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905B1 -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 - Google Patents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5905B1 KR100965905B1 KR1020090125608A KR20090125608A KR100965905B1 KR 100965905 B1 KR100965905 B1 KR 100965905B1 KR 1020090125608 A KR1020090125608 A KR 1020090125608A KR 20090125608 A KR20090125608 A KR 20090125608A KR 100965905 B1 KR100965905 B1 KR 1009659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plate
- pier
- protective case
- unit
- so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position, not involving coordinate determin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6—Investigating twisting or coiling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 또는 강바닥에 고정되는 교각(1)과, 교각(1)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상판(2)으로 이루어진 교량에 있어서,
상기 교각(1)의 둘레면을 이동가능하게 감싸는 타원형의 밴드부(11a)와, 둘레면에 유수배출공(11b-1)을 갖추고서, 밴드부(11a)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어, 유수에 의해 이동되는 자갈과 토사를 내부에 수용하는 버켓부(11b)를 갖춘 토사유실방지부재본체(11)와, 버켓부(11b)의 맞은편에 위치되는 밴드부(11a)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교각(1)과 버켓부(11b) 간의 마찰을 억제하는 롤러부재(12)와, 토사유실방지부재본체(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견인부재(13)를 갖춘 토사유실방지부재(10)와; 견인부재(1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h)를 갖추고서, 교각(1)의 상부에 설치되어, 와이어(W)를 매개로 토사유실방지부재(10)를 승·하강되도록 하는 기중장치부(20)와; 상기 상판(2)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보호케이스(30)와; 보호케이스(30)의 상면에 설치되어, 보호케이스(30)의 개구부를 덮어 보호하는 커버(40)와; 상판(2)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이 상판(2)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판(2)의 중앙부에 설치된 보호케이스(30)의 내부와 연결되는 보호관(50)과; 상판(2)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판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고정부재(60)와; 보호케이스(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트레인게이지(70)와; 보호관(50)의 내부에 삽입되되, 일단이 고정부재(60)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트레인게이지(70)에 고정되는 인장와이어(80)와; 교각(1) 또는 상판(2)에 설치되어 제어부(100)로 동작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부(90)와; 스위치부(90)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기중장치부(20)를 동작제어하고, 스트레인게이지(70)를 작동제어하여 스트레인게이지(70)로부터의 장력변화신호를 수신받는 제어부(100)와; 제어부(1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판(2)의 뒤틀림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부(110)와; 제어부(1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판(2)이 기준치 이상으로 뒤틀리면 관리자에게 경고신호를 보내는 경보장치부(120)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교각의 둘레면에 토사유실방지부재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유수에 의해 교각을 지탱하고 있는 자갈과 토사의 유출시 교각의 주변을 따라 이동되는 유수와 함께 쓸려 내려가는 자갈과 토사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침식으로 인한 지반의 침하를 최소화하고, 자갈과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교각의 상부에 구동장치부와 풀리 및 스위치부, 와이어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토사유시방지부재를 안전하게 승·하강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판에 뒤틀림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장치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인장와이어의 장력변화를 통해 상판의 뒤틀림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관리자가 상판의 뒤틀림을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교량의 붕괴를 미연에 진단 및 방지할 수 있다.
교각. 상판. 토사유실방지부재. 스트레인게이지. 경보장치부. 버켓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각 상판의 처짐 시 일어날 수 있는 전기적인 단락을 확인하여 뒤틀림 또는 균열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교각을 지탱하는 지반의 침하를 최소화하여 교량의 안전기반을 확보할 수 있는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지를 끼로 흐르는 하천이나 강에는 사람이 건널 수 있는 다리(교량)가 건설되는데, 대부분 차량통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비교적 큰 하중을 지탱하는 교각이 요구된다.
그런데, 이러한 교각은 하천의 자갈과 토사를 지지층으로 하여 입설되므로, 교각의 견고한 구성도 요구되지만, 기초가 되는 토사층의 안전성이 더욱 요구된다.
한편, 하천의 유수는 하천바닥의 토사층에 침식 및 퇴적작용을 지속해서 가하므로, 교각을 지지하고 있는 토사층에도 지속적인 침식과 퇴적작용을 일으키게 되는데, 특히 교각은 하천의 소정 폭을 점유하여 일시적으로 유속을 증가시키므로 유수의 침식작용이 상대적으로 활발히 일어나게 되고, 결국 하천의 다른 위치보다 침하가 급격히 일어나게 되며, 지속적으로 침식된 틈에 의해 교각의 하중을 불균형적으로 지지하여 결국에는 교각을 붕괴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한편, 상기 교량의 상판은 장기간에 걸쳐 풍력 및 차량에 의해 발생된 진동의 영양하에 노출됨에 따라 뒤틀림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상판이 뒤틀려 최소 설치위치로부터 벗어나거나, 뒤틀림으로 인해 상판에 모멘트가 발생되면 내구성이 급격하게 약해지게 되고, 이러한 상판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게 되면 상판의 붕괴 위험이 커져 상판을 통행하는 사람이나 차량의 안전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판의 내부에 장력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구성장치를 설치하여 장력변화를 통한 상판의 뒤틀림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어 상판의 뒤틀림으로 인한 교량의 붕괴를 미연에 진단 및 방지할 수 있고, 교각의 안전기반을 확보하면서 유수에 의한 지반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 또는 강바닥에 고정되는 교각과, 교각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교량에 있어서,
상기 교각의 둘레면을 이동가능하게 감싸는 타원형의 밴드부와, 둘레면에 유수배출공을 갖추고서, 밴드부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어, 유수에 의해 이동되는 자갈과 토사를 내부에 수용하는 버켓부를 갖춘 토사유실방지부재본체와, 버켓부의 맞은편에 위치되는 밴드부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교각과 버켓부 간의 마찰을 억제하는 롤러부재와, 토사유실방지부재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견인부재를 갖춘 토사유실방지부재와;
견인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를 갖추고서,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 어, 와이어를 매개로 토사유실방지부재를 승·하강되도록 하는 기중장치부와;
상기 상판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보호케이스와;
보호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보호케이스의 개구부를 덮어 보호하는 커버와;
상판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이 상판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판의 중앙부에 설치된 보호케이스의 내부와 연결되는 보호관과;
상판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판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트레인게이지와;
보호관의 내부에 삽입되되, 일단이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트레인게이지에 고정되는 인장와이어와;
교각 또는 상판에 설치되어 제어부로 동작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부와;
스위치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기중장치부를 동작제어하고, 스트레인게이지를 작동제어하여 스트레인게이지로부터의 장력변화신호를 수신받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판의 뒤틀림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부와;
제어부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판이 기준치 이상으로 뒤틀리면 관리자에게 경고신호를 보내는 경보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교각의 둘레면에 토사유실방지부 재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유수에 의해 교각을 지탱하고 있는 자갈과 토사의 유출시 교각의 주변을 따라 이동되는 유수와 함께 쓸려 내려가는 자갈과 토사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침식으로 인한 지반의 침하를 최소화하고, 자갈과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교각의 상부에 구동장치부와 풀리 및 스위치부, 와이어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토사유시방지부재를 안전하게 승·하강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판에 뒤틀림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장치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인장와이어에 의한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화를 통해 상판의 뒤틀림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관리자가 상판의 뒤틀림을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교량의 붕괴를 미연에 진단 및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에서 토사유실방지부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도이며, 도 5은 도 4의 측단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의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를 보인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는, 교각(1)의 둘레면을 이동가능하게 감싸고서, 유수에 의해 이동되는 자갈과 토사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된 토사유실방지부재(10)와; 교각(1)의 상단에 설치되고, 제어부(1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토사유실방지부재(10)를 승·하강되도록 하는 기중장치부(20)와; 상판(2)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보호케이스(30)와; 보호케이스(30)의 상면에 설치되어, 보호케이스(30)의 개구부를 덮어 보호하는 커버(40)와; 상판(2)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이 상판(2)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판(2)의 중앙부에 설치된 보호케이스(30)의 내부와 연결되는 보호관(50)과; 상판(2)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판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고정부재(60)와; 보호케이스(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트레인게이지(70)와; 보호관(50)의 내부에 삽입되되, 일단이 고정부재(60)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트레인게이지(70)에 고정되는 인장와이어(80)와; 교각(1) 또는 상판(2)에 설치되어 제어부(100)로 동작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부(90)와; 스위치부(90)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기중장치부(20)를 동작제어하고, 스트레인게이지(70)를 작동제어하여 스트레인게이지(70)로부터의 장력변화신호를 수신받는 제어부(100)와; 제어부(1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판(2)의 뒤틀림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부(110)와; 제어부(1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판(2)이 기준치 이상으로 뒤틀리면 관리자에게 경고신호를 보내는 경보장치부(120)로 구성되며, 이를 도 1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교각(1)의 둘레면을 이동가능하게 감싸고서, 유수에 의해 이동되는 자 갈과 토사를 내부에 수용하는 토사유실방지부재(10)의 토사유실방지부재본체(11)는, 교각(1)의 둘레면을 이동가능하게 감싸는 타원형의 밴드부(11a)와; 둘레면에 유수배출공(11b-1)을 갖추고서, 밴드부(11a)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어, 유수에 의해 이동되는 자갈과 토사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된 버켓부(11b)로 구성되며, 이를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밴드부(11a)는, 소정의 두께는 갖는 금속재로서, 밴드부(11a)의 일측으로 버켓부(11b)가 고정되고, 버켓부(11b)가 설치된 맞은편에는 이후에 설명될 롤러부재(1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축부재(s)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밴드부(11a)의 축부재(s)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축부재(s)의 폭에 맞게 밴드부(11a)를 절단한 상태에서 원형의 축부재(s)에 롤러부재(12)를 끼워주고, 절단된 밴드부(11a)와 밴드부(11a) 사이로 축부재(s)를 배치한 상태에서 양단을 용접하여 고정한다.
상기 버켓부(11b)의 경우에는 둘레면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절개된 유수배출공(11b-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수에 의해 유실되는 자갈과 토사가 버켓부(11b)로 진입하게 되면, 자갈은 내부에 쌓이게 되고, 유수는 유수배출공(11b-1)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토사유실방지부재본체(11)를 구성하는 밴드부(11a)와 버켓부(11b)는, 교각(1)의 둘레면에 밴드부(11a)를 배치한 상태에서 밴드부(11a)의 각 말단 면과 버켓부(11b)의 각 말단 면을 상호 연접하고, 연접된 부분 의 둘레면은 용접을 통해 상호 고정되도록 하여 일체화시킨 것이며, 따라서, 공지에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두 부분을 접합하거나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토사유실방지부재(10)의 밴드부(11a)에 축부재(s)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교각(1)의 외면을 따라 구름접촉되는 다수개의 롤러부재(12)는 내부가 관통된 통상의 금속재 환봉으로서, 상기 환봉의 외면이 물과 접촉되면 산화되는 점을 감안하여 환봉의 외면에 고무재 또는 우레탄과 같은 물질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롤러부재(12)와 축부재(s) 사이에는 통상의 베어링을 설치하여 롤러부재(12)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사유실방지부재(10)의 밴드부(11a)와 버켓부(11b)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견인부재(13)는, 통상의 아이볼트로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밴드부(11a)와 버켓부(11b)의 상면에 고정되며, 이후에 설명될 와이어(W)의 말단에 설치된 후크(h)가 견인부재(1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기중장치부(20)에 의해 토사유실방지부재(10)를 용이하게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버켓부(11b)의 내부에는 수용부가 마련되는데, 이는 유수에 의해 교각(1)을 지탱하고 있는 자갈과 토사의 유출시 교각(1)의 주변을 따라 이동되는 유수와 함께 쓸려 내려가는 자갈과 토사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침식으로 인한 지반의 침하를 최소화하고, 자갈과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교각(1)과 상판(2) 사이에는 견인부재(13)의 수와 동일하게 다수개의 기중장치부(20)가 설치되는데, 상기 기중장치부(20)는, 교각(1)의 상단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21)와; 모터(21)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모터(21)에 의해 강제구동되는 권취드럼(22)로 구성되며, 이를 도 1과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모터(21)는 외측으로 축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돌출되고, 돌출된 축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와이어(W)를 권취할 수 있도록 된 권취드럼(22)이 설치되어 모터(21)의 회전시 함께 강제 구동됨으로써 와이어(W)를 권취하거나 또는 풀어주게 된다.
또한, 상기 교각(1)의 상부에는 지지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매개로 교각(1)의 양 단에 설치되어 와이어(W)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풀리가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W)의 경우 일단은 권치드럼(42)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후크(h)를 매개로 견인부재(1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판(2)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보호케이스(30)는,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상면은 커버(40)에 의해 노출된 상면이 개폐되며, 이를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보호관(50)의 경우에는 상판(2)의 내부에 매립되는데, 보호관(50)의 일단은 상판(2)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판(2)의 중앙부에 설치된 보호케이스(30)의 내부와 연결되게 설치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다수의 보호관(50) 을 X형으로 이루도록 상판(2)에 내설 하였으며, 이를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고정부재(60)는 통상의 소정의 두께는 갖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로, 보호관(50)의 일단과 마주보도록 상판(2)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고, 체결부재 즉, 볼트(b)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며, 이를 도 7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스트레인게이지(70)는 보호케이스(30)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판(70a)에 부착되는데, 만약 상판(2)의 뒤틀림으로 인해 인장와이어(80)가 스트레인게이지(70)를 당기게 되어 장력이 변할 시에는 스트레인게이지(70)와 연결된 제어부(100)가 이를 감지하여 장력변화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인장와이어(80)는 통상의 금속재질의 로프로써, 보호관(50)의 내부에 실장되는데, 일단은 고정부재(60)에 고정되고, 타단은 스트레인게이지(70)가 부착된 고정판(70a)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상판(2)이 뒤틀리게 되는 경우 인장와이어(80)와 연결된 고정부재(60)는 인장되지 않으려는 인장와이어(80)에 의해 인장와이어(80) 방향으로 서서히 굽어지게 되고, 고정부재(60)에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70) 역시 서서히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스트레인게이지(70)로부터 장력변화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데이터화하여 디스플레이장치부(110)로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100)로부터 데이터화된 장력변화신호를 수신받은 디스플레이장치부(110)는 이를 화면상에 표현하게 되며, 만약 장력변화가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되었을 시에는 경보장치 부(120)를 통해 관리자에게 현재 상판(2)의 상태를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경보장치부(120)는 관리자에게 음성적으로 경고하는 음성장치나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경관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관리자가 디스플레이장치부(110)에 표현된 내용을 보고도 간과하고 넘어가는 경우(상판이 과도하게 뒤틀린 경우)에도 상기 경보장치부(120)를 통해 관리자에게 현재 상판(2)의 상태를 청각 및 시각적으로 경고하여 관리자가 용이하게 상판(2) 뒤틀림의 위험수준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며, 이를 도 8과 같이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교각(1) 또는 상판(2)에는 스위치부(90)가 설치되는데, 작업자가 스위치부(90)를 눌러주게 되면, 제어부(100)로 동작신호가 전달되고, 동작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00)는 기중장치부(20)의 모터(21)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되는 모터(21)에 의해 권취드럼(22)이 함께 회전되어 와이어(W)를 권취하여 의 타단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토사유실방지부재(10)를 승강시키거나 또는 권취된 와이어(W)를 풀어주어 토사유실방지부재(10)를 강바닥으로 하강시켜 주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유수에 의한 지반침식을 방지하는 교각안전구조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교각(1)의 둘레면에 토사유실방지부재(10)를 구성하는 밴드부(11a)와 버켓부(11b)를 배치한 상태에서 밴드부(11a)의 각 말단 면과 버켓부(11b)의 각 말단 면을 상호 연접하고, 연접된 둘레면을 용접을 통해 상호 고정한 다.
그리고, 상기 교각(1)의 상단에는 모터(21)와 권취드럼(22)으로 구성된 기중장치부(20)를 설치해주고, 교각(1)의 상단 양측에는 풀리를 각각 배치시켜 준 상태에서 와이어(W)를 이용하여 일단은 권취드럼(22)에 타단은 후크(h)를 매개로 견인부재(1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해주며, 상기 모터(21)의 작동을 ON/OFF 제어하는 스위치부(90)는 작업의 편의에 따라 교각(1)에 설치해주거나 또는 상판(2)에 설치해준다.
위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스위치부(90)를 눌러주게 되면, 전원이 인가되어 기중장치부(20)의 모터(21)로 전원이 공급되고, 공급된 전원에 의해 모터(21)가 구동됨과 동시에 모터(21)의 축핀에 연결된 권취드럼(22)이 함께 회전되면서 권취되어 있던 와이어(W)가 서서히 풀리게 되며, 따라서, 토사유실방지부재(10)를 서서히 하강시켜 교각(1)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는 자갈과 토사의 상면으로 얹혀지도록 배치시켜 주면 된다.
한편, 교각(1)의 둘레면에 설치된 토사유실방지부재(10)의 주변으로 유수가 흐르게 되는데, 이때 교각(1)의 하부를 감싸고 있는 자갈과 토사가 유수에 의해 점진적으로 침식되면서 유사와 함께 쓸려 내려가게 된다.
이때, 유수로 인해 쓸려 내려가는 자갈과 토사는 버켓부(11b)의 수용부로 유입되고, 비교적 큰 자갈은 버켓부(11b)의 유수배출공(11b-1)에 걸려 수용부의 내부에 퇴적되게 되며, 퇴적되는 자갈로 인하여 유수만 유수배출공(11b-1)을 통해 배출되고, 토사는 자갈로 인해 퇴로가 막혀 더 이상 배출되지 않고 내부에 쌓이게 된 다.
따라서, 수용부에 자갈과 토사가 어느 정도 유입되어 쌓이게 되면, 더 이상 자갈과 토사가 유입되지 못하게 되면서, 유수의 흐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자갈과 토사가 점진적으로 퇴적되고, 점진적으로 퇴적되는 자갈과 토사로 인하여 유수에 의해 유실된 부분이 서서히 매꿔져 침식으로 인한 교각(1)의 기울어짐, 더 나아가서는 교각(1)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교각(1)의 둘레면에 토사유실방지부재(10)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유수에 의해 교각(1)을 지탱하고 있는 모래 및 자갈 등의 자갈과 토사의 유출시 교각(1)의 주변을 따라 이동되는 유수와 함께 쓸려 내려가는 자갈과 토사(2)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침식으로 인한 지반의 침하를 최소화하고, 자갈과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교각(1)의 상부에 기중장치부(20)와 풀리(50) 및 스위치부(90), 와이어(W)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토사유시방지부재(10)를 안전하게 승하강시켜 줄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된다.
한편, 상기 상판(2)에 뒤틀림이 발생하면, 스트레인게이지(70)를 당기는 각각의 인장와이어(80)의 힘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때 스트레인게이지(70)는 각각의 장력변화를 나타내는 장력변화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하여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장력변화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00)는 장력변화신호를 분석하여 관리자 항시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부(110)에 상판(2)의 뒤틀림상태를 나타내주게 되고, 관리자는 디스플레이장치부(110)를 통해 상판(2)이 어느 정도로 뒤틀렸는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정된 기준치를 상회하는 데이터가 제어부(100)에 입력되게 되면, 제어부(100)는 비상신호를 경보장치(140)로 전달하게 되고, 비상신호를 전달받은 경보장치(140)는 음성장치 또는 경관등을 통해 현재 상판(2)의 뒤틀림이 위험수준에 도달했음을 관리자에게 경고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 상기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하여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를 상판(2)에 설치하여 줌으로서, 인장와이어(80)의 장력변화를 통해 상판(2)의 뒤틀림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관리자가 상판(2)의 뒤틀림을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교량의 붕괴를 미연에 진단 및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에서 토사유실방지부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도.
도 5은 도 4의 측단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의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를 보인 블럭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의 작동관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교각 2: 상판 10: 토사유실방지부재
11a: 밴드부 11b: 버켓부 12: 롤러부재
13: 견인부재 20: 기동장치부 30: 보호케이스
40: 커버 50: 보호관 60: 고정부재
70: 스트레인게이지 80: 인장와이어 90: 스위치부
100: 제어부 110: 디스플레이장치부 120: 경보장치부
Claims (1)
- 지면 또는 강바닥에 고정되는 교각(1)과, 교각(1)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상판(2)으로 이루어진 교량에 있어서,상기 교각(1)의 둘레면을 이동가능하게 감싸는 타원형의 밴드부(11a)와, 둘레면에 유수배출공(11b-1)을 갖추고서, 밴드부(11a)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어, 유수에 의해 이동되는 자갈과 토사를 내부에 수용하는 버켓부(11b)를 갖춘 토사유실방지부재본체(11)와, 버켓부(11b)의 맞은편에 위치되는 밴드부(11a)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교각(1)과 버켓부(11b) 간의 마찰을 억제하는 롤러부재(12)와, 토사유실방지부재본체(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견인부재(13)를 갖춘 토사유실방지부재(10)와;견인부재(1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h)를 갖추고서, 교각(1)의 상부에 설치되어, 와이어(W)를 매개로 토사유실방지부재(10)를 승·하강되도록 하는 기중장치부(20)와;상기 상판(2)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보호케이스(30)와;보호케이스(30)의 상면에 설치되어, 보호케이스(30)의 개구부를 덮어 보호하는 커버(40)와;상판(2)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이 상판(2)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판(2)의 중앙부에 설치된 보호케이스(30)의 내부와 연결되는 보호관(50)과;상판(2)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판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고정부재(60)와;보호케이스(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트레인게이지(70)와;보호관(50)의 내부에 삽입되되, 일단이 고정부재(60)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트레인게이지(70)에 고정되는 인장와이어(80)와;교각(1) 또는 상판(2)에 설치되어 제어부(100)로 동작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부(90)와;스위치부(90)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기중장치부(20)를 동작제어하고, 스트레인게이지(70)를 작동제어하여 스트레인게이지(70)로부터의 장력변화신호를 수신받는 제어부(100)와;제어부(1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판(2)의 뒤틀림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부(110)와;제어부(1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판(2)이 기준치 이상으로 뒤틀리면 관리자에게 경고신호를 보내는 경보장치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5608A KR100965905B1 (ko) | 2009-12-16 | 2009-12-16 |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5608A KR100965905B1 (ko) | 2009-12-16 | 2009-12-16 |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65905B1 true KR100965905B1 (ko) | 2010-06-24 |
Family
ID=4237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5608A KR100965905B1 (ko) | 2009-12-16 | 2009-12-16 |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590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1687B1 (ko) | 2011-05-26 | 2011-10-11 |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 해안가 도로의 기초침하 방지시설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57763A (ja) | 2007-08-31 | 2009-03-19 | Fujiken:Kk | 移動作業装置 |
-
2009
- 2009-12-16 KR KR1020090125608A patent/KR1009659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57763A (ja) | 2007-08-31 | 2009-03-19 | Fujiken:Kk | 移動作業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1687B1 (ko) | 2011-05-26 | 2011-10-11 |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 해안가 도로의 기초침하 방지시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0060B1 (ko) | 전위스크린 및 제진기의 승하강 구조를 갖는 제진기 | |
CN213060121U (zh) | 窨井盖掀盖设备 | |
KR101065780B1 (ko) | 권양기를 이용한 수문 | |
KR100965905B1 (ko) | 교각 상판의 뒤틀림 감지구조 | |
KR100890469B1 (ko) | 배전용 전기설비의 관리효율을 높인 전신주 | |
CN118128004A (zh) | 一种拦漂排自动调控系统及控制方法 | |
KR100572575B1 (ko) | 교량 우물통기초의 세굴방지구조 | |
CN116876470A (zh) | 一种辅助防绕流铁皮入槽的熨平装置及其使用方法 | |
KR100970230B1 (ko) | 유수에 의한 지반침식을 방지하는 교각안전구조 | |
KR100832126B1 (ko) |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 | |
CN115262484A (zh) | 船舶拦阻系统 | |
JP4558663B2 (ja) | ダム用構造物の作業用設備 | |
CN112095767A (zh) | 一种暗涵清淤装置及方法 | |
KR100719069B1 (ko) | 저면매트 부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면매트 부설설비 | |
CN111576356A (zh) | 一种水利工程防汛闸门 | |
CN218463825U (zh) | 一种水上施工平台 | |
KR20090006206U (ko) | 케이지의 승강 자동감지수단이 부설된 건설용 리프트의통신케이블 권설장치 | |
CN210236794U (zh) | 一种矿井提升机松绳检测装置 | |
JP2010185183A (ja) | 簡易チェックゲート | |
AU668782B2 (en) | Lift limit device for a load lifting mechanism | |
KR101086057B1 (ko) | 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 및 그 방법 | |
CN115653034B (zh) | 连续墙成槽机及其成槽施工自动控制方法、系统 | |
JP3107265U (ja) | 横引き走行式防潮扉 | |
CN220550538U (zh) | 一种辅助防绕流铁皮入槽的熨平装置 | |
JP2005068930A (ja) | 汚濁拡散防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