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742B1 - Construction auxiliary device of a bottom or a wall and a guide applying the devic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auxiliary device of a bottom or a wall and a guide applying th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742B1
KR100970742B1 KR1020100005200A KR20100005200A KR100970742B1 KR 100970742 B1 KR100970742 B1 KR 100970742B1 KR 1020100005200 A KR1020100005200 A KR 1020100005200A KR 20100005200 A KR20100005200 A KR 20100005200A KR 100970742 B1 KR100970742 B1 KR 100970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construction
floo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2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진
Original Assignee
박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진 filed Critical 박종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7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 E04F21/183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for setting a plurality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1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PURPOSE: An auxiliary device for the construction of a floor and a wall, and a lateral support used in the same are provided to reduce material costs, improve product satisfaction index, and reduce construction times. CONSTITUTION: An auxiliary device for the construction of a floor and a wall comprises a horizontal support(100), and a vertical support, and a support member for wall construction. The horizontal support supports the horizontal construction of tiles and blocks. The vertical support supports the vertical construction of tiles and blocks. The support member for wall construction compensates the height on a recess of the wall in the construction of a wall.

Description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가로측 지지대{construction auxiliary device of a bottom or a wall and a guide applying the device}Construction auxiliary device of a bottom or a wall and a guide applying the device

본 발명은 바닥이나 벽면 등의 마감재로 천연석, 인조석, 타일 등을 시공할 때 작업소요 시간 단축과 인건비 및 자재 절감으로 고도의 숙련자가 아닌 일반인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각 제품간의 벌어짐 방지와 시공상의 어려운 부분에 대한 불규칙한 간격을 보완하여 시공 후 일정한 평활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며, 온도 변화나 환경 변화에 따른 각 제품의 팽창 변형도 고려하여 정교한 시공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바닥 및 벽면 시공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natural stone, artificial stone, tile, etc. as a finishing material, such as floor or wall surface, reducing the work time and labor costs and materials, so that even ordinary people who are not highly skilled and prevent gaps between each produc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uniform smoothness after construction by supplementing irregular intervals for difficult parts of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and to develop a new type of floor and to make precise construction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expansion and deformation of each product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or environmental change. It relates to a frame for wall construction.

일반적으로 천연석, 인조석, 타일 등의 제품을 이용한 바닥마감 시공 중 본드, 몰탈, 시멘트, 에폭시를 사용하여 시공할 경우 해당 제품을 바닥에 안착한 후 제품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최소 12~24시간 이후에야 비로소 다음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In general, when using flooring with products such as natural stone, artificial stone, tiles, etc., when using bond, mortar, cement, and epoxy, the product should be fixed to the floor at least 12 ~ 24 hours after fixing. The process can proceed.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바닥마감 시공은 제품의 일정한 간격과 높낮이를 유지하기 위해 숙련공의 기술에만 의존해야 하는 경제적인 단점과, 숙련공이라 할지라도 작업도중 불규칙한 간격과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전후, 좌우를 비교하여 일일이 망치로 두드리고 보완해 가야하는 불편함 때문에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floor finishing construction is economical disadvantages that must rely only on the skills of skilled workers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and height of the product, and even the skilled workers, before and after, to adjust the irregular intervals and heights during work Compared to the inconvenience of tapping and complementing with a hammer, it takes a long time to work.

또한, 이런 수작업을 진행하는 숙련공이 되기까지 많은 경험과 오랜 시간이 필요하므로 숙련공의 인력난이 갈수록 심화되어 가고 있으며, 현장 여건이 최악인 경우 바닥이 고르지 못할 때 제품의 시공이 어려워 마감재로 위 제품들을 배제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In addition, many skilled workers and a long time are required to become skilled workers who carry out such manual work, and the labor shortage of skilled workers is getting worse.In the worst case, when the floor is uneven,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products. There is no choice but to exclude it.

또한, 줄눈제로 제품 간의 틈새를 보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줄눈제가 영구적이지 못한 이유로 단시간 내에 작은 충격에도 조금씩 갈라지고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하고, 결국에는 떨어진 틈새 사이로 이물질이 끼어 제품의 만족도를 떨어뜨림과 더불어 제품의 변색이나 파손까지도 진행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re is a hassle of reinforcing the gap between the products with the joint agent, and the shortcoming of the small impact in a short period of time due to the fact that the joint agent is not permanent, there is a drawback, and foreign matters are caught between the gaps, which in turn lowers the satisfaction of the produc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even discoloration or damage of the product can proceed.

이와 함께, 기존의 일반적인 제품은 온도 변화나 환경 변화 등에 따른 미세한 팽창이 발생됨을 고려할 때 상기한 팽창 변화로 인해 줄눈제의 파손 및 떨어짐 등이 야기되었고, 이로 인한 소비자의 불만이 야기되었던 문제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existing general product has a problem that the breakdown and falling of the joint agent caused by the expansion change in consideration of the minute expansion caused by temperature changes or environmental changes, etc., resulting in consumer complaints .

특히, 바닥보다 작업환경이 더욱 까다로운 벽체마감은 제품 사이즈가 큰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큰 사이즈의 제품은 원활한 평활도를 맞추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바닥과 같은 방법으로 두드려서 맞춰가는 식의 작업을 하고 시공 완료 후에 측면에서 벽면 평활도를 비교해보면 전체적으로 균형이 잘 맞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받아 왔었다.In particular, wall finishing, which is more demanding than the floor, is often a large product size, and such a large size product ha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achieve smooth smoothness. In other words, when the work is done by tapping in the same way as the floor and comparing the wall smoothness from the side after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the overall problem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overall balance is not goo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평활도가 우수한 시공이 가능하면서도 비숙련자라도 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자재비의 절감 및 제품 만족도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바닥 및 벽면 시공보조 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가로측 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shorten the working time and to provide excellent smoothness and easy construction even for unskilled people In addition, it aims to provide a new type of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ssistance device and transverse side support to make it possible to reduce material costs and improve product satisfac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에 따르면 평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시공면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측 및 후방측에는 서로 인접되는 두 제품의 전방측 및 후방측 끝단이 각각 얹힌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각종 도포물의 통과를 위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관통부로 각각 이루어진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중앙을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두 제품들 간을 가로막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이루는 관통부의 저면에 각각 형성되며, 시공면에 얹힘과 더불어 그 내측으로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모래나 시멘트 혹은, 각종 이물질 등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메인 안착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면서 제품이 상기 수평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얹히도록 하는 안착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로측 지지대; 그리고, 상기 가로측 지지대의 설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설치됨과 더불어 전방측 및 후방측 끝단은 상기 가로측 지지대의 수평부재 상면에 안착되며, 양측으로는 서로 인접되는 두 제품의 양측 끝단이 각각 얹힌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모래나 시멘트 혹은, 각종 이물질 등의 통과를 위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관통부를 가지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중앙측 부위를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수평부재에 얹히는 두 제품들 서로 간을 가로막는 수직부재를 가지는 세로측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uxilia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in a flat shape and is install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construction surface, the front of the two products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lative to the center Horizontal members each consisting of a fixing part fixed to the side and the rear end is mounted on each other and a through part forme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part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the passage of various coatings, and along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member Is formed on the vertical member and the bottom of the penetrating portion forming the horizontal member while being formed to protrude, each of the sand or cement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in addition to being mounted on the construction surface, A main seating member formed to have a receiving space in which foreign matters are accommodated, and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A horizontal side support including a seating jaw formed so that the product is plac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In additi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end are mounted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front and rear ends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horizontal support. A horizontal member having a fixed portion fixed to the mounted state and a through portion formed to extend outside the fixed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passing sand, cement or various foreign substances, and a central side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ertical support having a vertical member that is formed to protrude along and the two products placed on the horizontal member to each other.

여기서, 시공면과 상기 가로측 지지대를 이루는 메인 안착부재 간의 접촉 부위에 개재되며, 일측 끝단으로부터 타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된 보조 지지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보조 지지대와 상기 메인 안착부재의 외벽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지면서 상기 보조 지지대의 유동됨을 방지하는 요철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it is interposed in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the main seating member forming the horizontal side support, and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support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height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e auxiliary support and the main seati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shape is further included to prevent the flow of the auxiliary support while being formed in a corresponding form.

이때, 상기 요철부는 상기 보조 지지대의 설치 방향을 따라 요철이 반복되는 가로 요철부 및 상기 보조 지지대의 설치 방향을 따라 돌출 및 요입 형성된 세로 요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uneve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rizontal uneven portion is repeated irregularities alo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and a vertical uneven portion protruding and recessed alo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또한, 상기 가로측 지지대를 구성하는 수평부재의 저면 중앙 부위를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시공면에 안착되는 보조 안착부재와, 일부는 시공면에 고정됨과 더불어 다른 일부는 상기 시공면으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가로측 지지대의 보조 안착부재를 받쳐주도록 구성된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는 상기 시공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표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가로측 지지대의 보조 안착부재가 수용되는 수용 브라켓과, 상기 수용 브라켓의 동작을 지지하도록 양단이 상기 고정 브라켓 및 수용 브라켓에 각각 연결된 연결 링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seating member which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constituting the horizontal support and is seated on the construction surface, while being fix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the other part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struction surface Further comprising a 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the auxiliary seating member of the horizontal side support, wherein the 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 is fixed from the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and a fixing bracket fixedly coupl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It is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the receiving bracket is accommodated for the auxiliary seating member of the horizontal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h ends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xing bracket and the receiving bracket, respectively, to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receiving bracket.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용 가로측 지지대에 따르면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서로 인접되는 두 제품의 양측 끝단이 각각 얹힌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각종 도포물의 통과를 위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관통부로 각각 이루어진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중앙을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두 제품들 간을 가로막는 수직부재; 상기 수평부재를 이루는 관통부의 저면에 각각 형성되며, 시공면에 얹힘과 더불어 그 내측으로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모래나 시멘트 혹은, 각종 이물질 등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메인 안착부재;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의 상면 중 상기 관통부의 끝단과 상기 고정부 및 관통부 간의 경계 부위에 각각 돌출 형성되면서 제품이 얹히는 부위를 이루는 안착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support for the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uxilia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in a flat shape, fixed on both sides of the two sides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center on each other Horizontal members each formed of a fixing part which is formed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part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passing various coatings; A vertical member which protrudes along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blocks the two products; A main seating member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through part forming the horizontal member, the main seating member being mounted on a construction surface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sand, cement or various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are accommodated;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ating jaw: forming a part on which the product is placed while protruding from each of the upper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xing portion and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여기서, 상기 수직부재는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vertical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thickness toward the top.

또한, 상기 수평부재의 각 부분 중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부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of each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is formed thinner than the through portion.

또한, 상기 메인 안착부재는 중앙측으로 갈수록 수용공간의 깊이가 점차 깊어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sea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rounded so that the depth of the receiving space gradually toward the center side.

또한, 상기 안착턱은 상단이 중앙측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ating jaw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is formed to be convexly rounded toward the center side.

또한, 상기 수평부재의 저면 중 상기 수직부재가 형성된 부위의 직하방에는 시공면에 안착되면서 해당 부위에 대한 처짐을 방지하는 보조 안착부재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auxiliary seating member is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member to prevent the deflection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while being seated on the construction surface directly below the portion where the vertical member is formed.

또한,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 부위를 감싸면서 각 제품 사이로 노출되어 상기 각 제품 간의 경계를 표시토록 하는 마감용 표시캡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wraps a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y cap for finishing to expose the boundary between each product to display between each product.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는 가로측 지지대 및 세로측 지지대의 제공을 통해 제품을 정확한 수평 및 수직 상태로 시공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Floor and wall construction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product in the correct horizontal and vertical state by providing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vertical support.

특히, 보조 지지대의 추가적 제공 및 이에 대응되는 메인 안착부재의 구조로 인해 바닥면이나 벽면 등의 평활도에 상관없이 각 제품에 대한 평활도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초보자도 쉽게 작업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In particular, the additional support of the support and the structure of the corresponding main seating member can be improved to the maximum smoothness of each product irrespective of the smoothness of the floor or wall, so that even beginners can easily work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의 가로측 지지대에는 관통부와 메인 안착부재 및 안착턱의 추가적 구성으로 인해 각 가로측 지지대 사이에 도포되는 도포물이 과도하게 도포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의 정확한 수평 시공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support of the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coating applied between each horizontal support from being excessively applied due to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through part and the main seating member and the seating jaw. This has the effect of enabling accurate horizontal construction of the product.

더욱이, 가로측 지지대 및 세로측 지지대의 수직부재를 감싸는 마감용 표시캡의 추가적 제공으로 인해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심미감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Furthermore, the additional provision of the finishing display cap surrounding the vertical member of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vertical suppor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the aesthetics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 중 가로측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용 가로측 지지대와 보조 지지대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을 시공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을 시공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을 시공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을 시공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용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용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 중 최하측에 제공되는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용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들을 이용한 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용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horizontal support of the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side support for the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to explain the state of constructing the product using the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constructing a product using a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6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for constructing a product using the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constructing a product by using a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 for a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 provided on a lowermost side of a 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 for a floor and a wall construction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struction state using the 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s for the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 for a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첨부된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이하, “시공 보조 장치”라 함)는 크게 가로측 지지대(100) 및 세로측 지지대(200)로 구성된다.1 and 7 attached to the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struction assistance device") is largely composed of a horizontal support 100 and a vertical support 200 do.

이러한 시공 보조 장치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struction assista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First, the horizontal suppor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는 타일이나 블록 등과 같은 시공 대상 제품(이하, “제품”이라 함)(10)이 수평측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시공됨을 보조하는 일련의 구성이다.The horizontal support 100 is a series of configurations to assist the construction of the produ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duct") 10, such as tiles or blocks to be built along the horizontal side (left and right).

상기한 가로측 지지대(100)는 복수로 제공됨과 더불어 서로 간은 전후 이격되도록 각각 배치되며, 수평부재(110)와, 수직부재(120)와, 메인 안착부재(150) 및 안착턱(171,1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가로측 지지대(100) 간의 전후 이격 거리는 상기 제품(10)의 전후 길이와 동일하도록 설정된다.The horizontal support 100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are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fore and after each other, the horizontal member 110, the vertical member 120, the main seating member 150 and the seating jaw (171, 17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this time, the front and rear separation distance between each horizontal support 100 is set to be equal to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product (10).

여기서,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를 구성하는 수평부재(110)는 평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시공면의 수평측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Here, the horizontal member 110 constituting the horizontal support 10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is installed such that its longitudinal direction is directed toward the horizontal side of the construction surface.

특히, 상기한 수평부재(110)는 그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측 부위 및 후방측 부위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111,112) 및 한 쌍의 관통부(113,114)를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horizontal member 110 includes a pair of fixing parts 111 and 112 and a pair of through parts 113 and 114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based on the center thereof.

상기 두 고정부(111,112)는 상기 수평부재(110)의 중앙측 부위를 기준으로 볼 때 전방측 부위를 이루는 전방측 고정부(111)와 후방측 부위를 이루는 후방측 고정부(112)로 구성되면서 두 제품(10)의 전방측 끝단 및 후방측 끝단이 각각 얹힌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두 관통부(113,114)는 상기 전방측 고정부(111)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방측 관통부(113) 및 상기 후방측 고정부(112)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방측 관통부(114)로 구성된다.The two fixing parts 111 and 112 include a front fixing part 111 forming a front side part and a rear fixing part 112 forming a rear side part when the center part of the horizontal member 110 is viewed. While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two products 10 are fixed, respectively, the two through parts 113 and 114 are extended from the front side fixing part 111 to the front side through part 113. And a rear penetrating portion 114 extending from the rear fixing portion 112 to the rear side.

이때, 상기 각 고정부(111,112) 및 각 관통부(113,114)는 그의 상면으로 도포되는 도포물에 의해 제품이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도포물이라 함은 세멘트나 모래 혹은, 각종 이물질 등이 포함된다.At this time, each of the fixing parts 111 and 112 and the through parts 113 and 114 forms an area in which the product is fixed in a state where the product is seated by the coating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coating includes cement, sand, or various foreign matters.

이와 함께, 상기 각 관통부(113,114)에는 복수의 관통공(11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품(10)의 시공 도중 각 가로측 지지대(100) 사이에 도포되는 도포물의 일부가 상기 각 관통공(115)을 통해 일부가 유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평 부재(110)의 상면으로 상기 도포물이 과도하게 도포됨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15 are formed in each of the through-holes 113 and 114, so that a part of the coating material applied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ers 100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product 10 is formed in the through-holes 115. By allowing a portion to flow out, the coating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110.

또한, 상기 각 고정부(111,112)는 하자 처리시 혹은, 유지 보수시 시멘트와 같은 도포물을 대체하는 실리콘의 도포 영역을 이루기도 한다. 즉, 제품(10)의 파손 등에 따라 해당 제품을 새 제품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시멘트와 같은 도포물로 제품(10)을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리콘 등으로 제품(10)을 고정하게 되는데 이의 경우 상기 각 고정부(111,112)가 상기 실리콘의 도포 영역을 이룸으로써 해당 제품(10)의 교체 작업이 간단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each of the fixing parts 111 and 112 may form an application area of silicon to replace an application such as cement during defect treatment or maintenance. That is, in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corresponding product with a new product due to breakage of the product 10, the product 10 is fixed with silicon or the like instead of fixing the product 10 with a coating such as cement. The fixing parts 111 and 112 form the application area of the silicon so that the replacement work of the product 10 can be easily perform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된 수평부재(110)의 저면 중 중앙측 부위에는 보조 안착부재(140)가 돌출 형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poses that the auxiliary seating member 140 protrudes from the central side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member 110 described above.

이때, 상기한 보조 안착부재(140)는 시공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수직부재(120)가 형성된 부위에 대한 처짐을 방지하는 일련의 구성이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seating member 140 is a series of configurations to prevent the sag on the portion where the vertical member 120 is formed while seated on the construction surface.

그리고,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를 구성하는 수직부재(120)는 각 제품(10)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함으로써 각 제품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물론, 상기한 수직부재(120)는 두 제품(10) 간의 전후 이격 거리를 결정함과 더불어 상기 두 제품(10) 간의 전후 이격에 따른 틈새를 차단하는 역할을 부가적으로 수행한다.And, the vertical member 120 constituting the horizontal support 100 is a series of configurations to assist each product to be installed in the correct position by guid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each product (10). Of course, the vertical member 120 additionally determines the distance before and after the separation between the two products 10 and additionally serves to block the gap between the two products 10.

상기한 수직부재(120)는 상기 수평부재(110)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면서 상기 수평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두 제품(10) 간을 가로막게 된다.The vertical member 120 protrudes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110 and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110 to block the two products 10.

이때, 상기 수직부재(120)는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됨을 바람직하다. 이는, 시공면의 불균일한 표면으로 인해 그에 시공되는 제품(10)의 기울어짐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제품(10)의 상측 끝단과 상기 수직부재(120)의 상측 끝단 간은 항상 최대한 인접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서로 간(끝단 부위 간)의 틈새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상기 수직부재(120)의 측벽과 상기 제품(10)의 측벽 사이에는 일정한 틈새가 존재하도록 하고, 이 틈새에는 도포물이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간의 틈새를 통한 물이나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추가로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vertical member 120 is preferably formed to become thicker gradually toward the top. This is because even if the inclination of the product 10 is constructed due to the non-uniform surface of the construction surf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product 10 and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120 to always be as close as possible This is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gaps between each other (between ends). In addition, a predetermined gap exists between the side wall of the vertical member 120 and the side wall of the product 10, and the gap is filled with a coating material to prevent the inflow of water or foreign matter through the gap between each other. It will also play an additional ro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부재(120)의 상단 부위를 감싸면서 각 제품(10) 간의 사이로 노출되는 마감용 표시캡(13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poses that the finishing display cap 130 is further includ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120 is exposed between each product (10).

이때, 상기 마감용 표시캡(130)은 실리콘이나 고무 혹은,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며, 각 제품(10) 사이로 노출되면서 상기 각 제품(10) 간의 경계를 표시함과 더불어 그 재질적 특성에 따른 탄성 및 밀착성에 의해 각 제품(10)과 상기 수직부재(120) 사이의 틈새 발생을 차단하여 해당 틈새로 각종 이물질(특히,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마감용 표시캡(13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수직부재(120)로부터 자유롭게 탈착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추가로 가진다. 물론, 상기한 마감용 표시캡(130)은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제품(10)과의 밀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finishing display cap 13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silicone, rubber, or plastic, and is exposed between each product 10, and displays the boundary between each product 10 and its material properties It is a series of configurations to play a role of preventing the introduction of various foreign matters (particularly, moisture) to the gap by blocking the generation of the gap between each product 10 and the vertical member 120 by the elasticity and adhesion according to. The finishing display cap 130 has the advantage that the maintenance can be made conveniently because it can be freely detachable from the vertical member 120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Of course, the display cap 130 for the finish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but in this cas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dhesion to the product 10 is inferior.

그리고,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를 구성하는 메인 안착부재(150)는 상기 수평부재(110)가 시공면에 수평을 이루면서 얹힐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이다.In addition, the main seating member 150 constituting the horizontal support 100 is a series of configurations such that the horizontal member 110 can be mounted on the construction surface horizontally.

상기 메인 안착부재(150)는 상기 수평부재(110)를 이루는 관통부(113,114)의 저면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그 내측으로는 상기 관통부(113,114)의 관통공(115)을 통해 유입된 도포물(모래나 시멘트 혹은, 각종 이물질 등)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main seating member 15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s of the through parts 113 and 114 constituting the horizontal member 110, and the inside of the main seating member 150 is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s 115 of the through parts 113 and 114. It is formed to have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coating material (sand, cement or various foreign matters, etc.) is accommodated.

이때, 상기한 메인 안착부재(150)는 중앙측으로 갈수록 수용 공간의 깊이가 점차 깊어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메인 안착부재(150)를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원활한 기울어짐을 통한 수평 조절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내부로 각종 이물질의 수용을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main seating member 150 is more preferably formed to be rounded so that the depth of the receiving space gradually toward the center side. That is, by forming the main seating member 150 to be round, the horizontal adjustment through smooth inclination can be accurately made,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foreign matters can be formed therein.

특히, 상기한 메인 안착부재(150)의 돌출 높이는 과도하게 높지 않도록 하면서도 각 제품(10)의 얹힘 영역은 최대한 확보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함과 더불어 그의 시공시 시멘트 등의 도포물이 도포된 시공면에 잘 움직이면서 묻힐 수 있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main seating member 150 is not excessively high, but the mounting area of each product 10 has a size that can be secured as much as possible, and a coating such as cement is applied during its construction. It is most desirable to be able to move well buried in the construction surfac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메인 안착부재(150)가 대략 반원 혹은, 그 이하의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메인 안착부재(150)의 돌출 높이가 높을수록 시공면에 도포되는 시멘트의 도포량이 많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상기 메인 안착부재(150)의 돌출 높이를 최소화하되 각 제품(10)의 얹힘 영역은 최대한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o this e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that the main seating member 150 is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of about half circle or less. Since the structure of the main mounting member 150 increases as the projecting height of the cement appli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increases, the projecting height of the main mounting member 150 is minimized, but each product 10 is placed on the structure. This is to ensure maximum area.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된 수평부재(110)의 각 부위 중 각 고정부(111,112)는 각 관통부(113,114)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xing parts 111 and 112 of the above-described horizontal member 110 is preferably thinner than the through parts 113 and 114.

즉, 가로측 지지대(100)를 시공면에 안착시켰을 경우 시공면의 높낮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각 고정부(111,112)의 휨 변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높낮이 차이로 인한 가로측 지지대(100)의 전체적인 기울어짐 및 이로 인한 제품(10)의 수평 시공 불량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when the horizontal support (100) is seated on the construction surface, despite the difference in height of the construction surface to ensure that the bending deformation of each fixing portion (111,112) is made smoothly the overall of the horizontal support (100)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It is to be prevented from tilting and thereby the horizontal construction failure of the product 1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한 보조 지지대(160)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메인 안착부재(150)의 수평 조절이 더욱 원활하면서도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한다. 이는, 첨부된 도 3 및 도 6과 같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n auxiliary support 160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horizontal adjustment of the main seating member 150 can be made more smoothly and accurately. This is the same as in FIGS. 3 and 6.

이때, 상기 보조 지지대(160)는 일측 끝단으로부터 타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시공면(예컨대, 바닥 혹은, 벽면)과 메인 안착부재(150) 간의 접촉 부위에 개재되는 일련의 구성이다.In this case, the auxiliary support 160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gradually increase in height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 series of components interposed 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construction surface (for example, floor or wall) and the main seating member 150 to be.

특히, 상기 보조 지지대(160)와 메인 안착부재(150) 간의 대향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지면서 상기 보조 지지대(160)의 유동됨을 방지하는 요철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철부는 상기 보조 지지대(160)와 메인 안착부재(150) 간의 대향면에 상기 보조 지지대(160)의 설치 방향을 따라 요철이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가로 요철부(151,161)와, 상기 보조 지지대(160)의 설치 방향을 따라 돌출 및 요입되도록 상기 보조 지지대(160) 및 메인 안착부재(150)에 대응 형성되는 세로 요철부(152,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요철부(151,152,161,162)들은 상기 보조 지지대(160)가 상기 메인 안착부재(15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었을 경우 상기 메인 안착부재(150)의 좌우 유동 및 전후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the opposite surface between the auxiliary support 160 and the main seating member 150 is formed with a concave-convex portion to prevent the flow of the auxiliary support 160 to be uneven in a form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uneven portion is a horizontal uneven portion (151, 161) and the auxiliary support is formed so that the unevenness is repeated alo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160 on the opposite surface between the auxiliary support 160 and the main seating member 15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ertical uneven portion (152, 162)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support 160 and the main seating member 150 so as to protrude and indent alo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160). The uneven parts 151, 152, 161, and 162 as described above serve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flow and the front and rear flow of the main seating member 150 when the auxiliary support 160 is installed to support the main seating member 150. .

이때, 상기 보조 지지대(160)는 복수로 제공되며, 서로 간은 적층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support 160 is provided in plurality, by being configured to be stacked on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enable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그리고,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를 구성하는 안착턱(171,172)은 각 제품(10)이 안착되는 부위를 형성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수평부재(110)의 상면에 도포되는 도포물이 제품의 안착에 따른 가압력에 의해 과도하게 퍼짐을 방지하여 도포물의 안정적인 도포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nd, the seating jaw (171, 172) constituting the horizontal support 100 is a series of configurations to form a portion on which each product 10 is seated, the coating material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110 product It prevents excessive spreading due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seat to serve to maintain a stable coating state of the coating.

만일, 상기한 안착턱(171,172)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시멘트를 이루는 각종 모래 등이 상기 제품(10)과 상기 수평부재(110)의 표면(고정단 및 관통단의 표면) 사이에 끼임에 따른 미세한 틈새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틈새로 인해 제품(10)과 수평부재(110) 간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수분의 침투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If the seating jaws 171 and 172 do not exist, a fine gap due to the various sands, which form cement, is caught between the surface of the product 10 and the horizontal member 110 (the surfaces of the fixed end and the through end). It may be generated, because the gap between the product 10 and the horizontal member 110 is reduced due to this gap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has a problem that the penetration of moisture may occur.

또한, 상기한 안착턱(171,172)은 상기 수평부재(110)의 상면 중 상기 고정부(111,112) 및 관통부(113,114) 간의 경계 부위에 돌출 형성되는 제1안착턱(171)과, 상기 관통부(113,114)의 외측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2안착턱(172)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품(10)이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ating jaw (171, 172) is the first seating jaw (171) and the through portion protruding to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xing portion 111, 112 and the through portion 113, 114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110, The second mounting jaw 172 protruding from the outer ends of the 113 and 114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product 10 in a stable seated state.

즉, 상기 각 안착턱(171,172)을 메인 안착부재(150)의 양 끝단 부위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10)의 얹힘에 따른 메인 안착부재(150)의 원치않는 기울어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by allowing each of the seating jaws 171 and 172 to b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main seating member 150, an undesired inclination of the main seating member 150 due to the mounting of the product 10 can be prevented. It would b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안착턱(171,172)의 상단을 중앙측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각 안착턱(171,172)의 상면에 이물질이 잔존함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물질로 인한 각 제품(10)의 얹힘 불량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particula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poses that the upper ends of the seating jaws 171 and 172 are rounded convexly toward the center side. This structure is to prevent the bad mounting of each product 10 due to the foreign matter by preventing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jaw (171,172).

다음으로, 상기 세로측 지지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longitudinal side support 200 will be described.

상기 세로측 지지대(200)는 제품이 시공면에 수직측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시공됨을 보조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의 설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전방측 및 후방측 끝단은 서로 인접된 두 가로측 지지대(100)를 이루는 수평부재(110)의 상면에 각각 안착된다.The vertical side support 200 is a series of configurations to assist the product is constructed along the vertical sid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the construction surface, is installed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horizontal side support 100, The front and rear ends are respective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110 forming the two horizontal support 100 adjacent to each other.

이때,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를 이루는 수평부재(110)의 상면 중 상기 세로측 지지대(200)가 얹히는 부위에는 안착턱(171,172)이 존재하지 않도록 제거된다.At this time, the mounting jaw (171, 172) is remov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110 constituting the horizontal support 100 is placed on the vertical support 200.

상기 세로측 지지대(200)는 전체적으로 가로측 지지대(10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좌우측으로는 서로 인접되는 두 제품(10)의 좌측 끝단 및 우측 끝단이 각각 얹힌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부(211,212) 및 상기 고정부(211,212)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도포물의 통과를 위한 복수의 관통공(215)이 형성된 관통부(213,214)를 가지는 수평부재(210)와, 상기 수평부재(210)의 중앙측 부위를 따라 돌출되면서 상기 수평부재(210)에 얹히는 두 제품(10)들 서로 간을 가로막는 수직부재(220)를 가진다.The vertical side support 200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horizontal side support 100 as a whole. That is,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two products 10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fixed to each other in the fixed state (211,212) and the plurality formed for the passage of the coating while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portion (211,212) Horizontal members 210 having through portions 213 and 214 having through holes 215 formed therein, and two products 10 mounted on the horizontal members 210 while being protruded along a central side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s 210. They have a vertical member 220 to block each other.

물론, 상기한 세로측 지지대(200)의 수직부재(220)는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의 수직부재(120)가 이루는 높이에 비해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의 관통부(113,114) 및 고정부(111,112)가 이루는 부위의 높이만큼 낮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세로측 지지대(200)를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에 얹을 경우 두 수직부재(120,220) 간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vertical member 220 of the vertical side support 200 is a through portion 113, 114 and the fixing portion of the horizontal side support 100 compared to the height of the vertical member 120 of the horizontal side support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between the two vertical members 120 and 220 is equal to each other when the vertical support 200 is placed on the horizontal support 100 by being formed as low as the height of the portion formed by the 111 and 112.

또한, 상기 세로측 지지대(200)의 고정부(211,212) 및 관통부(213,214) 간의 경계 부위에도 별도의 안착턱(271,272)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제품(10)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by additionally forming a separate seating jaw (271,272) in the boundary between the fixing portion (211,212) and the through portion (213,214) of the longitudinal support 200 to further ensure that the product 10 can be stably seated desirable.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보조 장치의 사용 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한 사용 예는 시공면이 바닥임과 더불어 시공 제품은 타일임을 그 예로 한다.In the foll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construction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is case, the use example is that the construction surface is a floor, as well as the construction product is an example.

먼저, 바닥 시공시 시공면에 평활도를 확인한 다음 복수의 가로측 지지대(100)를 해당 시공면에 설치한다.First, check the smoothness on the construction surface when the floor construction, and then install a plurality of horizontal side support 100 on the construction surface.

이때, 상기 각 가로측 지지대(100)는 그 길이 방향이 시공면의 수평 방향(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병렬로 설치됨과 더불어 각 가로측 지지대(100) 상호 간은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각 가로측 지지대(100) 간의 이격 거리는 각 제품(타일)(10)의 높이(전후 길이)에 대응되는 거리로 설정된다.At this time, the horizontal support 100 is installed in parallel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is installed so that each of the horizontal support 10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each horizontal support 100 is set to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front and rear length) of each product (tile) 10.

또한, 상기한 과정에서는 상기 확인된 시공면의 평활도에 따라 각각의 보조 지지대(160)를 이용하여 메인 안착부재(150)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각 가로측 지지대(100)가 시공면으로부터 수평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 process, the horizontal support 100 is horizontal from the construction surfac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ain seating member 150 using the respective auxiliary support 160 according to the smoothness of the construction surface. Achieve the state.

즉, 시공면 중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부위에는 상기 보조 지지대(160)를 해당 가로측 지지대(100)의 메인 안착부재(150)와 시공면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가로측 지지대(100)의 해당 부위에 대한 높이를 더욱 높여서 전체적으로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relatively low portion of the construction surface by inserting the auxiliary support 160 between the main seating member 150 and the construction surface of the transverse support 100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transverse support 100 It is to increase the height even more so that the overall level.

이때, 상기 보조 지지대(160)와 상기 메인 안착부재(150) 간은 서로 간의 대향면에 대응 형성된 요철부(151,152,161,162)의 구조에 의해 원치않는 보조 지지대(160)의 탈거 및 유동이 방지된다. 만일, 해당 시공면의 깊이가 과도하게 깊다면 복수의 보조 지지대(160)를 서로 적층함으로써 상기 깊이에 대한 높이가 보상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support 160 and the main seating member 150 is prevented by the structure of the uneven parts 151, 152, 161, 162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between each other to prevent the removal and flow of the undesired auxiliary support 160. If the depth of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surface is excessively deep, the height of the depth may be compensated by stacking the plurality of auxiliary supports 160 with each other.

이후, 각 가로측 지지대(100) 사이에 본드, 에폭시, 시멘트 혹은, 파워멘트 등의 도포물을 도포한 후 각 제품(즉, 타일)(10)의 양단(전방측 끝단 및 후방측 끝단)을 서로 인접한 두 가로측 지지대(100)에 순차적으로 얹는다.Thereafter, a coating such as bond, epoxy, cement, or power cement is applied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ers 100, and then both ends (front end and rear end) of each product (ie, tile) 10 are applied. The two horizontal support adjacent to each other is placed sequentially.

이때, 상기 제품(10)을 가로측 지지대(100)에 얹는 과정 중 각 가로측 지지대(100) 사이에 도포된 도포물은 상기 제품(10)의 압착력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퍼져나가게 되고, 이의 과정에서 상기 도포물은 가로측 지지대(100)를 이루는 관통부(113,114) 및 고정부(111,112)로 유입된 후 해당 부위에 도포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특히 각 안착턱(171,172)에 의해 상기 도포물은 원활한 도포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각 안착턱(171,172)에 얹히는 제품은 안정적인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oating applied between each of the horizontal support 100 during the process of placing the product 10 on the horizontal support 100 is spread outwards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oduct 10, the process of In the coating is introduced into the through portion 113, 114 and the fixing portion (111, 112) constituting the horizontal support 100 to form a state applied to the site, in particular by the respective mounting jaw (171, 172) Is to maintain a smooth coating state, the product placed on each seating jaw (171, 172) is able to maintain a stable horizontal state.

또한, 상기한 각 안착턱(171,172)의 상측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고려할 때 해당 면에 상기 도포물의 일부가 잔존함은 방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안착턱(171,172)에 얹히는 제품(10)은 정확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seating jaw (171, 172) is formed to be rou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oating on the surface is prevented, and thus the product 10 to be placed on the seating jaw (171, 172)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rrect level.

전술한 바와 같은 각 제품(10)에 대한 시공을 수행하는 과정 중 각 가로측 지지대(100)를 구성하는 수직부재(120)는 상기 각 제품(10) 간의 전후 간격(줄눈)에 채워지는 메지대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During the construction of each product 10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member 120 constituting each horizontal side support 100 is filled with a front and rear gap (joint) between the respective products 10 Will take over.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과 같이 전후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 두 가로측 지지대(100)에 어느 한 제품(10)의 설치를 위한 시공이 완료되면 별도로 준비된 세로측 지지대(200)를 상기 시공된 제품(10)의 측부에 설치한다.When the construction for the installation of any one product 10 is completed in two horizontal support 100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back and forth as in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the separately prepared vertical support 200 is prepared by the product 10 Is installed on the side.

이때, 상기 세로측 지지대(200)는 그의 전방측 끝단 및 후방측 끝단을 상기 제품(10)이 시공된 두 가로측 지지대(100)의 수평부재(110) 상면에 각각 얹음으로써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vertical support 200 is installed by plac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110 of the two horizontal support 100, the product 10 is installed, respectively.

이의 상태에서, 또 다른 시공 대상 제품(10)을 상기 이미 시공된 제품(10)의 측편에 안착시킨다.In this state, another construction object product 10 is seated on the side of the already constructed product 10.

이의 경우, 상기 제품(10)의 전방측 및 후방측 부위는 두 가로측 지지대(100)를 이루는 수평부재(110)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품(10)의 양측 부위는 상기 세로측 지지대(200)를 이루는 수평부재(210)의 상면에 안착된다.In this case,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product 10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110 constituting the two horizontal support 100, both sides of the product 10 is the vertical support 200 I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210 forming a).

이때, 상기 제품(10)을 세로측 지지대(200)에 얹는 과정 중 도포물이 상기 제품(10)의 압착력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퍼져나가면서 세로측 지지대(200)를 이루는 관통부(213,214)로 유입되지만, 이렇게 유입된 도포물은 상기 관통부(213,214)에 형성된 관통공(213,214)을 통해 시공면이 위치된 측으로 배출됨으로써 도포물의 과도한 도포됨은 방지된다.At this time, during the process of placing the product 10 on the longitudinal side support 200, the coating spreads outwards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oduct 10 while flowing into the through portions 213 and 214 forming the longitudinal side support 200, In this way, the applied coating is discharged to the side where the construction surface is loca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213 and 214 formed in the through portions 213 and 214,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application of the coating.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완료되면 또 다른 세로측 지지대(200)를 상기 제품(10)의 측부에 설치한 후 또 다른 제품을 상기 제품(10)의 측부에 시공하는 과정을 반복한다.When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is completed, another longitudinal support 20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product 10, and then another product is repeated on the side of the product 10.

결국,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각 제품들은 수평 방향측 및 수직 방향측으로의 정확한 배열이 이루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음과 더불어 우수한 평활도를 갖도록 시공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rough the series of processes described above, each product can be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exact arrang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made, and can be constructed to have excellent smoothness.

이와 함께, 각 제품들의 수평 방향측(도면상 좌우 방향측) 틈새는 상기 세로측 지지대(200)의 수직부재(220)가 차단하게 되고, 상기 각 제품들의 수직 방향측(도면상 상하 방향측) 틈새는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의 수직부재(120)가 차단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메지대나 메지물로 틈새를 막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 direction 220 of the vertical support 200 is blocked by the horizontal side (left and right side in the figure) gap of each product, and the vertical direction side (up and down side in the figure) gap of the respective products. Since the vertical member 120 of the horizontal support 100 is blocked,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operation of blocking the gap with a separate message or a message.

특히,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한 제품(10)의 시공이 완료되면 각 수직부재(120,220)의 상단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색상의 마감용 표시캡(130)을 장착하여 감싸도록 함으로써 각 제품(10) 간의 틈새에 대한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한 마감용 표시캡(130)은 오랜 사용 후 유지보수시 혹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교체 가능하다.In particular,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product 10 through a series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completed, each product (by wrapping the display cap 130 of the color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on the top of each vertical member (120,220) 10) Allow the finish to be closed. At this time, the display cap 130 for the finish can be replaced after maintenance or long time use,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user.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보조 장치는 바닥면에 대한 제품의 시공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벽면에 대한 제품의 시공시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며, 이는 바닥 시공시와 동일한 과정으로 사용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used onl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roduct on the floor, it is also applicable to the construction of the product on the wall, which is used in the same process as the floor construction Just do it.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보조 장치를 벽면 시공에 사용할 경우 벽면의 평활도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각 가로측 지지대(100)가 정확한 수평 상태를 이루기 힘들 뿐 아니라 각 가로측 지지대(100)에 얹히게 되는 제품의 무게로 인해 처짐이 발생되어 정확한 수평 상태를 이루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construct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wall construction, when the smoothness of the wall surface is not constant, each horizontal support 100 is difficult to achieve an accurate horizontal state and is placed on each horizontal support 100. Due to the weight of the product, deflection may occur, which may cause a problem of failing to achieve an accurate level.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보조 장치는 벽면 시공시 각 가로측 지지대(100)의 처짐을 방지함과 더불어 그 수평 상태를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3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Therefore, the construction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 300 for preventing sagging of each horizontal support 100 during wall construction and allowing the horizontal state thereof to be aligned. It is further proposed to be configured.

여기서, 상기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300)는 시공면(벽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310)과, 상기 고정 브라켓(3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브라켓(320) 및 일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320)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를 관통하면서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처짐 방지돌부(330)로 구성되며, 이는 첨부된 도 8과 같다.Here, the 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 300 is a fixing bracket 310 is fixedly coupl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wall surface), the coupling bracket 3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310 and one end is the coupling In addition to being fixed to the bracket 320, the other end includes a deflection preventing protrusion 330 protruding to prevent sagging of the transverse support 100 while penetrating the transverse support 100. Is the same as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310)은 상기 결합 브라켓(320)의 양측 끝단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내향 절곡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합 브라켓(320)은 상기 고정 브라켓(310)에 슬라이딩 구조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결합 브라켓(320)은 상기 고정 브라켓(3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310)과 함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시공면에 고정된다.In this case, the fixing bracket 310 is bent inwardly so as to cover a part of both ends of the coupling bracket 320 so that the coupling bracket 320 can be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310 in a sliding structure. The coupling bracket 320 is fix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by using a screw or the like together with the fixing bracket 310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bracket 320 is mounted on the fixing bracket 310.

또한, 상기 처짐 방지돌부(330)는 중앙측 부위가 좌우로 절개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양측 외벽면에는 톱날 모양과 같은 요철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처짐 방지돌부(330)가 상기 가로측 지지대(200)를 관통하여 결합될 경우 상기 절개 부위에 대한 복원력 및 상기 요철 형상으로 인해 원치않는 탈거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eflection preventing protrusion 330 is form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cut to the left and right, and both sides of the outer wall surface is formed by the concave-convex like saw blade shape by the deflection preventing protrusion 330 to the horizontal side support 200 When coupled through, undesired removal can be prevented due to the restoring force on the incision and the uneven shape.

이때, 상기 처짐 방지돌부(330)는 통상적인 벽면의 최대 처짐량을 감안하여 최초의 돌출 높이가 결정되며, 상기 처짐 방지돌부(330)가 가로측 지지대(100)를 관통하여 결합될 경우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의 수직부재(120)가 이루는 돌출 높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절단된다.At this time, the deflection preventing protrusion 330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amount of deflection of the conventional wall surface, the first protrusion height is determined, when the deflection preventing protrusion 330 is coupled through the horizontal support 100, the horizontal side The vertical member 120 of the support 100 is cut so as not to exceed the protrusion height formed.

전술한 바와 같은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300)는 복수로 제공되며, 제품의 무게 및 설치 너비에 따라 그 설치 개수가 결정된다.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 300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 plurality, the number of installa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eight and installation width of the product.

따라서, 벽면의 평활도가 일정하지 못하고 과도하게 오목한 부위가 존재하더라도 전술한 일련의 구성에 따른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300)를 해당 부위에 고정한 후 처짐 방지돌부(330)를 가로측 지지대(100)에 관통시켜 결합함으로써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는 상기 오목한 부위로 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음과 더불어 각 제품의 무게로 인한 처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smoothness of the wall surface is not constant and there is an excessively concave portion, the wall support member 3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constructions is fixed to the corresponding portions, and then the anti-slag protrusion 330 is provided on the horizontal support 100. By penetrating through and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100, the bending of the concave portion can be prevented and sag due to the weight of each product can be prevented.

특히, 상기한 각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300) 중 가장 저부측에 위치되는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의 경우 여타의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에 비해 하중을 많이 받게 됨을 고려할 때 그의 결합 브라켓(320)에 가로측 지지대(100)의 저부를 받쳐주는 받침돌부(340)가 더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첨부된 도 9 및 도 10과 같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 positioned at the bottom of each of the 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s 300, the load is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s. More preferably, a supporting protrusion 340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support 100 is formed. This is the same as in FIGS. 9 and 10.

한편, 첨부된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400)가 도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1 is shown is a support member 400 for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400)는 고정 브라켓(410)과, 제1수용 브라켓(420)과, 제2수용 브라켓(430) 및 연결 링크(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 400 of this other embodiment includes a fixing bracket 410, the first receiving bracket 420, the second receiving bracket 430 and the connecting link 440.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410)은 시공면(벽면)에 고정 결합되는 부위이고, 상기 제1수용 브라켓(420)은 상기 고정 브라켓(410)의 외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의 저면 중앙측 부위에 돌출 형성된 보조 안착부재(140)가 수용되는 부위이며, 제2수용 브라켓(430)은 상기 연결 링크(440)에 의해 상기 고정 브라켓(41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의 보조 안착부재(140)가 수용되는 부위이다.Here, the fixing bracket 410 is a part fixedly coupl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wall surface), the first receiving bracket 42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410 in the horizontal support 100 The auxiliary seating member 140 protru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is accommodated,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bracket 43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410 by the connection link 440. The auxiliary seating member 140 of the horizontal support 100 is a portion that is accommodated.

이때, 상기 연결 링크(440)의 일단은 상기 제1수용 브라켓(420)의 중앙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 링크(440)의 타단은 상기 제2수용 브라켓(430)의 중앙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connection link 4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receiving bracket 420,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link 440 is the center side of the second receiving bracket 430 Rotatably coupled to the site.

즉, 전술한 실시예의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400)는 단순히 연결 링크(440)의 회전 각도에 따른 조절을 통해 벽면의 과도한 오목 부위가 존재하더라도 가로측 지지대(100)가 휘거나 유동되는 문제점 및 처짐에 따른 문제점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 4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a problem that the horizontal support 100 is bent or flow even if there is an excessive concave portion of the wall by simply adjus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nection link 440 and The problem of sag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물론, 상기한 제2수용 브라켓(430) 및 연결 링크(4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두 개씩 서로 쌍을 이루도록 대칭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second receiving bracket 430 and the connecting link 440 are configured to be symmetrically configured to pair with each other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the horizontal support 100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More preferred.

이와 함께, 상기한 각 수용 브라켓(420,430)과 상기 가로측 지지대(100)의 보조 안착부재(140) 간의 대향면은 서로 대응되는 요철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조 안착부재(140)가 상기 각 수용 브라켓(420,430)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posing surfaces between the respective receiving brackets 420 and 430 and the auxiliary seating members 140 of the horizontal support 100 have a concave-convex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reby allowing the auxiliary seating members 140 to receive the respective brackets. It is more desirable to be able to maintain a stably accommodated state (420,430).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및 벽면 시공용 보조 장치는 바닥면이나 벽면 등의 평활도에 상관없이 각 제품에 대한 평활도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작업자는 단순히 보조 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제품을 순차적으로 장착만 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쉽다는 장점을 가진다.
As such, the auxiliary device for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moothness for each product as much as possible regardless of the smoothness of the floor or wall surface, and the worker sequentially installs the products while simply installing the auxiliary device. It is easy to work because it only needs to be installed.

10. 제품 100. 가로측 지지대
200. 세로측 지지대
110,210. 수평부재 111,112,211,212. 고정부
113,114,213,214. 관통부 115,215. 관통공
120,220. 수직부재 130. 마감용 표시캡
140. 보조 안착부재 150. 메인 안착부재
160. 보조 지지대 151,161. 가로 요철부
152,162. 세로 요철부 171,172,271,272. 안착턱
300,400.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 310. 고정 브라켓
320. 결합 브라켓 330. 처짐 방지돌기
340, 받침돌부 410. 고정 브라켓
420. 제1수용 브라켓 430. 제2수용 브라켓
440. 연결링크
10. Product 100. Lateral Supports
200. Longitudinal Support
110,210. Horizontal member 111,112,211,212. Fixture
113,114,213,214. Penetration 115,215. Through hole
120,220. Vertical member 130. Marking cap for finishing
140. Auxiliary seating member 150. Main seating member
160. Auxiliary Supports 151,161. Horizontal irregularities
152,162. Longitudinal irregularities 171,172,271,272. Seating jaw
300,400. Support member for wall construction 310. Fixing bracket
320. Coupling bracket 330. Deflection protrusion
340, Base 410. Fixed Bracket
420. Bracket for first acceptance 430. Bracket for second acceptance
440. Links

Claims (11)

평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시공면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측 및 후방측에는 서로 인접되는 두 제품의 전방측 및 후방측 끝단이 각각 얹힌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각종 도포물의 통과를 위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관통부로 각각 이루어진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중앙을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두 제품들 간을 가로막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이루는 관통부의 저면에 각각 형성되며, 시공면에 얹힘과 더불어 그 내측으로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모래나 시멘트 혹은, 각종 이물질 등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메인 안착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면서 제품이 상기 수평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얹히도록 하는 안착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로측 지지대; 그리고,
상기 가로측 지지대의 설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설치됨과 더불어 전방측 및 후방측 끝단은 상기 가로측 지지대의 수평부재 상면에 안착되며, 양측으로는 서로 인접되는 두 제품의 양측 끝단이 각각 얹힌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모래나 시멘트 혹은, 각종 이물질 등의 통과를 위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관통부를 가지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중앙측 부위를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수평부재에 얹히는 두 제품들 서로 간을 가로막는 수직부재를 가지는 세로측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
In addition to being formed in a flat shape, the installation surface is install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x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fix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end of the two products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respectively. A horizontal member formed of a penetrating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passage of various coatings while being formed to extend outwardly, a vertical member protruding along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blocking the two products; A main seating memb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rough-hole,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sand, cement, or various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hole are accommodated on the inside of the construction surfac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oduct to be plac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Horizontal side supports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ating jaw; And,
The front and rear ends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opposite ends of the two products adjacent to each other are placed on both sides. A horizontal member having a fixing part fixed in a state and a penetrating part extending outward from the fixing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through for passing through sand, cement, or various foreign matters, and protruding along a central side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A vertical side support having a vertical member that is formed between the two products placed on the horizontal member while being formed on the horizontal member: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ssistance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시공면과 상기 가로측 지지대를 이루는 메인 안착부재 간의 접촉 부위에 개재되며, 일측 끝단으로부터 타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된 보조 지지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보조 지지대와 상기 메인 안착부재의 외벽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지면서 상기 보조 지지대의 유동됨을 방지하는 요철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terposed on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the main seating member forming the horizontal support, and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support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height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e auxiliary support and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main seating member and the bottom and wall construction assistance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ncave-convex portion to prevent the flow of the auxiliary support while being uneven in a corresponding for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보조 지지대의 설치 방향을 따라 요철이 반복되는 가로 요철부 및 상기 보조 지지대의 설치 방향을 따라 돌출 및 요입 형성된 세로 요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uneven part is a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rizontal concave and convex irregularities are repeated alo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and a vertical uneven portion protruding and recessed alo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측 지지대를 구성하는 수평부재의 저면 중앙 부위를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시공면에 안착되는 보조 안착부재와,
일부는 시공면에 고정됨과 더불어 다른 일부는 상기 시공면으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가로측 지지대의 보조 안착부재를 받쳐주도록 구성된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벽면 시공용 지지부재는 상기 시공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표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가로측 지지대의 보조 안착부재가 수용되는 수용 브라켓과, 상기 수용 브라켓의 동작을 지지하도록 양단이 상기 고정 브라켓 및 수용 브라켓에 각각 연결된 연결 링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 auxiliary seating member which is formed to protrude along a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constituting the horizontal support and is mounted on the construction surface;
While some are fix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the other part is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struction surface further comprises a 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the auxiliary seating member of the horizontal side support,
The wall construction support member is a fixed bracket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the receiving bracket is installed so as to be selectively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receiving the auxiliary seating member of the horizontal side support, and the receiving bracket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composed of connecting link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xing bracket and the receiving bracket to support the operation.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서로 인접되는 두 제품의 양측 끝단이 각각 얹힌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각종 도포물의 통과를 위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관통부로 각각 이루어진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중앙을 따라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두 제품들 간을 가로막는 수직부재;
상기 수평부재를 이루는 관통부의 저면에 각각 형성되며, 시공면에 얹힘과 더불어 그 내측으로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모래나 시멘트 혹은, 각종 이물질 등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메인 안착부재;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의 상면 중 상기 관통부의 끝단과 상기 고정부 및 관통부 간의 경계 부위에 각각 돌출 형성되면서 제품이 얹히는 부위를 이루는 안착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용 가로측 지지대.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both sides of each other adjacen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is formed in the fixed portion fixed to the mounting state and the outside of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the passage of various coatings Horizontal members each formed of a through part;
A vertical member which protrudes along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blocks the two products;
A main seating member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through part forming the horizontal member, the main seating member being mounted on a construction surface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sand, cement or various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are accommodated; And,
For the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ating jaw forming a part on which the product is mounted while protruding from each of the upper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fixing portion and the through portion of the through portion; Lateral suppo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는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용 가로측 지지대.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ertical member is a horizontal side support for the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uxiliar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is gradually formed toward the top.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의 각 부분 중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부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용 가로측 지지대.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Horizontal fixing member for the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id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ortion of each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is formed thinner than the through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안착부재는 중앙측으로 갈수록 수용공간의 깊이가 점차 깊어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용 가로측 지지대.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ain seating member is a horizontal support for the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id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round so that the depth of the receiving space gradually toward the center sid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턱은 상단이 중앙측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용 가로측 지지대.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ating jaw is a horizontal support for the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id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is formed to be convexly rounded toward the center sid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의 저면 중 상기 수직부재가 형성된 부위의 직하방에는 시공면에 안착되면서 해당 부위에 대한 처짐을 방지하는 보조 안착부재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용 가로측 지지대.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Horizontal supporters for floor and wall construction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seating member which is prevented from sagging on the site while being seated on the construction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is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 부위를 감싸면서 각 제품 사이로 노출되어 상기 각 제품 간의 경계를 표시토록 하는 마감용 표시캡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용 가로측 지지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10,
Horizontal supporters for floor and wall construction aid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y cap for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is exposed between each product to indicate the boundary between each product.
KR1020100005200A 2009-09-26 2010-01-20 Construction auxiliary device of a bottom or a wall and a guide applying the device KR10097074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1370 2009-09-26
KR1020090091370 2009-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0742B1 true KR100970742B1 (en) 2010-07-16

Family

ID=4264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200A KR100970742B1 (en) 2009-09-26 2010-01-20 Construction auxiliary device of a bottom or a wall and a guide applying th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74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917B1 (en) * 2013-06-12 2014-12-11 박종진 Device for supportinf tiles on wall or ground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222A (en) * 1992-03-25 1993-10-19 C K B:Kk Frame part with joint and construction of floor
KR100198904B1 (en) 1991-03-13 1999-06-15 요한슨 군네르 Supporting element for use in casting concrete floors
KR20030083179A (en) * 2002-04-19 200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ubrication system of manual transmission
KR200383179Y1 (en) 2005-02-01 2005-05-03 문장호 bracket to support tile
JP2008240417A (en) 2007-03-28 2008-10-09 Yasumoku:Kk Panel fixing memb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904B1 (en) 1991-03-13 1999-06-15 요한슨 군네르 Supporting element for use in casting concrete floors
JPH05272222A (en) * 1992-03-25 1993-10-19 C K B:Kk Frame part with joint and construction of floor
KR20030083179A (en) * 2002-04-19 200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ubrication system of manual transmission
KR200383179Y1 (en) 2005-02-01 2005-05-03 문장호 bracket to support tile
JP2008240417A (en) 2007-03-28 2008-10-09 Yasumoku:Kk Panel fixing me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917B1 (en) * 2013-06-12 2014-12-11 박종진 Device for supportinf tiles on wall or groun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9449B2 (en) Pool stair forms and methods of forming pool stairs
RU2011135194A (en) METHOD FOR CREATING A CONCRETE PLATFORM, CONCRETE PLATFORM AND CONNECTING DETAIL
KR100733731B1 (en) Bricklaying apparatus
CN105008629B (en) Shower cabinet mounting kit and the method for installing shower cabinet
KR100970742B1 (en) Construction auxiliary device of a bottom or a wall and a guide applying the device
KR20090088106A (en) The fixation means which is bought in the concrete structure
KR20090088104A (en) The fixation means which is bought in the concrete structure
KR100988270B1 (en) Level spacer device
KR20080073930A (en) A slab panel structure of joint type mold
KR20180045441A (en) Possible angle adjustment boundary stone fixed support frame
KR101741211B1 (en) uniform holding device of tile Flooring construction
JP5601648B2 (en) Free slope combined with bottom groove
KR20200028703A (en) Dowel Bar steel form
KR200349993Y1 (en) Support of a concrete mold form
KR101163932B1 (en) Belt type tools for toilet bowl
KR101763836B1 (en) Construc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interior board
KR20110008084U (en) A flash board waterproof sill
KR20200076306A (en) Method For Construction Masonry Wall And Spacer For The Same
KR200438108Y1 (en) Anchor prop for mold form connection
KR200364278Y1 (en) Mold support
KR200363063Y1 (en) Horizontal support on construction
KR100320153B1 (en) A Constructing Method for a Public Stadium with Precast Seat Blocks
KR100459011B1 (en) Structure of connecting support portion of multi-concrete building and its setting process
KR20060118388A (en) A tile attaching device to the stairs
KR20070062841A (en) Structure of bathtu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