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454B1 - 동축케이블용 전기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용 전기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454B1
KR100964454B1 KR1020030012030A KR20030012030A KR100964454B1 KR 100964454 B1 KR100964454 B1 KR 100964454B1 KR 1020030012030 A KR1020030012030 A KR 1020030012030A KR 20030012030 A KR20030012030 A KR 20030012030A KR 100964454 B1 KR100964454 B1 KR 100964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housing
dielectric
rear wall
dielectric sub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528A (ko
Inventor
홀존웨슬리
마이어존마크
라우마이클프리드리히
몰할리체스털
멜스톰찰스랜델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71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결합된 때 서로 연결되는 접점을 유지하고 서로에 대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결합단부를 갖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커넥터를 제공한다.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각각 접점에 연결된 전기케이블을 유지하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수용단부를 갖는다.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는 종축선을 따라 배열되고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결합된 때 서로에 대하여 결합한다.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각각 수용단부를 폐쇄하고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의 후방벽과 결합하도록 부합하는 수용단부 주위에 해치를 갖는다. 해치와 후방벽 중 적어도 하나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의 완전한 결합을 유지하도록 종축선을 따라 장전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해치와 후방벽 중 다른 하나와 결합하는 장전돌기를 갖는다.
전기커넥터, 하우징, 리셉터클, 장입돌기

Description

동축케이블용 전기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coaxial cabl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 조립체의 상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하우징, 동축케이블 및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플러그 하우징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와 동축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플러그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와 동축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플러그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와 동축케이블을 나타내는 하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하우징, 동축케이블 및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플러그 하우징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와 동축케이블의 사시도;
도 8은 리셉터클 하우징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와 동축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전기커넥터 조립체 10 : 플러그 하우징
12 : 리셉터클 하우징 14 : 유전체 서브어셈블리
16 : 동축케이블 18 : 유지스트립
20 : 결합단부 24 : 수용단부
40 : 가요성 래치 44 : 래치빔
본 출원은 2002년 2월 27일 출원된, “동축케이블용 전기커넥터 조립체”제하의, 가출원 제60/360,280호에 관한 것이고, 상기 가출원으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하며, 가출원의 전체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동축케이블들을 전기적으로 상호연결하는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결합된 때 유전체들이 서로 완전결합상태에 있도록 결합가능한 하우징의 내부에 유전체를 예비장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을 상호연결하기 위하여 제시되었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은 하나 이상의 도전성 와이어 중, 케이블 유전물질에 의해 에워싸인 중심 도전체가 형성된 원형의 구조를 갖는다. 유전물질은 하나 이상의 도전성 와이어 중, 접지로 작용하는 케이블 브레이드(cable braid)에 의해 에워싸이고, 케이블 브레이드는 케이블 자켓에 의해 에워싸인다. 대부분의 동축케이블 용도에 있어서, 동축케이블의 양단부에 위치한 수신전기부품과 송신전기부품 사이에서 임피던스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동축케이블 부분이 커넥터 조립체에 의해 상호연결된 때, 임피던스가 상호연결을 통해서 일치하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늘날, 동축케이블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요즘, 자동차산업과 같은 적용분야에서 무선주파수용 동축케이블에 대한 요구가 일어나고 있다. 자동차산업에 있어서 무선주파수용 동축케이블의 요구는 AM/FM라디오, 휴대폰, GPS, 위성라디오, 블루투스(상표명)의 호환시스템 등과 같이 부분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 증가하는 전장품에 기인한다. 동축케이블의 광범위한 적용은 연결된 동축케이블이 상호연결부에 임피던스의 유지를 요구한다.
종래의 동축 커넥터 조립체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수반하는 결합가능한 플러그 하우징과 리셉터클 하우징을 포함한다.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는 유전체, 금속성쉴드 및 중심접점을 포함한다.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는 동축케이블의 단부를 수용하여 유지하고, 쉴드는 중심접점이 중심도전체와 결합하는 동안 자켓을 케이블 브리드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하여 자켓을 관통하는 핀을 갖는다. 플러그 하우징과 리셉터클 하우징은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파지(catch)하고 보유하는 내부래치(interior latches)를 포함하며, 따라서 동축케이블은 그 안에서 종단한다. 플러그 하우징과 리셉터클 하우징이 결합된 때, 쉴드를 통하여 전송된 신호와 중심접점을 통하여 전송된 신호 사이에 절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유전체가 쉴드와 중심접점 사이에 상호연결된 상태에서 쉴드가 상호연결되고 중심접점이 상호연결되도록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는 결합된다.
종래의 동축 커넥터 조립체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내부래치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가 플러그 하우징과 리셉터클 하우징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한다. 플러그 하우징과 리셉터클 하우징이 결합된 때,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는 결합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가 연결분리되거나 또는 전기적인 연결을 방해하지 않고 서로로부터 약간 분리하도록 소정의 종방향유격(longitudinal clearance)을 갖는다. 그와 같은 분리가 발생할 때, 유전체는 연결된 중심접점과 연결된 쉴드 사이에서 공기갭(air gap)이 발생하는 지점까지 결합해제된다. 공기갭은 유전체 및 케이블 유전물질과 상이한 유전상수를 갖기 때문에, 전기신호에 의해 나타난 임피던스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가 상호연결되는 지점에서 변한다. 임피던스의 변화는 상호연결 지점에서 전기신호에 반사를 야기시키므로, 동축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더 많은 전력이 요구된다.
상기된 문제점과 이점에 경험된 다른 단점을 피하기 위한 개선된 동축 커넥터 조립체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결합될 때 연결되어 접점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결합단부를 갖는다.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접점에 연결되는 전기 케이블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수용단부를 각각 갖는다.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결합된 때 서로 공통의 종축선을 따라 정렬되고 결합한다.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각각은 대응하는 수용단부에 인접한 해치를 갖는다. 해치는 대응하는 수용단부를 폐쇄하고 대응하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의 후방벽에 결합한다. 장전돌기는 해치와 후방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된다. 장전돌기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가 서로 완전히 결합되는 것을 유지하는 장전력(load force)을 종축선을 따라 인가하기 위하여 해치와 후방벽 중의 다른 하나에 지지가능하게 결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축선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수용단부와 결합단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커넥터를 포함한다. 전기커넥터는 전기케이블을 수반하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는 하우징의 수용단부의 개구에 미끄러져 수용된다. 전기커넥터는 수용단부의 근처에서 하우징에 장착되는 해치를 포함한다. 해치는 수용단부를 폐쇄하고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의 후방벽과 결합한다. 해치와 후방벽 중 적어도 하나는 거기에 장착된 장전돌기를 갖는다. 장전돌기는 결합단부를 향하여 종축선을 따라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편향시키는 바인딩 장전력(binding load force)을 인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 상세한 설명 뿐만 아니라, 상술한 요약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파악할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할 목적으로, 소정의 실시예는 도면에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나타 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 조립체(8)의 상방사시도를 나타낸다. 전기커넥터 조립체(8)는 동축케이블(16)을 각각 수반하는 플러그 하우징(10)과 리셉터클 하우징(12)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하우징(12)은 동축케이블(1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플러그 하우징(10)을 미끄러져서 수용한다. 플러그 하우징(10)과 리셉터클 하우징(12)은 플러그 하우징(10)의 상부벽(32)으로부터 연장하는 가요성 래치(40)에 의해 결합접촉상태로 유지된다. 플러그 하우징(10)이 화살표 A방향으로 리셉터클 하우징(12)에 미끄러져 삽입될 때, 가요성 래치(40)는 화살표 B방향으로 편향되어 가요성 래치(40)는 리셉터클 하우징(12)의 유지스트립(18) 아래에서 갭(22)내로 미끄러진다. 플러그 하우징(10)은 가요성 래치(40)가 갭(22)에 위치되고 측면으로 유지스트립(18)과 결합된 때 리셉터클 하우징(18)에 완전히 삽입된다. 플러그 하우징(10)과 리셉터클 하우징(12)을 결합해제하기 위하여, 래치빔(44)을 화살표 B방향으로 누름으로써 가요성 래치(40)는 다시 내측으로 편향되고, 플러그 하우징(10)은 가요성 래치(40)가 유지스트립(18)과 더 이상 결합하지 않을 때까지 화살표 C방향으로 미끄러져 리셉터클 하우징(12)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하우징(10), 동축케이블(16) 및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플러그 하우징(10)은 결합단부(20)와 수용단부(24)를 포함하는 상부벽(32) 및 하부벽(36)이 형성된 양측벽(28)들로 한정된다. 상부벽(32)은 가요성 래치(40)와 래치빔(44)을 포함한다. 하부벽(36)은 플러그 하우징(10)에서 내측으로 연장하는 가이드빔(84)을 구비한 A자형 프롱(prong)(120)을 포함한다. 가이드빔(84)은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가 플러그 하우징(10)에 삽입될 때 후방벽(50)을 따라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와 정렬되고 미끄러져 수용한다. 가이드빔(84)는 플러그 하우징(10)에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를 적절하게 배향시키고 유지한다.
하부벽(36)은 또한 하부벽(36)에 수직인 개방형 해치(56)로 연장하는 힌지(52)를 포함한다. 유지래치(60)는 서로 대향하여 해치(56)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한다. 유지래치(60)는 수용단부(24)를 폐쇄하기 위하여 해치(56)가 화살표 D방향으로 180°회전되었을 때 측벽(28)으로부터 연장하는 래치파지부(64)의 경사면(62) 위로 미끄러져서 래치파지부(64)를 수용한다. 해치(56)는 또한 해치(56)의 내부면(7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장전돌기(68)를 포함한다.
장전돌기(68)는 플라스틱이나 다른 탄성재료로 제작되고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가 플러그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전되었을 때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의 후방벽(70)과 결합하여 지지한다. 부가적으로, 해치(56)는 동축케이블이 플러그 하우징(10)과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의 내부에 위치될 때 관통하여 연장하는 케이블홀(80)까지 이어지는 갭(미도시)을 포함한다.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는 사각형 금속성 쉴드(92)에 연결된 플라스틱 유전체(88)를 포함한다.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는 동축케이블(16)을 수용하고 유지한다. 동축케이블(16)은 유전물질(100)과 접지통로로 작용하는 케이블 브레이드(104)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동심으로 둘러싸인 중심 도전체(96)를 포함한다. 유전체(88)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를 내부에 유지하는 플러그 하우징(10) 내부에서 측벽(28)상의 파지부(미도시)에 결합하는 인출부(114)를 포함한다. 쉴드(92)는 접지통로와 연결하기 위하여 케이블 브레이드(104)로 연장하는 도전성 핀(미도시)을 포함한다. 쉴드(92)는 또한 유전체 어셈블리(14)의 경계면단부(108)에 가까운 측벽(116)으로부터 연장하는 스터빙 방지부재(anti-stubbing member;112)를 포함한다. 스터빙 방지부재(112)는 리셉터클 하우징(12)의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상의 대응하는 스터빙 방지부재(238)(도 6)와 결합하고 쉴드(92)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 상의 쉴드(234)(도 6)에 오버랩(overlap)한다. 쉴드(92)는 또한 측벽(117) 상에 S자형 록킹부재(locking member)(미도시)를 포함한다. 록킹부재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의 쉴드(242)의 단부 부근에서 대응하는 쉴드(242)(도 6)와 결합한다. 유사하게, 쉴드(242)는 유전체 어셈블리(150)의 측벽(243)(도 6) 상에 S자형 래칭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측벽(243)상의 록킹부재는 쉴드(92)의 단부 부근에서 쉴드(92)와 결합한다. 록킹부재들은 서로 결합하고 쉴드(92, 234)사이에 일정한 수직력이 유지함으로써 쉴드(92, 234)의 결합을 유지한다.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의 접촉탭(미도시)은 전기신호통로를 연결하기 위하여 동축케이블(16)의 도전체(96)와 결합한다. 사각형 전방부(미도시)는 유전체(88)로부터 연장하고 경계면단부(108)에서 접촉탭과 쉴드(92)를 분리한다. 전방부의 유전상수는 상호연결된 동축케이블(16)들 사이에서 일정한 임피던스를 유지하고 동축케이블(16)을 따라 이동하는 전기신호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전물질(100)의 유전상수와 같다.
작동 중,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16)을 유지하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는 플러그 하우징(10)에 화살표 E방향으로 삽입된다. 인출부(leading portion)(114)(도 2)가 측벽(28)의 파지부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10)에 완전히 결합될 때, 해치(56)는 힌지(52) 주위를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폐쇄된다. 해치(56)가 폐쇄된 때, 동축케이블(16)은 갭(76)의 내부에 끼워지고 케이블홀(80)로 관통하여 미끄러진다. 부가적으로, 해치(56)가 패쇄된 때, 래치파지부(64)를 수용할 때까지 유지래치(60)는 측벽(28)을 따라 미끄러지고 경사면(62) 주위에서 서로 멀어지는 외측으로 만곡되어, 해치(56)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의 주변을 폐쇄한다.
도 5는 플러그 하우징(10)에 완전히 삽입된 동축케이블(16)과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의 하방사시도를 나타낸다. 프롱(120)은 플러그 하우징(10)의 하부벽(36)으로부터 가이드빔(84)을 따라 수용단부(24)를 향하여 연장한다. 프롱(120)은 슬롯(132)에 의해 측벽(28)으로부터 분리되고, 갭(136)은 가이드빔(84) 사이에서 하부벽(36)의 중심을 따라 연장한다. 래치(140)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의 후방벽(50)으로부터 갭(136)으로 연장하고 프롱(120)과 결합한다. 따라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가 플러그 하우징(10)에 삽입될 때, 래치(140)는 프롱(120)을 따라 미끄러지고 래치(140)가 갭(136)으로 진입할 때까지 화살표 J방향으로 프롱(120)을 만곡시킨다. 래치(140)가 갭(136)의 내부에 있고 화살표 L방향을 따라 프롱(120)을 누르면,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0)는 플러그 하 우징(10) 내부에 최초로 유지되고 해치(56)는 폐쇄된다. 다른 한편으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를 해제시키기 위하여, 래치(140)는 프롱(120)과 더 이상 결합하지 않을 때까지 화살표 F방향으로 편향되고,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는 화살표 L방향으로 미끄러진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해치(56)가 수용단부(46)를 폐쇄하기 위하여 회전될 때, 장전돌기(68)는 유전체(88)의 후방벽(70)과 결합하고 화살표 E방향으로 민다. 유전체(88)는 장전돌기(68)나 해치(56)보다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므로, 측벽(28)들의 파지부에 지탱된 유전체(88)는 화살표 L방향으로 작용하는 장전돌기(68)와 해치(56)의 압력을 지탱하여, 종축선(112)을 따라 외측으로 장전돌기(68)는 압축되고 해치(56)는 약간 좌굴된다. 따라서 장전돌기(68)는 해치(56)와 후방벽(70)에 종축선(112)을 따라 장전력을 전달하여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는 측벽(28)들 상의 파지부들과 장전돌기(68)들 사이에서 플러그 하우징(10) 내부에 예비장전된다. 장전돌기(68)에 의해 전달된 장전력의 압력 때문에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는 종축선(112)을 따라 유동하지 않는다. 플러그 하우징(10)은 동축케이블(16)과 전기적 결합을 위하여 리셉터클 하우징(12)(도 1)에 의해 결합가능하도록 수용된다.
해치(56)는 유지래치(60)가 래치파지부(64)로부터 떨어지도록 유지래치(60)를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대향방향인 외측으로 당기고, 해치(56)를 힌지(52) 주위에서 화살표 M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개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전돌기(68)는 해치(56)가 수용단부(24) 주위에서 폐쇄되었을 때 해치(56)와 지지가능하게 결합하 도록 유전체(88)의 후방벽(70)에 연결된다.
도 6은 리셉터클 하우징(12), 동축케이블(16) 및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리셉터클 하우징(12)은 결합단부(166)와 수용단부(170)를 포함하는 상부벽(158)과 하부벽(162)이 형성된 양측벽(154)들에 의해 한정된다. 상부벽(158)은 수용단부(170)를 향하여 연장하고 슬롯(178)에 의해 측벽(154)들로 분리된 프롱(174)을 포함한다. 프롱(174)은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는 리셉터클 하우징(12)에 삽입될 때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의 상부벽(182)을 따라 미끄러지고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가 리셉터클 하우징(12)에 완전히 삽입될 때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의 후방벽(186) 근방의 포켓(183)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상부벽(158)은 또한 플러그 하우징(10)의 가요성 래치(40)(도 1)를 보유하는 갭(22)과 유지스트립(18)을 포함한다.
하부벽(162)은 도 2의 플러그 하우징(10)과 유사하게 개방형 해치(194)로 연장하는 힌지(190)를 포함한다. 유지래치(198)는 서로 대향하여 해치(194)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한다. 유지래치(198)는 수용단부(170)를 폐쇄하기 위하여 해치(194)가 화살표 N방향으로 180°회전될 때 측벽(154)으로부터 연장하는 래치파지부(206)의 경사면(202) 상부로 미끄러져서 래치파지부(206)를 수용한다. 해치(194)는 또한 해치(194)의 내부면(214)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장전돌기(210)를 포함한다. 장전돌기(210)는 플라스틱이나 다른 탄성재료로 제작되고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가 리셉터클 하우징(12)의 내부에 장전될 때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의 후방벽(186)과 결합하여 지지한다. 부가적으로, 해치(194)는 동축케이블(16)이 리셉터클 하우징(12)과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의 내부에 위치될 때 관통하여 연장하는 케이블홀(226)까지 이어지는 갭(미도시)을 포함한다.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는 사각형 금속성 쉴드(234)에 연결되는 플라스틱 유전체(230)을 포함한다. 유전체(230)는 그 내부에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를 유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12)의 내부에서 측벽(154)상의 파지부(미도시)와 결합하는 인출부(248)를 포함한다. 쉴드(234)는 접지통로와 연결하기 위하여 동축케이블(16)의 케이블 브레이드(104)로 연장하는 도전성핀(미도시)을 포함한다. 쉴드(234)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의 경계면 단부(246)에 가까운 측벽(242)으로부터 연장하는 스터빙 방지부재(238)와 반대편 측벽(243)으로부터 연장하는 S자형 록킹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의 접촉탭(미도시)은 전기신호통로와 연결하기 위하여 동축케이블(16)의 중심 도전체(96)와 결합한다. 사각형 전방부(250)는 유전체(230)로부터 연장하고 경계면 단부(246)에서 접촉탭과 쉴드(234)를 분리한다. 전방부(250)는 도 1에 도시된 상호연결된 동축케이블(16)들 사이의 유전상수를 유지한다.
작동 중,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16)을 유지하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는 리셉터클 하우징(12)에 화살표 P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8은 리셉터클 하우징(12)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동축케이블(16)과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의 상방사시도이다.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는 인출부(248)(도 6)가 측벽(154)의 파지부에 의해 지지될 때 리셉터클 하우징(12)에 완전히 삽입되고,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가 리셉터클 하우징(12)에 더 삽입되는 것이 방지 된다. 해치(194)는 화살표 N방향으로 힌지(190)(도 6) 주위를 회전함으로써 폐쇄된다. 해치(194)가 폐쇄된 때, 동축케이블(16)은 갭의 내부에 끼워지고, 케이블홀(226)로 관통하여 미끄러진다. 부가적으로, 해치(194)가 폐쇄된 때, 유지래치(198)는 래치파지부(206)(도 6)를 수용할 때까지 측벽(154)을 따라 미끄러지고 경사면(202)(도 6)주위에서 서로 멀어지는 외측으로 만곡되어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의 주위에서 해치(194)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한다.
해치(194)가 수용단부(170)를 페쇄하기 위하여 회전된 때, 장전돌기(210)는 후방벽(186)과 결합하고 화살표 P방향으로 밀어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는 리셉터클 하우징(12) 내부에 견고하게 보유된다. 유전체(230)는 장전돌기(210)나 해치(194)보다 강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므로, 측벽(154)상의 파지부에 지탱된 유전체(230)는 화살표 S방향으로 작용하는 장전돌기(210)와 해치(194)의 압력을 지탱하여, 장전돌기(210)는 압축되고 해치(194)는 약간 좌굴된다. 장전돌기(210)는 해치(194)와 후방벽(184)에 종축선(280)을 따라 장전력을 전달하여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는 측벽(154)의 파지부와 장전돌기(210) 사이의 리셉터클 하우징(12)의 내부에서 예비장전된다. 장전돌기(210)에 의해 전달된 장전력의 압력때문에,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50)는 종축선(280)을 따라 유동하지 않는다.
해치(194)는 유지래치(198)가 래치파지부(206)(도 6)로부터 떨어지도록 유지래치(60)를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대향방향인 외측으로 당기고, 해치(56)를 힌지(52)의 주위에서 화살표 M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개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전돌기(210)는 해치(194)가 수용단부(170)의 주위에서 폐쇄되었을 때 해치(194)와 지지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유전체(230)의 후방벽(186)에 연결될 수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12)은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도 2), 15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플러그 하우징(10)을 결합가능하도록 수용한다. 예비장전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 150)들이 리셉터클 하우징(12)의 내부에서 연결된 때, 쉴드[234, 92(도 2)]는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록킹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되며 동축케이블(16)의 중심 도전체(96)는 중심 컨택트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사하게, 유전체(88, 23)는 연결된 쉴드(234, 92)들과 연결된 중심 컨택트들 사이에 서로 결합하여, 유전체 장벽을 형성한다.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 150)들은 장전돌기[68(도 2), 210]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14, 150)는 각각 완전히 결합되어 연결된 쉴드(234, 92)와 연결된 중심컨택트 사이에는 에어 갭이 발생되지 않는다. 하나의 동축케이블(16)로부터 다른 동축케이블로 전달하는 전기신호에 의해 나타난 임피던스는 동축케이블이 상호연결되는 곳에서 바뀌지 않고 동축케이블(16)들 사이에서 전기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압이 더 작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재되었지만,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서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동등한 것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부가하여, 특정 상황 또는 물질을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교시에 채택할 수 있도록 많은 수정이 이 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요지와 일치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25)

  1.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결합될 때 연결되는 접점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결합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각각은 접점에 연결되는 전기 케이블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수용단부를 가지고,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결합된 때 서로 공통의 종축선을 따라 정렬되고 결합하며,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각각은 대응하는 수용단부 근방의 해치 ― 상기 해치는 상기 대응하는 수용단부를 폐쇄하고 대응하는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의 후방벽에 결합함 ― 와, 상기 해치와 후방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장전돌기(load protrusion) ― 상기 장전돌기는 상기 해치와 후방벽 중의 다른 하나에 지지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가 서로 결합 완료된 상태를 유지하는 장전력(load force)을 상기 종축선을 따라 인가함 ―;
    를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전돌기는 대향하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갖는 원통형상이고, 상기 장전 돌기는 상기 종축선을 따라 상기 해치와 상기 후방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단부는 상기 해치와 상기 후방벽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고 상기 하단부는 상기 해치와 상기 후방벽 중 다른 하나에 결합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와 상기 후방벽 중 하나는 상기 해치와 후방벽 중 다른 하나에 지지가능하게 결합하는 다수의 장전돌기를 갖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전돌기는 대향하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구비한 원통형이고, 상기 장전돌기는 상기 종축선을 따라 상기 후방벽과 상기 해치 사이에 배치되고 압축되어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종축선을 따라 서로를 향해 눌려지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측벽들을 가지고, 상기 측벽들은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유지하는 래치파지부(latch catches : 64)를 가져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장전돌기와 상기 래치파지부 사이에 압축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전돌기가 상기 후방벽과 상기 해치 사이에서 압축되고 상기 유전체 어셈블리가 상기 종축선을 따라 서로로부터 멀어져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전력을 가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는 유지래치를 갖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래치파지부를 구비한 측벽을 갖고, 상기 유지래치는 상기 래치파지부에 결합하여 상기 해치는 폐쇄된 때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상기 수용단부 주위에 해제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가요성 래치를 갖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가요성 래치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래치갭을 구비하여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대응하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장전력으로 인해 상기 종축선을 따라 지지가능하게 서로 완전히 결합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해치는 상기 해치가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의 주위에서 폐쇄된 때 상기 전기케이블을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홀과 갭을 갖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하부벽 상에 프롱(prong)을 갖고, 상기 프롱은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초기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의 후방벽으로부터 연장하는 래치를 수용하고 유지하는 갭을 가져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해치가 상기 수용단부의 주위에서 폐쇄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는 유전체에 의해 분리되는 금속성 쉴드와 접촉탭을 갖고, 상기 대응하는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의 금속성 쉴드는 서로 체결되는 스터빙 방지부재(anti-stubbing member)를 가져 상기 제1하우징과 제1하우징이 결합된 때 상기 금속성 쉴드가 서로 오버랩하여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12. 종축선을 따라 정렬된 수용단부와 대향하는 결합단부를 갖는 하우징;
    전기케이블을 수반하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단부의 개구에 미끄러져 수용됨-; 및
    상기 수용단부 근방의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해치-상기 해치는 상기 수용단부를 폐쇄하고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의 후방벽과 결합하며, 상기 해치와 상기 후방벽 중 적어도 하나는 거기에 장착된 장전돌기를 가지며, 상기 장전돌기는 대향하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갖는 원통형상이고, 상기 장전돌기는 상기 종축선을 따라 상기 후방벽 상기 해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단부는 상기 해치와 상기 후방벽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고 상기 하단부는 상기 해치와 상기 후방벽 중 다른 하나에 결합하며, 상기 장전돌기는 상기 결합단부를 향하여 종축선을 따라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편향시키는 바인딩 장전력(binding load force)을 가함-;
    를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2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수반하고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와 상기 제2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하는 제2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가요성 래치를 가지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와 상기 제2유전체 서브어셈블리 사이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서로에 대해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가요성 래치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래치갭을 갖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와 상기 후방벽 중 하나는 상기 해치와 후방벽 중 다른 하나에 지지가능하게 결합하는 다수의 장전돌기를 갖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전돌기는 상기 종축선을 따라 상기 후방벽과 상기 해치 사이에 배치되고 압축되는 대향하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가 상기 종축선을 따라 서로를 향해 누르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측벽들을 갖고, 상기 측벽들은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유지하는 내부 파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장전돌기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서 압축되고,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종축선을 따라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전돌기는 상기 후방벽과 상기 해치 사이에서 압축되어 상기 장전돌기는 상기 유전체 어셈블리가 상기 종축선을 따라 일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해치와 상기 후방벽에 대해 상기 종축선을 따라 장전력을 가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는 유지래치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래치파지부(latch catches)를 구비한 측벽을 갖고, 상기 유지래치는 상기 래치파지부에 결합하여 상기 해치는 상기 장전돌기가 상기 해치와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의 후방벽과 결합하는 폐쇄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단부의 주위에서 해제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부벽 상에 프롱을 갖고, 상기 프롱은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초기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의 후방벽으로부터 연장하는 래치를 수용하고 유지하는 갭을 구비하여 상기 해치가 상기 수용단부의 주위에서 폐쇄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20. 제 12 항에 있어서,
    제2결합단부와 제2수용단부를 갖는 제2하우징-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2수용단부에서 제2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수용하고, 상기 제2결합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결합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와 상기 제2유전체 서브어셈리가 전기적으로 접촉함-
    을 더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는 상기 해치가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의 주위에서 폐쇄된 때 상기 전기 케이블을 수용하고 유지하는 케이블홀과 갭을 갖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22. 종축선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수용단부 및 결합단부를 갖는 하우징;
    전기 케이블을 수반하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유전체 서브어셈블리―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단부의 개구에 미끄러져 수용됨 ―; 및
    상기 하우징에 상기 수용단부 근처에서 장착되는 해치 ― 상기 해치는 상기 수용단부를 폐쇄하고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의 후방벽과 결합하며, 상기 해치와 상기 후방벽 중 적어도 하나는 거기에 장착되어 상기 해치와 후방벽 중 다른 하나와 지지가능하게 결합하는 다수의 장전돌기를 가지며, 상기 장전돌기는 대향하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구비한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결합단부를 향해 상기 종축선을 따라 상기 유전체 서브어셈블리를 편향시키는 바인딩 장전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재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를 향해 압축가능함―;
    를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전돌기는 상기 종축선을 따라 상기 후방벽과 상기 해치 사이에 배치되고 압착되어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가 상기 종축선을 따라 서로를 향해 눌려지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24. 삭제
  25. 삭제
KR1020030012030A 2002-02-27 2003-02-26 동축케이블용 전기커넥터 조립체 KR100964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028002P 2002-02-27 2002-02-27
US60/360,280 2002-02-27
US10/191,136 US6736653B2 (en) 2002-02-27 2002-07-09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coaxial cables
US10/191,136 2002-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528A KR20030071528A (ko) 2003-09-03
KR100964454B1 true KR100964454B1 (ko) 2010-06-16

Family

ID=2776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030A KR100964454B1 (ko) 2002-02-27 2003-02-26 동축케이블용 전기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36653B2 (ko)
EP (1) EP1351341B1 (ko)
JP (1) JP4172696B2 (ko)
KR (1) KR100964454B1 (ko)
BR (1) BR0300483A (ko)
CA (1) CA2419352C (ko)
DE (1) DE6032728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8911B2 (en) * 2004-03-02 2006-01-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KR200447913Y1 (ko) * 2007-12-26 2010-03-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하우징 이탈방지 커넥터
KR101540809B1 (ko) 2008-10-09 2015-07-30 타이코에이엠피(유)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JP5615318B2 (ja) * 2012-04-19 2014-10-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D883932S1 (en) * 2018-10-03 2020-05-12 Xiamen Ghgm Industrial Trade Co., Ltd. Electrical connector plastic shell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7379A (en) 1997-02-10 1999-12-28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10021452A (ko) * 1999-08-30 2001-03-15 루이스 에이. 헥트 동축 케이블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EP1154526A2 (en) 2000-05-08 2001-11-14 SMK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plug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60010343A1 (en) * 1991-04-01 2006-01-12 Atsushi Tanaka Data re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wherein timing of data of data reconstruction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when a failure occu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8184A (en) * 1978-03-06 1979-02-06 Amp Incorporated Terminating means for a multi-wire cable
JP3278047B2 (ja) * 1997-08-18 2002-04-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0343A1 (en) * 1991-04-01 2006-01-12 Atsushi Tanaka Data re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wherein timing of data of data reconstruction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when a failure occurs
US6007379A (en) 1997-02-10 1999-12-28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10021452A (ko) * 1999-08-30 2001-03-15 루이스 에이. 헥트 동축 케이블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EP1154526A2 (en) 2000-05-08 2001-11-14 SMK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plug and method of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27280D1 (de) 2009-06-04
KR20030071528A (ko) 2003-09-03
JP2003257550A (ja) 2003-09-12
US6736653B2 (en) 2004-05-18
BR0300483A (pt) 2004-08-17
EP1351341A2 (en) 2003-10-08
JP4172696B2 (ja) 2008-10-29
EP1351341A3 (en) 2005-11-02
EP1351341B1 (en) 2009-04-22
CA2419352A1 (en) 2003-08-27
CA2419352C (en) 2010-01-26
US20030162425A1 (en) 200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3249B1 (en) A shielding terminal
US8043114B2 (en) Reduced-height wire to board connector
KR101540809B1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CN102856727B (zh) 用于连接器的致动器
KR101085707B1 (ko) 개선된 차폐성을 갖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100624582B1 (ko) 케이블 상호 접속 장치
US9882317B1 (en) Connector system with hybrid electrical connectors
US7785118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having a compensating tab
US4786260A (en) Electrical cable assembly
US20090318019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a coaxial cable
EP3046189B1 (en) Connector insert
KR102416333B1 (ko) 회전 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
KR100964454B1 (ko) 동축케이블용 전기커넥터 조립체
US20010008816A1 (en) Cable end connector having accurately positioned connection terminal therein
CN109831928B (zh) 同轴连接器组件
US20090318021A1 (en) Ultraminiature coax connector
CN110492268B (zh) 同轴电缆的连接座及连接结构
US11812576B2 (en) Socket connector for a power connector system
US20230114958A1 (en) Panel mount electrical connector
CN115693224A (zh) 用于连接器系统的插座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