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276B1 - Electrically-powered walker - Google Patents

Electrically-powered wal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276B1
KR100963276B1 KR1020080070782A KR20080070782A KR100963276B1 KR 100963276 B1 KR100963276 B1 KR 100963276B1 KR 1020080070782 A KR1020080070782 A KR 1020080070782A KR 20080070782 A KR20080070782 A KR 20080070782A KR 100963276 B1 KR100963276 B1 KR 100963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pillar
walker
drive
rod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73280A (en
Inventor
이선경
Original Assignee
이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경 filed Critical 이선경
Priority to KR102008007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276B1/en
Publication of KR20080073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2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2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4Position sensors
    • A61H2201/5066Limi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원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기는 기둥,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 바퀴, 상기 기둥의 하부와 상기 구동 바퀴를 연결하고, 상기 기둥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 바퀴의 구동을 제어하는 본체; 및 상기 기둥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운동 방향을 조정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노약자 및 유아 등의 보행이 불편한 사용자가 보행시 편안한 직립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lectric wal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llar, at least one driving wheel, a body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illar and the driving wheel,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by sensing the inclination of the pillar; A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and includes a handle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ain body, relates to a device for allowing a user, such as the elderly and infants who are uncomfortable to walk comfortably when walking.

Description

전동식 보행기{Electrically-powered walker}Electrically-powered walker

본 발명은 직립보행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노약자 및 유아 등이 보행 장치를 이용하여 보행시 편안한 직립보행 할 수 있도록 하고 유아의 경우 걸음마 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동식 보행기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rect walking aid, and the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walker that enables the elderly and infants to walk comfortably when walking using a walking device, and helps infants walk.

지팡이 같은 보행 보조장치는 노인용, 환자용, 유아용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이러한 보행 보조 장치는 수동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보행자가 보행 보조장치를 이동시킬만한 정도의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노인, 환자 또는 유아 등의 경우에 있어서는 보행 보조장치를 지속적으로 이동시킬만한 힘을 갖기가 어려우며, 이러한 힘의 소모로 인해 오랜 시간 동안 움직이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Gait aids such as canes are present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use of the elderly, patients, infants. Since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operates manually, the pedestrian needs a force enough to move the walking aid. However, in the case of the elderly, patients or infants, etc., it is difficult to have the power to continuously move the walking aid, there is a limit to moving for a long time due to the consumption of this pow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동시 사용자가 핸들에 체중을 의지하여 전진 보행하면 전동식 보행기가 지면과의 각도변화를 인지하고 구동바퀴를 정 회전시켜서 전동식 보행기가 정상 각도의 위치로 이동하고, 반대로 사용자가 후진 보행할 경우 전동식 보행기가 지면과의 각도변화를 인지하여 구동바퀴를 역회전시켜 결국 전동식 보행기는 항시 사용자의 체중을 최대한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user walks forward by relying on the weight of the steering wheel during operation, the electric walker recognizes the angle change with the ground and rotates the driving wheel forward to move the electric walker to the position of the normal angle,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walks backward, the motorized walker reverses the driving wheel by recognizing the change of the angle with the ground, so that the electric walker always supports the user's weight at all times.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보행기는 기둥,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 바퀴, 상기 기둥의 하부와 상기 구동 바퀴를 연결하고, 상기 기둥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 바퀴의 구동을 제어하는 본체; 및 상기 기둥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운동 방향을 조정하는 핸들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lectric wal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pillar, at least one driving wheel, a lower portion of the pillar and the driving wheel, and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pillar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 A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and includes a handle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상기 구동 바퀴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기둥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 상기 감지된 기울기에 따라, 상기 구동 전원을 사용해 상기 구동 바퀴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 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driving power of the driving wheel, a tilt detecting unit detecting a tilt of the pillar, and a driving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speed of the driving wheel using the driving power according to the detected tilt. An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driving wheels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ler.

상기 기울기 감지부는 로드 암, 상기 로드 암의 일측에 구비된 보조 바퀴 및 상기 로드 암과 결합하여 상기 기둥의 기울기 정도를 감지하는 볼륨 스위치를 포함한다.The inclination detector includes a rod arm, an auxiliary wheel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od arm, and a volume switch configured to detect an inclination degree of the pillar by combining with the rod arm.

상기 로드 암은 기울기 감지를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드 암은 샤프트를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d arm is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for detecting the tilt is formed. The rod arm is characterized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shaft as the axis.

상기 볼륨 스위치는 상기 로드 암의 상하 움직임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기둥의 기울기 정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lume switch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pilla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od arm.

상기 구동 바퀴는 웜 기어를 사용해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wheel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using a worm gear.

상기 본체는 상기 구동 바퀴가 2개 이상 일 때, 상기 구동 바퀴의 갯수에 대응하는 기울기 감지부 및 구동 모터를 각각 포함한다.The main body includes a tilt detection unit and a driving moto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driving wheels, respectively, when the driving wheels are two or more.

상기 전동식 보행기는 상기 핸들의 좌우 움직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The motorized walker further includes a rot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handle.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캠 및 상기 캠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핸들의 좌우 회전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한다.The rotation detecting unit includes a cam rotating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and one or more limit switches detect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hand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am.

상기 전동식 보행기는 상기 구동 제어부의 작동 개시 또는 구동 속도 조절을 지시하는 작동용 및 속도 조절용 버튼 및 상기 작동용 및 속도 조절용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 제어부의 작동 개시를 스위칭하는 작동 개시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The motorized walker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start switch for switching the operation start of the driv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and speed control button for instructing operation start or drive speed adjustment of the drive control unit and operation of the operation and speed control button. Include.

상기 기둥은 길이 조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ll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stage structure is adjustable in length.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보행에 따라 전동식 보행기가 전기적인 힘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진 및 후진과 좌회전 및 우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행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노인의 보행 보조, 환자의 재활 운동, 유아의 보행 연습용으로서 커다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electric walker to automatically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tur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user's walking, so that pedestrians can walk without effort, walking aid for the elderly It is very effective for rehabilitation exercise of patients, walking practice of infant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보행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lectric wal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외부 사시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lectric wal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보행기는 작동용 및 속도 조절용 버튼(10), 핸들(11), 기둥(12),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 바퀴(13, 14), 본체(15)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motorized walker includes a button 10 for operation and speed adjustment, a handle 11, a pillar 12, at least one driving wheel 13 and 14, and a main body 15.

작동용 및 속도 조절용 버튼(10)은 전동식 보행기의 작동 개시 또는 구동 바퀴(13, 14)의 구동 속도 조절을 지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작동용 및 속도 조절용 버튼(10)을 누를 경우에, 전동식 보행기의 작동을 개시하는 것으로 설계할 수 있다. 전동식 보행기의 작동을 개시하게 되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둥(12)의 기울어짐 또는 좌우 회전에 따라 전동식 보행기가 움직이게 된다.The actuation and speed adjustment buttons 10 serve to instruct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walker or the adjustment of the drive speed of the drive wheels 13 and 14. For example, when pressing the button 10 for operation and speed adjustment, it can design by starting operation of an electric walker. When the operation of the motorized walker is started, as described below, the motorized walker moves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r rotation of the pillar 12.

한편, 작동용 및 속도 조절용 버튼(10)은 버튼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구동 바퀴(13, 14)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동 제어부(140)에 지시한다. 이에 따라, 구동 제어부(140)는 구동 바퀴(13, 14)의 구동 속도를 조절한다.On the other hand, the button 10 for operation and speed adjustment instructs the drive control unit 140 to adjust the drive speed of the drive wheels 13 and 14 by rotating the button. Accordingly, the drive controller 140 adjusts the drive speed of the drive wheels 13 and 14.

핸들(11)은 기둥(12)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동식 보행기의 운동 방향을 조정한다. 핸들(11)을 좌측으로 회전시킬 경우에 전동식 보행기는 좌회전을 하게 되며, 핸들(11)을 우측으로 회전시킬 경우에 전동식 보행기는 우회전을 하게 된다. The handle 11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12, and adjust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electric walker. When the handle 11 is rotated to the left, the electric walker rotates left, and when the handle 11 is rotated to the right, the electric walker rotates to the right.

기둥(12)은 핸들(11)과 본체(15)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길이 조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를 갖는다.The pillar 12 is a component that connects the handle 11 and the main body 15, and has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length adjustment.

구동 바퀴(13, 14)는 본체(15)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동식 보행기의 전진 및 후진과 좌회전 및 우회전을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동 바퀴(13, 14)는 도 1에서 2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제작에 따라, 후술하는 도 7과 같이, 하나의 구동 바퀴를 구비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할 수도 있다. 구동 바퀴(13, 14)의 재질을 가벼운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The drive wheels 13 and 14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5 and are components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nd left and right rotations of the electric walker. Although two driving wheels 13 and 14 are provided in FIG. 1, the driving wheels 13 and 14 may include one driving wheel as illustrated in FIG. 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You may. The driving wheels 13 and 14 are made of light material.

본체(15)는 기둥(12)의 하부와 구동 바퀴(13, 14)를 연결하고, 기둥(12)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구동 바퀴(13, 14)의 구동을 제어한다. The main body 15 connects the lower portion of the pillar 12 and the driving wheels 13 and 14,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s 13 and 14 by sensing the inclination of the pillar 12.

도 2는 본체(15)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블록으로 도시한 블록도로서, 작동 개시 스위치(100), 회전 감지부(110), 기울기 감지부(120), 전원 공급부(130), 구동 제어부(140), 제1 구동 모터(150) 및 제2 구동 모터(160)를 포함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main body 15 in a block. The operation start switch 100, the rotation detecting unit 110, the tilt detecting unit 120, the power supply unit 130, and the driving unit are driven. The controller 140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150 and a second driving motor 160.

도 3은 작동 개시 스위치(100) 및 회전 감지부(110)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3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start switch 100 and a rotation detection unit 110.

작동 개시 스위치(100)는 작동용 및 속도 조절용 버튼(10)의 조작에 따라, 구동 제어부(140)의 작동 개시를 스위칭한다. 사용자가 작동용 및 속도 조절용 버 튼(10)을 누르면, 기둥(12)에 구비된 압축 스프링(200)이 압축된다. 압축 스프링(200)의 하부에는 스토퍼(204)와 함께 작동 개시 스위치(202)가 구비되어 있다. 작동 개시 스위치(202)는 압축 스프링(200)의 압축에 따라 온(on) 스위칭 된다. 이를 위해, 작동 개시 스위치(202)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동 개시 스위치(202)의 온(on) 스위칭 신호는 구동 제어부(140)로 전송되고, 구동 제어부(140)는 온 스위칭 신호의 수신에 의해 전동식 보행기의 작동을 개시한다.The operation start switch 100 switches the operation start of the driv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10 for operation and speed adjustment.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0 for operation and speed adjustment, the compression spring 200 provided in the pillar 12 is compressed. The lower part of the compression spring 20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start switch 202 together with the stopper 204. The actuation start switch 202 is switched on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200. To this end, the start switch 20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as a limit switch. The on switching signal of the operation start switch 202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control unit 140, and the driving control unit 140 start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walker by receiving the on switching signal.

회전 감지부(110)는 핸들(11)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사용자가 핸들(11)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 핸들(11)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회전 감지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1)의 조작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캠(206) 및 캠(206)의 움직임에 따라, 핸들의 좌회전 및 우회전을 각각 감지하는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208, 210)를 포함한다. 캠(206)이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리미트 스위치(208)가 온 스위칭되고, 캠(206)이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 리미트 스위치(210)가 온 스위칭된다. 제1 리미트 스위치(208)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210)가 온 스위칭되면, 온 스위칭된 신호가 구동 제어부(140)로 전송되고, 구동 제어부(140)는 제1 리미트 스위치(208)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210)의 온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제1 구동 모터(150) 또는 제2 구동 모터(160)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rotation detector 11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handle 11.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11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it detects the left turn or the right turn of the handle 11. To this end, as shown in FIG. 3, the rotation detecting unit 110 rotates the handle lef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am 206 and the cam 206 rotating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11. And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es 208 and 210 respectively detecting right turns. When the cam 206 is rotated to the right, the first limit switch 208 is switched on, and when the cam 206 is rotated to the left, the second limit switch 210 is switched on. When the first limit switch 208 or the second limit switch 210 is on-switched, the on-switch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rive control unit 140, and the drive control unit 140 may transmit the first limit switch 208 or the second limit switch 210.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motor 150 or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n switching signal of the limit switch 210.

기울기 감지부(120)는 기둥(12)이 전후로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한다. The tilt detection unit 120 detects the degree to which the pillar 12 is tilted back and forth.

도 4는 기울기 감지부(120)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4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scribing the tilt detector 12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 감지부(120)는 로드 암(300), 볼륨 스위치(306) 및 보조 바퀴(308)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the tilt detector 120 includes a load arm 300, a volume switch 306, and an auxiliary wheel 308.

로드 암(300)은 샤프트(302)를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로드 암(300)은 기울기 감지를 위한 홈(304)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기둥(12)이 앞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로드 암(300)은 샤프트(302)를 축으로 하여 위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기둥(12)이 수직 상태로 돌아오면, 로드 암(300)는 샤프트(302)를 축으로 하여 아래로 하강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The rod arm 300 is characterized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shaft 302 as an axis. In addition, the rod arm 300 has a groove 304 for inclination detection. For example, when the post 12 is tilted forward, the rod arm 300 is raised upward with the shaft 302 as the axis. In addition, when the pillar 12 returns to the vertical state, the rod arm 300 descend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shaft 302 and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볼륨 스위치(306)는 로드 암(300)의 상하 움직임의 크기에 따라, 기둥(12)의 기울기 정도를 감지한다. 로드 암(300)이 위로 상승하게 되면, 로드 암(300)의 홈(304)과 결합된 볼륨 스위치(306)는 로드 암(300)이 위로 상승하는 정도에 따라 구동 속도 제어용의 스위칭 단자 접속이 조절된다. 볼륨 스위치(306)가 기둥(12)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스위칭 단자의 접속을 차별함으로써, 구동 제어부(140)는 볼륨 스위치(306)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구동 속도를 제어한다. The volume switch 306 detects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pillar 12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od arm 300. When the load arm 300 rises up, the volume switch 306 coupled with the groove 304 of the load arm 300 has a switching terminal connection for driving speed control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load arm 300 rising up. Adjusted. By the volume switch 306 discriminating the connection of the switch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pillar 12, the driv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drive speed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signal of the volume switch 306.

보조 바퀴(308)는 로드 암(300)의 일측에 구비된다. 보조 바퀴(308)는 로드 암(300)과 연결되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보조 바퀴(308)는 기울기 판단을 위해 지면과 접촉해야 하는 로드 암(300)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auxiliary wheel 308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d arm 300. The auxiliary wheel 308 is designed to be freely rotatable in connection with the rod arm 300. Auxiliary wheels 308 are provided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the load arm 300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determine the tilt.

전원 공급부(130)는 구동 바퀴(13, 14)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30)는 충전기를 구비하여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supply unit 130 supplies power for driving the driving wheels 13 and 14. The power supply unit 130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harger to charge the power.

사용자가 작동용 및 속도 조절용 버튼(10)을 누르면, 작동 개시 스위치(100)가 온 스위칭되고, 온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제어부(140)는 전동식 보행기의 작동을 개시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0 for operation and speed adjustment, the operation start switch 100 is switched on, and in response to the on switching signal, the driving controller 140 starts operation of the electric walker.

핸들(11)의 조작에 따라, 회전 감지부(110)에서 전동식 보행기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감지하게 되면, 구동 제어부(140)는 감지된 결과에 따라 구동 바퀴(13, 14)의 회전을 위한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회전 감지부(110)에서 우회전이라고 감지하면, 구동 제어부(140)는 우측의 구동 바퀴(13)을 후진시키고, 좌측의 구동 바퀴(14)를 전진시킴으로써, 전동식 보행기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우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11, when the rotation detecting unit 110 detects the left turn or the right turn of the electric walker, the driving controller 140 supplies power for rotating the driving wheels 13 and 14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To control the supply. For example, when the rotation detecting unit 110 detects a right turn, the driving controller 140 reverses the driving wheel 13 on the right side and advances the driving wheel 14 on the left side. Control to turn right.

한편, 기울기 감지부(120)에서 기둥(12)이 앞으로 또는 뒤로 기울어졌다고 감지하게 되면, 구동 제어부(140)는 감지된 결과에 따라 구동 바퀴(13, 14)의 전진 또는 후진을 위한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기울기 감지부(120)에서 전진이라고 감지하면, 구동 제어부(140)는 전원 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해 두개의 구동 바퀴(13, 14)을 모두 전진하도록 제어하고, 기울기 감지부(120)에서 후진이라고 감지하면, 구동 제어부(140)는 전원 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해 두개의 구동 바퀴(13, 14)을 모두 후진하도록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ilt detection unit 120 detects that the pillar 12 is tilted forward or backward, the drive control unit 140 supplies the power supply for the forward or backward of the drive wheels 13 and 14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To control. For example, when the tilt detection unit 120 detects the forward movement, the driv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two drive wheels 13 and 14 to move forward by us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30, and the tilt is performed. When the sensing unit 120 detects the reverse, the driving controller 140 controls the two driving wheels 13 and 14 to move backward us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30.

이때, 기울기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기울기 정도에 따라, 구동 바퀴의 구동 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구동 제어부(140)에서 제어되는 구동 속도는 작동용 및 속도 조절용 버튼(10)의 회전 조작에 따라, 구동 속도의 크기가 비례적으로 증감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speed of the driving wheel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lination detected by the inclination detecting unit 120. In addition, the driving speed controlled by the driving controller 140 may increase or decrease in proportion to the driving spe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and speed adjustment buttons 10.

제1 구동 모터(150) 및 제2 구동 모터(160)는 구동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구동 바퀴(13, 14)를 각각 구동시킨다. The first driving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drive the driving wheels 13 and 14, respectively,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 unit 140.

도 5는 구동 모터와 구동 바퀴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400)는 웜 기어(402)를 사용해 구동 바퀴(404)와 연결되어 있다.5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scrib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driving motor and a driving wheel. As shown in FIG. 5, the drive motor 400 is connected to the drive wheel 404 using a worm gear 402.

도 6은 도 1의 전동식 보행기의 전체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 감지부는 구동 바퀴가 2개 이상 일 때, 구동 바퀴의 갯수에 대응하는 갯수만큼 구비되어 있다. 도 6에는 두개의 구동 바퀴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2개의 기울기 감지부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구동 모터의 경우에도 구동 바퀴가 2개 이상 일 때, 구동 바퀴의 갯수에 대응하는 구동 모터를 각각 포함한다. 따라서, 도 6에는 두개의 구동 바퀴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2개의 구동 모터를 구비한다. FIG. 6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ll components of the motorized walker of FIG. 1. As shown in FIG. 6, when two or more driving wheels are present, the tilt dete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driving wheels. 6, two driving wheels are provided, and thus two tilt detection units are provided. Similarly, the drive motor also includes a drive moto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drive wheels, respectively, when there are two or more drive wheels. Accordingly, since two driving wheels are provided in FIG. 6, two driving motors are provid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기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외부 사시도로서, 작동용 및 속도 조절용 버튼(500), 핸들(502), 기둥(504), 본체(506), 구동 바퀴(508)로 구성된다. 도 7의 전동식 보행기는 구동 바퀴(508)가 한 개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이때 구동 바퀴(508)가 한 개이므로,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도 한 개로 족하다. 기타의 구성요소의 특징은 도 1의 각 구성요소의 특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7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lectric wal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500 for operation and speed adjustment, the handle 502, the pillar 504, the main body 506, the driving wheel ( 508). The electric walker of FIG. 7 illustrates a case in which one driving wheel 508 is provided. In this case, since there is only one driving wheel 508, there is also one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driving wheel 508. Since the features of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omponents of FIG. 1,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은 도 7의 전동식 보행기를 사용하여 보행하는 경우에 전동식 보행기의 동작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 (a)는 전동식 보행기의 기둥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로서, 이때에는 전동식 보행기가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도 8 (b)는 사용자가 핸들을 앞으로 기울였을 경우로서, 이때에 핸들이 앞으로 기울어짐을 기울기 감지부가 감지하고, 이에 따라 구동 제어부가 구동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구동 바퀴가 전진 회전하여 전동식 보행기가 전진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 (c)는 사용자가 핸들을 뒤로 기울였을 경우로서, 이때에 핸들이 뒤로 기울어짐을 기울기 감지부가 감지하고, 이에 따라 구동 제어부가 구동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구동 바퀴가 후진 회전하여 전동식 보행기가 후진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FIG.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motorized walker when walking using the motorized walker of FIG. 7. FIG. 8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pillars of the motorized walker are in a vertical state. At this time, the motorized walker maintains a stationary state. 8 (b) is a case in which the user tilts the handle forward, and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detection unit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handle forward, and accordingly, the driving control unit drives the driving motor, so that the driving wheel rotates forward and the electric walker moves forward. It is a figure showing. In addition, FIG. 8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user inclines the handle backward, and the tilt detection unit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handle backward, and accordingly, the driving controller drives the driving motor, such that the driving wheel rotates backward and the electric walker Shows the reverse.

이러한 본원 발명인 전동식 보행기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pedestrian walk,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I will understand the point.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외부 사시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lectric wal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체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블록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main body in a block.

도 3은 본체의 작동 개시 스위치 및 회전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3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start switch and a rotation sensing unit of a main body.

도 4는 본체의 기울기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4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scribing a tilt detection unit of a main body.

도 5는 본체의 구동 모터와 구동 바퀴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driving motor and a driving wheel of a main body.

도 6은 도 1의 전동식 보행기의 전체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참고도이다.FIG. 6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ll components of the motorized walker of FIG. 1.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기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외부 사시도이다.7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electric wal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전동식 보행기를 사용하여 보행하는 경우에 전동식 보행기의 동작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FIG.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motorized walker when walking using the motorized walker of FIG. 7.

Claims (12)

기둥;Pillar;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 바퀴;At least one drive wheel; 상기 기둥의 하부와 상기 구동 바퀴를 연결하고, 상기 기둥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 바퀴의 구동을 제어하는 본체; 및A main body connecting the lower part of the pillar to the driving wheel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by sensing an inclination of the pillar; And 상기 기둥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운동 방향을 조정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기.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the electric wal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dy is 상기 구동 바퀴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A power supply for supplying driving power of the driving wheel; 상기 기둥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A tilt detector detecting a tilt of the pillar; 상기 감지된 기울기에 따라, 상기 구동 전원을 사용해 상기 구동 바퀴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및A driving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 driving speed of the driving wheel using the driving power according to the sensed slope; And 상기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 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기. An electric walk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rive control unit, comprising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drive wheel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감지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ilt detection unit 로드 암; Rod arm; 상기 로드 암의 일측에 구비된 보조 바퀴; 및An auxiliary whee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d arm; And 상기 로드 암과 결합하여 상기 기둥의 기울기 정도를 감지하는 볼륨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기. And a volume switch coupled to the rod arm to sense a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pilla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암은 4. The rod arm of claim 3, wherein the rod arm is 기울기 감지를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기. Motorized wal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for detecting the til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암은4. The rod arm of claim 3, wherein the rod arm is 샤프트를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기.An electric walker, which moves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a shaft as an axi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 스위치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olume switch 상기 로드 암의 상하 움직임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기둥의 기울기 정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기.The electric walke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od arm,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바퀴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rive wheels 웜 기어를 사용해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기.The walker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using a worm gea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ody is 상기 구동 바퀴가 2개 이상 일 때, 상기 구동 바퀴의 갯수에 대응하는 기울 기 감지부 및 구동 모터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기.When the drive wheels are two or more, the electric walker comprising a tilt detection unit and a drive motor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drive wheel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핸들의 좌우 움직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기.The electric walker further comprises a rot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d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감지부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otation detection unit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캠; 및A cam rotating in a left or right direction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And 상기 캠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핸들의 좌우 회전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기.And at least one limit switch for detecting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hand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am.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구동 제어부의 작동 개시 또는 구동 속도 조절을 지시하는 작동용 및 속도 조절용 버튼; 및Operation and speed adjustment buttons for instructing operation start or drive speed adjustment of the drive control unit; And 상기 작동용 및 속도 조절용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 제어부의 작동 개시를 스위칭하는 작동 개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기. And an operation start switch for switching the operation start of the drive control unit in response to manipulation of the operation and speed adjustment butt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illar 길이 조정이 가능한 다단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기. An electric walker, characterized by a multi-stage structure capable of length adjustment.
KR1020080070782A 2008-07-21 2008-07-21 Electrically-powered walker KR1009632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782A KR100963276B1 (en) 2008-07-21 2008-07-21 Electrically-powered wal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782A KR100963276B1 (en) 2008-07-21 2008-07-21 Electrically-powered wal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280A KR20080073280A (en) 2008-08-08
KR100963276B1 true KR100963276B1 (en) 2010-06-11

Family

ID=3988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782A KR100963276B1 (en) 2008-07-21 2008-07-21 Electrically-powered wal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27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065B1 (en) * 2010-10-13 2012-01-12 (주)두경엠씨 Crutch for auto moving possible position indicator
KR101335373B1 (en) 2012-01-30 2013-12-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motion walk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430B1 (en) * 2011-02-23 2016-12-23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Walking frame
KR101711300B1 (en) * 2015-10-07 2017-02-2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ic stick for walking assistance
FR3056434B1 (en) * 2016-09-29 2020-02-07 Kompai Robotics MOBILE ASSISTANCE ROBOT INCLUDING AT LEAST ONE PIVOTING SUPPORT SYSTEM
CN111150340A (en) * 2020-01-22 2020-05-15 帝舍智能科技(武汉)有限公司 Cleaning tool,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assistance and device for implementing method
JP2022067821A (en) * 2020-10-21 2022-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Stick with wheel, control method of stick with wheel, and progra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7856A (en) 1991-01-14 1992-03-24 Chi Sheng Hsieh Electronic talking stick for the blind
JP2004089615A (en) * 2002-09-04 2004-03-25 Kazuo Uchida Walking-support device
JP2007090019A (en) 2005-09-29 2007-04-12 Hiroshi Okamura Walking suppor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7856A (en) 1991-01-14 1992-03-24 Chi Sheng Hsieh Electronic talking stick for the blind
JP2004089615A (en) * 2002-09-04 2004-03-25 Kazuo Uchida Walking-support device
JP2007090019A (en) 2005-09-29 2007-04-12 Hiroshi Okamura Walking support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065B1 (en) * 2010-10-13 2012-01-12 (주)두경엠씨 Crutch for auto moving possible position indicator
KR101335373B1 (en) 2012-01-30 2013-12-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motion wal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280A (en) 200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276B1 (en) Electrically-powered walker
JP6240228B2 (en) Robotic stick device
KR101356520B1 (en) Walking assistance system
US10765586B2 (en) Walking aid device
JP5460154B2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CN1720886B (en) Stair-climbing wheelchair carrier
KR101711300B1 (en) Electric stick for walking assistance
KR101618231B1 (en) System for gait training
CN106618998A (en) Massaging machine
KR20130006902A (en) Moving assistance system
WO2023272772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walker, smart walker, and controller
KR102572254B1 (en) Electric walking aid
KR102436820B1 (en) Walker for leg rehabilitation
KR100747606B1 (en) Auto moving crutch
KR20130108779A (en) Attitude control based electric vehicle with parallelled wheel self-controlling the distance of them according to the speed
KR101734517B1 (en) Walking assistance machine with articulated leg
EP3973938B1 (en) Active rollator
KR101198841B1 (en) Walking-assitance apparatus
CN109718065B (en) Mobile booster
CN210990031U (en) Intelligent mobile robot system and intelligent mobile robot
JPH0999022A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walking/bending action
CN108542720A (en) walking aid chair
JP3133880U (en) Electric cane
JP2007222338A (en) Standing-up assisting instrument
CN210131077U (en) Mobile power assis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