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895B1 - System and Method for following speed-limit curve of ATP system using ground equipment of ATS system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following speed-limit curve of ATP system using ground equipment of AT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895B1
KR100965895B1 KR1020080095566A KR20080095566A KR100965895B1 KR 100965895 B1 KR100965895 B1 KR 100965895B1 KR 1020080095566 A KR1020080095566 A KR 1020080095566A KR 20080095566 A KR20080095566 A KR 20080095566A KR 100965895 B1 KR100965895 B1 KR 100965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s
train
signal
sectio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5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6108A (en
Inventor
김봉택
Original Assignee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김봉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김봉택 filed Critical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5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895B1/en
Publication of KR20100036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1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8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8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 B61L23/1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auto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02Electric devices associated with track, e.g. rail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21Measuring and recording of train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04Automatic systems, e.g. controlled by train; Change-over to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20Trackside control of safe travel of vehicle or train, e.g. braking curve cal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3/00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 B61L3/16Continuous control along the ro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은, 선로의 구간별 궤도회로로부터 열차의 구간점유 상태를 판단하는 궤도점유 검지유닛과, 궤도점유 검지유닛과 연결되어 구간별로 설치되는 ATS 지상자를 포함하는 지상장치; 및 ATS 지상자로부터 현재 점유구간의 제한속도 신호를 수신하는 차상자와, 제한속도 신호를 수신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ATS 지상자간 단위 이격거리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차상자로 수신된 제한속도 신호로부터 선행열차의 위치를 판단하는 차상 제어부 및 열차의 운행속도를 검지하는 속도 검지유닛을, 포함하는 차상장치;를 포함하며, 차상 제어부는, 신호현시 시스템을 구분하여 현행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의 ATS 지상자와 '정지 신호'가 현시되는 ATS 지상자간 이격거리 및 검지된 열차 속도로부터 제동거리를 연산하여, 제동거리가 이격거리의 기설정된 범위내에 있는 경우 감속 제어한다. 이에 의하면, ATS 시스템(Automatic Train Stop)이 운영되는 구간에서도 ATP(Automatic Train Protect) 속도 제한 커브에 추종할 수 있고, 선로의 운영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열차의 운행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ATP speed limit curve tracking system using the ATS grou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k occupancy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occupancy status of the train from the track circuit for each section of the track, and the ATS connected to the track occupancy detection unit is installed ATS A grounding device including grounders; And a vehicle box for receiving the speed limit signal of the current occupied section from the ATS grounder, a count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speed limit signal is received, a databas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unit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TS grounders, And an on-vehicle controller comprising a vehicle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receding train from the speed limit signal received by the box and a speed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train. The braking distance is calculated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ATS ground occupied by the train and the ATS ground ground where the 'stop signal' is manifested and the detected train speed, and the deceleration control is performed when the braking distanc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of the separation distance. According to this, even in the section in which the ATS system (Automatic Train Stop) is operating, it can follow the ATP (Automatic Train Protect) speed limit curve, increas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track and increase the operating speed of the train.

ATS, ATP, ATS 지상자, 열차자동정지, 열차자동보호, 속도제한 커브 ATS, ATP, ATS Ground, Train Auto Stop, Train Auto Protection, Speed Limit Curve

Description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following speed-limit curve of ATP system using ground equipment of ATS system}System and Method for following speed-limit curve of ATP system using ground equipment of ATS system

본 발명은 ATS 지상자를 이용항 ATP 시스템의 구간별 속도제한 커브를 추종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TP 시스템의 지상자인 발리스와는 달리 지상자의 설치위치나 지상자간 이격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ATS 지상자를 이용하여 ATP 시스템의 구간별 속도제한 커브를 추종할 수 있는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following a speed limit curve for each section of an ATP system using an ATS grounder. Unlike the ballis of the grounder of the ATP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 grounder or a distance between ground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P speed limit curve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n ATS grounder that can follow a speed limit curve for each section of an ATP system using uncountable ATS grounders.

일반적으로 한정된 선로를 이용하여 수많은 열차가 운행되고 있어 열차의 선로 사용이나 그에 따른 열차 운행 속도에 제한을 받아 왔다. 또한, 열차의 운행 특성상 정해진 선로를 따라서만 운행됨으로써 선행 열차와 후행 열차간 운행을 조정하여 추돌사고 등을 방지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In general, a large number of trains are operated using a limited track, which has been limited in the use of the train tracks and the speed of the train. In addition, due to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train, it is required to prevent collision accidents by adjusting the operation between the preceding train and the following train by operating only along a predetermined track.

이에 따라, 선행열차의 선로 점유상태를 판단하여 후행 열차의 운행속도를 제어하는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안 중 ATS 시스템(자동열차정지 시스템 : Automatic Train Stop System) 및 ATP 시스템(열차열차보호 시스템 : Automatic Train Protect System)이 있다. Accordingly, various methods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speed of the following trains by determining the occupation status of the preceding trains have been proposed. Among these methods, ATS system (Automatic Train Stop System) and ATP system (train train protection) are proposed. System: Automatic Train Protect System.

ATS 시스템은 열차가 운행하는 선로를 일정 구간으로 구분하고 해당 구간에서 제한속도로 감속운행되도록 하고 정해진 시간내에 감속이 되지 않는 경우 강제적으로 정지되도록 한 것으로서, 선행 열차가 특정 선로구간을 점유하고 있는 지 궤도점유 유닛에서 검지하고 점유되고 있는 구간을 기준으로 5현시 시스템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신호(R), 경계신호(YY), 주의신호(Y), 감속신호(YG) 및 진행신호(G)가 구간별로 현시되고, 3현시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신호(R), 주의신호(Y) 및 진행신호(G)가 구간별로 현시된다. The ATS system divides the track operated by a certain section, decelerates at the speed limit in that section, and stops compulsorily if it does not decelerate within a certain time. Whether the preceding train occupies a certain section As shown in FIG. 2, the stop signal R, the alert signal YY, the attention signal Y, the deceleration signal YG, and the progress are shown in FIG. 2 based on the section detected and occupied by the track occupancy unit. As shown in FIG. 1, the stop signal R, the attention signal Y, and the progress signal G are displayed for each section.

이때 각 구간별의 현시신호는 구간별로 설치되는 ATS 지상자로부터 열차의 ATS 차상자로 전송되며 이는 공지된 기술로서 간단하게 설명하면, 선행 열차에 의하여 특정 구간(이하, '선행열차의 점유구간'이라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R'로 표시된 구간)의 궤도가 점유되면 각 구간별 ATS 지상자는 현시신호에 따른 공진주파수가 발진되며 이 ATS 지상자위로 ATS 차상자가 지나가면 주파수 인입현상에 의하여 ATS 지상자의 공진주파수를 감지하여 해당 공진주파수에 따라 제한속도로 감속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present signal for each section is transmitted from the ATS grounder installed in each section to the ATS car box of the train. This is a known technique. In brief, it is described by a preceding train in a specific section (hereinafter, 'occupied section of the preceding train'). 1 and 2, when the orbit of the section indicated by 'R' is occupied, the resona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signal is oscillated by the ATS ground for each section. By detecting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ATS terrestrial by the speed is reduced to the speed limit according to the resonant frequency.

3현시 시스템 및 5현시 시스템의 구간별 신호체계를 정리하면 다음의 표 1 및 표 2와 같다. Table 1 and Table 2 show the signaling system by section of the 3 and 5 display systems.

신호 형태Signal form ATS 지상자의 공진주파수Resonant Frequency of ATS Ground 구간별 운행 최고속도Maximum speed by section G (진행신호)G (going signal) 98±3KHz98 ± 3KHz 150km/h 이하에서 자유운전Free driving under 150km / h Y (주의신호)Y (attention signal) 114±3KHz114 ± 3KHz 65Km/h65Km / h R (정지신호)R (stop signal) 130±3KHz130 ± 3KHz 절대정지Absolute stop

신호 형태Signal form ATS 지상자의 공진주파수Resonant Frequency of ATS Ground 구간별 운행 최고속도Maximum speed by section G (진행신호)G (going signal) 98±3KHz98 ± 3KHz 150Km/h 이하에서 자유운전Free operation below 150 km / h YG (감속신호)YG (deceleration signal) 106±3KHz106 ± 3KHz 105Km/h105Km / h Y (주의신호)Y (attention signal) 114±3KHz114 ± 3KHz 65Km/h65Km / h YY(경계신호)YY (border signal) 122±3KHz122 ± 3KHz 25Km/h25Km / h R (정지신호)R (stop signal) 130±3KHz130 ± 3KHz 절대정지Absolute stop

도 1은 3현시 시스템에서 ATS 시스템이 운용되는 열차의 속도제한 커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속도제한 커브를 나타낸 도면에서, 세로축 실선은 ATS 지상자가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며, 세로축 점선은 일정하게 구획된 구간을 나타낸다. 1 is a view showing a speed limit curve of a train operating an ATS system in a three-presence system. Hereinafter, in the figure showing the speed limit curve, the vertical axis solid line indicates the position where the ATS grounder is installed, and the vertical axis dotted line indicates the regularly partitioned section.

도 1 및 표 1을 참고하면, 선행 열차가 특정 구간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 궤도점유 검지유닛이 이를 검지하고, 특정 구간은 절대로 정지하여야 하는 신호의 공진주파수 130Khz가 발진되고, 그 후행 구간은 주의신호의 공진주파수 114Khz가 발진되고 그 다음 후행 구간은 진행신호의 공진주파수 98Khz가 발진된다. 이때, 해당 구역의 신호를 나타내는 ATS 지상자는 해당 구간의 1.2Km 앞에 설치되어 열차가 진행하면서 ATS 지상자위를 지나가면 각 해당 공진주파수를 감지하고 공진주파수에 맞는 열차 제한 속도로 감속하도록 하여, 미리 열차가 해당 구간을 진입하기 전에 제한속도로 감속한 후 진입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1 and Table 1, when the preceding train occupies a certain section, the track occupancy detecting unit detects this, and the specific section must be stopped at a resonance frequency of 130 Khz, and the following section is a caution signal. The resonant frequency of 114Khz is oscillated and the following section is oscillated with the resonant frequency of 98Khz. At this time, the ATS grounder indicating th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zone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1.2Km of the corresponding section, and when the train passes the ATS ground masturbator, it detects each relevant resonance frequency and decelerates to the train speed limit corresponding to the resonance frequency. Before entering the section, decelerate to the speed limit and enter.

따라서, 도 1과 같이 선행 열차가 점유하는 특정구간('R'신호 현시)의 후행구간은 'Y'신호가 현시되고 'Y'신호가 현시되는 구간의 후행 구간은 'G'신호가 현시되며, 이들 신호를 현시하는 ATS 지상자는 해당 구간의 전방 약 1.2km 전방에 설치되므로 해당 구간에 진입하기전에 감속되어 진입하게 되어 도 1과 같이 계단식 속도제한 커브를 추종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the trailing section of the particular section occupied by the preceding train (the 'R' signal manifestation) is displayed with the 'Y' signal and the 'G' signal is displayed with the 'G' signal at the trailing section. For example, the ATS grounder expressing these signals is installed about 1.2 km ahead of the corresponding section, and thus decelerates and enters before entering the corresponding section, following the stepped speed limit curve as shown in FIG. 1.

도 2는 5현시 시스템에서 ATS 시스템이 운용되는 열차의 속도제한 커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표 2를 참고하면, 선행 열차가 특정 구간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 궤도점유 검지유닛이 이를 검지하고, 특정 구간은 절대로 정지하여야 하는 신호의 공진주파수 130Khz가 발진되고, 그 후행 구간은 경계신호의 공진주파수 122Khz가 발진되고, 그 다음 후행구간은 주의신호의 공진주파수 114Khz가 발진되고 그 다음 후행 구간은 감속신호의 공진주파수 106Khz가 발진되고 그 다음 후행구간은 진행신호의 공진주파수 98Khz가 발진된다. 이때, 해당 구역의 신호를 나타내는 ATS 지상자는 해당 구간의 전방 약 25m 앞에 설치되어 열차가 진행하면서 ATS 지상자위를 지나가면 각 해당 공진주파수를 감지하고 공진주파수에 맞는 열차 제한 속도로 감속하도록 하여, 미리 열차가 해당 구간을 진입하기 전에 제한속도로 감속한 후 진입되도록 한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ed limit curve of a train operating an ATS system in a five-presence system. Referring to FIG. 2 and Table 2, when the preceding train occupies a certain section, the track occupancy detecting unit detects it, and the specific section has a resonance frequency of 130 Khz of the signal which must be stopped, and the following section is a boundary signal. The resonant frequency of 122Khz is oscillated, then the trailing section is oscillated at the resonant frequency 114Khz of the attention signal, the trailing section is oscillated at the resonant frequency 106Khz of the deceleration signal, and the trailing section is oscillated at the resonant frequency 98Khz. . At this time, the ATS grounder indicating th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zone is installed about 25m in front of the corresponding section, and when the train passes the ATS ground masturbation, it senses each relevant resonance frequency and decelerates to the train speed limit corresponding to the resonance frequency in advance. Allow the train to decelerate at a speed limit before entering the section.

따라서, 도 2와 같이 선행 열차가 점유하는 특정구간('R'신호 현시)의 후행구간은 'YY'신호가 현시되고 'YY'신호가 현시되는 구간의 후행구간은 'Y'신호가 현시되고, 'Y'신호가 현시되는 구간의 후행구간은 'YG'신호가 현시되고, 'YG'신호가 현시되는 구간의 후행구간은 'G'신호가 현시되며, 이들 신호를 현시하는 ATS 지상자는 해당 구간의 전방 25m에 설치되므로 해당 구간에 진입하기전에 감속되어 진입하게 되어 도 2와 같이 계단식 속도제한 커브를 추종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trailing section of the specific section occupied by the preceding train (the 'R' signal manifestation) exhibits the 'YY' signal and the 'Y' signal exhibits the 'Y' signal. In the trailing section of the 'Y' signal, the 'YG' signal is displayed, and the trailing section of the 'YG' signal is the 'G' signal. Since it is installed in the front 25m of the section is decelerated before entering the section is entered, following the stepped speed limit curve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ATS 시스템은 ATS 지상자에서는 선행열차와 후행열차간 이격거리, ATS 지상자의 설치위치 및 ATS 지상자간 이격거리에 대한 정보가 없어 단순히 해당구간을 진입하기전 정해진 제한속도로 감속한 후 진입하도록 하여 운행중인 열차가 선행열차와 충분히 제동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어도 무조건 기계적으로 감속운전하도록 하여 한정된 선로의 비효율적인 사용이나 열차가 비효율적으로 운행되는 문제가 있다. As such, the ATS system has no information abou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receding train and the following trai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ATS ground,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TS grounders. Even if the train in operation is separated from the preceding train by more than enough braking distance, there is a problem of inefficient use of a limited track or inefficient operation of the train by mechanically decelerating unconditionally.

한편, 도 3은 ATP 시스템이 운용되는 열차의 속도제한 커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ATP 시스템은 선로의 구간별로 지상 발리스가 설치되며, 열차의 차상 안테나에서 지상 발리스로부터 선행열차와의 이격거리, 지상 발리스가 설치된 위치, 지상 발리스간 이격거리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선행열차와의 이격거리를 파악할 수 있어 도 3에 도시된 속도제한 커브를 추종하여 최종적으로 열차가 'R'신호가 현시되는 구간에서 정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peed limit curve of the train operating the ATP system. In the ATP system, the ground balis is installed for each section of the track, and the train antenna receives information on the distance between the preceding train, the location where the ground balis is install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bales from the onboard antenna of the train.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can be grasped, the speed limit curve shown in FIG. 3 can be followed to finally stop the train in the section where the 'R' signal is displayed.

이와 같이, ATS 속도제한 커브인 도 1 및 도 2와 ATP 속도제한 커브인 도 3을 비교하면, ATS 시스템의 비효율성 및 상기한 문제점을 알 수 있다. As such, comparing the ATS rate limiting curves of FIG. 1 and FIG. 2 with the ATP rate limiting curve of FIG. 3, the inefficiency of the ATS system and the above problems can be seen.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 로서, 기술의 개발단계상 ATS 시스템이 먼저 개발되어 적용되었으며 ATP 시스템은 그 후 개발된 것을 고려하여 기존 ATS 시스템을 ATP 시스템으로 교체하지 않고도 ATS 시스템이 설치된 구간의 ATS 지상자를 이용하여 ATP 속도제한 커브와 근사한 커브를 추종할 수 있는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ATS system was first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technology and the ATP system is replaced with the existing ATS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after tha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TP speed limit curve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n ATS ground level that can follow an ATP speed limit curve and an approximate curve using an ATS ground level in a section where an ATS system is install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은, 선로의 구간별 궤도회로로부터 열차의 구간점유 상태를 판단하는 궤도점유 검지유닛과, 상기 궤도점유 검지유닛과 연결되어 구간별로 설치되는 ATS 지상자를 포함하는 지상장치; 및 상기 ATS 지상자로부터 현재 점유구간의 제한속도 신호를 수신하는 차상자와, 상기 제한속도 신호를 수신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상기 ATS 지상자간 단위 이격거리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차상자로 수신된 제한속도 신호로부터 선행열차의 위치를 판단하는 차상 제어부 및 열차의 운행속도를 검지하는 속도 검지유닛을, 포함하는 차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상 제어부는, 신호현시 시스템을 구분하여 현행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의 ATS 지상자와 '정지 신호'가 현시되는 ATS 지상자간 이격거리 및 상기 검지된 열차 속도로부터 제동거리를 연산하여, 상기 제동거리가 이격거리의 기설정된 범위내에 있는 경우 감속 제어한다. ATP speed limit curve tracking system using the ATS groun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k occupancy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occupancy status of the train from the track circuit for each section of the track, and the section is connected to the track occupancy detection unit A ground device comprising an ATS grounder installed as a star; And a database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peed limit signal of the current occupancy section from the ATS grounder, a counter that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speed limit signal is received, and information about a unit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TS grounders. And an on-vehicle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position of a preceding train from the speed limit signal received by the vehicle box, and an on-vehicle device including a speed detecting unit that detects a running speed of the train. By dividing the system, the braking distance is calculated from the ATS ground level of the section occupied by the current train and the ATS ground level where the 'stop signal' is displayed and the detected train speed, and the braking distance is a preset range of the separation distance. If inside, deceleration control.

이로써, ATS 시스템(Automatic Train Stop System)이 운영되는 구간에서도 ATP(Automatic Train Protect) 속도 제한 커브에 추종할 수 있고, 선로의 운영효율 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열차의 운행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설치비용이 상대적으로 큰 ATP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고 기존 ATS 시스템을 이용하여 ATP 시스템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ATS 지상자간 단위 이격거리에 대한 정보가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자신의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하는 ATP 시스템의 발리스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어 ATP 시스템의 속도제한 커브와 동일한 속도제한 커브를 가질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ollow the ATP (Automatic Train Protect) speed limit curve in the section where the ATS system (Automatic Train Stop System) is operated, increas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track, and increase the operating speed of the trai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the ATP system by using the existing ATS system without installing the ATP system, which has a relatively high installation cost. It can have the same effect as the ballis of the ATP system and can have the same speed limit curve as that of the ATP system.

여기서, 상기 차상 제어부는,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트된 횟수를 기초로 현행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의 현행ATS 지상자가 몇번째 지상자인지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현행 ATS 지상자와 선행 구간 ATS 지상자간 이격거리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on-vehicle control unit determines, based on the number counted by the counter, the current ground ATS ground occupant of the section occupied by the current train, and from the database unit between the current ATS ground ground and the preceding section ATS ground occupant It is desirable to calculate the separation distance.

이로써, 현재 운행되는 열차가 다수의 ATS 지상자 중 어느 ATS 지상자로부터 현시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어 열차가 어느 위치에서 운행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ATS 지상자간 단위 이격거리에 대한 정보가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자신의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하는 ATP 시스템의 발리스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어 ATP 시스템의 속도제한 커브와 동일한 속도제한 커브를 가질 수 있다. As a result, the currently operating train can determine which ATS grounder receives a present signal from a plurality of ATS grounders to determine where the train is operating, and also provide information on unit separation distances between ATS grounders. May have the same effect as the BALI of the ATP system which transmits it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in a database in advance, and may have the same speed limit curve as the speed limit curve of the ATP system.

또한, 상기 차상 제어부는, 현재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의 현시신호로부터 정지신호까지의 신호변환 단계를 계산하고, 계산된 단계 수를 기준으로 현행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의 ATS 지상자와 '정지 신호'가 현시되는 ATS 지상자간 이격거리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n-vehicl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signal conversion step from the current signal to the stop signal of the section occupied by the current train, and based on the calculated number of steps ATS ground and the 'stop signal' of the section occupied by the current train It is desirable to calculat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TS grounders.

이로써, 열차가 운행하는 구간의 신호현시 시스템에 따라 신호 변환 단계수가 가변적이므로 해당 운행 구간의 신호현시 시스템에 따라 신호 변환 단계를 산출하여 최종적으로 현행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의 ATS 지상자와 '정지신호'가 현시되는 ATS 지상자간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Thus, since the number of signal conversion stages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signal manifestation system of the section in which the train operates, the signal conversion stag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ignal manifestation system of the corresponding section and finally the ATS ground and the 'stop signal' of the section occupied by the current train. It is easy to calculat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TS grounders.

또한, 상기 연산된 ATS 지상자의 이격거리 및 열차의 제동거리에 따라 열차의 제동속도를 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braking speed of the trai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distance of the ATS ground and braking distance of the train.

이로써, 현행 열차와 선행 열차간 이격거리 및 현행 열차의 운행속도에 따라 현행 열차의 제동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Thus, the braking speed of the current train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train and the preceding train and the operating speed of the current train.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 제한 커브 추종 방법은, 선로의 구간별로 설치되는 ATS 지상자로부터 현행 열차의 점유구간에 대한 현시신호를 수신하는 현시신호 수신단계; 현행 열차의 운행속도를 검지하는 운행속도 검지 단계; 상기 현시신호의 수신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단계; 카운트된 횟수에 해당되는 ATS 지상자와 다음 ATS 지상자의 이격거리 정보를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는 지상자 정보 독출단계; 상기 지상자 정보 독출단계에서 독출된 정보를 기초로, 현행 구간의 ATS 지상자와 '정지신호'를 현시하 는 ATS 지상자간 이격거리를 연산하는 이격거리 연산단계; 상기 운행속도 검지 단계에서 검지된 운행속도로부터 현행 열차의 제동거리를 연산하는 제동거리 연산단계; 상기 제동거리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제동거리가, 상기 이격거리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이격거리의 기설정된 범위내에 있는지 판단하는 안전제동 판단단계; 상기 안전제동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동거리가 상기 이격거리의 기설정된 범위내에 있는 경우 열차를 감속제어하는 열차감속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TP speed limit curve tracking method using the ATS groun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signal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manifestation signal for the occupied section of the current train from the ATS grounders installed for each section of the track; A driving speed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driving speed of a current train; A counting step of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reception of the manifestation signal; A ground information reading step of reading distance information of the ATS ground and the next ATS ground corresponding to the counted number from a previously stored database; A separation distanc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TS grounder and the ATS grounder representing the 'stop signal' in the current sec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ad in the grounder information reading step; A braking distanc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braking distance of a current train from the driving speed detected in the driving speed detecting step; A safety braking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braking distance calculated in the braking distance calculating step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separation distance calculated in the separating distance calculating step; And a train deceleration control step of decelerating and controlling the train when the braking dista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separation distance in the safety braking determination step.

이로써, ATS 시스템(Automatic Train Stop System)이 운영되는 구간에서도 ATP(Automatic Train Protect) 속도 제한 커브에 추종할 수 있고, 선로의 운영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열차의 운행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설치비용이 상대적으로 큰 ATP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고 기존 ATS 시스템을 이용하여 ATP 시스템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ATS 지상자간 단위 이격거리에 대한 정보가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자신의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하는 ATP 시스템의 발리스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어 ATP 시스템의 속도제한 커브와 동일한 속도제한 커브를 가질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ollow the ATP (Automatic Train Protect) speed limit curve in the section where the ATS system (Automatic Train Stop System) is operated, increas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track, and increase the operating speed of the trai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the ATP system by using the existing ATS system without installing the ATP system, which has a relatively high installation cost. It can have the same effect as the ballis of the ATP system and can have the same speed limit curve as that of the ATP system.

여기서, 상기 이격거리 연산단계는, 열차가 운행하는 구간의 신호현시 시스템을 판단하는 신호현시 판단단계; 상기 신호현시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신호현시 시스템에 따라 현재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의 현시신호로부터 정지신호까지의 신호변환 단계 수를 계산하는 변환단계 계산단계; 상기 변환단계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변환단계 수 및 상기 독출된 이격거리 정보를 기준으로 이격거리를 연산하는 연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eparation distance calculation step, the signal manifestation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signal manifestation system of the section in which the train operates; A conversion step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signal conversion steps from the manifest signal to the stop signal in the section occupied by the current train according to the signal manifest system determined in the signal manifest determination step; And a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separation distance based on the number of conversion steps calculated in the conversion step calculation step and the read separation distance information.

이로써, 현재 운행되는 열차가 다수의 ATS 지상자 중 어느 ATS 지상자로부터 현시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어 열차가 어느 위치에서 운행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ATS 지상자간 단위 이격거리에 대한 정보가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자신의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하는 ATP 시스템의 발리스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어 ATP 시스템의 속도제한 커브와 동일한 속도제한 커브를 가질 수 있다. As a result, the currently operating train can determine which ATS grounder receives a present signal from a plurality of ATS grounders to determine where the train is operating, and also provide information on unit separation distances between ATS grounders. May have the same effect as the BALI of the ATP system which transmits it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in a database in advance, and may have the same speed limit curve as the speed limit curve of the ATP system.

또한, 상기 연산된 이격거리 및 열차의 제동거리에 따라 열차의 제동속도를 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braking speed of the trai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separation distance and the braking distance of the train.

이로써, 현행 열차와 선행 열차간 이격거리 및 현행 열차의 운행속도에 따라 현행 열차의 제동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Thus, the braking speed of the current train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train and the preceding train and the operating speed of the current train.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면, ATS 시스템(Automatic Train Stop System)이 운영되는 구간에서도 ATP(Automatic Train Protect) 속도 제한 커브에 추종할 수 있고, 선로의 운영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열차의 운행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ven in the section in which the ATS system (Automatic Train Stop System) is operated can follow the ATP (Automatic Train Protect) speed limit curve, can increas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track and operating speed of the train Can be increased.

또한, 설치비용이 상대적으로 큰 ATP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고 기존 ATS 시스템을 이용하여 ATP 시스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the ATP system by using the existing ATS system without installing an ATP system having a relatively high installation cost.

또한, ATS 지상자간 단위 이격거리에 대한 정보가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자신의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하는 ATP 시스템의 발리스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어 ATP 시스템의 속도제한 커브와 동일한 속도제한 커브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formation about the unit distance between ATS terrestrial units is databased in advance, it can have the same effect as the BALI of the ATP system that transmits it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thus can have the same speed limit curve as that of the ATP system. .

또한, ATS 지상자간 단위 이격거리가 통일되지 않은 경우에도 각각에 대한 단위 이격거리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안전하게 열차의 운행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unit distance between the ATS terrestrial unit is not unified, the unit distance information for each can be a database to safely control the operating speed of the train.

또한, 열차가 운행하는 구간의 신호현시 시스템에 따라 신호 변환 단계수가 가변적이므로 해당 운행 구간의 신호현시 시스템에 따라 신호 변환 단계를 산출하여 최종적으로 현행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의 ATS 지상자와 'R 신호'를 현시하는 ATS 지상자간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signal conversion stages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signal manifestation system of the section in which the train operates, the signal conversion stag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ignal manifestation system of the corresponding section and finally the ATS ground and 'R signal in the section occupied by the current train. It is easy to calculat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TS grounde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TP speed limit curve tracking system using an ATS groun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TP speed limit curve following system using an ATS groun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100)은, ATS 지상자(133) 및 궤도검지유닛(131)을 포함하는 지상장치(130) 및, 차상자(113), 속도검출부(115), 제동부(117) 및 차상 제어부(111), 카운터(116) 및 데이터 베이스부(114)를 포함하는 차상장치(11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ATP speed limit curve following system 100 using the ATS ground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ounding device 130 including an ATS grounder 133 and a track detection unit 131. And an on-vehicle device 110 including a vehicle box 113, a speed detection unit 115, a brake unit 117, an on-vehicle control unit 111, a counter 116, and a database unit 114.

지상장치(130)는 선로가 설치되는 지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ATS 지상자(133)는 열차 선로를 다수의 구간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구간별로 구간을 지나는 열차의 제한속도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들 구간별로 설치되는 ATS 지상자(133)간 단위 이격거리는 상호 균일하지 않다.(도 4에서 d1, d2, d3, d4...은 ATS 지상자의 단위 이격거리로 상호 균일하지 않다). As the ground device 130 is installed on the ground where the track is installed, the ATS grounder 133 divides the train track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provides the speed limit information of the train passing through the sections by the divided sections, these The unit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TS grounders 133 installed for each section is not mutually uniform (in FIG. 4, d1, d2, d3, d4 ... are not uniform with each other as the unit separation distance of the ATS grounders).

이하에서, 단위 이격거리는 ATS 지상자와 인접한 ATS 지상자간 이격거리(d1, d2, d3, d4...)를 가리키며, 이격거리는 현행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의 ATS 지상자와 선행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의 현시신호를 나타내는 ATS 지상자간 총 이격거리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Hereinafter, the unit separation distance indicates the separation distance (d1, d2, d3, d4 ...) between the ATS ground and the adjacent ATS ground, and the separation distance is a section occupied by the ATS ground and the preceding train of the section occupied by the current train. The total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TS terrestrial persons indicating the manifestation signal is to be indicated.

지상장치(130)의 궤도검지유닛(131)는 다수의 구간으로 구획된 선로에서 열차가 어느 구간을 운행하고 있는 경우 즉, 어느 구간을 점유하고 있는지 판단하여 5현시 또는 3현시 시스템에서 후행 구간의 ATS 지상자(133)의 발진 주파수를 조정하여 구간에서의 제한속도를 차상장치(110)에서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궤도검지유닛(131)에 의하여 열차의 점유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track detection unit 131 of the ground apparatus 130 determines which section the train is operating on the track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that is, occupies which section, so that the trailing section in the 5 or 3 prefecture system is determined. By adjust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ATS terrestrial 133 to determine the speed limit in the section on the vehicle apparatus 110. Since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train occupies by the track detecting unit 131 is a general techniqu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차상장치(110)는 열차의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상자(113)는 ATS 지상자(133)로부터 발진되는 공진주파수를 주파수 인입현상에 의하여 감지하는 것으로서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에서의 현시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현시신호를 차상 제어부(111)로 전송한다. The on-vehicle device 11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of the train, the car box 113 detects the resonant frequency oscillated from the ATS grounder 133 by the frequency incoming phenomenon to detect the manifestation signal in the section occupied by the train. The received and received manif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nboard controller 111.

차상장치(110)의 속도검출부(115)는 열차의 운행속도를 검지하는 것으로서 검지된 신호를 차상 제어부(111)로 전송하며, 제동부(117)는 열차의 운행속도를 감속하는 브레이크 장치이다. The speed detecting unit 115 of the on-vehicle device 110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on-vehicle control unit 111 as detect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train, and the brake unit 117 is a brake device that reduces the running speed of the train.

차상 제어부(111)는 상기의 차상자(113), 속도검출부(115) 및 제동부(117)를 제어하며, 차상자(113)로부터 전송되는 현 운행구간에서의 현시신호 및 속도검출부(115)로부터 전송되는 열차의 운행속도 신호를 수신하여 제동여부를 판단하여 열차의 제동부(117)를 구동제어한다. The vehicle control unit 111 controls the vehicle box 113, the speed detector 115, and the brake unit 117, and displays the current signal and the speed detector 115 in the current driving section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box 113. Receiving the driving speed signal of the train transmitted from the brake to determine whether to control the braking unit 117 of the train.

카운터(116)는 열차 운행중 ATS 지상자(133)로부터 발진 주파수가 차상자(113)에서 감지되면 이를 카운트하여 감지된 ATS 지상자(133)가 몇번째 ATS 지상자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 기초자료를 상기의 차상 제어부(111)로 전송한다. The counter 116 counts the oscillation frequency from the ATS grounder 133 while the train is running in the vehicle 113, and calculates the basic data for determining which ATS grounder the detected ATS grounder 133 corresponds to. The vehicle is transferred to the vehicle control unit 111 described above.

데이터 베이스부(114)는 지상에 설치되는 ATS 지상자간 단위 이격거리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된다. 즉, 열차가 운행되는 선로의 첫번째 지상자와 두번째 지상자의 이격거리에 대한 정보, 두번째 지상자와 세번째 지상자의 이격거리에 대한 정보,...(n-1)번째 지상자와 n번째 지상자의 이격거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The database unit 114 previously stores information on a unit distance between ATS grounders installed on the ground. That is, information abou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ground and the second grou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ground and the third ground, and (n-1) Information about the separation distance is stored.

이하에서는 5현시 시스템이 운용되는 구간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3현시 또는 4현시 시스템도 동일한 원리에 의한 것이므로 생략한다. Hereinafter, only the section in which the 5-presence system is operated will be described, and the 3-presence or 4-presence system is omitted because it is based on the same principle.

차상 제어부(111)는 열차가 운행되면서 차상자(113)에서 지상의 ATS 지상자(133)의 공진 주파수가 감지되면 카운터(116)에서 카운트되는 공진 주파수가 감지되는 횟수를 판단하면서, 현재 열차가 해당 노선에서 몇번째 ATS 지상자(133)위에 있는 지 즉, 열차가 어느 위치에 있는 지를 판단한다. The on-vehicle control unit 111 determines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resonant frequency counted by the counter 116 is detected when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ATS grounder 133 on the ground is detected by the car box 113 while the train is running. It is determined on which line the ATS grounder 133 is located, that is, where the train is located.

이어서, 차상 제어부(111)는 현재 ATS 지상자(133)로부터 수신된 현시신호가 '진행신호(G)'인지 판단하고 즉, 공진 주파수가 98KHz인 것으로 판단되면 계속 감속없이 자유운행하고 '진행신호(G)'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동부(117)를 제어하여 열차의 운행속도를 감속한다. Subsequently, the on-vehicle control unit 111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signal received from the current ATS grounder 133 is the 'going signal G', tha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is 98 KHz, the vehicle continues to run freely without deceleration and the 'going sig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 'is not the control speed of the train by controlling the brake unit 117.

이때, 차상 제어부(111)는 현재 열차가 운행되는 운행구간의 현시신호 체계 즉, 3현시, 4현시 또는 5현시 시스템인지 판단하고, '정지 신호(R)' 까지의 신호변환 단계 수를 연산한다. 즉, 5현시 시스템의 경우 '진행 신호(G)'가 아닌 경우 최초의 현시 신호는 '감속 신호(YG)'이며 3현시 시스템의 경우는 '주의 신호(Y)'가 되며, 이들 신호로부터 '정지신호(R)' 까지의 신호변환 단계 수를 계산한다. 즉, 5현시 시스템의 경우 변환 단계 수가 '3' 이며 3현시 시스템의 경우는 '1'이 된다. At this time, the on-vehicle control unit 1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urrent signal system, that is, the three-, four-, or five-present system of the operating section in which the current train operates,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signal conversion steps up to the 'stop signal R'. .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5-present system, the first manifestation signal is the deceleration signal (YG), and in the 3-present system, the attention signal (Y) is used. The number of signal conversion steps up to the stop signal R 'is calculat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5-present system, the number of conversion steps is '3', and in the case of the 3-present system, the number is 1.

이어, 차상 제어부(111)는 카운터(116)에서 카운트된 횟수 째의 ATS 지상자로부터 상기 변환단계 수에 해당되는 ATS 지상자까지의 이격거리를 데이터 베이스부(114)로부터 독출하여 연산한다. 예를 들어, 현재 카운트된 ATS 지상자(5현시 시스템에서 '감속 신호(YG)'현시)가 8번째 지상자라면 11번째 지상자까지의 이격거리를 연산한다. 즉, 차상 제어부(111)는 데이터 베이스부(114)로부터 8번째에 해당되는 ATS 지상자와 9번째에 해당되는 ATS 지상자('주의 신호(Y)'현시)의 단위 이격거리, 9번째에 해당되는 ATS 지상자와 10번째에 해당되는 ATS 지상자('경계 신호(YY)' 현시)의 단위 이격거리 및 10번째에 해당되는 ATS 지상자와 11번째에 해당되는 ATS 지상자('정지 신호(R)' 현시)의 단위 이격거리를 데이터 베이스부(114)로부터 독출하여 현행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의 ATS 지상자와 '정지 신호(R)'를 현시 하는 ATS 지상자와의 이격 거리 즉, 현행 열차와 정지신호가 현시되는 ATS 지상자까지의 총 이격거리를 연산한다. Subsequently, the vehicle control unit 111 reads and calculates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ATS grounder counted by the counter 116 to the ATS grounder corresponding to the conversion step number from the database unit 114. For example, if the currently counted ATS grounder (the 'deceleration signal (YG)' manifestation in the 5-present system) is the eighth grounder, the distance to the 11th grounder is calculated. That is, the vehicle control unit 111 is a unit separation distance of the ATS groun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eighth and the ATS ground person corresponding to the ninth ('attention signal Y' manifestation) from the database unit 114, and the ninth distance from the database unit 114. Unit distance between the applicable ATS ground and the 10th ATS ground (Representation of Boundary Signal (YY)) and the 10th ATS ground and 11th ATS ground ('Stop Signal) (R)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ATS ground station in the section occupied by the current train by reading the database unit 114, i.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TS ground station expressing the' stop signal (R) ', Calculate the total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train and the ATS ground, where the stop sign is present.

이때, 차상 제어부(111)는 속도 검출부(115)로부터 검출되는 현행 열차의 운행 속도로부터 안전하게 선형적으로 정지할 수 있는 제동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제동거리와 이격거리를 비교하여, 연산된 제동거리가 이격거리의 기설정된 범위 보다 큰 지, 즉 제동거리가 이격거리보다 긴 지를 판단하고 제동거리가 이격거리보다 긴 것으로 판단되면, (제동거리가 이격거리보다 길면 열차 추돌의 위험이 있다) 열차 운행 속도를 '정지 신호'가 현시되는 ATS 지상자의 설치위치에서 정지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적으로 감속 제어한다. At this time, the vehicle control unit 111 calculates a braking distance that can be safely stopped linearly from the running speed of the current train detected by the speed detector 115, compares the calculated braking distance and the separation distance, the calculated brakin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preset range of the separation distance, i.e. if the braking distance is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braking distance is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there is a risk of train collision if the braking distance is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The driving speed is linearly decelerated controlled as shown in FIG. 5 so as to stop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TS ground where the 'stop signal' is manifested.

이로써, 기존 ATS 시스템의 경우에는 감속 신호를 나타내는 106Khz인 공진주파수에 대응하는 제한속도인 105Km/h로 기계적으로 감속한 후 선행 구간으로 진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ATS 지상자를 이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P 제한속도 커브에 추종할 수 있다. Thus, in the case of the existing ATS system, but mechanically decelerated at the speed limit 105Km / h corresponding to the resonant frequency of 106Khz indicating the deceleration signal to enter the preceding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5 using the ATS grounder As shown, one can follow the ATP speed limit curve.

이후, 상기한 제한 속도 커브에 추종하면서 선형적으로 열차의 운행속도가 감속되면서 운행되면서 열차의 차상자(113)에서 '주의 신호(Y)'를 현시하는 ATS 지상자(133)를 지나면서 114KHz인 공진주파수가 감지되고 차상 제어부(111)는 다시 'Y 신호' 및 'R 신호'를 나타내는 ATS 지상자간 이격거리를 데이터 베이스부(114)에서 독출하여 연산하고 현재 열차의 운행속도로 이격거리까지 선형적으로 정지할 수 있도록 열차를 감속제어한다. Subsequently, 114 KHz while passing the ATS grounder 133 expressing the 'caution signal (Y)' in the car box 113 of the train while driving while linearly decelerating the driving speed while following the speed limit curve described above. The resonance frequency is sensed and the on-vehicle control unit 111 reads out the distance between the ATS grounders representing the 'Y signal' and the 'R signal' from the database unit 114 and calculates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train to the distance. Slow down the train to stop linearly.

이후 계속하여 'R 신호'의 변경없는 상태에서 열차가 운행되면서 '경계 신 호(YY)'를 현시하는 ATS 지상자를 지나면서 122KHz인 공진주파수를 감지하고 차상 제어부(111)는 '경계 신호(YY)' 및 '정지 신호(R)'를 나타내는 ATS 지상자간 이격거리를 데이터 베이스부(114)에서 독출하여 연산하고 현재 열차의 운행속도로 이격거리까지 선형적으로 정지할 수 있도록 열차를 감속제어한다. After that, while the train is running in the state of no change of the 'R signal', the resonant frequency of 122 KHz is sen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TS ground that expresses the 'border signal (YY)', and the on-vehicle control unit 111 detects the 'border signal (YY'). Decelerating and controlling the train so that the ATS ground distances indicating the stop signal (R) and the ATS ground distance are read from the database unit 114 and linearly stopped to the distance at the current speed of the train. .

이후 차상 제어부(111)는 감속운행하면서 '정지 신호(R)'를 나타내는 ATS 지상자 까지의 이격거리에 도달하여 열차가 정지되도록 선형적으로 감속제어한다. Then, the vehicle control unit 111 decelerates and linearly decelerates so that the train is stopped by reaching the separation distance to the ATS grounder indicating the 'stop signal 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ATS 시스템의 계단식 속도제한 커브와는 달리 선형적인 ATP 속도제한 커브와 근사하게 추종할 수 있어 선로의 활용 및 열차의 운행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stepped speed limit curve of the conventional ATS system, as shown in FIG. 5, the linear ATP speed limit curve can be closely followed, thereby improving utilization of the track and operating efficiency of the train. have.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감속 신호(YG)'를 나타내는 공진주파수가 감지되고 '정지 신호(R)'를 나타내는 ATS 지상자까지의 이격거리를 연산한 후 이격거리까지 열차를 선형적으로 감속제어할 뿐만 아니라 중간에 위치하는 구간(Y, YY 현시신호 구간)에서도 계속하여 'R 신호'를 나타내는 ATS 지상자까지의 이격거리를 계속 연산하고 해당 구간에서의 열차 운행속도와 비교하여 이격거리까지 정지되도록 선형적으로 감속제어 함으로써 중간에 돌발적인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비상 감속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sonant frequency indicating the deceleration signal (YG) is sensed, and after calculating the separation distance to the ATS grounder indicating the stop signal (R), the train is linearly decelerated to the separation distance. In addition, it continuously calculates the separation distance to the ATS grounder indicating 'R signal' in the middle section (Y, YY present signal section) and stops to the separation distance by comparing with the train operation speed in the section. By decelerating control as linearly as possible, emergency deceleration control can be performed even in case of accident in the middl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following an ATP speed limit curve using an ATS groun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ATS 지상자를 이 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following an ATP speed limit curve using an ATS groun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먼저, 현행 열차가 운행되는 구간의 신호체계를 판단하여, 3현시, 4현시 또는 5현시 시스템인지 운행구간의 현시신호 시스템을 판단한다(S105). 이로써, 차후 현행 열차가 점유하고 있는 구간의 ATS 지상자와 선행 열차가 점유하고 있는 구간의 ATS 지상자간 이격거리를 판단하기 위하여 기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단위 이격거리를 독출할 수 있도록 현시 신호 변환 단계 수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First, by determining the signal system of the section in which the current train is runnin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hree-, four-, or five-presence system is the current signal system of the operating section (S105). Thus, in order to determin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TS ground occupant in the section occupied by the current train and the ATS ground occupied in the section occupied by the preceding train, the number of present signal conversion steps can be read to store the unit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pre-stored database. Can be calculated.

이후, 현행 열차가 운행되고 있는 운행 속도를 지속적으로 검지한다(S115). 현행 열차가 운행되면서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ATS 지상자로부터 공진주파수가 검지되는지 판단하고(S110), 검지되는 공진주파수에 대한 현시신호를 판단한다. 즉,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5현시 신호 시스템의 경우 98KHz는 'G 신호', 106KHz는 'YG 신호', 114KHz는 'Y 신호', 122KHz는 'YY 신호' 및 130KHz는 'R 신호'가 현시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Thereafter, the driving speed at which the current train is operating is continuously detected (S11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sonant frequency is detected from the ATS grounder installed on the ground while the current train is running (S110), and the present signal for the detected resonant frequency is determined. In other words, as shown in Table 2, in the case of a 5-present signal system, 98KHz is a 'G signal', 106KHz is a 'YG signal', 114KHz is a 'Y signal', 122KHz is a 'YY signal', and 130KHz is a 'R signal'. Judging from the manifestation.

이와 동시에, 지상의 ATS 지상자로부터 공진주파수가 검지되는 횟수를 카운팅하며(S120) 또한 현행 열차의 운행 속도를 검지하여 적절하게 속도제어가 되는지 판단한다(S115). At the same time,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resonance frequency is detected from the ground ATS ground (S120) and also detects the running speed of the current train to determine whether the speed control is appropriate (S115).

이때, 지상의 ATS 지상자로부터 현행 열차가 점유하고 있는 구간의 현시신호가 'G 신호'가 아닌 경우, 즉 'YG 신호'가 현시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YG 신호'와 'R 신호'의 현시신호간 변환 단계 수를 연산한다(S125)(S130). At this time, if the present signal of the section occupied by the current train from the ground ATS ground is not the 'G signal', that is, if the 'YG signal' is determined to be present, the present signal of the 'YG signal' and 'R signal' The number of inter-conversion steps is calculated (S125) (S130).

이후, 단계 S135에서 카운트된 횟수째에 해당되는 ATS 지상자와 '정지신호'가 현시되는 ATS 지상자까지의 단위 이격거리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독출하여 총 이격거리를 연산한다(S135)(S140). Subsequently, the unit distanc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ATS gr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imes counted in step S135 and the ATS ground level where the 'stop signal' is manifested is read from the database to calculate the total separation distance (S135) (S140). .

5현시 시스템의 경우에는 최초 변환 신호 즉, '진행 신호(G)'에서 '감속 신호(YG)'로 변환이 감지되면 이로부터 '정지 신호(R)' 까지의 변환 단계 수는 3이며, 따라서 데이터 베이스에서 독출되는 단위 이격거리 정보는 '감속 신호(YG)'와 '주의 신호(Y)'가 현시되는 지상자간 이격거리, '주의 신호(Y)'와 '경계 신호(YY)'가 현시되는 지상자간 이격거리 및 '경계 신호(YY)'와 '정지 신호(R)'가 현시되는 지상자간 이격거리가 독출되며, 이들 독출된 단위 이격거리들을 합산하여 총 이격거리가 연산된다. 이와 달리, 3현시 시스템의 경우 '진행 신호(G)'에서 '주의 신호(Y)'로 변환이 감지되면 이로부터 '정지 신호(R)' 까지의 변환 단계 수는 1이며 데이터 베이스()에서 독출되는 단위 이격거리 정보는 '주의 신호(Y)'와 '정지 신호(R)'가 현시되는 지상자간 이격거리가 독출되어 총 이격거리로 연산된다. In the case of the 5-present system, when the first conversion signal, that is, the conversion from the 'going signal G' to the 'deceleration signal YG' is detected, the number of conversion steps from this to the 'stop signal R' is 3, so The unit separation distance information read from the database is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ers where the deceleration signal (YG) and the attention signal (Y) are displayed, and the attention signal (Y) and the boundary signal (YY) are displayed.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er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ers in which the boundary signal (YY) and the stop signal (R) are displayed are read, and the total distance is calculated by summing these read unit distanc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three-precision system, when the conversion from the 'going signal (G)' to the 'attention signal (Y)' is detected, the number of conversion steps from this to the 'stop signal (R)' is 1 and the database () The unit separation distance information to be read is calculated as the total separation distance by read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grounders where the 'caution signal (Y)' and the 'stop signal (R)' are displayed.

이때, 3현시 시스템의 경우는 ATS 지상자가 선행 구간의 진입전 1.2Km 전방에 설치됨으로 충분히 열차의 제동거리가 확보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복잡한 연산이나 판단없이 '주의 신호(Y)'가 감지되면 바로 선형적으로 열차를 제동하는 것도 무방하다.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three-string system, the ATS grounder is installed 1.2Km before the entry of the preceding section, so the braking distance of the train can be sufficiently secured. Therefore, if a 'caution signal (Y)' is detected without such complicated calculation or judgment, You can also brake the train linearly.

이후, 현행 열차의 현재 운행속도를 기준으로 '정지 신호(R)'가 현시되는 ATS 지상자까지 선형적으로 정지할 수 있는 제동거리를 연산하고(S145), 단계 S145에서 연산된 제동거리가 단계 S140에서 연산된 이격거리의 기설정범위 보다 큰 지 즉, 제동거리가 이격거리보다 긴 지를 판단하고(S150) 제동거리가 이격거리보다 긴 것으로 판단되면, (제동거리가 이격거리보다 길면 열차 추돌의 위험이 있다) 열차 운행 속도를 '정지 신호'가 현시되는 ATS 지상자의 설치위치에서 정지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적으로 감속제어한다(S155). Subsequently, a braking distance that can be linearly stopped to the ATS grounder in which the 'stop signal R' is manifested based on the current running speed of the current train is calculated (S145), and the braking distance calculated in step S145 is performed. If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raking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preset range of the separation distance calculated in S140, that is, the braking distance is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S150),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braking distance is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if the braking distance is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There is a risk) linearly deceleration control as shown in Figure 5 so that the train running speed is stopped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TS ground where the 'stop signal' is manifested (S155).

한편, 단계 S150에서 제동거리가 이격거리보다 짧아 충분히 '정지 신호'가 현시되는 ATS 지상자까지 제동거리가 확보된 것으로 판단되면 열차의 감속제어 없이 현행 열차 운행속도를 유지하여, 열차의 선로이용 및 운행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50 that the braking distance is shor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and thus the braking distance is secured to the ATS grounder who exhibits a 'stop signal', the current train operating speed is maintained without deceleration control of the train.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running efficiency.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ATS 지상자를 이용하여 별도의 새로운 지상장치의 증설이나 추가설치없이도 ATP 속도제한 커브를 추종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llow the ATP speed limit curve without additional installation or additional installation of a new ground device using the existing ATS grounder.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도 1은 3현시 시스템에서 종래의 ATS에서의 열차 운행 속도 제한 커브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train speed limit curve in a conventional ATS in a three-presence system,

도 2는 5현시 시스템에서 종래의 ATS에서의 열차 운행 속도제한 커브를 나타낸 도면, 2 is a view showing a train speed limit curve in a conventional ATS in a five-present system,

도 3은 5현시 시스템에서 ATP에서의 열차 운행 속도제한 커브를 나타낸 도면, 3 is a view showing a train speed limit curve in ATP in 5-presence system,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TP speed limit curve following system using an ATS groun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하여 열차 운행 속도제한 커브를 나타낸 도면, 5 is a view showing a train speed limit curve by the system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following an ATP speed limit curve using an ATS groun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 시스템 110 : 차상장치100: system 110: onboard device

111 : 차상 제어부 113 : 차상자111: vehicle control unit 113: car box

114 : 데이터 베이스부 115 : 속도 검출부114: database unit 115: speed detector

116 : 카운터 117 : 제동부116: counter 117: braking part

130 : 지상장치 131 : 궤도 검지 유닛130: ground apparatus 131: orbital detection unit

133 : ATS 지상자133: ATS Groundman

Claims (7)

선로의 구간별 궤도회로로부터 열차의 구간점유 상태를 판단하는 궤도점유 검지유닛과, 상기 궤도점유 검지유닛과 연결되어 구간별로 설치되는 ATS 지상자를 포함하는 지상장치; 및 A ground apparatus including a track occupancy detecting unit for determining a section occupancy state of a train from a track circuit for each section of a track, and an ATS grounder connected to the track occupancy detecting unit and installed for each section; And 상기 ATS 지상자로부터 현재 점유구간의 제한속도 신호를 수신하는 차상자와, 상기 제한속도 신호를 수신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상기 ATS 지상자간 단위 이격거리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차상자로 수신된 제한속도 신호로부터 선행열차의 위치를 판단하는 차상 제어부 및 열차의 운행속도를 검지하는 속도 검지유닛을, 포함하는 차상장치;를 포함하며, A vehicle box for receiving the speed limit signal of the current occupied section from the ATS grounder, a count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speed limit signal is received, a database unit for pre-stored information on the unit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TS grounders; And an on-vehicle controller comprising a vehicle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preceding train from the speed limit signal received by the vehicle box and a speed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running speed of the train. 상기 차상 제어부는, 신호현시 시스템을 구분하여 현행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의 ATS 지상자와 '정지 신호'가 현시되는 ATS 지상자간 이격거리 및 상기 검지된 열차 속도로부터 제동거리를 연산하여, 상기 제동거리가 연산된 이격거리의 기설정된 범위내에 있는 경우 감속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 The on-vehicle control unit divides the signal manifestation system and calculates a braking distance from the distance between the ATS ground occupant of the section occupied by the current train and the ATS ground occupant displaying the 'stop signal' and the braking distance from the detected train speed. ATP speed limit curve following system using an ATS grounder, characterized in that deceleration control when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calculated separation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상 제어부는,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control unit,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트된 횟수를 기초로 현행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의 현행ATS 지상자가 몇번째 지상자인지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현행 ATS 지상자와 선행 구간 ATS 지상자간 이격거리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counted in the coun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ATS grounder in the section occupied by the current train is a grounder,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ATS grounder and the preceding section ATS grounder is calculated from the database unit. Speed limit curve following system using ATS ground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상 제어부는, The vehicle control unit of claim 2, 현재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의 현시신호로부터 정지신호까지의 신호변환 단계를 계산하고, 계산된 단계 수를 기준으로 현행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의 ATS 지상자와 '정지 신호'가 현시되는 ATS 지상자간 이격거리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 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 Calculate the signal conversion step from the current signal to the stop signal of the section occupied by the current train, and based on the calculated number of steps, the distance between the ATS ground of the section occupied by the current train and the ATS ground where the 'stop signal' is displayed ATP speed limit curve tracking system using ATS ground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is calculate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ATS 지상자의 연산된 이격거리 및 열차의 제동거리에 따라 열차의 제동속도를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 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 ATS speed limit curve tracking system using the ATS groun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king speed of the trai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separation distance of the ATS ground and the braking distance of the train. 선로의 구간별로 설치되는 ATS 지상자로부터 현행 열차의 점유구간에 대한 현시신호를 수신하는 현시신호 수신단계; A present signal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present signal for an occupied section of a current train from an ATS grounder installed for each section of the track; 현행 열차의 운행속도를 검지하는 운행속도 검지 단계; A driving speed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driving speed of a current train; 상기 현시신호의 수신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단계; A counting step of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reception of the manifestation signal; 카운트된 횟수에 해당되는 ATS 지상자와 다음 ATS 지상자의 이격거리 정보를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는 지상자 정보 독출단계; A ground information reading step of reading distance information of the ATS ground and the next ATS ground corresponding to the counted number from a previously stored database; 상기 지상자 정보 독출단계에서 독출된 정보를 기초로, 현행 구간의 ATS 지상자와 '정지신호'를 현시하는 ATS 지상자간 이격거리를 연산하는 이격거리 연산단계; A separation distanc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TS ground and the ATS ground showing the 'stop signal' in the current sec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ad in the ground information reading step; 상기 운행속도 검지 단계에서 검지된 운행속도로부터 현행 열차의 제동거리를 연산하는 제동거리 연산단계; A braking distanc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braking distance of a current train from the driving speed detected in the driving speed detecting step; 상기 제동거리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제동거리가, 상기 이격거리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이격거리의 기설정된 범위내에 있는지 판단하는 안전제동 판단단계; A safety braking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braking distance calculated in the braking distance calculating step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separation distance calculated in the separating distance calculating step; 상기 안전제동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동거리가 상기 연산된 이격거리의 기설정된 범위내에 있는 경우 열차를 감속제어하는 열차감속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방법. And decelerating and controlling the train when the braking dista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calculated separation distance in the safety braking determination step.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거리 연산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tance calculation step, 열차가 운행하는 구간의 신호현시 시스템을 판단하는 신호현시 판단단계; A signal presen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signal present system of a section in which a train operates; 상기 신호현시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신호현시 시스템에 따라 현재 열차가 점유하는 구간의 현시신호로부터 정지신호까지의 신호변환 단계 수를 계산하는 변환단계 계산단계; A conversion step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signal conversion steps from the manifest signal to the stop signal in the section occupied by the current train according to the signal manifest system determined in the signal manifest determination step; 상기 변환단계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변환단계 수 및 상기 독출된 이격거리 정보를 기준으로 이격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방법. And calculating a separation distance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conversion steps calculated in the conversion step calculating step and the read separation distance information.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상기 연산된 이격거리 및 열차의 제동거리에 따라 열차의 제동속도를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방법. ATS speed limit curve tracking method using the ATS groun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king speed of the train in accordance with the calculated separation distance and the braking distance of the train.
KR1020080095566A 2008-09-29 2008-09-29 System and Method for following speed-limit curve of ATP system using ground equipment of ATS system KR1009658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566A KR100965895B1 (en) 2008-09-29 2008-09-29 System and Method for following speed-limit curve of ATP system using ground equipment of AT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566A KR100965895B1 (en) 2008-09-29 2008-09-29 System and Method for following speed-limit curve of ATP system using ground equipment of AT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108A KR20100036108A (en) 2010-04-07
KR100965895B1 true KR100965895B1 (en) 2010-06-24

Family

ID=4221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566A KR100965895B1 (en) 2008-09-29 2008-09-29 System and Method for following speed-limit curve of ATP system using ground equipment of ATS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8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4235B (en) * 2014-11-20 2017-07-18 上海富欣智能交通控制有限公司 Gravity acting computational methods and its super determination methods of kinetic energy in the protection of train ATP energy
CN111071299B (en) * 2020-01-02 2021-10-08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Overspeed protection control method for train network control system
CN113928377B (en) * 2021-11-15 2024-04-26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Train speed limit curve calculation method and device of mobile blocking system
CN114802366A (en) * 2022-04-02 2022-07-29 浙江众合科技股份有限公司 Speed limit control method based on cooperative cooperation of signal and braking system
CN115009308B (en) * 2022-06-20 2023-10-31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Train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965A (en) * 1998-02-03 1999-09-06 이종수 Train interval control method using speed code
KR20010047764A (en) * 1999-11-23 2001-06-15 김봉택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utomatic train stopper
JP2006136041A (en) 2004-11-02 2006-05-25 Kyosan Electric Mfg Co Ltd Train stop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965A (en) * 1998-02-03 1999-09-06 이종수 Train interval control method using speed code
KR20010047764A (en) * 1999-11-23 2001-06-15 김봉택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utomatic train stopper
JP2006136041A (en) 2004-11-02 2006-05-25 Kyosan Electric Mfg Co Ltd Train stop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108A (en)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8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following speed-limit curve of ATP system using ground equipment of ATS system
KR1009658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following speed-limit curve of ATP system using ground equipment of ATS system
CN106956679A (en) Autonomous vehicle Lane regulation
KR101061059B1 (en) Intelligent Traffic Information System and Warning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US20040015275A1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rains
WO2016103460A1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
KR1010419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following speed-limit curve of atp system using ground equipment of ats system
KR100751056B1 (en) Automatic train stopper using telemetering system
CN113650658B (en) Tramcar is at plane intersection control system
KR101061230B1 (en) ATS speed limit curve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TS grounders
KR101532365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utomatically a train using smart signal
JP2009027784A (en) Automatic train operating apparatus
KR100741504B1 (en) A device for preventing a train from derailing
JP2013190965A (en) Road information preparation and distribution device, in-vehicle device, road information prepar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road information preparation and distribution method
JP4673498B2 (en) Automatic train stop device and automatic train stop method
CN111114594B (en) Rail train auxiliary driv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train
JP5512193B2 (en) Train control method, train control device, and vehicle
CN110555995A (en) Smart city bad sight distance vehicle meeting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vehicles
KR100381043B1 (e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utomatic train stopper
RU2468951C1 (en) Method of railway traffic control
JP2002027617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in traffic
JP2007135292A (en) Brake system of rail vehicle
JP4025954B2 (en) On-board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
CN112382132A (en) Urban tramcar level crossing automobile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vehicle-road cooperation
KR20020011707A (en) Ats and ats control method to drive train automatic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