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018B1 -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018B1
KR100959018B1 KR1020060050983A KR20060050983A KR100959018B1 KR 100959018 B1 KR100959018 B1 KR 100959018B1 KR 1020060050983 A KR1020060050983 A KR 1020060050983A KR 20060050983 A KR20060050983 A KR 20060050983A KR 100959018 B1 KR100959018 B1 KR 100959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device
lower access
information
subscrib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7150A (ko
Inventor
호경중
이병희
전윤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05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018B1/ko
Publication of KR20070117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10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 H04L61/103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across network layers, e.g. resolution of network layer into physical layer addresses or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위접속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 시 하위접속장치에 대한 등록여부를 파악하여 등록상태인 경우에는 공인영역에 속하는지 사설영역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접속제어를 수행하고 미등록상태인 경우 임시 사설 IP를 할당하여 접속제어를 수행한 후 등록유도를 함으로써, 단말기반에서 네트워크 서비스 정책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인 IP영역 또는 사설 IP 영역에 각각 속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와,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의 구성정보를 저장하는 등록서버와,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 DB와, 구성정보 및 가입자정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에 대한 정책 제어를 실시하는 관리서버와,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 중 하나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시도가 발생되면, 관리서버의 제어하에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가 속하는 영역별로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상위접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CONTROLLING DEVICE-BASED NETWORK ACCES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위접속장치의 세부 구성도.
도 3는 도 1의 상위접속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한 경우 IP 할당 및 가입자정보 구성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도 1의 상위접속장치가 사설영역에 속하는 하위 접속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도 1의 상위접속장치가 공인영역에 속하는 하위접속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고 등록을 유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도 1의 상위접속장치가 미등록 하위 접속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고 등록을 유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하위접속장치 102 : 상위접속장치
103 : 집선장치 104 : 접속시스템
105 : 정책서버 106 : DHCP서버
107 : 관리서버 108 : 가입자정보 DB
109 : 등록서버 110 : 인터넷망
210 : 제어부 220 : 스위칭부
211 : 내부정보 저장부 212 : DHCP 프록시
213 : DHCP 클라이언트 214 : ARP 프록시
215 : 스위치 컨트롤러 216 : 제어서버 에이전트
221 : 포트
본 발명은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위접속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 시 하위접속장치에 대한 등록여부를 파악하여 등록상태인 경우에는 공인영역에 속하는지 사설영역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접속제어를 수행하고 미등록상태인 경우 임시 사설 IP를 할당하여 접속제어를 수행한 후 등록유도를 함으로써, 단말기반에서 네트워크 서비스 정책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현재의 인터넷 환경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의해 백본(Back-Back)망이 설치되고, 이 기간망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기간망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지역에 대해 구성되어야 하며 그 구성 및 운영을 위해 상당한 비용을 필요 로 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는 가입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제공자가 가지고 있는 인터넷 자원인 IP(Internet Protocol)주소를 할당함으로써 가입자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IP주소는 인터넷상에서 유일성을 가진 주소체계로 동일한 주소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자원이 한정되어 있어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자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서버를 통해 동적으로 IP를 할당하여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경우 어느 가입자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기가 곤란하여 IP 할당 과정 이후 별도의 네트워크 접속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가입자를 구분하는데, 이러한 인증과정을 위해 인증 시스템까지 연결성을 제공할 수 있는 공인 IP를 부여해야 하므로 IP 자원의 낭비가 초래된다.
또한, 종래에는 단말의 식별자가 아닌 가입자정보(Network access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인증 및 정책을 결정함으로써, 가입자가 제공한 정보에 의해서만 하위접속장치의 구성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하위접속장치에 대해 파악하기가 어려워 단말 기반의 네트워크 서비스 정책을 제공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창출되어진 본 발명의 목적은, 상위접속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가입자정보 및 하위접속장치들의 구성정보를 동적으로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정책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 하위접속장치의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서비스 사업자가 서비스 정책 제공 시에 동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하위 접속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시 단말의 서비스 유형을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공인 IP를 부여하도록 하여 공인 IP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호 다른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에 속하는 공인영역에 속하는 하위접속장치와 사설영역에 속하는 하위접속장치 간 통신을 댁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반의 접속 제어 시스템은, 공인 IP영역 또는 사설 IP 영역에 각각 속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와,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의 구성정보를 저장하는 등록서버와,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 DB와, 구성정보 및 가입자정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에 대한 정책 제어를 실시하는 관리서버와,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 중 하나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시도가 발생되면, 관리서버의 제어하에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가 속하는 영역별로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상위접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위접속장치는 실제 데이터 처리를 위한 복수개의 포트로 구성된 스위칭부와,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관리서버 및 상기 DHCP서버와의 연동을 수행하고, 상기 하위접속장치에 대해 맥주소를 확인하여 등록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속해있는 영역에 따라 공인 IP 또는 사설 IP 중 어느 하나를 할당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위접속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DHCP 서버와의 연동을 수행하는 DHCP 클라이언트와, 관리버서와의 연동을 수행하는 제어서버 에이전트과, 상기 하위접속장치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프록시와,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맥주소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서버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확인한 맥주소에 해당하는 구성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등록여부 및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공인영역에 속하는지 사설영역에 속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하위접속장치별 IP의 할당 및 접속을 제어하는 DHCP 프록시와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컨트롤러와,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정보를 각각 저장하여 교류되도록 하는 내부정보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위 접속 장치는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공인 IP 영역으로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DHCP 서버가 부여한 게이트웨이(gateway) 및 DHCP 서버 주소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하위접속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를 상기 하위접속장치에 할당하는 공인 IP주소로 설정하고, 상기 DHCP 서버 주소를 상위접속장치의 IP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위접속장치는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사설 IP 영역으로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위접속장치에 대해 사설 IP를 할당하고, 상기 사설 IP 할당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통보하고, 하위접속장치가 미등록상태인 경 우, 상기 하위접속장치에 대해 임시 사설 IP를 할당하고 그 할당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반의 접속 제어 방법은, 하위접속장치가 IP 할당을 요청하면, 상기 상위접속장치가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가입자정보 및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등록여부 및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공인영역인지 사설영역인지를 판단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등록 상태인 경우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속한 영역별 IP 할당을 제어하고 미등록 상태인 경우 상기 하위접속장치에 대하여 임시사설 IP를 할당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하위접속장치에서 상기 할당된 IP를 설정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상기 IP 할당에 따른 하위접속장치의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맥(MAC)주소를 확인하고, 상기 맥주소에 해당하는 하위접속장치의 구성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등록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구성정보를 통해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상기 공인영역에 속하는지 상기 사설영역에 속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반의 접속 제어 방법은, 상위접속장치가 IP 할당 요청 패킷을 생성하여 집선장치로 전송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집선장치가 상기 IP 할당 요청 패킷을 DHCP 서버로 릴레이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DHCP 서버가 상기 상위접속장치에 대해 IP를 할당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상위접속장치가 상기 할당한 IP를 설정한 후, 관리서버에 대하여 상기 상위접속장치의 등록 요청을 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DHCP 서버를 통해 상기 상위접속장치에 할당된 IP 주소의 유효성을 확인한 후, 가입자정보 DB로부터 상기 상위접속장치의 가입자정보와 하위접속장치들에 대한 구성정보를 가져와 이를 등록하는 제 5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DHCP 접속 방식에 따른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은 하위접속장치(101), 상위접속장치(102), 집선장치(103), 접속시스템(104), 정책서버(105), DHCP서버(106), 관리서버(107), 가입자정보 DB(108), 등록서버(109), 및 인터넷망(110)을 포함한다.
하위접속장치(101)는 ADSL 모뎀과 같이 가입자를 인터넷에 접속하게 해주는 장치이다. 즉, 하위접속장치(101)는 가입자 댁내의 RGW/모뎀과 같은 상위접속장치(102)를 통해 집선장치(103)와 연결된다.
상위접속장치(102)는 하나 이상의 하위접속장치(101)와 접속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하위접속장치(101)를 집선한다. 즉, 상위접속장치(102)는 하위접속장치(101)에 대한 구성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하위접속장치(101)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IP 할당을 요청하는 경우 획득한 구성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하위접속장치별로 접속을 달리 처리한다. 이때, 상위접속장치(102)는 등록되지 않은 하위접속장치 에 대해 사설 IP를 할당하고 하위접속장치가 발생시키는 인터넷 트래픽을 등록서버(109)로 리디렉션(redirection)시켜서 고객으로 하여금 하위접속장치(101)를 등록하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위접속장치(102)는 등록된 하위접속장치에 대해서는 고객이 청약한 대로 공인 또는 사설 IP를 부여하고 트래픽을 처리함으로써 댁내에 구성되는 여러 하위접속장치(101)에 대해 동적 제어를 수행한다.
집선장치(103)는 상위접속장치(102)들을 집선하는 장치로서 상위접속장치(102)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IP 할당을 요청하는 경우 DHCP 릴레이(relay) 기능을 이용하여 DHCP서버(106)로 IP 요청을 전달한다.
접속시스템(104)은 가입자에게 인터넷(110)으로의 접속을 허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가입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분리하여 해당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정책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책서버(105)는 인증과정을 통해 획득한 가입자 정보를 바탕으로 가입자 인터넷 트래픽에 대한 서비스 정책을 적용한다. 또한, 정책서버(105)는 관리서버(107)에서 관리하는 하위접속장치(101)의 회선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관리서버(107)에 네트워크 서비스 정책 제어 요청을 전달한다.
DHCP서버(106)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IP를 동적으로 할당한다. 또한, DHCP서버(106)는 하위접속장치(101)로부터 IP 할당요청이 있는 경우 가입자정보 DB(108)를 참조하여 하위접속장치(101)의 인증을 수행한 후 IP를 할당한다. 또한, DHCP서버(106)는 IP 할당 시에 네트워크에 접속된 가입자 단말의 세션정보를 저장한다.
관리서버(107)는 등록된 구성정보를 상위접속장치(102)에 동적으로 제공하 며, 관리서버(107)는 가입자정보 DB(108)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입자에 대한 관리의 적법성 및 차별성을 확인한다. 또한, 관리서버(107)는 정책서버(105)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 정책 제어 요청을 수신하면 가입자 정보 DB(108)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참조함과 동시에 하위접속장치(101)의 회선정보와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하위 접속장치에 대한 정책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관리서버(107)는 DHCP서버(106)로부터 세션정보를 수신하여 정책제어에 반영하며, 특히 네트워크접속 서비스를 관리함에 있어 네트워크에 접속한 접속장치의 세션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 등을 네트워크 서비스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가입자정보 DB(108)는 가입자정보와 하위접속장치(101) 및 상위접속장치(102)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DHCP서버(106)와 연동되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려는 하위접속장치(101) 및 상위접속장치(102)의 인증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DHCP서버(106)로 제공하고 관리서버(107)와 연동하여 관리서버(107)로 상위접속장치(102)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가입자정보는 가입자 ID, 가입자 비밀번호, 가입자 이름, 가입자 주소, 가입자 서비스 가입정보,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 및 상위접속장치의 접속정보, 및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의 등록정보를 포함한다.
등록서버(109)는 하위접속장치(101)의 회선정보 및 위치정보 등의 구성정보를 저장하고, 미등록된 하위접속장치(101)를 등록 및 관리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하위접속장치(101)와 집선장치(103) 사이에 상위접속장치(102)를 구비하고, 상위접속장치(102)는 관리서버(107)와의 연동을 통해 하위접 속장치들의 등록여부를 판단하고 하위접속장치(101)가 등록상태인 경우 공인영역에 속하는지 사설영역에 속하는지를 확인하여 하위접속장치(101)들에 대한 차별적인 접속처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의 상위접속장치(102)의 세부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위접속장치(102)는 제어부(210) 및 스위칭부(2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제어부(210)는 내부의 스위칭부(220)와의 연동을 통해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고, 하위접속장치(101)의 접속제어 및 관리서버(107) 및 DHCP서버(106)와의 연동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10)는 내부정보 저장부(211), DHCP 프록시(212), DHCP 클라이언트(213), ARP 프록시(213), 스위치 컨트롤러(215), 및 제어서버 에이전트(216)를 구비한다.
내부정보 저장부(211)는 각 구성요소들(DHCP 프록시(212), DHCP 클라이언트(213), ARP 프록시(213), 스위치 컨트롤러(215), 및 제어서버 에이전트(216))와 연동되어 각 구성요소들로부터 송신된 내부정보 데이터를 저장하여 각 구성요소들간의 정보 교류를 위해 구성된다.
DHCP 프록시(212)는 하위접속장치(101)가 네트워크에 접속한 경우 이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스로서, 하위접속장치(101)의 맥주소를 확인하여 관리서버(107)로부터 확인한 맥주소에 해당하는 하위접속장치의 구성정보를 수신받아 하위접속장치(101)의 등록여부 및 하위접속장치(101)가 공인영역에 속하는지 사설영역에 속하 는지를 확인하여, 그에 따라 하위접속장치(101)별로 공인 IP 또는 사설 IP를 할당한다.
즉, DHCP 프록시(212)는 하위접속장치(101)가 공인 IP를 할당받아야 하는 경우 DHCP서버(106)로 IP 할당 요청을 대행하고 하위접속장치(101)가 사설 IP를 할당받아야 하는 경우 자신이 DHCP서버로서의 동작을 수행하여 직접 사설 IP를 할당한다.
특히, DHCP 프록시(212)는 공인 IP를 할당받은 하위접속장치더라도 DHCP서버(106)가 부여한 게이트웨이(gateway)정보 등을 가공하여 하위접속장치(101)로 전송함으로써 사설 IP의 하위접속장치와 공인 IP의 하위접속장치 간 댁내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게이트웨이정보 등의 가공은, 게이트웨이를 하위접속장치(101)에 할당하는 공인 IP주소로 설정하고, DHCP 서버(106)의 IP 주소를 DHCP 프록시(212)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HCP 클라이언트(213)는 상위접속장치(102) 자신의 네트워크접속을 위해 DHCP서버(106)와의 연동을 수행한다.
ARP 프록시(213)는 DHCP 프록시(212)가 획득한 정보와 연계하여 하위접속장치(101)의 통신을 지원한다. 특히, ARP 프록시(213)는 DHCP 프록시(212)가 획득한 하위접속장치(101)의 맥(MAC)주소를 하위접속장치(101)가 요청할 경우 응답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위치 컨트롤러(215)는 스위칭부(220)를 제어하여 실제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한다.
제어서버 에이전트(216)는 관리서버(107)와 연동되어 DHCP 프록시(212)에서 획득한 맥주소에 해당하는 하위접속장치의 구성정보를 수신하고 스위치 컨트롤러(215) 처리를 위한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스위칭부(220)는 실제 데이터 트래픽 처리를 위한 복수개의 포트를 구비한다.
이와같이, 상위접속장치(102)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관리서버(107) 및 DHCP서버(106)와의 연동을 수행하여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101)별 접속 제어를 차별적으로 수행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도 1의 상위접속장치(102)가 네트워크에 접속한 경우 동적으로 IP를 할당받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가입자 댁내에 설치된 상위접속장치(102)가 부팅되어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S101), 상위접속장치(102)는 IP 할당 요청 패킷을 생성하여 집선장치(103)로 전송한다(S102).
집선장치(103)는 IP 할당 요청 패킷을 접속 시스템(104) 및 인터넷망(110)을 통해 DHCP서버(106)로 릴레이하고(S103), DHCP서버(106)는 IP 할당 요청 패킷을 수신하면 IP 할당을 요청한 상위접속장치(102)에 대하여 IP를 동적으로 할당한다(S104). 이때, DHCP서버(106)는 가입자정보 DB(108)로부터 가입자정보와 하위접속장치(101)들에 대한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인증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상위접속장치(102)는 DHCP 서버(106)로부터 할당받은 IP를 설정하 고(S105), 관리서버(107)에 대하여 장치의 등록을 요청한다(S106). 이때, 관리 서버(107)는 DHCP 서버(106)에 대해 IP 할당정보를 요청하고(S107), DHCP 서버(106)로부터 IP 할당정보요청에 응답받음으로써(S108), 등록 요청을 한 상위접속장치(102)의 IP 주소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이어서, 관리서버(107)는 가입자정보 DB(108)로 가입자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여(S109) 그에 대한 응답을 받음으로써(S110), 가입자정보 DB(108)로부터 가입자 정보와 댁내 하위접속장치들에 대한 구성정보를 획득하여 상위접속장치(102)에 대한 서비스정보를 등록하고(S11) 이를 상위접속장치(102)로 전달한다(S112). 이때, 하위접속장치들에 대한 구성정보는 맥(MAC)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위접속장치(102)는 상기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구성한다(S113).
이와같이, 본 발명은 상위접속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그 가입자 정보 및 구성정보를 동적으로 파악하여 파악된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정책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위접속장치(102)가 하위접속장치(101)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도 1의 상위접속장치(102)가 사설영역에 등록되어 있는 하위접속장치(101)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즉, 사설 IP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등록된 하위접속장치(101)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사설영역의 하위접속장치(101)가 상위접속장치(102)에 대해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하고(S201), 이를 위한 IP 할당 요청을 수행한다(S202). 이때, 하위접속장치(101)는 DHCP 프로토콜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이용하여 IP 할당을 요청한다.
상위접속장치(102)는 IP 할당을 요청한 하위접속장치(101)의 브로드캐스트 패킷에 실려있는 맥(MAC)주소를 확인하여(S203), 관리서버(107)에 기 확보된 맥주소에 해당하는 구성정보를 요청한다(S204). 이때, 관리서버(107)는 등록서버(109)에 저장되어 있는 하위접속장치(101)의 구성정보를 가져와 구성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위접속장치(102)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하위접속장치(101)가 사설영역의 장치임을 확인하고(S205) 하위접속장치(101)로 사설 IP를 할당한다(S206). 즉, 상위접속장치(102)는 맥주소를 통해 해당 하위접속장치(101)가 사설영역의 단말임을 확인하고 하위접속장치(101)로 사설 IP를 할당한다. 이때, 상위접속장치(102)는 DHCP 서버와 같이 IP를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게이트웨이(gateway)정보는 하위접속장치(101)로 부여한 사설 IP주소로, DHCP 서버 주소는 상위접속장치의 IP로 설정함으로써, 하위접속장치(101)와 상위접속장치(102) 간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상위접속장치(102)는 관리서버(107)로 하위접속장치(101)의 접속정보를 통보하고(S204), 관리서버(107)는 하위접속장치(101)의 접속정보를 가입자정보 DB(108)로 보내어 저장한다(S207, S208). 이와같이, 하위접속장치(101)의 접속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서비스 사업자가 하위접속장치(101)에 대한 서비스 제공시에 참고하도록 한다.
한편, 하위접속장치(101)는 상기 과정 S204를 통해 할당받은 사설 IP를 설정하고, 설정된 사설 IP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시작한다(S209). 즉, 하위접속장치(101)가 사설 IP를 통해 상위접속장치(102)에 접속되면 상위접속장치(102)에서 공인 IP로 변환하여 인터넷망(110)에 접속함으로써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사설 IP 영역에 속하는 하위접속장치(101)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상위접속장치(102)가 DHCP 서버처럼 기능하여 하위접속장치(101)에 대해 사설 IP를 할당하고 그 접속정보를 가입자정보 DB(108)에 저장해둠으로써 서비스 사업자가 이를 이용하여 정책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는 도 1의 상위접속장치(102)가 공인영역에 속하는 하위접속장치(101)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즉, 공인 IP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등록된 하위접속장치(101)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공인영역의 하위접속장치(101)가 상위접속장치(102)에 대해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하고(S301) 이를 위한 IP 할당 요청을 수행한다(S302). 이때, 하위접속장치(101)는 DHCP 프로토콜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이용하여 IP 할당을 요청한다.
상위접속장치(102)는 IP 할당을 요청한 하위접속장치(101)의 브로드캐스트 패킷에 실려있는 맥(MAC)주소를 확인하여(S303), 관리서버(107)에 기 확보된 맥주소에 해당하는 구성정보를 요청하고(S304), 그에 대한 응답을 받아 해당 하위접속 장치(101)가 공인영역의 장치임을 확인한다(S305).
이와같이, 해당 하위접속장치(101)가 공인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위접속장치(102)는 DHCP서버(106)로 IP 할당 요청을 대행하여(S306), DHCP서버(106)로부터 IP를 할당받는다(S307).
그 후, 상위접속장치(102)는 하위접속장치(102)와의 통신을 위해 DHCP 파라미터를 변환한다(S308). 즉, 상위접속장치(102)는 DHCP서버(106)가 부여한 게이트웨이(gateway)정보 등을 가공하여 하위접속장치(101)로 전송한다. 이때, 게이트웨이는 하위접속장치(101)에 할당한 IP주소와 동일하게 설정하고, DHCP 서버 주소는 상위접속장치의 IP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위접속장치(102)는 하위접속장치(101)에 할당받은 공인 IP를 부여한다(S309). 그 후, 상위접속장치(103)는 하위접속장치(101)의 할당된 IP 정보 등의 접속정보를 관리서버(107)로 통보하고, 관리서버(107)는 가입자정보 DB(108)로 하위접속장치(101)의 접속정보를 전달하여(S310) 저장하도록 한다(S311). 이와같이, 하위접속장치(101)의 접속 정보를 저장해둠으로써 추후 서비스 사업자가 하위접속장치(101)에 대한 서비스 제공시에 참고하도록 한다.
한편, 하위접속장치(101)는 상기 과정 S309를 통해 할당받은 공인 IP를 설정하고, 설정된 공인 IP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시작한다(S312). 즉, 하위접속장치(101)가 상기 과정 S309를 통해설정된 공인 IP를 통해 상위접속장치(102)에 접속되면 상위접속장치(102)의 공인 IP를 통해 인터넷망(110)에 접속함으로써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공인 IP 영역에 속하는 하위접속장치(101)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상위접속장치(102)가 DHCP 서버(106)에 대하여 IP 할당 요청을 대행하여 하위접속장치(101)에 대해 IP를 할당하고 그 접속정보를 가입자정보 DB(108)에 저장해둠으로써 서비스 사업자가 이를 이용하여 정책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은 도 1의 상위접속장치(102)가 미등록 하위 접속장치(101)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고 등록을 유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신규 하위접속장치(101)가 접속되면(S401), 하위접속장치(101)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소속되어 있는 상위접속장치(102)에 대해 IP 할당을 요청한다(S402). 이때, 하위접속장치(101)는 상위접속장치(102)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DHCP 프로토콜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이용하여 IP 할당을 요청한다.
그 후, 상위접속장치(102)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에 실려있는 신규 하위접속장치의 맥(MAC)주소를 확인하여, 관리서버(107)를 통해 맥주소에 해당하는 구성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하위접속장치(101)의 등록여부를 확인한다(S403).
상기 과정 S403을 통해 해당 하위접속장치(101)가 미등록상태인 경우, 상위접속장치(102)는 DHCP 서버 모드로 동작하여 해당 하위접속장치(101)에 대해 임시사설 IP를 할당하고(S404), 미등록 하위접속장치(101)의 임시 사설 IP 할당정보 등의 접속정보를 관리서버(107)로 통보하고, 그 접속정보를 가입자정보 DB(108)에 전달하여 저장하도록 한다(S406).
그 후, 신규 하위접속장치(101)에서 할당받은 임시 IP를 설정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트래픽을 발생시키면(S407), 상위접속장치(102)는 그 트래픽을 강제로 리디렉션(redirection)시켜서 등록서버(109)로 전송한다(S408).
이때, 상위접속장치(102)는 트래픽내에 상위접속장치(102) 및 하위접속장치(101)의 맥주소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환하여 등록서버(109)로 리디렉션시킨다. 즉, 하위접속장치(101)가 임시 사설 IP를 설정하여 접속하더라도 상위접속장치(102)에서 이를 공인 IP로 설정하여 접속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등록서버(109)는 상위접속장치(102)를 통해 하위접속장치(101)로 고객등록 화면을 제공하고(S409), 신규 하위접속장치(101)를 통해 사용자가 고객등록정보를 입력 및 선택하면(S410), 등록서버(109)는 해당 신규 하위접속장치(101)의 구성정보를 등록한다(S411). 그 후, 등록서버(109)는 관리서버(107)를 통해 신규 하위접속장치(101)의 등록정보를 가입자저장DB(108)로 전달하여 저장시킨다(S412, S413). 즉, 상위접속장치(102)는 신규 하위접속장치(101)의 모든 트래픽을 등록서버(109)로 리디렉션시켜서 고객이 신규 하위접속장치(101)를 등록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고객이 신규 하위접속장치(101)의 네트워크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면, 등록서버(109)는 그 결과를 관리서버(107)로 통보하고 가입자정보DB(108)에 반영한다.
이어서, 관리서버(109)는 신규 하위접속장치(101)의 구성정보를 상위접속장치(102)로 전송하고(S414), 상위접속장치(102)는 신규 하위접속장치(101)의 구성정 보를 업데이트한다(S415).
그 후, 하위접속장치(101)가 DHCP 갱신 매커니즘에 의해 IP 갱신요청을 하는 경우 변경된 정책을 반영하는 등의 일련의 프로세스를 통해 하위접속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미등록된 신규 하위접속장치(101)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상위접속장치(102)가 임시로 사설 IP를 할당하여 접속하고 등록서버(109)로 강제 리디렉션을 하여 그 구성정보 및 등록정보를 등록하도록 하여 추후 서비스 정책 결정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위접속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가입자 정보 및 하위접속장치들의 구성정보를 동적으로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상위접속장치에 반영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정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위 접속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시 단말의 서비스 유형을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공인 IP를 부여하도록 하여 공인 IP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신규 하위접속장치의 단말 접속 서비스 정보를 동적으로 획득하여 사업자가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정책에 다양하게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 다른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에 속하는 공인영역에 속하는 하위접속장치와 사설영역에 속하는 하위접속장치 간의 통신을 댁내에서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 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0)

  1. 공인 IP영역 또는 사설 IP 영역에 각각 속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
    상기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의 구성정보를 저장하는 등록서버;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 DB;
    상기 구성정보 및 상기 가입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에 대한 정책 제어를 실시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 중 하나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시도가 발생되면,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하에 상기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가 속하는 영역별로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상위접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정보 DB의 가입자정보는,
    가입자 ID, 가입자 비밀번호, 가입자 이름, 가입자 주소, 가입자 서비스 가입정보, 상기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 및 상위접속장치의 접속정보, 상기 복수개의 하위접속장치의 등록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구성정보는,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회선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접속장치의 요구에 따라 공인 IP를 할당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DHCP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접속장치는,
    상기 하위접속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접속이 시도되면,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맥주소에 해당하는 구성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등록여부를 판단하고,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상기 공인IP영역에 속해있는지 상기 사설IP영역에 속해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접속장치는,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공인 IP 영역으로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위접속장치에 대해 상기 DHCP 서버로부터 IP 할당 요청을 대행하여 공인 IP를 할당하고, 상기 공인 IP 할당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접속장치는,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공인 IP 영역으로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DHCP 서버가 부여한 게이트웨이(gateway) 및 DHCP 서버 주소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하위접속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접속장치는,
    상기 게이트웨이를 상기 하위접속장치에 할당하는 공인 IP주소로 설정하고, 상기 DHCP 서버 주소를 상위접속장치의 IP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접속장치는,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사설 IP 영역으로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위접속장치에 대해 사설 IP를 할당하고, 상기 사설 IP 할당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접속장치는,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미등록상태인 경우, 상기 하위접속장치에 대해 임시 사설 IP를 할당하고 그 할당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접속장치는,
    상기 미등록 하위접속장치로부터 트래픽이 발생되면, 상기 트래픽을 강제로 상기 등록서버로 리디렉션시켜서 상기 미등록 하위접속장치에 대해 등록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접속장치는,
    실제 데이터 트래픽 처리를 위한 복수개의 포트로 구성된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관리서버 및 상기 DHCP서버와의 연동을 수행하고, 상기 하위접속장치에 대해 맥주소를 확인하여 등록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속해있는 영역에 따라 공인 IP 또는 사설 IP 중 어느 하나를 할당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DHCP 서버와의 연동을 수행하는 DHCP 클라이언트;
    상기 관리버서와의 연동을 수행하는 제어서버 에이전트;
    상기 하위접속장치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ARP 프록시;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맥주소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서버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확인한 맥주소에 해당하는 구성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등록여부 및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공인영역에 속하는지 사설영역에 속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하위접속장치별 IP의 할당 및 접속을 제어하는 DHCP 프록시;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컨트롤러; 및
    상기 DHCP 클라이언트, 상기 제어서버 에이전트, 상기 ARP 프록시, 상기 DHCP 프록시 및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 간의 정보를 각각 저장하여 교류되도록 하는 내부정보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DHCP 프록시는,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공인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DHCP 서버로 IP 할당 요청을 대행하고,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사설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하위접속장치에 대하여 사설 IP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15. 하위접속장치가 IP 할당을 요청하면, 상위접속장치가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가입자정보 및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등록여부 및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공인영역인지 사설영역인지를 판단하는 제 1 과정;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등록 상태인 경우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속한 영역별 IP 할당을 제어하고 미등록 상태인 경우 상기 하위접속장치에 대하여 임시사설 IP를 할당하는 제 2 과정; 및
    상기 하위접속장치에서 상기 할당된 IP를 설정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상기 IP 할당에 따른 하위접속장치의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의 가입자정보는,
    가입자 ID, 가입자 비밀번호, 가입자 이름, 가입자 주소, 가입자 서비스 가입정보, 상기 하위접속장치 및 상위접속장치의 접속정보,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등록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의 구성정보는,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회선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은,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맥(MAC)주소를 확인하고, 상기 맥주소에 해당하는 하위접속장치의 구성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등록여부를 확인하는 제 1-1과정; 및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구성정보를 통해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상기 공인영역에 속하는지 상기 사설영역에 속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1-2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상기 공인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상위접속장치가 DHCP서버로 공인 IP 할당 요청을 대행하여, 상기 하위접속장치에 상기 공인 IP를 할당하는 제 2-1 과정; 및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상기 사설영역에 속하는 경우, 상기 상위접속장치가 상기 하위접속장치에 대해 사설 IP를 할당하는 제 2-2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과정은,
    상기 상위접속장치가 상기 DHCP 서버로부터 상기 공인 IP를 할당받는 경우, 상기 DHCP서버로부터 수신한 게이트웨이(gateway) 및 상기 DHCP 서버 주소를 가공하여 상기 하위접속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하위접속장치에 할당하는 공인 IP주소로 설정되고, 상기 DHCP 서버 주소는 상위접속장치의 IP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방법.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상기 하위접속장치가 사설 IP를 할당받아 이를 설정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하는 경우, 상기 상위접속장치가 상기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환하여 인터넷망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방법.
  23.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미등록 하위접속장치로부터 트래픽이 발생되면, 상기 상위접속장치가 상기 트래픽을 등록서버로 강제 리디렉션(redirection)시켜, 상기 미등록 하위접속장치의 등록을 유도하는 제 4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4과정에 따라 상기 미등록 하위접속장치가 등록되면 그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제 5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5과정에 따라 등록된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구성정보를 상기 상위접속장치로 보내어 업데이트시키는 제 6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방법.
  26. 상위접속장치가 IP 할당 요청 패킷을 생성하여 집선장치로 전송하는 제 1과정;
    상기 집선장치가 상기 IP 할당 요청 패킷을 DHCP 서버로 릴레이하는 제 2 과정;
    상기 DHCP 서버가 상기 상위접속장치에 대해 IP를 할당하는 제 3 과정;
    상기 상위접속장치가 상기 할당한 IP를 설정한 후, 관리서버에 대하여 상기 상위접속장치의 등록을 요청하는 제 4 과정;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DHCP 서버를 통해 상기 상위접속장치에 할당된 IP 주소의 유효성을 확인한 후, 가입자정보 DB로부터 상기 상위접속장치의 가입자정보와 하위접속장치들에 대한 구성정보를 가져와 이를 등록하는 제 5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과정의 가입자정보는,
    가입자 ID, 가입자 비밀번호, 가입자 이름, 가입자 주소, 가입자 서비스 가입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과정의 구성정보는,
    상기 하위접속장치의 회선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방법.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과정은,
    상기 DHCP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IP 할당정보와 상기 상위접속장치에 할당된 IP주소가 일치하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방법.
  30.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5과정의 상기 하위접속장치들에 대한 구성정보는, 상기 하위접속장치들의 맥(MAC)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반 접속 제어 방법.
KR1020060050983A 2006-06-07 2006-06-07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9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983A KR100959018B1 (ko) 2006-06-07 2006-06-07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983A KR100959018B1 (ko) 2006-06-07 2006-06-07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150A KR20070117150A (ko) 2007-12-12
KR100959018B1 true KR100959018B1 (ko) 2010-05-24

Family

ID=3914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983A KR100959018B1 (ko) 2006-06-07 2006-06-07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780B1 (ko) 2012-08-01 2014-06-02 (주)한드림넷 미등록 단말기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482B1 (ko) * 2015-09-03 2019-01-29 주식회사 케이티 댁내 단말 관리 방법, 홈 게이트웨이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254A (ko) * 2002-06-27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멀티 클래스 ip 어드레싱 서비스가 가능한 홈게이트웨이장치
KR20040093148A (ko) * 2002-03-19 2004-11-04 스미토모덴코 네트웍스 가부시키가이샤 주소할당장치 및 라우터
KR20060015175A (ko) * 2004-08-13 2006-02-16 주식회사 케이티 공인 아이피 네트워크의 아이피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070031154A (ko) * 2005-09-14 2007-03-19 주식회사 케이티 동적으로 네트워크 자원의 연결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있는 방법 및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148A (ko) * 2002-03-19 2004-11-04 스미토모덴코 네트웍스 가부시키가이샤 주소할당장치 및 라우터
KR20040001254A (ko) * 2002-06-27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멀티 클래스 ip 어드레싱 서비스가 가능한 홈게이트웨이장치
KR20060015175A (ko) * 2004-08-13 2006-02-16 주식회사 케이티 공인 아이피 네트워크의 아이피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070031154A (ko) * 2005-09-14 2007-03-19 주식회사 케이티 동적으로 네트워크 자원의 연결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있는 방법 및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780B1 (ko) 2012-08-01 2014-06-02 (주)한드림넷 미등록 단말기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150A (ko)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84155B (zh) 一种IPv6接入网中的域名配置方法及其网络设备
CN101056178B (zh) 一种控制用户网络访问权限的方法和系统
EP1760950A1 (en) A method for distributing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erminal
EP1936883B1 (en) Service provision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CN102761499B (zh) 网关及其避免受攻击的方法
WO2007009367A1 (fr) Méthode de détection de doublons d’adresse dans un réseau d’accès deux couches ipv6 et système pour celle-ci
EP3108643B1 (en) Ipoe dual-stack subscriber for routed residential gateway configuration
KR20090016322A (ko) 사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모바일 와이맥스 네트워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09046666A1 (en) Addressing method of policy decision function entity, network element and network system
CN101120580A (zh) 用于在至少一个通信网络中建立通信链路的方法
EP1906588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rrela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user in a nass
US20240098583A1 (en) PDU session continuity for a UE moving betwee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 gateway device
EP1881639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cpecf (customer premises equipment configuration function) obtaining the terminal equipment information and configuring the terminal equipment
KR100964860B1 (ko) 주소 매핑 장치 및 방법
KR20070024116A (ko) 단말인증에 기반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관리 시스템 및방법
CN101873330B (zh) 支持IPv6/IPv4双栈接入的访问控制方法和服务器
KR100959018B1 (ko) 단말 기반 접속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509837A (ja) アイデンティティ及びロケーションマッピングの実現方法及びシステム
WO2010022535A1 (zh) 一种在ipv6接入节点中数据包转发的方法和装置
CN1798158A (zh) 一种二次地址分配方法
KR100625240B1 (ko) 휴대 인터넷 망에서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관리 장치 및그 방법
KR20020055848A (ko) 원거리 인증 서버를 이용한 동적 ip 주소 관리방법
KR100914036B1 (ko) Ip주소가 할당되지 않은 호스트에 착신서비스가가능하도록 하는 ip주소 동적할당 장치 및 방법
KR20050053145A (ko) 무선 패킷 데이터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의 망간 로밍사용자에 대한 동적 dns 갱신 방법
KR100513296B1 (ko) 네트워크 접근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장치와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접근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