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509B1 - 진동성형 항균온열황토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동성형 항균온열황토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509B1
KR100973509B1 KR20090128802A KR20090128802A KR100973509B1 KR 100973509 B1 KR100973509 B1 KR 100973509B1 KR 20090128802 A KR20090128802 A KR 20090128802A KR 20090128802 A KR20090128802 A KR 20090128802A KR 100973509 B1 KR100973509 B1 KR 100973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microbial
vibration
ocher
plate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2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근
Original Assignee
권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대근 filed Critical 권대근
Priority to KR2009012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6Reinforced clay-wa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05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을 이용하는 진동성형 향균 온열황토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를 주재로 하는 황토혼합물을 일정온도에서 일정시간 동안 방치한 후 진동을 이용한 진동성형과정에서 자외선을 동시에 조사하여 살균처리하고, 균의 사체가 황토판 내부에 보존토록 함으로써 균의 기피현상을 유도하고, 또한 항균물질의 첨가에 의한 균의 침투 및 성장 억제기능을 갖는 진동성형 항균 온열황토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동성형, 항균온열황토판, 천연항균물질, 내구성, 항균성

Description

진동성형 항균온열황토판 및 이의 제조방법{AN ANTIBACTERIAL YELLOW EARTH PLATE USING VIB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천연항균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항균황토혼합물, 매쉬 및 코튼면상발열체를 진동을 이용하여 적층구조를 갖도록 성형하는 황토판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황토판 제작을 위한 진동성형 과정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줌으로써 황토 내에 포함되어 있는 균을 사멸시키고, 상기 사멸된 균의 사체가 황토판 내에 보존되도록 함으로써 균의 기피현상을 유도하고, 천연항균물질에 의해 균의 생장을 억제함으로써, 진동성형에 의한 황토판의 균열발생 억제효과와, 균의 사체 및 천연항균물질에 의한 높은 항균효과를 가질 수 있는 진동성형 항균온열황토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토는 모래가 적은 분말이 주성분이어서 과거부터 주로 건축자재로 사용되어, 토담을 만들거나 초벽하는데, 기와를 이거나 맞담을 쌓는데, 구들을 놓거나 부뚜막을 거는 데 사용되었던 흙이다. 최근, 건강,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황토를 이용하여 다양한 소재의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황토를 이용하여 판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소재인 황토를 이용하여 온열 기능을 주 기능으로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서, 등록특허 10-0390336(2003.06.25) 건축 내장용 황토판 제조방법 및 그 황토판, 등록특허 10-0596604(2006.06.27) 황토판의 제조방법과 황토판을 이용한 황토방, 공개특허 특2002-0051911(2002.06.29) 천연황토판을 이용한 온돌구조 및 그 축조방법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기술들은 가압성형 황토판으로써, 대부분 건축의 벽이나, 또는 바닥면에 고정설치하여 온열기능을 주로 하는 기술로서, 항균성에 대한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함으로서 유해곤충 및 미생물의 서식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토판 내부에 균의 생장 억제는 물론 균의 침투를 방지하여 항균성이 뛰어나고, 기존의 가압성형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진동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황토혼합물 내에 포함되어 있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황토판 내의 공기의 함량을 줄여 공기의 팽창에 의한 갈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과 항균성이 뛰어난 진동성형 항균온열황토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동상태가 유지되도록 베이스판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지지를 받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저부에 인접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와, 상기 진동모터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이용하여 진동성형하기 위한 진동판으로 구성된 진동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황토판으로서,
상기 황토판은 항균황토혼합물, 매쉬, 코튼면상발열체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판 상부로 제1항균황토혼합물층, 제1매쉬층, 제2항균황토혼합물층, 코튼면상발열체층, 제3항균황토혼합물층, 제2매쉬층, 제4항균황토혼합물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면서 진동성형하고, 상기 진동성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진동판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외선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자외선을 조사하여 황토 내부에 존재하는 균을 사멸하고, 상기 사멸된 균이 황토판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항균황토혼합물은 황토 30 ~ 60wt%, 천연규사 5 ~ 30wt%, 반수석고 5 ~ 30wt%, 수산화칼슘 5 ~ 30wt%, 섬유소 5 ~ 30wt%, 게르마늄 5 ~ 30wt%, 맥반석 5 ~ 30wt% 및 물 5 ~ 15wt%를 혼합하여 조성된 황토혼합물 85 ~ 95wt%에 천연항균물질 5 ~ 15wt%를 첨가하여 조성되는 진동성형 항균온열황토판을 주요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항균온열황토판의 제조과정은 상기 항균황토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상기 항균황토혼합물을 25 ~ 35℃에서 1 ~ 2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진동성형장치의 진동판 상부로 제1항균황토혼합물층, 제1매쉬층, 제2항균황토혼합물층, 코튼면상발열체층, 제3항균황토혼합물층, 제2매쉬층, 제4항균황토혼합물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면서 진동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진동성형된 황토판을 상온에서 1 ~ 2일간 건조시키는 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천연항균물질은 올리브, 생강, 이질풀, 쑥국화, 허브를 동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제1추출물 20 ~ 80wt%와, 오미자, 초피, 구기자, 계피, 천궁을 동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제2추출물 20 ~ 8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이며,
상기 제1추출물은 올리브, 생강, 이질풀, 쑥국화, 허브를 수 처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항균수종을 1 ~ 2mm의 크기로 절단한 후에 30 ~ 60% 농도를 갖는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30 ~ 50일간 숙성시키고, 그 숙성된 항균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하층부의 항균추출물을 채취하고, 그 채취된 항균추출물을 액체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pH 6.5의 1-펜탄올(1-Pentanol)을 용리액으로 분리추출하고, 그 분리추출된 추출액을 2,000G~3,000G로 원심분리하여 하층부의 항균추출물이고,
상기 제2추출물은 오미자, 초피, 구기자, 계피, 천궁을 건조시킨 항균식물 100g에 70% 에탄올(Ethanol) 5ℓ를 가한 후, 85℃에서 3시간 동안 1차 추출하고, 상기 1차 추출 후 남은 잔사는 다시 70% 에탄올(Ethanol) 5ℓ로 2차 추출하고, 상기 1차 및 2차 추출한 여과액을 로터스피드(rotor speed) 8000rpm으로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기 원심분리를 통해 생성된 상등액만을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성형 항균온열황토판은 진동성형에 의해 황토판을 제작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줌으로써, 황토 내에 포함되어 있던 균을 사멸시키고, 상기 사멸된 균이 그대로 황토판 내에 보존되도록 함으로써 완성된 황토판으로 균의 접근 기피 효과를 가져오게 되며, 또한, 상기 황토판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항균물질에 의해 균의 생장을 억제함으로써 높은 항균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가압성형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진동성형을 통해 황토판을 제작함으로써 제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황토혼합물 내에 포함되어 있던 공기가 최대한 외부로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황토판 내에 남아 있는 공기의 팽창에 의한 균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기술 구성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온열황토판(100)은 항균황토혼합물, 매쉬 및 코튼면상발열체를 이용하여 적층구조를 갖도록 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항균온열황토판(100)은 제1항균황토혼합물층(101), 제1매쉬층(102), 제2항균황토혼합물층(103), 코튼면상발열체층(104), 제3항균황토혼합물층(105), 제2매쉬층(106), 제4항균황토혼합물층(107)의 적층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항균황토혼합물층(101), 제2항균황토혼합물층(103), 제3항균황토혼합물층(105), 제4항균황토혼합물층(107)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황토혼합물에 천연항균물질을 첨가하여 조성된 항균황토혼합물이다.
상기 황토혼합물은 황토 30 ~ 60wt%, 천연규사 5 ~ 30wt%, 반수석고 5 ~ 30wt%, 수산화칼슘 5 ~ 30wt%, 섬유소 5 ~ 30wt%, 게르마늄 5 ~ 30wt%, 맥반석 5 ~ 30wt%, 물 5 ~ 15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황토는 자연함수비 16 ~ 18%의 사질토의 아터버그 한계(Atterberg limit) 분류에서 보면 연경도(Consistency)가 액성한계 38 ~ 48%, 소성지수 15%이다. 황토는 탄산칼슘에 의해 느슨하게 교결되어 있는 연황색 퇴적물로서, 대개 균질하고 층리가 발달되어 있지 않으며, 공극률은 50 ~ 55% 정도로 공극률이 큰 실리 카(SiO2), 알루미나(Al2O3), 철분(Fe), 마그네슘(Mg), 나트륨(Na), 칼륨(K)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량의 탄산칼슘(CaCO3)을 가지고 있다. 이 탄산칼슘에 의해 황토는 쉽게 부서지지 않는 점력을 띠게 되며 물을 가하면 찰흙으로 변하게 된다.
또한 황토는 표면이 넓은 벌집구조로 수많은 공간이 복층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이 스펀지 같은 구멍 안에는 원적외선이 다량 흡수. 저장되어 있어 열을 받으면 발산하여 다른 물체의 분자활동을 자극시킨다.
상기 황토의 사용량이 30wt% 미만인 경우에는 온열황토판의 성형이 용이하지 않고, 6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자연건조시간이 늘어나고, 또한 균열 발생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황토의 사용량은 전체 황토혼합물에 대해 30 ~ 60wt%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규사는 화학적으로 석영(SiO2)와 같다. 자연적으로 발견된 모래는 다양한 광물, 암석 및 부서진 유리와 같은 다양한 항목의 조합으로 발견되므로 거의 순수한 형태로 발견되기는 어려우며, 규사는 부식의 과정을 통해 형성되고, 때때로 석영 모래, 단순히 모래로 명명되어 지기도 한다.
상기 천연규사의 사용량이 5wt% 미만인 경우에는 온열황토판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3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성형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천연규사의 사용량은 전체 황토혼합물에 대해 5 ~ 30wt%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수석고는 이수석고에 150 ~ 170의 열을 가하면 일부의 결정수를 잃어 생성되는 것으로, 사용량이 5wt% 미만인 경우에는 온열황토판의 건조시간이 지연되고, 3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건조시간을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 반수석고의 사용량은 전체 황토혼합물에 대해 5 ~ 30wt%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소석회)은 황토혼합물에 포함됨으로써 황토판의 경화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사용량이 5wt% 미만인 경우에는 황토판의 경화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고, 3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줄어들어 황토판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수산화칼슘의 사용량은 전체 황토혼합물에 대해 5 ~ 30wt%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소는 쑥 또는 짚으로부터 취출한 섬유재를 분쇄한 단편을 사용하는 것으로, 황토혼합물에 포함됨으로써 황토판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 섬유소의 사용량이 5wt% 미만인 경우에는 황토판의 내구성 증진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3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줄어들어, 성형이 용이하지 못하고, 크랙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섬유소의 사용량은 전체 황토혼합물에 대해 5 ~ 30wt%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르마늄(Ge)은 반도체적 성질로 인해 피부에 접촉하면 외곽전자가 체내에 들어가 생명력을 높이는 작용과 각종 유해물과 함께 20 ~ 30시간 안에 몸 밖으로 배출된다. 게르마늄은 무기게르마늄과 유기게르마늄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무기게르마늄은 Ge, GeO2 형태가 있고, 유기게르마늄은 2-carboxyethlygermanium sesquioxide[Ge-132(GeCH2CH2COOH)2O3], spirogermanium[(N,N-demethyl-aminoproypyl)-2-aza-8,8-diethyl-8-germaspiro(4,5)decane], proxigermanium(3-Oxy-germylpropionic acid polymer)이 있다.
게르마늄은 원자번호 32번, 원자량 72.59, 비중 5.323, 최외각 전자는 4S2 4P2를 가지며 녹는점(melting point)과 끓는점(boiling point)은 각각 937.4, 2,830의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게르마늄은 지각 중 평균 7.0mg/kg 차지하고 있으며, 보통 1.0 ~ 1.7 mg/kg범위 정도를 함유하고 있다. 지표의 풍화작용에서 게르마늄은 어느 정도의 이동성을 가지지만, Ge(OH)4, 점토광물, Fe Oxide, 유기물질, coal에 흡착하여 재결정을 이루며 존재하고 있다. 지표에서 게르마늄은 4+, 2+로 존재하지만 HGeO2 -, HGeO3, GeO3 2-, GeS2-와 같은 형태로도 존재한다. 게르마늄은 이온 자체로 존재하기 보다는 대부분 sulfosalt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게르마늄의 사용량이 5wt%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게르마늄의 반도체적 성질로 인해 발생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3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황토판의 성형성 및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기 게르마늄의 사용량은 전체 황토혼합물에 대해 5 ~ 30wt%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맥반석은 화강암류 중 안산반암 또는 장석반암유레 속하며 중생대 말부터 신생대 초에 걸쳐 생성된 것으로 외관상 담회색 또는 황갈색 석기에 분홍색 또는 흰색 반정들이 발달되어 있다. 맥반석은 다공질 암석으로 약리작용, 유해물질 흡착, 미네랄 용출, 수질조절, 용존산소량 증가, 원적외선 방사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와 일본에서는 원석을 파분쇄하여 입도별로 분류하여 바이오 세라믹 원료, 건축자재, 실내청정제, 화장품, 미용제, 식품보조제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맥반석은 먼저 흡착작용이 강하다. 즉, Cd, Hg등의 중금속과 잔류염소, 대장균, 방사성 물질을 흡착한다.
상기 맥반석의 사용량이 5wt% 미만인 경우에는 맥반석을 이용한 유해물질의 흡착기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3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황토판의 성형성 및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맥반석의 사용량은 전체 황토혼합물에 대해 5 ~ 30wt%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물의 사용량이 5wt% 미만인 경우에는 황토판의 성형성 및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1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또한 성형성이 떨어지고, 제품의 크랙 발생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물의 사용량은 전체 황토혼합물에 대해 5 ~ 15wt%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토혼합물의 구체적인 배합의 예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
(단위: g)
황토 천연규사 반수석고 수산화
칼슘

섬유재
게르마늄 맥반석
배합예1 3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배합예2 600 100 50 50 50 50 50 50
배합예3 350 50 100 100 100 100 100 100
배합예4 300 300 50 50 75 75 75 75
배합예5 450 50 50 50 100 100 100 100
배합예6 400 50 300 50 50 50 50 50
배합예7 550 100 60 50 60 60 60 60
배합예8 300 60 100 300 60 60 60 60
배합예9 350 100 100 100 50 100 100 100
배합예10 400 50 50 50 300 50 50 50
배합예11 400 50 100 100 100 50 100 100
배합예12 350 100 50 50 50 300 50 50
배합예13 530 70 70 70 70 70 50 70
배합예14 370 55 55 55 55 55 300 55
배합예15 560 65 65 65 65 65 65 50
배합예16 500 50 60 60 60 60 60 150
본 발명의 항균황토혼합물은 황토혼합물 85 ~ 95wt%에 천연항균물질 5 ~ 15wt%를 첨가하여 조성되는 것으로, 상기 황토혼합물의 사용량이 85wt% 미만인 경우에는 황토판의 성형성,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9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천연항균물질에 의한 높은 항균성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황토혼합물은 천연항균물질에 대해 85 ~ 95wt%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천연항균물질의 사용량이 5wt% 미만인 경우에는 항균성이 떨어지고, 1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황토판의 성형성 및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천연항균물질은 황토혼합물에 대해 5 ~ 15wt%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항균물질은 올리브, 생강, 이질풀, 쑥국화, 허브를 동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제1추출물 20 ~ 80wt%와, 오미자, 초피, 구기자, 계피, 천궁을 동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제2추출물 20 ~ 80wt%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것으로,
상기 천연항균물질의 구체적인 배합의 예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표 2]
(단위: g)
제1추출물 제2추출물
배합예1 200 800
배합예2 800 200
배합예3 500 500
배합예4 300 700
배합예5 700 300
그리고, 상기 제1추출물은 올리브, 생강, 이질풀, 쑥국화, 허브를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항균수종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상기 항균수종의 구체적인 혼합비는 올리브 20g, 생강 20g, 이질풀 20g, 쑥국화 20g, 허브 20g이다.
상기 제1추출물의 구체적인 추출예는 상기 올리브, 생강, 이질풀, 쑥국화, 허브를 수 처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항균수종을 1 ~ 2mm의 크기로 절단한 후에 30 ~ 60% 농도를 갖는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30 ~ 50일간 숙성시키고, 그 숙성된 항균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하층부의 항균추출물을 채취하고, 그 채취된 항균추출물을 액체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pH 6.5의 1-펜탄올(1-Pentanol)을 용리액으로 분리추출하고, 그 분리추출된 추출액을 2,000G~3,000G로 원심분리하여 하층부의 항균추출물을 취한다.
상기 제2추출물은 오미자, 초피, 구기자, 계피, 천궁을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항균식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상기 항균식물의 구체적인 혼합비는 오미자 20g, 초피 20g, 구기자 20g, 계피 20g, 천궁 20g이다.
상기 제2추출물의 구체적인 추출예는 상기 항균식물을 건조한 후, 상기 건조시킨 항균식물 100g에 70% 에탄올(Ethanol) 5ℓ를 가한 후, 85℃에서 3시간 동안 1차 추출하고, 상기 1차 추출 후 남은 잔사는 다시 70% 에탄올(Ethanol) 5ℓ로 2차 추출하고, 상기 1차 및 2차 추출한 여과액을 로터스피트(rotor speed) 8000rpm으로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기 원심분리를 통해 생성된 상등액만을 추출하여 사용한다.
상기 항균황토혼합물은 상기 황토혼합물 85 ~ 95wt%에 상기 천연항균물질 5 ~ 15wt%를 첨가하여 조성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예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여기에서, 상기 황토혼합물은 상기 표 1의 배합예 2에 따라 조성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천연항균물질은 상기 표 2의 배합예 3에 따라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표 3]
(단위: g)
황토혼합물 천연항균물질
배합예1 850 150
배합예2 950 50
배합예3 500 500
배합예4 900 100
상기 항균온열황토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상태가 유지되도록 베이스판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탄성부(10)와, 상기 탄성부(10)의 지지를 받는 베이스판(20)과, 상기 베이스판(20)의 저부에 인접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30)와, 상기 진동모터(30)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이용하여 진동성형하기 위한 진동판(40)으로 구성된 진동성형장치(1)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상기 진동성형장치(1)의 상부로는 상기 진동판(40)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자외선발생장치(50)가 구성되며, 상기 자외선발생장치(50)로부터 자외선이 황토판 진동성형과정 중에 지속적으로 조사된다.
상기 자외선발생장치(50)는 석영관(501) 내부에 자외선발생부(502)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석영관(501)은 육면체형상을 이루어, 진동판(40)과 마주하는 면을 제외하고는 모두 도장처리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이 불필요하게 방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항균온열황토판(100)은 상기 진동성형장치(1)의 진동판(40) 상부로 제1항균황토혼합물층(101), 제1매쉬층(102), 제2항균황토혼합물층(103), 코튼면상발열체층(104), 제3항균황토혼합물층(105), 제2매쉬층(106), 제4항균황토혼합물층(107)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제작된다.
상기 제1항균황토혼합물층(101)은 먼저 상하 진동이 지속되는 세라믹판 상부로 3 ~ 5mm의 두께로 적층하여 2 ~ 5분간 진동을 가함으로써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항균황토혼합물층(101)의 상부로 1 ~ 2mm 두께의 제1매쉬층(102)을 적층한 후 10초 ~ 15초간 진동을 가한다.
그리고, 상기 제1매쉬층(102)의 상부로 3 ~ 5mm 두께의 제2항균황토혼합물층(103)을 적층한 후 2 ~ 5분간진동을 가함으로써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항균황토혼합물층(103)의 상부로 1 ~ 2mm 두께의 코튼면상발열체(104)를 적층한 후 10 ~ 15초간 진동을 가한다.
그리고, 상기 코튼면상발열체층(104)의 상부로 3 ~ 5mm 두께의 제2항균황토혼합물층(103)을 적층한 후 2 ~ 5분간 진동을 가하여 적층구조의 항균온열황토판(100)을 제조한 후, 상기 항균온열황토판(100)을 상온에서 1 ~ 2시간 동안 건조 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항균온열황토판 제작이 완료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성형 온열황토판의 적층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성형 항균온열황토판 제작장치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온열황토판
101: 제1항균황토혼합물층
102: 제1매쉬층
103: 제2항균황토혼합물층
104: 발열체
105: 제3항균황토혼합물층
106: 제2매쉬층
107: 제4항균황토혼합물층

Claims (5)

  1. 진동상태가 유지되도록 베이스판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탄성부(10)와, 상기 탄성부(10)의 지지를 받는 베이스판(20)과, 상기 베이스판(20)의 저부에 인접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30)와, 상기 진동모터(30)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이용하여 진동성형하기 위한 진동판(40)으로 구성된 진동성형장치(1)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황토판으로서, 상기 황토판은 황토, 천연규사, 반수석고, 수산화칼슘, 섬유소, 게르마늄, 맥반석 및 물을 혼합하여 조성된 황토혼합물에 천연항균물질을 첨가하여 조성된 항균황토혼합물, 매쉬, 코튼면상발열체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판(40) 상부로 제1항균황토혼합물층(101), 제1매쉬층(102), 제2항균황토혼합물층(103), 코튼면상발열체층(104), 제3항균황토혼합물층(105), 제2매쉬층(106), 제4항균황토혼합물층(107)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면서 진동성형하고, 상기 진동성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진동판(40)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외선발생장치(50)로부터 발생된 자외선을 조사하여 황토 내부에 존재하는 균을 사멸하고, 상기 사멸된 균이 황토판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항균황토혼합물은 황토 30 ~ 60wt%, 천연규사 5 ~ 30wt%, 반수석고 5 ~ 30wt%, 수산화칼슘 5 ~ 30wt%, 섬유소 5 ~ 30wt%, 게르마늄 5 ~ 30wt%, 맥반석 5 ~ 30wt% 및 물 5 ~ 15wt%를 혼합하여 조성된 황토혼합물 85 ~ 95wt%에,
    올리브, 생강, 이질풀, 쑥국화, 허브를 수처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항균수종을 1 ~ 2mm의 크기로 절단한 후에 30 ~ 60% 농도를 갖는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30 ~ 50일간 숙성시키고,
    그 숙성된 항균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하층부의 항균추출물을 채취하고, 그 채취된 항균추출물을 액체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pH 6.5의 1-펜탄올(1-Pentanol)을 용리액으로 분리추출하고, 그 분리추출된 추출액을 2,000G ~ 3,000G로 원심분리하여 생성된 하층부의 항균추출물인 제1추출물 20 ~ 80wt%와,
    오미자, 초피, 구기자, 계피, 천궁을 건조시킨 항균식물 100g에 70% 에탄올(Ethanol) 5ℓ를 가한 후, 85℃에서 3시간 동안 1차 추출하고, 상기 1차 추출 후 남은 잔사는 다시 70% 에탄올(Ethanol) 5ℓ로 2차 추출하고, 상기 1차 및 2차 추출한 여과액을 로터스피드(rotor speed) 8,000rpm으로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기 원심분리를 통해 생성된 상등액만을 추출한 제2추출물 20 ~ 8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천연항균물질 5 ~ 15wt%를 첨가하여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성형 항균온열황토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090128802A 2009-12-22 2009-12-22 진동성형 항균온열황토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3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8802A KR100973509B1 (ko) 2009-12-22 2009-12-22 진동성형 항균온열황토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8802A KR100973509B1 (ko) 2009-12-22 2009-12-22 진동성형 항균온열황토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509B1 true KR100973509B1 (ko) 2010-08-03

Family

ID=4275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28802A KR100973509B1 (ko) 2009-12-22 2009-12-22 진동성형 항균온열황토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5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385B1 (ko) * 2001-12-18 2004-01-31 김구해 한방 향 황토판과 그 제조방법
KR100837850B1 (ko) * 2007-06-12 2008-06-13 동서산업주식회사 토양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73156B1 (ko) * 2007-12-27 2008-12-10 (주)유성테크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KR20090010573A (ko) * 2007-07-24 2009-01-30 (주)오리엔탈드림 섬유사보강전기전도체(40)를 활용한 황토온열판넬(100)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385B1 (ko) * 2001-12-18 2004-01-31 김구해 한방 향 황토판과 그 제조방법
KR100837850B1 (ko) * 2007-06-12 2008-06-13 동서산업주식회사 토양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10573A (ko) * 2007-07-24 2009-01-30 (주)오리엔탈드림 섬유사보강전기전도체(40)를 활용한 황토온열판넬(100)의제조방법
KR100873156B1 (ko) * 2007-12-27 2008-12-10 (주)유성테크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718B1 (ko) 세라믹 숯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72801B1 (ko) 현무암을 이용한 마그마 찜질 및 건조기용 판재의 제조방법
KR20070077725A (ko) 세라믹 소결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712698A (zh) 工业废玻璃废料生产环保陶瓷釉面砖工艺
KR100973509B1 (ko) 진동성형 항균온열황토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87283B1 (ko) 건강 기능 벽돌
KR100602522B1 (ko) 원적외선 황토 도자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4297B1 (ko) 황토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황토 플레이트
KR100495571B1 (ko) 흡방습 건강타일 조성물 및 건강타일의 제조방법
KR100694806B1 (ko) 활성탄을 이용한 일라이트 흙벽돌의 제조방법
KR101506251B1 (ko) 친환경 온돌 바닥 및 온돌 침대용 마감 플레이트의 조성물과 그 마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과 그 시공방법
KR102625740B1 (ko) 폐수지 재료 및 미네랄 바인더를 이용한 단열차음재의 제조 방법 및 그 단열차음재
KR100560861B1 (ko) 감람석(올리빈)을 이용한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 및 그제조방법
KR101076467B1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화분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8368U (ko) 세라믹 숯 타일
KR100529699B1 (ko) 생황토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7145A (ko) 펄라이트를 사용한 친환경 실내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84729B1 (ko) 건축내외장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건축내외장재의 제조방법.
KR101326362B1 (ko) 피톤치드 성분을 함유한 골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34384B1 (ko) 포졸란 광물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799851B1 (ko) 황토몰탈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1150925B1 (ko) 피부마사지용 기능성 미용팩 및 그 제조방법
KR200345731Y1 (ko) 생황토 판화
KR102445964B1 (ko) 스코리아 및 황토를 혼합/압착하여 제공되는 구들장 및 구들장 제조방법
KR200250509Y1 (ko) 황토 조성물 및 그 황토 조성물로 제작된 황토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