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510B1 -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 및 상기 소재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 - Google Patents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 및 상기 소재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510B1
KR100958510B1 KR1020090107737A KR20090107737A KR100958510B1 KR 100958510 B1 KR100958510 B1 KR 100958510B1 KR 1020090107737 A KR1020090107737 A KR 1020090107737A KR 20090107737 A KR20090107737 A KR 20090107737A KR 100958510 B1 KR100958510 B1 KR 100958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abric
sunshade
shoulder
jacke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근주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07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510B1/ko
Priority to PCT/KR2010/007850 priority patent/WO2011056035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41D31/145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6UV ligh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 및 상기 소재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의복소재는, 통기성(通氣性)을 갖는 베이스천과; 상기 베이스천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베이스천에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여 베이스천에 그늘을 드리우되, 기류(氣流)가 상기 베이스천을 통과할 수 있도록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작업복은, 통기성(通氣性)을 가지며 재킷의 형태를 취하는 베이스천과; 상기 베이스천에 고정되며 베이스천에 그늘을 드리우는 다수의 차양부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가는 의복소재 및 상기 소재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은,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차양기능 및 외부의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풍기능을 동시에 갖추어 냉각효과가 최대로 유지되므로, 작업자 인체 내부로의 전열량을 현저히 낮출 수 있어 열스트레스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구조가 간단하며 가벼워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다.
차양, 통풍, 작업복, 옥외작업

Description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 및 상기 소재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Clothes having awning and ventilating function and Working clothes made of the clothes}
본 발명은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 및 상기 소재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에 관한 것이다.
직사광선이 뜨겁게 내리쬐는 야외의 각종 작업현장에서 일하는 작업자는, 육체활동으로부터 비롯되는 신체내 대사는 물론 주위의 여러 열환경에 의한 매우 심한 열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열스트레스 때문에 옥외 작업자는 옥내 작업자에 비해 안전사고에 쉽게 노출되며 작업 생산성도 현저히 낮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를테면 압축공기분사냉각재킷이나 냉수순환냉각재킷 또는 개인냉난방장치나 얼음냉각재킷 또는 송풍재킷 등이 연구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압축공기분사냉각재킷이나 냉수순환냉각재킷이나 개인냉난방장치는, 복잡하고 무거운 냉각장비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져 예컨대 작업 반경이 넓거나 또는 장애물이 많은 건축공사현장 등에서 착용하기에는 오히려 불편하였다. 또한 얼음냉각재킷이나 송풍냉각재킷은 냉각지속시간이 짧고 얼음보관주머 니나 축전지 등을 같이 휴대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상기한 냉각용 재킷들이 복잡하고 거추장스러우며 사용하기가 불편함에 따라, 비록 자체 냉각능력은 없지만 가볍고 착용이 간단하며 통풍이 잘되는 망사소재의 통풍재킷이 그나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통풍재킷은 일반 작업복과 달리 외부의 기류(氣流)가 잘 통하는 구조를 가져 작업자 피부에서의 열교환을 활성화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통풍재킷은 망사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통풍은 원활하지만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없다는 매우 큰 단점을 갖는다. 일사밀도가 높은 여름철에 직사광선에 의한 화상을 입을 수 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통풍재킷 내부에 직사광선을 가릴 수 있는 옷을 받쳐 입거나, 아예 통풍재킷을 착용하지 않기도 한다. 통풍재킷의 효용성이 그다지 높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차양기능 및 외부의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풍기능을 동시에 갖추어 냉각효과가 최대로 유지되므로, 작업자 인체 내부로의 전열량을 현저히 낮출 수 있어 열스트레스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구조가 간단하며 가벼워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 및 상기 소재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는, 통기성(通氣性)을 갖는 베이스천과; 상기 베이스천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베이스천에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여 베이스천에 그늘을 드리우되, 기류(氣流)가 상기 베이스천을 통과할 수 있도록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양부재는, 직물을 접어 상기 베이스천에 재봉 고정시킨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천의 일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띠형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폭방향 일단부에 이어지며, 상기 베이스천으로부터 예각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벌어진 차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양부재는; 상기 베이스천의 일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띠형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폭방향 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베이스천과 예각의 사이각을 가 지도록 베이스천으로부터 벌어진 차양부로 이루어지고,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필름형태의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표면에 적층되어 외부로부터 조사된 직사광선을 반사하는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은, 통기성(通氣性)을 가지며 재킷의 형태를 취하고, 착용된 상태로 착용자의 가슴과 배를 커버하는 전면부와, 등을 커버하는 등판부와, 어깨를 커버하는 어깨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천과; 상기 베이스천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조사된 직사광선이 베이스천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직사광선을 차단하여 베이스천에 그늘을 드리우는 것으로서, 기류(氣流)가 상기 베이스천을 통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차양부재는; 상기 베이스천의 전면부 및 등판부 외측면에 면접 고정되는 띠형태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폭방향 일단부에 이어지며, 상기 베이스천과 예각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베이스천으로부터 벌어진 차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양부재는, 차광성능을 갖는 직물을 접어 제작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와 차양부는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깨부의 외측면에는, 직사광선이 베이스천을 통과해 착용자의 어깨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시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어깨부를 이루는 베이스천의 내측면에는 베이스천을 어깨의 피부로부터 이격시키며 베이스천과 어깨의 피부사이로 기류를 통과시키는 공간을 제 공하는 스페이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가는 의복소재 및 상기 소재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은,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차양기능 및 외부의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풍기능을 동시에 갖추어 냉각효과가 최대로 유지되므로, 작업자 인체 내부로의 전열량을 현저히 낮출 수 있어 열스트레스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구조가 간단하며 가벼워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복소재(11)는, 망사형 베이스천(13)과, 상기 베이스천(13)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차양부재(15)의 기본구조를 갖는다. 상기 구조를 갖는 의복소재를 원하는 치수로 재단하여 작업복을 만들면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작업복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11)는, 통기성을 갖는 베이스천(13)과, 상기 베이스천(13)의 일측면에 고정되되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기 통로를 제공하며 베이스천(13)에는 그늘 을 드리우는 다수의 차양부재(15)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천(13)은 통기성을 가지는 망사형 원단이다. 상기 베이스천(13)으로서 종래의 일반 통풍재킷의 원단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통기성을 가지는 한도내에서 다른 종류의 폴리에스테르, 기능성 원단을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베이스천(13)이 작업복(31)의 본체를 이루는 것이므로, 작업복으로서의 물리적 성질(질김성이나 내구성 등)이 충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차양부재(15)는, 직사광선을 반사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성질의 직물을 접어 재봉한 것으로서 상호 나란하게 수평 연장된다. 상기 차양부재(15)의 바람직한 일사(日射) 반사율은 약 0.5 내지 0.9 정도이다. 상기 차양부재는 플라스틱에 은박을 입혀 사용할 수도 있고, 생산의 편의성 및 상기 반사율을 얻기 위해서 은사로 직조된 직물로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만, 반사광이 주변 작업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환경에서 사용될 작업복용 의복소재인 경우, 반사율을 0.5 이하로 낮추는 것이 좋다.
상기 차양부재(15)의 수평방향 연장길이는 작업복의 위치마다 다르다. 가령 작업복(31)의 등판부(43)와 같이 곡률이 심하지 않은 곳은 연장길이가 길고, 곡률이 심할수록 연장길이가 짧다. 이러한 연장길이는 작업복을 제작할 때 결정된다.
여하튼, 상기 차양부재(15)는, 상기 베이스천(13)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일정폭의 고정부(17)와, 상기 고정부(17)의 폭방향 하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베이스천(13)으로부터 벌어진 차양부(19)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17)는 차양부재(15)를 베이스천(13)의 일측면에 고정시키는 것 으로서, 이웃 차양부재(15)의 고정부(17)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그 사이에 통풍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양부(19)는, 각 고정부(17) 사이의 통풍공간 즉 고정부(17)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베이스천(13)의 개방면에 그늘을 드리우는 것으로서, 고정부(17)의 하단부에 절곡된 형태로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천(13)에 대한 차양부(19)의 벌어짐 각도(도 2의 θ)는 약 30 도 내지 90도 정도를 유지하면 충분하다. 이러한 정도의 각도에서는 태양의 고도가 약 65°정도 라고 가정하고 베이스천 개방면에 그늘지게 하면서도 통풍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양부(19)는 평판부(19a)와 지지부(19b)의 두 겹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 평판부(19a)는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이고, 지지부(19b)는 구부러진 상태로서 평판부(19a)의 아래에서 평판부(19a)를 긴장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상기 지지부(19b)는 평판부(19a)를 팽팽하게 유지시키는 마치 스프링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19b)가 상기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차양부재(15)를 이루는 직물은 어느 정도의 뻣뻣함(stiffness)을 가져야 한다.
상기 차양부재(15)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일정폭을 갖는 직물의 폭방향 일단부를 접어 재봉한다. 이 때 제 1재봉선(15a)이 만들어진다. 이어서, 상기 직물의 폭방향 대략 1/3선부분(도면상 F부분)을 기준으로 직물을 아래로 접은 후, 폭방향 타단부를 절곡예정선(K부분)의 뒤쪽에 맞춘 후, 상기 타단부를 절곡예정선(K)선 옆에 재봉고정한다. (이 때 제 2재봉선(15b)이 형성됨)
특히 하부로 접힌 부분(지지부(19b))의 폭을 상부의 평판부(19a)의 폭보다 길게 잡아, 지지부(19b)가 평판부(19a)로부터 들뜨게 해야 지지부(19b)가 제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재봉기술은 공지의 방법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베이스천(13) 및 이에 고정되어 있는 차양부재(15)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천(13)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차양부재(15)의 차양부(19)가, 그 아래에 그늘을 드리울 수 있도록 베이스천(13)으로부터 사이각 θ만큼 벌어져 있다. 상기 사이각은 지지부(19b)에 의해 유지된다.
한편, 상기 도 2에서는 차양부재(15)로서 직물을 적용하였지만, 차양(遮陽)을 할 수 있는 한, 다른 소재를 얼마든지 적용할 수도 있다. 가령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천(13)에 고정되는 차양부재(21)로서 합성수지로 성형된 시트부재(21a)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차양부재(21)는, 그 중앙부가 둔각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절곡된 시트부재(21a)와, 상기 시트부재(21a)의 표면에 적층된 반사층(21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사층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박판으로서 시트부재(21a)의 표면에 접착 고정된 상태로 직사광선을 반사한다. 아울러 상기 시트부재(21a)는 연질 합성수지로 제작된 일정두께의 판상 부재로서, 고정부(23)와 차양부(25)를 갖는다.
상기 고정부(23)는 베이스천(13)에 면접 고정되는 부분이고, 차양부(25)는 직사광선을 차단하여 그 하부에 그늘을 드리우는 부분이다. 상기 베이스천(13)에 대한 고정부(23)의 고정은 재봉이나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11)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31)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복(31)은, 재킷의 형태를 취하며, 작업자의 가슴과 배를 커버하는 전면부(41)와 등을 커버하는 등판부(43)와 어깨를 커버하는 어깨부(45)를 포함하는 베이스천(13)과, 상기 전면부(41) 및 등판부(43)에 고정되는 다수의 차양부재(15)와, 상기 어깨부(45)의 상부에 구비되는 차단시트(35)를 포함한다.
상기 차양부재(15)는 직사광선이 베이스천(13)을 통과해 작업자의 피부에 닿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에게 불어오는 바람이 베이스천(13)을 통과한 후 화살표 f방향으로 상향 유동할 수 있도록 기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15)는 그릴(grill)에서의 가이드 베인을 연상케한다. 도면부호 37은 지퍼이다.
한편, 상기 어깨부(45)에는 차양부재(15) 대신 차단시트(35)가 올라간다. 상기 차단시트(35)는 은사(銀絲)로 직조된 은사천이나 또는 이와 유사한 성질의 반사형 시트로서, 베이스천(13)의 어깨부위에 고정되어 어깨에 직사광선이 쪼이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차단시트(35)로서 반사형 시트를 대신하여 불투광성 시트부재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시트(35)에 의해 커버된 베이스천(13)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스페이서가 구비된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작업복의 어깨부(45) 일부를 절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시트(35)에 의해 커버되어 있는 어깨부(45)의 내부에 스페이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베이스천(13)의 내측면을 작업자의 어깨면으로부터 이격시켜 그 사이에 공기통로가 형성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가볍고 습기를 흡수하지 않는 성질의 합성수지나 발포플라스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가 양쪽 어깨부(45)의 내부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작업복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복(31)에 화살표 R방향의 직사광선이 조사되더라도, 직사광선은 상기 차양부재(15,21) 및 차단시트(35)에 반사되어 작업자의 몸(A)에 도달하지 못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작업자로 불어오는 바람은 상기 차양부재(15)에 의해 가이드되며 차양부재(15) 사이의 베이스천(13)을 통해 화살표 f방향으로 상향 유동하여 어깨를 넘어 등판부쪽으로 이동한 후 외부로 빠져나간다. 결국 작업자의 몸(A)은 거의 항상 그늘져 있고 또한 기류에 의해 냉각되므로 그만큼 열스트레스가 작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복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복소재(11)를 이용해 여러 가지 형태의 작업복을 만들 수 있다. 도 7a는 소매가 없는 타입의 작업복이고, 도 7b는 반팔소매가 있는 작업복이며, 도 7c는 긴소매 작업복이다.
실시예
재킷의 인체냉각효과 측정 및 결과
본 출원의 발명자는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업복을, 종래의 통풍재킷 및 일반작업복과 비교하는 성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험은, 변화가 심한 옥외 열환경을 피하여 일정한 고온복사 환경이 조성된 실내에서 수행되었다.
상기 실험을 위하여, 할로겐램프를 이용해 600W/m2의 복사밀도를 구현하였고, 실험실 내의 건구온도를 29℃, 흑구온도를 34℃, 상대습도를 54%, 기류속도를 2.0m/sec로 조절하였다. 아울러 상기 고온복사 환경을 유지한 상태로, 8채널 피부온도 측정기로 피험자의 구강온도 및 평균피부온도를 10초 간격으로 측정하였고, 온습도 데이터 로거를 이용해 건구온도와 흑구온도 및 상대습도를 1분 간격으로, 기류속도 측정기로 기류속도를 간헐적으로, 일사밀도 측정기로 일사밀도를 간헐적 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조건하에서, 피험자가 본 실시예의 작업복(이하, 자연형재킷)과 상기 통풍재킷과 일반작업복을 차례로 30분간 착용한 상태로, 피험자 피부의 온도 평균값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측정결과, 피험자의 평균 피부온도는, 자연형재킷을 착용한 경우 33.89℃(표준편차 0.15), 통풍재킷 착용시 35.00℃(표준편차 0.59), 일반작업복착용시 35.12℃(표준편차 0.23)임을 알 수 있었다. 자연형재킷 착용시 피험자의 평균피부온도는 통풍재킷보다 1.11℃, 일반작업복보다 1.23℃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 8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한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상태에서의 각 재킷의 표면온도를 측정해보았고, 이를 도 9a 내지 도 9c에 나타내었다. 도 9a는 자연형재킷을 착용하였을 때의 결과, 도 9b는 통풍재킷을 착용하였을 때의 결과, 도 9c는 일반작업복을 착용하였을 때의 결과를 도시한다.
그 결과 위의 사진에 나타나 있듯이, 본 실시예의 자연형재킷의 표면온도는 33.6℃, 통풍재킷의 표면온도는 34.2℃, 일반작업복의 표면온도는 33.8℃로 측정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복(위의 자연형재킷)의 표면온도가, 통풍재킷보다 0.6℃, 일반작업복보다 0.2℃ 낮았는데, 이는 기류와 일사(日射)의 영향을 제외한 의복표면과 인체간 복사열의 전달관점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복의 냉각능력이 다른 여타의 작업복보다 양호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피험자 주관적 온열반응 비교분석
피험자들이 자연형냉각재킷, 통풍재킷, 일반재킷 세 가지를 착용하였을 때 각각의 주관적 온열반응(7척도, 11척도)을 10분 간격으로 설문 측정하였다. 그리고 피험자 평균피부온도는 매 10초 간격으로 측정하여 10분간 평균값으로 정리하였다.
표 1은 자연형냉각재킷, 통풍재킷, 일반재킷의 피험자 열적 반응 측정 데이터를 10분 간격 평균값으로 정리한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착의상태 측정변수 주관적 온열반응기평가(7척도) 주관적 온열반응평가(11척도)
측정일자 08/19 08/20 08/21 08/22 08/19 08/20 08/21 08/22
피험자(성별) A(남) B(여) C(여) D(남) A(남) B(여) C(여) D(남)
자연형 냉각재킷 13:30-13:40 1 1 1 1 0 0 1 0
13:40-13:50 1 1 1 1 0 0 1 0
13:50-14:00 1 1 1 1 0 0 1 0
평균값 1.0 1.0 1.0 1.0 0.0 0.0 1.0 0.0
통풍재킷 14:30-14:40 1 2 2 2 1 2 1 1
14:40-14:50 1 2 2 2 1 2 1 2
14:50-15:00 2 2 2 2 1 2 1 3
평균값 1.33 2.00 2.00 2.33 1.00 2.00 1.00 2.00
일반재킷 15:30-15:40 2 2 3 2 2 2 2 1
15:40-15:50 3 2 3 3 2 2 2 2
15:50-16:00 3 2 3 3 2 2 3 3
평균값 2.67 2.00 3.00 2.67 2.00 2.00 2.33 2.00
표 1을 참고하여 고온복사 환경 하에서 각 재킷을 착용한 피험자의 7척도 주관적 온열반응을 비교분석하였다. 각 재킷별 피험자의 ASHRAE 7척도 주관적 온열반응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도 10에 나타낸다.
피험자들은 고온복사환경 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냉각재킷 착용 시 +1로, 기존의 통풍재킷 착용 시 +1 내지 +3으로, 일반재킷 착용 시 +2 내지 +3으로 답하였다. 이렇게 4명의 피험자가 다소 상이하게 온열반응을 나타낸 것은 더위에 대한 개인별 지각과 인내력의 차이라 볼 수 있다. 고온복사환경 하에서 각 재킷별로 4명의 피험자가 대답한 7척도 온열반응을 평균한 결과 자연형냉각재킷은 1.0(약간 따뜻하다, 표준편차 0.00)로, 통풍재킷은 1.92('덥다'에 가까움, 표준편차 0.52)로, 일반재킷은 2.58('매우 덥다'와 '덥다'의 중간 정도, 표준편차 0.52)로 나타났다. 이러한 각 재킷의 7척도 온열반응의 차이는 인체 냉각효과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냉각재킷이 상당히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표 1을 참고하여 고온복사환경 하에서 각 재킷을 착용한 피험자의 11척도 주관적 온열반응을 비교분석 하였다. 각 재킷별 피험자의 ASHRAE 11척도 주관적 온열반응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도 11에 나타낸다.
피험자들은 고온 복사환경 하에서 본 발명의 자연형냉각재킷 착용 시 0 내지 +1로, 기존의 통풍재킷 착용 시 +1 내지 +3으로, 일반재킷 착용 시 +2 내지 +3으로 답변하였다. 고온복사환경 하에서 각 재킷별로 4명의 피험자가 대답한 11척도 온열반응을 평균 한 결과 자연형냉각재킷은 0.25('쾌적하다'에 가까움, 표준편차 0.45)로, 기존 통풍재킷은 1.50('약간 불쾌하지만 수용할 수 있다'와 '불쾌하고 불편하다'의 중간, 표준편차 0.67)로, 일반재킷은 2.08('불쾌하고 불편하다'에 가까움, 표준편차 0.51)로 나타났다. 이러한 각 재킷의 11척도 온열반응의 차이는 인체 냉각효과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냉각재킷이 상당히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의복소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작업복의 일부를 절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작업복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복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작업복에 따른 피험자 피부의 온도 평균값을 나타낸 표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 재킷의 표면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ASHRAE 7척도에 따른 주관적 온열반응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ASHRAE 11척도에 따른 주관적 온열반응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의복소재 13:베이스천
15:차양부재 15a:제 1재봉선
15b:제 2재봉선 17:고정부
19:차양부 19a:평판부
19b:지지부 21:차양부재
21a:시트부재 21b:반사층
23:고정부 25:차양부
31:작업복 35:차단시트
37:지퍼 39:스페이서
41:전면부 43:등판부
45:어깨부

Claims (8)

  1. 통기성(通氣性)을 갖는 베이스천과;
    상기 베이스천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베이스천에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여 베이스천에 그늘을 드리우되, 기류(氣流)가 상기 베이스천을 통과할 수 있도록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차양부재를 포함하는 의복소재로서,
    상기 차양부재는, 직물을 접어 상기 베이스천에 재봉 고정시킨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천의 일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띠형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폭방향 일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상기 베이스천으로부터 예각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벌어진 차양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양부재는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필름형태의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표면에 적층되어 외부로부터 조사된 직사광선을 반사하는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
  2. 삭제
  3. 삭제
  4. 통기성(通氣性)을 가지며 재킷의 형태를 취하고, 착용된 상태로 착용자의 가슴과 배를 커버하는 전면부와, 등을 커버하는 등판부와, 어깨를 커버하는 어깨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천과;
    상기 베이스천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조사된 직사광선이 베이스천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직사광선을 차단하여 베이스천에 그늘을 드리우는 것으로서, 기류(氣流)가 상기 베이스천을 통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차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양부재는 상기 베이스천의 전면부 및 등판부 외측면에 면접 고정되는 띠형태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폭방향 일단부에 이어지며, 상기 베이스천과 예각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베이스천으로부터 벌어진 차양부를 포함하는 차광성능을 갖는 직물을 접어 제작한 것으로서, 상기 어깨부의 외측면에는 직사광선이 베이스천을 통과해 착용자의 어깨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시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작업복.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는, 상기 고정부와 차양부는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작업복.
  7. 삭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를 이루는 베이스천의 내측면에는 베이스천을 어깨의 피부로부터 이격시키며 베이스천과 어깨의 피부사이로 기류를 통과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페이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작업복.
KR1020090107737A 2009-11-09 2009-11-09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 및 상기 소재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 KR100958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737A KR100958510B1 (ko) 2009-11-09 2009-11-09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 및 상기 소재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
PCT/KR2010/007850 WO2011056035A2 (ko) 2009-11-09 2010-11-08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 및 상기 소재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737A KR100958510B1 (ko) 2009-11-09 2009-11-09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 및 상기 소재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510B1 true KR100958510B1 (ko) 2010-05-17

Family

ID=4228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737A KR100958510B1 (ko) 2009-11-09 2009-11-09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 및 상기 소재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8510B1 (ko)
WO (1) WO201105603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203B1 (ko) * 2011-01-26 2013-01-22 김용욱 냉각재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4094B2 (en) 2018-08-30 2023-06-27 Nike, Inc. Flexible cooling garment system
US11425944B2 (en) 2018-08-30 2022-08-30 Nike, Inc. Flexible cooling garmen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6325U (ko) 1979-06-05 1980-12-17
JPH07157908A (ja) * 1993-12-03 1995-06-20 Santetsukusu:Kk 通気防水布およびその製法とその衣料
KR200195992Y1 (ko) 2000-04-04 2000-09-15 이상오 방수 및 통풍의복
KR200376065Y1 (ko) 2004-11-22 2005-03-11 이상오 작업용 우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8356A (en) * 1981-12-14 1983-10-11 Simon Abrams Ventilated rain gar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6325U (ko) 1979-06-05 1980-12-17
JPH07157908A (ja) * 1993-12-03 1995-06-20 Santetsukusu:Kk 通気防水布およびその製法とその衣料
KR200195992Y1 (ko) 2000-04-04 2000-09-15 이상오 방수 및 통풍의복
KR200376065Y1 (ko) 2004-11-22 2005-03-11 이상오 작업용 우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203B1 (ko) * 2011-01-26 2013-01-22 김용욱 냉각재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6035A2 (ko) 2011-05-12
WO2011056035A3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8381T3 (es) Material de cubrimiento que refleja los rayos infrarrojos.
KR100958510B1 (ko) 차양 및 통풍기능을 갖는 의복소재 및 상기 소재로 제작된 옥외 작업복
KR101344033B1 (ko) 개인용 의복 미기후 냉난방 장치 및 이를 부착한 의복
US10274289B1 (en) Body armor ventilation system
IT8224272A1 (it) Indumento termico
Xue et al. Personal Thermal Management by Radiative Cooling and Heating
US11751612B2 (en) Evaporative cooling garment
CN211994521U (zh) 一种高档抗高温针织面料
KR20170027532A (ko) 복합 다층 단열재를 이용한 실내용 난방 텐트
CN213604527U (zh) 辐射制冷服装
CN205358269U (zh) 一种可调节温度的衣服
KR101225203B1 (ko) 냉각재킷
US20100022149A1 (en) Ultra violet protective panel
CN211933607U (zh) 透气性好的遮光窗帘
JP2017186683A (ja) 高視認性空調安全服
RU2519927C1 (ru) Теплосъе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одежды
KR101223390B1 (ko) 영유아용 캐리어
CN218185352U (zh) 一种具有夜间反光机构的运动服装
CN112021687A (zh) 一种辐射致冷防护服及其制备方法
CN211323140U (zh) 一种新型反光衣
JP2021055223A (ja) 空調衣服用の通気スペーサー、通気スペーサー構造体及び通気路形成上衣
CN219578328U (zh) 一种户外防晒反光衣
Janushevskis et al. Air Flow Analysis for Protective Clothing Ventilation Elements with and Without Constant Cross-Section Area Opening
JP3221422U (ja) 衣服装着可能な輻射熱反射シート
CN213785462U (zh) 一种可对外层拆卸清洗的特种工作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