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581B1 -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581B1
KR100969581B1 KR1020060080734A KR20060080734A KR100969581B1 KR 100969581 B1 KR100969581 B1 KR 100969581B1 KR 1020060080734 A KR1020060080734 A KR 1020060080734A KR 20060080734 A KR20060080734 A KR 20060080734A KR 100969581 B1 KR100969581 B1 KR 100969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rate
data
request code
rate request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8513A (ko
Inventor
조민희
조재희
손중제
김남기
장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0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581B1/ko
Priority to US11/844,207 priority patent/US20080049670A1/en
Publication of KR20080018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량에 따라 미리 정의되어 있는 송신율 요청 코드들 중, 해당하는 송신율 요청 코드를 선택하는 송신율 요청 코드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단말기의 음성 활동 정보에 따라서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미리 정의되어 있는 데이터 송신율을 의미하는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을 요청하고, 기지국은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에 따라 해당하는 데이터 송신율을 검출하여 상기 단말기에게 업링크 무선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무선 자원의 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음성 데이터 송신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ireless MAN, VoIP, Voice Activity, silence suppression

Description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VoIP 데이터 송신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VA 코드와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 송신량을 보여주는 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음성 활동 코드의 정의를 변경하는 한 예를 보여주는 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 송신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VA 코드 생성부의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VA 코드 처리부의 동작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VA 코드 생성부의 동작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VA 코드 처리부의 동작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oIP 데이터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의 송신 속도를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Quality fo Service; 이하 'QoS'라 칭하기로 한다)시스템 및 무선 도시 지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이하 'MAN'이라 칭하기로 한다)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무선 접속(Broadband Wireless Access; 이하 'BWA'라 칭하기로 한다)통신 시스템에 이동성(mobility)과 QoS를 보장하는 형태로 고속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VoIP는 인터넷을 통해 음성과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술로, 인터넷 텔레포니(Internet telephony)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기술이다. 상기 VoIP 기술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네트워크(Network)와 음성을 송수신하는 네트워크가 별도로 운영되어 왔던 지금까지와 달리, 음성과 데이터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간결하게 구축할 뿐만 아니라 추가되는 네트워크 인프라(Infra)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획기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나아가 시외전화나 국제전화 등 장거리 통화에 소요되는 고가의 통신비용을 전 세계 어디서나 시내요금 수준 또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텔레포니의 강력한 도구이다. 상기 VoIP기술에 있어서, 침묵제거기술(silence suppression)은 송화자가 구술하는 단어와 단어 사이에 침묵이 발생할 경우, 음성 활동 검출(voice activity detection)을 통해서 이를 감지하여 VoIP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것이다. 즉, 음성의 진폭값이 일정 한도에 도달하는지 감지해서 일예로, 보통 사람사이의 대화에서는 총 대화시간 중 50%에 해당하는 침묵 구간 시에는 VoIP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기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가입자 단말기#1(110)과, 가입자 단말기#2(120)와, 가입자 단말기#3(130)번과 무선 공유 채널을 통해 통신한다.
상기 가입자 단말기#1(110)~상기 가입자 단말기#3(130)이 무선공유 채널을 통해 VoIP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가입자 단말기#1(110)~상기 가입자 단말기#3(130)은 상기 기지국(100)으로부터 업링크(Uplink) 자원을 할당 받아 상기 생성된 VoIP 데이터 각각을 상기 기지국(100)으로 송신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의 침묵 제거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서 '확장된 실시간 폴링 서비스(extended real-time Polling Service, 이하 'ertPS'라 칭한다.)'라는 서비스 클래스가 정의되어 있다. 상기 ertPS는 침묵 제거 기술 뿐만 아니라 다른 가변 송신율 실시간 어플리케이션(variable rate real-time application)에서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ertPS 서비스 클래스를 갖는 업링크 송신 커넥션(Uplink Transport Connection)이 생성될 때, 기지국과 단말기기 간에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Maximum Sustained Traffic Rate)'과, '요청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Unsolicited Grant Interval)'과 같은 QoS 파라미터가 교환된다.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은 커넥션마다 하나로 설정되며, 음성 서비스용 커넥션의 경우 음성을 위해 최대로 할당 가능한 트래픽 송신율을 나타내고, 상기 요청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은 자원 할당 간격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들(110~130) 중 상기 단말기#1(110)과 상기 기지국(100)간의 ertPS 커넥션이 연결된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단말기#1(110)과 기지국(100)간에 ertPS 커넥션이 생성되면, 상기 기지국(100)은 요청되지 않는 그랜트 인터벌 간격으로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만큼 업링크 무선자원을 할당하기 시작한다.
상기 단말기#1(110)은 '대역폭 요청 및 송신 전력 보고 헤더'(Bandwidth Request and Tx Power Report Header) 또는 '허용 관련 서브 헤더'(Grant Management Sub header)를 통해서 상기 기지국(100)에 송신율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채널 품질 정보 채널(Channel Quality Information channel, 이하, 'CQI' 채널이라 칭한다)을 통하여 특정 코드워드(code word) 일예로, '0b111011'을 송신함으로써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로 송신율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VoIP 데이터 송신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ertPS 서비스를 통해서 침묵제거기술을 사용하는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단말기의 보이스 코덱(Voice Codec)으로부터 VoIP 데이터가 발생하면(200), 상기 단말기는 상기 발생한 VoIP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 큐의 크기를 참조하여 기지국으로 송신율 변경을 요청한다(210). 여기서 프레임의 단위는 5ms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율 변경 요청시, 매체 접근 제어 (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이라 칭한다.) 메시지를 통해서 송신율 변경을 요청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에서 MAC 메시지를 생성하는 시간과,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MAC 메시지를 수신하여 복조/복호화(Demodulation/Decoding) 및 MAC 레이어(Layer)에서 메시지를 처리하는 시간으로 인해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단말이 기지국으로 송신한 송신율 변화 요청(rate change request)메시지 210에 따라 기지국의 일방적인 허용 인터벌(unsolicited grant interval)이 일례로 20ms라고 하면, 20ms마다 상기 단말에게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송신율 변화 요청에 따라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기위한 메시지인 UL-MAP(상향링크 자원할당 메시지) 220, 240를 일례로 20ms간격으로 상기 단말기에게 송신한다. 그러나 상기 기지국은 상기 송신율 변화 요청(rate change request)메시지 210을 수신한 후 상기 송신율 변화 요청 메시지 처리 지연으로 인하여 상기 UL-MAP(220)에 상기 단말에 요청한 송신율을 반영할 수 없다. 결국 이후 UL-MAP(240)에 상기 단말의 송신율 변화 요청(210)에 따라 송신율을 변화시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한다(240).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변경된 송신율을 통해 상기 VoIP 데이터를 송신한다(250).
결국,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율을 변경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이 상기 단말이 요청한 송신율로 변경절차를 수행하고, 변경된 송신율로 상기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데이터 송신 절차가 이루어지기까지 상기 VoIP데이터가 발생한 지점(200)으로부터 약 50ms의 총 송신 지연 시간(260)이 발생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단말기에서 기지국간 송신율 변경이 늦어지면, 이로 인해 송신 지연 시간이 발생하여 VoIP 데이터의 송/수신단의 지연시간( Mouth-to-Ear Latency)을 길어지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결국, 사용자가 느끼는 통화 품질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단말기에서 기지국간 송신율 변경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코드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음성 활동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코드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업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량에 따라 미리 정의되어 있는 송신율 요청 코드들 중, 해당 송신율 요청 코드를 선택하는 송신율 요청 코드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별로 데이터 송신량에 따라 미리 정의되어 있는 송신율 요청 코드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를 추출하는 복조부와, 상기 추출된 송신율 요청 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 송신률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 송신률로 업링크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송신율 요청 코드 처리부와, 상기 할당된 업링크 무선 자원 정보를 해당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방법은,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 맵을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맵으로부터 업링크 자원 할당량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데이터 송신량에 따라 미리 정의되어 있는 송신율 요청 코드들 중, 상기 업링크 자원 할당량 정보와, 송신할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해당하는 송신율 요청 코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를 포함하는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방법은,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별로 데이터 송신량에 따라 미리 정의되어 있는 송신율 요청 코드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송신율 요청 코드에 매핑된 데이터 송신률을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데이터 송신률로 업링크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할당된 업링크 무선 자원의 사용을 해당 단말기에게 허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방법은,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 맵을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맵으로부터 업링크 자원 할당량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데이터 송신량에 따라 미리 정의되어 있는 송신율 요청 코드들 중, 상기 업링크 자원 할당량 정보와, 송신할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해당하는 송신율 요청 코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를 포함하는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메시지 생성과 처리에 걸리는 시간이 긴 MAC 메시지 대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보다 빠르게 전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데이터로는 음성 데이터뿐만 아니라 다른 일반적인 실시간 데이터 송신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이하 본원 발명에서는 음성 데이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송신율이 매핑되는 음성 활동 코드(이하, 'VA 코드'라 칭한다)를 정의한다. 상기 데이터 송신율은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디폴트(default)로 미리 정의할 수 있고, 송신 커넥션(Transport Connection) 설정 시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협상을 통해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하기 도 3의 표와 같이 VA 코드별 데이터 송신율을 규격으로 정의한 경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VA 코드와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 송신량을 보여주는 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VA 코드는 다섯개의 코드(code) A, 코드 B, 코드 C, 코드 D, 코드 E로 구성되고, 상기 VA 코드에 대응되는 데이터 송신율은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로 정의된다.
상기 코드 A는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을 의미하고, 상기 코드 B는 최대 허용 데이터 송신율의 1/2(0.5) 을 의미하고, 상기 코드 C는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4(0.25)를 의미하고, 상기 코드 D는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8(0.125)를 의미한다.
도 3과 같이 단말기별로 정의되어 있는 VA 코드에 대한 데이터 송신율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상기 단말기와 기지국은 '타입(type), 길이(length), 값(value)으로 구성되는 필드(이하, 'TLV 필드'라 칭한다)'가 정의된 메시지들을 주고받음으로써 해당 VA 코드의 정의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VA코드의 값 필드에 변경하고자 하는 송신량을 정의한다. 상기 메시지에는 기본 용량 협상 요구(SBC-REQ/RSP: Subscriber Station's Basic Capability Negotiation Request/Response, 이하 'SBC-REQ/RSP'라 칭한다)메시지와, 등록 요청/응답(REG-REQ: Registration Request/Response, 이하 'REG-REQ/RSP'라 칭한다)메시지와, 서비스 추가(DSA-REQ/RSP: Dynamic Service Addition Request, 이하 'DSA-REQ/RSP'라 칭한다.)메시지 등이 포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DSA-REQ/RSP 메시지를 통해서 VA의 정의를 변경하는 한 예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VA 코드의 정의 변경을 위한 TLV 필드는 파라미터 즉, VA 코드별로 길이가 모두 '4'이고, 상기 TLV필드가 포함되는 메시지들을 나타내는 스코프(scope)는 모두 같다. 상기 스코프에는 DSx-REQ 메시지와, DSx-RSP 메시지와, DSx-ACK메시지가 포함된다.상기 메시지에는 각 VA code별로 value 필드에 단말과 기지국간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서 변경된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에 대한 상대적 송신율 비율이 포함된다. 상기 상대적 송신율 비율은 도 3의 경우이외에도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에게 입력하는 음성 데이터의 발생량을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송신율 요청 코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음성 데이터 뿐만이 아니라 사용자의 활동에 따른 영상 정보, 각종 측정 데이터 등의 실시간 발생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입력받아 해당 데이터의 일정 시간당 발생량 또는 입력 받은 상기 데이터의 버퍼 량을 측정하여 상기와 같이 송신율 요청 코드를 미리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단말기로부터 VA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VA코드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량에 따른 업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동작 및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은 복조기(demodulator)(502)와, 디코더(504)와, PDU 파서(parser)(506)와, VA 코드 프로세서(processer)(508)와, 업링크 스케쥴러(510)와, 업링크 맵(uplink MAP, 이하, 'UL-MAP'이라 칭한다) 발생기(512)와, 엔코더(encoder)(514)와, 변조기(modulator)(516)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기지국은 해당 단말기로부터 업링크 버스트(Burst) 및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이하, 'PDU'라 칭한다)을 수신한다. 상기 복조부(502)는 상기 수신한 업링크 버스트 및 패킷 데이터 유닛을 복조하여 상기 디코더(504)와 상기 VA코드 처리부(508)로 출력한다. 상기 디코더(504)는 상기 복조된 업링크 버스트 및 PDU에 디코딩을 수행하여 상기 PDU 파서(506)로 출력한다.
상기 PDU 파서(506)는 상기 디코딩이 수행된 업링크 버스트 및 PDU로부터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이하 'SDU'라 칭한다.)을 추출한다.
.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상기 복조된 업링크 버스트 및 패킷 데이터 유닛으로부터 VA 코드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VA코드 처리부(508)는 도 3과 같이 상기 단말기와 미리 정의되어 있거나 송신 커넥션 설정 시 협상을 통해 정의된 해당 VA 코드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율을 업링크 자원 할당량으로 변경한 후, 상기 업링크 자원 할당량을 상기 업링크 스케쥴러(510)로 송신한다.
상기 업링크 스케쥴러(510)는 VA 코드 프로세서(508)로부터 상기 수신한 업링크 자원 할당량에 따른 업링크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상기 UL-MAP 발생기(512)는 상기 할당된 업링크 무선 자원에 따라 UL-MAP을 생성하고, 상기 UL-MAP을 엔코더(514)로 입력한다. 상기 엔코더(514)는 상기 UL-MAP에 대하여 엔코딩을 수행한 후 변조기(516)로 송신하고, 상기 변조기(516)는 상기 엔코딩된 UL-MAP을 변조하여 해당 단말기로 송신한다.
이하, 단말기가 VA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 및 구성을 설명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 송신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는 보이스 코덱(Voice Codec)(602)과, 데이터 큐(data Queues)(604)와, VA 코드 선택부(606)와, PDU 발생기(608)와, 엔코더(610)와, 변조기(612)와, 복조기(614)와 디코더(616)와, UL -MAP 파서(618)로 구성된다.
삭제
상기 복조부(614)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UL-MAP을 수신하여 복조한 후, 디코더(616)로 출력한다. 상기 디코더(616)는 상기 복조된 UL-MAP을 디코딩한 후, UL-MAP 파서(618)로 송신하면, 상기 UL-MAP 파서(618)는 상기 디코딩 된 UL-MAP에서 업링크 자원할당량 정보를 취득한 후, 상기 PDU 생성부(608)로 출력한다. 상기 PDU 생성부(608)는 상기 업링크 무선 자원에 따른 PDU를 생성한 후 상기 엔코더(610)로 출력한다.
상기 엔코더(610)는 상기 PDU를 엔코딩하여 상기 변조기(612)로 출력한다..
상기 코덱(602)은 소스 코딩을 통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큐(604)로 입력하고, 상기 데이터 큐(604)는 상기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에는 음성 데이터와 실시간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상기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큐(604)에 저장되면, 상기 VA 코드 선택부(606)는 상기 저장된 데이터의 크기를 읽고,상기 음성 데이터의 크기와 기지국과의 커넥션 설정 시 협상된 자신의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을 고려하여 상기 VA 코드를 선택하여 상기 변조기(612)로 송신한다
이후, 상기 변조기(612)는 상기 엔코딩 된 PDU와 VA 코드를 변조하여 생성한 업링크 버스트(Burst) 및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이하, 'PDU'라 칭한다)을 해당 송신 커넥션을 통해서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선택된 VA 코드는 상기 변조기(612)를 통해 변조된 후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이때,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VA 코드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기에 앞서, 상기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요청하는 업링크 자원 할당이 주기적 할당인지 아니면 일시적 할당인지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VA 코드를 기지국으로 어떻게 송신할 지를 먼저 결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업링크 자원 할당을 주기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상기 VA 코드가 선택될 때마다 매번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이때, 음성 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았을 경우 송신율이 '0'임을 의미하는 VA 코드는 기지국으로 송신하지 않고, 상기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VA 코드가 송신되지 않으면 해당 단말기의 송신율을 '0'으로 인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VA 코드 선택부의 동작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VA 코드는 기지국과 단말기 간 송신 커넥션 설정 시 도 3과 같이 미리 협상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700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요청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동안 해당데이터 크기가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2보다 큰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 크기가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2보다 크면, 70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VA 코드를 '코드 A'로 설정한 후, 74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데이터 크기가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2보다 같거나 작으면, 710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요청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동안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4보다 큰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 크기가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4보다 크면, 71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VA 코드를 'code B'로 설정한 후, 74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4보다 같거나 작으면, 720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요청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동안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8보다 큰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8보다 크면, 72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VA 코드를 'code C'로 설정한 후, 74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4보다 같거나 작으면, 730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요청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동안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0보다 큰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0보다 크면, 73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VA 코드를 'code D'로 설정한 후, 74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음성 활동 정보의 크기가 0이면, 740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VA 코드를 'code E'로 설정한 후 종료한다.
74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설정된 VA 코드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VA 코드 처리부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은 단말기 별로 설정된 전용 채널을 통해 수신된 업링크 버스트 및 패킷 데이터 유닛을수신하면, 상기 복조부(502)는 상기 수신한 음성 데이터의 음성 활동 정보를 복조하고, 800단계에서 VA 코드 처리부(508)는 상기 패킷 데이터 유닛에 VA코드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VA코드가 없을 경우,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85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결과 VA코드가 있을 경우, 805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상기 VA 코드가 'code A'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code A이면, 810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량을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로(as) 설정한 후 855단계로 진행한다.
삭제
상기 확인결과 code A가 아닐 경우, 815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상기 VA 코드가 'code B'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code B이면, 820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량을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2로 변경한 후 855단계로 진행한다.
825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상기 VA 코드가 'code C'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code C이면, 830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량을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4로 변경한 후 855단계로 진행한다.
835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상기 VA 코드가 'code D'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code D이면, 840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량을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8로 변경한 후 855단계로 진행한다.
845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상기 VA 코드가 'code E'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code E이면, 850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량을 '0'으로 변경한 후 종료한다.
855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은 상기 할당된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량 정보를 해당 단말기로 송신한다.
이후, 상기 단말기는 이를 수신함으로써 VA 코드를 통해 자신이 변경되기를 요청했던 업링크 송신율이 변경되었음을 인지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는,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할당을 요청하는 업링크 무선 자원이 일시적 할당인 경우 상기 VA 코드가 가장 최근에 송신한 VA 코드와 비교하여 변경되었을 경우에만 송신한다. 이때, 데이터 송신율이 '0'임을 의미하는 VA 코드도 가장 최근에 송신한 VA 코드와 비교하여 변경되었을 경우, 송신율이 '0'임을 의미하는 VA 코드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VA 코드 선택부의 동작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VA 코드는 기지국과 단말기 간 송신 커넥션 설정 시, 도 3과 같이 정의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9를 참조하면, 900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요청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동안 해당 데이터의 크기가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2보다 큰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2보다 크면, 90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VA 코드를 'code A'로 설정한 후, 95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2보다 같거나 작으면, 910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요청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동안 상기데이터의 크기가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4보다 큰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4보다 크면, 91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VA 코드를 'code B'로 설정한 후, 95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4보다 같거나 작으면, 920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업링크 자원 할당 간격 동안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8보다 큰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8보다 크면, 92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VA 코드를 'code C'로 설정한 후, 95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8보다 같거나 작으면, 930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요청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동안 상기데이터의 크기가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0보다 큰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0보다 크면, 93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VA 코드를 'code D'로 설정한 후, 95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0이면, 940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VA 코드를 'code E'로 설정한 후, 945단계로 진행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94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설정된 code E가 가장 최근에 송신한 VA코드와 같은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설정된 code E가 가장 최근에 송신한 VA코드와 같지 않으면, 95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 결과 같으면 종료한다.
950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설정된 VA코드가 가장 최근에 송신한 VA코드와 같은지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같을 경우 종료한다. 상기 비교 결과 다를 경우, 95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설정된 VA 코드를 기지국으로 송신한 후 종료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VA 코드 처리부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500)은 해당 단말기로부터 업링크 버스트 및 패킷 데이터 유닛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복조부(502)는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여 VA코드가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VA코드가 없을 경우,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1005단계로 진행한다. 1005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요청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동안) 가장 최근에 수신한 VA코드에 해당하는 송신율로 업링크 무선 자원으로로 할당한다. 상기 확인결과 VA코드가 있을 경우, 1010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상기 VA 코드가 'code A'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code A이면, 1015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요청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동안 할당한 업링크 무선 자원을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로 할당한 후 106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결과 code A가 아닐 경우, 1020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상기 VA 코드가 'code B'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code B이면, 1025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요청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동안 할당한 업링크 무선 자원을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2로 할당한 후 1060단계로 진행한다.
1030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상기 VA 코드가 'code C'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code C이면, 1035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요청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동안 할당한 업링크 무선 자원을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4로 할당한 후 1060단계로 진행한다.
1040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상기 VA 코드가 'code D'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code D이면, 1045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요청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동안 할당한 업링크 무선 자원을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의 1/8로 할당한 후 1060단계로 진행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50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상기 VA 코드가 'code E'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code E이면, 1055단계에서 상기 VA 코드 처리부(508)는 요청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동안 할당한 업링크 무선 자원을 '0'으로 할당한 후 종료한다.
106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500)은 요청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동안 할당한 업링크 무선 자원을 해당 단말로 송신한다.
이후,상기 단말기는 자신이 할당되기를 요청했던 VA 코드를 통해 업링크 송신율이 변경되었음을 인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실시 예 혹은 제 2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가 선택한 VA 코드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해서는 하기 제 3실시 예 내지 제 5실시 예에 따른다.
삭제
삭제
먼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서는 단말기 별로 업링크 무선 할당 자원을 송신하기 위한 전용 채널 일 예로, IEEE 802.16의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ion, 이하, 'CQI'라 칭한다.)채널(channel)을 통해서 상기 할당된 업링크 전용 채널을 통해 상기 VA 코드를 기지국을 송신한다. 상기 CQI 채널은 단말기가 수신 신호 대 간섭 및 잡음(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이하 'CINR'라 칭한다.)을 보고하거나, 기타 필요한 시그널링(signaling)을 할 경우 사용되는 채널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단말기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업링크 채널을 통해서, 상기 할당된 VA코드와 해당 단말기 각각을 나타내는 사용자 식별자를 함께 보낸다. 일예로, 사용자 식별자로 상기 VA코드를 스크램블링(scrambling) 혹은 스프레딩(spreading)하여 송신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별로 서로 다르게 할당된 VA코드 집합을 송신한다. 즉, 사용자 별로 할당되는 VA 코드의 집합이 다르게 할당되어 있다.
일예로, 사용자#1은 도 3과 같이 VA 코드를 code A, code B, code C, D, code E 5개를 사용하는 제 1 VA 코드 집합을 사용하고, 사용자#2는 VA 코드를 Code F, code G, code H, code I, code J 5개를 사용하는 제 2 VA 코드 집합을 사용한다. 상기 제 1 VA 코드 집합과 상기 제 2 코드 집합 각각의 코드들에 대한 데이터 송신율은 같을 수도 있고, 커넥션 별로 VA 코드에 대한 데이터 송신율을 협상하므로 다를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1은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로 업링크 무선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서 code A를 송신하지만, 상기 사용자 #2는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로 업링크 무선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서는 code F를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선택된 VA 코드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기에 앞서, 상기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송신할 데이터의 상기 VA 코드를 선택하는 제 1실시 예와 제 2실시 예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VA 코드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방안인 제 3실시 예와, 제 4실시 예 및 제 5실시 예에 각각 모두 적용된다. 상기 실시 예들에 대한 조합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모두 유추 가능하다 판단되므로 본 명세서 상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oIP 데이터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각 프레임의 길이는 5ms이고, 제 3실시예의 경우로 가정한다.
상기 ertPS 서비스를 통해서 침묵제거기술을 사용하는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단말기의 보이스 코덱(Voice Codec)으로부터 VoIP 데이터가 발생하면(1100), 상기 단말기는 상기 발생한 VoIP 데이터 큐의 크기를 참조하여 전용 채널(CQI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율 변경을 요청한다(1110).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율 변경을 수신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요청한 송신율에 대한 변경 절차를 수행하여 허용되지 않은 그랜트 인터벌동안 할당된 업링크 무선 자원을 상기 전용 채널을 통해서 상기 단말기로 알려준다(1120). 이후,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업링크 무선 자원에 따라 상기 VoIP데이터를 송신한다(1130).
즉, 음성 데이터가 생성된 시점(1100)으로부터 약 20ms후(1140)에 송신율 변경이 반영된 UL 음성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다. 이는 약 50ms 정도의 기존 ertPS 서비스에서의 지연시간(도 2의 참조번호 260)에 비해 매우 개선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미리 정의되어 있는 데이터 송신율을 의미하는 VA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을 요청하고, 기지국은 상기 VA 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 송신율로 업링크 무선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무선 자원의 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음성 데이터 송신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6)

  1.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과 단말간에 미리 정의되어 있는 데이터 송신량에 따른 송신율 요청 코드들 중,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량에 해당하는 송신율 요청 코드를 선택하는 송신율 요청 코드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를 변조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변조부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 송신률에 따라 할당된 업링크 무선 자원 정보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와,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는, 해당 커넥션에 최대로 할당 가능한 데이터 송신율을 나타내는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과 매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은 상기 기지국과의 협상을 통해서 정의되는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는,
    상기 기지국으로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을 주기적으로 요청할 경우,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가 선택될 때마다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를 포함한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 요청을 기지국으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는,
    상기 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았을 경우, '0'인 송신율과 매핑된 송신율 요청 코드는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는,
    상기 기지국으로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을 일시적으로 요청할 경우,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가 가장 최근에 송신한 송신율 요청 코드와 비교하여 변경되었을 경우에만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는,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를 전용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는,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와 함께 해당 단말의 식별자를 공용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는,
    사용자별로 서로 다르게 할당된 송신율 요청 코드 집합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1.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별로 데이터 송신량에 따라 미리 정의되어 있는 송신율 요청 코드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를 추출하는 복조부와,
    상기 추출된 송신율 요청 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 송신률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 송신률로 업링크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송신율 요청 코드 처리부와,
    상기 할당된 업링크 무선 자원 정보를 해당 단말기로 송신하는 변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와,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는,
    해당 커넥션에 최대로 할당 가능한 데이터 송신율을 나타내는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로 나타내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은,
    해당 단말과의 협상을 통해서 정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 처리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 요청에 포함되는 송신율 요청 코드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게 업링크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이 일시적으로 요청될 경우,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와 가장 최근에 수신한 송신율 요청 코드가 다른 경우에만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는,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가 포함된 데이터를 전용 채널을 통해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는,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와 함께 해당 단말기의 식별자가 포함된 데이터를 공용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는,
    사용자별로 서로 다르게 할당된 송신율 요청 코드 집합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0.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 맵을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맵으로부터 업링크 자원 할당량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기지국과 단말간에 미리 정의되어 있는 데이터 송신량에 따른 송신율 요청 코드들 중, 상기 업링크 자원 할당량 정보와,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할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해당하는 송신율 요청 코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를 포함하는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 송신률에 따라 할당된 업링크 무선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할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와,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는, 해당 커넥션에 최대로 할당 가능한 데이터 송신율을 나타내는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로 나타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은, 상기 기지국과의 협상을 통해서 정의되는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을 주기적으로 요청할 경우,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가 선택될 때마다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를 포함한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 요청을 기지국으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았을 경우, '0'인 송신율과 매핑된 송신율 요청 코드는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을 일시적으로 요청할 경우,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와 가장 최근에 송신한 송신율 요청 코드를 비교하여 변경된 경우에만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7.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를 포함하는 업링크 데이터를 전용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8.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와 함께 해당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업링크 데이터를 공용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9.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과정은,
    사용자별로 서로 다르게 할당된 송신율 요청 코드 집합을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0.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별로 데이터 송신량에 따라 미리 정의되어 있는 송신율 요청 코드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송신율 요청 코드에 매핑된 데이터 송신률을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데이터 송신률로 업링크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할당된 업링크 무선 자원의 사용을 해당 단말기에게 허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와,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는 해당 커넥션에 최대로 할당 가능한 데이터 송신율을 나타내는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이 매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은, 해당 단말과의 협상을 통해서 정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4.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 요청에 포함되는 송신율 요청 코드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게 업링크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5.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업링크 무선 자원이 일시적으로 요청될 경우, 상기 송신율 요청코드와 가장 최근에 수신한 송신율 요청 코드를 비교하여 변경된 경우에만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가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6.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가 포함된 데이터를 전용 채널을 통해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7.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와 함께 해당 단말의 식별자가 포함된 데이터를 공용 채널을 통해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8.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과정은,
    사용자별로 서로 다르게 할당된 송신율 요청 코드 집합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9. 청구항 3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업링크 맵으로부터 업링크 자원 할당량 정보를 획득하는 업링크 맵 파서와,
    기지국과 단말간에 미리 정의되어 있는 데이터 송신량에 따른 송신율 요청 코드들 중, 상기 업링크 자원 할당량 정보와,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할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해당 송신율 요청 코드를 선택하는 송신율 요청 코드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를 포함하는 업링크 데이터를 변조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변조부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 송신률에 따라 할당된 업링크 무선 자원 정보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40. 청구항 4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와,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41. 청구항 4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는 해당 커넥션에 최대로 할당 가능한 데이터 송신율을 나타내는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로 나타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42. 청구항 4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는 상기 '최대 허용 트래픽 송신율'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과 매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43. 청구항 4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는,
    상기 기지국으로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을 주기적으로 요청할 경우,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가 선택될 때마다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를 포함한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44. 청구항 4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는,
    상기 기지국으로 업링크 무선 자원 할당을 일시적으로 요청할 경우,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가 가장 최근에 수신한 송신율 요청 코드로부터 변경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송신율 요청 코드를 포함하는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45. 청구항 4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는,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를 포함하는 업링크 데이터를 전용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46. 청구항 4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는,
    상기 선택된 송신율 요청 코드와 함께 해당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업링크 데이터를 공용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47. 청구항 4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는,
    사용자별로 서로 다르게 할당된 송신율 요청 코드 집합을 더 포함하는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KR1020060080734A 2006-08-24 2006-08-24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KR100969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734A KR100969581B1 (ko) 2006-08-24 2006-08-24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US11/844,207 US20080049670A1 (en) 2006-08-24 2007-08-23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734A KR100969581B1 (ko) 2006-08-24 2006-08-24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513A KR20080018513A (ko) 2008-02-28
KR100969581B1 true KR100969581B1 (ko) 2010-07-12

Family

ID=3911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734A KR100969581B1 (ko) 2006-08-24 2006-08-24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049670A1 (ko)
KR (1) KR1009695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65187B (zh) * 2007-08-09 2011-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上行资源指示的方法、基站和用户终端
KR101478279B1 (ko) * 2008-09-05 2014-12-31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QoS를 보장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0043087A1 (en) * 2008-10-17 2010-04-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telecommunications
ATE547918T1 (de) * 2008-11-07 2012-03-15 Siemens Ag Verfahren zur datenübertragung in einem lokalen netzwerk
US20100220673A1 (en) * 2008-12-03 2010-09-02 Jie Hui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apting a grant interval during voip communications in a broadband wireless network
CN101990043A (zh) * 2009-08-06 2011-03-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ip网络语音业务半静态调度资源配置的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326A (ja) * 1998-11-10 2000-05-30 Nec Mobile Commun Ltd デジタル移動体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通信の割当スロット数決定方法
KR20040063074A (ko) * 2003-01-04 2004-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상된 역방향 전용 전송 채널 서비스를 지원하는단말기의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하는 방법
KR20050070840A (ko) * 2003-12-31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 전송 방식 결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6483B2 (en) * 2001-02-23 2006-02-28 Ipr Licensing, Inc. Qualifying available reverse link coding rates from access channel power setting
US7310352B2 (en) * 2001-10-31 2007-12-18 Juniper Networks, Inc. Context-dependent scheduling through the use of anticipated grants for broadband communication systems
EP1437912B1 (en) * 2003-01-04 201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data rate of user equipment supporting EUDCH service
US7903614B2 (en) * 2006-04-27 2011-03-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link adaptation parameters for CDMA-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326A (ja) * 1998-11-10 2000-05-30 Nec Mobile Commun Ltd デジタル移動体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通信の割当スロット数決定方法
KR20040063074A (ko) * 2003-01-04 2004-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상된 역방향 전용 전송 채널 서비스를 지원하는단말기의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하는 방법
KR20050070840A (ko) * 2003-12-31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 전송 방식 결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513A (ko) 2008-02-28
US20080049670A1 (en)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5629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подтверждении радиосвязи для однонаправленного канала передачи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х данных
KR100614597B1 (ko) 패킷 전송방법, 기지국 및 이동국
FI123203B (fi) Menetelmä palvelu- ja nopeusneuvottelun järjestämiseksi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JP3927027B2 (ja) リソース制御システム、リソース制御方法、及びこれらに用いて好適な基地局
KR10114847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동국
KR100677462B1 (ko) 스트리밍서비스를 위한 휴대단말기의 대역폭산정시스템 및방법
KR100969581B1 (ko) 무선 접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JP2004507121A (ja) 通信システム
CA2393373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with different qos attributes.
US8351458B2 (en) Method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s, radio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JP2009189015A (ja) チャネルを共用する通信システム
CN112136338A (zh) 无线通信装置和方法
KR20080038805A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73794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power
KR10172470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식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JP2002016647A (ja) 移動端末と遠隔地のユーザとの間を流れるユーザトラフィック用に資源を割当てる方法
US200600562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scheduler based on virtual frames
WO20020237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power
JP408773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基地局および移動機
US85709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link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79382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대역폭 요청 처리 장치 및 방법
JP4951475B2 (ja) 基地局
KR20010109524A (ko) 통신 시스템
CN118102466A (zh) 通信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设备、网络设备
Oh et al. An efficient uplink scheduling algorithm with variable grant-interval for VoIP service in BWA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