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730B1 - Inhalation apparatus having noise reduc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Inhalation apparatus having noise reduc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730B1
KR100961730B1 KR1020080035300A KR20080035300A KR100961730B1 KR 100961730 B1 KR100961730 B1 KR 100961730B1 KR 1020080035300 A KR1020080035300 A KR 1020080035300A KR 20080035300 A KR20080035300 A KR 20080035300A KR 100961730 B1 KR100961730 B1 KR 100961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noise reduction
resonator
reduction filte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3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9861A (en
Inventor
김혜삼
박병철
Original Assignee
대지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지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지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5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730B1/en
Publication of KR20090109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8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7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44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interference; Masking or reflecting 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4Combined air cleaners and silen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음저감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흡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reduction filter for reducing noise generated when driving an engine of an automobile and an intake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 필터가 구비되는 흡기장치는 내부에 공기 정화용 필터가 구비되는 공기 정화부와; 상기 공기 정화부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공기 정화부에 연결되어 공기가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배출되는 공급덕트와; 상기 공기 정화부와 연결덕트에 의해 유로가 연결되어 엔진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메인 레조네이터와;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일정 체적을 갖는 통기조직으로 이루어져 엔진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저감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take apparatus provided with a nois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purification unit having an air purification filter therein; A suction duct connected to the air purifier to suck air; A supply duct connected to the air purifying unit and discharged to supply air to the engine; A main resonator connected to the air purifier by a connection duct to reduce noise generated by driving of the engine; It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duc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noise reduction filter made of a ventilation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capable of the flow of air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engin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소형 차량과 같이 공간적 제약을 받는 엔진룸 내부에 소음저감을 위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흡기장치의 적용이 가능하며, 용량이 작은 레조네이터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충분히 소음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기존의 흡기장치의 구조를 변형하지 않고서도 적용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intake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inside an engine room that is spatially constrained, such as a small vehicle. It can be obtained, and can be applied without modifying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intake apparatus.

자동차, 흡기장치, 엔진, 엔진룸, 소음, Car, intake, engine, engine room, noise,

Description

소음저감 구조를 갖는 흡기장치{INHALATION APPARATUS HAVING NOISE REDUCTION STRUCTURE}Intake device with noise reduction structure {INHALATION APPARATUS HAVING NOISE REDU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음저감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흡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reduction filter for reducing noise generated when driving an engine of an automobile and an intake apparatus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공기의 공급을 위하여 흡기장치가 구비되고 있다. 이와 같이 흡입되는 공기는 엔진의 연소(폭발행정)가 가능하도록 연료와 함께 엔진에 공급되고, 연소(폭발행정)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은 배기가스와 함께 엔진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고, 머플러를 이용하여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소음을 감소시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In general, an automobile is provided with an intake apparatus for supplying air required for driving the engine. Air sucked in this way is supplied to the engine together with fuel to enable combustion (explosion stroke) of the engine, and noise generated by combustion (explosion stroke) is discharged through the engine exhaust port together with exhaust gas, and a muffler is used. Therefore, the noise emitted with the exhaust gas is reduc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엔진의 연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에 의해 반향되는 소음은 반향되는 시간적 차이로 인하여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공기 공급부를 통해 공기 정화를 위한 흡기장치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흡기장치로 역류하는 소음은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여러 소음중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최대한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oise reflected by the noise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engine is not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due to the time difference is reflected, it is transmitted to the intake apparatus for air purification through the air supply. As such, the noise flowing back to the intake apparatus occupies a large proportion among the various noises generated in the vehicle, and thus it is required to reduce it as much as possible.

이와 같이, 반향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공기 정화부에 레조네이터를 장착하여 소음을 저감시키고 있다. 그러나, 엔진의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은 주파수가 엔진마다 다르기 때문에 각 엔진과 차량의 구조적인 특성을 감안하여 소음설계를 하여야만 한다. 몇몇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가능한 레조네이터의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특정 주파수 대역에 적합한 소음 설계를 위해서는 각각의 주파수 대역특성에 맞는 각각의 레조네이터를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by the echo, a resonator is conventionally attached to the air purification unit to reduce the noise. However, since the noise genera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gine is different from one engine to another, the noise must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engine and the vehicle. In order to reduce noise in some specific frequency bands, it is advantageous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resonator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design a noise suitable for a specific frequency band, it is advantageous to arrange each resonator for each frequency band characteristic.

그러나, 엔진실에 배치되는 흡기장치는 각 부품의 배치설계로 인하여 소음설계에 대한 제약을 받고 있다. 즉, 요구되는 정도의 용량으로 레조네이터를 적용할 수 없거나, 또는 다양한 복수의 레조네이터를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소형의 차량 같은 경우, 엔진출력의 효율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중량과 부피로 차량을 설계하여야하는데, 이 경우, 엔진룸 내부의 크기는 제약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엔진룸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요구되는 용량의 레조네이터를 적용하는 것이 어렵게 되고, 특히 부가적인 복수의 레조네이터를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However, the intake apparatus disposed in the engine compartment is limited by the noise design due to the arrangement design of each component. In other words, the resonator cannot be applied to the required amount of capacity, or it is often impossible to apply various plural resonators. Furthermore, in the case of a small vehicle, the vehicle should be designed with an appropriate weight and volum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engine power, in which case the size of the engine compartment is limited. As the size of the engine room becomes smaller,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apply a resonator of a required capacity, and in particular, it may become impossible to apply an additional plurality of resonato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음저감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흡기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one of the needs or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noise reduction filter and the intake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엔진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engine is driven.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소음저감을 위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흡기장치가 엔진룸 내부의 공간적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 상태로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intake apparatus made of a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can be applied in a state that is hardly restricted by the space inside the engine room.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소음 저감을 위한 레조네이터가 최소한의 용량으로 구성되어도 넓은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noise of a wide frequency band even if a resonator for noise reduction is configured with a minimum capacity.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일정 수준 이하의 데시벨로 보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noise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in decibels below a certain leve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엔진룸의 구조적인 설계 사양에 따라 사양이 적은 레조네이터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소음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noise even when a low specification resonator is applied according to the structural design specification of the engine room.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레조네이터를 부가적으로 구비하거나 레조네이터의 반향공간의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음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noise (sound waves)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without additionally providing a resonator requiring a separate space or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resonator's echo sp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소형 차량과 같이 협소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엔진룸에 효율적인 소음 감소를 위한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configuration for efficient noise reduction in the engine room consisting of a narrow space, such as a small veh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종래의 흡기장치의 구조를 변형하지 않고서도 소음저감필터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application of a noise reduction filter without modify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intake apparatus.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소음저감 구조를 갖는 흡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An intake apparatus having a noise reduction structure related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일정 체적을 갖는 통기조직으로 이루어져 엔진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composed of a ventilation structure having a certain volume to enable the flow of air is configured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engine.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흡기장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하여 내부에 공기 정화용 필터가 구비되는 공기 정화부와; 공기 정화부에 연결되어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덕트와; 공기 정화부에 연결되어 공기 정화용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배출되는 공급덕트와; 공기 정화부와 연결덕트에 의해 유로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엔진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메인 레조네이터와; 연결덕트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일정 체적을 갖는 통기조직으로 이루어져 엔진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저감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Intak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purifying unit provided with an air purification filter therein to filter foreign matter; A suction duct connected to the air purifying unit and sucking air supplied to the engine; A supply duct connected to the air purifying unit and discharged to supply the air from which the foreign matter is removed by the air purification filter to the engine; A main resonator provided to connect the flow path by the air purifying unit and the connection duct to reduce noise generated by driving of the engine; It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duc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noise reduction filter made of a ventilation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capable of the flow of air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engine.

이 경우, 소음저감필터는 음파의 이동시간이 지연되도록 이루어져 메인 레조네이터로부터 반향되는 음파(소음)와 소멸간섭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noise reduction filt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movement time of the sound wave is delayed so that sound waves (noise) and extinction interference reflected from the main resonator are generated.

다른 한편, 소음저감필터는 소음이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oise reduction filter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noise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to reduce the noise.

또 다른 한편, 소음저감필터는 음파(소음)의 통과시간이 지연되도록 이루어져 메인 레조네이터로부터 반향되는 음파와 소멸간섭이 발생하며, 통기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소음저감필터를 통과하는 소음이 투과손실로 인해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소음이 저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oise reduction filter is to delay the passing time of the sound waves (noise), so that the sound waves and extinction interference reflected from the main resonator is generated, and the noise passing through the noise reduction filter composed of the ventilation structure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due to transmission loss. It may be configured to be switched so that noise can be reduced.

이 경우, 소음저감필터는 중앙에 유로가 형성되는 환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중앙에 유로가 형성되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noise reduction filter may be formed in an annular plate structure in which a flow path is formed in the center, or alternatively,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a flow path is formed in the center.

한편, 원통형 구조의 소음저감필터는 유로의 일 단부 위치의 직경이 다른 단부 위치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유로의 중앙부에서 단부 방향으로 점층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확장부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oise reduction filter of the cylindrical structure may be configured to be further provided with an expansion portion is formed in a progressively larger diameter in the end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flow path so that the diameter of one end position of the flow path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position. .

또 다른 한편, 소음저감필터는 중앙에 유로가 형성되는 환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몸체의 테두리에 연결덕트의 내부에 장착되는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부가 구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oise reduction filter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to fix the position mounted in the interior of the connection duct to the body and the rim of the body consisting of an annular plate structure is formed in the center.

또 다른 한편, 소음저감필터는 연결덕트에 결합되는 장착부재와; 장착부재에 결합되고, 중앙에 유로가 형성되는 환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며,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일정 체적을 갖는 통기조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oise reduction filter and the mounting member coupled to the connection duct;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the center is formed of an annular plate structure formed with a flow path, it may be configured to be made of a body consisting of a ventilation structure having a certain volume capable of the flow of air.

그리고, 흡입덕트에는 제1 서브 레조네이터 또는 브랜치 레조네이터가 구비되거나 또는 제1 서브 레조네이터 및 브랜치 레조네이터 모두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서브 레조네이터 또는 브랜치 레조네이터에 소음저감필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uction duct may include a first sub-resonator or a branch resonator, or both the first sub-resonator and the branch resonator. In this case, a noise reduction filter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first sub-resonator or the branch resonator.

한편, 공급덕트에는 제2 서브 레조네이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서브 레조네이터에 소음저감필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ly duct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sub-resonator. In this case, the second sub-resonator may further include a noise reduction filt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duce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engine is drive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음저감을 위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흡기장치가 엔진룸 내부의 공간적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 상태로 적용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ake apparatus made of a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can be applied in a state that is hardly restricted by the space inside the engine room.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룸의 구조적인 설계 사양에 따라 사양이 적은 레조네이터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소음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low specification resonator is applied according to the structural design specification of the engine room, the noise can be sufficiently reduced.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레조네이터를 부가적으로 구비하거나 레조네이터의 반향공간의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without additionally providing a resonator requiring a separate space or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resonator's echo space.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 차량과 같이 협소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엔진룸에 효율적인 소음 감소를 위한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for efficient noise reduction in the engine room consisting of a narrow space, such as a small vehicle.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흡기장치의 구조를 변형하지 않고서도 소음저감필터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ly the noise reduction filter without modifying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intake apparatu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소음저감 구조를 갖는 흡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intake apparatus having a noise reduction structure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embodiments best suited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illustrat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which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nstituent elem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일정 체적을 갖는 통기조직으로 이루어져 엔진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ed on a ventilation structure having a constant volume capable of allowing air to flow to reduce noise generated by driving of the engine.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 구조를 갖는 흡기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1 shows an intake apparatus 100 having a noise red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흡기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엔진(미도시)의 연소과정(폭발행정)을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 정화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 정화부(110)는 내부 수용부(110a)에 공기 정화용 필터(111)가 구비되어 상기 공기 정화부(110)의 수용부(110a) 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 정화용 필 터(111)에 의해 걸러져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The intake apparatus 100 is basically provided with an air purifying unit 11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pplied for the combustion process (explosion stroke) of the engine (not shown). The air purifier 110 is provided with an air purifying filter 111 in the inner accommodating part 110a such that air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110a of the air purifying part 110 is the air purifying filter 111. It is configured to be filtered by and supplied to the engine.

상기 공기 정화부(110)의 어느 일 위치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120a)가 형성되는 흡입덕트(120)가 연결되어 공기가 공기 정화용 필터(111)에 의해 여과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110a)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 정화부(110)의 다른 일 위치에는 공기 정화용 필터(111)에 의해 여과된 공기가 엔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130a)가 형성되는 공급덕트(130)가 연결된다. At one position of the air purifier 110, an intake duct 120 having a flow path 120a formed therein is connected to allow the outside air to flow therein so that the air may be filtered by the air purification filter 111. In orde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portion (110a), and to the other position of the air purification unit 110, the air filtered by the air purification filter 111 is supplied to the engine flow path (130a) therein Supply duct 130 is formed is connected.

한편, 엔진의 폭발행정에 의해 발생하는 1차 소음은 엔진의 배기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엔진의 폭발행정에 의해 발생된 1차 소음이 반향되어 발생하게 되는 2차 소음(반향에 의한 소음)은 시간적인 차이로 인하여 폭발행정 이후에도 엔진 내부에 존재하게 되며, 이와 같이 존재하는 2차 소음은 다음 폭발행정을 위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즉, 상기 2차 소음은 공급덕트(130)의 유로(130a)를 통해 공기 정화부(110)로 배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imary noise generated by the explosion stroke of the engin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of the engin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ary noise (noise due to reverberation) generated by the reverberation of the primary noise generated by the explosion stroke of the engine is present inside the engine even after the explosion stroke due to time difference. Noise is emitted to the outside along the flow path of air for the next explosion stroke. That is, the secondary noise is discharged to the air purification unit 110 through the flow path 130a of the supply duct 130.

이와 같이 외부로 배출되는 2차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기 정화부(110)에는 메인 레조네이터(main resonator ; 140)가 내부에 유로(141a)가 형성되는 연결덕트(141)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In order to reduce the secondary noise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the air purifier 110 is provided such that a main resonator 140 is connected by a connection duct 141 in which a flow path 141a is formed. .

상기 엔진으로부터 공기를 매질로 하여 공기 정화부(110)로 전달되는 소음은 상기 메인 레조네이터(140)로 유입된다. 상기 메인 레조네이터(140)의 내부에는 소음의 음파가 반향되어 진행파와 반사파의 소멸 간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반향공간(140a)이 형성된다. 상기 반향공간(140a)은 발생하는 소음의 주파수를 측정하여 메인 레조네이터(140)의 내부로 유입되는 소음의 양(세기) 등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즉, 소음의 양(세기) 및/또는 주파수의 대역에 따라 메인 레조네이터(140)의 내부 반향공간(140a)의 용적이 결정될 수 있다. Noise transmitted from the engine to the air purification unit 110 using air as a medium flows into the main resonator 140. An echo space 140a is formed in the main resonator 140 so that sound waves of noise are echoed so that extinction interference between traveling waves and reflected waves can occur. The echo space 140a may be designed by measur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ed noise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strength) of the noise flowing into the main resonator 140. That is, the volume of the internal reflection space 140a of the main resonator 14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intensity) of the noise and / or the band of the frequency.

상기 메인 레조네이터(14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어느 일 이동 공간에는 소음저감필터(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음저감필터(150)는 상기 메인 레조네이터(140)에 의해 감소되지 않거나 그리고/또는 감소량이 충분하지 않은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further provided in one moving spac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main resonator 140.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configured to reduce noise in a frequency band that is not reduced by the main resonator 140 and / or that the amount of reduction is not sufficient.

이러한 구성의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기 정화부(110)의 수용부(110a)의 공간과 메인 레조네이터(140)의 반향공간(140a)을 연결하는 연결덕트(141)의 유로(141a)에 소음저감필터(150)가 배치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as illustrated in FIG. 2, the flow path of the connection duct 141 connecting the sp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10a of the air purification unit 110 and the echo space 140a of the main resonator 140 is shown.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disposed at 141a.

상기 소음저감필터(150)는 수용부(110a)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매질로 하는 소음이 메인 레조네이터(140)의 반향공간(140a)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통기조직(通氣組織, aerenchyma)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통기조직은 복잡한 미세 유로가 형성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기조직을 통과하는 소음(음파)의 이동속도가 지연될 수 있도록 작용하여 반향되는 음파와 소멸간섭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엔진실의 공간이 협소하거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메인 레조네이터(140)의 반향공간(140a)의 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기 소음저감필터(150)의 작용에 의해 통기조직을 통과하는 음파가 소멸간섭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메인 레조네이터(140)의 사양이 주된 소음을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부가적인 소음을 감소시킬 수 없는 경우, 상기 부가 적인 소음인 음파가 상기 소음저감필터(150)를 통과하면서 반향공간(140a)으로부터 반향되는 음파와 소멸간섭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is formed of an aerenchyma such that noise from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a is transmitted to the echo space 140a of the main resonator 140. It may be. The ventilation structure may be formed of a structure in which a complex micro-channel may be formed, and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interference of sound waves and extinction interference by acting to delay the movement speed of noise (sound waves)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tissue. . In this case, when the space of the engine compartment of the vehicle is not enough or the capacity of the echo space 140a of the main resonator 140 due to a structural problem, the ventilation structure by the action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Sound waves passing through can be converted into a state where extinction interference is possible. On the other hand, if the specification of the main resonator 140 can reduce the main noise, but the additional noise can not be reduced, the sound wave that is the additional noise passes through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the echo space 140a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sound wave and extinction interference reflected from the transition into a state possible.

상기 소음저감필터(150)는 통기조직을 통과하는 음파가 통기조직에 의해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소음이 감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기를 매질로 하여 전달되는 음파가 통기조직을 통과하면서, 통기조직을 이루는 소음저감필터(150)의 표면과 마찰을 일으키도록 하여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소음이 감소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sound waves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tissue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by the ventilation tissue to reduce the noise. For example, while the sound wave transmitted as air as a medium passes through the ventilation system, the sound wave may be rubbed with the surface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forming the ventilation system, and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to reduce noise.

상기와 같이, 통기조직을 갖도록 구성되는 소음저감필터(150)는 종이 및/또는 섬유질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configured to have a ventilation structure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made of paper and / or fiber.

도 3a 내지 도 3c에는 상기 소음저감필터(150)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구성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소음저감필터(150)의 구조는 도시된 구조의 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발생하는 소음(음파)의 주파수 대역 및/또는 주파수의 세기, 그리고 메인 레조네이터(140)의 반향공간(140a)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3A to 3C show examples of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structure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The structure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of the illustrated structure, but the frequency band and / or intensity of the generated noise (sound wave),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echo space 140a of the main resonator 140. It can be made in a variety of sizes and structures.

도시된 소음감필터(150)의 구조적인 특성을 예로 하여 설명하면,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음저감필터(150)는 중앙에 유로(152)가 형성되는 환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는 몸체(15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소음저감필터(150)의 몸체(151)는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이 음파의 진행 속도 변화 및/또는 열에너지의 전환이 가능한 통기조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oise filter 150 shown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ure 3a,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is a body 150 made of an annular plate structure in which a flow path 152 is formed in the center It may be composed of). In this case, the body 151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made of a ventilation structure capable of chang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sound waves and / or the thermal energy as mentioned above.

상기 환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는 소음저감필터(150)는 메인 레조네 이터(140)의 반향공간(140a)으로 음파가 유입되는 연결덕트(141)의 유로(141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141a)의 내부에는 고정부(141b)가 구비되어, 차량의 운행에 따른 진동 및/또는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소음저감필터(150)가 배치되는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141b)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소음저감필터(150)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소음저감필터(150)가 상기 연결덕트(141)의 유로(141a)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각 연결덕트(141)와 소음저감필터(150)를 제조한 후 조립하는 방식으로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having the annular plate structure may be disposed in the flow path 141a of the connection duct 141 through which sound waves flow into the echo space 140a of the main resonator 140. In this case, the fixing part 141b is provided inside the flow path 141a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is disposed may not be changed due to vibration and / or shock caused by driving of the vehicle. You may. In this case,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whose position is fixed by the fixing unit 141b is integrated into the flow path 141a of the connection duct 141 by the insert injection method. Alternatively, the connection duct 141 and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manufactured by mounting the assembly after manufacturing.

한편,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음저감필터(150)는 중앙에 유로(152)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몸체(151)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소음저감필터(150)의 몸체(151)는 음파의 진행 속도 변화 및/또는 열에너지의 전환이 가능한 통기조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b,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composed of a body 151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the flow path 152 is formed in the center. Even in this case, the body 151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formed of a ventilation structure capable of changing the speed of sound wave and / or switching of thermal energy.

상기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소음저감필터(150)는 메인 레조네이터(140)의 반향공간(140a)으로 음파가 유입되는 연결덕트(141)의 유로(141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음저감필터(150)는 연결덕트(141)의 유로(141a)에 억지끼움 방식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량의 운행에 따른 진동 및/또는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소음저감필터(150)가 배치되는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장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소음저감필터(150)는 접합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유로(141a)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having the cylindrical structure may be disposed in the flow path 141a of the connection duct 141 through which sound waves flow into the echo space 140a of the main resonator 140. In this case,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coupled to the flow path 141a of the connection duct 141 so that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caused by vibrations and / or shocks according to driving of the vehicle. It can also be comprised so that attachment | positioning may not change. On the other hand,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mounted to be fixed to the flow path (141a) by a bonding member (not shown).

다른 한편,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음저감필터(150)는 중앙에 유 로(152)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몸체(151)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음저감필터(150)의 유로(152)는 일 단부가 다른 단부보다 직경이 더 넓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점층적으로 유로(152)의 단면적이 넓어지는 확장부(152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확장부(152a)는 상기 반향공간(140a)으로 음파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반향공간(140a)으로부터 음파가 반향되어 배출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c,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composed of a body 151 made of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a flow path 152 is formed in the center. In this case, the flow path 152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has an expanded portion 152a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152 is gradually enlarged in a direction toward the end so that one end may have a diameter wider than the other end.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is case, the expansion unit 152a may be disposed to face the direction in which sound waves are introduced into the echo space 140a, or may be disposed to face the direction in which sound waves are echoed and emitted from the echo space 140a.

그리고, 이 경우에도 상기 소음저감필터(150)의 몸체(151)는 음파의 진행 속도 변화 및/또는 열에너지의 전환이 가능한 통기조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음저감필터(150)는 연결덕트(141)의 유로(141a)에 억지끼움 방식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량의 운행에 따른 진동 및/또는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소음저감필터(150)가 배치되는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장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소음저감필터(150)는 접합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유로(141a)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And, even in this case, the body 151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made of a ventilation structure capable of changing the speed of sound wave and / or the conversion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is to be coupled to the flow path 141a of the connection duct 141, so that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is disposed by vibration and / or impact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It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able so that the position to be changed does not change. On the other hand,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mounted to be fixed to the flow path (141a) by a bonding member (not shown).

소음저감필터(150)의 또 다른 구조적인 구성의 일 예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에 유로(152)가 형성되는 환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는 몸체(15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50)의 테두리 영역에 지지부(153)가 더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소음저감필터(150)의 몸체(151)는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이 음파의 진행 속도 변화 및/또는 열에너지의 전환이 가능한 통기조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another structural configuration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as shown in FIGS. 4A and 4B, a body 150 having an annular plate structure in which a flow path 152 is formed in the center is provided. It may b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153 is further provided in the border region of the body 150. Even in this case, the body 151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made of a ventilation structure capable of chang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sound wave and / or the conversion of thermal energy as mentioned above.

그리고, 상기 몸체(150)의 테두리 위치에 구비되는 지지부(153)는 예를 들어 플랜지 구조와 같이, 연결덕트(141)의 유로(141a)에 배치될 경우 상기 유로(141a)의 내부면과 접하게 되는 일정한 면적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53)는 몸체(150)와 같이 음파의 진행 속도 변화 및/또는 열에너지의 전환이 가능한 통기조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단순히 몸체(151)가 유로(141a)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단순히 지지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지지부(153)는 몸체(151)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몸체(151)와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53 provided at the edge position of the body 1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 path 141a when disposed in the flow path 141a of the connection duct 141, for example, as a flange structure. It can be made of a structure having a constant area.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153 may be made of a ventilation structure capable of chang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sound waves and / or thermal energy, such as the body 150, or simply the body 151 is fixed to the interior of the flow path (141a)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tructure so as to enable a simple supporting action.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153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body 151, or may be made of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body 151 to be combined.

소음저감필터(150)의 또 다른 구조적인 구성의 일 예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덕트(141)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소음저감필터(150)는 중앙에 유로(152)가 형성되는 환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는 몸체(15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50)는 상기 연결덕트(141)의 어느 일 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이 이루어지는 장착부재(155)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소음저감필터(150)의 몸체(151)는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이 음파의 진행 속도 변화 및/또는 열에너지의 전환이 가능한 통기조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al configuration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as shown in Figures 5a and 5b, it may be made of a structure detachable to the connection duct 141. In this case,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is provided with a body 150 having an annular plate structure in which a flow path 152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body 15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duct 141. It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in the mounting member 155 is made to be detachable. Even in this case, the body 151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made of a ventilation structure capable of chang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sound wave and / or the conversion of thermal energy as mentioned above.

상기 소음저감필터(150)에 관한 실시예들에서는 음파의 진행 속도 변화 및/또는 열에너지의 전환이 가능한 통기조직으로 이루어는 몸체(151)에 유로(152)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소음저감필터(150)의 몸체(151)는 그 자체가 통기조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감시키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별도의 유로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s related to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the flow path 152 is formed in the body 151 formed of a ventilation structure capable of changing the speed of sound wave and / or switching the thermal energy, but it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e body 151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not form a separate flow path according to a frequency band of noise to be reduced because the body 151 itself is made of a ventilation structure.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장치(1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흡기장치(100)는 공기 정화부(110)에 흡입덕트(120), 공급덕트(130) 및 소음저감필터(150)가 구비되는 메인 레조네이터(1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소음저감필터(15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메인 레조네이터(140)로 유입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6 shows a configuration of an intak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 this case,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intake apparatus 100 includes a main in which an air intake unit 110 includes an intake duct 120, a supply duct 130, and a noise reduction filter 150. Resonator 140 is provided. In addition,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configured to reduce noise introduced into the main resonator 140 a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이와 더불어,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흡입장치(100)는 흡입덕트(120)에 제1 서브 레조네이터(sub-resonator ; 16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서브 레조네이터(160)는 흡입덕트(120)로부터 소음이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덕트(120)의 유로(120a)와 연결되는 유로(161a)가 형성되는 연결덕트(161)에 의해 상기 흡입덕트(1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서브 레조네이터(160)는 내부에 반향공간(160a)이 구비되어 내부로 유입된 소음이 상쇄간섭에 의해 소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서브레조네이터(160)에 의해 구비되는 반향공간(160a)은 상기 메인 레조네이터(140) 및 소음저감필터(150)에 의해 소음이 감소되지 않거나 또는 충분한 감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만일 상기 메인 레조네이터(140)와 소음저감필터(150)에 의해 원하는 사양으로 소음이 감소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1 서브 레조네이터(160)는 상기 흡입덕(120)에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A, the suction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b-resonator 160 in the suction duct 120. The first sub-resonator 160 is suctioned by a connection duct 161 having a flow path 161a which is connected to the flow path 120a of the suction duct 120 so that noise may flow from the suction duct 120.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with the duct 120. In addition, the first sub-resonator 16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reflection space 160a is provided therein so that nois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may be extinguished by offset interference. In this case, the echo space 160a provided by the first subregulator 160 has a specific frequency at which the noise is not reduced or is not sufficiently reduced by the main resonator 140 and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It may be provided to reduce the noise of the band, if the noise can be reduced to the desired specifications by the main resonator 140 and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the first sub-resonator 160 is The suction duct 120 may not be provided.

한편, 상기 흡입덕트(120)에는 브랜치 레조네이터(branch resonator ; 170) 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브랜치 레조네이터(170)는 내부에 구비되는 반향공간(170a) 자체가 흡입덕트(120)의 유로(161a)에 직접 연결되게 구성되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랜치 레조네이터(170)의 반향공간(170a)은 다른 레조네이터의 구성과는 달리 내부 공간이 길죽한 형태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랜치 레조네이터(170) 또한, 상기 메인 레조네이터(140) 및 소음저감필터(150)에 의해 소음이 감소되지 않거나 또는 충분한 감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만일 상기 메인 레조네이터(140)와 소음저감필터(150)에 의해 원하는 사양으로 소음이 감소될 수 있는 경우, 상기 브랜치 레조네이터(170)는 상기 흡입덕(120)에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ction duct 1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branch resonator (branch resonator; 170). The branch resonator 17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cho space 170a itself provided therei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low path 161a of the suction duct 120 to reduce noise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The echo space 170a of the branch resonator 17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in a zigzag form unlike other resonators. The branch resonator 170 may also be provided by the main resonator 140 and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to reduce noise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in which noise is not reduced or a sufficient reduction is not achieved. If the noise can be reduced to a desired specification by the main resonator 140 and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the branch resonator 170 may not be provided in the suction duct 120.

발생하는 소음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브랜치 레조네이터(170)는 상기 제1 서브 레조네이터(160)와 함께 구비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The branch resonator 170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the first sub-resonator 160 or only one of the branch resonators 170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of the generated noise.

한편,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흡입장치(100)는 공급덕트(130)의 어느 일 위치에 제2 서브 레조네이터(sub-resonator ; 18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서브 레조네이터(180)는 공급덕트(130)로부터 소음이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급덕트(130)의 유로(130a)와 연결되는 유로(181a)가 형성되는 연결덕트(181)에 의해 상기 흡입덕트(1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서브 레조네이터(180)는 내부에 반향공간(180a)이 구비되어 내부로 유입된 소음이 상쇄간섭에 의해 소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b, the suction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b-resonator (180) at any one position of the supply duct 130. The second sub-resonator 180 is suctioned by a connection duct 181 in which a flow path 181a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low path 130a of the supply duct 130 so that noise may flow from the supply duct 130.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with the duct 120. In addition, the second sub-resonator 18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cho space 180a is provided therein so that the noise introduced into the second sub-resonator 180 may be extinguished by the offset interference.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각 레조네이터(160,170,180) 중 적어도 어느 일 이상의 레조네이터(160,170,180)에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소음저감필터(15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어느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이 레조네이터(140,160,170,180)에 의해 감소되지 않거나 감소효율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소음저감필터(150)를 적용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레조네이터가 구비되어야 하는 공간이 제약을 받게 되어 레조네이터의 설치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반향공간이 충분한 용량(볼륨)으로 이루어질 수 없거나, 아예 어느 특정 레조네이터의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 등에 있어서, 소음저감필터(150)를 적용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At least one or more of the resonators 160, 170 and 180, which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noise reduction filter 150 as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noise of any particular frequency band is not reduced by the resonator (140, 160, 170, 180) or the reduction efficiency is not enough, it may be configured to reduce the noise by applying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On the other hand, if the space to which the resonator should be provided is restricted in order to reduce the noise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the installation of the resonator is not sufficient, for example, the echo space may not be made of sufficient capacity (volume) or at all. In the case where it is impossible to install a specific resonator,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may be applied to reduce noise.

도 6에 도시된 흡기장치(100)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엔진의 폭발행정에 필요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흡입덕트(120)는 공기 정화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공기 정화부(110)에 연결되는 흡입덕트(120)의 단부에는 수용부(110a)에 위치되는 삽입부(121)가 더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균일하게 공기 정화용 필터(111)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intake apparatus 100 shown in FIG. 6 may be configured to be as shown in FIGS. 8A and 8B. That is, the suction duct 120 provided to introduce the air required for the explosion stroke of the engine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ir purifier 110, and in this case, the suction connected to the air purifier 110. An end portion of the duct 120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121 positioned at the accommodation portion 110a to allow the flow of ai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to uniformly pass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filter 111.

상기 공기 정화부(110)는 수용부(110a)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부 케이스(110-1)와 상부 케이스(110-2)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하부 케이스(110-1)와 상부 케이스(110-2)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110a)에는 공기 정화용 필터(111)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air purifier 110 may include a lower case 110-1 and an upper case 110-2 so that the accommodating part 110 a can be formed therein. In this case, the lower case 110 is provided. -1) and the receiving portion (110a) formed by the upper case (110-2) may be provided to replace the air purification filter 111.

그리고, 상기 공급덕트(130)는 공기 정화부(110)의 다른 일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 정화용 필터(111)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공기를 엔진으로 공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정화부(110)에 연결되는 공급덕트(130)의 단부에는 수용부(110a)에 위치되는 삽입부(131)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공기 정화용 필터(111)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공기의 흐름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upply duct 130 may be connected to another position of the air purifying unit 110 so as to be capable of supplying air in which foreign matter is filtered by the air purifying filter 111 to the engine. In this case, the end of the supply duct 130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unit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nsertion unit 131 located in the receiving unit 110a to filter foreign matter by the air purification filter 111.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so that the flow of air is made uniform.

또한, 상기 공기 정화부(110)와 메인 레조네이터(140)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덕트(141)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설명된 소음저감필터(150)가 상기 연결덕트(141)의 일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상기 연결덕트(141)는 공기 정화부(110)와 메인 레조네이터(140)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소음저감필터(150)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공급덕트(130)에 구비되는 제2 서브 레조네이터(180)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덕트(181)에 의해 공급덕트(130)와 제2 서브 레조네이터(180)가 연결되록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단일 구조로 공급덕트(130)와 제2 서브 레조네이터(180)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duct 141 provided between the air purification unit 110 and the main resonator 140 may be detachably provided or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when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described above is detachably configur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duct 141, the connection duct 141 is disposed between the air purification unit 110 and the main resonator 140. It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In addition, the second sub resonator 180 provided in the supply duct 1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upply duct 130 and the second sub resonator 18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detachable connection duct 181. Alternatively, the supply duct 130 and the second sub-resonator 180 may be connected in a single structure.

한편, 상기 흡입덕트(120)에 구비되는 제1 서브 레조네이터(160) 및/또는 브랜치 레조네이터(170)는 흡입덕트(12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출성형 등과 같은 방식에 의해,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서브 레조네이터(160)와 브랜치 레조네이터(170)는 단일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Meanwhile, the first sub-resonator 160 and / or the branch resonator 170 provided in the suction duct 120 may be configured to be integrally formed in the suction duct 120. For example, by way of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the first sub-resonator 160 and the branch resonator 170 may be formed of a single structure, as shown.

도 9a 내지 도 9c에는 종래의 흡기장치(100)에 의해 엔진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정도의 측정치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기장치(100)에 의해 엔진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정도의 측정치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9A to 9C are measured values of noise level generated when the engine is driven by the conventional intake apparatus 100 and measured values of noise level generated when the engine is driven by the intak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aph showing is shown.

이들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엔진의 구동 RPM을 나타내는 것이고, 세로축은 발생하는 소음의 데시벨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들 그래프는 4 기통 엔진의 구동에 따른 소음을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이 경우, 2nd, 4th, 6th 및 8th 선은 각각 엔지 구동에 따른 1차, 2차, 3차 및 4차 반향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나타내는 선이다. 이러한 각 소음은 허용값 보다 낮은 데시벨을 갖도록 소음이 억제되어야하고, 또한 이들 소음이 합산된 전체 소음은 전체 허용값(target order) 보다 낮은 데시벨을 유지하도록 소음구조가 설계되어야 한다. In these graphs,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drive RPM of the engin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decibel of the noise generated. And these graphs show the value which measured the noise according to the drive of a four cylinder engine. In this case, the 2nd, 4th, 6th, and 8th lines are lines representing noise generated by primary, secondary, tertiary, and quaternary echoes according to engine driving, respectively. Each of these noises must be suppressed to have decibels lower than the allowable value, and the noise structure must be designed so that the total noise summed up these noises retains the decibels lower than the total target order.

이 시험에 있어서 허용값 보다 발생하는 데시벨이 크게 높아지는 경우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음설계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나, 데시벨이 허용값에 근접하여 크게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전체 소음을 합산한 데시벨이 전체 허용값을 넘지 않는 한 수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하였다. In this test, when the decibels that are higher than the allowable value are greatly increased, a noise design is needed to reduce the noise.However, when the decibels are close to the allowable value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decibel which adds up the total noise is the total allowable value. Unless exceeded, it was accepted as acceptable.

도 9a에서와 같이, 1차 반향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나타내는 선(2nd)은 약 2,500RPM 및 4,200RPM으로 엔진이 구동할 때, 허용값 보다 높은 데시벨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고, 4차 반향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나타내는 선(8th)은 약 4,200 내지 4,900RPM 범위에서 엔진이 구동할 때, 허용값 보다 높은 데시벨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전체 소음을 합한 값의 선(OA)은 약 4,200RPM으로 엔진이 구동할 때, 전체 허용값 보다 높은 데시벨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9a, the line (2nd) indicati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first reflection is about 2,500 RPM and 4,200 RPM, when the engine is driven, it can be seen that the noise of decibels higher than the allowable value occurs, 4 The line 8th, which represents the noise generated by the differential echo, shows that when the engine is driven in the range of about 4,200 to 4,900 RPM, noise of decibels higher than the allowable value is generated. In addition, the line OA of the sum of these total noises is about 4,200 RPM, and when the engine is driven, it can be seen that the noise of decibels higher than the total allowable value is generated.

한편, 도 9b의 도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 구조(원통형의 구조)를 갖는 흡기장치(100)가 적용된 엔진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b의 도시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차 반향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나타내는 선(2nd)은 약 1,700RPM에서 허용값을 넘고, 3차 반향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나타내는 선(6th)은 약 5,500RPM에서만 허용값을 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들 소음은 일반적인 흡기장치의 경우에서보다 허용값을 넘은 횟수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허용값을 넘는 크기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전체 소음을 합산한 값의 선(OA)은 전체 허용값을 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9b is a graph measuring the noise generated when driving the engine to which the intake apparatus 100 having a noise reduction structure (cylindric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B, the line 2nd representi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first reflection exceeds the allowable value at about 1,700 RPM, and the line 6th representi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third reflection is about 5,500. You can see that the RPM exceeds the allowable value. However, these noises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times exceeding the allowable value is lower than that in the case of the general intake apparatus, and also it can be seen that the magnitude beyond the allowable value is small. Furthermore, it can be seen that the line OA of the total noise sum does not exceed the total allowable value.

다른 한편, 도 9c의 도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 구조(확장부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구조)를 갖는 흡기장치(100)가 적용된 엔진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c의 도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반향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나타내는 선들은 허용값에 적당한 것을 알 수 있고, 전체 소음을 합산한 값의 선(OA)은 전체 허용값을 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혀용값 보다 크게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9c is a graph measuring the noise generated when driving the engine is applied to the intake apparatus 100 having a noise reduction structure (cylindrical structure having an exten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s shown in FIG. 9C, it can be seen that the lines representing the noise generated by all the echoes are acceptable for the allowable value, and the line OA of the sum of the total noise not only exceeds the total allowable value, but also the tongue. It can be seen that it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dissolved value.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소음저감필터(150)의 적용으로 인해 각 소음원에 적합한 레조네이터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또는 메인 레조네이터의 용량(볼륨)을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설계가 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설명된 다양한 구조의 소음저감필터를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에 적절히 적용하여 소음 저감을 위한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t is understoo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150 as described above enables a design to reduce noise without separately providing a resonator suitable for each noise source or increasing the capacity (volume) of the main resonator. Can be. That is, the noise reduction filter having the various structures described above may be appropriately applied to the noise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to enable a design for noise reduction.

상기와 같이 설명된 소음저감 구조를 갖는 흡기장치의 실시예로 한정되게 적 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intake apparatus having the noise reduction structur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 구조를 갖는 흡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 구성예이다. 1 is a configuration example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n intake apparatus having a noise red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소음저감필터가 구비되는 메인 레조네이터가 공기 정화부와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resonator including the noise reduction filter of FIG. 1 is connected to an air purifying unit.

도 3a는 도 1의 메인 레조네이터에 구비되는 연결덕트 내부에 소음저감필터가 배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 예의 단면도와 연결덕트에 구비되는 소음저감필터의 구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provided in the connection duct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noise reduction filter is disposed in the connection duct provided in the main resonator of FIG. 1.

도 3b는 도 1의 메인 레조네이터에 구비되는 연결덕트 내부에 소음저감필터가 배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른 일 예의 단면도와 연결덕트에 구비되는 소음저감필터의 구조의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tructure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provided in the connection duct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noise reduction filter is disposed in the connection duct provided in the main resonator of FIG. 1; to be.

도 3c는 도 1의 메인 레조네이터에 구비되는 연결덕트 내부에 소음저감필터가 배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또 다른 일 예의 단면도와 연결덕트에 구비되는 소음저감필터의 구조의 또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noise reduction filter is disposed in a connection duct provided in the main resonator of FIG. 1 and another example of a structure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provided in the connection duct.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일 예의 소음저감필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nother nois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도 4a의 단면도이다.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4A.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일 예의 소음저감필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nother nois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도 5a의 소음저감필터가 연결덕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 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5B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noise reduction filter of FIG. 5A is coupled to a connection duct.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 구조를 갖는 흡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 구성예이다. 6 is a configuration example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n intake apparatus having a noise redu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도 6의 제1 서브 레조네이터와 브랜치 레조네이터가 흡입덕트와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b-resonator and the branch resonator of FIG. 6 are connected to the suction duct.

도 7b는 도 6의 제2 서브 레조네이터가 공기 정화부와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b-resonator of FIG. 6 is connected to the air purifying unit.

도 8a는 도 6의 흡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8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intake apparatus of FIG. 6.

도 8b는 조립된 도 6의 흡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는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 FIG. 8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intake apparatus of FIG. 6 assembled; FIG.

도 9a는 일반적인 흡기장치를 이용하여 시험된 소음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9A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of noise tested using a general intake apparatus.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필터가 구비되는 흡기장치를 이용하여 시험된 소음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ure 9b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of noise tested using the intake apparatus with a nois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필터가 구비되는 흡기장치를 이용하여 시험된 소음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ure 9c is a graph showing the noise level tested using an intake apparatus equipped with a nois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흡기장치 110 ... 공기 정화부100 ... intake 110 ... air purifier

110a ... 수용부 111 ... 공기 정화용 필터110a ... Receptacle 111 ... Filter for air purification

120 ... 흡입덕트 120 ... suction duct

120a,130a,141a,152,161a,181a ... 유로120a, 130a, 141a, 152,161a, 181a ... Euro

130 ... 공급덕트 140 ... 메인 레조네이터130 ... supply duct 140 ... main resonator

140a,160a,170a,180a ... 반향공간 141,161,181 ... 연결덕트140a, 160a, 170a, 180a ... echo space 141,161,181 ... connection duct

150 ... 소음저감필터 151 ... 몸체150 ... noise reduction filter 151 ... body

152a ... 확장부 153 ... 지지부152a ... extension 153 ... support

155 ... 장착부재 155b ... 고정부155 ... mounting member 155 b ... fixing part

160 ... 제1 서브 레조네이터 170 ... 브랜치 레조네이터160 ... First Sub Resonator 170 ... Branch Resonator

180 ... 제2 서브 레조네이터180 ... second sub-resonator

Claims (12)

이물질을 거르기 위하여 내부에 공기 정화용 필터가 구비되는 공기 정화부와; An air purifying unit provided with an air purifying filter therein to filter foreign matters; 상기 공기 정화부에 연결되어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덕트와; A suction duct connected to the air purifier to suck air supplied to the engine; 상기 공기 정화부에 연결되어 공기 정화용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배출되는 공급덕트와; A supply duct connected to the air purifying unit and discharged to supply the air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removed by the air purifying filter to the engine; 상기 공기 정화부와 연결덕트에 의해 유로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엔진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메인 레조네이터와; A main resonator provided to connect the flow path by the air purifying unit and a connection duct to reduce noise generated by driving of the engine;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에 구비되고,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일정 체적을 갖는 통기조직으로 이루어지며, 엔진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소음이 저감되도록 구성되는 소음저감필터;A noise reduction filter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duct and formed of a ventilation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capable of flowing air, and configured to reduce noise by converting noise generated by driving of the engine into thermal energy;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장치. Intak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필터는 음파(소음)의 통과시간이 지연되도록 이루어져 메인 레조네이터로부터 반향되는 음파(소음)와 소멸간섭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장치. The intak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ise reduction filter is configured to delay a passing time of sound waves (noise) and to generate sound interference (noise) and extinction interference reflected from the main resona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필터는 중앙에 유로가 형성되는 환형의 플레이트 구조 또는 중앙에 유로가 형성되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장치. The intak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ise reduction filter has an annular plate structure having a flow path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or a cylindrical structure having a flow path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구조의 소음저감필터는 상기 유로의 일 단부 위치의 직경이 다른 단부 위치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유로의 중앙부에서 단부 방향으로 점층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확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장치. The noise reduction filter of claim 5, wherein the cylindrical noise reduction filter further includes an expansion part having a diameter gradually increased in the end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flow path such that the diameter of one end position of the flow path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position. Intak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필터는 중앙에 유로가 형성되는 환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몸체의 테두리에 연결덕트의 내부에 장착되는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장치. The intak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ise reduction filter includes a support having a body formed of an annular plate structure having a flow path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support portion fixed to a position of the connection duct at the edge of the body.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필터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ise reduction filter 상기 연결덕트에 결합되는 장착부재와; A mounting member coupled to the connection duct; 상기 장착부재에 결합되며, 중앙에 유로가 형성되는 환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며,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일정 체적을 갖는 통기조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장치. The intake device is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consisting of an annular plate structure having a flow path formed in the cent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body consisting of a ventilation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capable of the flow of 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에는 제1 서브 레조네이터 또는 브랜치 레조네이터가 구비되거나 또는 제1 서브 레조네이터 및 브랜치 레조네이터 모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장치. The intak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duct is provided with a first sub-resonator or a branch resonator or with both a first sub-resonator and a branch resonato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레조네이터 또는 브랜치 레조네이터에 소음저감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장치. 10. The intak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a noise reduction filt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first sub-resonator or the branch reson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덕트에는 제2 서브 레조네이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장치. The intak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ly duct is provided with a second sub-resonato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레조네이터에 소음저감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장치. 12. The intak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second sub-resonator is further provided with a noise reduction filter.
KR1020080035300A 2008-04-16 2008-04-16 Inhalation apparatus having noise reduction structure KR1009617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300A KR100961730B1 (en) 2008-04-16 2008-04-16 Inhalation apparatus having noise reduc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300A KR100961730B1 (en) 2008-04-16 2008-04-16 Inhalation apparatus having noise reduction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861A KR20090109861A (en) 2009-10-21
KR100961730B1 true KR100961730B1 (en) 2010-06-10

Family

ID=4153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300A KR100961730B1 (en) 2008-04-16 2008-04-16 Inhalation apparatus having noise reduc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73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7960A (en) * 2017-09-22 2018-01-16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Intake muffler and diesel fork lift tru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1410B2 (en) * 2011-11-24 2016-02-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Air cleaner device and intake duct device
CN104454261A (en) * 2014-12-11 2015-03-25 无锡同捷汽车设计有限公司 Air filter of automobil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0672U (en) * 1983-04-30 1984-11-15 日野自動車株式会社 engine intake system
KR19980038642A (en) * 1996-11-26 1998-08-05 박병재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of engine
KR19980053122A (en)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of engine
KR19980064475U (en) * 1997-04-29 1998-11-25 김영귀 Mounting structure of resonance chamber for air cleaner
JP2002106434A (en) * 2000-09-28 2002-04-10 Tennex Corp Intake resonator
JP2003336554A (en) * 2002-05-20 2003-11-28 Yanmar Co Ltd Engine intake structure
KR20070005740A (en) * 2003-03-17 2007-01-10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Noise reducing device and clean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0672U (en) * 1983-04-30 1984-11-15 日野自動車株式会社 engine intake system
KR19980038642A (en) * 1996-11-26 1998-08-05 박병재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of engine
KR19980053122A (en)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of engine
KR19980064475U (en) * 1997-04-29 1998-11-25 김영귀 Mounting structure of resonance chamber for air cleaner
JP2002106434A (en) * 2000-09-28 2002-04-10 Tennex Corp Intake resonator
JP2003336554A (en) * 2002-05-20 2003-11-28 Yanmar Co Ltd Engine intake structure
KR20070005740A (en) * 2003-03-17 2007-01-10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Noise reducing device and clea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7960A (en) * 2017-09-22 2018-01-16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Intake muffler and diesel fork lift tru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861A (en)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9722B2 (en) Air duct assembly for vehicles
US7207310B2 (en) Noise attenuation device for an air induction system
US5900595A (en) Intake silencer device
KR100961730B1 (en) Inhalation apparatus having noise reduction structure
JP2008025472A (en) Noise reducing device
US9970351B2 (en) High frequency silencer for an air induction system
US9693662B2 (en) Vacuum cleaner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system
JP2000130277A (en) Muffler
KR20100061554A (en) Acoustically optimised fluid line
EP1800955A2 (en) Vehicle cab noise suppressing system
RU2565487C2 (en) Muffler device and vehicle with such muffler device
KR101047032B1 (en) Automotive Air Duct Assemblies
CN114514574A (en) Noise eliminator for air conditioner
JP2010116118A (en) Duct and vehicle structure
CN107100769B (en) Air filter structure for automobile
US8684133B2 (en) Acoustically damped component
JP4700566B2 (en) Tractor
CN209908704U (en) Silencer for air compressor
JPS60125764A (en) Resonator for vehicle
JP4423665B2 (en) Intake sound reduction structure
KR101623801B1 (en) Fan Filter Unit Having Active Noise Control
CN212838126U (en) Air intake system and car of engine
CN220871115U (en) Noise reduction structure, fresh air module and fresh air conditioner
RU2119087C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ir cleaner
JP4384933B2 (en) Silencer for turbo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