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119B1 - Apparatus for correcting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of deflection york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apparatu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rrecting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of deflection york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119B1
KR100959119B1 KR1020080049191A KR20080049191A KR100959119B1 KR 100959119 B1 KR100959119 B1 KR 100959119B1 KR 1020080049191 A KR1020080049191 A KR 1020080049191A KR 20080049191 A KR20080049191 A KR 20080049191A KR 100959119 B1 KR100959119 B1 KR 100959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iode
series
deflection
deflection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1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23220A (en
Inventor
진종필
윤상혁
윤순배
차광호
아츠시 타케야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119B1/en
Priority to CNA2008101704035A priority patent/CN101593657A/en
Publication of KR20090123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2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1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 H01J2229/7033Winding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는 수직 편향 코일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보정회로와 제2 보정회로를 포함하며, 제1 보정회로는 수직 편향 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1 다이오드, 제1 다이오드의 제2 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코일, 그리고 제1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코일을 포함하며, 제2 보정회로는 수직 편향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다이오드와 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다이오드, 제2 다이오드의 제2 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코일, 그리고 제2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코일을 포함한다.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of the deflection yoke includes a first correction circuit and a second correction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nd the first correction circuit includes a first diode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nd at least one first coil connected in series to a second end of the first diode, and at least one second coil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diode, wherein the second correction circuit comprises a first deflection coil; At least one third coil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stage, at least one third coil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stage of the second diode, and at leas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diode; It includes one fourth coil.

편향요크, YH 미스컨버전스, 코마 보정 코일, 비잉(B-ing) Deflection yoke, YH misconvergence, coma correction coil, B-ing

Description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표시장치{APPARATUS FOR CORRECTING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OF DEFLECTION YORK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APPARATUS}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of deflection yok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PPARATUS FOR CORRECTING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OF DEFLECTION YORK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편향요크의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Y축 수평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기 위한 YH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rection device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of a deflection yoke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YH 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for correcting a Y-axis horizontal misconvergence.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모니터의 음극선관(Cathod Ray Tube, CRT)에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되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3색 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히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요크가 사용된다. 이러한 편향요크는음극선관의 자기장치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전송된 전기신호가 음극선관의 스크린 상에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a three-color beam of red (R), green (G), and blue (B) that is scanned from an electron gun into a cathode ray tube (CRT) of a television or computer monitor is a fluorescent film coated on the screen of the cathode ray tube. A deflection yoke is used to deflect accurately. This deflection yoke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magnetic tube of the cathode ray tube, and serves to deflect the electron beam scanned from the electron gun so that the transmitted electric signal can be reproduced as an image on the screen of the cathode ray tube.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된 전자빔이 고전압에 의해 스크린 상으로 직진하게 되면 화면의 중앙 형광체만이 발광되므로, 편향요크는 외부에서 전자빔을 주사 순서대로 스크린 상에 도달하도록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편향요크는 자계를 형 성하여 전자빔이이 자계를 통과할 때 힘을 받아서 진행 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전자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하게 편향시킨다.Since only the central phosphor of the screen emits light when the electron beam scanned from the electron gun goes straight onto the screen by a high voltage, the deflection yoke serves to deflect the electron beam from outside to reach the screen in scanning order. That is, the deflection yoke forms a magnetic field and accurately deflects the electron beam to the fluorescent film coated on the screen of the cathode ray tube using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propagation when the electron beam passes through the magnetic field.

이때, 편향된 전자빔이 도달하려는 형광막이 아닌 다른 형광막에 도달하게 되면 화면에서 미스컨버전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 빔과 청색빔이 수직축(즉, Y축)을 사이에 두고 가로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Y축 가로 방향(Y axis horizontal)(이하, "YH"라 함) 미스컨버전스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수직 방향에서의 위치에 따라 적색 빔과 청색 빔의 편향량이 달라져서 적색 빔과 청색 빔이 "S"자 형태로 교차되어 보이는 비잉(B-ing)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deflected electron beam reaches a fluorescent film other than the fluorescent film to be reached,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a convergence occurs on the screen. For example, Y-axis horizont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YH") misconvergence may occur where the red and blue beams are displ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vertical axis (i.e., the Y-axis) interposed therebetween. have. In particular, a deflection amount of the red beam and the blue beam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causing a B-ing phenomenon in which the red beam and the blue beam cross each other in an “S” shap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YH 미스컨버전스 및/또는 비잉(B-ing) 특성을 보정할 수 있는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n apparatus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of a deflection yoke capable of correcting YH misconvergence and / or B-ing characteristics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수직 편향코일을 포함하는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는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보정회로와 제2 보정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정회로는,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1 다이오드,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제2 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코일, 그리고 상기 제1 다이오드에 병렬 로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보정회로는,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제2 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코일, 그리고 상기 제2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코일을 포함한다.Misconversion correction device of the deflection yoke including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irst correction circuit and a second correction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The first correction circuit may include a first diode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t least one first coil connected in series with a second end of the first diode, and the first diode. At least one second coil connected in parallel, wherein the second correction circuit includes: a second diode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nd disposed in a reverse direction to the first diode; At least one third coil connected in series to a second end of the two diodes, and at least one fourth coil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cond diod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음극선관,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부, 그리고 상기 전자총부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전자빔을 상기 음극선관으로 전달하는 편향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편향요크는 수직 편향 코일, 그리고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보정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네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정회로는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1 다이오드,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제2 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코일, 그리고 상기 제1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보정회로는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제2 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코일, 그리고 상기 제2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코일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includes a cathode ray tube, an electron gun unit for emitting an electron beam, and a deflection yoke for transferring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unit to the cathode ray tube, wherein the deflection yoke includes a vertical deflection coil; And a neck portion having first and second correction circuit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wherein the first correction circuit comprises: a first diode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t least one first coil connected in series to a second end of the first diode, and at least one second coil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diode, wherein the second correction circuit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vertical deflection. A first end is connected to the coil, the second diode disposed in a reverse direction to the first diode, connected in series to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diode Is at least one third coil, and which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ourth coil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diod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수직 편향 코일을 포함하는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는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1 다이오드,상기 제1 다이오드의 제2 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코일, 상기 수직 편향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다이오드에 병렬로연결되 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코일, 상기 수직 편향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제2 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코일, 그리고 상기 수직 편향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3 코일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for a deflection yoke including a vertical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diode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second end of the first diode At least one first coil,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t least one second coil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diode, and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 second diode disposed in a reverse direction to the first diode, at least one third coil connected in series to a second end of the second diode, and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nd at least one fourth coil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cond diode, wherein the first coil and the third coil are connected in parallel.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새로운 코일을 추가하지 않고, YH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에서 사용되는 코일을 이용하여 YH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할 수 있으며, 비잉(B-ing) 특성을 개선할 수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YH misconvergence can be corrected by using the coil used in the YH 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without adding a separate new coil, and the B-ing characteristic can be improved. Can b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편향요크를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thode ray tub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flection yoke of FIG. 2 taken along line III-III ′.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극선관 표시 장치는 음극선관(10), 편향요크(20) 및 전자총부(30)를 포함한다. 편향요크(20)는 음극선관(10)과 전자총부(30) 사이에 위치하며, 전자총부(30)의 전자총(31)으로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을 스크린(11)에 도포된 형광막의 정확한 위치에 충돌시킨다. 편향요크(20)는 상, 하 대칭형으로 설치되어 하나로 결합되는 한 쌍의 코일 세퍼레이터(21)를 포함한다. 이때, 코일 세퍼레이터(21)는 수평 편향코일(22)과 수직 편향코일(23)을 절연시킨다. 그리고, 편향요크(20)는 음극선관(10)의 스크린(11) 측에 결합되는 스크린부(24), 리커버리부(25) 및 리커버리부(25)의 중심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음극선관(10)의 전자총부(30)에 결합되는 네크부(2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cathode ray tube display device includes a cathode ray tube 10, a deflection yoke 20, and an electron gun unit 30. The deflection yoke 20 is positioned between the cathode ray tube 10 and the electron gun portion 30, and the electron beam scanned from the electron gun 31 of the electron gun portion 30 collides with the correct position of the fluorescent film applied to the screen 11. Let's do it. The deflection yoke 20 includes a pair of coil separators 21 installed in up and down symmetry and coupl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oil separator 21 insulates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22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23. In addition, the deflection yoke 20 extends integrally from the center surfaces of the screen portion 24, the recovery portion 25, and the recovery portion 25 coupled to the screen 11 side of the cathode ray tube 10 so that the cathode ray tube ( Neck portion 26 is coupled to the electron gun section 30 of 10).

구체적으로 편향요크(20)에서 코일 세퍼레이터(21)의 내주면 및외주면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각각수평 편향자계와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편향코일(22) 및 수직 편향코일(23)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한쌍의 페라이트 코어(27)가 수직 편향코일(23)을 감싸도록 편향요크(20)에 장착되어 있으며, 수직 편향코일(23)에서 발생되는 자계가 강화되도록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Specifically, in the deflection yoke 20,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22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23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separator 21 to form a horizontal deflection magnetic field and a vertical deflection magnetic field by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respectively. Is installed. At this time, a pair of ferrite cores 27 are mounted on the deflection yoke 20 to surrou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23, and ar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so that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23 is strengthened.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22, 23)에 서로 다른 주파수의 전압이 인가되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수평 편향코일(22)에는 수직방향의 자력선이 발생되어 전자빔이 수평방향으로 편향되며, 수직 편향코일(23)에는 수평방향의 자력선이 발생되어 전자빔이 수직방향으로 편향된다. 따라서, 전자총(31)으로부터 방출되는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의 3색 전자빔은 각각 소정각도로 편향되어 스크린(11)에 충돌된다.When voltages of different frequencies are appli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coils 22 and 23, vertical magnetic force lines are generated in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22 by the Fleming's left-hand law, and the electron beam is defl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magnetic field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generated at 23, and the electron beam is defl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red, green, and blue three-color electron beams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31 are deflected at predetermined angles and impinge on the screen 11, respectively.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편향요크(20), 예를 들면 새들-새들(Saddle-Saddle) 타입의 편향요크(20)는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21)의 내주면 에 설치되어 있는 새들 타입의 수평 편향코일(22) 및 코일 세퍼레이터(2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새들 타입의 수직 편향코일(23)을 포함한다.2 and 3, the deflection yoke 20, for example, the saddle-saddle type deflection yoke 20, is a saddle type that is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ical coil separator 21. The saddle type vertical deflection coil 23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22 and the coil separator 21.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수평 편향코일(22)은 수직 방향의 자력선을 발생시키기 위해 좌측과 우측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에 형성된 두 개의 수평 편향 코일(22lu, 22ld)은 상하로 분리되어 있고, 우측에 형성된 수평 편향 코일(22ru, 22rd)도 상하로 분리되어 있다. 수직 편향코일(23)은 수평 방향의 자력선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측과 하측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에 형성된 두 개의 수직 편향 코일(23ul, 23ur)은 좌우로 분리되어 있고, 하측에 형성된 수직 편향 코일(23dl, 23dr)도 좌우로 분리되어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3, two horizontal deflection coils 22 are formed on the left and the right to generate magnetic lin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wo horizontal deflection coils 22lu and 22ld formed on the left side are vertically disposed.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s 22ru and 22rd formed on the right side are also separated up and down. Two vertical deflection coils 23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in order to generate the magnetic lin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wo vertical deflection coils 23ul and 23ur formed on the upper side are separated from left and right, and are formed vertically. Deflection coils 23dl and 23dr are also separated from side to side.

코일 세퍼레이터(21)의 네크부(26)의 외주면 주변에는 수직 편향코일(23)에 의해 발생되는 코마(COMA)를 보정하기 위한 코마 보정 코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 세퍼레이터(21)의 리커버리부(25)의 일측에는 인쇄 기판(P)이 설치되어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22, 23)에 전원을 공급하여 편향요크에 대한 전기신호를 제어한다. A coma correction coil (not shown) is provid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ck portion 26 of the coil separator 21 to correct the coma generated by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23, and the coil separator 2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covery portion 25 of the) is a printed board (P) is installed to supply power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coils (22, 23) to control the electrical signal for the deflection yoke.

네크부(26)에서 방출되는 전자빔은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을 담당하는 각 전자총의 위치와 편향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차이로 인하여 서로 다른 편향 궤적을 가지며, 이에 따라 화면상에는 미스컨버전스(misconvergence)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3개의 전자빔은 집속되어 일정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음극선관내의 섀도우 마스크 한 점에서 집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서로 다른 편향궤적에 따라 전자빔이 편향되는 경우 스크린(11)에 대응하는 형광체가 아닌 다른 형광체에 전자빔이 도달되므로 색오차가 발생되어녹색 빔을중심으로 적색 빔과 청색 빔이 벗어나게 되는데 이를 미스컨버전스라 한다.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neck portion 26 has a different deflection trajectory due to the position of each electron gun in charge of red, green, and blue an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deflection coil. As a result, misconvergence may occur on the screen. That is, three electron beams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must be focused and deflected in a certain direction and focused at one point of the shadow mask in the cathode ray tube. However, when the electron beam is deflected according to different deflection trajectories, since the electron beam reaches a phosphor other than the phosphor corresponding to the screen 11, a color error is generated and the red beam and the blue beam deviate from the green beam. This is called convergence.

미스컨버전스의 한 유형인 YH 미스컨버전스는 적색 빔의 종선과 청색 빔의 종선이 교차되는 미스컨버전스로, 화면 중심의 상하 양단에서 적색 빔을 기준으로 청색 빔의 종선이 벗어나는 현상을 나타낸다. YH misconvergence, a type of misconvergence, is a misconvergence in which a vertical line of a red beam and a vertical line of a blue beam cross each other, and a vertical line of a blue beam deviates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enter of the screen based on the red beam.

이러한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기 위하여 네크부(26)는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를 포함하며,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In order to correct such misconvergence, the neck unit 26 includes a 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and a 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에서의 YH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에서의 비잉(B-ing)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YH misconvergence in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 diagram showing being (B-ing) in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shown in FIG. 4.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100)는 전자빔에 대하여 수직 편향력을 발생시키는 수직 편향 코일(23)에 연결되어 있으며, 가변저항(YH_VR1, YH_VR2), 다이오드(D1, D2), 코마 보정 코일(L1, L2, L3, L4) 및 저항(R1, R2)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vertical deflection coil 23 that generates a vertical deflection force with respect to the electron beam, and includes variable resistors YH_VR1 and YH_VR2 and diodes D1 and D2. , Coma correction coils L1, L2, L3, L4 and resistors R1, R2.

가변저항(YH_VR1)의 제1 단과 가변저항(YH_VR2)의 제1 단은 수직 편향 코일(23)에 연결된 접점(J1)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가변저항(YH_VR1)의 제2 단은 다이오드(D1)의 애노드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가변저항(YH_VR2)의 제2 단은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두 코마 보정 코일(L1, L2)은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와 접점(J2)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권선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 있다. 두 코마 보정 코일(L3, L4)은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단자와 접점(J2)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권선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 있다. 즉, 코마 보정 코일(L1, L2)과 코마 보정 코일(L3, L4)은 접점(J1)과 접점(J2) 사이에서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두 다이오드(D1, D2)는 서로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다이오드(D1)는 접점(J1)에서 접점(J2)으로의 전류 경로를 형성하고, 다이오드(D2)는 접점(J2)에서 접점(J1)으로의 전류 경로를 형성한다.The first end of the variable resistor YH_VR1 and the first end of the variable resistor YH_VR2 are commonly connected to a contact J1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23, and the second end of the variable resistor YH_VR1 is a diode ( It is connected to the anode terminal of D1), and the second end of the variable resistor YH_VR2 is connected to the cathode terminal of the diode D2. The two coma correction coils L1 and L2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cathode terminal of the diode D1 and the contact J2, and the windings are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The two coma correction coils L3 and L4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anode terminal of the diode D2 and the contact J2, and the windings are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That is, the coma correction coils L1 and L2 and the coma correction coils L3 and L4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contact J1 and the contact J2. At this time, the two diodes (D1, D2) ar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the diode (D1) forms a current path from the contact (J1) to the contact (J2), the diode (D2) is a contact (in contact J2) ( To form a current path to J1).

두 저항(R1, R2)의 제1 단은 수직 편향 코일(23)에 연결된 접점(J1)에 연결되어 있으며, 저항(R1)의 제2 단은 다이오드(D1)와 코마 보정 코일(L1)의 접점(J3)에 연결되어 있고, 저항(R2)의 제2 단은 다이오드(D2)와 코마 보정 코일(L3)의 접점(J4)에 연결되어 있다. The first ends of the two resistors R1 and R2 are connected to a contact J1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23, and the second end of the resistor R1 is connected to the diode D1 and the coma correction coil L1. It is connected to the contact J3, and the second end of the resistor R2 is connected to the contact J4 of the diode D2 and the coma correction coil L3.

이때, 코마 보정 코일(L1, L2)은 상측에 형성된 수직 편향 코일(23ul, 23ur) 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응하며, 코마 보정 코일(L3, L4)은 하측에 형성된 수직 편향코일(23dl, 23dr)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응한다. At this time, the coma correction coils L1 and L2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s 23ul and 23ur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coma correction coils L3 and L4 respectively form the vertical deflection coils 23dl and 23dr formed on the lower side.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그리고, 수직 편향 코일(23)의 제2 단과 접점(J2)은 인쇄 회로 기판(P)에 연결되어 수직 편향 코일(23)의 제2 단에서 접점(J2)로의 전류 경로 또는 접점(J2)에서 수직 편향 코일(23)의 제2 단으로의 전류 경로를 형성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end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23 and the contact J2 are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P so that the current path or the contact J2 from the second end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23 to the contact J2 may occur. A current path to the second end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23 is formed.

수직 편향 코일(23)에 전류가 인가되어 편향자계가 발생되면 전자빔은 수직방향으로 편향된다. 이때,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100)에서 코일 세퍼레이터(21)의 내주면 및외주면에 설치된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22, 23)에 산포가 발생되어 양측(좌/우측 또는 상/하측)에서 발생되는 자계가 달라지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빔과 청색 빔간의 YH 미스컨버전스가 발생된다.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23 to generate a deflection magnetic field, the electron beam is defl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in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100, scattering is generated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coils 22 and 23 provided on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oil separator 21 to generate magnetic fields on both sides (left / right or up / down). As shown in FIG. 5, YH misconvergence between the red beam and the blue beam is generated.

이러한 YH 미스컨버전스가 발생되면, 수직 편향 코일(23)로 유입되는 전류의 방향과 크기 및 가변저항(YH_VR1, YH_VR2)의 크기에 따라 코마 보정 코일(L1, L2)과 코마 보정 코일(L3, L4)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제어된다. 그러면, 코마 보정 코일(L1, L2)과 코마 보정 코일(L3, L4)이 감기는 코어(Core)의 위치와 권선방향에 따라 일정 방향의 자기력이 생성되어 적색 빔과 청색 빔은 전자기력을 받아 소정각도로 편향되면서 YH 미스컨버전스가 보정된다. 즉, 코마 보정코일(L1, L2)과 코마 보정 코일(L3, L4)에 상대적인 전류의 흐름에 따른 일정 자계가 발생하도록 가변저항(YH_VR1, YH_VR2) 각각의 저항값을 조절하여 YH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할 수 있다.When such YH misconvergence occurs, the coma correction coils L1 and L2 and the coma correction coils L3 and L4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23 and the magnitudes of the variable resistors YH_VR1 and YH_VR2.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is controlled. Then, a magnetic forc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re to which the coma correction coils L1 and L2 and the coma correction coils L3 and L4 are wound and the winding direction, so that the red beam and the blue beam receive electromagnetic force. YH misconvergence is compensated for by an angle deflection. That is, YH misconvergence is corrected by adjusting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variable resistors YH_VR1 and YH_VR2 so that a constant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flow of current relative to the coma correction coils L1 and L2 and the coma correction coils L3 and L4. can do.

그러나, YH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기 위해 가변 저항(YH_VR1, YH_VR2)의 크기를 증가시켜 YH 보정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수평 으로 이등분하는 횡축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및 하부의부분에서 비잉(B-ing)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amount of YH correction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variable resistors YH_VR1 and YH_VR2 to correct YH misconvergence, as shown in FIG. There is a problem that B-ing occurs in the part.

이하, 이러한 비잉(B-ing)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to solve the problem in which the B-ing occurs.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에서의 비잉(B-ing)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e-ing in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shown in FIG. 7.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100)에서 코마 보정 코일(L1/L2/L3/L4)이 각각 두 개의 코마 보정 코일(L11/L21/L31/L41, L12/L22/L32/L42)로 분리된 구조를 가진다.As shown in FIG. 7,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100 ′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ma correction coil L1 / L2 / L3 / L4 in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100 shown in FIG. 4. ) Are separated into two coma correction coils (L11 / L21 / L31 / L41 and L12 / L22 / L32 / L42).

도 4에 도시한 코마 보정 코일(L1)의 권선수가 소정의 비율로 나누어 코마 보정 코일(L11, L12)을 형성하며, 마찬가지로 코마 보정 코일(L2, L3, L4) 각각의 권선수가 소정의 비율로 나누어져 코마 보정코일(L21, L22), 코마 보정 코일(L31, L32) 및 코마 보정 코일(L41, L42)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100, 100')의 전체 인덕턴스는 대략 동일하게 유지된다.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ma correction coil L1 shown in FIG. 4 is divided by a predetermined ratio to form the coma correction coils L11 and L12. Similarly, the number of turns of each of the coma correction coils L2, L3 and L4 is a predetermined ratio. They are divided to form coma correction coils L21 and L22, coma correction coils L31 and L32, and coma correction coils L41 and L42. Therefore, the overall inductance of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100, 100 'remains approximately the same.

두 저항(R1, R2)의 제1 단은 수직 편향 코일(23)에 연결된 접점(J1)에 연결되어 있으며, 두 코마 보정 코일(L12, L22)은 저항(R1)의 제2 단과 다이오드(D1)와 코마 보정 코일(L11)의 접점(J3)에 연결되어 있고, 두 코마 보정 코일(L32, L42)은 저항(R2)의 제2 단과 다이오드(D2)와 코마 보정 코일(L31)의 접점(J4)에 연결되어 있다. 즉, 저항(R1) 및 코마 보정 코일(L12, L22)은 다이오드(D1)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저항(R2) 및 코마 보정 코일(L32, L42)은 다이오드(D2)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The first ends of the two resistors R1 and R2 are connected to a contact J1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23, and the two coma correction coils L12 and L22 are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resistor R1 and the diode D1. ) Is connected to the contact J3 of the coma correction coil L11, and the two coma correction coils L32 and L42 are connected to the second stage of the resistor R2 and the contact point of the diode D2 and the coma correction coil L31. J4). That is, the resistor R1 and the coma correction coils L12 and L22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diode D1, and the resistors R2 and the coma correction coils L32 and L42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diode D2. have.

이때, 코마 보정 코일(L11, L12)은 상측에 형성된 수직 편향 코일의 좌측(23ul)에 대응하며, 코마 보정 코일(L21, L22)은 상측에 형성된 수직 편향 코일의 우측(23ur)에 대응한다. 그리고, 코마 보정 코일(L31, L32)은 하측에 형성된 수직 편향 코일의 좌측(23dl)에 대응하며, 코마 보정 코일(L41, L42)은 하측에 형성된 수직 편향 코일의 우측(23dr)에 대응한다. At this time, the coma correction coils L11 and L12 correspond to the left side 23ul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coma correction coils L21 and L22 correspond to the right side 23ur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s formed on the upper side. The coma correction coils L31 and L32 correspond to the left side 23dl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s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the coma correction coils L41 and L42 correspond to the right side 23dr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s formed on the lower side.

수직 편향 코일(23)에 전류가 인가되어 편향자계가 발생되면 전자빔은 수직방향으로 편향된다. 이때, 전자빔이 화면을 수평으로 이등분하는 횡축을 기준으로 상부로 편향되는 경우, 접점(J1)에서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100')를 거쳐 접점(J2)으로 전류가 흐른다. 즉, 접점(J1)에서 다이오드(D1) 및 코마 보정 코일(L11, L21)을 거쳐 접점(J2) 방향으로의 전류 경로, 접점(J1)에서 저항(R1) 및 코마 보정 코일(L11, L21, L12, L22)을 거쳐 접점(J2) 방향으로의 전류 경로, 그리고 접점(J1)에서 저항(R2) 및 코마 보정 코일(L32, L42, L31, L41)을 거쳐 접점(J2) 방향으로의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이때, 세 전류 경로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가변저항(YH_VR1), 저항(R1, R2), 코마 보정 코일(L11, L21, L12, L22, L31, L41, L32, L42)의 임피던스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면, 코마 보정 코일(L11, L21)을 통하여 발생되는 자기력이 코마 보정 코일(L31, L41)을 통하여 발생되는 자기력보 다 크게 되므로 화면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YH 미스컨버전스가 보정되며, 가변 저항(YH_VR1, YH_VR2에 병렬로 연결된 코마 보정 코일(L12, L22, L32, L42)에 의해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100')의 전체 임피던스는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100)보다 감소하게 되므로, 아래 표 1과 같이 화면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비잉(B-ing)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23 to generate a deflection magnetic field, the electron beam is defl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when the electron beam is deflec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which bisects the screen horizontally, current flows from the contact J1 through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100 'to the contact J2. That is, the current path from the contact J1 through the diode D1 and the coma correction coils L11 and L21 in the direction of the contact J2, the resistance R1 and the coma correction coils L11 and L21 in the contact J1. A current path in the direction of the contact J2 via L12 and L22 and a current path in the direction of the contact J2 through the resistor R2 and the coma correction coils L32, L42, L31, and L41 at the contact J1. Is formed. At this time,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three current paths is determined by the imped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YH_VR1), resistors (R1, R2), coma correction coil (L11, L21, L12, L22, L31, L41, L32, L42). . Then, since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through the coma correction coils L11 and L21 is greater than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through the coma correction coils L31 and L41, the YH misconvergence gener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is corrected, and the variable resistor YH_VR1 The total impedance of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100 'is reduced by the coma correction coils L12, L22, L32, and L42 connected in parallel to YH_VR2 than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100. B-ing occurring at the top of the can be reduced.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차이 Difference YH-비잉(B-ing)(mm)YH-B-ing (mm) ㅁ0.3Mw0.3 ㅁ0.15ㅁ 0.15 0.150.15 LV (mH)LV (mH) 13.813.8 13.813.8 00 RV (Ω)RV (Ω) 8.48.4 7.87.8 0.60.6

여기서, YH-비잉(B-ing)은 YH축의 적색 빔과 청색 빔이 수직축(즉, Y축)을 사이에 두고 가로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정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이며, LV는 미스컨버전스 보정 장치와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인덕턴스이고, RV는 미스컨버전스 보정 장치와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임피던스이다.Here, the YH-being (B-ing) is a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at which the red and blue beams of the YH axis are displ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vertical axis (that is, the Y axi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LV is the misconvergence. It is the total inductance formed by the correction device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nd RV is the total impedance formed by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한편, 전자빔이 화면을 수평으로 이등분하는 횡축을 기준으로 하부로 편향되는 경우, 접점(J2)에서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100')를 거쳐 접점(J1)으로 전류가 흐른다. 즉, 접점(J2)에서 코마 보정 코일(L31, L41) 및 다이오드(D2)를 거쳐 접점(J1) 방향으로의 전류 경로, 접점(J2)에서 코마 보정 코일(L31, L41, L32, L42)을 거쳐 접점(J1) 방향으로의 전류 경로, 그리고 접점(J2)에서 코마 보정코일(L11, L21, L12, L22) 및 저항(R1)을 거쳐 접점(J1) 방향으로의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이때, 세 전류 경로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가변저항(YH_VR2), 저항(R1, R2), 코마 보정 코일(L11, L21, L12, L22, L31, L41, L32, L42)의 임피던스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면, 코마 보정 코일(L31, L41)을 통하여 발생되는 자기력이 코마 보정 코일(L11, L21)을 통하여 발생되는 자기력보다 크게 되므로 화면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YH 미스컨버전스가 보정되며, 가변 저항(YH_VR1, YH_VR2)에 병렬로 연결된 코마 보정 코일(L12, L22, L32, L42)에 의해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100')의 전체 임피던스는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100)보다 감소하게 되므로 화면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비잉(B-ing) 현상은 줄어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n beam is deflected downward based on the horizontal axis which bisects the screen horizontally, current flows from the contact point J2 to the contact point J1 via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100 '. That is, the current path from the contact point J2 through the coma correction coils L31 and L41 and the diode D2 toward the contact point J1, and the comma correction coils L31, L41, L32 and L42 at the contact point J2. A current path in the direction of the contact J1 and a current path in the direction of the contact J1 are formed through the coma correction coils L11, L21, L12, and L22 and the resistor R1 through the contact J2. At this time,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three current paths is determined by the imped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YH_VR2), resistors (R1, R2), coma correction coil (L11, L21, L12, L22, L31, L41, L32, L42). . Then, since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through the coma correction coils L31 and L41 is greater than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through the coma correction coils L11 and L21, the YH misconvergence gener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s corrected, and the variable resistances YH_VR1, Since the total impedance of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100 'is reduced by the coma correction coils L12, L22, L32, and L42 connected in parallel to YH_VR2, the misconducting correction device 100' is reduced. (B-ing) phenomenon can be reduced.

이와 같이 전자빔이 화면의 상부 또는 하부로 편향되는 경우, 코마 보정 코일(L11, L21, L31, L41)을 통하여 발생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화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발생하는 YH 미스컨버전스는 보정될 수 있으며, 코마 보정 코일(L12, L22, L32, L42)에 의해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100')의 전체 임피던스는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100)보다 감소하게 되므로 화면의 상부 또는하부에서 발생하는 비잉(B-ing) 현상은 보정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n beam is deflect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screen as described above, the YH misconvergence generated at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screen may be corrected by us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through the coma correction coils L11, L21, L31, and L41. The total impedance of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100 'is reduced by the coma correction coils L12, L22, L32, and L42 than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100. ing) phenomenon can be correct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마 보정 코일(L12, L22)은 상측에 형성된 수직 편향 코일(23ul, 23ur)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측에 형성된 수직 편향 코일(23dl, 23dr)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마 보정코일(L32, L42)은 하측에 형성된 수직 편향 코일(23dl, 23dr)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측에 형성된 수직 편향 코일(23ul, 23ur)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Although the coma correction coils L12 and L2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s 23ul and 23ur formed on the upper sid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ower side May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s 23dl and 23dr, respectively. In addition, although the coma correction coils L32 and L4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s 23dl and 23dr formed below,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s 23ul and 23ur formed on the upper side, respective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도 1은 본 발명의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나타내는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athode ray tub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편향요크를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 of the deflection yoke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에서의 YH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YH misconvergence in the misconvergence correcting apparatus shown in FIG. 4.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에서의 비잉(B-ing)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B-ing in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shown in FIG. 4.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llustrates a 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에서의 비잉(B-ing)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B-ing in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shown in FIG. 7.

Claims (17)

수직 편향 코일을 포함하는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에 있어서,In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of a deflection yoke including a vertical deflection coil,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보정회로와 제2 보정회로를 포함하며,A first correction circuit and a second correction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상기 제1 보정회로는,The first correction circuit,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1 다이오드,A first diode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제2 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코일, 그리고At least one first coil connected in series with a second end of the first diode, and 상기 제1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코일을 포함하며,At least one second coil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diode, 상기 제2 보정회로는,The second correction circuit,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다이오드,A second diode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nd disposed in a reverse direction to the first diode;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제2 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코일, 그리고At least one third coil connected in series with a second end of the second diode, and 상기 제2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코일을 포함하며,At least one fourth coil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cond diode, 상기 제1 보정 회로는,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1 가변 저항을 더 포함하며,The first correction circuit further includes a first variable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diode, 상기 제2 보정 회로는, 상기 제2 다이오드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2 가변 저항을 더 포함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The second correction circuit further includes a second variable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dio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편향요크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is formed above the deflection yoke, 상기 제3 코일과 상기 제4 코일은 상기 편향요크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And the third coil and the fourth coil are formed under the deflection yok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4 코일은 상기 편향요크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The first coil and the fourth coil are formed above the deflection yoke, 상기 제2 코일과 상기 제3 코일은 상기 편향요크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And the second coil and the third coil are formed under the deflection yok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1 보정회로는 상기 제1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저항을 더 포함하며,The first correction circuit further includes a first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diode,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저항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The second coil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resistor, 상기 제2 보정회로는 상기 제2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2 저항을 더 포함하며,The second correction circuit further includes a second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cond diode, 상기 제4 코일은 상기 제2 저항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미스컨버전스보정장치.And the fourth coil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resistor.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제1 단과 제2 단은 각각 애노드와 캐소드이며,First and second stages of the first diode are an anode and a cathode, respectively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제1 단과 제2 단은 각각 캐소드와 애노드인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And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of the second diode are a cathode and an anode, respectively.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코일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 편향요크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좌측 코일과 제1 우측 코일을 포함하며,The at least one first coil includes a first left coil and a first right coil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and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eflection yoke, respectively.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코일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 편향요크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좌측 코일과 제3 우측 코일을 포함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The at least one third coil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including a third left coil and a third right coil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deflection yoke, respectively.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코일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 편향요크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좌측 코일과 제2 우측 코일을 포함하며,The at least one second coil includes a second left coil and a second right coil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and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eflection yoke, respectively.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코일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 편향요 크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4 좌측 코일과 제4 우측 코일을 포함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The at least one fourth coil includes a fourth left coil and a fourth right coil which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are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eflection yoke, respectively.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부, 그리고An electron gun that emits an electron beam, and 상기 전자총부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전자빔을 상기 음극선관으로 전달하는 편향요크를 포함하며,A deflection yoke for transferring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section to the cathode ray tube, 상기 편향요크는,The deflection yoke, 수직 편향 코일, 그리고Vertical deflection coil, and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보정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네크부를 포함하며,A neck portion having first and second correction circuit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상기 제1 보정회로는,The first correction circuit,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1 다이오드,A first diode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제2 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코일,At least one first coil connected in series with a second end of the first diode, 상기 제1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코일,At least one second coil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diode, 상기 제1 다이오드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제1 가변 저항, 그리고A first variable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diode, and 상기 제1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저항을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a first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diode, 상기 제2 보정회로는,The second correction circuit,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다이오드,A second diode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nd disposed in a reverse direction to the first diode;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제2 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코일,At least one third coil connected in series with a second end of the second diode, 상기 제2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코일,At least one fourth coil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cond diode, 상기 제2 다이오드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제2 가변 저항, 그리고A second variable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diode, and 상기 제2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2 저항을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second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diode,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저항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4 코일은 상기 제2 저항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표시장치.And the second coil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resistor, and the fourth coil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resistor.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편향요크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is formed above the deflection yoke, 상기 제3 코일과 상기 제4 코일은 상기 편향요크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장치.And the third coil and the fourth coil are formed under the deflection yok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4 코일은 상기 편향요크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The first coil and the fourth coil are formed above the deflection yoke, 상기 제2 코일과 상기 제3 코일은 상기 편향요크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장치.And the second coil and the third coil are formed under the deflection yoke. 삭제delete 수직 편향 코일을 포함하는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에 있어서,In the mis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of a deflection yoke including a vertical deflection coil,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1 다이오드,A first diode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제2 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코일,At least one first coil connected in series with a second end of the first diode, 상기 수직 편향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코일,At least one second coil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nd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diode; 상기 수직 편향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다이오드,A second diode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nd disposed in a reverse direction to the first diode;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제2 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코일, 그리고At least one third coil connected in series with a second end of the second diode, and 상기 수직 편향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코일을 포함하며,A first end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nd includes at least one fourth coil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cond diode.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3 코일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And the first coil and the third coil are connected in parallel.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제1 단에 제2 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1 가변 저항,A first variable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nd having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first diode, 상기 제1 가변 저항의 제1 단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코일의 제1 단에 제2 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1 저항, A first resistor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first variable resisto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second coil,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제1 단에 제2 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2 가변 저항, 그리고A second variable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 second end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second diode, and 상기 제2 가변 저항의 제1 단에 제1 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4 코일의 제1 단에 제2 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2 저항을 더 포함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And a second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second variable resistor and having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fourth coil.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편향요크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is formed above the deflection yoke, 상기 제3 코일과 상기 제4 코일은 상기 편향요크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And the third coil and the fourth coil are formed under the deflection yoke.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4 코일은 상기 편향요크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The first coil and the fourth coil are formed above the deflection yoke, 상기 제2 코일과 상기 제3 코일은 상기 편향요크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And the second coil and the third coil are formed under the deflection yoke.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6,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제1 단과 제2 단은 각각 애노드와 캐소드이며,First and second stages of the first diode are an anode and a cathode, respectively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제1 단과 제2 단은 각각 캐소드와 애노드인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And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of the second diode are a cathode and an anode, respectively.
KR1020080049191A 2008-05-27 2008-05-27 Apparatus for correcting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of deflection york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apparatus KR1009591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191A KR100959119B1 (en) 2008-05-27 2008-05-27 Apparatus for correcting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of deflection york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apparatus
CNA2008101704035A CN101593657A (en) 2008-05-27 2008-11-03 Be used to revise the correcting device of not assembling and the display device thereof of deflection yo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191A KR100959119B1 (en) 2008-05-27 2008-05-27 Apparatus for correcting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of deflection york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220A KR20090123220A (en) 2009-12-02
KR100959119B1 true KR100959119B1 (en) 2010-05-25

Family

ID=4140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191A KR100959119B1 (en) 2008-05-27 2008-05-27 Apparatus for correcting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of deflection york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9119B1 (en)
CN (1) CN101593657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6208B4 (en) * 2016-04-13 2021-07-2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ELECTROMECHANICAL COMPONENT, ELECTROMECHANICAL COMPONENT ALARM, METHOD FOR DETECTING A POTENTIAL DIFFERENCE WITH AN ELECTROMECHANICAL COMPONENT AND METHOD FOR FUNCTIONAL TESTING OF THE ELECTROMECHANICAL COMPON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7884A (en) 1997-12-04 1999-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flection yoke
KR20010001332A (en) * 1999-06-03 2001-01-05 구자홍 Conversions yoke of cathode ray tube
KR20030020248A (en) * 2001-09-03 2003-03-08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Color picture tube device in which yh misconvergence is corrected
KR20050082116A (en) * 2004-02-17 2005-08-22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eflection yoke for cathode-ray tub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7884A (en) 1997-12-04 1999-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flection yoke
KR20010001332A (en) * 1999-06-03 2001-01-05 구자홍 Conversions yoke of cathode ray tube
KR20030020248A (en) * 2001-09-03 2003-03-08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Color picture tube device in which yh misconvergence is corrected
KR20050082116A (en) * 2004-02-17 2005-08-22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eflection yoke for cathode-ray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220A (en) 2009-12-02
CN101593657A (en)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25462A (en) Color picture tube
US6215257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and geometric distortion of deflection yoke
US4788470A (en) Deflection yoke apparatus with compensation magnetic field generating means
KR100959119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of deflection york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apparatus
KR0139475B1 (en) Electromagnetic deflection yoke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20010086319A (en) Deflection yoke and mis-convergence correction method for color cathode-ray tube
JPH08102270A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US6825602B2 (en) Deflection yoke for cathode ray tube
US6501238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and geometric distortion in deflection yoke using variable resistance
KR960015318B1 (en) Apparatus for deflecting electron beams and color cathode ray tube
US20060066205A1 (en)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KR20020001109A (en) Improvement circuit of view unbalance
KR100410950B1 (en) Deflection york
KR100419481B1 (en) Correction apparatus of deflection yoke convergence in the cathode-ray tube
JP3436002B2 (en) Color picture tube equipment
JP3215132B2 (en) In-line color picture tube device
KR0180663B1 (en) Device for convergence correction
KR100422036B1 (en) Deflection york
KR100356297B1 (en) Deflection yoke
US6252359B1 (en) Deflection apparatus
KR20010001332A (en) Conversions yoke of cathode ray tube
KR19990021639U (en)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of Deflection Yoke
WO2002099834A2 (en) Spot optimization in a color display tube system
KR20040074777A (en) A deflection yoke with an apparatus for correcting geometric distortion
KR20060127487A (en) Cathod ray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