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618B1 -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ng board with dual-sequence apparatus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ng board with dual-sequenc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618B1
KR100967618B1 KR1020100031085A KR20100031085A KR100967618B1 KR 100967618 B1 KR100967618 B1 KR 100967618B1 KR 1020100031085 A KR1020100031085 A KR 1020100031085A KR 20100031085 A KR20100031085 A KR 20100031085A KR 100967618 B1 KR100967618 B1 KR 100967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sequence
power
du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0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중제
Original Assignee
동영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영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영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1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6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Abstract

PURPOSE: A distribution panel managing system with a dual sequence device is provided to stably supply power to customers by instantly repairing a sequence line in a power outage due to the failure in a sequence line. CONSTITUTION: A distribution panel(100) supplies commercial power to a load. A dual sequence device(200) comprises first and second sequence line units, a power switch, and a power input unit. The first and second sequence line units monitor and control the devices of a main line inside the distribution panel. The power switch switches the power into the second sequence unit when the first sequence line unit is broken. The power input unit applies power to the first or second sequence line unit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power switch.

Description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ng board with dual-sequence apparatus}Switchgear management system with dual sequence device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ng board with dual-sequence apparatus}

본 발명은 배전반(Distributing board)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배전반의 개보수 또는 정전시에 듀얼 시퀀스 모니터링(Dual sequence monitoring)에 의해 전력 공급을 차단 또는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tribution board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that enables the power supply to be cut off or managed by dual sequence monitoring at the time of renovation or power failure of the distribution board. It relates to a management system.

배전반(Distributing Board)은 발전소 또는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 계기, 릴레이(계전기) 등을 일정하게 넣어 관리하는 장치를 말한다.Distributing Board refers to a device that constantly puts and manages switches, instruments, relays, etc. for the operation or control of power plants or substations, and the operation of electric motors.

이러한 배전반은 통상적으로 주회로용 배전반과 제어용 배전반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면, 사업용 또는 자가용 변전소의 주배전반은 주회로용 배전반이고, 최신형 발전소 등에서 볼 수 있는 조작용 배전반은 제어용 배전반이다. 자가용 변전소의 배전반을 전면에서 보면, 고압 주회로의 차단기를 개폐하는 조작레버, 저압 주회로의 기중개폐기, 전압계, 전류계, 전력계, 적산전력계, 와전류계전기 등이 있다.Such switchgear is generally divided into a main circuit switchgear and a control switchgear. For example, the main switchgear of a business or private substation is a main circuit switchboard, and the operation switchgear which can be seen in a modern power plant etc. is a control switchboard.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a switchboard of a private substation, there are an operation lever for opening and closing a breaker of a high voltage main circuit, a crane switch of a low voltage main circuit, a voltmeter, an ammeter, a power meter, an integrated power meter, and an eddy current relay.

이러한 배전반의 형식에는 개방형과 폐쇄형이 있는데, 개방형은 반의 뒷면을 보면 전기배선이나 스위치의 단자 등이 노출되어 보이는 것이고, 폐쇄형은 도장한 철판상자 속에 모두 넣어져 있는 것인데, 외부에서 보이는 것은 최소한의 계기 및 조작 버튼 등뿐이다. 개방형의 경우는 유닛(Unit)의 치수가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변전소 등의 규모에 따라서 유닛의 수를 정하게 된다.There are two types of switchboards, open type and closed type. The open type shows the electrical wiring or switch terminals exposed on the back of the van, and the closed type is all contained in a painted iron plate box. It's just like gauges and operation buttons. In the case of the open type, since the unit size is standardized, the number of unit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bstation.

한편, 주회로용 배전반의 구성 방식은 변압기 2차 모선에 따라 단일모선 방식, 예비모선 방식, 이중모선 방식 등이 있으며, 이중모선이 있는 배전반은 단로기(Disconnector)가 각 모선별로 하나씩 구비되며, 2개의 모선중 하나의 모선에 사고가 생기는 경우에도 다른 하나의 모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circuit switchboard is composed of a single bus system, a spare bus system, a double bus system, etc. according to the transformer secondary bus, and a switchboard having a double bus is provided with one disconnector for each bus. In case of an accident in one of the two buses, it is designed to supply power through the other bus.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중모선을 갖는 배전반의 단선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connection diagram of a switchboard having a double b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모선용 도체(18, 19)에는 각각 단로기(Disconnector)(16, 17)가 하나씩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로기의 선로가 하나로 합쳐진 위치에 하나의 차단기(15)가 설치되며, 상기 차단기(15)의 일측에 전류를 감지하기 위해 변류기(11)가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disconnectors 16 and 17 are connected to the main bus conductors 18 and 19, respectively, and one breaker 15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lines of the disconnectors are combined. The current transformer 1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reaker 15 to sense current.

상기 단로기(16, 17)는 전기적으로 무부하 상태일 때 회로를 연결하여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기기이며, 차단기(15)는 사고전류 발생시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disconnectors (16, 17) is a device that perform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by connecting the circuit when the electrically no-load state, the circuit breaker 15 serves to block the circuit when an accident current occurs.

상기 단로기(16, 17)와 차단기(15)가 개방된 상태에서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단로기(16, 17)에 모선을 연결한 후에 차단기(15)를 투입하여야 하고, 반대로 회로를 끊기 위해서는 차단기(15)를 회로에서 먼저 분리한 후에 단로기(16, 17)를 끊어야 한다. 만약 회로 연결시 차단기(15)를 먼저 투입한 후 단로기(16, 17)를 모선에 연결하거나 회로 차단시 단로기(16, 17)를 먼저 개폐하는 경우, 단로기(16, 17)가 아크(Arc)를 없앨 수 있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단로기(16, 17)에 아크가 발생하고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즉, 단로기(16, 17)는 아크를 없애는 기능이 없으므로 주회로를 개방 및 투입할 때 반드시 차단기(15)에 의해 단로기(16, 17)가 동작할 수 있도록 차단기(15)와 연동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In order to connect the circuits in the state in which the disconnectors 16 and 17 and the breaker 15 are open, the circuit breaker 15 should be first connected to the disconnectors 16 and 17, and then the breaker 15 should be introduced. Disconnect (15) from the circuit first and then disconnect the disconnectors (16, 17). If the circuit breaker 15 is inserted first and then the disconnectors 16 and 17 are connected to the bus bar, or the circuit breakers 16 and 17 are opened and closed first, the circuit breakers 16 and 17 are arced. Because there is no function to eliminate the arc can occur in the disconnector (16, 17) and may lead to an accident. That is, since the disconnectors 16 and 17 do not have a function of eliminating arcs, the disconnectors 15 and 17 are interlocked with the breakers 15 so that the disconnectors 16 and 17 can operate by the breakers 15 when the main circuit is opened and closed. Equipped.

한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842789호(출원일: 2006년 09월 20일)에는 "경보장치를 갖는 다기능 배전반"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배전반으로 사람, 동물 및 장애물의 접근을 제지하고 다수의 배전반으로의 침입 접근하는 상황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감시 및 저장 보관이 가능하도록 관제센터와 연계될 수 있게 한 경보장치를 갖는 다기능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as a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42789 (Application Date: September 20, 2006) discloses the invention named "multi-functional switchboard having an alarm device," as a switchboard, people, animals and obstacl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witchgear having an alarm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a control center to restrain the access of and access the intrusion into a plurality of switchboards in real tim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Referring to FIG. Explain.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경보장치를 갖는 다기능 배전반을 예시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functional switchgear having an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경보장치를 갖는 배전반(20)은, 전후좌우 네 면 중 적어도 한 면 이상에 설치되는 인체감지 센서(SR); 상기 인체감지 센서(SR)의 신호를 처리하여 인체감지 여부를 판별하는 인체감지 판별 및 처리부(22); 상기 인체감지 판별 및 처리부(22)의 출력에 따라 접근 금지를 위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SP); 상기 인체감지 판별 및 처리부(22)의 출력에 따라 접근금지를 시각적으로 확인시키는 경보 표시부(26); 상기 인체감지 판별 및 처리부(22)의 출력에 따라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28)를 포함한다.2, the switchboard 20 having an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human body sensor (SR)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four sides; A human body detecting and processing unit 22 for processing the signal of the human body sensor SR to determine whether the human body is detected; A speaker (SP) for outputting a voice for prohibition of access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human body detecting and processing unit 22; An alarm display unit 26 for visually confirming the prohibition of access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human body detection and processing unit 22; And a camera 28 for capturing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human body detecting and processing unit 22.

이러한 인체감지 센서(SR)는 초음파 센서(SR1) 및 열감지 센서(SR2)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두 가지 센서(SR1, SR2) 모두를 병행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초음파 센서는 어느 정도의 크기가 있는 생물의 접근 및 물체의 접근을 모두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열감지 센서는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을 열 변화(적외선 변화)로 감지하는 센서이다.The human body sensor SR may selectively use one or more of the ultrasonic sensor SR1 and the thermal sensor SR2, or may use both of the sensors SR1 and SR2 in parallel. The ultrasonic sensor may detect both the approach of an organism having a certain size and the approach of an object, and the heat sensor is a sensor that detects a movement of a person or an animal as a heat change (infrared change).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경보장치를 갖는 배전반(20)은 인체감지 판별 및 처리부(22)의 제어출력에 따라 사람이 느끼거나 가청하지 못하는 영역대의 저역의 자장파 및 고역의 음파 중의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동물 퇴치부(29)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witchboard 20 having an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one or more of the low-frequency magnetic field and high-frequency sound waves of the region that the human sense or hearing in accordance with the human body detection and control output of the processing unit 22. It may also include an animal removal unit 29 to output.

한편, 발전회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력을 가공하여 부하측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배전반에 있어서, 전력을 부하측으로 전달하는 부스바(Busbar)가 설치되고, 이러한 부스바에는 부스바로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차단 장치와 고압의 전력을 부하측에 필요한 고압이나 저압으로 전력을 가공하는 전력가공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switchgear that receives electric power from a power generation company and processes power and delivers power to a load side, a busbar is installed to transfer power to the load side, and the busbar cuts off power delivered to the busbar. A power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the power to a high pressure or a low pressure required for the load and the high voltage power of the load side may be installed.

이러한 부스바 라인에 설치된 차단기와 전력가공 장치가 설치된 라인을 주라인(Main Line)이라 하고, 이러한 주라인에 설치된 장치들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라인을 시퀀스라인(Sequence Line)이라 하는데, 배전반은 전력을 주라인을 통하여 가공하고, 전력을 부하측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다.The line where the breaker and the power processing device installed in the busbar line are installed is called the main line, and the line that controls and monitors the devices installed in the main line is called the sequence line. It is a device that processes power through main lines and supplies power to the load side.

이러한 배전반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전력 공급이 중단되며, 제품을 생산중인 제조업체나 긴급을 요하는 병원과 같은 경우, 정전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전력 공급이 중단되어 비상 발전기를 작동시키지만, 이러한 비상 발전기는 발전회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정전과 같은 상태에서 전력을 생산하여 배전반을 통하여 공급되는 장치이므로, 배전반에서 고장 및 문제가 발생하면 비상 발전기로도 전력을 공급할 수 없게 된다.If a failure occurs in such a switchboard,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In case of a manufacturer producing a product or an emergency hospital, a problem occurs due to a power failure.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to operate the emergency generator, but since the emergency generator is a device that produces power in the same state as a power failure that is not supplied by the power generation company, and is supplied through the switchboard, if a breakdown or trouble occurs in the switchboard The emergency generator will not be able to supply power.

이와 같이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가 발전회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정전의 경우와 배전반의 고장으로 인한 전력 공급의 중단 상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전반의 고장으로 인한 전력 중단 상태는 배전반의 주라인에 설치된 장치의 고장 및 시퀀스라인에 설치되어 감시 및 제어하는 장치의 고장으로 나뉠 수 있다.The interruption of the power supply can be divided into a power outage in which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power generation company and an interruption of power supply due to a breakdown of the distribution panel. It can be divided into the failure of the device installed in the line and the failure of the device installed and monitored in the sequence line.

상기 배전반의 주라인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의 빈도는 매우 낮고, 시퀀스라인 상에 설치되어 사용중인 장치에서 발생되는 고장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시퀀스라인의 고장으로 인하여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 있어서, 램프(Lamp)나 퓨즈(Fuse) 등과 같은 간단한 부품의 교체는 전기실 담당자가 수리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시퀀스라인의 고장은 대부분 담당자가 교체 및 수리할 수 없는 경우로서 배전반을 제작한 제작업체에 긴급 통보하게 된다.The frequency of failures in the main line of the switchboard is very low, and most of the failures occur in the apparatus installed on the sequence line. In the case where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due to the failure of such a sequence line, the replacement of simple parts such as a lamp or a fuse can be repaired by an electric room person, but in practice, most of the failure of the sequence line is a person in charge. If the manufacturer cannot replace or repair the product, the manufacturer who made the switchboard will be notified urgently.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정전으로 인한 손실 비용이 매우 큰 사업장의 경우, 동일한 배전반을 중복 설치하고, 전술한 고장 발생시 중복 설치된 배전반으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배전반을 중복 설치해야하는 비용이 너무 크므로 대기업이나 민감한 사업장이 아닌 경우를 제외하고는 중복 설치가 현실적으로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case of a business where the cost of loss due to a power failure is very high, the same switchboard is installed repeatedly,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switchboard installed in the redundant case. In this case, since the cost of installing the switchboard is too lar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is very difficult except for a large company or a sensitive workplace.

한편, 배전반의 개보수 작업을 위하여 배전반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배전반 내부로 들어가는 작업에 있어서, 전기안전규칙에 의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부분 현장 사정과 정전 작업으로 인한 작업 조건 등으로 인하여 안전 규칙이 무시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전기안전규칙을 지키며 작업을 하여도 예기치 못한 돌발 상황 발생으로 인하여 전류가 투입되거나, 역류하는 전류와 담당자의 실수나 예기치 못한 작동으로 한전 전류가 투입되거나, 또는 비상발전기가 동작하여 배전반 내부로 전류가 투입되고, 배전반 내부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가 감전사하거나 중상을 입는 경우가 매년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witchboard for renovation of the switchboard, and to enter the switchboard, the work by the electrical safety rules are being performed, most of the safety due to work conditions due to on-site assessment and blackout work In many cases, the rule will be ignored. In addition, even when working in compliance with these electrical safety rules, current may be input due to an unexpected accident, or a reverse current and KEPCO current may be input due to a mistake or unexpected operation of the person in charge, or an emergency generator may operate to operate the inside of the switchboard. In this case, the electric current is input and the worker in the switchboard is electrocuted or seriously injured every year.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류 감시 및 차단 장치로 전류가 흐를 때 차단기의 접점 단자에 신호를 주어 차단기를 순간적으로 차단하지만, 배전반 내부로 투입된 전류를 순간적으로 차단하고 막기에는 이미 늦을 수 있고, 작업자의 사고를 막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current monitoring and blocking device, the breaker is momentarily interrupted by giving a signal to the contact terminal of the breaker, but it may be too late to temporarily block and prevent the current injected into the switchboar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event the accident.

1.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339331호(출원일: 1999년 05월 04일)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339331 (Application Date: May 04, 1999) 2.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842789호(출원일: 2006년 09월 20일)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42789 (Application date: September 20, 2006) 3.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888951호(출원일: 2007년 04월 27일)3.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88951 (filed April 27, 2007)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전반에 접근하여 작업하거나 배전반 내부에 작업자가 들어가는 작업에 있어서, 작업 구간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된 차단기의 오프(Off) 상태를 감시하고 동시에 차단기의 전류 투입이 되지 않도록 시퀀스 조작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배전반 작업시 사람의 접근에 따른 통전 유무를 알려줄 수 있는,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monitor the off state of the breaker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 of the work section in the work to approach the switchboard or to enter the worker inside the switchboard At the same time, it is to provide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that continuously monitors the sequence operation so as not to input the breaker current, and can info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energization according to the human approach when working the switchboar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퀀스라인의 고장으로 인한 정전시 시퀀스라인을 대체하여 즉각적으로 시퀀스라인을 복구하고 고장난 시퀀스라인을 수리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sequence device that can replace the sequence line in case of power failure due to the failure of the sequence line and immediately restore the sequence line and repair the broken sequence line, thereby enhancing the safety of the operator. It is to provide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은, 전력을 부하측으로 전달하는 부스바(Bus bar)와, 상기 부스바로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차단기와 고압 전력을 부하측에 필요한 전력으로 가공하는 전력가공 장치가 설치된 주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발전회사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가공하여 가공된 전력을 부하측으로 공급하는 배전반 ; 상기 배전반 내의 주라인의 장치들을 감시 및 제어하는 제1시퀀스라인(Sequence Line) 장치와,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와 동일하게 상기 배전반 내의 주라인의 장치들을 감시 및 제어 가능한 제2시퀀스라인 장치와,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가 고장일 경우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로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제2시퀀스라인 장치로 전환하는 전원전환 스위치, 상기 전원전환 스위치의 전원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 또는 제2시퀀스라인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듀얼 시퀀스(Dual Sequence) 장치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us bar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load side, and a circuit breaker for cutting off the power delivered to the bus bar And a main line provided with a power line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high voltage power to power required at the load side, and a switchboard for process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generation company and supplying the processed power to the load side; A first sequence line device configured to monitor and control devices of a main line in the switchboard, and a device of the main line in the switchboar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A second sequence line device capable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and a power switching switch for converting power input to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into the second sequence line device when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fails; A dual sequence device including a power input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or the second sequence line device in response to a power switching of the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의 도어 상에 정상 모드, 개보수 모드 및 예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 스위치가 장착되고,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주라인에 설치된 차단기의 온/오프(On/Off)를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normal mode, the renovation mode and the reserve mode is mounted on the door of the switchboard, the dual sequence device is the main sequence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switch It is desirable to monitor the status of the on / off of the breaker installed in the line.

상기에 있어서,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는 상기 주라인 상의 1차측 차단기의 상단 점점과 2차측 차단기의 하단 접점을 확인하여 상기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를 감시하는 차단기 감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dual sequence device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circuit breaker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on / off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by checking the upper contact of the primary circuit breaker on the main line and the bottom contact of the secondary circuit breaker.

상기에 있어서,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는, 상기 차단기 감시부로부터 읽어온 결과값이 상기 1차측 차단기 또는 2차측 차단기의 1개 또는 2개가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가 상기 정상 모드로부터 상기 개보수 모드 또는 예비 모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차단기가 오프(Off)되지 않았음을 알려주는 경보발생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dual sequence device, the mode selection switch in a state in which one or two of the primary circuit breaker or the secondary circuit breaker is on (On) state of the result value read from the circuit breaker monitoring unit When the switch from the normal mode to the renovation mode or the reserve mod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larm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indicating that the breaker is not off (Off).

상기에 있어서, 상기 1차측 및 2차측 차단기가 오프(Off)되어 있고,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가 상기 개보수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는 상기 배전반 내의 1차측 및 2차측 차단기가 온(On) 인지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상기 감시 중에 상기 차단기가 작업자의 실수로 강제 온(On)의 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차단기의 오프(Off) 접점 단자를 작동시켜 상기 차단기를 오프 위치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when the primary side and secondary side breakers are turned off and the mode selection switch is switched to the refurbishment mode, the dual sequence device is configured to turn on the primary side and secondary side breakers in the switchboard. It is preferable to switch the breaker to the off position by activating the off contact terminal of the breaker if the breaker is forced to the on position by the operator during the monitoring. .

상기에 있어서,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가 예비 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에 연결된 상기 전원전환 스위치를 상기 제2시퀀스라인 장치에 전환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dual sequence device,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is selected as the reserve mod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swit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quence line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sequence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주변으로 접근하는 사람의 접근을 확인하도록 상기 배전반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배전반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여 판독하고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와 통신하는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image around the switchboard to confirm the approach of the person near the switchboard, and the manager terminal to obtain and read the image around the switchboard taken by the camera and communicate with the dual sequence device It may be made to include more.

상기에 있어서 :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배전반 주변의 영상을 입력받아 사람이 안전 라인을 넘어 상기 배전반으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인식부, 상기 영상 인식부에 의해 사람이 배전반에 접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전반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는, 상기 관리자 단말의 제어신호 전송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배전반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지 감지하여 전류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전류가 감지되면 배전반의 도어 상에 설치된 부저를 울리기 위한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전류 감지부의 전류 감지신호를 상기 관리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감지신호 전송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 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The manager terminal, the image recognition unit receives the image around the switchboard from the camera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approaches the switchboard over a safety line, the person accesses the switchboard by the image recogni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check whether a current flows in the switchboard, and a control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dual sequence device. The dual sequence device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of the manager terminal to detect whether a current flows in the switchboard, and generate a current detection signal. An alarm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for ringing a buzzer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door, and a detec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current detection signal of the current detection unit to the manager terminal; This is preferred.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반의 시퀀스라인의 장치 고장으로 인한 전력 공급 중단을 즉시 복귀시켜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장이나 병원, 빌딩, 기타 산업현장이나 지속적인 전력 공급이 필요한 곳에 전력 공급의 중단을 막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power by immediately returning power supply interruption due to a device failure of a sequence line of a switchboard, thereby stopping power supply at a factory, a hospital, a building, another industrial site, or a place where a continuous power supply is needed.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반의 고장 및 증설 작업에서 배전반에 투입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작업자가 배전반의 내부에 투입되어 이루어지는 작업에 있어서,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하여 배전반에 전력이 투입되는 사고를 막아줌으로써,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reakdown and expansion of the switchboard in the operation to cut off the power input to the switchboard and the operator is put into the inside of the switchboard, by preventing the accident that the power is put into the switchboard due to unexpected accidents, The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중모선을 갖는 배전반의 단선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경보장치를 갖는 다기능 배전반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서 배전반이 설치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서 모드선택 스위치의 모드 표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서 열반된 배전반에 설치된 차단기의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서 듀얼 시퀀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에서 제1 및 제2시퀀스라인 장치의 전원절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시퀀스라인 장치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connection diagram of a switchboard having a double b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functional switchgear having an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block diagram of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switchboard is installed in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 display of a mode selection switch in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circuit breaker installed in a heat distributing panel in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nager terminal in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al sequence device in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power switching of first and second sequence line devices in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shown in FIG. 9.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배전반의 고장으로 인한 전력 공급 중단과 개보수 작업 중에 발생되는 미연의 사고를 차단하기 위한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for blocking the power supply interruption due to the failure of the switchboard and the unforeseen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maintenance work.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은, 배전반(100), 듀얼 시퀀스 장치(200), 카메라(300) 및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witchboard 100, a dual sequence device 200, a camera 300, and a manager terminal 400. have.

발전회사, 예를 들면, 한국전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력을 가공하여 부하측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배전반(100)에 있어서, 전력을 부하측으로 전달하는 도체인 부스바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부스바에는 부스바로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차단기 및 고압의 전력을 부하측에 필요한 고압이나 저압으로 전력을 가공하는 전력가공 장치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a switchboard 100 that receives electric power from a power generation company, for example, KEPCO, processes electric power, and delivers electric power to a load side, busbars, which are conductors for transmitting electric power to the load side, are installed. Circuit breakers that cut off the power delivered immediately, and a power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the power to a high pressure or a low pressure necessary for the load side of the powe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이때, 상기의 부스바 상에서 상기 부스바로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차단기와 고압 전력을 부하측에 필요한 고압이나 저압으로 전력을 가공하는 전력가공 장치가 설치된 라인을 주라인(Main Line)이라 하고, 상기 주라인에 설치된 차단기와 전력가공 장치와 같은 장치들을 제어 및 감시하는 라인을 시퀀스라인(Sequence Line)이라 한다.In this case, a line in which a circuit breaker that cuts off power transmitted to the busbars and a high-voltage power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power at a high or low pressure necessary for a load side is installed on the busbar, is called a main line. A line that controls and monitors devices such as breakers and power processing devices installed in a line is called a sequence line.

구체적으로, 배전반(100)은 차단기나 보호계전기 등과 같은 단위기기를 부착, 지지하는 구조물과, 상기 단위기기를 접속 및 연결시키는 도체물의 집합체로 구성된다. 상기 배전반(100)은 외부 형식에 따라 폐쇄형과 개방형으로 나뉘며, 수용전압에 따라 초고압, 고압, 저압 배전반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배전반(100)에서 전력을 전달하는 전기전달매체인 도체로서 주로 부스바(Bus bar)가 사용되는데, 부스바는 주로 구리로 이루어지며, 단면이 직사각형을 이루고, 설치 위치에 따라 수평 부스바와 수직 부스바로 구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witchboard 100 is composed of a structure for attaching and supporting a unit device such as a circuit breaker or a protective relay, and a collection of conductors for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unit device. The switchboard 100 is divided into a closed type and an open type according to an external type, and is divided into an ultra high voltage, a high pressure, and a low voltage switchgear according to a receiving voltage. In addition, a bus bar is mainly used as a conductor that is an electric transfer medium that transfers electric power from the switchboard 100. The bus bar is mainly made of copper, and the cross section is rectangular, and the horizontal booth depends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It can be divided into bars and vertical busbars.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배전반(100)의 도어 상에 정상 모드, 개보수 모드 및 예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 스위치(130)가 장착된다.At this time, in the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selection switch 130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normal mode, the renovation mode and the reserve mode on the door of the switchboard 100 ) Is mounted.

또한, 상기 시퀀스라인의 장치들은 같은 장소에 집합되어 조립된다. 즉 상기 시퀀스라인의 장치들은 중판이라는 판에 설치된다. 상기 중판은 배전반(100)의 기능과 구조의 영향으로 배전반(100)의 내부의 전면부 또는 측면부에 설치되기도 하고, 또는 상기 배전반(100)의 상측 중간부나 하측 중간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vices of the sequence line are assembled and assembled in the same place. That is, the devices of the sequence line are installed in a plate called a middle plate. The middle plate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or side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switchboard 100 under the influence of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the switchboard 100, or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middle portion or the lower middle portion of the switchboard 100.

듀얼 시퀀스 장치(200)는 주라인의 장치들을 감시 및 제어하는 제1시퀀스라인 장치와,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와 동일하게 상기 배전반 내의 주라인의 장치들을감시 및 제어 가능한 제2시퀀스라인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는 상기 주라인에 설치된 장치들을 제어 및 감시하고, 상기 제2시퀀스라인 장치는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가 고장일 경우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를 대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200)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130)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주라인에 설치된 차단기의 온/오프(On/Off) 상태를 감시한다. 즉, 듀얼 시퀀스 장치(200)는 선로 전류를 감시하며, 1차 및 2차 차단기를 감시하고, 제1시퀀스라인 장치의 고장시 예비 모드로 전환시키며, 개보수 작업 중 작업자 접근시 지속적으로 통전 유무를 통보할 수 있다.The dual sequence apparatus 200 includes a first sequence line apparatus configured to monitor and control the apparatuses of the main line, and the apparatus of the main line in the switchboar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equence line apparatu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equence line apparatus. And a second sequence line device capable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sound.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controls and monitors devices installed on the main line, and the second sequence line device replaces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when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fails. In addition, the dual sequence apparatus 200 monitors an on / off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installed in the main line according to the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switch 130. That is, the dual sequence device 200 monitors the line current, monitors the primary and secondary breakers, switches to the reserve mode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and maintains the presence or absence of electricity when the worker approaches during the maintenance work. Can be notified.

또한,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200)는 모드선택 스위치(130)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카메라(30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관리자 단말(400)에서 영상을 분석하여, 사람의 접근시 사람 접근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모드, 및 1차측 차단기의 온/오프(on/off) 접점과 2차측 차단기의 온/오프(On/Off) 접점의 상태를 입력받는 접점 단자와 1차측과 2차측 차단기의 접점 상태를 전달하는 전송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정전 작업 및 개보수 작업으로 인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비상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듀얼 시퀀스 장치(200)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dual sequence apparatus 200 analyzes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300 in the manager terminal 400 in accordance with the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switch 130, the human approach signal when the person approaches Receive mode that receives the signal, and the contact terminal that receives the status of the on / off contact of the primary circuit breaker and the on / off contact of the secondary circuit breaker and the contact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circuit breakers. It may be configured as a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ing the status, in this case, it may be provided with an emergency battery in case the power is not supplied due to the power outage and maintenance work. Such a dual sequence apparatus 2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카메라(300)는 상기 배전반(100) 주변으로 접근하는 사람이 안전 라인(110)을 넘어서 접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상기 배전반(100)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다.The camera 300 photographs an image around the switchboard 100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approaching the switchboard 100 approaches the safety line 110.

관리자 단말(400)은 상기 카메라(300)로부터 촬영된 배전반(100)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여 판독하고,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200)와 통신한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400)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manager terminal 400 obtains and reads an image around the switchboard 100 captured by the camera 300, and communicates with the dual sequence apparatus 200. Such a manager terminal 4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200)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은, 한국전력으로부터 전력을 수전받아 부하측으로 배전하는 배전반(100)에 설치된 장치의 고장으로 인하여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듀얼 시퀀스 장치(200)로 전력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200)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은, 개보수 작업으로 인하여 배전반(100) 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면, 듀얼 시퀀스 장치(200)로 열반식 배전반(100)의 상단 1차측 차단기와 하단의 부하의 2차측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작업자의 접근시 전류가 흐르고 있는지를 표시하고, 또한, 작업 중에 작업자의 실수로 차단기가 올라가 온(On)이 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dual sequence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of power is stopped due to a failure of the device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100 that receives power from KEPCO and distributes it to the load side. May resume power supply to the dual sequence device 200. In addition, the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dual sequence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ork is made in the switchboard 100 due to the renovation work, the heat transfer type switchboard 100 to the dual sequence apparatus 200. Check the ON / OFF status of the upper primary circuit breaker on the top and the secondary circuit breaker on the bottom of the load to indicate whether the current is flowing when approaching the operator, and also the circuit breaker is accidentally raised during operation. This prevents the accident to prevent safety accidents.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서 배전반이 설치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서 모드선택 스위치의 모드 표시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서 열반된 배전반에 설치된 차단기의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witchboard is installed in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with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with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mode display of a mode selection switch,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circuit breaker installed in a heat distributing panel in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100a, 100b)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배전반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선택 스위치(1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모드는 정상 모드, 개보수 모드 및 예비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In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witchboards 100a and 100b may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4, and a mode selection switch as shown in FIG. 5. 130 may be mounted. In this case, the mode may be divided into a normal mode, a renovation mode, and a spare m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200)는, 도 6의 4번 배전반에서 상기 1차측 차단기의 온/오프(On/Off) 접점과 2차측 차단기의 온/오프(On/Off) 접점 단자와 연결되어 차단기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개보수로 인한 작업시 온(On) 되지 않도록 온/오프(On/Off) 접점을 항시 오프(Off) 접점이 되도록 잡아주어 유사시 투입되거나 작업자 실수로 온(On)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In the dual sequence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n / off contact of the primary circuit breaker and an on / off contact of the secondary circuit breaker in the fourth switchgear of FIG. I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to continuously check the on / off status of the breaker, and to make the on / off contact always off to prevent it from being turned on during renovation.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hrown in case of accident or turning on accidentally by worker.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전반(100)의 1차측 차단기와 2차측 차단기란 도 6의 4번 배전반에서 전력이 들어오는 방향의 차단기(140a)가 설치된 1번 배전반에 설치된 차단기가 1차측 차단기이며, 도 6의 4번 배전반에서 전력이 나가는 방향의 차단기가 설치된 7번 배전반에 설치된 차단기(140c)가 2차측 차단기이며, 도 6의 7번 배전반의 1차측 차단기는 4번 배전반에 설치된 차단기(140b)이며, 2차측 차단기는 9번 배전반에 설치된 차단기(140d)를 말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the primary side breaker and the secondary side breaker of the switchboard 100 are breakers installed in the first switchgear in which the breaker 140a is installed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is input from the fourth switchgear of FIG. 6. Breaker, the circuit breaker 140c installed in the switchgear 7 is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in the direction of the power in the fourth switchgear of Figure 6 is the secondary side breaker, the primary side breaker of the switchgear 7 of Figure 6 is a breaker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4 140b, and the secondary side breaker refers to the breaker 140d installed at the switchboard No. 9.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200)의 동작 모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모드, 개보수 모드 및 예비 모드인 3가지의 선택 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dual sequence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may be made of three selection modes of the normal mode, the renovation mode and the reserve mode.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130)의 정상 모드는 배전반(100)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작동하고 있는 모드로서, 상기 관리자 단말(400)에 설치된 듀얼 시퀀스 관리 프로그램은 카메라(300)로부터 전달된 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배전반 앞 지면에 설치된 안전 라인(110)을 넘어 사람이 상기 배전반(100)으로 접근했는지를 판단하며, 만일 사람이 정상 모드에서 안전 라인(110)을 넘어 배전반(100)으로 접근하였다면, 상기 듀얼 시퀀스 관리 프로그램에서는 듀얼 시퀀스 장치(200)에 사람 접근 신호를 전송하고, 이때,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200)는 전류가 흐르는지 확인하여 전류가 흐르면 경고등을 켜며 부저(120)를 울림으로써, 접근하는 사람에게 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알려주게 된다.The normal mode of the mode selection switch 130 is a mode in which the switchboard 100 is normally installed and operated. The dual sequence management program installed in the manager terminal 400 analyzes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300. It is determined whether a person approached the switchboard 100 beyond the safety line 110 installed on the ground in front of the switchboard, and if the person approached the switchboard 100 beyond the safety line 110 in the normal mode, the dual In the sequence management program, a person acces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ual sequence apparatus 200. At this time, the dual sequence apparatus 200 checks whether a current flows, turns on a warning light when the current flows, and rings the buzzer 120 to access it. It tells people that a current is flowing.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130)의 예비 모드는 상기 배전반(100) 내에 설치된 제1중판 상의 제1시퀀스라인 장치(230)가 고장을 일으켜 전류 공급이 중단되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선택하는 모드로서, 상기와 같은 고장이 발생하면, 배전반 도어 상에 설치된 모드선택 스위치(130)를 예비 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130)가 예비 모드로 전환되면, 제1시퀀스라인 장치(230)가 설치된 제1중판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전환 스위치(220)를 듀얼 시퀀스 장치(200)에 설치된 제2시퀀스라인 장치(240)로 전원을 전환함으로써, 배전반(100)의 감시 및 제어가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200)로 전환되어 상기 배전반(100)의 기능을 원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The preliminary mode of the mode selection switch 130 is a mode for selecting when an accident occurs in which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230 on the first middle plate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100 fails and the current supply is interrupted. If a failure such as this occurs, the mode selection switch 130 installed on the switchboard door is switched to the reserve mode. Subsequently,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130 is switched to the preliminary mode,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intermediate plate in which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230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By switching the power to the second sequence line device 240 installed in the dual sequence device 200, the monitoring and control of the switchboard 100 is switched to the dual sequence device 200 to restore the function of the switchboard 100. Can be returned.

또한,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130)의 개보수 모드는 배전반(100)의 전체적인 개보수 공사가 필요할 때 선택하는 모드로서, 작업자가 안전 라인(110)을 넘어 배전반으로 접근하여 배전반 내부로 들어가는 작업이 이루어질 때 선택된다.In addition, the renovation mode of the mode selection switch 130 is a mode for selecting when the overall renovation work of the switchboard 100 is necessary, when the worker is approaching the switchboard over the safety line 110 to enter the switchboard inside the switchboard is made. Is selected.

상기 개보수 모드 시에 카메라(300)에 의한 배전반 주변 사람의 유무와 상기 배전반의 1차측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를 배전반 도어 램프 및 관리자 단말(400)에 지속적으로 전송하여 표시하며, 작업 시작 중에 상기 차단기가 온(on)되어 있으면 부저(120)를 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400)에 전송하여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작업 중에 작업자의 실수나 주변의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여도 1차측과 1차측 차단기의 차단기가 온(on)이 되지 않도록 결속시켜 줌으로써 예기치 못한 사고를 차단할 수 있다.In the refurbishment mod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erson around the switchboard by the camera 300 and the on / off state of the primary side breaker of the switchboard are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switchboard door lamp and the manager terminal 400 for display. If the breaker is on (on), the buzzer 120 may be sound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400 to inform. In addition, even if a worker's mistake or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during work, the unexpected accident can be blocked by binding the breakers of the primary side and the primary side breakers so that they are not turned on.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 단말의 구성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block diagram of a manager terminal in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400)은 영상 인식부(410), 제어부(420) 및 제어신호 전송부(430)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7, in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r terminal 400 includes an image recognition unit 410, a controller 420, and a control signal transmitter 430.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영상 인식부(410)는 상기 카메라(300)로부터 상기 배전반(100) 주변의 영상을 입력받아 사람이 안전 라인(110)을 넘어 상기 배전반(100)으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image recognition unit 410 receives an image around the switchboard 100 from the camera 300 and determines whether a person approaches the switchboard 100 via the safety line 110.

제어부(420)는 상기 영상 인식부(410)에 의해 사람이 배전반에 접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전반(100)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The controller 420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determine whether a current flows in the switchboard 100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image recognition unit 410 that a person approaches the switchboard.

제어신호 전송부(430)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200)로 전송한다.The control signal transmitter 43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dual sequence apparatus 200.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400)은 통상적인 PC로 구현될 수 있으며, 듀얼 시퀀스 관리 프로그램을 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nventional PC, it may be embedded a dual sequence management program.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서 듀얼 시퀀스 장치의 구성도이다.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al sequence device in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서 듀얼 시퀀스 장치(200)는, 전원 입력부(210), 전원전환 스위치(220), 제1시퀀스라인 장치(230), 제2시퀀스라인 장치(240), 차단기 감시부(250), 전류 감지부(260), 경보신호 발생부(270) 및 감지신호 전송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a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 sequence device 200 may include a power input unit 210, a power conversion switch 220, and a first sequence line device ( 230, a second sequence line device 240, a circuit breaker monitor 250, a current detector 260, an alarm signal generator 270, and a detection signal transmitter 280.

제1시퀀스라인 장치(230)는 상기 배전반(100) 내의 주라인의 장치들을 감시 및 제어하며, 제2시퀀스라인 장치(240)는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23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230 monitors and controls the devices of the main line in the switchboard 100, and the second sequence line device 240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230. .

전원전환 스위치(220)는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230)가 고장일 경우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230)로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제2시퀀스라인 장치(240)로 전환시킨다.The power conversion switch 220 converts the power input to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230 to the second sequence line device 240 when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230 is broken.

전원 입력부(210)는 상기 전원전환 스위치(220)의 전원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230) 또는 제2시퀀스라인 장치(240)에 전원을 인가한다.The power input unit 210 applies power to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230 or the second sequence line device 240 in response to the power switching of the power conversion switch 220.

차단기 감시부(250)는 상기 주라인 상의 1차측 차단기의 상단 점점과 2차측 차단기의 하단 접점을 확인하여 상기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를 감시하게 된다.The circuit breaker monitoring unit 250 monitors the on / off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by checking the top contact of the primary circuit breaker on the main line and the bottom contact of the secondary circuit breaker.

전류 감지부(260)는 상기 관리자 단말(400)의 제어신호 전송부(43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배전반(100)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지 감지하여 전류 감지신호를 생성한다.The current detector 26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r 430 of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detects whether a current flows in the switchboard 100 to generate a current detection signal.

경보신호 발생부(270)는 상기 전류 감지부(260)로부터 전류가 감지되면 배전반(100)의 도어 상에 설치된 부저(120)를 울리기 위한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기 감시부(250)로부터 읽어온 결과값이 상기 1차측 차단기 또는 2차측 차단기의 1개 또는 2개가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400)이 모드선택 스위치(130)를 상기 정상 모드로부터 상기 개보수 모드 또는 예비 모드로 전환할 경우,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200)의 경보신호 발생부(270)는 상기 차단기가 오프(Off)되지 않았음을 알려주는 경보발생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The alarm signal generator 270 generates an alarm signal for ringing the buzzer 120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switchboard 100 when a current is detected from the current detector 260. In detail, the manager terminal 400 is in a mode in which one or two of the primary circuit breaker or the secondary circuit breaker are in an on state. When the selection switch 130 is switched from the normal mode to the refurbishment mode or the reserve mode, the alarm signal generator 270 of the dual sequence device 200 informs that the breaker is not turned off. An alarm signal can be generated.

감지신호 전송부(280)는 상기 전류 감지부(260)의 전류 감지신호를 상기 관리자 단말(400)에게 전송한다.The detec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280 transmits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of the current detection unit 260 to the manager terminal 400.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시퀀스 장치에서 제1 및 제2시퀀스라인 장치의 전원절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시퀀스라인 장치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power switching of the first and second sequence line apparatuses in the dual seque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first sequence line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9. to be.

도 9를 참조하면, 듀얼 시퀀스 장치(200)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의 모드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가 개보수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주라인 상의 차단기가 온(on)이 되지 않도록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9, the dual sequence apparatus 200 checks a mode state of the mode selection switch and controls the circuit breaker on the main line not to be turned on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is switched to the renovation mode. do.

구체적으로,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200)의 제1 및 제2시퀀스라인 장치(230, 240)가 설치된 중판이 배전반(100) 내에 설치되는데,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전환 스위치(220)로 정상 모드 시에는 배전반에 설치된 중판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시켜 놓고, 기존의 제1시퀀스라인 장치(230)가 설치된 제1중판에 설치된 장치의 고장이 발생되면, 기존의 제1중판을 배전반(100)으로부터 제거하여 수리를 하며, 전원전환 스위치(220)를 듀얼 시퀀스 장치(200)의 제2중판 상에 설치된 제2시퀀스라인 장치(240)로 전원을 인가하여 배전반(100) 감시 및 조작을 복귀시킴으로써 정상적인 배전반(100)의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Specifically, a middle pl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equence line devices 230 and 240 of the dual sequence device 200 are installed is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100. The dual sequence device 200 is illustrated in FIG. As described above, in the normal mode with the power switching switch 220,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middle plate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and operated, and a failure of the device installed in the first middle plate in which the existing first sequence line device 230 is installed occurs. In this case, the existing first middle plate is removed from the switchboard 100 for repair,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sequence line device 240 installed on the second middle plate of the dual sequence device 200. By returning the switchboard 100 monitoring and operation to enable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witchboard 100.

여기서, 상기 1차측 및 2차측 차단기가 오프(Off)되어 있고,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가 상기 개보수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200)는 상기 배전반(100) 내의 1차측 및 2차측 차단기가 온(On)인지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상기 감시 중에 상기 차단기가 온(On)이 되지 않는 회로로 전환되어 있지만 작업자의 실수로 강제 온(On)의 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차단기의 오프(Off) 접점 단자를 작동시켜 상기 차단기를 오프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Here, when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breakers are turned off and the mode selection switch is switched to the refurbishment mode, the dual sequence apparatus 200 may determine that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breakers in the switchboard 100 are closed. If the circuit breaker is switched to a circuit that does not turn on during the monitoring, but the operator accidentally switches to the on position, the breaker is turned off. The breaker can be switched to the off position by actuating a contact terminal.

또한,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200)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130)가 예비 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제1시퀀스라인(230)에 연결된 상기 전원전환 스위치(220)를 상기 제2시퀀스라인 장치(240)에 연결되도록 전환하고, 상기 전원 입력부(210)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제2시퀀스라인 장치(240)로 인가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130 is selected as a preliminary mode, the dual sequence apparatus 200 sets the power sequence switch 220 connected to the first sequence line 230 to the second sequence line apparatus.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240, the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input unit 210 is applied to the second sequence line device 240.

또한,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200)가 설치된 배전반의 도어에는 모드선택 스위치(1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시퀀스라인은 도 10과 같은 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회로를 구성하는 장치들은 중판에 설치된다.In addition, a mode selection switch 130 may be installed in the door of the switchboard in which the dual sequence apparatus 200 is installed, and the sequence line is composed of a circuit as shown in FIG. 10, and the devices constituting the circuit are installed in a middle plate. do.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시퀀스라인 장치(230)의 구체적인 회로도로서, 제1시퀀스라인 장치(230)는 진공차단기(VCB: 231), 차단기 온/오프 제어 스위치(232), 리셋 및 부저 스위치(233), 과전류 릴레이(Over Current Relay: OCR)(234, 235) 및 표시램프(2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FIG. 10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230 shown in FIG. 9.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230 may include a vacuum circuit breaker (VCB) 231, a circuit breaker on / off control switch 232, reset and The buzzer switch 233 may include an over current relay (OCR) 234 and 235, a display lamp 236, and the like.

도 10에서, 86X는 릴레이 스위치 레버를 나타내고, OCR-R은 R상 과전류 계전기를 나타내고, OCR-S는 S상 과전류 계전기를 나타낸다. 또한, OCR의 트립 요소부 레버로서, ICS(Indicating Contact Switch)는 고장전류가 적을 경우, 원판 회전하여 동작하는 한시 요소가 동작 트립(Trip)될 경우를 나타내는 표시 장치이며, 과부하시에 동작한다. 또한, OCR의 트립 요소부 레버로서, IIT(Indicating Instantaneous Trip unit)는 고장전류가 큰 경우, 원판 회전에 관계없이 (순시요소) 전자반발력에 의해 트립될 경우, 나타내는 표시 장치이며, 단락전류에서 동작한다. 또한, 표시램프(236)에서 GL은 그린 램프로서 VCB(231)의 오프(Off) 상태를 나타내고, RL은 레드 램프로서 VCB(231)의 온(On)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51RX 및 51SX는 각각 과전류 릴레이의 보조 릴레이를 나타낸다.In Fig. 10, 86X represents a relay switch lever, OCR-R represents an R phase overcurrent relay, and OCR-S represents an S phase overcurrent relay. Moreover, as a trip element part lever of an OCR, an ICS (Indicating Contact Switch) is a display device which shows the case where the time element which operates by disc rotation when the fault current is small is an operation trip, and it operates at the time of overload. In addition, as a trip element part lever of an OCR, an indicating instantaneous trip unit (ITT) is a display device which indicates when a fault current is large, when it is tripped by (instantaneous element) electromagnetic repulsion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disc, and operates at a short circuit current. do. In the display lamp 236, GL denotes an off state of the VCB 231 as a green lamp, and RL denotes an on state of the VCB 231 as a red lamp. In addition, 51RX and 51SX represent the auxiliary relay of an overcurrent relay, respectively.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반의 시퀀스라인의 장치 고장으로 인한 전력 공급 중단을 즉시 복귀시켜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장이나 병원, 빌딩, 기타 산업현장이나 지속적인 전력 공급이 필요한 곳에 전력 공급의 중단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배전반의 고장 및 증설 작업에서 전력이 투입되고 설치된 상태의 배전반을 투입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작업자가 배전반의 내부에 투입되어 이루어지는 작업에 있어서,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하여 배전반에 전력이 투입되는 사고를 막아줌으로써,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mmediately returning the power supply interruption due to the failure of the equipment of the sequence line of the switchboard to continue to supply power, it is necessary for the factory, hospital, building, other industrial sites or continuous power supply Where can prevent the interruption of power supply. In addition, in the work in which the switchboard in the state where the power is turned on and installed in the breakdown and expansion work of the switchboard is cut off and the worker is put into the switchboard, the accident that the power is turned on due to an unexpected accident is caused. By preventing it, human accident can be prevented beforehan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배전반 110 : 안전 라인
120 : 부저 130 : 모드선택 스위치
140a, 140b, 140c, 140d : 차단기
200 : 듀얼 시퀀스 장치 210 : 전원 입력부
220 : 전원전환 스위치 230: 제1시퀀스라인 장치
240 : 제2시퀀스라인 장치 300 : 카메라
400 : 관리자 단말
100: switchboard 110: safety line
120: buzzer 130: mode selection switch
140a, 140b, 140c, 140d: breaker
200: dual sequence device 210: power input unit
220: power conversion switch 230: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240: second sequence line device 300: camera
400: manager terminal

Claims (8)

전력을 부하측으로 전달하는 부스바(Bus bar)와, 상기 부스바로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차단기와 고압 전력을 부하측에 필요한 전력으로 가공하는 전력가공 장치가 설치된 주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발전회사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가공하여 가공된 전력을 부하측으로 공급하는 배전반 ;
상기 배전반 내의 주라인의 장치들을 감시 및 제어하는 제1시퀀스라인(Sequence Line) 장치와,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와 동일하게 상기 배전반 내의 주라인의 장치들을 감시 및 제어 가능한 제2시퀀스라인 장치와,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가 고장일 경우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로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제2시퀀스라인 장치로 전환하는 전원전환 스위치, 상기 전원전환 스위치의 전원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 또는 제2시퀀스라인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듀얼 시퀀스(Dual Sequence) 장치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
It includes a bus bar that delivers power to the load side, a main line that is equipped with a circuit breaker that cuts off the power delivered to the bus bar, and a power processing device that processes high voltage power to the load side. A switchboard for process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and supplying the processed power to the load side;
A first sequence line device configured to monitor and control devices of a main line in the switchboard, and a device of the main line in the switchboar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A second sequence line device capable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and a power switching switch for converting power input to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into the second sequence line device when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fails; A dual sequence device including a power input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sequence line device or the second sequence line device in response to a power switching of the power supply;
Switchgear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의 도어 상에 정상 모드, 개보수 모드 및 예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 스위치가 장착되고,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주라인에 설치된 차단기의 온/오프(On/Off)를 상태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door of the switchboard is equipped with a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normal mode, the renovation mode and the reserve mode,
And the dual sequence device monitors the on / off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installed in the main line according to the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switch.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는 상기 주라인 상의 1차측 차단기의 상단 점점과 2차측 차단기의 하단 접점을 확인하여 상기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를 감시하는 차단기 감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dual sequence device further comprises a circuit breaker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on / off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by checking the top contact of the primary circuit breaker and the bottom contact of the secondary circuit breaker on the main line; Switchgear management system equipp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는,
상기 차단기 감시부로부터 읽어온 결과값이 상기 1차측 차단기 또는 2차측 차단기의 1개 또는 2개가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가 상기 정상 모드로부터 상기 개보수 모드 또는 예비 모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차단기가 오프(Off)되지 않았음을 알려주는 경보발생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ual sequence device,
When the result value read from the circuit breaker monitoring unit maintains one or two of the primary circuit breaker or the secondary circuit breaker is On, the mode selection switch is set to the maintenance mode or the reserve from the normal mode. The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larm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indicating that the breaker is not turned off (Off).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및 2차측 차단기가 오프(Off)되어 있고,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가 상기 개보수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는 상기 배전반 내의 1차측 및 2차측 차단기가 온(On) 인지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상기 감시 중에 상기 차단기가 작업자의 실수로 강제 온(On)의 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차단기의 오프(Off) 접점 단자를 작동시켜 상기 차단기를 오프 위치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n the primary side and secondary side breakers are off and the mode selection switch is switched to the renovation mode,
The dual sequence device continuously monitors whether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breakers in the switchboard are on. If the breaker is accidentally switched to the on position by an operator during the monitoring, the breaker is turned off. (Off)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breaker to the off position by operating the contact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가 예비 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제1시퀀스라인 장치에 연결된 상기 전원전환 스위치를 상기 제2시퀀스라인 장치에 전환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dual sequence apparatus includes a dual sequence apparatus, wherein the power selection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sequence line apparatus is switched to the second sequence line apparatus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is selected as the reserve mode. One switchboard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주변으로 접근하는 사람의 접근을 확인하도록 상기 배전반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배전반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여 판독하고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와 통신하는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around the switchboard to confirm the approach of a person approaching the switchboard, and a manager terminal for acquiring and reading an image of the switchboard around the switchboard and communicating with the dual sequence device. Switchgear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 7 항에 있어서 :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배전반 주변의 영상을 입력받아 사람이 안전 라인을 넘어 상기 배전반으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인식부, 상기 영상 인식부에 의해 사람이 배전반에 접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전반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듀얼 시퀀스 장치는, 상기 관리자 단말의 제어신호 전송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배전반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지 감지하여 전류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전류가 감지되면 배전반의 도어 상에 설치된 부저를 울리기 위한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전류 감지부의 전류 감지신호를 상기 관리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감지신호 전송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anager terminal receives an image around the switchboard from the camera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approaches the switchboard over a safety lin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erson has approached the switchboard by the image recognizer.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check whether a current flows in the switchboard, and a control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dual sequence device;
The dual sequence device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of the manager terminal to detect whether a current flows in the switchboard, and generate a current detection signal. An alarm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for ringing a buzzer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door, and a detec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current detection signal of the current detection unit to the manager terminal;
Switchgear management system having a dual seque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00031085A 2010-04-05 2010-04-05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ng board with dual-sequence apparatus KR100967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085A KR100967618B1 (en) 2010-04-05 2010-04-05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ng board with dual-sequenc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085A KR100967618B1 (en) 2010-04-05 2010-04-05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ng board with dual-sequenc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618B1 true KR100967618B1 (en) 2010-07-05

Family

ID=4264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085A KR100967618B1 (en) 2010-04-05 2010-04-05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ng board with dual-sequenc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61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066A (en) * 2002-04-09 2003-10-17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Gallium Nitride Phosphor, its Method of Manufacture,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Phosphor
KR200381066Y1 (en) 2005-01-06 2005-04-1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Switch Controller of Digital Switch-Board
KR20100005185A (en) * 2009-12-09 2010-01-14 이관우 Switchboard grouping systems for a integrated manag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066A (en) * 2002-04-09 2003-10-17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Gallium Nitride Phosphor, its Method of Manufacture,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Phosphor
KR200381066Y1 (en) 2005-01-06 2005-04-1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Switch Controller of Digital Switch-Board
KR20100005185A (en) * 2009-12-09 2010-01-14 이관우 Switchboard grouping systems for a integrated mana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544B1 (en) Switchgear with safety device
KR102057494B1 (en) Smart electrical accident prevention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JP6688804B2 (en) DC circuit breaker and disconnector
KR1021452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ower system
CN113049901A (en) Electrical control and protection device
CN112117735B (en) Arc prot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08956B1 (en) Monitoring system of substation using color data
KR101180008B1 (en) plug-in box control unit for monitoring bus bar
KR100990736B1 (en) Switchgear protection and control to monitor the status of the protection system
KR20130003531A (en) The detection device mounted to circuit breaker and the detection system of the auxiliary power outlet information using it
CN108565974A (en) One kind being based on the self-powered long-range failure protection method and system of protective device
WO2018131797A1 (en) Real-time detection/recovery system of power line failure in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CN113168981A (en) Switch and protection device of low-voltage board and low-voltage board comprising switch and protection device
KR102176617B1 (en) Sequrity checking system of power substation using voice recognition
KR20070005278A (en) Protection system of electric fire using arc detection
WO2021074812A1 (en) High voltage overhead electric transmission line equipped with switchgear unit
JP2013207990A (en) Power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KR100967618B1 (en)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ng board with dual-sequence apparatus
KR1017871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breakdown of gas insulated switchgear
US10212839B2 (en) Risk reduction of electrical hazards
US11211776B2 (en) Risk reduction of electrical hazards
KR102128036B1 (en) Arc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arc protection system
US10530133B2 (en) Risk reduction of electrical hazards
KR101020038B1 (en) Motor controlling board for detecting electrical loose contact and arc
JP2010166667A (en) Ground-fault directional re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