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472B1 -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 - Google Patents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472B1
KR100964472B1 KR1020090107825A KR20090107825A KR100964472B1 KR 100964472 B1 KR100964472 B1 KR 100964472B1 KR 1020090107825 A KR1020090107825 A KR 1020090107825A KR 20090107825 A KR20090107825 A KR 20090107825A KR 100964472 B1 KR100964472 B1 KR 100964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rod
center
driver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성미
Original Assignee
방성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성미 filed Critical 방성미
Priority to KR1020090107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2Screwdrivers operated by rotating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 B25B23/0028Angular adjustment means between tool head and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2Handle constructions flexible
    • B25G1/025Handle constructions flexible for screwdrivers, wrenches or spa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 B25G1/043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for screwdrivers, wrenches or spa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는 장애물이 있어 드라이버용 공구를 사용하기 어려운 협소한 곳에 드라이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의 다수의 강선이 꼬여서 된 중심선재와; 상기 중심선재의 표면에 강선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다수 반복 권취되는 중간선재와; 상기 중간선재의 표면에 위치하는 강선의 반대 방향으로 권취되는 표면선재와; 상기 중심선재, 중간선재 및 표면선재의 일측에 고정되어 나사 머리 또는 볼트머리의 홈에 결합되는 공구날과; 상기 중심선재, 중간선재 및 표면선재의 타측에 고정되어 수동 드라이버 손잡이, 전동 드라이버, 렌치, 스패너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연결구로 이루어진다.
플랙서블, 드라이버, 장애물, 선재

Description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Wire for flexible driver}
본 발명은 드라이버용 선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애물이 있어 드라이버용 공구를 사용하기 어려운 협소한 곳에서도 나사 또는 볼트를 손쉽게 조이고 푸는 드라이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라이버용 공구는 나사나 볼트 등을 조이거나 푸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십자 또는 일자 드라이버, 육각렌치, 복스렌치, 스패너 등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드라이버용 공구는 풀림 또는 잠금 동작시 도 1에서와 같이 물체(55)의 외곽에 돌출 장애물(56) 등이 존재하게 되면 그 부근이 협소해지거나 복잡해져 드라이버(51)를 볼트(57) 머리부에 삽입하기 곤란해지기 때문에 볼트(57)와 같은 체결수단을 잠그거나 푸는 작업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은 돌출 장애물(56)이 형성되어 있는 물체(55)의 경우에도 드라이버(51) 뿐만 아니라 육각 렌치(52)의 작업도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미설명부호 (58)은 육각렌치볼트 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장애물이 있어 드라이버용 공구를 사용하기 어려운 협소한 곳에서도 나사 또는 볼트를 손쉽게 조이고 푸는 드라이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플랙서블한 드라이버용 선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의 다수의 강선이 꼬여서 된 중심선재와; 상기 중심선재의 표면에 강선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다수 반복 권취되는 중간선재와; 상기 중간선재의 표면에 위치하는 강선의 반대 방향으로 권취되는 표면선재와; 상기 중심선재, 중간선재 및 표면선재의 일측에 고정되어 나사 머리 또는 볼트머리의 홈에 결합되는 공구날과; 상기 중심선재, 중간선재 및 표면선재의 타측에 고정되어 수동 드라이버 손잡이, 전동 드라이버, 렌치, 스패너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는 장애물이 있어 드라이버용 공구를 사용하기 어려운 특히 협소한 곳에 플랙서블하면서 회전동력이 전달 가능한 선재를 사용함으로써 장애물을 제거하지 않고서도 드라이버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선재의 전방 단부에 십자 드라이버, 일자 드라이버, 렌치 등 다양한 공구를 선택적으로 끼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드라이버 작업이라도 모두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10)는 중심선재(11), 중간선재(13), 표면선재(15), 공구날(20) 및 연결구(35)로 이루어진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양방향으로 회전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중심선재(11), 중간선재(13) 및 표면선재(15)가 구성되며, 그 일측 단부에 공구날(20)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 수동 드라이버 손잡이(30), 전동 드라이버, 렌치, 스패너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연결구(35)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중심선재(11)는 적어도 2가닥 이상의 강선(14)이 꼬여져서 형성되어지는 중심부재로서 전체 휨성을 지지하게 된다.
물론 도시하지 않았으나 1가닥의 강선(14)으로도 중심선재(11)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강선(14)은 중심선재(11)로서 강도와 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의 탄 소강 또는 스프링강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선재(11)의 표면에는 강선(14)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다수 반복 권취되는 중간선재(13)가 구비된다. 중간선재(13)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중심선재(11)의 표면에 길이 방향 나선형으로 강선(14)을 감은 다음(도 5의 ①), 그 위에 반대 방향으로 강선(14)을 감고(도 5의 ②), 그 위에 다시 그 반대 방향으로 강선(14)을 감는 방식(도 5의 ③)으로 다수의 강선(14)을 사용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취되어 이루어진다.(도 5의 ①∼⑤)
이때 중간선재(13)의 반복 권취횟수는 4∼8회 정도면 만족한다.
상기와 같이 중간선재(13)를 구비하는 것은 중간선재(13)의 역할이 양방향 모두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것인데, 일방향으로만 감겨져 있으면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 감겨진 강선(14)들이 풀려져 동력 전달이 어렵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함과 아울러 양방향 모두로 회전동력이 손실 없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중간선재(13)의 표면에는 그 표면에 위치되어 마지막으로 권취된 중간선재(13) 강선(14)의 반대 방향으로 권취되는 표면선재(15)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중심선재(11)와 중간선재(13) 및 표면선재(15)는 강선(14)의 꼬임과 서로 반대방향으로의 나선방향 권취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플랙서블(flexible)한 성질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심선재(11)와 중간선재(13) 및 표면선재(15)에 사용되는 강선(14)은 탄소를 0.6~0.95% 함유하는 강력한 고탄소강의 선재가 사용되고, 탄력이 풍부하여 피아노 현이나 용수철 따위에 사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선재의 일측에는 십자 또는 일자 드라이버, 육각렌치, 복스렌치 등에 사용되어 나사머리 또는 볼트머리의 홈에 결합되는 공구날(20)을 구비하여 고정시키고, 타측에는 수동 드라이버 손잡이(30), 전동 드라이버, 렌치, 스패너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연결구(35)를 구비하여 고정시켜 본 발명에 의한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10)가 완성된다.
이때 연결구(35)는 도 4에서와 같이 일측에 중심선재(11)와 중간선재(13) 및 표면선재(15)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한 수동 드라이버 손잡이(30) 등이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육각돌부가 형성되며, 수동 드라이버 손잡이(30) 등의 선단부에는 육각홈을 형성하여 상기 육각돌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외에도 연결구(35)에 의해 양측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만족하며, 양측은 용접에 의해 더욱 견고히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중심선재(11)와 중간선재(13) 및 표면선재(15)로 된 선재와 공구날(20) 사이에도 양측 삽입 고정가능한 고정홀더(25)를 구비하여 용접 또는 클램핑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 고정 가능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고정홀더(25)를 구비하여 중심선재(11)와 중간선재(13) 및 표면선재(15)와 일체가 되게 형성하면 그 전방에 위치하는 공구날(20)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강선(14) 직경의 크기는 각각 다른 직경의 것으로 형성하여도 되고, 동 일한 직경의 것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통상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게 하며, 이때 강선(14)의 직경은 일반적인 드라이버용 공구에 사용되는 나사 및 피스의 크기를 고려할 때 0.5∼1.5㎜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10)는 통상 사용되는 십자 또는 일자 드라이버, 렌치 등의 드라이버용 공구들보다 회전동력 전달률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를 보강하기 위해 중심선재(11)와 중간선재(13) 및 표면선재(15)의 총 직경을 기존 드라이버용 공구의 직경보다 2배이상 크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심선재(11)와 중간선재(13) 및 표면선재(15)의 총 직경은 사용되어지는 나사나 볼트의 직경보다도 2배이상 크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일예로 나사나 볼트의 직경이 5㎜ 정도일때 그 두배 정도인 10㎜ 정도 또는 그 이상으로 제작되어져야 하며, 통상 사용되는 나사나 볼트의 크기가 2∼4㎜ 정도이므로 이때 중심선재(11)와 중간선재(13) 및 표면선재(15)의 총 직경은 4∼10㎜ 정도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간선재(13)와 표면선재(15)는 강선(14)의 나선방향으로의 권취로 이루어지는데, 한가닥의 강선(14)을 사용하여 권취하여도 되나 여러가닥의 강선(14)을 나란히 배열하여 권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여러가닥 중 한두가닥이 끊어지더라도 선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이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10)의 사용 동작 설명은 하기와 같다.
강선(14)으로 된 중심선재(11)와 중간선재(13) 및 표면선재(15)의 양측에 각 각 공구날(20)과 연결구(35)를 구비 고정시켜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10)를 형성한 다음,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은 장애물(42)이 형성된 물체(41)의 결합시 또는 해체시에 사용하게 된다. 이때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10)의 일측에 고정 연결된 공구날(20)을 장애물(42)을 피해 볼트(43) 또는 육각렌치볼트(44)의 머리에 결합시키고, 타측 연결구(35)에 구비 고정된 수동 드라이버 손잡이(30)를 파지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그 회전동력이 중심선재(11)와 중간선재(13) 및 표면선재(15)를 통해 전달되어져 공구날(20)에까지 전해지면서 볼트(43)를 돌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구(35)에는 수동 드라이버 손잡이(30) 대신 필요에 따라 전동 드라이버, 렌치, 스패너 등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42)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 이외에도 복잡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플랙서블 하면서도 회전동력 전달이 가능한 드라이버용 선재(10)를 사용하게 되면 어떠한 장애물(42)이라도 통과하여 볼트(43)에까지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를 돌려 사용시 그 회전력이 나사나 볼트의 풀림력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 공구날(20)이 나사나 볼트의 머리에서 빠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8에서와 같이 중심선재(11)와 중간선재(13) 및 표면선재(15)로 이루어지는 선재를 감싸면서 고정홀더(25)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플랙서블한 지지 파이프(45)를 구비하여 사용하면 좋다. 이때 오른손잡이일 경우 지지 파이프(45)를 왼손으로 잡고 공구날(20)쪽으로 밀면 지지 파이프(45)의 단부가 고정홀더(25)의 상부면을 눌러주게 되고 오른손으로 수동 드라이버 손잡이(30)를 돌리면 나사나 볼트 머리에서 공구날(20)이 쉽게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동력을 전달하여 나사나 볼트를 쉽게 풀고 조일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드라이버용 공구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의 정면 구성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라이버용 선재 11 : 중심선재
13 : 중간선재 14 : 강선
15 : 표면선재 20 : 공구날
25 : 고정홀더 30 : 수동 드라이버 손잡이
35 : 연결구 41 : 물체
42 : 장애물 43 : 볼트
44 : 육각렌치볼트 45 : 지지 파이프

Claims (3)

  1. 2가닥 이상의 강선(14)이 꼬여서 된 중심선재(11)와;
    상기 중심선재(11)의 표면에 여러가닥으로 나란히 배열된 강선(14)이 나선형 형상으로 권취되어지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다수 반복 권취되는 중간선재(13)와;
    상기 중간선재(13)의 표면에 위치하는 강선(14)의 반대 방향으로 권취되어지되, 여러가닥으로 나란히 배열된 강선(14)이 나선형 형상으로 권취되는 표면선재(15)와;
    상기 중심선재(11), 중간선재(13) 및 표면선재(15)로 이루어지는 선재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며, 전방측에 나사머리 또는 볼트머리의 홈에 결합되는 공구날(20)이 끼워지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홀더(25)와;
    상기 중심선재(11), 중간선재(13) 및 표면선재(15)로 이루어지는 선재를 감싸면서 상기 고정홀더(25)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플랙서블한 지지 파이프(45)와;
    상기 중심선재(11), 중간선재(13) 및 표면선재(15)로 이루어지는 선재의 타측에 고정되어 수동 드라이버 손잡이, 전동 드라이버, 렌치, 스패너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연결구(35)로 이루어지는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
  2. 삭제
  3. 삭제
KR1020090107825A 2009-11-10 2009-11-10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 KR100964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825A KR100964472B1 (ko) 2009-11-10 2009-11-10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825A KR100964472B1 (ko) 2009-11-10 2009-11-10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472B1 true KR100964472B1 (ko) 2010-06-16

Family

ID=4237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825A KR100964472B1 (ko) 2009-11-10 2009-11-10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4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8084A (zh) * 2014-06-20 2015-05-13 喻尤平 一种螺丝刀
EP3909526A3 (en) * 2020-04-21 2022-02-16 Shukla Medical Tool drive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6929A (en) 1988-09-15 1989-10-31 Burton Kozak Portable screw driver having flexible extension shaft
US5697269A (en) 1996-06-20 1997-12-16 Tseng; Kuo Hwa Flexible wrench extension
KR200200732Y1 (ko) * 1999-08-09 2000-10-16 안동식 플렉시블 케이블 수공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6929A (en) 1988-09-15 1989-10-31 Burton Kozak Portable screw driver having flexible extension shaft
US5697269A (en) 1996-06-20 1997-12-16 Tseng; Kuo Hwa Flexible wrench extension
KR200200732Y1 (ko) * 1999-08-09 2000-10-16 안동식 플렉시블 케이블 수공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8084A (zh) * 2014-06-20 2015-05-13 喻尤平 一种螺丝刀
EP3909526A3 (en) * 2020-04-21 2022-02-16 Shukla Medical Tool drive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472B1 (ko) 플랙서블 드라이버용 선재
US20070215234A1 (en) Elongated member twisting tool
CN204604195U (zh) 五金扳手
CN206254098U (zh) 一种多功能扳手
CN207155652U (zh) 一种链式万用扳手
CN202241011U (zh) 一种改进的套筒夹头
CN206277322U (zh) 一种不损伤螺母的v型工具手
CN202292557U (zh) 多用扳手
KR20110018184A (ko) 니퍼
CN204397648U (zh) 带电作业用绝缘钳
CN213136421U (zh) 一种机械维护钳
CN201889741U (zh) 螺旋状导线缠绕装置
KR101453738B1 (ko) 다목적 공구
CN205074982U (zh) 深孔专用螺丝批头
CN203696860U (zh) 一种可拆卸转矩扳手
CN218082538U (zh) 一种小巧、轻便、省力、高效的拧螺杆工具
CN219666445U (zh) 一种一字电批头防松脱装置
CN215240495U (zh) 一种t型扳手
CN213439176U (zh) 一种新型电工手工具
CN206811826U (zh) 多规格扳手及组合扳手
CN212919021U (zh) 一种多功能万向钳
CN108214410B (zh) 一种多功能螺丝刀
CN211209090U (zh) 一种核电站装配柜刀闸端子用安装工具
CN217192303U (zh) 一种钳口可替换的断线钳
US20100294392A1 (en) Conductor Loop-Form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