 보이스피아 | Rescue request apparatus using voice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
KR200327925Y1 (en) * | 2003-06-30 | 2003-09-26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Apparatus for fixing a flat display apparatus on the wall |
KR20090117085A (en) * | 2008-05-08 | 2009-11-12 | 삼성전기주식회사 | Wall mounting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TE554334T1 (en) | 2012-05-15 |
CN102537626B (en) | 2015-10-21 |
CN102537626A (en) | 2012-07-04 |
KR20100061776A (en) | 2010-06-09 |
CN101915348B (en) | 2014-07-09 |
CN102588720A (en) | 2012-07-18 |
CN102588720B (en) | 2015-09-02 |
CN101915348A (en) | 2010-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95936B2 (en)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 |
KR100975570B1 (en)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 |
EP2161490B1 (en) | Supporting device to display apparatus | |
EP2302280B1 (en) | Lifting device of a display apparatus | |
KR101390713B1 (en)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 |
US20080083865A1 (en) | Hanger and display | |
KR20100007682A (en)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 |
US7707691B2 (en) | Hinge assembly for electronic appliance and st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100955479B1 (en)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 |
KR101356510B1 (en) | Wall mount system of flat display | |
US20130270407A1 (en) | Universal Mount System For A Monitor | |
KR102451486B1 (en) | Easel type TV stand | |
KR20070022911A (en) | Bracket of wall tapestry type display apparatus | |
KR20040068634A (en) | Variable size hanger of flat panel video display device | |
KR101944500B1 (en) | Wall mount apparatus for display using torsion bar | |
KR100607207B1 (en) | Angle control apparatus of wall tapestry | |
JP6464033B2 (en) | Chair memo stand mounting structure and chair using the same | |
KR101464755B1 (en) | Display device | |
JP2020017593A (en) | Electronic device mounting structure | |
JP2017101386A (en) | Fixation structure for skeleton | |
JP2016175428A (en) | Monitor support structure and monitor attachment method | |
KR19990032064U (en) | Camera unit integrally installed in the cabinet of the display unit | |
KR19990013895U (en) | Mounting structure of monitor external speaker | |
JP2008292464A (en) | Floor type device for navigation | |
KR19990003570U (en) | External speaker mounting structure for moni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