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679B1 - Display method of a virtual screen by movement of hand helded information equipment - Google Patents

Display method of a virtual screen by movement of hand helded information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679B1
KR100963679B1 KR1020070112106A KR20070112106A KR100963679B1 KR 100963679 B1 KR100963679 B1 KR 100963679B1 KR 1020070112106 A KR1020070112106 A KR 1020070112106A KR 20070112106 A KR20070112106 A KR 20070112106A KR 100963679 B1 KR100963679 B1 KR 100963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scree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display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1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40614A (en
Inventor
희 한
Original Assignee
희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 한 filed Critical 희 한
Publication of KR20080040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6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6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의 제약성을 극복하고 확대된 가상화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정된 디스플레이 상에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각종 입력 수단에 의하여 가상화면을 이동시켜 사용하던 종래의 개념을 반대로 적용하여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소자를 공간적으로 이동 시 정보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정보단말기가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창에 필요한 가상화면 영역을 이동하거나 확대/축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돋보기로 신문을 읽듯이 디스플레이 창을 실제로 필요한 만큼 움직여 가상화면의 다른 영역을 보거나 확대/축소할 수 있게 해 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자연스럽게 가상화면의 정보를 읽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소자의 이동 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3차원 자이로 센서 또는 함께 장착된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display siz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provide an enlarged virtual screen, the conventional concept of moving the virtual screen by various input means such as a mouse or a keyboard on a fixed display is reversed. This is a method of moving or enlarging / reducing the virtual screen area required for the display window by recognizing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terminal when th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s spatially move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read the virtual screen more naturally since the display window can be moved as much as necessary to read or enlarge / reduce other areas of the virtual screen as if the newspaper is read with a magnifying glass. In addition, in order to recogniz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image information of a 3D gyro sensor or a camera mounted together may be used.

가상화면, 정보단말 이동, 마우스 이동, 확대, 축소 Virtual screen, information terminal movement, mouse movement, enlargement, reduction

Description

정보단말기의 이동에 의해 가상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DISPLAY METHOD OF A VIRTUAL SCREEN BY MOVEMENT OF HAND HELDED INFORMATION EQUIPMENT }DISPLAY METHOD OF A VIRTUAL SCREEN BY MOVEMENT OF HAND HELDED INFORM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소자를 움직여 가상화면을 이동/확대/축소하고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소자의 이동에 의해 가상 화면을 이동/확대/축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technology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by moving a display element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o move / enlarge / reduce a virtual screen and move a virtual screen by moving a display element that moves a mouse cursor. It relates to a method of zooming in and out.

최근 들어, 휴대가 가능한 정보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유무선 통신 수단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have become widespread and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have been rapidly developed, the multimedia service market providing various multimedia information using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s been rapidly expanding.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현재 널리 사용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는 휴대의 간편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형 디스플레이 소자를 사용하고 있다. 즉, 디스플레이 소자의 크기가 커지면 정보 가독률은 향상되지만, 무게와 크기의 증가로 인해 휴대의 간편성은 저하되므로 불가피하게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Despite the expansion of such multimedia services,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which are widely used at present, use small display elements in order to maintain portability. In other words, as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increases, the readability of the information improves, but since the ease of portability de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weight and size, the display device of the small size is inevitably used.

그런데 이 같은 소형 디스플레이 소자를 사용할 경우 단위 픽셀의 크기가 제한되어 가시 화면의 해상도가 크게 떨어지고, 이는 사용자의 정보 가독률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예컨대, 핸드폰의 경우는 아주 열악한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웹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웹상의 사진이나 기타 정보의 해상도를 별도의 WAP 규격으로 전환해야 하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However, when such a small display device is used, the size of the unit pixel is limited and the resolution of the visible screen is greatly reduced, which is a major factor in reducing the readability of the user. For example, a mobile phone has a difficulty in converting a resolution of a photo or other information on a web into a separate WAP standard in order to provide web information in a very poor display environment.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단위 픽셀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물리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의 기술로는 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물리적 한계에 직면하고 있고, 실제로 고해상도, 예를 들면 1024 X 768의 휴대용 디스플레이소자를 고가로 개발하여도 사람의 눈으로 작은 물체와 글자를 읽는 것이 어려운 문제를 가지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physical approach to minimizing the size of a unit pixel is attempted, but current technology faces a physical limitation to overcome this problem, and in reality, a high resolution, for example, a portable device of 1024 X 768 Even if the display device is developed at high cost, it is difficult to read small objects and letters with human eyes.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해상도가 확대된 가상 화면을 만들고 마우스나 키보드의 조작을 통하여 가상 화면을 디스플레이 창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어 과거 휴대용 노트북에 적용된 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키보드나 마우스의 조작으로 소형 화면에 확대된 가상 화면을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조작의 불편함과 가상화면 사이의 이동 시에 부자연스러운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display screen, a technology for creating a virtual screen of which the resolution has been expanded in software and moving the virtual screen to the display window through the operation of a mouse or a keyboard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portable notebook in the past. However, such a conventional method has an advantage of showing an enlarged virtual screen on a small screen by manipulating a keyboard or a mouse, but there is an uncomfortable operation and an unnatural problem when moving between virtual screens.

종래에 소형 디스플레이 화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해상도가 확대된 가상 화면을 만들고 마우스나 키보드의 조작을 통하여 가상 화면을 디스플레이 창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은 모니터가 고정된 상태에서 가상화면을 이동시키려는 발상에 의한 기술적 구현이었다. 그러나 현재의 휴대용 정보단말기는 과거의 노트북이나 모니터와는 달리 정보단말기 자체가 소형 경량화되어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점에 착안하여 휴대용 정보단말기에 적합하도록 과거의 개념을 반대로 적용한 것이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mall display screen, the technology of creating a virtual screen with the enlarged resolution in software and moving the virtual screen to the display window by operating a mouse or keyboard is intended to move the virtual screen while the monitor is fixed. It was a technical implementation based on the idea. However, the present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nlike the notebook or monitor of the past, since the information terminal itself is light and compact and can be easily mov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pt of the past is reversely applied to be suitable for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돋보기로 신문을 볼 때와 같이 가상의 대상 화면을 정지시키고, 디스플레이소자가 부착된 정보단말기 자체를 움직여 가상화면의 필요한 부분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창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마우스 커서에 원하는 가상화면을 위치시켜 클릭 버튼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정보단말기 이동에 의한 가상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stops the virtual target screen, such as when viewing a newspaper with a magnifying glass, and displays the contents of the required portion of the virtual screen by moving the information terminal itself attached to the display eleme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isplaying a virtual screen by moving an information terminal for placing a desired virtual screen on a mouse cursor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display window and displaying information desired by a user by operating a click butt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 가능한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이 작아 가독성이 떨어지는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확장된 해상도의 가상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함에 있어 가상화면을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 자체를 공간적으로 이동시켜 가상화면 상의 필요영역을 볼 수 있게 하는 가상화면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의 기준위치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의 전,후 이동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가상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제 2 단계;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의 상,하,좌,우 이동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가상화면을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제 3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screen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at is small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poor readability.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virtual screen providing method for moving a display window itself of the information terminal spatially so that a required area on a virtual screen can be viewed,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a reference position of a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before and after movement information of the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 enlarge or reduce the virtual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And a third step of determining up, down, left, right movement information of the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nd moving the virtual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up, down, left, and right. It features.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정보단말기가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가상화면을 확대하고,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가상화면을 축소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정보단말기가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가상화면을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가상화면을 우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가상화면을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가상화면을 하측으로 이동한다. In the second step, when the information terminal moves forwar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he virtual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is enlarged, and when moved backwar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he information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When the information terminal is moved to the lef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he third step is to move the virtual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to the left and to the righ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hen the virtual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is moved to the right side, and moves upwar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he virtual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moves to the upper side, and when moved downwar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Virtualization displayed in the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Move the face downward.

또한 상기 제 2 단계 또는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정보단말기를 움직일 수 있는 공간 범위와, 그에 따른 가상화면의 해상도 범위를 사전에 설정하고, 상기 정보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더 이상의 가상화면의 변화를 정 지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화면의 테두리에 디스플레이소자가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In addition, the second step or the third step, the space range in which the information terminal can be moved, and the resolution range of the virtual screen according to the previously set, and if the position of the information terminal is out of the set range, By stopping the change in the virtual screen, the user is informed that the display device is located at the edge of the virtual screen.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가상화면을 이동시키지 않고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 자체를 공간적으로 이동시켜 가상화면 상의 필요영역을 볼 수 있게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할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소자;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수단;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설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위치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현재 위치를 디스플레이소자의 기준위치로 설정하고,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위치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현재의 위치를 상기 기준위치와 비교하여 상,하,좌,우 이동 거리와, 전,후 이동 거리를 산출하여 전,후 이동시에는 전,후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소자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가상화면을 확대 혹은 축소시키고, 상,하,좌,우 이동시에는 상기 상,하,좌,우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소자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가상화면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감지수단은 자이로 센서나 카메라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o move the display window itself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spatially without moving the virtual screen to view the required area on the virtual screen, the display, A memory storing content data to be performe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osition sensing means for sensing a position; Input means; When a setting key is input from the input means, the current position input from the position sensing means is set as a reference position of a display element, and if movement is detected, the current position detected from the position sensing means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position. Calculate the down, left, right movement distance and the front and rear movement distance, and when moving forward and backward, enlarge or reduce the virtual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ovement distance before and after, When the right movement,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o move the virtual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up, down, left, right moving distance up, down, left, right . The position detecting means is a gyro sensor or a camera.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하는 다른 실시예의 방법은 마우스 커서를 디스플레이 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고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소자를 이동시켜 마우스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소자의 소정 위치를 마우스 커서의 위치로 고정 설정하는 단계; 커서의 이동이 필요할 경우 상 기 디스플레이소자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에 고정 설정한 커서 아래로 가상화면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고정된 커서가 가상화면 상의 클릭 바 위로 위치하면 상기 클릭 바에 커서가 위치하는 것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화면 상의 클릭 바 위에 위치한 커서를 클릭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입력수단을 클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another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mouse curs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play element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o realize the mouse function by fixing the mouse cursor to a specific position on the display and moving the display element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Setting fixed to the position of; Moving the display device up, down, left, and right to move the virtual screen below the cursor fixed to the display when the cursor needs to be moved; Indicating that the cursor is positioned on the click bar when the cursor fixed on the display is positioned over the click bar on the virtual screen; And clicking the input means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o click the cursor located on the click bar on the virtual screen.

본 발명은 종래에 가상화면의 다른 영역을 디스플레이 창으로 마우스나 키보드 조작으로 이동시켰던 것에 비하여 디스플레이 창을 실제로 필요한 만큼 움직여 가상화면의 다른 영역을 볼 수 있게 해 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앞에 펼쳐진 가상화면을 창을 움직여 보는 듯한 실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view the virtual screen unfolded in front of the user by moving the display window as much as necessary to view another area of the virtual scree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ovement of another area of the virtual screen to the display window by mouse or keyboard operation. It can make you feel as if you are moving.

또한 본 발명은 첫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를 가상화면으로 확대하여 주므로 보다 넓은 공간에 메뉴나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을 핸드폰에 적용 시에는 디스플레이소자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넓은 화면상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돋보기로 신문을 읽듯이 정보단말기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확장된 가상화면을 연속적으로 보여 줄 수 있고, 화면확대 및 축소가 필요시에는 정보단말기를 단순히 사용자의 전면으로 내밀어 주거나 당겨 주는 동작만으로 화면의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므로 사람이 일상에서 물건이나 정보를 얻는 방법과 매우 유사한 수준의 자연스러움을 제공한다. 셋째, 본 발명은 상기의 기능 이 별도의 키 조작이 없이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넷째,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한 정보단말기에서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 없이 정보단말기의 움직임을 식별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가상 마우스나 가상 키패드에 적용하여 정보단말기의 마우스나 키패드를 대신할 수 있어 장비의 소형화/경량화를 가능하게 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display window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expands it to a virtual screen, thereby allowing a menu or variou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a wider space. Therefor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bile phone,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a wide screen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Second,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show the extended virtual screen in conjunction with the user's movement to move the information terminal up, down, left, right as if reading a newspaper with a magnifying glass, information when screen enlargement and reduction is necessary The screen can be enlarged and reduced by simply pushing or pulling the terminal to the front of the user, thus providing a level of naturalness very similar to how a person gets things or information in everyday life. Thir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the user's natural movement without a separate key operation. Fourth, the present invention can identify the movement of the information terminal without additional hardware in the information terminal using the camera can be implemented at low cost. Fift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irtual mouse or a virtual keypad can replace the mouse or keypad of the information terminal, enabling the miniaturization / lightening of the equipment and can reduce the cost.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The technical problems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이동정보를 이용한 가상화면 표시방법1. Display method of virtual screen using mobile information of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동시켜 가상화면의 다른 영역을 화면에 나타내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moving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display another area of a virtual screen on a screen.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40)가 정보단말기(10)를 기준위치로부터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면 정보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창(20)에서 보여지는 가상화면(30)의 영역이 상,하,좌,우로 이동되고, 사용자(40)로부터 멀어지도록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가상화면(30)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 창(20)에 표시되며 사용자에게 가까이 후방으로 당기면 가상화면(30)이 축소되어 디스플레이 창(20)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user 40 moves the information terminal 10 up, down, left, or right from a reference position, the virtual screen shown in the display window 20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s shown. If the area of 30 is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and moved forward to move away from the user 40, the virtual screen 30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20, and when the user pulls back close to the virtual The screen 30 is reduced so that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20.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은 위치인식기능이 있는 정보단말기이고, 참조번호 20은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이며, 참조번호 30은 가상화면이다. Referring to FIG. 1, reference numeral 10 is an information terminal having a location recognition function, reference numeral 20 is a display window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reference numeral 30 is a virtual screen.

현재까지는 디스플레이 창의 크기 안에 전체 화면을 띄어 놓고 사용하여 왔다. 예를 들면, 핸드폰의 경우는 240 X 320 픽셀의 해상도를 갖는 QVGA 그래픽 디스플레이소자를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그래픽 드라이버와 메모리를 이용하여 보다 넓은 가상화면(30)을 (예를 들면, 1024 X 768 픽셀) 메모리에 저장하여 놓고, 정보단말기(10)의 이동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위치의 240 X 320 픽셀 만큼의 가상화면 영역을 디스플레이(20)의 창에 표시하도록 한다.Until now, the entire screen has been used in the size of the display window. For example, a mobile phone uses a QVGA graphics display with a resolution of 240 x 320 pixel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a wider virtualization screen 30 is stored in a memory (for example, 1024 X 768 pixels) by using a graphic driver and a memory, and a moving position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s stored. The virtual screen area corresponding to 240 x 320 pixels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recognized and displayed on the window of the display 20.

이러한 본 발명은 마치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소자(20)가 이동한 위치의 공간에 가상화면(30)이 존재하는 것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소자(20)의 크기의 증가나 해상도 증가를 위한 물리적 투자 없이 사용자(40)의 전면에 가상화면(30)을 전개하여 놓고 사용자가 휴대용 정보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소자(20)를 돋보기 창처럼 사용하여 이동하므로서 실제 디스플레이소자의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의 가상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확대된 가상화면(30)의 크기는 디스플레이소자(20)를 사용자(40)의 전면으로 내민 거리에 비례하도록 설정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as if the virtual screen 30 is present in the space of the position where the display device 20 of the information terminal is moved. Therefore, the virtual screen 30 is deployed on the front of the user 40 without the physical investment for increasing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20 or increasing the resolution, and the user magnifies the display device 20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10. By moving like a window, a virtual screen with a resolution larger than that of an actual display device can be provided to a user.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enlarged virtual screen 30 is set to be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the display device 20 extends toward the front of the user 40.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본래의 디스플레이보다 고해상도의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소자의 전,후 이동에 따른 가상화면 축소/확대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virtual screen reduction / enlargement concep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display device before and after a display device having higher resolution than that of an original display is stored in a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은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Rd를 나타내고, 2는 가상화면의 해상도 Rv를 나타내며, 3은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의 해상도 Rc를 나타낸다. 그리고 4는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의 해상도보다 확대시켜 나타내는 확대 가상화면 영역이고, 5는 축소시켜 나타내는 축소 가상화면 영역이다.2,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resolution Rd of a display, 2 denotes a resolution Rv of a virtual screen, and 3 denotes a resolution Rc of content stored in a memory. 4 is an enlarged virtual screen area shown enlarged than the resolution of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and 5 is a reduced virtual screen area shown reduced.

실제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의 해상도보다 나타내는 가상화면(30)의 크기가 작은 경우, 즉 사용자에 가까운 축소 가상화면영역(5)에서는 디스플레이소자(20)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의 실제 해상도를 축소하여 제한된 디스플레이창(20)에 표시하고, 반대로 실제 컨텐츠의 해상도보다 더 큰 해상도의 가상화면을 사용할 때(확대 가상화면영역 4 )는 디스플레이소자(20)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의 해상도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소자(20)에 나타내어 사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virtual screen 30 is small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physical memory, that is, in the reduced virtual screen area 5 close to the user, the display is limited by reducing the actual resolution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20. When displayed on the window 20 and using a virtual screen having a larger resolution than the actual content resolution (enlarged virtual screen area 4), the display device 20 is enlarged by expanding the resolution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20. Can be used.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의 해상도를 Rc(3)라고 하고, 디스플레이소자의 해상도를 Rd(1), 사용자(40)가 디스플레이소자(20)를 전,후로 이동하여 선택하는 가상화면의 해상도를 Rv(2)라고 하면, 디스플레이소자(20)가 최초의 위치인 d1의 위치에 있을 때는 Rd(1)의 해상도에 Rc(3)의 화면을 축소하여 전체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의 축소 비율은 Rc/Rd=kL (k는 사용자의 환경설정을 위한 비례상수, L은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의 해상도에 해당하는 위치인 d2와 최초의 디스플레이소자의 위치인 d1과의 거리)이다. 예를 들어, k가 2이고, 컨텐츠의 해상도가 디스플레이소자(20)의 해상도 보다 10배의 해상도라면 축소 비율은 10이고 거리 L은 5 센치가 된다. 또한 d ≤ L 이면 가상화면의 해상도는 Rv=Rc/k(L-d)가 되고, d > L 이면 Rv=Rc(d-L)*k 가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소자(20)에 표시 가능한 가상화면의 영 역은 Rd/Rv 만큼만 보여주게 되므로 디스플레이소자(20)를 상,하,좌,우로 이동하므로써 나머지 영역을 볼 수 있게 된다. 만약, 컨텐츠의 해상도 Rc(3)가 디스플레이소자의 해상도 Rd(1)와 같다면 디스플레이소자의 위치는 d2와 같으므로 디스플레이소자를 사용자의 전방으로 움직인다는 것은 디지털적인 확대를 하는 영역(4)에서만 작동하는 경우가 된다.The resolution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is called Rc (3),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Rd (1), and the resolution of the virtual screen that the user 40 selects by moving the display device 20 back and forth is Rv (2). ), When the display element 20 is at the position d1 which is the first position, the entire screen is displayed by reducing the screen of Rc (3) at the resolution of Rd (1). At this time, the reduction ratio is Rc / Rd = kL (k is a proportionality constant for the user's preference, L is the distance between d2, which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and d1,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first display element). . For example, if k is 2 and the resolution of the content is 10 times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element 20, the reduction ratio is 10 and the distance L is 5 cm. If d ≦ L, the resolution of the virtual screen is Rv = Rc / k (L-d), and if d> L, Rv = Rc (d-L) * k. At this time, the area of the virtual screen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 shows only Rd / Rv, so that the remaining area can be seen by moving the display device 20 up, down, left, and right. If the resolution Rc (3) of the content is equal to the resolution Rd (1) of the display elemen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element is the same as d2. Therefore, moving the display element to the front of the user is only possible in the area of digital enlargement 4. It works.

실제로 본 발명의 방법을 정보 단말기에 적용하는 경우에 가상화면을 무한정 확대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므로 최대로 확대한 가상화면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소자(20)를 상,하,좌,우로 이동 시에 가상화면의 모서리를 벗어난 영역은 의미가 없으므로 디스플레이소자(20)가 가상화면의 모서리에 다다르면 화면의 이동을 정지시켜 더 이상의 화면이 없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즉, 사전에 설정된 영역 A,B,C,D를 벗어난 영역에서는 화면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In fact, in the case wher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nformation terminal, it is not meaningful to extend the virtual screen indefinitely. In addition, when moving the display device 20 up, down, left, or right, the area outside the edge of the virtual screen is meaningless, and when the display device 20 reaches the edge of the virtual screen, the screen stops moving and no more screens are displayed. It will be necessary to inform the user that there is no. That is, it is necessary to stop the movement of the screen in an area outside of the areas A, B, C, and D set in advan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최초 설정 후 디스플레이소자의 위치 변화에 따른 화면 배율산정 및 화면 표시 절차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screen magnification calculation and a screen display procedure according to a change in position of a display device after initial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최초 사용 시에 기준위치와 운영 거리 L과 최대 확대 비율을 설정한다(S1). 정보단말기의 평소 다른 사용 시의 계산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버튼 스위치나 키보드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시작을 선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user sets the reference position, the operating distance L, and the maximum magnification ratio at the first use (S1). In order to reduce the computational load in the usual use of the inform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start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a button switch or a keyboard.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능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소자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는 모듈을 작동시켜 이를 프로세서에 통보하고, 프로세서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소자의 거리의 변화에 따른 화면의 비율과 상,하,좌,우 변화에 따른 가상화면 에서의 디스플레이소자의 위치를 계산한다(S2,S3).When the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a module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element is operated and notified to the processor, and the processor changes the ratio of the screen and the up, down, left,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on the virtual screen according to the right change (S2, S3).

그리고 이 정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제어기가 메모리에 위치한 컨텐츠의 일부분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소자에 보내어 표시하도록 한다(S4,S5). Using this information, the display controller enlarges or reduces a portion of the content located in the memory and sends it to the display device for display (S4, S5).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소자를 사용자의 앞으로 내밀면 보다 확대된 가상화면의 일부분이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나타나게 함으로써 창에 보이는 화면의 확대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창을 사용자의 앞으로 당기면 덜 확대된 가상화면의 일부를 창을 통하여 보여 주므로써 마치 화면이 축소되어 보여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전면에 거리에 비례한 가상 화면을 신문처럼 만들어 놓고, 마치 돋보기로 신문을 보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면을 이동 및 확대시켜 보게 되므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소형 디스플레이소자로 인한 가독성의 제약이라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한다. When the display device of the information terminal is pushed out in front of the user through the above method, a portion of the enlarged virtual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ereby providing an enlargement effect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window. Likewise, when the display window is pulled in front of the user, a part of the less enlarged virtual screen is shown through the window, so that the screen can be reduced in siz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kes a virtual screen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in front of the user like a newspaper, and moves and enlarges the screen in the same manner as viewing a newspaper with a magnifying glass. It can overcome the disadvantage of readability limitation.

2. 휴대용 정보단말기가 디스플레이소자의 이동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2. Method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o recognize movement information of display device

가. 3차원 공간위치 인식을 위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방법end. Method using gyro sensor for 3D spatial position recogni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자이로 센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가상화면을 제공하는 정보단말기의 구성 블럭도로서, 가상화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휴대용 정보단말기에 자이로 센서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예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of an information terminal providing a virtual screen us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gyro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xample of using a gyro sensor attached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o provide a virtual scree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단말기는 현재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신호를 제공하는 자이로 센서(11), 프로세서(12),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3), 디스플레이 제어기(14), 입력부(18), 디스플레이(2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yro sensor 11, a processor 12, and a memory 13 storing display data for providing a position signal for detecting a current position. ), A display controller 14, an input unit 18, and a display 20.

자이로 센서(11)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프로세서(12)에 전송하고, 프로세서(12)는 이를 가공하여 디스플레이소자의 위치정보를 계산하고, 이 계산결과를 디스플레이 제어기(14)에 전송하므로써 메모리(13)에 저장된 보다 고해상도 화면 데이터의 일부를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한다. 이러한 제1 실시예의 정보단말기(10)는 정확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자이로 센서 부착에 따른 가격과 부피 및 무게의 상승을 감수하여야 한다.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yro sensor 11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2, and the processor 12 processes it to calculat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element, and transmits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to the display controller 14 to the memory 13 A portion of the higher resolution screen data stored i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20. The information terminal 10 of the first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identifying the correct position, but should bear the increase in price, volume and weight due to the gyro sensor attached.

나. 휴대용 정보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법I. How to use the camera attached to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인식한 후 가상화면을 제공하는 정보단말기의 구성 블럭도로서, 평시에 사용하지 않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소자의 위치 이동 정보를 식별하는 예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terminal providing a virtual screen after recognizing positional information us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ample of identifying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of a display device using a camera which is not normally used.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단말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7), 제어기(16), 전용신호처리장치(15), 프로세서(12), 메모리(13), 디스플레이 제어기(14), 입력부(18), 디스플레이(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17, a controller 16, a dedicated signal processing device 15, a processor 12, a memory 13, and a display controller. 14, an input unit 18, and a display 20.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17)로부터 입력된 정보는 영상처리를 위하여 전용신호처리장치(15)를 거쳐 메모리(13)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는 위치정보 식별요구가 정보단말기의 버튼 등의 입력부(18)에 의하여 프로세서(12)에 통보되면 프로 세서(12)는 아래의 기능을 갖는 전용신호처리 장치(15)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가동시켜 디스플레이소자의 위치정보를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획득한다.Referring to FIG. 5,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camera 17 is stored in the memory 13 via the dedicated signal processing device 15 for image proces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request is notified to the processor 12 by the input unit 18 such as a button of the information terminal, the processor 12 operates the dedicated signal processing device 15 or software module having the following function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method.

1) 2차원 평면에서의 상,하,좌,우 이동 식별1) Identification of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 in 2D plane

카메라(17)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일정 시간 간격(또는 프레임 단위)으로 화면을 캡쳐하여 상호 비교를 하고, 이를 통하여 이동의 방향을 도출한다. 이를 위한 영상처리 방법의 한가지 실시 예는 도 6에서와 같이 기준 영상의 중심영역에 비교를 위한 N X M 개의 픽셀 크기의 기준 이미지 창(22)을 선정하고(예; 5 X 5 픽셀 크기), 이 창을 비교 영상(23) 위에서 차례대로 이동하면서 창의 크기 만큼의 비교영상과 기준영상의 차이를 도출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값 중에서 가장 작은 차이값을 갖는 위치와 기준 영상의 중심 위치와의 거리가 디스플레이소자가 시간 간격 동안에 이동한 방향과 거리(24)를 나타낸다. 이 방법은 이미지 처리 기술상의 상관관계분석(2차원 Correlation) 기법에 해당된다. 즉, 비교 이미지를 Y(i,j), 기준 이미지를 X(n,m)이라고 하면 2차원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데이터 W(i,j)는 다음 수학식 1과 같다.An image input from the camera 17 is captur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or frame units) to compare the screens, and thus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derived. One embodiment of the image processing method for this purpose is to select a reference image window 22 of NXM pixel size for comparison to the center region of the reference image as shown in Fig. 6 (e.g., 5 X 5 pixel size), this window While moving sequentially from the comparison image 23 to deri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ison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s much as the size of the window.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having the smallest difference value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reference image among the values thus obtained indicates the direction and distance 24 in which the display element is moved during the time interval. This method corresponds to the two-dimensional correlation technique in image processing technology. That is, assuming that the comparison image is Y (i, j) and the reference image is X (n, m), the resultant data W (i, j) of the two-dimensional correlation analysis is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W(i,j)=∑∑[Y(n+i,m+j)-X(n,m)], [ ]는 절대값W (i, j) = ∑∑ [Y (n + i, m + j) -X (n, m)], where [] is an absolute value

단, ∑은 각각 n과 m에 대하여 기준 이미지 픽셀의 가로 세로 픽셀 수 N, M 만큼 한다. 이러한 이동정보 식별은 획득되는 영상의 앞, 뒤 프레임에 계속적으로 적용하므로써 연속적인 위치 이동 정보를 식별하게 할 수 있다.However, Σ is equal to the number of horizontal and vertical pixels N and M of the reference image pixel for n and m, respectively. Such movement information identification can be continuously applied to the front and rear frames of the acquired image to identify continuous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2) 디스플레이소자의 사용자 앞, 뒤로의 이동 식별2) Identification of movement in front of and behind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기준영역을 설정하고 이를 비교 영상과 비교하여 전방으로 위치 이동 정보를 식별하는 사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기준 영상의 중심영역에 비교를 위한 N X M 개의 픽셀 크기의 기준 이미지 창(22)을 선정하고, 이 창을 비교 영상(23) 위에서 차례대로 이동을 하면서 창의 크기 만큼의 비교영상과 기준영상의 차이를 도출한다.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reference region and comparing the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forward by comparing the reference region with the comparison image. A reference image window 22 of NXM pixel size is selected for comparison in the center region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window is moved in order on the comparison image 23,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ison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s much as the window size is determined. To derive.

정보단말기(10)에 부착된 카메라(17)가 앞뒤로 움직이면 입력되는 영상은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확대/축소된 이미지가 입력된다. 따라서 비교 이미지를 점진적으로 축소/확대하면서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면 차이가 가장 적은 상태의 이미지 확대/축소 상태가 디스플레이소자의 전후 이동 정보를 가리킨다.When the camera 17 attached to the information terminal 10 moves back and forth, an image that is enlarged / reduced from the center of the screen is input to the input image. Therefore, when the comparison image is gradually reduced / enlarged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image, the image enlargement / reduction state of the state with the smallest difference indicate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information of the display element.

기준 이미지 창의 크기나 확대/축소를 정밀하게 하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계산량의 증가로 인한 하드웨어에서의 계산 소요시간이 영상 간의 시간 간격 이내에 드는 범위에서 창의 크기와 축소/확대 정밀도를 조절하여 적용하여야 함은 물론이다.If the size or zoom of the reference image window is precise, more accurate results can be obtained, but the adjustment of the window size and reduction / enlargement precision is applied within the range that the calculation time in hardware due to the increase of the calculation amount is within the time interval between images. Of course it should.

3. 디스플레이소자 이동정보로 가상 마우스와 키보드 구현 방법3. How to implement virtual mouse and keyboard with display device movement information

가. 가상 커서 사용 방법end. How to use virtual cursors

휴대용 정보단말기가 과거의 마우스 크기로 줄어들게 되므로서 주변 장치의 크기가 장비의 설계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가상화면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의 마우스와 키보드를 구현할 수 있다.As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have been reduced to the size of the mouse of the past, the size of peripheral devices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sign of the equipment.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virtual mouse and keyboard using the above-described virtual screen providing method.

첫째, 정보단말기(10) 디스플레이소자의 한곳(예;중앙)에 소프트웨어적으로 마우스 커서를 고정적으로 오버레이시킨다(50)(이하; 가상 커서). 단, 필요 시 이 가상 커서(50)는 디스플레이소자가 공간적으로 이동 시에만 나타나게 프로그래밍하므로써 평시 화면을 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정보단말기(10)를 이동시켜 나타난 가상화면(52) 안에서 클릭이 필요한 위치를 디스플레이 상의 가상 커서(53)(예;중앙) 아래에 오도록 한다. 세째, 정보단말기(10)에 위치한 버튼을 클릭하여 가상 커서(53)를 클릭한다.First, the mouse cursor is fixedly overlaid on one place (eg, the center) of the information terminal 10 display device 5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irtual cursor). However, if necessary, the virtual cursor 50 can be prevented from covering the normal screen by programming the display element to appear only when the display device is spatially moved. Second, the information terminal 10 is moved so that a position requiring a click in the virtual screen 52 shown below is under the virtual cursor 53 (eg, the center) on the display. Third, the virtual cursor 53 is clicked by clicking the button located on the information terminal 10.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디스플레이와 화면을 고정시키고, 마우스를 움직이던 종래의 개념을 반대로 적용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마우스 커서를 디스플레이소자의 한곳에 위치시키고 디스플레이소자를 이동시켜 가상화면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클릭이 필요한 곳을 가상 커서 아래로 이동시키는 새로운 방식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동일한 개념을 키보드나 키패드에 적용하여 키보드를 대치한 가상 키보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드폰이나 PDA 화면에 키패드를 나타내고 핸드폰이나 PDA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서 가상 커서 상에 필요한 키가 위치하게 하여 이를 클릭하므로써 물리적인 키패드를 대신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verse of the conventional concept of fixing the display and the screen, and moving the mous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oving the virtual screen by placing the mouse cursor in one pl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moving the display device, and moving the place where a click is required under the virtual cursor. In additio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irtual keyboard replacing a keyboard by applying the same concept to a keyboard or a keypad. For example, the keypad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mobile phone or PDA, and the mobile phone or PDA can be moved up, down, left, or right so that the required key is placed on the virtual cursor and clicked to replace the physical keypad.

나. 가상 커서를 위한 가상화면의 여분 설정방법I. How to configure extra virtual screen for virtual cursor

본 발명의 방법을 실제로 적용하기 위해 가상 커서를 디스플레이 상의 절대 위치인 한곳에 위치 시에 가상 화면을 이동시키면 가상화면의 변두리에 위치한 곳 은 가상 커서 아래로 이동시키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는 실제화면 밖에 여분영역을 가상화면상에 나타내어 디스플레이소자를 이동 시에 실제화면의 가장자리까지 가상 커서를 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가상화면상 여분의 공간을 위한 메모리 공간을 필요로 하고 화면의 모습을 부자연스럽게 할 수도 있다.In order to actually appl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irtual screen is moved at an absolute position on the display, it is difficult to move the virtual screen below the virtual cursor at the edge of the virtual screen.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n extra area is displayed on the virtual screen outside the actual screen so that the virtual cursor can be moved to the edge of the actual screen when the display device is moved. However, this method requires extra memory space for virtualization and can make the screen look unnatural.

가상화면의 여분공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보단말기를 사용자 앞으로 내밀어 가상화면을 확대하여 사용하면 디스플레이 변두리와 가상 커서 간의 거리 이격 효과가 줄어드므로 가상화면의 여분공간 폭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제 제품에 적용 시에는 4배 확대된 가상 화면에서는 디스플레이 폭의 1/4 만큼의 여분의 공간이면 화면의 변두리 까지를 중앙에 위치시킨 가상 커서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extra space of the virtual screen, the information terminal can be pushed out to the user to enlarge the virtual screen, thereby reducing the space separation effect between the display edge and the virtual cursor. For example, when applied to an actual product, in a virtual screen enlarged 4 times, if the extra space is 1/4 of the display width, the edge of the screen may be moved under the virtual cursor positioned at the center.

본 발명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르면 마우스나 키패드 등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대신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의 절감과 소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face device such as a mouse or a keypad can be replaced by software, thereby realizing a reduction in manufacturing cost,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다. 디스플레이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커서를 이동시켜 클릭 방법All. Click to move the virtual cursor using the display movement information

가상화면을 확대하지 않고 본래의 화면에서 가상 커서를 사용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소자의 이동 정보를 가상 커서에 연동시켜 가상 커서를 화면 위에서 이동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자체를 마우스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앞서 설명한 변두리를 가상 커서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여분의 공간을 부여 시의 단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창이 가상공간의 변두리를 나타내면 더 이상의 가상화면 이동을 중지하고, 이때부터는 가상 커서를 이동하게 하는 방법을 적용하므로써 앞서 설명한 가상화면의 여분의 공간을 나타내는 것을 대신하여 가상 커서로 화면의 변두리에 위치한 클릭 바를 클릭할 수 있게 해준다. 물론 이때 디스플레이 이동과 화면상의 가상 커서 이동 속도를 조절시키므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보완할 수 있다.When the virtual cursor is used in the original screen without enlarging the virtual screen, the display itself may be used as a mouse by moving the virtual cursor on the screen by linking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to the virtual cursor. This method can be used to eliminate the disadvantages of giving extra space to move the edges described above under the virtual cursor. That is, if the display window shows the edge of the virtual space, the virtual screen stops moving further, and from this point on, the virtual cursor moves the virtual cursor instead of indicating the extra space of the virtual screen. Allows you to click on the click bar located at. Of course,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supplemented by adjusting the display movement speed and the virtual cursor movement speed on the screen.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동시켜 가상화면의 다른 영역을 화면에 나타내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moving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different area of the virtual screen on the screen,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본래의 디스플레이보다 고해상도의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소자의 전후 이동에 따른 가상화면 축소/확대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virtual screen reduction / enlargement concept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a display device in a state where high resolution data is stored in a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최초 설정 후 디스플레이소자의 위치 변화에 따른 화면 배율산정 및 화면 표시 절차의 흐름도,3 is a flowchart of a screen magnification calculation and a screen display procedure according to a change in position of a display device after initial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자이로 센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가상화면을 제공하는 정보단말기의 구성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terminal providing a virtual screen us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gyro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인식한 후 가상화면을 제공하는 정보단말기의 구성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of an information terminal providing a virtual screen after recogniz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기준영역을 설정하고 이를 비교 영상과 비교하여 위치 이동 정보를 식별하는 사례를 도시한 개략도,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dentifying a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by setting a reference region and comparing the same with a comparison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기준영역을 설정하고 이를 비교 영상과 비교하여 전방으로 위치 이동 정보를 식별하는 사례를 도시한 개략도.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reference region and comparing the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forward by comparing the reference region with the comparison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소자에 가상 커서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고정 위치시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이동에 따른 가상 커서의 화면상의 이동을 예시한 개념도.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the virtual cursor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isplay movement in a state in which the virtual cursor is fixedly fixed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 정보단말기 11: 자이로 센서10: information terminal 11: gyro sensor

12: 프로세서 13: 메모리12: processor 13: memory

14: 디스플레이 제어기 15: 전용신호처리장치14: display controller 15: dedicated signal processing device

16: 제어기 17: 카메라16: controller 17: camera

20: 디스플레이소자 30: 가상화면20: display element 30: virtual screen

40: 사람40: person

Claims (9)

휴대 가능한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이 작아 가독성이 떨어지는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확장된 해상도의 가상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함에 있어 가상화면을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 자체를 공간적으로 이동시켜 가상화면 상의 필요영역을 볼 수 있게 하는 가상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readability due to the small display window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e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can be spatially moved without moving the virtual screen in displaying the extended resolution virtual screen on the display window. A method of displaying a virtual screen for viewing a desired area of an image,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의 기준위치를 설정하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setting a reference position of a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상기 정보단말기의 카메라에 포착되는 영상의 전, 후 방향의 위치 이동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의 전, 후 방향 이동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전, 후 방향 이동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가상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제 2 단계;Determining the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f the information terminal, extracting the forward and rear direction movement information of the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tracted front and rear movement information A second step of enlarging or reducing the virtual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상기 정보단말기의 카메라에 포착되는 영상의 상, 하, 좌, 우 방향의 위치 이동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의 상, 하, 좌, 우 방향 이동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상, 하, 좌, 우 방향 이동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는 가상화면을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3 단계;Determining the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f the information terminal to extract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movement information of the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A third step of moving the virtual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down, left and right movement information;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 소정 위치에는 마우스 커서가 고정되고, 상기 정보단말기의 일측에는 상기 마우스 커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클릭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정보단말기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가상화면 상의 클릭 바에 상기 마우스 커서를 위치시켜, 상기 클릭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클릭 바의 가상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4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단말기의 이동에 의해 가상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The mouse cursor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play window of the information terminal, and a click button for operating the mouse cursor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formation terminal, and the click bar on the virtual screen of the display window is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information terminal. Positioning a mouse cursor to display the virtual screen information of the click bar by operating the click button; and displaying the virtual screen by the movement of the inform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또는 제3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or third step, 상기 정보단말기를 움직일 수 있는 공간 범위와, 그에 따른 가상화면의 해상도 범위를 사전에 설정하고, 상기 정보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더 이상의 가상화면의 변화를 정지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화면의 테두리에 디스플레이 창이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단말기의 이동에 의해 가상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The space range in which the information terminal can be moved and the resolution range of the virtual screen are set in advance,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information terminal is out of the set range, the user stops the change of the virtual screen further so that the user can stop the virtual screen. And displaying the virtual screen by the movement of the information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112106A 2006-11-03 2007-11-05 Display method of a virtual screen by movement of hand helded information equipment KR10096367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060 2006-11-03
KR1020060108060A KR20070004466A (en) 2006-11-03 2006-11-03 The vilture screen and mouse curcer moving method by movement of the display of hand helded information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614A KR20080040614A (en) 2008-05-08
KR100963679B1 true KR100963679B1 (en) 2010-06-15

Family

ID=378706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060A KR20070004466A (en) 2006-11-03 2006-11-03 The vilture screen and mouse curcer moving method by movement of the display of hand helded information equipment
KR1020070112106A KR100963679B1 (en) 2006-11-03 2007-11-05 Display method of a virtual screen by movement of hand helded information equipment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060A KR20070004466A (en) 2006-11-03 2006-11-03 The vilture screen and mouse curcer moving method by movement of the display of hand helded information equipmen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070004466A (en)
WO (1) WO200805418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3076B2 (en) * 2008-02-01 2013-04-16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8195220B2 (en) 2008-02-01 2012-06-05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US9582049B2 (en) * 2008-04-17 2017-02-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based on user's gesture
KR20100048747A (en) * 2008-10-31 2010-05-11 한국과학기술원 User interface mobile device using face interaction
KR101527017B1 (en) * 2008-12-22 2015-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displaying broadcasting channel thereof
KR101596673B1 (en) * 2009-09-01 201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250201B1 (en) * 2009-09-22 2013-04-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using distance sensing
US10872454B2 (en) * 2012-01-06 2020-12-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nning animations
US9201625B2 (en) 2012-06-22 2015-12-0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ugmenting an index generated by a near eye display
CN104216634A (en) * 2014-08-27 2014-12-1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manuscript
KR101875425B1 (en) * 2018-03-19 2018-07-09 이민영 System for education golf using an augmented real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661A (en) * 2004-06-08 2005-12-13 이상백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in mobile terminal having restricted size display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20060084628A (en) * 2005-01-20 2006-07-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ccording to moving of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740B2 (en) * 1989-04-10 1996-11-13 株式会社東芝 Enlarged display method of trend graph
US6668177B2 (en) * 2001-04-26 2003-12-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rioritized icons in a mobile terminal
US6879331B2 (en) * 2002-10-03 2005-04-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enlarged virtual screen using dynamic zone-compression of screen content
KR20050092137A (en) * 2004-03-15 2005-09-21 차호석 Method for displaying image data using a mobile phon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661A (en) * 2004-06-08 2005-12-13 이상백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in mobile terminal having restricted size display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20060084628A (en) * 2005-01-20 2006-07-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ccording to moving of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466A (en) 2007-01-09
WO2008054185A1 (en) 2008-05-08
KR20080040614A (en)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679B1 (en) Display method of a virtual screen by movement of hand helded information equipment
JP5724543B2 (en) Terminal device, object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1255186A2 (en) Web browser user interface for low-resolution displays
US9026938B2 (en) Dynamic detail-in-context user interface for application access and content access on electronic displays
EP20535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visual appearance of at least one window when a resolution of the screen changes
US8723988B2 (en) U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to control magnification and capture of digital images by an electronic device
US7489321B2 (en) Using detail-in-context lenses for accurate digital image cropping and measurement
FI117488B (en) Browsing information on screen
US90718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ewing digital visual content on a device
KR20070026659A (en) Discontinuous zoom
JPH0713554A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
US20190147282A1 (en) Mobile surveillance apparatus, program, and control method
US9544556B2 (en) Projection control apparatus and projection control method
JP2006023953A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2006236013A (en) Environmental information exhibition device, environmental information exhibition method and program for the method
JP2004193933A (en) Image enlargement display method, its apparatus, and medium program
KR20150106330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11915671B2 (en) Eye gaze control of magnification user interface
JP4872396B2 (en) Image editing apparatus, image editing method, and image editing program
JP5523086B2 (en)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information presenting method, and program
US20070216762A1 (en) Video Device
CN107870703A (en) Method, system and the terminal device of full-screen picture displaying
JP5319867B2 (en)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EP284768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using a camera based device and device thereof.
JP67658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