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420B1 - Door Open/Close System By Combination of User Verification Data And Visitor Verification Data And Door Open/Close Device Thereof - Google Patents

Door Open/Close System By Combination of User Verification Data And Visitor Verification Data And Door Open/Close Devic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420B1
KR100958420B1 KR1020080034014A KR20080034014A KR100958420B1 KR 100958420 B1 KR100958420 B1 KR 100958420B1 KR 1020080034014 A KR1020080034014 A KR 1020080034014A KR 20080034014 A KR20080034014 A KR 20080034014A KR 100958420 B1 KR100958420 B1 KR 100958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osing
door
termina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8755A (en
Inventor
전승찬
Original Assignee
전승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승찬 filed Critical 전승찬
Priority to KR1020080034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420B1/en
Publication of KR20090108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7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4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by means of a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편이나 배달물 등을 직접 수령하지 않고 근거리 또는 원격에서 비치된 수납함에 수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개폐시스템 및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내 인터폰 또는 인터폰과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 등과 연결될 수 있는 수납함을 구비하고 수납함의 도어개방을 위한 패스워드와 같은 데이터 정보의 일부를 방문자가 입력하고 그 나머지를 인터폰 또는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함에 따라 데이터 조합에 의해 도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패스워드의 공개를 방지하여 보안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방문자가 입력하는 일부의 데이터 정보를 통해 방문자의 신원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무분별한 인터폰 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편물 또는 배달물 등의 수납물을 방문자와 직접 대면하지 않고 가정 내 또는 원격지에서 받을 수 있어 방문자와 수신자간의 편리함을 증대시킴은 물론 방문자를 가장한 범법자로부터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개폐시스템 및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onfirming that a mail box or a delivery item is stored in a box provided at a short distance or a remote location. By providing a storage box that can be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and the like, the visitor inputs a part of data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for opening the door of the storage box, and the rest of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data combination as input by the user of the interphone or portable terminal. Security can be maintained by preventing the disclosure of passwords, indirectly verifying the visitor's identity through some data information entered by the visitor, preventing indiscriminate intercom calls, and checking the contents of mail or delivery items. And directly It can be received at home or remotely without any ne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between the visitor and the receiver, as well as the door opening / closing system an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user and the visitor's authentication data that can prevent damage from the offender who impersonates the visitor. It is abou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며 도어가 설치된 수납함을 개폐하는 도어개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시스템은 도어의 개폐에 의해 특정 대상물이 수납되며,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한 제 1데이터가 입력되는 키입력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연결부 및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해 입력되는 데이터 정보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납함과; 상기 수납함의 통신 연결부를 통해 수납함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단말기와; 상기 수납함에 입력되는 제 1데이터를 통신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한 제 2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통신단말기를 전송하여 수납함의 제어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수신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납함의 제어부는 키입력부,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각각 전송받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조합이 미리 설정된 개폐 인증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having a predetermined receiving space therein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box in which the door is installe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receives a specific object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e first data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is A storage box including an input key input unit,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for data communication, and a control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ccording to data information input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hold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of the holder; A receiver terminal receiving first data input to the holder through a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the same to a user, receiving second data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first data to the controller of the holder; The control unit of the holder is configured to open the door whe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transmitted from the key input unit and the receiver terminal matches the preset opening / closing authentication data, respectively.

수납함, 도어개폐, 키입력부, 우편물, 배달물, 휴대용단말기 Box, door opener, key input, mail, delivery, handheld terminal

Description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개폐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도어 개폐장치{Door Open/Close System By Combination of User Verification Data And Visitor Verification Data And Door Open/Close Device Thereof}Door opening / closing system by combination of authentication data of user and visitor and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therefor {Door Open / Close System By Combination of User Verification Data And Visitor Verification Data And Door Open / Close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근거리 또는 원격지에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개폐장치와, 우편이나 배달물 등을 직접 수령하지 않고 근거리 또는 원격에서 비치된 수납함에 수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개폐시스템 및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내 인터폰 또는 인터폰과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 등과 연결될 수 있는 수납함을 구비하고 수납함의 도어개방을 위한 패스워드와 같은 데이터 정보의 일부를 방문자가 입력하고 그 나머지를 인터폰 또는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함에 따라 데이터 조합에 의해 도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패스워드의 공개를 방지하여 보안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방문자가 입력하는 일부의 데이터 정보를 통해 방문자의 신원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무분별한 인터폰 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편물 또는 배달물 등의 수납물을 방문자와 직접 대면하지 않고 가정 내 또는 원격지에서 받을 수 있어 방문자와 수신자간의 편리함을 증대시킴은 물론 방문자를 가장한 범법자로부터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개폐시스템 및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 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t a short distance or a remote location,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onfirming that the door or the door is opened without receiving mail or delivery items directly.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orage box that can be connected to an interphone or a mobile phone connected to an interphone in a home, and a visitor inputs a part of data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for opening a door of the storage box, and the rest is an interphone or a mobile terminal.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data combination as the user inputs, it is possible to maintain security by preventing the disclosure of the password, and indirectly confirms the visitor's identity through some data information input by the visitor, and makes indiscriminate interphone calls. Preven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items such as mail or deliveries at home or remotely without having to face the visitor directly,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between the visitor and the receiver and preventing damage from the offender who impersonates the visitor. It relates to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based on a visitor's authentication data combination.

일반적으로, 등기우편이나 소포를 우편배달부가 배달시 수신지의 수신자 본인이나 주변 사람에게 전달하고, 수취인의 도장이나 사인을 받게 된다.In general, registered mail or parcels are delivered by postal delivery to the recipient's recipient or to the person at the time of delivery and receive the stamp or signature of the addressee.

그러나, 수신지에 수신자 본인이나 그외 주변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전달이 불가능하게 되어 우편배달부가 다시 가져간 후 2 ~ 3회에 걸쳐 재방문하여 수령인이 있을 경우에만 전달하게 된다.However, if the recipient does not have a recipient or anyone else nearby, the delivery will be impossible and will be delivered only if there is a recipient after returning the mailer two or three times.

따라서, 우편배달부는 수신지에 수신자 본인이나 그외 주변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수차례 재방문해야 함으로서 우편배달의 업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postal delivery unit has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of the postal delivery is reduced by having to revisit a number of times when there is no recipient or other persons in the destination.

더불어, 수신자는 항상 수신지에서 등기나 소포를 수신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receiver must always be waiting to receive a registration or parcel at the destination.

아울러 최근들어 우편배달부 또는 택배배달부를 가장하여 가정 내에 침입, 각종 범죄행위를 일삼는 사례가 늘어나 이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invasion and various criminal acts in the home under the guise of postal delivery or courier delivery.

따라서 부재 시에도 배달물을 수령할 수 있고 가정 또는 사무실에 수령자가 있더라도 배달원과 직접 대면 없이 우편물을 안전하게 전달 받을 수 있는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Therefore, it is urgent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receive the delivery in the absence, and even if there is a recipient in the home or office, it is possible to safely receive the mail without face-to-face delivery.

한편, 집주인이 외출한 사이 방문자가 집을 방문한 경우 집주인이 원격지에서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인증번호를 원격 전송하여 현관 도어를 개폐하도록 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isitor visits the house while the homeowner is out, a device for allowing the homeowner to remotel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number through a mobile terminal from a remote place is us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door.

그러나, 이러한 장치의 경우 방문자가 아닌 사람이 장난으로 벨을 누르는 경우가 많아 집주인의 입장에서 번거롭고 짜증이 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device, a person who is not a visitor often presses the bell for a joke, which may be cumbersome and annoying from the landlord's point of view.

따라서, 도어 개폐 원격 제어장치에서 벨을 누르는 사람이 진정한 방문자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진정한 방문자인 경우에만 집주인의 휴대 단말기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that allows the homeowner to call the portable terminal only when the visitor is a true visitor after confirming whether the person pressing the bell is a true visito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가정 내 인터폰 또는 인터폰과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 등과 연결될 수 있는 수납함을 구비하고 수납함의 도어개방을 위한 패스워드와 같은 개폐 인증 데이터 정보의 일부를 방문자가 입력하고 그 나머지를 인터폰 또는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함에 따라 데이터 조합에 의해 도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패스워드의 공개를 방지하여 보안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방문자가 입력하는 일부의 데이터 정보를 통해 방문자의 신원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무분별한 인터폰 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편물 또는 배달물 등의 수납물을 방문자와 직접 대면하지 않고 가정 내 또는 원격지에서 받을 수 있어 방문자와 수신자간의 편리함을 증대시킴은 물론 방문자를 가장한 범법자로부터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수납물의 원격확인과 보안기능을 가지는 도어개폐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orage box that can b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phone or interphone in the home, and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data such as a password for opening the door of the storage box As the visitor inputs a part of the information and the rest enters the interphone or portable terminal user,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data combination, thereby preventing the disclosure of the password and maintaining security. Through indirect verification of the visitor's identity, it can prevent indiscriminate interphone calls, and receive items such as mail or deliveries at home or remotely without facing the visitor, increasing convenience between the visitor and the recipient. Sikkim as well as visito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having a remote check and security of the objects that can prevent damage from the pretender.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금고 등의 중요 수납물을 제 3자에게 인입 또는 인출을 맡긴 경우 도어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도어개폐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that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when a third party to accept or withdraw the important objects, such as a safe.

또한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보안 또는 다양한 형태의 이유로 주거 환경 또는 보안 공간에 설치되는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s installed in a residential environment or security space for security or various forms.

본 발명은 상기의 제 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to achieve the first object.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며 도어가 설치된 수납함을 개폐하는 도어개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시스템은 도어의 개폐에 의해 특정 대상물이 수납되며,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한 제 1데이터가 입력되는 키입력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연결부 및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해 입력되는 데이터 정보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납함과; 상기 수납함의 통신연결부를 통해 수납함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단말기와; 상기 수납함에 입력되는 제 1데이터를 통신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한 제 2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통신단말기를 전송하여 수납함의 제어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수신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납함의 제어부는 키입력부,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각각 전송받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조합이 미리 설정된 개폐 인증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having a certain receiving space therein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box in which the door is installed, where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receives a specific object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the first data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is input. A storage box including a key input unit,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for data communication, and a control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ccording to data information input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hold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of the holder; A receiver terminal receiving first data input to the holder through a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the same to a user, receiving second data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first data to the controller of the holder; The control unit of the holder is configured to open the door whe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transmitted from the key input unit and the receiver terminal matches the preset opening / closing authentication data,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수납함은 상기 수납함 내부 일정 지점에 설치되어 수납되는 특정 대상물의 인입 또는 인출을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수납함 내부 또는 외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객체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함에는 통신단말기 또는 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수신자 단말기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송수화부가 설치되되, 상기 송수화부는 방문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통신단말기 또는 수신자 단말기의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입력수단 및 음성출력수단으로 구성된다. Here, the holder further includes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inlet or out of a specific object installed and stored at a predetermined point inside the holder, and at least one inside or outside of the holder for 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an object. The receiver is provided with a handset configured to enable a voice call with a receiver terminal connected via a communication terminal or a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handset receives a visitor's voice and outputs a voice of a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receiver terminal. It consists of an input means and an audio output means.

또한 상기 송수화부에는 통신단말기 또는 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수신자 단말기와 화상통화가 가능하도록 방문자를 촬영하는 영상입력수단 및 통신단말기 또는 수신자 단말기 사용자의 촬영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통신단말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신자 단말기는 상기 통신단말기와 통신가능한 컴퓨터 단말기, 휴대용 단말기, PMP, P2P 또는 IPTV 단말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andset is further provided with a video input means for photographing the visitor to enable a video call with the receiver terminal connected via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mag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receiver terminal.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an interphone installed in an office or home, and the receiver terminal is any one selected from a computer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a PMP, a P2P or an IPTV terminal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수납함은 사무실 또는 가정 내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도어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출입도어에는 수납함의 제어부에 의해 출입도어를 개방하는 출입도어개폐부가 더 설치되어 키입력부에 입력되는 제 1데이터 및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제 2데이터의 조합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개폐 인증 데이터와 일치할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수납함의 도어 또는 출입도어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storage box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to be installed in the doorway in the office or home, the door is further provided with a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opening the door by the control unit of the storage box, the first data and the receiver terminal input to the key input unit In the case of matching with the pre-set opening / closing authentication data by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data inputted from, the door or the door of the holder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의 제 2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며 도어가 설치된 수납함을 개폐하는 도어개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시스템은 도어의 개폐에 의해 특정 대상물이 수납되며,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한 제 1 데이터가 입력되는 키입력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연결부 및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해 입력되는 데이터 정보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납함과; 상기 수납함의 통신연결부를 통해 데이터 통신 가능하며 수납함의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 1데이터를 전송 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한 제 2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수납함으로 전송하는 정보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납함의 제어부는 키입력부, 정보단말기로부터 각각 전송받는 제 1데이터와 제 2데이터의 조합이 미리 설정된 개폐 인증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having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opening and closing a storage box in which a door is installed, where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receives a specific object by opening and closing a door, and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first data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A storage box includ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for data communication and a control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ccording to data information input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nabl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of the holder and receiving the first data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of the holder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user, and receiving the second data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first data to the holder. The terminal is configured to include, 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holder is configured to open the door whe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received from the key input unit, the information terminal respectively match the predetermined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data.

여기서 상기 수납함에는 상기 정보단말기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송수화부가 설치되되, 상기 송수화부는 방문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입력수단 및 음성출력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정보단말기와 화상통화가 가능하도록 방문자를 촬영하는 영상입력수단 및 상기 정보단말기 사용자의 촬영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handset is provided with a handset configured to make a voice call with the information terminal, the handset is composed of a voice input means and a voice output means for receiving a visitor's voice and output the user's voi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image input means for photographing a visitor to enable a video call with the information terminal, and imag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photographed image of the user of the inform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정보단말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이거나 컴퓨터 단말기, 휴대용 단말기, PMP, P2P 또는 IPTV 단말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terminal is preferably an interphone installed in an office or at home or any one selected from a computer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a PMP, a P2P or an IPTV terminal.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의 제 3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to achieve the third object.

개폐 대상물의 일측에 출입을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부;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한 제 1데이터가 입력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 1데이터를 정보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단말기로부터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한 제 2데이터를 입력받는 통신연결부; 및 상기 제 1데이터와 제 2데이터의 조합이 미리 설정된 사용 자 인증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개폐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door installed to control entry and exit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object; A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 key input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and receiving first data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first data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to an information terminal and receiving second data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And a control unit which opens the door by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whe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matches a predetermined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정보단말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이거나 컴퓨터 단말기, 휴대용 단말기, PMP, P2P 또는 IPTV 단말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 개폐장치에는 도어 일측 또는 근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정보단말기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송수화부가 설치되되, 상기 송수화부는 방문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정보단말기의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입력수단 및 음성출력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송수화부에는 상기 정보단말기와 화상통화가 가능하도록 방문자를 촬영하는 영상입력수단 및 상기 정보단말기 사용자의 촬영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terminal is preferably an interphone installed in an office or a home or any one selected from a computer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a PMP, a P2P or an IPTV terminal.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or in a proximal position. The handset is configured to make a voice call with the terminal, wherein the handset comprises a voice input means and a voice output means for receiving a visitor's voice and outputting a user's voice in the information terminal. Image input means for photographing a visitor to enable a video call with the information terminal, and an imag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photographed image of the user of the information terminal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 내 인터폰 또는 인터폰과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 등과 연결될 수 있는 수납함을 구비하고 수납함의 도어개방을 위한 패스워드와 같은 데이터 정보의 일부를 방문자가 입력하고 그 나머지를 인터폰 또는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함에 따라 데이터 조합에 의해 도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패스워드의 공개를 방지하여 보안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방문자가 입력하는 일부의 데이터 정보를 통해 방문자의 신원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무분별한 인터폰 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편물 또는 배달물 등의 수납물을 방문자와 직접 대면하지 않고 가정 내 또는 원격지에서 받을 수 있어 방문자와 수신자간의 편리함을 증대시킴은 물론 방문자를 가장한 범법자로부터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sitor has a storage box that can be connected to an interphone or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an interphone, and a visitor inputs a part of data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for opening a door of the storage box, and inputs the rest by an interphone or portable terminal us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data combination, the security of the password can be prevented and the security of the password can be maintained.In addition, the user's identity can be indirectly verified through some data information entered by the visitor, and indiscriminate intercom calls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items such as mail or deliveries at home or remotely without directly facing the visitor,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between the visitor and the receiver and preventing damage from the offender who impersonates the visitor.

아울러 가정 또는 사무실 내에 방문하는 방문자를 위해 출입도어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으며, 금고 등의 중요 수납물을 제 3자에게 인입 또는 인출을 맡긴 경우에도 도어 개폐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of the door for the visitor in the home or office, and also to remote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even when a third party imports or withdraws important items such as a safe.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시스템 및 도어 개폐장치를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납함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시스템은 크게 수납물이 수용되는 수납함(100)과 수납함(100)과 통신가능한 통신단말기(200) 및 통신단말기(200)를 경유하여 수납함(100)과 통신가능한 수신자 단말기(30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torage box 100 and the storage box 1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storage box 100 is largely accommodated in the storage box 100 and It consists of a receiver terminal 300 that can communicate.

본 실시예의 가장 큰 특징은 수납함(100)의 도어(101)를 개폐할 수 있는 패스워드와 같은 개폐 인증 데이터 정보를 방문자가 입력하는 제 1데이터와 수신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 2데이터로 나누고 이의 조합을 통해 도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가 도출되는 것이다.The biggest fea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first data that the visitor inputs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data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01 of the storage box 100 and the second data that the user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inputs. Divided into and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through a combination thereof, and thus the various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rived.

여기서 상기 제 1데이터 및 제 2데이터는 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개폐 인증 데이터가 4자리 숫자인 '2894'이고 제 1데이터를 '28', 제 2데이터를 '94'로 각각 설정한다면, 방문자는 '28'을 입력하여야 하는 것 이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94'로 입력될 경우 제어부(110)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설정된 개폐 인증 데이터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Here,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 setting. For example, the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data is 4 digits '2894', the first data is '28', and the second data is '94. If each is set to ', the visitor has to enter' 28 ', so when the user enters' 94',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match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data set through a combination thereof Will be.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수납함(100)은 입력되는 데이터 정보와 설정된 데이터 정보가 일치할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도어(101)를 개방하는 도어개폐부(120)와, 상기 통신단말기(2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통신연결부(130)와, 상기 수납함(100) 내부 일정 지점에 설치되어 수납되는 특정 대상물의 인입 또는 인출을 감지하는 센싱부(140)와, 상기 수납함(100) 내부 또는 외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객체를 촬영하는 촬영수단(150)과, 접근한 방문자로부터 도어 개폐를 위한 데이터 정보를 입력받는 키입력부(160) 및 상기 키입력부(160), 센싱부(140) 및 촬영수단(150)으로부터 입력 데이터, 센싱 데이터 및 촬영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처리하며 통신연결부(130)를 제어하여 통신단말기(200)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110)으로 구성된다.The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a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for opening the door 101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when the input data information and the set data information is the same,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30 installed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nsing unit, a sensing unit 140 configured to detect an incoming or outgoing of a specific object installed and received at a predetermined point inside the storage box 100, and inside the storage box 100. Alternatively, at least one externally installed photographing means 150 for photographing an object, a key input unit 160 for receiving data information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from an approaching visitor, the key input unit 160, a sensing unit 140,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10 is configured to receive input data, sensing data, and photographing data from the photographing means 150, process them, and control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30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여기서 상기 도어개폐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게 되는데, 도어 개폐 방식은 기계식, 전자기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is to open and close the do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10,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tho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mechanical, electromagnetic.

또한 상기 통신연결부(130)는 수납함(100)에 접근한 방문자가 상기 키입력부(160)에 일정 데이터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를 통해 통신단말기(200)로 통신연결 요청을 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30 is provided to request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control unit 110 when the visitor who has accessed the holder 100, the schedule data information is input to the key input unit 160.

이러한 수납함(100)과 통신단말기(200)간의 통신 연결방식은 유, 무선방식 모두 가능하며, 무선방식의 경우에도 RFID통신, 적외선통신, Zigbee통신 등 모든 가능한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storage box 1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ay be a wired or wireless method, and in the case of a wireless method, all possible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RFID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and Zigbee communication may be applied.

아울러 필요한 경우 중개 기지국을 통한 유, 무선 통신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if necessary,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mediary base station is also possible.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도어가 개방된 경우 방문자로부터 특정 대상물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지 감지하는 수단으로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는 물론 인입 유무만을 확인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도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door is opened, the sensing unit 140 may be a camera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as a means of detecting whether a specific object is drawn in or drawn out from the visitor, as well as an infrared sensor that can check only whether the object is drawn.

본 실시예의 경우 수납함(100)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의 촬영수단(150)이 구비됨에 따라 카메라외에 다양한 인입, 인출 감지기기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since a separate photographing means 150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storage box 100, it is preferable to apply various inlet and outflow detectors in addition to the camera.

상기 촬영수단(150)은 수납함(100)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수납함(100)에 접근하는 방문자를 촬영하거나 수납함(100) 내부를 촬영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photographing means 150 is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storage box 100 to photograph a visitor approaching the storage box 100 or to photograph the interior of the storage box 100 and provide the same to the user.

제어부(110)는 이와 같은 촬영 정보를 통신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되는 통신단말기(200) 또는 수신자 단말기(300)로 전송하게 되며, 별도로 마련되는 메모리수단에 이를 저장하여 필요한 경우 촬영 저장 정보를 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10 transmits such photographing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30, and stores the photographing storage information if necessary by storing it in a separate memory means. It can also be configured for viewing.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수납함(100)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데이터 처리 및 저장, 전송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As such, the controller 110 controls various components of the storage box 100 to allow data processing, storage, and transmission.

또한 제어부(110)에는 도어 개폐를 위한 인증 데이터 정보가 저장됨은 물론이며, 제어부(110)는 키입력부(160)를 통한 방문자의 입력 데이터 정보인 제 1데이터와 수신자 단말기(300)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정보인 제 2데이터를 조합하 여 저장된 개폐 인증 데이터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도어개폐부(120)를 작동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stores the authentication data informa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the control unit 110 inputs the first data which is the visitor input data information through the key input unit 160 and the user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The door opening / closing unit 120 is operated by combining the second data, which is data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stored data corresponds to the stored opening / closing authentication data information.

한편 상기 수납함(100)에는 통신단말기 또는 수신자 단말기 사용자와 방문자가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할 수 있도록 송수화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x 100 may be provided with a handset unit 170 so that the user and the visito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receiver terminal can make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상기 송수화부(170)에는 음성입/출력수단(171) 및 영상입/출력수단(172)로 구성되며, 영상입력수단의 경우 전술한 촬영수단(150)으로 대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handset 170 is composed of a voice input / output means 171 and an image input / output means 172, in the case of the image input means can be replaced with the above-described recording means 150, of course.

이러한 음성입력수단으로는 마이크로폰이 바람직하며, 음성출력수단으로는 스피커가 바람직하다.A microphone is preferable as the voice input means, and a speaker is preferable as the voice output means.

아울러 영상입력수단으로는 카메라가 바람직하며 영상출력수단으로는 모니터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a camera is preferable as the image input means, and a monitor may be preferable as the image output mea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100)에는 벨버튼부(180)가 구비되어 통신단말기(200)에 호출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통신단말기(200)는 수신자 단말기(300)와 통신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무분별한 호출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th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ell button unit 180 can be configured to send a cal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ommunicates with the receiver terminal 300 It would be desirable to configure the connection so as to prevent indiscriminate calls.

물론 벨버튼부(180)를 제거하여 패스워드의 특정 부분을 모르는 방문자의 경우 통신단말기(200)에 호출할 수 없도록 하여 원천적으로 무분별한 호출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Of course, if the visitor who does not know the specific portion of the password by removing the bell button unit 180 may not be able to call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ay be prevented indiscriminately the source.

한편 상기 통신단말기(200)는 상기 수납함(100)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도록 키입력부(210)가 설치되되 입력되는 데이터 정보를 수납 함(100)으로 전송하기 위해 구비되며, 가정 또는 사무실 내에 비치되는 인터폰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box 100 and the key input unit 210 is installed to enable data input, but is provided to transmit the input data information to the storage box 100, home Or an interphone provided in the office.

또한 수신자 단말기(300)의 경우 상기 통신단말기(200)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며 통신단말기(200)와 연결되어 데이터 입력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키입력부(310)의 입력 데이터를 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ceiver terminal 300 i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transmit the input data of the key input unit 310 is installed to enable data inpu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do.

상기 수신자 단말기(300)의 경우 컴퓨터 단말기, 휴대용 단말기, PMP, P2P 또는 IPTV 단말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receiver terminal 300 is preferably any one selected from a computer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a PMP, a P2P or an IPTV terminal.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라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방문자가 방문한 경우 수납함(100)의 키입력부(160)에 방문자에 게 할당되는 개폐 인증 데이터인 제 1데이터가 입력되게 되면, 통신단말기(200)는 이를 전송받아 설정된 수신자 단말기(300)로 연결, 제 1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수신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상기 제 1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확인하며 만일 정규의 방문자로 여길 경우 수신자 단말기(300)에 구비되는 키입력부(310)를 통해 제 2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when the visitor visits, when the first data, which is opening / closing authentication data allocated to the visitor, is input to the key input unit 160 of the storage box 100,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does this. The receiver receives the connection to the set receiver terminal 300 and transmits the first data. The user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receives the first data and confirms it, and if it is regarded as a regular visitor, the second data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310 provided in the receiver terminal 300.

만일 사용자가 제 1데이터를 확인 후 정규의 방문자가 아니라고 판단할 경우 키입력을 일정 시간 하지 않거나 거부의사에 해당되는 특정 키를 입력하여 개방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f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visitor is not a regular visitor after checking the first data, the user may be configured to block opening by not inputting the key for a certain time or inputting a specific key corresponding to the rejection intention.

또한 무분별한 수신자 단말기(300)로의 호출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10)에서는 정규의 제 1데이터가 아닐 경우 통신단말기(200)로 이를 전송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a call to the indiscriminate receiver terminal 300, the controller 110 may be set not to transmit i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when it is not regular first data.

아울러 사용자가 요청할 경우 송수화부(170)를 통해 방문자와 음성, 영상통 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촬영수단 및 센싱부로부터 수납물을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requests, voice and video calls with the visitor may be made through the handset 170, and the contents may be checked from the photographing means and the sensing unit.

(제 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납함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시스템은 크게 가정 또는 사무실의 출입도어(400)에 결합되며 수납물이 수용되는 수납함(100)과 수납함(100)과 통신가능한 통신단말기(200) 및 통신단말기(200)를 경유하여 수납함(100)과 통신가능한 수신자 단말기(30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largely coupled to the door 400 of the home or offi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communication box 200 and the storage box 100, the accommodation is accommodated The receiver 20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torage box 100 via the terminal 200.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한 구성이나, 가정 또는 사무실 내에 방문하는 방문자를 위해 출입도어(400)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 추가된 것이다.This embodiment i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the configuration that can control the opening of the access door 400 for visitors visiting in the home or office is added.

즉, 제어부(110)는 방문자의 제 1데이터와 수신자 단말기(300) 사용자의 제 2데이터를 통해 저장된 개폐 인증 데이터 정보와 일치할 경우 출입도어(400)가 개방되도록 출입도어개폐부(410)를 작동시키게 된다.That is, the controller 110 operates the door opening / closing unit 410 to open and close the door 400 when the first data of the visitor matches the opening / closing authentication data information stored through the second data of the user of the receiver terminal 300. Let's go.

여기서 상기 제어부(110)에는 수납함(100)의 도어(101) 개폐 데이터 정보와 출입도어(400)의 개폐 데이터 정보를 각각 달리하여 저장함으로써 입력되는 데이터 정보에 따라 수납함(100)의 도어(101)를 개방하거나 출입도어(400)를 개방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으로는 사용자가 통신단말기(200) 또는 수신자 단말 기(300)로 입력하는 데이터 정보에 추가적으로 수납함(100)의 도어(101)를 개방할지 출입도어(400)를 개방할지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더 입력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110 stores the door 101 opening / closing data information of the storage box 100 and the opening / closing data information of the access door 400 differently and stores the door 101 of the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the input data information. The door 101 of the storage box 100 in addition to the data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r the receiver terminal 300 may be configured to open or to open the door 400. This can be solved by further inputting data information on whether to open the door 400 or open the door.

예를 들면, 제어부에 저장된 개폐 데이터 정보가 44(방문자 입력 데이터), 92(사용자 입력 데이터)일 경우 사용자는 출입도어(400) 개폐를 명령하기 위해 키입력부에 92외에 1(0일 경우 수납함의 도어를 개방)을 추가적으로 입력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opening / closing data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rol unit is 44 (visitor input data) and 92 (user input data), the user inputs 92 in addition to 92 in the key input unit to instruct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400. To open the door).

이에 따라 우편 또는 배달물의 전달을 위한 방문자가 아닌 가정 또는 사무실 내의 업무로 인한 방문자일 경우 출입도어(400)를 원격 개폐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a visitor due to work in the home or office, not a visitor for the delivery of mail or delivery, the door 400 may be remotely opened and closed.

(제 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시스템의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시스템은 크게 도어의 개폐에 의해 특정 대상물이 수납되는 수납함(100)과, 상기 수납함(100)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정보단말기(50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storage box 100 is a specific object is receiv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he information terminal 500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box 100.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대부분 구성이 동일하나, 금고와 같은 특정 수납함(100)의 대상물 인입 또는 인출을 제 3자에게 맡긴 경우, 보안을 위해 제 3자와 정보단말기(500) 사용자 간의 제 1데이터, 제 2데이터 조합을 통해 수납함(100)의 도어(101)를 개폐하게 된다.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mos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the third party and the information terminal 500 for security if the third party to leave or withdraw the object of the specific storage box 100, such as a safe The door 101 of the holder 100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a combination of first data and second data between users.

제 1실시예의 경우 가정 또는 사무실 내에 인터폰과 같은 통신단말기가 비치 된 경우 적용될 수 있는 실시예이며 본 실시예의 경우 수납함(100) 내에 탑재되는 통신연결부(130)가 통신단말기(200), 수신자 단말기(300)의 구성없이 직접 인터폰, 인터폰이거나 컴퓨터 단말기, 휴대용 단말기, PMP, P2P 또는 IPTV 단말기 등의 통신 가능한 모든 기기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first embodiment,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n interphone is provided in a home or office,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30 mounted in the storage box 100 includes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receiver terminal ( It is configured to connect directly to any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n interphone, an interphone or a computer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a PMP, a P2P or an IPTV terminal without the configuration of 300).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연결부(130)는 기지국이나 인터넷 망을 통해 다양한 통신기기로 접속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탑재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Therefor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of cours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be connected to various communication devices through the base station or the Internet network.

(제 4실시예)(Example 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는 개폐 대상물의 일측에 출입을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도어(101)와, 상기 도어(101)를 개폐하는 도어개폐부(110), 상기 도어(101)의 일측에 설치되고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한 제 1데이터가 입력되는 키입력부(160)와, 상기 키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 1데이터를 정보단말기(500)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단말기(500)로부터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한 제 2데이터를 입력받는 통신연결부(130)와, 도어(101) 일측 또는 근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정보단말기(500)와 음성통화 또는 화상통화가 가능하도록 음성입/출력수단(171), 영상입/출력수단(172)가 구비되는 송수화부(170) 및 상기 제 1데이터와 제 2데이터의 조합이 미리 설정된 도어 개폐 인증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개폐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제어부(11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101 is installed to control the entrance and exit on one side of the object to be opene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01, one side of the door 101 And a key input unit 160 installed at the first data for authentic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transmitting the first data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60 to the information terminal 500 and the information terminal 500. Communication input unit 130 receiving the second data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and the door 101 is installed at one side or in proximity of the door 101 so as to make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with the information terminal 500. Whe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and the handset unit 170 is provided with the means 171, the image input / output means 172 and the predetermined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data,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When opening the door by controlling It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110.

제 4 실시예에 의할 경우 방문자가 키입력부(160)를 통해 패스워드의 일부를 눌러야 수신자의 정보단말기(500)를 호출하게 되므로 방문자가 진정한 방문자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진정한 방문자인 경우에만 집주인의 휴대 단말기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since the visitor needs to press a part of the passwor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60 to call the receiver's information terminal 500, the homeowner's portable only if the visitor is a true visitor after checking whether the visitor is a true visitor.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all th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도어(10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기술한 수납함(100)의 도어(101), 출입도어(400)를 포함한 개폐 가능한 모든 도어가 이에 적용될 것이다.Door 101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lied to all the door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cluding the door 101, the door 400 of the storage box 100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는 전술한 도어개폐시스템를 구성하기 위한 개폐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술한 도어개폐시스템의 경우 수납함 또는 수납함을 가지는 출입도어를 통해 설명되었으나, 본 개폐장치의 경우에는 수납함의 구성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도어 개폐가 해당될 것이다.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but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has been described through an access door having a storage box or a storage box. All doors will be open or closed.

따라서, 도어(101)가 개폐되는 과정 및 이를 위한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되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Therefore,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01 and the components therefor have been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and thus a separ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납함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시스템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납함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torage box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시스템의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도.7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수납함 101 : 도어100: storage box 101: door

110 : 제어부 120 : 도어개폐부110: control unit 120: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130 : 통신연결부 140 : 센싱부130: communication connection 140: sensing unit

150 : 촬영수단 160, 210, 310 : 키입력부150: recording means 160, 210, 310: key input unit

170 : 송수화부 171 : 음성입/출력수단170: handset 171: voice input / output means

172 : 영상입/출력수단 180 : 벨버튼부172: video input / output means 180: bell button

200 : 통신단말기 300 : 수신자 단말기200: communication terminal 300: receiver terminal

400 : 출입도어 500 : 정보단말기 400: access door 500: information terminal

Claims (11)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며 도어가 설치된 수납함을 개폐하는 도어개폐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box having a certain receiving space therein door is installed, 상기 도어개폐시스템은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도어의 개폐에 의해 특정 대상물이 수납되며,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한 제 1데이터가 입력되는 키입력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연결부 및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해 입력되는 데이터 정보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납함과;Specific objects are receiv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e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first data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a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data communication and a control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ccording to the data information input for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A storage box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수납함의 통신연결부를 통해 수납함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단말기와;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hold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of the holder; 상기 수납함에 입력되는 제 1데이터를 통신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한 제 2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통신단말기를 전송하여 수납함의 제어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수신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A receiver terminal receiving first data input to the holder through a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the same to a user, receiving second data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first data to the controller of the holder; Consists of including 상기 수납함의 제어부는 키입력부,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각각 전송받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의 조합이 미리 설정된 도어 개폐 인증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를 개방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제 1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제 1데이터가 이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신자 단말기로 이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개폐시스템.The control unit of the holder opens the door whe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transmitted from the key input unit and the receiver terminal matches the preset door opening / closing authentication data, and the control unit opens the first data input in advan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data is not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by combining the authentication data of the user and the visi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not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납함은 The holder is 상기 수납함 내부 일정 지점에 설치되어 수납되는 특정 대상물의 인입 또는 인출을 감지하는 센싱부와,A sensing unit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int inside the storage box to detect an incoming or outgoing specific object received; 상기 수납함 내부 또는 외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객체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개폐시스템.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authentication data of the user and the visi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hotographing means is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storage box to photograph the object.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납함에는 In the holder 통신단말기 또는 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수신자 단말기와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송수화부가 설치되되,The handset is configured to enable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with a receiver terminal connected via a communication terminal or a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송수화부는 방문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통신단말기 또는 수신자 단말기의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입력수단 및 음성출력수단과, The handset is a voice input means and a voice output means for receiving the voice of the visitor and outputs the voice of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receiver terminal; 방문자를 촬영하는 영상입력수단 및 통신단말기 또는 수신자 단말기 사용자의 촬영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개폐시스템.And a video input means for photographing the visitor and an imag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receiver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신단말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이며, 상기 수신자 단말기는 상기 통신단말기와 통신가능한 컴퓨터 단말기, 휴대용 단말기, PMP, P2P 또는 IPTV 단말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개폐시스템.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an interphone installed in an office or home, and the receiver terminal is any one selected from a computer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a PMP, a P2P or an IPTV terminal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by data combina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납함은 사무실 또는 가정 내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도어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출입도어에는 수납함의 제어부에 의해 출입도어를 개방하는 출입도어개폐부가 더 설치되어 키입력부에 입력되는 제 1데이터 및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제 2데이터의 조합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개폐 인증 데이터와 일치할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수납함의 도어 또는 출입도어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개폐시스템.The storage box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to be installed in the doorway in the office or home, and the door is further provided with a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opening the door by the control unit of the storage box from the first data and the receiver terminal input to the key input unit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by the combination of the authentication data of the user and the visi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or the door of the storage box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when the input and the second authentication data match the predetermined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data system.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며 도어가 설치된 수납함을 개폐하는 도어개폐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box having a certain receiving space therein door is installed, 상기 도어개폐시스템은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도어의 개폐에 의해 특정 대상물이 수납되며,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한 제 1 데이터가 입력되는 키입력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연결부 및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해 입력되는 데이터 정보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납함과;A specific object is receiv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includes a key input unit to which first data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is input,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for data communication, and a control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ccording to data information input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A storage box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수납함의 통신연결부를 통해 데이터 통신 가능하며 수납함의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 1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한 제 2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수납함으로 전송하는 정보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Information for enabl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of the holder and receiving the first data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of the holder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user and receiving the second data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first data to the holder. A terminal;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수납함의 제어부는 키입력부, 정보단말기로부터 각각 전송받는 제 1데이터와 제 2데이터의 조합이 미리 설정된 도어 개폐 인증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를 개방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제 1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제 1데이터가 이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보단말기로 이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개폐시스템. The control unit of the holder opens the door whe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received from the key input unit and the information terminal matches the preset door opening / closing authentication data, and the control unit opens the preset first dat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data is not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by combining the authentication data of the user and the visi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not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terminal.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수납함에는 In the holder 상기 정보단말기와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송수화부가 설치되되,The handset is configured to enable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with the information terminal, 상기 송수화부는The handset is 방문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입력수단 및 음성출력수단과, A voice input means and a voice output means for receiving a visitor's voice and outputting a voice of a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방문자를 촬영하는 영상입력수단 및 상기 정보단말기 사용자의 촬영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개폐시스템.And a video input means for photographing a visitor, and an imag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photographed image of the information terminal user.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정보단말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이거나 컴퓨터 단말기, 휴대용 단말기, PMP, P2P 또는 IPTV 단말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개폐시스템.The information terminal is an interphone installed in the office or at home or any one selected from a computer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PMP, P2P or IPTV terminal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by the combination of the authentication data of the user and the visitor. 개폐 대상물의 일측에 출입을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도어;A door installed to control entry and exit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object;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부;A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한 제 1데이터가 입력되는 키입력부;A key input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and receiving first data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 1데이터를 정보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단말기로부터 도어 개폐 인증을 위한 제 2데이터를 입력받는 통신연결부; 및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first data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to an information terminal and receiving second data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entication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And 상기 제 1데이터와 제 2데이터의 조합이 미리 설정된 도어 개폐 인증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개폐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며 입력된 제 1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제 1데이터가 이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보단말기로 이를 전송하지 않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 개폐장치.Whe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matches the preset door opening / closing authentication data, the door is opened by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the information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data input is not the first dat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by a combination of the authentication data of the user and the visitor comprising a control unit not transmitting it to the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정보단말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이거나 컴퓨터 단말기, 휴대용 단말기, PMP, P2P 또는 IPTV 단말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 개폐장치.The information terminal is an interphone installed in the office or at home or any one selected from a computer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PMP, P2P or IPTV termin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by the combination of the authentication data of the user and the visitor.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도어 개폐장치에는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도어 일측 또는 근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정보단말기와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송수화부가 설치되되,The handset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or in a proximal position and configured to enable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with the information terminal. 상기 송수화부는 The handset is 방문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정보단말기의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입력수단 및 음성출력수단과, A voice input means and a voice output means for receiving a visitor's voice and outputting a voice of a user of the information terminal; 방문자를 촬영하는 영상입력수단 및 상기 정보단말기 사용자의 촬영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 개폐장치.And a video input means for photographing a visitor and an imag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photographed image of the user of the information terminal.
KR1020080034014A 2008-04-14 2008-04-14 Door Open/Close System By Combination of User Verification Data And Visitor Verification Data And Door Open/Close Device Thereof KR1009584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014A KR100958420B1 (en) 2008-04-14 2008-04-14 Door Open/Close System By Combination of User Verification Data And Visitor Verification Data And Door Open/Close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014A KR100958420B1 (en) 2008-04-14 2008-04-14 Door Open/Close System By Combination of User Verification Data And Visitor Verification Data And Door Open/Close Devic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755A KR20090108755A (en) 2009-10-19
KR100958420B1 true KR100958420B1 (en) 2010-05-18

Family

ID=4155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014A KR100958420B1 (en) 2008-04-14 2008-04-14 Door Open/Close System By Combination of User Verification Data And Visitor Verification Data And Door Open/Close Devic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4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848B1 (en) 2013-09-27 2015-04-15 이상구 Smart safety door with open and close function based on auto-sens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3955A (en) * 2015-07-06 2015-12-09 杨贵华 Safe intelligent lock system
KR101587979B1 (en) * 2015-08-27 2016-01-25 이봉길 Digital Door Syste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9052A (en) * 1998-09-04 2000-03-21 Full Time System:Kk Delivery box capable of handling registered mail
JP2002304450A (en) * 2001-04-06 2002-10-18 Tatsuo Kashiwabara Home delivery assistance system
KR100752055B1 (en) * 2006-09-29 2007-08-27 전승찬 A mail box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9052A (en) * 1998-09-04 2000-03-21 Full Time System:Kk Delivery box capable of handling registered mail
JP2002304450A (en) * 2001-04-06 2002-10-18 Tatsuo Kashiwabara Home delivery assistance system
KR100752055B1 (en) * 2006-09-29 2007-08-27 전승찬 A mail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848B1 (en) 2013-09-27 2015-04-15 이상구 Smart safety door with open and close function based on auto-s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755A (en) 2009-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217453A (en) Delivery article receiving door, and deliver article receiving system
KR101315940B1 (en) Door lock system using smart phone
KR101962753B1 (en) Digital Door System for preventing Crime and Robbery Preventing Method by Using thereof
KR101872847B1 (en) An access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KR20150020926A (en) Delivery system using home delivery freight deposit box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751503B2 (en) Containment box system, containment box management equipment and methods
KR20090017733A (en) Management system for incoming and outgoing vehicles
KR20170079653A (en) Household multi-function security device using the Internet
US10837216B2 (en) Garage entry system and method
WO2008153269A1 (en) A letter box
KR20130027758A (en) Door locking/unlocking system using smar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60144052A (en) Smart delivery box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80079855A (en) Entrance managing system using of a mobile device
KR100958420B1 (en) Door Open/Close System By Combination of User Verification Data And Visitor Verification Data And Door Open/Close Device Thereof
KR101526142B1 (en) The door 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phone
US11688218B2 (en) Intelligent secure keypad keyless transmitter
KR20170104084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automatic door using smart phone
KR20170111804A (en) System for using the dual security and ID reading facial recognition
KR102341883B1 (en) Smart door system with facial recognition function
KR20180074434A (en) sensable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iris recognition
US20220383680A1 (en) Touchless smart storage box with face recognition system
KR101025830B1 (en) A crime prevention system using recognition of a fingerprint
KR101706041B1 (en) Doorlock control method using smartphone and apparatus thereof
KR100726289B1 (en) Distal post box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over network
JP4344303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