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742B1 - 다단 조절이 가능한 gps 거치대 - Google Patents

다단 조절이 가능한 gps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742B1
KR100966742B1 KR1020070057226A KR20070057226A KR100966742B1 KR 100966742 B1 KR100966742 B1 KR 100966742B1 KR 1020070057226 A KR1020070057226 A KR 1020070057226A KR 20070057226 A KR20070057226 A KR 20070057226A KR 100966742 B1 KR100966742 B1 KR 100966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gps
guiding slot
cradle
gps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9191A (ko
Inventor
조성태
어수창
Original Assignee
삼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부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7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742B1/ko
Publication of KR2008010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 수신기가 장착되며, 상기 GPS 수신기의 수평과 구심을 조절하는 트리브랙; 상기 트리브랙과 결합되며, 외주면 소정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제 1 폴;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폴의 걸림돌기가 상기 가이딩 슬롯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이딩 슬롯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제 2 폴; 상기 복수의 폴을 수납하고, 외주면 소정부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폴의 걸림돌기가 상기 가이딩 슬롯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며, 측정 좌표의 구심을 지지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폴의 무게를 분산하여 상기 GPS 수신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GPS 거치대를 제공한다.
GPS, 거치대, 폴

Description

다단 조절이 가능한 GPS 거치대{A GPS mounting device controlled by multi step}
도 1은 종래 GPS 수신기의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GPS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GPS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3B는 상기 도 3A에 도시된 GPS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
도 3C는 상기 도 3A에 도시된 GPS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
도 4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GPS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상기 도 4A에 도시된 GPS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GPS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GPS 수신기 110 : 트리브랙
120 : 제 1 폴 130, 160 : 걸림돌기
140, 180 : 가이딩 슬롯 150, 190 : 걸림턱
170 : 제 2 폴 200 : 결합부재
210 : 체결수단 220 : 통공
230 : 체결구 240 : 지지대
250 : 고정수단 260 : 연결수단
270 : 고정용 와이어 300 : 힌지
본 발명은 위치측량에 사용되는 GPS 수신기의 높이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는 GPS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비행기, 선박, 자동차뿐만 아니라 세계 어느 곳에서든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상기 위치 정보는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GPS 수신기로 수신하고, 상기 신호의 정확한 수신 시간을 계산하여 측정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GPS 수신기와 적어도 3개의 위성 사이의 거리를 삼각법에 의한 연산을 통해 상기 측정 지점의 위도와 경도를 산출하게 된다.
나침반과 달리 상기 GPS를 이용하면 위도·경도·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위치 정확도는 군사용과 민간용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민간용은 수평·수직 오차가 10∼15m 정도이며 속도측정 정확도는 초당 3cm이다. 또한, 인공위성에는 3개의 원자시계가 탑재되어 있어 3만 6000년에 1초만의 오차를 갖는 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인공위성을 이용한 항법시스템 GPS는 위성 그룹과 위성을 감시 제어하는 지 상관제 그룹, 그리고 사용자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성 그룹은 모두 24개의 내브스타(NAVSTAR:navigation satellite timing and ranging) 위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만 200km의 지구 상공에 있는 6개의 원궤도에 원자모형처럼 분포되어 있다.
상기 GPS는 현재 단순한 위치정보 제공에서부터 항공기·선박·자동차의 자동항법 및 교통관제, 유조선의 충돌방지, 대형 토목공사의 정밀 측량, 지도제작 등 광범위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GPS 수신기는 개인 휴대용에서부터 위성 탑재용까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 GPS가 측지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산의 고도를 비롯하여 각종 건물의 높이 등을 상기 GPS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GPS는 지구를 공전하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수신하여 측정 지점의 고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상기 GPS 수신기 주변의 방해물에 의해 상기 신호의 수신에 장애가 발생하면 측정 지점의 정확한 고도 측정은 불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GPS 수신기의 거치대를 설명하고, 상기 거치대가 가진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GPS 수신기의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GPS 수신기의 거치대(10)는 일반적으로 삼각대로 지칭되는데, 3 개의 다리(11)로 지면을 지지하고, 상기 3 다리(11)를 취합하는 중심에 트리브랙(12)이 형성되며, 상기 트리브랙(12)의 상부에 GPS 수신기(20)가 안착된다. 상기 3 다리(11)는 상기 GPS 수신기(20)가 수평을 유지할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하나, 그 높이를 최대로 늘려도 상기 GPS 수신기(20)는 지면으로부터 약 1.6m 정도의 높이로 밖에 세울 수 없다.
만약, 상기 GPS 수신기의 거치대(10)를 소지한 사용자가 수풀이 우거진 산 속 또는 산골짜기에 위치하거나, 고층 건물들 사이에 위치하여 그 좌표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이들 산림이나 건물에 의하여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위성 신호를 원활히 수신할 수 없다. 특히, 최근에는 도시가 발전하고,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고층 건물의 높이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자연 보호를 위하여 산림 훼손이 엄격하게 금지되어 있어, 이러한 곳에서 GPS 수신기(20)가 정상적으로 위성 신호를 수신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산의 고도를 측정할 때와 같이 주변에 산림이 우거져 GPS의 신호 수신이 어려울 경우에는 부득이 측정점을 이동하거나 기준점 측량 시에는 편심측량을 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측점 상공의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GPS 신호를 장애 없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GPS 거치대의 개발이 요구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외부 환경의 영향에 의하여 GPS 위치 정보의 수신이 용이하지 않은 지역에서도 GPS 수신기의 수신률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GPS 수신기의 수평 및 구심을 조절하여 정밀하게 측정 지점의 좌표 및 고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GPS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GPS 수신기가 장착되며, 상기 GPS 수신기의 수평과 구심을 조절하는 트리브랙; 상기 트리브랙과 결합되며, 외주면 소정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제 1 폴;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폴의 걸림돌기가 상기 가이딩 슬롯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이딩 슬롯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제 2 폴; 상기 복수의 폴을 수납하고, 외주면 소정부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폴의 걸림돌기가 상기 가이딩 슬롯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며, 측정 좌표의 구심을 지지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폴의 무게를 분산하여 상기 GPS 수신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GPS 거치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폴과 상기 결합부재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딩 슬롯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폴은, 상단과 하단에 통공이 형성되어, 안쪽 폴의 상승이 완료되는 경우, 안쪽 폴의 하단에 형성된 통공과 바깥쪽 폴의 상단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체결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폴 또는 제 2 폴은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의 말단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GPS 수신기가 장착되며, 상기 GPS 수신기의 수평과 구심을 조절하는 트리브랙; 일단이 상기 트리브랙과 결합되며, 타단은 힌지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폴; 일단이 상기 제 1 폴의 힌지와 결합되고, 타단은 또다른 힌지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 나의 제 2 폴; 일단이 상기 제 2 폴의 힌지와 결합되고, 측정 좌표의 구심을 지지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폴의 무게를 분산하여 상기 GPS 수신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GPS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폴과 상기 지지대는 고정용 와이어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용 와이어는 이중으로 결합되어 폴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용 와이어에는 턴버클이 형성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의 하단에는 레이저 포인터가 형성되어 GPS 거치대의 구심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GPS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GPS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GPS 거치대는 GPS 수신기(100)가 장착되며, 상기 GPS 수신기(100)의 수평과 구심을 조절하는 트리브랙(110), 상기 트리브랙(110)과 결합되며, 외주면 소정부에 걸림돌기(130)가 형성되는 제 1 폴(120),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50)이 형성되는 가이딩 슬롯(14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폴(120)의 걸림돌기(130)가 상기 가이딩 슬롯(140)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이딩 슬롯(140)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160)가 형성되는 제 2 폴(170), 상기 복수의 폴을 수납하고, 외주면 소정부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90)이 형성되는 가이딩 슬롯(180)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폴(170)의 걸림돌기(160)가 상기 가이딩 슬롯(180)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측정 좌표의 구심을 지지하는 결합부재(200) 및 상기 결합부재(200)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폴의 무게를 분산하여 상기 GPS 수신기(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2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트리브랙(110)에는 GPS 수신기(100)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GPS 수신기(100)는 상기 홈 내부에 안착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 지점과 정확히 구심을 일치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트리브랙(110)에는 구심 조절을 위한 구심 조절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심 조절 수단의 일 실시예로 구심 조절 렌즈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구심 조절 렌즈의 내부에는 거울이 내장되어 상기 구심 조절 렌즈의 수직 하방을 바라볼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브랙(110)에는 수평 조절을 위한 수평 조절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조절 수단의 일 실시예로 기포관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포관은 유동 가능한 기포를 유체내에 내포하여 형성되며, 상기 기포의 위치 변화를 조 절하여 GPS 수신기(100)의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트리브랙(110)의 세 모서리에 형성되는 수평 조절 나사를 조절하여 상기 기포관 내의 기포가 상기 기포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관측자는 상기 기포관 내의 기포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GPS 수신기(100)를 바닥면과 수평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조절 수단의 다른 실시예로 감지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GPS 수신기(100)의 기울어진 각도를 감지하여 경보음 또는 경보 메시지를 관측자에 통보함으로써 관측자가 상기 GPS 수신기(10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리브랙(110)에 자세 제어 장치를 내장하여 상기 GPS 수신기(100)의 자세를 항시 수평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폴(120)의 일단은 상기 트리브랙(110)과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 2 폴(170)의 가이딩 슬롯(140)에 끼움 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1 폴(120)의 외주면 소정부에는 걸림돌기(13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30)는 상기 제 2 폴(170)의 가이딩 슬롯(140) 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 1 폴(120)이 상기 제 2 폴(170)의 가이딩 슬롯(14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폴(170)에는 일단에 걸림턱(150)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슬롯(140)이 중력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딩 슬롯(14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2 폴(170)의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160)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폴(170)은 단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복수로 형성되어 직경이 작은 폴이 직경이 큰 폴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되는 복수의 제 2 폴(170)을 통하여 상기 GPS 수신기(100)의 높이를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 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GPS 거치대의 분해 시 상기 제 1 폴(120) 및 제 2 폴(170)을 수납하고, 외주면 소정부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슬롯(180)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폴(170)의 걸림돌기(160)가 상기 가이딩 슬롯(180)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며, 측정 좌표의 구심을 지지한다. 상기 가이딩 슬롯(180)의 일단에는 걸림턱(190)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폴(170)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200)의 하단에는 레이저 포인터(400)가 형성되어 GPS 신호 수신시 상기 레이저 포인터(400)를 작동시켜 레이저를 지면에 투영시킴으로써 정확한 구심을 관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240)는 상기 결합부재(200)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폴의 무게를 분산하여 상기 GPS 수신기(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도 2를 통하여 상기 지지대(240)의 개수가 3개임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GPS 수신기(10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더 많은 수의 지지대(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240)는 상기 결합부재(200)와 나사 등의 체결수단(210)을 통하여 견고히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40)의 말단부에는 바람과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상기 GPS 수신기(100)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지지대(240)와 지면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단식 폴의 높이 조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폴의 가이딩 슬롯(140)에 안쪽 폴의 걸림돌기(130, 160)가 끼움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안쪽 폴이 상승되는 경우, 상기 안쪽 폴의 걸림돌기(130, 160)가 상기 바깥쪽 폴의 가이딩 슬롯(140)의 상단 걸림턱(150)에 걸려 연이어 상기 바깥쪽 폴을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안쪽 폴이 하강되는 경우, 상기 안쪽 폴의 걸림돌기(130, 160)가 상기 바깥쪽 폴의 가이딩 슬롯(140)의 하단에 걸려 연이어 상기 바깥쪽 폴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여 폴을 하나씩 연장시켜 가면서 상기 GPS 수신기(1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이렇게 안쪽 폴의 상승 이동이 완료되어 더 이상 폴의 상승이 없는 경우, 상기 폴은 상기 폴의 소정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30, 160)와 상기 가이딩 슬롯(140)에 형성된 걸림턱(150)의 결합에 의하여 지지된다. 더 나아가 상기 안쪽 폴과 바깥 폴의 고정을 강화하기 위하여, 안쪽 폴의 상승이 완료되는 경우, 안쪽 폴의 하단에 형성된 통공(220)과 바깥쪽 폴의 상단에 형성된 통공(220)을 관통하여 체결구(230)가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안쪽 폴과 바깥 폴의 직경상의 차이 또는 폴의 재질의 특성 등에 의한 마찰력으로 상기 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예를 참조하면, 상기 안쪽 폴과 바깥 폴은 상기 체결구(230)에 의한 결합을 통해 최대로 연장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깥쪽 폴에 복수의 통공(220)을 형성하고, 상기 안쪽 폴의 상승 폭을 조절하여, 상기 안쪽 폴이 적정량 상승한 경우 그 위치에 대응하는 바깥쪽 폴의 통공(220)과 안쪽 폴의 통공(220)을 관통하여 체결구(230)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GPS 수신기(100)의 상승 높이를 좀 더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3B는 상기 도 3A에 도시된 GPS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폴(120) 및 제 2 폴(170)은 내편에 나사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도 3A에 도시된 핀 고정에 비하여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해 진다.
도 3C는 상기 도 3A에 도시된 GPS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240)는 별도의 고정수단(250) 없이 말단이 뾰족한 형태로 제작되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GPS 거치대의 거치 장소가 산림지임을 감안할 때 상기 지지대(240)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보다 용이한 이동 설치가 가능해 진다. 상기 지지대의 말단부는 적어도 30cm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보다 견고한 고정이 가능해 진다.
도 4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GPS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여 기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폴(120)과 상기 지지대(240)는 고정용 와이어(27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GPS 거치대의 경우 다단으로 형성되어 높은 고도에 트리브랙(110)을 설치하기 때문에 바람 등 외력으로 인하여 폴이 휘거나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폴(120)과 상기 지지대(240) 사이에 고정용 와이어(270)를 연결하여 이러한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1 폴(120)과 상기 지지대(240)에는 복수의 연결수단(2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폴(120)에 형성된 연결수단(260)과 상기 지지대(240)에 형성된 연결수단(260) 사이를 상기 고정용 와이어(270)로 연결하여 GPS 거치대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고정용 와이어(270)의 일단은 상기 제 1 폴(120)의 연결수단(260)과 연결하고, 타단은 상기 지지대(240)와 지면을 고정시키는 결합 수단에 연결하여 상기 지지대(240)에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 상기 고정용 와이어(27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용 와이어(270)의 중간부에는 턴버클(500)이 형성되어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와이어의 길이를 각 방향에서 조절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폴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이저 포인터(400)를 통하여 측정되는 구심에 상기 트리브랙(110)을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A를 참조하여 상기 고정용 와이어(270)의 수를 3개로 예시하였으나, 외부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용 와이어(270)는 3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GPS 수신기(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4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4B는 상기 도 4A에 도시된 GPS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폴(170)의 소정부에도 고정용 와이어(270)를 연결하여 2중으로 와이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폴의 연장시 10m 이상 연장되는 GPS 거치대의 높이를 감안할 때 휨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GPS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GPS 거치대는 GPS 수신기(100)가 장착되며, 상기 GPS 수신기(100)의 수평과 구심을 조절하는 트리브랙(110), 일단이 상기 트리브랙(110)과 결합되며, 타단은 힌지(300)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폴(120), 일단이 상기 제 1 폴(120)의 힌지(300)와 결합되고, 타단은 또다른 힌지(300)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폴(170), 일단이 상기 제 2 폴(170)의 힌지(300)와 결합되고, 하단에 레이저 포인터(400)가 형성되며, 측정 좌표의 구심을 지지하는 결합부재(200), 및 상기 결합부재(200)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폴의 무게를 분산하여 상기 GPS 수신기(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240)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여 기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폴은 가이딩 슬롯(140) 및 결합돌기가 아닌 힌지(300)로 연결되어 다단 구조를 이룬다. 보다 상세히, 상기 트리브랙(110)과 연결되는 제 1 폴(120)의 하단은 제 2 폴(170)의 상단과 힌지(300)로 결합되며, 상기 제 2 폴(170)의 하단은 상기 결합부재(200)와 역시 힌지(300)로 결합된다. 상기 제 1 폴(120)과 상기 결합부재(200) 사이에는 복수의 제 2 폴(170)이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개재된 제 2 폴(170)의 개수에 따라 상기 GPS 수신기(100)의 상승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 1 폴(120)과 상기 지지대(240)는 상기 고정용 와이어(27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환경의 영향에 의하여 GPS 위치 정보의 수신이 용이하지 않은 지역에서도 GPS 수신기의 수신률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GPS 수신기의 수평 및 구심을 조절하여 정밀하게 측정 지점의 좌표 및 고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GPS 거치대를 제공한다.

Claims (11)

  1. GPS 수신기가 장착되며, 상기 GPS 수신기의 수평과 구심을 조절하는 트리브랙;
    상기 트리브랙과 결합되며, 외주면 소정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제 1 폴;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폴의 걸림돌기가 상기 가이딩 슬롯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이딩 슬롯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제 2 폴;
    상기 복수의 폴을 수납하고, 외주면 소정부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딩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폴의 걸림돌기가 상기 가이딩 슬롯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며, 측정 좌표의 구심을 지지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폴의 무게를 분산하여 상기 GPS 수신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결합부재의 하단에 형성되어 GPS 거치대의 구심을 정확하게 측정하게 하는 레이저 포인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폴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복수개의 제 2 폴은 직경이 작은 폴이 직경이 큰 폴의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끼움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슬롯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GPS 거치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폴은, 상단과 하단에 통공이 형성되어, 안쪽 폴의 상승이 완료되는 경우, 안쪽 폴의 하단에 형성된 통공과 바깥쪽 폴의 상단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체결구가 결합되는 GPS 거치대.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말단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지면에 결합되는 GPS 거치대.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과 상기 지지대는 고정용 와이어에 의하여 고정되는 GPS 거치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와이어는 이중으로 결합되어 폴의 휨을 방지하는 GPS 거치대.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와이어에는 턴버클이 형성되어 길이를 조절하는 GPS 거치대.
  11. 삭제
KR1020070057226A 2007-06-12 2007-06-12 다단 조절이 가능한 gps 거치대 KR100966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226A KR100966742B1 (ko) 2007-06-12 2007-06-12 다단 조절이 가능한 gps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226A KR100966742B1 (ko) 2007-06-12 2007-06-12 다단 조절이 가능한 gps 거치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476A Division KR100917353B1 (ko) 2009-05-06 2009-05-06 높이 조절이 용이한 gps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191A KR20080109191A (ko) 2008-12-17
KR100966742B1 true KR100966742B1 (ko) 2010-06-29

Family

ID=40368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226A KR100966742B1 (ko) 2007-06-12 2007-06-12 다단 조절이 가능한 gps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6326B2 (en) 2018-07-05 2021-10-26 Clark Construction Group, Llc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for facilitating substantially leveled attachment of construction too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973U (ko) * 1994-05-04 1995-12-14 남준일 레져용 파라솔
KR20000040709A (ko) * 1998-12-19 2000-07-05 최운지 측량장비용 삼각대
JP2005140327A (ja) * 2003-11-03 2005-06-02 Black & Decker Inc 三脚組立体
KR100635435B1 (ko) * 2006-05-19 2006-10-18 (주) 충청에스엔지 지하시설물을 측량하기 위한 측점표시봉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973U (ko) * 1994-05-04 1995-12-14 남준일 레져용 파라솔
KR20000040709A (ko) * 1998-12-19 2000-07-05 최운지 측량장비용 삼각대
JP2005140327A (ja) * 2003-11-03 2005-06-02 Black & Decker Inc 三脚組立体
KR100635435B1 (ko) * 2006-05-19 2006-10-18 (주) 충청에스엔지 지하시설물을 측량하기 위한 측점표시봉의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191A (ko)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5962B2 (en) Inclination sensor
US8826550B2 (en) Geographically north-referenced azimuth determination
Shala et al. Indoor positioning using sensor-fusion in android devices
US7043364B2 (en) Walking stick navigator for position determination
US7728264B2 (en) Precision targeting
US6067046A (en) Handheld surveying device and method
US11428823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s for estimating the heading of an axis of a rigid body
CA2583924A1 (en) Geodesic position determining system
JPH03500334A (ja) 衛星を用いた位置測定系の受信器を有する測量器及びそれの使用方法
US20120059575A1 (en) Target locator device and methods
CN101490505A (zh) 使用gps接收器提供二维位置数据的有高度修正的手持式激光探测器
US11703410B2 (en) Pressire sensor including height determination with improved flexibility and reliability
KR100917353B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gps 거치대
US20100014066A1 (en) Winds aloft profiling system
US8230609B1 (en) Survey pole positioning system
US20100004913A1 (en) Winds aloft profiler
KR100966742B1 (ko) 다단 조절이 가능한 gps 거치대
Dumrongchai et al. Performance tests of geodetic receivers with tilt sensors in obstructed environments using the NRTK GNSS technique
CN110146111A (zh) 一种对中杆的初始对准方法
KR100826565B1 (ko) 삼각대 설치가 불가능한 지역에서의 gps 측량 거치대
KR100978947B1 (ko) 지피에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수치정보 갱신시스템
US5477470A (en) Real-time digital orientation device
KR20050064651A (ko) 태양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자세 방위각 측정시스템 및 그측정방법
CN108592866A (zh) 一种激光测距望远镜以及经纬度测量方法
Murra et al. An accurate solar compass for geomagnetic measu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