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354B1 - Pair 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Pair 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354B1
KR100961354B1 KR1020080058341A KR20080058341A KR100961354B1 KR 100961354 B1 KR100961354 B1 KR 100961354B1 KR 1020080058341 A KR1020080058341 A KR 1020080058341A KR 20080058341 A KR20080058341 A KR 20080058341A KR 100961354 B1 KR100961354 B1 KR 100961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roll
roll
fair
paircross
cross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3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32197A (en
Inventor
홍기주
김남형
양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058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354B1/en
Publication of KR2009013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1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3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40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axial shifting of the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18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부 백업 롤과 작업 롤이 짝으로 크로스되어 페어크로스 압연기의 각도를 조절하더라도 좌/우 하중 차이 변동을 감소시켜 통판성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페어크로스 압연기의 각도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작업 롤 및 백업 롤 좌우측에서 서로 짝을 이루어 형성된 페어크로스 헤드를 기 설정된 거리보다 오버런 조절하고, 오버런되는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에 의해 상기 작업롤 및 상기 백업 롤을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의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ir 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a poor flowability by reducing the left / right load difference fluctuation even when the top / bottom backup roll and the work roll is crossed in pairs to adjust the angle of the fair cross rolling mill, When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ngle adjustment of the fair cross rolling mill, overrun adjustment of the fair cross head formed by pairing each other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overrun And a process of moving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to the center of the pair cross head by the pair cross head.

페어크로스 압연기, 자동위치제어(APC), 통판성 불량, 작업 롤, 백업 롤, 페어크로스 헤드, 작업 롤 초크, 백업 롤 초크. Fair Cross Rolling Mill, Automatic Position Control (APC), Poor Flowability, Work Roll, Backup Roll, Fair Cross Head, Work Roll Choke, Backup Roll Choke.

Description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방법{PAIR 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METHOD} PAIR 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압연 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페어 크로스(Pair Cross) 설비 사용으로 인한 통판성 불량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위치제어(APC : Automatic Position Control)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ing proc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position control (APC) method for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defective sheeting due to the use of a pair cross facility.

압연 공정에서 강판의 크라운을 제어하기 위해 페어크로스(Pair Cross) 설비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페어크로스는 강판의 크라운을 제어하는 설비로서, 페어크로스 압연기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10)과 접촉되는 작업 롤(Work Roll)(20a, 20b)과, 작업 롤(20a, 20b)의 위에서 압하를 가하는 보강 롤(BackUp Roll)(30a, 30b)이 짝으로 형성되는데, 상부 작업 롤(20a)과 하부 작업 롤(20b)은 평행한 것이 아니라 소정 각도(크로스 각도)로 교차되어 형성된다. 즉, 페어크로스 압연기는 상부 작업 롤(20a)과 하부 작업 롤(20b)의 상기 크로스 각도에 의해 강판의 크라운을 제어한다. In order to control the crown of the steel sheet in the rolling process, Fair Cross (Pair Cross) facilities are often used. The fair cross is a facility for controlling the crown of the steel sheet, the fair cross rolling machine,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 1, the work roll (Work Roll) 20a, 20b in contact with the strip 10, and the work roll ( BackUp Rolls 30a and 30b are pressed in pairs from above 20a and 20b, and the upper work roll 20a and the lower work roll 20b are not parallel but have a predetermined angle (cross angle). Are formed to intersect. That is, the fair cross rolling machine controls the crown of the steel sheet by the cross angle of the upper work roll 20a and the lower work roll 20b.

일반적으로 상기 페어크로스는 크라운 제어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 나, 설비 관리가 매우 엄격하지 않으면 통판성 불량 발생 즉, 압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In general, the fair cross is known to have a large crown control effect, but if the facility management is not very stric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failure in the flow through, that is, rolling is not made smoothly.

또한, 페어크로스 사용 각도를 매 압연 코일마다 변경하여 압연을 하는 경우, 압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최대한 페어크로스를 일정 각도로 사용하고 있다. 페어크로스 각도 변경 시에는 입/출측 페어크로스 헤드를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이동하여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Automatic Position Control)를 한다. In addition, when rolling by changing a faircross use angle for every rolling coil, since rolling is not made smoothly, generally the faircross is used at a fixed angle as much as possible. When changing the fair cross angle, the fair 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is performed by moving the entry / exit fair cross hea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도 2는 종래의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fair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method. Referring to FIG.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는 교정(Calibration) 직후 입/출측 페어크로스 헤드(40)와 롤 초크(50, 60)와의 간격은 약 1mm가 된다. 이후, 페어크로스 각도가 도 2의 (b), (c), (d)와 같이 바뀌게 되더라도 입/출측의 페어크로스 헤드(40)와 롤 초크(50)와의 총 간격은 항상 1mm 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입측 간격이 0.4mm라면 출측 간격은 0.6mm로서 항상 간격은 1mm가 된다. Referring to FIG. 2, in the conventional fair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the distance between the entry / exit faircross head 40 and the roll chocks 50 and 60 immediately after calibration is about 1 mm. Thereafter, even if the paircross angle is changed as shown in FIGS. 2B, 2C and 3D, the total distance between the paircross head 40 and the roll choke 50 at the entry / exit side always maintains 1 mm. For example, if the entrance gap is 0.4 mm, the exit gap is 0.6 mm and the gap is always 1 mm.

그러나 종래의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는 강판 압연 전에 자동위치제어 직후, 롤 및 롤 초크(chock)가 페어크로스 헤드(PairCross Head)와 첨부된 도 1의 (a)와 같이 위치하게 되며, 압연이 시작되면, 첨부된 도 3과 같이 작업 롤(WR)과 백업 롤(BUR)이 정렬 상태가 불량해지면서 압연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원인이 된다. 여기서 작업 롤(WR)은 강판 메탈 주입(Metal-In) 시 강판과 만나는 지점을 순간회전중심으로 하여 작업 롤(WR)이 초기 회전모멘트에 의해 입측 방향으로 순간 이동하지만, 강판의 치입 충격력에 의해 다시 출측으로 이동하면서 충돌음을 발생한다. 이후, 다시 압연하기 위해 압연기 측으로 강판을 끌어당기는 힘만큼의 반대방향 반발력에 의해 작업 롤(WR)은 입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때, 평형점을 찾기 전까지 이동량이 크게 되면 입측에 매우 가깝게 되고, 이동량이 작게 되면 입/출측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fair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the roll and roll chocks are positioned as shown in FIG. 1A attached to the faircross head immediately after the automatic position control before rolling the steel sheet, and the rolling starts. When the work roll WR and the backup roll BUR are in poor alignment, as shown in FIG. 3, the rolling may not be performed smoothly. Here, the work roll WR is momentarily rotated at the point where it meets the steel sheet during the metal-in metal injection (Metal-In), and the work roll WR is momentarily moved in the inward direction by the initial rotation moment. Go back to the exit and generate a crash sound. Subsequently, the work roll WR moves in the inward direction by the counter-repulsion force as much as the force pulling the steel sheet to the rolling mill side to roll again, and at this time, when the moving amount becomes large until the equilibrium point is found, the moving amount becomes very close to the inlet side. If this becomes small, a problem arises between the entry and exit sides.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부 백업 롤과 작업 롤이 짝으로 크로스되어 페어크로스 압연기의 각도를 조절하더라도 좌/우 하중 차이 변동을 감소시켜 통판성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for preventing the poor flowability by reducing the left / right load difference fluctuation even when the top / bottom backup roll and the work roll is crossed in pairs to adjust the angle of the fair cross rolling mill Provides a 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method.

상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벙은, 상부 작업 롤과 하부 작업 롤이 짝으로 크로스되는 페어크로스 압연기의 각도를 조절하는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장치에서의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페어크로스 압연기의 각도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작업 롤 및 백업 롤 좌우측에서 서로 짝을 이루어 형성된 페어크로스 헤드를 기 설정된 거리보다 오버런 조절하는 과정; 및 오버런되는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에 의해 상기 작업롤 및 상기 백업 롤을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의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method in a pair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devic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paircross rolling mill in which the upper work roll and the lower work roll are crossed in pairs,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ngle control of the pair cross rolling mill, adjusting the overrun of the fair cross head formed by pairing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moving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to the center of the fair cross head by the overcross head.

본 발명은 작업 롤과 백업 롤을 페어크로스 헤드 중심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작업 롤이 입측 또는 출측으로 이동하더라도 백업 롤과는 평행을 유지하기 때문에 작업 롤과 백업 롤 정렬 불량에 의한 페어크로스 통판성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압연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at the center of the fair cross head, even if the work roll moves to the entry or exit side,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are kept parallel to the backup roll. Since it can prevent, roll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페어크로스를 원하는 각도만큼 움직이면서 최종적으로 작업 롤과 백업 롤이 헤드의 중심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자동위치제어를 종료 후, 압연 중 작업 롤이 입측 또는 출측으로 이동하더라도 백업 롤과 평행을 유지하도록 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are finally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head while moving the fair cross by a desired angle, so that after the automatic position control ends, even if the work roll moves to the entry or exit side during rolling, it is parallel to the backup roll. To keep.

우선, 페어크로스 압연기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10)과 접촉되는 작업 롤(Work Roll)(20a, 20b)과 작업 롤(20a, 20b) 위에서 압하를 가하는 백업 롤(BackUp Roll)(30a, 30b)이 서로 짝을 이루어 크로스되어 형성된다. First, as shown in FIG. 1, the fair-cross rolling mill pushes down the work rolls 20a and 20b and the work up rolls 20a and 20b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strip 10. Are formed by pairing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페어크로스 압연기의 작업 롤(20a, 20b)과 백업 롤(30a, 30b)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장치가 형성된다. A pair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device for moving the positions of the work rolls 20a and 20b and the backup rolls 30a and 30b of such a faircross rolling mill is formed.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어크로스 통판성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Automatic Position Control) 장치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structure of a pair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preventing faircross boarding def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fair cros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rosscross automatic position of FIG. 4.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장치는 페어크로스 헤드(PairCross Head)(110), 작업 롤 쵸크(Chock)(120) 및 백업 롤 쵸크(130)와, 페어크로스 헤드(PairCross Head)(110)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faircross head includes a faircross head 110, a work roll choke 120, a backup roll choke 130, and a faircross hea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o adjust (110).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110)는 상기 작업 롤 쵸크(120) 및 백업 롤 쵸크(130)의 드라이브 사이드(DS)의 입측 및 출측에 서로 짝을 이루어 형성되며, 작업 사이드(WS)에도 상기 DS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페어크로스 헤드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110)는 측면이 'ㄱ' 형상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놓은 형태로 형성되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스크류(Screw)들(101)을 구동시켜 각도를 조절한다. The fair cross head 110 is formed to be paired with the entry and exit sides of the drive side (DS) of the work roll choke 120 and the backup roll choke 130, the configuration of the DS also in the work side (WS) It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o keep the distance between the fair cross head constant. In addition, the pair cross head 11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side is rotated in a left-right direction in a 'b' shape, an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screws 101 connected to a motor (not shown) are connected. Drive to adjust the angle.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 롤 초크(120a, 120b)는 작업 롤(20a, 20b) 위치에 형성되어 좌우로 형성된 각 크로스 빔(140a, 140b)에 의해 입측 또는 출측으로 이동한다. As shown in FIG. 5, the work roll chocks 120a and 120b are formed at the work rolls 20a and 20b and moved to the entry or exit side by the cross beams 140a and 140b formed to the left and right.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업 롤 초크(130a, 130b)는 백업 롤 (30a, 30b) 좌우로 형성된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에 의해 입측 또는 출측으로 이동한다. As shown in FIG. 5, the backup roll chocks 130a and 130b are moved to the entry or exit side by the pair-cross heads 110a and 110b form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backup rolls 30a and 30b.

이와 같은 상기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장치는 센서에 의해 측정된 페어크 로스 헤드의 각도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원하는 각도만큼 조절하는데, 최종적으로 작업 롤과 백업 롤이 페어크로스 헤드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Such an automatic fairing cross positioning device receives a signal about the angle of the fair cross head measured by the sensor and adjusts the desired angle. Finally,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ar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air cross head. . 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ir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장치는 작업 롤 초크(120a, 120b) 및 백업 롤 초크(130a, 130b)에 의해 작업 롤(20a, 20b) 및 백업 롤(30a, 30b)을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의 중심부에 위치시키기 위해 오버런하여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페어크로스 압연기의 각도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작업 롤(20a, 20b) 및 백업 롤(30a, 30b) 좌우측에서 서로 짝을 이루어 형성된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를 기 설정된 거리보다 오버런 조절하고, 오버런되는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에 의해 상기 작업 롤(20a, 20b) 및 백업 롤(30a, 30b)을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의 중심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5 and 6, the fair-cross automatic positioning device includes the work rolls 20a and 20b and the backup rolls 30a and 30b by the work roll chocks 120a and 120b and the backup roll chocks 130a and 130b. ) Is moved overrun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aircross heads 110a and 110b.
Specifically, when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ngle adjustment of the fair cross rolling mill, paired cross formed i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work roll (20a, 20b) and the backup roll (30a, 30b)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he heads 110a and 110b are overrun controll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work rolls 20a and 20b and the backup rolls 30a and 30b are overrun by the pair of crosscross heads 110a and 110b that are overrun. It moves to the center of the 110a, 110b.

예를 들어,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제어부로부터 각도 증가 제어 신호를 받아 구동되면, 모터에 의해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에 연결된 스크류(101)들이 기 설정된 거리만큼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를 이동시켜 각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와 작업 롤 초크(120a, 120b) 및 백업 롤 초크(130a, 130b) 간 거리를 예를 들어 1mm라고 하면, 제어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거리에서 0.5mm를 더 오버런한 후(추가로 증가시킨 후), 다시 0.5mm만큼 감소시켜 작업 롤(20a, 20b) 및 백업 롤(30a, 30b)을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의 중심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제어부로부터의 신호가 각도 증가 제어 신호인 경우,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와 작업 롤 초크(120a, 120b), 그리고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와 백업 롤 초크(130a, 130b) 간 거리의 합(예를 들어, 1mm)의 절반(예를 들어, 0.5mm)에 해당하는 "설정값" 만큼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를 기 설정된 거리에서 오버런시키고, 설정값만큼 증가된 거리에서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를 다시 설정값 만큼 감소시켜 작업 롤(20a, 20b) 및 백업 롤(30a, 30b)을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의 중심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For example, when a motor (not shown) is driven by receiving an angle increasing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unit, the screws 101 connected to the pair crossheads 110a and 110b by the motor are drive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110b) to increase the angle. At this tim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crossheads (110a, 110b) and the work roll chocks (120a, 120b) and the backup roll chocks (130a, 130b) is, for example, 1mm, 0.5mm is further added from the preset distance by the control signal. After overrun (after further increasing), the work rolls 20a and 20b and the backup rolls 30a and 30b are moved to the center of the fair cross heads 110a and 110b again by decreasing by 0.5 mm.
That is, when the signal from the controller is an angle increasing control signal, the pair cross heads 110a and 110b and the work roll chocks 120a and 120b, and the pair cross heads 110a and 110b and the backup roll chocks 130a and 130b. The paircross heads 110a and 110b are overru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y an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sum of the distances (for example, 1 mm) (for example, 0.5 mm), and increased by the setting value. In the distance, the pair crossheads 110a and 110b are reduced by a set value again to move the work rolls 20a and 20b and the backup rolls 30a and 30b to the centers of the paircross heads 110a and 110b.

반대로, 모터가 제어부로부터 각도 감소 제어 신호를 받아 구동되면, 모터에 의해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에 연결된 스크류(101)들이 제어 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거리만큼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를 이동시켜 각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때, 각도 증가 제어 신호의 경우와 반대로, 기 설정된 거리에서 0.5mm를 더 감소시킨 후, 다시 0.5mm만큼 증가시켜 작업 롤(20a, 20b) 및 백업 롤(30a, 30b)을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의 중심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제어부로부터의 신호가 각도 감소 제어 신호인 경우, 상기 설정값 만큼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를 기 설정된 거리에서 더 오버런시킨 후(추가로 감소시킨 후), 설정값만큼 감소된 거리에서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를 다시 설정값만큼 증가시켜 작업 롤(20a, 20b) 및 백업 롤(30a, 30b)을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110a, 110b)의 중심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motor is driven by receiving the angle redu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he screws 101 connected to the paircross heads 110a and 110b by the motor may move the paircross heads 110a and 110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control signal. To reduce the angle. At this time, as opposed to the case of the angle increasing control signal, by further reducing the 0.5mm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again by 0.5mm to increase the work roll (20a, 20b) and the backup roll (30a, 30b) to the fair cross head ( It moves to the center of the 110a, 110b.
That is, when the signal from the controller is an angle reduction control signal, after the paircross heads 110a and 110b are further overrun (after further reducing) by the set value, the pair is reduced by the set value. The pair crossheads 110a and 110b are increased by a set value again to move the work rolls 20a and 20b and the backup rolls 30a and 30b to the centers of the paircross heads 110a and 110b.

또한,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장치는 압연중 작업 롤의 위치를 판단하여 이때, 압연 시 이동되는 자동위치제어 완료 직후부터는 작업 롤이 움직임이 없는 백업 롤과 평행을 유지하도록 자동위치제어를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fair 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device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work roll during rolling, and performs automatic position control so that the work roll remains parallel to the backup roll without movement immediately after completion of the automatic position control moved during rolling.

이와 같이 페어크로스 헤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첨부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롤(WR)과 백업 롤(BUR)을 작업 사이드(WS) 및 드라이브 사이드(DS)의 페어크로스 헤드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면, 도 7의 (c) Metal-In 이후 압연 시의 모습처럼, 작업 롤(WR)이 입측 또는 출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도 7의 (b)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직후와 동일한 형태로 상기 백업 롤(BUR)과는 평행을 유지하기 때문에 페어크로스 통판성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 롤과 상기 백업 롤을 압연 시에도 계속 평행 상태로 유지시켜 좌/우 하중 차이 변동이 발생하지 않아 통판성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fair cross head in this way, as shown in (a) of FIG. 7, the work roll WR and the backup roll BUR are paired with the work side WS and the drive side DS. When placed in the center of the crosshead, as shown in the case of rolling after (c) Metal-In of FIG. 7, even if the work roll WR moves to the entry or exit side, immediately after the automatic cross-position control of FIG. 7 (b) Since it is maintained in parallel with the backup roll (BUR) in the same form a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fair cross-flow failure. That is,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are kept in parallel even during rolling so that a left / right load difference does not occur, thereby preventing a faulty mailing.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페어크로스 압연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air cross rolling mill,

도 2는 종래의 작업 사이드(WS) 또는 드라이브 사이드(DS)의 한쪽 면에서의 상단(Top) 또는 하단(Bottom)부의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를 도시한 도면,FIG. 2 is a diagram showing a pair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of a top or bottom portion on one side of a conventional working side WS or drive side DS; FIG.

도 3은 종래의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에 따른 작업 롤과 백업 롤의 정렬 상태가 어긋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3 is a view for showing that the alignment state of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is shift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air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automatic device for controlling a crosscross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도 4의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FIG. 5 is a view brief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rosscross automatic position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ir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를 통해 작업 롤 및 백업 롤이 페어크로스 헤드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showing that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air cross head through the automatic pair cross position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상부 작업 롤과 하부 작업 롤이 짝으로 크로스되는 페어크로스 압연기의 각도를 조절하는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장치에서의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방법에 있어서, In the pair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method in a pair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devic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paircross rolling mill in which the upper work roll and the lower work roll cross each other, 상기 페어크로스 압연기의 각도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작업 롤 및 백업 롤 좌우측에서 서로 짝을 이루어 형성된 페어크로스 헤드를 기 설정된 거리보다 오버런 조절하는 과정; 및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ngle adjustment of the fair cross rolling mill, adjusting the overrun of the fair cross head formed by pairing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오버런되는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에 의해 상기 작업롤 및 상기 백업 롤을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의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방법. And moving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to the center of the fair cross head by the over cross hea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 신호가 각도 증가 제어 신호인 경우, When the control signal is an angle increase control signal,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를 기 설정된 거리보다 오버런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를 설정값만큼 상기 기 설정된 거리보다 더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The overrun adjustment of the paircross heads over a preset distance may include increasing the paircross heads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by a set value. 상기 작업롤 및 상기 백업 롤을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의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증가된 거리에서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를 다시 상기 설정값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방법. The moving of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to the center of the fair cross head includes reducing the fair cross head by the set value again at an increased distance. .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 신호가 각도 감소 제어 신호인 경우, When the control signal is an angle reduction control signal,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를 기 설정된 거리보다 오버런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를 설정값만큼 상기 기 설정된 거리보다 더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The overrun adjustment of the paircross heads over a preset distance may include reducing the paircross heads by a set value more than the preset distance. 상기 작업롤 및 상기 백업 롤을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의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감소된 거리에서 상기 페어크로스 헤드를 다시 상기 설정값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방법. The moving of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to the center of the fair cross head includes increasing the fair cross head by the set value again at a reduced distance. .
KR1020080058341A 2008-06-20 2008-06-20 Pair 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method KR1009613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341A KR100961354B1 (en) 2008-06-20 2008-06-20 Pair 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341A KR100961354B1 (en) 2008-06-20 2008-06-20 Pair 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197A KR20090132197A (en) 2009-12-30
KR100961354B1 true KR100961354B1 (en) 2010-06-04

Family

ID=4169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341A KR100961354B1 (en) 2008-06-20 2008-06-20 Pair 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35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4223B (en) * 2015-01-12 2017-09-2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A kind of Cross Location Method of hot continuous rolling PC milling trai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939Y1 (en) 1998-12-26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Pair cross jamming prevention device
KR100526129B1 (en) 2001-12-22 2005-11-08 주식회사 포스코 Hot rolling method for controlling width profile of hot strip
KR100627487B1 (en) 2005-05-16 2006-09-25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for controlling thickness of stri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939Y1 (en) 1998-12-26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Pair cross jamming prevention device
KR100526129B1 (en) 2001-12-22 2005-11-08 주식회사 포스코 Hot rolling method for controlling width profile of hot strip
KR100627487B1 (en) 2005-05-16 2006-09-25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for controlling thickness of str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197A (en)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079B2 (en) Rolling method and rolling apparatus for flat-rolled metal materials
CN105797809A (en) Device and method for adaptive adjustment of roller gap of crusher
US6874724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eling up in the proper position a hot-rolled strip in a reeling installation
CN107138537B (en) It is a kind of using electronic and hydraulic pressing rolled aluminum sheet mill method for controlling thickness
KR100961354B1 (en) Pair cross automatic position control method
JP2907926B2 (en) Roll roll position setting method
JPS6012123B2 (en) Thick plate rolling method
JPH10249420A (en) Aligning of automatic roll grooves
US9433985B2 (en) Feed roll assembly
KR101204849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winding shape of hot-rolling coil
JP3109067B2 (en) Strip width control method in hot continuous rolling
JPH06345303A (en) Centering method and device for strip
JPS5848247B2 (en) Steel plate continuous rolling equipment
JPS59183915A (en) Method for setting roll gap of hydraulic rolling-down type rolling mill
JPS626711A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zero point of roll opening of rolling mill
JPH10225708A (en) Method for controlling warping in shape steel rolling
JP2005125407A (en) Method of shape control in temper rolling mill
JPS6054221A (en) Tension controlling method of strip
JPS5841127B2 (en) Continuous rolling method of steel plate
JPH0986739A (en) Centering device of steel strip
KR20190075514A (en) Apparatus for front-end bending control of rolling plate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JP2007253223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ickness in rolling mill and rolling equipment
JPH10180329A (en) Looper control method in finishing rolling mill
JPH07308713A (en) Method for coiling strip and device therefor
JPS58188257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winding metal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