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401B1 -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 및트랜스듀서 - Google Patents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 및트랜스듀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401B1
KR100956401B1 KR1020080047892A KR20080047892A KR100956401B1 KR 100956401 B1 KR100956401 B1 KR 100956401B1 KR 1020080047892 A KR1020080047892 A KR 1020080047892A KR 20080047892 A KR20080047892 A KR 20080047892A KR 100956401 B1 KR100956401 B1 KR 100956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transducer
fixture
fix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808A (ko
Inventor
윤홍철
윤정호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휴네스
윤홍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네스, 윤홍철 filed Critical (주)휴네스
Priority to KR1020080047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40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듀서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조직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의 고정도 측정을 위한 트랜스듀서 유니트로, 자기공명 주파수를 이용한 임플란트 고정도 측정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트랜스듀서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써, 골조직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와 결합되는 픽스쳐고정부재 및 고정결합부재에 의하여 트랜스듀서가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골조직 및 임플란트용 픽스쳐의 고정도 시험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되는 임플란트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는 그대로 두고 단지 임플란트에 결합되는 픽스쳐고정부재만 임플란트 형태 및 크기에 알맞게 구비하기 때문에, 배선이 연결되고 피에조세라믹이 일체로 결합되는 트랜스듀서는 항상 동일한 것을 이용해도 되기 때문에, 측정시 단지 임플란트에 맞는 픽스쳐고정부재만 별도로 구비하면 되어 측정과정이 간단하게 되고, 전체 트랜스듀서 유니트를 바꾸지 않고 픽스쳐고정부재만 바꾸기 때문에 측정 장비도 간단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와 연결되어 고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트랜스듀서(10)가 구비되는 트랜스듀서 유니트(A)에 관한 것으로, 임플란트 픽스쳐(30)에 고정되는 픽스쳐고정부재(15), 픽스쳐고정부재(15)에 트랜스듀서(10)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결합부재(16)가 구비되며, 트랜스듀서(10)는 수직부(11)와 수평부(12)로 형성되고, 수직부(11)에 신호발신·신호수신을 위한 신호부재(14)가 구비되고, 수평부(12)에는 임플란트용 픽스쳐(3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관통공(13)이 상하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랜스듀서, 임플란트, 픽스쳐, 케이블

Description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 및 트랜스듀서{TRANSDUCER UNIT AND TRANSDUCER FOR APPARATUS OF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본 발명은 트랜스듀서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조직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의 고정도 측정을 위한 트랜스듀서 유니트로, 자기공명 주파수를 이용한 임플란트 고정도 측정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트랜스듀서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써, 골조직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와 결합되는 픽스쳐고정부재 및 고정결합부재에 의하여 트랜스듀서가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골조직 및 임플란트용 픽스쳐의 고정도 시험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골조직과 견고하게 연결되어 손상된 골조직을 대신하도록 하는 인공구조물이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척추, 다리뿐만 아니라 인공의치로 이용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에 있어서 골조직과의 밀착정도는 시술의 안정 및 환자의 건강에 절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골조직에 시술된 임플란트가 안정적 골융합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술된 임플란트는 병원균, 골조직 상태, 시술상황 등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골융합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골융합되지 않은 임플란트는 골조직과 유동될 수 있고, 유동에 의하여 벌어지는 틈사이로 세균이나 이물질이 침투될 수 있고, 그리하여 더욱 큰 이격으로 벌어져 결국 골융합되지 않아 재시술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 후 골조직과의 골융합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9에서와 같은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의 고정도 시험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측정장치(미국특허 제5392779호, TESTING IMPLANTS)를 살펴보면, 오실로스코프(520)을 통하여 발신되는 신호는 트랜스듀서(530)의 발신부(540)로 전송되고, 이에 골조직(570)에 식립된 임플란트(560)에 의한 진동을 수신부((550)에서 감지하여 analyser(510)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500)로 전송하여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저장되는 데이터를 판별하여 임플란트와 골조직과의 고정도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도측정장치는 트랜스듀서가 바로 임플란트와 결합되기 때문에 임플란트가 다른 종류 및 다른 크기의 것이면 트랜스듀서도 바뀌어야만 측정시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매번 많은 수의 트랜스듀서를 마련해야만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트랜스듀서는 측정장치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케이블도 함께 연결해야 하는 것이어서, 결국 많은 부재들이 임플란트가 바뀔 때마다 달리해야 하기 때문에 측정에 소요되는 비용도 상당한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많은 종류의 트랜스듀서를 마련한다 하여도 어느 것이 어느 임플란트에 맞는 것인지 알 수 없어 빠른 시간에 측정시험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트랜스듀서와 케이블의 연결상태가 양호하지 않고, 트랜스듀서와 임플란트의 결합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시험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골조직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의 고정도 측정을 위한 트랜스듀서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골조직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와 결합되는 픽스쳐고정부재 및 고정결합부재에 의하여 트랜스듀서가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골조직 및 임플란트용 픽스쳐의 고정도 시험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특히 픽스쳐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수평부의 고정삽입공과 고정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의 크기가 달리하여 결합단턱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결합부재 및 픽스쳐고정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임플란트용 픽스쳐에 고정되기 위한 수평부와 다른 부분인 수직부재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발신신호부재 및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수신신호부재가 수직부가 수평부와 "L"자 형으로 서로 수직되게 구비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한 측정이 양호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측정시험을 위한 케이블의 배선을 위하여 수평부에 "T"자 형상의 케이블삽입공, 측면의 장홈 등이 형성되고 몰딩성형되기 때문에 날카로운 물체에 의하여 케이블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이물질에 의하여 도통되지 않기 때문에 신호전송이 양호하도록 하여 정확한 측정시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되는 임플란트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는 그대로 두고 단지 임플란트에 결합되는 픽스쳐고정부재만 임플란트 형태 및 크기에 알맞게 구비하기 때문에, 배선이 연결되고 피에조세라믹이 일체로 결합되는 트랜스듀서는 항상 동일한 것을 이용해도 되기 때문에, 측정시 단지 임플란트에 맞는 픽스쳐고정부재만 별도로 구비하면 되어 측정과정이 간단하게 되고, 전체 트랜스듀서 유니트를 바꾸지 않고 픽스쳐고정부재만 바꾸기 때문에 측정 장비도 간단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는,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와 연결되어 고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트랜스듀서(10)가 구비되는 트랜스듀서 유니트(A)에 있어서, 임플란트 픽스쳐(30)에 고정되는 픽스쳐고정부재(15)가 구비되고, 상기 픽스쳐고정부재(15)에 상기 트랜스듀서(10)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결합부재(16)가 구비되며, 상기 트랜스듀서(10)는 수직부(11)와 수평부(12)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수직부(11)의 전·후면에는 신호발신·신호수신을 위한 신호부재(14)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12)에는 임플란트용 픽스쳐(3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관통공(13)이 상하관통되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고정관통공(13)의 하측은 상기 픽스쳐고정부재(15)가 삽입되는 고정삽입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통공(13)의 상측은 상기 픽스쳐고정부재(15)의 상부와 결합되는 고정결합부재(16)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공(132)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삽입공(131)보다 상기 결합공(132)이 작은 지름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픽스쳐고정부재(15)와 상기 고정결합부재(16)의 결합으로 상기 트랜스듀서(10)가 임플란트용 픽스쳐(30)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수평부(12)에는 전면으로 "T"자 형상의 케이블삽입공(17)이 형성되어, 케이블(21)의 발신케이블(211)과 수신케이블(212)이 각각 케이블삽입공(17)의 인입공(171)으로 인입되어 발신공(172)과 수신공(173)으로 분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12)의 양측면으로는 상기 발신케이블(211)과 상기 수신케이블(212)이 위치되는 발신장홈(174)과 수신장홈(175)이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11)의 전면 및 후면으로는 신호부재(14)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신호부재(14)는 발신신호부재(141)와 수신신호부재(142)로 구비되며, 상기 수직부(11)의 일측으로는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관통되기 위한 케이블통공(111)이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는,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와 연결되어 고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트랜스듀서(10)에 있어서, 전·후면으로 신호발신용·신호수신용 신호부재(14)가 구비되는 수직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부(11)의 하측으로 수평부(1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2)는 일측으로 상하관통되는 고정관통공(1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통공(13)은 하측의 고정삽입공(131)보다 상측의 결합공(132)이 작은 지름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삽입공(131)에는 픽스쳐고정부재(15)가 삽입되고, 상기 결합공(132)에는 고정결합부재(16)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평부(12) 전면에는 케이블(21)이 삽입되는 "T"자 형상의 케이블삽입공(17)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골조직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의 고정도 측정을 위한 트랜스듀서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골조직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와 결합되는 픽스쳐고정부재 및 고정결합부재에 의하여 트랜스듀서가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골조직 및 임플란트용 픽스쳐의 고정도 시험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픽스쳐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수평부의 고정삽입공과 고정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의 크기가 달리하여 결합단턱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결합부재 및 픽스쳐고정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임플란트용 픽스쳐에 고정되기 위한 수평부와 다른 부분인 수직부재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발신신호부재 및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수신신호부재가 수직부가 수평부와 "L"자 형으로 서로 수직되게 구비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한 측정이 양호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측정시험을 위한 케이블의 배선을 위하여 수평부에 "T"자 형상의 케이블삽입공, 측면의 장홈 등이 형성되고 몰딩성형되기 때문에 날카로운 물체에 의하여 케이블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이물질에 의하여 도통되지 않기 때문에 신호전송이 양호하도록 하여 정확한 측정시험을 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되는 임플란트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는 그대로 두고 단지 임플란트에 결합되는 픽스쳐고정부재만 임플란트 형태 및 크기에 알맞게 구비하기 때문에, 배선이 연결되고 피에조세라믹이 일체로 결합되는 트랜스듀서는 항상 동일한 것을 이용해도 되기 때문에, 측정시 단지 임플란트에 맞는 픽스쳐고정부재만 별도로 구비하면 되어 측정과정이 간단하게 되고, 전체 트랜스듀서 유니트를 바꾸지 않고 픽스쳐고정부재만 바꾸기 때문에 측정 장비도 간단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 유니트가 설치되는 실시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 유니트의 설치상태에 대한 분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에 대한 저면도, 도 5는 도 3의 B-B' 선분에 대한 절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 선분에 대한 절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의 측면에서의 배선연결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에 대한 배면 사시도가 각각 도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A)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고정도 측정장치와 연결되어 고정도를 측 정하기 위한 트랜스듀서(10)가 구비되고, 임플란트 픽스쳐(30)에 고정되는 픽스쳐고정부재(15)가 구비되며, 상기 픽스쳐고정부재(15)에 상기 트랜스듀서(10)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결합부재(16)가 구비되는 트랜스듀서 유니트(A)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트랜스듀서 유니트(A)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골조직(31)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용 픽스쳐(30)의 고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트랜스듀서 유니트(A)(Transducer Unit)로,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미도시됨)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쳐의 고정도 측정장치는 주로 주파수를 발진하여 이에 의한 진동을 다시 수신하여 임플란트 고정도 측정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측정장치는 대부분 자기공명 주파수를 이용한 임플란트 고정도 측정장치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인체의 골조직을 대신하여 인공적으로 제조된 것으로, 기존의 골조직에 부착되어 시술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골조직과의 밀착도가 중요한 사항 중 하나가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골조직과 임플란트의 밀착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미도시됨)에서 발신되는 신호는 트랜스듀서 유니트(A)의 트랜스듀서(10)에 구비되는 진동부재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진동으로 인하여 임플란트에서의 동요정도에 따른 진동을 수신부재에 의하여 수신하여 다시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에서 전송받게 된다. 그리고 전송된 임플란트의 동요정도의 진동을 분석하여 임플란트의 고정도를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진동을 발생시키고 다시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진동부재 및 수신부재는 피에조세라믹부재(Piexo-Ceramic Elements)가 이용되는 것이다.
물론 임플란트는 척추, 다리와 같은 골조직(즉 뼈조직)을 대신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근래에는 치과용 임플란트로 많이 이용되며, 치과용 임플란트의 경우 임플란트 식립과정 중 골조직(31)에 임플란트용 픽스쳐(30)를 식립한 상태에서 임플란트용 픽스쳐(30)의 요동 정도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기에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쳐를 대상으로 설명하기로 하고,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 유니트(A)는 이처럼 치과용 임플란트에 한정되어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임플란트의 고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부재로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10)의 형상은 대체로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세부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트랜스듀서(10)는 수직부(11)와 수평부(12)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부(12)에는 임플란트용 픽스쳐(3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관통공(13)이 상하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임플란트용 픽스쳐(30)에 고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관통공(13)은 하측의 고정삽입공(131)과 상측의 결합공(132)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삽입공(131)보다 상기 결합공(132)이 작은 지름크기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측의 고정삽입공(131)에는 임플란트용 픽스쳐(30)에 고정되는 상기 픽스쳐고정부재(15)가 삽입되는 것이고, 결합공(132)으로는 고정결합부재(16)가 삽입되는 것이다.
이에 도 4 및 도 5와 같이 결합공(132)의 지름(b)이 고정삽입공(131)의 지름(a) 보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고정삽입공(131) 상면으로는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단턱(133)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고정관통공(13)의 고정삽입공(131)으로 픽스쳐고정부재(15)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픽스쳐고정부재(15)의 상부면(151)이 결합단턱(133)의 저면과 맞닿게 되는 것이다. 이에 결합공(132)의 상부로부터 고정결합부재(16)를 삽입하여 픽스쳐고정부재(15)와 결합(예,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고정결합부재(16)의 머리부분의 저면(161)이 수평부(12)의 결합단턱(133) 상면과 맞닿게 되어, 결합단턱(133)을 사이에 두고 고정결합부재(16)와 픽스쳐고정부재(15)가 트랜스듀서(10)에 일체로 고정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임플란트 픽스쳐(30) - 픽스쳐고정부재(15) - 트랜스듀서(10) 등이 서로 안정되게 일체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해야만, 신호부재(14)의 발신신호부재(141)에서 발신되는 진동이 그대로 임플란트 픽스쳐(30)로 전달될 수 있으며, 또한 임플란트 픽스쳐(30)와 골조직(31)의 고정 정도에 따른 반대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수신신호부재(142)에서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 유니트(A)는 임플란트 픽스쳐(30) - 픽스쳐고정부재(15) - 트랜스듀서(10) 등이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고정도 측정시험판별에서 정 확한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10)는 수직부(11)의 두께보다 수평부(12)의 두께가 두껍도록 형성한 것이어서, 고정관통공(13)에 상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픽스쳐고정부재(15)가 트랜스듀서(10)에 요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고정관통공(13)의 결합공(132)의 상하높이(c)가 수직부(11)의 두께와 비슷한 정도로 구비되는 반면, 고정삽입공(131)이 상하높이(d)가 결합공(132)의 상하높이(c) 보다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결국 고정삽입공(131)에 삽입결합되는 픽스쳐고정부재(15)의 상부도 고정삽입공(131)의 상하높이(d)만큼 삽입되어, 서로 요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을 위해서 상기 수직부(11)의 전·후면에는 신호발신·신호수신을 위한 신호부재(14)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신호부재(14)는 발신신호부재(141)와 수신신호부재(142)로 구비되고 재질로는 피에조세라믹(Piexo-Ceramic)재가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도면의 예시에서는 수평부(12) 측 방향의 수직부(11) 전면으로는 발신신호부재(141)가 구비됨을 보이고 있고, 또한 수직부(11) 후면으로는 수신신호부재(142)가 구비됨을 보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적으로 적의 선택되어 발신신호부재(141) 및 수신신호부재(142)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11)의 일측으로는 전면의 신호부재(14)인 발신신호부 재(141)에 연결되는 케이블인 발신케이블(211)이 관통하도록 케이블통공(111)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부(12)에는 전면으로 "T"자 형상의 케이블삽입공(17)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미도시됨)와 연결되는 케이블(21)의 발신케이블(211)과 수신케이블(212)이 각각 케이블삽입공(17)의 인입공(171)으로 인입되는 것이고, 이어 발신케이블(211)은 발신공(172)으로 분기되고, 수신케이블(212)은 수신공(173)으로 분기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12)의 양측면으로는 각각 장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발신케이블(211)과 상기 수신케이블(212)이 위치되는 발신장홈(174)과 수신장홈(175)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 유니트(A)의 트랜스듀서(10)에는, 각 부재들, 특히 배선들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금속부재에 의하여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몰딩처리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수평부(12)의 양측면인 발신장홈(174) 및 발신케이블(211), 수신장홈(175) 및 수신케이블(212)은 케이블몰드(176)에 의하여 몰딩성형되도록 하고, 수직부(11)의 전면의 발신신호부재(141)와 발신케이블(211) 그리고 케이블통공(111), 나아가 수직부(11)의 후면의 수신신호부재(142)와 수신케이블(212) 등이 신호부몰드(177)에 의하여 몰딩성형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각 케이블 및 신호부재 등은 트랜스듀서(1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이물질에 의하여 통전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신호 발신 및 수신이 가능하 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A)의 결착과정 및 측정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정도 측정시험을 위하여 치조골과 같은 골조직에 임플란트용 픽스쳐(30)를 식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식립되는 임플란트용 픽스쳐(30)는 환자의 상태, 치조골의 상태, 임플란트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임플란트용 픽스쳐(30)의 상부로 픽스쳐고정부재(15)를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픽스쳐고정부재(15)의 결합을 위하여 픽스쳐고정부재(15)의 상부측으로는 "ㅡ"자 홈 또는 "+"자 홈, 내부나사부와 다른 부분으로 육각형상의 육각렌지홈, 별렌지홈 등으로 형성되는 기구결합홈(152)을 형성하여, 결합기구를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픽스쳐고정부재(15)의 기구결합부분은 수평단면의 외곽형상이 사각, 육각, 십이각 등으로 되는 기구결합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임플란트용 픽스쳐(30)에 픽스쳐고정부재(15)가 완전하게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이후 픽스쳐고정부재(15) 상부면(151)이 트랜스듀서(10)의 고정삽입공(131)에 삽입되도록 하여, 픽스쳐고정부재(15)의 상부면(151)이 고정관통공(13)의 결합단턱(133)에 밀착되게 하는 것이다. 이후 결합공(132)으로 고정결합부재(16)를 삽입하여, 픽스쳐고정부재(15)와 트랜스듀서(10)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에 앞서 트랜스듀서(10)는 수직부(11)의 전면 및 후면으로 신호부 재(14)인 발신신호부재(141) 및 수신신호부재(142)가 구비되고, 각각에 발신케이블(211) 및 수신케이블(212)이 연결된 상태에서 수평부(12)의 발신장홈(174) 및 수신장홈(175)를 지나 인입공(171)을 통하여 배선되도록 한 후, 각각에 몰딩부재인 케이블몰드(176) 및 신호부몰드(177)에 의하여 몰딩처리되어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살펴보면, 앞서 식립 또는 치료용 임플란트 등, 임플란트용 픽스쳐(30)는 환자상태, 임플란트의 종류, 골조직의 상태 등 시술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 및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는 반면,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는 단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10) 또한 단일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픽스쳐고정부재(15)에 있어서 상부면(151)의 크기만 일치시키고, 각 임플란트용 픽스쳐(30)에 결합되는 하측의 나사부분만 각 임플란트용 픽스쳐(30)의 크기에 알맞도록 하여 다수 구비하게 되면, 다양한 종류의 임플란트용 픽스쳐(30)에 대하여 본 발명의 트랜스듀서 유니트(A)가 적용되어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A)의 트랜스듀서(10), 고정결합부재(16) 등은 동일한 것을 이용하도록 하고, 단지 해당 임플란트 픽스쳐(30)에 결합하기에 알맞은 픽스쳐고정부재(15) 만 달리하여 결합하게 되면 용이하게 고정도 측정시험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특히 트랜스듀서(10)가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미도시됨)와 케이 블(21)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몰딩성형하기 때문에 매번 트랜스듀서(10)를 바꾸어 가면서 측정시험을 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 유니트(A)를 이용하여 고정도 측정시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지 픽스쳐고정부재(15)만 임플란트용 픽스쳐(30)에 맞는 종류만 선택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고정도 측정시험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진동을 발생시키고, 응답되는 진동을 다시 수신받아 시험하기 때문에 골조직(31), 임플란트용 픽스쳐(30), 픽스쳐고정부재(15) 및 트랜스듀서(10) 등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픽스쳐고정부재(15)와 트랜스듀서(10)의 결합은 고정관통공(13)의 고정삽입공(131)과 결합공(132)은 그 크기가 다르게 형성함에 따라 결합단턱(133)을 사이에 두고 고정결합부재(16)와 픽스쳐고정부재(15)의 결합으로 트랜스듀서(10)와 픽스쳐고정부재(15)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픽스쳐고정부재(15)는 해당 임프란트용 픽스쳐(30)에 알맞은 것을 선택하여 결합하기 때문에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고, 특히 픽스쳐고정부재(15)의 상부면(151)에는 기구결합홈(152)이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기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 유니트(A)에 의하면, 임플란트용 픽스쳐(30) - 픽스쳐고정부재(15) - 트랜스듀서(10) 등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도 측정시험을 하기 때문에, 임플란트용 픽스쳐(30)와 골조직(31)과의 고정도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 유니트가 설치되는 실시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 유니트의 설치상태에 대한 분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에 대한 저면도.
도 5는 도 3의 B-B' 선분에 대한 절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 선분에 대한 절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의 측면에서의 배선연결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에 대한 배면 사시도.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측정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트랜스듀서 유니트
10 : 트랜스듀서 11 : 수직부
12 : 수평부 13 : 픽스쳐결합공
14 : 신호부재 15 : 픽스쳐고정부재
16 : 고정결합부재 17 : 케이블삽입공
21 : 케이블 30 : 임플란트용 픽스쳐
141 : 빌신신호부재 142 : 수신신호부재

Claims (4)

  1.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와 연결되어 고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트랜스듀서(10)가 구비되는 트랜스듀서 유니트(A)에 있어서,
    임플란트 픽스쳐(30)에 고정되는 픽스쳐고정부재(15)가 구비되고,
    상기 픽스쳐고정부재(15)에 상기 트랜스듀서(10)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결합부재(16)가 구비되며,
    상기 트랜스듀서(10)는 수직부(11)와 수평부(12)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수직부(11)의 전·후면에는 신호발신·신호수신을 위한 신호부재(14)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12)에는 임플란트용 픽스쳐(3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관통공(13)이 상하관통되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고정관통공(13)의 하측은 상기 픽스쳐고정부재(15)가 삽입되는 고정삽입공(131)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통공(13)의 상측은 상기 픽스쳐고정부재(15)의 상부와 결합되는 고정결합부재(16)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공(132)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삽입공(131)보다 상기 결합공(132)이 작은 지름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픽스쳐고정부재(15)와 상기 고정결합부재(16)의 결합으로 상기 트랜스듀서(10)가 임플란트용 픽스쳐(30)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12)에는 전면으로 "T"자 형상의 케이블삽입공(17)이 형성되어, 케이블(21)의 발신케이블(211)과 수신케이블(212)이 각각 케이블삽입공(17)의 인입공(171)으로 인입되어 발신공(172)과 수신공(173)으로 분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12)의 양측면으로는 상기 발신케이블(211)과 상기 수신케이블(212)이 위치되는 발신장홈(174)과 수신장홈(175)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11)의 전면 및 후면으로는 신호부재(14)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신호부재(14)는 발신신호부재(141)와 수신신호부재(142)로 구비되며,
    상기 수직부(11)의 일측으로는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관통되기 위한 케이블통공(111)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
  4.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와 연결되어 고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트랜스듀서(10)에 있어서,
    전·후면으로 신호발신용·신호수신용 신호부재(14)가 구비되는 수직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부(11)의 하측으로 수평부(1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2)는 일측으로 상하관통되는 고정관통공(1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통공(13)은 하측의 고정삽입공(131)보다 상측의 결합공(132)이 작은 지름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삽입공(131)에는 픽스쳐고정부재(15)가 삽입되고, 상기 결합공(132)에는 고정결합부재(16)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평부(12) 전면에는 케이블(21)이 삽입되는 "T"자 형상의 케이블삽입공(17)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KR1020080047892A 2008-05-23 2008-05-23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 및트랜스듀서 KR100956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892A KR100956401B1 (ko) 2008-05-23 2008-05-23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 및트랜스듀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892A KR100956401B1 (ko) 2008-05-23 2008-05-23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 및트랜스듀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808A KR20090121808A (ko) 2009-11-26
KR100956401B1 true KR100956401B1 (ko) 2010-05-06

Family

ID=4160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892A KR100956401B1 (ko) 2008-05-23 2008-05-23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 및트랜스듀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586B1 (ko) * 2015-02-12 2016-07-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열 교정용 스크류 어댑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672B1 (ko) * 2010-05-25 2013-01-28 한국세라믹기술원 Rfa를 이용한 골융합 측정 장치
KR101229970B1 (ko) * 2010-05-25 2013-02-05 한국세라믹기술원 Rfa를 이용한 골융합 측정 장치
SE1001237A1 (sv) * 2010-12-29 2012-06-30 Ostell Ab Anordning för kvalitetes provning av ett dentalt fäste
CN103499644B (zh) * 2013-09-03 2016-04-13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评估牙种植体稳定性的扭转振动共振频率测量法及变幅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779A (en) 1991-04-11 1995-02-28 Imperial College Of Science, Technology & Medicine Testing implants
US6358051B2 (en) 1999-12-07 2002-03-19 Brien R. La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reload for screws for dental implant systems
KR100357783B1 (ko) 2000-07-14 2002-10-25 조인호 임플랜트의 안정성 측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779A (en) 1991-04-11 1995-02-28 Imperial College Of Science, Technology & Medicine Testing implants
US6358051B2 (en) 1999-12-07 2002-03-19 Brien R. La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reload for screws for dental implant systems
KR100357783B1 (ko) 2000-07-14 2002-10-25 조인호 임플랜트의 안정성 측정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586B1 (ko) * 2015-02-12 2016-07-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열 교정용 스크류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808A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401B1 (ko) 임플란트고정도 측정장치용 트랜스듀서 유니트 및트랜스듀서
FI108211B (fi) Istutteiden testaus
ES2740809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determinar las características estructurales de un objeto
US116041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JP2008073520A (ja) ステントを疲労試験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327864B1 (ko) 객체의 구조적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1569005A3 (en) Calibr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0582230B (zh) 测量和评估医疗植入物的稳定性的方法和系统
ES2392534T3 (es) Procedimiento y disposición destinados a examinar implantes
KR101229970B1 (ko) Rfa를 이용한 골융합 측정 장치
EP3990886A1 (en) Determination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KR20130132949A (ko) 치아 부착 품질 시험 장치
JP2018187052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体の結合度の指標を得るためのテストポ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システム
KR101222672B1 (ko) Rfa를 이용한 골융합 측정 장치
CN216770964U (zh) 一种牙科种植体牢度测试仪精度校验组件
CN217084127U (zh) 一种牙科种植体牢度测试仪精度校验装置
CN208333298U (zh) 防小动物设施检测组件及检测工具
CN210843153U (zh) 超声体模装置
KR101207750B1 (ko) 생체분해성 마그네슘합금의 부식평가킷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해성 마그네슘합금의 부식평가방법
Kim et al. Development of a dental implant mobility measurement system using an inductive sensor
KR101272253B1 (ko) 임플란트 동요도 계측 장치 및 그 방법
RU2373897C1 (ru) Способ регистрации жесткости закрепления дентальных имплантатов
WO2022167012A1 (en) Measuring probe for non-destructive diagnosis of steels
RU2171097C1 (ru) Конро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рибор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одвижности зуба
Häggström Vibrations during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of dental implant st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