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761B1 -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761B1
KR100959761B1 KR1020080011615A KR20080011615A KR100959761B1 KR 100959761 B1 KR100959761 B1 KR 100959761B1 KR 1020080011615 A KR1020080011615 A KR 1020080011615A KR 20080011615 A KR20080011615 A KR 20080011615A KR 100959761 B1 KR100959761 B1 KR 100959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ota
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location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792A (ko
Inventor
권혁훈
조일원
윤민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76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2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s or mobility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OTA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자동 개통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OTA 서비스를 반복하여 수행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 상태에 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만 OTA를 수행하여서 이동통신단말기를 개통하므로, OTA에 의한 개통 성공률을 높임과 아울러 이동통신망의 부하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동통신, OTA, 개통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utomatic Communication Opening}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OTA(Over the Air Activation)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자동 개통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OTA 서비스를 반복하여 수행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 상태에 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만 OTA를 수행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개통하여서, OTA에 의한 개통 성공률을 높임과 아울러 이동통신망의 부하를 감소시키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입자가 새로운 이동통신단말기를 구입하거나 새로이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하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를 이동통신망에 서비스 등록하고 해당 이동통신단말기를 개통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통을 위하여 대리점에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통을 요청하는 경우에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 에 OTA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개통한다.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통을 위하여 대리점에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통을 요청하는 경우에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를 개통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OTA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가 전파 음영지역에 위치하거나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 통신 불가능 상황에 처하고 있으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전송되는 OTA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게 되고, 이에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OTA 서비스를 반복 수행하여야 하며, 해당 이동통신단말기가 장시간 동안 계속하여 통신 불가능 상태에 있으면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해당 이동통신단말에 대해 OTA 서비스를 계속 수행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개통하기 위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OTA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가 전파 음영지역에 위치하거나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어서 통신 가능하지 못한 상태에 있으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OTA 서비스를 여러번 반복하여 제공해야 하므로, OTA에 의한 개통 성공률이 낮고 이동통신망의 부하를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OTA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자동 개통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OTA 서비스를 반복하여 수행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 상태에 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만 OTA를 수행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개통하여서, OTA에 의한 개통 성공률을 높임과 아울러 이동통신망의 부하를 감소시키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은, 대리점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통 요청을 받아서 OTA(Over the Air Activation) 개통 요청 메시지를 위치 등록 서버와 OTA 서버에 전송하는 가입자 관리 서버와;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부터의 OTA 개통 요청 메시지 수신시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파악하여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으면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OTA 서버에 전송하고, OTA 서버로부터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OTA 서버에 제공하는 위치 등록 서버와;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부터의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의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등록 서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제공받아 라우팅 정보에 의거하여 OTA 메시지를 접속제어수단에 전송하는 OTA 서버와; 상기 OTA 서버로부터의 OTA 메시지를 억세스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달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OTA 개통시키는 접속제어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위치 등록 서버는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부터의 OTA 개통 요청 메시지 수신시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 등록 갱신 이벤트를 발견하거나 가용 이벤트를 발견하면 상기 OTA 서버에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방법은, 가입자 관리 서버가 대리점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통 요청을 받아서 위치 등록 서버와 OTA(Over the Air Activation) 서버에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등록 서버가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부터의 OTA 개통 요청 메시지 수신시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파악하여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으면 상기 OTA 서버에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OTA 서버가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부터의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의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등록 서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OTA 서버가 상기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여 라우팅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위치하는 통신 영역의 접속제어수단을 통해 억세스망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OTA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OTA 개통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방법에 의하면, 상기 위치 등록 서버가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부터의 OTA 개통 요청 메시지 수신시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 등록 갱신 이벤트를 발견하거나 가용 이벤트를 발견하면 상기 OTA 서버에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OTA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자동 개통하므로,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OTA 서비스를 반복하여 수행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 상태에 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만 OTA를 수행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개통할 수 있어서, OTA에 의한 개통 성공률을 높임과 아울러 이동통신망의 부하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OTA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자동 개통함으로써, OTA에 의한 개통 성공률을 높임과 아울러 이동통신망의 부하를 감소시키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a, 10b), 억세스망(20), 접속제어수단(25), 유선망(30), 위치 등록 서버(35), 가입자 관리 서버(40) 및 OTA(Over the Air Activation) 서버(45)를 포함한다.
가입자 관리 서버(4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판매 및 통신 가입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리점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OTA 개통 요청 메시지가 발생되는 경우에 위치 등록 서버(35)와 OTA 서버(45)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OTA 개통을 요청하는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위치 등록 서버(35)는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데, 가입자 관리 서버(40)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등록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여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으면 곧바로 OTA 서버(45)에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으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감시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 등록 갱신 이벤트를 발견하거나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용 이벤트를 발견하는 경우에 OTA 서버(45)에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며, OTA 서버(45)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OTA 서버(45)에 전송한다.
그리고, OTA 서버(45)는 가입자 관리 서버(40)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OTA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위치 등록 서버(35)로부터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위치 등록 서버(35)에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치 등록 서버(35)로부터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OTA 메시지를 접속제어수단(25)에 전송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OTA 서비스를 수행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를 OTA 개통한다.
또한, 접속제어수단(25)은 억세스망(20)을 통해 통신 접속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a, 10b)에 대한 통신 경로를 연결하고 억세스망(20)과 유선망(30)을 연결하여 억세스망(20)과 유선망(30) 사이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과 가입자 이동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동통신단말기(10a, 10b)로부터 통신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 10b)에 대한 가용 이벤트 정보 및 위치 등록 갱신 이벤트 정보를 유선망(30)을 경유하여 위치 등록 서버(35)에 제공하여 위치 등록 서버(35)에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 10b)에 대한 가용 이벤트 및 위치 등록 갱신 이벤트를 파악케 하며, OTA 서버(45)로부터 유선망(30)을 통해 전송되는 OTA 메시지를 억세스망(20)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a, 10b)에 전달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a, 10b)를 OTA 개통케 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0a, 10b)는 가용 상태로 전환하거나 위치 등록 갱신을 하는 경우에 관련 이벤트 발생 정보를 억세스망(20)을 경유하여 접속제어수단(25)에 전송하며, OTA 서버(45)로부터 유선망(30), 접속제어수단(25) 및 억세스망(20)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OTA 메시지를 수신하여 OTA 개통함으로써 개통한다.
그리고, 억세스망(20)은 예를 들어 CDMA 방식의 이동통신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WCDMA 방식의 이동통신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노드B(node B) 및 RNC(Radio Network Controller)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WiBro 방식의 이동통신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RAS(Radio Access Station)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제어수단(25)은 예를 들어 CDMA 방식의 이동통신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교환기에 의해 구현할 수 있고, WCDMA 방식의 이동통신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및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의해 구현할 수 있고, WiBro 방식의 이동통신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ACR(Access Control Route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유선망(30)은 예를 들어 CDMA 방식의 이동통신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지능망으로 구현할 수 있고, WCDMA 방식의 이동통신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지능망 또는 IP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WiBro 방식의 이동통신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IP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CDMA, WCDMA, WiBro 및 IP망을 포함하는 다양한 망(Network)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은 일 예로 이동통신단말기(10a)를 새로이 구입하여 통신 서비스에 가입하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의 가입자는 대리점을 통해서 서비스 가입 등록하게 되는데, 이때 대리점은 전용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입자 관리 서버(40)에 통신 접속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 가입자 정보를 입력함과 아울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가입자 관리 서버(40)는 위치 등록 서버(35)와 OTA 서버(45)에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개통 요청이 발생되었음을 통지한다. 이때, 위치 등록 서버(35)는 가입자 관리 서버(40)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등록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되, 해당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으면 곧바로 OTA 서버(45)에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OTA 서버(45)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개통을 수행케 하고, 이동통신단말기(10a)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으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의 상태를 감시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위치 등록 갱신 이벤트를 발견하거나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의 가용 이벤트를 발견하는 경우에 OTA 서버(45)에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OTA 서버(45)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개통을 수행케 한다.
또한, OTA 서버(45)는 가입자 관리 서버(40)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위치 등록 서버(35)로부터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위치 등록 서버(35)에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치 등록 서버(35)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0a) 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라우팅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가 위치하고 있는 통신 영역의 접속제어수단(25)으로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서비스를 수행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를 OTA 개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OTA 개통 요구가 발생되는 경우에 위치 등록 서버(35)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파악하되, 해당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감시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 등록 갱신 이벤트를 발견하거나 가용 이벤트를 발견하면 OTA 서버(45)에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OTA 개통이 가능함을 통지하고, 이에 OTA 서버(45)에서 위치 등록 서버(35)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한 라우팅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OTA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를 OTA 개통한다.
따라서, OTA 개통 대상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전파 음영지역에 위치하거나 전원이 차단되어 있어서 통신 가능하지 못한 상태에 있다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위치 등록 서버(35)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 가능 상태로의 전환을 파악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OTA 개통을 수행하므로, 종래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OTA 서비스를 반복하여 수행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 상태에 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만 OTA를 수행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개통할 수 있어서, OTA 개통 성공률을 증가시키고 OTA 반복 수행에 기인한 통신망의 부하 증가를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OTA 개통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한다.
먼저,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가입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a)를 새로이 구입하여 통신 서비스에 가입하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의 가입자는 대리점을 통해서 서비스 가입 등록하며, 이때 대리점은 전용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입자 관리 서버(40)에 통신 접속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 가입자 정보를 입력함과 아울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21).
이때, 가입자 관리 서버(40)는 위치 등록 서버(35)와 OTA 서버(45)에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개통 요청이 발생되었음을 통지한다(단계 S22). 그리고, 위치 등록 서버(35)는 가입자 관리 서버(40)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의 위치 등록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의 상태를 확인하되,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으면 곧바로 OTA 서버(45)에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지만, 이동통신단말기(10a)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으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의 상태를 감시하여 접속제어수단(25)을 통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위치 등록 갱신 이벤트를 발견하거나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의 가용 이벤트를 발견하는 경우에(단계 S23, S23'), OTA 서버(45)에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24).
그리고, OTA 서버(45)는 가입자 관리 서버(40)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위치 등록 서버(35)로부터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위치 등록 서버(35)에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단계 S25), 이에 위치 등록 서버(35)가 OTA 서버(45)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OTA 서버(45)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26).
이때, OTA 서버(45)는 위치 등록 서버(35)로부터 전송되는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라우팅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가 위치하고 있는 통신 영역의 접속제어수단(25)으로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27). 이에 따라, 접속제어수단(25)은 OTA 서버(45)로부터 전송되는 OTA 메시지를 억세스망(20)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a)에 전송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를 OTA 개통한다(단계 S28).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가입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a)를 새로이 구입하여 통신 서비스에 가입하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의 가입자는 대리점을 통해서 서비스 가입 등록하는데, 상술한 단계 S21에서 대리점은 전용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입자 관리 서버(40)에 통신 접속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 가입자 정보를 입력함과 아울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가입자 관리 서버(40)가 대리점으로부터 전송되는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가입자 관리 서버(40)는 상술한 단계 S22의 동작을 수행하여, 위치 등록 서버(35)와 OTA 서버(45)에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개통 요청이 발생되었음을 통지한다. 그리고, 위치 등록 서버(35)는 가입자 관리 서버(40)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의 위치 등록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의 상태를 확인하되,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으면 곧바로 OTA 서버(45)에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지만, 이동통신단말기(10a)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으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의 상태를 감시하여 상술한 단계 S23, S23'과 같이 접속제어수단(25)을 통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위치 등록 갱신 이벤트를 발견하거나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의 가용 이벤트를 발견하는 경우에, 상술한 단계 S24를 수행하여 OTA 서버(45)에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OTA 서버(45)는 상술한 단계 S22에서 가입자 관리 서버(40)로부터 전송된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술한 단계 S24에서 위치 등록 서버(35)로부터 전송된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술한 단계 S25를 수행하여 위치 등록 서버(35)에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위치 등록 서버(35)가 OTA 서 버(45)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상술한 단계 S26를 수행하여 OTA 서버(45)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OTA 서버(45)가 위치 등록 서버(35)로부터 전송되는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고, 상술한 단계 S27을 수행하여 해당 라우팅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가 위치하고 있는 통신 영역의 접속제어수단(25)으로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접속제어수단(25)은 상술한 단계 S28에서 OTA 서버(45)로부터 전송되는 OTA 메시지를 억세스망(20)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a)에 전송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에 대한 OTA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를 OTA 개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10a, 10b)에 대한 OTA 개통 요구가 발생되는 경우에 위치 등록 서버(35)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 10b)의 상태를 파악하되,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 10b)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 10b)의 상태를 감시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 10b)에 대한 위치 등록 갱신 이벤트를 발견하거나 가용 이벤트를 발견하면 OTA 서버(45)에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 10b)의 OTA 개통이 가능함을 통지하고, 이에 OTA 서버(45)에서 위치 등록 서버(35)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 10b)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한 라우팅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 10b)에 OTA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10a, 10b)를 OTA 개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OTA 개통 대상의 이동통신단말기(10a, 10b)가 전파 음영지역에 위치하거나 전원이 차단되어 있어서 통신 가능하지 못한 상태에 있다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위치 등록 서버(35)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 10b)의 통신 가능 상태로의 전환을 파악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 10b)에 대한 OTA 개통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a, 10b)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a, 10b)에 대하여 OTA 서비스를 반복하여 수행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10a, 10b)가 통신 가능 상태에 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만 OTA를 수행하여서 이동통신단말기를 개통하므로, OTA 개통 성공률을 증가시키고 OTA 반복 수행에 기인한 통신망의 부하 증가를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변경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에서 새로운 이동통신단말기를 가입시켜서 개통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OTA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자동 개통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OTA 서비스를 반복하여 수행하 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 상태에 있음이 확인되는 경우에만 OTA를 수행하여서 이동통신단말기를 개통하므로, OTA에 의한 개통 성공률을 높임과 아울러 이동통신망의 부하를 감소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을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 10b; 이동통신단말기
20; 억세스망
25; 접속제어수단
30; 유선망
35; 위치 등록 서버
40; 가입자 관리 서버
45; OTA(Over the Air Activation) 서버

Claims (4)

  1. 대리점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통 요청을 받아서 OTA(Over the Air Activation) 개통 요청 메시지를 위치 등록 서버와 OTA 서버에 전송하는 가입자 관리 서버와;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부터의 OTA 개통 요청 메시지 수신시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파악하여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으면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OTA 서버에 전송하고, OTA 서버로부터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OTA 서버에 제공하는 위치 등록 서버와;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부터의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의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등록 서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제공받아 라우팅 정보에 의거하여 OTA 메시지를 접속제어수단에 전송하는 OTA 서버와;
    상기 OTA 서버로부터의 OTA 메시지를 억세스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달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OTA 개통시키는 접속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 서버는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부터의 OTA 개통 요청 메시 지 수신시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 등록 갱신 이벤트를 발견하거나 가용 이벤트를 발견하면 상기 OTA 서버에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
  3. 가입자 관리 서버가 대리점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통 요청을 받아서 위치 등록 서버와 OTA(Over the Air Activation) 서버에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등록 서버가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부터의 OTA 개통 요청 메시지 수신시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파악하여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으면 상기 OTA 서버에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OTA 서버가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부터의 OTA 개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의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등록 서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OTA 서버가 상기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여 라우팅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위치하는 통신 영역의 접속제어수단을 통해 억세스망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OTA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OTA 개통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 서버가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로부터의 OTA 개통 요청 메시지 수신시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 등록 갱신 이벤트를 발견하거나 가용 이벤트를 발견하면 상기 OTA 서버에 OTA 개통 가능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방법.
KR1020080011615A 2008-02-05 2008-02-05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 및 방법 KR100959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615A KR100959761B1 (ko) 2008-02-05 2008-02-05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615A KR100959761B1 (ko) 2008-02-05 2008-02-05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792A KR20090085792A (ko) 2009-08-10
KR100959761B1 true KR100959761B1 (ko) 2010-05-25

Family

ID=4120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615A KR100959761B1 (ko) 2008-02-05 2008-02-05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7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381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개인 휴대 통신 교환기에서의 신규 가입자에 대한 해피콜 서비스 방법
US20020037724A1 (en) 1996-07-15 2002-03-28 Chatterjee Arun K.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egistration notification for over-the-air activation
KR100625672B1 (ko) 2005-08-01 2006-09-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 무선 가입처리 방법
KR100660654B1 (ko) 2005-12-20 2006-12-2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다중망을 사용하는 장치의 서비스 개통 처리 시스템 및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7724A1 (en) 1996-07-15 2002-03-28 Chatterjee Arun K.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egistration notification for over-the-air activation
KR20000046381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개인 휴대 통신 교환기에서의 신규 가입자에 대한 해피콜 서비스 방법
KR100625672B1 (ko) 2005-08-01 2006-09-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 무선 가입처리 방법
KR100660654B1 (ko) 2005-12-20 2006-12-2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다중망을 사용하는 장치의 서비스 개통 처리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792A (ko) 200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7806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trace and service trace terminal, network element
EP1595353A4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USE OF CORE-BASED KNOTS FOR STATE TRANSFER
US8594041B2 (en) Inhibiting system traffic from unregistered mobile stations
US8289877B2 (en) Terminal setting change notification
WO200911805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reducing signaling in a network having a database server
JP5722726B2 (ja) ポリシー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ポリシーサーバおよび移動端末
US6850760B2 (en) Method and devices for improved location upda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61571A (ko) 이동성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
CN110430605B (zh) 会话线路切换方法及系统
GB25134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mmunication
CN113141606B (zh) 一种设备的运营商网络切换方法和装置
WO2017114436A1 (zh) 一种用户连接的建立方法及装置
KR100959761B1 (ko) 이동통신단말기 자동 개통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90555A1 (en) Managing Faults and Filters in Providing Foreign Services
CN101610530B (zh) 会话管理装置、通信系统和会话清除方法
CN101227719A (zh) 有条件地尝试紧急呼叫建立的系统和方法
US20040037272A1 (en) Method of forwarding packet cal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70206632A1 (en)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conversion of communic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123803B (zh) 一种关联反应系统中移动台状态变化时的处理方法
JP2003115795A (ja) 通信システム、この通信システムに用いるサーバ、エージェント制御方法、エージェント制御プログラム
KR101345423B1 (ko)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CN102781006B (zh) 一种全球移动设备标识的检验控制方法及装置
JP6230130B2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556484A (zh) 具有两个iSIM的用于冗余通信的移动无线通信设备
CN111770463A (zh) 基于区块链的漫游计费方法及漫游计费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