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787B1 - Connector for Cellular Phone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Cellular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787B1
KR100966787B1 KR1020080018778A KR20080018778A KR100966787B1 KR 100966787 B1 KR100966787 B1 KR 100966787B1 KR 1020080018778 A KR1020080018778 A KR 1020080018778A KR 20080018778 A KR20080018778 A KR 20080018778A KR 100966787 B1 KR100966787 B1 KR 100966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plug shell
connector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7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93320A (en
Inventor
정성국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8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787B1/en
Publication of KR20090093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3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7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용 커넥터로서, 하나 이상의 단자(40)를 포함하는 플러그부(20)와, 상기 플러그부(20)를 내부에 수용하여 전기적 결합상태를 형성하는 소켓부(30)로 구성된 휴대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20)는 상기 단자(40)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된 플러그쉘(21)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쉘(21)의 한쪽은 상기 소켓부(30)에 수용되는 소켓내삽입부(22)가 있고, 다른 한쪽은 회로 또는 전선에 연결되는 후방부(23)가 있고, 상기 플러그쉘(21)의 소켓내삽입부(22)의 끝단에는, 상기 플러그쉘의 일부분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쉘(21)의 안쪽부분으로 둥글게 벤딩처리되어 있는 벤딩부(24)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connector, comprising a plug portion 20 including one or more terminals 40, and a socket portion 30 for receiving the plug portion 20 therein to form an electrical coupling state. In the connector, the plug portion 20 includes a plug shell 21 integrally formed to surround the terminal 40 from the outside, and one side of the plug shell 21 is connected to the socket portion 30. There is a socket insert 22 to be accommodated, the other end has a rear portion 23 connected to a circuit or an electric wire, and at the end of the socket insert 22 of the plug shell 21, the plug shell At least one bending portion 24 is formed to be extended to be bent round to the inner portion of the plug shell 21 is formed,

상기 소켓부(30)는 상기 플러그부(2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형상이고, 상기 소켓부(30)는 하나 이상의 래치부(32)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부(32)는 상기 소켓부(30)를 형성하는 일면이 U자형으로 절개되어, 상기 U자형으로 절개된 부분과 상기 소켓부를 형성하는 일면의 연결된 부분이 상기 소켓부의 내측으로 굽어 형성되고, 상기 U자형으로 절개된 끝부분이 상기 소켓부(30)를 형성하는 일면의 방향으로 벤딩 형성된 지지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부(20)의 플러그쉘(21)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부(34)가 결합하여 고정되는 홈형상의 래치체결홈(26)이 형성되어 있고,The socket portion 30 is shaped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lug portion 20, the socket portion 30 includes one or more latch portions 32, and the latch portion 32 is the socket. One side forming the portion 30 is cut in a U-shape, a portion cut into the U-shape and a connected portion of one surface forming the socket portion are formed by bending inside the socket portion, and an end portion cut into the U-shape. The support part 34 is formed to be bent in the direction of one surface forming the socket portion 30, the outer side of the plug shell 21 of the plug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34 is fixed A groove-shaped latching groove 26 is formed,

상기 벤딩부(24)는 상기 소켓부(30)와 상기 플러그부(20)가 결합시 상기 래 치부(32)가 상기 소켓내삽입부(22)의 끝단과 만나는 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래치부(32)의 이동시 소요되는 힘의 크기를 감소시켜주는 휴대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bending part 24 is positioned on a line where the latch part 32 meets the end of the socket insertion part 22 when the socket part 30 and the plug part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relates to a connector for a mobile phone that reduces the amount of force required to move (32).

휴대폰용 커넥터, 발거력 Connector for Cell Phone, Holding Force

Description

휴대폰용 커넥터{Connector for Cellular Phone}Connector for Cell Phones {Connector for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켓과 커넥터의 발거력을 높이기 위하여 소켓에 래치부를 형성하고, 플러그에 래치체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래치부의 벤딩력을 크게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또한, 높아진 발거력으로 인해 체결시의 과도한 힘을 요구하게 되는데, 발거력에 영향을 주지않고 체결시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플러그에 벤딩부를 추가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of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tch part in a socket, a latch fastening groove in a plug, and a bending force of the latch part to be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e extraction force of the socket and the connector. will be. In addition, due to the high extraction force requires an excessive force at the time of tightening, the invention relates to the addition of a bending portion to the plug in order to reduce the force required at the time of fastening without affecting the pulling force.

여기에서 발거력이란 고정된 한 부분에 다른 것이 꼽혀 있을 때 고정되어 있는 물체를 뽑아내는 힘을 의미한다. Here, the extraction force means the power to pull out a fixed object when the other is plugged into a fixed part.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수단이고, 최근에는 무선인터넷 접속 및 PC와의 직접 연결을 통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In general, a mobile phone is a means developed so that a user can freely communicate wirelessly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nd recently, various functions are provided through a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and a direct connection with a PC.

한편 이러한 휴대폰은 PC와 연결하거나 다른 전자기기와 연결하여 업그레이드 및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휴대폰의 일측면에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소켓과 플러그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들의 결합을 통해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se mobile phones are equipped with connection terminals on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to be connected with a PC or other electronic devices for upgrade and data communication, which are generally in the form of sockets and plugs.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is formed.

다만, 이러한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형성하는 도중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휴대폰의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해제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전송중인 데이터의 손실은 물론 기기 자체에도 전기적 충격을 주게 되어 그 내구성 및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phone is frequently released by external shocks during the formation of such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In this case, not only the loss of data being transmitted but also an electric shock to the device itself may occur. Deterioration in durability and performance will occur.

따라서 이러한 예기치 않은 해제상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소켓과 플러그의 발거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발거력이 높아지게 되는 경우, 그 결합시 소요되는 힘도 증가하게 되므로 발거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결합시 소요되는 힘을 감소시키는 것도 아울러 필요하게 된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n unexpected release stat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xtraction force of the socket and the plug used. In addition, when the extraction force is increased, the force required during the engagement is also increased, so it is also necessary to reduce the force required during engagement without affecting the extraction force.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소켓과 플러그의 발거력을 높이고, 발거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결합시 소요되는 힘을 감소시키는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extraction force of the socket and plug described above, and to propose a coupling structure of the socket and plug to reduce the force required when the coupling without affecting the extraction for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용 커넥터로서, 하나 이상의 단자(40)를 포함하는 플러그부(20)와, 상기 플러그부(20)를 내부에 수용하여 전기적 결합상태를 형성하는 소켓부(30)로 구성된 휴대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20)는 상기 단자(40)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된 플러그쉘(21)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쉘(21)의 한쪽은 상기 소켓부(30)에 수용되는 소켓내삽입부(22)가 있고, 다른 한쪽은 회로 또는 전선에 연결되는 후방부(23)가 있고, 상기 플러그쉘(21)의 소켓내삽입부(22)의 끝단에는, 상기 플러그쉘의 일부분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쉘(21)의 안쪽부분으로 둥글게 벤딩처리되어 있는 벤딩부(24)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for a mobile phone, a plug portion including one or more terminals 40, and a socket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plug portion 20 therein to form an electrical coupling state. In the connector for a mobile phone composed of 30, the plug portion 20 includes a plug shell 21 formed integrally in a form surrounding the terminal 40 from the outside, one side of the plug shell 21 There is an internal socket insertion portion 22 accommodated in the socket portion 30, the other side is a rear portion 23 to be connected to a circuit or an electric wire, the socket insertion portion 22 of the plug shell 21 At one end of the plug shell is formed to extend at least one bending portion 24 is formed to be bent round to the inner portion of the plug shell 21,

상기 소켓부(30)는 상기 플러그부(2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형상이고, 상기 소켓부(30)는 하나 이상의 래치부(32)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부(32)는 상기 소켓부(30)를 형성하는 일면이 U자형으로 절개되어, 상기 U자형으로 절개된 부분과 상기 소켓부를 형성하는 일면의 연결된 부분이 상기 소켓부의 내측으로 굽어 형성되고, 상기 U자형으로 절개된 끝부분이 상기 소켓부(30)를 형성하는 일면의 방향으로 벤딩 형성된 지지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부(20)의 플러그쉘(21)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부(34)가 결합하여 고정되는 홈형상의 래치체결홈(26)이 형성되어 있고,The socket portion 30 is shaped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lug portion 20, the socket portion 30 includes one or more latch portions 32, and the latch portion 32 is the socket. One side forming the portion 30 is cut in a U-shape, a portion cut into the U-shape and a connected portion of one surface forming the socket portion are formed by bending inside the socket portion, and an end portion cut into the U-shape. The support part 34 is formed to be bent in the direction of one surface forming the socket portion 30, the outer side of the plug shell 21 of the plug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34 is fixed A groove-shaped latching groove 26 is formed,

상기 벤딩부(24)는 상기 소켓부(30)와 상기 플러그부(20)가 결합시 상기 래치부(32)가 상기 소켓내삽입부(22)의 끝단과 만나는 선상에 위치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시하고 있다. The bending part 24 presents a technical means in which the latch part 32 meets the end of the socket insertion part 22 when the socket part 30 and the plug part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Doing.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하여 소켓과 플러그의 이탈에 필요한 발거력을 증가시키고,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시 필요한 힘을 발거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This technical means increases the extraction force required for the detachment of the socket and plug, and provides an effect of reducing the force required for coupling the socket and plug without affecting the extraction force.

이하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벤딩부가 없는 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벤딩부가 있는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소켓과 벤딩부가 있는 플러그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without a bending por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with a bending por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rocess of a plug having a socket and a bending part.

발거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켓부(30)에는 래치부(32)를 형성하고, 플러그부(20)에는 상기 래치부와 대응하여 래치체결홈(2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래치부(32)의 벤딩력을 크게할수록 체결시 발거력은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In order to increase the extraction force, the latch portion 32 is formed in the socket portion 30, and the latch portion grooves 26 are formed in the plug portion 20 corresponding to the latch portion. In addition, as the bending force of the latch portion 32 is increased, the extraction force at the time of fastening increases in proportion thereto.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단자(40)를 포함하는 플러그부(20)와, 상기 플러그부(20)를 내부에 수용하여 전기적 결합상태를 형성하는 소켓부(30)로 구성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g portion 20 including one or more terminals 40, and a socket portion 30 to receive the plug portion 20 therein to form an electrical coupling state.

상기 플러그부(20)는 상기 단자(40)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된 플러그쉘(21)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쉘(21)의 한쪽은 상기 소켓부(30)에 수용되는 소켓내삽입부(22)가 있고, 다른 한쪽은 회로 또는 전선에 연결되는 후방부(23)가 있다. The plug portion 20 includes a plug shell 21 integrally formed to surround the terminal 40 from the outside, and one side of the plug shell 21 is accommodated in the socket portion 30. There is an insertion section 22, and the other end has a rear section 23 which is connected to a circuit or an electric wire.

상기 소켓부(30)는 상기 플러그부(2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형상이고, 상기 소켓부(30)는 하나 이상의 래치부(32)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부(32)는 상기 소켓부(30)를 형성하는 일면이 U자형으로 절개되어, 상기 U자형으로 절개된 부분과 상기 소켓부를 형성하는 일면의 연결된 부분이 상기 소켓부의 내측으로 굽어 형성되고, 상기 U자형으로 절개된 끝부분이 상기 소켓부(30)를 형성하는 일면의 방향으로 벤딩 형성된 지지부(34)가 형성되어 있다. The socket portion 30 is shaped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lug portion 20, the socket portion 30 includes one or more latch portions 32, and the latch portion 32 is the socket. One side forming the portion 30 is cut in a U-shape, a portion cut into the U-shape and a connected portion of one surface forming the socket portion are formed by bending inside the socket portion, and an end portion cut into the U-shape. The support part 34 bent in the direction of one surface which forms the said socket part 30 is formed.

이때, 상기 플러그부(20)의 플러그쉘(21)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부(34)가 결합하여 고정되는 홈형상의 래치체결홈(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outer side of the plug shell 21 of the plug portion 2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groove-shaped latch fastening groove 26 to which the support portion 34 is coupled and fixed.

그러나 상기 래치부(32)의 벤딩력(탄성력)을 크게 하여 발거력을 높일 수는 있으나, 체결시 래치부(32)의 벤딩력이 체결시 저항력을 작용하게 되어 체결시 소요되는 힘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필요하다.However, although the extraction force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bending force (elastic force) of the latch portion 32, the bending force of the latch portion 32 acts as a resistance force during the fastening, so the magnitude of the force required during the fastening is increased. Will increase. Therefore, additional components are needed to compensate for this.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쉘(21)의 소켓내삽입부(22)의 끝단에는, 상기 플러그쉘(21)의 일부분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쉘(21)의 안쪽부분으로 둥글게 벤딩처리되어 있는 벤딩부(24)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Preferably, at the end of the socket insertion part 22 of the plug shell 21, a part of the plug shell 21 is extended to bend roundly bent to the inner part of the plug shell 21 One or more portions 24 are formed,

상기 벤딩부(24)는 상기 플러그쉘(21)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90도 각도 이상으로 벤딩처리되어 있고, 상기 소켓부(30)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상기 소켓부(30)와 결합이 잘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The bending part 24 extends integrally from the plug shell 21, is bent at least 90 degrees or more, and is connected to the socket part 30 in a direction that engages the socket part 30. It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coupling is good.

또한, 상기 벤딩부(24)는 상기 소켓부(30)와 상기 플러그부(20)가 결합시 상기 래치부(32)가 상기 소켓내삽입부(22)의 끝단과 만나는 선상에 위치하여야, 상기 래치부(32)의 이동시 소요되는 힘의 크기를 감소시켜주는 효과를 더욱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nding part 24 should be positioned on a line where the latch part 32 meets the end of the socket insertion part 22 when the socket part 30 and the plug part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gnitude of the force required to move the latch portion 32 can be further increased.

즉, 상기 벤딩부(24)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래치부(32)와 만나는 플러그부(20)의 소켓내삽입부(22)의 끝단이 날카로운 각을 형성하고 있어 높은 마찰계수에 의한 마찰력 및 저항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마찰계수를 기계적인 형상에 의해 낮출 필요가 있으며, 상기 벤딩부(24)의 형상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bending part 24 does not exist, the end of the socket insertion part 22 of the plug part 20 which meets the latch part 32 forms a sharp angle,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And resist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friction coefficient by a mechanical shape, and the shape of the bending part 24 performs this function.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such embodiments and / or drawings, but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 In addition, it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that improvements, changes, modifications, and the lik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scribed in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벤딩부가 없는 플러그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without a bending part

도 2는 벤딩부가 있는 플러그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with a bending portion

도 3은 소켓과 벤딩부가 있는 플러그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plug with the socket and the bent portion

Claims (4)

삭제delete 삭제delete 하나 이상의 단자(40)를 포함하는 플러그부(20)와, 상기 플러그부(20)를 내부에 수용하여 전기적 결합상태를 형성하는 소켓부(30)로 구성된 휴대폰용 커넥터에 있어서,In the connector for a mobile phone comprising a plug portion 20 including one or more terminals 40, and a socket portion 30 to receive the plug portion 20 therein to form an electrical coupling state, 상기 플러그부(20)는 상기 단자(40)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된 플러그쉘(21)을 포함하고,The plug portion 20 includes a plug shell 21 integrally formed in a form to surround the terminal 40 from the outside, 상기 플러그쉘(21)의 한쪽은 상기 소켓부(30)에 수용되는 소켓내삽입부(22)가 있고, 다른 한쪽은 회로 또는 전선에 연결되는 후방부(23)가 있고,One side of the plug shell 21 has a socket insert 22 that is accommodated in the socket portion 30, the other side has a rear portion 23 connected to a circuit or an electric wire, 상기 플러그쉘(21)의 소켓내삽입부(22)의 끝단에는, 상기 플러그쉘의 일부분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쉘(21)의 안쪽부분으로 둥글게 벤딩처리되어 있는 벤딩부(24)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At least one bending part 2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ocket insertion part 22 of the plug shell 21 so that a part of the plug shell is extended and is bent roundly into the inner part of the plug shell 21. Formed, 상기 벤딩부(24)는 상기 플러그쉘(21)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90도 각도 이상으로 벤딩처리되어 있고, 상기 소켓부(30)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상기 소켓부(30)와 결합이 잘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The bending part 24 extends integrally from the plug shell 21, is bent at least 90 degrees or more, and is connected to the socket part 30 in a direction that engages the socket part 30. It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it can be combined well. 상기 소켓부(30)는 상기 플러그부(2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형상이고,The socket portion 30 has a shape of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lug portion 20, 상기 소켓부(30)는 하나 이상의 래치부(32)를 포함하고, The socket portion 30 includes one or more latch portions 32, 상기 래치부(32)는 상기 소켓부(30)를 형성하는 일면이 U자형으로 절개되어, 상기 U자형으로 절개된 부분과 상기 소켓부를 형성하는 일면의 연결된 부분이 상기 소켓부의 내측으로 굽어 형성되고, 상기 U자형으로 절개된 끝부분이 상기 소켓부(30)를 형성하는 일면의 방향으로 벤딩 형성된 지지부(34)가 형성되어 있고,The latch portion 32 has one surface forming the socket portion 30 cut in a U-shape, and the connected portion of the portion cut in the U shape and one surface forming the socket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inside the socket portion. The support portion 34 is formed by bending the end portion cut in the U shape in the direction of one surface forming the socket portion 30. 상기 플러그부(20)의 플러그쉘(21)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부(34)가 결합하여 고정되는 홈형상의 래치체결홈(26)이 형성되어 있는,The outer side of the plug shell 21 of the plug portion 20 is formed with a groove-shaped latch fastening groove 26 to which the support portion 34 is coupled and fixed, 휴대폰용 커넥터.Connector for mobile phones.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벤딩부(24)는 상기 소켓부(30)와 상기 플러그부(20)가 결합시 상기 래치부(32)가 상기 소켓내삽입부(22)의 끝단과 만나는 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래치부(32)의 이동시 소요되는 힘의 크기를 감소시켜주는,The bending part 24 is positioned on a line where the latch part 32 meets the end of the socket insertion part 22 when the socket part 30 and the plug part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Reduces the amount of force required to move 32 휴대폰용 커넥터.Connector for mobile phones.
KR1020080018778A 2008-02-29 2008-02-29 Connector for Cellular Phone KR1009667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778A KR100966787B1 (en) 2008-02-29 2008-02-29 Connector for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778A KR100966787B1 (en) 2008-02-29 2008-02-29 Connector for Cellular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320A KR20090093320A (en) 2009-09-02
KR100966787B1 true KR100966787B1 (en) 2010-06-29

Family

ID=4130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778A KR100966787B1 (en) 2008-02-29 2008-02-29 Connector for Cellular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78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343A (en) * 2001-10-22 2003-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for simulating fuel system
KR200334343Y1 (en) * 2003-09-09 2003-11-21 신안전자 주식회사 I/O connector for cellular phone
KR20050122798A (en) * 2004-06-25 2005-12-29 케이. 에이. 이 (주) Plug connector for mobile phone
JP2006127989A (en) 2004-10-29 2006-05-18 Molex Inc Insertion through structure and insertion through method of flat type cable
KR100767262B1 (en) * 2005-05-14 2007-10-1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Conn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343A (en) * 2001-10-22 2003-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for simulating fuel system
KR200334343Y1 (en) * 2003-09-09 2003-11-21 신안전자 주식회사 I/O connector for cellular phone
KR20050122798A (en) * 2004-06-25 2005-12-29 케이. 에이. 이 (주) Plug connector for mobile phone
JP2006127989A (en) 2004-10-29 2006-05-18 Molex Inc Insertion through structure and insertion through method of flat type cable
KR100767262B1 (en) * 2005-05-14 2007-10-1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320A (en)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1980B2 (en) Micro USB socket connector
JP4889243B2 (en) Connector device
JP4427564B2 (en) Connector plug
JP2002033150A (en) Electric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KR101990508B1 (en) Plug connector
KR100952299B1 (en) 7 pin type micro USB connector
US8961237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power contacts which comprise a plurality of contact inserting portions
US9912088B2 (en) Micro plug connector including an anti-bending protrusion
US7198516B1 (en) Keyed cable assembly to restrain cable under multiaxis stress
US825499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er
US6722919B2 (en) Electrical connector fixture and electrical connector using same
KR100966787B1 (en) Connector for Cellular Phone
KR200442076Y1 (en) Connector plug
KR101348141B1 (en) Multi type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applied for it
US7393234B1 (en)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KR20050106723A (en) Plug socket
KR200406840Y1 (en) Handheld Terminal Accessories with Connectors
KR102644962B1 (en) Connector
CN219286817U (en) Network socket, circuit board assembly and electronic product
WO2004105197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atch means
US20110034064A1 (en) Receptacle connector
CN213071452U (en) Data connector and data line
EP1429426B1 (en) Semi-rigid plug
KR102503752B1 (en) Micro usb plug connector
KR200248050Y1 (en) charging plug combining structure for cellula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