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528B1 - Fisheye lens with replacible lens elements on the object side - Google Patents

Fisheye lens with replacible lens elements on the object s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528B1
KR100972528B1 KR1020090066730A KR20090066730A KR100972528B1 KR 100972528 B1 KR100972528 B1 KR 100972528B1 KR 1020090066730 A KR1020090066730 A KR 1020090066730A KR 20090066730 A KR20090066730 A KR 20090066730A KR 100972528 B1 KR100972528 B1 KR 100972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lens
lens elements
lens element
fish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7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68171A (en
Inventor
권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포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포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포토닉스
Publication of KR20100068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1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5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6Panoramic objectives; So-called "sky lenses" including panoramic objectives having reflect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adapted to interchange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es (AREA)

Abstract

물체쪽의 일부 렌즈 요소를 교체할 수 있는 어안 렌즈를 제공한다. 이 어안 렌즈는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다수의 렌즈 요소를 포함하는 어안 렌즈로서, 상기 다수의 렌즈 요소 중 물체쪽에 가까운 일부의 렌즈 요소가 장착되는 제1 경통과 제1 경통이 탈부착되며 상기 다수의 렌즈 요소 중 나머지 렌즈 요소가 장착되는 제2 경통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어안 렌즈를 별도의 투명 돔 없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도록 하여 우수한 품질의 영상을 획득하되, 비나 먼지 등의 환경 요인에 의한 영구적인 오염 또는 잠재적인 범죄자에 의한 고의적인 훼손이 있을시 어안 렌즈에서 물체쪽의 일부 렌즈 요소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영상 시스템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로 할 수 있다.Provided is a fisheye lens that can replace some lens elements on the object side. The fisheye lens is a fisheye lens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 elements align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herein the first barrel and the first barrel, to which some of the lens elements closer to an object are mounted, are detachable and the plurality of lenses And a second barrel on which the remaining lens elements of the elements are mounted. Such a fisheye lens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a separate transparent dome to obtain a high quality image, but if there is permanent contamination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ain or dust or intentional damage by potential criminals,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only some of the lens elements on the object side, thereby minimizing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of the imaging system.

어안 렌즈, 경통, 전면부, 몸체부 Fisheye lens, barrel, front, body

Description

물체쪽의 일부 렌즈 요소를 교체할 수 있는 어안 렌즈{FISHEYE LENS WITH REPLACIBLE LENS ELEMENTS ON THE OBJECT SIDE}FISHEYE LENS WITH REPLACIBLE LENS ELEMENTS ON THE OBJECT SIDE}

본 발명은 어안 렌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체쪽의 일부 렌즈 요소를 교체할 수 있는 어안 렌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eye le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sheye lens capable of replacing some lens elements on the object side.

안전에 대한 사회적인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보안 카메라가 설치되고 있다. 예를 들어, 후진시의 사고 방지를 위해 자동차에 후방 카메라의 설치가 점점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As social needs for safety increase, more and more security cameras are being installed. 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in reverse, the installation of rear cameras in automobiles is becoming more and more comm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의 설치 상태의 한 실시 예를 보여준다. 후방 카메라(10)는 그 안에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카메라 몸체(11)와 이미지 센서와 대향하는 결상 렌즈(imaging lens, 12)를 포함한다. 렌즈(12)의 형상은 대개 광축(OA)을 중심으로 회전대칭이며, 카메라 몸체(11) 내부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의 센서면은 광축(OA)에 수직하다. 렌즈(12)에 의해 결상된 영상은 이미지 센서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선(signal wire, SW)을 통하여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와 같은 영상 표시 수단 또는 자동차용 DVR(Digital Video Recorder)과 같은 영상 저장 수단으로 전송된다.1 shows an embodiment of an installation state of a rear camera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rear camera 10 includes a camera body 11 including an image sensor (not shown) and an imaging lens 12 opposite the image sensor. The shape of the lens 12 is usually rotationally symmetric about the optical axis OA, and the sensor surface of the image sensor provided inside the camera body 11 i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A. The image formed by the lens 12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in the image sensor, and then, through a signal wire (SW), an image display mean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nitor or a digital video recorder (DVR) such as an automobile. Is transmitted to the image storage means.

렌즈(12) 자체는 대개 방수 구조로 만들어지지 않으며, 카메라 몸체에 결합되는 렌즈 체결부(13)와 카메라 몸체(11) 사이의 틈은 특히 습기나 빗물에 취약하다. 따라서, 방수 등 보호를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하우징(housing)(14)을 이용하여 렌즈(12)와 그 주변을 덮는다. 카메라 하우징(14)은 광축(OA)에 수직하게 정렬되어 렌즈(12)와 마주보는 평면 윈도우(planar window, 14a)를 구비하고, 일단이 카메라 몸체(11)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평면 윈도우(14a)와 하우징(14) 사이, 카메라 몸체(11)와 하우징(14) 사이에는 오링(O-ring) 등과 같은 탄성 부품이 삽입되어 방수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렌즈(12)는 카메라 하우징(14)에 장착된 평면 윈도우(14a)를 통하여 외부 풍경을 포착한다.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10)의 몸체(11)는 자동차 차체(CB)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카메라 고정 수단(15, 16)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차체(CB)에 고정된다.The lens 12 itself is not usually made of a waterproof structure, and the gap between the lens fastening portion 13 and the camera body 11 which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is particularly vulnerable to moisture or rainwater. Therefore, the lens 12 and its surroundings are covered using a camera housing 14 as shown in FIG. 1 for waterproofing or the like. The camera housing 14 has a planar window 14a, which is aligned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A, facing the lens 12, one end of which is firmly fixed to the camera body 11, An elastic component such as an O-ring is inserted between the 14a) and the housing 14 and between the camera body 11 and the housing 14 to be waterproof. In this structure, the lens 12 captures the external landscape through the planar window 14a mounted to the camera housing 14. The body 11 of the vehicle rear camera 10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CB of the vehicle using camera fixing means 15 and 16 facing each other with the vehicle body CB interposed therebetween.

자동차와 같이 충격, 진동, 고온 및 저온 등 극심한 환경 변화가 발생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보안 카메라(10)의 하우징(14)에 구비된 평면 윈도우(14a)는 혹독한 조건에서 더 이상 광학 창(optical window)으로 기능할 수 없을 만큼 심하게 훼손되기도 하며, 빗물이나 먼지, 모래 바람에 의한 스크래치와 충격에 의한 평면 윈도우(14a)의 파열 등도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 평면 윈도우(14a)가 훼손되는 경우, 카메라 하우징(14)으로부터 평면 윈도우(14a)를 분리한 뒤 새로운 평면 윈도우로 교체하여 후방 카메라의 유지·보수 비용과 시간을 최소로 한다.The planar window 14a provided in the housing 14 of the security camera 10 installed in a place where extreme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shock, vibration, high temperature and low temperature occur, such as a vehicle, is no longer an optical window in harsh conditions. It may be so severely damaged that it cannot function as), and scratches by rainwater, dust, sand wind, and rupture of the flat window 14a due to impact are sufficiently predictable. If the flat window 14a is damaged, the flat window 14a is removed from the camera housing 14 and replaced with a new flat window to minimize the maintenance cost and time of the rear camera.

도 2는 종래 돔 카메라(dome camera)(20)의 대략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돔 카메라(20)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크기가 작아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보안 카 메라의 형태이다. 돔 카메라(20) 구조에서 카메라 몸체(21)는 카메라 하우징의 기단(base, 22)에 고정된 각도 조절부(23)에 장착되고, 각도 조절부(23)는 지지대(24)에 고정되어 회전한다. 기단(22)은 대개 실내벽 또는 천정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돔 카메라(20)를 실내벽 또는 천정에 고정한 후에 각도 조절부(23)를 적당한 각도로 회전시켜서 보안 카메라의 광축(OA)이 관찰(감시) 영역을 향하도록 정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렬이 완료된 후에는 기단(22)에 투명 돔(25)을 체결하여 카메라 몸체(21)를 먼지나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2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26'은 렌즈를 나타내고, 미설명 부호 '27'은 카메라 몸체(21)에 체결되는 렌즈 체결부를 나타낸다.2 shows a schematic structure of a conventional dome camera 20. The dome camera 20 is a type of security camera most widely used because of its relatively low cost and small size. In the dome camera 20 structure, the camera body 21 is mounted to the angle adjuster 23 fixed to the base 22 of the camera housing, and the angle adjuster 23 is fixed to the support 24 to rotate. do. The base end 22 is usually provided with fixing means (not shown) for fixing to the interior wall or ceiling. After fixing the dome camera 20 to the indoor wall or ceiling, the angle adjuster 23 may be rotated at an appropriate angle to align the optical axis OA of the security camera toward the observation (monitoring) area. After the alignment is completed, the transparent dome 25 may be fastened to the base end 22 to protect the camera body 21 from dust or moisture. In FIG. 2, reference numeral 26 denotes a lens, and reference numeral 27 denotes a lens coupling part fastened to the camera body 21.

때로는 잠재적인 범죄자들이 고의적으로 보안 카메라를 훼손하는 사례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망치를 이용한 강한 충격으로 돔을 파손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비하여 카메라의 기단(22)은 다이캐스팅(die casting) 방법을 사용하여 단단한 금속으로 제작하고, 상기 투명 돔(25)은 충격에 강한 PC(polycarbonate) 재질로 제작되기도 한다.Sometimes potential criminals deliberately compromise security cameras. For example, the dome may be broken by a strong impact using a hammer. In contrast, the base end 22 of the camera is made of hard metal using a die casting method, and the transparent dome 25 may be made of a polycarbonate (PC) material resistant to impact.

투명 돔(25)을 깨뜨리려는 시도 이외에도 투명 돔(25)의 표면에 스프레이 페인트를 뿌려서 보안 카메라가 영상을 포착하지 못하도록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투명 돔(25)이 훼손되어 선명한 영상을 얻지 못할 때에는 투명 돔(25)만을 교체하여 다시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카메라와 렌즈를 교체하는 대신에 저렴한 투명 돔(25)만을 교체하여 보안 카메라의 유지·보수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o attempts to break the transparent dome 25, spray paint may be sprayed onto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dome 25 to prevent the security camera from capturing images. As such, when the transparent dome 25 is damaged and a clear image is not obtained, only the transparent dome 25 may be replaced to obtain a clear image again. Therefore, instead of replacing the camera and the lens as in the embodiment of FIG. 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security camera by replacing only the inexpensive transparent dome 25.

한편, 사진 분야에서 변환 렌즈(converter lens)라고 지칭되는 특별한 종류의 렌즈가 존재한다. 참고 문헌 1 내지 3은 이와 같은 변환 렌즈의 실시 예들을 보여준다. 변환 렌즈는 세트로 구성된 마스터 렌즈(master lens)의 전면 혹은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화각을 크게 하거나, 혹은 작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렌즈를 말한다. 변환 렌즈는 표준 렌즈, 광각 렌즈 및 망원 렌즈 등을 따로 따로 구비하려면 비용도 많이 소요되고 야외 촬영을 갈 때에는 여러 개의 무거운 렌즈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을 덜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환 렌즈는 마스터(표준) 렌즈에 장착되어 효과적으로 화각을 변환시킬 수 있는 무초점 렌즈(afocal lens)로서 자체적으로 상을 형성하지 않으며, 그 내부에 조리개를 가지고 있지 않다. 특히 참고 문헌 1의 도 3A는 수중 촬영용 카메라에 장착되는 변환 렌즈 및 그 변환 렌즈에 추가로 장착되어 화각을 더 확장할 수 있는 메니스커스 렌즈(meniscus lens)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많은 카메라 제조사들이 1매 이상의 렌즈 요소를 포함하는 변환 렌즈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 변환 렌즈를 장착하여 어안 렌즈 효과를 낼 수 있는 제품들도 시판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special kind of lens which is called a converter lens in the field of photography. References 1 to 3 show embodiments of such a conversion lens. The conversion lens refers to a lens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a master lens composed of a set to provide an effect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angle of view. The conversion lens has been developed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rry several heavy lenses when it is expensive to have a standard lens, a wide-angle lens, and a telephoto lens separately. Such a conversion lens is an afocal lens mounted on a master (standard) lens and effectively converts an angle of view, and does not form an image by itself and does not have an aperture therein. In particular, FIG. 3A of Reference 1 illustrates a conversion lens mounted on an underwater camera and a meniscus lens that can be further mounted on the conversion lens to further expand the angle of view. In addition, many camera manufacturers provide conversion lenses that include one or more lens elements, and products that can produce a fisheye lens effect by installing the conversion lens are also commercially available.

최근에는 보안·감시나 엔터테인먼트, 로봇 주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어안 렌즈(fisheye lens)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어안 렌즈는 대개 화각이 160°이상이며, 입사광의 입사각과 상면(image plane)에서의 상고(image height)가 대체로 비례하는 렌즈를 지칭한다. 그런데 진정한 어안 렌즈는 화각이 180°이상인 렌즈라고 할 수 있다. 화각이 180°이상인가 이하인가에 따라서 렌즈 설계의 어려움의 정도가 현저하게 다를 뿐만 아니라, 화각이 180°이하인 경우에는 모든 방향의 영상을 동시에 얻기 위하여 최소 6대의 어안 렌즈가 필요하지만 화각이 180° 이상인 경우에는 단 2대의 어안 렌즈만 필요하기 때문이다.Recently, interest in fisheye lenses has been increas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security, surveillance, entertainment, and robot driving. A fisheye lens generally refers to a lens having an angle of view of 160 ° or more and having a generally proportional ratio between an incident angle of incident light and an image height in an image plane. However, a true fisheye lens can be said to have a lens angle of 180 ° or more. The degree of difficulty of lens design differs significa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angle of view is 180 ° or more, and when the angle of view is 180 ° or less, at least six fisheye lenses are required to simultaneously obtain images in all directions, but the angle of view is 180 °. This is because only two fisheye lenses are needed.

도 3은 참고 문헌 3 내지 4에 제시되어 있는 종래 발명의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광학적 구조와 광선의 경로를 보여준다. 이 어안 렌즈의 F-수는 2.8이고, 화각은 190°이며, 총 8매의 렌즈 요소(E11 ~ E18)를 구비하고, 1/2인치(inch) 또는 1/3인치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에 적합하도록 최적화되었다. 이 어안 렌즈의 제3 렌즈 요소(E13)와 제4 렌즈 요소(E14)는 접합 렌즈(cemented doublet)를 구성하고, 제4 렌즈 요소(E14)와 제5 렌즈 요소(E15)의 사이에 조리개(S)가 위치하며, 광학적 저대역 통과 필터(F)는 제8 렌즈 요소(E18)와 이미지 센서의 센서면(I) 사이에 위치한다.Figure 3 shows the optical structure and the path of the light beam of the fisheye le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References 3 to 4. The fish-eye lens has an F-number of 2.8, an angle of view of 190 °, with a total of eight lens elements (E 11 through E 18 ), and a 1/2 inch or 1/3 inch CCD (charge coupled) device) Optimized for the sensor. The third lens element E 13 and the fourth lens element E 14 of this fisheye lens constitute a cemented doublet, and the fourth lens element E 14 and the fifth lens element E 15 An aperture S is located between, and an optical low pass filter F is located between the eighth lens element E 18 and the sensor surface I of the image sensor.

제1 내지 제8 렌즈 요소(E11 ~ E18)는 모두 굴절식 렌즈 요소이며 두 개의 렌즈면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8 렌즈 요소(E11 ~ E18) 각각은 물체쪽의 렌즈면과 상쪽의 렌즈면을 갖는다. 제3 렌즈 요소(E13)의 상쪽 렌즈면은 제4 렌즈 요소(E14)의 물체쪽 렌즈면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8 렌즈 요소(E11 ~ E18)의 총 15개의 제1 내지 제15 렌즈면(R1 ~ R15) 중 제1, 제3, 제5, 제6, 제8, 제10, 제12, 제14 렌즈면(R1, R3, R5, R6, R8, R10, R12, R14)은 제1 내지 제8 렌즈 요소(E11 ~ E18)의 물체쪽 렌즈면을 이루고, 제2, 제4, 제6, 제7, 제9, 제11, 제13, 제15 렌즈면(R2, R4, R6, R7, R9, R11, R13, R15)은 제1 내지 제8 렌즈 요소(E11 ~ E18)의 상쪽 렌즈면을 이룬다. 참고 문헌 4의 표 2에는 이 렌즈에 대한 완전한 광학적 설계도가 제시되어 있다.The first to eighth lens elements E 11 to E 18 are all refractive lens elements and have two lens surfaces.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to eighth lens elements E 11 to E 18 has a lens surface on the object side and an lens surface on the image side. The upper lens surface of the third lens element E 13 is identical to the object-side lens surface of the fourth lens element E 14 . Accordingly, the first, third, fifth, sixth, and eighth of the fifteen first to fifteenth lens surfaces R 1 to R 15 of the first to eighth lens elements E 11 to E 18 . , The tenth, twelfth, and fourteenth lens surfaces R 1 , R 3 , R 5 , R 6 , R 8 , R 10 , R 12 , and R 14 may include first to eighth lens elements E 11 to E 18. ), And the second, fourth, sixth, seventh, ninth, eleventh, thirteenth, and fifteenth lens surfaces R 2 , R 4 , R 6 , R 7 , R 9 , R 11 , R 13 and R 15 form the upper lens surface of the first to eighth lens elements E 11 to E 18 . Table 2 in Reference 4 shows the complete optical design for this lens.

제1 및 제2 렌즈 요소(E11, E12)는 모두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볼록면(렌즈면 R1, R3)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negative meniscus lens element)이고, 굴절률이 1.7 이상이며, 아베수는 40 이상이다. 제3 렌즈 요소(E13)는 볼록면(렌즈면 R6)이 상쪽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로서 굴절률은 1.7 이상이면서 아베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30 이하이다. 제4 렌즈 요소(E14)는 볼록면(렌즈면 R7)이 상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 제3 렌즈 요소와 제4 렌즈 요소로 구성되는 접합 렌즈는 제 1 렌즈 요소(E11)와 제2 렌즈 요소(E12)의 파장에 따른 굴절능의 차이를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5 렌즈 요소(E15)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며, 제6 렌즈 요소(E16)는 양오목 렌즈 요소이고, 제7 렌즈 요소(E17) 및 제8 렌즈 요소(E18)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다. 물체쪽(object side)의 한 물점(지면의 왼쪽, 도시되지 않음)에서 비롯된 입사광은 제1 렌즈 요소(E11)의 굴절면인 제1 렌즈면(R1)으로 입사하여 제1 내지 제8 렌즈 요소(E11 ~ E18)와 광학적 저대역 통과 필터(F)를 순차적으로 지난 뒤 센서면(I)으로 수렴한다.The first and second lens elements E 11 , E 12 both have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negative meniscus lens elements with convex surfaces (lens surfaces R 1 , R 3 ) facing towards the object. ), The refractive index is 1.7 or more, and the Abbe number is 40 or more. The third lens element E 13 is a positive meniscus lens element in which the convex surface (lens surface R 6 ) faces upward, and has a refractive index of 1.7 or more and a Abbe number of 30 or less, which is relatively low. The fourth lens element E 14 is a negative meniscus lens element with a convex surface (lens surface R 7 ) facing upwards. The junction lens composed of the third lens element and the fourth lens element serves to correct a difference in refractive power according to the wavelengths of the first lens element E 11 and the second lens element E 12 . The fifth lens element E 15 is a biconvex lens element, the sixth lens element E 16 is a biconvex lens element, and the seventh lens element E 17 and the eighth lens element E 18 are biconvex. Lens element. Incident light originating from an object point on the object side (left side of the ground, not shown) is incident on the first lens surface R 1 , which is a refractive surface of the first lens element E 11 , thereby allowing the first to eighth lenses. Elements E 11 -E 18 and the optical low pass filter F sequentially pass and then converge to the sensor plane I.

도 4 및 도 5는 8개의 렌즈 요소(E11 ~ E18)로 이루어지는 종래 발명의 어안 렌즈의 광학적 구조 및 리테이너(retainer, RT)와 스페이서(spacer, SP)를 포함하는 경통(lens barrel, B) 구조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 도 4에서 광축(OA)을 기준으로 위 부분(도면의 'a' 부분)은 경통(B) 내부의 단면 구조를 보이고, 아래 부분(도면의 'b' 부분)은 경통(B)의 외주를 보인다. 도 5는 경통 내부의 단면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이다.4 and 5 illustrate an optical structure of a fishey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eight lens elements E 11 to E 18 and a lens barrel B including a retainer (RT) and a spacer (SP). ) Shows the structure at a glance. In FIG. 4, the upper portion ('a' portion of the figure) shows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inside the barrel B based on the optical axis OA, and the lower portion ('b' portion of the figure) show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rrel B. se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inside the barrel.

제1 내지 제8 렌즈 요소(E11 ~ E18)는 도 4 및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렌즈 경통(B) 내부에 광축(OA) 방향으로 차례로 정렬되며, 광축 방향으로 일부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제1 내지 제4 스페이서(SP1 ~ SP4)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제2 렌즈 요소(E12)와 제3 렌즈 요소(E13) 사이의 광축 방향의 간격은 제1 스페이서(SP1)에 의해, 제4 렌즈 요소(E14)와 제5 렌즈 요소(E15) 사이, 제5 렌즈 요소(E15)와 제6 렌즈 요소(E16) 사이, 제7 렌즈 요소(E17)와 제8 렌즈 요소(E18) 사이의 광축 방향의 간격은 각각 제2 스페이서(SP2), 제3 스페이서(SP3), 제4 스페이서(SP4)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제1 렌즈 요소(E11)와 제2 렌즈 요소(E12)는 서로 모서리 접촉(edge contact)을 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렌즈 요소(E11)와 제2 렌즈 요소(E12)의 사이에는 별도의 스페이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편 제1 렌즈 요소(E11)가 렌즈 경통(B)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리테이 너(RT)를 사용하여 제1 렌즈 요소(E11)를 경통(B)에 고정시킨다. 또한, 리테이너(RT)와 렌즈 경통(B) 사이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제1 오링(OR1)이 사용된다. 제2 오링(OR2)은 렌즈와 렌즈가 결합되는 카메라 하우징 사이의 방수를 위하여 사용된다. 제1 오링(OR1)은 렌즈 경통(B)과 제1 렌즈 요소(E11) 사이에 위치하고 렌즈 경통(B)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에 장착된다. 제2 오링(OR2)은 렌즈 경통(B)의 상쪽 측면과 카메라 하우징(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배치된다.The first to eighth lens elements E 11 to E 18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lens barrel B in the optical axis OA direc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the spacing between some lens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first to fourth spacers SP 1 to SP 4 are used. For example, the distanc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lens element E 12 and the third lens element E 13 is defined by the first spacer SP 1 , and thus the fourth lens element E 14 and the fifth lens element. The distanc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etween (E 15 ), between the fifth lens element (E 15 ) and the sixth lens element (E 16 ), and between the seventh lens element (E 17 ) and the eighth lens element (E 18 ), respectively. It is stably held by the second spacer SP 2 , the third spacer SP 3 , and the fourth spacer SP 4 . On the other hand, the first lens element E 11 and the second lens element E 12 are in edge contact with each other. Thus, no separate spacer is required between the first lens element E 11 and the second lens element E 12 . 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lens element E 11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lens barrel B, the retainer RT is used to fix the first lens element E 11 to the barrel B. In addition, a first O-ring OR 1 is used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between the retainer RT and the lens barrel B. The second O-ring OR 2 is used for waterproofing between the lens and the camera housing to which the lens is coupled. The first O-ring OR 1 is located between the lens barrel B and the first lens element E 11 and is mounted in a groov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B. The second o-ring OR 2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lens barrel B and the camera housing (not shown).

이와 같은 어안 렌즈를 후방 카메라나 돔 카메라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어안 렌즈에 고유한 문제가 발생한다. 먼저, 어안 렌즈를 사용하여 화각 180°이상의 외부 영상을 얻고자 할 경우에는 도 1과 같은 카메라 경통 구조를 사용할 수 없다. 평면 구조를 가지는 원도우에서 입사각이 큰 입사광이 전반사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2의 카메라에서와 같은 투명 돔을 사용하는 것이 유일한 현실적인 대안이다. 그런데 어안 렌즈를 투명 돔 안에 위치시킬 경우에 투명 돔의 내외 벽에서 빛이 반사되어 선명한 영상을 얻는데 장애가 된다. 특히, 외부에 강한 직사 광원이 있을 때에는 문제가 더 악화된다.When such a fisheye lens is to be used for a rear camera or a dome camera, a problem inherent to the fisheye lens occurs. First, in order to obtain an external image having an angle of view of 180 ° or more using a fisheye lens, the camera barrel structure as shown in FIG. 1 cannot be used. This is because incident light with a large incident angle causes total reflection in a window having a planar structure. Thus, using a transparent dome as in the camera of FIG. 2 is the only realistic alternative. However, when the fisheye lens is placed in the transparent dome, light is reflected from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transparent dome, which is an obstacle in obtaining a clear image. In particular, the problem is exacerbated when there is a strong direct light source outside.

그러나, 빛의 반사 문제를 고려하여 투명 돔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오염 혹은 고의적인 훼손 행위가 있을 때에 렌즈 전체 혹은 카메라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새로운 문제가 유발된다. 예를 들어, 물체쪽에 가장 가까운 제1 렌즈 요소(E11)의 제1 렌즈면(R1)에 페인트가 묻거나 혹은 모래 바람에 의한 스크래치가 발생한 경우, 제1 렌즈 요소(E11)에만 문제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렌즈를 교체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한다.However, when the transparent dome is not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reflection problem of light, a new problem arises in that the entire lens or the entire camera needs to be replaced when there is contamination or intentional damage caused by environmental factors. For example, if paint is applied to the first lens surface R 1 of the first lens element E 11 closest to the object side, or if scratches are caused by sand wind, only the first lens element E 11 has a problem. Despite this, there is an economic loss to replace the entire lens.

[참고 문헌 1] A. Inoue, "Wide converter lens system for both underwater and above-water use", 미국 특허 제6,654,179호(등록번호), 등록일 2003년 11월 25일.[Reference 1] A. Inoue, "Wide converter lens system for both underwater and above-water use", US Pat. No. 6,654,179 (registration number), registered November 25, 2003.

[참고 문헌 2] 이환선, "광각 컨버터 렌즈", 대한민국 특허 제10-0585603호(등록번호), 등록일 2006년 5월 25일.[Reference Document 2] Lee, Hwan-Seon, "Wide-angle Converter Lens",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585603 (registration number), May 25, 2006.

[참고 문헌 3] N. Miyazawa, "Front converter lens", 미국 특허 제7,170,689호(등록번호), 등록일 2007년 1월 30일.[Reference 3] N. Miyazawa, "Front converter lens", US Pat. No. 7,170,689 (registration number), registered January 30, 2007.

[참고 문헌 4] 권경일, 밀턴 라이킨, "어안 렌즈", 대한민국 특허 제10-0888922호(등록번호), 등록일 2009년 3월 10일.[Reference Document 4] Kwon Kyung-il, Milton Rykin, "Fisheye Lens", Korean Patent No. 10-0888922 (registration number), registration date March 10, 2009.

[참고 문헌 5] G. Kweon, Y. Choi, and M. Laikin, "Fisheye lens for image processing applications", J.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12, 79-87 (2008).[Reference 5] G. Kweon, Y. Choi, and M. Laikin, "Fisheye lens for image processing applications", J.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12, 79-87 (2008).

본 발명은 투명 돔을 사용하지 않고 어안 렌즈가 외부에 직접 노출되도록 하여 우수한 영상을 얻으면서도 렌즈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면 전체 렌즈를 교체하지 않고 일부 렌즈 요소만을 교체하여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구가 가능한 어안 렌즈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sheye lens to be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using a transparent dome to obtain an excellent image, and if damage occurs to the surface of the lens, the lens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replacing only some lens elements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lens. Provides a fisheye le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다수의 렌즈 요소를 포함하는 어안 렌즈는, 상기 다수의 렌즈 요소 중 물체쪽에 가까운 일부의 렌즈 요소가 장착되는 제1 경통과, 제1 경통이 탈부착되며, 상기 다수의 렌즈 요소 중 나머지 렌즈 요소가 장착되는 제2 경통을 포함한다.Fish-eye lens comprising a plurality of lens elements align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arrel is mounted to a portion of the lens element close to the object of the plurality of lens elements, the first barrel is detachable And a second barrel on which the remaining lens elements of the plurality of lens elements are mounted.

상기 제1 경통에 장착되는 상기 일부의 렌즈 요소는 물체쪽에 가장 가까운 제1 렌즈 요소이며, 상기 제1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The portion of the lens element mounted to the first barrel is the first lens element closest to the object side, and the first lens element is the negative meniscus lens element with the convex surface facing towards the object.

상기 어안 렌즈는 지지대에 고정된 상기 제2 경통에 상기 제1 경통을 탈부착할 때 상기 제2 경통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The fisheye lens further includes a fixing part for preventing the second barrel from moving when the first barrel is attached to the second barrel fixed to the suppo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다수의 렌즈 요소를 포함하는 어안 렌즈는, 상기 다수의 렌즈 요소 중 물체쪽에 가까운 일부의 렌즈 요소가 장착되는 제1 경통과, 제1 경통과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며, 상기 다수의 렌즈 요소 중 나머지 렌즈 요소가 장착되는 제2 경통과, 상기 제1 경통과 상기 제2 경통 사이의 상기 광축 방향을 따른 간격을 조절하는 경통 간격 조절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sh-eye lens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 elements aligned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may be coupled to a first barrel and a first barrel on which some lens elements closer to an object of the plurality of lens elements are mounted. And a second barrel on which the second lens barrel of the plurality of lens elements is mounted, and a barrel gap adjuster for adjusting a distance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between the first barrel and the second barrel.

본 발명은 어안 렌즈를 별도의 투명 돔 없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도록 하여 우수한 품질의 영상을 획득하되, 비나 먼지 등의 환경 요인에 의한 영구적인 오염 또는 잠재적인 범죄자에 의한 고의적인 훼손이 있을시 어안 렌즈에서 물체쪽의 일부 렌즈 요소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영상 시스템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로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a high quality image by directly exposing the fisheye lens to the outside without a separate transparent dome, the fisheye lens when there is permanent contamination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ain or dust or intentional damage by potential criminals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only some lens elements on the object side, thereby minimizing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of the imaging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어안 렌즈에 따르면, 일부 렌즈 요소, 예컨대 물체쪽에 가장 가까운 제1 렌즈 요소를 포함하는 제1 경통을 제2 경통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제1 렌즈 요소가 손상 또는 훼손되었을 때 전체 렌즈를 교체하지 않고 제1 경통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해진다. 더욱이 렌즈 전부를 카메라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되며, 평면 윈도우를 사용하는 카메라 또는 투명 돔을 사용하는 돔 카메라에서와 달리, 렌즈의 광학적 성능 저하가 나타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fisheye le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tachably attaching to the second barrel the first barrel including some lens elements, for example, the first lens element closest to the object side, the first lens element may be damaged or damaged. In this case, only the first barrel needs to be replaced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lens, thereby simplifying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repair. Moreover, it is not necessary to remove all the lenses from the camera, and unlike the camera using a flat window or the dome camera using a transparent dome, there is no optical degradation of the lens.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경통과 제2 경통을 연결하는 경통 간격 조절기를 구비함으로써 제1 경통에 장착된 렌즈 요소들과 제 2 경통에 장착된 렌즈 요소들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barrel spacing adjuster connecting the first barrel and the second barrel to accurately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lens elements mounted on the first barrel and the lens elements mounted on the second barrel. Can be.

이하 도 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7.

(제1 실시 예)(First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어안 렌즈(100)의 분해된 단면도이며, 도 7은 조립된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렌즈 요소 및 경통을 포함하는 렌즈 전체의 기계적 구조를 보여준다. 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sheye lens 10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6 and 7 show the mechanical structure of the entire lens including the lens element and the barrel of the fisheye len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어안 렌즈(100)는 물체쪽을 향하는 전면부(cover part, CP)와 상쪽을 향하는 몸체부(main body, MB)를 포함한다. 전면부(CP)는 제1 경통(110)과, 어안 렌즈(100)의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다수의 렌즈 요소(E11 ~ E18) 중 제1 경통(110)에 장착되는 일부의 렌즈 요소를 포함한다. 제1 경통(110)에 장착되는 일부의 렌즈 요소는 물체쪽에 가장 가까운 제1 렌즈 요소(E1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 요소(E11)가 제1 경통에 장착되는 일부 렌즈 요소를 구성한다. 몸체부(MB)는 제2 경통(120)과, 제1 경통(110)에 장착되는 일부의 렌즈 요소(E11)를 제외한 나머지 렌즈 요소들(E12 ~ E18)들 및 조리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경통(110)에 제1 렌즈 요소(E11)가 장착될 경우, 제2 경통(120)에는 광축을 따라 물체쪽에서 상쪽으로 제2 렌즈 요소 내지 제8 렌즈 요소(E12 ~ E18)가 차례로 장착될 수 있다. 제1 렌즈 요소 내지 제8 렌즈 요소(E11 ~ E18)의 광학적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종래 어안 렌즈의 광학적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며, 어안 렌즈(100)의 광학적 성능은 참고 문헌 4 내지 5에 제시된 어안 렌즈의 성능과 동일할 수 있다.The fisheye lens 100 includes a cover part (CP) facing toward an object and a main body (MB) facing upward. The front portion CP is the first barrel 110 and some lens elements mounted to the first barrel 110 of the plurality of lens elements E 11 to E 18 align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fisheye lens 100. It includes. Some lens elements mounted on the first barrel 110 are at least one lens element comprising a first lens element E 11 closest to the object sid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ens element E 11 constitutes some lens element mounted on the first barrel. The body portion MB includes the second barrel 120, the remaining lens elements E 12 to E 18 except for some lens elements E 11 mounted on the first barrel 110, and an aperture. .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lens element E 11 is mounted on the first barrel 110, the second barrel 120 includes the second to eighth lenses from the object side toward the image along the optical axis. Elements E 12 to E 18 can in turn be mounted. The optical structure of the first to eighth lens elements E 11 to E 18 may adopt the optical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fisheye lens shown in FIG. 3, and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fisheye lens 100 is described in Reference Documents 4 to 8. It may be identical to the performance of the fisheye lens shown in 5.

제1 경통(110)과 제2 경통(120)이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1 경통(110)은 제1 경통 체결부(111)를 구비하며, 제2 경통(120)은 제2 경통 체결부(121a)를 구비한다. 예시적인 실시 예로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통 체결부(111)는 제1 경통(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로 구현되며, 제2 경통 체결부(121a)는 제2 경통(120) 외주면의 제1 영역에 형성된 수나사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체결부의 형상 및 체결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barrel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barrel fastening portion 111 so that the first barrel 110 and the second barrel 120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barrel 120 has a second barrel fastening portion. 121a is provided. As an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FIGS. 6 to 9, the first barrel fastening portion 111 is implemented by a female screw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arrel 110, and the second barrel fastening portion 121a is It may be implemented by a male screw form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1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and the fastening method of each fastening part may be variously modified.

어안 렌즈(100)는 다수의 렌즈 요소들(E11 ~ E18) 사이에 구비되어, 이웃하는 렌즈 요소들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다수의 렌즈 요소들(E11 ~ E18)의 위치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예컨대 제1 내지 제4 스페이서(161 ~ 164)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요소들(E11 ~ E18)은 이 스페이서(161 ~ 164)에 의해 그들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최적화된 광학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The fisheye lens 100 is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lens elements E 11 to E 18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lens elements and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lens elements E 11 to E 18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pacer, for example, first to fourth spacers 161 to 164. The lens elements E 11 to E 18 can be kept constant between them by these spacers 161 to 164 to achieve optimized optical performanc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면부(CP)는 제1 렌즈 요소(E11)가 제1 경통(1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경통 체결부(111)에 체결가능한 제1 리테이너(15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리테이너(151)는 제1 경통 체결부(111)에 나사결합되는 고리 모양의 수나사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MB)는 제2 렌즈 요소(E12)가 제2 경통(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리테이너(15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front part CP may include a first fastener that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barrel fastener 111 to prevent the first lens element E 1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barrel 110. And retainer 151. For example, the first retainer 151 may be implemented as an annular male screw screwed to the first barrel fastening portion 111. Meanwhile, the body portion MB may include a second retainer 152 to prevent the second lens element E 1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barrel 120.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 경통(110)의 외주면에는 제1 경통 파지부(112)가 형성되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어안 렌즈(100)의 제1 경통(110)과 제2 경통(120)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경통 파지부(112)는 제1 경통(110)의 외주면에 구비된 돌기 또는 널링(knurling)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경통(110)에 형성된 제1 경통 파지부(112)와 제2 경통(120)을 각각 양손으로 파지하여 용이하게 제1 경통(110)과 제2 경통(120)을 결합 또는 결합해제시킬 수 있다.6 to 9, a first barrel gripping portion 112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arrel 110 such that the first barrel 110 of the fisheye len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upling or disengagement of the second barrel (120). The first barrel gripper 11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or knurling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arrel 110. The user grips the first barrel holding portion 112 and the second barrel 120 formed on the first barrel 110 with both hands,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barrel 110 and the second barrel 120 are easily coupled or combined. Can be released.

전면부(CP)는 제1 경통(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 경통 체결부(111)까지 광축(OA)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113)과, 제1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11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경통 고정 나사(114)를 더 포함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경통(110)과 제2 경통(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113)에 제1 경통 고정 나사(114)를 체결하면, 제1 경통 고정 나사(114)는 제1 경통(110)에 삽입되는 제2 경통 체결부(121a)에 강한 마찰력을 가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경통(110, 120)이 견고하게 맞물려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제1 렌즈 요소(E11)와 제2 경통(120)의 제2 렌즈 요소(E12)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The front part CP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113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A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arrel 110 to the first barrel fastening portion 111, and 1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first barrel fixing screw 114 fastened to the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113. As shown in FIG. 7, when the first barrel fixing screw 114 is fastened to the first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113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rrel 110 and the second barrel 120 are coupled, The first barrel fixing screw 114 exerts a strong friction force on the second barrel coupling portion 121a inserted into the first barrel 110.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barrels 110 and 120 are firmly engaged and relatively fix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ens element E 11 and the second lens element E 12 of the second barrel 120 is constant. Can be maintained.

설계시 의도된 광학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몸체부(MB)는 제2 경 통(120) 내에서 광축(OA)을 따라 차례로 정렬된 제2 내지 제8 렌즈 요소(E12 ~ E18)의 소정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1 내지 제4 스페이서(spacer)(161 ~ 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렌즈 요소(E12)와 제3 렌즈 요소(E13)의 간격은 제1 스페이서(161)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제4 렌즈 요소(E14)와 제5 렌즈 요소(E15)의 간격은 제2 스페이서(162)에 의해 유지되며, 제5 렌즈 요소(E15)와 제6 렌즈 요소(E16)의 간격은 제3 스페이서(163)에 의해 유지되고, 제7 렌즈 요소(E17)와 제8 렌즈 요소(E18)의 간격은 제4 스페이서(164)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스페이서(162)는 고정 조리개 겸용으로 사용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intended optical performance in the design, the body portion MB is formed of the second to eighth lens elements E 12 to E 18 arranged in sequence along the optical axis OA in the second barrel 120.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first to fourth spacers 161 to 164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lens element E 12 and the third lens element E 13 is stably maintained by the first spacer 161. Similarly, the distance between the fourth lens element E 14 and the fifth lens element E 15 is maintained by the second spacer 162 and the fifth lens element E 15 and the sixth lens element E 16 . The spacing of is maintained by the third spacer 163, and the spacing of the seventh lens element E 17 and the eighth lens element E 18 is maintained by the fourth spacer 164.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pacer 162 is used as a fixed aperture.

물체쪽으로 제2 경통(120)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2 렌즈 요소(E12)가 제2 경통(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리테이너(152)가 사용된다. 도 6 내지 도 7의 예에서, 제2 리테이너(152)는 제2 렌즈 요소(E12)가 광축(OA)을 따라 고정되도록 제2 경통(120)에 나사결합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리테이너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2 경통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retainer 152 is used to prevent the second lens element E 12 ,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second barrel 120 towards the object, from leaving the second barrel 120. In the example of FIGS. 6-7, the second retainer 152 is screwed into the second barrel 120 such that the second lens element E 12 is fixed along the optical axis O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retainer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barrel in various ways.

제1 경통(110)과 제2 경통(120)을 나사 결합하여 충분히 조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렌즈 요소(E11)의 제2 렌즈면(R2)의 외측과 제2 리테이너(152)가 맞닿을 때까지 제1 경통(110)과 제2 경통(120)이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경통(110)과 제2 경통(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리테이너(152)의 제1 면은 제1 렌즈 요소(E11)의 상쪽 렌즈면 일부와 접촉하고, 제2면은 제2 렌즈 요소(E12)의 측면(지면의 위)과 접한다. 이로써, 제1 렌즈 요소(E11)와 제2 렌즈 요소(E12)는 최적화된 광축 방향의 간격을 가지게 된다.When the first barrel 110 and the second barrel 120 are screwed together and sufficiently tightened,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lens surface R 2 of the first lens element E 11 and the second retainer 152 as described above are secured. The first barrel 110 and the second barrel 120 are close to each other until the abutment. Referring to FIG. 7,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rrel 110 and the second barrel 120 are coupled,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retainer 152 may be partially connected to the upper lens surface of the first lens element E 11 .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abuts the side of the second lens element E 12 (above the ground). In this way, the first lens element E 11 and the second lens element E 12 have an optimized spac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한편, 제2 경통(120) 외주면 상의 제1 영역에 상쪽으로 이웃하는 제2 영역에는 고정 너트(140)가 체결되는 고정 너트 체결부(121b)가 형성되고, 제2 경통(120) 외주면 상의 제2 영역에 상쪽으로 이웃하는 제3 영역에는 카메라에 장착된 렌즈 홀더(도시되지 않음)와 체결되는 렌즈 체결부(121c)가 형성된다. 렌즈 체결부(121c)는 소형의 보드 카메라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렌즈 홀더에 체결되며, 대개 12mm 수나사 또는 9mm 수나사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히타치(Hitachi) M12 수나사로 렌즈 체결부(121c)를 구현하였다. 이와 같은 렌즈 체결부는 카메라의 렌즈 홀더(Lens holder)의 나사부에 대응한다. 따라서 렌즈 체결부가 렌즈 홀더의 나사부에 결합됨으로써 렌즈와 렌즈 홀더의 안쪽에 위치한 이미지 센서(I)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fixing nut fastening portion 121b to which the fixing nut 140 is fastened is formed in a second region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120, and the seco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120 is formed. The lens fastening part 121c is fastened to a lens holder (not shown) mounted to the camera in the third area upwardly adjacent to the two areas. The lens fastening portion 121c is fastened to a lens holder which is typically provided in a small board camera, and is usually formed of a 12mm male screw or 9mm male screw.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fastening portion 121c is implemented by Hitachi M12 male thread. This lens fastening portion corresponds to the screw portion of the lens holder (Lens holder) of the camera. Therefore, the lens fasten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screw portion of the lens holder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I located inside the lens holder.

한편, 고정 너트 체결부(121b)는 도 7 및 도 9에서와 같이 어안 렌즈(100)를 벽과 같은 지지대(50)에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즉, 어안 렌즈(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지대(50)에 고정 너트 체결부가 통과할 만큼의 충분한 직경을 가지는 렌즈 삽입공(51)을 형성한 후 어안 렌즈(100)의 고정 너트 체결부(121b)가 지지대(50)에 형성된 렌즈 삽입공(51)에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도면 기준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후, 고정 너트 체결부(121b)에 대응하 는 고정 너트(140)를 지지대(50)의 안쪽에서 체결하면 어안 렌즈(100)가 지지대에 밀착하여 고정된다.Meanwhile, the fixing nut fastening part 121b is used for fixing the fisheye lens 100 to the support 50 such as a wall as shown in FIGS. 7 and 9. That is, after forming the lens insertion hole 51 having a diameter sufficient to pass through the fixing nut fastening portion in the support 50 to which the fisheye lens 100 is to be installed, the fixing nut fastening portion 121b of the fisheye lens 100 is formed. ) Is inserted into the lens insertion hole 51 formed in the support 50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direction (from left to right on the basis of the drawing). Thereafter, when the fixing nut 140 corresponding to the fixing nut fastening part 121b is fastened from the inside of the support 50, the fisheye lens 100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고정 너트 체결부(121b)는 수나사로 구현되고, 고정 너트(140)의 내주면은 고정 너트 체결부(121b)에 대응하는 암나사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 너트(140)의 외주면에는 고정 너트(140)를 용이하게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고정 너트 파지부(142)가 형성된다. 고정 너트 파지부(142)는 고정 너트의 외주면에 광축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 혹은 너얼링(Knurling)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너트(14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광축(OA)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너트 체결공(143)과, 적어도 하나의 너트 체결공(14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 고정 나사(144)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너트(140)가 제2 경통(120)에 체결된 상태에서 너트 고정 나사(144)를 너트 체결공(143)에 체결하면, 너트 고정 나사(144)는 고정 너트 체결부(121b)의 외주면에 강한 마찰력을 가한다. 따라서 고정 너트(140)와 제2 경통(120)이 견고하게 맞물려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고정 너트(140)가 제2 경통(120)으로부터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xing nut fastening part 121b may be implemented with a male screw,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nut 140 may be implemented with a female screw corresponding to the fixing nut fastening part 121b. A fixing nut gripping portion 142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nut 140 to easily hold and rotate the fixing nut 140 by hand. The fixing nut gripping portion 142 may be implemented as a protrusion or knurling form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nut. In addition, at least one nut fastening hole 143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A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nut 140 and at least one nut fastening to the at least one nut fastening hole 143 are fixed. Screw 144 may be provided. Therefore, as shown in FIG. 7, when the nut fixing screw 144 is fastened to the nut fastening hole 143 in a state where the fixing nut 140 is fastened to the second barrel 120, the nut fixing screw 144 is provided. Applies a strong frictional forc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nut fastening portion 121b. Therefore, the fixing nut 140 and the second barrel 120 are firmly engaged to be relatively fixed, and the fixing nut 14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released from the second barrel 120.

어안 렌즈(100)의 제1 경통(110)과 제2 경통(120)이 지지대(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 경통(120)으로부터 제1 경통(110)을 결합해제하거나 아니면 결합시킬 때 고정 너트(140)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2 경통(120)이 제1 경통(110)과 함께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경통(120)이 제1 경통(110)과 같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8 및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지지대와 접하는 제2 경통(120)의 상쪽 일측면(이하, 지지대 접촉면이라 함) 상에 고정부(125)를 구비할 수 있다. When releasing or otherwise engaging the first barrel 110 from the second barrel 120 while the first barrel 110 and the second barrel 120 of the fisheye lens 100 are fixed to the support 50. Despite the fixing nut 140, the second barrel 120 may move or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barrel 110. In order to prevent the second barrel 120 from moving with the first barrel 110 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arrel 120 in contact with the support as shown in FIGS. 8 and 9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upport contact surface). It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125).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1 실시 예에서 고정부(125)는 제2 경통(120)의 상측 측면에 광축(OA)과 평행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123)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12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경통 고정 나사(124)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123)은 제2 경통 체결부(121a)와 고정 너트 체결부(121b)의 경계면에 형성된다.6 to 9, the fixing part 125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123 formed in parallel with an optical axis OA on an upper side of the second barrel 120. And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screw 124 fastened to the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123. As illustrated in FIGS. 6 and 7,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123 is formed at an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barrel fastening part 121a and the fixing nut fastening part 121b.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대(50)에 형성된 렌즈 삽입공(51)의 둘레에는 제2 경통(120)의 제2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123)과 일대일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경통 고정 나사 삽입공(52)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경통 고정 나사(124)가 제2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123)에 체결되면 제2 경통 고정 나사(124)의 일단이 지지대(50)를 관통하여 상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너트 체결부(121b)가 렌즈 삽입공(51)에 삽입될 때, 상쪽으로 돌출된 제2 경통 고정 나사(124)의 일단이 제2 경통 고정 나사 삽입공(52)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경통(110, 120)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를 위해 제1 경통(110)이 제2 경통(120)에 대해 회전하더라도, 제2 경통(120)은 광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9,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screw which has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123 of the second barrel 120 around the lens insertion hole 51 formed in the support 50. Insertion hole 52 may be provided. When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124 is fastened to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123, one end of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124 may protrude upward through the support 50. Therefore, when the fixing nut fastening portion 121b is inserted into the lens insertion hole 51, one end of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124 protruding upward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insertion hole 52. have. Therefore, even if the first barrel 110 is rotated relative to the second barrel 120 to engage or disengage the first and second barrels 110 and 120, the second barrel 120 may be in the optical axis OA. Does not rotate around the center

도 6 내지 도 9의 실시 예에서는 고정부(125)가 제 2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123)과 제 2 경통 고정 나사(124)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고정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경통 고정 나사 대신에 제 2 경통 고정 봉(fixing post)과 제 2 경통 고정봉 체결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제2 경통을 사출에 의하여 제작하여야 하는 경우에 생산비를 적게 할 수 있다.6 to 9, the fixing part 125 includes a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123 and a second barrel fixing screw 124. However, the fixing par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 second barrel fixing rod and a second barrel fixing rod fastening hole may be implemented instead of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In such a case,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when the second barrel is to be produced by injection.

한편, 고정부는 제2 경통의 지지대 접촉면 상에 돌출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경통 고정 나사(124)를 대신하여 제2 경통(120)의 지지대 접촉면 상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지지대(50)에는 제2 경통 고정 나사 삽입공(52)을 대신하여 돌출부 삽입공이 형성되어 돌출부가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더 간단한 방법으로는, 제2 경통 고정 나사(124) 또는 돌출부를 이용하지 않고, 제2 경통(120)의 지지대 접촉면에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성 테이프를 붙이는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사포 등으로 지지대 접촉면에 거친 면을 형성하여 제2 경통과 지지대의 접촉면의 마찰력을 크게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제2 경통 고정 나사나 고정봉이 광축에 평행한 방향이 아니라 수직한 방향으로 제2 경통에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제2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 혹은 제2 경통 고정봉 체결공이 제2 경통의 광축에 수직한 측면에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부는 제1 경통을 풀거나 조이더라도 제2 경통이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인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이 분명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on the support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For example, a protrusion is formed on a support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120 in place of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124, and a protrusion is formed in the support 50 in place of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insertion hole 52. An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so that the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In a simpler way, an adhesive tape such as a double-sided tape may be applied to the support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120 without using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124 or the protrusion. In addition, a method of forming a rough surface on the support contact surface with sandpaper or the like to greatly increase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and the support may be used. Alternatively,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or the rod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barrel in a vertical direction rather tha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In this case,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or the second barrel fixing bar fastening hole should be formed at a sid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f the second barrel. As such, the fixing part serves to prevent the second barrel from moving along even if the first barrel is loosened or tightened, and the specific shap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제1 실시예에 따라, 어안 렌즈의 물체쪽에 가장 가까운 제1 렌즈 요소(E11), 특히 제1 렌즈면(R1)이 훼손되었을 때 전체 렌즈를 교체하지 않고 전면부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제2 경통(120)을 카메라에서 분 리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first lens element (E 11 ) closest to the object side of the fisheye lens, in particular the first lens surface (R 1 ) is damaged, only the front part needs to be replaced, not the entire lens, so maintenance Becomes very simpl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does not need to separate the second barrel 120 from the camera.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어안 렌즈(100)의 유지 보수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즉, 교체되는 렌즈 요소의 수를 줄이기 위하여, 다수의 렌즈 요소 중 물체쪽에 가장 가까운 제1 렌즈 요소(E11)만이 제1 경통(110)에 장착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어안 렌즈의 구조만을 고려한다면 제1 렌즈 요소(E11)와 더불어 제2 렌즈 요소(E12)가 제1 경통(110) 내에 장착되고, 제2 경통(120)에는 제3 내지 제8 렌즈 요소(E13 ~ E18)가 장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fisheye lens 100, that is, to reduce the number of lens elements replaced, the first lens element E 11 closest to the object side of the plurality of lens elements E 11. ), Only the first lens element (E 11 ) and the second lens element (E 12 ) are mounted in the first barrel (110), considering only the structure of the fisheye lens. It is further preferred that the second barrel 120 is equipped with third to eighth lens elements E 13 to E 18 .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인 윈도우를 사용하는 카메라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투명 돔을 사용하는 돔 카메라에서는 평면 윈도우나 투명 돔이 렌즈의 광학적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이상적인 경우에서 도 1의 렌즈(12)를 보호하기 위한 평면 윈도우, 도 2의 렌즈(26)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 돔(25)의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동일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종래 컨버터 렌즈의 경우에도 컨버터 렌즈가 있을 때와 없을 때 화각의 차이가 있을 뿐, 컨버터 렌즈가 없이 마스터 렌즈만으로도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평면 윈도우, 투명 돔, 컨버터 렌즈는 영상을 얻기 위한 필수 구성요소가 아닌 선택적 구성요소일 뿐이다. 더욱이, 평면 윈도우, 투명 돔의 경우에는 렌즈와 정밀하게 정렬될 필요도 없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안 렌즈(100)에서 교체가능한 제1 경 통(110)의 제1 렌즈 요소(E11)는 영상을 얻기 위한 필수 구성요소이며, 제1 경통(110) 내에 장착되는 일부의 렌즈 요소(적어도 제1 렌즈 요소를 포함)와 제2 경통(120)에 장착되는 나머지 렌즈 요소들의 광축 방향의 간격이나 중심 위치, 기울어진 각도 등이 모두 정해진 오차 범위내에 존재하도록 정렬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광축 방향의 간격의 오차는 20㎛ 이내, 중심 위치로부터의 이탈(decentering)은 7.5㎛ 이내, 렌즈 요소의 기울어진 각도(tilt)는 0.01°이내가 되어야 한다.The first embodiment and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differences. First, in a camera using a flat window as shown in FIG. 1 or a dome camera using a transparent dome as shown in FIG. 2, a flat window or a transparent dome does not affect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lens. In other words, in an ideal case, the same image may be obtained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a planar window for protecting the lens 12 of FIG. 1 and a transparent dome 25 for protecting the lens 26 of FIG.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onverter len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ngle of view with and without the converter lens, and the image can be obtained only with the master lens without the converter lens. As such, conventional planar windows, transparent domes, and converter lenses are only optional components, not essential components for obtaining images. Moreover, in the case of flat windows, transparent domes, there is no need for precise alignment with the lens. On the contrary, the first lens element E 11 of the replaceable first barrel 110 in the fisheye len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for obtaining an image, and the first barrel 110 is provided. Some of the lens elements (including at least the first lens element) mounted therein and the remaining lens elements mounted on the second barrel 12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center position, the inclination angle, etc., are all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It must be aligned. For example, the error in the distanc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should be within 20 μm, the decentering from the center position within 7.5 μm, and the tilt angle of the lens element should be within 0.01 °.

(제2 실시 예)(Second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렌즈 요소들을 포함하는 렌즈의 형상과 광선의 경로를 보여준다. 이 렌즈의 F-수는 2.8이고, 화각은 240°이며, 1/2.5-inch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카메라에서 포착된 영상의 모든 방향의 화각이 240°가 되도록 입사각 120°에 대응하는 상 크기가 1.848mm로 주어진다.10 shows the shape of a lens comprising a plurality of lens elements and the path of the light r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lens has an F-number of 2.8, an angle of view of 240 °, and a 1 / 2.5-inch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The image size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angle of 120 ° is given as 1.848 mm so that the angle of view in all directions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sing such an image sensor is 240 °.

이 렌즈는 제1 그룹 내지 제3 그룹(G1 ~ G3)으로 나뉘어지는 다수 렌즈 요소(E21 ~ E29)와 조리개(S)를 포함한다. 제1 그룹(G1)은 물체쪽에서부터 제1 렌즈 요소(E21)와 제2 렌즈 요소(E22)로 구성되며, 제2 그룹(G2)은 제3 렌즈 요소(E23) 내지 제5 렌즈 요소(E23 ~ E25)로 구성되고, 제3 그룹(G2)은 제6 내지 제9 렌즈 요소(E26 ~ E29)로 구성된다.The lens comprises a plurality of lens elements E 21 to E 29 and an aperture S which are divided into first to third groups G 1 to G 3 . The first group G 1 is composed of the first lens element E 21 and the second lens element E 22 from the object side, and the second group G 2 is the third lens element E 23 to the first. It consists of five lens elements E 23 to E 25 , and the third group G 2 consists of sixth to ninth lens elements E 26 to E 29 .

제1 내지 제9 렌즈 요소(E21 ~ E29)는 모두 양면 구면인 굴절 렌즈 요소이고, 조리개(S)는 제5 렌즈 요소(E25)와 제6 렌즈 요소(E26) 사이에 위치한다. 제9 렌즈 요소(E29)와 이미지 센서면(I) 사이에는 이미지 센서면(I)을 덮는 카메라 몸체의 구성 요소 중 일부인 광학적 저대역 통과 필터(F)가 위치할 수 있다. 광학적 저대역 통과 필터(F)의 역할은 영상에서 무아레(moire) 효과를 제거하는 것이다. 도 10은 이 광학적 저대역 통과 필터를 고려하여 렌즈가 설계되었음을 보여준다.The first to ninth lens elements E 21 to E 29 are all double-sided refractive lens elements, and the aperture S is located between the fifth lens element E 25 and the sixth lens element E 26 . . An optical low pass filter F, which is part of the components of the camera body covering the image sensor plane I, may be located between the ninth lens element E 29 and the image sensor plane I. The role of the optical low pass filter (F) is to remove the moire effect in the image. 10 shows that the lens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is optical low pass filter.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9 렌즈 요소(E21 ~ E29)는 모두 굴절 렌즈 요소이며 두 개의 렌즈면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 요소는 물체쪽(object side)의 제1 렌즈면(R1)과 상쪽(image side)의 제2 렌즈면(R2)를 가지며, 제2 렌즈 요소(E22)는 물체쪽의 제3 렌즈면(R3)과 상쪽의 제4 렌즈면(R4)를 가지며, 나머지 렌즈 요소들도 제5 렌즈면(R5) 내지 제17 렌즈면(R17)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ninth lens elements E 21 to E 29 are all refractive lens elements and have two lens surfaces. For example, the first lens element has a first lens surface R 1 on the object side and a second lens surface R 2 on the image side, and the second lens element E 22 is It has a third lens surface R 3 on the object side and a fourth lens surface R 4 on the image side, and the remaining lens elements also have a fifth lens surface R 5 to a seventeenth lens surface R 17 .

물체쪽의 한 물점(object point)에서 비롯된 입사광은 제1 렌즈 요소(E21)의 굴절면인 제1 렌즈면(R1)으로 입사하여 제1 내지 제9 렌즈 요소(E21 ~ E29)와 광학적저대역 통과 필터(F)를 순차적으로 지난 뒤 센서면(I)으로 수렴한다.Incident light originating from an object point on the object side is incident on the first lens surface R 1 , which is the refractive surface of the first lens element E 21 , and the first to ninth lens elements E 21 to E 29 . After passing through the optical low pass filter F sequentially, it converges to the sensor plane I.

표 1에는 도 10에 보인 어안 렌즈에 대한 완전한 광학적 설계도가 제시되어 있다. 표 1에서 반지름(radius)과 면 두께(thickenss)의 단위는 밀리미터(millimeter)이다.Table 1 shows the complete optical design for the fisheye lens shown in FIG. 10. In Table 1, the units of radius and thicknesses are millimeters.

surface numbersurface number groupgroup elementelement surfacesurface radiusradius thicknessthickness indexindex Abbe numberAbbe number glassglass objectobject infinityinfinity infinityinfinity 1One G1 G 1 E21 E 21 R1 R 1 29.90129.901 2.6902.690 1.77241.7724 49.6149.61 E-LASF016E-LASF016 22 R2 R 2 10.66910.669 6.2306.230 33 E22 E 22 R3 R 3 33.25533.255 1.4901.490 1.77241.7724 49.6149.61 E-LASF016E-LASF016 44 R4 R 4 5.0725.072 4.3504.350 55 G2 G 2 E23 E 23 R5 R 5 -16.511-16.511 4.1404.140 1.78451.7845 25.6825.68 E-SF11E-SF11 66 E24 E 24 R6 R 6 -5.754-5.754 1.0801.080 1.71991.7199 50.2350.23 E-LAK10E-LAK10 77 R7 R 7 9.0909.090 1.9401.940 88 E25 E 25 R8 R 8 -185.184-185.184 3.0003.000 1.61991.6199 36.2636.26 E-F2E-F2 99 R9 R 9 -7.886-7.886 9.3909.390 1010 SS SS infinityinfinity 1.5601.560 1111 G3 G 3 E26 E 26 R10 R 10 10.18010.180 1.9501.950 1.70141.7014 41.1741.17 E-BASF7E-BASF7 1212 R11 R 11 -5.125-5.125 0.2700.270 1313 E27 E 27 R12 R 12 -4.107-4.107 0.9800.980 1.80491.8049 25.4325.43 E-SF6E-SF6 1414 R13 R 13 10.73010.730 0.1700.170 1515 E28 E 28 R14 R 14 38.84038.840 2.1702.170 1.62031.6203 60.2960.29 E-SK16E-SK16 1616 R15 R 15 -5.094-5.094 0.2000.200 1717 E29 E 29 R16 R 16 8.2288.228 2.0702.070 1.60301.6030 60.6760.67 E-SK14E-SK14 1818 R17 R 17 -24.347-24.347 1.9761.976 1919 FF FF R18 R 18 infinityinfinity 3.0003.000 1.51671.5167 64.1064.10 E-BK7E-BK7 2020 R19 R 19 infinityinfinity 1.0001,000 2121 II II R20 R 20 infinityinfinity

도 10과 표 1을 참조하면 제1 렌즈 요소(E21)는 볼록면(convex surface)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negative meniscus lens element)이다. 부연하면, 제1 렌즈 요소(E21)의 제1 렌즈면(R1)은 물체쪽을 향하는 볼록면이며, 제2 렌즈면(R2)은 상쪽을 향하는 오목면(concave surface)이다. 제1 렌즈면(R1)의 곡률 반경은 29.901mm이며, 제1 렌즈면(R1)과 일치하는 원의 중심은 제1 렌즈면(R1)에 대하여 오른쪽(즉, 상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원의 중심에서 제1 렌즈면(R1) 상의 정점(vertex)을 향하는 방향 - 이하 제1 렌즈면(R1)의 방향 벡터라고 지칭함 - 은 상쪽에서 물체쪽을 향하는 방향이다. 여기서 정점이란 렌즈면과 광축(optical axis)과의 교점(intersection point)을 의미한다. 또한, 제2 렌즈면(R2)의 곡률 반경은 10.669mm이며, 제2 렌즈면(R2)과 일치하는 원의 중심도 제2 렌즈면(R2)에 대하여 오른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 렌즈면(R2)의 방향 벡터도 상쪽에서 물체쪽을 향한다. 어느 렌즈 요소의 물체쪽의 렌즈면의 방향 벡터와 상쪽의 렌즈면의 방향 벡터가 일치할 때 이와 같은 렌즈 요소를 메니스커스(Meniscus) 렌즈 요소라고 지칭한다.10 and Table 1, the first lens element E 21 is a negative meniscus lens element with a convex surface facing towards the object. In other words, the first lens surface R 1 of the first lens element E 21 is a convex surface facing toward the object, and the second lens surface R 2 is a concave surface facing upward.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of the lens surface (R 1) it is 29.901mm, and the center of a circle matching the first lens surface (R 1) is located at the right side (that is, sangjjok) relative to the first lens surface (R 1) . Therefore, in the center of this circle a first lens surface (R 1) a vertex (vertex) on the facing direction -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lens surface direction of the vector (R 1) - is the direction toward the object side, a side. Here, the vertex means an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lens surface and the optical axis. The second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ens surface (R 2) is 10.669mm, the locat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second lens surface (R 2) a second lens surface (R 2) center of the circle also matching. Therefore, the direction vector of the second lens surface R 2 also faces toward the object from above. Such a lens element is referred to as a Meniscus lens element when the direction vector of the lens surface on the object side of an lens element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vector of the upper lens surface.

한편, 제1 렌즈면(R1)의 곡률 반경은 29.901mm이며 제2 렌즈면(R2)의 곡률 반경은 10.669mm이므로, 제1 렌즈 요소(E21)는 광축에 평행하게 측정한 렌즈 요소의 두께가 중심보다 가장 자리에서 더 두껍다. 그러므로 제1 렌즈 요소(E21)는 음의 굴절능(negative refractive power)를 갖는 렌즈 요소이다. 이러한 사실들을 종합하면 제1 렌즈 요소(E21)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 마찬가지로 제3 렌즈면(R3)과 제4 렌즈면(R4)을 가지는 제2 렌즈 요소(E22)도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Meanwhile, since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lens surface R 1 is 29.901 mm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lens surface R 2 is 10.669 mm, the first lens element E 21 measures the lens element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The thickness of is thicker at the edge than the center. The first lens element E 21 is therefore a lens element with negative refractive power. Putting these facts together, the first lens element E 21 is a negative meniscus lens element with the convex surface facing towards the object. Similarly, the second lens element E 22 having the third lens surface R 3 and the fourth lens surface R 4 is also a negative meniscus lens element whose convex surface faces toward the object.

한편 제3 렌즈 요소(E23)와 제4 렌즈 요소(E24)는 접합 렌즈(cemented doublet)를 형성한다. 제3 렌즈 요소(E23)는 물체쪽의 제5 렌즈면(R5)과 상쪽의 제6 렌즈면(R6)을 가지며, 제4 렌즈 요소(E24)는 물체쪽의 제6 렌즈면(R6)과 상쪽의 제7 렌즈면(R7)을 가진다. 접합 렌즈의 특성상 제3 렌즈 요소(E23)와 제4 렌즈 요소(E24)는 제6 렌즈면(R6)을 공유한다. 물리적으로는 제3 렌즈 요소(E23)의 상쪽 렌즈면과 제4 렌즈 요소(E24)의 물체쪽 렌즈면이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가공된 후 광학 접착제(optical cement)를 사용하여 접착된 것이다.Meanwhile, the third lens element E 23 and the fourth lens element E 24 form a cemented doublet. The third lens element E 23 has a fifth lens surface R 5 on the object side and a sixth lens surface R 6 on the image side, and the fourth lens element E 24 has a sixth lens surface on the object side. (R 6 ) and the seventh lens surface (R 7 ) on the upper side. The third lens element E 23 and the fourth lens element E 24 share a sixth lens surface R 6 due to the nature of the bonded lens. Physically, the upper lens surface of the third lens element E 23 and the object-side lens surface of the fourth lens element E 24 are processed to have the same curvature and then bonded using optical cement.

제3 렌즈 요소(E23)의 제5 렌즈면(R5)은 상쪽을 향하는 볼록면이며, 제3 렌즈 요소(E23)와 제4 렌즈 요소((E24)에 공유되는 제6 렌즈면(R6)도 상쪽을 향하는 볼록면이다. 또한 제5 렌즈면(R5)의 곡률 반경은 -16.511mm이고, 제6 렌즈면(R5)의 곡률 반경은 -5.754mm로 중심 부위가 가장자리보다 더 두꺼운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 따라서 제3 렌즈 요소(E23)는 양의 굴절능을 갖는다. 종합하면 제3 렌즈 요소(E23)는 볼록면이 상쪽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이다.The fifth lens surface R 5 of the third lens element E 23 is an upwardly convex surface, and the sixth lens surface is shared between the third lens element E 23 and the fourth lens element E 24 . (R 6 ) is also a convex surface facing upwards,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fth lens surface (R 5 ) is -16.511 mm,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ixth lens surface (R 5 ) is -5.754mm, with the center portion edged. It is a thicker meniscus lens element, so that the third lens element E 23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in aggregate, the third lens element E 23 has a positive meniscus lens with a convex surface facing upwards. Element.

한편, 제4 렌즈 요소(E24)는 제6 렌즈면(R6)과 제7 렌즈면(R7)을 가진다. 제6 렌즈면(R6)은 물체쪽을 향하는 오목면이며, 제7 렌즈면(R7)은 상쪽을 향하는 오목면이다. 따라서 제6 렌즈면(R6)의 방향 벡터와 제7 렌즈면(R7)의 방향 벡터는 서로 마주본다. 이와 같은 렌즈 요소를 양오목(bi-concave) 렌즈 요소라고 지칭한다. 양오목 렌즈 요소는 항상 음의 굴절능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fourth lens element E 24 has a sixth lens surface R 6 and a seventh lens surface R 7 . The sixth lens surface R 6 is a concave surface facing toward the object side, and the seventh lens surface R 7 is a concave surface facing upward. Therefore, the direction vector of the sixth lens surface R 6 and the direction vector of the seventh lens surface R 7 face each other. Such lens elements are referred to as bi-concave lens elements. Amphipathic lens elements always have negative refractive power.

제5 렌즈 요소(E25)는 제8 렌즈면(R8)과 제9 렌즈면(R9)을 갖는다. 제8 렌즈면(R8)은 물체쪽을 향하는 볼록면이고, 제9 렌즈면(R9)은 상쪽을 향하는 볼록면이다. 따라서 제8 렌즈면(R8)의 방향 벡터와 제9 렌즈면(R9)의 방향 벡터는 서로 반대쪽을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렌즈 요소를 양볼록(bi-convex) 렌즈 요소라고 지칭한다. 양볼록 렌즈 요소는 항상 양의 굴절능을 갖는다.The fifth lens element E 25 has an eighth lens surface R 8 and a ninth lens surface R 9 . The eighth lens surface R 8 is a convex surface facing toward the object, and the ninth lens surface R 9 is a convex surface facing upward. Therefore, the direction vector of the eighth lens surface R 8 and the direction vector of the ninth lens surface R 9 face opposite to each other. Such lens elements are referred to as bi-convex lens elements. Biconvex lens elements always have positive refractive power.

제5 렌즈 요소(E25)와 조리개(S)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제6 렌즈 요소 (E26)는 제10 렌즈면(R10)과 제11 렌즈면(R11)을 가진다. 제10 렌즈면(R10)은 물체쪽을 향하는 볼록면이며, 제11 렌즈면(R11)은 상쪽을 향하는 볼록면이다. 따라서 제6 렌즈 요소(E26)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다. 마찬가지로 제7 렌즈 요소(E27)는 양오목 렌즈 요소이고, 제8 렌즈 요소(E28) 및 제9 렌즈 요소(E29)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다.The sixth lens element E 26 positioned between the fifth lens element E 25 and the aperture S has a tenth lens surface R 10 and an eleventh lens surface R 11 . The tenth lens surface R 10 is a convex surface facing toward the object, and the eleventh lens surface R 11 is a convex surface facing upward. The sixth lens element E 26 is thus a biconvex lens element. Likewise the seventh lens element E 27 is a biconvex lens element and the eighth lens element E 28 and the ninth lens element E 29 are biconvex lens elements.

구면 렌즈 요소들의 유리 조성이나 두께 등의 렌즈 구성은 표 1에 주어져 있으며, 모든 광학 유리는 히카리(Hikari) 사의 유리(glass) 중에서 선택되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 요소(E21)는 굴절률이 1.7724이고, 아베수(Abbe number)가 49.61인 고굴절 유리이다. 이와 같은 굴절률과 아베수에 가장 근접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히카리(Hikari)사의 제품은 "E-LASF016"이라는 상품명을 가지고 있다. 제2 렌즈 요소 내지 제9 렌즈 요소(E21 ~ E29)도 모두 히카리사의 광학 유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디자인은 쇼트(Schott)사나 호야(Hoya)사 등 다른 회사의 제품의 특성에 맞게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Lens configurations, such as the glass composition and thickness of the spherical lens elements, are given in Table 1, and all optical glasses were selected from glass of Hikari. For example, the first lens element E 21 is a high refractive glass with a refractive index of 1.7724 and an Abbe number of 49.61. Hikari (Hikari) product having such refractive index and optical characteristics closest to Abbe's number has the trade name "E-LASF016". The second to ninth lens elements E 21 to E 29 are also assumed to use Hikari's optical glass. However, such a design can be easily chang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of other companies such as Schott or Hoya.

제1 그룹(G1)에 속하는 렌즈 요소들은 주로 입사광의 입사각을 변환시키는 목적으로 도입된 것으로 모두 음의 굴절능을 갖는다. 입사각을 크게 변화시키기 위하여 높은 굴절률이 필요하고, 파장에 따른 편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비교적 높은 아베수를 필요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그룹(G1)에 속하는 제1 렌즈 요소(E21)와 제2 렌즈 요소(E22)는 모두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굴절률이 1.7 이상이고, 아베수는 40 이상이다. 이와 같은 고굴절률은 렌즈면의 모양이 반구에 가깝게 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화각을 얻기 위하여 필요하며, 비교적 높은 아베수는 파장에 따른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필요하다. 또한 제1 렌즈 요소(E21)와 제2 렌즈 요소(E22)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로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제1 렌즈 요소는 입사각 90°이상을 갖는 입사광의 입사각을 90°이하로 변환시켜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로 구현된다. 그러나, 제2 렌즈 요소(E22)는 90°이하의 입사각을 갖는 광선을 더 작은 입사각을 갖는 광선으로 변환시키는 목적을 가지므로 반드시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로 구현할 필요는 없고, 평오목 렌즈 요소(plano-concave lens element) 혹은 양오목 렌즈 요소(biconcave lens element) 등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임의의 렌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lens element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G 1 are mainly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converting the incident angle of incident light and all have negative refractive power. High refractive index is required to greatly change the angle of incidence, and relatively high Abbe's number is required to reduce the variation with wavelength. 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the first lens element E 21 and the second lens element E 22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G 1 have negative refractive power, the refractive index is 1.7 or more, and the Abbe number is 40 or more. to be. Such a high refractive index is necessary to obtain a sufficient angle of view without the lens surface being close to the hemisphere, and a relatively high Abbe number is necessary to reduce the variation according to the wavelength. In addition, the first lens element E 21 and the second lens element E 22 may be embodied as negative meniscus lens elements whose convex surfaces are directed toward the object. 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lens element must convert the incident angle of incident light having an incident angle of 90 ° or more to 90 ° or less, it is inevitably implemented as a negative meniscus lens having a convex surface facing toward the object. However, the second lens element E 22 is not necessarily implemented as a negative meniscus lens because it has the purpose of converting light rays having an angle of incidence of 90 ° or less into light rays having a smaller angle of incidence. (plano-concave lens element) or biconcave lens element (biconcave lens element) can be implemented in any lens form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제2 그룹(G2)에 속하는 제3 내지 제5 렌즈 요소(E23 ~ E25)는 제1 그룹의 렌즈 요소들의 파장에 따른 굴절능의 차이를 보상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며,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접합 렌즈를 포함하며, 접합 렌즈에서 30 이하의 아베수를 갖는 렌즈 요소와 40 이상의 아베수를 갖는 렌즈 요소가 같이 사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렌즈 요소(E23)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굴절률이 1.7 이상이면서 아베수는 30 이하이다. 제4 렌즈 요소(E24)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굴절률이 1.7 이상이면서 아베수는 40 이상이다. 제3 렌즈 요소(E23)와 제4 렌즈 요소(E24)는 접합 렌즈를 구성한다. 제5 렌즈 요소(E25)는 추가적인 색수차 보정을 위하여 도입된 렌즈 요소이며,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1.6 이상의 굴절률과 40 이하의 아베수를 가지는 양볼록 렌즈 요소이다.The third to fifth lens elements E 23 to E 25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G 2 have a main role of compensating for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power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the lens elements of the first group. The above-mentioned junction lens is included, and a lens element having an Abbe number of 30 or less and a lens element having an Abbe number of 40 or more are used together in the junction len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lens element E 23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the refractive index is 1.7 or more and the Abbe number is 30 or less. The fourth lens element E 24 has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refractive index of at least 1.7 and an Abbe number of at least 40. The third lens element E 23 and the fourth lens element E 24 constitute a joint lens. The fifth lens element E 25 is a lens element introduced for further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and is a biconvex lens element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6 or more and an Abbe number of 40 or less.

제2 그룹(G2)에 속하는 렌즈 요소들과 제3 그룹(G3)에 속하는 렌즈 요소들은 조리개(S)에 의하여 구분된다. 제3 그룹(G3)에 속하는 렌즈 요소들은 이미지 센서면 상에 선명한 실상(real image)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능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그룹(G3)은 제6 내지 제9 렌즈 요소(E26 ~ E29)로 구성된다. 특히 제3 그룹(G3)의 물체쪽에 가장 가까운 제6 렌즈 요소(E26)와 상쪽에 가장 가까운 제9 렌즈 요소(E29)는 모두 양의 굴절능을 갖는다.Lens elements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G 2 and lens elements belonging to the third group G 3 are distinguished by an aperture S. FIG. Lens elements belonging to the third group G 3 are necessary to form a clear real image on the image sensor surface and have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group G 3 is composed of sixth to ninth lens elements E 26 to E 29 . In particular, the sixth lens element E 26 closest to the object side of the third group G 3 and the ninth lens element E 29 closest to the image have positive refractive power.

도 11은 도 10의 어안 렌즈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변조전달함수 특성을 보여주며, 100 line pairs/millimeter에서 대략 0.2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2는 이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가 거의 1에 가까움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주변 광량비가 0.6 이상이면 양호한 것으로 간주하므로 이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는 매우 우수하다. 한편, 도 13의 왼쪽 그래프는 도 10에 보인 어안 렌즈의 상면 만곡(field curvature)을 보여주며, 오른쪽 그래프는 교정 왜곡(calibrated distortion)을 보여준다. 이 그래프로부터 최대 교정 왜곡이 6%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 렌즈는 등거리 투사 방식을 상당히 충실하게 구현하고 있다.FIG. 11 shows th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characteristics in the visible light region of the fisheye lens of FIG. 10 and has a resolution of about 0.2 or more at 100 line pairs / millimeter. On the other hand, Fig. 12 shows that the peripheral light quantity ratio of this fisheye lens is almost close to one. In general, if the ambient light ratio is 0.6 or more, it is considered to be good, so the ambient light ratio of this fisheye lens is very excellent. Meanwhile, the left graph of FIG. 13 shows a field curvature of the fisheye lens shown in FIG. 10, and the right graph shows a calibrated distortion. From this graph, it can be seen that the maximum correction distortion is 6% or less. In other words, this lens implements an equidistant projection method fairly faithfully.

렌즈의 또 다른 주요 특성인 전장(overall length), 즉 제1 렌즈면의 정점에서 영상면 I까지의 거리는 49.656mm로 이 어안 렌즈는 비교적 소형이다. 또한, 충분한 후방 초점 거리(back focal length)를 가지고 있어, 산업적으로 이용함에 있어서 전혀 불편이 없다.Another major characteristic of the lens is its overall length, i.e. the distance from the vertex of the first lens plane to the image plane I, 49.656 mm, which is relatively small. It also has a sufficient back focal length, so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industrial use.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특성으로 제작 공차(manufacturing tolerance)가 양호하다는 점이다. 본 실시 예의 렌즈는 9매의 렌즈 요소를 가지며, 총 17개의 렌즈면이 있다. 또한, 이 렌즈 요소들이 표 1에 정해진 바와 같이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스페이서(spacer) 및 경통(barrel)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렌즈 요소 및 스페이서는 기계적으로 가공이 되어야 하므로 설계된 대로 오차 없이 정확하게 제작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얼마간의 오차가 있게 마련이다. 그런데 표 1이 주어진 특성을 갖도록 최적화된 설계도이므로, 이 설계도와 오차를 갖게 되면 특성의 저하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렌즈 디자인에 따라서 일정한 양만큼의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가공 오차의 범위가 차이가 나게 된다. 훌륭한 디자인은 가공 오차가 크더라도 성능의 저하가 비교적 작게 일어난다. Last but not least, the manufacturing tolerances are good. The lens of this embodiment has nine lens elements, and there are a total of 17 lens surfaces. In addition, a number of spacers and barrels are used to keep these lens elements precisely spaced as defined in Table 1. Since such lens elements and spacers must be mechanically processed, it is impossible to manufacture them accurately and without errors as designed. That is, there is some error. However, since Table 1 is a design that is optimized to have a given characteristic, if the design and the error has a degree of degradation occurs.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lens design, the range of processing error that causes a certain amount of performance degradation is different. Good design results in relatively small degradation in performance even with large machining errors.

현재의 생산 기술로 가능한 제작 공차는 렌즈 제작소별로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인 제작 공차는 거의 공통되고 있다. 예를 들어 두께 공차(thickness tolerance)는 20 ㎛, 렌즈면의 반지름의 제작 공차는 뉴튼링(Newton ring) 3 프린지(fringe)이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제작 공차로 제작하여도 성능의 저하가 크지 않으면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성능 저하 또는 불량률을 줄이기 위하여 일반적인 제작 공차보다 작은 제작 공차로 생산을 하려고 하면, 제작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으며,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고, 대량생산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모든 광학적 및 기계적 특성을 만족한다고 하더라고 제작 공차가 충분하지 않은 디자인은 좋은 디자인이라고 할 수 없다.The manufacturing tolerances available with current production techniques vary among lens manufacturers, but general manufacturing tolerances are almost common. For example, the thickness tolerance is 20 µm, and the manufacturing tolerance of the radius of the lens surface is Newton ring 3 fringe. In this way, even if manufactured in the general manufacturing tolerances can be produced at low cost if the performance degradation is not large. However, if you try to produce a production tolerance smaller than the general production tolerances in order to reduce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r defective rate, the production may be difficult or impossible, even if possible, the production cost is high, and mass production may be difficult. Therefore, a design that does not have sufficient manufacturing tolerances, even if it satisfies all desirable opt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s not a good design.

도 10에 보인 어안 렌즈는 일반적인 제작 공차로 제작을 하더라도 불량률이 일반적인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양호한 디자인이다. 이와 같은 제작 공차는 공차 분석(tolerance analysis)이라고 부르는 과정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 표 1과 같은 완전한 렌즈의 설계도가 있다면 Zemax와 같은 렌즈 설계 전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fisheye lens shown in FIG. 10 is a design that is good enough to maintain the failure rate at a general level even when fabricated with a general manufacturing tolerance. Such manufacturing tolerances can be identified through a process called tolerance analysis. If you have a complete lens design as shown in Table 1, you can easily check using a lens design program such as Zemax.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기계적 구조를 보여준다. 어안 렌즈(200)의 전면부(CP)는 제1 경통(210)과 다수의 렌즈 요소(E21 ~E29) 중 제1 경통(210)에 장착되는 일부의 렌즈 요소를 포함한다. 제1 경통(210)에 장착되는 렌즈 요소는 물체쪽에 가장 가까운 제1 렌즈 요소(E21)를 포함한다. 몸체부(MB)는 제2 경통(220)과 제1 경통(210)에 장착된 일부 렌즈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렌즈 요소(예컨대, 제2 렌즈 요소 내지 제9 렌즈 요소(E22 ~ E29)와 조리개(도시하지 않음)및 경통 간격 조절기(230)를 포함한다. 도 10에 보인 예와 같이 조리개는 제5 렌즈 요소(E25)와 제6 렌즈 요소(E2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Figure 14 shows the mechanical structure of the fisheye len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ortion CP of the fisheye lens 200 includes the first barrel 210 and some lens elements mounted to the first barrel 210 of the plurality of lens elements E 21 -E 29 . The lens element mounted on the first barrel 210 comprises a first lens element E 21 closest to the object side. The body portion MB may include the remaining lens elements (for example, the second lens element to the ninth lens element E 22 to E 29 ) except for some lens elements mounted on the second barrel 220 and the first barrel 210. A stop (not shown) and a barrel spacing adjuster 230. The stop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fth lens element E 25 and the sixth lens element E 25 as shown in FIG.

경통 간격 조절기(230)는 제1 경통(210)과 제2 경통(220)의 결합시 두 경통(210, 220) 사이에 위치하여 두 경통의 간격을 조절한다. 제1 경통(210)은 경통 간격 조절기(230)와 탈부착이 가능하고, 경통 간격 조절기(230)는 제2 경통(220)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경통(210, 220)과 경통 간격 조절기(230)는 각각 체결 수단을 구비한다. 예시적인 실시 예로서,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CP)는 제1 경통(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경통 체결부(211)를 포함하고, 제1 경통 체결부(211)는 암나사로 구현된다. 제2 경통(220)은 그 외주면의 제1 영역에 형성된 제2 경통 체결부(221a)를 포함하고, 제2 경통 체결부(221a)는 수나사로 구현된다. 또한, 경통 간격 조절기(230)는 외주면에 형성된 외측 체결부(231a)와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 체결부(231b)를 포함하되, 외측 체결부(231a) 및 내측 체결부(231b)는 각각 수나사와 암나사로 구현된다. 외측 체결부(231a)는 제1 경통 체결부(211)와 나사결합하고, 내측 체결부(231b)는 제2 경통 체결부(221a)와 나사결합한다. 제2 경통(220)의 제2 경통 체결부(221a)에 대하여 경통 간격 조절기(230)의 내측 체결부(231b)를 체결하는 정도에 따라서 제1 경통(210)과 제2 경통(220)의 광축 방향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경통(210)의 제1 경통 체결부(211)는 경통 간격 조절기(230)의 외측 체결부(231a)에 최대한 깊이 체결된다. 하지만, 제1 경통 체결부(211)와, 제2 경통 체결부(221a)와, 외측 체결부(231a)와, 내측 체결부(231b)는 위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체결 수단의 형상 및 체결 방식은 체결 및 위치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로 구현될 수 있다.The barrel spacing adjuster 230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barrels 210 and 220 when the first barrel 210 and the second barrel 220 are coupled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two barrels. The first barrel 210 may be detachable from the barrel spacing controller 230, and the barrel spacing controller 230 may be detachable from the second barrel 220. To this end, the first and second barrels 210 and 220 and the barrel gap adjuster 230 are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respectively. As an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4 to 17, the front part CP includes a first barrel fastening part 211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arrel 210, and a first barrel fastening part. Reference numeral 211 is implemented with a female screw. The second barrel 220 includes a second barrel coupling portion 221a form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second barrel coupling portion 221a is implemented with a male screw. In addition, the barrel spacing adjuster 230 includes an outer fastening portion 231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inner fastening portion 231b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fastening portion 231a and the inner fastening portion 231b are male and female threads, respectively. Is implemented. The outer fastening part 231a is screwed with the first barrel fastening part 211, and the inner fastening part 231b is screwed with the second barrel fastening part 221a. According to the degree of fastening the inner fastening portion 231b of the barrel spacing adjuster 230 with respect to the second barrel fastening portion 221a of the second barrel 220, The distanc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can be adjusted. On the other hand, the first barrel fastening portion 211 of the first barrel 210 is fastened to the outermost fastening portion 231a of the barrel gap adjuster 230 to the maximum depth. However, the first barrel fastening portion 211, the second barrel fastening portion 221a, the outer fastening portion 231a, and the inner fastening portion 231b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The shape and the fastening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cations capable of fastening and positioning.

어안 렌즈(200)는 다수의 렌즈 요소들(E21 ~ E29) 사이에 구비되어, 이웃하는 렌즈 요소들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다수개의 렌즈 요소들(E21 ~ E29)의 위치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예컨대 제1 내지 제5 스페이서(261 ~ 265)를 포함한다. 렌즈 요소들(E21 ~ E29)은 이 스페이서(261 ~ 265)에 의해 그들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최적화된 광학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요소들이 제1 내지 제2 경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4 리테이너(251 ~ 254)가 사용된다.Fish-eye lens 200 is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lens elements (E 21 ~ E 29), to maintain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lens elements and determine the location of a plurality of lens elements (E 21 ~ E 29) At least one spacer, such as first to fifth spacers 261 to 265. The lens elements E 21 to E 29 can be kept constant by these spacers 261 to 265 to achieve optimized optical performance. In addition, first to fourth retainers 251 to 254 are used to prevent lens elements from leaving the first to second barrels.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전면부(CP)는 제1 렌즈 요소(E21)가 제1 경통(2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경통 체결부(211)에 체결가능한 제1 리테이너(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테이너(251)는 제1 경통 체결부(211)에 나사결합된다.Referring to FIGS. 14 and 15, the front portion CP may include a first fastener that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barrel fastening portion 211 to prevent the first lens element E 2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barrel 210. It may further include a retainer 251. The first retainer 251 is screwed to the first barrel fastening portion 211.

제1 경통(210)은 제1 경통 파지부(212)를 더 포함한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1 경통(210)의 외주면에는 제1 경통 파지부(212)가 형성되어 제1 경통(210)과 경통 간격 조절기(230)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경통 파지부(212)는 제1 경통(210)의 외주면에 구비된 돌기 또는 널링(knurling)의 형태로 구현된다.The first barrel 210 further includes a first barrel grip 212. 14 to 17, a first barrel gripping portion 212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arrel 210 to facilitate coupling or disengagement of the first barrel 210 and the barrel spacing adjuster 230. can do. Preferably, the first barrel gripping portion 212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jection or knurling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arrel (210).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경통(220)은 제2 렌즈 요소 내지 제9 렌즈 요소(E22 ~ E29) 중 제2 렌즈 요소 내지 제5 렌즈 요소(E22 ~ E25)가 장착되는 전단 제2 경통(220A)과 제6 렌즈 요소 내지 제9 렌즈 요소(E26 ~ E29)가 장착되어 물체쪽 일단이 전단 제2 경통(220A)에 삽입되는 후단 제2 경통(220B)을 포함한다. 전단 제2 경통(220A)과 후단 제2 경통(220B)은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second barrel 220 may include the second through fifth lens elements E 22 through E 25 of the second through ninth lens elements E 22 through E 29 . ) Is mounted on the front second barrel 220A and the sixth lens elements E 26 to E 29 so that one end of the object is inserted into the front second barrel 220A. 220B). The front second barrel 220A and the rear second barrel 220B may be manufactured and assembled separately.

전단 제2 경통(220A) 내에서 제2 렌즈 요소(E22)와 제3 렌즈 요소(E23)의 간격은 제1 스페이서(261)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제3 렌즈 요소(E23)와 제4 렌즈 요소(E24)는 접합렌즈를 구성하므로 제3 렌즈 요소(E23)와 제4 렌즈 요소(E24) 사이에는 별도의 스페이서가 필요하지 않다. 제4 렌즈 요소(E24)와 제5 렌즈 요소(E25)의 간격은 제2 스페이서(262)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In the front end second barrel 220A,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lens element E 22 and the third lens element E 23 is stably maintained by the first spacer 261. Since the third lens element E 23 and the fourth lens element E 24 constitute a bonded lens, a separate spacer is not required between the third lens element E 23 and the fourth lens element E 24 . The distance between the fourth lens element E 24 and the fifth lens element E 25 is stably maintained by the second spacer 262.

후단 제2 경통(220B) 내에서 제6 렌즈 요소(E26)와 제7 렌즈 요소(E27) 사이의 간격은 제4 스페이서(264)에 의해 유지되며, 제7 내지 제9 렌즈 요소(E27 ~ E29)들의 간격은 제5 스페이서(265)에 의해 유지된다. 후단 제2 경통(220B)의 상쪽 입구 단면적은 제9 렌즈 요소(E29)의 단면적 보다 작게 설계되어 제9 렌즈 요소(E29)가 후단 제2 경통(220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광학적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후단 제2 경통(220B)의 상쪽 입구는 제9 렌즈 요소(E29)의 개구부 보다는 넓게 설계된다.The distance between the sixth lens element E 26 and the seventh lens element E 27 in the rear second barrel 220B is maintained by the fourth spacer 264, and the seventh through ninth lens elements E 27 to E 29 are maintained by the fifth spacer 265. The upper inlet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ar second barrel 220B is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inth lens element E 29 so that the ninth lens element E 29 is not separated from the rear second barrel 220B. In order not to affect the optical performance, the upper inlet of the trailing second barrel 220B is designed to be wider than the opening of the ninth lens element E 29 .

제2 렌즈 요소(E22)가 전단 제2 경통(220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리테이너(252)가 사용된다. 제2 리테이너(252)는 물체쪽으로부터 상쪽을 향해 제2 렌즈 요소(E22)가 광축(OA)을 따라 고정되도록 제2 경통(220)에 나사결합된다. 후단 제2 경통(220B)의 물체쪽 입구에는 제3 리테이너(253)가 사용되어 후단 제2 경통(220B)에 실장된 제6 렌즈 요소(E26)가 후단 제2 경통(220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제3 리테이너(253)는 고정 조리개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리테이너(253)의 내경은 고정 조리개의 F-수에 맞는 크기로 설계된다. 제5 렌즈 요소(E25)와 후단 제2 경통(220B) 사이의 간격은 제3 스페이서(263)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후단 제2 경통(220B)이 전단 제2 경통(2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4 리테이너(254)가 사용된다.The second retainer 252 is used to prevent the second lens element E 22 from escaping from the shear second barrel 220A. The second retainer 252 is screwed to the second barrel 220 such that the second lens element E 22 is fixed along the optical axis OA from the object side upward. A third retainer 253 is used at the object-side inlet of the rear second barrel 220B so that the sixth lens element E 26 mounted on the rear second barrel 220B is not separated from the rear second barrel 220B. Do not. The third retainer 253 may be used as a fixed aperture. To this end, the inner diameter of the third retainer 253 is designed to fit the F-number of the fixed aperture. The gap between the fifth lens element E 25 and the rear second barrel 220B is stably maintained by the third spacer 263. On the other hand, the fourth retainer 254 is used so that the rear second barrel 220B is not separated from the front second barrel 220.

제2 경통(220) 외주면의 제2 영역 즉, 전단 제2 경통(220A) 외주면의 물체쪽 영역에는 고정 너트(240)가 체결되는 고정 너트 체결부(221b)가 형성된다. 고정 너트 체결부(221b)는 도 15 및 도 17에서와 같이 어안 렌즈(200)를 지지대(50)에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즉, 어안 렌즈(2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지대(50)에 고정 너트 체결부(221b)가 통과할 만큼의 충분한 직경을 가지는 렌즈 삽입공(51)을 형성한 후 어안 렌즈(200)의 고정 너트 체결부(221b)가 지지대(50)에 형성된 렌즈 삽입공(51)에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후, 고정 너트 체결부(221b)에 대응하는 고정 너트(240)를 지지대(50)의 안쪽에서 체결하면 어안 렌즈(200)가 지지대에 밀착하여 고정된다.In the second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220, that is, the object-side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second barrel 220A, a fixing nut fastening part 221b to which the fixing nut 240 is fastened is formed. The fixing nut fastening part 221b is used for fixing the fisheye lens 200 to the support 50 as shown in FIGS. 15 and 17. That is, after forming the lens insertion hole 51 having a diameter sufficient to pass the fixing nut fastening portion 221b to the support 50 to install the fisheye lens 200, the fixing nut of the fisheye lens 200 The fastening part 221b is inserted into the lens insertion hole 51 formed in the support 50 from the outside inward direction. Thereafter, when the fixing nut 240 corresponding to the fixing nut fastening part 221b is fastened from the inside of the support 50, the fisheye lens 200 is fixed to the support.

제2 경통(220) 외주면의 제3 영역 즉, 후단 제2 경통(220B) 외주면에는 카메라에 장착된 렌즈 홀더(도시되지 않음)와 체결되는 렌즈 체결부(221c)가 형성된다. 렌즈 체결부(221c)는 소형의 보드 카메라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렌즈 홀더에 체결되며, 대개 12mm 나사 또는 9mm 나사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히타치(Hitachi) M12 나사로 렌즈 체결부(221c)를 구현한다. 이와 같은 렌즈 체결부(221c)는 카메라의 렌즈 홀더(Lens holder)의 나사부에 대응하여 렌즈 홀더의 나사부에 결합됨으로써 렌즈와 렌즈 홀더의 안쪽에 위치한 이미지 센서(I)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A lens fastening portion 221c is formed at a third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220, that is,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second barrel 220B, to be coupled to a lens holder (not shown) mounted to the camera. The lens fastening portion 221c is fastened to a lens holder which is typically provided in a small board camera, and is usually formed of a 12mm screw or a 9mm screw.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fastening portion 221c is implemented by Hitachi M12 screws. The lens fastening part 221c may be coupled to the screw part of the lens holder in correspondence to the screw part of the lens holder of the camera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I located inside the lens holder. .

고정 너트 체결부(221b)는 수나사로 구현되고, 고정 너트(240)의 내주면은 고정 너트 체결부(221b)에 대응하는 암나사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너트(240)의 외주면에는 고정 너트(240)를 용이하게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고정 너트 파지부(242)가 형성된다. 고정 너트 파지부(242)는 고정 너트(240)의 외주면에 광축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 혹은 너얼링(Knurling)이 될 수 있다. 고정 너트(240)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고정 너트 체결부(221b)까지 광축(OA)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너트 체결공(243)과, 적어도 하나의 너트 체결공(24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 고정 나사(244)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너트(240)가 제2 경통(220)에 체결된 상태에서 너트 고정 나사(244)를 너트 체결공(243)에 체결하면, 너트 고정 나사(244)는 고정 너트 체결부(221b)의 외주면에 강한 마찰력을 가한다. 따라서 고정 너트(240)와 제2 경통(220)이 견고하게 맞물려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고정 너트(240)가 제2 경통(220)으로부터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xing nut fastening part 221b may be implemented with a male screw,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nut 240 may be implemented with a female screw corresponding to the fixing nut fastening part 221b. A fixing nut gripping portion 242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nut 240 to easily hold and rotate the fixing nut 240 by hand. The fixing nut gripping portion 242 may be a protrusion or knurling form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nut 240. The fixing nut 240 is fastened to at least one nut fastening hole 243 and at least one nut fastening hole 243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A from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fastening nut fastening portion 221b. At least one nut fixing screw 244 is further included. Therefore, as shown in FIG. 15, when the nut fixing screw 244 is fastened to the nut fastening hole 243 in a state where the fixing nut 240 is fastened to the second barrel 220, the nut fixing screw 244 is fixed. Applies a strong friction forc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nut fastening portion (221b). Therefore, the fixing nut 240 and the second barrel 220 are firmly engaged with each other to be relatively fixed, and the fixing nut 2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released from the second barrel 220.

어안 렌즈(200)가 지지대(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 경통(220)으로부터 제1 경통(210)을 결합해제하거나 아니면 결합시킬 때 고정 너트(240)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2 경통(220)이 제1 경통(210)과 같이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경통(220)이 제1 경통(210)과 함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경통(220)의 상측 측면에 고정부(225)를 구비한다.In the state where the fisheye lens 200 is fixed to the support 50, the second barrel 220 may be used even when there is a fixing nut 240 when disengaging or otherwise engaging the first barrel 210 from the second barrel 220. ) May move together with the first barrel 210. As such, the fixing part 225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second barrel 220 to prevent the second barrel 220 from moving together with the first barrel 210.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제2 실시 예에서 고정부(225)는 제2 경통(220)의 상측 측면에 광축(OA)과 평행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223)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22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경통 고정 나사(224)로 구성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223)은 제2 경통 체결부(221a)와 고정 너트 체결부(221b)의 경계면에 형성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14 to 17, the fixing part 225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223 formed in parallel with the optical axis OA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arrel 220. And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screw 224 fastened to the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223. As shown in FIG. 15 and FIG. 16,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coupling hole 223 is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barrel coupling portion 221a and the fixing nut coupling portion 221b.

도 17을 참조하면, 지지대(50)의 렌즈 체결부 삽입공(51)의 둘레에는 제2 경통(220)의 제2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223)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제2 경통 고정 나사 삽입공(52)이 구비된다. 제2 경통 고정 나사(224)가 제2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223)에 체결되면 제2 경통 고정 나사(224)의 일단이 상쪽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고정 너트 체결부(221b)가 렌즈 삽입공(51)에 삽입될 때, 상쪽으로 돌출된 제2 경통 고정 나사(224)의 일단이 제2 경통 고정 나사 삽입공(52)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경통(210, 220)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를 위해 제1 경통(210)이 제2 경통(220)에 대해 회전하더라도, 제2 경통(220)은 광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7, a plurality of second barrels are fixed around the lens coupling part insertion hole 51 of the support 5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223 of the second barrel 220. The screw insertion hole 52 is provided. When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224 is fastened to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223, one end of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224 protrudes upward. Therefore, when the fixing nut fastening portion 221b is inserted into the lens insertion hole 51, one end of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224 protruding upwar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arrel fixing screw insertion hole 52. Therefore, even if the first barrel 210 is rotated relative to the second barrel 220 to engage or disengage the first and second barrels 210 and 220, the second barrel 220 may be inclined to the optical axis OA. Does not rotate around the center

제1 경통(210)과 제2 경통(220)의 광축 방향의 간격을 조절하는 경통 간격 조절기(230)는 외측 체결부(231a)와 내측 체결부(231b)를 포함하며, 고리(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경통 간격 조절기(230)는 조절기 파지부(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경통 간격 조절기(230)의 외주면에는 조절기 파지부(232)가 형성되어 경통 간격 조절기(230)와 제1 경통(210)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조절기 파지부(232)는 경통 간격 조절기(230)의 외주면에 구비된 돌기 또는 널링(knurling)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경통(210)에 형성된 제1 경통 파지부(212)와 경통 간격 조절기(230)에 형성된 조절기 파지부(232)를 각각 양손으로 파지하여 제1 경통(210)과 경통 간격 조절기(230)를 결합 또는 결합해제시킬 수 있다.The barrel gap adjuster 230 that adjusts the gap between the first barrel 210 and the second barrel 22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cludes an outer fastening portion 231a and an inner fastening portion 231b, and has a ring shape. May have The barrel spacing adjuster 230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er gripping portion 232. Referring to FIGS. 14 to 17, an adjuster gripping portion 232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gap adjuster 230 to facilitate coupling or disengaging of the barrel gap adjuster 230 and the first barrel 210. have. The adjuster gripping portion 23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or knurling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spacing adjuster 230. Accordingly, the user grips the first barrel gripper 212 formed on the first barrel 210 and the regulator gripper 232 formed on the barrel gap adjuster 230 with both hands, respectively, so as to hold the first barrel 210 and the barrel gap. The regulator 230 may be coupled or disengaged.

경통 간격 조절기(230)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측 체결부(231b)까지 광축(OA)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절기 고정 나사 체결공(233)과, 조절기 고정 나사 체결공(233)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기 고정 나사(234)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경통(220)과 경통 간격 조절기(2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조절기 고정 나사(234)를 체결하면, 고정 나사 고정부(234)는 제2 경통(220)에 형성된 제2 경통 체결부(221a)에 강한 마찰력을 가한다. 따라서 제2 경통(220) 및 경통 간격 조절기(230)가 견고하게 맞물려 상대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barrel spacing regulator 230 is fastened to at least one regulator fixing screw fastening hole 233 and a regulator fixing screw fastening hole 233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A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inner fastening part 231b. 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adjuster fixing screw 234. Therefore, as shown in FIG. 14, when the regulator fixing screw 234 is fastene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arrel 220 and the barrel spacing regulator 230 are coupled, the fixing screw fixing part 234 may have a second barrel ( A strong fri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barrel fastening portion 221a formed at 220. Therefore, the second barrel 220 and the barrel gap adjuster 230 may be firmly engaged to be relatively fixed.

도 6 내지 도 9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제1 경통(110)에 배치되는 제1 렌즈 요소(E11)와 제2 경통(120)에 배치되는 제2 렌즈 요소(E12)의 간격은 제1 및 제2 렌즈 요소(E11, E22)에 모두 접하는 제2 리테이너(152)에 의해 간격이 유지된다. 따라서, 제1 경통(110)과 제2 경통(120)의 반복적인 결합 또는 결합해제시 제1 렌즈 요소(E12)와 제2 리테이너(152) 사이의 마찰 및 마모에 의해 제1 렌즈 요소(E11)와 제2 렌즈 요소(E1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어렵다. 예를 들어, 제1 경통을 결합해제할 때 마찰에 의해 제2 리테이너도 같이 풀릴 수 있다. 반면에,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렌즈 요소(E21)는 제2 렌즈 요소(E22) 및 제2 리테이너(252)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제1 경통(210)과 제2 경통(220)의 반복적인 결합 또는 결합해제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ens element E 11 disposed in the first barrel 110 and the second lens element E 12 disposed in the second barrel 120 according to FIGS. The spacing is maintained by the second retainer 152 in contact with both the first and second lens elements E 11 , E 22 . Accordingly, when the first lens element E 12 and the second retainer 152 are rubbed and worn, when the first barrel 110 and the second barrel 120 are repeatedly engaged or disengaged. It is difficult to keep the gap between E 11 ) and the second lens element E 12 constant. For example, when retaining the first barrel, the second retainer may be released together by friction.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15, the first lens element E 21 does not contact the second lens element E 22 and the second retainer 252, and therefore, the first barrel 210 and the second barrel 2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riction during repeated coupling or disengagement of).

도 15를 참조하면 최적의 광학적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제1 렌즈 요소(E21)와 제2 렌즈 요소(E22)의 간격(t2)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제작상의 공차로 인하여 제2 내지 제9 렌즈 요소(E21 ~ E29), 제2 리테이너(252), 제1 내지 제5 스페이서(261 ~ 265)와, 후단 제2 경통(220B) 등의 광축(OA) 방향의 간격은 임의의 오차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오차가 누적되면,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제1 렌즈 요소(E21)와 제2 렌즈 요소(E22)의 간격에 커다란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렌즈의 광학적 성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spacing t 2 of the first lens element E 21 and the second lens element E 22 must be kept constant in order to achieve optimal optical performance. However, due to manufacturing tolerances, the second to ninth lens elements E 21 to E 29 , the second retainer 252, the first to fifth spacers 261 to 265, the rear second barrel 220B, and the like. The spacing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A may have any error. When such an error accumulates, a large error may occur i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ens element E 21 and the second lens element E 22 which are not in direct contact, and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lens may be greatly degrad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경통 간격 조절기(230)를 이용하여 제1 경통(210)과 제2 경통(220)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2 내지 제9 렌즈 요소(E22 ~ E29)에 이르는 누적 공차를 보상할 수 있다. 즉, 누적 공차와 광축(OA)방향의 제2 리테이너(252)의 길이를 고려하여, 제1 렌즈 요소(E21)와 제2 렌즈 요소(E22)가 광축(OA)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가지도록 경통 간격 조절기(230)를 제2 경통(220)에 대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2 경통(220)에 대한 경통 간격 조절기(230)의 상대회전 후, 조절기 고정 나사 체결공(233)에 조절기 고정 나사(234)를 체결하면 경통 간격 조절기(230)와 제2 경통(220)은 견고하게 맞물린다. 이후 제1 경통(210)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을 때까지 제1 경통(210)을 경통 간격 조절기(230)에 나사결합시키면, 제1 렌즈 요소(E21)와 제2 렌즈 요소(E22)는 설계된 광축 방향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barrel 210 and the second barrel 220 is adjusted using the barrel gap adjuster 230 to adjust the second to ninth lens elements E 22 to. E 29 ) cumulative tolerances up to. That is, considering the cumulative tolerance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retainer 252 in the optical axis OA direction, the first lens element E 21 and the second lens element E 22 are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ptical axis OA. The barrel spacing adjuster 230 is rota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barrel 220. After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barrel spacing controller 230 with respect to the second barrel 220, when the regulator fixing screw 234 is fastened to the regulator fixing screw fastening hole 233, the barrel spacing controller 230 and the second barrel 220. Is firmly interlocked. Then, when the first barrel 210 is screwed to the barrel spacing adjuster 230 until the first barrel 210 no longer rotates, the first lens element E 21 and the second lens element E 22 . Can maintain the spacing in the designed optical axis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기술하였다. 하지만,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exemplary,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어안 렌즈는 물체쪽에 가장 가까운 제1 렌즈 요소를 포함하는 일부 렌즈 요소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투명 돔을 사용하지 않고 렌즈를 직접 외부에 노출시켜서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렌즈 표면이 훼손되었을 때에는 상기 일부 렌즈 요소만을 교체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최적의 상태를 회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fisheye le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place some lens elements including the first lens element closest to the object side, an excellent image can be obtained by directly exposing the lens to the outside without using a separate transparent dome. When the lens surface is damaged, only some of the lens elements can be replaced to restore the optimum state quickly and at low cos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의 설치 상태의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stallation state of a rear camera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돔 카메라의 개념도.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ome camera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어안 렌즈의 광학적 구조 및 광선의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optical structure and the path of the light ray of the fisheye len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어안 렌즈의 경통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barrel structure of a fisheye len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어안 렌즈의 부분 절개 사시도.5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fisheye len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에서 전면부가 분리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portion separated from the fisheye len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에서 전면부가 결합된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portion coupled to the fisheye len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분해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sheye lens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지지대와 고정 너트를 더 포함하는 도 8의 어안 렌즈의 분해 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sheye lens of FIG. 8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and a retaining nut;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광학적 구조 및 광선의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10 is a view showing the optical structure and the path of the light beam of the fisheye len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변조 전달 함수 특성을 보이는 그래프.11 is a graph showing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characteristics of a fisheye lens of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주변 광량비를 보여주는 그래프.12 is a graph showing the ambient light quantity ratio of the fisheye len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상면 만곡과 교정 왜곡을 보여주는 그래프.FIG. 13 is a graph illustrating image curvature and correction distortion of a fisheye lens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에서 전면부가 분리된 단면도.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ont part separated from the fisheye len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에서 전면부가 결합된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portion coupled to the fisheye len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어안 렌즈의 분해 사시도.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sheye lens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지지대와 고정 너트를 더 포함하는 도 16의 어안 렌즈의 분해 사시도.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sheye lens of FIG. 16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and a retaining nu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CP : 전면부CP: front

MB : 몸체부MB: Body

100 : 제1 실시 예의 어안 렌즈100: fisheye lens of the first embodiment

110 : 제1 경통110: first barrel

120 : 제2 경통120: second barrel

125 : 고정부125: fixed part

140 : 고정 너트140: fixing nut

200 : 제2 실시 예의 어안 렌즈200: fisheye lens of the second embodiment

210 : 제1 경통210: first barrel

220 : 제2 경통220: second barrel

225 : 고정부225: fixed part

230 : 경통 간격 조절기230: barrel spacing adjuster

240 : 고정 너트240: fixing nut

Claims (26)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다수의 렌즈 요소를 포함하는 어안 렌즈에 있어서,A fisheye lens comprising a plurality of lens elements align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다수의 렌즈 요소 중 물체쪽에 가까운 일부의 렌즈 요소가 장착되는 제1 경통과,A first barrel on which some lens elements of the plurality of lens elements close to an object side are mounted; 상기 제1 경통이 탈부착되며, 상기 다수의 렌즈 요소 중 나머지 렌즈 요소가 장착되는 제2 경통을 포함하고,A second barrel, to which the first barrel is detachable, to which the remaining lens elements of the plurality of lens elements are mounted; 상기 제1 경통에 장착되는 상기 일부의 렌즈 요소는 물체쪽에 가장 가까운 제1 렌즈 요소이며,The portion of the lens element mounted to the first barrel is the first lens element closest to the object side, 상기 제1 렌즈 요소는 볼록면이 물체쪽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 요소인, 어안 렌즈.The first lens element is a fisheye lens element with a convex surface facing towards the object.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어안 렌즈는 지지대에 고정된 상기 제2 경통에 상기 제1 경통을 탈부착할 때 상기 제2 경통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어안 렌즈.The fisheye lens further comprises a fix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second barrel from moving when detaching the first barrel to the second barrel fixed to the support. 제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대와 접하는 상기 제2 경통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과,The fixing part and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in contact with the support;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경통 고정 나사를 포함하는, 어안 렌즈.And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ed to the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er. 제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대와 접하는 상기 제2 경통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경통 고정봉 체결공과,The fixing part and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rod fastening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in contact with the support;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경통 고정봉 체결공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경통 고정봉을 포함하는, 어안 렌즈.And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rod which is fastened to the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rod fastening hole. 제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대와 접하는 상기 제2 경통의 일면 상에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어안 렌즈.The fixing part is a fish-eye lens made of a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in contact with the support.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경통은 그 내주면에 형성된 제1 경통 체결부를 포함하고,The first barrel includes a first barrel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상기 제2 경통은 그 외주면의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경통 체결부에 체결되는 제2 경통 체결부를 포함하는, 어안 렌즈.The second fish barrel includes a second barrel fastening portion formed in a first region of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astened to the first barrel fastening portion. 제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 경통 체결부는 암나사이고, 상기 제2 경통 체결부는 수나사인, 어안 렌즈.The first barrel fastening portion is a female screw, and the second barrel fastening portion is a male screw. 제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어안 렌즈는,The fisheye lens,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 경통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과,At least one first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penetr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arre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경통 체결부에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경통 고정 나사를 포함하는, 어안 렌즈.And at least one first barrel fixing screw coupled to the at least one first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a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barrel fasten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경통은 외주면에 형성된 제1 경통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어안 렌즈.The first barrel further comprises a first barrel gripp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isheye lens.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2 경통의 외주면의 제2 영역에 형성된 고정 너트 체결부와,A fixing nut fastening portion formed in a second reg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상기 제2 경통의 외주면의 제3 영역에 형성된 렌즈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어안 렌즈.The fisheye lens further comprises a lens fastening portion formed in a third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다수의 렌즈 요소를 포함하는 어안 렌즈에 있어서,A fisheye lens comprising a plurality of lens elements align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다수의 렌즈 요소 중 물체쪽에 가까운 일부의 렌즈 요소가 장착되는 제1 경통과,A first barrel on which some lens elements of the plurality of lens elements close to an object side are mounted; 상기 제1 경통이 탈부착되며, 상기 다수의 렌즈 요소 중 나머지 렌즈 요소가 장착되는 제2 경통을 포함하고,A second barrel, to which the first barrel is detachable, to which the remaining lens elements of the plurality of lens elements are mounted; 상기 어안 렌즈는 지지대에 고정된 상기 제2 경통에 상기 제1 경통을 탈부착할 때 상기 제2 경통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어안 렌즈.The fisheye lens further comprises a fix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second barrel from moving when detaching the first barrel to the second barrel fixed to the support. 제17 항에 있어서,18.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대와 접하는 상기 제2 경통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과,The fixing part and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in contact with the support;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경통 고정 나사를 포함하는, 어안 렌즈.And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ed to the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screw fastener. 제17 항에 있어서,18.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대와 접하는 상기 제2 경통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경통 고정봉 체결공과,The fixing part and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rod fastening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in contact with the support;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경통 고정봉 체결공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경통 고정봉을 포함하는, 어안 렌즈.And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rod which is fastened to the at least one second barrel fixing rod fastening hole. 제17 항에 있어서,18.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대와 접하는 상기 제2 경통의 일면 상에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어안 렌즈.The fixing part is a fish-eye lens made of a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in contact with the support. 제17 항에 있어서,18.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1 경통은 그 내주면에 형성된 제1 경통 체결부를 포함하고,The first barrel includes a first barrel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상기 제2 경통은 그 외주면의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경통 체결부에 체결되는 제2 경통 체결부를 포함하는, 어안 렌즈.The second fish barrel includes a second barrel fastening portion formed in a first region of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astened to the first barrel fastening portion.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안 렌즈는,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fisheye lens,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 경통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과,At least one first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penetr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arre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경통 고정 나사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경통 체결부에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경통 고정 나사를 포함하는, 어안 렌즈.And at least one first barrel fixing screw coupled to the at least one first barrel fixing screw fastening a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barrel fastening. 제17 항에 있어서,18.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1 경통은 외주면에 형성된 제1 경통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어안 렌즈.The first barrel further comprises a first barrel gripp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isheye lens. 제17 항에 있어서,18.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2 경통의 외주면의 제2 영역에 형성된 고정 너트 체결부와,A fixing nut fastening portion formed in a second reg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상기 제2 경통의 외주면의 제3 영역에 형성된 렌즈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어안 렌즈.The fisheye lens further comprises a lens fastening portion formed in a third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다수의 렌즈 요소를 포함하는 어안 렌즈에 있어서,A fisheye lens comprising a plurality of lens elements align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다수의 렌즈 요소 중 물체쪽에 가까운 일부의 렌즈 요소가 장착되는 제1 경통과,A first barrel on which some lens elements of the plurality of lens elements close to an object side are mounted; 상기 제1 경통이 탈부착되며, 상기 다수의 렌즈 요소 중 나머지 렌즈 요소가 장착되는 제2 경통을 포함하고,A second barrel, to which the first barrel is detachable, to which the remaining lens elements of the plurality of lens elements are mounted; 상기 제1 경통은 외주면에 형성된 제1 경통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어안 렌즈.The first barrel further comprises a first barrel gripp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isheye lens.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다수의 렌즈 요소를 포함하는 어안 렌즈에 있어서,A fisheye lens comprising a plurality of lens elements align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다수의 렌즈 요소 중 물체쪽에 가까운 일부의 렌즈 요소가 장착되는 제1 경통과,A first barrel on which some lens elements of the plurality of lens elements close to an object side are mounted; 상기 제1 경통이 탈부착되며, 상기 다수의 렌즈 요소 중 나머지 렌즈 요소가 장착되는 제2 경통을 포함하고,A second barrel, to which the first barrel is detachable, to which the remaining lens elements of the plurality of lens elements are mounted; 상기 제2 경통의 외주면의 제2 영역에 형성된 고정 너트 체결부와,A fixing nut fastening portion formed in a second reg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상기 제2 경통의 외주면의 제3 영역에 형성된 렌즈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어안 렌즈.The fisheye lens further comprises a lens fastening portion formed in a third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arrel.
KR1020090066730A 2008-12-12 2009-07-22 Fisheye lens with replacible lens elements on the object side KR10097252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277 2008-12-12
KR20080126277 2008-12-12
KR20080135429 2008-12-29
KR1020080135429 2008-12-29
KR1020090036834 2009-04-28
KR20090036834 2009-04-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226A Division KR101017612B1 (en) 2008-12-12 2009-12-11 Fisheye lens with replacible lens elements on the object s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171A KR20100068171A (en) 2010-06-22
KR100972528B1 true KR100972528B1 (en) 2010-07-28

Family

ID=423666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730A KR100972528B1 (en) 2008-12-12 2009-07-22 Fisheye lens with replacible lens elements on the object side
KR1020090123226A KR101017612B1 (en) 2008-12-12 2009-12-11 Fisheye lens with replacible lens elements on the object sid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226A KR101017612B1 (en) 2008-12-12 2009-12-11 Fisheye lens with replacible lens elements on the object si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9725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2301A1 (en) * 2018-05-31 2019-12-05 Gopro, Inc. Lens stack with replaceable outer le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9019A (en) * 1994-01-10 1995-08-04 Canon Inc Lens barrel
KR19990048663A (en) * 1997-12-10 1999-07-05 유무성 Eyepiece unit for physical imager
KR20050045285A (en) * 2003-11-11 2005-05-17 김성환 Image converter of digital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3214B2 (en) * 2001-02-15 2010-07-2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Wide angle photographing device and camera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9019A (en) * 1994-01-10 1995-08-04 Canon Inc Lens barrel
KR19990048663A (en) * 1997-12-10 1999-07-05 유무성 Eyepiece unit for physical imager
KR20050045285A (en) * 2003-11-11 2005-05-17 김성환 Image converter of digital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223A (en) 2010-06-22
KR101017612B1 (en) 2011-02-28
KR20100068171A (en) 201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0563B2 (en) Optical lens
KR102380229B1 (en) Photographing lens system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495845B2 (en) Wide-angle imaging lens
US7684127B2 (en) Imaging lens and imaging device
CN109219766B (en) Image pickup optical system, lens member,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11231565B2 (en) Optical lens comprising eight lenses of −−++−++− refractive powers
KR100849797B1 (en) Wide-angle lens system
US7286302B2 (en) Optical system, image pickup device and digital apparatus
US7843652B2 (en) Wide-angle imaging lens
US8248715B2 (en)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using imaging lens
US7595938B2 (en) Wide-angle imaging lens, imaging device and camera module
US8456763B2 (en) Imaging optical lens assembly
US9599789B2 (en)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US20070279761A1 (en) Wide-angle imaging lens
JP2009031762A (en) Imaging lens and imaging device
US7663815B2 (en) Imaging lens
JP5204591B2 (en) Lens unit
CN109143534B (en) Optical len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10509211B2 (en) Optical system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20508481A (en) Wide-angle lens, imaging device and drone
CN201355402Y (en) Camera optical system and camera head
JP2018097150A (en) Imaging lens,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WO2020262553A1 (en) Imaging lens, and image capturing device
KR100972528B1 (en) Fisheye lens with replacible lens elements on the object side
KR20140008183A (en) Wide field-of-view op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