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532B1 - 간극 수압과 층별 침하의 측정 오차 방지를 위한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 - Google Patents

간극 수압과 층별 침하의 측정 오차 방지를 위한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532B1
KR100955532B1 KR1020090118661A KR20090118661A KR100955532B1 KR 100955532 B1 KR100955532 B1 KR 100955532B1 KR 1020090118661 A KR1020090118661 A KR 1020090118661A KR 20090118661 A KR20090118661 A KR 20090118661A KR 100955532 B1 KR100955532 B1 KR 100955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water pressure
settlement
pore water
ou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길훈
Original Assignee
청한지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한지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한지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8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극 수압과 층별 침하의 측정 오차 방지를 위한 일체식 간극 수압-침하 측정계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하나의 기기에서 간극 수압과 층별 침하의 측정이 가능하여 측정 오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에 관한 것이다. 측정계는 다수 개의 관통 공이 형성된 외부 튜브; 외부 튜브의 내부에 형성되고 아래쪽으로부터 차례대로 모래 층, 차수 층 및 채움 층이 형성될 수 있으면서 다수 개의 이동 공이 형성된 내부 튜브; 내부 튜브의 중앙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모래 층까지 연장되는 케이블의 끝에 부착된 피에조미터(piezometer); 내부 튜브의 아래쪽 끝에 결합되는 캡; 및 외부 튜브와 내부 튜브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봉을 포함한다.
간극 수압, 과잉 간극 수압, 내부 튜브, 차수 층, 채움 층, 피에조미터

Description

간극 수압과 층별 침하의 측정 오차 방지를 위한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Integrated Gauge for Measuring Pore Water Pressure and Extenso meter without Measurement Error}
본 발명은 간극 수압과 층별 침하의 측정 오차 방지를 위한 일체식 간극 수압-침하 측정계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하나의 기기에서 간극 수압과 층별 침하의 측정이 가능하여 측정 오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에 관한 것이다.
공극 수압 또는 간극 수압은 점성토(연약지반)층 내부 간극(공극)수에 의해 작용하는 압력을 말한다. 단계별 성토진행시 연약지반에 간극수압은 비배수상태(조건)로 "정수압+과잉간극수압"이 된다. 점차 시간 경과와 함께 과잉간극수압이 소산 되면서 연약지반의 강도 증가 효과가 발생되고 간극수압은 정수압상태가 괴어진다. 과잉간극수압이 소산되어 정수압 상태를 나타내면 압밀(consolidation)이 종료되었다고 본다.
연약지반에 간극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기기로 간극수압계가 사용되고, 지중에 침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기로 층별 침하계가 사용된다. 정수압과 과잉 수 압 사이의 관계 및 간극 수압계와 층별 침하계의 사용에 대한 실시 예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공극수로 포화된 점토 지반(G)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때의 공극 수압은 정수압(PI)이 된다. 만약 점토 지반(G)에 일정 크기의 하중(△P)이 작용하면 과잉 간극 수압(PA)이 발생하게 된다. 일정한 시간(T)이 경과하면 하중(△P)에 의하여 발생된 과잉간극수압은 소산(배수)된다. 이때 임의의 심도 Z에서 압밀도(UZ)는 아래와 같이 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UZ = 1 - UT/UI, UT는 임의 시간에 잔류 과잉 간극 수압 그리고 UI는 초기 과잉 간극 수압을 나타낸다.
시간 경과에 따른 특정 지점에서 압밀도(UZ)가 측정되면 점토층 전체 두께에 대한 평균 압밀도(UA)는 다음과 같다.
UA = ∑UZ/n (n은 측정지점수)
평균 압밀도(UA)는 아래와 같이 침하량으로부터도 계산될 수 있다.
UA = ST/SF×100 %, ST는 시간 경과(T) 후의 침하량을 나타내고 SF는 초기 침하량을 나타낸다.
공극 수압 또는 간극 수압은 정수압과 과잉 간극 수압의 합이 되고 정수압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표시된다.
정수압 =
Figure 112009074538257-pat00001
, γw는 물의 단위 중량을 나타내고 그리고 HW는 정수 위 수두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압밀도(UZ)는 간극 수압계에 의하여 측정되며, 평균 압밀도(UA)는 대표 단면에서 측정된 간극수압계 값을 평균화하여 파악되거나 지표면 침하계에 의하여 평가한다. 압밀도 측정을 위하여 연약지반 내부에 설치된 간극 수압계와 층별 침하계의 설치도 예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점토 지반(G)에 성토 하중(△P)이 재하 되었을 때 압밀도 측정을 위한 간극 수압계(31a, 31b, 31c)와 침하 측정을 위한 층별 침하계(32)가 각각 점토 지반(G)에 설치될 수 있다. 점토 지반(G) 전체의 침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지표면 침하판(33)이 설치될 수 있고 하중(△P)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성토체 외측에 수위계(34)가 설치될 수 있다. 간극 수압계(31a, 31b, 31c)는 측정되어야 하는 깊이에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층별 침하계(32)는 각각의 간극 수압계(31a, 31b, 31c)에 대응되는 깊이에서 침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간극 수압계(31a, 31b, 31c)에 의하여 설치 심도에서 간극 수압이 측정되어 압밀도(UZ)가 관리되고 층별 침하계(32)에 의하여 간극 수압계(31a, 31b, 31c)의 침하가 보정되며 수위계(34)에 의하여 정수위가 측정되어져 하중(△P)이 재하된 점토 지반(G)의 압밀 진행 정도가 정확히 평가된다. 이와 같은 공지의 압밀도(UZ) 관리방법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먼저 간극 수압계(31a, 31b, 31c)와 층별 침하계(32)가 별도의 천공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동일 심도에 설치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다른 문제로 층 별 침하계(32)의 설치 과정에서 침하 측정 봉(tube)과 침하 소자(Spider Magnet) 사이에 유격이 유지되어야 침하가 발생한다. 그러나 천공경 그라우팅 입자에 의해 유격(간격)이 함께 그라우팅이 되어 대부분의 층별 침하계(32) 값은 초기치 이후 큰 변화가 없게 되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층별 침하계 형상(type) 또는 주름관(Coal Gate) 형상이 이용되지만 설치의 어려움 등으로 이용 사례가 드물다. 마지막으로 정확한 압밀도의 측정을 위하여 간극 수압계의 침하 값이 반드시 보정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공지된 간극 수압계(31a, 31b, 31c)와 층별 침하계(32)가 가진 이러한 문제점은 각각의 기기가 별도의 천공으로 설치되는 것에 기인하다. 그러므로 간극 수압계(31a, 31b, 31c)와 층별 침하계(32)가 동일 심도에 설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동일한 천공 장소에 설치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천공 장소에 설치되어 간극 수압과 층별 침하의 측정 오차가 방지될 수 있는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는 다수 개의 관통 공이 형성된 외부 튜브; 외부 튜브의 내부에 형성되고 아래쪽으로부터 차례대로 모래 층, 차수 층 및 채움 층이 형성될 수 있으면서 다수 개의 이동 공이 형성된 내부 튜브; 내부 튜브의 중앙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모래 층까지 연장되는 케이블의 끝에 부착된 피에조미터(piezometer); 내부 튜브의 아래쪽 끝에 결합되는 캡; 및 외부 튜브와 내부 튜브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캡의 바닥면은 내부 튜브의 직경보다 큰 원판 형상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이드 봉은 캡 바닥면의 내부 튜브의 직경보다 큰 부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 튜브가 외부 튜브에 비해 위쪽으로 더 돌출되어 노출된 부분에 설치된 침하 측정 지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는 간극 수압과 층별 침하가 동일한 심도에서 이루어지므로 압밀도 파악을 위하여 간극 수압 측정 위치에 대한 보정이 별도로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에 의하여 정확한 간극 수압계의 침하 획득이 가능하고 지표 침하판의 원리를 층별 침하계에 적용하는 한편 층별 침하계와 간극 수압계의 통합 시스템을 구축 및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정확한 침하 계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10)의 단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그리고 도 1b의 (가), (나) 및 (다)는 도 1a의 A, B 및 C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측정계(10)는 다수 개의 관통 공(111)이 형성된 외부 튜브(11); 외부 튜브(11)의 내부에 형성되고 아래쪽으로부터 차례대로 모래, 벤토나이트 및 토사가 채워질 수 있으면서 다수 개의 이동 공(121)이 형성된 내부 튜브(12); 내부 튜브(12)의 중앙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모래가 채워지는 부분까지 연장되는 케이블(14)의 끝에 부착된 피에조미터(piezometer)(13); 내부 튜브(12)의 아래쪽 끝에 결합되는 캡(15); 및 외부 튜브(11)와 내부 튜브(12)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 봉(16)을 포함한다.
외부 튜브(11)는 설치를 위하여 점토층에 천공되는 홀(H)에 삽입될 수 있는 원형의 단면적을 가지는 원통형 튜브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특별한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설명을 하는 것처럼 외부 튜브(11)는 하중 층과 점토 지반의 높이에 비하여 길게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외부 튜브(11) 아래쪽 부분에 다수 개의 관통 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 공(11)은 외부의 공극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튜브(11)의 둘레 면을 따라 분포할 수 있지만 특별한 형태 또는 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내부 튜브(12)는 외부 튜브(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외부 튜브(11)의 내부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외부 튜브(11)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진다. 외부 튜브(11)와 내부 튜브(12)의 직경 차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두 개의 튜브(11, 12) 사이에 적절한 크기의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반에 천공되는 홀(H)의 직경이 101.6㎜인 경우, 외부 튜브(11)의 직경은 89 ㎜ 그리고 내부 튜브(11)의 직경은 80 ㎜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내부 튜브(12)의 아래쪽은 외부 튜브(11)에 비하여 길게 연장되는 한편 내부 튜브(12)의 위쪽 부분도 외부 튜브(11)에 비하여 위쪽으로 더 연장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내부 튜브(12)의 위쪽 부분에 적절한 기준 위치로 침하 측정 지표(I)가 설치되고 일정 높이에 고정된 수준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침하 측정 지표(I)의 상대적인 높이 차가 측정되어 하중이 가해진 지반의 침하 정도가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침하 측정 지표(I)는 외부 튜브(11)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 내부 튜브(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외부 튜브(11)의 침하는 지반 침하량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지만 내부 튜브(12)는 지반과 동일한 양으로 침하하는 것에 기인한다. 내부 튜브(12)의 아래쪽 부분에 다수 개의 이동 공(121)이 형성될 수 있고 이동 공(121)의 기능, 형태 또는 수는 외부 튜브(11)의 관통 공(111)에 대한 것과 유사하다.
측정계(10)가 천공 홀(H)에 설치되면, 내부 튜브(11)의 내부에 아래쪽으로부터 차례대로 모래, 실링 팰럿(sealing pellets) 및 토사가 채워져 모래 층, 차수 층 및 채움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관통 공(111) 또는 이동 공(121)은 모래가 채워지는 모래 층에 형성될 수 있다.
피에조미터(13)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기기로 정해진 위치에서 간극 수압 또는 공극 수압을 측정할 수 있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기기가 될 수 있다. 피에조미터(13)는 내부 튜브(12)에 내부에서 간극 수압 또는 공극 수압이 측정되어야 할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피에조미터(13)는 케이블(14)에 의하여 내부 튜브(12) 내부의 모래가 채워지는 모래층에 위치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외부 튜브(11)의 아래쪽 끝은 내부 튜브(12)에 비하여 위쪽에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외부 튜브(11)의 연장 길이는 내부 튜브(12)의 연장 길이에 비하여 짧다. 외부 튜브(11)가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위치는 내부 튜브(12)에서 모래가 채워지는 부분의 중간 위치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피에조미터(13)의 아래쪽 끝이 될 수 있다. 관통 공(111)과 이동 공(121)은 각각 내부 튜브(12)에서 모래가 채워지는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외부 튜브(11) 및 내부 튜브(12)의 표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추가로 내부 튜브(21)는 모래 가 채워지는 아래쪽 부분 전체에 이동 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캡(15)은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내부 튜브(1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부 튜브(12)가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 튜브(12)의 아래쪽 끝 부분이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형태가 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캡(15)이 내부 튜브(12)에 끼워질 수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캡(15)은 내부 튜브(12)의 아래쪽 끝 부분을 외부에 대하여 밀폐시키는 임의의 형상이 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캡(15)의 바닥 면은 적어도 외부 튜브(11)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가진 원판 형상이 될 수 있다. 캡(15)은 전체적으로 위쪽이 개방된 중공 형상의 원통 형상이 되고 바닥면은 몸체에 비하여 직경이 큰 원판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닥 면의 형상은 측정계(10)가 천공이 된 홀(H)의 내부에서 지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측정계(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침하가 발생하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캡(15)의 바닥 면은 외부 튜브(11)의 직경에 비하여 크면서 천공된 홀(H)의 직경과 유사한 직경을 가지므로 이로 인하여 측정계(10)는 천공 홀(H)에 끼워진 형태로 지반의 침하와 동일 정도로 아래쪽으로 하강하게 된다.
다수 개의 가이드 봉(16)은 지반의 침하에 따른 측정계(10)의 하강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캡(15)의 바닥 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 개의 가이드 봉(16)은 내부 튜브(12)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가진 바닥 면에서 내부 튜브(12)의 바깥쪽 부분에 해당하는 바닥 면 부분으로부터 피에조미터(13)의 중간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은 원의 둘레를 따라 균일한 간격을 가 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가이드 봉(16)이 각각 90도의 간격을 가지도록 바닥 면의 바깥쪽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봉(16)의 연장 정도 또는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외부 튜브(11)는 피에조미터(13)의 중간까지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가이드 봉(16)은 캡(15)의 바닥 면으로부터 외부 튜브(11)의 아래쪽 끝 부분까지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인하여 외부 튜브(11)와 가이드 봉(16)은 전체적으로 연결된 형태가 되거나 끝 부분이 일부 겹쳐진 형태가 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측정계(10)는 하나의 측정계(10)에 의하여 간극 수압과 침하 수준이 측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계(10a, 10b, 10c)가 지반에 설치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측정계(10a, 10b, 10c)의 설치를 위하여 측정이 요구되는 지반(G)에 측정되어야 할 심도를 고려하여 먼저 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각각의 천공 위치에 측정계(10a, 10b, 10c)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심도에 설치되는 각각의 측정계(10a, 10b, 10c)는 심도에 따라 예를 들어 하중(△P)이 작용하는 점토 지반(G)에 형상에 따라 서로 일정한 거리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하중(△P)에 따른 점토 지반(G) 전체의 침하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침하판(21)이 설치될 수 있고 하중(△P)이 작용하지 않는 점토 지반(G)에 수위계(22)가 설치될 수 있다. 수위계(22)는 하중(△P)이 작용하는 점토 지반(G)의 높이 변화에 대한 기준 좌표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측정계(10a, 10b, 10c)는 적어도 지지 층(B)의 위쪽에 설치되면서 아래쪽 끝이 위치하는 높이가 일정한 차이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고 측정이 요구되는 지반(G)의 면적에 따라 설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내부 튜브(12)는 외부 튜브(11)에 비하여 위쪽으로 돌출되고 그리고 침하 측정 지표(Ia, Ib, Ic)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간극 수압이 측정되어야 위치에 내부 튜브(12)의 내부를 통하여 피에조미터(13)가 설치될 수 있다. 피에조미터(13)는 케이블(14)에 의하여 일정 높이에 유지될 수 있고 케이블(14)은 예를 들어 전자 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전선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외부 튜브(11), 아래쪽이 캡(15)에 의하여 밀봉된 내부 튜브(12) 및 케이블(14)에 의하여 일정한 높이에 유지되는 피에조미터(13)가 천공에 설치되면 내부 튜브(12)의 내부에 필요한 재질이 채워진다. 먼저 내부 튜브(12)의 가장 아래쪽 부분에 모래(sand)가 피에조미터(13)의 위쪽 부분까지 채워져 모래 층(L1)을 형성한다. 그리고 외부와 아래쪽으로부터 수분이 이동 공(121)이 형성되지 않는 내부 튜브(12)의 부분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수 소재가 모래 층(L1)의 위쪽 부분에 채워진다. 차수 소재는 예를 들어 벤토나이트 펠럿(bentonite pellets)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차수 소재로 형성된 차수 층(L2)은 모래 층(L1)에 비하여 충분히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차수 층(L2)의 위쪽으로 채움 층(L3)이 형성될 수 있다. 채움 층(L)은 예를 들어 고운 토사 또는 모래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내부 튜브(12)의 위쪽 부분에 이르도록 만들어질 수 있지만 층의 두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내부 튜브(12)에 모래 층(L1), 차수 층(L2) 및 채움 층(L3)이 형성되면 각각의 측정계(10a, 10b, 10c)로부터 간극 수압 및 침하 수준이 측정될 수 있다. 각각의 측정계(10a, 10b, 10c)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데이터 처리 장치(24)로 전송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측정계(10a, 10b, 10c)에 탐지기(indicate)(23)가 설치될 수 있다. 탐지기(23)는 피에조미터(13)로부터 얻어진 간극 수압과 침하 정도를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데이터 처리 장치(24)로 전송하고 그리고 데이터 처리 장치(24)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를 처리 및 저장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침하 정도는 내부 튜브(12)가 하중(△P)의 표면 위로 노출된 부분에 형성된 첨하 측정 지표(Ia, Ib, Ic)와 수위계(22)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대적인 높이 차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대적인 높이의 측정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침하 측정 지표(Ia, Ib, Ic)는 외부 튜브(11) 또는 내부 튜브(12)에 설치된 별도의 기준 기기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은 침하 측정 지표(Ia, Ib, Ic)의 형성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는 간극 수압과 침하 정도가 하나의 기기에서 측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각각의 설치 심도에서 침하 정도에 따른 간극 수압이 정확하게 측정이 되므로 별도의 보정이 필요가 없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하나의 기기에서 2개의 계측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계측 통합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형태를 만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에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10)의 단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그리고 도 1b의 (가), (나) 및 (다)는 도 1a의 A, B 및 C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계(10a, 10b, 10c)가 지반에 설치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3b는 과잉 간극 수압의 발생 원리 및 공지의 간극수압계 및 층별 침하 측정계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4)

  1. 다수 개의 관통 공이 형성된 외부 튜브;
    외부 튜브의 내부에 형성되고 아래쪽으로부터 차례대로 모래 층, 차수 층 및 채움 층이 형성될 수 있으면서 다수 개의 이동 공이 형성된 내부 튜브;
    내부 튜브의 중앙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모래 층까지 연장되는 케이블의 끝에 부착된 피에조미터(piezometer);
    내부 튜브의 아래쪽 끝에 결합되는 캡; 및
    외부 튜브와 내부 튜브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봉을 포함하는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캡의 바닥면은 내부 튜브의 직경보다 큰 원판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
  3. 청구항 2에 있어서, 가이드 봉은 캡 바닥면의 내부 튜브의 직경보다 큰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
  4.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 튜브가 외부 튜브에 비해 위쪽으로 더 돌출되어 노출된 부분에 설치된 침하 측정 지표를 더 포함하는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
KR1020090118661A 2009-12-02 2009-12-02 간극 수압과 층별 침하의 측정 오차 방지를 위한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 KR100955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661A KR100955532B1 (ko) 2009-12-02 2009-12-02 간극 수압과 층별 침하의 측정 오차 방지를 위한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661A KR100955532B1 (ko) 2009-12-02 2009-12-02 간극 수압과 층별 침하의 측정 오차 방지를 위한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532B1 true KR100955532B1 (ko) 2010-04-30

Family

ID=4222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661A KR100955532B1 (ko) 2009-12-02 2009-12-02 간극 수압과 층별 침하의 측정 오차 방지를 위한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5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78282A (zh) * 2013-05-13 2013-09-04 上海天沐自动化仪表有限公司 一种测量道岔转辙机内油位高度的压力传感器及其制造方法
WO2017088649A1 (zh) * 2015-11-26 2017-06-01 李荣亮 一种测量标定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0578A (en) 1978-06-28 1979-04-24 Swartz Robert B Apparatus for measuring excess pore water pressure
EP0489656A1 (fr) 1990-12-06 1992-06-10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mesure de la charge hydraulique et de la concentration ionique du sol
US6208940B1 (en) 1998-03-30 2001-03-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one tipped cylindrical probe for use in groundwater testing
KR20090003104U (ko) * 2007-09-28 2009-04-01 (주)한국건설품질시험원 지중매설용 간극수압계의 보호관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0578A (en) 1978-06-28 1979-04-24 Swartz Robert B Apparatus for measuring excess pore water pressure
EP0489656A1 (fr) 1990-12-06 1992-06-10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mesure de la charge hydraulique et de la concentration ionique du sol
US6208940B1 (en) 1998-03-30 2001-03-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one tipped cylindrical probe for use in groundwater testing
KR20090003104U (ko) * 2007-09-28 2009-04-01 (주)한국건설품질시험원 지중매설용 간극수압계의 보호관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78282A (zh) * 2013-05-13 2013-09-04 上海天沐自动化仪表有限公司 一种测量道岔转辙机内油位高度的压力传感器及其制造方法
WO2017088649A1 (zh) * 2015-11-26 2017-06-01 李荣亮 一种测量标定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81507U (zh) 一种新型平面应变固结试验装置
CN103233486B (zh) 锚拉式挡土墙模型试验装置及试验方法
KR100986703B1 (ko) 지반 침하 측정 시스템
CN104329076B (zh) 一种测斜孔渗压计装置及安装方法
KR200416324Y1 (ko) 연약지반의 지하수위 및 침하 계측 구조
CN105525634B (zh) 抗滑桩监测系统与监测方法、抗滑桩施工方法
CN102269578A (zh) 空间结构竖向变形测量装置
CN104988884B (zh) 一种用于面板堆石坝的脱空变形监测装置的安装方法
CN105780827B (zh) 深厚软弱地基闸底板脱空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109989433A (zh) 一种实时检测钻孔灌注桩超灌高度的装置及其检测方法
CN111287228A (zh) 用于单桩竖向抗压静载荷及桩负摩阻力检测的自平衡方法
CN113338358A (zh) 一种欠固结土中测量桩基负摩阻力模型装置及制备方法和试验方法
KR100955532B1 (ko) 간극 수압과 층별 침하의 측정 오차 방지를 위한 일체식 간극 수압 및 층별 침하 측정계
KR101710499B1 (ko) 연약지반의 침하량 자동계측장치
KR101769352B1 (ko) 충진식 싱크홀 측정방법
CN108086283B (zh) 拉线式沉降观测系统
KR101917881B1 (ko) 지진 및 지반침하 측정방법
KR102219264B1 (ko) 지진에 의한 지반침하 측정방법
KR20040108384A (ko) 다기능 지반침하 계측장치
KR102570024B1 (ko) 로드셀 기반의 관입력 측정시스템이 구비된 드레인재 타설장치
CN110308082B (zh) 一种室内基坑降水试验方法
CN112197806B (zh) 采煤沉陷区移动变形、水文及应力监测设备装设方法
CN201803708U (zh) 空间结构竖向变形测量装置
CN210604213U (zh) 一种铁路填石路堤抗剪试验装置
CN106908032A (zh) 一种水泥土搅拌复合地基工后沉降预测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