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965B1 - 하수관로용 공기밸브 - Google Patents

하수관로용 공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965B1
KR100973965B1 KR1020100005801A KR20100005801A KR100973965B1 KR 100973965 B1 KR100973965 B1 KR 100973965B1 KR 1020100005801 A KR1020100005801 A KR 1020100005801A KR 20100005801 A KR20100005801 A KR 20100005801A KR 100973965 B1 KR100973965 B1 KR 100973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sewage
ho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희
최장열
윤성기
신지규
양승표
Original Assignee
(주) 삼진정밀
대전광역시 시설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진정밀, 대전광역시 시설관리공단 filed Critical (주) 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100005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로용 공기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 상부에 배출구가 돌출형성된 덮개가 결합되고,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일단에 부구가 결합되며, 타단은 덮개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회동바를 결합하고, 상기 배출구와 접하는 회동바 부분에는 신축성을 갖는 밀폐캡을 장착하여 수위에 따른 부구의 상하이동에 따라 밀폐캡이 배출구를 개폐시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빼기밸브가 설치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적은 부력에 의해서도 밀폐캡에는 강한 힘이 전달되어 밀폐캡이 신축될 수 있으므로, 배출구와의 틈이 제거되어 누수를 완전 방지할 수 있어 밸브의 효능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상기 개폐밸브 내의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레버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집수정 깊이 설치된 공기밸브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하수관로용 공기밸브{Air valve of Drainpipe}
본 발명은 하수관로용 공기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 상부에 배출구가 돌출형성된 덮개가 결합되고,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일단에 부구가 결합되며, 타단은 덮개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회동바를 결합하고, 상기 배출구와 접하는 회동바 부분에는 신축성을 갖는 밀폐캡을 장착하여 수위에 따른 부구의 상하이동에 따라 밀폐캡이 배출구를 개폐시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빼기밸브가 설치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적은 부력에 의해서도 밀폐캡에는 강한 힘이 전달되어 밀폐캡이 신축될 수 있으므로, 배출구와의 틈이 제거되어 누수를 완전 방지할 수 있어 밸브의 효능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상기 개폐밸브 내의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레버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집수정 깊이 설치된 공기밸브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하수관로용 공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생활환경의 향상과 수질보전을 위해 하수도의 정비는 금후 점점 중요성을 더해갈 것이다. 하수도의 정비에 있어서는 지형·용지·공기·공비 등의 제조건이 고려되지만 인공밀도가 비교적 낮은 곳에서는 이들면에서 유리한 관로에 의한 압송방식이 채용된다.
또한, 오니(汚泥)의 집중처리를 위해서도 압송관로에 의한 송니(送泥)가 이행되는 등 하수도에서 압송방식이 채용되는 곳은 증가경향에 있다. 이같이 모아진 하수나 오니의 처리장 내에서도 다양한 관로시스템이 가동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압송관료시스템의 운전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관로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수도 관로 상에 설치되어 관내의 물을 채울 때, 공기를 관내에서 신속하게 배출시키면서 물의 유출을 순차적으로 차단하여 관로의 통수 또는 배수 작업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공기밸브(AV)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먼저, 공기밸브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기능은 관로 내를 충수 할 때 공기를 민첩하게 배출하는 충수(充水)시의 배기와, 관로 내의 배기가 끝나면 밸브를 닫아 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지수(止水)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상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공기밸브는 중공부를 갖는 몸체 내에 부구를 설치하고, 상기 부구가 상수의 수위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을 하면서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직접 접하여 공기의 배출을 조절하거나, 별도의 보조부재를 이용하여 부구가 보조부재를 가압하여 보조부재가 배출구를 단속하는 방법으로 공기의 배출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나뉠 수 있다.
즉, 상기 두 방법은 부구 또는 부구와 연결된 보조부재가 공기 배출구와 직접 접하여 배출구를 개폐시킴으로써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배출구와 이를 개폐시키는 부구 또는 보조부재가 완전밀착되기 힘들기 때문에 틈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틈이 발생된 공기배출구조를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에 적용하게 되면, 부력보다 수압이 더 크게 작용하게 되므로, 내부 상수가 부구의 상측부까지 상승하게 되어 배출구의 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 상부에 배출구가 돌출형성된 덮개가 결합되고,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일단에 부구가 결합되며, 타단은 덮개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회동바를 결합하고, 상기 배출구와 접하는 회동바 부분에는 신축성을 갖는 밀폐캡을 장착하여 수위에 따른 부구의 상하이동에 따라 밀폐캡이 배출구를 개폐시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빼기밸브가 설치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적은 부력에 의해서도 밀폐캡에는 강한 힘이 전달되어 밀폐캡이 신축될 수 있으므로, 배출구와의 틈이 제거되어 누수를 완전 방지할 수 있어 밸브의 효능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하수관로용 공기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 내의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레버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집수정 깊이 설치된 공기밸브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하수관로용 공기밸브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하수관로에 사용되는 공기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로와 수직으로 관통홀이 연통되도록 양끝단부에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몸통과, 상기 몸통의 관통홀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반복 회전을 통해 관통홀로 유입되는 하수 및 공기를 개폐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에 관통 결합되어 디스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구동레버의 구동력을 수직에서 수평으로 회전축에 전달하는 기어박스로 구성되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의 몸체 플레이트에 연결되도록 양끝단부에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밸브의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이송홀이 형성되어 하수 및 공기가 이송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이송홀 내측에 구비되어 공기는 통과시키면서 하수 내의 이물질이 공기빼기밸브에 유입되지 않도록 여과시키는 여과망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출로가 연통되어 여과망을 통해 여과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밸브로 구성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하우징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이송홀과 연통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상부에 연통되어 하수와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배출구 하단부에 삽입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시트와, 상기 덮개의 하단면에 힌지 결합되어 밸브시트를 개폐하도록 회동되는 회동바와, 상기 회동바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부구와, 상기 돌출된 밸브시트와 접하는 회동바 부분에 결합되어 회동바의 상,하 이동으로 밸브시트를 개폐하는 신축성재질의 밀폐캡으로 구성되는 공기빼기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용 공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관로용 공기밸브는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 상부에 배출구가 돌출형성된 덮개가 결합되고,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일단에 부구가 결합되며, 타단은 덮개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회동바를 결합하고, 상기 배출구와 접하는 회동바 부분에는 신축성을 갖는 밀폐캡을 장착하여 수위에 따른 부구의 상하이동에 따라 밀폐캡이 배출구를 개폐시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빼기밸브가 설치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적은 부력에 의해서도 밀폐캡에는 강한 힘이 전달되어 밀폐캡이 신축될 수 있으므로, 배출구와의 틈이 제거되어 누수를 완전 방지할 수 있어 밸브의 효능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 내의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레버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집수정 깊이 설치된 공기밸브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공기밸브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하수관로에 사용되는 공기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로와 수직으로 관통홀이 연통되도록 양끝단부에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몸통과, 상기 몸통의 관통홀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반복 회전을 통해 관통홀로 유입되는 하수 및 공기를 개폐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에 관통 결합되어 디스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구동레버의 구동력을 수직에서 수평으로 회전축에 전달하는 기어박스로 구성되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의 몸통 플레이트에 연결되도록 양끝단부에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밸브의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이송홀이 형성되어 하수 및 공기가 이송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이송홀 내측에 구비되어 공기는 통과시키면서 하수 내의 이물질이 공기빼기밸브에 유입되지 않도록 여과시키는 여과망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출로가 연통되어 여과망을 통해 여과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밸브로 구성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하우징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이송홀과 연통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상부에 연통되어 하수와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배출구 하단부에 삽입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시트와, 상기 덮개의 하단면에 힌지 결합되어 밸브시트를 개폐하도록 회동되는 회동바와, 상기 회동바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부구와, 상기 돌출된 밸브시트와 접하는 회동바 부분에 결합되어 회동바의 상,하 이동으로 밸브시트를 개폐하는 신축성재질의 밀폐캡으로 구성되는 공기빼기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공기밸브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관로용 공기밸브(500)는 가정 및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하수가 하수시설처리장으로 이송되기 전 구역에 따라 집수정(1)에 임시저장됐다 도 3에서처럼 펌프(2)에 의해 하수시설처리장으로 배관(하수관로)을 타고 이송된다. 이때, 상기 배관의 최상층에 공기밸브(500)가 설치되어 배관 내의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개폐밸브(100)와, 이물질 제거부(200)와, 공기빼기밸브(300)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밸브(100)는 버터플라이 밸브로써,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110)과, 디스크(120)와, 회전축(130)과, 기어박스(140)로 구성되는데, 상기 몸통(110)은 하수관로와 수직으로 연통되도록 양끝단부에 플레이트(113)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하수관로를 통해 이송되는 하수 및 공기가 관통되도록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통(110)의 관통홀(111) 내주연에는 디스크(120)가 관통홀(111)을 밀폐시, 상기 디스크(1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돌기(11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120)가 구비되는 양측 몸통에는 디스크(120)과 회전축(130)이 연결되도록 연결홀(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120)는 원형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몸통(110)의 관통홀(111)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에 의해 디스크(120)가 수평으로 반복 회전되어 관통홀(111)을 통해 이송되는 하수 및 공기의 흐름을 개폐한다. 이때, 상기 디스크(120)가 수평회전을 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30)이 디스크(120)의 내부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120)의 외주연에는 몸통(110)의 관통홀(111)을 밀접하게 밀폐하기 위해 고무패킹 등의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부착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30)은 디스크(120)의 중앙부를 관통 결합하여 디스크(120)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회전축(130)은 몸통(110)의 연결홀에 관통되도록 삽입 설치되어 몸통(11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30)의 일측 끝단부는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131)가 더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131)는 몸통(110)의 외주연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30)의 타측 끝단부(지지부(131)의 반대측)는 몸통(11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축(130)을 외부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축의 외주연에는 회전축 커버(132)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 커버(132)는 몸통(110)의 외주연과 기어박스(140)의 끝단면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140)는 회전축(130)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로써, 상부면에 구동레버(141)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하고, 회전력이 기어박스(140) 내에 전달되어 수평으로 설치된 회전축(130)에 다시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140)에 의해 구동레버(141)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집수정(1)의 깊이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레버(141)는 집수정(1)의 깊이와 사용목적에 따라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2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밸브(100)를 통해 유입된 하수 내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써, 하우징(210)과, 여과망(220)과, 배출밸브(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10)은 개폐밸브(100)의 몸통(110)의 일측 플레이트(113)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공기빼기밸브(300)가 연결되도록 양끝단부에 플레이트(212)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10)의 중앙부에는 개폐밸브(100)의 관통홀(111)과 연통되도록 이송홀(211)이 형성되어 하수 및 공기가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망(220)은 하우징(210)의 상부면에 거치되어 이송홀(211)의 내측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면에 거치되도록 원형 고리형태의 거치대(221)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221)의 하단부에 하측방향으로 상광하협의 원뿔형 형태의 망(222)이 형성되며, 상기 망(222)에는 다수개의 타공(미도시)이 형성되어 하수의 유체와 공기는 통과시키면서 하수 내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의 측면 즉, 여과망(220)의 망(222)에 이물질이 걸리는 높이에 하우징(210)의 이송홀(211)과 연통되도록 배출로(23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로(231)의 끝단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개폐하도록 배출밸브(230)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빼기밸브(3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부(200)의 하우징(210) 플레이트(212)에 연결되어 이송홀(211)과 연통되는 이송관(311)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관(311)의 일측에 연통 설치된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상부를 덮고 배출구(321)가 형성된 덮개(320)와, 상기 덮개(320)의 저면에 결합되고 배출구(321)와 접하는 부분에 밀폐캡(332)이 장착되는 회동바(330)와, 상기 회동바의 일단에 결합된 부구(3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관(311)의 하단부에는 이물질 제거부(200)의 하우징(210)의 플레이트(212)와 연결되도록 플레이트(312)가 더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공기빼기밸브(300)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하수관로에 직접 연통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물질 제거부(200)의 상측부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공기빼기밸브(300)는 이물질 제거부(200)를 통해 이송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하수관로에 내포된 공기가 집중될 수 있는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31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하수와 공기가 채워지고, 상기 덮개(320)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321)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310)와 덮개(320) 사이에는 패킹(미도시)이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320)의 배출구(321)에는 배출구(32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시트(322)가 결합되어 몸체(310)의 중공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출구(321)에 근접하여 힌지(33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회동바(33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회동바(330)는 회동되면서 배출구(321)의 단부와 접하게 되며, 상기 배출구(321)의 단부와 접하는 부분에는 밀폐캡(33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폐캡(332)은 회동바(330)의 상하 회동에 의해 배출구(321)를 개방시키거나 닫히게 하는데, 이 작용에서 회동바(330)와 배출구(321) 사이의 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밀폐캡(332)의 재질로는 신축성(탄성력)을 갖는 재질인 고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바(330)의 타측단부에는 부력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부구(34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부구(340)는 상기 밀폐캡(332)을 가압하여 밀폐캡을 탄성 변형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구(340)는 자체 부력이 밀폐캡(332)의 탄성력보다 크게 발생할 수 있는 용적을 갖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100 : 개폐밸브 110 : 몸통
120 : 디스크 130 : 회전축
140 : 기어박스 200 : 이물질 제거부
210 : 하우징 220 : 여과망
230 : 배출밸브 300 : 공기빼기밸브
310 : 몸체 320 : 덮개
330 : 회동바 340 : 부구
500 : 공기밸브

Claims (2)

  1. 하수관로에 사용되는 공기밸브(500)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로와 수직으로 관통홀(111)이 연통되도록 양끝단부에 플레이트(113)가 형성되는 몸통(110)과, 상기 몸통(110)의 관통홀(111)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반복 회전을 통해 관통홀(111)로 유입되는 하수 및 공기를 개폐하는 디스크(120)와, 상기 디스크(120)에 관통 결합되어 디스크(1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30)과, 상기 회전축(130)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구동레버(141)의 구동력을 수직에서 수평으로 회전축(130)에 전달하는 기어박스(140)로 구성되는 개폐밸브(100)와;
    상기 개폐밸브(100)의 몸통(110) 플레이트(113)에 연결되도록 양끝단부에 플레이트(212)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밸브(100)의 관통홀(111)과 연통되도록 이송홀(211)이 형성되어 하수 및 공기가 이송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이송홀(211) 내측에 구비되어 공기는 통과시키면서 하수 내의 이물질이 공기빼기밸브(300)에 유입되지 않도록 여과시키는 여과망(220)과, 상기 하우징(210)의 측면에 배출로(231)가 연통되어 여과망(220)을 통해 여과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밸브(230)로 구성되는 이물질 제거부(200)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200)의 하우징(210) 플레이트(212)에 연결되어 이송홀(211)과 연통되는 이송관(311)과, 상기 이송관(311)의 상부에 연통되어 하수와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상부에 결합되어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21)가 관통 형성되는 덮개(320)와, 상기 덮개(320)의 배출구(321) 하단부에 삽입 설치되어 배출구(32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시트(322)와, 상기 덮개(320)의 하단면에 힌지 결합되어 밸브시트(322)를 개폐하도록 회동되는 회동바(330)와, 상기 회동바(33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부구(340)와, 상기 돌출된 밸브시트(322)와 접하는 회동바(330) 부분에 결합되어 회동바(330)의 상,하 이동으로 밸브시트(322)를 개폐하는 신축성재질의 밀폐캡(332)으로 구성되는 공기빼기밸브(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여과망(220)은 하우징(210)의 상부면에 거치되어 이송홀(211)의 내측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면에 거치되도록 원형 고리형태의 거치대(221)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221)의 하단부에 하측방향으로 상광하협의 원뿔형 형태의 망(222)이 형성되며, 상기 망(222)에는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어 하수의 유체와 공기는 통과시키면서 하수 내의 이물질을 여과시키고,
    상기 기어박스(140)는 회전축(130)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로써, 상부면에 구동레버(141)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하고, 회전력이 기어박스(140) 내에 전달되어 수평으로 설치된 회전축(130)에 다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용 공기밸브.
  2. 삭제
KR1020100005801A 2010-01-22 2010-01-22 하수관로용 공기밸브 KR100973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801A KR100973965B1 (ko) 2010-01-22 2010-01-22 하수관로용 공기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801A KR100973965B1 (ko) 2010-01-22 2010-01-22 하수관로용 공기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965B1 true KR100973965B1 (ko) 2010-08-05

Family

ID=4275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801A KR100973965B1 (ko) 2010-01-22 2010-01-22 하수관로용 공기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9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085B1 (ko) * 2010-09-30 2013-01-15 한국수자원공사 공기밸브의 누수방지 스크린 장치
KR102228908B1 (ko) * 2021-01-05 2021-03-18 주식회사 프로세이브 상수도관 공기배출설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2006U (ko) * 1989-09-26 1991-05-21
JPH11201320A (ja) * 1998-01-08 1999-07-30 Kitz Corp バルブの結露防止装置
JP2000046211A (ja) * 1998-07-28 2000-02-18 Nippo Valve:Kk ストレーナ内蔵ボール止水栓及び該止水栓用ストレーナ
JP2005061523A (ja) * 2003-08-12 2005-03-10 Tlv Co Ltd 排気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2006U (ko) * 1989-09-26 1991-05-21
JPH11201320A (ja) * 1998-01-08 1999-07-30 Kitz Corp バルブの結露防止装置
JP2000046211A (ja) * 1998-07-28 2000-02-18 Nippo Valve:Kk ストレーナ内蔵ボール止水栓及び該止水栓用ストレーナ
JP2005061523A (ja) * 2003-08-12 2005-03-10 Tlv Co Ltd 排気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085B1 (ko) * 2010-09-30 2013-01-15 한국수자원공사 공기밸브의 누수방지 스크린 장치
KR102228908B1 (ko) * 2021-01-05 2021-03-18 주식회사 프로세이브 상수도관 공기배출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020B1 (ko) 수충격방지용 공기밸브장치
CN210656407U (zh) 污水处理装置
CA2683616A1 (en) Dust-removal managing pit
US6202677B1 (en) Multi-functional cleaning and filtering system for aquarium tank
KR100973965B1 (ko) 하수관로용 공기밸브
CN207791464U (zh) 一种自清洗易排水的桶
CN105240049B (zh) 一种煤矿瓦斯抽放管路放水装置
CN211215631U (zh) 一种自动防堵塞ppr安全阀
CN107902204A (zh) 一种自清洗易排水的桶
CN205616656U (zh) 一种垂荡浮子式自动掺气增氧装置
CN105318046B (zh) 一种单向阀及具有自动调节阀口大小的排泥阀装置
KR101002951B1 (ko) 상수도관용 공기밸브
CN105952939A (zh) 一种改进型双密封排气阀
KR101630437B1 (ko) 부유물 제거장치
US20100139784A1 (en) Float-controlled water inflow switching device for water pump
CN108014534A (zh) 一种渗透过滤器
CN2900645Y (zh) 双路自动供水便器水箱
CN211975898U (zh) 一种可设定压力的水利控制阀
CN209820064U (zh) 一种爆轰产物脱水装置
CN210311932U (zh) 一种日常生活垃圾存放装置
CN207739370U (zh) 一种蓄水池自动排污装置
CN207598482U (zh) 一种用于水泵水下吸管底端的底阀
CN207685269U (zh) 一种养殖污水覆膜沼气池
CN220396687U (zh) 一种污水排气阀
CN213512119U (zh) 一种水利灌溉用自动化阀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