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320B1 - Articulator - Google Patents

Articu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320B1
KR100955320B1 KR1020080023116A KR20080023116A KR100955320B1 KR 100955320 B1 KR100955320 B1 KR 100955320B1 KR 1020080023116 A KR1020080023116 A KR 1020080023116A KR 20080023116 A KR20080023116 A KR 20080023116A KR 100955320 B1 KR100955320 B1 KR 100955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articulator
support plate
detach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1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97997A (en
Inventor
변태희
박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승
변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승, 변태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승
Priority to KR1020080023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320B1/en
Publication of KR20090097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9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3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61C11/027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with a hinge made of resili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바디부와 지지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판을 바디부에서 분리와 결합을 하는 데에 따른 오차를 줄이고, 베이스부재를 지지판에 부착함에 있어서, 상하좌우의 흔들림이 없도록 고정하여 치아모형이 최적으로 교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이스부재를 지지판에서 간단히 분리할 수 있고, 축봉과 일체로 형성된 상부부착판을 포함하는 상부부재를 형성하여 축봉을 힌지체결홈에 간단하게 탈부착하여 과두조절부에 의하여 턱관절운동을 조절할 수 있어 작업에 효율성과 편리성, 작업시간의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ulator, and in detail, the body portion and the support plate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reduce the error caused by separating and coupling the support plate from the body part, and in attaching the base member to the support plate, shaking up, down, left and right. Not only can the tooth model be optimally occluded by fixing it, but also the base memb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pport plate, and the upper member including the upper attachment plat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aft can be formed to easily connect the shaft to the hinge fastening groove. Detachable to control the jaw joint movement by the condyle control unit relates to the articulator to enable efficiency and convenience in work, and to shorten the working time.

교합기, 지지판, 베이스부재, 축봉, 과두조절부, Articulator, support plate, base member, shaft, condyle control unit,

Description

교합기{Articulator}Articulator

본 발명은 교합기 및 베이스부재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바디부와 지지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판을 바디부에서 분리와 결합을 하는 데에 따른 오차를 줄이고, 베이스부재를 지지판에 부착함에 있어서, 상하좌우의 흔들림이 없도록 고정하여 치아모형이 최적으로 교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이스부재를 지지판에서 간단히 분리할 수 있고, 축봉과 일체로 형성된 상부부착판을 포함하는 상부부재를 형성하여 축봉을 힌지체결홈에 간단하게 탈부착하여 과두조절부에 의하여 턱관절운동을 조절할 수 있어 작업에 효율성과 편리성, 작업시간의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교합기 및 베이스부재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ulator and a base member unit, and in detail, the body portion and the support plate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reduce an error caused by separating and coupling the support plate from the body part, and in attaching the base member to the support plate, The tooth model can be optimally occluded by fixing it so as not to shake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e base memb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pport plate, and hinged shaft is formed by forming an upper member including an upper attachment plat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aft. The articulator and the base member unit which can easily adjust the jaw joint movement by the condensation control unit by simpl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groove to shorten the work efficiency and convenience, work time.

일반적으로 치과용 교합기는 구강 내 존재하는 치아에 인상재를 사용하여 치아 및 주변 부위를 채득한 후 얻어진 치아모형을 진단 및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서 부착할 때 사용한다.In general, a dental articulator is used to attach the dental model obtained after the tooth and the surrounding area using the impression material to the existing tooth in the oral cavity for diagnosis and to produce a prosthesis.

치아는 일반적으로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의 운동으로 상하 치아가 교합되면서 음식물을 씹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원호형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치아에 손상을 입은 경우 이러한 교합에 문제가 생기면서 치아 의 기능 장애를 불러온다. 이러한 경우 손상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하여 보철물을 기존 치아에 삽입하게 된다. 상기 보철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교합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교합기가 사용되는 데, 교합기는 시술 대상자의 치아 모형을 장착하고 인위적으로 턱관절 운동을 시뮬레이션하여 실제 보철물 삽입시 기존 치아와 융화되도록 보철물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여러가지 형태의 교합기가 사용되고 있다.. The teeth are generally elliptical arc-shaped structures that allow the upper and lower teeth to bite and chew food by the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However, if the teeth are damaged, this occlusion problem occurs, leading to tooth dysfunction. In this case, the prosthesis is inserted into the existing tooth to repair the damaged tooth.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osthesis, an articulator is used to check the occlusal state. The articulator is equipped with a dental model of the subject and artificially simulates the jaw joint movement to process the prosthesis to be compatible with existing teeth when the actual prosthesis is inserted. Various types of articulators are used as a device for this purpose.

치아의 교합상태 체크는 실제로 음식물을 씹었을 때 상하 치아가 닫는 부분이 서로 맞아들어 가도록 보철물을 가공하는 작업으로서 실제 턱관절 운동인 상악과 하악의 상하운동, 좌우운동 및 전후방 운동을 시뮬레이션하여 최적의 교합상태를 만족시키도록 수행된다. The occlusal state check of teeth is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prosthesi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teeth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food is actually chewed. It simulates the upper and lower movements of the upper and lower jaw,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It is performed to satisfy the occlusal state.

종래의 교합기 중에 상악골과 하악골에 형성된 각각의 치아의 거리간격에 맞추어지고 개별 치아모형의 분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여러 개의 고정핀과 상악골과 하악골의 전부 또는 일부의 모양으로 만들어진 고정판을 포함하여 고정판이 베이스부재의 일면에 기본적으로 착탈이 가능하고 고정핀의 개개부분을 분할했을 때에도 분리와 고정이 제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 부재를 접착할 수 있는 교합기가 있다. Fixed plate including a plurality of fixing pins made to fit the distance between each tooth formed i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n the articulator and the shape of all or part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There is an articulator which is basically detachable to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can adhere the base member to allow separation and fixation to move freely in place even when the individual parts of the fixing pin are divided.

교합기에 부착된 베이스부재는 일반적으로 좌우상하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흔들림이 있으면 오차에 의해서 상하 모형의 교합이 원래의 상태가 아니어서 정확한 보철물을 제작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교합기는 베이스부재와 결합되는 지지판을 교합기의 바디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접착제로 석고를 주로 사용하거나, 핀이나 자석 또는 나사를 조여 이용하는 방법으로 형성되었다. The base member attached to the articulator should generally be free from side to side shaking. If there is shaking, the occlusion of the upper and lower models may not be in the original state due to the error, and thus an accurate prosthesis may not be manufactured. For this reason, a conventional articulator is formed by using gypsum as an adhesive or fastening pins, magnets, or screws to fix the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base member to the body portion of the articulator.

그러나, 석고를 이용한 고정방법은 석고의 수축과 팽창에 의한 오차와 접착력의 강약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고, 석고의 사용으로 인한 재료비의 상승과 사용 후에 슬러지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fixing method using the gypsum has a problem that the error due to the shrinkage and expansion of the gypsum and the strength of the adhesive strength, the sludge occurs after the increase in the material cost due to the use of the gypsum.

또한, 핀이나 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잦은 횟수의 탈부착에 의하여 체결부위가 헐거워져 위치변화가 발생하여 정밀한 보철물을 제작하는데 문제와,자석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힘의 강약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fastening the pins or screws by tightening or detaching them frequently causes loosening of the fastening parts, causing problems in the manufacture of precise prostheses. There is a problem that occurs.

한편, 교합기는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의 관절에서 일어나는 턱관절운동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턱관절운동은 상악골과 하악골의 관절에서 일어나는 좌우 측방운동과 전방 및 후방운동 등을 포함하는 운동으로 사용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rticulator should be able to control the jaw joint movement occurring in the joint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hereinafter, the jaw joint movement is a motion including the left and right lateral movement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occurring in the joints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use.

종래의 교합기는 턱관절운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탄성을 가진 스프링 또는 금속판 등을 교합기의 후방에 체결하여 이용하였으나, 체결부위가 조잡하여 내구성이 떨어지고, 스프링은 주로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녹이 슬어 턱관절운동을 조절할 수 없게 되거나, 스프링을 체결하기 위하여 조잡한 부재들을 결합하고 제조하여야 하므로 생산비용이 증가하며, 일정한 힘의 균형 조절이 되지 않으므로 교합기의 상하로 탈부착이 불편하고 악골관절의 과두기능을 일정하게 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articulator was used by fastening the spring or metal plate with elasticity to the rear of the articulator in order to adjust the jaw joint movement, but the fastening part is rough and durable, the spring is main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rust the jaw joint Since the movement cannot be controlled or the coarse members must be combined and manufactured to fasten the spring,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and since the constant force balance is not adjusted, detachment is inconvenient up and down the articulator and the condylar function of the jaw joint is constant. There is a problem with difficul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디부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판을 바디부에서 분리와 결합을 하는 데에 따른 오차가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석고, 접착제,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egrally form a support plate formed by extending for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separate and combine the support plate in the body portion Not only does not have an error, but does not use gypsum, adhesives, screws, etc. to provide an articulator to shorten the working time to facilitate the wor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지지판에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를 형성하여 좌우상하 흔들림이 없어 오차가 발생하지 않아 치아모형이 최적으로 교합되도록 제작할 수 있는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culator that can be manufactured to be optimally occluded by forming a base member so that the support plate can be easily detached and there is no error because there is no shaking left and right up and dow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힌지체결홈에 끼워져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축봉과 일체로 형성된 상부부착판을 포함하는 상부부재를 형성하여 축봉을 힌지체결홈에 빼거나 끼우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간편하고 쉽게 탈부착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과 편리성, 작업시간 단축으로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n upper member including an upper mounting plate integrally formed with an axis rod formed to be pivoted into the hinge fastening groove, so that the shaft can be easily and easily removed by inserting or inserting the shaft into the hinge fastening groove.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provide articulators that can reduce production costs due to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work and reduction of working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의 상부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과두조절부를 형성하여 턱관절에서 일어나는 턱관절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치아모형이 최적으로 교합되도록 하는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n olfactory control extending from the upper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to create an elasticity for adjusting the jaw joint movement occurs in the jaw joints articulator to optimally bite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두조절부를 U, V, N형상이 일부, 중첩 또는 단일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에 의하여 교합기의 전후방으로 유격이 일어나 축봉을 힌지체결홈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턱관절에서 일어나는 상하 접번 운동 및 좌우 측방운동과 전후방운동의 턱관절운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 V, N shape is formed in the form of a part, overlapping or single form of the olfactory control, so that the clear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articulator by elasticity can be easily detachable to the hinge fastening groove.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n articulator to adjust the jaw joint movement of the up and down movement and the left and right lateral movement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ccurring in the jaw joi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두조절부의 일단에서 상향 전방으로 구부러진 축봉지지부를 형성하여 상부부재가 교합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culator that prevents the upper member from escaping from the articulator by forming an axial rod support portion that is bent upward and forward at one end of the condylar control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부착판 또는 지지판의 일면에 이격되어 돌출되도록 접착돌출부를 포함하도록 형성하여 석고나 접착제 등의 접착부재가 용이하게 부착되어 치아모형이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culator is formed to include an adhesive protrusion so as to protrude spaced apart on one surface of the upper mounting plate or the support plate to easily attach the adhesive member, such as gypsum or adhesive, so that the dental model can be easily attached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돌출된 일면이 넓고 상부부착판과 일체로 형성된 면이 좁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일측이 함몰되도록 접착돌출부 또는 편측돌출부를 형성하여 치아모형이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one side is wider and the surfac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attachment plate is formed narrower articulator so that the tooth model can be easily attached by forming an adhesive projection or one side projection so that one side is recessed as a whole. To provid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합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Articulator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가 상호 회동하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는,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안착가능한 지지판을 가지며, 상기 지지판은 하부부재에 일 체로 성형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including an upper member and a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rotate to each other, the lower member has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base member is detachably mounted. The support plat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memb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안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을 가진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member has an upper mounting plate on which the base member is detachably se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가 상호 회동하는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안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을 가지며, 상기 하부부재는 대합치가 안착되는 상부부착판을 가진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including an upper member and a lower member,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s rotated with each other, the upper member is a base member detachable It has an upper mounting plate that is possibly seated, and the lower member has an upper mounting plate on which a antagonist is se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대합치가 안착되는 상부부착판을 가진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member has an upper mounting plate on which the antagonist is se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대를 가지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지지대의 일단의 상방에 홈이 형성된 힌지체결홈을 포함하도록 후방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힌지체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support formed to extend upward, the body portion, the groove is formed above one end of the support It further comprises a hinge fasten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backward to include a hinge fastening groov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양단이 상기 힌지체결홈에 끼워져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축봉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xial rod formed so that both ends are fitted into the hinge fastening groov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턱관절에서 일어나는 턱관절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디부의 상부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과두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the condyle formed extending forward from the upper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to generate elasticity for adjusting the jaw joint movement occurring in the jaw joi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과두조절부는, 상기 상부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단에서 상향 전방으로 구부러져 상기 축봉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축봉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ttle control portion, the axial bag formed so as to be able to support the axial rod bent upward from one end to prevent the upper member from being separated It further comprises a branch.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과두조절부는,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U, V, N 형상이 일부, 중첩되거나 단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lfactory control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U, V, N shape is formed in part, overlapping or a single shape to have elasticit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은,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에 각각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1돌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further includes a first protrusion formed so that the base member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은,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andle portion formed to extend to facilitate separation from the base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further includes a support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rear end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base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재를 안내하고 상기 베이스부재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 도록 양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이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the guide member further includes a guide portion formed to extend forward from both ends to guide the base member so as not to shake the base member from side to side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기 위하여 일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돌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member further comprises a second projection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one surface in order to be fixed to the support plate.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탄성이 발생할 수 있도록 이격하여 홀 및 홈이 형성되도록 천공되어 형성된 유격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learance hole formed to be punched to form a hole and a groove spaced apart so that elasticity can occu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은, 탄성이 발생하여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돌기부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의 후단이 각각 천공되어 형성된 제2탄성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is located below the second projection so that the elasticity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se memb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elastic hole formed by drilling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respectivel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은, 탄성이 발생하여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돌기부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의 전단이 각각 천공되어 형성된 제1탄성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the elastic member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rojec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se member The support plate or the front end of the upper mou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elastic hole formed by perfo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대합치가 안착되는 상부부착판은, 치아모형이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하여 저면에 이격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된 접착돌출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mounting plate on which the antagonist is seated is formed to include an adhesive protrusion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in order to easily attach the dental model.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대합치가 안착되는 상부부착판은, 치아의 편측 모형이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저면의 측부에 돌출되어 일측이 외향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된 편측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mounting plate on which the antagonist is seated is projected to the side of the bottom so that one side model of the tooth can be easily attached, and one side is outwar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one-sided projection formed to be curv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접착돌출부 또는 편측돌출부는, 접착부재가 잘 부착될 수 있도록 일측이 함몰되어 일면이 넓고 상기 대합치가 안착되는 상부부착판과 일체로 형성된 타면이 좁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protrusion or the one-sided protrusion, one side is recessed so that the adhesive member can be attached well, one side is wide and the upper mounting plate on which the antagonist is se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urface formed integrally with the narrowly form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은,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체결되도록 형성된 결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의 후단에서 기립되어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수직부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수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is formed such that the base member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respectively, and coupled to the base member. And a coupling part, wherein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vertical part standing up at a rear end of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so that the base member does not move backward, and one end of the vertical part so that the base member does not move up and dow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orizontal portion formed extending in the fro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수평부의 저면 일단에서 타단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4돌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base member to protrude from the other end of the bottom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so that the base member does not move from side to side with a fourth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지지판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5돌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base member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so that the base member is detachable to the support plate It further comprises a five-protrus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턱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further includes a support jaw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end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base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은, 상기 베이스부재를 안내하고 상기 베이스부재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측부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the side portion formed by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to guide the base member so that the base member does not move from side to side It further comprises a govern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측부고정부는, 내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3돌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ird projection formed to protrude inwar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은, 상기 베이스부재가 안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안치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ttled portion formed so that the base member is fix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 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은,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몸통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6돌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the base member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respectively, can be inserted into the base member. It further includes a body portion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one surface to extend forward, wherein the body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ixth projection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to be coupled to the base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은,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일측에 굴곡이 형성된 블럭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the base member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respectively, to be fitted to the base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ock portion which protrudes upward from one surface and extends forward, and one side is curv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은,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전단 또는 후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front or rear end so that the base member can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and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잠금돌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projection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portion to be fastened to the base member.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교합기는, 하부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에 탈부착가능하게 안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부재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재는 전단에 홈이 형성된 제1체결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culator has a base member which is formed to be detachably seated on a support plate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member, the base member is a groove in the front e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rmed first fastening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후단에 홈이 형성된 제2체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fastening portion having a groove formed at the rear en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교합기는, 하부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에 탈부착가능하게 안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부재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culator has a base member that is formed to be detachably seated on a support plat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member, the base member is the support plate 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portion formed to be detachable with the upper mounting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면에 장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제4체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fourth fastening portion having a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upper surface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면에 단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제5체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fifth fastening portion in which a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 a unidirectional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홈이 형성된 제3체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ember, the third fastening portion having a groove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base member can be firmly fixed to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It characterized by including a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교합기는, 하부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에 탈부착가능하게 안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부재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일단에서 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삽입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culator has a base member which is formed to be detachably seated on a support plate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member, the base member, the support plate 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sertion portion formed to be recessed forward from one end to be detachable with the upper mounting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일측에 홈이 형성된 제6체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ixth fastening portion having a groove formed on one side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교합기는, 하부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에 탈부착가능하게 안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부재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일단에서 전방으로 함몰되어 일측에 굴곡이 형성된 블럭체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culator has a base member which is formed to be detachably seated on a support plate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member, the base member, the support plate 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ock fastening portion formed in the bent on one side is recessed from the front to be detachable with the upper mounting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전단에 홀이 형성된 잠금체결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ront end hole.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 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above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바디부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판을 바디부에서 분리와 결합을 하는 데에 따른 오차가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석고, 접착제,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 support plate extending for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portion to ensure that there is no error in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support plate in the body portion, as well as do not use gypsum, adhesives, screws, etc.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shorten the work to facilitate the work.

본 발명은, 상기 지지판에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를 형성하여 좌우상하 흔들림이 없어 오차가 발생하지 않아 치아모형이 최적으로 교합되도록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base member to be easily detachable to the support plate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produced so that the teeth model is optimally occluded because there is no error left and right up and down shaking.

본 발명은, 힌지체결홈에 끼워져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축봉과 일체로 형성된 상부부착판을 포함하는 상부부재를 형성하여 축봉을 힌지체결홈에 빼거나 끼우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간편하고 쉽게 탈부착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과 편리성, 작업시간 단축으로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nd easily detached by a simple operation of removing or inserting the shaft rod into the hinge fastening groove by forming an upper member including an upper mounting plat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aft rod formed to be rota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hinge fastening groove. In this way,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due to the efficiency, convenience, and shortening of working time.

본 발명은, 바디부의 상부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과두조절부를 형성하여 턱관절에서 일어나는 턱관절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치아모형이 최적으로 교합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the tooth model is optimally occluded by forming an olfactory control formed by extending forward from the upper rear end of the body to generate elasticity for controlling the jaw joint movement occurring in the jaw joint.

본 발명은, 과두조절부를 U, V, N형상이 일부분만 또는 중첩 또는 단일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에 의하여 교합기의 전후방으로 유격이 일어나 축봉을 힌지체결홈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턱관절에서 일어나는 상하 접번 운동 및 좌우 측방운동과 전후방운동의 턱관절운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U, V, N shape is formed only in a part or overlapping or single form of the olfactory control, so that the clear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articulator due to elasticity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hinge fastening groove as well as the jaw It provides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up and down joint movement and the left and right lateral movement and the jaw joint movement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ccurring in the joint.

본 발명은, 과두조절부의 일단에서 상향 전방으로 구부러진 축봉지지부를 형성하여 상부부재가 교합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upper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rticulator by forming an axial rod support that is bent upward and forward at one end of the condylar control unit.

본 발명은, 상부부착판 또는 지지판의 일면에 이격되어 돌출되도록 접착돌출 부를 포함하도록 형성하여 석고나 접착제 등의 접착부재가 용이하게 부착되어 치아모형이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include an adhesive protrusion so as to protrude spaced apart on one surface of the upper mounting plate or the support plate to provide an effect of easily attaching an adhesive member such as gypsum or adhesive, so that the dental model can be easily attached.

본 발명은, 돌출된 일면이 넓고 상부부착판과 일체로 형성된 면이 좁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일측이 함몰되도록 접착돌출부 또는 편측돌출부를 형성하여 치아모형이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one side is wide and the surfac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attachment plate is formed narrow to provide an effect that the tooth model can be easily attached by forming an adhesive projection or one side projection so that one side is recessed as a who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y it will be described by at least one embodiment,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not limi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채용된 하부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채용된 상부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채용된 지지판의 배면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채용된 지지판과 베이스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채용된 지지판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의 작동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member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member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plate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plate and a base member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base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1)는 하부부재(10), 상부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articul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wer member 10 and an upper member 130.

상기 하부부재(10)는 상기 교합기(1)의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바디 부(100), 지지판(11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member 10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articulator 1, and may further include a body part 100 and a support plate 110.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교합기(1)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지대(101), 힌지체결부(102), 걸림턱(103), 과두조절부(10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art 10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ase 101, a hinge fastening part 102, a locking jaw 103, and a condyle control part 104 as supporting the articulator 1.

상기 지지대(101)는 상기 바디부(100)의 양측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교합기(1)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10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capable of supporting the articulator 1 by extending upward from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00.

상기 힌지체결부(102)는 상기 지지대(101)의 일정위치,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101)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후방으로 구부러져 하기에 설명할 축봉(131)의 양단이 끼워질 수 있는 힌지체결홈(1021)이 형성되어 하기에 설명할 축봉(13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The hinge fastening portion 102 is exten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upport 101, preferably from an upper end of the support 101 and bent backward so that both ends of the shaft rod 131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fitted. It is suitable that the hinge fastening groove 1021 is formed to support the shaft rod 131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힌지체결홈(1021)은 일정형상,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설명할 축봉(131)이 탈부착될 수 있고, 하기에 설명할 축봉(131)의 양단이 힌지결합되어 턱관절에서 발생하는 상하 접번운동, 좌우 측방운동과 전후방운동 등의 턱관절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턱관절의 일반적인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깊이와 경사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The hinge fastening groove 1021 is of a predetermined shape, preferably the shaft bar 131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nd both ends of the shaft bar 131 to be described below are hinged to the upper and lower tandem movement generated in the jaw joint In addition, it is suitable to be formed in the arc shape of the same or similar depth and inclination as the general shape of the jaw joint so that the jaw joint movement such as left and right lateral movement and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can be made smoothly.

상기 걸림턱(103)은 상기 지지대(101)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일정형상,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턱(103)의 저면에 하기에 설명할 걸림쇠(133)가 걸릴 수 있도록 장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형상이 적합하다.The locking jaw 103 is extended in the rear from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01 in a predetermined shape, preferab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atch 133 to be described below is caught on the bottom of the locking jaw 103 Shapes formed to extend in length are suitable.

상기 과두조절부(104)는 상기 걸림턱(103)의 상면의 양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어 턱관절에서 일어나는 턱관절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을 발생시켜 치아모형(150, 도 15 참조)이 최적으로 교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두조절부(104)는 U, V, N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이들 형상중에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상을 중복되도록 형성하여 탄성에 의하여 하기에 설명할 축봉(131)을 상기 힌지체결홈(1021)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격이 일어나므로 턱관절에서 일어나는 상하 접번 운동 및 좌우 측방운동과 전후방운동의 턱관절운동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과두조절부(104)는 축봉지지부(104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과두조절부(104)가 상기 걸림턱(103)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과두조절부(104)의 일단이 상기 걸림턱(103)의 상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dyle control unit 104 extends for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jaw 103 to generate elasticity for adjusting the jaw joint movement occurring in the jaw joint, so that the teeth model (150, FIG. 15) is optimal. It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so that the occlusal, preferably, the olfactory control unit 104 is formed in a U, V, N shape or formed by overlapping one or more shapes selected from these shapes to be described below by elasticity The shaft 131 to be described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hinge fastening groove 1021, and because the play occurs, it can adjust the jaw joint movement of the vertical movement and the left and right lateral movement and the front and rear movement that occur in the jaw joint. Suitably, the condyle control unit 104 may further include an axial rod support 1041.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excludes that the condyle control unit 10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engaging jaw 103 or one end of the condyle adjusting unit 104 is fit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jaw 103. It is not.

상기 축봉지지부(1041)는 상기 과두조절부(104)의 일단에서 상향 전방으로 일정 곡면,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설명할 상부부재(130)가 턱관절운동을 조절할 경우에 상기 힌지체결홈(10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곡면으로 구부러져 하기에 설명할 축봉(13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The shaft rod support portion 1041 is a certain curved surface upward from one end of the condyle control unit 104, preferably, when the upper member 130 to be described below to adjust the jaw joint movement of the hinge fastening groove ( It is suitable to be formed to bend to a curved surface that can prevent the departure from 1021 to support the shaft rod 131 to be described later.

도 5 내지 6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판(110)은 상기 바디부(10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120)가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100)와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지지판(110)을 상기 바디부(100)에서 분리와 결합을 하는 데에 따른 오차가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일체로 형성되어 석고, 접착제,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120)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110)의 양측이 면취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판(110)은 손잡이부(111), 지지부(112), 제1탄성 홀(113), 제2탄성홀(11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5 to 6B, the support plate 110 extends for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0 to be integral with the body portion 100 so that the base member 120 to be described below is detachable. Not only does not form an error due to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support plate 110 in the body portion 100, as well as integrally formed and do not use gypsum, adhesives, screws, etc.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and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it is preferable that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110 is formed to be chamfered to be easily detachable by holding the base member 120 to be described below, The support plate 110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111, a support 112, a first elastic hole 113, and a second elastic hole 114.

상기 손잡이부(111)는 상기 지지판의 전단에서 연장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부(111)를 하부로 가압하면 하기에 설명할 제1돌기부(1111)가 상부로 유격되어 하기에 설명할 제1체결부(121)에서 분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손잡이부(111)는 제1돌기부(111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111 is extended from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late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handle 111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111)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fastening portion (to be described below)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in 121, the handle portion 111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rojection (1111).

상기 제1돌기부(1111)는 상기 손잡이부(111)의 후방에서 일정길이,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120)가 상기 지지판(110)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하기에 설명할 제1체결부(121)에 체결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120)를 상기 지지판(110)에 고정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하여 치아모형(150, 도 15 참조)의 교합이 오차가 일어나지 않아 정확한 치아모형의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체결부(121)와 대향되는 상기 제1돌기부(1111)의 일면의 형상이 하단에서 상단으로 외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손잡이부(111)를 가압할 때 상기 제1돌기부가 하기에 설명할 제1체결부에서 분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protrusion 1111 i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of the handle portion 111, so that the base member 120 to be described later to protrude in a length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110 Formed and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21 to be described below to fix the base member 120 to be described below to the support plate 110 so that there is no shaking, the occlusion of the tooth model (150, see Fig. 15) There is no error, so it is possible to produce the correct dental prosthesis.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shape of one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1111 facing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21 is inclined outwardly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to press the handle 111 when the first It is not excluded that the protrusions are formed to facilitate separation a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described below.

상기 지지부(112)는 상기 지지판(110)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일정높이,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12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연장되어 장방향으로 턱이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지지부(112)에 의하여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120)가 상기 지지판(110)의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112)는 제2돌기부(1121), 유격홀(1122), 가이드부(112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12 extends to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late 110, preferably to a height high enough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member 120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a ja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suitable to be, by the support 112 to prevent the base member 120 to be described later to move to the rear of the support plate 110 to be fixed, the support 112 is a second projection 1121 It may further include a clearance hole 1122, and a guide part 1123.

상기 제2돌기부(1121)는 상기 지지부(112)의 일면에서 전방으로 일정길이,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120)가 상기 지지판(110)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하기에 설명할 제2체결부(122)에 체결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120)를 상기 지지판(110)에 고정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돌기부는 장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일정거리마다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protrusion 1121 is a predetermined length forward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112, preferably a base member 120 to be described later protrudes to a length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110. It is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2 to be described later to be fixed to the base member 12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support plate 110 so that there is no shaking.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to protrude every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유격홀(1122)은 상기 지지부(112)에서 일정거리,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120)가 상기 지지판(110)에 원활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12)가 전후방으로 유격이 발생할 수 있는 거리로 이격되어 홀(hole)이 형성되도록 천공되는 것이 적합하다.The clearance hole 1122 i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upport 112, preferably the support 112 is spaced back and forth so that the base member 120 to be described later smoothly detachable to the support plate 110. It is suitable to be perforated to form a hole spaced apart by this possible distance.

상기 가이드부(1123)는 상기 지지부(112)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일정길이,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120)의 후방 측면을 안내하여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12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The guide portion 1123 has a predetermined length forward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portion 112, preferably guides the rear side of the base member 120 to be described later, the base member 12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suitable to be formed to a length that can prevent the shaking.

상기 제1탄성홀(113)은 상기 지지판(110)의 전단의 일정위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돌기부(1111)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판(110)에 구멍이 형성되도록 천공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120)를 상기 지지판(110)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부(111)를 작업자가 하부로 가압할 때 하부로 유격을 좀 더 발생시켜 상기 제1돌기부(1111)가 하기에 설명할 제1체결부(121)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형 성되는 것이 적합하다.The first elastic hole 113 is perforated to form a hole in the support plate 110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late 110, preferably the first protrusion 1111,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 order to separate the member 120 from the support plate 110,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handle portion 111 downward, a more play occurs in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1111 will be described below. It is suitable to be formed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121 can be easily separated.

상기 제2탄성홀(114)은 상기 지지판(110)의 후단의 일정위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돌기부(1121)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판(110)에 구멍이 형성되도록 천공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120)를 상기 지지판(110)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120)를 후방으로 가압할 때 상기 지지부(112)가 후방으로 유격이 좀 더 발생하게 되어 상기 제2돌기부(1121)가 하기에 설명할 제1체결부(122)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The second elastic hole 114 is drilled to form a hole in the support plate 110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late 110, preferably,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121. In order to separate the member 120 from the support plate 110,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base member 120 to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part 112 may generate more play in the rear part,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part It is suitable that 1121 is formed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22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교합기(1)는 베이스부재(1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구강구조와 유사하게 타원형의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베이스부재(120)는 상기 지지판(11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면으로는 하기에 설명할 고정판(140)이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체결부(121), 제2체결부(122), 고정판안치부(12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culator 1 may further include a base member 120. The base member 1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Preferably, the base member 120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hemispherical shape similar to the oral structure, and the base member 12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110. Is formed so that the fixing plate 14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astening portion 121,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2, the fixing plate settled portion 123. .

상기 제1체결부(121)는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전단에 일정깊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돌기부(1111)가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20)가 상기 지지판(110)에 고정하여 흔들림이 없고 상기 베이스부재(120)를 상기 지지판(110)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부(111)를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제1돌기부(1111)가 상기 제1체결부(121)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돌기부(1111)의 돌출된 부분에 대응되는 깊이로 홈 또는 홀(hole)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제1돌기부(1111)가 상기 제1체결부(121)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20)가 상기 지지 판(110)에 고정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하여 치아모형(150, 도 15 참조)의 교합이 오차가 일어나지 않아 정확한 치아모형의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21 is a predetermined depth to the front end of the base member 120, preferably the first protrusion 1111 is fastened so that the base member 120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110 and shaken And press the handle portion 111 downward to separate the base member 120 from the support plate 110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1111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21. It is suitable to be formed as a groove or a hole with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111. As a result, the first protrusion 1111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121 so that the base member 120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110 so that there is no shaking and thus the tooth model 150 (see FIG. 15). Occlusal occlusion of the error does not occur,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recise dental model prosthesis.

상기 제2체결부(122)는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후단에 일정깊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돌기부(1121)가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20)가 상기 지지판(110)에 고정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상기 제2돌기부(1121)의 돌출된 부분에 대응되는 깊이로 홈 또는 홀(hole)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제2돌기부(1121)가 상기 제2체결부(122)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20)가 상기 지지판(110)에 고정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하여 치아모형(150, 도 15 참조)의 교합이 오차가 일어나지 않아 정확한 치아모형의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체결부(122)는 상기 제2돌기부(112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장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홈 또는 홀이 형성되거나, 일정거리 이격되어 홈 또는 홀이 형성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2 has a predetermined depth at the rear end of the base member 120, preferably the second protrusion 1121 is fastened so that the base member 120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110 and shaken. It is preferable that the grooves or holes are formed to have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121 so as not to be provided. As a result, the second protrusion 1121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122 so that the base member 120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110 so that there is no shaking. Occlusal error does not occur, it is possible to produce the correct dental prosthesis.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2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econd protrusion 1121, a groove or a hole is formed, or a predetermined distance, such as grooves or holes are formed It can be formed by the method.

상기 고정판안치부(123)는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상면에 일정형상, 바람직하게는 치아의 배열구조와 유사하게 원주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하기에 설명할 고정판(140)이 체결되고, 관통공(12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late settlement portion 123 is formed to protrude in a circumferential shape in a predetermined shape, preferably similar to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120 is fastened to the fixing plate 140 to be described below, Ball 124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관통공(124)은 하기에 설명할 고정판의 고정핀(1401)이 결합될 수 있도록 홈 또는 홀로 형성되어 하기에 설명할 고정판(140)이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상면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The through hole 124 is formed as a groove or a hole so that the fixing pins 1401 of the fixing plate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fixing plate 140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120. do.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교합기(1)는 고정판(1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40)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정형상, 바람직하게는 상부가 치아의 배열구조와 유사하게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안치부(123)에 체결되고 상면에 치아모형(150, 도15 참조)이 석고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으로서, 고정핀(140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culator 1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late 140. The fixing plate 1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a predetermined shape, preferably the upper portion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shape similar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teeth is fastened to the fixing plate settlement portion 123 and the tooth model on the upper surface ( 150, see FIG. 15) is coupled by gypsum or an adhesive,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in (1401).

상기 고정핀(1401)은 상기 고정판(140)의 저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관통공(124)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고정판안치부(123), 상기 관통공(124), 상기 고정판(140), 상기 고정핀(1401)은 공지된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The fixing pin 1401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4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late settlement portion 123, the through hole 124, the fixing plate 140, the fixing pin 1401 may use a variety of known configurations.

상기 상부부재(130)는 상기 바디부(100)의 상부에 힌지결합 되는 것으로서, 하기에 설명할 축봉(131)과 상부부착판(134a, 134b)가 일체로 형성되어 분리와 결합을 하는 데에 따른 오차가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일체로 형성되어 석고, 접착제,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축봉(131), 연장부(132), 걸림쇠(133), 상부부착판(134a)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member 130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0, the shaft rod 131 and the upper mounting plate (134a, 134b) to be described below are integrally formed to separate and couple Not only does not have an error, as it is formed integrally and is formed so as not to use gypsum, adhesives, screws, etc. to shorten the working time to facilitate the work, the shaft bar 131, the extension 132, the latch 133, the upper mounting plate 134a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축봉(131)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상기 상부부재(130)의 일측에 장방향으로 일정길이, 상기 힌지체결홈(1021)에 힌지결합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축봉(131)의 양단은 상기 힌지체결홈(1021)에 힌지결합되어 회동을 하여 턱관절에서 발생하는 상하 접번운동, 좌우 측방운동과 전후방운동 등의 턱관절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힌지체결홈(1021)이 턱관절의 일반적인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깊이와 경사의 원호형상과 대응되어 곡면접촉이 일어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The shaft bar 131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preferably in a cylindrical shap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member 130, the length that can be hinged to the hinge fastening groove 1021 It is suitable to be formed to extend, the both ends of the shaft rod 131 is hinged to the hinge fastening groove 1021 and rotated to the jaw joints such as vertical movement, left and right lateral movement and front and rear movement generated in the jaw joint The hinge fastening groove 1021 is suit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rc shape of the depth and inclination of the same or similar to the general shape of the jaw joint so that the movement can be made smoothly so that curved contact can occur.

상기 연장부(132)는 상기 축봉(131)의 일정위치, 바람직하게는 중앙에서 수직으로 일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축봉(131)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은 하기에 설명할 상부부착판(134a)으로 연장된다. The extension portion 132 is formed at one position of the shaft rod 131, preferably vertically extending from the center to one side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aft rod 131, and the other end to the upper mounting plate 134a to be described below. Is extended.

상기 걸림쇠(133)는 상기 축봉(131)의 일정위치, 바람직하게는 중앙에서 수직으로 타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축봉(131)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정길이, 바람직하게는 치아모형의 교합을 조절할 때 상기 걸림턱(103)의 저면에 걸릴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부재(130)가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clasp 133 is exten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preferably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shaft bar 131,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aft bar 131, and when adjusting the bite of the tooth model, It is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can be caught on the bottom of the locking jaw 103 to prevent the upper member 130 is lowered to the bottom.

상기 상부부착판(134a)은 상기 지지판(110)과 대향되도록 상기 연장부(132)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부착판(134a)은 손잡이부(111), 제1돌기부(1111), 지지부(112), 제2돌기부(1121), 유격홀(1122), 가이드부(1123), 제1탄성홀(113), 제2탄성홀(114)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과 작동관계는 앞서 본 바와 같아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upper mounting plate 134a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 132 so as to face the support plate 110, and the upper mounting plate 134a is a handle 111 and a first protrusion 1111. ), The support part 112, the second projection part 1121, the play hole 1122, the guide part 1123, the first elastic hole 113, the second elastic hole 114, and As the operation relationship is as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합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B의 단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ticul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B-B of FIG. 7.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합기의 구성들은 앞서 본 교합기의 구성들과 대략 일치한 기능과 형상으로 이뤄지는 바, 이러한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교합기와 차이점이 있는 상부부착판(134b)의 구성 및 작동관계만을 설명 하기로 한다.7 and 8, the articulato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function and a shape approximately identical to those of the articulators described above. It will be omitted in order not to blur, and hereinafter, only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upper attachment plate 134b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rticulator will be described.

상기 상부부착판(134b)은 하악골 전체 또는 일부분의 치아모형의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시술할 치아인 시술치의 치아모형을 상기 지지판(110)에 부착한 후에 교합을 조절하기 위해 시술하지 않은 치아인 대합치의 치아모형을 석고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상부부착판(134b)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일정형상, 바람직하게는 치아의 배열구조와 유사하게 타원형의 반원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고, 접착돌출부(1341), 편측돌출부(134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attachment plate 134b is an untreated tooth for controlling occlusion after attaching a dental model of a dental tooth, which is a tooth to be operated, to produce a prosthesis of the entire mandibular bone or a part of the mandibular bone to the support plate 110. It is suitable that the tooth model of the coincidence is formed into a semi-circular plate of an elliptical shape in a predetermined shape, preferably similar to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so that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upper attachment plate 134b using a plaster or an adhesive. 1134 and a one-sided protrusion 1342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접착돌출부(1341)는 상기 상부부착판(134b)의 저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돌출되도록 여러 개가 형성되고, 상기 접착돌출부(134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상부부착판(134b)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장방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부착판(134b)에 석고나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부재가 잘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돌출부(1341)의 일측이 함몰되고 상기 접착돌출부(1341)의 일면이 넓고 상기 상부부착판(134b)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합할 수 있으나, 상기 접착돌출부(1341)의 일측이 함몰되도록 형성하여 접착부재가 상기 접착돌출부(1341)의 측면에 다량으로 부착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 plurality of adhesive protrusions 1341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mounting plate 134b so as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adhesive protrusions 134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t is suitable to be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8, the adhesive projection such that the adhesive member such as gypsum or adhesive to the upper attachment plate 134b can be attached well One side of the 1341 is recessed and one surface of the adhesive protrusion 1341 may be wider and narrower toward the upper attachment plate 134b, but may be suitable, but one side of the adhesive protrusion 1341 is recessed. If formed, the adhesive member can be attached to a large amount on the side surface of the adhesive protrusion 1341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편측돌출부(134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부착판(134b)의 저면의 측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편측돌출부(134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구강 내에서 얻어진 치아의 편측모형도 잘 부착될 수 있도록 치아의 편측모양과 유사하게 일측이 외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부착판(134b)에 석고나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부재가 잘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편측돌출부(1342)의 일측이 함몰되고 상기 편측돌출부(1341)의 일면이 넓고 상기 상부부착판(134b)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합할 수 있으나, 상기 편측돌출부(1342)의 일측이 함몰되도록 형성하여 접착부재가 상기 편측돌출부(1342)의 측면에 다량으로 부착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hown in FIG. 7, the one-sided protrusion 1342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mounting plate 134b, and the one-sided protrusion 134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ne side of the tooth obtained in the oral cavity is also suitable to be formed to be curved outwardly, similar to the one-sided shape of the tooth to be attached well, 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8, the upper attachment plate ( One side of the one-sided protrusion 1342 is recessed and one side of the one-sided protrusion 1341 is wide and the width thereof becomes narrower toward the upper attachment plate 134b so that an adhesive member such as gypsum or adhesive may be attached to the 134b). It may be suitable to be formed, but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one-sided projection 1342 is recessed configuration that the adhesive member can b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one-sided projection (1342) in large quantitie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부부착판(134b)을 상기 바디부(10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100)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110)을 상기 축봉(131)에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악골 전체 또는 일부분의 치아모형의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시술할 치아인 시술치의 치아모형을 상기 지지판(110)에 부착하고 치아모형의 교합을 조절하기 위해 시술하지 않은 치아인 대합치의 치아모형을 석고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상부부착판(134b)에 부착하도록 하는 교합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mounting plate 134b extends for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0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support plate 110 extends from the shaft rod 131. To form a prosthesis of the entire maxillary bone or a part of the maxilla, by attaching the dental model of the treatment tooth to the support plate 110 and the unmatched tooth to control the occlusion of the dental model. It is not to exclude the articulator to attach the dental model of the upper attachment plate 134b using a plaster or adhesive.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판과 베이스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지지판과 베이스부재가 결합한 후의 배면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plate and a bas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base member of FIG.

도 9와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합기의 구성들은 앞서 본 교합기의 구성들과 대략 일치한 기능과 형상으로 이뤄지는 바, 이러한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 서는 상기 교합기와 차이점이 있는 지지판(210)과 베이스부재(220)의 구성 및 작동관계만을 설명하기로 하고, 상부부착판의 구성 및 작동관계는 상기 지지판(210)의 구성 및 작동관계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기 지지판(21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9 and 10, the configurations of articulato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 function and a shape approximately identical to those of the articulators described above. It will be omitted in order not to blur, and hereinafter, only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support plate 210 and the base member 220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articulator will be described,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upper mounting plate is described in the support plate ( Since i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210, i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upport plate 210.

상기 지지판(210)은, 상기 바디부(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220)가 평면상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결합부(211), 지지턱(212), 측부고정부(213), 안치부(21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2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100 so that the base member 22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in a planar sliding manner, and the coupling portion 211 and the support jaw 212 are provided. It may further include a side fixing portion 213, the settled portion 214.

상기 결합부(211)는 상기 베이스부재(220)가 상기 지지판(220)에 고정되어 하기에 설명할 걸림부(221)에 결합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수직부(2111), 수평부(211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211 is formed such that the base member 220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220 and coupled to the locking portion 221 to be described below. The vertical portion 2111 and the horizontal portion 2112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수직부(2111)는 상기 지지판(220)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일정높이,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220)의 후면을 지지하여 베이스부재(220)가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연장되어 장방체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The vertical portion 2111 is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late 220, preferably to the rear of the base member 22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extent that the base member 220 does not move backward It is suitable to extend in height to form a rectangle.

상기 수평부(2112)는 상기 수직부(2111)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장방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부(2111)에 의하여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220)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제4돌기부(2113), 제5돌기부(211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 portion 2112 preferably extends forward from one end of the vertical portion 2111 to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horizontal member 2111 prevents the base member 220 to be described below from moving up and down, thereby being firmly fixed, and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protrusion 2113 and a fifth protrusion 2114. have.

상기 제4돌기부(2113)는 상기 수평부(2112)의 저면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하기에 설명할 제4체결부(2211)에 체결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22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4돌기부(2113) 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The fourth protrusion 2113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portion 2112 to the other end and is fastened to the fourth fastening part 2211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base member 220 to be described later is left and right. Do not shake.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at the fourth protrusion 2113 is formed in plural.

상기 제5돌기부(2114)는 상기 수평부(2112)의 일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하기에 설명할 제5체결부(2212)에 체결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220)를 고정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5돌기부(2114)는 일정형상, 바람직하게는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일단이 만곡되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The fifth protrusion 2114 extends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2112 and is fastened to the fifth fastening portion 2212 to be described below to fix the base member 220 to be described below. On the other hand, the fifth protrusion 2114 is preferably formed in a curved shape, one end of which is curved in a predetermined shape, preferably detachable.

상기 지지턱(212)은 상기 지지판(210)의 후단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220)의 후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형성된다.The support jaw 212 is variously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late 210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base member 22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측부고정부(213)는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220)를 안내하고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22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형성되고, 제3돌기부(213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fixing portion 213 extends upward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to guide the base member 220 to be described below, and is formed so that the base member 220 to be described below does not move left and right, and the third protrusion part ( 2131)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3돌기부(2131)는 상기 측부고정부(213)의 일측에서 내향으로 돌출되어 하기에 설명할 제3체결부(222)에 체결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220)를 안내하고 고정하게 된다.The third protrusion 2131 protrudes inward from one side of the side fixing part 213 to be fastened to the third fastening part 222 to be described below to guide and fix the base member 220 to be described below. do.

상기 안치부(214)는 상기 지지판(210)의 일정위치,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하기에 설명할 걸림부(221)의 저면이 안치되어 베이스부재(220)가 전후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홈 또는 홀이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The settlement portion 214 is a groove or hole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221 to be described below is settl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preferably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210 so that the base member 220 does not move back, front, left, and right. It is suitable to be formed.

상기 베이스부재(220)는 상기 지지판(220)에 평면상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걸림부(221), 제3체결부(22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member 220 is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220 in a planar sliding manner, and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art 221 and a third fastening part 222.

상기 걸림부(22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베이스부 재(220)의 일정위치, 바람직하게는 후단 중앙에서 전단으로 함몰 연장되어 상면에 상기 수평부(2112)가 안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저면은 상기 안치부(213)에 안치될 수 있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며, 제4체결부(2211), 제5체결부(221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22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the recess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base portion 22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preferably in the rear end of the base member 220 so that the horizontal portion 2112 can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he bottom surface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so that it can be placed in the settled portion 213, it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fastening portion 2211, the fifth fastening portion 2212.

상기 제4체결부(2211)는 상기 걸림부(221)의 상면의 후단에서 장방향으로 상기 제4돌기부(2113)의 돌출된 형상과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평면상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제4돌기부(2113)가 상기 제4체결부(2211)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22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4돌기부(2113)가 복수로 형성된 것과 대응하여 상기 제4체결부(2211)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The fourth fastening part 2211 has a groov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truding shape of the fourth protrusion part 21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art 221 so that the fourth protrusion part has a planar sliding method. 2113 is fastened to the fourth fastening portion 2211 so that the base member 220 is not shaken from side to side.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at the plurality of fourth fastening portions 2211 are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fourth protrusions 2113.

상기 제5체결부(2212)는 상기 걸림부(221)의 상면의 전방에서 단방향으로 상기 제5돌기부(2114)의 돌출된 형상과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5돌기부(2114)가 상기 제5체결부(2211)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220)가 상기 지지판(2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fth fastening portion 2212 has a groov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truding shape of the fifth protrusion 2114 in a unidirectional direction from the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221 so that the fifth protrusion 2114 is formed in the fifth fastening portion 2114. 5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2211 to allow the base member 220 to be fixed to the support plate 210.

상기 제3체결부(222)는 상기 베이스부재(220)의 일측면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상기 제3돌기부(2131)의 돌출된 형상과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3돌기부(2131)가 상기 제3체결부(222)에 체결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220)를 안내하고 고정하게 된다.The third fastening part 222 has a groov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truding shape of the third protrusion part 2131 from the rear end of one side of the base member 220 to the third protrusion part 2131. It is fastened to the third fastening portion 222 to guide and fix the base member 220 to be described below.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판과 베이스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지지판과 베이스부재가 결합된 후의 배면 사시도이다.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plate and a bas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ing plate and the base member of FIG.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합기의 구성들은 앞서 본 교합기의 구성들과 대략 일치한 기능과 형상으로 이뤄지는 바, 이러한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교합기와 차이점이 있는 지지판(310)과 베이스부재(320)의 구성 및 작동관계만을 설명하기로 하고, 상부부착판의 구성 및 작동관계는 상기 지지판(310)의 구성 및 작동관계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기 지지판(31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ures 11 and 12, the articulato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unction and shape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articulator as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of these configurations is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be blurred, and hereinafter, only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support plate 310 and the base member 320 that are different from the articulator will be described,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upper mounting plate is the support plate 310. Since i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upport plate (310).

상기 지지판(310)은 상기 바디부(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320)가 평면상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몸통부(311), 지지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3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100 so that the base member 32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detachable in a planar sliding manner, and includes a body portion 311 and a support portion 321. can do.

상기 몸통부(31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지지판(310)의 일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전방으로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장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몸통부(311)는 하기에 설명할 삽입부(321)에 삽입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320)가 상기 지지판(310)에 안내되어 고정되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며, 제6돌기부(311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31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protrudes upward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10 and extends forward to form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the body 311 is described below.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321 to be described, the base member 320 to be described below is guided and fixed to the support plate 310 so as not to shake from side to side, and may further include a sixth projection portion 3111.

상기 제6돌기부(3111)는 상기 몸통부의 일측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하기에 설명할 제6체결부(3211)에 체결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320)를 상기 지지판(310)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320)가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6돌기부의 일측에 굴곡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The sixth protrusion part 3111 is formed to extend forwardly from the rear end of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o protrude and is fastened to the sixth fastening part 3211 to be described below, so that the base member 320 to be described below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 310).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exclude that the base member 320 to be described later to bend to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ixth projection to prevent from moving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지지부(321)는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320)가 후방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가이드부(312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3121)는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320)가 상기 지지판(310)으로 안내되어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321)와 상기 가이드부(3121)의 구성 및 작동관계는 앞서 본 지지부(112), 가이드부(1123)의 구성 및 작동관계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upport part 321 is formed to prevent the base member 320 to be described later to move backward may include a guide portion 3121, the guide portion 3121 is a base member 32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to prevent the guide plate 310 from being moved left and righ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upport portion 321 and the guide portion 3121 is the support portion 112, the guide portion 1123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imila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베이스부재(320)는 상기 지지판(310)에 평면상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삽입부(32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320)는 지지부(321)에 의해 후방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가이드부(3121)에 의해 상기 지지판(310)으로 안내되어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base member 320 is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310 in a planar sliding manner,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part 321. On the other hand, the base member 320 is not moved backward by the support portion 321 is guided by the guide portion 3121 to the support plate 31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left and right.

상기 삽입부(321)는 상기 베이스부재(320)의 일정위치, 바람직하게는 후단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상기 몸통부(3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31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320)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삽입부(321)는 제6체결부(321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321 is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ody part 311 so that the body part 311 can be inserted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member 320, preferably from the center of the rear end to the front. The base member 320 is prevented from moving left and right, and the inserting portion 321 may further include a sixth fastening portion 3211.

상기 제6체결부(3211)는 상기 삽입부(321)의 내면 일측에 상기 제6돌기부(3111)의 돌출된 형상과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6돌기부(3111)가 상기 제6체결부(3211)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32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된다.The sixth fastening part 3211 has a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321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otruding shape of the sixth protrusion part 3111, so that the sixth protrusion part 3111 is the sixth fastening part. 311 is fastened to the base member 320 so as not to shake from side to side.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판과 베이스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지지판과 베이스부재가 결합된 후의 사시도이다.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bas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after the support plate and the base member of FIG. 13 are combined.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합기의 구성들은 앞서 본 교합기의 구성들과 대략 일치한 기능과 형상으로 이뤄지는 바, 이러한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교합기와 차이점이 있는 지지판(410)과 베이스부재(420)의 구성 및 작동관계만을 설명하기로 하고, 상부부착판의 구성 및 작동관계는 상기 지지판(410)의 구성 및 작동관계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기 지지판(41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ures 13 and 14, the articulato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unction and shape that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articulators previously described, the description of these configurations is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be blurred, and hereinafter, only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support plate 410 and the base member 420 that are different from the articulator will be described,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upper mounting plate is the support plate 410. Since i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upport plate 410.

상기 지지판(410)은 상기 바디부(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420)가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져 체결하는 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블럭부(411), 지지부(412), 손잡이부(41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plate 4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100 is formed so that the base member 4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be inser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 be detachable in a manner of fastening, block 411, the support ( 412, the handle 413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블럭부(411)는 상기 지지판(410)의 일정형상,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412)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블럭부(411)의 일측에 지그재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기어블럭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블럭부(411)는 하기에 설명할 블럭체결부(421)와 체결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420)이 전후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The block portion 411 is a predetermined shape of the support plate 410, preferably protrudes forward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412, the zig-zag shape bent on one side of the block portion 411 as a whole It is suitable to be formed in a gear block shape. The block part 411 is fastened to the block fastening part 421 to be described below so that the base member 420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shaken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상기 지지부(412)는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320)가 후방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가이드부(412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4121)는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320)가 상기 지지판(310)으로 안내되어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412)와 상기 가이드부(4121)의 구성 및 작동관계는 앞서 본 지지부(112), 가이드부(1123)의 구성 및 작동관계 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upport part 412 is formed to prevent the base member 320 to be described later to move backward may include a guide portion 4121, the guide portion 4121 is a base member 32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to prevent the guide plate 310 from being moved left and righ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support portion 412 and the guide portion 4121 is the support portion 112, the guide portion 1123.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imilarity is simila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손잡이부(413)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지지판의 전단에서 연장되어 일단에서 상방으로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413)의 일단을 하부로 가압하면 유격이 발생하여 하기에 설명할 잠금돌기부(4131)가 하기에 설명할 잠금체결홀(422)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손잡이부(413)는 잠금돌기부(413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portion 413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it is preferable to extend from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late is formed in a '-' shape from one end to the whole as a whole, the operator to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413 When pressurized downwards, play occurs and the locking protrusion 4131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locking fastening hole 422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handle 413 opens the locking protrusion 4131. It may further comprise.

상기 잠금돌기부(4131)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의 일면에서 내향으로 일정길이,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420)가 상기 지지판(410)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하기에 설명할 잠금체결홀(422)에 체결되어 하기에 설명할 베이스부재(420)를 상기 지지판(410)에 고정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하여 치아모형의 교합이 오차가 일어나지 않아 정확한 치아모형의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The locking projection 4131 is formed to protrude in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 from one surface of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preferably the base member 42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length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upport plate 410. The base member 420 to be described below to be fastened to the locking fastening hole 422 to be described below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410 so that there is no shaking so that the occlusion of the tooth model does not occur, so that the correct prosthesis of the dental model is correct. You will be able to produce.

상기 베이스부재(420)는 상기 지지판(410)에 상부에서 하부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블럭체결부(421), 잠금체결홀(42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420)는 지지부(412)에 의해 후방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가이드부(4121)에 의해 상기 지지판(410)으로 안내되어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지지부(4121)와 상기 가이드부(4121)의 구성 및 작동관계는 앞서 본 지지부(112), 가이드부(1123)의 구성 및 작동관계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base member 420 is formed in such a way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410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may further include a block fastening part 421 and a locking fastening hole 422. On the other hand, the base member 420 is not moved backward by the support portion 412 is guided by the guide portion 4121 to the support plate 41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left and right, the support portion 4121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guide portion 4121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support portion 112, the guide portion 1123 a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a detailed description.

상기 블럭체결부(421)는 상기 베이스부재(420)의 일정위치, 바람직하게는 후단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상기 블럭부(411)에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블럭부(411)의 돌출된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되고, 상기 블럭체결부(421)의 내면은 일측에 굴곡이 형성된 상기 블럭부(411)에 대응되어 양측에 굴곡이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The block fastening portion 42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member 420, preferably in a protruding shape of the block portion 411 so as to be fitted to the block portion 411 from the center of the rear end to the front. Recessed so as to correspond,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 fastening portion 421 is corresponding to the block portion 411 is formed bent on one side is preferably bent on both sides.

상기 잠금체결홀(422)은, 상기 베이스부재(420)의 전단에 일정깊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돌기부(4131)가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420)가 상기 지지판(410)에 고정하여 흔들림이 없고 상기 베이스부재(420)를 상기 지지판(410)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부(413)의 일단을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잠금돌기부(4131)가 상기 잠금체결홀(422)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잠금돌기부(4131)의 돌출된 부분에 대응되는 깊이로 홈 또는 홀(hole)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로 인해 상기 잠금돌기부(4131)가 상기 잠금체결홀(422)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420)가 상기 지지판(410)에 고정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하여 치아모형(150, 도 15 참조)의 교합이 오차가 일어나지 않아 정확한 치아모형의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The locking fastening hole 422 has a predetermined depth to the front end of the base member 420, preferably the locking protrusion 4131 is fastened so that the base member 420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410 and shakes. And press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413 downward to separate the base member 420 from the support plate 410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4131 can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fastening hole 422. It is suitable to form a groove or a hole with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locking projection 4131. As a result, the locking protrusion 4131 is fastened to the locking fastening hole 422 so that the base member 420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410 so that there is no shaking so that the occlusion of the tooth model 150 (see FIG. 15) is prevented. There is no error, so it is possible to produce the correct dental prosthesis.

한편, 본 발명의 구성은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사출성형 등에 의해 제조되어 관리비와 생산비용이 경감되고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녹이나 이물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 주변환경이 청결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of a variety of materials, but preferably formed of a plastic has elasticity,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etc. to reduce the management cost and production cost and to be recycled, the generation of rust or foreign matter It is suitable to be formed so that the work environment is clea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합기의 사용상태에 대한 바람직 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ate of use of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채용된 베이스부재에 고정판이 결합되는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치아모형이 안치된 교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plate is coupled to the base member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articulator is placed tooth model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합기의 사용상태를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디부(100)와 지지판(11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지지판(110)을 바디부(100)에서 분리와 결합을 하는 데에 따른 오차가 없도록 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20)의 상면에 고정판(140)이 안착되어 작업자가 베이스부재(120)를 파지하고 베이스부재(120)의 후면을 지지부(112)로 가압하면서 유격이 발생하도록 하여 제2체결부(122)를 제2돌기부(1121)에 체결하는 동시에 베이스부재(120)의 전단을 하부로 가압하여 제1체결부(121)를 제1돌기부(1111)에 체결되어 고정 될 뿐만 아니라, 베이스부재(120)는 가이드부(1123)에 의하여 안내되고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되어 좌우상하 흔들림이 없어 치아모형(150)이 최적으로 교합될 수 있는 교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the use state of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6b,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support plate 1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plate 110 to the body portion 100 There is no error in the separation and coupling in, as shown in Figure 15, the fixing plate 14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120, the operator grips the base member 120 and the base member 120 The second fastening part 122 is fastened to the second protrusion 1121 by pressing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12 to generate a clearance, and simultaneously presses the front end of the base member 120 to the first fastening part. Not only the 121 is fastened to the first protrusion 1111 to be fixed, and the base member 120 is guided by the guide 1123 and does not shake from side to side, so that the teeth model 150 is optimal because there is no left and right shak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rticulator that can be occluded with.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120)를 상기 지지판(110)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손잡이부(111)를 하부로 가압하면서 베이스부재(120)를 파지하여 상부로 올리면 제1돌기부(1111)가 상부로 유격되어 제1체결부(121)에서 분리되면서 베이스부재(120)를 지지판(1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1111 is spaced upward when the base member 120 is gripped and raised to the upper portion while pressing the handle 111 downward to separate the base member 120 from the support plate 110. The base member 12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pport plate 110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fastening part 121.

한편 바디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103)의 상면의 양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어 과두조절부(104)에 의하여 턱관절에서 일어나는 턱관절운동을 조 절하기 위한 탄성을 발생시켜 치아모형(150, 도 15 참조)이 최적으로 교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상기 과두조절부(104)는 U,V, 또는 N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이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상을 일부분만 또는 중복되도록 형성하여 탄성에 의하여 축봉(131)을 힌지체결홈(1021)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격이 일어나므로 턱관절에서 일어나는 상하 접번 운동 및 좌우 측방운동과 전후방운동의 턱관절운동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teeth are formed by controlling the jaw joint movement occurring in the jaw joint by the condyle control part 104 extending for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jaw 103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0 The model 150 (refer to FIG. 15)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o as to be optimally interlocked. In particular, the olfactory control unit 104 may be formed in a U, V, or N shape, or may have one or more selected shapes thereof. It is possible to easily detach the shaft rod 131 to the hinge fastening groove 1021 by elasticity by forming only a portion or overlapping, and because of the play,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s of the jaw joint and the left and right lateral movements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The jaw joint movement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의 교합기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20)의 상면에 고정판(140)이 안착되고 상기 고정판(140)의 상면에 상황에 따라 시술치 또는 대합치의 치아모형을 접착부재로 부착하여 상하 치아모형(150)의 교합과 턱관절운동이 적절히 이루어지는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 artic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6, the fixing plate 14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120 and the dental model of the surgical teeth or antagonist teeth depending on the situa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40 By attaching to the upper and lower teeth model 150, the occlusal and jaw joint movement can be determined appropriately.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교합기(1)는 상부부재(130)와 하부부재(10)가 앞서 본 실시예의 것과 손잡이(111), 과두조절부(104), 가이드부(1123)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이하에서는 손잡이(111), 과두조절부(104), 가이드부(1123)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7-19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ulator 1 shown in FIGS. 17 to 19, the upper member 130 and the lower member 1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resent embodiment, except for the handle 111, the condyle control unit 104, and the guide unit 1123. Since the same configuration,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nd will be described below for the handle 111, the condyle control unit 104, the guide unit 1123.

상기 손잡이(111)는 앞서 본 실시예와 달리 지지판의 지지부(112)에 구비되어, 후방에 위치된 손잡이(111)를 눌러 베이스부재를 탈거하게 된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le 111 is provided in the support part 112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base member is removed by pressing the handle 111 located at the rear side.

상기 과두조절부(104)는 하부부재의 걸림턱(103)에 형성된 걸림공(1031)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는 추후 교합기의 사용과정에서 과두조절부가 파손될 경우 교합기 전체가 아닌 과두조절부만을 수리·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 다. 또한, 이와 같이 탈부착가능하게 하면, 과두조절부를 플라스틱수지로 사출성형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와 다른 재질, 축봉에 보다 높은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진 이종 소재 예컨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과두조절부(104)는 전체적으로 U, V, N 등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걸림턱(103)의 중앙에 한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두개 이상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그 일단에 축봉을 탄성가압하는 축봉지지부(1041)와 타단에 걸림공(1031)에 끼움되는 끼움부(1043)와 상기 끼움부(1043)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스토퍼(10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1044)는 상기 끼움부(1043)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돌기이다. 상부부재에 대합치 또는 시술치의 치아모형이 부착되면, 모우멘트에 의해 상부부재가 하부부재를 향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과도한 회전은 최적의 교합을 방해하게 되므로 상부부재의 회전정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가 회전하면 그 걸림쇠(133)의 상측면이 스토퍼(1044)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부부재의 회전정도가 제한되도록 하여 정확한 교합과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condyle control unit 104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ing hole 1031 formed in the locking jaw 103 of the lower member, which is only the condyle control unit, not the entire articulator, if the condyle control unit is damaged in the course of use of the articulator later. This is to allow for repair and replacement. In addition, the detachable, so as to be made of a dissimilar material such as a metal having an elastic force capable of providing a higher pressing force to the material, the shaft and other materials,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njection molded into the plastic resin resin. . The condyle control unit 104 is generally formed in a shape such as U, V, N, and one is preferabl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ngaging jaw 103, but may be formed in two or more shafts to elastically press the shaft at one end thereof. The support portion 1041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fitting portion 1043 which is fitted to the engaging hole 1031 and a stopper 1044 protruding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tting portion 1043. In addition, the stopper 1044 is a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fitting portion 1043. When the tooth model of the antagonist or surgical tooth is attached to the upper member, the upper member rotates toward the lower member by the moment, and excessive rotation prevents the optimal occlusion so that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upper member can be limited. When the upper member is rotated as shown in FIG. 19, the upper side of the latch 133 contacts the end of the stopper 1044 so that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upper member is limited so that accurate occlusion and work are performed.

상기 가이드부(1123)는 앞서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가 판형상으로 좌우로 일정길이 연장된 형상을 취하는 것에 반해 반원 또는 반달형태의 돌출된 구조를 가지는데 그 기능은 앞서 본 가이드부와 동일하다. The guide part 1123 has a protruding structure having a semicircle or half moon shape, whereas the guide part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late shap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side to side, and its func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guide part.

상기 축봉지지부(1041)의 기능이나 전체적인 형상은 앞서 본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끼움부(1043)는 단턱(1043a)에서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걸림공(1031)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단턱(1043a)은 과두조절부가 걸림공에 삽입 될 때 걸림공의 상단에 걸림되어 삽입깊이를 제한하게 된다. The function and overall shape of the shaft rod support portion 1041 are the sam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tting portion 1043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step 1043a to the lower side and is fitted to the engaging hole 1031. In addition, the step 1043a is limited to the insertion depth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hole when the condyle control unit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 예 또는 수정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change or modification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합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ti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채용된 하부부재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member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채용된 상부부재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member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채용된 지지판의 배면 사시도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late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채용된 지지판과 베이스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Figure 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plate and a base member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채용된 지지판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의 작동도Figure 6b is an operation of the base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합기의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B-B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B-B of FIG.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판과 베이스부재의 분해사시도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bas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지지판과 베이스부재가 결합한 후의 배면 사시도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base member of FIG. 9 after coupling;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판과 베이스부재의 분해사시도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bas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의 지지판과 베이스부재가 결합된 후의 배면 사시도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base member of FIG. 11 after being coupled;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판과 베이스부재의 분해사시도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bas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의 지지판과 베이스부재가 결합된 후의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after the support plate and the base member of FIG. 13 are combined;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채용된 베이스부재에 고정판이 결합되는 분해사시도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plate is coupled to the base member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치아모형이 안치된 교합기의 사용상태도Figure 16 is a state of use of the articulator is placed dental model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내지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의 도면. 17-19 are illustrations of articulators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3)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가 상호 회동하는 교합기에 있어서,In the articulator comprising an upper member and a lower member,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s rotated with each other, 상기 하부부재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대를 가지는 바디부와,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안착가능한 지지판을 포함하고, The lower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support extending upwardly and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base member is detachably seated, 상기 지지판은 상기 바디부에 일체로 성형되며, The support plate is integrally molded with the body portion, 상기 바디부는 턱관절에서 일어나는 턱관절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해 바디부의 상부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U, V또는 N 형상이 일부분만 또는 중첩되거나 단일한 형태로 형성된 과두조절부를 포함하고, The body portion extends forward from the upper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to generate the elasticity for controlling the jaw joint movement occurring in the jaw joint, the U, V or N shape comprises a partial or overlapping or single-shaped condyle control unit , 상기 과두조절부는 상기 상부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단에서 상향 전방으로 구부러져 상부부재의 축봉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축봉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And the condyle control unit includes an axial rod support part formed to be bent upward and forward at one end to support the shaft of the upper member so as to prevent the upper member from being separ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안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을 가지는 교합기.The articulator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member has an upper mounting plate on which the base member is detachably seated.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가 상호 회동하는 교합기에 있어서,In the articulator comprising an upper member and a lower member,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s rotated with each other, 상기 상부부재는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안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을 포함하고, The upper member includes an upper mounting plate on which the base member is detachably seated,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은 상기 상부부재에 일체로 성형되며, The upper attachment plate detachable to the base memb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member, 상기 하부부재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대를 가지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턱관절에서 일어나는 턱관절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해 바디부의 상부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U, V또는 N 형상이 일부분만 또는 중첩되거나 단일한 형태로 형성된 과두조절부를 포함하고, The lower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support formed to extend upwards, the body portion extends forward from the upper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to generate elasticity for adjusting the jaw joint movement occurs in the jaw joint U, V or N It includes a condyle control part is formed in only part or overlapping or a single shape, 상기 과두조절부는 상기 상부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단에서 상향 전방으로 구부러져 상부부재의 축봉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축봉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And the condyle control unit includes an axial rod support part formed to be bent upward and forward at one end to support the shaft of the upper member so as to prevent the upper member from being separ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대합치가 안착되는 상부부착판을 가지는 교합기.The articulator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member has an upper mounting plate on which a antagonist is seated.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The body par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body portion 상기 지지대의 일단의 상방에 홈이 형성된 힌지체결홈을 포함하도록 후방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힌지체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inge fastening portion formed bent backward to include a hinge fasten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upper member, 양단이 상기 힌지체결홈에 끼워져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축봉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xial rod formed so that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hinge fastening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은,The upper mounting plate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is detachable.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에 각각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1돌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member further comprises a first projection formed to be fixed to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the base member is removabl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은,The upper mounting plate of claim 10, wherein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is detachable.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andle portion formed to extend from the base member to facilitate separa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은,The upper mounting plate of claim 11, wherein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is detachable.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ortion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rear end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base memb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upport portion, 상기 베이스부재를 안내하고 상기 베이스부재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양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이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further comprising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base member and extending forward from both ends to prevent the base member from being moved left and righ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upport portion,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기 위하여 일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돌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member further comprises a second projection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one surface to be fixed to the support plat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upport portion, 탄성이 발생할 수 있도록 이격하여 홀이 형성되도록 천공되어 형성된 유격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learance hole formed by drilling so as to form a hole spaced apart so that elasticity can occu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상부부착판은,The upper mounting plate of claim 15, wherein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is detachable. 탄성이 발생하여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돌기부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의 후단이 각각 천공되어 형성된 제2탄성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Further comprising a second elastic hole formed by punching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to which the base member is detachable so as to be elastic and easily separated from the base member. 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 부착판은,The upper mounting plate of claim 15, wherein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is detachable. 탄성이 발생하여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돌기부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의 전단이 각각 천공되어 형성된 제1탄성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Further comprising a first elastic hole formed by punching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attachment plate detachable to the base member located below the first projection so that elasticity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se member. 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합치가 안착되는 상부부착판은 The upper mounting plate of claim 4, wherein the clam teeth are seated. 치아모형이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하여 저면에 이격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된 접착돌출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is formed to include an adhesive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spaced apart on the bottom surface for easy attachment.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대합치가 안착되는 상부부착판은,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upper mounting plate on which the antagonist is seated, 치아의 편측 모형이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저면의 측부에 돌출되어 일측이 외향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된 편측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unilateral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bottom so that one-sided model of the tooth is easily attached to one side is curved outward.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돌출부 또는 편측돌출부는,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adhesive projection or one-sided projection, 접착부재가 잘 부착될 수 있도록 일측이 함몰되어 일면이 넓고 상기 대합치가 안착되는 상부부착판과 일체로 형성된 타면이 좁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recessed so that the adhesive member can be attached well, the one side is wider and the other sid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mounting plate on which the antagonist is sea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은,The upper mounting plate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is detachable.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체결되도록 형성된 결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The base member further includes a coupling portion formed to be fixed to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the base member is detachable, respectively, and coupled to the base member,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상부부착판의 후단에서 기립되어 형성된 수직부와,The coupling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is formed standing up at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mounting plate so that the base member does not move backward,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수직부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수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further comprises a horizontal portion formed to extend forward from one end of the vertical portion so that the base member does not move up and down.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상기 베이스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수평부의 저면 일단에서 타단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4돌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The articulator further comprises a fourth protrusion which is fastened to the base member and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portion to the other end so that the base member does not swing from side to side.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상기 베이스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지지판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5돌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The articulator further comprises a fifth protrusion which is fastened to the base member and extends downwardly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to detach the base member to the support plate.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은,The upper mounting plate of claim 23, wherein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is detachable.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턱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jaw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end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base member.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은,The upper mounting plate of claim 24, wherein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is detachable. 상기 베이스부재를 안내하고 상기 베이스부재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측부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further comprising a side fixing portion which guides the base member and extends upwardly from one side to prevent the base member from being shaken from side to side.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고정부는,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side fixing portion, 내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3돌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The articulator further comprising a third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ward.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은,The upper mounting plate of claim 26, wherein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is detachable. 상기 베이스부재가 안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안치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ttled portion formed so that the base member is settl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은,The upper mounting plate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is detachable.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몸통부를 추가로 포함하며,The base member further includes a body portion formed by protruding upward from one surface and extending forwardly so that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is fixed to the detachable upper mounting plate, respectively, so that the base member can be inserted into the base member. 상기 몸통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6돌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The body portion, the articulator further comprises a sixth protrusion protruding on one side to be coupled to the base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은,The upper mounting plate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is detachable.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일측에 굴곡이 형성된 블럭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The base member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or the upper plate attached to the removable base, respectively, protrudes upward from one surface to extend to the front so as to be fitted to the base member, and further includes a block portion formed with a bend on one side 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은,The upper mounting plate of claim 29, wherein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is detachable.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member further comprises a handle so that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can be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upper attachment plate.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The method of claim 30, wherein the handle portion, 상기 베이스부재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잠금돌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projection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portion to be fastened to the base memb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기는,The articulator of claim 1 or 2, wherein the articulator 하부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에 탈부착가능하게 안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부재를 가지며,It has a base member which is formed to be detachably seated on the support plat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member, 상기 베이스부재는 전단에 홈이 형성된 제1체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nd the base member further includes a first fastening portion having a groove formed at a front end thereof.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The method of claim 32, wherein the base member, 후단에 홈이 형성된 제2체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fastening portion formed with a groove at the rear end.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기는,The articulator of claim 21, 하부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에 탈부착가능하게 안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부재를 가지며,It has a base member which is formed to be detachably seated on the support plat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member,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교합기.The base member is an 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further comprises a engaging portion formed to be detachable and detachable.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locking portion, 상면에 장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제4체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urth fastening portion having a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the locking portion, 상면에 단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제5체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fth fastening portion having a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 one direction.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The method of claim 36, wherein the base member,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홈이 형성된 제3체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member further comprises a third fastening portion formed with a groove on one side so that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is firmly fixed to the detachable upper attachment plate.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기는,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articulator, 하부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에 탈부착가능하게 안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부재를 가지며,It has a base member which is formed to be detachably seated on the support plat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member,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일단에서 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삽입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The base member, the articulator further comprises an insertion portion formed to be recessed from one end to the front so that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is detachable with the detachable upper attachment plate.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The method of claim 38,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일측에 홈이 형성된 제6체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ixth fastening portion formed with a groove on one side.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기는,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articulator, 하부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에 탈부착가능하게 안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부재를 가지며,It has a base member which is formed to be detachably seated on the support plat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member,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탈부착가능한 상부부착판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일단에서 전방으로 함몰되어 일측에 굴곡이 형성된 블럭체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The base member, 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late or the base member is further recessed from one end to the front so as to be detachable with the detachable upper attachment plate further comprises a block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The method of claim 40, wherein the base member, 전단에 홀이 형성된 잠금체결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ront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두조절부는 상기 바디부의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The articulator of claim 1, wherein the condyle control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과두조절부는 그 일단에 상부부재가 회전했을 때 접촉되어 회전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43.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claim 42, wherein the condyl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stopper at one end thereof, the stopper contacting when the upper member rotates to limit the degree of rotation.
KR1020080023116A 2008-03-13 2008-03-13 Articulator KR1009553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116A KR100955320B1 (en) 2008-03-13 2008-03-13 Articu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116A KR100955320B1 (en) 2008-03-13 2008-03-13 Articu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997A KR20090097997A (en) 2009-09-17
KR100955320B1 true KR100955320B1 (en) 2010-04-29

Family

ID=4135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116A KR100955320B1 (en) 2008-03-13 2008-03-13 Articu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32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49B1 (en) * 2009-09-03 2012-05-17 주식회사 거승 An Articulator
KR200469131Y1 (en) * 2011-12-07 2013-09-23 동 준 유 Dental model articulator including latc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110Y1 (en) * 2000-12-05 2001-05-15 윤창남 Articulator For A Dental Technicia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110Y1 (en) * 2000-12-05 2001-05-15 윤창남 Articulator For A Dental Technici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997A (en)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605B1 (en) Articulator for dental
US736442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US739918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US20120237903A1 (en) Dental model
JP2009531145A (en) Dental articulator
KR20060130494A (en) Abutment for dental implant
US6247927B1 (en) Disposable articulator having tray support with opening which accepts a projection from a tray
KR100955320B1 (en) Articulator
KR100927245B1 (en) Articulator
US20060210944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KR101016046B1 (en) articulator for dental model
KR101142049B1 (en) An Articulator
US20060216667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KR102352945B1 (en) Dental Model Base Structure
JP3645189B2 (en) Denture production equipment
KR200220285Y1 (en) Adjustable Dental Impression Trays
US20040043354A1 (en) Dental articulator with multiple methods to support the dental models
WO2006091982A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KR101456619B1 (en) The articurator can be possible manufacturing of the artificial denture teeth optional
JP7328713B2 (en) Dowel pin holding jig, dental laboratory work model provided with same, and dental laboratory work model set
US20220287806A1 (en) Disposable dental articulator
KR200430808Y1 (en) Articulator For A Dental Technician connection a fixed carrier
KR200300715Y1 (en) Articulator for a dental technician
JP3429231B2 (en) Dental impression tray
JP6561306B1 (en) den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