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360B1 -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360B1
KR100962360B1 KR1020080019720A KR20080019720A KR100962360B1 KR 100962360 B1 KR100962360 B1 KR 100962360B1 KR 1020080019720 A KR1020080019720 A KR 1020080019720A KR 20080019720 A KR20080019720 A KR 20080019720A KR 100962360 B1 KR100962360 B1 KR 100962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late
rotating body
chain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4644A (ko
Inventor
정효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에스피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에스피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Priority to KR1020080019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3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 A21C9/083Manipulating tins, pans etc., e.g. charging or discharging conveyors, trolleys or ove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7/00Baking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과정에서 반죽물인 휴지를 자동으로 회전 정렬시키는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반죽물인 휴지를 이송시키는 이송기구와, 상기 이송기구 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휴지를 이송회전체를 통해 회전 정렬시키는 이송회전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송과정에서 반죽물인 휴지를 자동으로 회전 정렬시키므로 제품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제품의 생산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80019720
휴지, 회전, 정렬, 크라상, 이송회전체.

Description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Feeding and swiveling apparatus of dough}
본 발명은 반죽물인 휴지를 회전 정렬시키는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 과정에서 반죽물인 휴지를 회전 정렬시키므로 후공정의 롤 작업 등을 자동화하여 진행할 수 있는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베이커리(Bakery)는 아침식사나 간식용 이외에 브런치(Brunch)나 식사대용 등 식생활 전반에 걸쳐 폭넓게 소비되고 있으며, 바쁜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식생활의 서구화 및 웰빙(Well-being)현상과 맞물려 그 소비가 꾸준히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베이커리를 생산하는 업체들도 늘어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동화 생산 설비를 도입하여 대량 생산을 도모하고 있으나, 다양한 제품군과 까다로운 작업 공정으로 인하여 자동화 생산 설비를 구축하는데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다.
일 예로 베이커리 중 크라상(Croissant)은 돌돌 말아진 롤(Roll) 형태의 빵으로서, 다층구조의 특징과 바삭한 식감으로 인하여 꾸준한 호응을 얻고 있다. 그 러나 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반죽물인 휴지를 삼각형상으로 절단 정형하고, 이를 다시 삼각형의 포인트 쪽으로 말아준 후 그대로 굽거나 양끝을 구부려 구워야 하는 등 매우 까다로운 작업 공정을 진행해야만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크라상과 같은 롤 형태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삼각형상의 휴지를 절단하는 정형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정형 작업은 그 과정에서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므로 생산원가를 크게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생산성도 낮을 수밖에 없고, 반죽물인 휴지와 작업자의 손이 직접 접촉하므로 제품의 위생이나 안전에 있어서 신뢰성과 이미지를 떨어뜨릴 수밖에 없는 문제점도 지니고 있었다.
설령, 절단 장치를 통해 휴지를 삼각형상으로 자동 절단하더라도 절단된 삼각형상의 휴지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시킴과 아울러 모든 휴지를 동일한 방향으로 정확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제품 생산의 자동화가 사실상 불가능하며, 생산성도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된 휴지를 회전 정렬시켜 배출시키므로 제품의 생산 라인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원가도 크게 줄일 수 있는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반죽물인 휴지를 이송시키는 이송기구와, 상기 이송기구 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휴지를 이송회전체를 통해 회전 정렬시키는 이송회전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지의 이송 과정에서 휴지를 자동으로 회전 정렬시키므로 제품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제품의 생산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회전체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와 휴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제품의 위생 안전성을 높이고, 균일한 외관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 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이송기구와 이송회전기구(2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이송기구는 전 공정의 절단공정으로부터 공급된 휴지(D)를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그 일 예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3벨트 컨베이어(110)(120)(130)를 통해 휴지(D)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여기서 제1벨트 컨베이어(110)는 전공정에 의해 삼각형상으로 컷팅된 휴지(D)를 이송회전기구(200)로 이송 공급하는 것이고, 제2벨트 컨베이어(120)는 상기한 휴지(D)가 이송회전기구(200)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며, 제3벨트 컨베이어(130)는 이송회전기구(200)에 의해 회전된 휴지(D)를 롤 공정과 같은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제2벨트 컨베이어(120)는 제1벨트 컨베이어(110) 보다 벨트의 이송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므로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휴지(D)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휴지(D)는 이송회전기구(200)에 의한 회전과정에서 전후의 다른 휴지(D)와 간섭이나 충돌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이송회전기구(200)는 전 공정으로부터 이송된 휴지(D)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 정렬시키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제2벨트 컨베이어(120)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케이스(205) 내부에 설치한 체인전동기구(210)와, 체인전동기 구(210)의 체인(211)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하여 체인(211)과 함께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송회전체(300)와, 체인(211)과 함께 이송되는 이송회전체(300)의 처짐을 방지하고 안정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케이스(205) 내부 중 양측면 상하부에 각각 설치한 이송레일(220)과, 이송회전체(300)를 하강시켜 이송 중인 휴지(D)와 이송회전체(300)가 접할 수 있도록 케이스(205)의 내부 중앙에 설치한 상부가이드레일(230)과, 이송회전체(300)에 홀딩된 휴지(D)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205) 내부 중 하부 양측면에 설치한 측면가이드레일(240)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이송회전체(300)는 도 3,4,5에서와 같이 체인전동기구(210)의 체인(211)과 결합되도록 체인결합블록(310)이 설치되고 이송레일(220)을 따라 이송회전체(300)의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제1로울러(321)가 양측에 설치된 바디프레임(320)과, 바디프레임(320)에 관통 설치한 다수의 축(330)과, 축(330)의 상부에 설치한 플레이트(331)와, 상부가이드레일(230)과의 구름을 통해 축(330)과 플레이트(331)가 하강되도록 플레이트(331)의 상면에 다수 설치한 제2로울러(332)와, 축(330)과 플레이트(331)를 원래 위치로 승강되도록 바디프레임(320)과 플레이트(331)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333)과, 축(330)의 하부에 설치한 핀(341)을 갖는 상부회전판(340)과, 핀(341)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부회전판(340)에 결합한 하부회전판(350)과, 상하부회전판(340)(35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부회전판(340)과 회동 결합한 레버(360)와, 측면가이드레일(240)을 따라 구름이 이루어져 레버(360)를 밀어주는 제3로울러(361)와, 레버(360)를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바디프레임(320)과 레버(360)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362)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는 이송회전체(300)에 의해 휴지(D)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211)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회전체(300)는 상부가이드레일(2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1로울러(321)가 상부가이드레일(230)과 접촉되고, 이로 인하여 제1로울러(321)는 가압된다.
따라서 도 6b에서와 같이 제1로울러(321)의 가압에 의해 축(330), 플레이트(331), 상부회전판(340)은 하방으로 이송되고, 상부회전판(340)의 핀(341)은 휴지(D)에 박히게 되므로 휴지(D)를 확실하게 잡아주게 된다.
여기서 제2벨트 컨베이어(120)는 제1벨트 컨베이어(110) 보다 벨트의 이송속도가 빠르므로 도 9에서와 같이 제2벨트 컨베이어(120) 상의 휴지(D)는 간격이 벌어진 형태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이송회전체(300)를 통한 회전과정에서 휴지(D) 간의 간섭이나 충돌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6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회전체(300)가 측면가이드레일(240) 구간을 통과하게 되면, 이 과정에서 레버(360)는 측면가이드레일(240)에 의해 한 쪽 방향으로 밀려나고, 이로 인하여 상부회전판(340)과 하부회전판(350)은 도 7과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90° 회전되며, 상부회전판(340)과 하부회전판(350)의 회전된 상태는 측면가이드레일(240)의 구간동안 그대로 유지된다.
여기서 도 7은 이송회전체(300)의 이송과정에서 상부회전판(340)과 하부회전 판(350)이 회전되는 과정을 나타낸 이송회전기구(200)의 부분 확대평면도이고, 도 8은 레버(360)의 작동에 따른 상부회전판(340)과 하부회전판(350)의 회전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이송회전체(300)의 저면도이다.
한편, 상부회전판(340)과 하부회전판(350) 및 레버(36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이송회전체(300)에 하나 걸러 하나씩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그 회전과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므로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정렬되어 휴지(D)가 공급되더라도 그 출력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정렬된다.
그리고 이송회전체(300)의 제1로울러(321)가 상부가이드레일(230) 구간을 통과하여 벗어나면 플레이트(331)는 스프링(333)에 의해 원래 위치로 승강 복귀되고, 이에 따라 축(330)과 상부회전판(340) 및 하부회전판(350)도 승강되므로 핀(341)은 휴지(D)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이송회전체(300)의 제3로울러(361)가 측면가이드레일(240) 구간을 통과하여 벗어나면, 레버(360)는 스프링(362)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하므로 상부회전판(340)과 하부회전판(350)도 원래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회전기구(200)를 통과한 휴지(D)는 회전 정렬된 상태로 제2벨트 컨베이어(120)를 따라 이송되고, 제3벨트 컨베이어(130)를 통해 롤 장치 측으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는 이송기구를 통해 반죽물인 휴 지(D)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이송회전기구(200)에 의하여 휴지(D)를 일정방향으로 회전 정렬시키므로 이후의 롤 장치에서 바로 롤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는 휴지(D)의 이송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휴지(D)를 회전시키므로 휴지(D)를 이용한 크라상과 같은 제품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자동화에 따른 제품의 생산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는 그 과정에서 이송회전체(30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와 휴지(D)의 직접적인 접촉을 근본적으로 발생시키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제품 위생 안전성을 높이고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바람직한 일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를 나타낸 도 1의 A-A선 평단면도.
도 3,4,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회전체를 나타낸 정면도와 좌측면도 및 평면도.
도 6a,6b,6c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회전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지의 전체적인 회전 정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송기구 110, 120, 130 : 제1,2,3벨트 컨베이어
200 : 이송회전기구 205 : 케이스
210 : 체인전동기구 211 : 체인
220 : 이송레일 230 : 상부가이드레일
240 : 측면가이드레일 300 : 이송회전체
310 : 체인결합블록 320 : 바디프레임
321 : 제1로울러 330 : 축
331 : 플레이트 332 : 제2로울러
333 : 스프링 340 : 상부회전판
341 : 핀 350 : 하부회전판
360 : 레버 361 : 제3로울러
362 : 스프링 D : 휴지

Claims (6)

  1. 반죽물인 휴지(D)를 이송시키는 이송기구와;
    상기 이송기구 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휴지(D)를 회전 정렬시키는 이송회전기구(200)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회전기구(200)는
    상기 이송기구 상방의 케이스(205) 내벽에 설치한 체인전동기구(210)와;
    상기 체인전동기구(210)의 체인(211)과 함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체인(211)에 연결 설치한 이송회전체(300)와;
    상기 이송회전체(300)의 처짐을 방지하고 안정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케이스(205) 내벽에 설치한 이송레일(220)과;
    상기 이송회전체(300)를 하강시켜 이송 중인 휴지(D)와 상기 이송회전체(300)가 접할 수 있도록 설치한 상부가이드레일(230)과;
    상기 이송회전체(300)를 작동시켜 휴지(D)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205) 내벽에 설치한 측면가이드레일(240);
    을 포함하는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는 제1,2벨트 컨베이어(110)(1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120)는 제1벨트 컨베이어(110) 보다 벨트의 이송속도를 빠르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회전체(300)는 체인(211)에 일정 간격 다수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회전체(300)는
    체인전동기구(210)의 체인(211)과 결합되도록 체인결합블록(310)이 설치되고, 이송레일(220)을 따라 이송회전체(300)의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제1로울러(321)가 설치된 바디프레임(320)과;
    상기 바디프레임(320)에 관통 설치한 다수의 축(330)과;
    상기 축(330)의 상부에 설치한 플레이트(331)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230)과의 구름을 통해 축(330)과 플레이트(331)가 하강되도록 플레이트(331)의 상면에 설치한 제2로울러(332)와;
    상기 축(330)과 플레이트(331)를 원래 위치로 승강되도록 바디프레임(320)과 플레이트(331)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333)과;
    상기 축(330)의 하부에 설치한 핀(341)을 갖는 상부회전판(340)과;
    상기 핀(341)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부회전판(340)에 결합한 하부회전판(350)과;
    상기 상하부회전판(340)(35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부회전판(340)과 회동 결합한 레버(360)와;
    상기 측면가이드레일(240)을 따라 구름이 이루어져 레버(360)를 밀어주는 제3로울러(361)와;
    상기 레버(360)를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프레임(320)과 레버(360)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362);
    을 포함하는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
KR1020080019720A 2008-03-03 2008-03-03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 KR100962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720A KR100962360B1 (ko) 2008-03-03 2008-03-03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720A KR100962360B1 (ko) 2008-03-03 2008-03-03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644A KR20090094644A (ko) 2009-09-08
KR100962360B1 true KR100962360B1 (ko) 2010-06-10

Family

ID=4129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720A KR100962360B1 (ko) 2008-03-03 2008-03-03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3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644A (ko)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50843B2 (ja) 分割されたパン生地の連結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2006321644A (ja) 食品素材の移載方法および移載装置
CN110353003A (zh) 饺子的制造装置
CN103875749A (zh) 一种猫耳朵饼捲条成型机组
US31723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olling of materials
KR100974617B1 (ko) 성형팬에서 케이크 시트를 분리하는 장치
KR100962360B1 (ko) 휴지의 이송 회전장치
CN203762156U (zh) 一种猫耳朵饼捲条成型机组
KR20100098938A (ko) 포자 만두의 성형장치 및 자동정렬 공급시스템
KR100962359B1 (ko) 베이커리용 정형시스템
EP1884161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legen oder Befüllen von Zwischenprodukten
KR102166173B1 (ko) 반복 압연식 자동 면대 제조장치
US11968985B2 (en) Wrap off-cuts returning mechanism in gyoza forming machine
JP2016086797A (ja) 食品生地片の切断移送装置および方法
JP7265286B1 (ja) 餃子成形機における残皮の切断還元装置
US1575213A (en) Machine for rolling pie-crust dough
KR102186993B1 (ko) 면 가공장치
JP7011436B2 (ja) 棒状食材の供給方法及び棒状食材の供給装置
RU262245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слоеных бисквитных изделий с начинкой
US1911786A (en) Machine for making bread or crackers
KR101785786B1 (ko) 봉형상 튀밥과자 성형장치
KR101103593B1 (ko) 제빵용 유산지 제거장치
KR101266841B1 (ko) 소보로빵용 생지 제조장치
JP5031484B2 (ja) パン焼成用天板に対するパン生地供給装置
EP33297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pizz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