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932B1 - Toothbrush - Google Patents

Tooth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932B1
KR100959932B1 KR1020080043412A KR20080043412A KR100959932B1 KR 100959932 B1 KR100959932 B1 KR 100959932B1 KR 1020080043412 A KR1020080043412 A KR 1020080043412A KR 20080043412 A KR20080043412 A KR 20080043412A KR 100959932 B1 KR100959932 B1 KR 100959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wire
toothbrush
separator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4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17389A (en
Inventor
이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80043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932B1/en
Publication of KR2009011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3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9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6Grips or handles having a nonslip 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지부를 와이어 부재로 형성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i) 칫솔모가 부착된 칫솔대, 및 ii) 길게 뻗은 와이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파지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in which the gripping portion is formed of a wire member. 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othbrush head with i) bristles attached thereto, and ii) an elongated wire member, and a gripping portion connected to the toothbrush head.

칫솔, 와이어 부재, 파지부, 스테인리스강 Toothbrush, wire member, gripping portion, stainless steel

Description

칫솔 {TOOTHBRUSH}Toothbrush {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지부를 와이어 형태로 형성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thbrush formed with a gripping portion in the form of a wire.

일반적으로 칫솔은 칫솔대 및 칫솔모를 포함한다. 칫솔대는 딱딱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하고, 칫솔모는 여러 가닥으로 된 합성섬유를 묶어서 칫솔대의 일단에 식모되어 있다.Toothbrushes generally include a toothbrush rod and bristles. The toothbrush rod is formed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bristles are planted on one end of the toothbrush bundle by tying several strands of synthetic fibers.

따라서 사용자는 칫솔 파지부를 쥐고 칫솔모를 치아에 접촉시켜 치아를 닦는다. 그러나 칫솔을 장기간 사용한 경우, 파지부는 그대로 사용해도 되는데도 불구하고 칫솔 전체를 버려야 하므로, 자원 낭비가 심하다. 또한, 칫솔 파지부를 쥐고 이를 닦는 경우, 칫솔이 잘 미끄러지므로, 칫솔모가 입안에서 미끄러지면서 칫솔대가 입안을 긁어서 입안에 상처가 생길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grasps the toothbrush grip and cleans the teeth by bringing the brush head into contact with the teeth. However, when the toothbrush is used for a long time, the gripping portion may be used as it is, but the entire toothbrush must be discarded, which causes a great waste of resources. In addition, when the toothbrush grips and cleans the toothbrush, the toothbrush slides well, so that the bristles slip in the mouth and the toothbrush can scratch the mouth and cause a wound in the mouth.

본 발명은 잘 미끄러지지 않는 구조의 파지부를 가진 칫솔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시 칫솔모만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칫솔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having a gripping portion of the structure that does not slip well.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that can be used permanently by selectively replacing only the bristles in u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칫솔모가 부착된 칫솔대, 및 길게 뻗은 와이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파지부를 포함하는 칫솔로서, 상기 칫솔대는 상기 칫솔모가 부착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파지부와 연결된 분리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부재는 상호 이격되어 상기 분리대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 및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2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과 상기 제2 와이어부의 연결부는 만곡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와이어들,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들이 뻗은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 및 제2 와이어부는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하여 만곡될 수 있다. 제2 와이어부는 분리대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와이어부는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관통할 수 있다. 연결대는 분리대와 접촉할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들의 길이는 상호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othbrush including a toothbrush attached to the bristles, and elongated wire member, comprising a gripping portion connected to the toothbrush, wherein the toothbrush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and the bristle A detachable separator attached to the main body, the separator being connected to the gripping part, wherein the wire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air of first wire parts connected to the separator, and a second wire connecting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to each other; A pair of wire parts, wherein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second wire part are curved, and the second wire part is connected to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wire and a connecting rod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wires extends to interconnect the pair of wires.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and the second wire part may be curved toward opposite directions. The second wire portion may contact the separator. The second wire part may penetrate a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The connecting rod can contact the separator. The length of the pair of wires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파지부는 한 쌍의 와이어들에 부착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에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홈들이 형성되고, 한 쌍의 홈들에 한 쌍의 와이어들이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표시부는 표시면을 포함하고, 한 쌍의 홈들과 표시면은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표시부는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과 이격될 수 있다.The gripp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portion attached to the pair of wires. A pair of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formed in the display unit, and a pair of wires may be fitted into the pair of grooves, respectively.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display surface, and the pair of grooves and the display surface may face opposite directions. The display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first wire portions.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 및 제2 와이어부의 사이에 타원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의 길이는 상호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연결부는 분리대와 이격될 수 있다. 분리대는, i) 누름 버튼, 및 ii) 누름 버튼과 연동되어 본체에 형성된 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한 쌍의 걸림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대가 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한 쌍의 걸림부들의 이격 거리가 커지면서 한 쌍의 걸림부들이 홈에 고정될 수 있다.An elliptical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and the second wire part. The length of the pair of first wire portions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each other. The connection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separator. The separator may include i) a push button, and ii) a pair of engaging portions detachably coupled to a groove formed in the main body in association with the push button. When the separator is coupled to the main body, the pair of locking portions may be fixed to the groove while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ir of locking portions is increased.

분리대는 그 외면에 형성된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부재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separator may include a convex portion formed on its outer surface. The wire member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칫솔의 파지부를 와이어 형태로 형성하므로, 파지부에 자연스럽게 파지력이 가해져 칫솔이 잘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칫솔의 그립감이 우수하다. 그리고 칫솔모를 다 사용한 경우, 다른 칫솔모로 교체하여 파지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gripping portion of the toothbrush is formed in the form of a wire, the gripping force is naturally applied to the gripping portion so that the toothbrush does not slip well. Moreover, the grip of a toothbrush is excellent. And when the bristles are used up,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other bristles to use the grip portion as i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resource waste.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possible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represen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below have the same meaning as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erms defined in advance are additionally interpreted to have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ated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ly disclosed contents,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very formal sense unless def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칫솔(1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칫솔(100)의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1 schematically shows a toothbrus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toothbrush 100 shown in FIG. 1 is mere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toothbrush 100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칫솔(100)은 칫솔대(10) 및 파지부(20)를 포함한다. 파지부(20)는 칫솔대(10)에 연결되고, 와이어 부재(201)를 포함한다. 와이어 부재(201)는 칫솔대(10)가 뻗은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다. 칫솔(100)을 사용하는 경우, 와이어 부재(201)를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한다.As shown in FIG. 1, the toothbrush 100 includes a toothbrush stand 10 and a gripper 20. The gripping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toothbrush rod 10 and includes a wire member 201. The wire member 201 ext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othbrush rod 10 extends. When using the toothbrush 100, the wire member 201 is gripped by hand and used.

칫솔대(10)는 본체(101) 및 분리대(103)을 포함한다. 분리대(103)는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고, 파지부(20)와 연결된다. 즉, 분리대(103)를 통하여 본 체(101)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칫솔모(105)를 장기간 사용한 경우 본체(101)만 빼서 버릴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부재(201)를 포함하는 파지부(20)는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The toothbrush rod 10 includes a main body 101 and a separator 103. The separator 103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101 and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portion 20. That is, since the main body 101 can be separated through the separator 103, when the bristle 105 is used for a long time, only the main body 101 can be removed and discarded. Therefore, the holding part 20 containing the wire member 201 can continue to be used.

와이어 부재(201)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스테인리스강은 녹이 슬지 않으므로, 칫솔(100)에 물이 묻어도 괜찮다. 더욱이, 스테인리스강으로 와이어 부재(201)를 제조하는 경우, 금속의 탄성으로 인해 손에 탄력적인 느낌이 들 수 있다. 따라서 그립감이 우수하다.The wire member 201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Since stainless steel does not rust, it is okay to get water on the toothbrush 100. Furthermore, when the wire member 201 is made of stainless steel, elasticity of the hand may be felt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metal. Therefore, the grip is excellent.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부재(201)는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2011) 및 제2 와이어부(201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2011)은 상호 이격되어 분리대(103)에 연결된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2011)의 길이는 상호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파지부(20)를 규칙적인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칫솔(100)을 세면대 위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2 와이어부(2013)는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2011)을 상호 연결시킨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2011)은 제2 와이어부(2013)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된다.As shown in FIG. 1, the wire member 201 includes a pair of first wire parts 2011 and a second wire part 2013.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20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nected to the separator 103. Here, the lengths of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2011 are substantially the same. Therefore, since the gripping portion 20 can be manufactured in a regular shape, the toothbrush 100 can be stably fixed on the sink. The second wire part 2013 interconnects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2011. Therefore,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2011 are fix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gap without being separated by the second wire part 2013.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부재(201)는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2011) 및 제2 와이어부(2013)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2015)를 포함한다. 연결부(2015)는 만곡되며, 분리대(103)와 이격되어 위치한다.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2011) 및 제2 와이어부(2013)는 상호 예각을 이루면서 휘어져 연결부(2015)에서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칫솔(100)을 사용하는 경우, 한 손으로 한 쌍의 제1 와이 어부들(2011) 및 제2 와이어부(2013)를 함께 파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칫솔(100)을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를 닦을 수 있다. 또한, 연결부(2015)가 만곡되므로, 칫솔(100)을 세면대 부근에 부착된 고리 등에 걸어 보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wire member 201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2015 that interconnects a pair of first wire portions 2011 and a second wire portion 2013. The connecting portion 2015 is curve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eparator 103.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2011 and the second wire part 2013 are bent at an acute angle to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onnection part 2015. Therefore, when the toothbrush 100 is used, the pair of first wire fishermen 2011 and the second wire unit 2013 may be gripped together with one hand. As a result, the toothbrush 100 can be gripped stably and cleaned.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2015 is curved, the toothbrush 100 can be stored by hanging on a hook or the like attached near the sink.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와이어부(2013)는 휘어져서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2011)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을 관통한다. 즉, 제2 와이어부(2013)가 만곡되면서 공간(S)을 관통하여 꼬이는 형태로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2011)과 함께 결합되므로, 와이어 부재(201)의 구조를 좀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econd wire part 2013 is bent to penetrate the space S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2011. That is, since the second wire part 2013 is curved and coupled together with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2011 in a form twisted through the space S, the structure of the wire member 201 can be made more robust. have.

한편, 제2 와이어부(2013)는 한 쌍의 와이어들(2013a)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대(2013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와이어들(2013a)은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며,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2011)에 각각 연결된다. 한 쌍의 와이어들(2013a)의 길이는 상호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파지부(20)가 규칙적인 형상을 가져서 칫솔(100)을 세면대 위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wire part 2013 includes a pair of wires 2013a and a connecting rod 2013b that interconnects them. The pair of wires 2013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2011, respectively. Since the lengths of the pair of wires 2013a are substantially equal to each other, the grip portion 20 may have a regular shape to stably fix the toothbrush 100 on the sink.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와이어들(2013a)은 z축 방향을 향하여 뻗어 있다. 연결대(2013b)는 y축 방향, 즉, x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서 한 쌍의 와이어들(2013a)을 상호 연결한다. 따라서 제2 와이어부(2013)의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2 와이어부(2013)는 분리대(103)의 후면에 접촉한다. 즉, 제2 와이어부(2013)에 포함된 연결대(2013b)가 분리대(103)의 후면에 접촉하므로, 연결대(2013b)가 분리대(103)에 의해 지지되어 제2 와이어부(2013)의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air of wires 2013a extend in the z-axis direction. The connecting rod 2013b extends in the y-axis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crossing the x-axis direction to interconnect the pair of wires 2013a.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second wire portion 2013 can be maintained firmly. In addition, the second wire part 2013 contacts the rear surface of the separator 103. That is, since the connecting rod 2013b included in the second wire part 2013 contacts the rear surface of the separator 103, the connecting rod 2013b is supported by the separator 103 to support the structure of the second wire part 2013. You can keep it more robust.

파지부(20)는 한 쌍의 와이어들(2013a)에 부착된 표시부(203)를 더 포함한 다. 표시부(203)는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2011)과는 이격되어 위치한다. 표시부(203)의 표시면(2031)에는 칫솔의 상표 등을 인쇄하거나 음각 또는 양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표시부(203)를 파지부(20)에 추가함으로써 파지부(20)를 좀더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The gripping portion 20 further includes a display portion 203 attached to the pair of wires 2013a. The display unit 203 is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2011. On the display surface 2031 of the display unit 203, a trademark or the like of a toothbrush can be printed or engraved or embossed. In addition, by adding the display unit 203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o the grip unit 20, the grip unit 20 may be gripped more stably.

도 2는 도 1의 칫솔(100)의 측면도이다. 2 is a side view of the toothbrush 100 of FIG.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2011)은 -x축 방향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된다. 반대로, 제2 와이어부(2013)는 +x축 방향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된다. 더욱이,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2011) 및 제2 와이어부(2013)는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되므로, 그 사이에 타원형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손을 이용해 파지부(20)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air of first wire portions 2011 are convexly curved toward the -x axis direction. On the contrary, the second wire portion 2013 is convexly curved toward the + x axis direction. Furthermore,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2011 and the second wire part 2013 are curved convexly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an elliptical space is formed therebetween. Therefore, the gripping portion 20 may be stably gripped by using a hand.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표시부(203)를 자른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3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203 cut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203)에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홈들(2033)이 형성된다. 한 쌍의 홈들(2033)은 하부 방향을 항하는 반면에 표시부(203)에 형성된 표시면(2031)은 상부 방향을 향한다. 따라서 한 쌍의 홈들(2033)과 표시면(2031)은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한다. 한 쌍의 와이어들(2013a)은 한 쌍의 홈들(2033)에 각각 끼워져서 결합된다. 따라서 표시부(203)를 한 쌍의 와이어들(2013a)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지 등으로 제조한 표시부(203)가 손에 접촉되므로, 파지부(20)를 파지하는 경우 그립감이 약간 더 부드러워진다.As shown in FIG. 3, the display unit 203 is provided with a pair of grooves 203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air of grooves 2033 face the downward direction, while the display surface 2031 formed on the display portion 203 faces the upward direction. Therefore, the pair of grooves 2033 and the display surface 2031 face opposite directions. The pair of wires 2013a are fitted into each of the pair of grooves 2033 and coupled thereto. Therefore, the display unit 203 may be firmly fixed to the pair of wires 2013a.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portion 203 made of resin or the like is in contact with the hand, the grip feeling becomes slightly softer when the grip portion 20 is gripped.

도 4는 도 1의 본체(101)를 분리대(103)와 분리 또는 결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본체(101)와 분리대(103)의 분리 또는 결합 과정 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체(101)와 분리대(103)를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다.4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1 of FIG. 1 is separated from or combined with the separator 103. The separation or coupling process of the main body 101 and the separator 103 shown in FIG. 4 is merely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main body 101 and the separator 103 can be separated or combined using other methods.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대(103)의 외면에는 볼록부(1035)가 형성된다. 따라서 칫솔(100)을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손이 볼록부(1035)에 닿을 수 있다. 이 경우, 볼록부(1035)에 의해 손가락을 지압할 수 있고, 볼록부(1035)가 손에 마찰력을 부여하여 칫솔(100)을 안정적으로 파지하게 해 준다.As shown in FIG. 4, a convex portion 1035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103. Therefore, when the toothbrush 100 is gripped by hand, the hand may touch the convex portion 1035. In this case, the finger 10 can be pressed by the convex portion 1035, and the convex portion 1035 provides a frictional force to the hand so as to stably hold the toothbrush 100.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1)의 하단에는 홈(1011)(점선 도시)이 형성된다. 분리대(103)는 누름 버튼(1031) 및 한 쌍의 걸림부들(1033)을 포함하고, 한 쌍의 걸림부들(1033)은 화살표 방향으로 홈(1011)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As shown in FIG. 4, a groove 1011 (dotted lin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1. The separator 103 includes a push button 1031 and a pair of locking portions 1033, and the pair of locking portions 1033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groove 101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한편, 도 4에는 2개의 걸림부들(1033)을 도시하였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3개 이상의 걸림부들을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걸림부들을 사용하지 않고, 분리대(103)의 상단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홈(1011)에 끼워 결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wo locking portions 1033 are shown in FIG. 4, this is merely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ree or more locking portions may be disposed radially and used. On the other hand, without using the engaging portion, it may be coupled to the groove 1011 by forming a protrusion on the upper end of the separator 103.

한 쌍의 걸림부들(1033)은 누름 버튼(1031)과 연동되어 작동한다. 한 쌍의 걸림부들(1033)과 누름 버튼(1031) 사이의 연결 구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누름 버튼(1031)을 누르는 경우, 한 쌍의 걸림부들(1033)은 그 이격 거리가 작아진다. 따라서 한 쌍의 걸림부들(1033)이 홈(1011)에 결합되지 않으므로, 본체(101)를 분리대(103)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칫솔모(105)가 닳아서 버려야 하는 경우, 누름 버튼(1031)을 눌러서 본체(101)를 분리대(103)로부터 분리한 후 버린다.The pair of engaging portions 1033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push button 1031.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pair of catching portions 1033 and the push button 1031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the push button 1031 is pressed, the pair of engaging portions 1033 have a smaller separation distance. Therefore, since the pair of engaging portions 1033 are not coupled to the groove 1011, the main body 101 can be separated from the separator 103. That is, when the bristle 105 is worn out and needs to be discarded, the push button 1031 is pressed to separate the main body 101 from the separator 103 and then discard it.

다음으로, 누름 버튼(1031)을 누른 상태에서 새 본체(101)의 홈(1011)에 한 쌍의 걸림부들(1033)을 삽입하고, 누름 버튼(1031)을 릴리스한다. 이 경우, 한 쌍의 걸림부들(1033)은 그 이격 거리가 커지면서 한 쌍의 걸림부들(1033)이 홈(1011)에 고정된다. 따라서 새 본체(101)를 분리대(103)에 고정하여 본체(101)만 교환한 칫솔(100)을 사용할 수 있다.Next, while holding down the push button 1031, a pair of engaging portions 1033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1011 of the new main body 101, and the push button 1031 is released. In this case, the pair of catching portions 1033 is fixed to the groove 1011 as the pair of catching portions 1033 is increased in the separation distan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the toothbrush 100 to replace the main body 101 by fixing the new main body 101 to the separator 103.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claims set out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칫솔의 측면도이다.FIG. 2 is a side view of the toothbrush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자른 표시부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unit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도 4는 도 1의 본체를 분리대와 분리 또는 결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칫솔 10...칫솔대
101...본체 103...분리대
105...칫솔모 20...파지부
201...와이어 부재 2011...제1와이어부들
2013...제2와이어부 2015...연결부
203...표시부 2031...표시면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of FIG. 1 is separated from or combined with a separator.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toothbrush 10 toothbrush rod
101 ... body 103 ... separator
105 Brush head 20 Grip
201 ... Wire Member 2011 ... First Wire Parts
2013.2 Wire Section 2015 ... Connection
203 ... Display 2031 ... Display

Claims (20)

칫솔모가 부착된 칫솔대, 및Toothbrush stick with bristles, and 길게 뻗은 와이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파지부A gripping portion comprising an elongated wire member and connected to the toothbrush rod 를 포함하는 칫솔로서,As a toothbrush comprising: 상기 칫솔대는 상기 칫솔모가 부착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파지부와 연결된 분리대를 포함하며,The toothbrush pole includes a main body to which the bristles are attached, and a detachable rod detachable to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holding part. 상기 와이어 부재는 상호 이격되어 상기 분리대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 및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2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과 상기 제2 와이어부의 연결부는 만곡되어 있으며,The wire member includes a pair of first wire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nected to the separator, and a second wire part interconnecting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wherein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and the first wire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part of the 2 wire part is curved,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와이어들,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들이 뻗은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칫솔.The second wire part is connected to the pair of first wire parts, respectively, a pair of wir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wires extend to mutually connect the pair of wires. Toothbrush including connecting rod connect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 및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하여 만곡된 칫솔.And the pair of first wire portions and the second wire portion are curved in opposite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상기 분리대와 접촉하는 칫솔.And the second wir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separa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관통하는 칫솔.The second wire portion toothbrush penetrates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wire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대는 상기 분리대와 접촉하는 칫솔.The toothbrush is in contact with the separa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 쌍의 와이어들의 길이는 상호 실질적으로 동일한 칫솔.1. The toothbrush of claim 1, wherein the pair of wires are substantially equal in length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지부는 상기 한 쌍의 와이어들에 부착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칫솔.And the gripp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display portion attached to the pair of wires.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표시부에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홈들에 상기 한 쌍의 와이어들이 각각 끼움 결합된 칫솔.The display unit is provided with a pair of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pair of wires are fitted into the pair of grooves, respectively.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표시부는 표시면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홈들과 상기 표시면은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하는 칫솔.And the display unit includes a display surface, wherein the pair of grooves and the display surface fac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과 이격된 칫솔.And the display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first wire portio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 및 상기 제2 와이어부의 사이에 타원형 공간이 형성된 칫솔.Toothbrush formed with an elliptical space between the pair of first wire portion and the second wir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 쌍의 제1 와이어부들의 길이는 상호 실질적으로 동일한 칫솔.And a pair of first wire portion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lengt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부는 상기 분리대와 이격된 칫솔.The connection part is a toothbrush spaced apart from the separa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리대는,The separator, 누름 버튼, 및Push button, and 상기 누름 버튼과 연동되어 상기 본체에 형성된 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한 쌍의 걸림부들A pair of engaging portions coupled to the push button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groove formed in the main body. 를 포함하는 칫솔.Toothbrush including.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분리대가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걸림부들의 이격 거리가 커지면서 상기 한 쌍의 걸림부들이 상기 홈에 고정되는 칫솔.When the separator is coupled to the main body, the pair of locking portions are fixed to the groove while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ir of locking portions is increas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리대는 그 외면에 형성된 볼록부를 포함하는 칫솔.The separator comprises a convex portion formed on its out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와이어 부재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된 칫솔.The wire member is a toothbrush made of stainless steel.
KR1020080043412A 2008-05-09 2008-05-09 Toothbrush KR1009599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412A KR100959932B1 (en) 2008-05-09 2008-05-09 Tooth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412A KR100959932B1 (en) 2008-05-09 2008-05-09 Tooth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389A KR20090117389A (en) 2009-11-12
KR100959932B1 true KR100959932B1 (en) 2010-05-26

Family

ID=4160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412A KR100959932B1 (en) 2008-05-09 2008-05-09 Tooth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93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035A (en) * 1994-03-23 1995-10-24 Herbert Haiduk Toothbrush
JPH114716A (en) * 1997-06-17 1999-01-12 Mitsubishi Heavy Ind Ltd Grip member, toothbrush and western tableware utilizing thi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5035A (en) * 1994-03-23 1995-10-24 Herbert Haiduk Toothbrush
JPH114716A (en) * 1997-06-17 1999-01-12 Mitsubishi Heavy Ind Ltd Grip member, toothbrush and western tableware utilizing th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389A (en)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505563A (en) Mouth or tooth cleaning appliance
US20100050358A1 (en) Interdental brush
CN101472502A (en) Toothbrush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7080379B2 (en) Oral cleaning device with tools adapted to remove denture adhesive from dentures
CA2159747A1 (en) Denture brush
KR20220033789A (en) Oral care toothbrush with multiple functions
KR100959932B1 (en) Toothbrush
KR200405914Y1 (en) A nail file
JP3206437U (en) Scourer
CN205306256U (en) Multifunctional test -tube brush
KR102436488B1 (en) Holder for dental floss
JP6317559B2 (en) Cleaning brush
JP5514500B2 (en) toothbrush
JP5249867B2 (en) Cleaning tool
TWM465146U (en) Environmental protection floss stick device with replaceable floss
KR20140109055A (en) toothbrush
KR101347456B1 (en) Elastic click clip
KR102672390B1 (en) Toothbrush
JP3140534U (en) Dental floss with holder
CN211633672U (en) Dental floss bracket
JP3132293U (en) Turtle sardine with holding band
JP2019134843A (en) Interdental brush
JP2003088425A (en) Interdental brush
JP3106058U (en) Pill removal brush
JP2006181120A (en) Interdental 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