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066B1 -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 - Google Patents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066B1
KR100955066B1 KR1020100014129A KR20100014129A KR100955066B1 KR 100955066 B1 KR100955066 B1 KR 100955066B1 KR 1020100014129 A KR1020100014129 A KR 1020100014129A KR 20100014129 A KR20100014129 A KR 20100014129A KR 100955066 B1 KR100955066 B1 KR 10095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shelf
support
bracke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은진
오수빈
오병영
서영희
Original Assignee
오은진
오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은진, 오수빈 filed Critical 오은진
Priority to KR1020100014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 D06F57/04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and having radial arms, e.g.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D06F95/002Baskets or bag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or transporting laundry;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좌측받침대(110);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우측받침대(120); 상기 좌측받침대(110)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상단부와 상기 우측받침대(120)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상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되는 걸이대힌지브라켓(310); 상기 좌측받침대(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대 각각이 상기 걸이대힌지브라켓(310)에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되는 좌측걸이대(210); 상기 우측받침대(120)의 상부에 위치하며,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대 각각이 상기 걸이대힌지브라켓(310)에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되는 우측걸이대(220); 상기 좌측걸이대(210) 및 상기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지지대에 결합되는 걸이대브라켓(31); 상기 좌측받침대(110) 및 상기 우측받침대(1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지지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브라켓(32);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걸이대브라켓(31)과 상기 받침대브라켓(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대지지부재(33); 및, 상기 좌측걸이대(210)를 구성하는 지지대나 상기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지지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본체걸이부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Variable Geometry Laundry Dry Stand}
본 발명은 세탁물의 크기와 종류, 수량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가 가능한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요즘 세탁물 건조는 실내 또는 베란다에 배치한 건조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데, 기존의 세탁물 건조대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재(11)와, 상기 지지부재(11)에 회동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한 쌍의 건조대(12)로 크게 구성되는데, 지지부재(11)들은 저면부가 각각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단은 건조대(12)와 힌지로 연결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지지부재(11)가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최대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그 중심부에 연결부재(13)로 연결된다. 이 연결부재(13) 또한 절반의 영역이 서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건조대(12)들은 일정한 간격마다 걸이부재(14)가 구비되어 실질적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건조대(12)는 상기 지지부재(11)들에 대하여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회동된다. 여기서, 건조대(12)들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11)에 힌지로 연결되는 간격조절부재(15)의 상단이 걸이부재(14)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10)는 건조대(12)의 크기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고, 걸이부재(14)의 간격이나 길이도 일정하게 정해져 있어 세탁물의 종류나 크기 ,수량 등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으며, 제품의 외형 크기에 비하여 수용할 수 있는 세탁물의 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세탁물 건조대(10)와 세탁기(또는 세탁하는 장소)는 별도의 공간에 마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은 세탁물 바구니에 담겨져 세탁물 건조대(10)가 배치된 장소로 이동된 후 세탁물 건조대(10)에 걸리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바닥에 놓인 세탁물 바구니의 세탁물을 세탁물 건조대(10)에 걸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혔다가 펴는 동작이 반복되어 허리 통증과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아울러, 세탁물이 걸리게 되면 하중이 상부측으로 편중되어 외력(풍압 또는 접촉)에 의하여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탁물의 종류와 수량, 크기 등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세탁물 바구니를 올려 놓을 수 있는 다용도 선반이 함께 구비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무게중심이 상부로 집중되더라도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한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기능 대비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좌측받침대(110);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우측받침대(120); 상기 좌측받침대(110)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상단부와 상기 우측받침대(120)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상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되는 걸이대힌지브라켓(310); 상기 좌측받침대(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대 각각이 상기 걸이대힌지브라켓(310)에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되는 좌측걸이대(210); 상기 우측받침대(120)의 상부에 위치하며,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대 각각이 상기 걸이대힌지브라켓(310)에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되는 우측걸이대(220); 상기 좌측걸이대(210) 및 상기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지지대에 결합되는 걸이대브라켓(31); 상기 좌측받침대(110) 및 상기 우측받침대(1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지지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브라켓(32);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걸이대브라켓(31)과 상기 받침대브라켓(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대지지부재(33); 및, 상기 좌측걸이대(210)를 구성하는 지지대나 상기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지지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본체걸이부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걸이부재(10)는 상기 좌측걸이대(210)를 구성하는 지지대나 상기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제1부재(11); 상기 제1부재(11)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좌측걸이대(210)를 구성하는 지지대나 상기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지지대가 억지끼움되는 지지대결착홈(14)이 구비된 본체걸이부재브라켓(13); 및, 상기 제1부재(11)의 내부에 수용되었다가 상기 제1부재(11)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로 슬라이딩 연장되는 제2부재(1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측받침대(110)와 상기 우측받침대(120) 사이의 공간에 수납되거나 상기 좌측받침대(110)와 상기 우측받침대(120) 사이의 공간에서 외부로 빠져나와 별도로 사용되는 다용도선반(500);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탁물의 종류와 수량, 크기 등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세탁물의 수량이나 종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본체걸이부재(10)나 연장걸이부재(20)의 간격이나 수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본체걸이부재(10)나 연장걸이부재(20)의 전체 길이도 자유롭게 연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걸이부재(10)나 연장걸이부재(20)의 손상시 쉽게 교체가 가능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둘째, 세탁물 바구니를 올려 놓을 수 있는 다용도선반이 함께 구비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용도선반(500)을 세탁물이 담긴 바구니 또는 걸이식수납함(590)을 올려 놓는 장소로 활용하는 경우 세탁물을 널기 위하여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는 바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다용도선반(500)이 없는 경우 세탁물이 담긴 바구니를 바닥에 놓게 되어 세탁물을 널기 위하여 허리를 굽혔다가 펴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불편함이 수반된다.
셋째, 무게중심이 상부로 집중되더라도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승하강부재(610)를 하향 이동시키면 지지발자세제어부재(630)와 지지발(620)이 펼쳐지면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되어 세탁물이 많이 걸린 경우에도 외력에 의한 건조대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기능 대비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다용도선반(500), 좌측연장걸이대(230), 우측연장걸이대(240), 본체걸이부재(10), 연장걸이부재(20), 선반걸이대(400), 및 지지발(620) 등은 필요한 경우에만 펼치거나 연장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거나 집어 넣음으로써 불필요한 공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이다.
도2는 본 발명인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도3은 받침대브라켓(32)의 구조를 도시하는데, (a)는 잠금볼트(77)가 사용되는 경우이고, (b)는 회동식편심레버(88)가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4는 본체걸이부재(1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5는 다용도선반(500)의 구조를 도시하는데, 걸이식수납함(590)이 거치된 상태의 단면도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6은 지지발(62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7은 다용도선반(500)이 좌측받침대(110)와 우측받침대(120) 사이의 공간에 수납되고, 선반걸이대(540)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는데, 본체걸이부재(10), 연장걸이부재(20), 및 선반걸이부재(550)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8은 다용도선반(500)이 좌측받침대(110)와 우측받침대(120) 사이의 공간에서 일부 빠져나온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는데, 회동걸이대(530)에 결합된 선반걸이부재(550) 위에 다양한 물건(예를 들어 세탁물 바구니)을 올려 놓을 수 있다.
도9는 다용도선반(500)이 좌측받침대(110)와 우측받침대(120) 사이의 공간에서 완전히 빠져나와 별도의 건조대로 활용되는 경우를 도시하는데, 선반지지다리(520)의 길이를 연장하여 전체 높이를 상승시킨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인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좌측받침대(110)와 우측받침대(1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대힌지브라켓(310)를 중심으로 좌우로 벌어져(회동하여) 본 발명인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를 지지하는 받침대 역할을 하게 된다.
좌측받침대(110)는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대로 구성되고, 우측받침대(120)도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대로 구성된다.
필요한 경우 대면하는 2개의 지지대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66)이 사용될 수도 있다.
걸이대힌지브라켓(310)에는 좌측받침대(110)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상단부와 우측받침대(120)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상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된다.
좌측걸이대(210)와 우측걸이대(220)는 세탁물이 걸리는 본체걸이부재(10)가 거치되는 프레임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좌측걸이대(210)와 우측걸이대(220)도 걸이대힌지브라켓(3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좌우로 펼쳐져 세탁물이 걸리는 공간을 제공하거나 걸이대힌지브라켓(310)를 중심으로 하향 회동하여 접히게 된다.
좌측걸이대(210)는 좌측받침대(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대 각각이 걸이대힌지브라켓(310)에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된다.
필요한 경우 대면하는 지지대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66)이 사용될 수 있다.
즉 걸이대힌지브라켓(310)와 핀결합되는 부위가 좌측받침대(110)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우측걸이대(220)는 우측받침대(120)의 상부에 위치하며,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대 각각이 걸이대힌지브라켓(310)에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된다.
필요한 경우 대면하는 지지대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66)이 사용될 수 있다.
즉 걸이대힌지브라켓(310)과 핀결합되는 부위가 우측받침대(120)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걸이대브라켓(31)은 좌측걸이대(210) 및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지지대에 결합되는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4개의 걸이대브라켓(31)이 사용되며 걸이대지지부재(33)의 결합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걸이대브라켓(31)의 구체적 형상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걸이대지지부재(33)의 결합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걸이대브라켓(31)은 본체걸이부재브라켓(13)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호 간섭이나 저촉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가능한 범위 내에서 크기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 위치도 좌측걸이대(210)이나 우측걸이대(220)의 하부면에 국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받침대브라켓(32)은 좌측받침대(110) 및 우측받침대(1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지지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4개의 받침대브라켓(32)이 사용되며 걸이대지지부재(33)의 결합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지대를 따라 상하로 승하강하여 좌측걸이대(210)나 우측걸이대(220)가 펼쳐지는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받침대브라켓(32)의 구체적 형상도 첨부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걸이대지지부재(33)의 결합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걸이대지지부재(33)의 양측 단부는 각각 걸이대브라켓(31)과 받침대브라켓(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좌측받침대(110)와 우측받침대(120)가 일정한 각도로 벌어진 상태에서 받침대브라켓(32)이 상승하면 이와 연동하여 좌측걸이대(210)나 우측걸이대(220)도 상향 회동하고, 받침대브라켓(32)이 하강하면 이와 연동하여 좌측걸이대(210)나 우측걸이대(220)도 하향 회동하게 되어 좌측걸이대(210)나 우측걸이대(220)의 펼쳐지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러한 받침대브라켓(32)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와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승하강 움직임을 방지하는 잠금볼트(77)나 회동식편심레버(88)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도3(a)에 도시된 잠금볼트(77)나 도3(b)에 도시된 회동식편심레버(88)를 이용하면 좌측걸이대(210)나 우측걸이대(220)의 펼쳐진 자세를 일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체걸이부재(10)는 좌측걸이대(210)를 구성하는 지지대나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지지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데, 세탁물은 이러한 본체걸이부재(10)에 걸린 상태로 건조된다.
이러한 본체걸이부재(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1), 제2부재(12), 및 본체걸이부재브라켓(13)으로 구성된다.
제1부재(11)는 좌측걸이대(210)를 구성하는 지지대나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본체걸이부재브라켓(13)은 제1부재(11)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좌측걸이대(210)를 구성하는 지지대나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지지대가 억지끼움되는 지지대결착홈(14)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걸이부재브라켓(13)을 좌측걸이대(210) 또는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지지대에 억지끼움을 하게 되면 제1부재(11)가 좌측걸이대(210) 또는 우측걸이대(220)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제2부재(12)는 제1부재(11)의 내부에 수용되었다가 제1부재(11)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로 슬라이딩 연장되어 본체걸이부재(10)의 전체 길이를 늘려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2부재(12)는 제1부재(11)의 일측에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1)의 양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 덕분에 세탁물의 수량이나 종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좌측걸이대(210)나 우측걸이대(220)에 결합되는 본체걸이부재(10)의 간격이나 수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본체걸이부재(10)의 전체 길이도 자유롭게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2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선반(500)은 좌측받침대(110)와 우측받침대(120) 사이의 공간에 수납되거나 좌측받침대(110)와 우측받침대(120) 사이의 공간에서 외부로 빠져나와 별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다용도선반(500)은 선반프레임(510), 선반힌지브라켓(515), 선반지지다리(520), 회동걸이대(530), 및 걸이식수납함(5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반프레임(510)은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의 틀을 구성하여 다용도선반(500)의 상부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사각 형상이 아닌 원형이나 타원, 또는 오각형이나 육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틀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선반프레임(510)은 한 조를 이루는 회동걸이대(530)가 마주보는 중앙 경계선을 따라 회동하여 접히는 구조가 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다용도선반(500)을 보다 컴팩트하게 접어서 수납할 수 있다.
선반프레임(510) 자체의 회동구조는 별도의 도면으로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는데, 회동될 수 있도록 핀결합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평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회동 멈춤 돌기부(일종의 스토퍼)나 받침부가 구비된 일반적인 구조이면 충분하다.
선반힌지브라켓(515)은 선반프레임(510)의 모서리 각각에 결합되어 회동걸이대(530),선반걸이대(540) 및 선반지지다리(520)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선반힌지브라켓(515)의 구체적 형상은 도5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회동걸이대(530), 선반걸이대(540) 및 선반지지다리(520)의 결합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형태라도 무방하다.
선반지지다리(520)는 선반프레임(510)의 모서리 각각에 구비된 선반힌지브라켓(5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반프레임(510)을 지지한다. 따라서 다용도선반(500)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경우에는 선반지지다리(520)를 접어서 불필요한 공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선반지지다리(52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선반걸이대(540)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장에 맞추어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다용도선반(500)만을 별도로 세탁물 건조대로 사용할 경우 선반걸이대(540)를 펼친 상태에서 선반지지다리(520)의 길이를 연장하여 선반걸이대(540)의 높이를 좌측걸이대(210)나 우측걸이대(220)의 높이와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절첩부재(560)는 중앙부가 절첩되는 구조인데, 절첩부재(560)의 양측 단부가 각각 선반프레임(510)과 선반지지다리(5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선반지지다리(520)가 펼쳐지는 각도가 절첩부재(560)에 의하여 일정 하게 제한된다.
강도 보강이 필요한 경우 선반지지다리(520)를 서로 연결하는 보조프레임(66)이 추가될 수 있으며, 다용도선반(500)을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용바퀴(580)가 추가될 수 있다.
회동걸이대(53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는 2개의 부재가 한 조를 이루며 회동걸이대(530) 각각의 양측 단부가 선반프레임(510)의 내측 모서리에 구비된 선반힌지브라켓(515)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반프레임(510) 내부에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된다.
선반프레임(510)의 중앙부 내측에는 스토퍼(570)가 부착되어 회동걸이대(53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회동걸이대(530)는 더 이상 하향 회동하지 않고 선반프레임(510)의 중앙부 내측 공간을 차지하게 되며, 세탁물이 담긴 바구니를 포함한 다양한 물건을 올려 놓는 장소로 활용할 수 있다.
회동걸이대(530)를 좌우로 회동시켜 펼치는 경우에는 선반프레임(510) 자체가 스토퍼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여 회동걸이대(530)의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걸이식수납함(590)은 선반프레임(510)의 하부에 위치하는데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의 상단부 양측에 선반프레임(510)에 거치되는 거치홈부(591)가 구비되어 선반프레임(510)에 쉽게 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이식수납함(590)이 거치된 상태에서도 회동걸이대(530)의 회동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선반걸이대(54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는데, 선반걸이대(540)의 양측 단부는 선반힌지브라켓(5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선반걸이대(540)의 양측 단부가 선반힌지브라켓(515)과 결합되는 부위는 선반지지다리(520)가 결합된 부위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회동걸이대(530)이 결합된 부위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선반걸이대브라켓(41)은 선반힌지브라켓(515)이 결합된 선반걸이대(540)의 양측 단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선반걸이대(540)에 결합되어 선반걸이대지지부재(43)의 결합공간을 제공하는데, 선반걸이대브라켓(41)의 구체적 형상은 도5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선반걸이대지지부재(43)의 결합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형태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선반걸이대브라켓(41)은 선반걸이부재브라켓(553)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호 간섭이나 저촉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가능한 범위 내에서 크기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 위치도 선반걸이대(540)의 하부면에 국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선반지지다리브라켓(42)은 선반지지다리(52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반힌지브라켓(515)의 하부에 위치하는데, 선반지지다리브라켓(42)의 구체적 형상도 도5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반걸이대지지부재(43)의 양측 단부는 각각 선반걸이대브라켓(41)과 선반지지다리브라켓(4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선반지지다리(520)가 일정한 각도로 벌어진 상태에서 선반지지다리브라켓(42)이 상승하면 이와 연동하여 선반걸이대(540)도 상향 회동하고, 선반지지다리브라켓(42)이 하강하면 이와 연동하여 선반걸이대(540)도 하향 회동하게 되어 선반걸이대(540)의 펼쳐지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러한 선반지지다리브라켓(42)의 경우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지지다리(520)와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승하강 움직임을 방지하는 잠금볼트(77)나 회동식편심레버(88)가 구비될 수도 있다.
선반걸이부재(550)는 회동걸이대(530) 또는 선반걸이대(540)를 가로지르도록 양측 단부가 회동걸이대(530) 또는 선반걸이대(540)에 결합되어 다양한 종류의 세탁물을 걸 수도 있다.
이러한 선반걸이부재(550)는 제5부재(551), 제6부재(552) 및 선반걸이부재브라켓(553)으로 구성된다.
제5부재(551)는 선반걸이대(540)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데, 제5부재(551)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선반걸이부재브라켓(553)이 결합되며 선반걸이부재브라켓(553)의 하단부에는 선반걸이대(540)가 억지끼움되는 선반걸이대결착홈(554)이 구비된다.
제6부재(552)는 제5부재(551)의 내부에 수용되었다가 제5부재(551)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로 슬라이딩 연장된다. 즉 제6부재(552)는 제5부재(551)의 일측에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부재(551)의 양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선반걸이부재(550)는 도4에 도시된 본체걸이부재(10)의 구조와 동일한 바 별도의 자세한 도시는 생략한다.
좌측연장걸이대(2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며 양측 단부가 좌측걸이대(210)를 구성하는 지지대 각각의 좌측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결합된다.
우측연장걸이대(24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며 양측 단부가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지지대 각각의 우측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결합된다.
연장걸이부재(20)는 좌측연장걸이대(230) 또는 우측연장걸이대(240)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연장걸이부재(20)는 본체걸이부재(10)와 마찬가지로 제3부재(21), 제4부재(22), 및 연장걸이부재브라켓(23)으로 구성된다.
제3부재(21)는 좌측연장걸이대(230)를 구성하는 지지대나 우측연장걸이대(240)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연장걸이부재브라켓(23)은 제3부재(21)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데 연장걸이부재브라켓(23)의 하단부에는 좌측연장걸이대(230)나 우측연장걸이대(240)가 억지끼움되는 연장걸이대결착홈(24)이 구비된다.
제4부재(22)는 제3부재(21)의 내부에 수용되었다가 제3부재(21)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로 슬라이딩 연장된다. 즉 제4부재(22)는 제3부재(21)의 일측에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제3부재(21)의 양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장걸이부재(20)는 도4에 도시된 본체걸이부재(10)의 구조와 동일한 바 별도의 자세한 도시는 생략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받침대(110) 및 우측받침대(120)를 구성하는 지지대 각각의 하단부에는 승하강부재(6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결합된다.
이러한 승하강부재(610)에도 잠금볼트(77)나 회동식편심레버(88)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6의 경우에는 잠금볼트(77)가 구비된 경우만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잠금볼트(77)나 회동식편심레버(88)가 구비되면 승하강부재(610)의 높이를 일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발(620)은 승하강부재(610)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결합되는데 일반적으로 3개 정도의 지지발(620)을 120도 간격으로 배열시킨다.
지지발자세제어부재(630)는 고무판이나 섬유판과 같은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데, 지지발자세제어부재(630)의 중앙부는 좌측받침대(110) 또는 우측받침대(120)를 구성하는 지지대 각각의 하부에 결합된다.
지지발자세제어부재(630)의 주변부에는 지지발(620)이 통과하는 통과공(631)이 다수 개 구비되는데, 도6의 경우 3개의 통과공(631)이 마련된다.
따라서 승하강부재(610)를 하향 이동시키면 지지발자세제어부재(630)와 지지발(620)이 펼쳐지면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되고, 승하강부재(610)를 상향 이동시키면 지지발자세제어부재(630)와 지지발(620)이 가운데로 모아지게 된다.
이 경우 지지발자세제어부재(630)는 지지발(620)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단면 형태(원형 단면 또는 사각형이나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 단면)의 파이프(튜브)나 봉(rod)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면 형태에 따라 권리범위가 달라지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 둔다.
아래의 도면 부호는 첨부도면 도2 내지 도6에 적용되는 것이며, 종래 기술에 해당하는 도1에는 적용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110:좌측받침대
120:우측받침대
210:좌측걸이대
220:우측걸이대
230:좌측연장걸이대
240:우측연장걸이대
310:걸이대힌지브라켓
500:다용도선반
510:선반프레임
515:선반힌지브라켓
520:선반지지다리
530:회동걸이대
540:선반걸이대
550:선반걸이부재
551:제5부재 552:제6부재 553:선반걸이부재브라켓
554:선반걸이대결착홈
560:절첩부재
570:스토퍼
580:이동용바퀴
590:걸이식수납함
591:거치홈부
610:승하강부재
620:지지발
630:지지발자세제어부재
631:통과공
10:본체걸이부재
11:제1부재 12:제2부재 13:본체걸이부재브라켓
14:지지대결착홈
20:연장걸이부재
21:제3부재 22:제4부재 23:연장걸이부재브라켓
24:연장걸이대결착홈
31:걸이대브라켓 32:받침대브라켓 33:걸이대지지부재
41:선반걸이대브라켓 42:선반지지다리브라켓 43:선반걸이대지지부재
66:보조프레임
77:잠금볼트
88:회동식편심레버

Claims (8)

  1.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좌측받침대(110);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우측받침대(120);
    상기 좌측받침대(110)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상단부와 상기 우측받침대(120)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상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되는 걸이대힌지브라켓(310);
    상기 좌측받침대(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대 각각이 상기 걸이대힌지브라켓(310)에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되는 좌측걸이대(210);
    상기 우측받침대(120)의 상부에 위치하며, 나란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대 각각이 상기 걸이대힌지브라켓(310)에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되는 우측걸이대(220);
    상기 좌측걸이대(210) 및 상기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지지대에 결합되는 걸이대브라켓(31);
    상기 좌측받침대(110) 및 상기 우측받침대(1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지지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브라켓(32);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걸이대브라켓(31)과 상기 받침대브라켓(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대지지부재(33); 및,
    상기 좌측걸이대(210)를 구성하는 지지대나 상기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지지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본체걸이부재(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걸이부재(10)는,
    상기 좌측걸이대(210)를 구성하는 지지대나 상기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제1부재(11); 및,
    상기 제1부재(11)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좌측걸이대(210)를 구성하는 지지대나 상기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지지대가 억지끼움되는 지지대결착홈(14)이 구비된 본체걸이부재브라켓(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걸이부재(10)는,
    상기 제1부재(11)의 내부에 수용되었다가 상기 제1부재(11)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로 슬라이딩 연장되는 제2부재(1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
  3. 제1항에서,
    상기 좌측받침대(110)와 상기 우측받침대(120) 사이의 공간에 수납되거나 상기 좌측받침대(110)와 상기 우측받침대(120) 사이의 공간에서 외부로 빠져나와 별도로 사용되는 다용도선반(500);
    이 더 포함되되,
    상기 다용도선반(500)은,
    상기 다용도선반(500의 상부구조를 형성하는 선반프레임(510);
    상기 선반프레임(510)의 모서리 각각에 결합되는 선반힌지브라켓(515);
    상기 선반힌지브라켓(515)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반프레임(510)을 지지하는 선반지지다리(520);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는 2개의 부재가 한 조를 이루며 그 각각의 양측 단부가 상기 선반힌지브라켓(515)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반프레임(510) 내부에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되는 회동걸이대(530);
    상기 선반프레임(510)의 중앙부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회동걸이대(5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토퍼(570); 및,
    상기 선반프레임(5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수납공간의 상단부 양측에 상기 선반프레임(510)에 거치되는 거치홈부(591)가 구비된 걸이식수납함(59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
  4. 제3항에서,
    상기 다용도선반(500)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고 양측 단부가 상기 선반힌지브라켓(5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선반걸이대(540);
    상기 선반힌지브라켓(515)이 결합된 상기 선반걸이대(540)의 양측 단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선반걸이대(540)에 결합되는 선반걸이대브라켓(41);
    상기 선반지지다리(5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선반힌지브라켓(515)의 하부에 위치하는 선반지지다리브라켓(42); 및,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선반걸이대브라켓(41)과 상기 선반지지다리브라켓(4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선반걸이대지지부재(4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
  5. 제4항에서,
    상기 다용도선반(500)은,
    중앙부가 절첩되며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선반프레임(510)과 상기 선반지지다리(5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첩부재(560); 및,
    상기 회동걸이대(530) 또는 상기 선반걸이대(540)를 가로지르도록 양측 단부가 상기 회동걸이대(530) 또는 상기 선반걸이대(540)에 결합되는 선반걸이부재(5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
  6. 제4항에서,
    상기 다용도선반(500)의 선반프레임(510)은 상기 한 조의 회동걸이대(530)가 마주보는 중앙 경계선을 따라 회동하여 접히는 구조이고,
    상기 받침대브라켓(32) 또는 상기 선반지지다리브라켓(42)에는 결합되는 지지대나 선반지지다리(520)와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승하강 움직임을 방지하는 잠금볼트(77)나 회동식편심레버(88)가 구비되고,
    상기 선반지지다리(52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조절이 되고,
    상기 선반걸이부재(550)는,
    상기 선반걸이대(54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제5부재(551);
    상기 제5부재(551)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선반걸이대(540)가 억지끼움되는 선반걸이대결착홈(554)이 구비된 선반걸이부재브라켓(553); 및,
    상기 제5부재(551)의 내부에 수용되었다가 상기 제5부재(551)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로 슬라이딩 연장되는 제6부재(55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
  7. 제1항 내지 제6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며 양측 단부가 상기 좌측걸이대(210)를 구성하는 지지대 각각의 좌측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좌측연장걸이대(230);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며 양측 단부가 상기 우측걸이대(220)를 구성하는 지지대 각각의 우측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우측연장걸이대(240); 및,
    상기 좌측연장걸이대(230) 또는 상기 우측연장걸이대(240)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연장걸이부재(20);
    를 더 포함하되.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장걸이부재(20)는,
    상기 좌측연장걸이대(230)를 구성하는 지지대나 상기 우측연장걸이대(24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제3부재(21);
    상기 제1부재(11)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좌측연장걸이대(230)나 상기 우측연장걸이대(240)가 억지끼움되는 연장걸이대결착홈(24)이 구비된 연장걸이부재브라켓(23); 및,
    상기 제3부재(21)의 내부에 수용되었다가 상기 제3부재(21)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로 슬라이딩 연장되는 제4부재(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
  8. 제1항 내지 제6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좌측받침대(110) 및 상기 우측받침대(120)를 구성하는 지지대 각각의 하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승하강부재(610);
    상기 승하강부재(610)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결합되는 다수 개의 지지발(620); 및,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중앙부는 상기 좌측받침대(110) 또는 상기 우측받침대(120)를 구성하는 지지대 각각의 하부에 결합되고, 주변부에는 상기 지지발(620)이 통과하는 통과공(631)이 다수 개 구비된 지지발자세제어부재(6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
KR1020100014129A 2010-02-17 2010-02-17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 KR10095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129A KR100955066B1 (ko) 2010-02-17 2010-02-17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129A KR100955066B1 (ko) 2010-02-17 2010-02-17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066B1 true KR100955066B1 (ko) 2010-04-28

Family

ID=4222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129A KR100955066B1 (ko) 2010-02-17 2010-02-17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0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542B1 (ko) * 2011-02-08 2018-09-17 박이진 빨래 건조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842U (ko) * 1994-06-23 1996-01-19 정병문 빨래건조대용 보조건조대
KR20060009504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아이에스메이드 세탁물 건조대
KR100717589B1 (ko) * 2007-02-27 2007-05-15 박종만 접철식 행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842U (ko) * 1994-06-23 1996-01-19 정병문 빨래건조대용 보조건조대
KR20060009504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아이에스메이드 세탁물 건조대
KR100717589B1 (ko) * 2007-02-27 2007-05-15 박종만 접철식 행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542B1 (ko) * 2011-02-08 2018-09-17 박이진 빨래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088B1 (ko) 빨래 건조대
CN109295668A (zh) 一种便于收纳的晾衣架
KR20110007533U (ko) 다단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0955066B1 (ko) 가변식 세탁물 건조대
KR101305050B1 (ko) 분리식 세탁물 건조대
KR102247771B1 (ko) 세탁물건조대
KR20160025359A (ko) 세탁물 바구니가 결합된 이동형 건조대
CN102978880A (zh) 一种折叠式晾衣架
CN207244282U (zh) 一种双支撑结构的晾晒架
KR20070054822A (ko) 빨래건조대
KR101426330B1 (ko) 빨래 건조대
KR200491901Y1 (ko) 자석 결합식 수직 프레임형 건조대
KR20150004071U (ko) 빨래건조대 겸용 옷걸이대
KR101391581B1 (ko) 세탁물 널기가 편리한 이동식 건조대
CN204849411U (zh) 一种折叠式小件晾架
JP3227061U (ja) 布団干し
CN215668622U (zh) 一种多用折叠式晾衣架
CN208201413U (zh) 一种伸缩折叠式晾衣架
CN202936647U (zh) 多功能晾晒架
CN220246488U (zh) 一种新型晾衣架
KR200339143Y1 (ko) 빨래 건조대
CN213896405U (zh) 一种可扩展落地晾衣架
KR101291733B1 (ko) 빨래건조대
CN211408515U (zh) 一种可折叠的螺旋式晾衣架
CN208104810U (zh) 一种便利晾衣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